<313133305FC3B6C7D0BBE7BBF32034325F2E687770>



Similar documents
<3133B9F828C0CCBCF6BFF8292E687770>

<BFB5BBF3B9AEC8AD3139C8A32DC0FCC3BCBFCFBCBABABB2E687770>

세계 비지니스 정보

<B1B3C8B8BBE7C8B8BBE7BEF75F3236C8A35FBABBB9AE5F33C2F72E687770>

<32302DB3B2C7F6BCF72E687770>

< D DC1B6BCBABED62DB9D9C5C1C3BC2E687770>

합본.hwp

, 41 ( ) * 1) ***.,. I.,..., ( ) ( ).,. ( ) *. ** 1

프랑스의 그룹소송(프랑스식 집단소송) 도입에 관한 최근 동향.hwp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¹Åä11-Ç¥Áö


CONTENTS.HWP

INDUS-8.HWP


<30332DB1E8C0E7C8F16F6B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æÁ¦Àü¸Á-µ¼º¸.PDF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레프트21

00-1표지

01....=361.


장양수

세계 비지니스 정보

[96_RE11]LMOs(......).HWP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DBPIA-NURIMEDIA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도에서는 고려 말에 주자학을 받아들인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인 정책을 통해 민간에까지 보급되면서 주자 성리학의 심 화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1) 조선시대


KD hwp

148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제2호 I. 서 론 일반적으로 이주자들은 주류사회의 구성원과는 구별되는 타자 로 인지된다. 따라서 이주자 들은 정주자와는 구별되는 그들만의 특별한 정체성 을 가지고 있거나 때로는 정상성 1) 에서 벗어나 있는 존재로 회자된다. 한국사회에서

국문요약 한국 중 근세사회의 농법과 수리시설의 변화, 발달과정 등을 문헌 자료 검토와 발굴 보고서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의 경지이용방식은 文宗代 田品 규정에서 볼 때 1년 또는 2년 休閑法이었다. 벼 경작법이 고려말에 이르러 休閑法에서 連作法으로 변화 발전하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C3CA3520B0FAC7D0B1B3BBE7BFEB202E687770>

12 2 ( 23 ) ? 3) 19 19? 19 19? ) 5) 18 6) 18 (Coray )7) ) 3) La Berge p ) Roselyne Rey Anamorphoses d

untitled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º»¹®1ºÎ /29š

< FC1A4BAB8B9FDC7D D332E687770>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02양은용

최종ok-1-4.hwp

: 4 2. : (KSVD) 4 3. :

<30332DBCADC7D1B0E12E687770>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 BFEB2E687770>



DBPIA-NURIMEDIA

歯박효종1-1.PDF

<C7F6B4EBBACFC7D1BFACB1B F3136B1C72032C8A3292E687770>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C1A4BAB8B9FDC7D031362D335F E687770>

74 현대정치연구 2015년 봄호(제8권 제1호) Ⅰ. 서론 2015년 1월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두 명의 남성이 풍자 잡지 주간 샤를리 의 본사에 침입하여 총기를 난사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열두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얼마 후에

' ' ( ) 2 60 ' ' ( ) 50% 21% 95 ( ) 43% 13% 10 5 ( ) 24% 9% 11 5 ( ) 20%6% ' ' ' ' ' ' 1965

No 홍기원 ( 서울시립대학교 ) 이민통합정책을위한정부부처 이민통합정책의활용자료로서의통계를생산하는특별기관

untitled


COVER.HWP

이슈분석 2000 Vol.1

가볍게읽는-내지-1-2

한눈에-아세안 내지-1

kbs_thesis.hwp


11문화,역사지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Discussions on

歯졸업논문.PDF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À̶õ°³È²³»Áö.PDF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歯5-2-13(전미희외).PDF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수 영문교과목명 현대독일미학Ⅱ 3 3 Contemporary German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Ⅰ 3 3 Contemporary French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

歯FFF01288.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Exploring Education

Microsoft Word - SOS_KOREAN.doc

CNVZNGWAIYSE.hwp

<30322DBCADC1A4B3B22E687770>

Quark License Administrator 4.0 사용 안내서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歯논문.PDF

°í¼®ÁÖ Ãâ·Â

step 1-1

DBPIA-NURIMEDIA

인쇄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최 2015 추계전국학술대회 프로그램 주제 교양교육의 : 당면과제와 전망 일시 : 2015년 11월 20일(금) 14:00~19:00, 21일(토) 09:00~17:00 장소 : 경남대학교 1공학관(공과대학 6층

08최봉석ㆍ구지선.hwp

통신1310_01-도비라및목차1~9

<BBE7BABB202D20BCF6C1A42DC6EDC1FD2E687770>

북한의 사회통제 기구 고찰 -인민보안성을 중심으로- 연구총서 전 현 준 통 일 연 구 원

Transcription:

논문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99) -개체화 원리 문제를 중심으로- 김 선 영 주제분류 중세철학, 근대철학, 프랑스철학 주요어 둔스 스코투스, 데카르트, 개체화의 원리, 존재, 실체, 개체, 단일성 요약문 현대철학에서 다시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는 개체화 원리 문제는 사실 중세철학자들에게서 많이 다루어졌지만 라이프니츠를 제외한 근대철 학자들에게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필자는 이러한 개체화 원리 문제의 논의 전개 과정에서 스코투스와 데카르트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이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개념들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스코투스 는 물질적 실체들의 개체화를 순수형상으로 간주되는 천사들의 개체화와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면서 순수 철학적 측면에서 개체화 원리를 다룬다. 이는 존재를 물질과 형상의 결합체로 파악하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거부 하는 것이며, 또한 이것은 개체화 원리 문제를 개체화 원인의 문제로 변환 시킨 것이다. 스코투스에게서 한 존재자의 이것임 은 그 개체의 종이 단일 하다는 전제에 의해 가능하다. 이에 반해 데카르트는 개체화 원리 혹은 원 인을 문제 삼지 않는다. 데카르트는 보편질료와 보편형상을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와 형상적 실체의 개체화의 가능 조건으로 제시하며 한 존재의 개체 성과 보편성을 밝힌다. 필자는 데카르트의 이원론, 물질과 형상, 신체와 영 혼의 강조가 한 존재의 단일성 문제보다는 그 동일성의 문제를 다루는 새 로운 영역을 제기하는 것으로 해석하려 한다. *이 논문은 2010년 11월 6일 한국중세철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당시 논평을 해주신 이석재 선생님과 조언을 해 주신 박우석 선생님께 감사한다.

38 논문 Ⅰ. 서론 이 논문에서 필자는 스코투스(1265?-1308)와 데카르트(1596-1650) 에 의해서 시도된 개체화 원리 문제의 논의를 통해 이 두 철학자의 철학적 연관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스콜라철학을 거부하는 데 카르트 사유에 스코투스 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이려고 한 다. 어떤 방식에서 이런 논의가 가능한가? 사실 이 두 철학자의 철학 적 연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1) 그 이유가 스코투스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 다. 실제로 스코투스가 주로 활동했던 프랑스에서도 스코투스 저서의 번역은 최근에서야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2) 그러나 공티에(Thierry Gontier)는 의지(la volonté) 문제에 대해서 스코투스와 데카르트 철학 의 연관성을 논의 3) 하고 있으며, 로디-레비(G. Rodis-Lewis)는 그녀의 저서 데카르트에 따른 개체성L individualité selon Descartes 에서 데카르트가 라 플레쉬 스승들의 영향으로 스코투스 철학에 대한 지식 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라 가정한다. 로디-레비에 의하면 데카르트의 스승들은 스코투스 철학 중에서도 특히 형상에 의한 개체화 원리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4) 그렇다면 데카르트 역시 이 부분에 관해서 스코투스의 영향을 받은 것일까? 사실 스코투스가 개체화 원리로서 형상을 제시하는 시도는 이후 스콜라철학자들 사이에서 더 이상 아퀴나스의 개체화 이론을 받아들 이지 않게 되는 시작이 될 뿐만이 아니라 형이상학의 대상을 변형하 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데카르트는 동시대 철학자인 수아레스와는 1) Cf. Michio Kobaysh, Création et contingence selon Descartes et Duns Scot, in Descartes et le Moyen âge, Paris, Vrin, 1997. 2) 프랑스에서는 Gérard Sondag에 의해 스코투스의 Ordinatio II, Distinction 3, 1 partie가 Le principe d individuation라는 제목으로 1992년에 처음 번역되었다. 3) Thierry Gontier, Descartes et la causa sui, Paris, Vrin, 2005, pp. 147-153. 4) G. Rodis-Lewis, L individualité chez Descarte, Paris, Vrin, 1950, p. 26.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39 달리 개체화 원리 그 자체를 문제화하지 않으며 단일성 문제 역시 새롭게 제기한다. 또한 형상을 한 인간을 동일한 인간으로 고려하게 되는 원인으로 제시하며 동일성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필자는 이러한 개체화 원리 논의의 부재와 논의 중심 이행에 스코투스가 커다란 영 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어떤 근거에서 이러한 주장이 가능 한가에 대해 현실적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스코투스와 데카르트 철학 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물질적 실 체의 개체성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형상에서 분리된 질료로서 물질 의 개체적 존재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둘째, 존재와 존재자에 대한 논의다. 개체화 원리가 존재의 문제이므로 존재 개념의 변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은 형이상학과 신학의 구분이 이루어짐을 드러내는 것이다. 셋째, 형상에 의한 단일성 문제를 다루기로 한다. 인간 본성을 하나의 단위로 제시하는 스코투스의 형상 제시는 이후 개체화 원리의 논의를 단일성(혹은 통일성)의 문제보다는 동일성의 문 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이것은 근대철학의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인 자아동일성 문제 논의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둔스 스코투스에게서 개체화 원리의 문제는 명제집 주해 제 2권, 강독Lectura 과 정본Ordinatio II의 구분distinction 3, 파리강의록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관한 질 문 등에서 다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정본, 구분 3의 논의를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반면, 데카르트 철학 체계에서 개체화 원리 는 특정한 저서에서 다루어지지 않으며 주로 서한들 에서 언급된다. 그러나 그의 성찰 에 대한 반론들에 대한 답변들 과 철학의 원리 에서 이와 연관된 데카르트의 실체와 존재에 대한 논의들을 만날 수 있다.

40 논문 Ⅱ. 본론 1. 스코투스 : 개체화 원리에서 개체화 원인으로 (1) 물질적 실체의 개체성 스코투스가 위에서 언급한 저서들에서 밝히듯이 그의 개체성 문제 는 당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이론인 질료를 개체성의 원리로 보 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시각에서 모순되는 주장으로 보이는 천사의 개체성에 대한 논의와 연관된다. 정본 II, 구분 3에서 논의를 시작하 며 스코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정본 ) 세 번째 구분에서, 우 리는 인격들로서 천사들의 구분에 대해 조사할 것이 있었다. 그런데 천사들에게서 그러한 구분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들에서 물질적 실체들의 구분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왜냐 하면 이것을 우리가 받아들이는 방식은 천사의 동일한 종 안에서 개 체들의 복수성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5) 이는 이성 적 본성(순수 형상)인 천사를 개체라고 할 수 있는가의 문제다. 주목 해야하는 것은 스코투스가 천사의 개체성 문제를 물질적 실체의 개체 성에 대한 문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는 사 실이다. 왜냐하면 이와 같이 천사의 개체성 문제가 물질적 실체의 개 체성 문제에 논리적으로 의존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는 것은 스코투스 가 개체화 문제를 신학과 분리된 순수 철학적 토대 위에서 다루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즉 형이 상학의 대상이 변형되리라는 점을 예고하는 것이다. 우선 스코투스가 제시한 물질적 실체의 개체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스코투스는 잘 알려진 것처럼 그의 저서에서 자신의 고유한 이론 을 내세우기에 앞서 그 당시에 알려진 이론을 먼저 검토한다. 개체화 의 문제에 대한 논의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검토 대 상이 되는 이론의 첫 번째는 실재적인 것을 개별화하는 데는 어떤 5) Scot, Ordinatio II, Distinction 3, 1 partie, q. 1, n 1.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41 특수한 원인도 필요하지 않다., 두 번째는 이중 부정 에 관한 것이 고, 세 번째는 실재의 존재, 네 번째는 양에 의한 개체화 에 대한 이론 그리고 다섯 번째는 질료에 의한 개체화 이다. 각각의 이론에 대한 논의 후에 여섯 번째에서 스코투스 자신의 주장이 전개된다. 우선 정본 II, 구분 3에서의 첫 번째 논의, 즉 물질적 실체가 그 자신에 의해 다시 말하면 그의 본성에 의해서 개별적 혹은 단독적 (singularitas)이 되는가? 6) 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송다그 (Sondag)가 주목한 것처럼 이 질문은 개체화 문제의 가능성을 제시하 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이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라면, 문제 는 해결된 것이고 더 이상의 검토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반대로 대답이 부정적이라면 검토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물질적 실체가 그 자신에 의해 개별적 혹은 단독적이 아니라면, 그 물질적 실체의 개체 성 혹은 단독성의 원인 혹은 원리가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것이 이 원리인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7) 스코투스는 이렇게 개체성 원리 문제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여기서 각각의 논의 검토는 생략하기로 한다. 필자의 목적이 데카르트 철학과의 연관성을 살피기 위한 것이므로 스코투스의 논의 중 데카르트가 관심을 가졌던 철학으 로 알려진 토마스주의에 대한 스코투스의 견해를 파악하는 것으로 한 정하기로 한다. 8) 스코투스는 토마스주의의 지정된 질료(materia signata)에 의한 개 체화 원리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스코투스는 당시 스콜라철학자들 이 받아들였던 이론인 토마스주의의 지정된 질료, 다시 말하면 결정 된 크기를 개체화 원리로 삼는 것에 반대한다. 박우석에 의하면 아퀴 나스의 개체화 원리에 반대하는 스코투스의 반론은 양적 개체화 에 대한 논의에서 드러나는데 정본 의 네 번째 질문이 물질적 실체는 6) Scot, Ibid., q. 1, n 1. trad. par G. Sondag, Paris, Vrin, 1992, p. 87. 7) Gerard Sondag, Introduction, in Ibid., p. 13. 8) 참조. 박 우석은 스코투스가 아퀴나스의 결정적 취약점을 노려서 천사론 을 특별히 개체화 문제를 논의하는 전장으로 채택 한 것으로 가정한다. 앞의 책, p. 124.

42 논문 양에 의해 개별적 혹은 유일적인가? 이다. 9) 다시 말하면 양(quantitas) 은 그것에 의해서 어떤 물질적 실체가 하나의 이것이 되고 여러 주체 적 부분들로 분리될 수 없게 되는 (저) 긍정적인 것인가? 10) 라고 묻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언급해야 할 점은 아퀴나스 철학에서 개체성 의 문제는 어떤 저서를 근거로 삼는가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몇 가지 해 석 11) 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정된 질료에 의한 개 체화 원리가 받아들여졌으며 스코투스 역시 이런 관점에서 아퀴나스 의 주장을 반대한다. 스코투스는 네 가지 논거를 제시함으로써 양에 의한 개체화 주장을 거부하며 이 점을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밝힌다. 첫 번째는 숫자적 동일성, 즉 개체와 단독자의 동일성에서 시작하며, 두 번째는 실체와 우연들 사이에 존재하는 순서에서 시작하고, 세 번 째는 빈사적 등위관계 개념에서 출발하는데 이 세 논거들은 어떤 우 연성도 물질적 실체가 그 자신에 의해서 개체화하는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12) 마지막 네 번째 논거는 양에 의한 개체화 원 리를 주장하는 이들의 양에 대한 개념 에 반대하는 논의다. 13) 스코 투스에 의하면, 실체의 개체성은 외부에서 그에게 귀속되는 것에 의 해 구성될 수 없고, 우연은 실체의 앞선 단일성을 가정하며, 그것을 생산하지 않는다. 14) 그에게 실체는 양 그리고 다른 모든 우유성에 9) 같은 책, p. 135. 박 우석은 강독 의 q. 4, n. 95 이하에 근거하며 다음과 같이 쓴다. 양에 의거한 개체화 이론의 대표자로 스코투스가 거명하고 있지는 않으나, 여기서 그가 아퀴나스의 지정된 질료(materia signata)이 론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알랜 B. 볼터, 앞의 책, p. 478. 11) 아퀴나스는 L étant et l essence, Somme contres les Gentils II, Le commentaire des Sentences, 그리고 Le commentaire du de Trisnite de Boèce에서 개체화 원리로 지정된 질료, 한정된 크기, 비 한정된 크기 등 을 말한다; 참조. 조셉 오웬스, 토마스 아퀴나스, 스콜라철학에서의 개 체화, 같은 책, pp. 303-340. 12) Scot, op. cit. p.122. 13) 참조. 알랜 B. 볼터, 같은 책, p. 481. 14) Olivier Boulnois, Genèse de la théorie scotiste de l individuation, in Le problème de l individuation, textes réunis par P.-N. Mayaud, Paris, Vrin, 1991, pp. 61-62.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43 우선한다. 15) 하지만 데카르트에게서는 실체와 우유의 구분자체가 모 호해진다. 그렇다면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는 어떻게 설명되는가? 스코투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만일 이 돌(cette pierre-ci)이 주체적 부분들 로 나뉘지 않고 못 배긴다면, 그에게 내재하는 긍정적인 어떤 것의 원인이 그 안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 반드시 필요하다. 긍정적인 이 어떤 것을 나는 그 자신에 의한 개체성의 원인이라고 부른다. 왜냐하 면, 나는 비분할성(l indivisivilité) 를 명확하게 개체성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16) 스코투스는 ( ) 물질적 실체가 어떤 긍정적인 존재성 에 의해서 이런 단수성으로 규정되고, 다른 다양한 긍정적 존재성들 에 의해서 다른 다양한 존재성들로 규정된다고 대답하고 싶다 17) 고 분명히 언급한다. 이제 개체화의 원리는 구체적으로 개체화의 원인 문제가 된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스코투스는 개체화의 원인을 이것임haecceitas 으로 특징짓지만 이 이것임에 대해 어떤 정의를 내리지 않고 일종의 논변을 제시함으로써 정의에 대신한다. 18) 그런데 정본 II, 구분 3에 서 스코투스는 실체(l entit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결과적 으로 개별적 실체(l entité individuelle)는 형상도 질료도 이것들의 각 각이 한 본성인 한에서 결합도 아니다. 이것은 질료이거나 형상이거 나 혹은 결합이거나 존재의 궁극의 실재성이다. 그래서 공통되거나 혹은 (그러나) 정의할 수 있는 모든 것은 그것이 구분되는 형식적으 로 몇몇의 실재성 안에서 (동일한 사물(res)임에도 불구하고) 항상 구 분되어질 수 있다. 이들 두 개체는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해 한 사물 이 다른 한 사물에 대한 것처럼 작동하지 않는다. 19) 스코투스에게 질료는 긍정적 실재(성)이다(aliqua entitas positiva). 20) 왜냐하면 결 15) Scot, op. cit., q. 4, n. 79 ; 박 우석, 같은 책, p.135. 16) Scot, Ibid, q. 2, n. 57, p. 112. 17) 알랜 B. 볼터, 같은 책, p. 495. 18) 박우석, 같은 책, p. 137. 19) Scot, q. 6, n. 188, op. cit., pp. 176-177.

44 논문 합체는 이 이름에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그것이 적어도 두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질료는 이 요소들의 하나가 아닐 것이 다. 만일 질료가 그에게 고유한 긍정적 실재를 지니지 않는다면. 21) 스코투스에서는 존재의 궁극적 실재성의 문제인 것이다. 그런데 스코 투스에 의하면 실재는 우리 인식의 대상 이 아니고 우리가 이해하 는 인식에 선행하고 외부적 22) 이라는 점을 주목해야만 한다. 질송은 그러한 의미에서 질료는 실체적인 전환의 주체이고 형상과 별개로 고유한 개체를 지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3) 고 명확히 밝힌다. 결과적으로 스코투스에 의하면 질료는 형상과 결합하지 않고 독립 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질료와는 반대로 형상이 없이도 인식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것이 의미하는 것 은 형상과 질료의 결합체 안에서 실제적으로 구분된 두 개체가 존재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으로서 이중 하나는 다른 하나 없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따라서 질료와 형상이 각각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코투스의 존재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 다. 사실 스코투스의 존재 개념은 형이상학적 대상이 변형되었음을 대변하는 것으로 자연학에 의존하는 또 다른 영역의 개체화 원리를 가능하게 하며 데카르트 철학에서 구체화된다. (2) 존재와 존재자 존재의 실재적 궁극성을 강조하는 스코투스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스코투스의 존재 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불누와(O. Boulnois)에 의하면 스코 투스의 형이상학은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고려이며, 존재자로서의 존 재자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할 때 그가 목표로 하는 것은 존재할 수 있는 것 모두의 본질을 묻는 것이며, 존재자의 존재에 대한 연구 20) Etienne Gilson, Jean Duns Scot, Paris, Vrin, 2002, p. 432. 21) Idem. 22) Gérard Sondag, op. cit., p. 27. 23) E. Gilson, op. cit., p. 435.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45 는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에 공통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다. 24) 스코투스는 전통적 유비이론을 거부하며 그 대신에 존재자의 일의성, 즉 존재자를 유일한 개념으로 제시한다. 존재자의 개념은 모 든 존재들에 적용되며, 그것은 신의 개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스코투스에 의하면 이 존재자에게는 본질적으로 속성이 부여 되어 있으며, 어떤 사물이 하나의 존재라고 말해지는 까닭은 존재자 가 그 안에 본질적인 원인 혹은 사물의 본질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25) 이렇게 해서 존재자는 형이상학의 첫 번째 대상이 된다. 이렇게 존재 자의 속성을 강조하는 특징은 데카르트에게서 극대화된다. 우리는 여 기서 스코투스의 존재 이해와 관련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관련지을 수 있는 두 가지 점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첫 번째는 존재의 구 분이고 두 번째는 표상이론이다. 우선 존재의 구분에 대해 살펴보자면, 스코투스의 일의성에 의한 존재 제시는 존재에 대한 구분을 창조자와 피조물의 구분이 아닌 다 른 측면에서 제기하게 하는데 실제로 스코투스에게서 존재는 그것이 객관적 존재인지 아니면 실재적 존재인지의 구분이 중요하게 된다. 불누와의 설명에 의하면 객관적 존재는 사물의 표상된 정신 안에 있 는 사물의 이미지로서 이것은 실재적 존재와 동일한 존재이다. 다시 말하면 지성 안에서 객관적으로 고려되어진 존재와 (주관적) 실재 안 에서 존재하는 바로서의 존재는 같은 존재로 이 두 존재 사이에는 대응이 있을 수 있으나 동일한 실제적 지위를 갖지는 않는다. 그들은 지향적 혹은 형식적 동일성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 26) 더구나 객관적 존재는 지성 안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보편적이고, 그것은 자신의 고유한 구조와 자율적 실재성을 가진다. 27) 또한 존재에 대한 이와 같은 사유는 스코투스의 구분 이론(Théorie de la distinction) 과 같 24) O. Boulnois, op. cit., p. 54. 25) Ch. Cervellon, Duns Scot, Le vocabulaire des philosophes, De l antique à la Renaissance, Paris, Ellipses, 2002, p. 474. 26) O. Boulnois, Etre et représentation, Paris, PUF, 1999, p. 99. 27) Ibid, p. 102.

46 논문 은 맥락을 형성하는데, 구분 이론 은 한편으로 실재와 이성의 구분이 며 다른 한편으로는 형상(식)적인 것과 양태적(modale)인 것의 구분 이다. 형상(식)적 구분은 동일한 사물의 형식적인 구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구분은 실재 혹은 사물에 기초한다는 의미에서 실재적 구 분에 포함될 수 있다. 28) 그러므로 이 구분은 동일한 단위 안에서 다 른 본질들을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성적 구분은 정신 안에 서의 구분이고 양태적 구분은 한 사물에 내재된 정도의 차이에 의한 구분이다. 이러한 구분에서부터 질료이거나 형상, 이 두 요소들 중의 하나를 한 존재자의 개체화 원리로 파악하려는 문제는 넘어설 수 있 는 듯이 보인다. 불누와에 의하면 스코투스는 개별이 종보다 실제적 으로 더 복합적인 것은 아니다 라는 점을 말하기 위해 이 형식적 구 분에 의거한다. 29) 데카르트에게서는 스코투스의 구분 이론이 좀 더 구체화된다. 두 번째로 여기서 주시해야 할 점은 스코투스의 존재자 일의성 이 론이 인식에 대한 또 다른 개념적 정의를 전제한다는 사실이다. 표상 (la représentation) 개념이 그것이다. 인식은 대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의 표상함에 의해 생긴다. 30) 는 것으로 이 것은 다음을 함축한다. 인식 행위, 작용은 외부 사물에 연관되는 것 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나의 밖에 있는 사물에 대응하는 유사한 이 미지, 모방과 연관되는 것이다. 31) 결과적으로 그것은 보편성을 생 각하도록 허용하는 표상의 가공이다. 보편의 표상(판타즘phantasm 안 에서 단일성의 표상의 구분)은 지성에 의해 생긴다. 그리고 보편의 표상은 동일한 종의 모든 개체들에 공통 특성들을 함유한다. 32) 이러 한 표상이론은 스코투스에게서 본성의 문제가 지성의 문제로 이어진 다는 점을 보여주며 33) 보편으로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에서 좀 28) Ch. Cervellon, op. cit., p. 470. 29) O. Boulois, op. cit., 70. 30) Ibid, p. 97. 31) Idem. 32) Ibid, p. 101.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47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스코투스의 개체화 원인으로서 형상 제시는 단일성의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기하게 한다. (3) 형상에 의한 단일성(l unité) 스코투스가 정본 II, 구분 3에서 첫 번째로 다루었던 실재적인 것을 개별화하는 데는 어떤 특수한 원인도 필요하지 않다 는 주장에 대한 당시 견해는 한 사물의 본성과 그 단일성 사이에는 아무런 원 인도 개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떤 더 이상의 근거를 추구해서는 안 된다 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본성에 현존을 부여하는 원인들이 또한 그 단일성까지도 설명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34) 스코투스는 이 주장에 대해 수적인 단일성과는 다른 실재적 단일성이 없다는 주 장은 거짓이라고 반박한다. 35)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개념이 개 체화의 원리 문제에서 비판받는 이유는 서로 다른 두 질료의 개념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질료는 애매하고 비한정적인 것으로 다 양성의 원리로 제시되며 두 번째로는 개별적 질료로서 수적 단일성의 원리로 고려되기도 한다. 36) 그렇다면 스코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구분을 염두에 두는 가? 스코투스는 사물들 안에 다양성을 전제하는 한 단위성을 제시하 는데 이는 종적 단일성이다. 스코투스에 의하면 사물들 안에는 지성 의 모든 작용에 독립적으로 단위성이 있다. 이 단위성은 숫자적 단일 성, 다시 말하면 유일성에 고유한 단위성의 하위에 있다. 그리고 이 단일성은 (그렇지만) 실제적이고, 이 단위성은 단독자에 고유한 단일 성이다. 그것이 한 본성의 고유한 단일성을 지니는 한에서, 한 본성 은, 그러한바, 단독자의 단일성의 관점에 중성적이다. 그러므로 그것 33) Gérard Sondag, Duns Scot, La métaphysique de la singularité, Paris, Vrin, 2005, pp. 48-56. 34) 알랜 B. 볼터, 같은 책, p. 465. 참조, 정본, q. 1, n. 5. 35) 같은 책, pp. 466-471. 36) Alain de Libera, Glossaire des sources: les origines du vocabulaire médiévql de l ongologie, in L Etre et l essence de Thomas d Aquin et Dietrich de Freiberg, Paris, éd. Seuil, 1996, p. 20.

48 논문 은 그 자신인 단일성이어야만 한다. 37) 이것은 스코투스가 이븐 시나 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38) 스코투스는 이븐 시나의 형이상학 5권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말( 馬 )의 본성(la nature du cheval) 은 말의 본성이다. 그게 전부다-자신의 존재자도, 하나도, 복수도, 보 편도, 특수도 아니다. 39) 이것은 종으로서의 말의 본성이 하나의 단 일성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의 본성은 중성이다. 본성이 중성(le neutre)이라는 점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낳는다. 한(이) 개체 안에는 그 종적 본성을 바로 그(이) 개체에 수축 또는 한정시키는 (실체의 범주에 속하는) 어떤 긍정적인 것이 있고, 다른(저) 개체 안 37) Scot, op. cit., q. 1, n. 30, p. 98. 38) Etienne Gilson, Pourquoi Saint Thomas a critiqué Saint Augustin suivi de Avicenne et le point de départ de Duns Scot, Paris, Vrin, 1981. 질 송에 의하면 우리는 자율적 형이상학, 자연학에서 독립된 그리고 그의 고유한 목적을 향한 것으로서 무한한 신의 실존의 필연적 증명들의 발견 을 향한 관념을 만나게 된다. pp. 157-158. 이븐 시나의 존재론은 신 (Dieu)과 신이 아닌 존재자(des êtres)를 구분하며 신이 아닌 존재자들에 게서 존재(l etre, l existence)를 본질(essence)과 구분하고 신에게서만이 존재와 본질이 동일하다는 이론이다. 이 두 존재의 구분은 하나, 존재는 우연의 일종처럼 본질에 추가된다 는 결과를 이끌고 이것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이끌어낸다. 즉 실존은 본질의 우연이다. 왜냐하면 본질의 내재 적 모드는 본질 안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39) Scot, op. cit., q. 1, n. 31. p. 98. 스코투스는 자신이 이해하는 이븐 시나 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나는 그 자체로 하나를 수적 단일성으 로 이해한다. 그리고 여럿을 그 단일성에 반대되는 다수성으로 알아듣는 다. 그리고 그것은 실제로 보편적 [즉 어떤 지성의 대상일 때 보편적이라 는 의미에서]이지도 않고 그 자체로 단독적 이지도 않다. 왜냐하면 그것 이 비록 실재 속에서는 이 특성들 가운데 어떤 것과 더불어서가 아니라 면 결코 있을 수 없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그 자체로 그것은 그것들 가운데 어느 하나가 아니고, 이것들 모두에 본성적으로 앞서는 어떤 것이 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본성적 우위성에 따라 무엇임 은 지성의 그 자 체 대상 (per se obejctum)이며, 그것은 형이상학자들에게 그러한 것으로 서 고찰되고 어떤 [본질적] 정의로 표현된다. 그 자체 빈술 (per se praedicatio)의 첫 번째 양태 안에서 명제들은 이 측면 아래있는 그것에 대해서 참이다. 왜냐하면 첫 번째 양태 안에서는, 무엇임에 본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면 본성적으로 그것에 후속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추상된 것으로서의 무엇임에 대해서 그 자체로 아무것도 주장되지 않기 때문이 다. 알랜 B. 볼터, 앞의 책, p. 472.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49 에는 그것의 종적 본성을 바로 그(저) 개체로 수축 또는 한정시키는 어떤 다른 것이 있다. 그리고 같은 종 또는 본성에 속하는 두 개체를 일차적으로 다르거나 개별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은 한쪽 안에 있는 이것임 이고, 다른 쪽 안에 있는 저것임 이다. 40) 결과적으로 단일 성은 수적 단일성과 종의 단일성으로 구분되고 종의 단일성은 수적 단일성에 아래에 놓이는데, 수적 단일성은 그 자체에 의한 단일성의 원인인 개체이며 숫자적 복수성에 반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 에서 영혼에 역시 그 종에 의하여 개체성이 부여된다. 이렇게 스코투스가 인간의 개별적 다름을 형상에 의한 것으로 파 악하는 점은 그가 세대(une génération) 문제를 해결하는 예에서 아주 분명하게 드러난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가 질료를 개체화의 원리로 서 간주하게 된 중요한 이유는 세대, 아버지와 아들의 유사와 관련된 다. 정본 에서 스코투스는 번식과정에서 질료의 역할을 부인하지 않 고 단지 질료를 개체화의 원리, 즉 개체화의 원인으로서 간주하는 것 을 거부한다. 그에 의하면 세대 번식에 질료인 물질적 다름이 필연적 으로 포함되긴 하지만 그것은 원리로서가 아니다. 그 이유는 정보를 주는 것이 질료가 아니기 때문이다. 41) 따라서 아버지와 아들이 유사 한 주요한 이유는 형상 때문인데, 이때의 형상은 단위성과 개별적 동일성 인 한에서가 아니라, 단위성과 최소한 정도의 동일성에 의한 형상인 한에서다. 왜냐하면 이 이름으로 형상은 세대의 원인이기 때 문이다. 42) 결과적으로 스코투스에게 인간의 개별적 다름은 개인에게 잠재적이고, 현실태고, 공통 본성은 가능태라고 말할 수 있다. 43) 토마스주의를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영혼이 어떤 개체성을 지닌다는 점에 동의하는 스코투스의 개체화 이론을 비난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 한 이론은 인간이 영혼과 신체의 결합이라는 이론을 위험에 빠뜨리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의하면 영혼은 신체에 배 안의 40) Scot, op. cit., q. 6, n. 170. p. 167 ; 알랜 B. 볼터, 앞의 책, p. 497. 41) Scot, Ibid, q. 6, n. 208, p. 186. 42) Idem. 43) G. Sondag, op. cit., p. 128.

50 논문 항해자로서가 아니라 그것과 함께 형상으로 있다. 이러한 난점을 잘 알고 있는 스코투스는 만일 영혼이 구현되기 이전에 개별화 되었다 면, 형상을 개체화 원인으로 제시하는 것이 정당화된다고 간주한다.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그는 개인의 단일성 아래에 놓이는 인간 종의 단일성의 실재성을 특징지으려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스코투스는 한 개인이 무엇에 의해 그 자신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는 다. 이제 데카르트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2. 데카르트에서 개체화 이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이론을 거부하는 데카르트에게서 개체성은 질료, 형상 그리고 더 나아가 각 실체, 존재들에게 적용 44) 될 뿐만 아니 라 스코투스가 주장한 개체화 원인 역시 문제시되지 않는다. 45) 이제 스 코투스의 주장이 데카르트에게서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1)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 데카르트는 개체화 원리 혹은 원인에 대하여 직접 논의하지 않으 므로 우선 그런 논의가 가능하지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데카르트 철 학에서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는 논의될 수 있는가? 사실 이에 대해서 는 두 주장이 대립되고 있다. 하나는 데카르트가 물질적 개별 실체들 을 받아들인다는 견해이고 46) 다른 하나는 연장을 본성으로 갖는 물 44) Frédéric de Buzon et Vincent Carraud, Descartes et les Principia II, Corps et mouvement, Paris, PUF, 1994, p, 84. 45) 레논(Thomas M. Lennon)에 따르면 그러한 이유로 기계주의와 경험주의의 등장을 제시할 수 있다. Thomas M. Lenon, The Problem of Individuation among the Cartesians, in Individuation and Identity in Early Modern Philosophy Descartes to Kant, Kenneth F. Barber and Jorge J. E. Garcia,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pp. 13-39 and pp. 14-15. 46) Cf. J. Laprote, Le rationalisme de Descartes, Paris, PUF, 1945, pp. 186-187. 라포르트(J. Laporte)는 데카르트에게서의 물질적 실체들의 복수 성에 대해 강조한다.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51 질적 한 실체를 제시하는 것에 의해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는 받아들 일 수 없다는 견해다. 47) 실제로 데카르트에게서는 이 두 견해가 모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데, 필자는 이 두 견해가 대립되는 것이라기보 다는 오히려 두 종류의 단일성, 종적 단일성과 수적 단일성을 설명하 는 것으로 파악한다. 사실 데카르트 철학에서 물질, 질료는 네 가지 개념, 즉 질료 혹은 일반적인 물질, 물체들, 인간 신체들 그리고 나 의 몸 으로 구분되어 다루어진다. 이렇게 구분되어 제시되는 물체들 에 대한 지칭은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물질적 실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에서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는 가능한가? 잘 알 려진 것처럼 데카르트에서 질료 혹은 일반적 물질의 본성은 한 사 물의 단단한, 혹은 무겁게 느껴지는, 혹은 유색에, 혹은 다른 어떤 방식으로 감각을 건드리는 것에 전혀 있지 않고, 길이, 넓이 그리고 깊이를 지닌 연장의 실체에 있다. 48) 이것은 물질적 실체의 단일성 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질료의 동질성 주장은 공허와 원자의 거부라 여겨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 물체의 고유한 단일성 과 동일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물체가 존재하기 위하여 무게도 단단함도 색깔도 필요하지 않다면, 이 물체의 부분 은 실체인가 아니면 양태인가? 이 질문은 개별적 물체의 고려 가능 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우선, 데카르트가 공간, 공허, 무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648년 7월 29일 아르노에게 보낸 서한에서 데카르트는 공허의 불가능성 에 대한 문제가 두 가지 이유에서 어려움과 저항에 부딪히 게 되는데, 하나는 무(le neant)가 어떤 속성도 지니지 못한다는 것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신적 힘에 도움을 요청 하기 하기 때문이라 파악한다. 49)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는 47) 게루(Martial Gueroult), 로디-레비 그리고 베이사드(J-M Beyssade)는 물 질적 실체를 유일한 한 실체로 받아들인다. 48) AT IX II, 65. 49) AT V, 223.

52 논문 실체가 없는 공간을 공허로 이해하는 철학자들을 비판하며 공간, 공 허, 무를 존재와 연관하여 제시한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일반적인 의 미에서 사용되는 공간, 공허라는 단어는 모든 종류의 물체를 전혀 배 제하지 않는다. 50) 철학의 원리 II, 10항에서 데카르트는 공간을 만 드는 길이, 넓이 그리고 깊이인 연장이 마찬가지로 물체를 만든다고 주장한다. 공간 또는 내적 장소와 그곳에 있는 물체는 실제로는 다 르지 않으며 단지 우리가 파악하는 방식에서만 다를 뿐이다. 왜냐하 면 공간을 이루는 길이와 넓이와 깊이의 연장은 물체를 이루는 연장 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차이는 다만 이뿐이다. 우리는 물체의 연장을 개별적인 것으로 간주해서, 물체가 변하면 그 연장도 항상 변하는 것 으로 믿는 반면, 공간의 연장에는 유( 類 )적인 단일성을 부여한다. 따 라서 공간을 채우고 있는 물체가 변해도 공간의 연장은 변하지 않는 다고 생각한다. 51) 또한 11항에서는 사물의 본성과 공간의 본성을 이루는 연장이 동일한 것이며, 이 둘의 차이가 종이나 유( 類 )의 본성 과 개별자의 본성 간의 차이 이상이 아니라는 것을 아주 쉽게 인식 할 수 있다 52) 고 주장하다. 데카르트는 사실 상식에 호소하면서 공 간, 공허 그리고 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며, 단지 물체를 감각의 원인으로 고려한다. 또한 그는 원자의 존재 불가능을 주장하는데, 왜 냐하면 한 물체는 무한으로 나뉘기 때문이라고 모어에게 보낸 서한에 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렇게 연장으로 물질 본성을 강조하는 것은 오 히려 개체적 물질적 실체 존재의 필요조건 혹은 가능조건으로 보인 다. 다시 말하면 스코투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종으로서의 단일성의 제 시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데카르트에게서 물질적 실체의 개체성은 무엇에 의해 가 능한가? 그것은 운동(le mouvement)과 표면(la superfice) 개념에 의 해 가능하다. 우선 데카르트의 표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자. 데카르트는 표면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사실 표면에 대한 논의는 50) AT IX II, 71-72. 51) AT IX II, 68. 52) AT IX II, 68-69.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53 성체(Eucharistie) 문제와 역시 연관되지만 여기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데카르트에서 표면 개념은 방법서설, 광학, 기상학 등에서 나타 나기 시작하며, 성체와 관련해서는 아르노의 반론에 대한 답변들, 메 르센에게 보낸 1641년 6월 23일 서한, 철학의 원리 II, 15 그리고 메스랑 신부에게 보낸 1645년 2월 9일 서한 등에서 논의된다. 우선 방법서설 5부에서는 땅, 물 그리고 공기가 지구의 표면으로 제시되고 광학 에서 표면은 빛과 관련되어 병에서 공기를 분리시키 는 것으로 정의된다. 53) 그런데 철학의 원리 II, 15에서 데카르트는 표면을 물체들 사이의 극단으로서 공간과 장소 사이를 분리하는 것으 로 다룬다. 그는 어떻게 외적 장소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물체의 표면으로 간주되는지 에 대한 답에서 우선 공간을 길이, 넓이, 그리고 깊이의 연장으로 파악하고 장소를 내적 장소와 외적 장소로 구분한 다. 내적 장소는 공간과 동일하고, 외적 장소는 그곳을 차지하고 있 는 것을 직접 둘러싸고 있는 표면이다. 이러한 구분 후에 데카르트는 주의해야 할 점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표면이란 둘러싸고 있는 물체의 어떤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둘러싸고 있는 물체와 둘러싸인 것 사이의 경계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계는 양태에 불과하다. 혹은 표면이란 일반적으 로 이런 저런 물체의 어떤 부분이 아니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유 지하면서 항상 동일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표면과 함께 변한 다 하더라고, 만일 그 물체가 둘러싸고 있는 것이 움직이지 않는 것 으로 간주된 외부 물체들 사이에서 동일한 위치를 보존한다면, 우리 는 그것이 장소를 바꾸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배 가 물살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 밀리는데 그와 똑같은 힘으로 바람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밀려 배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 비록 둘러 싸고 있는 표면이 모두 변하긴 해도, 누구나 쉽게 그 배가 동일한 장 소에 머물고 있다고 믿을 것이다. 54) 다시 말하면 배는 움직이지 않 53) AT VI, 102-103. 54) AT IX II, 71.

54 논문 는다, 즉 외부 장소는 변하지 않는다. (강과 배 사이의 중간인) 표면 은 그대로이다. 실체, 즉 물 그 자체는 항상 변함에도. 그러므로 실체 는 변할지라도 표면은 항상성을 갖는다. 55) 이러한 의미에서 데카르 트에게서 표면 개념은 실제적 수적 단일성에 독립적으로 감각에 의해 지각된 물체의 수적 단일성을 다루는 것을 허락한다. 그렇다면 데카르트는 운동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데카르트는 세계 론 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의 법칙에서 운동을 제외시켰으며 여 러 운동을 제시한다고 비판한다. 데카르트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결여로 제시되던 정지를 일종의 특성으로 제시하며 운동개념을 시간 과 필연적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 시간이 결여된 운동은 불가능 함을 주장한다. 데카르트의 운동이론은 두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이론의 극복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630년대 데카르트는 규칙들 규칙 XII 에서 운동을 잠재적인 한 존재의 행위 로서 고려한다. 그에 의하면 그러한 인식은 주의 깊은 직관에서 오는 것으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다. 운동의 본성은 단순 하며 그 자체에 의해 인식된다는 것이다. 1640년대 데카르트는 그의 고유한 운동이론을 철학의 원리 II에서 제시하는데 특별히 23항의 주 제는 물질에 있는 모든 다양성은 그 부분들의 운동에 의존한다. 56) 이 며 25항에서는 운동을 물질의 한 부분 혹은 한 물체의 이동(le transport) 으로 정의한다. 57) 결과적으로 데카르트에게서 운동은 하나 의 물체를 개체로서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운동은 개별적 물체에 의 해 정의되며, 하나의 물체는 하나의 운동만을 소유한다. 데카르트에서 이러한 물질적 개체의 자연학적인 측면에서의 가능성은 그의 형이상 학에 의해서 의미가 한층 강화된다. (2) 존재와 존재자: 실체 개념을 바탕으로 실체에 대해 논하는 데카르트의 저서는 성찰 에 대한 두 번째 55) Buzon, op. cit., p. 87. 56) AT IX II, 75. 57) AT IX II, 76.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55 반론에 대한 답변들 과 네 번째 반론에 대한 답변들 그리고 철학 의 원리 인데, 여기서 고전적 실체 개념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반론들 중 두 번째 반론에 대한 답변들 에서 데카르트는 몇 가 지 개념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는데 여기에 실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모든 사물, 이 사물 안에 즉각적으로 그의 주어 안에서처럼 존재하는 것이거나, 혹은 우리가 지각하는 어 떤 것, 다시 말하면, 우리가 우리 안에 실제로 가지는 관념, 어떤 소 유, 질, 혹은 속성이 이 사물에 의해 존재하는 것을 실체라 부른다. 58) 이 정의에 따라 세 실체, 정신, 물체 그리고 신이 제시된다. 59) 그런데 데카르트에 따르면 실체라는 이름은 신과 피조물에 동일한 의미로 부 여할 수 없다. 60) 왜냐하면 실체의 정의는 존재하기 위하여 그 자신 만을 필요로 하는 것 인데 이러한 정의는 애매하며 이에 따라 실체라 고 불릴 수 있는 것은 신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신 과 창조물에 적용되는 실체라는 명칭은 일의적(univoque)이지 않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창조된 사물 사이에는 다른 사물이 없이 는 존재할 수 없는 본성을 지닌 것이 있고, 이것은 신의 협력(le concours ordinaire de Dieu)만을 필요로 하는 사물과 구분된다는 것 을 강조한다. 신의 협력만을 필요로 하는 사물은 실체이며 다른 사물 없이는 존재 할 수 없는 것은 실체의 특성 혹은 속성이다. 실체는 비 물질적인 것, 물질적 혹은 육체적인 것 모두에 연관된다. 결국 사물 은 실체로 그 자신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데 네 번째 반론들에 대한 답변 에서 데카르트는 완전한 실체 와 불완전한 실체에 대해 아퀴나스가 예로 들었던 것들을 인용하면 서 61) 사람의 팔을 몸 전체에 연결시키면 불완전한 실체라고 여기고 팔로만 고려하면 완전한 실체라고 주장한다. 정신과 신체도 마찬가지 로 이들로 구성된 인간에 연결하면 불완전한 실체이나 이 둘을 분리 58) AT IX, 124. 59) Idem. 60) AT IX, II, 47. 61) AT IX, 172.

56 논문 해서 고려하면 이들 각각은 완전한 실체라는 것이다. 62) 그렇다면 이와 같이 완전한 실체와 불완전한 실체로 구분되는 실체를 어떻게 이해해 야 하는가? 질송에 의하면 데카르트에게 완전한 실체라는 개념은 동 어반복일 뿐이며, 실체 개념의 정의 안에서조차 실체는 완전한 사물이 다. 질송은 네 번째 반론들에 대한 답변들 에서 완전하지 않은 실체 라는 표현은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 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일 내가 어떤 실체가 완전하다고 선언한 다면, 그것은 내가 그 사물의 모든 속성들을 파악했음을 주장하는 것 이 전혀 아니고 내가 그 실체가 그 자신에 의해 존속하고, 그것의 존 재는 진정으로 다른 존재와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간단 히 말하면 실체는 완전하다. 왜냐하면 실체이기 때문에 완전한 것이지 이 실체가 완전하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실체인 것은 아니다. 63) 그렇다면 데카르트는 실체와 우유의 관계를 어떻게 제시하는가? 이 에 대한 답은 여섯 번째 반론의 답변들 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데 카르트에 의하면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실체이지 우연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의복을 어떤 한 사람에게 적용하는 경우 의복이 아니라 옷이 입혀진 것이 우연이다. 64) 결과적으로 두 실체는 이 둘 각각이 다른 실체 없이 존재할 수 있을 때 실제로 구분된다고 말해 진다. 65) 이것은 스코투스의 구분 이론과 연관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실재적 구분, 이성적 구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형식적, 그리고 양태적으로도 구분한다. 66) 중요한 점은 데 카르트에 의하면 실체가 세상에 진정으로 존재하는 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찾기 위해서는 존재한다 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실체는 주목할 만한 몇몇 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미 위에 62) AT IX, 173. 63) E. Gilson, Etudes sur le rôle de la pensée médiévale dans la fornation du systeme cartesien, Paris, Vrin, 1930, pp.9-10, cf. Le thomisme, 2e partie, ch. IV, pp. 275-6, 264-5, 276-7. 64) AT IX, 235. 65) AT IX, 125. 66) AT IX II, 53.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57 서 언급한 공간, 무의 개념에서 보았듯이 데카르트는 무를 어떤 속성, 소유 혹은 특성도 갖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것들 가운데 어떤 것에 부딪치게 되었을 때 그것은 어떤 사물의 속 성이며, 이때 이 실체는 존재한다고 결론짓는 것은 옳은 것이다. 67) 데카르트가 실체의 속성에 대해 정의하는 이유가 바로 실체의 존재를 속성에 의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데카르 트는 자신이 사유를 비물질적 실체의 주요 속성으로 그리고 연장을 물질적 실체의 주요 속성으로 제시한 첫 번째 철학자라는 점과 68) 속 성이 다른 주어, 주체 안에 있는 것으로 실체 안에 있다고 말하는 것 은 아니며 철학자들이 모드 혹은 방식이라고 부르는 한에서라고 강조 한다. 이렇게 속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실체의 인식이 중요하기 때문 이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실체를 자신이 무엇으로 이해하는지에 대한 설명에 그치지 않고 철학 원리 I, 54 항에서 어떻게 우리가 실체의 구분된 사유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우리 는 두 개념 혹은 분명하고 판명한(명석 판명, claires et distinctes) 관 념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는 생각하는 창조된 실체 그리고 다른 하나 는 연장의 실체를, 사유의 모든 속성들을 연장의 속성들에서 섬세하 게 분리한다면. 우리는 또한 생각하고 독립적인, 즉 신에 대한 비창 조된 실체의 명석 판명한 관념을 가질 수 있다. 우리가 이 관념이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우리에게 나타낸다 해도 거기에 우리 오성의 허구를 섞지 않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69) 실체는 관념으로 말해 지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데카르트에게서 실체는 사물이며 사물은 실재적으로도 관념적으로도 개체라고 불릴 수 있다. 각 존재가 개체라면 그 자체로 수적 단일성은 확보되는 것이다. 이제 스코투스에게서 수적 단일성의 하위 개념으로 제시된 형상에 의한 종의 단수성이 데카르트에게서 어 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67) Idem. 68) Descartes, Examen du Susdit Placartd, éd., F. Alquié, t III, p. 796. 69) AT IX II, 48.

58 논문 (3) 형상에 의한 단일성의 문제 데카르트에서 단일성은 그의 형이상학에 모순되지 않으며 오히려 단일성의 문제 자체가 새로운 측면으로 넘어간다. 데카르트는 여섯 번째 반론에 대한 답변들 에서 단일성(l unité)을 본성 단일성(une unité de nature)과 복합 단일성(une unité de composition)의 두 종류 로 구분한다. 전자는 한 사물의 본성에 의한 단일성을 의미하는 것인 데 형태, 운동을 갖는 연장으로 정의되는 물체의 단일성과 원하고 이 해하는 등의 사유로 정의되는 영혼의 단일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후 자인 복합 단일성에 대해서 데카르트는 동일한 동물이 살과 뼈를 갖 고 있다는 범위 내에서의 단일성으로 설명한다. 70) 이러한 단일성의 구분 후에 데카르트는 동시에 사유하고 넓이를 갖는 사물을 본성의 단일성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아니면 복합 단일성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지에 대한 반문한다. 데카르트에 의하면 동일한 사람에게 사유 와 신체적 움직임이 있으므로 복합 단일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 렇게 단일성 자체를 두 종류로 구분하는 것은 그의 존재론의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데카르트 철학에서 주요한 비판 대상인 영혼과 신체의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 다면 어떤 방식에서 복합 단일성으로 제시되는 인간의 단일성은 논의 할 수 있는가? 사실 데카르트에게서 인간의 단일성에 대한 문제는 메스랑 신부에 게 보낸 서한에서 주로 언급되는데 1645년 2월 9일 서한에서 데카르 트는 몸의 분할 불가능성을 제시하며 몸은 하나(Un)임을 강조한다. 그러한 이유는 몸의 기관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기관 가운데 한 부분이 제거되면 몸 전체가 결함이 있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 런데 이 하나의 몸은 영혼에 의해 가능하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인 간 몸의 수적 단일성(l unité)은 (그의) 질료에 달려있지 않으나 (그의) 영혼인 형상에 달려 있다. 71) 몸에 동일한 영혼이 실체적으로 결합되 70) AT IX, 226-227. 71) AT IV, 346.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59 고 머물러 있는 동안 동일한 몸, 수적 동일성(le même corps, idem numero)이다. 데카르트는 몸 안에 질료가 동일한 상태로 있을 수 없 으며 단지 동일한 영혼에 의해 형상이 부여되기 때문에 동일한 하나 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72) 규칙들, 규칙 XII 73) 과 서한들 74) 에서 역시 영혼은 몸의 형상으로 제시되는데 형상을 개체화 원인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 몸의 동일성이 동일한 영혼인 형상에 의해 부 여된다는 데카르트의 주장은 주석가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된다. 우선 로디-레비는 데카르트에서 영혼이 개별적 영혼이며 이러한 제시는 지정된 질료를 개체화 원리로 제시하는 아퀴나스의 이 론을 반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몸의 형상으로서 영혼이 개체화의 원리라 주장한다. 반면에 게루(Gueroult)는 이러한 견해에 반대한다. 그에 의하면 데카르트 주장에서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단지 영혼과 기계인 몸의 모든 부분과 전체를 만드는 영혼의 긴밀한 조합 의 문제일 뿐이다. 75) 사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데카르트에서 존재자의 개별적 다름은 양 태적 구분과 관련된다. 그러나 구체적 실재 안에서 한 개인으로서 피에르 의 본질은 그의 존재와 구분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한 인간으 로서 피에르는 그의 인간 본성을 개별적 다름으로 성립시키는 잠재적 우연성을 전개하면서 실행 76)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유일성 (l unicité)의 원리는 영혼과 몸 결합의 독특한 양태들 안에서 발견되 어야 한다. 77) 그러나 인격성을 갖춘 한 인간을 양태적 구분에 의해 인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더구나 데카르트에게서 보편성은 관 념 78) 으로 철학의 원리 I, 59항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보편적 72) Idem. 73) AT X, 411. 74) 레기우스에게 보낸 1642년 1월 서한, AT III 503. 그리고 AT III 505. 75) M Gueroult, Descartes selon l ordre des raisons, II, Paris, Aibier, 1968, p.181. 76) Rodis-Lewis, op. cit, p. 84. 77) Ibid, p. 85.

60 논문 인 것들은 단지 우리가 서로 유사한 개별자들 모두를 한꺼번에 사유 하기 위해서 동일한 하나의 관념을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우리는 또한 그 관념으로 표상된 것들 모두를 동일한 하나의 이름으로 부르 는데, 이때 그 이름은 보편적인 것이다. 79) 관념과 이름이 보편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제시되는 철학에서 인간에 대한 관념을 우리가 어떻 게 파악할 수 있는가가 문제로 등장한다. 그러나 데카르트에게서 인간 본성의 문제는 그가 정념론 첫 번 째 부분의 제목에서 밝히듯이 인간이 영혼과 몸의 결합체로서 드러나 는 현상인 영혼의 정념 문제이며 이 정념은 각 개인의 개성을 특징 짓는 것으로 다루어진다. 80) 따라서 정념의 문제가 무엇에 의해 데카 르트에게서 복합 단일성의 문제가 다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이 다. 이렇게 해서 데카르트는 인간의 단일성 문제를 다루는 인간학이 라는 새로운 지평을 연다. Ⅲ. 결론 이 논문에서 필자는 중세 철학자이며 그의 형이상학에서 근대 형 이상학의 기원 81) 을 발견할 수 있다고 평가되는 스코투스와 근대를 연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을 개체화 원리 문제를 통해 살펴보았 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 철학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물질적 실체의 개체성, 존재, 형상, 단일성의 문제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토한 스코투 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은 두 철학자의 공통점과 차이뿐만 아니라 개념 의 변형에 따른 사유의 발전을 드러낸다. 78) AT IX II, 49. 79) AT IX II, 50. 80) 참조. 졸고, 데카르트 철학체계에서 정념 의 지위, 인문과학연구, 제22 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pp. 243-264. 81) Cf. O. Boulnois, Etre et représentation, Une généalogie de la métaphysique moderne à l époque de Duns Scot (XIIIe-XIVe siècle), Paris, PUF, 1999.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61 스코투스가 제기하는 물질적 실체의 개체성에 대한 논의는 당시 철학자들의 주장과는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것이었다. 그에게 개체화 원리의 문제는 개체화 원인의 문제로 정립되는데, 이는 개체 성의 원인을 사물 자체에서 찾는 것이며, 실재성의 강조는 사물의 내 재된 본질의 문제가 된다. 데카르트는 이러한 스코투스의 물질적 실 체의 개체성을 형이상학과 구분되는 영역인 자연학적 측면에서 구체 적으로 세운다. 이를 통하여 개체화 원리와 관련되는 문제 중 하나인 단일성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물질적 개체의 가능성은 존재 개념의 변형을 동반한다. 왜 냐하면 이제 질료와 형상은 각각 독립된 실재이기 때문이다. 스코투 스는 존재 문제를 신에서 독립시키며 존재를 표상과의 관계에서 다룬 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존재 문제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이제 실재 존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실체를 사 물로 규정하며 이것에 속성을 부여하는데 이것은 인식 가능성을 구체 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제다. 스코투스의 종적 단일성은 개체들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 의 단위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것은 개체로서 한 존재의 단일성을 강 화한다. 스코투스는 개체화 원인으로서 형상의 문제를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해결하려 하지만 한 존재의 동일성의 문제는 여전 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게 된다. 반면에 데카르트는 단일성을 두 종류로 구분하며 수적 단일성의 문제를 한 개체 안에서 찾으려 한다. 결과적으로 인간 존재의 개체성 문제는 데카르트에게 자아 동일성 문 제로 남겨지며 이제 그 영역은 인간학이 된다. 이렇게 존재의 개체화 문제는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에게서 변형되고 발전하면서 사유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다. 투 고 일: 2011. 3. 30. 심사완료일: 2011. 7. 22. 게재확정일: 2011. 7. 24. 김선영 고려대학교

62 논문 참고문헌 스코투스 원전 Duns Scot, Ordinatio II, Distinction 3, 1 partie, Le principe d individuation, trad., par G. Sondag, Paris, Vrin, 1992. 데카르트 원전 Descartes, Oeuvres de Descartes, éd. par Ch. Adam et P. Tannery, nouvelle présentation, 13 vol., Paris; Vrin/CNRS, 1964-1974, (rééd, en petit format, 996). Descartes, Oeuvres philosophiques, éd. par F. Alqué, 3 vol., Paris, Classique Garnier, 1963-1973.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 원석영 옮김, 아카넷, 2002. 스코투스에 관한 이차문헌 김현태, 둔스 스코투스의 삶과 사상, 철학과 현실사, 2006. 박우석, 중세의 유혹, 철학과 현실사, 1997. 볼터, 알랜 B., 둔스 스코투스, 스콜라철학에서의 개체화, 조지 그라시 아 엮음, 이재룡. 이재경 옮김, 가톨릭출판사, 2003, pp. 459-509. Boulnois, O., Etre et représentation, Une généalogie de la métaphysique moderne à l époque de Duns Scot (XIIIe-XIVe siècle), Paris, PUF, 1999. Cervellon, Ch., Duns Scot, Le vocabulaire des philosophes, De l antique à la Renaissance, Paris, Ellipses, 2002. Gilson, E., Pourquoi Saint Thomas a critiqué Saint Augustin suivi de Avicenne et le point de départ de Duns Scot, Paris, Vrin, 1981., Jean Duns Scot, Paris, Vrin, 2002. Sondag, G., Duns Scot, La métaphysique de la singularité, Paris, Vrin, 2005.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63 데카르트에 관한 이차문헌 Buzon F. de et Carraud V., Descartes et les Principia II, Corps et mouvement, Paris, PUF, 1994. Garber D., La physique métaphysique de Descartes, Paris, PUF, 1999. Gilson, E., Etudes sur le rôle de la pensée médiévale dans la fornation du systeme cartesien, Paris, Vrin, 1930. Gueroult, M., Descartes selon l ordre des raisons, I, II, Paris, Aibier, 1968. Laprote J., Le rationalisme de Descartes, Paris, PUF, 1945. Lenon, Thomas M. The Problem of Individuation among the Cartesians, in Individuation and Identity in Early Modern Philosophy Descartes to Kant, Kenneth F. Barber and Jorge J. E. Garcia,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pp. 13-39 and pp. 14-15. Rodis-Lewis, G., L individualité selon Descarte, Paris, Vrin, 1950.

64 논문 ABSTRACT An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e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Kim, Sun-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rough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which has resurfaced in contemporary discussions, was a crucial subject for medieval philosophers; however,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disappears among the Moderns. This paper aims primarily to examine the role of the philosophy of Scotus and Descart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ndeed, Scotus understands how the individuation of material substance through angels who define themselves by the pure form. This implies the rejection of the Aristotelian definition of being as composed of matter and form. The question of the unity of being is characterized by haecceitas, which assumes unity of the species. Descartes, meanwhile, does not speculate on the cause or principle of individuation. He raises general subjects and the general form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of the substance material and immaterial substance and individuation. Cartesian du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matter and form, that of the body and soul, opens a new field of inquiry, that of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man. Thu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s transformed into the question of identity.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65 Keywords: Duns Scotus, Descart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Matter, Form,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