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_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_보고서(최종).hwp



Similar documents
2006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008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0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008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조사방법 유선전화면접 49.7% + 무선전화

성인지통계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목차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

목차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설계 4 2. 응답자특성 5 제 2 장. 조사결과 1. 문재인대통령국정수행평가 7 2. 서울시장가상대결 A : 박영선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9 3. 서울시장가상대결 B :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서울시장가상대

응답자분포표 Base= 전체 전체 (,000) 00.0 남자 (54) 5.4 여자 (486) 48.6 만9세 9세 (8).8 만0세 9세 (40) 4.0 만40세 49세 (76) 7.6 만50세 59세 (56) 5.6 수도권 (5) 5. 충청권 (0) 0. 전라권 (9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 조사개요 ] 구분 내용 모집단 전국에거주하는만 19 세이상성인남녀 표집틀 유무선전화 RDD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기준비례할당추출 표본크기 2,000 명 ( 유선 551 명 (27.55%), 무선 1,449 명 (72.45%))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전제할경우

untitled

src.hwp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목차

2003report hwp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514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5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514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2.5% Point 조사방법 무선전화면접 79.1% + 유선전화

2014 년서울지역아르바이트노동실태 - 서울시및 25 개자치구일자리와시급 - 김종진 (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연구위원 ) * 1) 1. 분석자료개요 가. 분석자료 분석자료는 2014년상반기서울지역사업주가 알바천국 ( 주 ) 에아르바이트채용구인광고입력원자료를재분석한것임. 분석

hwp

<5BC5EBB0E8C7A55D BFF920BFA9B7D0C1B6BBE75FC5EBB0E8C7A55FBCADBFEF2E687770>

<5BB1E2BABB D20C0E5B9CCC7FD2E687770>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507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5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507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2.5% Point 조사방법 무선전화면접 80% + 유선전화면접

보고서

이용자를위하여 1. 본보고서에수록된내국인통계는 2017 년 12 월 31 일현재 주민등록법 에의하여주민등록표에등재된세대와인구를집계한것입니다. 그리고외국인통계는 출입국관리법 에의하여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에등재된인구를집계하여수록한것입니다. 2. 본통계자료는다음과같은사유로작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지지정당별지방선거투표의향별국정수행평가별국무총리인선평가별정부개각범위의견별사전투표제인지별사전투표참여의향별지방선거성격공감별차기대선후보선호도별성 * 연령별 자영업 (102) 블루칼라 (96) 12.

나하나로 5호

2018 삶의질여론조사보고서 01 조사개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C0C0B1DEC0C7B7E120C7F6C8B2C5EBB0E82D382E3232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II. 기존선행연구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사회에대한공정성인식도가 행복에미치는영향 서울시주민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정영아

개회사 축 사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33312DBCADBFEFBFACB1B820C6F7C4BFBDBA203331C8A32834BFF93235C0CFC0DA2DBAAFB9CCB8AE2DB1E8B0A9BCF6292E687770>

(0829)1

한국정책학회학회보

..1,2,3,


1362È£ 1¸é

응답자분포표 전 체 (1527) 남 자 (756) 49.5 여 자 (771) 세 (281) 대 (314) 대 (336) 대 (288) 세이상 (308) 20.1 졸이

[ 표 34] 원하는차기대통상 [ 표 35] 안철수원장의출마에견해 [ 표 36] 안철수원장과야당후보와의단일화에대한견해 [ 표 37] 단일화할경우누가로단일화되어야하는지에대한견해 [ 표 38] 공천비리사건에대한박근혜후보의책임여부.


±â¼úµ¿Çâ-1

*µðÁöÅпµ»ó-3/4Àå

[ 목차 ] 응답자분포표... 1 [ 표 1] 최근 3년간한국방문횟수... 2 [ 표 2] 연평균해외여행횟수... 3 [ 표 3] 이번한국방문의주된이유... 4 [ 표 4-1]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1순위)... 5 [ 표 4-2]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2순위)...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보건산업브리프 구분 < 표 1> 의과및한방건강보험의현황 한방 의과 연평균증가율 2013 건강보험적용인구 ( 명 ) 48,613,534 49,989, % 소계 ( 개 ) 11,940 13, % 31,335 (100%) 상급종합병원

hwp

01.내지완완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special_issues(제95호).hwp

<31362E32BFF920BEC6C6C4C6AE20BDC7B0C5B7A1B0A1B0DDC1F6BCF D706C E786C7378>

- 2 -

37 동대문구 청량리8 추진위 청량리동 ,314 재개발 38 성북구 돈암6 추진위 돈암동 ,050 재개발 39 성북구 동소문2 조합 동소문2가 33 20,657 재개발 40 성북구 동선1 추진위 돈암동 ,235 재개발 41 성북구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보건산업브리프 화장품 향 수 (단위: 만달러) (단위: 만달러) 120, ,000 연평균증가율 9, % 97,196 8,000 7,000 연평균증가율 13.6% 8,278 80,000 60,000 71,994 6,000 5,000 4,000 4,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조사개요 구분내역 조사기간 ( 화 ) ~ 6( 목 ), <3 일간 > 모집단 표본수 전국만 19 세이상휴대전화가입자 조사완료 : 1,012 명 / 목표할당 : 1,012 명 ( 응답률 : 12.2%) 보정방법 [2017 년 3 월말현재행자부주민등록인구


2.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급의료 제공에 관한 조례안 및 심사보고서.hwp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1+2월호-최종2

Contents iii

<B0E6B3B2BDC5B9AE5FB1E8C7D8C0BBBCB1B0C5B1B820BFA9B7D0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4D F736F F D205FBAD9C0D3325F B3E2B5B520BCB3B9AEC1B6BBE720B0E1B0FA20BAB8B0EDBCAD5F322E646F63>

제1장부산 18개선거구 ( 통합 ) 3 제2장중구 동구 8 제3장서구 13 제4장영도구 18 제5장부산진구 ( 갑 ) 23 제6장부산진구 ( 을 ) 28 제7장동래구 33 제8장남구 ( 갑 ) 38 제9장남구 ( 을 ) 43 제10장북구강서구 ( 갑 ) 48 제11장북

조사대상 전국의만 19 세이상성인남녀 조사표본수 목표표본 : 1,000 명 ( 조사완료유효표본 : 1,035 명 ) - 유선전화표본 : 432 명 - 휴대전화표본 : 603 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0% point 조사방법 가구유선전화 RDD 및이동전화 R

[ 표 33] -김문수... 3 [ 표 34] -문재인... 7 [ 표 35] -박근혜 [ 표 36] -손규 [ 표 37] -안철수 [ 표 38] -정몽준 [ 표 3] 지난 1년간가정살림변화 [ 표 40] 지

블루핸즈 일요정비서비스 시범운영실시현황 ( 서울 / 분당 ) 시범운영기간 : ~ 7.31 일자관할센터위치지역본부지점명블루핸즈명구분전화번호주소비고 마포구중부지역본부마포지점웅지자동차공업사종합 서울특별시마포구모래내로 3 길 19 ( 성산

OD..Network....( ).hwp

ad hwp

<5BBAB8B0EDBCAD5D4D424320C3D1BCB1C1B6BBE75FBCADBFEF20B3EBBFF8B1B8BAB428BFC0C3A2C8F1292E687770>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_1.hwp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명륜동 가 전화 팩스

¹Ì·¡Æ÷·³-5±âºê·Î¼Å_1228.ps

<B0E6B3B2BDC5B9AE5FB8B6BBEAC8B8BFF8BCB1B0C5B1B820BFA9B7D0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목 차 Ⅰ. 조사개요 3 Ⅱ. SNS 이용 현황 4 1. SNS 이용률 4 2. SNS 유형별 이용률 7 3. SNS 이용 행태 8 4.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SNS 이용의 불편 피해 16 Ⅲ. SNS와 인맥 관리 SNS를 통한


±³º¸2012- ¾Ö´º¾ó-1218final


MRIO (25..,..).hwp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슬라이드 1

시도별지수 1) 지방 : 수도권을제외한지역 규모별지수

별지 제4

<B0E6B3B2BDC5B9AE5FC3A2BFF8BDC3BCBABBEAB1B8BCB1B0C5B1B820BFA9B7D0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Transcription:

발 간 등 록 번 호 2014-중앙응급-008 2014년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2014. 12.

이 보고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응급의료기금에 의해 수행된 것이며 이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자 개인적인 의견으로 보건복지부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2014년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CONTENTS 제 1 장. 조사 개요 Ⅰ. 조사 배경 및 목적 1 Ⅱ. 조사 설계 2 Ⅲ. 주요 조사 항목 3 Ⅳ. 응답자 특성 4 Ⅴ. 조사결과 산출방식 7 제 2 장. 조사 결과 요약 Ⅰ. 결과 요약 9 Ⅱ. 결론 18 제 3 장. 조사 결과 분석 Ⅰ. 응급의료서비스 1. 전반적 신뢰도 21 Ⅱ. 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 인지도 23 2.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25 3.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27 4.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기관 29 Ⅲ. 구급차 서비스 1. 구급차 서비스 신뢰도 31 2.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경험 33 3. 이용 구급차 서비스 만족도 35 4.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이유 40 5. 재이용 의향 43 6. 지인에게 추천의향 45

2014년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CONTENTS Ⅳ. 응급실 서비스 1. 응급실 신뢰도 47 2. 최근 1년 이내 응급실 서비스 이용 경험 50 3. 최근 1년 이내 응급실 서비스 이용 이유 52 4. 가장 최근 이용한 응급의료기관 유형 54 5. 응급실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55 6. 응급실서비스별 만족도 57 6-1. 환자안내/접수/수납 등 행정절차 60 6-2. 진료 대기시간 62 6-3. 입원 또는 수술까지의 대기시간 64 6-4. 검사까지의 대기시간 66 6-5. 의사/간호사 등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 68 6-6. 적절한 응급진료 및 처치 70 6-7. 의료인(의사,간호사)의 친절도 72 6-8. 응급의료서비스 대비 응급의료 비용 74 6-9. 대기실, 침상 등 응급실 환경 76 6-10. 응급실 만족도: 항목별 강약점(포트폴리오) 분석 78 7. 재이용 의향 79 8. 지인에게 추천의향 82 Ⅴ. 응급의료제도 1. 응급의료기관 분류제 인지도 85 2. 응급의료관리료 제도 인지도 87 3. 응급의료비용 대불제도 인지도 89 4.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상담제도 인지도 91 5. 응급의료서비스 이용 시 가장 큰 불만사항 93 [별첨] 설문지

제1장. 조사 개요 Ⅰ. 조사 배경 및 목적 Ⅱ. 조사 설계 Ⅲ. 주요 조사 항목 Ⅳ. 응답자 특성 V. 조사결과 산출방식

Ⅰ. 조사 배경 및 목적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는 2006년부터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 및 이용 행태, 만족수준, 요구사항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및 이용자의 욕구충족을 위한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음 - 1 -

Ⅱ. 조사 설계 조사대상 전국 만 20세 ~ 80세 성인남녀 표본수 유효표본 5,000명 조사방법 유 무선 임의전화 걸기(RDD) 방식 및 구조화된 설문 지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조사(CATI: Computer Aided Telephone Interview) 유선 70%, 무선 30% 1) 분석방법 2013년 조사부터 조사대상자 상한연령을 80세까지로 조정함으로써 고연령 대상자가 매우 증가함. 따라서 이전 조사와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실제 조사에서는 70세까지로 조사대상자 수 비율을 설계하고 사후가중 치를 적용하여 노령층이 과표집되는 것을 보완함 분석은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에 따라 사 후가중치 적용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1.39% point 조사기간 2014년 11월 21일 ~ 2014년 12월 8일 (18일간) 조사기관 현대리서치연구소 1) 무선 응답자의 대다수가 대도시에 편중되어있기 때문에 유선 50%+무선 50%로 조사를 진행할 경우, 응답자 특성 에 편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조사 시 지역 편중을 막기 위하여 유무선 비율을 70:30으로 조정함 - 2 -

Ⅲ. 주요 조사 항목 Ⅰ. 응급의료 전반적 신뢰도 2014년 2013년 2012년 응급의료 서비스 전반적 신뢰도 Ⅱ. 심폐소생술 인식 및 경험 2014년 2013년 2012년 심폐소생술 인지도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및 횟수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횟수/교육기관 Ⅲ. 병원 전 단계의 구급서비스 등 이용행태 및 만족도 2014년 2013년 2012년 구급차 서비스 신뢰도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불만족 이유 -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재이용 여부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추천의향 Ⅳ. 병원단계 응급실서비스 이용행태 및 만족도 2014년 2013년 2012년 응급실 서비스 신뢰도 최근 1년 이내 응급실 이용 경험 및 이유 최근 이용 의료기관 유형 최근 이용 응급실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 최근 이용 응급실 서비스 항목별 만족도 최근 이용 응급실 서비스 재방문 여부 최근 이용 응급실 서비스 추천의향 Ⅴ. 응급의료제도 관련 인식 및 불만사항 2014년 2013년 2012년 응급의료기관 분류제 인지도 응급의료관리료 제도 인지도 응급의료비용 대불제도 인지도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상담제도 인지도 - -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시 불만사항 - 3 -

Ⅳ. 응답자 특성 1) 사례수(명) 비율(%) 5,000 100.0 성별 연령 거주지역 남성 2,504 50.1 여성 2,496 49.9 20대 842 16.8 30대 999 20.0 40대 1,132 22.6 50대 1,038 20.8 60대 이상 989 19.8 서울 2) 1,023 20.5 부산 356 7.1 대구 246 4.9 인천 283 5.7 광주 139 2.8 대전 146 2.9 울산 113 2.3 경기 1,180 23.6 강원 151 3.0 충북 151 3.0 충남 3) 209 4.2 전북 179 3.6 전남 182 3.6 경북 265 5.3 경남 321 6.4 제주 56 1.1 1) 사후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응답자 특성별 합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 서울 지역 1,023명에 대한 인구구성비는 강남동(강동구/송파구/강남구) 170명, 강남서(서초구/동작구/구로구/양천 구/영등포구/강서구/관악구) 332명, 강북동(금천구/성북구/동대문구/성동구/중랑구/노원구/도봉구/광진구) 310명, 강북서(강북구/마포구/서대문구/은평구/종로구/중구/용산구) 211명으로 구성됨 3)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사 결과, 모든 응답자가 충남에서 조사되었으므로 충남에 포함하여 분석함 - 4 -

Ⅳ. 응답자 특성 사례수(명) 비율(%) 5,000 100.0 거주규모 1) 대도시 2,306 46.1 중소도시 2,303 46.1 직업 학력 결혼여부 보유질환 읍면지역 391 7.8 농/임/어업/축산업 118 2.4 자영업 1,092 21.8 판매/기술/노무직 386 7.7 전문/사무/관리직 1,879 37.6 전업주부 926 18.5 학생 253 5.1 무직/기타 329 6.6 무응답 17 0.3 중졸이하 718 14.4 고졸 1,730 34.6 대졸 2,233 44.7 대학원졸 이상 267 5.3 무응답 52 1.0 미혼 1,267 25.3 기혼 3,617 72.3 기타(사별/이혼/별거) 100 2.0 무응답 16 0.3 고혈압 625 12.5 당뇨병 278 5.6 암 45 0.9 기타 280 5.6 해당없음 3,945 78.9 무응답 25 0.5 1) 대도시 : 서울특별시, 6대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중소도시 : 9개 도(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의 시/구 단위 읍면지역 : 9개 도(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의 군/읍/면 단위 - 5 -

Ⅳ. 응답자 특성 사례수(명) 비율(%) 월평균소득 최근 1년 이내 이용 구급차 서비스 응급실 이용경험 5,000 100.0 200만원 미만 1,030 20.6 200~300만원 미만 883 17.7 300~400만원 미만 976 19.5 400만원 이상 1,663 33.3 모름/무응답 448 9.0 119구급차 517 10.3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49 1.0 병원구급차 68 1.3 비이용 4,366 87.3 환자로 이용 517 10.3 보호자로 이용 1,017 20.3 비이용 3,466 69.3 응급의료기관 유형 1) 권역응급의료센터 226 14.7 지역응급의료센터 2) 750 48.9 지역응급의료기관 309 20.2 응급의료기관 외 의료기관 166 10.8 무응답 82 5.3 의료기관 유형 3) 상급종합병원 494 32.2 종합병원 699 45.6 병원 91 6.0 기타/모름/무응답 250 16.3 1)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26조에 의한 것이며, 전문응급의료센터는 29조, 지역응급의료센터는 30조, 지역응급의료기관은 31조, 응급의료기관 외 의료기관의 경우 35조의 2에 의함 2) 전문응급의료센터 포함 3) 병원은 의료법 3조의 2에 의한 것이며, 종합병원은 3조의 3, 상급종합병원은 3조의 4에 의함 - 6 -

Ⅴ. 조사결과 산출방식 신뢰도 5점 척도 응답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 신뢰율 매우 신뢰한다(%) + 신뢰한다(%) 비율 만족도 5점 척도 응답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 만족율 매우 만족한다(%) + 만족한다(%) 비율 고객 순추천지수 (NPS) NPS(Net Promotor Score)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한 시설에 대하여 11점 척도로 추천의향을 질문 고객 순추천지수(NPS) = 추천고객 비율(9, 10점) - 비추천고객(0~6점) 비율 - 7 -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Ⅰ. 결과 요약 Ⅱ. 결론

Ⅰ. 결과 요약 1 응급실 신뢰도 우리나라 구급차, 응급실 등 전반적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41.1%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Ÿ 전반적 신뢰도: 구급차서비스, 응급실서비스, 응급의료지원제도 등의 전반적인 응 급의료서비스에 대해 41.1%는 신뢰한다 고 응답하였으며, 2013년(45.9%) 대비 4.8%p 감소함 구급차서비스 신뢰도: 구급차서비스에 대해 49.8%는 신뢰한다 고 응답하였으며, 2013년(52.8%) 대비 3.0%p 감소함 응급실서비스 신뢰도: 응급실 서비스에 대해 29.7%는 신뢰한다 고 응답하였으며, 2013년(34.2%) 대비 4.5%p 감소함 - 9 -

Ⅰ. 결과 요약 심 12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율은 54.2%로 나타났으며, 인지자 중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가능 비율은 62.3%로 나타남 Ÿ 심폐소생술을 알고 있다 는 응답은 전체의 54.2%로 나타났으며, 인지자 중 62.3%는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이 가능하다고 응답함 Ÿ 조사대상 전체 5,000명 중 심폐소생술 시행가능 비율은 33.8%로 2013년 (29.0%) 대비 4.8%p 증가함 Ÿ 응답자의 특성별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별로는 20대,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 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남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률은 51.9%로 2013년(52.5%) 대비 0.6%p 감소함 Ÿ Ÿ 심폐소생술 교육경험률은 51.9%(평균 교육횟수: 4.6회)로 나타났으며, 교육경험자 중 최근 2년 이내 교육경험률은 49.5%(평균 교육횟수: 2.2회)로 나타남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기관은 남성의 경우 군/예비군/민방위교육 (51.7%)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직장 (27.9%), 지역행정기관 (16.0%), 소방서/소방협 회 (15.6%) 등이 다소 높게 나타남 - 10 -

Ⅰ. 결과 요약 13 구급차 서비스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49.8%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Ÿ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신뢰한다 는 응답은 49.8%로 2013년(52.8%) 대비 3.0%p 감소함 가장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별 신뢰율은 119 구급차 (63.0%)가 가장 높았으며, 병원 구급차 (44.5%), 민간이송업체 구급차 (38.1%)는 상대적으로 신뢰율이 낮 은 것으로 나타남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자는 전체 응답자의 12.7%로 2013년 (13.5%) 대비 0.8%p 감소함.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자의 대부분은 119 구급 차 (85.0%)를 이용하였고, 다음으로 병원 구급차 13.7%,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10.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119 구급차 서비스 이용률이 매우 높았음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응답자의 72.0%는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가장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만족한다 는 응답은 72.0%로 2013년 (72.4%) 대비 0.4%p 소폭 감소함 서비스별 만족률은 119 구급차 (77.1%), 민간이송업체 구급차 (42.9%), 병원 구 급차 (53.8%)로 119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또는 보호자의 만족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2013년 대비 만족률은 119 구급차(-2.7%p)는 감소한 반면, 민간이송업체 구급차(+7.9%p)와 병원 구급차(+2.2%p)의 만족률은 증가함 - 11 -

Ⅰ. 결과 요약 13 구급차 서비스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자 중 재이용 의향은 92.3%로 나타남 Ÿ Ÿ Ÿ 향후 응급상황 발생 시 재이용 의향이 있는 구급차 서비스는 119 구급차 (96.3%), 민간이송업체 구급차 (64.8%), 병원 구급차 (81.2%)로 119 구급차 서비스의 재이용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순추천지수(NPS)는 119 구급차 (44.2%), 민간이송업체 구급차 (-43.6%), 병원 구급차 (-23.5%)로 119구급차 서비스가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민간이송업체 구급차가 가장 낮게 나타남. 2013년 대비 고객 NPS는 119 구급차 서비스가 3.0%p, 병원 구급차는 7.2%p 감소하였으며,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는 9.6%p 증가하였음 최근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또는 보호자의 구급차 서비스 추천의향에 대해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중장년층, 거주규모가 작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12 -

Ⅰ. 결과 요약 14 응급실 서비스 우리나라 응급실 서비스에 대해 29.7%가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응급실 서비스에 대해 신뢰한다 는 응답은 29.7%로 2013년(34.2%) 대비 4.5%p 감소함 최근 이용한 응급실의 의료기관유형은 지역응급의료센터 (48.9%)가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남 Ÿ Ÿ 최근 1년 이내 응급실이용 경험률은 30.7%이며, 응급실 평균 이용횟수는 평균 1.7회로 나타남. 2013년(32.2%) 대비 1.5%p 소폭 감소함 최근 이용한 응급실의 의료기관유형은 지역응급의료센터 (48.9%), 지역응급의료기 관 (20.2%), 권역응급의료센터 (14.7%), 응급의료기관외 의료기관 (10.8%)의 순으로 나타남 최근 1년간 응급실 서비스를 이용한 주된 이유는 약국이나 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응급상황이 발생 (51.4%), 주말, 휴일, 야간 시간대 등 이용 가능한 다른 기관이 없어서 (45.1%)로 나타남 Ÿ Ÿ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한 응답자들의 55.2%는 약국이나 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응급상황이 발생해서 응급실 서비스를 이용한 주된 이유로 응답함 지역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한 응답자들의 53.3%는 주말, 휴일, 야간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없어서 라고 응답함 - 13 -

Ⅰ. 결과 요약 14 응급실 서비스 최근 응급실을 이용한 응답자의 36.8%는 응급실서비스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최근 응급실 이용자의 응급실서비스에 대해 만족한다 는 응답은 36.8%로 2013년 (41.7%) 대비 4.9%p 감소. 세부항목별 만족률은 의료인의 친절도 (53.9%), 의 료진의 충분한 설명 (52.4%) 등 의료진과 관련한 항목들의 만족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응급의료비용 (26.2%)에 대한 만족률이 가장 낮은 것으 로 나타남 2013년 대비, 적절한 응급진료/처치,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 의료인의 친절도 는 상대적으로 만족률이 높고 전년대비 증가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실, 침상 등 응급실 환경, 응급의료서비스 대비 응급의료비용 은 상대적으로 만족률이 낮고 전년 대비 증가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입원 수술까지의 대기시간 과 진료의사를 만날때까지의 대기시간 은 개선이 시급 한 중점개선분야로 나타남 Ÿ 응급실 서비스의 세부 항목별 강약점(포트폴리오)분석결과에서는 의료인의 친절도,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 행정절차, 적절한 응급진료 및 처치 는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은 유지강화분야로 나타났으며, 입원 수술까지의 대기시간 과 진료의사를 만날때까지의 대기시간 은 개선이 시급한 중점개선분야로 나타남 - 14 -

Ⅰ. 결과 요약 14 응급실 서비스 최근 응급실을 이용한 응답자의 73.5%는 재방문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응급실 이용자의 재방문 의향률은 73.5%로 2013년(76.8%) 대비 3.3%p 감소함 응답자가 이용한 응급의료기관 유형으로는 권역응급의료센터 (76.6%)에서 재방문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기관 유형에서는 종합병원 (76.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응급실서비스 이용한 의료기관에 대한 고객 순추천지수는 -45.8%로 나타남 Ÿ 최근 이용한 응급실에 대해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을 나타내는 고객 순추천지수 (Net Promotor Score, NPS)는 -45.8%로 2013년(-42.1%) 대비 3.7%p 감소함 Ÿ 응급의료기관 유형별로는 지역응급의료기관 (-38.9%), 지역응급의료센터 (-45.0%), 권역응급의료센터 (-47.1%)의 순으로 나타남 Ÿ 전반적으로 재방문 의향률은 높지만, 고객 추천의향지수는 추천의향자보다 비추천의향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15 -

Ⅰ. 결과 요약 심 15 응급의료제도 인지도 응급의료기관 분류제에 대해 18.5%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Ÿ Ÿ 응급의료기관 분류제에 대한 인지율은 18.5%로 나타났으며, 2013년(18.8%) 대비 0.3%p 소폭 감소함 응급의료기관 분류제는 응급실 서비스를 이용해 본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 보다 인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응급의료 관리료 제도에 대해 24.0%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Ÿ 응급의료 관리료 제도에 대한 인지율은 24.0%로 2013년(21.8%) 대비 2.2%p 증가함 응급의료비용 대불 제도에 대해 20.9%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Ÿ 응급의료비용 대불 제도에 대한 인지율은 20.9%로 2013년(15.8%) 대비 5.1%p 증가함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상담제도에 대해 41.2%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Ÿ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상담제도에 대한 인지율은 41.2%로 4가지 응급의료제도 중 인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전반적으로 응급의료제도 인지율은 다른 응급의료제도를 인지하는 경우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4개 응급의료제도 인지율 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 16 -

Ⅰ. 결과 요약 심 16 응급의료서비스 이용 시 불만사항 현 응급의료제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 이용 시 주된 불만사항(1순위 응답)은 응 급실에서 의사면담 및 입원/수술까지 긴 대기시간 (22.1%), 야간이나 휴일에 적절 한 응급 진료의 어려움 (21.6%) 순으로 나타남 Ÿ Ÿ Ÿ 1+2순위에 대한 응답에서는 응급실에서 면담 및 입원/수술까지의 긴 대기시간 (45.5%)이 가장 높게 나타남. 한편 응급실의 높은 의료비 수준 과 응급의료 관 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홍보 부족 은 1순위에서 1+2순위로의 응답률 증가폭이 15%p 안팎으로 크게 나타남 응급실에서 의사면담 및 입원 수술까지 긴 대기시간 을 주된 불만사항으로 응답한 이용자들이 이용한 응급의료기관의 유형은 권역응급의료센터(28.7%), 지역응급의 료센터(26.1%), 지역응급의료기관(15.7%)의 순으로 나타남 2013년 대비 비교결과, 응급실에서 의사 면담 및 입원/수술까지의 긴 대기시간 은 불만사항으로의 응답률이 높고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응급의료 관련제도 및 정책에 대한 홍보부족, 응급실 의료진의 불친절한 응대태도, 응급실의 높은 의료비 수준, 낙후된 구급차 시설 및 장비 는 상대적으로 불만사항으로의 응답률 은 낮지만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17 -

Ⅱ. 결론 1 전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우리나라 구급차, 응급실 등 전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신뢰할만하다는 의견은 41.1%로 나타났으며 2013년 대비 4.8%p 감소함. 더불어 구급차 신뢰율(49.8%, -3.0%p)과 응급실서비스 신뢰율(29.7%, -4.5%p)도 2013년 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구급차 서비스(49.8%)는 응급의료에 대한 전반적 서비스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응급실 서비스(29.7%)는 전반적 신뢰도에 비해 신뢰 정도가 낮게 나타남 국민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전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응급실 서비스의 신뢰도에 대한 향상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함 12 심폐소생술 시행가능 비율은 상승하는 추세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고 있다'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54.2%로 나타났으며, 그 중 62.3%가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남(전체 응답자 5,000명 기준 심폐소생술 시행 가능률은 33.8%임) 심폐소생술 교육기관으로 남성의 경우 군/예비군/민방위교육 (51.7%) 응답이 매우 높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직장 (27.9%) 응답이 2013년(13.2%) 대비 14.7%p 상승함. 실제 심폐소생술이 가능하다 는 비율이 여성의 경우 20.7% 로 남성(46.8%)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2013년(15.6%) 대비 상승함 남성의 경우 전체 평균 횟수가 5.5회, 여성은 3.0회로 남성이 2.5회를 더 받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4회 이상이 52.3%로 가장 높고 여성은 1회(30.7%)와 2회 (27.6%)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실제 심폐소생술이 가능하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심폐소생술 인지도 및 시행가능 비율이 낮은 여성과 고연령층을 위한 전략적인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의 계획이 요구됨 - 18 -

Ⅱ. 결론 심 13 민간이송업체 및 병원 구급차 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 필요 구급차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률, 재이용의향, 타인에 대한 추천의향도는 119 구급차 서비스가 가장 높고 민간 이송업체 및 병원 구급차의 만족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 로 나타남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및 병원 구급차의 만족률과 재이용의향은 2013년 대비 개선 되었으며,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의 경우 고객 순추천지수(NPS)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민간이송업과 병원 구급차 서비스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 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위해 낙후된 구급차 및 구급장비 개선 노력이 우 선적으로 필요함 심 14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소폭 하락, 서비스 질 향상 위한 지속적 노력 필요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률은 36.8%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고, 세부항목별 로는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한 가운데 행정절차 (-1.9%p), 응급의료비용 (-2.5%p), 응급 실 환경 (-2.4%p)은 전년대비 감소함 세부항목별로 진료, 입원/수술, 검사 대기시간으로 시간과 관련된 모든 항목의 만족 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임. 이는 응급실과밀화의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으 며 과밀화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과 함께 실제 진료나 처치, 검사와 관련된 대기시간에 대한 원인을 검토하고 그에 맞는 대안이 필요함 응급실 서비스 이용의 주된 이유로 약국이나 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응급상황이 발생 하거나 주말, 휴일, 야간 시간대 등에 이용 가능한 다른 기관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상담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야간휴일 진료기관 확대를 통해 비교적 경증의 증상이나 주말, 휴일, 야간 시간대의 비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실 이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19 -

Ⅱ. 결론 심 15 응급의료제도 인지율은 상승하는 추세 응급의료기관 분류제(18.5%), 응급의료관리료 제도(24.0%), 응급의료비용 대불 제도 (20.9%)에 대한 인지율은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고, 119 의료정보 안내 및 응급의료 상담제도(41.2%) 인지율은 4개 응급의료제도 중 가장 높은 수준임 응급의료기관 분류제도 인지율은 2013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다른 제도에 비해 낮은 인지율을 보임 응급의료제도 인지율 견인을 위해 국민들에게 노출이 높은 언론, SNS 등을 이용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요구됨 - 20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Ⅰ. 응급의료 서비스 Ⅱ. 심폐소생술 Ⅲ. 구급차 서비스 Ⅳ. 응급실 서비스 Ⅴ. 응급의료제도

Ⅰ. 응급의료 서비스 1 전반적 신뢰도 ü 전체 응답자 5,000명 중 구급차, 응급실 등의 전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신뢰한다 는 응답은 41.1%로 나타남. 2013년(45.9%) 대비 4.8%p 감소함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신뢰도] Q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구급차, 응급실 등의 전체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어느 정도 신 뢰하고 계십니까? - 21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응급의료서비스 전반적 신뢰도] F 구급차, 응급실 등의 전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해 신뢰한다 는 응답은 성별로는 남성(44.3%), 연령이 높을수록, 지역별로는 전남(48.8%), 제주(48.3%), 직업별로는 무직/기타 (49.7%), 농/임/어 업/축산업 (48.8%),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50.4%), 월소득 200만원 미만(47.0%)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거주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 별 단위[%] 사례수 (명) 1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2 신뢰하지 않는다 3 보통 이다 4 신뢰하고 있다 5 아주많이 신뢰하고 있다 1+2 신뢰안함 종합 4+5 신뢰함 전체 5,000 1.1 7.7 50.0 35.0 6.2 8.8 41.1 59.3 남성 2,504 1.6 7.9 46.2 37.7 6.7 9.5 44.3 60.0 여성 2,496 0.6 7.5 54.0 32.3 5.6 8.1 37.9 58.7 20대 842 0.9 5.6 56.1 32.1 5.3 6.5 37.4 58.8 30대 999 1.2 10.0 56.1 28.3 4.5 11.2 32.8 56.2 40대 1,132 1.2 9.0 52.2 33.2 4.4 10.2 37.6 57.6 50대 1,038 1.3 7.9 47.1 37.6 6.1 9.2 43.7 59.8 60대 이상 989 1.0 5.4 39.6 43.3 10.7 6.4 54.1 64.4 서울 1,023 1.3 7.0 48.8 36.3 6.6 8.4 42.8 59.9 부산 356 1.5 4.6 51.3 37.9 4.7 6.1 42.6 59.9 대구 246 1.3 9.3 51.5 33.9 4.0 10.6 37.9 57.5 인천 283 1.4 9.6 53.3 29.9 5.9 11.0 35.8 57.3 광주 139 2.0 5.9 46.4 36.2 9.5 7.9 45.7 61.3 대전 146 0.6 7.6 50.2 36.1 5.4 8.3 41.5 59.5 울산 113 0.0 7.8 46.8 38.9 6.5 7.8 45.5 61.1 경기 1,180 1.0 7.8 51.9 33.2 6.0 8.8 39.2 58.9 강원 151 0.5 6.2 52.4 32.5 8.4 6.6 40.9 60.5 충북 151 0.0 8.0 51.3 36.0 4.7 8.0 40.7 59.3 충남 209 0.9 5.9 49.4 36.1 7.7 6.8 43.8 61.0 전북 179 1.7 7.8 57.0 28.8 4.5 9.6 33.4 56.7 전남 182 0.6 10.1 40.5 41.5 7.3 10.7 48.8 61.2 경북 265 1.3 8.4 45.4 37.6 7.3 9.7 44.9 60.3 경남 321 1.1 10.1 50.3 33.6 4.8 11.2 38.4 57.7 제주 56 1.8 7.6 42.3 38.5 9.8 9.4 48.3 61.7 대도시 2,306 1.3 7.2 49.9 35.6 6.0 8.5 41.6 59.5 중소도시 2,303 0.8 8.1 50.5 34.6 6.1 8.9 40.6 59.2 읍면지역 391 2.0 8.0 49.0 33.6 7.4 9.9 41.1 59.1 농/임/어업/축산업 118 5.8 3.5 41.9 37.7 11.1 9.3 48.8 61.2 자영업 1,092 1.7 8.5 50.5 32.6 6.8 10.1 39.4 58.6 판매/기술/노무직 386 1.5 8.0 50.3 34.8 5.5 9.5 40.3 58.7 전문/사무/관리직 1,879 0.8 7.7 52.9 33.9 4.8 8.4 38.7 58.6 전업주부 926 0.6 8.0 47.9 37.2 6.4 8.6 43.6 60.2 학생 253 0.9 3.4 51.9 37.6 6.2 4.3 43.8 61.2 무직/기타 329 0.9 8.4 41.0 39.3 10.3 9.3 49.7 62.4 무응답 17 0.0 17.4 34.9 47.8 0.0 17.4 47.8 57.6 중졸이하 718 1.2 6.5 41.8 40.7 9.7 7.7 50.4 62.8 고졸 1,730 1.3 8.0 51.0 33.3 6.4 9.4 39.7 58.9 대졸 2,233 1.0 7.7 53.3 33.3 4.6 8.8 37.9 58.2 대학원졸 이상 267 1.0 7.9 41.3 42.4 7.4 8.9 49.8 61.8 무응답 52 0.0 7.0 40.6 45.5 7.0 7.0 52.5 63.1 200만원 미만 1,030 1.8 6.8 44.5 38.7 8.3 8.5 47.0 61.3 200~300만원 미만 883 0.5 7.0 50.9 36.0 5.6 7.5 41.6 59.8 300~400만원 미만 976 0.4 8.2 52.5 32.1 6.8 8.6 38.9 59.2 400만원 이상 1,663 1.3 8.5 50.9 34.2 5.2 9.8 39.3 58.3 모름/무응답 448 1.7 7.2 53.1 33.5 4.5 8.9 38.0 58.0 100점 평균 (점) - 22 -

Ⅱ. 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 인지도 ü 전체 응답자 5,000명 중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고 있다 는 응답은 54.2%로 나타났으며 2013년(57.9%) 대비 3.7% 감소함 ü 심폐소생술을 알고 있다 라고 응답한 인지자 중 실제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안다 라고 응답한 경우는 62.3%이며, 이는 전체 응답자의 33.8%로 2013년(29.0%) 대비 4.8%p 증가함 [심폐소생술 인지도] Q 귀하께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해 평소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알고 있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직접 하실 줄 아십니까? - 23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심폐소생술 인지도] F 심폐소생술 인지율은 성별로는 남성(62.6%), 연령별로는 20대(61.6%), 지역별로는 광주(58.1%), 제주 (59.4%), 직업별로는 학생(63.2%), 학력과 월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심폐소생술 인지자 중 직접 시행가능의 응답은 남성(74.8%), 광주(75.6%), 학생(79.3%),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과 월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보유 질환별 단위[%] 사례수 (명) 1 전혀 모른다 2 모른다 3 보통 이다 4 알고 있다 5 아주 잘 알고 있다 1+2 비인지 종합 심페소생술 인지자 전체 4+5 인지 사례수 (명) 심폐소생술 직접 시행가능 심폐소생술 직접 시행가능 (n=5,000) 전체 5,000 5.2 13.9 26.7 43.7 10.5 19.1 54.2 2,712 62.3 33.8 남성 2,504 3.1 10.8 23.5 47.3 15.3 13.9 62.6 1,568 74.8 46.8 여성 2,496 7.4 17.0 29.8 40.1 5.8 24.4 45.8 1,143 45.2 20.7 20대 842 3.4 10.9 24.1 44.1 17.5 14.3 61.6 519 76.0 46.8 30대 999 3.0 12.7 30.7 44.2 9.5 15.6 53.7 536 66.7 35.8 40대 1,132 3.2 13.5 26.2 46.5 10.6 16.7 57.1 647 63.0 36.0 50대 1,038 3.7 14.9 26.9 45.1 9.3 18.6 54.5 566 56.4 30.7 60대 이상 989 12.8 17.1 25.1 38.1 6.9 29.9 45.0 445 47.6 21.4 서울 1,023 4.6 15.0 29.3 42.2 8.9 19.6 51.1 523 61.1 31.2 부산 356 4.4 13.6 27.5 42.0 12.5 18.0 54.5 194 62.9 34.2 대구 246 6.6 14.9 25.4 45.5 7.7 21.4 53.2 131 61.3 32.6 인천 283 4.2 16.8 25.3 44.5 9.2 21.0 53.6 152 60.1 32.2 광주 139 3.9 9.1 28.9 47.5 10.6 13.0 58.1 81 75.6 43.9 대전 146 4.7 14.2 28.3 45.5 7.3 18.9 52.8 77 63.6 33.6 울산 113 4.7 8.7 36.1 42.0 8.6 13.3 50.5 57 68.9 34.8 경기 1,180 4.9 12.0 26.5 45.4 11.3 16.9 56.6 668 63.7 36.0 강원 151 4.5 19.7 19.8 46.3 9.7 24.2 56.0 85 68.1 38.1 충북 151 4.2 15.7 28.7 36.4 15.0 19.9 51.3 78 59.6 30.6 충남 209 7.0 10.9 28.4 47.6 6.2 17.9 53.7 112 53.4 28.7 전북 179 4.2 11.4 26.5 43.9 14.0 15.6 57.9 104 58.0 33.6 전남 182 11.3 11.9 20.0 36.4 20.4 23.3 56.8 103 69.5 39.5 경북 265 6.6 18.3 24.3 40.2 10.6 24.9 50.8 135 60.3 30.6 경남 321 5.7 14.6 23.7 46.1 9.9 20.3 56.0 180 58.8 33.0 제주 56 3.6 20.0 17.0 48.5 11.0 23.5 59.4 33 58.3 34.6 대도시 2,306 4.7 14.3 28.4 43.3 9.4 19.0 52.7 1,214 62.8 33.1 중소도시 2,303 4.8 13.2 26.0 45.0 11.0 18.0 56.0 1,290 61.0 34.1 읍면지역 391 10.6 16.0 20.3 38.4 14.8 26.5 53.1 208 67.9 36.1 농/임/어업/축산업 118 17.0 17.6 20.8 39.7 4.9 34.6 44.6 53 51.1 22.8 자영업 1,092 3.0 13.5 27.9 45.5 10.1 16.5 55.6 607 62.0 34.5 판매/기술/노무직 386 4.3 11.0 25.5 47.3 11.9 15.3 59.2 228 66.5 39.3 전문/사무/관리직 1,879 2.9 11.9 27.3 44.7 13.2 14.8 57.9 1,087 69.2 40.0 전업주부 926 11.3 18.8 26.7 38.7 4.4 30.1 43.2 400 37.9 16.4 학생 253 4.3 7.8 24.8 45.4 17.8 12.0 63.2 160 79.3 50.1 무직/기타 329 6.4 19.5 21.6 43.3 9.1 25.9 52.5 173 57.7 30.3 무응답 17 0.0 17.2 57.4 18.8 6.6 17.2 25.4 4 100.0 25.4 중졸이하 718 16.0 21.6 25.2 33.3 3.8 37.6 37.2 267 41.1 15.3 고졸 1,730 4.0 14.2 27.2 44.1 10.4 18.3 54.5 943 59.3 32.3 대졸 2,233 3.0 11.9 26.9 46.5 11.7 14.9 58.2 1,299 67.5 39.3 대학원졸 이상 267 2.2 8.5 24.1 44.5 20.8 10.7 65.2 175 73.4 47.9 무응답 52 4.4 11.7 29.4 46.8 7.8 16.0 54.6 28 53.5 29.2 200만원 미만 1,030 10.8 18.1 27.2 36.6 7.4 28.9 44.0 453 51.3 22.5 200~300만원 미만 883 4.4 13.0 27.7 44.2 10.7 17.4 54.9 485 60.8 33.4 300~400만원 미만 976 2.8 12.3 28.6 46.0 10.3 15.1 56.3 549 65.1 36.7 400만원 이상 1,663 3.5 12.0 24.7 46.9 12.9 15.5 59.8 994 66.3 39.6 모름/무응답 448 5.6 16.4 26.5 42.3 9.1 22.0 51.5 231 63.2 32.5 고혈압 625 8.2 16.7 27.0 41.5 6.6 24.9 48.1 301 48.5 23.4 당뇨병 278 7.9 17.3 27.1 42.4 5.3 25.2 47.7 133 54.3 25.9 암 45 7.6 11.3 17.3 47.3 16.5 18.9 63.8 29 46.7 29.8 기타 280 8.8 21.8 22.8 38.5 8.1 30.6 46.6 131 51.0 23.8 해당없음 3,945 4.4 13.1 27.1 44.1 11.3 17.5 55.4 2,185 64.7 35.8 무응답 25 8.3 15.2 26.9 42.7 6.9 23.5 49.6 13 56.9 28.2-24 -

Ⅱ. 심폐소생술 12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ü 전체 응답자 중 51.9%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험자의 평균 교육 횟수는 4.6회로 나타남. 심폐소생술 교육 횟수는 4회 이상 이라는 응답이 41.5%로 가장 많았고, 2회 20.8%, 3회 19.4%, 1회 18.3% 순으로 나타남 ü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자의 60.9%는 3회 이상 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남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심폐소생술 교육 횟수] Q 귀하께서는 본 조사 이전에 심폐소생술과 관련한 교육을 한 번이라도 받은 적이 있으십 니까? (교육경험자) 지금까지 모두 몇 번이나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으셨습니까? - 25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심폐소생술 교육경험] F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성별로는 남성(66.7%)이 여성(37.0%)보다 약 2배 정도 높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수준과 월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F 심폐소생술 교육 빈도는 4회 이상 이 41.5%로 가장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 4회 이상(52.3%)의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고 여성은 1회(30.7%)의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 별 단위[%]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자의 교육 빈도 사례수 (명) 사례수 평균 없다 있다 1회 2회 3회 4회 이상 (명) (회) 전체 5,000 48.1 51.9 2,594 18.3 20.8 19.4 41.5 4.6 남성 2,504 33.3 66.7 1,669 11.5 17.0 19.2 52.3 5.5 여성 2,496 63.0 37.0 925 30.7 27.6 19.9 21.8 3.0 20대 842 26.2 73.8 622 15.4 19.4 19.9 45.3 4.8 30대 999 33.3 66.7 667 16.7 19.0 21.7 42.7 4.6 40대 1,132 42.2 57.8 654 16.9 22.6 18.7 41.8 4.7 50대 1,038 58.6 41.4 430 20.3 22.1 19.2 38.4 4.5 60대 이상 989 77.6 22.4 222 31.9 22.0 14.1 32.0 4.5 서울 1,023 49.1 50.9 520 21.0 18.5 20.3 40.2 4.3 부산 356 51.7 48.3 172 20.6 21.4 21.3 36.8 4.7 대구 246 52.8 47.2 116 22.3 24.2 14.1 39.5 4.3 인천 283 45.6 54.4 154 16.8 21.7 18.4 43.1 4.1 광주 139 41.2 58.8 82 15.5 30.3 18.5 35.8 3.8 대전 146 44.3 55.7 81 14.0 24.6 19.8 41.5 5.8 울산 113 42.8 57.2 65 16.4 23.9 16.1 43.6 4.2 경기 1,180 45.2 54.8 647 18.4 18.6 22.3 40.7 4.7 강원 151 54.1 45.9 69 9.7 30.3 19.6 40.4 4.3 충북 151 49.7 50.3 76 29.7 15.2 10.3 44.8 4.7 충남 209 51.5 48.5 101 11.6 20.9 22.5 45.0 5.0 전북 179 41.5 58.5 105 19.5 24.1 14.3 42.1 5.1 전남 182 47.1 52.9 96 16.5 11.7 17.4 54.4 6.3 경북 265 53.1 46.9 124 20.0 23.5 18.1 38.4 4.7 경남 321 49.6 50.4 162 13.0 22.3 18.2 46.6 5.0 제주 56 58.0 42.0 23 10.9 33.6 15.8 39.7 4.3 대도시 2,306 48.4 51.6 1,190 19.4 21.4 19.2 40.0 4.4 중소도시 2,303 47.1 52.9 1,217 18.2 20.1 20.3 41.5 4.7 읍면지역 391 52.2 47.8 187 12.6 21.1 15.2 51.0 5.6 농/임/어업/축산업 118 75.8 24.2 29 29.0 23.7 23.4 23.9 3.6 자영업 1,092 50.0 50.0 546 17.2 19.6 18.2 44.9 4.8 판매/기술/노무직 386 38.2 61.8 238 13.2 16.7 15.3 54.8 6.6 전문/사무/관리직 1,879 35.2 64.8 1,218 17.7 20.3 19.9 42.2 4.6 전업주부 926 74.3 25.7 238 30.9 29.0 17.7 22.3 3.0 학생 253 19.1 80.9 205 15.1 22.6 24.4 37.8 4.0 무직/기타 329 67.0 33.0 109 16.8 18.2 23.3 41.7 5.3 무응답 17 29.8 70.2 12 30.2 24.0 17.9 27.8 3.2 중졸이하 718 83.1 16.9 122 29.0 25.5 16.4 29.1 4.0 고졸 1,730 51.4 48.6 840 17.5 22.1 18.1 42.3 4.6 대졸 2,233 36.2 63.8 1,424 17.9 20.3 20.2 41.6 4.5 대학원졸 이상 267 31.2 68.8 184 18.2 15.0 20.1 46.7 6.2 무응답 52 53.3 46.7 24 20.7 19.3 30.6 29.4 4.1 200만원 미만 1,030 70.2 29.8 307 19.1 27.6 13.5 39.8 4.9 200~300만원 미만 883 46.6 53.4 472 16.9 20.4 19.4 43.3 4.9 300~400만원 미만 976 43.5 56.5 551 17.3 20.2 20.6 41.9 4.5 400만원 이상 1,663 37.5 62.5 1,039 19.8 18.7 20.4 41.2 4.5 모름/무응답 448 49.8 50.2 225 16.3 23.2 20.6 40.0 4.9-26 -

Ⅱ. 심폐소생술 심 13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ü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자 중 49.5%가 최근 2년이내 심페소생술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균 교육 횟수는 2.2회로 나타남 ü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횟수는 1회(46.5%), 2회(33.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4회 이상이 11.1%로 10명 중 1명 이상은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을 4회 이상 받았다고 응답함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여부]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횟수] Q (교육경험자) 최근 2년 이내에 모두 몇 번이나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으셨습니까? - 27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경험] F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성별로는 남성(52.8%), 연령이 낮을수록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강원(63.6%), 제주(60.2%), 충북(59.4%), 전남(56.1%)의 순으로 나타남 F 최근 2년 이내 교육 횟수로 남성은 평균 2.4회, 여성은 평균 1.7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1회 (59.7%), 남성은 2회(35.9%)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 별 단위[%] 교육 경험 교육 경험자 중 최근 2년 이내 교육 빈도 사례수 (명) 사례수 평균 없다 있다 1회 2회 3회 4회 이상 (명) (회) 전체 2,594 50.5 49.5 1,285 46.5 33.5 8.8 11.1 2.2 남성 1,669 47.2 52.8 882 40.5 35.9 10.1 13.5 2.4 여성 925 56.4 43.6 403 59.7 28.3 6.0 5.9 1.7 20대 622 36.5 63.5 395 38.8 34.6 10.2 16.4 2.6 30대 667 45.5 54.5 363 48.8 35.0 8.6 7.6 2.0 40대 654 58.7 41.3 270 50.3 33.5 7.7 8.5 2.0 50대 430 59.2 40.8 175 48.8 33.0 8.9 9.4 2.0 60대 이상 222 63.2 36.8 82 56.8 23.2 6.7 13.4 2.2 서울 520 53.0 47.0 245 48.2 34.2 8.2 9.4 2.1 부산 172 50.1 49.9 86 47.0 35.8 9.6 7.5 2.5 대구 116 59.5 40.5 47 48.9 31.1 5.0 15.0 2.4 인천 154 46.1 53.9 83 43.3 37.1 10.2 9.4 2.1 광주 82 46.2 53.8 44 43.2 36.0 13.5 7.2 2.2 대전 81 60.7 39.3 32 52.2 26.1 4.0 17.7 2.1 울산 65 48.6 51.4 33 45.7 42.1 6.1 6.1 1.7 경기 647 52.7 47.3 306 47.0 29.4 11.6 12.1 2.1 강원 69 36.4 63.6 44 51.2 23.7 4.0 21.1 2.6 충북 76 40.6 59.4 45 42.2 32.1 10.3 15.5 2.2 충남 101 45.6 54.4 55 39.6 45.3 12.0 3.0 1.8 전북 105 50.4 49.6 52 49.1 25.3 11.3 14.4 2.8 전남 96 43.9 56.1 54 45.2 34.2 5.2 15.4 2.5 경북 124 55.7 44.3 55 42.0 42.4 5.7 9.9 2.1 경남 162 44.6 55.4 90 48.1 37.2 5.2 9.4 2.2 제주 23 39.8 60.2 14 46.5 33.9 0.0 19.6 2.1 대도시 1,190 52.1 47.9 570 47.0 34.8 8.5 9.7 2.2 중소도시 1,217 50.5 49.5 602 46.1 32.7 9.4 11.8 2.2 읍면지역 187 39.3 60.7 113 46.5 31.6 7.4 14.5 2.3 농/임/어업/축산업 29 64.0 36.0 10 58.3 24.4 0.0 17.3 1.8 자영업 546 63.1 36.9 201 50.8 31.8 7.5 9.9 2.0 판매/기술/노무직 238 47.3 52.7 126 39.4 42.4 6.9 11.3 2.4 전문/사무/관리직 1,218 44.8 55.2 672 46.4 35.2 7.8 10.6 2.1 전업주부 238 65.9 34.1 81 60.9 23.6 6.6 8.9 2.0 학생 205 32.3 67.7 139 40.0 29.7 15.8 14.5 2.5 무직/기타 109 53.4 46.6 51 42.3 25.7 17.1 14.9 2.6 무응답 12 52.5 47.5 6 43.2 20.5 19.7 16.6 2.3 중졸이하 122 55.3 44.7 54 47.3 32.9 3.3 16.6 2.1 고졸 840 50.8 49.2 414 45.6 29.2 10.4 14.8 2.5 대졸 1,424 50.7 49.3 702 47.9 34.9 8.4 8.8 2.0 대학원졸 이상 184 43.2 56.8 105 41.0 41.6 8.2 9.3 2.2 무응답 24 59.0 41.0 10 40.0 37.2 11.6 11.3 1.9 200만원 미만 307 49.8 50.2 154 47.0 27.9 8.8 16.3 2.8 200~300만원 미만 472 51.0 49.0 231 50.6 33.1 6.1 10.3 2.1 300~400만원 미만 551 52.5 47.5 262 43.1 34.4 10.4 12.1 2.1 400만원 이상 1,039 50.8 49.2 511 48.1 34.0 9.1 8.8 2.0 모름/무응답 225 43.9 56.1 126 39.3 37.6 9.4 13.7 2.7-28 -

Ⅱ. 심폐소생술 심 14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기관 ü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기관은 군/예비군/민방위 교육 (35.5%)이 가장 높았으며, 직장 (24.2%), 소방서/소방협회 (14.6%), 지역행정 기관 (9.1%) 등의 순으로 나타남 ü 심페소생술 교육기관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군/예비군/민방위 교육 은 2013년 (38.4%) 대비 2.9%p 감소하였으며, 직장 (24.3%)의 경우 2013년(11.4%) 대비 12.9%p, 2012년(13.1%) 대비 11.2%p 큰 폭으로 증가함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기관(복수응답)] Q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으신 기관은 어디입니까?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 29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 기관] ü 최근 2년 이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자 중, 남성은 군/예비군/민방위 교육 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51.7%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직장 (27.9%), 지역 행정기관 (16.0%), 소방서/소방 협회 (15.6%)를 통해 교육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남 ü 연령별로는 20~30대는 군/예비군/민방위 교육, 40대는 직장, 50대는 직장 및 소방서/소방협회, 60대 이상은 지역 행정기관 을 통해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 별 단위[%] 사례수 (명) 군 예비군 민방위 교육 직장 소방서/ 소방협회 지역 행정기관 응급의료 관련협회/ 대한 적십자사 초 중 고등학교 학원 교육원 등 사설 교육기관 대학교 병원이나 의원 전체 1,285 35.5 24.2 14.6 9.1 6.7 6.2 6.2 5.8 4.2 2.6 남성 882 51.7 22.5 14.1 6.0 5.4 5.1 2.9 4.7 3.1 2.0 여성 403 0.2 27.9 15.6 16.0 9.5 8.6 13.2 8.1 6.8 3.9 20대 395 56.7 16.7 5.5 2.4 5.0 12.3 1.7 15.2 3.5 1.2 30대 363 54.3 24.9 10.9 5.0 4.4 3.4 4.7 1.5 2.0 1.9 40대 270 11.1 34.5 20.0 13.6 7.2 4.8 10.0 2.3 7.4 3.3 50대 175 2.5 29.6 31.2 14.8 9.5 3.7 10.0 1.6 3.7 3.8 60대 이상 82 1.7 12.4 21.2 32.6 17.8 0.0 13.4 0.0 8.5 7.4 서울 245 46.0 19.5 9.2 8.9 6.1 7.1 5.5 4.8 6.2 2.0 부산 86 38.0 25.3 14.6 6.4 5.8 4.1 4.1 4.1 7.0 2.1 대구 47 28.5 23.7 17.6 12.8 13.5 2.0 5.6 1.4 0.0 8.4 인천 83 33.0 23.4 16.2 5.5 6.7 6.5 6.4 6.0 4.6 4.6 광주 44 24.6 14.8 14.0 22.2 2.8 5.4 15.1 9.8 8.7 3.0 대전 32 47.1 28.6 12.0 11.2 6.9 6.9 2.9 2.3 0.0 0.0 울산 33 33.3 29.8 26.9 8.6 8.2 6.1 4.5 6.6 0.0 2.5 경기 306 37.6 24.8 12.4 7.7 5.6 8.6 6.1 4.3 3.6 2.8 강원 44 20.8 24.0 16.8 13.7 9.0 6.8 12.6 9.3 2.1 0.0 충북 45 33.6 22.4 11.3 6.0 10.7 7.0 12.1 2.6 2.6 6.5 충남 55 39.9 29.2 10.9 7.9 8.4 3.6 6.3 6.1 1.8 0.0 전북 52 19.9 28.2 25.5 11.3 3.2 6.2 6.6 6.3 5.0 1.6 전남 54 27.4 20.1 20.7 15.4 7.4 3.3 1.6 14.8 1.9 3.3 경북 55 28.5 34.4 18.9 5.3 8.5 4.6 9.8 3.4 4.4 1.2 경남 90 29.6 31.0 18.5 9.8 8.0 4.8 2.9 7.4 4.2 2.2 제주 14 35.3 5.5 26.7 0.0 0.0 0.0 0.0 32.5 12.7 0.0 대도시 570 39.1 22.0 13.3 9.5 6.7 5.9 6.0 4.9 5.1 2.9 중소도시 602 32.8 25.1 14.5 9.1 6.8 6.6 7.1 7.1 3.8 2.6 읍면지역 113 32.0 30.7 21.7 7.0 6.0 6.0 2.2 3.1 2.6 0.9 농/임/어업/축산업 10 18.6 0.0 38.8 33.4 0.0 0.0 9.2 0.0 0.0 0.0 자영업 201 38.0 14.0 22.9 14.2 8.8 2.8 8.3 2.3 5.3 2.0 판매/기술/노무직 126 49.7 28.4 9.7 8.6 7.1 3.4 1.8 5.1 1.6 0.7 전문/사무/관리직 672 33.0 32.3 14.3 6.8 5.6 4.5 6.4 3.9 4.4 2.3 전업주부 81 1.0 8.5 20.2 24.3 13.4 7.7 15.4 1.1 7.3 10.2 학생 139 49.6 3.2 3.2 2.6 5.3 23.5 1.2 24.6 3.7 2.2 무직/기타 51 38.0 38.5 16.2 9.8 7.6 2.5 4.5 3.2 0.0 2.7 무응답 6 100.0 0.0 0.0 0.0 0.0 0.0 0.0 0.0 19.7 0.0 중졸이하 54 5.8 18.8 16.7 26.0 11.5 0.0 17.1 0.0 3.5 7.9 고졸 414 35.8 17.0 14.0 9.5 6.3 11.8 5.1 8.2 2.6 3.9 대졸 702 38.9 27.8 14.5 7.5 6.3 2.7 5.9 5.1 5.3 1.6 대학원졸 이상 105 28.7 33.2 15.0 7.3 9.2 11.7 7.0 4.4 3.5 1.8 무응답 10 23.2 11.3 27.7 28.4 0.0 0.0 0.0 0.0 9.5 0.0 200만원 미만 154 34.0 13.3 14.4 16.1 8.6 3.6 9.9 5.5 5.5 3.1 200~300만원 미만 231 40.0 27.5 10.3 7.6 5.4 4.4 5.9 7.8 3.8 2.1 300~400만원 미만 262 33.2 21.9 20.8 8.4 6.0 7.6 6.4 5.0 4.4 1.6 400만원 이상 511 34.2 28.1 14.4 8.8 7.5 5.7 5.7 4.6 4.6 3.1 모름/무응답 126 39.5 20.7 10.2 6.1 4.9 11.9 3.4 8.9 1.5 2.7 기타 - 30 -

Ⅲ. 구급차 서비스 1 구급차 서비스 신뢰도 ü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는 62.6점, 신뢰한다 는 응답은 49.8%로 2013년 (52.8%) 대비 3.0%p 감소함 ü 가장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로 119 구급차 의 신뢰율은 63.0%로 가장 높았으며 병원 구급차 (44.5%)와 민간 이송업 구급차 (38.1%)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119 구급차 의 신뢰율은 2013년(73.6%) 대비 10.6%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구급차 서비스 신뢰도] [구급차 서비스별 신뢰율] Q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어느 정도 신뢰하고 계십니까? - 31 -

응답자 특성별 분석 [구급차 서비스 신뢰도] ü 우리나라의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신뢰한다는 응답은 연령이 높을수록, 지역별로는 제주(56.5%), 대전 (55.7%), 울산(55.4%),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58.2%)와 대학원졸 이상 (57.4%), 월소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단위[%] 사례수 (명) 1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2 신뢰하지 않는다 3 보통이다 4 신뢰 하고 있다 5 아주 많이 신뢰하고 있다 1+2 신뢰안함 종합 4+5 신뢰함 전체 5,000 1.0 6.7 42.5 40.5 9.3 7.7 49.8 62.6 성별 남성 2,504 1.4 7.4 40.0 41.8 9.5 8.8 51.3 62.6 여성 2,496 0.6 6.1 45.0 39.1 9.1 6.7 48.3 62.5 20대 842 0.8 4.5 50.7 36.5 7.5 5.3 44.0 61.3 30대 999 1.5 8.0 48.8 34.6 7.1 9.5 41.7 59.5 연령별 40대 1,132 1.1 9.1 44.2 38.5 7.1 10.2 45.5 60.3 50대 1,038 1.0 5.7 38.2 45.1 10.1 6.7 55.1 64.4 60대 이상 989 0.6 5.7 31.7 47.3 14.8 6.3 62.1 67.5 서울 1,023 1.1 5.3 42.4 42.3 8.9 6.4 51.2 63.1 부산 356 0.9 7.2 42.6 40.9 8.4 8.1 49.3 62.2 대구 246 2.1 7.4 41.6 40.4 8.3 9.6 48.8 61.3 인천 283 1.4 7.7 43.1 38.9 8.9 9.0 47.8 61.6 광주 139 0.7 4.5 42.6 39.6 12.6 5.2 52.2 64.7 대전 146 0.0 6.6 37.7 48.1 7.7 6.6 55.7 64.2 울산 113 0.0 8.0 36.6 42.2 13.2 8.0 55.4 65.2 지역별 경기 1,180 1.1 6.4 44.4 39.2 8.9 7.5 48.1 62.1 강원 151 0.0 6.6 47.1 39.7 6.5 6.6 46.2 61.5 충북 151 1.2 8.0 48.6 35.8 6.4 9.2 42.2 59.6 충남 209 0.0 8.1 38.6 38.7 14.7 8.1 53.4 65.0 전북 179 0.9 10.6 43.8 36.6 8.1 11.6 44.7 60.1 전남 182 0.5 9.1 40.3 38.8 11.3 9.6 50.1 62.8 경북 265 1.6 5.6 39.1 44.0 9.6 7.3 53.6 63.6 경남 321 1.1 7.1 41.9 39.6 10.2 8.3 49.9 62.7 제주 56 0.0 7.7 35.9 44.3 12.2 7.7 56.5 65.2 대도시 2,306 1.1 6.3 41.9 41.7 9.1 7.3 50.8 62.9 거주 중소도시 2,303 0.9 7.0 43.2 40.0 9.0 7.8 49.0 62.3 규모별 읍면지역 391 1.6 8.1 42.0 36.1 12.2 9.7 48.3 62.3 농/임/어업/축산업 118 2.1 4.8 36.0 45.2 12.0 6.8 57.2 65.1 자영업 1,092 1.7 7.9 40.0 40.1 10.3 9.7 50.3 62.3 판매/기술/노무직 386 1.6 7.1 45.5 38.1 7.7 8.7 45.8 60.8 직업별 전문/사무/관리직 1,879 0.6 6.9 45.8 38.9 7.8 7.5 46.7 61.6 전업주부 926 0.4 5.8 39.6 43.0 11.2 6.2 54.2 64.7 학생 253 0.9 3.3 50.2 37.3 8.3 4.2 45.6 62.2 무직/기타 329 1.5 7.3 32.4 48.0 10.7 8.9 58.7 64.8 무응답 17 0.0 6.8 51.5 28.5 13.2 6.8 41.6 62.0 중졸이하 718 0.6 5.0 36.2 43.5 14.8 5.6 58.2 66.7 고졸 1,730 1.0 6.6 43.3 39.5 9.6 7.6 49.1 62.5 학력별 대졸 2,233 1.3 7.2 45.0 39.5 7.0 8.5 46.5 60.9 대학원졸 이상 267 0.3 8.1 34.1 45.6 11.8 8.5 57.4 65.1 무응답 52 0.0 5.1 37.3 47.9 9.7 5.1 57.6 65.5 200만원 미만 1,030 0.9 5.6 36.7 43.5 13.3 6.5 56.8 65.7 200~300만원 미만 883 0.9 5.1 43.7 41.5 8.8 6.0 50.4 63.1 월소득별 300~400만원 미만 976 0.6 6.9 45.5 38.2 8.9 7.5 47.0 61.9 400만원 이상 1,663 1.3 8.2 43.1 39.4 8.0 9.5 47.5 61.2 모름/무응답 448 1.2 6.9 44.9 40.6 6.5 8.1 47.0 61.1 최근 119구급차 517 1.1 7.1 28.8 48.1 14.9 8.2 63.0 67.1 이용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49 6.5 8.0 47.4 32.2 5.9 14.5 38.1 55.8 구급차 병원구급차 68 3.5 13.1 38.9 33.4 11.1 16.6 44.5 58.9 서비스별 비이용 4,366 0.9 6.6 44.1 39.8 8.6 7.5 48.4 62.2 100점 평균 (점) - 32 -

Ⅲ. 구급차 서비스 12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 ü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자는 전체의 12.7%로 2013년 (13.5%)대비 0.8%p 감소하였으며,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별로는 119 구급차 가 85.0%, 병원 구급차 13.7%,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는 10.6%로 나타남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 Q 귀하께서는 최근 1년 이내에 응급환자 혹은 응급환자의 보호자 자격으로 119나 응급 환자이송단 등의 민간응급환자이송업체, 병원 구급차 등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 이용해 보신 서비스를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복수 이용자) 환자나 보호자 중 어떤 자격으로 이용해 보셨습니까? - 33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 ü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에서, 지역별로 는 충남(19.2%), 제주(17.2%), 전남(15.4%), 거주규모별로는 읍면지역(14.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 별 단위[%] 사례수 (명) 서비스 이용 경험 없다 있다 사례수 (명)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119 구급차 민간 이송업 구급차 병원 구급 차 사례수 (명) 119구급차 (n=517) 구급차서비스별 이용자격 민간이송업 구급차 (n=49) 병원구급차 (n=68) 환자 보호자 환자 보호자 환자 보호자 전체 5,000 87.3 12.7 634 85.0 10.6 13.7 634 31.3 68.7 7.4 92.6 21.7 78.3 남성 2,504 87.6 12.4 312 83.0 11.4 14.0 312 35.4 64.6 3.7 96.3 22.5 77.5 여성 2,496 87.1 12.9 322 86.9 9.9 13.4 322 27.6 72.4 12.7 87.3 20.7 79.3 20대 842 90.5 9.5 80 72.7 13.5 19.1 80 41.5 58.5 19.3 80.7 35.0 65.0 30대 999 89.0 11.0 110 81.7 14.3 11.2 110 25.4 74.6 0.0 100.0 33.6 66.4 40대 1,132 87.3 12.7 144 85.5 15.1 13.5 144 16.9 83.1 5.8 94.2 0.0 100.0 50대 1,038 85.0 15.0 156 91.5 8.3 13.2 156 29.8 70.2 16.6 83.4 0.0 100.0 60대 이상 989 85.4 14.6 144 86.6 4.2 13.4 144 46.0 54.0 0.0 100.0 42.5 57.5 서울 1,023 86.3 13.7 140 82.9 11.4 10.7 140 41.0 59.0 6.2 93.8 22.4 77.6 부산 356 91.1 8.9 32 89.1 7.9 14.2 32 32.7 67.3 0.0 100.0 0.0 100.0 대구 246 87.8 12.2 30 96.2 0.0 6.9 30 26.4 73.6 0.0 0.0 0.0 100.0 인천 283 88.4 11.6 33 83.9 0.0 16.1 33 34.4 65.6 0.0 0.0 39.9 60.1 광주 139 88.8 11.2 16 83.9 11.2 32.8 16 40.6 59.4 0.0 0.0 0.0 100.0 대전 146 89.2 10.8 16 88.3 11.7 11.9 16 37.4 62.6 0.0 100.0 0.0 100.0 울산 113 90.7 9.3 10 56.4 0.0 53.1 10 27.1 72.9 0.0 0.0 0.0 100.0 경기 1,180 86.6 13.4 158 89.8 12.4 12.7 158 27.2 72.8 14.4 85.6 43.1 56.9 강원 151 85.8 14.2 21 79.4 13.4 11.5 21 42.1 57.9 0.0 100.0 35.0 65.0 충북 151 87.3 12.7 19 77.4 31.5 4.6 19 19.1 80.9 0.0 100.0 0.0 0.0 충남 209 80.8 19.2 40 81.2 9.3 16.0 40 18.1 81.9 0.0 100.0 22.9 77.1 전북 179 89.1 10.9 20 84.3 15.9 8.6 20 29.9 70.1 0.0 100.0 0.0 100.0 전남 182 84.6 15.4 28 90.2 12.6 15.7 28 22.5 77.5 0.0 100.0 50.0 50.0 경북 265 91.9 8.1 22 87.9 4.3 16.4 22 44.8 55.2 0.0 100.0 25.7 74.3 경남 321 87.4 12.6 40 70.7 13.6 20.0 40 25.7 74.3 18.5 81.5 0.0 100.0 제주 56 82.8 17.2 10 100.0 0.0 0.0 10 20.8 79.2 0.0 0.0 0.0 0.0 대도시 2,306 88.0 12.0 276 84.5 8.0 14.2 276 36.8 63.2 4.8 95.2 16.1 83.9 중소도시 2,303 86.9 13.1 301 85.8 13.1 13.0 301 25.5 74.5 10.0 90.0 24.2 75.8 읍면지역 391 85.5 14.5 57 82.4 10.3 15.0 57 35.5 64.5 0.0 100.0 42.1 57.9 농/임/어업/축산업 118 88.7 11.3 13 100.0 0.0 0.0 13 45.6 54.4 0.0 0.0 0.0 0.0 자영업 1,092 85.0 15.0 164 85.0 8.6 14.3 164 31.2 68.8 0.0 100.0 18.4 81.6 판매/기술/노무직 386 87.3 12.7 49 95.6 9.1 4.3 49 34.8 65.2 0.0 100.0 100.0 0.0 전문/사무/관리직 1,879 88.7 11.3 212 84.8 14.0 13.6 212 23.1 76.9 4.8 95.2 21.2 78.8 전업주부 926 86.7 13.3 124 89.4 8.6 11.4 124 27.9 72.1 34.3 65.7 24.6 75.4 학생 253 89.3 10.7 27 58.6 11.9 29.5 27 49.4 50.6 24.7 75.3 25.1 74.9 무직/기타 329 86.9 13.1 43 74.8 9.4 24.1 43 65.9 34.1 0.0 100.0 13.6 86.4 무응답 17 87.7 12.3 2 44.3 55.7 0.0 2 100.0 0.0 0.0 100.0 0.0 0.0 중졸이하 718 86.1 13.9 100 90.8 4.7 10.1 100 40.5 59.5 50.0 50.0 17.1 82.9 고졸 1,730 86.9 13.1 227 80.5 9.6 17.8 227 37.9 62.1 4.3 95.7 26.1 73.9 대졸 2,233 88.2 11.8 264 85.6 13.4 11.6 264 21.9 78.1 7.1 92.9 22.0 78.0 대학원졸 이상 267 86.6 13.4 36 89.4 15.1 15.7 36 27.1 72.9 0.0 100.0 0.0 100.0 무응답 52 86.5 13.5 7 100.0 0.0 0.0 7 60.1 39.9 0.0 0.0 0.0 0.0 200만원 미만 1,030 86.5 13.5 139 90.9 6.4 9.7 139 48.7 51.3 0.0 100.0 17.9 82.1 200~300만원 미만 883 87.8 12.2 108 87.6 12.5 10.9 108 21.8 78.2 17.2 82.8 27.6 72.4 300~400만원 미만 976 86.9 13.1 127 78.3 10.9 18.5 127 37.2 62.8 0.0 100.0 25.5 74.5 400만원 이상 1,663 86.9 13.1 217 86.4 10.5 14.8 217 20.4 79.6 5.2 94.8 15.0 85.0 모름/무응답 448 90.5 9.5 43 71.1 19.5 14.0 43 34.7 65.3 12.6 87.4 28.9 71.1-34 -

Ⅲ. 구급차 서비스 심 13 이용 구급차 서비스 만족도 ü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만족한다 는 응답은 72.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2013년(72.4%) 대비 0.4%p 소폭 감소함. 만족도는 72.3점으로 2013년(72.5점)대비 비슷한 수준임 ü 119 구급차는 타 서비스 대비 월등히 높은 만족률(77.1%)을 보였으며, 2013년 (79.8%)대비 2.7%p 감소함. 민간 이송업 구급차(42.9%)와 병원 구급차 (53.8%)는 2013년 대비 각 7.9%p와 2.2%p 증가함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 경험] Q 가장 최근에 이용해 보신 서비스는 무엇입니까? 귀하께서는 가장 최근 이용하신 구급차 서 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 35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이용 구급차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F 가장 최근 이용한 구급서비스에 대한 만족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규모가 클수록, 월소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F 지역별로는 부산(82.7%)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률을 보이고 있음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단위[%] 사례수 (명) 1 매우 불만족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1+2 불만족 전체 634 3.1 7.5 17.4 41.2 30.8 10.6 72.0 72.3 남성 312 3.6 8.7 16.5 40.5 30.7 12.3 71.2 71.5 여성 322 2.6 6.4 18.3 41.8 30.9 9.0 72.7 73.0 20대 80 4.3 10.9 28.3 34.8 21.8 15.1 56.6 64.7 30대 110 2.1 8.0 18.8 36.2 35.0 10.0 71.2 73.5 40대 144 4.5 7.7 19.7 39.1 28.9 12.2 68.0 70.1 50대 156 3.6 6.5 16.6 41.9 31.4 10.1 73.4 72.8 60대 이상 144 1.2 6.3 9.0 49.7 33.8 7.5 83.5 77.1 서울 140 3.5 5.0 19.6 37.4 34.6 8.5 71.9 73.6 부산 32 0.0 9.8 7.5 48.2 34.5 9.8 82.7 76.9 대구 30 0.0 16.0 11.3 37.8 34.9 16.0 72.8 72.9 인천 33 6.3 17.7 5.5 46.5 24.1 23.9 70.6 66.1 광주 16 5.7 11.8 23.2 34.5 24.7 17.6 59.2 65.2 대전 16 0.0 0.0 14.9 43.6 41.5 0.0 85.1 81.7 울산 10 0.0 0.0 24.9 17.4 57.7 0.0 75.1 83.2 경기 158 0.6 8.2 17.6 45.6 28.0 8.8 73.6 73.0 강원 21 0.0 9.9 43.6 35.5 11.0 9.9 46.5 61.9 충북 19 10.6 19.9 18.8 27.3 23.3 30.5 50.6 58.2 충남 40 2.1 5.1 23.5 39.6 29.6 7.2 69.3 72.4 전북 20 0.0 4.6 9.7 68.0 17.7 4.6 85.7 74.7 전남 28 7.3 3.2 10.0 39.9 39.6 10.5 79.5 75.3 경북 22 19.0 3.1 7.3 34.3 36.2 22.1 70.6 66.4 경남 40 4.4 4.4 25.9 39.9 25.5 8.7 65.4 69.5 제주 10 0.0 0.0 0.0 41.6 58.4 0.0 100.0 89.6 대도시 276 2.8 8.2 15.7 39.2 34.1 11.0 73.3 73.4 중소도시 301 2.6 7.2 18.9 43.6 27.7 9.8 71.3 71.7 읍면지역 57 7.0 6.0 17.9 37.9 31.3 13.0 69.2 70.1 농/임/어업/축산업 13 0.0 0.0 0.0 78.2 21.8 0.0 100.0 80.5 자영업 164 4.0 6.6 17.2 41.3 30.9 10.6 72.2 72.2 판매/기술/노무직 49 2.0 12.2 13.9 39.2 32.8 14.2 71.9 72.1 전문/사무/관리직 212 2.9 6.0 20.6 37.9 32.6 8.9 70.5 72.8 전업주부 124 2.3 7.7 15.6 44.7 29.8 10.0 74.5 73.0 학생 27 4.4 13.1 18.3 40.0 24.2 17.5 64.2 66.6 무직/기타 43 4.2 9.5 15.5 40.1 30.7 13.7 70.8 70.9 무응답 2 0.0 55.7 44.3 0.0 0.0 55.7 0.0 36.1 중졸이하 100 3.7 4.9 12.5 47.6 31.3 8.6 78.9 74.5 고졸 227 2.9 10.5 20.3 36.9 29.3 13.5 66.2 69.8 대졸 264 3.1 5.0 18.3 43.6 30.1 8.1 73.6 73.1 대학원졸 이상 36 0.0 13.6 7.5 33.9 45.1 13.6 79.0 77.6 무응답 7 15.1 13.3 11.4 33.6 26.6 28.4 60.2 60.8 200만원 미만 139 2.1 5.3 14.5 44.7 33.4 7.4 78.1 75.5 200~300만원 미만 108 2.7 5.6 16.4 47.5 27.8 8.3 75.3 73.1 300~400만원 미만 127 3.9 7.4 15.6 39.9 33.2 11.3 73.1 72.8 400만원 이상 217 4.0 9.6 19.3 34.5 32.6 13.6 67.1 70.5 모름/무응답 43 0.0 10.0 25.3 51.4 13.3 10.0 64.7 67.0 종합 4+5 만족 100점 평균 (점)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36 -

응답자 특성별 분석 [119 구급차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단위[%] 사례수 (명) 1 매우 불만족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1+2 불만족 전체 517 1.7 6.2 14.9 43.3 33.9 8.0 77.1 75.3 남성 247 2.2 6.9 13.7 44.1 33.2 9.0 77.3 74.8 여성 270 1.4 5.6 16.0 42.5 34.5 7.0 77.0 75.8 20대 56 4.0 11.4 26.2 33.6 24.8 15.4 58.4 66.0 30대 86 1.3 6.5 16.0 34.9 41.3 7.8 76.2 77.1 40대 115 2.5 5.5 15.3 44.5 32.1 8.1 76.6 74.5 50대 136 2.0 6.8 15.5 42.5 33.2 8.8 75.7 74.5 60대 이상 123 0.0 3.7 8.0 53.2 35.1 3.7 88.3 79.9 서울 112 3.5 3.6 16.0 38.0 38.9 7.1 76.9 76.3 부산 28 0.0 7.5 3.0 50.8 38.8 7.5 89.6 80.2 대구 29 0.0 16.6 11.7 39.3 32.3 16.6 71.7 71.8 인천 28 3.2 16.4 6.5 52.5 21.4 19.6 73.9 68.2 광주 11 0.0 8.9 24.5 32.5 34.0 8.9 66.6 72.9 대전 13 0.0 0.0 11.2 45.7 43.2 0.0 88.8 83.0 울산 5 0.0 0.0 14.0 16.8 69.2 0.0 86.0 88.8 경기 131 0.0 5.0 16.9 47.3 30.8 5.0 78.1 76.0 강원 17 0.0 12.4 34.6 44.7 8.3 12.4 53.0 62.2 충북 15 0.0 17.9 24.4 27.6 30.1 17.9 57.7 67.5 충남 32 0.0 6.5 17.2 41.5 34.8 6.5 76.3 76.2 전북 16 0.0 5.5 5.5 68.1 21.0 5.5 89.1 76.1 전남 25 8.1 3.6 11.0 33.4 43.9 11.7 77.3 75.4 경북 18 12.2 3.7 8.7 41.1 34.3 15.9 75.4 70.4 경남 28 0.0 0.0 21.2 46.5 32.3 0.0 78.8 77.8 제주 10 0.0 0.0 0.0 41.6 58.4 0.0 100.0 89.6 대도시 226 2.1 7.3 12.8 41.3 36.6 9.4 77.8 75.7 중소도시 245 1.3 5.7 16.0 46.0 31.0 7.0 77.0 74.9 읍면지역 47 2.3 4.2 19.4 38.3 35.9 6.5 74.1 75.3 농/임/어업/축산업 13 0.0 0.0 0.0 78.2 21.8 0.0 100.0 80.5 자영업 135 2.2 5.9 15.9 41.9 34.1 8.1 76.0 75.0 판매/기술/노무직 43 2.2 8.8 12.5 42.1 34.4 11.0 76.5 74.4 전문/사무/관리직 169 1.9 4.1 18.3 39.6 36.1 6.0 75.7 76.0 전업주부 108 0.9 7.9 12.0 47.4 31.9 8.8 79.3 75.4 학생 16 0.0 22.4 5.2 36.1 36.3 22.4 72.4 71.6 무직/기타 31 3.0 4.4 14.7 46.5 31.5 7.4 78.0 74.8 무응답 1 0.0 0.0 100.0 0.0 0.0 0.0 0.0 50.0 중졸이하 88 1.0 3.6 12.2 50.4 32.8 4.6 83.2 77.6 고졸 177 1.1 9.6 18.0 38.5 32.8 10.7 71.3 73.1 대졸 216 2.4 3.8 15.2 44.8 33.8 6.2 78.6 76.0 대학원졸 이상 29 0.0 10.2 3.0 41.5 45.2 10.2 86.7 80.4 무응답 7 15.1 13.3 11.4 33.6 26.6 28.4 60.2 60.8 200만원 미만 123 0.0 5.0 14.1 46.7 34.3 5.0 80.9 77.6 200~300만원 미만 88 1.1 4.0 13.9 49.9 31.0 5.1 80.9 76.4 300~400만원 미만 95 2.1 5.8 11.1 42.0 39.1 7.9 81.0 77.5 400만원 이상 180 3.4 7.7 18.4 35.8 34.7 11.1 70.6 72.7 모름/무응답 30 0.0 10.2 12.7 58.4 18.7 10.2 77.1 71.4 종합 4+5 만족 100점 평균 (점)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37 -

응답자 특성별 분석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단위[%] 사례수 (명) 1 매우 불만족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1+2 불만족 전체 49 13.2 16.5 27.4 37.0 5.9 29.7 42.9 51.5 남성 29 13.2 21.7 25.3 32.6 7.2 34.9 39.8 49.7 여성 20 13.2 9.1 30.4 43.2 4.1 22.3 47.3 54.0 20대 10 0.0 11.1 26.4 53.9 8.6 11.1 62.5 65.0 30대 13 8.8 17.5 31.5 33.5 8.7 26.3 42.2 54.0 40대 15 18.3 32.2 36.8 6.3 6.4 50.5 12.7 37.6 50대 6 15.6 0.0 0.0 84.4 0.0 15.6 84.4 63.3 60대 이상 6 29.3 0.0 22.8 47.9 0.0 29.3 47.9 47.4 서울 13 7.2 14.5 16.8 61.5 0.0 21.8 61.5 58.1 부산 2 0.0 59.1 40.9 0.0 0.0 59.1 0.0 35.2 대전 2 0.0 0.0 48.8 51.2 0.0 0.0 51.2 62.8 경기 14 0.0 29.2 21.6 35.1 14.1 29.2 49.2 58.5 강원 2 0.0 0.0 51.4 0.0 48.6 0.0 48.6 74.3 충북 4 47.0 26.5 0.0 26.5 0.0 73.5 26.5 26.5 충남 4 22.3 0.0 77.7 0.0 0.0 22.3 0.0 38.8 전북 2 0.0 0.0 44.4 55.6 0.0 0.0 55.6 63.9 전남 1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경북 1 100.0 0.0 0.0 0.0 0.0 100.0 0.0 0.0 경남 5 38.1 0.0 39.6 22.3 0.0 38.1 22.3 36.5 대도시 16 5.7 17.5 22.8 54.0 0.0 23.2 54.0 56.3 중소도시 29 9.2 18.2 33.9 28.5 10.2 27.5 38.6 53.0 읍면지역 4 71.6 0.0 0.0 28.4 0.0 71.6 28.4 21.3 자영업 11 30.8 10.1 24.5 34.6 0.0 40.9 34.6 40.7 판매/기술/노무직 4 0.0 22.5 30.8 21.1 25.7 22.5 46.7 62.5 전문/사무/관리직 22 13.4 17.3 33.3 28.1 7.9 30.7 36.0 49.9 전업주부 5 0.0 17.8 35.4 46.8 0.0 17.8 46.8 57.3 학생 3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무직/기타 1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무응답 1 0.0 100.0 0.0 0.0 0.0 100.0 0.0 25.0 중졸이하 2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고졸 18 19.2 11.7 18.0 46.6 4.5 30.9 51.1 51.4 대졸 27 11.0 15.1 37.6 28.6 7.7 26.1 36.3 51.7 대학원졸 이상 2 0.0 100.0 0.0 0.0 0.0 100.0 0.0 25.0 200만원 미만 5 21.7 0.0 34.6 43.7 0.0 21.7 43.7 50.0 200~300만원 미만 12 8.0 9.2 28.0 39.6 15.2 17.2 54.8 61.2 300~400만원 미만 9 18.7 0.0 40.0 41.3 0.0 18.7 41.3 51.0 400만원 이상 17 16.0 35.6 16.3 25.2 6.9 51.7 32.1 42.8 모름/무응답 6 0.0 18.3 30.7 51.1 0.0 18.3 51.1 58.2 종합 4+5 만족 100점 평균 (점)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38 -

응답자 특성별 분석 [병원 구급차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단위[%] 사례수 (명) 1 매우 불만족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1+2 불만족 종합 4+5 만족 100점 평균 (점) 전체 68 5.9 11.0 29.3 28.2 25.6 16.9 53.8 64.1 남성 36 5.8 10.9 28.3 22.3 32.6 16.8 54.9 66.2 여성 32 6.0 11.1 30.4 34.8 17.7 17.0 52.6 61.8 20대 14 8.4 8.4 37.8 26.8 18.6 16.8 45.4 59.7 30대 10 0.0 8.0 25.3 49.9 16.8 8.0 66.7 68.8 40대 14 6.2 0.0 37.5 29.9 26.3 6.2 56.2 67.5 50대 14 13.5 6.7 33.7 19.5 26.6 20.2 46.1 59.8 60대 이상 15 0.0 30.4 11.8 21.1 36.7 30.4 57.8 66.0 서울 15 0.0 7.9 48.4 11.4 32.3 7.9 43.7 67.0 부산 2 0.0 0.0 47.8 52.2 0.0 0.0 52.2 63.0 대구 1 0.0 0.0 0.0 0.0 100.0 0.0 100.0 100.0 인천 5 22.3 24.4 0.0 15.6 37.7 46.7 53.3 55.5 광주 4 21.0 19.7 19.7 39.7 0.0 40.6 39.7 44.5 대전 1 0.0 0.0 0.0 0.0 100.0 0.0 100.0 100.0 울산 6 0.0 0.0 34.6 18.0 47.5 0.0 65.4 78.2 경기 13 7.1 17.8 20.2 40.8 14.1 24.9 54.9 59.2 강원 2 0.0 0.0 100.0 0.0 0.0 0.0 0.0 50.0 충남 5 0.0 0.0 22.9 59.1 18.0 0.0 77.1 73.8 전북 1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전남 2 0.0 0.0 0.0 100.0 0.0 0.0 100.0 75.0 경북 3 37.2 0.0 0.0 0.0 62.8 37.2 62.8 62.8 경남 8 0.0 21.8 33.9 27.4 16.9 21.8 44.3 59.8 대도시 34 6.1 9.7 32.0 18.1 34.1 15.9 52.2 66.1 중소도시 28 6.9 9.8 28.4 37.9 17.1 16.6 54.9 62.1 읍면지역 6 0.0 24.0 18.1 41.4 16.5 24.0 57.9 62.6 자영업 17 0.0 10.4 22.3 41.2 26.1 10.4 67.2 70.7 판매/기술/노무직 1 0.0 100.0 0.0 0.0 0.0 100.0 0.0 25.0 전문/사무/관리직 20 0.0 8.7 25.8 34.9 30.5 8.7 65.5 71.8 전업주부 11 18.0 0.0 42.7 16.0 23.3 18.0 39.3 56.6 학생 8 14.8 0.0 51.6 23.7 9.9 14.8 33.7 53.5 무직/기타 10 8.6 26.0 20.0 13.2 32.3 34.6 45.4 58.6 중졸이하 10 27.7 17.4 17.1 13.5 24.4 45.1 37.8 47.4 고졸 32 3.7 15.1 34.5 22.4 24.2 18.8 46.6 62.1 대졸 21 0.0 4.0 25.3 50.8 19.9 4.0 70.7 71.6 대학원졸 이상 5 0.0 0.0 37.8 0.0 62.2 0.0 62.2 81.1 200만원 미만 10 17.7 11.4 8.9 21.3 40.6 29.1 61.9 63.9 200~300만원 미만 8 11.9 17.4 26.9 32.2 11.6 29.3 43.8 53.5 300~400만원 미만 23 5.2 17.1 24.5 30.7 22.4 22.3 53.1 62.0 400만원 이상 20 0.0 4.6 30.1 30.8 34.5 4.6 65.3 73.8 모름/무응답 6 0.0 0.0 83.3 16.7 0.0 0.0 16.7 54.2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39 -

Ⅲ. 구급차 서비스 심 14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이유 ü 구급차 서비스 이용 시 가장 큰 불만사항(1순위)은 출동시간이 지연됨 (28.8%), 구급차와 장비가 낙후됨 (24.1%), 구급 대원의 응대 태도가 불친절함 (13.3%) 등의 순으로 나타남 ü 구급차 서비스 이용 시 불만사항(1+2순위)에 대한 응답으로는 출동시간이 지 연됨 (34.4%), 구급차와 장비가 낙후됨 (31.2%) 등의 순으로 나타남 ü 구급서비스별로 119 구급차는 출동시간의 지연, 민간 이송업 구급차는 구급차장 비 낙후, 병원 구급차는 구급차장비 낙후 를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응답함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이유] Q 귀하께서 가장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해 불만족하시는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순 서대로 1, 2 순위를 골라주십시오. - 40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이용 구급차 서비스 불만족 이유: 1순위]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최근이용 구급차 서비스별 단위[%] 사례수 (명) 출동 시간이 지연됨 구급차와 장비가 낙후됨 구급 대원의 응대 태도가 불친절함 이송 중 적절한 응급 처치가 되지 않거나 응급 처치가 소홀함 환자 상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함 구급 서비스 과정에 대한 구급 대원의 설명이 부족함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해 주지 않음 전체 67 28.8 24.1 13.3 13.1 9.2 4.4 3.0 4.2 남성 38 28.4 17.0 16.5 18.3 11.4 3.1 2.8 2.5 여성 29 29.4 33.4 9.0 6.2 6.4 6.1 3.2 6.5 20대 12 28.2 5.5 19.6 26.8 10.1 9.8 0.0 0.0 30대 11 56.4 7.6 18.1 17.9 0.0 0.0 0.0 0.0 40대 18 20.2 31.8 10.7 4.7 10.6 0.0 6.0 15.9 50대 16 29.9 17.9 17.1 17.6 11.6 0.0 5.9 0.0 60대 이상 11 14.0 57.8 0.0 0.0 11.9 16.3 0.0 0.0 서울 12 39.3 11.5 15.8 9.9 0.0 0.0 7.7 15.7 부산 3 0.0 32.2 38.4 0.0 29.4 0.0 0.0 0.0 대구 5 24.0 37.2 19.4 0.0 19.5 0.0 0.0 0.0 인천 8 10.5 0.0 47.9 0.0 28.0 0.0 13.5 0.0 광주 3 36.7 63.3 0.0 0.0 0.0 0.0 0.0 0.0 경기 14 35.5 42.9 0.0 14.9 6.7 0.0 0.0 0.0 강원 2 0.0 0.0 0.0 0.0 0.0 55.8 0.0 44.2 충북 6 51.2 0.0 19.7 29.2 0.0 0.0 0.0 0.0 충남 3 0.0 34.5 0.0 65.5 0.0 0.0 0.0 0.0 전북 1 100.0 0.0 0.0 0.0 0.0 0.0 0.0 0.0 전남 3 66.1 0.0 0.0 33.9 0.0 0.0 0.0 0.0 경북 5 20.3 33.7 0.0 20.3 25.7 0.0 0.0 0.0 경남 4 0.0 50.0 0.0 0.0 0.0 50.0 0.0 0.0 대도시 30 25.2 19.3 25.6 3.9 13.3 0.0 6.5 6.2 중소도시 30 29.2 24.2 3.9 22.2 7.3 10.0 0.0 3.2 읍면지역 7 42.3 43.2 0.0 14.5 0.0 0.0 0.0 0.0 자영업 17 25.2 20.5 10.5 22.3 5.3 10.2 6.1 0.0 판매/기술/노무직 7 43.7 14.4 11.9 16.9 13.1 0.0 0.0 0.0 전문/사무/관리직 19 25.2 23.2 9.9 10.5 16.3 0.0 0.0 14.9 전업주부 12 41.5 29.3 7.2 14.5 0.0 0.0 7.5 0.0 학생 5 24.9 0.0 50.1 0.0 0.0 24.9 0.0 0.0 무직/기타 6 15.8 62.2 0.0 0.0 22.0 0.0 0.0 0.0 무응답 1 0.0 0.0 100.0 0.0 0.0 0.0 0.0 0.0 중졸이하 9 10.5 37.3 20.5 11.2 0.0 20.5 0.0 0.0 고졸 31 26.6 28.2 11.5 19.0 7.2 3.9 3.5 0.0 대졸 21 38.5 16.1 12.7 9.5 14.4 0.0 4.3 4.4 대학원졸 이상 5 22.9 19.1 0.0 0.0 19.3 0.0 0.0 38.7 무응답 2 53.1 0.0 46.9 0.0 0.0 0.0 0.0 0.0 200만원 미만 10 29.1 47.9 0.0 11.4 0.0 11.5 0.0 0.0 200~300만원 미만 9 43.4 33.8 0.0 22.8 0.0 0.0 0.0 0.0 300~400만원 미만 14 20.1 18.1 20.9 5.7 15.5 12.3 7.4 0.0 400만원 이상 29 25.3 19.2 16.2 16.2 10.4 0.0 3.1 9.5 모름/무응답 4 51.4 0.0 27.2 0.0 21.5 0.0 0.0 0.0 119구급차 41 41.6 15.9 13.7 9.2 9.6 2.9 4.8 2.3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15 15.2 31.7 14.3 19.6 6.4 0.0 0.0 12.8 병원구급차 11 0.0 44.0 10.4 18.8 11.4 15.5 0.0 0.0 기타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41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이용 구급차 서비스 불만족 이유: 1+2순위 종합] 단위[%] 사례수 (명) 출동 시간이 지연됨 구급차와 장비가 낙후됨 환자 상태에 이송 중 대해 정확히 적절한 응급 파악하지 처치가 않은 되지 않거나 상태에서 응급 처치가 이송함 소홀함 구급 대원의 응대 태도가 불친절함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해 주지 않음 구급 서비스 과정에 대한 구급 대원의 설명이 부족함 기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최근이용구 급차 서비스별 전체 67 34.4 31.2 27.5 26.3 17.7 16.0 12.9 11.2 남성 38 33.2 20.1 30.4 32.6 22.0 21.0 13.9 5.5 여성 29 35.8 46.1 23.7 18.1 12.1 9.3 11.7 18.7 20대 12 28.2 5.5 47.8 35.7 19.6 10.1 24.1 9.8 30대 11 56.4 18.1 7.6 43.6 28.6 10.4 10.1 7.5 40대 18 25.5 37.1 26.3 14.9 16.0 11.4 11.2 15.9 50대 16 47.7 24.0 17.2 29.2 22.8 23.5 6.0 6.0 60대 이상 11 14.0 74.1 41.9 13.0 0.0 24.6 16.3 16.3 서울 12 39.3 11.5 30.5 9.9 15.8 27.2 9.3 15.7 부산 3 0.0 32.2 100.0 29.4 38.4 0.0 0.0 0.0 대구 5 43.4 37.2 19.5 37.3 19.4 0.0 0.0 0.0 인천 8 10.5 0.0 38.5 11.6 47.9 41.2 0.0 0.0 광주 3 36.7 63.3 0.0 30.6 0.0 36.7 0.0 0.0 경기 14 55.6 49.7 19.2 47.0 0.0 8.2 13.4 6.8 강원 2 0.0 0.0 55.8 0.0 0.0 0.0 55.8 44.2 충북 6 51.2 19.7 15.1 29.2 39.3 0.0 0.0 34.2 충남 3 0.0 34.5 28.8 65.5 0.0 0.0 36.7 0.0 전북 1 100.0 0.0 0.0 0.0 0.0 100.0 0.0 0.0 전남 3 66.1 0.0 33.9 33.9 30.5 0.0 35.7 0.0 경북 5 20.3 54.0 25.7 20.3 19.7 25.7 14.0 0.0 경남 4 0.0 100.0 0.0 0.0 0.0 0.0 50.0 50.0 대도시 30 28.2 19.3 35.2 18.5 25.6 24.6 3.7 6.2 중소도시 30 38.7 40.5 26.4 32.6 7.1 11.0 18.5 13.1 읍면지역 7 42.3 43.2 0.0 33.6 28.0 0.0 28.8 24.0 자영업 17 30.6 30.6 21.0 39.1 10.5 18.5 16.6 10.2 판매/기술/노무직 7 43.7 14.4 44.4 30.0 11.9 0.0 13.2 0.0 전문/사무/관리직 19 30.1 28.1 20.7 25.5 21.0 11.4 19.7 14.9 전업주부 12 56.7 37.2 26.4 21.4 14.5 22.0 0.0 14.4 학생 5 24.9 0.0 50.1 0.0 50.1 0.0 24.9 24.9 무직/기타 6 15.8 62.2 37.8 23.9 0.0 45.2 0.0 0.0 무응답 1 0.0 100.0 0.0 0.0 100.0 0.0 0.0 0.0 중졸이하 9 21.4 69.0 0.0 11.2 31.0 26.2 20.5 0.0 고졸 31 29.6 32.0 33.8 35.9 14.6 13.9 10.4 15.4 대졸 21 42.9 16.1 34.0 27.1 18.1 19.8 7.4 4.4 대학원졸 이상 5 42.0 38.4 19.3 0.0 0.0 0.0 22.9 38.7 무응답 2 53.1 0.0 0.0 0.0 46.9 0.0 53.1 0.0 200만원 미만 10 38.3 47.9 39.7 11.4 20.0 13.3 11.5 9.2 200~300만원 미만 9 43.4 44.7 0.0 50.7 10.5 10.1 29.8 0.0 300~400만원 미만 14 20.1 30.3 21.3 18.0 20.9 29.5 19.6 18.0 400만원 이상 29 34.8 22.4 30.2 28.9 16.2 14.3 7.0 13.5 모름/무응답 4 51.4 27.2 57.1 21.5 27.2 0.0 0.0 0.0 119구급차 41 46.1 15.9 30.0 22.8 15.9 17.8 14.5 9.4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15 21.6 46.0 25.0 26.9 28.6 14.2 0.0 24.9 병원구급차 11 8.3 67.9 21.7 38.5 10.4 11.4 23.7 0.0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42 -

Ⅲ. 구급차 서비스 심 15 재이용 의향 ü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자 중, 92.3%가 다시 이용하겠다 고 응답하였 으며 2013년(87.6%) 대비 4.7%p 증가함 ü 구급차 서비스 유형별 재이용 여부는 2013년 대비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119 구급차가 96.3%로 가장 높았고, 병원 구급차는 81.2%,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는 64.8%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재이용 의향] Q 귀하께서는 최근 이용하신 구급차 서비스를 다시 이용하시겠습니까? - 43 -

응답자 특성별 분석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 재이용 의향] F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를 다시 이용하겠다 는 응답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규모가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최근이용 구급서비스 단위[%] 사례수 (명) 다시 이용 하겠다 다시 이용하지 않겠다 모르겠다 전체 634 92.3 6.6 1.2 남성 312 91.3 7.5 1.1 여성 322 93.2 5.7 1.2 20대 80 89.3 9.2 1.5 30대 110 93.3 5.9 0.8 40대 144 89.2 9.4 1.3 50대 156 94.1 4.7 1.2 60대 이상 144 94.2 4.8 1.0 서울 140 91.6 7.4 1.0 부산 32 92.0 8.0 0.0 대구 30 94.1 5.9 0.0 인천 33 92.4 7.6 0.0 광주 16 76.4 15.9 7.6 대전 16 94.3 5.7 0.0 울산 10 66.0 25.2 8.8 경기 158 93.0 5.2 1.8 강원 21 95.8 4.2 0.0 충북 19 89.4 10.6 0.0 충남 40 95.4 2.1 2.5 전북 20 100.0 0.0 0.0 전남 28 93.2 6.8 0.0 경북 22 82.4 17.6 0.0 경남 40 97.9 2.1 0.0 제주 10 100.0 0.0 0.0 대도시 276 90.4 8.4 1.3 중소도시 301 93.6 5.5 0.9 읍면지역 57 94.6 3.6 1.8 농/임/어업/축산업 13 100.0 0.0 0.0 자영업 164 92.2 6.5 1.3 판매/기술/노무직 49 90.9 6.3 2.8 전문/사무/관리직 212 90.6 8.5 0.9 전업주부 124 93.0 5.5 1.6 학생 27 100.0 0.0 0.0 무직/기타 43 92.7 7.3 0.0 무응답 2 100.0 0.0 0.0 중졸이하 100 90.0 9.0 0.9 고졸 227 92.9 4.7 2.4 대졸 264 92.8 6.8 0.3 대학원졸 이상 36 91.5 8.5 0.0 무응답 7 86.7 13.3 0.0 200만원 미만 139 90.1 8.6 1.4 200~300만원 미만 108 90.6 7.2 2.2 300~400만원 미만 127 98.1 1.9 0.0 400만원 이상 217 91.2 7.8 1.0 모름/무응답 43 91.7 6.1 2.2 119구급차 517 96.3 3.1 0.6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49 64.8 28.6 6.6 병원구급차 68 81.2 17.5 1.4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44 -

Ⅲ. 구급차 서비스 심 16 지인에게 추천 의향 ü 최근 1년 이내 구급차 서비스 이용자 중, 50.8%는 최근 이용한 구급차를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순추천치수(NPS)는 30.2%이며, 2013년(30.9%) 대비 0.7%p 소폭 감소함 ü 구급차 서비스 유형별 고객 순추천치수(NPS)는 119 구급차(44.2%)가 가장 높고,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43.6%)가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이용 구급차 서비스에 대한 지인에게 추천 의향] Q 귀하께서는 최근 이용하신 구급차 서비스를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10점 만점으로 평가할 때 얼마나 있으십니까? - 45 -

응답자 특성별 분석 [구급차 서비스 지인에게 추천의향] F 최근 이용한 구급차 서비스를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규모가 작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 규모별 직업별 학력별 월소득별 최근이용 구급서비스 단위[%] 사례수 (명) 비추천 의향자 (0~6점) 보통 (7~8점) 추천 의향자 (9~10점) 전체 634 20.6 28.6 50.8 30.2 남성 312 20.4 28.7 50.9 30.5 여성 322 20.7 28.5 50.8 30.1 20대 80 32.1 42.4 25.5-6.6 30대 110 24.5 28.3 47.3 22.8 40대 144 22.9 27.1 50.0 27.1 50대 156 15.2 22.5 62.2 47.0 60대 이상 144 14.7 29.3 56.0 41.3 서울 140 20.7 30.0 49.3 28.6 부산 32 17.2 37.6 45.2 28.0 대구 30 27.2 20.6 52.1 24.9 인천 33 21.4 32.6 45.9 24.5 광주 16 26.7 41.9 31.4 4.7 대전 16 11.7 17.3 71.0 59.3 울산 10 23.9 26.6 49.5 25.6 경기 158 21.2 25.8 53.0 31.8 강원 21 17.6 44.4 38.0 20.4 충북 19 22.1 21.1 56.8 34.7 충남 40 25.7 26.9 47.4 21.7 전북 20 21.7 23.9 54.5 32.8 전남 28 9.3 27.7 63.0 53.7 경북 22 31.2 34.0 34.8 3.6 경남 40 17.2 26.6 56.2 39.0 제주 10 0.0 31.2 68.8 68.8 대도시 276 21.0 30.0 49.0 28.0 중소도시 301 19.9 30.0 50.1 30.2 읍면지역 57 22.1 14.4 63.4 41.3 농/임/어업/축산업 13 10.7 18.6 70.7 60.0 자영업 164 20.1 23.2 56.6 36.5 판매/기술/노무직 49 19.0 30.9 50.1 31.1 전문/사무/관리직 212 22.9 29.8 47.3 24.4 전업주부 124 17.1 31.4 51.5 34.4 학생 27 25.8 41.1 33.1 7.3 무직/기타 43 20.6 29.1 50.3 29.7 무응답 2 55.7 0.0 44.3-11.4 중졸이하 100 16.6 25.5 57.9 41.3 고졸 227 22.7 29.2 48.1 25.4 대졸 264 21.0 30.8 48.2 27.2 대학원졸 이상 36 15.9 18.0 66.1 50.2 무응답 7 13.3 26.5 60.2 46.9 200만원 미만 139 16.7 26.3 57.0 40.3 200~300만원 미만 108 21.6 27.2 51.3 29.7 300~400만원 미만 127 19.4 32.9 47.7 28.3 400만원 이상 217 22.3 27.4 50.3 28.0 모름/무응답 43 25.3 33.2 41.5 16.2 119구급차 517 13.3 29.2 57.5 44.2 민간 이송업체 구급차 49 61.9 19.8 18.3-43.6 병원구급차 68 46.5 30.4 23.0-23.5 NPS * 사례수가 소수인 경우 응답자 특성별 현황에 대한 참고치로만 활용하며,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함 - 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