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letter IDEC Newsletter 통권 : 제191호 발행일 2013년 월 30일 발행인 박인철 편집인 남병규 제 작 푸울디자인 기 획 전항기 전 화 02) 350-8535 팩 스 02) 350-850 홈페이지 http://idec.or.kr E-mail jhg0929@idec.or.kr 발행처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 Vol.191 HEVC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 기술 0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 08 Platform Architect MCO 12 Platform Architect MCO 16 반도체설계교육센터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회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매그나칩반도체, 동부하이텍,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KEC, 세미텍, TowerJazz)의 지원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HEVC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 기술 HEVC는 H.26/AVC에 비해 약 35%의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차세대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급 영상과 UHD급 영상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HEVC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며, 가까운 시기에 최적화된 HEVC 하드웨어 및 소프트 웨어 솔루션이 시장에 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원고에서는 HEVC 최종 표준안에 정의된 주요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기사 P0~07참조)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1977년 애플 컴퓨터가 8-비트 개인용 컴퓨터 Apple II를 발표한 이래, 개인용 PC 시장은 최근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는데, 최근 전 세계 개인용 PC의 매출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태블릿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온 아이폰은 고성능 AP, 안정적인 운영체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내장을 바탕으로 기존 전화기의 한계를 벗어나 멀티미디어, PDA 및 게임 기기로 스마트폰을 탈바꿈시키고 있다. 본 고에서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ADK에 대해 소개하고, ADK를 활용한 앱 개발 방안을 다루고, 마지막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와 융합 방안 및 전망을 살펴본다. (관련기사 P08~11 참조) Complete analog, mixed-signal, and RF circuit design environment 실바코는 아날로그 및 mixed-signal IC 설계를 위한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선도 업체이다. 198년에 창립 이래 TCAD 공정 및 소자 시뮬레이션, Spice 파라미터 추출, 회로 시뮬레이션 및 custom IC 디자인과 검증에 필요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실바코의 Complete analog, mixed-signal, and RF circuit design environment을 소개하고자 한다. (관련기사 P12~1 참조) FETCH 2013 참석 후기 지난 1월 7일부터 9일에 걸쳐 개최된 FETCH는 Heterogeneous Embedded System 설계를 위한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workshop으로써, 올해로 7번째를 맞이하여 진행하 였다. 본 취지는 프랑스, 스위스 캐나다의 불어권 지역 연구자들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박사 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최신 연구 동향 및 연구 방향을 제시해 주기 위 해서 만들어졌다. 본 후기담은 technical program chair (TPC)를 맡아서 프로그램 구성 및 speaker 초청과 local organization에 해당하는 일을 총괄하여 진행한 로잔연방 공대 김정수 박의 시선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기사 P16~18 참조)
May 2013 2013년 5월 교육프로그램 안내 수강을 원하는 분은 IDEC홈페이지(www.idec.or.kr)를 방문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IDEC 강좌 일정 센터명 강의일자 5월 3일 한양대 MPW 설계 진행 현황(2013) MPW회차 제작가능 면적 (면적) x칩수 채택 실제제작면적 팀수 (면적) x칩수 /회별 삼성 1 119 23 65nm 2 121 (년3회) 3 126 (x)x 8 (x)x23 DB마감 Die -out 비고 공정 13.3.15 13.8.15 제작중 27 (x)x27 13.7.5 13.12.6 9 (x)x9 13.11.8 1..11 정규모집예정 설계중 동부 0.35um BCD (년회) 1 118 2 MH 0.18um (년회) MH 0.35um (년2회) 2 120 (.5x)x 20 21 (.5x)x16 (.5x2)x8 (.5x)x19 (.5x2)x2 13.2.18 13.7.22 제작중 13.05.06 13.10.0 설계중 (년1회) 3 122 19 (.5x)x19 13.7.29 13.12.2 설계중 125 8 (.5x)x8 13.10.21 1.3.25 정규모집예정 121 127 (5x)x 20 TJ SiGe (5x)x20 13.6.17 13.10. 설계중 3 (5x)x3 13.12.2 1.3.25 정규모집예정 TJ BCD 28 동부 0.11nm 동부 0.18um BCD (년회) (5x2.5)x 2 12 28 (2.5x2.5)x8 (5x2.5)x20 (2.5x2.5)x8 13.3.20 13.7.31 13.9.11 제작중 1.1.22 설계중 120 (5x2.5)x 13.05.15 13.08.28 설계중 121 (5x2.5)x 13.6.26 13.10.9 설계중 (5x2.5)x 123 126 3 0 (5x2.5)x1 (2.5x2.5)x2 0 118 6 120 (2.5x2.5)x10 (5x2.5)x 8 125 2 (5x2.5)x2 119 DB마감 Die -out 비고 13.2.27 13.6.12 제작중 13.05.01 13.08.1 설계중 13.8.1 13.11.27 설계중 13.10.23 1.2.5 정규모집중 13.3.12 13.7.1 13.05.06 13.09.16 설계중 125 2 (2.5x2.5)x2 13.10.1 1.2.17 정규모집중 120 2 125 1 120 (년2회) 2 125 0 (5x5)x1 (5x2.5)x1 0 13.05.20 13.09.16 설계중 2 (2.5x2.5)x2 13.10.21 1.2.17 정규모집중 문의 : 이의숙 (02-350-28, yslee@idec.or.kr) NDA가 체결된 Design Data 유출 금지 안내 IDEC의 MPW 참가를 통해 전달받은 Design Data 일체는 NDA를 통해서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며, 관리 소홀로 인 한 외부로의 공개 또는 유출 시 개인뿐만 아니라 개인이 속해 있는 WG에 자격 박탈과 같은 강력한 규제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협약에 의해, 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MPW 참여자 분들은 Design Data 및 관 련 자료의 관리를 철저히 하시어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거듭 당부 드립니다. NDA 체결 후 수령한 Design Kit 일체는 IDEC에 칩 수령 후 2개월 이내에 반드시 삭제하고, NDA 폐기확인서를 제출하여 제3자에 의한 공개 및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02 03 IDEC Newsletter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idec.or.kr) 참조 문의 : 한양대 IPC 이은영 (031-00-079, hyuipc@gmail.com) 신간소개 책 제목 : Modern VLSI Layout Design - SECOND EDITION 저자 : - KIM Yong-Bin,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North Eastern University, USA - Kyung-Ki,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본 교재는 미국의 North Eastern University에서 VLSI System Design Laboratory 과정에서 한 학기 동안 수행하는 내용으로, 2000년 이후에 강의 및 실 습과정에서 사용된 재료들을 이용해서 편집되었다. 본 교재에서는 9개의 실습과정 이 있는데, 강좌 편집에 따라서 대체로 1주일에 1~2개 Lab을 마치는 것으로 하여, digital 부문만 취할 수 도 있고, 또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 설계 및 layout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교재의 첫판은 2002년에 CMOS VLSI Layout Artwork Design and Lab으로 출간되었고, 이번 2nd Edition에서는 Analog Circuit, RF IC, ESD Protection 등에 대한 layout 기본 기술에 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이에 따른 MyCAD는 layout 및 검증용만이 아닌, 아날로그 시뮬레이션용 MyAnalog, logic 및 VHDL 설계용인 MyLogic 및 MyVHDL Station도 같이 이용되었다. 책 내용에 쓰인 내용에 따른 교 육용 slide는 이번 학기에 김경기 교수가 준비 중이고, 당분간 교육에 필요한 그림 은 요청하면 slide 형태로 제공된다. 13.10.21 1.2.17 정규모집중 125회l(13-08) 정규 모집(TJ CIS/RF/BDC, MH 0.18um, 동부 0.35um): ~.30 마감 123회(13-06) 후기모집(동부 0.18um 공정) : 5.2~ 선착순 마감 M/H : 매그나칩/SK하이닉스, TJ : TowerJazz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준 : 2013.. 25 1.2.6 정규모집예정 강좌일 : 5월 3일 강좌 제목 : Application processor 기술동향 강사 : 정준목 수석연구원(삼성전자)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idec.or.kr) 참조 13.05.20 13.09.16 설계중 13.8.21 13.12. 후기모집예정 13.11.13 System level design/architecture approaches 세미나 for reliable SoC 제작중 TJ RF * * * * * (5x2.5)x 6 10 (5x2.5)x6 (5x2.5)x20 123 (년2회) (년2회) 119 제작가능 면적 (면적) x칩수 채택 실제제작면적 팀수 (면적) x칩수 /회별 120 20 (5x2.5)x20 MPW회차 TJ CIS 분류 강좌일 : 5월 3일 강좌 제목 : Application processor 기술동향 강사 : 정준목 수석연구원(삼성전자) MPW (Multi-Project Wafer) 공정 5월 13일 강의제목 Application processor 기술동향 본 교재는 CMOS VLSI layout에 대한 이해와 그 layout design rule에 따른 여러 가지 전자회로의 layout 기술을 설명하였다. Layout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거기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검증이 필요하므로 CAD tool의 이용은 필수적이다. 여기서 교 육용으로 MS Windows PC에서 운용되는 MyCAD를 이용하여 설계하게 했다. 무료 프로그램 다운로드 : www.mycad.co.kr 가격 / 출판사 / 문의 및 연락처 가격 : 30,000원 출판사 : MyCAD Press (Tel: 02-332-1210, mycad@seloco.com) 문 의 : 김민정 (Tel : 02-332-1210, jenny@seloco.com)
기술동향컬럼 HEVC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 기술 HEVC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 기술 광주과학기술원 실감방송연구원 호요성 교수 연구분야 : 영상신호처리, 영상압축, 3DTV, MPEG/HEVC E-mail : hoyo@gist.ac.kr http://vclab.kjist.ac.kr/ IDECNewsletter 5 고화질 영상 압축 기술의 필요성과 목적 2013 국제 가전제품 박람회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는 다양한 UHDTV(Ultra High Definition TV)가 출품되 었다. UHDTV는 HDTV (High Definition TV) 대비 배 또는 16배 의 해상도를 가지며, 매우 사실적인 고품질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UHDTV는 3DTV와 더불어 HDTV 이후의 차세대 실감방송 서 비스의 주요한 방송 기술이다.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도 기본 화면 해 상도가 HD급인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차세대 영상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발맞춰 다양한 차세대 멀티미디 어 제품들이 출시되는 가운데, 고화질 영상처리 기술에 대한 관련 산 업계 및 학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DTV, DMB, DVD, 디지털 캠코더, 영상 블랙박스, IPTV,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사용되는 H.26/AVC 표준[1]은 고해상도 및 고화질 영상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는 한계가 있다. ITU-T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과 ISO/IEC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은 H.26/AVC보 다 더 개선된 압축률과 더 낮은 복잡도를 갖는 새로운 차세대 동영상 압축 표준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0년 초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2][3]라는 새로운 표준화 활동을 시작했다. 마침내 2013년 1월 스위스 제네바 회의에서 HEVC 최종 표준안(FDIS: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이 완성되었다. HEVC는 H.26/AVC에 비해 약 35%의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차세 대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급 영상과 UHD급 영상의 방대한 데이터 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HEVC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 할 것으로 예상하며, 가까운 시기에 최적화된 HEVC 하드웨어 및 소 프트웨어 솔루션이 시장에 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원고에서는 HEVC 최종 표준안에 정의된 주요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JCT-VC의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기술 개발 ITU-T VCEG과 ISO/IEC MPEG은 영상 압축 표준화 활동의 양대 축이다. 이 두 그룹은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상호 협력하며 다양한 영상 압축 표준을 만들어왔다. VCEG은 H.26/AVC FRExt 표준 이 후의 차세대 표준기술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다양한 핵심 기술들의 잠재력을 조사를 시행했다. 2005년 월에 VCEG에서는 압축효율 개선, 복잡도 감소, 피드백 기 반 오류 강인성 등을 KTA(Key Technology Areas)로 정의하고, H.26/AVC를 기반으로 하는 KTA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향후 비 디오 압축 표준을 준비했다. 2008년 10월에 MPEG에서는 새로운 영상 부호화 표준에 대한 브레 인스토밍 회의를 하고, 같은 해 7월부터 새로운 영상 부호화 표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이후 MPEG은 새로운 표준화를 시 작할 만큼 기술적으로 성숙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fE (Call for Evidence) 문서를 공식적으로 발행했고, 고성능 비디오 코덱에 대 한 비전과 요구사항에 관한 문서를 발행하였다 [5]. 2009년 7월 CfE 평가 결과 기존의 H.26/AVC 표준 대비 30% 이 상의 압축률 향상이 검증되었고, 새로운 영상 부호화 표준인 HVC (High-performance Video Coding)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기로 했 다. 같은 시기 VCEG 역시 그간 KTA를 중심으로 차세대 비디오 압 축에 관한 기술 발굴을 해오던 작업의 중간 결론으로, 기존 성능을 크게 개선할만한 기술적 성숙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는 자체 평 가와 함께 H.NGVC(Next Generation Video Coding)라는 이름 아 래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를 추진할 뜻을 밝혔다. 2009년 10월, 제90차 MPEG 회의에서는 새 표준을 위한 CfP (Call for Proposals) 초안을 발행하면서 향후 표준화 일정을 수립하고 VCEG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제91차 MPEG 회의에서 MPEG과 VCEG이 협력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하고 두 기관이 공동으 로 CfP을 발행했다 [6]. 협력팀의 이름은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이다. 이후 활발한 표준화 활동을 거쳐 2013년 1월 드디어 최종 표준안이 완성되었다. 새롭게 승인된 이 표준을 ISO/IEC는 MPEG-H Part 2, ITU-T는 H.265로 명명했다. 그림 1. 영상 압축 표준의 발전 HEVC 표준 주요 기술 그림 2는 HEVC 표준의 부호화기를 보여준다. HEVC에는 H.26/AVC와 달리 하나의 프로파일만 존재한다. 표 1은 HEVC의 유일한 프로파일인 Main Profile에 포함된 기술들을 정리한 것이다. 본 장에서는 이 프로파일에 포함된 핵심 부호화 기술들을 소개한다. 기술 분야 계층적 부호화 구조 변환 양자화 화면내 예측 화면간 예측 엔트로피 부호화 루프 필터 기타 그림 2. HEVC 부호화기의 블록도 부호화 기술 - CU (Coding Unit): 8 8부터 6 6 크기의 쿼드 트리 분할 - PU (Prediction Unit): 정방형, 비정방형 예측 블록 - TU (Transform Unit): 부터 32 32 크기의 정방형 변환 - to 32 32 크기의 정수 DCT 변환 - 화면내 블록을 위한 정수 DST 변환 - 화면간 슬라이스에서 PU보다 큰 TU 사용 - PCM (Pulse Code Modulation) 예측 - RDOQ (Rate Distortion Optimized Quantization) - 33개의 방향성을 갖는 각도 기반 화면내 예측 - DC 예측과 Planar 예측 - 휘도 블록을 위한 1/ 화소 정확도 샘플 보간 - 색차 블록을 위한 1/8 화소 정확도 샘플 보간 - AMVP (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 Merge 모드 - 문맥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디블록킹 필터 - SAO (Sample Adaptive Offset) - 샘플당 8비트로 데이터 저장 및 출력 표 1. HEVC Main Profile 계층적 부호화 구조 HEVC에서는 쿼드트리 기반 부호화 기술이 사용된다. 하나의 화면 은 정사각형의 부호화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CTB)들로 분 할되고, 각 CTB는 부호화 트리의 루트(root)가 된다 [7]. 즉, CTB는 부호화 블록(coding block, CB)들로 분할된다. CB의 크기는 쿼드 트리 기반 분할 방법을 통해 적응적으로 선택된다. 각 CB는 예측 트리와 변환 트리의 루트가 된다. 예측 트리는 한번만 분할되며, 임의의 CB가 어떻게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 PB)으 로 분할되는지를 알려준다. 즉, 예측 트리에 해당하는 구문 요소들은 예측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기술한다. 그림 3은 HEVC Main Profile에 정의된 화면 간 부호화에서 사용되는 PB 분할을 보여준다. 그림 3. 화면간 예측에서 PB 분할 모드 예측 후의 변환 부호화에서는 임의의 CB는 더 작은 변환 블록 (transfor block, TB)들로 분할된다. HEVC에서는 임의의 CB에 대 해, TB와 PB가 독립적으로 결정되므로 PB보다 큰 TB의 선택이 가 능하다. 그림 는 하나의 CTB에 대한 CB와 TB가 분할되는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굵은 선은 CTB를 의미하고, 실선은 CB를, 점선은 TB를 의미한다. 그림. CTB 분할 (실선은 CB, 점선은 TB를 의미) 서로 다른 트리의 모든 블록은 서로 다른 크기의 특정한 샘플 배열 에 해당한다. 연관된 트리에 따라, 이 블록들은 단위(unit)라 불리는 특정한 구문 구조와 연관된다. TB 샘플 배열들과 그와 관련한 구문 요소들(coded block flag 또는 transform coefficient level)은 변 환 단위(transform unit, TU)로 분류된다. 예측 단위(prediction unit, PU)는 예측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한다. 즉, 예측 배열과 움 직임 벡터 또는 화면 내 모드와 같은 구문 요소가 PU에 포함된다. CB 샘플 배열과 그와 관련된 구문 요소들은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로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CTB 배열과 그와 연관된 구문 요 소, 그리고 해당 CTB에 포함된 CU들은 부호화 트리 단위(coding tree unit, CTU)로 간주한다. 화면 내 예측 부호화 기술 HEVC 화면 내 예측에서는 현재 블록과 인접한 PU의 경계 화소들 을 사용한다. 경계 화소들은 이전에 부호화되고 복호화되어 사용 가 능하다. 화면 내 부호화에서 사용 가능한 예측 모드는 표 2와 같이 0번부터 35번까지 정의되어 있다. 휘도 블록에서는 임의의 PU에 대 해 0번부터 3번까지로 정의된 DC 모드, Planar 모드, 33개의 Angular 예측 모드를 사용한다 [8]. 색차 블록에서는 Planar, 수직, 수평, DC 예측 모드, 그리고 DM_Chroma_Idx 모드를 추가로 사용
기술동향컬럼 HEVC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 기술 IDECNewsletter 6 7 한다. DM_Chroma_Idx 모드는 휘도 블록의 예측 모드를 색차 블록 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모드로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간의 값 특성 이 유사한 경우 부호화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모드 번호 이름 0 Planar 1 DC 2~3 Angular 예측 표 2. 화면내 예측 모드 화면간 움직임 예측 기술 HEVC 화면간 움직임 예측의 주요 특징은 AMVP (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기술과 Merge 기술이다 [9]. H.26/AVC에서는 주변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의 중간값(median) 을 이용해 하나의 움직임 벡터 예측값을 생성하고, 실제 움직임 벡터 와 이 예측값의 차를 부호화한다. HEVC에서는 다양한 움직임 벡터 예측값들을 경쟁시켜 현재 움직임 벡터와 최소의 차이를 갖는 움직 임 벡터 예측값을 이용하는 AMVP 기술을 사용한다. AMVP는 두 개의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를 사용한다. 먼저 두 개의 공간적 움직 임 벡터 예측 후보를 탐색한 후, 그 중 하나 이상의 후보를 사용할 수 없거나 두 개의 후보가 중복되는 경우, 하나의 시간적 움직임 예 측 후보를 탐색한다. 그림 5는 공간적 및 시간적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들을 보여준다. 후보들은 그림 5와 같이 해당 블록의 위치에 따 라 결정된다. AMVP의 공간적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는 그림 5의 {A 0, A 1 } 중에서 하나의 후보를, {B 0, B 1, B 2 } 중에서 하나의 후보를 선정한다. 만약 해 당 블록이 현재 슬라이스를 벗어나거나 화면 내 부호화된 블록일 경 우에는 후보가 될 수 없다. 시간적 후보로는 그림 5와 같이 참조 화 면의 collocated PU의 오른쪽 대각선 아래에 있는 T 1 블록을 사용 한다. 이 블록이 사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collocated PU의 중간에 있는 T2 블록을 사용한다. 현재 움직임 벡터와 예측 움직임 벡터의 차이가 0인 경우 Merge 기술을 사용한다. Merge 기술은 현재 PB 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복호기로 전송하지 않고, 공간적 또는 시간상 으로 인접한 블록들로부터 산출하는 기술이다. Merge 기술이 사용 되는 경우, 사용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와 어떠한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가 사용되었는지를 알리는 인덱스 정보가 전송된다. Merge 기 술을 사용하면 AMVP의 경우보다 전송해야 하는 비트량이 감소하 므로 부호화 성능이 향상된다. Merge 기술에서의 공간적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탐색 순서는 {A 1, B 1, B 0, A 0, B 2 }이다. 시간적 움직 임 벡터 예측 후보 탐색 방법은 AMVP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림 5. 화면간 예측에서 공간적/시간적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루프 필터 기술 HEVC는 디블록킹 필터[10]와 SAO(Sample Adaptive Offset)[11], 두 가지 루프 필터를 사용한다. 디블록킹 필터는 예측 및 양자화로 덕분에 발생하는 블록 경계의 왜곡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복호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하는 기술이다. 또한, 복호화 과정 내에 디블록킹 필터 과정이 포함된 루프 내 필터링(in-loop filtering)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참조 영상으로 활용하게 되 어 부호화 효율도 달성할 수 있다. HEVC의 디블록킹 필터는 H.26/AVC의 디블록킹 필터와 상당히 유사하지만, 복잡한 연산 과 정을 간략화한 기술이다. SAO는 양자화 등의 부호화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원본 영상과 복호 영상 간의 왜곡을 화소 단위의 오프셋(offset)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주관적 화질 및 부호화 효율을 함께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SAO 기술 에서는 왜곡의 정도가 다른 화소를 구분해 서로 다른 오프셋을 적용 하는 적응적인 보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영상의 특성에 따라 부분적 으로 다르게 발생하는 왜곡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H.26/AVC에서 두 개의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을 사용했던 것과 달 리, HEVC는 문맥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12][13]를 하나의 엔 트로피 부호화 기술로 사용한다. CABAC은 실험을 통해 얻은 확률 로 부호화해야 할 각 구문요소의 문맥 모델(context model)을 만들 고, 이를 이용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한다. CABAC은 그림 6과 같이 크게 이진화, 문맥 모델링, 이진 산술 부호화, 확률 업데이트 부 분으로 구성된다. 이진화 단계는 이진값이 아닌 신택스 요소를 이진화된 시퀀스로 매 핑하는 과정이다. 만약 이진값을 갖는 신택스 요소가 입력 신호로 주 어지면, 첫 번째 단계인 이진화 과정은 생략된다. 이진화된 시퀀스의 각 이진값은 문맥 모델링 단계로 들어간다. 여기서 이진값은 이진화 과정에서 생성된 이진 시퀀스의 각각의 비트를 의미한다. 문맥 모델 링 단계에서는 현재 이진값에 대응하는 확률 모델을 이전에 부호화 된 신택스 요소, 혹은 이진값에 따라 선택한다. 확률 모델을 결정한 후, 결정된 확률 모델과 주어진 이진값을 이용하여 이진 산술 부호화 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확률 모델을 업데이트한다. 그림 6. CABAC의 구조 HEVC의 부호화 성능 2012년 12월, HEVC 이전의 영상 압축 표준들과 HEVC 표준의 성 능 비교 결과가 발표되었다 [1]. HEVC 표준의 주요 목적 중 하나 가 다양한 전자기기에서의 고품질 영상 서비스이므로, 성능 평가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full-hd(1920 1080)급 영상과 모바일 기기를 위한 WVGA(832 80)급 영상에 대해 수행되었다. 성능 평가에는 HEVC Test Model (HM) 8.0[15]이 사용되었다. HM은 HEVC 표준 화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JCT-VC에서 유지 및 관리된다. 주 로 기술 제안을 목적으로 이 소프트웨어에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성 능을 평가한다. 표 3은 성능 평가에 사용된 실험 영상 목록이고, 표 는 부호화 성 능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성능 비교에 사용된 영상 압축 표준은 H.262/MPEG-2 Main Profile (MP), H.263 High Latency Profile (HLP), MPEG- Advanced Simple Profile (ASP), H.26/MPEG- AVC High Profile (HP)이다. 표 3은 동일한 화질 에 대해 각 영상 압축 표준들의 부호화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표 3 에서 볼 수 있듯이, HEVC는 H.26/MPEG-2 MP에 비해 약 35.%, MPEG- ASP에 비해 63.7%, H.263 HLP에 비해 65.1%, MPEG-2/H.262 MP에 비해 70.8%의 비트율 절감 효과를 보인다. 그림 7은 실험 영상 중 하나인 Park Scene 영상에 대한 부호화 성 능 비교 실험 결과를 율-왜곡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영상 해상도 프레임율 (fps) 프레임 수 Kimono 1920 1080 2 20 Park Scene 2 20 Cactus 50 500 BasketballDrive 50 500 BQTerrace 60 600 BasketballDrill 832 80 50 500 BQMall 60 600 PartyScene 50 500 RaceHorses 30 300 표 3. 실험 영상 비트율 절감률 (%) H.26/MPEG- MPEG- ASP H.263 HLP MPEG-2/H.262 AVC HP MP HEVC MP -35. -63.7-65.1-70.8 H.26/MPEG- AVC HP - -.5-6.6-55. MPEG- ASP - - -3.9-19.7 H.263 HLP - - - -16.2 표. HEVC Main Profile의 부호화 성능 그림 7. 율-왜곡 곡선 결론 본고에서는 최근 완성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 준의 주요 기술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표준 완성 후 안정화된 제 품이 시장에 나오기까지 소프트웨어는 약 2년, 하드웨어는 약 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HEVC는 학계뿐 아니라 세계 유수 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만들어진 표준이며, 매번 회의에 1,000개가 넘는 기고서가 제안될 정도로 활 발한 표준화 작업의 산물이다. 이러한 추세로 볼 때 빠른 시일 안에 많은 응용분야에서 HEVC 표준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HEVC 영상 압축 표준을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핵심 기 술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본 원고가 HEVC 표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1] H. Schwarz, D. Marpe, and T. Wiegand, Overview of the scalable video coding extension of the H.26/AVC standard,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17, No.9, pp. 1103-1120, Sept. 2007. [2] 호요성, 최정아, UHD 고화질 영상 압축 기술: HEVC 알고리즘 이해와 프 로그램 분석, 진샘미디어, 2013. [3] 심동규, 차세대 비디오 표준 압축 기술 HEVC, IDEC Newsletter, pp. 0-08, 2011년 07월. [] ITU-T SG16 WP3 and ISO/IEC JTC1/SC29/ WG11,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text specification draft 10 (for FDIS & Consent), JCTVC document, L1003, Geneva, CH, Jan. 2013. [5] ISO/IEC JTC1/SC29/WG11, Vision,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for high performance video coding (HVC), MPEG document, N11096, Kyoto, JP, Jan. 2010. [6] ISO/IEC JTC1/SC29/WG11, Joint call for proposals on video compressiontechnology, MPEGdocument, N11096, Kyoto, JP, Jan. 2010. [7] Y. Yuan, I. Kim, X. Zheng, L. Liu, X. Cao, S. Lee, M. Cheon, T. Lee, Y. He, and J. Park, Quadtree based non-square block structure for inter frame coding i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07-1719, Dec. 2012. [8] J. Lainema, F. Bossen, W. Han, J. Min, and K. Ugur, Intra coding of the HEVC standard,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92-1801, Dec. 2012. [9] M. Bici, K. Ugur, J. Jung, G. Clare, and T. Wiegand, Block merging for quadtree-based partitioning in HEVC,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20-1731, Dec. 2012. [10] A. Norkin, G. Bjøntegaard, A. Fuldseth, M. Narroschke, and M. Ikeda, HEVC deblocking filter,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6-175, Dec. 2012. [11] C. Fu, E. Alshina, A. Alshin, Y. Huang, C. Chen, C. Tsai, C. Hsu, S. Lei, J. Park, and W. Han, Sample adaptive offset in the HEVC standard,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55-176, Dec. 2012. [12] V. Sze and M. Budagavi, High Throughput CABAC Entropy Coding in HEVC,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778-1791, Dec. 2012. [13] 최정아, 호요성, HEVC 화면내 부호기를 위한 효율적인 변환 계수 부호 화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2호, pp. 06-11, 2012년 06월. [1] J. Ohm, G. Sullivan, H. Schwarz, T. Tan, and T. Wiegand, Comparison of the coding efficiency of video coding standards? including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22, no. 12, pp. 1669-168, Dec. 2012. [15] HEVC Test Model, HM 8.0, https://hevc.hhi.fraunhofer.de/svn/ svn_hevcsoftware/tags/hm-8.0/.
기술동향컬럼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 동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최병윤 교수 연구분야 : 컴퓨터 구조 및 SoC 설계 E-mail : bychoi@deu.ac.kr http://hyomin.deu.ac.kr/~bychoi 8IDECNewsletter 서론 1977년 애플 컴퓨터가 8-비트 개인용 컴퓨터 Apple II를 발표한 이 래, 개인용 PC 시장은 최근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는데, 최 근 전 세계 개인용 PC의 매출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한 것으 로 알려지고 있는데, 태블릿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온 아이폰은 고성능 AP, 안 정적인 운영체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내장을 바탕으로 기존 전화 기의 한계를 벗어나 멀티미디어, PDA 및 게임 기기로 스마트폰을 탈바꿈시키고 있다. 훨씬 많은 제조업체와 공개 전략으로 무장한 안드로이드 폰은 2008 년 10월에 첫 번째 제품을 발표한 이래 매년 몇 차례씩 버전을 갱신 시키며, 2013년 월 현재.2 버전인 젤리빈(Jelly-Bean)이 시장에 판매되고 있으며, 2012년 분기를 기준으로 전 세계 스마트 폰 시장 의 약 75%를 점유하고 있다. 개인용 PC는 초기에는 업무용과 멀티미디어 기기로 한정되어 사용 되었지만, 내장된 외부 확장 기능인 PCI, PCI-X 버스, USB 버스, 직 병렬 포트, 이더넷, 블루투스 등을 활용하여, 가정 자동화, 가전 제품 원격제어, 계측기기 및 주변 장치와 연계된 응용 제품 등을 통 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유사한 기술 개발 흐름으로 휴대성과 통신 기능, 적절한 연산 성능을 갖춘 스마트폰에 대한 기능과 미래 응용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 으로 구글은 2011년 5월 개발자 컨퍼런스인 Google IO에서 외부 하드웨어와 안드로이드 기기가 통신하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표준(Android Open Accessory Standard)을 발표하였다.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표준은 크게 2개의 USB 디바이스 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안드로이드 공개 액세서리 프레임워크(Android Open Accessory Framework)과 외부 액세서리를 만드는 데 필요 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인 액세서리 개발 키트(Accessory Development Kit, ADK)로 구성된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표준을 통해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에 외장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1- ]. 구글 사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표준의 폭넓은 활용을 지원 하기 위해 ADK 레퍼런스 보드와 보드를 활용한 예제 프로그램을 공 개하였는데 ADK 보드는 그림 1과 같이 레퍼런스 베이스 보드와 연 결되는 데모 쉴드 보드로 구성된다. (a) (b) 그림. 구글 사가 소개한 안드로이드 ADK 보드 (a) 입출력 장치를 내장한 데모 쉴드 보드 (b) ADK 레퍼런스 보드 외국에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관련 서적이 많이 출시되고 있 으나 국내에서는 관련 책이 거의 없고, 최근 국내 일부 벤처 회사에 서 교육용 보드를 만들어 시장에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컬럼에 서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ADK에 대해 소개하고, ADK를 활 용한 앱 개발 방안을 다루고, 마지막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와 융합 방안 및 전망을 살펴본다.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에는 USB 호스트 모드(host mode)와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모드(Android Open Accessory mode)가 존재한다. USB 버스의 호스트의 핵심 기능은 데이터 전송을 주도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함과 동시에 USB 슬 레이브 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USB 호스트 모드가 지원되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의 경우 거의 모 든 PC의 USB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사용자 앱에서 이것을 활 용할 수 있다. USB 호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경우 외부 하드웨어와 벌크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 서리 모드(Android Open Accessory mode)가 존재한다. 현재 대 부분의 안드로이드 폰은 USB 호스트 기능을 있지 않으므로 액세서 리 모드를 통해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표준을 구현한다. 액세서리 모드에서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안드로이드 폰 혹은 태블 릿 컴퓨터)가 USB 슬레이브이고, 주변 액세서리(즉, ADK 보드)가 USB 호스트가 된다. 그림 2는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모드를 활 용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안드로이드 액세서리 보드는 USB 호스트 기능을 위해 별도의 호스트 제어 칩을 사용하고 있다[5]. 그림 2.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모드를 사용한 하드웨어 구성 구글은 이러한 2가지 동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액세서 리 오픈 프로토콜(Android open accessory, AOA) 프로토콜을 정 의하였다. 2011년 5월에 발표한 AOA 프로토콜 1.0은 안드로이드 3.1버전부터 지원하며, 추가 라이브러리 설치를 통해 안드로이드 2.3. 디바이스도 지원할 수 있다. 2012년 Google IO에서는 AOA 프로토콜 2.0이 발표되었는데, 오디오 스트리밍(Audio streaming) 과 HID를 추가로 지원하며 API 레벨 16부터 지원한다. 표 1는 안드 로이드 기기가 액세서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원하는데 사용하는 프 로토콜 관련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나타내 며, 호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별도의 API도 존재한다. 클래스 UsbManager UsbAccessory 설명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검사 및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클래스 USB 액세서리 정보를 관리 및 확인하는 클래스 표 1. USB 액세서리 모드 관련 API와 클래스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프레임워크의 특징은 기존 안드로 이드 오픈 소스 프로젝트(Android Open Source Project)와 같이, 3가지 특징, 개방성, 무료 사용, 단순함의 특징을 갖고 있다. 안드로이드 ADK 보드 개인용 PC와 달리 스마트폰은 기존 통신망을 제외하면 외부 연결 포트가 오디오 포트, USB 포트, 블루투스 등으로 제한적인 데, 구글 사가 안드로이드 ADK를 발표하기 이전에 일부 회사와 하드웨어 취 미 개발자가 오디오 포트와 USB 포트를 활용한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Sparkfun사의 IOIO 보드가 있다. Sparkfun사의 IOIO 보드만 AVR ATmega 2560 칩이 아닌 PIC 마 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는데, TCP 소켓과 Android Debug Bridge(AD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다. ADB 인터페이스는 구글이 스마트폰의 디버깅 목적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모든 안드 로이드 기기에 동작하는 장점이 있지만, 디버깅에 관여하는 PC에 악성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폰을 디버깅 모드로 설정하면 스마트 폰을 다양한 보안 위험에 노출하게 만드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USB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안드로이드 오 픈 액세서리 표준을 정의하고, 레퍼런스 ADK 보드를 발표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드로이드 OS와 마찬가지로 ADK도 공개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현재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은 표 2와 같다. 대부분의 제품은 공개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Arduino) Mega 2560 보드 설계를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2005년에 시작한 오픈 하드웨어 프로젝트(Open Hardware Project)이며, 안드로이드의 오픈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와 추구하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가 이를 레퍼런스 보드 에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아두이노 보드는 미국 아트멜사의 AVR 혹은 ARM사의 Cortex M3 ARM(Arduino Due 보드에 내장) 을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ADK board Google ADK Arduino ADK Seeeduino ADK Sparkfun IOIO processor ATmega2560 ATmega2560 ATmega2560 PIC2FJ256 CPU clock speed 16MHz 16MHz 16MHz 32MHz Flash 256 Kbytes 256 Kbytes 256 Kbytes 256 Kbytes memory RAM 8 Kbytes 8 Kbytes 8 Kbytes 8 Kbytes Digital IO 5 (1 PWM) 5 (1 PWM) 56 (1 PWM) 8 (28 PWM) pins Analog input pins 16 16 16 16 Input voltage 5.5V-16V 5.5V-16V 6V-18V 5V-15V connectors DC power DC power DC power USB A-type USB A-type USB A-type USB A-type USB micro B-type USB B-type USB micro B-type 표2. Google ADK 및 호환 ADK 개발 보드[6] 9
기술동향컬럼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전망 안드로이드 폰과 아두이노 ADK 보드를 활용한 안드로 이드 액세서리 개발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 폰은 USB 호스트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USB 호스트 기능을 갖춘 ADK 보드를 활용하여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를 구현하는데,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표 3과 같다. 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유사 기능을 탑재 하게 된다. 그리고 그림 8과 같이 안드로이드 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SoC를 내 장한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구조 경우 높은 성능으로 새로운 응 용 분야를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분야를 선점하기 위해 시스템 반도체 측면에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JDK(Java Development Kit) 안드로이드 SDK 소프트웨어 및 Eclipse IDE 개발에 사용하는 아두이노 IDE IDE ADK reference package (아두이노 IDE에 ADK 관련 라이브러리 제공)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PC 하드웨어 아두이노 Mega ADK 보드 혹은 유사 호환 보드 하드웨어 제작을 위한 부품 혹은 FPGA 표3.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림. 안드로이드 ADK 개발 과정 그림7.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통해 연결하는 전용 SoC 칩 마지막으로 그림 8과 같이 USB 호스트 기능을 내장한 SoC 칩 구 조이다. 마지막 방식은 SPI 버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폰의 기능이 확장되어 차후 USB 호스트 기능을 보편적으로 갖게 될 경우, USB 슬레이브 형태의 액세서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안드로이드 폰과 아두이노 Mega ADK 보드를 사용하여, 안드로이 드 ADK 시스템을 만드는 개발환경은 그림 3과 같다. PC에서 아두 이노 프로그래밍을 한 후 응용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동작은 USBto-serial 칩을 통해 이루어진다. IDECNewsletter 10 11 그리고 PC에서 Eclipse 환경에서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을 만든 후, USB로 안드로이드 폰에 적재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최종 ADK 보드 와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는 USB 버스와 USB 호스트 컨트롤러 칩을 통해 아두이노 Mega ADK 보드와 연결된다. 그림3. 안드로이드 ADK 개발 환경 그림 3의 개발환경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은 그림 와 같다[6-7]. 자세한 코드와 개발 내용은 참 고 문헌[6],[7] 참고하길 바란다. 그림 5는 하드웨어로 구성한 전위차계의 전압값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서 읽어서, 안드로이드 기기(예: Nexus-7)에 프로그레 스바(Progress bar) 위젯으로 그 값을 출력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림5. 하드웨어 정보를 프로그레스 바 위젯으로 표시하는 ADK의 동작 예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융합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가 호스트 모드와 액세서리 모드를 지원하는지에 따라, AOA 1.0 혹은 2.0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양한 액세서리 개발이 가능하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 폰이 USB 호스트 연결 기능이 부족하므로, 액세서리 모드를 기준으 로 안드로이드 폰에 SoC(System on Chip)을 연결하는 방안을 검 토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방안은 그림 6과 같이 기존 ADK 보드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GPIO 포트 대신에 보조프로세서 버스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SoC(System-on-Chip)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방안이다. 그림6. 보조 프로세서 형태로 SoC 칩의 내장 방안 두 번째 방안은 그림 7과 같이 기존 ADK 보드에 있는 AVR 혹은 ARM MCU 기능을 내장하는 전용 SoC 칩을 USB 호스트 컨트롤러 칩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이다. SoC 칩 내부에는 SPI 직렬 버스 인 그림8. USB호스트 컨트롤러를 내장한 SoC 칩 향후 전망 및 맺음말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의 응용 분야로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 기 기와 운동 기기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심장 박동과 칼로리 소비량 계산, 게임기기 등으로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액세서리 모 드의 경우 외부 액세서리가 USB 호스트로 동작해야 하므로 전원을 안드로이드 기기에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USB 호스트 모드를 사용하게 되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하면 일부분의 문제가 해결되겠지만, 이동 기기 특성상 외부 전원이 없는 경우 전력 소비 문제가 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오픈 액세서리를 구현한 사례는 상업적인 제품보 다 하드웨어 개발을 취미로 하는 개발자와 학문적인 연구자에 의한 결과물이 많은 것 같다. 그런데 전자신문 기사(2013년 3월 2일)[8] 기사를 보면 월 말 출시가 예정된 삼성의 차세대 갤럭시 S가 앱 세서리(Appcessories)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개척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앱세서리는 앱(Application)과 액세서리(Accessories) 결합 으로, 기존 스마트폰이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과 서비스를 액세서리 와 앱 결합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으로 게임기와 운동 기구를 예로 들고 있다. 현재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아두이노 ADK 보드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 칩을 통해 SPI 직렬 버스로 연결되므로, 높은 성능을 요구 하는 분야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단순한 연결 방 식과 스마트 폰의 적절한 연산 능력을 근거로 높은 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모바일 틈새시장에 그 응용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Jeff Brown, Erik Gilling, and Mike Lockwood, Introducing Android Open Accessories and ADK, Google IO Conference, May 10, 2011. [2] Android Open Source Project, Android Open Accessory Protocol 2.0, http://source.android.com/tech/accessories/ aoap/aoa2.html [3] 라영호, 구글의 새로운 시도, 구글 ADK의 이해, 마이크로소프트 웨어, http://www.imaso.co.kr/?doc=bbs/gnuboard. php&bo _table=article&wr_id=37711 [] 마누엘 디 세르보, 데이브 린네스, USB를 사용한 하드웨어와 안 드로이드 기기의 접속 월간 전자과학, http://www.elec.co.kr/ article/print.asp?idx=2076. [5] Maxim, USB Peripheral/Host Controller with SPI Interface, [6] Mario Bohmer, Beginning Android ADK with Arduino, Apress, 2012. [7] CNDI(주) 기술연구소, 안드로이드 ADK와 Arduino MegaADK 활용, 경북대학교 IDEC Platform Center, 2013. 2. [8] 전자신문, 삼성, 갤럭시 S말고 야심작 또 있다, 2013년 3월 22 일 기사.
IDEC 기획칼럼Ⅰ Complete analog, mixed-signal, and RF circuit design environment 주요 아날로그 디자인에 가장 정확한 회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 SPICE 회로 시뮬레이션 중 최고 수준의 런타임 시뮬레이션 속도 강력한 수렴을 위해 멀티 솔버 및 스테핑 알고리즘을 제공 Bipolar, CMOS 및 TFT, SOI, HBT, FRAM, FinNET 등에 보정된 SPICE 모델을 최대한 제공 Verilog-A로 개방형 모델 개발 환경과 폭넓은 아날로그 행동 성능을 제공 나노 크기의 설계에 대해 SEE (Single Event Effects) 신뢰도를 분석 강력한 암호화에 의해 고객 및 서드-파티의 소중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 가능 실바코는 아날로그 및 mixed-signal IC 설계를 위한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소프트웨어를 제 공하는 선도 업체입니다. 198년에 창 립 이래 TCAD 공정 및 소자 시뮬레이 션, Spice 파라미터 추출, 회로 시뮬레 이션 및 custom IC 디자인과 검증에 필 요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SPECIAL ColumnⅠ 속도 다른 SPICE 제품의 고유 속도(raw speed)보다 2~배 빠르게 시뮬레이션 로그에 가까운 멀티 스레드의 처리를 위해 다중 병렬 6비트 CPU를 지원 네트워크 분산 처리 및 원격.ALTER 몬테 카를로 분석을 네트워크 분산 처리 스레드 풀을 이용한 효율적인 병렬 처리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의 본사 및 세계 11개 현지 법인에서 최상의 제 품과 숙련된 인력으로 아날로그 반도체 공정, 소자 및 디자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첨단 팹리스 반도체 업체, 집적 반도체 제조업체, 파 운드리, 대학 등에 폭넓은 고객층을 확 보하고 있습니다. 리합니다. 멀티-뷰, 멀티-시트, 계층형 IC 디자인을 생성 및 수정하는 강력한 스키매 틱 캡처 및 에디터 기능 행동 모델, 크로스-프로빙, 파형 디스플레이를 갖추어 SmartSpice 회로 시 뮬레이터와 유연하게 통합 HSPICE와 호환되는 입력 데크 생성 디자인 팀의 셀/심볼 라이브러리에 대해 공유 워크스페이스로 다중 사용자 프로젝트를 제어 EDIF 200을 통하여 타사의 스키매틱 캡처 툴로부터 전환 하나의 스키매틱으로부터 시뮬레이션, NDL, LVS를 위한 넷리스트 생성 풍부한 기능 심볼, 서브서킷, 하위 스키매틱 및 Verilog-A 모델의 생성 용이 시뮬레이션, 스키메틱-드리븐-레이아웃, LVS 호환성을 위해 포괄적인 심볼 생성 및 편집 반복 작업 및 기존 캡처 툴의 에뮬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구성 키 포팅, IP 재사용, 대화형 설계를 처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검색 및 교체 모듈, 재사용할 수 있는 설계, 라이브러리, 기존 회로와의 작업을 위한 계층 캡처 와이어, 버스, 버스 분할, 버스 병합으로 강력한 편집 기능 설계자가 구성하는 룰 체크는 전기적 드로잉 규칙 위반 및 명칭 오류를 표시 디자인-룰-연결 레이아웃 요소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Parameterized cell 소스 디자인 엔트리 데이터 그림1. SmartSpice는 진정한 SPICE급 정확도로 full-chip의 정적/동적 시뮬레이션 및 누설 전력 시뮬레이션을 하여, 추출된 기생 성분 및 ctim/aggressor 회로망을 갖춘 클록 트리의 신호 무결성을 나타냅니다. 정확성 유효 행렬에서 가우스 소거법을 사용 (초기 Berkeley 3C1 솔버에 기초) 직접 솔버 및 반복 솔버의 라이브러리 Complete analog, mixedsignal, and RF circuit design environment 회사소개 실바코는 아날로그 및 mixed-signal IC 설계를 위한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선도 업체입니다. 198년에 창립 이래 TCAD 공정 및 소자 시뮬레이션, Spice 파라미터 추출, 회로 시 뮬레이션 및 custom IC 디자인과 검증에 필요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 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의 본사 및 세계 11개 현지 법인에서 최상의 제품과 숙련된 인력으로 아날로그 반도체 공정, 소자 및 디자인 자동화 솔 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첨단 팹리스 반도체 업체, 집적 반도체 제 조업체, 파운드리, 대학 등에 폭넓은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12 13 IDEC Newsletter 연속성, 선형성 및 유효 파라미터 범위를 위해 실행 시에 Berkeley 물리 기반 모델 파라미터를 검증 추출된 파운드리 모델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최종 단계에서 퍼포먼스 및 정 확성 저하를 방지 시뮬레이션의 속도 대비 정확성을 제어하기 위해 풍부한 옵션을 제공 그림3. Gateway는 크로스-프로빙, 진행 파형, 해석 옵션 및 최적화를 갖추어 계층적 설계에 대한 프론트-엔드를 제공합니다. 통합된 커스텀 IC 디자인 플랫폼 커스텀 아날로그 회로를 위한 front-to-back 설계 자동화 솔루션 행동 모델, 스키매틱, 회로 시뮬레이션 레이아웃, DRC, LVS 및 기생 추출 과 입증된 피드백 플로우를 연결 지연, 기울기, 오버슈트, 상승 시간, 아이 다이어그램의 오버레이 측정 을 위해 SmartView 그래픽 파형 포스트-프로세서와 통합 - 벡터 계산기로 완성 스키매틱과 포스트-프로세스 사이의 강력한 크로스-프로빙으로 실시간 설 계 피드백을 제공 콜백 기능은 디자인 룰, 내성, 파라미터 계산, process skew에 대한 표현 식을 실시간으로 평가 계층 전반에 걸쳐 전류/전압에 대한 DC 바이어스를 표시 제품 SmartSpice Analog Circuit Simulator SmartSpice는 고정밀 아날로그 회로 및 믹스드 시그널 회로의 설계, 주요 회로망의 분석, 셀 라이브러리의 추출 등에 최고의 퍼포먼스와 정확도를 제 공합니다. 또한, 타사의 아날로그 디자인 플로우 및 파운드리의 소자 모델과 호환됩니다. 넷 리스트, 모델, 분석 특징 및 결과에 대해 HSPICE 및 SPECTRE 와 100% 호환 그림2. SmartView: SmartSpice 및 HSPICE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상승 기간, 기 울기, 벡터 계산기에 필요한 시간/전압/전류/전력의 측정 그래프 및 주석화된 플롯 과 아이 다이어그램을 생성합니다. Gateway Schematic Editor Gateway는 플랫/계층형 설계를 지원하며, EDIF 200 표준을 통해 타사 스키매틱 에디터(PSPICE, OrCAD, Composer 등)로부터 기존 디자인을 손쉽게 수용합니다. Gateway는 전역 설정을 통해서 대규모 설계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워크스페이스로 다수의 설계 및 테크놀로지를 처 그림. 플랫/계층형 드로잉에 대한 전류/전압 DC 바이어스
IDEC 기획칼럼Ⅰ 강력한 레이아웃 에디터 기능 Javascript 및 LISA 스크립트 그래픽 지원으로 Parameterized cell 생성 강력한 C++ API는 모든 편집 기능에 액세스 체크-인, 체크-아웃 라이브러리 매니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동일 프로 젝트에 대해 동시 작업 가능 자동 축소/확대 및 크기 조정 기능으로 공정 이전에 드는 수고를 최소화 그림5. 전체 커스텀 IC 디자인 플랫폼에서의 Gateway Expert Layout Editor Expert는 완벽한 편집 기능, 대규모 용량 처리, 신속한 레이아웃 뷰어를 갖 춘 고성능 계층형 IC 레이아웃 에디터입니다. Expert는 넷리스트에 의한 레 이아웃 및 Pcell(Parameterized cell)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설계 지원을 제공합니다. 통합된 DRC/LVS/LPE 및 기생 추출 기능으로, 아날로그, 믹스드 시그널, RF, 디지털 레이아웃에 생산적인 환경 ExpertViews는 편집 기능을 제외하면, Expert와 기능 면에서 동일 GDSII 파일의 신속한 로딩, 편집 및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의 뷰어 설계 자동화에 필요한 강력한 스크립트 성능 및 C++ API를 제공 업계 표준 포맷을 사용하여, 물리 검증을 위해 Calibre Interactive 및 Calibre RVE와 통합 노드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하여, 클릭한 객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레이 아웃 객체를 모두 하이라이트 모든 기술 레벨를 위한 사용의 편이성 - 초보자를 위한 온라인 도움말, 전 문가를 위한 강력한 스크립트 강력한 암호화에 의해 고객 및 서드-파티의 소중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 가능 그림7. 다용도 에디터는 아날로그, RF, 마이크로파 회로 요소에 필요한 모든 각도의 다각형을 생성하며, CMOS, Bipolar, BiCMOS, SiGe, GaAs, SiC, InP, TFT 및 기타 공정 기술의 인덕터, 파워 디바이스가 포함됩니다. 생산적인 레이아웃 환경 10GB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몇 분(몇 시간이 아닙니다.)만에 고속으로 로드 멀티-레벨 계층을 통하여 여러 윈도우에 신속하게 이동 및 확대/축소 - 탐 색을 위한 북마크 기능 구비 실시간, 온라인, 배치 검증을 위해 Guardian DRC/LVS/LPE와 유연하게 통합 CMOS, Bipolar, BiCMOS, SiGe, GaAs, InP 등에서 아날로그, RF, 디지털 회로에 생산적인 레이아웃 환경 명령어를 편리하게 호출하기 위해, 단축키 메뉴 및 커맨드 라인을 변경 가능 (주)실바코 코리아 그림6. 완벽하게 변경 가능한 단축키, 매크로, 툴바, 레이어, 색상, 스티플 등을 Virtuoso로부터 직접 가져와서, 레이아웃 설계자에게 익숙하고 생산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1 15 IDEC Newsletter 주소 : 13-020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69-1 스타시티빌딩 5층 Tel : 02-7-521 Fax: 02-7-520 E-mail: krsales@silvaco.com
IDEC 기획칼럼Ⅱ FETCH 2013 참석 후기 SPECIAL ColumnⅡ FETCH 2013 참석 후기 지난 1월 7일부터 9일에 걸쳐서 스위스의 Leysin 이라는 곳에서 개최된 FETCH workshop 에 대한 후기를 기재한다. 본인은 이번 workshop에 technical program chair (TPC)를 맡아서 프로그램 구성 및 speaker 초청과 local organization에 해당하는 일을 총괄하여 진행하였다. Leysin 은 스위스 불어권 중 하나인 Vaud 주에 위치한 조그만 산동네로, 본인이 머물고 있으며 올림픽의 도시로 잘 알려진 로잔에서 기차로 1시간 정도면 도착할 수 있는 마을이다. 겨울에는 스키를 여름에는 하이킹을 즐 길 수 있다. 마을는 해발 800m 정도에 있으며, 마을 중심에서 5분 정도 만 걸어가면 케이블 카를 타고 해발 2,000m 정상에 도착하여 스키를 탈 지난 1월 7일부터 9일에 걸쳐서 스위스의 Leysin 이라는 곳에서 개최된 FETCH workshop 에 대한 후기를 기재한다. 본인 은 이번 workshop에 technical program chair (TPC)를 맡아서 프로그램 구성 및 speaker 초청과 local organization에 해 당하는 일을 총괄하여 진행하였다. Leysin 은 스위스 불어권 중 하나인 Vaud 주에 위 치한 조그만 산동네로, 본인이 머물고 있으 며 올림픽의 도시로 잘 알려진 로잔에서 기 차로 1시간 정도면 도착할 수 있는 마을이 다. 겨울에는 스키를 여름에는 하이킹을 즐 길 수 있다. 마을는 해발 800m 정도에 있 으며, 마을 중심에서 5분 정도만 걸어가면 케이블 카를 타고 해발 2,000m 정상에 도 착하여 스키를 탈 수가 있다. Workshop 기간에는 겨울임에도 최고 기온이 10도 정 도로 매우 따뜻했으며, 특히, 첫날은 구름 이 마을 아래로 끼는 해운을 감상할 수 있 었다. 수가 있다. Workshop 기간에는 겨울임에도 최고 기온이 10도 정도로 매 우 따뜻했으며, 특히, 첫날은 구름이 마을 아래로 끼는 해운을 감상할 수 있었다. 회의 개최 및 참석의 후기 구성은 먼저 FETCH workshop에 대한 간단 한 소개와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관심을 두고 들은 몇가지 발 표에 대해서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하려고 한다, FETCH Heterogeneous Embedded System 설계를 위한 다양한 분야 를 다루는 workshop 으로써, 올해로 7번째를 맞이하여 진행하였다. 본 취지는 프랑스,스위스 캐나다의 불어권 지역 연구자들의 교류를 활성화하 고 박사 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최신 연구 동향 및 연구 방향을 제시해 주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전통적으로 프랑스,스위스,캐나다,몬트리 올의 스키 리조트에서 개최되며, 기존에 개최된 도시로는 Villard-de- Lans, 프랑스(2007), Montebeelo, 캐나다(2008), Chexbres, 스위스 (2009), Chamonix, 프랑스(2010), Quebec, 캐나다(2011), Aipse D'Hues, 프랑스(2012)이다. 최근에는 점차 지역적 언어적 제한을 탈피하여 국제적인 workshop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올해는 총 60여 명의 참가자가 있었으며, 2/3 정도는 불 어권 연구자 및 학생들이 참석하였고, 나머지 인원은 미국, 스페인,이탈리 아 등에서 참가하였다. 올해는 한국에서도 포항공대의 유승주 교수와 충남 대의 김지훈 교수가 참석하였다. FETCH workshop에서 다루는 내용은 디바이스, 회로 설계, 시스템, 아 키텍처 레벨과 어플리케이선까지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다양한 부분을 다룬다. 올해도 이와 같은 기본 골격을 가지고 프로그램이 구성되 었다. 첫날은 주로 차세대 디바이스와 패키지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을 다 루었으며, 둘째 날은 시스템, 다중코어 아키텍처와 저전력 솔루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 날은 mixed 시그널 회로 설계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메디 컬 어플케이션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프로그 램 구성에 관해서 기술하겠다. 기본적으로 모든 발표는 초청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Tpc인 본인과 다른 한 명의 Tpc인 pierre - Emmanual Gaillardon(EPFL), qeneral chair인 David Atienza 교수와 프랑스의 CEA-LETI의 Ahmed jerraya교수와 상의하여서 workshop의 구성을 정 하였다. 총 0여 명의 발표자를 초청했어야 했기 때문에 초청장은 작년 7 월부터 발송하기 시작했으면 약 3개월 정도가 지난 9월 말에서야 발표자 초청을 완료할 수 있었다. FETCH의 발표 구성은 top-down, 방식과 T-shape의 형태가 되도록 구 성하였다. 즉, 해당 날의 첫 발표인 keynote 세션에서 5분간 당일에 다 루는 내용의 큰 그림을 제시해주고, 나머지 발표들은 좀 더 세부적인 내용 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발표 형태를 in-depthpresentation (30분)과 mini-keynote(15분) 두 가지 형태로 세분화하여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다루는 동시에 많은 연구자에게 발표기회를 제공 하였다. 또한,다른 워크샵 및 학회와는 차별화하여,오전과 오후 세션의 마 지막에 30분 동안 해당 세션에서 발표한 사람들의 자유로운 토론할 기회 를 제공하였다. 이 토론 세션에서는 시간 제약상 물어보지 못한 질문들에 대한Q&A 뿐 아 니라session chair가 공통의 질문을 던지고 각자의 의견을 말하는 등 자 유롭게 진행이 되었다. 이외에도 각 날의 마지막 세션은 박사과정 학생들 이 자기의 현재 연구 분야에 대해서 5분간 간단히 발표하고 포스터 세션 을 가지면 많은 연구자와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으며, 올해는 1명의 pho 학생들이 참석하였다. 그럼, 좀 더 자세히 FFNCH에서 다룬 내용에 관해서 기술하도록 하겠다. 첫날의 주요 주제는 차세대 소자 및 3차원 적층 회로 설계에 관련한 내용 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18개월마다 회로의 집적도는 2배가 증가한다는 Moore의 법칙은 최근까지 트렌지스터의 소형화를 통해서 실현되었다. 하 지만 최근 디바이스의 사이즈가 수십 나노미터까지 다다르며 통상적인 트 렌지스터의 소형화의 물리적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또한, 과도한 디바 이스 소형화는 누설 전류의 급격한 증가와 reliability 감소 등의 부작용을 야기시키고 있다. 최근에 이를 극복하고자 기존의 Field-Effect Transistor(FET)를 대체하 기 위한 많은 디바이스들이 연구되고 개발되고 있다. FETCH의 첫 발표 를 맞은 EPFL의 Giovanni De Micheli 교수는 Keynote speech에서 이 러한 차세대 나노 소자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다. 특히, 그의 연구실에서 주로 연구하고 있는 silicon nanowire 와 탄소 나노튜 브(carbon nanotube)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발표하였다. 단순한 디바이스 성질에 관한 연구뿐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기본 로직 게 이트 (예, NAND, XOR 등)을 구현하는 방법에서부터, 이러한 나노 디바이 스들의 적용 가능한 분야인 biosensor, body area network, smartextiles 등의 분야를 소개하고 실제로 스위스의 연구단체인 NanoTera 의 지원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해주었다. 최근 메모리 용량을 키우고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도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에 대해서 CEA-LETI의 Silicon Component Division에 있는 Barbara De Saivo교수가 발표를 하였다. 기존의 DRAM 방식은 집적도 및 pre-charge와 주기적인 refresh로 인하여 전 력 소비가 크다. 이를 극복하고자 최근 DRAM과 같은 휘발성(volatile) 메 모리를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ANO Flash는 DRAM을 메모리와 비교하여 10배 정도 집적도가 높으며, 전력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다. 하지만, MNND Flash가 DRAM을 완벽히 대체하기에는 크게 두 가지 면에서 문제를 갖고 있다. 우선, Write 횟수가 1,000회 정도로 제한이 되어 있으며 (그 이상 Write를 하면 unreliable 함) read/write latency가 DRAM에 대해서 길다. 이를 극복 하기 위해서 DRAM과 NAND Fiash를 hybrid 하게 사용하는 연구들이 진행이 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NAND Flash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차세대 Phase-Change RAM (PRAM),Oxide Resistive REM(OxRAM) 등에 차세대 비휘발성 메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림 1은 현재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메모리들에 관한 분류를 나타내고 있 다, 특히 PRAM은 그중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며, 최근 8GB PRAM 프로토타입이 삼성에서 발표되었다. PRAM은 Flash의 단점 중 하나인 low write endurance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여전 히 긴 write latency 문제를 갖고 있다. 그 덕분에 여전히 DRAM이 필요 하면 DRAM과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hybird 메모리 시스템 구성은 열린 숙제로 남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림1. 다양한 메모리 구분 둘째 날은 다중 코어 아키텍터와 저전력 시스템 관리 방법론에 관한 내용 을 주로 다루었다. 첫 번째 발표는 이탈리아 Bologna 대학에 교수인 IDEC Newsletter 16 17
IDEC 기획칼럼Ⅱ Luca Benini 교수가 Multi-Scale Heterogeneous Computing : from instruction extension to programmable accelerators 의 제목으로 발 표하였다. 그는 다중코어 시스템인 다중코어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에서부터 최근 그가 STMicroelectronics에서 Project Investigator(PI)로 일하며 발표한 P2012의 아키텍쳐에 대해서 설 명하였다. 최근 다중코어 설계 시 전력소비에 대한 고려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증 가한 전력소 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시스템을 동작할지도 모 르는 dark silicon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다중 코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P2012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scalable 한 클러스터 기반의 컴퓨터 아키 텍처를 제시하였다. 그뿐 아니라 memory wall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메모 리 설계를 제시하였으며 Through-Silicon Vias (TSV)를 이용한 3천원 적층으로 구현함으로써 메모리 접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이어, 효과적인 메모리 설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그다음 발표인 포항 공대의 유승주 교수 가 발표를 맡아 진행하였으며, 특히 DRAM과 PRAM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메모리 시스템 구현에 관해서 발표하였 다. 오후 세션에서는 충남대 김지훈 교수가 한국에서 많은 연구실의 참여 로 개발되고 있는 Core-A를 소개하였다. 블 카를 타고 2,000m 정상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진행하였다. 이 레스토 랑은 90분 간격으로 360도 회전한다. 비록 밤이라서 밖의 경관이 잘 보이 진 않았지만 그래도 색다르고 재밌는경험이었다. Gala dinner 중에 박사과정 학생들의 발표 중에 Best thesis award를 시상하였는데, 올해는 EPFL의Giovanni De Micheli 교수 연구실에 있는 Luca Gaetano Amaru 학생이 Logic Synthesis for Emerging Technologies 주제로 발표한 것이 선정되었다. 1월 9일 FETCH workshop이 다 끝나고서는 많은 생각이 교차했다. 비록 작은 workshop이었지만 근 6개월 정도 준비를 한 것이고 다행히 문제없 이 계획대로 잘 진행돼서 홀가분하고 기쁜 맘이 주를 이뤘지만, 한편으로 는 아쉬움이 많이 남았기 때문이다. 이런 워크샾을 처음 준비해보는 것이 기에 처음에 준비하면서 과연 내가 잘해낼수 있을까 많은 걱정도 많이 됐고 시행창오도 많이 겪었지만, 많은 사람이 만족하는 모습을 보고 활발히 서로 연구에 대해서 교환하는 것을 보니 뿌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FETCH 워크샾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 명과 모든 발표자료는 홈페이지 (www.fetch-conference.org)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내년 FETCH는 마찬가지로 1월 Canada의 Montreal에서 개 최된다고 한다. 내년 이벤트에서는 좀더 많은 한국 사람들이 참가해서 많 은 연구자와 활발히 교류할 기회를 갖기를 기대한다. 많은 사람이 한국산 코어에 관해서 관심을 보여서 한편으로 뿌듯하였다. 하지만 아직 한국에서밖에 라이선스가 안 된다는 제약이 있어서 많은 곳 에서 사용되는데 제약사항이 있는 것 같다. 하루빨리 이러한 제약이 없어 져서 많은 좀 더 많은 연구자가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 날의 발표는 mixed signal 회로 설계와 medical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주제로 오전 세션만 발표가 진행되었다. 첫발표를 맡은 EPFL의 Andreas Burg 교수는 Near- and sub-threshold design for ultralow-power embedded systems 이라는 발표 주제로 sub-threshold SRAM설계 및 sub-threshold에서 동작하는 low-power processor 설 계 및 동적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해서 본인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있는 내용 을 다소 자세히 발표하였다. 이러한 ultra-low-power 프로세서와 SRAM 들은 최근 medical application의 증가하는 수요와 맞물려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예로 심장의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ECG)) 를 수시로 체크하고 이상이 있을 시 병원으로 전송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배터리를 동작 하여야 하며 배터리 수명이 수일에 다다라야 하므로 저전력 설계가 꼭 필 요한 분야이다. 특히, 전송 파워를 줄리기 위해서 전송 데이터를 배터리 구동노드 상에서 어느 정도 프로세싱을 하여야 하므로 저전력 프로세서의 설계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저전력 ECGdetection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스위스의 연구 소인 CSEM과 EPFL 등 몇몇 연구소에서 IcyHeart라는 프로젝트가 진행 되고 있으며, 이날 세션에서 CSEM 연구소의 Frederic Giroud가 IcyHeart 프로젝트에 대해서 전반적인 설명을 하였다. 특히, 본인이 현재 속해 있는 EPFL의 Embedded System Lab (ESL) 역시 이 프로젝트에 속해있으며 최근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활용하는 start-up 회사인 SmartCardio라는 회사를 창업하였다. FETCH workshop은 연구의 교류뿐 아니라 친목 도모를 위한 많은 자리 를 마련하였다. 특히, 올해는 스위스의 NanoTera 에서 펀드를 지원을 받 아서 학회 기간 중 모든 식시를 제공하였으며, 특히 둘째 날 저녁의 gala dinner를 성대히 개최하였다. Gala dinner 장소는 Leysin 마을에서 캐이 18 19 IDEC Newsletter 로잔연방공대 김정수 박사 연구분야 : 저전력 시스템 설계 E-mail : jungsoo.kim@epfl.ch http://esl.epfl.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