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경량전철( 輕 量 電 鐵 ) : 차량 설계축중 13.5톤 이하(분포하중인 경우 단위 미터당 2.8톤 이 철도로서 모노레일형식, 노면전차형식, 철제차륜형식, 고무차륜형식, 선형유도전동기형식, 자기부상추진형 구분되는 열차를 말함 (3) 공간모듈 : 1인당 점유하는



Similar documents


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2 -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untitled

3. 제정조례안 : 붙임 4. 예산수반사항 : 없음 5. 관계법령발췌서 : 붙임 - 2 -

쩍쩐효첩 12쩔첫 쨀쨩횁철4_2

3 -

INSIDabcdef_:MS_0001MS_0001 제 12 장철도통신 신호설비공사 제 12 장철도통신 신호설비공사 12-1 철도통신선로설비 통화장치 ( : ) 공정별통신외선공통신설비공통신케이블공

21-설03 경인고속도로309~320p

4-Ç×°ø¿ìÁÖÀ̾߱â¨ç(30-39)

게 지니고 있으며 도시권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도시민의 다양한 사회 경제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수적인 대중교통수단 이다.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 하며 집약적이고 대량적으로 수송 이 가능하여 공간, 연료 및 비용의 효용성이 높다. 여수시에서 운행하는 버

03-교통이야기

¾Æµ¿ÇÐ´ë º»¹®.hwp

표지안 0731

<37375FB5BFB4EBB1B8BFAA20C1BEC7D5B1B3C5EBC8AFBDC2BCBEC5CD20B0C7B8B3B9E6C7E22E687770>

목 차

Microsoft Word - KSR2015A127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10상예타]_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사업_인쇄본_ 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출근자가행복한수도권교통정책.hwp

(100802)_출판보고서_경춘선 용산역 연장운행.hwp

CONTENTS

특집1 국내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과 특징 망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증가(4.9% 5.5%)하 여 사고의 심각성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2%대인 자전거 수단분담률에 비해 전체 교통사고 중 자전거사고가 약 5%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자 전거 안전

소식지수정본-1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1 철도일반및용어정의 철도 레일또는일정한안내길을따라사람과화물을실어나르는차량을 운전하는설비 고속철도 열차가주요구간을시속 이상으로주행하는철도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이지정한철도 재원조달 출연금 공단 채권 년 일반철도 고속철도와도시철도법에의한도시철도를제외한철도 철도건설법 재원조달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322DB3EDB9AE2E687770>

내지(교사용) 4-6부

01¸é¼öÁ¤

....pdf..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B0EDBCD3C3B6B5B5C3D6C1BEC0CEBCE2BABB F422DC1A42D2D2D2D2E687770>

대상항목 총 50 항목 ( 신설 : 3, 보완 : 47) 번호그룹분야항목명구분요청기관내용 1~3 A 토목건축설비 토목 4~6 A 건축 설비 토목 7~9 A 건축 설비 토목 10~12 A 건축 설비 토목 13~15 A 건축 설비 토목 16~18 A 건축 설비 토목 19~

~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src.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온습도 판넬미터(JTH-05) 사양서V1.0

Microsoft Word - KSR2016S098

2016년 신호등 1월호 내지(1219).indd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제출문 서울특별시도시기반시설본부귀하 귀본부에서발주한지하철외부출입구모델개발용역을과업수행내용에의거하여 성실히수행하고그결과를본보고서와성과품을제출합니다 년 06 월 ( 주 ) 성우예종합건축사사무소 서울시영등포구여의도동 12-3 번지 대표이사남정헌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슬라이드 1

무선충전 전기버스 기술 20kHz 무선전력전송 원천기술을 이용하여 도로 밑에 매설된 전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을 차량하부에 장착된 집전장치를 통해 전기에너지 로 변환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친환경 전기자동차 - 버스 운행 노선 중

<BCF6B5B5B1C720B1B3C5EBC3BCB0E8B0B3C6ED28B4EBC7A5292DB1E8BCF6C3B628C0CEBCE2292E687770>

South Korea Seoul Yongsan-gu 퇴계로 206 동대입구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동호로 189 약수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다산로 369 금호 South Korea Seoul Yongsan-gu

[11상예타]05.울산양산도시철도_출판.hwp

<4D F736F F F696E74202D204B5458BFAA5FC1DFBDC9C0C75FB0C5C1A15FB1B3C5EBBFACB0E8C3BCB0E85FB1B8C3E0B9E6BEC85FB1E8BDC3B0EF5FB9DFC7A5BFEB205BC8A3C8AF20B8F0B5E55D>

CD 2117(121130)

I. 주거단지 1. 보행로의설계원칙 설치원칙 - 건물의주출입구로이어져있는단지내보도와주차장과연결되어있는접근로는장애인, 노인, 임산부, 어린이등이안전하고편리하게다른이의도움없이쉽게이용할수있어야한다. 또한보도는원칙적으로차도와분리되어야하고노인, 장애인, 유모차, 짐수레등이자유롭

2.pdf

°¨Á¤Æò°¡

국도_34호선(용궁~개포)건설사업_최종출판본.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나하나로 5호

5 일반기사 그림 옥상공원 조성 그림 교각 디자인 그림 호선 개통 관련 언론보도 파트 벽면에 벽화를 그리거나 야간 경관조명을 설치하는 등 호선 주변 경관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하고 있다. 교각 미관개선사업을 통해 도시의 새로운 디자인 으로 재탄생 했다. 009년 공

박 성 배 국가기록원 공업연구사 첨단서고 건립의 필요성 중앙행정기관을 비롯한 각급 공공기관의 의사결정 과 정과 정책시행에 관련된 국가의 주요 기록을 온전히 후세에 전승하기 위한 기록물 보존공간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1999년 제정되어 2000년 발효


성인지통계

기본소득문답2

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C hwp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A 목차


BN H-00Kor_001,160


쓰리 핸드(삼침) 요일 및 2405 요일 시간, 및 요일 설정 1. 용두를 2의 위치로 당기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를 설정합니다. 2. 용두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요일을 설정합니다. 3. 용두를 3의 위치로 당기고 오늘 와 요일이 표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바닥편(2)과 덮개편(3)이 절첩편(4) 사이에 일체 형성된 플립형 케이스(1); 상부에 단말기(M) 몸체가 수납 고정되고 저면이 상기 바닥편(2)에 점착 고정되는 하드케이스(7);

Ⅲ. 대중교통 1. 지하철 1. 지하철 1.2 지하철수송인원 1.1 지하철운행현황 서울시지하철수송인원 ( 순승차 + 환승승차 ) 은 211 년 2 호선의수송실적은 211 년 747,578 천명으로 2,518,165 천명으로 26 년부터연평균 2.1% 증가 9 개노선중가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톤백마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톤백마대와 그 투입구

untitled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4D F736F F F696E74202D2036B0AD2DB4EBC1DFB1B3C5EBC8AFBDC2A1A4BFE4B1DDA1A4BEC8B3BBC3BCB0E8>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Transcription: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 편의시설 설계 지침 [시행 2013.12.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764호, 2013.12.3, 일부개정 국토교통부(광역도시철도과) 044-201-396 (1) 본 지침은 노면전차를 제외한 도시철도 정거장을 개량하거나 새로운 정거장을 건설하는 경우 적용한 제1장 총칙 1.1 목적 본 지침은 도시철도 정거장을 계획하고 설계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기존 정거장을 개량하거나 새로운 정거 설할 때 적용하여야 할 최소한의 지침을 정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편의를 증진시키는데 있다. 1.2 적용범위 (2) 본 지침에 제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관련된 타 지침서 또는 기준을 적용한다. 또한, 본 이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이용객의 편의 향상과 발주처의 특성을 감안하여 세부기준을 별도로 정할 수 (3) 본 지침은 다음과 같은 역 설계 요구사항을 결정하는 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1) 역 안의 승객 공간 규모 2) 승객 공간 구성 3) 접근용이성 요구 사항 4) 역 환경 요구 사항 5) 역 제어 요구 사항 6) 승객 편의시설 7) 법규상의 요구 사항 8) 기존 역 공간의 최적 활용 9) 비상 대피 요구 사항 (4) 본 지침은 정거장 설계 시 준수해야 할 기준사항과 설계방향의 일관성을 위한 권고사항으로 분류한 전철편에서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5) 도시철도건설자 및 도시철도운영자는 본 지침을 적용하기가 어렵거나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본 부기준에 대한 예외 기준을 국토해양부와의 협의를 거쳐 별도로 정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다. 1.3 용어의 정의 (1) 개방공간 : 폐쇄감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 및 방향인지도를 높일 목적으로 대합실에서 승강장 거나 승강장에서 대합실을 올려다 볼 수 있도록 중간 슬래브를 개방하는 등 결과적으로 승강장 천장을 높 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이용객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거장 공간

(2) 경량전철( 輕 量 電 鐵 ) : 차량 설계축중 13.5톤 이하(분포하중인 경우 단위 미터당 2.8톤 이 철도로서 모노레일형식, 노면전차형식, 철제차륜형식, 고무차륜형식, 선형유도전동기형식, 자기부상추진형 구분되는 열차를 말함 (3) 공간모듈 : 1인당 점유하는 보행공간의 단위 면적(m2/인으로 표시) (4) 계단참(Landing) : 계단에서 연속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에 통행객의 안전을 위하여 디딤 중간에 배치하는 여유공간 (5) 내부 E/V : 대합실의 유료공간에서 승강장을 연결시키는 엘리베이터 (6) 대합실(Concourse) : 승객이 출입구를 통하여 정거장으로 출입하는 첫 관문이며 매표, 접객시설과 안내소, 휴게시설, 매점, 전시공간과 같은 이용편의시설 등이 위치하는 정거장의 한 부분 (7) 도로법면 : 도로에서 노면 외측으로 도로를 구성하는 경사부를 말함 (8) 마감벽체 수 : 승강장이나 계단에서 측면에 접하고 있는 벽체의 수 (9) 만차인원 : 열차의 정원을 초과하여 탑승 가능한 승객의 수를 일컫는 말로 일반적으로 열차정원의 (10) 무료공간(Free-area, Free-zone) : 대합실에서 집 개표구를 경계로 하였을 이전의 공간 (11) 미드블럭 : 교차로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도로 (12) 보차선 : 도로에서 차도부와 보도부를 구분 짓는 경계선을 말함 (13) 서비스수준 : 도로설계시 도로의 서비스용량 및 운전자의 쾌적도와 질적 평가에 따라 6단계로 정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개념으로 정거장설계자가 보행공간의 질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기공간, 보행로 서 보행자의 보행속도나 보행흐름의 난이도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척도로서 보행자 1 유면적을 기초로 하여 단계별로 설정한 기준 (14) 승강장 : 이용객의 승하차와 환승이 직접 이루어지는 정거장의 한 부분 (15) 상대식 승강장(Side platform) : 열차가 진입하는 선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나뉘어 (16) 섬식 승강장(Island platform) : 열차가 진입하는 선로 사이에 섬처럼 배치된 승 (17) 유동계수(흐름계수, 유율) : 흐름의 방향에 수직인 단위폭 W의 단면을 단위시간 안에 통과하 /(m?초)로 표시] (18) 유료공간(Paid-area, Paid-zone) : 대합실에서 집 개표구를 경계로 하였을 때 의 공간 (19) 외부 E/V : 지상보도와 대합실의 무료공간을 연결시키는 지상연결 엘리베이터 (20) 잔여보행폭 : 노면출입구를 지상보도에 설치하는 경우에 당해 출입구를 제외한 지상보행로의 폭 (21) 저급지 : 주차장의 설치를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급지의 구분에서 능이 혼재되지 않은 교통밀도가 낮아 혼잡하지 않은 지역 (22) 전용통로 : 정거장 출입구를 인접한 건물과 연계하여 설치하는 연결통로 중에서 인접 건물을 단 고 별도의 외부 출입구를 개설하지 않아 건물 이용자들만이 출입 가능한 통로

(25) 중량전철( 重 量 電 鐵 ) : 차량 설계축중 13.5톤을 초과하는 전기철도로서 중형 및 대형차량으로 (23) 재차 인원 : 수송수요예측에서 예측된 계획노선상의 열차에 계속 탑승하고 있는 승차객의 수로서 과할 때마다 달라지는 것으로, 해당정거장의 재차 인원은 전( 前 )정거장의 재차 인원에 해당정거장의 승 합산한 후 해당정거장의 하차객 수를 감하여 구함 (24) 주변장 : 구조물의 단면에서 외부와 접하고 있는 외측 둘레의 총 길이 (26) 중형차량 : 중형차량 : 중형차량( 中 型 車 輛 )은 길이 18 m 차량한계폭 2.8 m의 차량으 m를 적용하며 직선구간에서 궤도중심간 거리를 4 m로 적용하는 차량이다. 중형차량( 中 型 車 輛 )보다 큰 ( 大 型 車 輛 )은 길이 20 m 차량한계폭 3.2 m의 차량으로 궤도중심간 거리를 4.4 m로 적용하는 ( 重 型 車 輛 )이라고도 함. 본 지침의 중형차량은 전자의 중형차량( 中 型 車 輛 )을 말함 (27) 첨두시간 : 예측되는 교통시설의 일일 통행량 중에서 시간당 이용수요가 최대가 되는 시간대 (28) 탈출경로 : 정거장내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용객이 재난지역을 피하여 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 (29) 폭원정수 : 승강장이나 계단에서 폭원을 산정할 때 이용수요에 따른 소요폭 외에 벽체와의 스침 여유 혹은 지장물 등을 고려하여 추가로 고려하여 주는 여유폭 (30) 환승 : 통행자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통행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수단에서 다음 교통수단으로 승차하기 위해 갈아타는 행위 (31) 환승유형 : 2개 이상의 교통수단이 한 곳에서 교차할 때 입지조건별로 각 교통수단이 배치될 일컫는 것으로, (도시철도) (광역 도시철도, 일반철도, 고속철도,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간 시철도) (승용차, 택시, 자전거) 등의 개인교통수단간 연계 형태에 따른 환승유형이 있음 (32) 환승통로 : 2개 이상의 교통수단이 한 곳에서 교차할 때 각 교통수단을 직접 연결하여 통행 통수단을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통로. (33) 흐름계수 : 이용승객의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의 단위폭을 단위 시간에 통과한 보행자 수[인 시] (34) Queue 시뮬레이션 : 톨게이트, 주차장, 매표소, 생산라인 등에서 일종의 서비스를 받기 상품이 대기함으로써 대기행렬이 발생하므로, 대기행렬로 인한 지체가 발생하면, 이러한 지체현상을 감소시 하여 대기행렬이론(Queuing theory)에 따라 수행하는 컴퓨터모의실험을 말함 1.4 참고기준 1.4.1 국내기준 (1) 서울 지하철9호선 설계기준(2000. 11) (2) 부산 지하철정거장 및 차량기지 설계기준(1998. 12) (3) 인천 도시철도 3호선 설계기준(1998. 2) (4)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설계기준(1995. 12)

(5) 대구 지하철 2호선 설계기준(1995. 2) (6) 광주 지하철 1호선 설계기준(1996. 8) (7) 부산-김해간 경량전철 설계기준(2003. 11) (8) 의정부 경량전철 설계기준(2007. 3.) (9) 용인 경량전철 설계기준 1.4.2 국외기준 (1) 런던 SPSG(Station Planning Standards & Guidelines)(199 (2) 싱가포르 NEL(North East Line) Design Criteria(1996.9) 1.4.3 법령 (1) 도시철도법 (2) 도시계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3) 장애인 복지법 (4)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5) 국유철도건설규칙 (6) 주차장법 (7)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8)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9) 도시교통정비촉진법 (10) 대도시권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11) 승강기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2)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 평가법 (13) 도시철도건설규칙 (14)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15) 건축법 (1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7)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8) 철도안전법 (19) 철도시설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20) 소방기본법 (21)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22)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5) 정거장이 사거리에 입지하는 경우 지하 및 지상보도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방공간을 설치하도 (7) 환승정거장의 경우에는 향후 역무통합운영에 미리 대비하여 시설물을 계획하고 공간을 구성하도록 한 (2) 가급적 친숙함, 온화함이 느껴지는 소재를 활용하고, 개방감을 위하여 투과성이 높은 소재를 활용 제2장 설계일반 2.1 설계 방향 2.1.1 기능성 (1) 역무기능을 집중화하여 운영요원을 최소화하고, 각종 설비를 중앙 관리하도록 한다. (2) 쾌적한 지하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인접건물을 활용한 겸용출입구 설치를 적극 고려하여 상호 보완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4) 개성있는 정거장이 되도록 주변지역 특성,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6) 정거장 계획시 긴급재난에 대한 방재 및 피난대책을 고려한다. 2.1.2 편리성 (1) 교통수요예측에 의해 적정규모로 계획하며, 동선을 단순화하여 혼잡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2)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의 이용편의를 위해 승강편의시설을 설치하도록 하고, 턱 등 이동 장 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도록 한다. (3) 지상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극대화한다. (4) 시설의 현대화 및 자동화를 통해 이용편의성과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5) 이용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개방감 있게 공간을 계획한다. (6) 이용객의 방향 인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역사내 승강장, 대합실, 통로 등 주요지점의 안내표 사의 인접역사 및 통과노선의 주요역사에 대한 방위(동, 서, 남, 북)를 병행 표시하되, 방위와 일치 는 가장 근접한 방위를 표시한다. 2.1.3 심미성 (1) 역사 공간은 간결한 형태로 계획하며, 시설 소재 색채 조명 등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3) 최대한 자연광을 이용하도록 하며, 이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가능한 한 자연광에 가까운 조명을 다. (4) 공간의 구성 및 기능을 쉽게 인지하고 방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특화된 색채를 사용하도록 하고 으로 배치한다. (5) 건축설계시 공간 및 설비를 모듈화하여 공간감을 확보한다. (6) 지역특성, 설계의도 등이 나타나도록 하여 정거장에 특성을 부여한다. 2.2 일반사항 2.2.1 서비스 수준 (1) 서비스수준은 이용객이 느낄 수 있는 편의성의 정도를 수치적인 척도로 설명한 것으로, 일반적으 2.2와 같이 A에서 F까지 6단계로 나눌 수 있고 서비스 수준A는 가장 좋은 상태, 서비스수준 F는

의미한다. (2) 본 지침에서는 투자재원의 효율성과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이용객의 수가 가장 많은 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장 및 내 외부 계단의 서비스수준을 D 이상, 환승통로에서의 서비스수준을 E 다. (3) John J Fruin이 제시한 이론에 근거하여 각 분류에 대응하는 대기공간, 보행로 및 정리하면 표 2.3, 표 2.4, 표 2.5와 같다. 2.2.2 수송수요의 예측 (1) 정거장별 수송수요는 정거장 내 각종 시설의 규모 뿐 아니라 정거장 전체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된다. (2) 정거장별 수송수요는 도시철도기본계획 수립지침(국토해양부 고시)에서 제시된 목표연도 내에 이용수 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첨두시간대의 수송수요를 기준으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수송수요는 운영계획과 동시에 정거장의 계획을 위한 중요 적용요소로서, 합리적 절차에 따라 예 요를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해당 노선과 관련하여 향후 연계노선 및 환승 계획이 있을 시에는 이를 한 장래 통행량을 활용하도록 한다.

자료 : John J Fruin,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 Environmental Planners, Inc., 1971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 편의시설 설계 지침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 편의시설 설계 지침

- 중량전철편 - 제3장 정거장내 시설 3.1 일반사항 (1) 본 지침은 도시철도가 지향하는 안전성, 쾌적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거장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2) 정거장내 시설 설계에 있어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1) 일관성 있는 서비스수준에 따라 대기공간 및 보행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2) 이용자 편의를 도모하며 균등한 동선체계를 갖추도록 한다. 3) 이용 혼란의 여지를 최소화하도록 가급적 통일성 있는 정거장 형태를 갖추도록 한다. 4) 사회복지차원에서 정거장 이용객뿐만 아니라 정거장을 통과하는 일반인을 고려하여 시설을 계획하도록 3.2 적용범위 (1) 정거장내 시설이란 여객시설(승강장, 대합실)과 승강편의시설(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 통로, 연결통로, 환승통로) 및 기타 부대시설(화장실, 집 개표구, 역무기능실 등)을 총칭한다. (2) 이 장에서는 "서비스 수준"에 기초하여 정거장내 시설의 규모 및 설치기준에 대한 사항들을 정한 (3) 본 지침에서 명시하지 않는 세부기준들은 다른 지침서나 설계사례 등을 참조하여 정할 수 있다. 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법령이 제정되거나 기존 법령이 개정되는 경우, 제 개정된 법령에 따른 기 히 반영하여 본 지침의 세부 기준들을 정할 수 있다. 3.3 여객 시설 3.3.1 승강장 3.3.1.1 권고사항 (1) 설계방향 1) 원활한 동선을 확보하고 개방감을 향상시킨다. 2) 계단부 설치시 승강장폭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계단부위를 확폭한다. 3) 계단부의 전 후 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한다. 4) 승강장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영상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승객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2) 동선계획 1) 차량내 혼잡방지를 위하여 승객이 차량에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정거장의 계단위치를 정한다. 2) 가급적 환승객과 일반승객의 동선을 분리한다. 3) 승 하차동선을 단순화한다. (3) 계단부 계획 1) 계단 입구부에서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두고, 상대식 정거장에서 계단을 확폭하는 경우에는 동선의 를 위하여 전방의 직각 내벽부는 사선으로 처리한다. 다만, 기존정거장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2) 계단부에서는 승강장 연단으로부터 충분한 공간(최소 2.5 m 이상)을 확보한다. 3) 승강장별로 계단이 2개소 이상인 경우에는 계단간에 충분한 순간격을 두어야 하며, 계단 정면에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4) 상대식 승강장에서 계단 확폭시 환승계단까지 확폭부위를 연장한다. 5) 승강장의 연단에는 스크린도어 또는 안전펜스와 같은 안전시설을 설치하도록 한다. 3.3.1.2 기준사항 (1) 환승 계획 1) 다른 도시철도 및 교통수단의 장래 건설계획을 미리 고려한다. 2) 환승유형(+, T, L,복층형 등)에 따라 환승 동선을 우선 계획한 후 공간배치 계획을 수립한 3) 타 노선의 환승객 수를 고려하여 환승 계획을 수립한다. (2) 시설 계획 1) 승강장내에는 기능실이나 휴게실을 가급적 설치하지 아니한 다. 단, 대합실로 올라가는 계단 하부의 소규모의 기능실로 활용될 수 있다. 2) 승강장에는 적절한 수의 좌석 및 공중전화를 승객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3) 승강장 유효길이 1) 승강장의 유효길이는 열차의 길이에 열차 정차시의 여유 및 전동차 앞 뒤 부분의 방향표시 확인을 등을 고려하여 5 m를 추가한 길이로 한다. 2) 승강장 단부에 환승통로나 계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부에서 별도로 6 m를 연장한다 (4) 승강장 최소폭 1) 상대식 승강장은 4.0 m를 최소폭으로 한다. 2) 섬식 승강장은 8.0 m를 최소폭으로 한다. 3) 승강장 시 종점부 등 승객의 이용이 적은 부분과 유효길이 이상의 연장부에서는 승강장폭을 여건에 폭 이하로 좁힐 수 있다. 4) 방재 및 피난 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계획 한다. (5) 승강장 연단부로부터의 구조물 최소이격거리 1) 승강장 연단부로부터 1.5 m 이내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설치를 금지한다 (6) 승강장연단과 차량과의 간격 1) 승강장 연단은 차량한계로부터 50 mm의 간격을 띄어 설치한다. 2) 곡선 승강장은 곡선에 의한 치수를 가산하여 설치한다. 3) 곡선 승강장에서는 승강장의 연단과 차량간의 간격이 최소인 위치에 장애인의 탑승위치를 표시한다.

(7) 승강장 높이 승강장 마감높이는 승강장면과 차량바닥면간의 차가 ±15 mm 이내가 되도록 한다. (8) 폭원산정 일반정거장과 환승정거장을 구분하여 승강장의 폭원을 산정한다. 1) 일반 정거장의 폭원산정을 위한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 승강장의 공간모듈은 가장 붐비는 곳에서 최소 0.8 m2/인으로 제한한다. (나) 이용객은 승강장을 따라서 일정하게 분배되지는 않으며, 가장 붐비는 부분에서는 승강장 이용객수 승강장의 25%를 점유한다고 본다. (다) 첨두시간의 이용객 수에 대하여 첨두15분간의 이용객 수를 환산할 경우에 할증율 20%로 할증하 (라) 승객의 대피폭, 스침여유 등과 같은 폭원정수는 다음 식 (3.1)과 같다. 폭원정수 BC= 0.8 Nend + 0.3 Nwall + Win(3.1) 여기에서, Nend : 승강장 연단부 수(상대식에서는 1, 섬식에서는 2) Nwall : 마감벽체 수(상대식에서는 1, 섬식에서는 0) Win : 시설물 폭은 1.0 m 2) 상기 가정을 사용한 일반정거장의 승강장 폭원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승강장의 형식과 무관하게 첨두시간에 해당 승강장을 이용하는 승하차 및 환승객을 모두 합산하여 를 구한다. (나) 식(3.2)를 이용하여 첨두15분간의 이용객 수를 산정한다. 첨두15분간의 이용객 수 = 첨두1시간의 이용객 수 4 1.20(3.2) (다) 식(3.3)을 이용하여 첨두1분간의 이용객 수를 산정한다. 첨두1분간의 이용객 수 = 첨두15분간의 이용객 수 15 (3.3) (라) 식(3.4)를 이용하여 열차도착시 승강장 이용객 수를 산정한다. 열차도착시 승강장 이용객 수 = 첨두1분간 이용객 수 배차시격(분) (3.4)

(마) 식(3.5)를 이용하여 승강장에서 가장 붐비는 부분의 이용객 수를 산정한다. 승강장에서 가장 붐비는 부분의 이용객 수 = 열차도착시 승강장 이용객 수 0.35(3.5) (바) 식(3.6)을 이용하여 승강장에서 가장 붐비는 부분의 필요공간을 산정한다. 승강장에서 가장 붐비는 부분의 필요공간(m2) = 승강장의 가장 붐비는 부분의 이용객 수 0.8 m2/인(3.6) (사) 식(3.7)을 이용하여 승강장의 필요폭을 산정한다. 승강장의 필요폭 = 승강장에서 가장 붐비는 부분의 필요공간 (승강장길이 0.25) (3.7) (아) 식(3.8)을 이용하여 총 승강장 폭을 산정한다. 총 승강장 폭 = 승강장의 필요폭 + 폭원정수 (3.8) 3) 환승정거장에서의 승강장 폭원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환승정거장의 승강장폭원 구성 및 산정방법은 일반정거장과 동일한 개념과 산출식을 사용하나 다음 차이점을 고려한다. 1 이용객 수는 일반 이용객 수와 환승 이용객수로 구분하여 검토한다. 2 유입되는 환승승객은 상대노선 승강장에서 출발된 하차승객으로 간주한다. 3 유출되는 환승하차승객은 환승승객의 동선을 일반동선과 분리하여 환승통로로 직접 유도할 경우 이용객 제외한다. (나) 환승정거장의 승객 수는 다음 식(3.9)와 식(3.10)과 같이 일반 승객수와 환승 승객수의 1 피크시 열차당 승차인원 (Pa) = 피크시 열차당 환승 Pa + 피크시 열차당 일반 Pa(3.9) 2 피크시 열차당 하차인원 (Pb) = 피크시 열차당 환승 Pb + 피크시 열차당 일반 Pb(3.10) (9) 스크린도어(PSD) 1)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건축한계선에 저촉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2) 승강장 연단에서 스크린도어 출입문까지의 거리는 10 cm 이내로 한다. 단, 다음에 해당하는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10 cm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경고 및 안전장치시설을 다. (가) 승강장의 구조가 곡선인 경우. 이 경우에는 바깥쪽 레일의 캔트에 따라 조정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나) 스크린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와 감시용 모니터가 설치되는 승강장의 양끝지역인 경우 (다) 도시철도의 여객운송차량과 화물운송차량을 함께 운용하는 선로 구간의 승강장인 경우 3) 차량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못한 상태에서 화재 등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모든 문이 비 있도록 한다.

3.3.2 대합실 3.3.2.1 기본방향 (1) 집 개표구는 관리인원이 최소화 되게끔 일방향으로 집중 배치한다. (2) 매표소와 집 개표구는 근접 배치하여 안내 감시 정산업무 등이 집중되도록 한다. (3) 자동발매기의 사용을 유도하여 매표창구를 최소화한다. (4) 일반 통행인 동선과 승객 동선을 분리하고 부득이하게 혼재되는 경우 충분히 여유를 두어 혼잡을 (5) 화장실은 가급적 매표소에 인접 배치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한다. (6)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여 방향성을 제고하고 인지도를 향상시킨다. (7) 역무관리기능실을 집중시켜 역무동선을 단축하고 업무효과를 증대시킨다. 3.3.2.2 권고사항 (1) 동선계획 1) 동선 흐름간의 교차를 최대한 억제하고 막다른 동선을 배제한다. 2) 동선 흐름에 지장이 없고, 집 개표구 배치에 지장이 없도록 매표소를 계획한다. 3) 원활한 동선흐름을 감안하여 정거장 기둥의 크기 및 간격을 정한다. (2) 공간계획 1) 승객의 대기행렬이 승객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매표소, 집 개표구의 전후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2) 승하차 동선에 지장 없는 위치에 편의시설을 설치한다. 3) 집 개표구 라인은 가급적 기둥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4)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휴식공간을 적극 설치하도록 한다. (3) 휴식공간 1) 만남의 광장이나 전시공간과 같은 휴게시설은 자유공간(Free area)에 설치하되, 승객의 동 지 않도록 동선의 사각지역을 이용한다. 2) 공중전화는 휴식공간에 설치하도록 하며, 부득이하게 휴식공간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동선흐름에 없는 지역에 설치한다. 3.3.2.3 기준사항 (1) 집 개표구와 전면 계단은 6 m 이상 간격을 두어 혼잡을 방지한다. (2) 집 개표구 및 계단 앞 10 m 이내에는 지장물 설치를 금지한다. (3) 지하횡단보도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방범셔터를 설치 (4) 정거장내로 출입하기 위한 통로의 동선방향이 90 이하의 각으로 전환되는 곳에서는 구조물 모서리 벽부를 사선 처리한다. 3.4 승강 시설 3.4.1 내부계단

3.4.1.1 권고사항 (1) 설치 위치 E/S와 병행 설치하는 계단은 E/S보다 승강장 연단쪽으로 가까이 두어 E/S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2) 설치 개소 1) 대합실과 승강장을 연결하는 계단부는 상대식 승강장의 경우 각각의 편측에 2개소씩 총 4개소 이 섬식 승강장의 경우 2개소 이상 설치한다. 2) 환승정거장에서는 가급적 환승을 위한 계단을 별도로 설치하여 승 하차 승객과 환승객의 동선을 분리 (3) 설치기준 1) 꺾이지 않게 직선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계단석의 크기는 일반계단은 W330 mm H165 mm를 표준으로 하며, E/S와의 병행계단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3) 약시자의 계단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 종점부의 계단코는 특수색깔 처리한다. 3.4.1.2 기준사항 (1) 설치 기준 1) 폭 5 m 이상의 계단에는 계단 중간에 폭 3 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2) 계단 전후 10 m 이내의 동선상에는 지장물을 금지한다. 다만, 기존정거장을 개량하는 경우의 예외로 한다. 3) 계단사이에 E/V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양 계단간 간격을 15 m 이상 둔다. 다만, 기존정거장 는 예외로 한다. 4) 높이 3 m 이내마다 폭 1.2 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한다. 5) 최소폭 1 최소폭은 계단 마감을 기준으로 3 m 이상으로 한다. 2 E/S와 병행할 경우는 1.5 m 이상으로 한다. 6) 전면 최소여유공간 승객이 다음 장소로의 이동을 결정할 때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해주며 혼잡시 승객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소한의 공간을 다음과 같이 확보한다. 1 통로~계단 : 4 m 2 계단~집 개표구 : 6 m 3 외부계단~지상도로 : 6 m 4 계단참 : 1.2 m 5 계단과 계단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층에서는 계단에서 벽체 기둥 등의 구조물까지 4 m의 전면 간을 확보한다.

(2) 규모산정 1 계단 총폭은 다음 식(3.11)과 같이 산정한다. 계단 총폭 = 계단필요폭 + 폭원정수 (3.11) 2 계단필요폭은 다음 식(3.12)과 같이 산정한다. 3 계단 폭원정수 SC는 다음 식(3.13)과 같이 산정한다. 폭원정수(SC) = 0.3 Nwall (3.13) (여기에서 Nwall : 마감벽체 3.4.2 외부계단(출입구) 3.4.2.1 권고사항

(1) 설치 위치 1) 각 방향에서의 원활한 접근 및 지상의 다른 대중 교통수단과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계단 위치를 결 2) 외부계단은 기존의 보도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녹지 및 공원 등에 설치하며, 나대지 등의 이용한다. 3) 보도상에 설치할 경우 보차선을 조정하거나 도로법면을 조정하여 잔여 보행폭을 확보한다. 4) 사유지의 침범을 가급적 억제한다. 5) 보도상의 잔여 보행폭이 2.0 m 미만인 경우에는 보차선 조정, 건물의 후퇴선 활용, 인접한 용 등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부득이한 경우 사유지를 점용하여 보도폭을 확보하는 등의 대책을 미리 다만, 기존 외부계단(출입구)을 개량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2) 설치 개소 정거장의 입지조건, 주변역세권, 승객접근의 용이성, 피난대책, 도로여건, 승객동선의 단순화 등을 고려 소를 정한다. (3) 설치기준 1) 계단석의 크기는 일반계단은 W330 mm H165 mm를 표준으로 하며, E/S와의 병행계단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눈 또는 비로 인하여 승객이 출입구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시미관을 비 차단시설을 설치한다. 3) 약시자의 계단부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시 종점부 계단코를 특수색깔 처리한다. 3.4.2.2 기준사항 (1) 설치 기준 1) 최소폭 (가) 최소폭은 3 m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라도 2 m 이상으로 한다. 단, E/S와 병행 시에는 1 (나) 보도상에 설치할 경우 잔여보행폭은 2.0 m 이상으로 한다. (다) 진입부의 계단참의 길이는 최소 1.2 m 이상으로 한다. (라) 노면과 계단참 사이는 장애인을 위하여 유효폭 1.2 m 이상의 경사로를 설치한다. (마) 경사로의 전면 1.5 m 이내에는 지장물이 없도록 한다. 2) 기타 사항 전면최소공간 등의 사항은 내부계단의 기준을 준용한다. 3.4.3 에스컬레이터 (E/S) 3.4.3.1 권고사항 (1) 기본방향 1) 외부출입구

(가) 외부출입구에 상행 E/S를 설치하여 E/S에 의한 연속동선이 승강장까지 이어지도록 한다. (나) 교차로의 경우 대각선 위치에 2개소를 설치하고 일반도로의 경우 도로 양측에 각각 1개소 이상 (다) 주변보도여건 및 승객동선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라) 눈 비로 인하여 승객이 출입구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눈 비 차단시 하되, 도시미관을 고려한다. 2) 내부계단 (가) 설치 가능한 모든 계단에 상행 및 하행 E/S를 1개소 이상씩 설치한다. (나) E/S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2개 층에 걸쳐 연속 설치한다. 3.4.3.2 기준사항 (1) 설치 기준 1) E/S 출입구 계단과 E/S의 수송능력을 비교하여 보면 E/S의 수송능력이 더 높으나, 기계의 고장 및 점검과 이 경우를 대비하여 가능하면 계단과 병행설치하도록 한다. 2) 계단과의 병행설치 가) 3.0 m 통로폭 < 3.5 m인 경우, 디딤판의 폭이 580 mm 이상인 E/S를 상 하행 나) 3.5 m 통로폭 < 5.0 m인 경우, 디딤판의 폭이 980 mm 이상인 E/S를 상 하행 다) 5.0 m 통로폭인 경우, 디딤판의 폭이 980 mm 이상인 E/S를 상 하행 설치하고 계단 로 한다. 라) 상행 E/S와 하행계단만 있을 경우 계단폭은 1.5 m 이상으로 한다. 3) 전면 최소 여유 공간 E/S, M/V에서는 안전성, 시간적 여유 등이 확보되도록 핸드레일 끝단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전 간을 확보한다 (가) E/S~E/S : 12 m (나) E/S~통로 : 6 m (다) E/S~집 개표구 : 8 m (라) E/S~지상도로 : 6 m (마) M/W~통로 : 6 m (바) E/S와 E/S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층에서는 E/S에서 벽체 기둥 등의 구조물까지 6 m의 간을 확보한다. (2) 규격 1) 디딤판의 폭은 980 mm를 기본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580 mm 이상으로 한다. 2) 속도는 층고가 6 m 이내일 경우 40 m/분 이하로 하며, 6 m 이상인 경우 30 m/분 E/S의 속도는 동일하게 한다.

3) 방향전환이 가능한 가변형 E/S를 사용하도록 한다. 4) 시 종점부의 디딤판은 3매 이상 수평이 되도록 한다. 5) 비상시 승객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비상정지버튼을 설치하고 이를 안내한다. 3.4.4 엘리베이터(E/V)

3.4.4.1 권고사항 (1)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의 이용편의 증진과 공공지하보도로서의 기능 수행 등을 고려하여 무료 료공간에 모두 설치한다. (2) 보행동선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에 설치한다. (3) 도로의 미관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4)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애인이 접근하기 쉽도록 설치한다. (5) 승강기 규격은 15인승 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현장 제반 여건을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규격이상으로 한다. (6) 지상보도 및 정거장 내부에서의 개방감 확대를 위해 투시형으로 설치한다. (7) 지상에 설치되는 E/V는 장애인용 주차장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8) 도로여건 및 보행환경을 고려하여 지상에 노출되는 E/V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한 후 로 외부를 마감한다. 3.4.4.2 기준사항 (1) 설치개소 1) 무료공간 미드블럭에서는 도로 양측에 1개소씩 설치하되 지상횡단이 가능한 곳에서는 도로편측에 1개소만 설치할 또한, 교차로상에서는 각 방향별로 4개소를 설치하되 지상횡단이 가능한 곳에서는 외부 E/S가 없는 대 2개소만 설치할 수 있다. 2) 유료공간 대합실(유료공간)에서 승강장까지에는 섬식의 경우 1개소, 상대식의 경우 각 승강장에 1개소씩 설치한다 (2) 평면 및 단면규모 1)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은 800 mm 이상, 높이 2,100 mm 이상으로 한다. (3) 안전에 관한 기준 등 1) 노면수의 승강장 유입을 막기 위해서 지상 E/V 설치시 인근 출입구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 건에 맞추어 적정높이차를 두어 설치한다. 2) 엘리베이터의 내 외부 사이의 틈새는 20 mm 이하로 한다. 3) 내 외부의 단차는 없게 한다. 4) 전동휠체어 충전장치를 유료공간내 1개소 이상 이용이 편리한 곳에 설치하되, E/V 이용객의 동 도록 설치한다. 3.4.5 무빙워크(M/W, Moving Walk) (1) 환승통로의 직선부분 길이가 50 m 이상일 때는 M/W를 양방향으로 설치한다. (2) M/W를 설치한 경우 잔여 보행통로폭은 3 m이상으로 한다

(3) 디딤판의 폭은 980 mm를 기본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580 mm 이상으로 한다. (4) 비상시 승객이 인지하기 쉽도록 비상정지버튼을 설치하거나 이를 안내한다. 3.5 통로 3.5.1 일반통로 3.5.1.1 권고사항 (1) 통로중간에 편의시설, 안내시설이나 만남의 광장 및 휴게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주동선에 지 않도록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설치한다. (2) 승객의 인지도 확보를 위하여 가능한 한 직선화한다. (3) 가급적 개방 공간으로 처리하여 승객의 인지도 및 방향성을 향상시킨다. 3.5.1.2 기준사항 (1) 통로의 폭원은 승강장의 폭원산정에 준하여 정한다. (2) 경사통로에서 경사면은 미끄럼방지 처리를 하여야 한다. (3) 통로의 최소폭은 3 m 이상으로 한다. (4) 개방감을 위하여 통로 높이(천정고)는 2.8 m 이상으로 한다. 3.5.2 연결통로 (1) 연결통로는 다음과 같이 전용통로와 겸용통로 두 가지로 분류한다. 1) 전용통로 : 정거장의 대합실과 인접 건물을 단순히 연결시켜 건물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통로 2) 겸용통로 : 도시철도 계단참에서 사유지내 건축물과 연결하여 일반승객 및 건물이용자가 모두 사용이 로 3.5.2.1 권고사항 (1) 이용객의 통행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2) 가급적 전용통로보다는 겸용통로를 설치한다. (3) 겸용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해당 건축물을 활용하여 출입구를 설치하도록 한다.(이를 고 수립한 기존의 도시철도 출입구 계획은 이를 변경할 수 있다) 3.5.3 환승통로 3.5.3.1 권고사항 (1) 환승유형 및 환승동선을 우선 고려하여 정거장 형태를 정하고 관련 기능시설을 배치하도록 한다. (2) 일반 승 하차 동선과 분리하고 승강장과 승강장을 직접 연결하여 환승동선을 단순화하고 동선거리 한다. (3) 상대식 승강장의 경우에는 승강장계단의 확폭부로부터 환승계단까지 확폭부위를 연장하여 승강장의 폭 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4) 승강장 중간에 승강장과 직각으로 환승통로를 설치할 경우에는 연결부의 6 m 구간 통로폭을 승강 확폭하거나 사각 처리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5) 장애인의 환승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편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5.3.2 기준사항 (1) 일반사항 1) 통로폭은 교통수요예측에 의하여 산출된 이용객 수에 대응한 소요 폭 이상으로 하되 최소폭을 3 m 다. 2) 통로폭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가급적 중간에 지장물이 없어야 한다. 3) 승강장 끝에 환승통로가 연결될 경우에는 해당 승강장 단부에 6 m 이상의 여유길이를 확보한다. 4) 환승통로의 직선부분 길이가 50 m 이상일 때는 M/W를 양방향으로 설치하며, 잔여 보행통로의 통로 높이(천장높이)는 3 m 이상이어야 한다. 5) 연결통로 설치에 따른 소방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2) 폭원산정 1) 통로폭은 식(3.14)로 산정한다. 통로폭 = (첨두시 분당 통과인원) / F + (2 0.3) (3.14) Fruin의 서비스 수준 E등급 상한값인 군집밀도 1.0인/m2에 대한 군집보행속도는 V=60 = 1.0인/m2 60 m/분 = 60 인/m/분이 된다. 따라서, 폭원 산정시 F는 60 2) 산출과정 (가) 승강장의 형식과 무관하게 첨두시간에 해당 통로를 이용하는 승 하차객 및 환승객을 모두 합산하 원을 구한다. (나) 첨두시간의 이용객수에 대하여 첨두15분간의 이용객수를 환산할 경우에 할증율 20%로 할증하여 (다) 첨두1분간의 통과인원은 첨두15분간의 통과인원을 15로 나눈 값이다. (라) 식(3.14)에 따라 통로의 폭은 다음 식(3.15)와 같다.

통로 폭 = (첨두시 분당 통과인원) / 60 + 0.6 (3.15) 3.5.4 신교통 연결통로 3.5.4.1 권고사항 (1) 지하형, 지상형, 고가형의 다양한 신교통과의 연계에 대비하여야 한다. (2) 도시철도기본계획 수립지침(국토해양부 고시)에서 제시된 목표년도 이내에 도시철도 정거장과 건설계 정된 신교통이 교차한다면 해당 정거장에서는 신교통과의 연계에 대비한 연결통로계획을 설계에 반영하여야 1) 지하형 신교통과의 연결 (가) 교통수요예측에 의한 신교통과의 예상 환승수요를 기준으로 3.5.3 환승통로 에 준하여 폭원 최소폭을 3 m 이상으로 한다. (나) 통로폭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중간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2) 노면형 신교통과의 연결 (가) 교통수요예측에 의한 신교통과의 예상 환승수요를 기준으로 3.4.1 내부계단 에 준하여 폭원을 (나) 수직이동시설(E/S, 외부계단)은 3.4 승강시설 의 기준에 준한다. 3) 고가형 신교통과의 연결 (가) 교통수요예측에 의한 신교통과의 예상 환승수요를 기준으로 3.4.1 내부계단 에 준하여 폭원을 (나) 수직이동시설(외부계단, E/S, E/V)은 3.4 승강시설 의 기준에 준하도록 한다. 3.6 기타 시설 3.6.1 화장실 3.6.1.1 권고사항 (1) 설치위치 1) 공공화장실 기능을 고려하여 개찰구 외측에 설치하도록 하고, 승객편의를 위해 개찰구 내측에 추가 한다.(구조상 부득이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2) 인지성을 고려하여 승객의 주동선상에 설치한다. 3) 화장실입구 계획시 여자용 화장실을 입구에 근접 배치한다. 4) 개방공간에 입구를 설치하거나 입구폭을 확대하는 등 대기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5) 장애인 화장실은 가급적 입구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치하고, 일반 화장실을 장애인용 화장실과 용하는 경우 장애인용 대소변기 각 1개소씩을 가능한 입구에서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며, 출입문은 용자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로 한다. (2) 설치기준 1) 청소도구실은 1.5 m 1.5 m 이상 설치한다. 2) 대변기 배치시 칸막이 크기는 폭 1.0 m 깊이 1.5 m로 한다. 3) 소변기 배치시 소변기의 간격은 0.8 m 이상으로 한다.

4) 어린이용 변기, 기저귀 교환대는 최소 1개소 설치한다. 5)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화장실내에 긴급호출시설을 설치한다. 3.6.1.2 기준사항 (1) 설치위치 영업시간 이후의 범죄예방차원에서 방범 셔터 구획선 안에 설치한다. (2) 설치규모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에 따른다. 3.6.2 집 개표구(Gate) 3.6.2.1 권고사항 (1) 방범 셔터 내부에 설치한다. (2) 매표대기행렬이 그 지역을 통과하는 승객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3) 집 개표구는 가능한 1개소에 집중배치 한다. (4)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여야 하며, 1방향 배치를 원칙으로 한다. 3.6.2.2 기준사항 (1) 정거장 1개의 집 개표구 필요수량은 식(3.16) 및 식(3.17)과 같이 산정한다. 개표구 수 = 첨두1시간 승차인원 1.3 / 2880(3.16) 집표구 수 = 첨두1시간 하차인원 1.5 / 1920(3.17) (2) 장래확장 및 비상시를 고려하여 설치 라인당 개 집표구는 각각 2대의 여유를 둔다. (3) 폭 900 mm 이상의 자동 집 개표구를 자동매표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집 개표구 설치 라인 소 이상 설치하여 휠체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유모차 이용객, 부피가 큰 짐을 소지한 승객 등의 출입구로 3.6.3 휴게시설 3.6.3.1 권고사항 (1) 정거장내 설치 1) 대합실, 통로 등의 일부를 할애하여 계획하되 보행동선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한다. 2) 휴식시설을 기본시설로 하되 만남의 광장, 매점, 공중전화, 안내소, 민원처리소 등의 시설을 가급 획한다. 3) 장애인을 위한 공간을 배려하도록 한다. (2) 정거장외 설치 1) 환승정거장 및 이용객수가 많은 정거장에 우선 설치한다. 2) 출입구 주변의 미활용되고 있는 공지를 활용하고 주변 건축물의 용도 기능과 연계하여 녹화시켜서 변의 환경을 개선한다. 3) 미관증진을 위하여 적절히 정비하도록 하며,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보행공간을 확보한다.

4) 일률적인 계획에서 탈피하여 지역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한다. 5) 차량 등의 소음, 시각적 저해요소로부터 차폐되도록 한다. 3.6.4 기능실 3.6.4.1 권고사항 (1) 기본방향 1) 역무 및 현업분소의 기본운영계획을 우선 수립(운영인력 최소화를 위하여 중앙관리 체계로 수립한 이에 따라 기능실을 설계한다. 2) 발주처의 요구특성 및 운영계획 등에 따라 적정규모 계획 및 합리적인 배치계획을 수립하여 필수적 을 지상 및 지하역사 특성에 맞게 선택 설치하고, 본 지침에 언급하지 않은 기능실도 반드시 필요한 설치할 수 있다. (2) 기능실 배치 기준 1) 역무관련 기능실 (가) 역무 종합 관리실(매표, 정산기능포함) 1 대합실에서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한다. 2 집 개표구 주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대합실측에 투시창을 설치한다. 3 내부 가구배치 등 세부 개략도면(LAYOUT)을 작성하여 합리적인 공간 계획이 되도록 한다. (나) 침실 1 역무종합관리실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남?여 분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운영계획상의 취침 직원수에 따른다. (다) 샤워실 및 탈의실 1 침실과 인접하여 배치한다. (라) 용역 대기실 용역 대기실 내부에 용역창고를 구획 설치한다. (마) 통신기계실 본 시설의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적정위치에 배치한다. (바) 비품창고 적정위치에 배치한다. (사) 청원경찰실 승객공간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한다. 2) 공통 기능실 (가) 발매기실 1 발매기실 관리는 매표소 근무자가 하게 되므로 역무종합관리실에 근접배치하고 내부출입문을 설치한다.

2 발매기실 전면 상부에는 노선도, 요금표 등 안내시스템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3 발매기는 가급적 1개소에 집중 배치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는 적정위치에 발매기실 1개소 추가설치도 가 (나) 전기실 정거장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가급적 한쪽 방향으로 배치하고 물과 관련된 기능실들은 전기실의 상부 또는 에 근접배치를 억제한다. (다) 공조기계실(환기실) 1 공조기계실은 정거장의 공간구조에 따라 양끝단 분리배치, 중앙배치, 층별 분리배치 등으로 위치를 선 으며, 반송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거장 배치를 원칙으로 한다. 2 바닥으로부터 보하단까지의 높이는 5.0 m 이상으로 한다. 3 공조기계실과 승객공간과의 경계벽은 차음구조여야 한다. (라) 물탱크실 물탱크실은 공조기계실의 내부에 두거나, 공조기계실에 인접 배치한다. (마) 소화약제실 전기실에 인접 배치하되 변전실이 있는 정거장은 변전실에 인접 배치한다. (바) 배수펌프실 가급적 승강장 끝에 배치하되 설치위치는 토목분야의 배수계획에 의한다. 3) 특수 기능실 (가) 변전실 1 전기실과 가능한 인접 배치한다. 2 변전실의 층고는 5.5 m 이상으로 한다. 3 지상도로 등에서의 장비반입구(3 m 4 m)설치 및 변전실과의 연결을 고려한다. (나) 신호기계실 위치는 신호분야의 분기선 계획에 의하되 가급적 통신기계실과 근접 배치한다. (다) 운전취급실 위치는 신호분야의 분기선 계획에 따르되 신호기계실과 인접 배치한다. (라) 기동검수원실 위치는 운영계획에 따른다. (마) 승무원 침실 위치는 운영계획에 따른다. (바) 주재소 위치는 운영계획에 따른다. (사) 도시철도 수사대 및 출장소

승객공간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하되 도시철도수사대와 협의한다. (아) 현업분소 1 역무종합관리실과 이격 배치되는 경우 분소용의 별도 샤워 및 탈의실 설치를 고려한다. 2 분소의 종류는 전기, 신호, 통신, AFC, 영선, 기계, 보선분소 등이다. (3) 기능실 소요면적 기준 각종 기능실의 소요면적은 실질적인 근무인원, 장비에 대하여 조사 검토한 후, 이를 반영하여 효율적으 다. 3.6.4.2 기준사항 (1) 기준의 적용 기능실 배치 또는 소요면적에 대하여 관련분야의 별도기준이 제시되는 경우에는 관련분야의 기준에 따른다. (2) 기능실 통로 1) 기능실의 통로폭은 1.8 m 이상 확보한다. 2) 전기실, 변전실, 환기실은 장비반입을 위한 통로폭 2.5 m 이상 확보한다. (3) 기능실계단 기능실의 내부계단은 역무요원만 이용하는 계단으로서 유효폭 1.8 m 이상, 단 높이 170 mm 이하 이상, 계단참 1.8 m 이상으로 하되, 환기실이나 변전실로 연결되는 주계단은 유효폭과 계단참이 2. 한다. (4) 기능실 출입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한다. 3.6.5 긴급대피 시설 3.6.5.1 일반사항 (1) 각 승강장마다 독립적인 탈출경로가 두 가지 이상 있어야 한다 (2) 대피 수용량은 일 통행시간 중 가장 혼잡할 때를 기준으로 한다. (3) 비상 대피의 경우에는 승객들이 가능한 모든 공간을 사용하려 할 것이기 때문에 스침여유를 무시 폭을 적용한다. (4) 두 가지 시나리오 즉, 정거장내 열차 화재 및 정거장 화재에 대비하여야 한다. (5) 방화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는 제연( 除 煙 )시설을 두도록 한다. 3.6.5.2 정거장내 열차 화재 (1) 상황가정 1) 열차 정차 이후 가장 혼잡한 승강장이라고 생각되는 곳에서 열차에 화재가 발생할 때 정거장 안의 승강장에 있다고 가정한다. 2) 각 층마다 하나의 E/S가 고장나서 계단으로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E/V 사용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2) 기준사항 1) 대피인원 열차에 화재가 발생한 승강장의 대피인원은 한 대의 열차가 연착될 경우의 열차의 승객수까지 감안한 것 식(3.18)으로 산정한다. 대피인원 = 피크시의 승강장 대기인원 + 열차수용인원 2 (3.18) 여기에서, 피크시의 승강장 대기인원은 첨두1시간 대기인원의 30%를 첨두15분 대기인원으로 인원을 산정한다. 또한, 열차수용인원은 재차 인원으로 하되 열차수용인원 2 항이 만차인원을 는 만차인원을 적용한다. 다른 승강장의 대피용량은 일반 승하차인원으로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대피인원 = 피크시의 승강장 대기인원 + 피크시의 승강장 하차인원 또한, 두 개나 그 이상의 탈출 경로가 한 곳으로 모이는 곳에서는 해당 통행량을 모두 더해야 한다. 2) 대피시간의 산정 (가) 대피시간은 대기시간과 이동시간의 합으로 산정하며 대피요소별로 대피인원과 대피 수용량에 따라 및 이동시간을 구한다. (나) 대기시간은 표 3.5의 대피요소별 대피 수용량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이동시간은 표 3.4 대피 속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3) 대피시간의 기준 승객이 4분 이내에 승강장에서 벗어나고, 6분 이내에 연기나 유독 가스로부터 안전한 외부출입구를 벗어 다.

4) 정차시 열차출입문과 스크린도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스크린도어의 벽체는 모두 비상개폐 한 구조로 한다. 3.6.5.3 정거장의 화재 (1) 상황가정 1) 정거장의 가장 용량이 큰 통로에 화재가 난 것으로 하여, 가장 용량이 큰 통로를 비상 대피에 우로 가정한다. 2) 각 층마다 하나의 E/S가 고장나서 계단으로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가정하며 E/V는 할 수 없다. (2) 기준사항 1) 대피인원 정거장에 화재가 발생한 승강장의 대피인원은 피크 때의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에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 한 수로 한다. 즉, 대피인원은 피크시의 승강장 대기인원과 피크시의 승강장 하차인원을 합한 것으로 한 개나 그 이상의 탈출 경로가 한 곳으로 모이는 곳에서는 해당 통행량을 모두 더해야 한다. 2) 비상 대피에 사용할 수 있는 대피경로에 대하여 열차화재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피시간을 산정하고 의 기준 내에 들어야 한다. 3.6.6 침수방지 시설 3.6.6.1 권고사항 (1) 직접적인 침수를 고려하면 집수정의 규모가 인근 지역의 유수지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정도로 대규 므로 현실적으로 기준설정이 곤란하다. 따라서, 최대한 침수를 예방하는 시설과 비상시 신속한 침수배제 만 고려한다. (2) 인근 하천의 홍수기록을 참조하여 출입구 설치 장소의 지반고가 계획 홍수위보다 높은 경우는 일 경우는 침수가능지역으로 구분한다. 3.6.6.2 기준사항 (1) 노면출입구 폭우시 노면수가 개구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보도면보다 상향조정한다. 1) 일반지역 일반지역의 계단은 기존보도 높이에서 1단(165 mm) 높게 시공한다. 2) 침수가능지역 (가) 침수가능지역의 계단은 기존보도 높이에서 2단 이상 (330 mm) 높게 시공한다. (나) 여건변화로 노면배수가 곤란할 때를 대비하여 출입구 전면 개구부에 긴급차단시설을 설치할 수 있 을 반영한다. (다) 긴급차단시설의 높이기준은 예상침수높이를 감안하여 보도면에서 1.0 m 이상으로 한다.

(2) 연계출입구 1) 지하상가나 인접한 대형건물과의 연결통로는 연결사업시행자가 연계 출입구의 계획시 침수가능여부와 비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3) 환기구 지상개구부 1) 침수가능지역에서는 환기구의 지상개구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보도면에서 1.0 m 이상의 돌 획하거나 1.0 m 이상 돌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별도의 차수시설을 설치한다. 2) 일반지역에서는 환기구의 지상개구부 주변의 지상면을 구배 조정하여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계획한다 (4) 지상 E/V 출입구 1) 침수가능지역에서는 차수구조가 보도면에서 1.0 m 이상의 돌출되도록 계획하며 전면 입구에 긴급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을 반영한다. 2) 일반지역의 계단은 1단 높게 승강면을 계획하고 지상 E/V 출입구 주변의 지상면을 구배 조정하 되지 않도록 한다. (5) 집수정 1) 용량 산정 (가) 본선 및 정거장 유입수량은 본선 1km당 2 m3/min(정거장은 본선과의 주변장비율로 환산)와 수량 0.1 m3/min으로 산정한다. (나) 지상개구부의 유입수량은 강우강도 100년 빈도에 의한 유입수량 적용한다. (다) 지상개구부는 해당구간의 캐노피가 없는 출입구, 환기구의 지상개구부, 본선의 지상탈출구간(U- 이 강우가 직접 유입되는 부분으로 한다. (라) 저수시간을 30분으로 설계하며 하천통과 등과 같이 다량의 유입이 예상될 경우 50% 할증한다. 2) 배수펌프 (가) 일반지역에서는 2대 설치시 대당 용량은 유입수량의 100%로 합계 200%를 확보하며, 3대 은 유입수량의 60%로 합계 180%를 확보한다. (나) 침수가능지역에서는 유입수량의 400%의 용량을 확보하고 예비 펌프를 100% 이상 확보하도록 긴급배제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비상전원에 의하여 운용한다. 3.7 장애인 및 노약자 시설 3.7.1 일반 사항 (1) 장애인 및 노약자가 도시철도를 이용함에 있어서 지상에서부터 열차에 탑승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 하면 다음과 같다. (2) 시설별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배려항목은 표 3.6과 같다.

(3) 장애인 및 노약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설계자는 표 3.6의 각 시설별 상세 고려사항을 하여야 한다. (4) 본 장애인 및 노약자 시설기준에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보건복지부에서 제정한 장애인 관련 시설기.

(1) 출입구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는 교통약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계단과 병행하여 경사로를 설치한다. 3.7.2 기준 사항 3.7.2.1 출입구 (2) 경사로의 최소 유효폭은 1.2 m이어야 한다. 3.7.2.2 대합실 (1) 동일층에는 원칙적으로 단차를 두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부득이하여 단차를 두어야 할 경우에는 경 하도록 하며 위험 방지 측면에서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장애인 및 노약자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 개표구 부분과 계단의 시 종점부 등 미끄럼 는 장소에서는 미끄럼 방지 마감재를 사용한다. (3) 시각장애인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돌출물은 가급적 통로에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기둥이나 벽의 둥글게 하거나 45 또는 60 의 각으로 모따기를 한다. 3.7.2.3 승강장 (1) 바닥면의 구배는 1/100 정도로 하며 물에 젖어도 미끄럽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마감하여야 (2) 바닥구배는 선로 반대쪽으로 둔다. 3.7.2.4 계 단 (1) 계단의 챌면 하단은 수직면으로부터 20 mm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하고, 디딤판이나 계단참은 미 록 표면 처리한다. 3.7.2.5 계단 손잡이(난간, Hand Rail) (1) 가급적 계단의 양측에 설치하여야 하고 계단의 폭이 넓어 중앙난간을 설치할 경우에도 시작부터 끝 게 설치되어야 하며, 소화전 박스나 셔터 등의 설치로 부득이 끊길 경우에는 개구의 폭이 100 mm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850 mm, 벽으로부터의 이격거리는 50 mm로 하며 계단의 시?종점부 mm 이상 수평 연장한다. (3) 손잡이 양끝 부위는 벽 또는 기둥 쪽으로 둥글게 마무리한다. (4) 손잡이의 굵기는 32 mm~38 mm 범위로 하여야 한다. 3.7.2.6 점자 표시판, 점자블록 및 유도 안내시설 (1) 내?외부계단 양측 벽체에 설치되는 계단 손잡이에는 점자 표시판을 부착하여 호선, 정거장명, 단 오르내림 표시, 열차 진행 방향 등을 점자표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도시철도를 이용하도록 (2) 에스컬레이터만 설치할 경우에는 전 후 공간 300 mm 전면에 경고용 점자타일을 설치하며, 계 경우 유도용 점자타일을 계단 방향으로 설치한다. (3) 설치위치는 휠체어 리프트를 제외한 모든 외부출입구 및 내부 계단의 양측벽 계단 손잡이 시?종 다.

(4) 계단 손잡이의 점자 안내판 표시는 표 3.7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5) 비상시 청각장애인을 위한 안내설비를 고려한다. (6) 보도 외부계단(출입구) 대합실 승강장간의 동선유지를 위하여 바닥에 30 cm 폭의 작 교차 굴절되는 지점에 연결성 있게 설치한다. (7) E/V가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의 경우에는 각 외부계단입구(출입구)에 지상 E/V가 설치되어 는 안내시설을 설치하여야 하고, 그 곳까지 동선이 유지될 수 있도록 E/V 위치안내를 연결성 있게 표. (8) 유도블록 양 끝선에서 60 cm 내에는 보행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9) 출입구, 매표소, 계단 및 E/V 근처 등에는 시각장애인용 음성유도기를 설치한다. 3.7.2.7 수동매표소 (1) 매표소의 매표구 높이는 승객 측에서는 0.95 m, 매표원 측에서는 0.75 m로 하며, 안내 상담구의 높이는 0.75 m로 한다. (2) 매표소의 챌면의 하단 깊이는 0.2 m 이상, 기타 챌면의 하단 깊이는 0.45 m 이상으로 3.7.2.8 장애인용 집 개표구 (1) 휠체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유모차 이용객, 부피가 큰 짐을 소지한 승객 등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구 1개소의 유효폭은 0.9 m 이상으로 한다. 3.7.2.9 장애인 및 노약자용 화장실 (1)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을 남 여 구분하여 각각 1개소씩 설치한다. (2) 설치위치는 남 여 화장실 각각의 내부에 출입구로부터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3) 휠체어의 이동 또는 출입문 개폐에 지장이 없도록 출입문 전면에 1.5 m 1.5 m 이상의 유 (4) 한쪽 손잡이는 변기 중심에서 0.35 m~0.4 m 범위 내의 지점에 고정 설치하되, 다른쪽 의 간격은 0.7 m 내외로 한다. (5) 회전 가능한 손잡이쪽 변기 측면에서부터 측벽까지 0.75 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한다. (6) 화장실 출입구는 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폭 이상이어야 하고 단차를 두지 않는다. (7) 화장실 문은 유효폭 0.9 m 이상으로 가볍고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며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 으로 개폐가 가능해야 한다. (8) 변좌의 높이는 휠체어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인 0.42~0.45 m 정도로 한다. (9) 휠체어용 화장실의 내부치수는 2.1 2.1 m를 원칙으로 하고, 현장 여건시 조정할 수 있으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10) 남자 일반화장실에는 지지대가 있는 소변기를 1개 이상 설치한다. (11) 자동문이 설치된 화장실의 출입문 스위치는 변기에 앉은 채 조작이 가능한 거리에 설치한다. 3.7.2.10 엘리베이터(E/V) (1) 조작패널의 설치위치는 바닥에서 0.8~1.1 m 높이의 E/V의 전면 벽이나 측면에 설치하고, 의 형태는 가로형으로 한다. (2) E/V 출입문은 조작 후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개폐되도록 한다. 여기서 충분한 여유라 함은 문 는 최소시간은 3초, 보행장애인을 위하여서는 5~6초, 휠체어 사용자에게는 10초 이상을 말한다. (3) 광전 장치로 개폐할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는 검출 시설을 갖춘다. (4) E/V면과 구조물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는 20 mm 이하로 하며, 고저차가 없게 한다. (5) 층수인식을 위하여 층수번호의 점자 표시 및 음성 안내를 하도록 한다. (6)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승강기 전면 및 내부에 승강기의 진행방향, 도착층, 출입문의 개폐 상황 록 음성안내장치를 설치한다.

(8) E/V 전면에는 휠체어 사용자의 승강을 위해서 1.5 m 1.5 m 이상의 유효공간을 확보한다 (7) 노면과 E/V 단차가 0.15 m 이상인 경우 양측에 연속하여 핸드레일을 0.85 m의 높이 바닥사이에는 유효폭 1.2 m(회전시 1.7 m) 이상의 경사로를 설치한다. (9) E/V의 고장, 점검 등의 비상상황으로 인하여 장애인의 이동편의시설 이용이 불가능할 경우 역 요청할 수 있도록 E/V 외부에 비상호출버튼을 설치하여야 한다. (10) 승강기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1 m 이상, 길이 1.4 m 이상으로 하되, 휠체어를 위한 우에는 1.4 1.4 m 이상으로 한다. 3.7.2.11 휠체어 리프트(W/L) 입지 여건상 E/V 설치가 불가능한 정거장에는 고정형 혹은 수직형 휠체어 리프트를 설치하여야 하며, 을 만족하도록 한다. (1) W/L 전면에는 승?하강을 위하여 1.5 m 1.5 m의 유효바닥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며 는 최소 유효폭 0.76 m, 유효길이 1.05 m 이상으로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구조이어야 프트를 신설하거나 기존의 휠체어리프트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설치폭 등 운행적합 여부를 고려한 후 전동 등 신형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한 휠체어리프트로 설치하여야 하고, 교체 전까지 기존의 휠체어리프트를 이용 우에는 반드시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W/L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지정장소에 접어서 보관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 경우 m 이상이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3) 계단상부 및 하부 2개소에 원격조정이 가능한 탑승장치를 갖추어야 하며, 탑승자 스스로도 조작이 한다. (4) 운행 중 휠체어가 구르거나 장애물과 접촉하는 경우 자동정지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5) W/L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의 입구에는 눈에 잘 띄는 문자 또는 도안으로 안내표시를 하여야 자동호출이 가능하도록 호출버튼을 설치하고 작동설명서를 부착하여야 한다. 제4장 정거장외 시설 4.1 일반 사항 (1) 도시철도의 이용편의를 위하여 도시철도간의 환승뿐만 아니라 도시철도와 타 교통수단(버스, 택시, 전거 등)과의 환승실태를 파악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환승체계를 제시하여야 한다. (2) 교통수단들은 각기 고유한 기능과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 교통수단의 장점을 충분히 살려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한다. (3)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기본방향으로 한다. 1) 역세권내의 이용객 통행실태조사 및 버스, 택시, 승용차, 자전거 등의 환승실태를 파악한다.

2) 환승시설이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상호 연계성을 갖추도록 한다. 3) 개인교통수단의 도심진입을 억제하도록 한다. 4) 버스,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으로의 환승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4.2 적용 범위 (1) 정거장외 시설은 도시철도 이외의 교통수단(버스, 택시, 승용차, 자전거)이 도시철도와 편리하 계되도록 하는 시설을 말한다. (2) 이 장에서는 도시철도를 위주로 한 교통수단의 환승시설에 대한 시설의 규모와 설치기준에 대한 기 한다. (4) 본 지침에서 제공하지 않는 세부기준은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주차장법, 장애인 노인 임산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자전거이용시설의 구조 시설기준 한 규칙 을 참조하여야 한다. 4.3 연계 시설 4.3.1 버스정류장 4.3.1.1 권고 사항 (1) 버스정류장은 정거장외부 출입구에 인접한 곳에 설치하며 가급적 베이방식으로 유도하고 버스의 운 을 고려하여 적정규모로 산정한다. (2) 버스와 도시철도간의 원활한 환승을 위한 버스정류장의 적정위치는 다음과 같다. 1) 정거장이 교차로에 위치한 경우 (가) 교차로 전 후에 다음의 이격거리를 만족하도록 버스정류장을 설치한다. 1 버스정류장이 교차로를 횡단하기 전에 위치하는 경우 도시철도역 유출입구에 가능한 한 접근시키되 교 지선까지의 이격거리 50 m를 확보한다. 2 교차로를 횡단한 후에 환승하는 버스정류장(FS)인 경우에도 버스정류장을 도시철도역 유출입구에 가 접근시키되 이격거리 50 m를 확보한다.

(가) 정거장이 미드블럭에 위치한 경우 버스정류장을 정거장외부 두 출입구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2) 정거장이 미드블럭에 위치한 경우 (나) A 버스정류장은 정거장외부 출입구에 근접시킴을 원칙으로 하며 B 버스정류장 위치시 버스 정류 외부 출입구 간 길이는 버스정류장 길이(Ls)의 1/2이상를 둔다. 4.3.2 자전거 보관소 4.3.2.1 권고사항 (1) 장래 자전거 이용 수요를 고려하여 모든 정거장에 설치하되 도심외곽 및 공원, 광장 등과 인접한 한다. (2) 정거장 외부출입구 부근 국, 공유지를 활용하되 가급적 비활용 공간을 이용하고 출입구로부터 도보 내(120 m)에 설치한다. 4.3.2.2 기준사항

(1) 5대 주차 규모로 모듈(Module)화 하여 이동 및 증설이 편리하도록 한다. (2) 관리 및 위치선정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자전거 보관소의 형식을 결정한다. (3) 자전거 보관소 내 자전거 수용방법, 주차방식, 동선처리에 있어서는 부지의 형상과 면적, 계획주 출입구와 버스정차장의 상대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 자전거 보관소는 대당 폭 0.6 m 이상, 길이 1.5~1.9 m, 높이 1.9 m정도로 한다 (5) 자전거 보관소 위치는 타 차량이나 보행자를 방해하지 않는 곳으로 훼손 및 도난 방지를 위해 자 수 있도록 하며 일반인의 관측이 용이한 곳에 위치시킨다. 4.4 환승 시설 4.4.1 환승 주차장 4.4.1.1 권고사항 (1) 도심 및 부도심지에서 이격된 저급지에 위치한 정거장만을 설치 고려대상으로 하되 도시공간구조의 려하여 설치한다. (2) 정거장 출입구로부터의 거리는 200 m 이내로 한다. (3) 대상부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 출입구를 가급적으로 분리한다. (4) 도시철도 건설 과정에서 굴착한 도로하부의 지하공간을 활용한다. 4.4.1.2 기준사항 (1) 계획 주차면 수는 주차장법 시행령 제4조제2항에 따른 규모이상으로 해야 하며, 환승이 편 배치한다. 이 경우 동항의 규정에 의한 도시철도연장은 기 종점부를 포함하고 지선 도시철도가 동시에 경우에는 동구간을 포함하며 주차수요예측기법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원단위법에 의한다. (2) 주차장 계획시 다음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1) 개인교통 수단과 대중교통 수단을 연결시킨다는 환승주차장의 목적을 감안하여 필요여부를 판단한다. 2) 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입 출고시 최소 최대 평균 소요시간을 산정하고 한 확인방법을 표시하여야 한다. 3) 기계식 주차장에는 최대입고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주차장법 시행규칙 에 따른 대기 주차공간을 설 한다. 4) 장애자 주차공간은 지상층 등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5) 주차요금을 징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차요금 정산소의 위치를 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차요금 두시 교통량을 기준으로 최근접 교차로의 교통신호의 한 주기에 해당하는 대기차량 수요를 수용할 수 출입구로부터 대기동선을 확보하여야 한다. 6) 시설물 이용자를 위한 셔틀버스를 운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상에 적정규모의 셔틀버스 주 정차공간 하여야 한다. 7) 주차장내 시설물의 배치와 관련하여 다음 각목의 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가) 주차시설에의 진 출입 램프 대기공간 확보 여부 (나) 주차램프의 적정구배 여부 (다) 진 출입 차량크기를 감안한 최소 회전반경, 적정 램프 폭원확보여부 (라) 주차공간 내에서의 적정시거 및 동선체계 구축여부 (3) 원활한 차량 진 출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음사항을 고려한다. 1) 진 출입구의 위치와 운전자의 시거확보 여부 2) 최근접 가로 및 교차로의 진 출입구간의 거리와 첨두시 진 출입 통행량 처리가능 여부 3) 가로 첨두시 및 환승주차장 첨두시의 진 출입 통행량과 동선체계 4) 진 출입구로부터 환승주차장 내의 차량 대기공간과 첨두시 진 출입 통행량간의 적정성 여부 및 가 하 정도 5) 진 출입구 및 차로 수와 유발교통량 간의 교통처리 인과관계 6) 진 출입구의 폭원 및 진 출입 방식과 교통처리용량 제고정도와의 관계 7) 진 출입 동선체계상 운전자의 진행목적 방향별 운행가능 여부 8) 주차장의 진 출입구 및 요금정산소와 진 출입구간 거리의 적정성 여부 9) 최소 회전반경의 확보를 위한 사각 정리 가능여부 10) 진 출입 동선상의 엇갈림 및 합류분석과 허용가능구간 11) 주변 세가로와 환승주차장의 진 출입 동선과의 상충여부 12) 진 출입구의 가감속도로의 설치규모 적정성여부 13) 기타 지형조건 및 상위 동선체계와 부합되는지 여부 4.4.2 환승 센터

환승센터는 도시철도 이용편의를 높이기 위해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하였을 경우 다음의 기준을 권장한다 4.4.2.1 일반사항 (1) 환승센터는 입지하고 있는 위치의 특성에 따라 크게 도심외곽, 도심내부, 지역연계 환승센터로 분 환승센터의 입지별 목적과 기능은 표 4.1과 같다. 4.4.2.2 기본방향 (1) 연계교통시설로서 환승주차장은 대규모의 부지가 소요되는 반면에 이용객의 극소수에 불과한 승용차 이용하므로 환승주차장의 설치가 가능하다면 가급적 환승센터로의 계획 변경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2) 환승센터유형의 우선순위는 도심외곽환승센터, 지역연계환승센터, 도심내부환승센터로 하고 환승센터별 필요시설은 표 4.2와 같다.

(3) 전체 도시철도 이용객의 상당수(절반 가량)가 연계버스를 이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버스와의 환승을 로 하며 환승센터의 접근로와 부지내에 버스전용차선과 전용정차대를 설치한다. (4) 교통수요예측 및 교통처리대책에 관한 사항은 관련 법령에 따른다. 4.4.2.3 외부동선과 출입구 계획 (1) 출입구는 가능하면 교통수단별(보행자, 자전거, 승용차, 버스)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교통수단에 지 않도록 계획한다. (2) 유출입구는 분리하며 서로 50 m의 거리를 두며 인근 교차로와도 50 m 이상 떨어져 배치한다 (3) 환승주차시설(Park & Ride)의 주차면 수가 300대 이상일 경우 출구와 입구를 각각 2 (4) 환승주차시설(Park & Ride)의 주차면 수가 500대 이상일 경우 교통량이 많은 간선도 곳에는 신호등을 설치하여 교통혼잡을 줄이도록 하고 교통계획에 따라 출구의 차선 수를 계획한다. (5) 차량의 출입동선은 가능하면 우회전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환승시설로 접근하도록 동선을 계획하여 주위의 외부동선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계획한다. 4.4.2.4 시설계획 (1) 버스정류장 1) 버스정류장의 적정수용규모 결정

환승센터내에 설치할 버스차선 수를 결정하는 수용노선규모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대기행렬 시뮬레이션(Q Simulation)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 버스운행 특성자료를 분석한 후 장래 예측된 버스 승하차 에 따라 수용할 노선별로 환승센터내 적정수용 규모를 결정한다. 2) 버스정류장의 규모산정 (가) 정류장(시스템)내에서의 평균소비시간(W) 버스가 정류장내에서 소비하는 시간으로 대기행렬에서 기다리는 시간과 서비스 받는 시간을 합한 것임. (나) 대기행렬내에서의 평균소비시간(Wq) : 서비스를 받기 전까지 정류장의 대기행렬에서 소비하는 시 (다) 정류장에 존재하는 평균 버스정차대수(L)

(라) 대기행렬에 있는 평균 버스대수(L) (마) 버스정류장의 이용도 (ρ) : 정류장내에 버스가 있을 확률 (2) 배웅주차장(Kiss & Ride) 배웅주차장 시설은 회전율이 극히 높은 주차시설로서(오후 첨두시 회전율 : 7~8분/대) 오전에는 배 마중을 하기 위한 대기장소이다. 평면에 배치해야 하며 통상 Kiss & Ride 시설규모를 20~60면 정도로 계획한다. 1) 배웅주차장 시설의 설치기준 (가) 역의 주 출입구에 인접한 곳에 위치해야 하고 우측 승차가 가능하며, 지붕이 있는 배웅처(sh 설치한다. (나) 승객을 마중하러 나온 차량의 대기용 주차장의 위치는 승차장에 인접하여 역의 출구가 잘 보이며 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한다. (다) 차량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사각주차로 설계한다. (라) 배웅주차장과 그 형태가 유사한 택시운행에 의한 연계방식이 있으며 현재 택시에 의한 연계가 활 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배웅주차장과 연관지어 택시정류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자전거 보관소 4.3.2 자전거 보관소에 준하여 설치한다. 제5장 정거장 표준설계지침 5.1 일반사항 (1) 동선은 가급적 짧고 교차하지 않도록 하며 승객동선을 우선한다. (2) 정체구간이 유동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3) 이용객이 시설의 선택에 혼란이 없도록 한다. (4) 위험성이 없도록 한다. (5) 승강장에서 승차효율이 균일하도록 한다. (6) 연계교통수단과의 이용편의성을 고려한다.

5.2 일반정거장 (1) 전체적인 통일성은 유지한 상태에서 입지여건에 따라 창의성 있게 계획한다. (2) 이용객동선의 단순화와 역무관리의 효율을 위하여 매표, 집 개표시설 및 출입시설을 최소화한다. (3) 개방공간을 두어 방향성 및 안정감을 높이고, 개방공간에는 자연채광을 유도하여 지하공간의 폐쇄감 쾌적함을 높인다. (4) 대합실과 개방공간의 경계는 투명재질의 보호난간을 설치하여 이용객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토록 한다 (5) 기능실은 가급적 대합실의 매표 및 집 개표 공간하부에 중2층을 두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 등으로 방공간을 넓게 확보한다. (6) 통로는 장애물이 있거나 좁아지는 부분이 없이 길이에 따라 균일해야 하고 모든 역 요소들의 수 들어오는 모든 경로의 수용량을 합친 것과 동일해야 한다. 5.2.1 교차로의 정거장 5.2.1.1 권고사항 (1) 승강시설 1) 외부계단 또는 외부E/S는 교차로의 코너마다 1개소 설치한다. 2) 내부계단 및 내부E/S는 승강장마다 2개소 이상 설치한다. 3) 외부 E/V는 무료공간에 2개소 이상 설치한다. 4) 내부 E/V는 유료공간에 승강장마다 최소1개소 설치한다. 5) 승강의 연속성을 위하여 E/S는 노면에서 승강장까지 연속성 있게 배치한다. (2) 집 개표구 가급적 한 곳에 집중배치하여 동선을 단순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용객의 규모가 큰 정거장에 대해서 분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5.2.1.2 권장 개요도 교차로에 위치하는 정거장의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1) 상대식인 경우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2) 섬식인 경우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5.2.2 미드블럭의 정거장 5.2.2.1 권고사항 (1) 승강시설 1) 외부계단 또는 외부 E/S는 보도마다 2개소 설치한다. 2) 내부계단 및 내부E/S는 승강장마다 2개소 이상 설치한다. 3) 외부 E/V는 무료공간에 최소 1개소 설치한다. 4) 내부 E/V는 유료공간에 승강장마다 최소1개소 설치한다. 5) 승강시설의 연속성을 위해 E/S는 노면에서 승강장까지 연속성 있게 배치하여야 한다.

(2) 집 개표구(Gate) 가급적 한 곳에 집중배치하여 동선을 단순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용객의 규모가 큰 정거장에 대해서 분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5.2.2.2 권장 개요도 미드블럭에 위치하는 정거장의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1) 상대식인 경우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2) 섬식인 경우 권장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5.3 환승정거장 5.3.1 권고사항 (1) 입지여건별 환승동선과 환승유형을 우선 고려하여 계획한 이후 형태를 정하고 각 기능을 배치한다. (2) 2개의 정거장을 동시에 건설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기존의 지하정거장과 환승계획시에는 공법 조적 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3) 신설노선의 환승정거장은 본선과의 교차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심도가 깊어지며 3개 층 이상이 필요 장층과 중간층을 적극 개방공간으로 처리하여 개방감을 유도한다. (4) 승강장과 승강장간의 직접연결로 동선을 단순화하되 일반 승하차 승객과 환승승객을 분리한다. (5) 승하차 승객과 환승승객을 명확히 분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환승통로를 두거나 또는 환승홀을 설치 중간 환승층을 두도록 한다. (6) 인접한 정거장의 승강장 구조를 고려하여 열차의 특정위치에 승객이 집중되지 않게 균일한 승차효율 환승유형과 계단부 위치를 결정한다. (7) 환승통로의 길이는 가급적 100 m 이하로 한다. 5.3.2 기준사항 (1) 환승통로 및 환승홀의 폭은 최소 3 m 이상이어야 하며 M/W를 설치시 잔여폭은 3 m 이상이 (2) 환승통로의 직선길이가 50 m를 초과시 양방향으로 M/W를 설치한다. (3) 장애인의 환승이 가능하도록 E/V를 이용하는 별도의 통행경로가 제시되거나 승강시설에 W/L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야 한다. 5.3.3 + 자형 5.3.3.1 권고사항 (1) 승강장에서 승 하차객과 환승승객을 분리하기가 곤란하므로 하부에 위치하는 정거장의 대합실을 상부 의 승강장보다 위층에 두거나 두 정거장의 대합실을 같은 층에 배치한다. (2) 대합실의 교차공간을 가급적 넓게 하여 환승홀로 활용한다. (3) 환승에 사용되는 승강시설은 가급적 E/V 및 E/S를 이용하도록 한다. 5.3.3.2 권장 개요도 5.3.4 T 자형 5.3.4.1 권고사항 (1) 별도의 중간 환승층을 가급적 폭이 넓도록 하여 환승홀로 활용하며 일반 승객의 동선과 분리되도록 (2) 별도의 중간 환승층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 상부 또는 하부승강장의 연장부를 환승통로로 활용하여 리 직접 환승이 되도록 하며 일반 승객의 동선과 분리되도록 한다.

(3) 환승에 사용되는 승강시설은 가급적 E/V 및 E/S를 이용하도록 한다. 5.3.4.2 권장 개요도 5.3.5 L 자형 5.3.5.1 권고사항 (1) 형태상 별도의 중간 환승층을 설치하는 것이 방향성제고와 동선단순화에 유리하며 가급적 중간 환승 넓게 확보하여 환승 Hall로 활용하도록 한다. (2) 중간환승층의 길이가 50 m이상인 경우에는 양방향으로 M/W를 설치한다. (3) 환승에 사용되는 승강시설은 가급적 E/V 및 E/S를 이용하도록 한다. 5.3.5.2 권장 개요도

5.3.6 복층형 5.3.6.1 권고사항 (1) 별도의 환승통로나 중간 환승층을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2) 형태상 승강장에서 승 하차객과 환승승객을 분리하되 대합실은 같은 층에 배치한다. (3) 대합실에서 상부승강장과 하부승강장에 이르는 동선을 직선으로 배치하여 단순화한다. (4) 환승에 사용되는 승강시설은 가급적 E/V 및 E/S를 이용하도록 한다. 5.3.6.2 권장 개요도

- 경량전철편 - 제6장 정거장내 시설

6.1 일반사항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과 같다 6.2 적용범위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과 같다 6.3 여객 시설 6.3.1 승강장 (1) 경량전철의 승강장은 이용객의 승하차가 용이하고 보다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섬식 승강장을 설치한다. 다만, 수용공간에 비해 이용 수요가 많은 경우에는 상대식 승강장을 설치한다. (2) 승강장내 기능실은 가능한 억제하도록 하여 원활한 동선을 확보하고 개방감을 향상시킨다. (3) 승하차동선을 단순화하여 방향성을 제고한다. (4) 대합실과 승강장이 수직층으로 별도 분리되지 않은 역사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을 따로 정한다. (5) 계단부 계획 1) 계단부는 가능한 승강장 편측 끝단에 1개소 설치한다. 단, 필요한 경우 승강장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계단부가 승강장 끝단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계단부 옆면의 여유공간은 승강장 연단으로부터 최소 이 되어야 한다. 3) 승강장별로 계단이 2개소 이상인 경우에는 계단간 순간격이 충분하여야 하며, 계단 정면에는 충분 을 확보하도록 한다. (6) 시설 계획 1) 승강장내에는 기능실이나 휴게실을 가능한 한 설치하지 아니한다. 2) 승강장에는 적절한 수의 좌석 시설을 설치하되 승객 유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3) 승강장의 연단에는 대기승객의 안전 확보 및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스크린도어 또는 안전펜스와 같 을 설치하되, 장래의 열차 확장편성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7) 승강장 길이 1) 승강장 길이는 장래의 열차 확장편성을 고려하여 정한다. 2) 승강장 편측 끝단에 계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끝단에서 별도로 최소 2.5 m를 연장한다. (8) 승강장 최소폭 1) 상대식 승강장은 3.0 m를 최소폭으로 한다. 2) 섬식 승강장은 5.0 m를 최소폭으로 한다. 3) 승강장의 폭원은 서비스 수준 D를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하여 산정하되 환승정거장의 경우에는 환승승 려하여 산정한다. (9) 승강장연단과 차량간의 간격

1) 승강장의 연단은 차량한계로부터 50 mm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단, 토목 및 건축 시공상의 있으나 이 때 승강장 연단과 차량한계간의 간격이 50 mm 미만이 되어서는 아니된다. 2) 곡선 승강장은 곡선에 의한 치수를 별도로 가산한다. 3) 곡선 승강장에서는 곡선으로 인한 승강장의 연단과 차량과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장 승위치를 표시하도록 한다. (10) 승강장 높이 승강장의 마감높이는 차량 공차시를 기준으로 차량 바닥면보다 15 mm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단, 시공상의 오차는 허용될 수 있다. 6.3.2 대합실 (1) 자동발매기와 집 개표구는 근접 배치하고, 집 개표구는 안내 및 감시의 효율성을 위하여 일방향으 치한다. (2) 일반 통행인의 동선과 정거장 이용승객의 동선은 가능한 분리하고, 부득이하게 혼재하는 공간에서는 유를 두어 혼잡을 방지한다. (3) 승객흐름상의 교차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막다른 동선은 배제한다. (4) 자동발매기 설치시에는 집 개표구 배치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장애인의 이용에 없도록 한다. (5) 정거장 기둥의 크기 및 간격은 원활한 동선흐름을 고려하여 정한다. (6) 자동발매기 및 집 개표구에서는 전후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승객의 대기행렬이 승객의 유동을 방 도록 한다. 2) 환승유형(+, T, L,복층형 등)에 따라 환승 동선을 우선 계획한 후 공간배치 계획을 수립한 (7) 편의시설은 승하차 동선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8) 집 개표구 라인은 가급적 기둥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9) 집 개표구와 전면 계단은 6 m 이상의 간격을 두어 혼잡을 방지한다. (10) 집 개표구 및 계단 앞 4 m 이내에는 지장물 설치를 금지한다. (11) 횡단보도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방범셔터를 설치하. (12) 정거장내로 출입하기 위한 통로의 동선방향이 90 이하의 각으로 전환되는 곳에서는 구조물 모 내벽부를 사선 처리한다. (13)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 하부의 여유공간은 소규모의 기능실로 활용할 수 있다. (14) 환승 계획 1) 다른 도시철도 및 교통수단의 장래 건설계획을 고려한다. 3) 타 노선의 환승객 수를 고려하여 환승 계획을 수립한다.

6.4 승강 시설 6.4.1 내부계단 (1) 대합실과 승강장을 연결하는 계단은 상대식 승강장에서는 각 승강장 편측에 1개소 이상씩 총 2개 하고, 섬식 승강장에서는 1개소 이상 설치한다. (2) 도시철도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승강장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내부계단은 가능한 꺾이게 설치하되, 을 위하여 꺽이는 곳에서는 반사경 등의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3) 약시자의 계단부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시 종점부 계단 바닥면 또는 챌면은 특수색깔 처리한다. (4) 계단석 크기 계단석 크기는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준용한다. (5) 설치 기준 1) 폭 5 m 이상의 계단에는 중앙난간을 3 m 이내마다 설치한다. 단, 계단참(Landing)에는 2) 계단 전후 4 m이내의 동선상에는 지장물을 금지한다. 3) 높이 3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한다. 4) 최소폭 1 최소폭은 계단 마감을 기준으로 2.0 m 이상으로 한다. 2 E/S와 병행할 경우에는 1.5 m 이상으로 한다. 5) 전면 최소여유공간 승객이 다음 장소로의 이동을 결정할 때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해주며 혼잡시 승객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소한의 공간을 다음과 같이 확보한다. 1 통로~계단 : 4 m 2 계단~거리 : 4 m 3 계단참 : 1.2 m (6) 폭원산정 내부계단의 폭원은 서비스 수준 D 이상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6.4.2 외부계단(출입구) (1) 설치 위치 1) 각 방향에서의 원활한 접근성 및 지상의 다른 대중 교통수단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계단 위치를 결 2) 외부계단은 기존의 보도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녹지 및 공원 등에 설치하며, 나대지 등의 이용한다. 3) 보도상에 설치할 경우 보차선을 조정하거나 도로법면을 조정하여 잔여 보행폭을 확보한다. 4) 보도상의 잔여 보행폭이 2.0 m 미만인 경우에는 보차선 조정, 건물의 후퇴선 활용, 인접한 용 등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부득이한 경우 사유지를 점용하여 보도폭을 확보하는 등의 대책을 미리 다만, 기존 외부계단(출입구)을 개량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2) 설치 개소 1) 도로의 지상횡단이 가능한 경우에는 1개소 이상, 도로의 지상횡단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도로 양측 소 이상 설치한다. 2) 정거장의 입지조건, 주변역세권 및 승객접근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설치개소를 정한다. (3) 계단석 크기 계단석의 크기는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준용한다. (4) 설치 기준 1) 최소폭 (가) 계단 최소폭은 2.0 m로 하며, 계단의 폭원은 서비스 수준 D 이상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하여 (나) E/S와 병행하여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계단 최소폭은 1.5 m로 한다. (다) 진입부 계단참의 최소 길이는 1.5 m로 한다. 2) 전면 최소여유공간 등 그 밖의 기준은 내부계단의 기준을 준용한다. 3) 약시자의 계단부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시 종점부 계단 바닥면 또는 챌면은 특수색깔 처리한다. 4) 외부계단은 가능한 꺽이게 설치하며, 결빙 강우 등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 등 승객의 안전을 위하 적정 규모로 설치한다. 6.4.3 에스컬레이터 (E/S) (1) 외부E/S(무료공간, Free-area) 1) 주변보도여건 및 승객동선 등을 고려하여 설치여부를 선택한다. 2) 외부 출입구 및 내부에 E/S를 모두 설치하는 경우에는 E/S에 의한 동선이 출입구에서 승강장 이어지도록 한다. 3) 눈 또는 비로 인하여 승객이 출입구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시미관을 비 차단시설을 설치한다. (2) 내부E/S(유료공간, Paid-area) 1) E/S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승강장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계단과는 분리 설치한다. 2) 전면 최소여유공간 승객이 다음 장소로의 이동을 결정할 때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해주며 혼잡시 승객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소한의 공간을 다음과 같이 확보한다. (가) E/S 핸드레일 끝단~통로 : 4 m (나) E/S 핸드레일 끝단~Gate(집 개표구) : 6 m (다) E/S 핸드레일 끝단~거리 : 4 m (라) M/W(Moving Walk)~통로 : 4 m

(3) 규격 1) 디딤판의 폭은 580 mm이상으로 한다. 2) 속도는 층고가 6 m이내일 경우는 40 m/분 이상으로 하며, 6 m이상인 경우는 30 m/분 3) 가능한한 방향전환이 가능한 가변형 E/S를 사용하도록 한다. 4) 시 종점부의 디딤판은 3매 이상 수평이 되도록 한다. 6.4.4 엘리베이터 (E/V) (1)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용편의, 공공보도의 기능 수행 등을 고려하여, E/V는 무료공간 모두 설치한다. (2) 보행동선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하되, 보도상에서 2.0 m의 잔여보행폭 확보가 어려 유지 확보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한다. (3) 도로의 미관을 고려하여 설치하며, 입지여건을 고려하여 출구와 입구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4) 교통약자의 접근이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치한다. (5) 수송능력은 15인승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6) 전동휠체어 충전장치를 유료공간내 1개소 이상 이용이 편리한 곳에 설치하되, E/V 이용객의 동 도록 설치한다. (7) 지상보도 및 정거장 내부의 시각적 개방감 확대와 미관증진 등을 위해 투시형으로 설치한다. (8) 지상에 설치되는 E/V는 장애인용 주차장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9) 지상에 노출되는 E/V는 도로 및 보행환경을 고려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한 후 최 외부를 마감한다. (10) 설치개소 1) 무료공간 (Free area) (가) 정거장이 도로 편측에 설치되는 경우 : 도로 양측에 1개소씩 설치하되 지상횡단이 가능한 곳에 설치 가능 (나) 정거장이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경우 : 도로 양측에 1개소씩 설치하되 지상횡단이 가능한 곳에서 에 1개소만 설치 가능 2) 유료공간(Paid area) 섬식의 경우 1개소, 상대식의 경우 각 승강장에 1개소씩 설치한다. (11) 평면 및 단면규모 1)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은 800 mm 이상, 높이 2,100 mm 이상으로 한다. 2) 전동 휠체어 탑승 장애인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12) 안전 및 치수에 관한 기준 1) 비상시에도 휠체어 장애인이 이용 가능하여야 한다.

2) 노면수의 승강장 유입을 막기 위해서 지상E/V 설치시 인근 출입구 최상단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 지형여건에 맞추어 적정높이차를 두어 설치한다. 3) 엘리베이터 내 외부 사이의 틈새는 20 mm 이하로 한다. 4) 엘리베이터 내 외부의 단차는 없도록 한다. 6.5 통로 6.5.1 일반통로 (1) 통로중간에 편의시설, 안내시설 등을 설치하는 경우 승객의 주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승객의 인지도 및 방향성 향상을 위하여 가능한 직선화하고 개방 공간으로 처리한다. (3) 통로의 폭원은 서비스 수준 D를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4) 경사통로의 경우에는 경사면에 미끄럼방지 처리를 하여야 한다. 6.5.2 연결통로 (1) 연결통로는 다음과 같이 전용통로와 겸용통로 두 가지로 분류한다. 1) 전용통로 : 정거장의 대합실과 인접 건물을 단순히 연결시켜 건물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통로 2) 겸용통로 : 도시철도 계단참에서 사유지내 건축물과 연결하여 일반승객 및 건물이용자가 모두 사용이 로 (2) 이용객의 통행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3) 가능한 한 전용통로보다는 겸용통로를 설치한다. (4) 겸용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해당 건축물을 활용하여 출입구를 설치하도록 한다.(이 않고 수립한 기존의 도시철도 출입구 계획을 변경하도록 한다) 6.5.3 환승통로 (1) 환승유형 및 환승동선을 우선 고려하여 정거장 형태를 정하고 관련 기능시설을 배치하도록 한다. (2) 교통약자의 환승이 편리하도록 이동편의시설을 설치한다. (3) 일반사항 1) 통로폭은 교통수요예측에 의하여 산출된 이용객 수에 대응한 소요 폭 이상으로 하되 최소폭을 3 m 다. 2) 통로폭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가급적 중간에 지장물이 없어야 한다. 3) 환승통로의 직선부분 길이가 50 m 이상일 때는 M/W(Moving Walk)를 양방향으로 설치 폭은 3 m 이상, 통로높이는 3 m 이상이어야 한다. 4) 연결통로 설치에 따른 소방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 수평자동보도(M/W) 설치 기준(환승통로길이 50 m 이상인 경우) >

(4) 폭원산정 환승통로의 폭은 서비스 수준 E를 설계서비스 수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6.6 기타 시설 6.6.1 화장실 필요에 의해 정거장내에 화장실을 설치하는 경우 다음 사항을 적용한다. (1)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화장실내에 긴급호출시설을 설치한다. (2) 일반 화장실을 남 여 구분하여 각각 1개소씩 설치한다. 다만 일반 화장실을 장애인용 화장실과 하는 경우 장애인용 대소변기 각 1개소씩을 가능한 입구에서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며, 출입문은 자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로 한다. (3) 화장실 설치 규모는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6.6.2 집 개표구(Gate) (1) 방범 셔터 내부에 설치한다. (2) 매표대기행렬이 그 지역을 통과하는 승객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3) 폭 900 mm이상의 자동 집 개표구를 자동매표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집 개표구 설치 라인 소 이상 설치하여 휠체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유모차 이용객, 부피가 큰 짐을 소지한 승객 등의 출입구 (4) 집 개표구는 가능한 1개소에 집중배치 한다. (5) 정거장 1개소의 집 개표구 필요수량은 3개소 이상으로 하되, 승객수를 감안하여 추가 설치할 수 6.6.3 기능실 (1) 기본방향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따른다. (2) 기능실 배치 기준 1) 역무관련 기능실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따른다. 2) 공통 기능실 (가) 전기실

정거장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능한 한쪽 방향으로 배치하고 물과 관련된 기능실은 전기실의 상부 층에 근접배치 되는 것을 지양한다. (나) 공조기계실(환기실) 공조기계실과 승객이 머무는 공간과의 경계벽은 차음구조여야 한다. (다) 물탱크실 물탱크실은 가능한 공조기계실에 근접 배치한다. (라) 소화약제실 전기실에 인접 배치하되, 변전실이 있는 정거장은 변전실에 인접 배치한다. (마) 배수펌프실 가능한 승강장 끝에 배치하되 설치위치는 토목분야의 배수계획에 의한다. 3) 특수 기능실 (가) 변전실 1 전기실과 가능한 인접 배치한다. 2 지상도로 등에서의 장비반입구(3 m 4 m)설치 및 변전실과의 연결을 고려한다. (나) 신호기계실 위치는 신호분야의 분기선 계획에 의하되 가능한 통신기계실과 근접 배치한다. (다) 운전취급실 위치는 신호분야의 분기선 계획에 따르되 신호기계실과 인접 배치한다. (3) 기능실 소요면적 기준 각종 기능실의 소요면적은 실 근무인원 및 장비에 대하여 상세 조사 검토한 후, 이를 반영하여 효율적으 다. (4) 기준의 적용 기능실 배치 또는 소요면적에 대하여 관련분야의 별도기준이 있는 경우에는 관련분야의 기준에 따른다. (5) 기능실 통로 기능실에서는 장비 반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통로폭을 확보하여야 한다. (6) 기능실계단 기능실의 내부계단은 역무원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치한다. (7) 기능실 출입문 방화문으로 설치한다. 6.6.4 긴급대피 시설 (1) 각 승강장마다 독립적인 탈출경로가 있어야 한다 (2)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이용하는 장애인의 대피 시설은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용하여 설치한다.

(3) 지상정거장에서는 외부로 피난할 수 있는 직통계단을 건축법 을 준용하여 설치한다. (4) 지상정거장은 화재 등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소방차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5) 지하로 건설되는 정거장의 대피인원 및 대피시간 산정에 대해서는 중량전철편의 3.6.5.2 및 6.6.5 침수방지 시설 지하로 건설되는 정거장에만 적용하도록 하며,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따른다. 6.7 장애인 및 노약자 시설 6.7.1 일반 사항 (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시설별 배려항목은 표 6.1과 같다. (2)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용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설계자는 표 6.1의 각 시설별 상세 고려사항을 하여야 한다. (3) 본 장애인 및 노약자 시설기준에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을 준용한다. (4) 대합실, 승강장, 계단, 계단손잡이, 점자표지판, 점자블록 및 유도안내 시설, 장애인용 집 노약자용 화장실, 엘리베이터(E/V)에 대한 설치기준에 대해서는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적용한다. 표 6.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시설별 배려항목 제7장 정거장외 시설 7.1 일반 사항 (1) 도시철도의 이용편의를 위하여 도시철도간의 환승뿐만 아니라 도시철도와 타 교통수단(버스, 택시, 전거 등)과의 환승 실태를 파악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환승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2) 각 교통수단의 장점을 충분히 살려 교통수단간에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3)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기본방향으로 한다. 1) 역세권내의 이용객 통행실태조사 및 버스, 택시, 승용차, 자전거 등으로의 환승실태를 파악한다. 2) 환승시설은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상호 연계성을 갖추어야 한다. 3) 개인교통수단의 도심진입을 가능한 억제할 수 있도록 환승 계획을 수립한다. 4) 버스,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으로의 환승을 우선 고려한다. 7.2 적용 범위 (1) 정거장외 시설이란 도시철도 이외의 교통수단(버스, 택시, 승용차, 자전거)이 도시철도와 편리 연계되도록 하는 시설을 말한다. (2) 이 장에서는 도시철도를 위주로 한 교통수단의 환승시설에 대한 시설의 규모와 설치기준에 대한 기 한다.

(3) 본 지침에서 규정하지 않는 세부기준은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주차장법, 장애인 노인 임산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자전거이용시설의 구조 시설기준 한 규칙 을 참조한다. 7.3 연계 시설 7.3.1 버스정류장 (1) 버스정류장은 정거장외부 출입구에 인접한 곳에 설치하며 가능한 베이방식으로 하고, 버스의 운행빈 려 적정규모로 계획한다. (2) 버스와 도시철도간의 원활한 환승을 위한 버스정류장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1) 버스가 정거장 외부출입구를 지나가기 전 버스정류장이 위치하는 경우(A 버스정류장) 버스정류장을 부출입구에 근접시킴을 원칙으로 한다. 2) 버스가 정거장 외부출입구를 지난 후 버스정류장이 위치하는 경우(B 버스정류장) 버스정류장과 정 입구 간에는 버스정류장 길이의 1/2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버스정류장의 위치 > 7.3.2 자전거 보관소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따른다. 7.3.3 환승 주차장 본 지침의 중량전철편을 따른다. 제8장 경량전철 정거장 권장개요도 8.1 관리정거장(도로중앙) 상대식, 섬식 개요도

8.2 관리정거장(도로편측) 상대식, 섬식 개요도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 편의시설 설계 지침

8.3 환승정거장(경전철 중량전철) 개요도

제9장 행정사항 9.1 재검토기한

훈령 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 (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시 발령 후의 법 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2016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