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박물관의 증진을 위한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of Placeness to promote Exhibition Communication of Ecological Museum 이정화 / 홍익대핚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LEE Junghwa/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Hongik University, Spatial Design Dept. 유진형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교신저자 YOO Jinhyu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목 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생태박물관 2.2 장소성 2.3 전시 커뮤니 3. 생태박물관의 증진 전략 3.1 생태박물관의 장소성 3.2 생태박물관의 장소성과 3.3 증진을 위한 장소성 형성 모델 4. 사례분석 4.1 사례선정 및 분석 방법 4.2 사례분석 4.3 소결 5. 결론 Keyword 생태박물관,, 장소성 Ecological museum, Exhibition communication, Placeness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An ecological museum serves as a model of development to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improve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create an attraction to local ecology through ecological museums by approaching these exhibi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theory of placeness. (Method) Following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ecological museums and placeness, the discussion turns to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xhibition communication and how to make placeness a space of exhibi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a model of the formation of placeness is established. Then, through an analysis of relevant cas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placeness and the effects promoting exhibition communication are drawn. (Result) Four expressive characteristics had high effects on the promotion of exhibition communi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proposed to create placeness in the form of exhibition was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new possibility for an ecological museum as an alternative for the recovery and development of local identity. 요 약 (연구배경 및 목적)생태박물관은 현대에 와서 환경을 지키고 지역발전을 향상 시키는 발전 모델로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시특성을 장소 성 이론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생태박물관을 통해 지역생태에 대한 공감과 애착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생태박물관과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 되었고, 이어서 장소성을 어떻게 전시 공간화 할 것인가에 대하여 측면에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성 형성 모델을 설정 하였고, 이에 부합하는 사례분석을 통 해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과 증진도를 도출하였다. (결 과)사례분석 결과 4가지 표현특성에 따른 증진효과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연구자가 제시한 모델이 전시형 태로써 장소성을 형성하는데 유용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박물관 이 지역에 대한 정체성 회복과 발전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3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국가경쟁력의 요소로서 지속적으로 생물자원과 생태 자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생태박물관은 이러한 생물의 환경, 즉 생태에 대한 정보를 관람자들에게 전 달하고 환경을 보존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 주는 기 관으로, 지역개발에 대한 대안으로 환경도 지키고 지 역발전도 향상시키는 발전모델로써 기능한다. 생태박 물관이 다른 유사기관과 구분되는 점이 바로 이것인데 유물의 소장보다 어떤 지역의 자연, 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 에서 보존, 해석해 그 장소적 의미의 발견 1) 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태박물관의 전시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전시를 매개로 관람 자들에게 살아있는 자연을 전달하여 자연스레 자연과 공존하는 하나의 존재로써 인식시키고, 내가 살고 있 는 지역과 밀접한 관계 맺음으로 지역 생태에 대한 공 감과 애착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의식(인식)으로써 장소성 이론을 중심으 로 생태박물관의 증진 방안을 연구 해 보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유사기관과의 명확한 개념정리가 필요하 여 생태박물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다. 많 은 생태박물관들이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전시범위에 차이가 있고, 용어 사용의 정립이 불분명한 가운데 연 구범위의 재정립이 필요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생태 계 범위나 연대와 상관없이 생태계를 중심으로 지역 특화 된 박물관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지역 특수성에 따라 과거의 생태가 중요하기도 하고(고성지역의 공 룡 ) 일부 특정 생태(함평지역의 나비 )가 중요하 게 여겨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물리적 환경 에 대한 의식(인식)으로써 장소성 이론을 중심으로 이 론적 연구가 진행 되었고, 이어서 방법론적 측면에서 장소성을 어떻게 공간적으로 의미작용 할 것 인가에 대하여 측면에서 이론적 고찰을 하 였다. 이로써 와 증 진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유형화한 공간 모델 을 설정하였다. 이 모델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정 1) 노시훈, 생태박물관, 지역과 정체성, 프랑스문화예술학회지 제41집, 2012, pp.265-281 한 모델에 부합하는 사례를 분석하여 장소성 형성 표 현특성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증진 도를 측정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모델이 장소성을 형 성하는 데 효과적 방안임을 입증 하 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생태박물관 2.1.1 생태박물관의 개념 생태박물관은 여러 가지로 구분된 박물관 중 자연과 학계열박물관에 포함된 분화된 자연사 박물관이다. 생태 라는 말의 정의에 따르면 생물이 살아가는 모양이나 상태 를 뜻하는 것이지만 생태 박물관의 생태 의 의미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로 정의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생태박물 관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큰 이유 중의 하나는 그 개념이 매우 유연한 데서 찾을 수 있다. 2) 여러 가 지 정의들이 아직까지도 분분한 가운데 현재까지 공통 적 개념들을 요약해보자면 생태박물관은 어떤 지역에 서 자연환경에 의해 형성된 문화와 계승된 생활양식을 연구하여 전시라는 수단을 통해 교육하여 이를 보존시 키는 기관이라 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생태박물관의 유연한 개념으로 지역의 목적에 따라 구성되는 전시 내용이 많은 차이가 나기도 하는데 지속적으로 자연환 경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에 따라 생태박물관의 지향점 은 인간 중심의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지역정체성 형성 이 아닌 자연 환경적 측면, 즉 환경 보존이나 자연과 인간의 관계성에 집중하여 관람객을 각성시킴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에 대한 사고는 이제 인간이 존재해 야만 자연이 존재할 수 있다는 시각에서 자연이 존재 해야만 인간이 존재할 수 있다는 범 자연론 적 시각으 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3) 2.1.2 생태박물관의 특수성 생태박물관은 자연사 박물관이나 과학관 같은 자연 계열 박물관과 유사해 보이지만 확연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생태박물관이 다른 유사기관과 구분되는 점은 생태적인 면에 집중하여 생물과 환경적인 측면에 특화 되어 있고, 연대의 측면에서 현생의 동 식물을 주 대 2) 노시훈, 생태박물관 개념의 지속과 변화, 프랑스어문교육학회지 제39집, 2012, pp.551-570 3)최성열, 환경미술에서 생태의 개념과 장소성,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p.3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4
상으로 하는 것, 자연환경 이외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포함한다는 것, 그리고 가장 크게 구분되는 점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정체성 회복과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즉, 유물의 소장, 전시보다 어떤 지역 의 자연, 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 에서 보존, 해석해 그 장소적 의미를 발견 4) 하는 박물관의 형태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생태박물관이 나아갈 방향과 특 수한 생태박물관의 목적성을 종합적으로 볼 때 생태박 물관에서 중요한 것은 넒게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인간이 자연의 한 부분임을 깨닫는 의식의 전 환의 장이 되는 것, 그리고 좁은 의미에서는 그러한 자연의 한 부분인 특정 지역에 대해 공감하고 애착을 갖게 함이다. 이러한 특수한 목적성을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의식(인식)으로써 장소성 이론을 중심으로 접근 해 보고자 한다. 2.2 장소성 2.2.1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 장소는 공간과 유사하게 의미하지만 추상적인 공간 에 구체적인 의미가 부여된 것을 장소라고 할 수 있 다. 장소는 인간의 경험과 활동을 통해 의미가 부여되 는 영역적, 공간적 맥락인 반면, 장소성은 장소의 본 질, 구체적으로는 장소가 지니는 의미인 동시에 그곳 에서의 인간행위,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물리적인 환 경에 대한 의식(인식), 형성된 의미를 일컫는다. 5) 국토용어해설에서 장소성은 장소의 본질, 구체적으 로는 장소가 지니는 의미이며, 인간의 체험을 통해 나 타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의식(인식)이라 할 수 있 다. human geography(1986)에서 장소성은 다소 독 특 하지만 지리학적으로 관련된 두 가지 의미를 지닌 다. 첫 번째는 장소 그 자체의 특성으로 기억할 수 있 는 독특한, 매우 높은 심상성을 가진 장소의 특성을 말하며, 두 번째는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자각 이나 의식으로 어떠한 장소에 대해 개인적 혹은 공유 된 중요성을 가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으로 장소 성은 장소가 갖는 본질적, 물리적 특성과 인간 개개인 마다 다른 주관적 인식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6) 이로써 생태박물관에서 장소성이란 지역이 가 진 생태적 특성과 그 물리적 환경에 관람객이 느끼는 4) 노시훈, Op.Oit., pp.265-281, 재인용 5) 홍성희 외 2인,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Vol.2011 No.1, 2011, pp,39-52 6) Ibid., pp,39-52 개인의 인식(의식)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물리 적 요인을 기반으로 심리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면서 장 소성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장 소성은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2.2.2 장소성 형성 여러 학설들 가운데 에드워드 렐프의 말을 요약하자 면 장소는 물리적 환경에 인간의 행동이 상호작용하면 서 환경에 대한 구체적 의미가 생겨나고 개인마다 다 른 장소성이 생겨난다고 하였다. 이-푸 투안은 어떠한 공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익숙해 졌을 때 애착이 형 성되면서 의미 있는 장소가 된다고 하였다. 즉, 공간이 익숙해 졌다고 느낄 때 공간은 장소가 되는데 익숙함 은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경험을 통해 획득되 어 지고, 이것이 장소의 애착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많은 학설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학설을 종 합해 보았을 때 공통적으로 장소성 형성요인에 나타나 는 것은 물리적인 환경에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상호 작용이 이루어 졌을 때 의미 있는 공간이 되고 장소성 이 형성된다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장소성을 형성 하는 요소들은 어느 한 가지만으로 충족 될 수 없고 복합적으로 서로 작용하였을 때 이루어진다. 1)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 물리적 환경은 자연환경 및 인간이 창조한 환경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인간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7) 물리적인 환경과 인간은 끊임없이 상호작용함으로 장소에 대한 의미가 생겨나고 이로써 장소성은 형성된다. 장소성이 형성된 다는 것을 쉽게 말해 어느 장소에 대한 친숙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친숙함은 장소와 일상의 행위가 반복적으로 결합했을 때를 생성되고 시간의 경과를 필 요로 한다. 이와 같은 개념은 이-푸 투안은 경험 이라고 표현하였는데 모든 감각을 활용한 적극적 경험 은 장소를 더욱 구체화 시킨다고 하였다. 2) 시간성 앞 서 말한 장소와 인간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시간이 지나면 장소에 대한 애착이 생긴다. 이러한 애착은 순간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시간의 경과 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시간성의 의미는 장소에서의 시간적 변화로써 일출이나 일몰, 빛과 그림자 등의 장 소의 현상 변화나 연속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렇듯 7) 김지현, 장소성 구축을 위한 현대건축 표현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지 논문집 제8권 3호,2013, pp. 117-126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5
장소성 형성에 있어서 시간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표 1> 로써의 시간성 시간성 시간의 축적(경과) 시간적 변화 의미 경험, 반복성 일몰, 일출 앞서 설명한 내용을 보면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상 호작용 그리고 시간성은 단일화된 요소로써 이야기 할 수 없는 복합적 관계를 갖는다. 다음의 <그림 1>은 이 러한 관계를 종합한 장소성 형성 모델로써 앞으로 연 구 할 생태박물관의 증진을 위한 장소성 형성 모델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물리적 환 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은 시간적 경험을 통해 장소에 대한 의식적 앎으로써 장소감을 형성하고 이것이 지속 적으로 유지될 때 애착으로 이어진다. 이것이 집단적 국면으로 나타나 지속성을 유지할 때 장소정신이 생겨 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개인적 차원에서 집단적 차원으로의 발전으로써 8) 장소정신과 장소감의 상호관 계에서 진솔성이 획득될 때 소속감, 의식적 애착, 정서 적 연계성, 활기, 흥미, 광대함 등이 생겨나면서 장소 성 형성을 강화 시킨다. <그림 1> 장소성 형성 모델 다음으로는 이러한 장소성 형성 요소들이 전시공간 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방법론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겠다. 2.3 2.3.1 전시개념의 변화와 동향 다양한 변화 속에 전시는 작품의 진열, 분석이 중요 한 '대상' 중심에서 전시 공간 안에서의 관람객의 '경 험'이 점차 중요하게 되었다. 9) 이로써 전시공간은 관 람객과 상호 소통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관람자는 전 8) 홍성희 외2인, Op.Oit., pp,39-52 9) 윤해영, 자연과학계 박물관 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 41 시물, 전시공간과 상호 소통하여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참여함으로써 1차적인 전시물 관람 형태의 전시장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써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 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의 디지털 매체의 발달은 신기 술을 보유한 다양한 매체와 아날로그적 감성이 복합된 새로운 경험을 전달하면서 박물관은 다양한 경험이 가 능한 복합체가 되었다. 이러한 복합적 공간으로써 관 람객은 다양한 연령대와 개인차를 가지고 박물관을 방 문하게 되었는데 이에 박물관은 이러한 복합성을 충족 시키기 위해 몇 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첫 째,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은 주체가 되어 공간을 이끌 어 갈 수 있도록 서사적 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는 미 리 정해진 획일화된 공간에서 벗어나 같은 공간에서 사용자에 따라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가며 다양한 비일상적 이야기를 경험하게 된다. 둘째, 관람객마다의 다양한 경험을 유도하고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 기 위해 상호소통 요소를 적극적 활용한다. 전시공간 과 관람객과의 상호소통은 신체적인 물리적 체험부터 감성을 자극하는 심리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적극적 상 호소통을 지향한다. 관람객과의 소통에 초점을 맞춘 전시 개념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10) 2.3.2 요소 전시는 어떠한 정보에 대해 목적성을 가지고 관람객 에게 전시매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함을 목적으 로 한다. 이러한 전달과정에서 관람객은 개인의 경험 이나 지식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해석하게 되는데 본 래의 전시 목적과 관람객이 느끼는 해석의 차이를 최 소화 하는 것이 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시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어떠한 방식 에 의해 전시공간에서 상호소통 하며 전달되는 과정으 로 이는 즉, 어떠한 컨텐츠로 어떠한 연출을 통해 전 시공간에서 어떻게 상호소통 시킬 것이냐 하는 문제로 서 에 필요한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 리할 수 있다. <표 2> 요소 항목 내용 1. 컨텐츠 전시 목적 및 내용 - 무엇을 보여 줄 것인가? 2. 전시 연출 전시 방법 -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3. 공간구성 전시 구성 - 어떻게 배치 할 것인가? 10) 홍미은, 박물관의 커뮤니 향상을 위한 전시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지 제4권 3호, 2010, pp.85-9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6
2.3.3 증진 전략 전시 공간은 11) 관람객과 공간 상호간의 효율적 커 뮤니을 위해 인간의 복합적인 심리적 체험과 감 성적 경험을 풍부하게 해주는 공간, 경험적이고 감성 적인 공간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이성적 사고 에 근거하여 수동적으로 인지되는 공간이 아니라 경험 을 통해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공 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필요성과 앞서 설명한 전시변 화 경향을 요소인 컨텐츠, 공간구성, 전시연출의 측면에서 정리하여 증진 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하여 서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이러한 서사화는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개개인의 성향과 경험, 사회 문맥적 상황에 따라 이야기를 다양하게 해석한다. 12) 브랜패랜은 박 물관에서 소장품 하나하나의 배경과 상황을 관람객에 게 설명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사물의 문맥적인 설 명은 관람객들로 하여금 자신이 귀중한 박물관 경험을 하고 있다고 믿는데 필수적이다. 라고 언급하고 있 다. 이러한 13) 공간은 미리 정해진 획일화된 공간에서 벗어나 같은 공간에서 사용자에 따라 자신만의 스토리 를 만들어가며 다양한 비일상적인 체험을 유도한다. 둘째, 전시공간은 전시를 매개로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여 공감을 이끌어 내는 공간으로 인간의 기본적 인 심리작용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반응 14) 으로써 감성 적 공간접근은 을 위한 효과적 방안 이라 할 수 있다. 감성적 공간접근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각인 오감을 통해 받아들이는 자극 뿐 아니라 느낌 이나 이미지 등의 내적 감정을 자극하는 것으로 다양 한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1 직접적이고 정확한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다소 모호한 표현으로 마음속 에 떠오르는 심상이나 영감을 끌어내는 것, 2 물리적 공간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성을 고려하는 것, 3 디자인의 범위를 시각에서 해방시키는 공감각적 연출 등 감성을 자극하는 연출로 관람객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공간의 장면적 구성으로 연속성을 부여한다. 11) Ibid., pp.85-93 12) 윤해영, Op.Oit., p.51 13) 김보라, 박물관 커뮤니 증진을 위한 체험전시환경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48 14) 신선주, 박물관의 감성적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제 9권 1호, 2014, pp.169-180 여기서 연속성이란 시간적, 개념적, 논리적 측면에서 하나의 현상 다음에 또 다른 현상이 잇따라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15) 이러한 연속성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 어서 다음 장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구성으로 한 방향으로의 방향이 진행되지 않았을 경우 새로운 공간의 시작을 알리기도 한다. 이러한 공간에서의 움 직임은 이동된 시선으로 더 많은 것을 느끼게 되고 개 인마다 다른 자신만의 공간적 영역을 확보하게 되면서 공간의 주체로서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이로써 전시 커뮤니 요소와 증진전략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 다. <표 3> 증진 전략 항목 내용 1. 컨텐츠 서사성을 가진 이야기 형식 2. 전시 연출 감성 자극 3. 공간구성 장면적(연속적)구성 3. 생태박물관의 증진 전 략 3.1 생태박물관의 장소성 앞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 요소를 생태박물관의 전시 특성에 맞춰 재정립하였는데 앞서 설명한 장소성 형성 요소 세 가지를 생태적 개념의 단어로 정리한 정도 이 며, 여기에 전시공간화 함에 있어서 추가 하거나 재정 립하였다. 1) 물리적 환경 -> 생물의 고유환경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은 인공적, 자연적인 것을 포함한다. 생태박물관에서는 지역의 생태를 배경 으로 전개함에 따라 물리적 환경을 생물의 고유환경이 라 표현하고 이를 인공적(영상, 디오라마 등) 또는 자 연적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2) 인간의 상호작용-> 자연 생태적 교감 장소성은 물리적 환경과 인간은 상호작용을 통해 의 미가 생겨나고 신체활동을 포함한 심리적인 교류를 통 해 장소는 더욱 구체화된다고 앞서 설명 하였다. 생태 박물관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은 생물의 고유환경과 관 람객의 교류로써 자연 생태적 교감을 말한다. 3) 시간성-> 고유환경의 변화 경험은 장소에 대한 의미를 만들고 시간이 경과했을 때 장소에 대한 애착이 생겨난다. 생태박물관에서 시 15) 김보라, Op.Oit., p.37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7
간성은 고유 환경의 낮과 밤 등의 물리적 변화와 시간 의 축적(경과)에 따른 반복적 경험의 유도를 말한다. 3.2 생태박물관의 장소성과 를 생태적 접근으로써 재정립 하였 고 앞서 증진 전략을 도출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생태박물관에서 장소성 형성에 효과적 인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물리적 환경으로써 생물의 고유환경은 사실에 기인한 이야기를 담은 배경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이 러한 내러티브(Narrative)는 기-승-전-결 이라는 연속적이고 순차적인 설명적 기법을 이야기하는 것으 로, 관람객은 생태적인 환경에 대해 미리 정해진 공간 에서 벗어나 사용자는 다양한 비일상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고유환경은 한정된 공간에서의 전시라는 한계로 인공적, 자연적으로 연출된다. 둘째,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은 생태박물관에서 생 물의 고유환경과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 다. 이-푸 투안은 '운동감각, 시각, 촉각 등의 감각 기 관을 통한 경험은 인간으로 하여금 공간과 공간적 특 성에 대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16) 이로써 자연 생태적 교감은 감각을 자극하여 심리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집중한다. 고유환경의 특성에 따라 상 징적 오브제, 몰입적 공간, 소리나 냄새 등의 공감각적 연출 등으로 상호작용에 있어서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 접근을 시도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인적인 애착이 생겨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서 집단적 공감할 수 있을 때 장소성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연적, 인공적으로 연출된 고유환경은 시간 적 변화로써 연속적 장면을 연출하면서 집단적 움직임 을 유도하기도 하고 장소와 일상의 반복적 경험을 위 해 관람객이 정지된 상태에서 시간적 변화를 느끼도록 연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간의 경과로써 장소에 대 한 특별함, 애착이 생겨난다. 관람객은 개인마다의 시 간에 따른 다른 장면을 구성하게 되고 호기심을 자극 하면서 개인의 의식으로써 관람객의 움직임을 유도한 다. 이는 앞서 설명한 개인적 의식으로써 장소감과 집 단적 의식으로써 장소정신을 충족하면서 전시공간에서 16) 한효주, 능동적 오브제로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장소성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32 장소성 형성을 강화하게 된다. 3.3 생태박물관의 증진을 위한 장소 성 형성 모델 <그림 2>는 생태박물관에서 장소성을 형성하는 모 델을 설정한 것이다. 이 모델은 본 연구의 가설을 위 한 모델로써 사례연구의 기준이 된다. 다음과 같이 정 리할 수 있다. 생태박물관에서 장소성을 형성할 수 있 는 요소로써 생물의 고유환경은 서사적으로 전개하여 관람객의 비일상적 체험을 유도한다. 고유환경과 관람 객과의 자연 생태적 교감은 다감각적인 연출로 감성을 자극하면서 장소를 더욱 구체화시키고 여기에 시간성 (시간의 경과로써 시간성이나 시간적 변화)이 부여된 장면적 구성은 관람객의 움직임을 유도하면서 장소에 대한 경험을 애착으로 이끌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관람객 개개마다 다른 장소성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집단적 차원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는 소속감, 의식적 애착, 정서적 연계성, 활기, 흥미, 광대함 등을 발생시키면서 장소성 형성을 강화 시킨 다. <그림 2> 생태박물관의 장소성 형성 모델 4. 사례분석 4.1 사례선정 및 분석방법 연구자가 제시한 모델은 생태박물관에서 관람객이 전시를 관람하면서 나와 상관없던 어떤 장소로부터 의 미를 발견하고 새롭게 인식하는 공간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모델이다. 즉, 장소성을 어떻게 전시 공간적으로 의미작용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써 가설을 설정 한 것이다. 이에 이것의 검증을 위해 위의 모델의 장 소성 형성요소와 증진 전략을 종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8
한 세 가지 요소로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3 고유환경의 변화에 따 른 장면적 구성. 이렇게 정리하고 이를 충족함과 동시 에 이들의 복합적 관계를 표현하는 사례를 선정하였 다.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사례 선정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적절히 부합된다고 판단되는 사례를 선정하였고 분석 매트릭스를 통해 이들 요소를 명확히 기술하고 부연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으로 어떠한 표현특성을 갖는지 장소성 측면에서 도출하였고 다음 으로 이러한 표현특성이 에 효과적인 지 확인하기 위해 를 기준 으로 평가하였다. <표 4>는 평가기준으로써 이는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다. *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3 고유환경의 변화에 따른 장면적 구성 중 해당요소 기입 공간설명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 4.2 사례분석 * 공간에 대해 간략 기술 * 장소성 형성을 나타내는 표현특성 간략기술 우수 보통 다음의 작품을 사례분석 하였다. <표 4> 평가 요소 항목 내용 17)박물관을 이루고 있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이 하나의 정체성을 가지고 작업되어 관람객에게 1. 박물관의 상징적 이미지를 구축하여 친근하고 편안한 관람 환경 요소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18)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된 만큼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여 관람객에게 자극을 주며 2. 기대치를 높여주어 다른 공간에서 가지지 못했던 공간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19)관람객은 전시공간에서 유물, 관람객, 또한 역사와 문화, 감정 등을 교류하며 행동, 물리적 3. 상호 작용성 차원 뿐 아니라 심리적 차원으로도 소통시켜야 한다. 자료: 김보라, 2011, 필자 재작성 <표 5>는 분석 매트릭스로써 이 틀을 기준으로 4가 지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가 컨텐츠, 공간구성, 전시연출의 전시구성의 전부를 다루고 있는 것에 반해 사례연구에서는 전부 다루어 설명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모델의 기준을 충족하는 연출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표 5> 분석 매트릭스 공간명 <표 6> 사례분석1- 일본 치토세 연어고향관 공간명 공간이미지 공간설명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 일본 치토세 연어 고향관 (수중 관찰실 / 1994)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3 고유환경의 변화에 따른 장면적 구성 지하에 설치된 수중 관찰실 로써 실제 강 속 풍경을 7개의 큰 창문을 통해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든 시설로써 장소적 의미를 갖게 되면서 감각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효율적 소통의 장을 형성한다. - 장소적 의미의 공간 우수 보통 공간이미지 17) 김보라, Op.Oit., p.40 18) Ibid., p.41 19) Ibid., p.44 <사례1> 통 창으로 설치된 곳에서 실제 강 속에 연 어를 관찰 할 수 있는 이 공간은 인공적이지 않은 생 물의 고유환경으로 장소적 의미를 갖으면서 관람객의 경험과 기억의 연상과 심상에 의해 감각의 활성화를 유도 한다. 이는 장소에 대한 비일상적 체험으로 생생 한 자연 속의 일부로써 장소를 기억하게 된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39
<표 7> 사례분석2- Cyberhelnetica 공간명 공간이미지 2002 스위스 엑스포 ( Cyberhelnetica / 2002년)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3 고유환경의 변화에 따른 장면적 구성 가상의 바다가 펼쳐진 공간에서 관람자는 바다 속 생명체로서 참여하여 바다와 바다 생명들과 공간설명 상호작용한다. 바다 표면에 투영되는 영상은 시간과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바뀌면서 시공간을 초월한 공간을 만든다. 장소성 형성 - 상징적으로 표현된 몰입적 공간 표현특성 - 다감각적 체험 공간 우수 보통 많은 동물들이 떼 지어 이동하는 공간으로 마치 아 프리카의 사바나를 방불케 하는 실감나는 공간을 재 공간설명 현한다. 오랜 시간 진화의 과정을 거쳐 성립된 지구 상의 동물 다양성을 드라마틱하게 연출하고 있다. 장소성 형성 - 상징적으로 표현된 몰입적 공간 표현특성 - 움직임을 유도하는 연속된 이미지 공간명 우수 보통 <사례3> 마치 거대한 동물들이 떼를 지어 이동하는 형상은 전시관이 아닌 정글과 같은 생동감을 준다. 물 리적 환경의 연출 없이도 이들이 주는 몰입 감으로 관 람객은 동물들의 행진에 합류하도록 이끌며 동물들을 마치 나와 동일한 자연 속 하나의 존재로 인식하고 오 랜 시간 진화의 과정을 거친 동물들의 위대함과 소중 함을 일깨워준다. <표 9> 사례분석4- 캐나다 로얄 온타리오 박물관 캐나다 로얄 온타리오 박물관 (생물다양성 갤러리 / 2007년 ) <사례 2> 바다라는 물리적 환경을 배경으로 영상을 통한 시간적 변화를 체감하면서 바다 속 생명체들과의 교류를 경험하는 공간이다. 관람객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반복적 경험으로 장소에 대해 친숙함을 형성하면 서 애착을 갖게 된다. <표 8> 사례분석3- 프랑스 파리자연사박물관 공간명 공간이미지 프랑스 파리 자연사 박물관 (진화관/ 1994년 ) 공간이미지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생태계 다양성을 특성 별로 재현하여 구성된 공간이 다. 각 영역마다 칼라와 전시대를 생태 특징 별로 상 공간설명 징적 연출하였고 영역마다의 이야기를 담은 상황연 출은 관람객의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동선을 유도한 다. 장소성 형성 - 다양한 물성의 흥미로운 공간 표현특성 - 움직임을 유도하는 연속된 이미지 우수 보통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사례4> 다양한 물성을 가진 요소로써 생태계 특징 별로 연속적 공간구성 하였다. 이는 관람객의 호기심 을 자극하면서 자연생태와의 긴밀한 심리적 교류를 유 도한다. 세미 디오라마의 사실적 표현과 상징적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40
연출된 이미지로 관람객은 생태계를 보다 쉽게 이해하 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심상이나 영감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표 10> 사례분석5- 네덜란드 자연사 박물관 공간명 공간이미지 네덜란드 자연사 박물관 (2008년) 1 생물의 고유환경의 서사화, 2 자연 생태와의 감성적 교감, 3 고유환경의 변화에 따른 장면적 구성 공간설명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 <사례5> 동물의 특성에 따른 고유환경을 움직임을 담은 영상 배경으로 연출된 공간이다. 동적인 전시대 디자인과 조명연출, 영상과 함께 동물의 웅장한 소리로 살아있 는 공간을 연출하였다. - 다양한 물성의 흥미로운 공간 우수 보통 동적인 포즈의 동물과 시간적 변화를 담 은 영상을 배경으로 상황적 장면을 연출하였다. 관람 객은 시간에 따른 동물의 움직임과 환경적 변화를 동 시에 느끼면서 앞의 작동물을 통해 상호 작용하게 된 다. 장소적 특징을 이해하고 시간적 경험을 느끼면서 관람객은 친근한 생태적 장소로써 인식하게 된다. 4.3 소결 사례분석 결과 장소성 형성 모델에 부합하는 사례들 의 표현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상징적으로 표현된 몰입적 공간은 압도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이는 환경적인 요소, 상징적 오브제 등으로 연출되는데 관람객은 비일상적인 경험으로 특 별한 장소로써 인식함과 동시에 생생한 자연 속 에 공 존하는 하나의 존재임을 확인하면서 장소와 친숙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친숙함은 장소애착으로 이어진다. 둘째, 공간적 연속성으로 움직임을 유도하였다. 이 것은 관람객의 장소에 대한 능동적 반응으로 개인 또 는 집단적으로 공감을 이끌어 낸다. 이는 애착, 소속감 으로 이어져 장소성 형성을 강화시키는 요소이다. 셋째, 다양한 물성이 주는 공간은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면서 흥미를 유발시킨다. 장소에 대해 다양한 물성들이 만드는 공간은 장소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 으키며 자연 생태와의 교감을 유도한다. 넷째, 장소적 의미를 가진 공간은 세계의 질서 속에 서 우리 자신의 기억, 위치, 존재를 지각할 수 있는 가 능성을 확장 20) 시켜주기 때문에 장소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는 관람객의 감각의 활성화를 유도하면서 효율적 소통의 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시한 모델이 효율적 으로써 적절 한가의 문제로써 위의 도출한 표현특성을 로 평가하였는데 대체로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5. 결론 본 연구는 지역 정체성 회복과 발전의 한 일환으로 서 발전하고 있는 생태박물관을 장소성 측면에서 접근 한 연구이다. 장소성은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의 식)으로서 추상적인 공간으로부터 시간성이 부여된 경 험을 통한 구체적 의미 생성을 말한다. 나와 상관없던 장소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애착이 생기고 소속감, 의식적 애착, 정서적 연계성 등이 더해지면서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강화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박물관 에서 관람객이 마치 나와 밀접한 관계로서 생태를 이 해하기 시작하고 특별한 경험과 함께 장소 애착을 갖 게 되면서 지역생태에 대한 정체성을 갖게 함을 목적 으로 장소적 지각의 관점에서 접근해 본 것이다. 이것 은 본래의 지역생태박물관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진 전 시 관점은 아니며 전시 공간 전체를 장소성 이론에 기 반한 매우 흥미로운 공간 접근이라 생각된다. 연구자 는 이러한 가설로써 앞서 설명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론적 고찰하여 생태박물관의 증진 을 위한 장소성 형성 모델을 도출하였고 이것이 본 연 구의 가설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모델에 부합 된다고 생각되는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적으로 나타난 장소성 형성 표현특성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표현특성 을 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델이 어떠한 장 소성 표현 특성을 갖게 되고 과연 효율적으로 전시소 20) 홍미은, Op.Oit., pp.85-9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41
통이 되었는가의 검증과정이었다. 사례분석 결과 4가 지 장소성 표현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것에 대한 증진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고 판단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연구자가 제시한 장소성 형성 모델이 생태박물관에서 장소성을 형성하는 효율 적 전시소통 방법으로써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 다. 그러나 주관적인 와 다양한 사례를 통한 검증에 있어서의 한계점이 있어 향 후 연구에서 객관 적 검증방법을 보완할 것이며 다양한 사례를 제시할 것 이다. 본 연구는 생태박물관을 통해 지역 정체성 회복과 발전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 시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고, 향 후 장소성에 입각한 전시공간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 다. 참고문헌 1. 권영걸, 공간디자인의 언어, 날마다, 2011 2.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 그린비, 2012 3. 김보라, 박물관 커뮤니 증진을 위한 체험전시환경 연구 민속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 박선재, 전시디자인의 감성과 창의적 발상기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 이영주, 장소성 형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윤해영, 자연과학계 박물관 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최성열, 환경미술에서 생태의 개념과 장소성,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최하정, 자연사 박물관의 감각체험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한영애, 장소성 형성을 위한 버스정류장의 공공디자인 요소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한효주, 능동적 오브제로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장소성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허봉의, 박물관 커뮤니의 활성화를 위한 체험형 전시의 발전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김지현, 장소성 구축을 위한 현대건축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지 논문집 Vol.7 No.4, 2012, pp. 97-107 KIM Jihyun, A Study on the Expression aspect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ess, Journal of KISD Vol.7 No.4, 2012, pp. 97-107 13. 노시훈, 생태박물관, 지역과 정체성, 프랑스문화예술학회지 Vol.41, 2012, pp.265-281 NO Sihoon, Ecological Museum, regional and identity, Journal of CFAF Vol.41, 2012, pp.265-28 14. 노시훈, 생태박물관 개념의 지속과 변화, 프랑스어문교육학회지 Vol.39, 2012, pp.551-570 NO Sihoon,Sustainable and ecological changes in the museum concept, Journal of SCELLF Vol.39, 2012, pp.551-570 15. 신선주, 박물관의 감성적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Vol.9 No.1, 2014, pp.169-180 SHIN Sunju,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nsibility Exhibition Communication in Museums, Journal of KISD Vol.9 No.1,2014, pp.169-180 16. 홍성희 박준서 임승빈,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v.2011 n.1, 2011, pp.39-52 HONG Sunghee PARK Joonseo IM Seungbin,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for Sense of Place, Journal of KLC Vol.2011 No.1, pp.39-52 홍미은, 박물관의 커뮤니 향상을 위한 전시공간 17. 연출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지 Vol.4 No.3, 2010, pp.85-93 Hong MiEUN, A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to Improve Communication in Museum, Journal of KISD Vol.4 No.3, 2010, pp.85-93 투 고 일 : 2014.07.15 1차 수정일 : 2014.08.09 게재확정일 : 2014.09.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통권29호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