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일시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http://www.motie.go.kr 2015. 3. 25.(수) 조간(온라인 3. 24. 14: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15.3.24(화) 09:00 담당부서 미래부 미래성장전략과 산업부 산업기술개발과 ㅇ 이번 실천계획은 기술개발과 함께 국제공동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화, 제도개선 등 종합적인 지원을 통해 창조경제 대표 신산업을 창출하고, 산 학 연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계획으로 분야별 기술 및 비즈니스 로드맵을 포함하고 있다. ㅇ 정부는 동 계획의 실행을 위해 15년에 약 1조원 투자 * 를 시작으로 20년까지 약 5.6조원을 투자하여, 24년까지 수출 1천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 주요 분야별 투자액(잠정치) : 사물인터넷 772억원, 지능형 로봇 700억원, 착용형 스마트 기기 983억원, 5G 이동통신 771억원, 스마트 자동차 282억원, 지능형 반도체 608억원 담당과장 구혁채(02-2110-2090) 유법민(044-203-4520) 담 당 자 권오민 사무관(02-2110-2093) 최정식 사무관(044-203-4524) 이번에 공개된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안) 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윤곽 드러낸 미래 먹거리 마스터플랜 -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발표회 개최 - -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15년 약1조원, 20년까지 약 5.6조원 투자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경제 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이자 창조경제 대표 신산업 창출의 핵심전략인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이하 실천 계획 )에 대한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ㅇ 오늘 실천계획은 미래부가 현재까지 20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마련한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 의 15년 연동계획 * 과 산업부가 작년 하반기부터 추진단을 중심으로 마련한 산업엔진 프로젝트 발전계획 을 통합한 계획으로, 양 부처의 협업을 증진하고, 정책연계를 강화하고자 마련하였다. * 연동계획(Rolling plan) : 경제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 이미 수립한 계획을 조정 또는 수정하여 1차년도부터 다시 출발하는 계획 - 그간의 시장 기술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기술로드맵, 추진과제 등을 보완하고, 추진주체 및 이행수단을 명시하여 계획의 실천성을 높였다. - 1 - ㅇ (정책통합) 미래성장동력과 산업엔진프로젝트(산업부)를 통합하였다. 기존 각각 추진해오던 미래성장동력 13대 분야와 산업엔진 프로젝트 13대 분야를 통합 * 해 19대 미래성장동력 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 미래성장동력 산업엔진 통합 결정( 14.12.22, 제3차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 <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포함) 19대 분야 > 미래신산업 주력산업 공공복지 에너지산업 기반산업 1 지능형로봇(공) 6 스마트자동차(공) 맞춤형 웰니스케어(공) 융복합소재(공) 2 착용형 스마트기기(공) 7 심해저 해양플랜트(공) 신재생 하이브리드(성) 지능형 반도체(성) 3 실감형콘텐츠(성) 8 5G 이동통신(성) 재난안전시스템(성) 사물인터넷(성) 4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엔) 9 수직이착륙무인기(엔) 직류송배전시스템(엔) 빅데이터(성) 5 가상훈련시스템(엔) - 초소형 발전시스템(엔) 첨단소재가공시스템(엔) * (성) : 미래성장동력 단독분야 / (공) : 공동추진분야 / (엔) : 산업엔진 단독분야 ㅇ (투자 효율화) 미래성장동력 각 분야 육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새로 정립하고, 부처간 역할분담 체계를 명확히 하였다. 정부는 새로이 확립한 추진체계를 바탕으로 미래성장동력 분야별 사업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선택과 집중 에 의한 전략적 투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ㅇ (연구개발) 또한, 전략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개발 초기단계부터 핵심 SW를 연계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핵심 취약기술에 대해서는 산학연 공동개발 및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진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 2 -
- 특히, 미래성장동력 분야 조기성과 창출을 위해 융복합소재(폴리케톤), 실감형콘텐츠(다면영상시스템) 등 6개 과제에 대한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17년까지 원양 어군탐지용 무인기 개발 등 12개 분야에 대해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ㅇ (인프라 지원) 창의 융합형 고급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시험평가용 연구장비, 국제표준화 및 인증 지원체계 등 기술 인프라를 구축 한다. 그리고 중소 중견기업 위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되, 수요 대기업이 처 음 부 터 참여해 상업화를 강화하고, 중소 중견기업의 사업화 자금 지원을 위해 2021년까지 1.5조원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ㅇ (성과 가시화) 한편, 스마트자동차, 무인항공기(드론), 착용형 스마트 기기 등 융합 신제품 분야에 대해서는 금년 하반기 창조경제박람회 개최(11월)시 현장시연을 추진하여, 국민들이 현장에서 미래성장동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관련 규제사항의 도출 및 개선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미래성장동력 분야에 대해 정부가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적극 개선할 것 이라고 강조하면서,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를 주축으로 경제성장의 퀀텀점프를 이루어낼 것이다 고 밝혔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은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의 후속조치임을 강조하고, 올해 부터 본격적인 실행을 통해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여 우리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정부는 실천계획을 관계부처 협의 및 민간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4월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 에 상정할 예정이며, ㅇ 동 계획을 대통령께서 강조( 15년 연두업무보고)하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역동적 혁신경제로 전환 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인 미래대비 투자 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3 - 붙임 1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발표회 계획 행사목적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포함) 마스터플랜 * 의견수렴 및 대외 홍보를 통한 산업계, 금융기관 등 민간의 관심과 적극적 투자 유도 *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안) 및 산업엔진 발전계획 행사개요 공식명칭 : 미래성장동력 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발표회 일시/장소 : 15.3.24(화) 13:30~18:30 / 더 플라자 호텔 미래부 산업부장관 격려사 : 14:00~14:10(10분) 참석자 : 미래부 산업부 장관, 관계부처 관계자(국토부, 복지부 등) 미래성장동력 특위 및 추진단, 분야별 기업 관계자 등 250명 내외 주요내용 :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안) 및 산업엔진 발전계획 발표 및 질의응답 <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포함) 19대 분야 > 미래신산업 주력산업 공공복지 에너지산업 기반산업 1 지능형로봇(공) 6 스마트자동차(공) 맞춤형 웰니스케어(공) 융복합소재(공) 2 착용형 스마트기기(공) 7 심해저 해양플랜트(공) 신재생 하이브리드(성) 지능형 반도체(성) 3 실감형콘텐츠(성) 8 5G 이동통신(성) 재난안전시스템(성) 사물인터넷(성) 4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엔) 9 수직이착륙무인기(엔) 직류송배전시스템(엔) 빅데이터(성) 5 가상훈련시스템(엔) - 초소형 발전시스템(엔) 첨단소재가공시스템(엔) * (성) : 미래성장동력 단독분야 / (공) : 공동추진분야 / (엔) : 산업엔진 단독분야 - 4 -
세부일정(안) 붙임 2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안) 요약 일 정 내 용 비 고 13:30~14:00 (30분) 14:00~14:10 (10분) 14:10~14:20 (10분) 참석자 등록 추진단장 사전 티타임 격려사 미래성장동력 추진경과 및 향후계획 미래부장관 산업부장관 미래부 창조경제심의관 산업부 산업기술정책관 1 주력산업 고도화(주력산업) 1. 스마트 자동차 (목표) 글로벌 스마트 자동차 산업 3대 강국 실현 (추진전략) 핵심부품의 독자기술 확보로 스마트자동차 상용화 생태계 구축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14:20~14:30 (10분) 미래성장동력 민간 투자동향 산업부 전략기획단 MD (R&D/사업화) 자율주행 자동차 기반기술 확보 및 스마트 자율협력 주행도로 시스템 개발 14:30~14:50 (20분) 14:50~16:30 (100분) 각 20분씩 진행 16:30~16:50 (20분) 16:50~18:30 (100분) 각 20분씩 진행 공간 재배치 및 참석자 이동 미래신산업 1 지능형로봇 2 실감형콘텐츠 3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 4 가상훈련시스템 5 착용형 스마트기기 공공복지 에너지산업 맞춤형 웰니스 신재생 하이브리드 재난안전 직류송배전시스템 초임계 CO 2발전시스템 휴 식 18:30~ 폐 회 주력산업 6 스마트자동차 7 심해저 해양플랜트 8 5G 이동통신 9 수직이착륙무인기 기반산업 융복합소재 지능형 반도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첨단소재가공시스템 추진단장 15분 발표 5분 QnA 추진단장 15분 발표 5분 QnA (인프라) 기술개발 및 평가 테스트베드(실험도시) 구축 및 커넥티드 자율주행 통신 표준화 등 스마트 자동차 인프라 고도화 (법 제도) 도로 운행을 위한 허가기준 및 자율주행자동차 법 제도 개선과 함께 국제 기준 조화 추진 2. 5G 이동통신 (목표) 세계 최고 5G 상용서비스 제공 및 이동통신 기반 구축 (추진전략) Pre-5G 핵심기술 시연을 통하여 5G 핵심 시범서비스를 실현하고 세계 최초 5G 상용 서비스 제공 (R& D/사업화) 5G 핵심기술 및 기술선도형 기술확보를 위한 전략적 R&D 추진으로 5G 부품 및 ICT 부품 경쟁력 확보 (인프라) Pre-5G 핵심 서비스 시연과 함께 평창동계올림픽 시범서비스 및 필드 테스트베드 추진 등을 통해 5G 상용 서비스 기반 구축 (법 제도) ITU-R 중심의 5G 주파수 적기 확보와 5G 전략추진위원회 등을 통해 중소 중견기업의 5G R&D 및 사업화 지원 확대 - 5 - - 6 -
3. 심해저 해양플랜트 (목표) 심해저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및 핵심기자재 국산화 (추진전략) 심해저 해양플랜트 연구기반 구축 및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로 핵심기자재 국산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조성 (R&D 및 사업화) 심해저 생산 처리 핵심시스템 설계기술 확보 및 기초엔지니어링/심해생산플랜트 설치 기초기술 개발 (인프라) 해저파이프 안전성 평가설비 및 심해 해양공학수조 구축과 URF설비 국산화 등 산업발전 전주기 인프라 구축 (법 제도) 국산 기자재 적용 의무화 및 적용률 제고를 법제화하고 국제인증 및 정보제공 지원을 제도화 4. 고속-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목표) ICT와 융합한 고속-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로 국내 민 군 수요충족 및 `23년 세계 3위 무인기 기술강국 진입 * 무인기 기술수준 : ( 12) 세계7위 ( 23) 미, 이스라엘에 이은 3위 기술강국 * `23년 매출기준 미 러 중에 이은 세계 4위 진입: (`13) 1.65M$ (30위권) (`23) 510M$ ㅇ (R&D) 旣 확보 원천기술을 활용한 틸트로터 무인기 체계개발, 무인기 운용성능 향상기술 개발 및 시험 인프라 확충 * 세계 2번째로 확보한 틸트로터 기술을 활용, 시장 선도형 무인기 개발 * 함상운용, 복수무인기제어, 통합모듈형 항전장비 등 선도기술 개발 ㅇ (산업생태계) 민간 무인기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공 시범사업* 추진과 함께 해외 선진국과 국제공동 개발 마케팅 추진 2 미래 신시장 선점(미래신산업) 1. 지능형 로봇 (목표) 2020년 로봇생산 9.7조원 달성 (추진전략) 로봇 강소기업의 핵심 기술개발 지원과 로봇 테스트 베드 구축 등을 통해 신시장 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R&D/사업화) 수요를 반영한 테마 R&D 추진과 R&D 우수 결과물의 국내외 보급사업 추진 등으로 로봇산업의 발전역량 확충 (인프라) 재난 헬스케어 로봇 실환경 테스트베드 및 마이크로 의료 로봇 제품화 기반 구축으로 산업성장 인프라 구축 (법 제도) 로봇 시험평가 및 품질 인증체계 구축과 로봇제품에 대한 인증제도를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로봇 표준화 역량 강화 2. 착용형 스마트기기 (목표) 2020년 창의 감성 디바이스 글로벌 시장 선점 (추진전략) 시장 주도형 기술개발 및 제품 서비스 확대로 착용형 디바이스 관련 산업의 지속 성장기반 마련 (R&D/사업화) 시장 수요기반의 핵심부품 요소기술 개발 및 창의 감성 디바이스 다품종 소량 생산 스타기업 발굴 지원 (인프라) 제품개발 사업화 지원을 위한 창의디바이스랩 개소 운영 및 글로벌 수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랩 구축 (법 제도)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법 제도 이슈 관리 프로세스 마련(규제 발굴 과제화 및 검토 관계 기관협의 상시 점검) - 7 - - 8 -
3. 실감형 콘텐츠 (목표) 선도기술 확보를 통한 미래 글로벌 콘텐츠 시장 선점 (추진전략) 실감형 콘텐츠 선도기술 확보 및 생태계기반을 조성 통한 융복합 콘텐츠 사업 활성화 및 스타기업 육성 (R&D/사업화) 초다시점 홀로그램 콘텐츠 획득 렌더링 기술개발 및 실감 기반 CG VR 공동엔진 및 개방형 플랫폼 개발 (인프라) 실감형 콘텐츠 융합 인력양성을 위한 COC(Creative Open Campus) 구축 운영 및 관련 중소기업 One-Stop 지원 센터 구축 (법 제도) 실감형 콘텐츠 3대 분야 10대 서비스 관련 법 제도개선 수요 도출 및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초상권 특허 등 애로사항 지원 4. 가상훈련 시스템 (목표) 저렴하고 안전하게 훈련할 수 있는 가상훈련 시스템 분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 2021년까지 10개 스타기업 육성 및 매출 10억불 달성 (R&D) 고품질 중저가의 훈련시스템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1) 개발을 통해 다목적 가상훈련 플랫폼 구축 및 타겟 훈련시스템 2) 개발 1) 물리엔진, 지능형에이전트, 가상훈련용 체감 입출력장치(HMD, 햅틱장치) 등 2) 가상헬스시스템, 운전 훈련 시스템(수송), 선박 사고대응 훈련(재난대응) 등 (산업생태계) 상업성이 높은 B2C시장 진출을 우선 추진하고, 국방 원전 등 고성능 훈련시장으로 확산 - 가상훈련시스템의 확산 및 활용촉진을 위해 (가칭)가상훈련산업 진흥법 제정과 기능 안정성 성능 등 분야별 인증체계 구축 5. 스마트 바이오 생산시스템 (목표) 바이오 생산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바이오 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확보 * 생체모사 디바이스 개발 임상 전임상 대체 신약개발 비용 감소 및 동물실험 대체 (R&D) 단기적으로 국내 반도체 공정기술을 활용, 진입장벽이 높지 않고 우리나라가 앞선 세포치료제 자동생산시스템(배양,정제,분석) 개발( 17) - 중기적으로 급성장이 전망되는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타겟으로 고도기술이 필요한 항체치료제용 생산시스템 개발( 21) (산업생태계) 개발대상 기기의 조기상용화 체제 구축을 위해 공공 시장의 국산 바이오시스템 보급을 추진하고, 관련 지원인프라 구축 및 인력양성 등 추진 3 복지 산업 동반 육성(공공복지 에너지 산업) 1. 맞춤형 웰니스 케어 (목표) 맞춤형 웰니스 해외시장 세계 5위권 진입 (추진전략) 웰니스 서비스 촉진을 위한 핵심기술 서비스 개발을 통한 웰니스 정보기기 서비스 확산 및 글로벌 시장 진출 (R&D/사업화) 웰니스 케어 플랫폼 구축, 웰니스 케어 모니터링 및 서비스 기술 개발, 특정 서비스 타겟 특화된 디바이스 및 SW 개발 (인프라) 표준화 및 인증 가이드라인 개발, One-Stop 종합지원센터 구축 및 개방형 플랫폼 기반 인증시스템 구축 (법 제도) 의료법 의료기기법 개정을 위한 실증근거 확립 및 중소 기업 분쟁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지원 협의체를 구성 - 9 - - 10 -
2.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목표) 현장 맞춤 통합 재난안전시스템 구축으로 Safe Korea 실현 (추진전략)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기술 기반 구축으로 실용화 기술을 구현하고 보급 및 고도화 추진 (R&D/사업화) 국가재난안전정보 통합 프레임 구축 및 국민안전 확보 실용화 기술개발을 통해 재난재해 예측 및 대응시스템 구축 (인프라) 방재실험시설 확장과 재난현장 상황관리 시스템 및 국내외 실증실험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재난안전관리 인프라 고도화 (법 제도) 재난안전 기술(산업) 및 방재산업 분류체계와 국가통계 분석기반을 구축하고, (가칭)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법 제정 검토 3.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목표) 2024년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10% 점유(5대 강국 진입) (추진전략)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핵심기술 확보 및 사업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모델 실증 구현 (R&D/사업화)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모듈 통합기술 개발 및 개방형 ICT 융합 플랫폼 개발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센터 및 친환경 융복합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법 제도) 수요자 맞춤형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정책 추진 및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의무화 의무비율 향상 4. 직류 송 배전 시스템 (목표) 교류-직류 변환을 통해 송전하는 HVDC 시스템 기술자립으로 선진형 송전망건설 역량 확보와 동북아 수퍼그리드 연결에 대응 * 핵심기술인 VBE(Valve Base Equipment, 제어시스템), DC 차단기 등 세계 3위 수준 기술 확보 (R&D) 기존 HVAC 전류형 HVDC의 장점 * 을 모두 갖춘 미래 전력망 기술인 전압형 멀티터미널 HVDC 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 전력망 구성, 전력계통 안정화, 장거리 지중송전, 정전시 자가기동 등 (산업생태계) 참여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과 전력회사 등 수요처가 국산화 기술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협업체제 구축 - 기술개발 한전 전력계통 실증 사업화로 연계 추진 5.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목표) 시장도입단계인 초임계 상태의 CO 2 를 사용하는 발전시스템을 개발을 통해 에너지산업의 국제적 경쟁력과 시장 지배력 확보 * (효과) 국내 증기터빈발전 효율 2%향상으로 1,600MW 전력(원전 2기) 추가 생산 효과 * (세계시장 점유율) ( 21년) 1% ( 30년) 22% (R&D) 10MW 발전시스템 설계 건설 운영과 300MW급 대용량 발전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 핵심기기(터빈, 압축기) 생산기술 등 기반기술 확보 후, 이를 활용한 10MW급 발전시스템 설계 건설 운영과 300MW급 설계기술 개발 (산업생태계) 핵심기기 보유 중소기업과 발전시스템 설계 건설 운영 경험을 보유한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동반성장 추진 - 11 - - 12 -
4 지속성장 기반 조성(기반산업) 1. 지능형 반도체 (목표) SoC+SW 융합을 통한 지능형 반도체 강국 도약 (추진전략) 지능형 반도체 개발 기반과 차세대 제품개발 플랫폼 구축을 통해 미래시장 주도형 산업발전 기반 구축 (R&D/사업화) OS, 융합IP 등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스마트융합 기기용(웨어러블, 스마트자동차 등) 지능형반도체 플랫폼 개발 (인프라) 반도체설계자산유통센터(KIPEX) 구축 및 개방형 Soc+SW 융합 플랫폼 테스트베드 구축 (인력양성) SoC+SW 융합형 지능형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및 아키텍트급 지능형반도체 고급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2. 융복합 소재 (목표) 창의소재 및 산업용 핵심소재 개발을 통한 소재 4대 강국 실현 (추진전략) 융복합 소재 원천기술 융합연구체계 구축 및 응용기술 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R&D/사업화) 창의소재연구단 구성을 통한 융합연구 추진 및 미래성장동력 타분야에 적용 가능한 융합소재 발굴 개발 (인프라) 우수 원천기술의 사업화 장애요인을 해결하는 창의소재 갭(gap) 극복위원회 구성 및 타이나늄 산업발전협의회 구성 운영 (법 제도) 원천소재의 특허 출원/등록비용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및 융복합 소재분야 투자확대를 위한 금융 및 M&A 지원체계 마련 3. 지능형 사물인터넷 (목표) 2020년 국내 시장규모 30조원 달성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추진전략) 지능형 사물인터넷 생태계 기반 조성 및 주요산업으로 확산을 통한 IoT 글로벌 경쟁력 확보 (R&D/사업화) 스마트공간, 스마트타운 및 스마트메트로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통한 R&D 성과축적 및 사업화 기반 마련 (인프라) 사물인터넷 정보보호체계 구축 및 창의 제품 서비스 D.I.Y. 개발환경(IoT DIY 센터, IoT DIY 오픈랩 등) 보급 확산 (법 제도) 사물인터넷의 규제프레임워크 마련 및 IoT 실증단지와 연계한 규제개선 사항 발굴 개선 4. 빅데이터 (목표) 빅데이터 핵심기술 확보 및 활용 강국 도약 (추진전략) 빅데이터 핵심기술의 단계적 확보 및 빅데이터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데이터 유통 거래 시장 창출 (R&D/사업화) 고성능 컴퓨팅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예측 분석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인프라) 빅데이터 실증확산, 빅데이터 플랫폼 및 인터넷 신산업 연계성 강화, 빅데이터 유통촉진 확대 등 산업화 인프라 구축 (법 제도) 빅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가이드 보급, 빅데이터 유통 기준 마련 등 빅데이터 도입 활용 가이드 마련 - 13 - - 14 -
5.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목표) 첨단소재(탄소복합소재, 티타늄 등) 가공시스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2020년 첨단 가공시스템기술 4대 강국 실현 * 기술수준 : (현재) 82.1%, ( 日 100%, 美 97.2%, EU 96.3%, 中 63.5%) ( 20) 90% (R&D) 수요기업(자동차, 항공 등)과 연계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가공장비 검사 개방형 CNC(수치제어 공작기계) 등을 통합적으로 개발 * 기존 R&D사업은 가공장비, 공구, 검사장비 등을 개별적으로 개발 - 복합가공을 위한 장비기술(독/프), 대형 부품가공용 공정 기술(미/영), 임베디드 S/W 등 운영솔루션 기술(일/미)은 국제공동연구 추진 (산업생태계) 개발된 시스템의 검증과 사업화를 위해 수요대기업과 연계하여 양산지원센터 구축( 16~ 20) 및 레퍼런스 확보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