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개별병 위험평가서 출처 : CABI CPC 2013. 3. 농 림 수 산 검 역 검 사 본 부 식 물 검 역 부 위 험 관 리 과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개별병 위험평가서 요 약 추진경과 '09. 9. 필리핀측에서 아보카도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11. 6. 아보카도 생과실 위험분석 자료 제공 - 아보카도 관련 식물정보, 재배 및 수확후 처리과정 자료 제공 - 병 20종(병 13, 7) 목록 및 가해부위 등 관련 자료 제공 병 위험평가 결과 예비평가 결과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에 발생하는 병은 93종(병 19, 74)으로 국내 미분포종 중 과실에 피해를 주는 23종 (병 4, 19)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우선 선정 - 병 5종(병 3, 2)에 대한 추가자료 요청(종명 및 피해상황) 개별평가 결과 18종(병 2, 16)을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의 우려병으로 선정 - 이중 3종(병1, 2)을 특별, 15종(병1, 14)은 일반위험 병으로 선정 금후 추진계획 개별병 위험평가(안)에 대한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의견수렴 의견 수렴결과를 반영한 특별위험병 확정 및 그에 따른 필리핀측에 위험방안 제시 요구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개별병 위험평가서 목차 Ⅰ. 추진경과 2 II. 위험평가 대상 및 방법 3 Ⅲ. 병 예비위험평가 결과 5 Ⅳ. 개별병 위험평가 결과 1. 총괄 8 2. 개별병원체 위험평가 결과 9 3. 개별 위험평가 결과 11 Ⅴ. 평가 결과 요약 14 Ⅵ. 금후 추진계획 14 <붙임>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16 2. 필리핀산 아보카도 병원체 목록 21 3. 개별 위험평가서 22 4. 필리핀산 아보카도 목록 35 5. 아보카도의 식물학적 특징 및 재배현황 38 6. 참고문헌 44
Ⅰ. 추진 경과 '09. 9. 필리핀측이 아보카도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11. 6. 필리핀측이 아보카도 생과실 위험분석 자료 제공 - 필리핀산 아보카도 관련 식물정보 및 재배 관련 자료 - 병 목록 및 관련 자료 수확 후 처리과정 정보 제공 '11. 12.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 결과 통보 및 추가자료 제공 요청 '12. 6. 필리핀측에 예비위험평가 결과 통고 - 개별평가 대상 병 23종(병 4, 19) 통보 - 병원체 3종(속명 제공) 및 2종에 대한 학명 및 피해관련 추가 자료 요청 '12. 12. 우리측 의견에 대한 필리핀측 의견 제시 - 우리측에서 제시한 19종의 중 18종에 대한 의견 제시 * 1종에 대한 관련 문헌제공 요청 - 추가자료 요청한 2종, 병원체(속명제공) 2종에 대한 자료 제공 - 2 -
Ⅱ. 위험평가 대상 및 방법 1. 수입허용 요청 품목 :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Mill.) * 녹나무과(Lauraceae), Persea속 출처 : 필리핀 제공자료 2. 병 예비위험평가 방법 병 목록 작성 필리핀측에 아보카도에 발생하는 병 목록 요청 확인 추가적인 문헌조사를 통해 필리핀 아보카도에 발생하는 병 이 확인될 경우 목록에 추가 병 categorization 국내 문헌을 토대로 필리핀산 아보카도 발생 병의 국내 분 포여부 조사 국내 미분포 병 중 아보카도 생과실 감염 병 선정 필리핀산 아보카도 발생 병 중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실에 감염되는 병(개별병 위험평가 대상) 선정 - 3 -
3. 개별병 위험평가 방법 우리나라 검역병 지정 여부 확인 '13. 3.현재 우리나라 검역병 목록(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고시)에 포함 여부 확인 검역병 지정 여부에 따른 위험평가 검역병 기 지정 종 : 과실을 통한 유입위험성을 중심으로 평가 - 검역병은 지정 당시 유입가능성, 정착가능성, 확산가능성, 경제적 중요성에 대하여 이미 평가됨 - 검역병으로 기 지정된 병은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 으로 지정, * 우려병 : 해당 품목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어 정착, 확산하여 경제적 피해를 줄 수 있는 병으로 수입검사에서 발견시 소독, 폐기, 반송 등 검역조치 - 우려병 중 관행적인 상업재배 수확 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위 험이 경감될 수 있는 병은 일반 위험 병, 그 이상의 추가 적인 방안이 필요한 병은 특별 위험 병 으로 선정 검역병 미 지정 종 : 유입 가능성, 정착 가능성, 확산 가능성, 경제적 중요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어 정착, 확산하여 경 제적 피해를 줄 수 있는 병에 대하여 우려병 으로 지정 - 우려병 중 관행적인 상업재배 수확 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위험이 경감될 수 있는 병은 일반위험병, 그 이상의 추 가적인 방안이 필요한 병은 특별위험 병 으로 선정 구체적인 방안 내용에 대하여는 다음 단계인 방안 평가 단계에서 병별로 정밀 검토 - 4 -
Ⅲ. 병 예비위험평가 결과 1. 총 괄 총 93종에 대한 자료 작성(병 19종, 74종) 필리핀측 제공 자료 20종(병원체 13종, 7종) 자체조사 자료 73종(병원체 7종, 67종) 계 병 원 체 해 충 소계 진균 조류 소계 곤충 선충 달팽이 응애 93 19 18 1 74 63 7 1 3 2. 병 예비위험평가 결과 총 93종의 병 중 국내 분포 40종(병 10, 30)과 국내 미분포하지만 과실에 발생하지 않거나 과실을 통한 유입 가능성이 없는 25종(병 2, 23)은 평가 제외 국내 미분포종 중 과실에 피해를 주는 23종(병 4, 19)을 개별 위험평가대상으로 우선 선정하고, 이외 병원체 3종과 2종은 추가자료 요청(추가자료 검토 후 개별위험평가 대상 여부 결정) 계 국내 분포종 소계 과실 미감염 (과실 경로 아님) 국 내 미 분 포 종 과실 감염 (위험평가대상) 추가자료 요청대상 병원체 19 10 9 2 4 3 74 30 44 23 19 2 계 93 40 53 25 23 5-5 -
병원체 Categorization 필리핀산 아보카도에 발생되는 병원체는 19종이며, 이중 국내에 발생 되지 않고 과실에 피해를 주는 4종을 개별위험평가 대상으로 우선 선정 개별병원체 위험평가대상으로 우선 선정된 종 - 진균(4종): Sphaceloma perseae, Pseudocercospora purpurea, Diplodia natalensis, Fumago sacchari 국내 분포종 : 역병(Phytophthora cinnamomi) 등 10종 국내 미분포 하나 과실에 발생하지 않는 종 : Ganoderma lucidum 등 2종 Categorization 필리핀산 아보카도에 발생되는 은 74종이며, 이 중 과실에 발 생하는 19종을 개별위험평가 대상으로 우선 선정 개별 위험평가대상으로 우선 선정된 종 - 총채벌레(2종) : Chaetanaphothrips orchidii, Selenothrips rubrocinctus - 가루깍지벌레(7종) : Dysmicoccus brevipes, Ferrisia virgata, Maconellicoccus hirsutus, Nipaecoccus viridis, Paracoccus marginatus, Planococcus lilacinti, Planococcus lilacinus - 밀깍지벌레(1종) : Pulvinaria psidii - 깍지벌레(5종) : Aonidiella aurantii, Aonidiella orientalis, Aulacaspis tubercularis, Selenaspidus articulatus, Unaspis citri - 과실파리(3종) : Bactrocera cucurbitae, Bactrocera dorsalis species complex, Bactrocera philippinensis [* 청색은 검역 미지정종] - 달팽이(1종) : Cornu aspersum Müller 국내 분포종 :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등 30종 국내 미분포하나 생과실에 발생하지 않거나 과실을 통한 유입가능 성이 없는 종은 Aleurodicus dispersus 등 23종임 - 6 -
추가자료 요청 종 필리핀측에서 제공한 자료중 과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확인된 병원체인 Botryodiplodia sp., Dothiorella sp., Chaetothyrium sp. 3종은 종명과 피해내용 확인 필요 - 종명과 피해 자료 확인 후, 개별위험평가 대상여부 결정 우리측에서 추가로 확인한 인 Paraleyrodes perseae, Suana concolor 2종의 피해내용 확인 필요 - 피해 자료 확인 후 개별위험평가 대상여부 결정 3. 개별위험평가대상 중 검역병 지정 여부 금지 2종이며, 은 14종 임 검역병 검역병 계 금 지 관 리 미지정 종 병 원 체 4종 - 1 3 해 충 19종 2 14 3 계 23종 2 15 6-7 -
Ⅵ. 개별병 위험평가 결과 1. 총괄 국내 미분포하며 과실을 감염하는 병 18종(병 2종, 16종)을 개별병 위험평가 대상으로 선정 [병원체] 예비위험평가에서 필리핀 분포 및 과실에 감염하는 것으로 평가한 병원체 중 국내 분포 및 피해가 없는 2종을 개별병 위험평가 대상에서 제외 - 국내 분포 종 : Diplodia natalensis(= Botryodiplodia theobromae Pat. 1892) * 이명확인으로 국내분포종으로 확인 - 아보카도에 피해가 없는 종 : Fumago sacchari(spegazzini) 예비위험평가 결과 필리핀측에 확인 요청한 3종을 개별병 위험평가 대상에서 제외 - Botryodiplodia sp.(botryodiplodia teobromae), Dothiorella sp.(botryosphaeria dothidea), Chaetothyrium sp. [] 예비위험평가에서 필리핀 분포 및 과실에 감염하는 것으로 평가한 중 학명 중복 오류와 과실 미부착 3종을 개별병 위험평가 대상에서 제외 - 학명 중복 : Bactrocera philippinensis[= Bactrocera sp. near dorsalis (C) (Hendel)]는 Bactrocera dorsalis species complex에 포함 - 학명 오류 : Planococcus lilacinti*는 Planococcus lilacinus의 오류 확인 * 이 종은 필리핀측에서 관련문헌을 요청한 으로, Planococcus lilacinus는 평가대상에 포함된 임 - 과실에 부착 우려가 없는 종 : Cornu aspersum - 8 -
예비위험평가 결과 필리핀측에 확인 요청한 2종은 필리핀에 분포 하지만 과실부착 우려가 없어 개별병 위험평가 대상에서 제외 - 가루이류(1) : Paraleyrodes perseae Quantaince - 솔나방류(1) : Suana concolor (Walker) 계 국내 분포종 소계 과실 미감염 (과실 경로 아님) 국 내 미 분 포 종 과실 감염 (위험평가대상) 추가자료 요청대상 병원체 18 13 5 3 2 0 72 30 42 26 16 0 계 90* 43 47 29 18 0 * 예비평가 92종에서, 비기주(병원체 1), 중복 1종( 1) 제외 2. 개별병원체 위험평가 결과(세부내용 붙임 참조) 개별위험평가 대상 병원체는 2종임 검역병원체 계 미지정 금 지 관 리 2종 - 1 1 진균류(2종): Sphaceloma perseae, Pseudocercospora purpurea 개별 위험평가 결과, 병원체 2종을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의 우려병 으로 평가 Pseudocercospora purpurea는 감염된 과실에서 발견이 어려워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병원체로 특별병원체* 로 평가하고 나머지 1종은 상업적인 재배 및 선과 수출검사등으로 발견 및 제거 가능한 일반병원체 로 평가 - 9 -
- 진균류 : Pseudocercospora purpurea (특별병원체) Sphaceloma perseae (일반병원체) * 특별병원체는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과 및 육안수출검사 이외의 추가적인 방안이 필요함. 특별위험 병원체 1종에 대해서는 필리핀측으로 부터 적절한 위험방안을 제시 받은 후 해당 방안의 적용 가능성 및 세부 처리 기준에 대해 정밀 검토 예정 <예비 위험평가와 달라진 사항> 예비위험평가 시 개별평가 대상종으로 평가한 병 중 국내 분포가 확실하고, 아보카도에 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병원체 2종을 개별평가 대상종에서 제외 Diplodia natalensis는 Botryodiplodia theobromae의 이명으로 국내분포 종으로 확인되어 개별평가대상 병원체 목록에서 제외 (http://nt.ars-grin.gov/fungaldatabases/,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Fumago sacchari(spegazzini)는 필리핀측에서 자국에 동병원체가 분포하지 않음을 주장하며 우리측이 개별 평가 대상으로 설정한 근거자료를 요청함 - 2011년 필리핀이 제공한 자료에(Page 51)보면 동병원체의 분포국에 필리핀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사탕수수를 재배하는 국가 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병으로 보고(Rott et al., 1999) - 다만, 동병원체는 그을음병으로 식물체를 직접적으로 가해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체 표면에만 존재하며, 또한, 아보카도 과실이나 나무를 가해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잎에 심하게 감염될 경우 광합성을 저해 하는 것 이외에는 피해 를 일으키지 않으므로(Quimio, 1986), 생과실에 부착될 가능성이 없고 선과과 정에서 세척 등의 과정으로 제거가 가능하므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 - 10 -
예비평가시 필리핀측에 추가자료 제공 요청한 Botryodiplodia sp와 Dothiorella sp.의 경우 필리핀 제공 자료에 의하면 필리핀에 보고된 종은 Botryodiplodia theobromae로 이종은 Diplodia natalensis의 이명으로 검 토대상에서 제외하고, Dothioella sp.는 Dothiorella mali로 이종은 Botryosphaeria dothidea의 이명으로 국내분포종임(필리핀 추가자료, 2012) - 또한, 추가 자료를 요청한 Chaetothyrium sp.의 경우 필리핀 측에서도 관련자료가 없음을 통보하였고(필리핀 자료, 2012), 인터넷이나 관련문헌 등을 조사한 결과, 동속에 속하는 병원균은 그을음병을 유발하며, 대부분의 작물에 minor한 병원체로 알려져 있음. - 아보카도를 재배하는 국가에서 동병원체에 의한 발생보고가 없으며, 병원체의 특성상 식물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고 다른 식물체에서도 병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는 보고가 없으므로(Allen R.N et al., 2004; Quimio, 1985), 추가자료 없이 개별평가에서 제외 3. 개별 위험평가 결과(세부내용 붙임 참조) 개별위험평가 대상 은 16종임 검역병 계 미지정 금 지 관 리 16종 2 14 - 총채벌레(2종) : Chaetanaphothrips orchidii, Selenothrips rubrocinctus 가루깍지벌레(6종) : Dysmicoccus brevipes, Ferrisia virgata, Maconellicoccus hirsutus, Nipaecoccus viridis, Paracoccus marginatus, Planococcus lilacinus 밀깍지벌레(1종) : Pulvinaria psidii 깍지벌레(5종) : Aonidiella aurantii, Aonidiella orientalis, Aulacaspis tubercularis, Selenaspidus articulatus, Unaspis citri 과실파리(2종) : Bactrocera cucurbitae, Bactrocera dorsali species complex - 11 -
개별 위험평가 결과, 16종을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 과실의 우려병 으로 평가 이중 감염된 과실에서 발견이 어려워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2종은 특별 으로 평가 - 과실파리류 : Bactrocera cucurbitae, Bactrocera dorsali species complex 나머지 14종은 모두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과 및 육안 수출입검사로 충분히 제거 발견될 수 있는 일반 으로 평가 특별위험 2종에 대해서는 필리핀측으로 부터 적절한 위험방안을 제시 받은 후 해당 방안의 적용 가능성 및 세부 처리 기준에 대해 정밀 검토 예정 <예비 위험평가와 달라진 사항> 예비 위험평가시 개별평가 대상종으로 평가한 병 중 학명이 중복된 것으로 확인된 3종을 개별평가 대상종에서 제외 Bactrocera philippinensis[= Bactrocera sp. near dorsalis (C) (Hendel)]는 Bactrocera dorsalis species complex에 포함되어 개별평가대상 목록에서 제외 Planococcus lilacinti*는 Pena(2002)가 Cendana et al(1984)의 논문을 인용하여 필리핀에 분포하는 아보카도의 으로 언급하였으나, 동일한 논문을 인용 한 Whiley(2002)의 문헌에서는 Planococcus lilacinus로 기록되어 있음 - 또한, Planococcus lilacinti 관련기록이 Pena(2002)외에는 없어, Planococcus lilacinus의 오류로 판단되어 평가대상종에서 제외 * 필리핀측에서 동 을 확인하지 못해 관련문헌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가루깍지벌레임 [참고문헌] - 12 -
Pena, J.E., J.L. Sharp and M. Wysoki. 2002. Tropical Fruit Pests and Pollinators (Biology, Econnomic Importance, Natural Enemies and Control). CABI Publishing. Whiley, Antony William., Schaffer, Bruce. and Wolstenholme, B. Nigel. 2002. The Avocado: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Cendana, S.M., Gabreil, B.P. and Magallona, E.D. 1984. Insect Pests of Fruit Crops in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Entomology, University of the Phillippines, Los Banos. 예비 위험평가시 개별평가 대상종으로 평가한 병 중 과실부착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달팽이 1종을 개별평가 대상종에서 제외 Cornu aspersum Müller는 유생 또는 성체가 잎과 과실을 외부에서 가해하는 으로 수확된 생과실에 부착가능성이 없어, 선과중 충분히 제거가 가능함 - 패각 직경이 28~45mm이며, 높이는 25~35mm, 성체는 확장시 5~10cm의 대형종이며, 알은 길이 4.25mm, 직경은 4mm로 토양에 산란(CABI, 2012) - 잎, 줄기, 과실의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며, 잎이나 과실에 구멍을 형성하는 피해를 줌 예비평가시 필리핀측에 추가자료 제공 요청한 Paraleyrodes perseae와 Suana concolor는 검토대상에서 제외 Paraleyrodes perseae는 가지, 줄기의 표면에 부착하여 가해하는 가루 이류로(필리핀, 2012), 아보카도 잎에 부착하여 가해(Pena et al, 2002)하는 종으로 과실 부착가능성이 없어 검토대상에서 제외 Suana concolor는 솔나방과의 다범성 으로 유충이 기주식물 잎을 가해하며, 알은 수피틈에 산란, 번데기의 고치는 가지에 부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Chey, 2004), 대형나방류로 과실 부착가능성이 없어 검토대상에서 제외 - 13 -
Ⅴ. 평가 결과 요약 국내 미분포종으로, 과실이 유입경로가 되는 병 18종 (병2, 16)을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지정 해야 하는 것으로 평가 특별위험대상종 : 3종(병1, 2) 일반위험대상종 : 15종(병1, 14) 구분 계 필리핀산 아보카도 우려병 소계 일반위험 특별위험 추후 검토 병원체 2 2 1 1 - 해 충 16 16 14 2 - 계 18 18 15 3 - Ⅵ. 금후 추진계획 위험평가 결과(안)에 대한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홈페이지 게재(20일) 관련 전문가, 기관 및 단체 검토 의뢰 - 연구기관(농진청, 각 도농업기술원), 학회(식물병리, 응용곤충학회), 자문위원 개별 위험평가 결과(안) 수출지원과에 통보 의견수렴 결과를 반영, 위험평가결과 확정 후 상대국 통보 특별위험병에 대한 적절한 위험방안 제시 요구 - 14 -
붙임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2. 필리핀산 아보카도 병원체 목록 3. 개별 위험평가서 4. 필리핀산 아보카도 목록 5. 아보카도의 일반적 특성 및 관련정보 6. 참고문헌 [평가 및 검토자] 평가자: 예미지(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433-1 (우: 430-016) Email : kittymc@korea.kr 전영수(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과) Email: pest1217@korea.kr 검토자: 이기병(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과) 현익화(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과) 신창호(과장,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과) - 15 -
<붙임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1. 검역병으로 지정된 종(진균 1종)의 과실을 통한 유입위험평가 Sphaceloma perseae Jenkins 1934 진균 일종으로 자낭균에 속하는 병원체로서 우리나라 검역병원체 ()로 지정되어 있음 분포지역은 아시아(대만, 필리핀), 북미(미국, 멕시코, 버뮤다), 중미(푸 에르토리코, 바베이도스, 코스타리카, 도미니카, 온두라스 등), 남미(아 르헨티나, 브라질, 가이아나, 페루, 베네수엘라, 페루) (CABI, 2012) 기주식물은 아보카도 한 종임 동 병원체는 미국 플로리다, 필리핀 등의 특히 습도가 높은 아보카도 재배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병원균으로 동 병원균이 분포하지 않는 호주나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는 동병원체의 검역적 중요도가 높으며, 특히 심하게 감염되면 낙과가 되고 품질 저하를 유발하여 상품성 이 없게 됨(Allen R.N, 2004; Everett K.R, 1996) 균의 생장에는 높은 상대습도와 온도가 필요하며 포자는 바람, 빗물, 곤충으로 전반되며, 과육이 성숙하면 과피가 단단해 지므로 일반적으로 아보카도의 크기가 1/3 1/2인 상태에서 감수성이 가장 높고, 곤충이나 기계적인 손상으로 인한 상처부위에 병원균의 포자가 쉽게 침입하여 감염되므로 손실이 큼(Allen R.N, 2004; Everett K.R, 1996) - 16 -
나무 상단의 잎에서 병반이 형성되고 잎에는 암갈색-적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며 중앙부위가 탈락되어 구멍이 생기기도 하며 심 하게 감염시 갈라지고 뒤틀린 모양을 가지게 됨 잎, 어린가지, 생육중인 모든 단계의 과실을 침해하며 Avocado blight, 혹은 'rona'로 불리며 과실에서는 처음에 둥글고 작은 코 르크형 반점을 보이다가 차츰 반점끼리 합쳐지고 열매 전체를 덮어버리게 됨.(Allen R.N, 2004; Everett. K.R, 1996) 이 병원체는 과실 감염을 하므로 과실을 통한 유입가능성이 있 으며, 저장시 과실 품질을 저하시켜 상품성을 상실하게 하며, 비록, 우리나라 아보카도 재배면적은 0.7ha로 작은 면적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으나 기후변화 대응작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노지재배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동 병원체가 유입이 된다면 아보카도 재배에 피해룰 가져올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가 필요함 심하게 감염이 되면 과실 형태가 불량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나므로 선과과정에서 제거가 가능하고, 과실이 완전히 성숙하면 동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므로 과실의 수확기에 병이 발생하여 잠복되었다가 수출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을 경우는 매우 낮음(Palmateer A, 2006). 따라서, 일반적인 상업적 재배 수 확 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를 실시한다면 선과과정에서 적절히 제거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일반위험병) - 17 -
2. 검역병원체로 미지정된 종(진균 1종)의 위험평가 Pseudocercospora purpurea(cooke) Deighton 분포지역은 아시아(인디아, 일본, 필리핀, Sikkim), 아프리카(카메룬, 콩고 민주공화국, 코트디부아르, 기니아, 케냐, 남아공), 북미[멕시코, 미국(플로 리다, 조지아, 미시시피)], 중미(버뮤다, 도미니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 메이카, 니콰라과, 파나마, 푸에르토리코, 트리니다드토바고, 미국령버진아 일랜드), 남미[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상파울로), 칠레, 페루, 베네수 엘라)], 오세아니아[팔라우(Belau)]임 주 기주는 아보카도(Persea americana)임 <유입 가능성> CABI(2012)에 의하면 동 병원균의 기주는 아보카도만 보고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습하고 온난하며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피해를 많이 주며 남아공의 약제 방제를 하지 않은 과수원에서는 69%의 수확량 감소를 가져옴(Darvas and Kotze, 1987) 감염은 처음 잎에서 시작되어, 잎 표면에 작은 부정형의 반점을 형 성하다가 반점들이 서로 커지면서 잎 전체에 확대되며, 온난 다습한 경우 분생포자가 많이 발생하며, 포자는 바람, 비, 관개수 또는 곤충 등에 의해 다른 부위로 전파됨. 침투 후 병원체는 대략 3개월 정도 잠복상태를 유지하며 1/3 1/4크기의 아보카도 과실이 가장 감수성 을 띠며 과실이 미성숙하거나 완전히 성숙하게 되면 동병원체에 저 항성을 띄게 됨(Disease of tropical fruit crop) - 18 -
과실에 작은 부정형의 반점이 나타나며, 반점이 커지면 틈이 생기고 이를 통해 다른 병원체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며, 과육부위까지 침입하여 품질에 영향을 줌(Rosa, 2008) 단거리 전파는 바람을 동반한 비, 관수, 곤충 등이 관여하며, 지역적 전파는 과실 및 감염된 번식용 물질(propagation material)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 과실을 유입경로로 하고 있어 유입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정착 및 확산 가능성> 기주식물인 아보카도는 국내에 자생하지 않으나 제주도 일부지역에서 온실 뿐 아니라 노지상태에서도 시험적으로 아보카도를 재배하고 있어, 감염된 과실의 유입시 국내 아보카도 생산에 피해가 우려됨 만일 유입되어 정착될 경우 이 병원체의 확산은 바람을 동반한 비와 접목, 전정, 과실 수확 및 감염된 번식용 물질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 이 진균의 기주인 아보카도가 현재 제주도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어, 이 지역에 대한 확산가능성이 있음 <경제적 중요성> 약제 방제를 하지 않을 경우 매우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며, 호주의 경우 1992년에 Atherton Tableland에서 처음 발생한 후 이 지역에 대한 방 제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지역산 아보카도 묘목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금지시킴(Tony Cooke et al., 2009) 아보카도에서 특히, 습도가 높은 기후에서는 수확 전(pre-harvest) 중요한 병원체로, 발생지역에서는 약제 방제가 필수적인 주요 병 원체임(Rosa Maria, 2008) - 19 -
<종합의견> 동병원체는 습도 및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아보카도의 중요 병원체이며, 또한 병원체가 침입한 후 3개월의 잠복기간을 지니 고 있어, 감수성인 미성숙 과실에 감염을 하더라도 과실의 수확 시까지 병징이 나타나지 않고 잠복되어 있어 선과 및 육안수출 검사 등의 과정에서 적절히 제거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유입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출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 확 선별 손질 및 육안검사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위험방안 이 마련되어 해 할 것으로 판단됨 (특별위험병) - 20 -
<붙임 2> 필리핀산 아보카도 병원체 목록 구 분 말류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학 명 [목명:과명] Cephaleuros virescens (Kunze) (Algae) Phytophthora cactorum (Leb. and Cohn) Schroeter (Fungus) Phytophthora cinnamomi (Rands) (Fungus) Phytophthora nicotianae Breda de Haan (Fungus) Phytophthora palmivora Butler (Fungus) Pythium debaryanum Hesse (Fungus) Botryodiplodia sp. = Botryodiplodia theobromae (종명 확인) (Fungus) Chaetothyrium sp. 병원체 (Fungus)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Diplodia natalensis P. Evans = Lasiodiplodia theobromae (Pat.) Griffon & Maubl. = Botryodiplodia theobromae Pat. 1892 = Diplodia theobromae (Pat.) W. well = Diplodia cacaoicola Henn. 1895 = Botryodiplodia elasticae Petch 1906 = Botryodiplodia gossypii Ellis & Barthol. 1902 Dothiorella sp. = Dothioella mali (종명 확인) (Fungus) Fumago sacchari (Spegazzini) (Fungus) Ganoderma lucidum (Curtis) P. Karst. 병원체 (Fungus) Glomerella cingulata (Sto.)Spa & Sch. 병원체 =(anamorph)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ig) (Fungus) Haematonectria haematococca Samuels & Rossman = Fusarium eumartii C.W.Carp. = Fusarium martii App. & Wol. 병원체 = Fusariumsolani var. eumartii (C.W.Carp.) Wollenw. = Nectria haematococca Berk. & Broome (Fungus) Lasiodiplodia theobromae (Pat.) Griffitchs = Botryodiplodia gossypii Ellis & Barthol = Botryodiplodia theobromae Pat. 병원체 = Botryosphaeria rhodina (Cooke) Arx = Diplodia gossypina Cooke = Physalospora rhodina Berk. [teleomorph] (Fungus)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병원체 Oncobasidium theobromae P.H.B. Talbot & Keane (Fungus) Pseudocercospora purpurea (Cooke) Deighton = Cercospora purpurea (Fungus) Rosellinia necatrix Prill. [teleomorph] = Dematophora necatrix R. Hartig (Fungus) Sphaceloma perseae Jenkins (Fungus) 일반명 수출국 분포 국내분포 Algal leaf spot Phytophthora canker Phytophthora root rot Phytophthora canker Seedling blight Seedling blight Stem end rot Sooty mold stem-end Rot Dothiorella canker Sooty mold basal stem rot Anthracnose dry rot Fruit rot vascular-streak dieback blotch spot Dematophora root rot avocado scab (필리핀 자료) (CABI 2012) (필리핀 자료) (CABI 2012) (CABI 2012) (필리핀 자료) (필리핀 자료) (필리핀 자료) (필리핀 자료) (필리핀 자료) (필리핀 자료) (CABI 2012) (필리핀 자료) (CABI 2012) (필리핀 자료) (CABI 2012) (필리핀 자료) (CABI 2012) (필리핀 자료)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2009) 규제 상태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경로여부 [잎, 가지, 과실의 표면에 연초록 또는 연적색 잎 반점을 형성(필리핀제공자료,2011)] [지제부 줄기 괴사, 뿌리 썩음(Rosa, 2008)] [뿌리 썩음병(Rosa, 2008)] [지제부 줄기 괴사, 뿌리 썩음(Rosa, 2008)] [유묘 마름(Mcmillan, 1976)] [유묘 모잘록과 뿌리 썩음(Rosa, 2008)] [과실 부패(필리핀제공자료,2011)] [잎,열매,줄기에 검은색 검댕이 형성(필리핀제공자료,2011)] [수확 후 과경 끝이 부패되고 과실에 까지 확산되어 과실을 부패시킴(Mcmillan, 1976)] [과실의 부패 유발(필리핀제공자료,2011)] [과실, 잎, 줄기에 검은색 검댕이 형성(필리핀제공자료,2011)] [뿌리와 밑동을 부패시킴.(CABI 2012)] [잎, 줄기, 과실에 병반형성 (필리핀제공자료,2011, CABI 2012)] [뿌리, 줄기부패 유발(CABI 2012)] [과실과 줄기 부패(필리핀제공자료,2011; Rosa, 2008; Mcmillan, 1976)] 평가 대상 이명 국내 분포 제외 비기주 제외 이명 국내분 포 제외 이명 국내 분포 제외 비경로 제외 미평가 [유묘의 줄기에 감염되어 식물체를 고사시키며, 관다발을 통해 줄기와 잎으로 확산됨(CABI, 2012)] [잎에 반점이 나타나고, 과실에는 미평가 얼룩반점과 갈라짐 증상이 나타나며, 수확 후에도 발생됨(필리핀 제공자료)] [뿌리와 지제부 부패를 유발(CABI 2012)] [과실과 잎에 더뎅이증상이 나타남(필리핀제공자료,2011)] - 21 -
<붙임 3> 개별 위험평가서 1. 검역으로 지정된 종의 과실을 통한 유입가능성 평가 총채벌레과 2종 : Chaetanaphothrips orchidii, Selenothrips rubrocinctus 상기 2종의 총채벌레는 필리핀에 분포하며, 아보카도를 포함하여, 기 주범위가 넓고 기주식물의 잎, 줄기, 꽃, 과실의 표면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Chaetanaphothrips orchidii는 안스륨, 바나나, 파슬리, 옥수수 등이 주요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 오렌지, 자몽 등 감귤류와 관상식물을 가해하는 다식성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 과실류는 감귤류인 자몽과 아보카도에서 발생하며, 과실꼭지 밑에 부착하여, 과실 줄기자루 끝에 가해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으로 알려져 있음 * 이스라엘산 오렌지 자몽 스위티의 우려으로 지정되어 있음 Selenothrips rubrocinctus는 아시아, 북미, 중미,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여러국가에 분포하며, 아보카도 등 다양한 식물 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 잎 조직에 산란하며, 잎, 성숙한 과실을 가해하는 으로(Pena, 2002), 코코아(CABI, 2012; Pena, 2002), 주요 기주로 아보카도, 케슈넛, 구아바, 포도속, 망고, 로즈애플 등이 알려져 있음(CABI, 2012) - 약충, 성충이 잎 표면, 꽃 내부, 과실 표면에서 발견되며(CABI, 2012), 미소으로 과실 외부에 성충, 약충이 부착될 우려가 있음 * 멕시코산 아보카도, 호주산 망고 오렌지 레몬의 우려으로 지정되어 있음 - 22 -
따라서, 상기 2종의 총채벌레는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해 유입 가능하므로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 병으로 지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 다만, 과실 발생시 약충과 성충이 과실 표면에 부착하여 가해하는 특성상, 선과과정에서 제거 및 수입검역시 검출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방안은 필요하지 않음 (일반위험병) 가루깍지벌레과 6종 : Dysmicoccus brevipes, Ferrisia virgata, Maconellicoccus hirsutus, Nipaecoccus viridis, Planococcus lilacinus, Paracoccus marginatus 상기 6종의 가루깍지벌레는 필리핀에 분포하고 아보카도를 포함하여, 기주범위가 넓고 기주식물의 잎, 줄기, 꽃, 과실의 표면에 부착하여 흡즙하거나, 그을음을 유발하는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Dysmicoccus brevipes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53개과 100개속 이상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으로, 줄기, 과실, 뿌리의 외부에 부착하여 피해를 주며, 수입 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 (CABI, 2012) - 주요 기주는 파인애플이나, 그 외 아보카도, 바나나, 셀러리, 감귤류, 코코아, 코코넛, 사과, 무화과, 생강, 망고, 양란, 사탕수수 등 과실이나 관상식물을 가해함(CABI, 2012) -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자주 검출되는 임(PIS,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 아르헨티나산 오렌지의 우려임 - 23 -
Ferrisia virgata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주로 열대지역에 분포 하지만, 온대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68개과 150개속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종으로, 줄기, 잎, 과실의 정단부위에서 무리를 이루어 부착하여 피해를 주며, 수입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 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콩과(Leguminosae)나 대극과(Euphorbiaceae)의 많은 종과, 경제적으 로 중요한, 아보카도, 바나나, 후추, 카사바, 케슈넛, 감귤속, 코코아, 커피, 가지, 포도, 구아바, 여지, 망고, 파인애플, 콩, 토마토 등이 기 주식물에 포함됨(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중 과실류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르헨티나, 이집트산 오렌지의 우려임 Maconellicoccus hirsutus는 남아시아가 원산으로 추정되는 북 중미 여러국가로 침입한 광식성 으로, 76개과 200개속 식물을 가해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 과실, 생장점, 꽃, 잎, 줄기 외부에 부착하여 피해를 주며, 수피틈 에 군집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수입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아욱과(Malvaceae), 콩과(Luguminosae), 뽕나무과 (Moraceae)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오크라, Allamanda, Annona, 카람볼라, 감귤속, Hibiscus, 사포딜라, 뽕나무속, 바나나, 패션프룻, 아보카도, 카카오, 포도 등이 알려져 있음(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중 과실류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 이집트산 오렌지, 호주산 레몬 오렌지의 우려임 - 24 -
Nipaecoccus viridis는 다양한 열대지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아프 리카와 동양구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광식성종으로, 18 개과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과실, 신초, 꽃, 잎,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식물체를 가해하므로, 수입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로 감귤속, 커피, 아보카도가 알려져 있음(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중 발견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이집트, 이스라엘산 오렌지, 호주산 레몬 오렌지의 우려임 Planococcus lilacinus는 주로 동남아시아, 중미 및 남미에 분포하며, 남태평양 지역과, 아프리카는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광식성종으로, 최소 35개과 이상 또는 23개과 45종의 식물을 가해하며, 과실, 신초, 꽃, 잎, 줄기 등 식물체를 외부에 부착하여 피해를 주는 특 성이 있음(CABI, 2012) - 필리핀산 아보카도와 관련된 기록은 어린 줄기와 과경(peduncle)에 부착하여 가해하며, 심할 경우 과실 낙과 원인이 되며(Pena, 2002), 수입되는 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는 soursop(annona muricata), 케이폭(Ceiba pentandra), 감 귤속, 커피, 구아바, 카카오 등 열대 및 아열대성 과실 및 관상식물 이 알려져 있음(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중 동남아시아산 과실류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음 (PIS, 2012) * 호주산 레몬 오렌지의 우려임 - 25 -
Paracoccus marginatus는 원산지는 멕시코나 인근 중앙아메리카로 알려져 있으며, 카사바나 파파야에서 발견되는 종으로 알려졌으나, 지금은 광식성종으로 파파야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실, 생장점, 꽃, 잎, 줄기 외부에 부착하여, 특히 잎이나 과실을 가해하므로 수입되는 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슈가애플, 파파야, 커피, Hibiscus속, 아보카도, 가지임 (CABI,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의 우려임 상기 가루깍지벌레과 6종은 생태적으로 유사하고 기주식물의 잎, 과실, 가지 외부에 부착하여 피해를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과실에 알, 약충, 성충이 부착하여 유입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 으로 할 필요가 있음 - Dysmicoccus brevipes, Ferrisia virgata, Maconellicoccus hirsutus, Paracoccus marginatus는 멕시코산 아보카도 생과실의 우려 으로 지정된 종이나 별도의 방안을 요구하지는 않았음 따라서, 상기 6종은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해 유입 가능하므로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지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 다만, 약충과 성충은 흰색의 가루로 덮혀 있고 알 또한 흰색의 솜뭉 치와 같은 것으로 덮혀 있어 선과과정에서 제거 및 과실 표면에 부 착하여 가해하는 특성상 수입 검역시 검출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관 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위험병) - 26 -
밀깍지벌레과 1종 : Pulvinaria psidii Pulvinaria psidii는 아시아, 북미, 중미,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열대지역에서 매우 흔하고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광식성종으로, 고무나 무속, Persea속, Psidium속, Tamarix속, Terminalia속 등 수목류 및 Anthurium속, 동백나무속, Euonymus속, Ilex속, Jasminum속 등의 관상식물에서 발견됨(CABI, 2012) - 과실, 잎,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식물체 전체를 가해하므로, 수입 되는 과실에 알, 성충, 약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여지, 망고, 구아바의 주요이며, 그 외 감귤류, 커피, 차나무, 아 보카도에서 발견됨(CABI, 2012) - 휴대식물의 검역과정중 중국산 여지와 람부탄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 음(PIS, 2012) 상기 밀깍지벌레는 잎, 과실, 가지에 발생하는 특성상 과실에 부착하여 유입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 으로 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상기종은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해 유입 가능하므로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지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 다만, 과실 발생시 알, 약충, 성충은 선과과정에서 제거가 가능하고 과실표면을 가해하는 특성상 수입검역시 검출 가능하므로 별도의 관 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위험병) - 27 -
깍지벌레과 5종: Aonidiella aurantii, A. orientalis, Aulacaspis tubercularis, Selenaspidus articulatus, Unaspis citri 상기 5종의 깍지벌레는 모두 필리핀에 분포하고 아보카도를 포함하여 기주범위가 넓고, 잎, 줄기, 꽃, 과실의 표면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CABI, 2012.) Aonidiella aurantii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으로 추정되며, 미국, 남아공,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 이스라엘과 지중 해지역의 감귤류에서 가장 중요한 이며, 기주식물로 남아공에서 는 과수류, 관상수 등 201종이 알려져 있는 등 다양한 식물이 기주 로 알려져 있으며, 과실, 잎, 줄기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므로, 수 입되는 과실에 알, 약충, 성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감귤, 레몬, 포멜로, 오렌지, 자몽, 장미 등이며, 그 외 오크라, 키위, 차나무, 파파야, 무화과, 목화, 호두, 망고, 뽕 나무, 바나나, 서양협죽도, 올리브, 패션프룻, 아보카도, 구아바, 포 도, 대추 등이 알려져 있음(CABI, 2012) - 레몬, 오렌지, 자몽, 포멜로, 협죽도 묘목 등 수입검역 과정에서 검출 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 및 남아공, 스페인,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이집트, 칠레, 호주에서 수입되는 감귤류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음 - 28 -
Aonidiella orientalis의 분포지역은 서인도제도, 중동, 인디아, 동아프리 카, 남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및 호주 등 열대와 아열대지역이며, 온대 지역 온실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식성 으로 침엽수를 제외한 다 양한 기주식물에 피해를 주며, 감귤속과 고무나무속, 망고, 파파야, 바나나 같은 과실류, 코코넛, 아레카를 포함하는 야자류와 차나무 등 다양한 과(Family)에 속하는 작물의 임(CABI, 2012) - 과실, 잎,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므로, 수입 과실에 알, 약충, 성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로 아레카야자, 차나무, 파파야, 감귤속, 코코넛야자, 망 고, 사포딜라, 구아바,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 외 슈카애플, 바나나, 올리브, 아보카도, 복숭아, 포도, 대추 등 다양한 식물에서 피해를 줌 (CABI, 2012) - 동남아시아산 코코넛야자, 바나나, 야자묘목 등 수입과실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이스라엘, 이집트, 호주에서 수입되는 감귤류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음 Aulacaspis tubercularis는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남미, 중미와 카리브해 등 전세계 망고 재배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그외 코코넛, 계피 에서 발견됨(CABI, 2012) - 과실,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므로, 수입 과실에 알, 약충, 성충 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망고이며, 그 외 계피, 감귤속, 코코넛, 호박, 아보카 도, 생강 등 다양한 식물에서 피해를 줌(CABI, 2012) - 대만산 망고묘목 검사과정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이집트산 오렌지, 호주산 망고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음 - 29 -
Selenaspidus articulatus의 분포지역은 아프리카, 북미, 남미, 중미, 호주 등 열대 및 아열대지역이며(ScaleNet, 2012), 다식성으로 주로 감귤에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커피, 코코아, 아보카도, 망고, 바나나, 야자의 으로도 기록되어 있음(ScaleNet, 2012) - 과실, 잎,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므로, 수입 과실에 알, 약충, 성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Annona속, 레몬, 오렌지, 감귤, 자몽, 코코넛, 커피, 자 스민, 망고, 올리브, 아보카도, 장미 등이며, 그 외 케슈넛, 잭프룻, 카람볼라, 체리모야, 차나무, 포멜로, 여지, 람부탄, 패션프룻 등 다양한 식물에서 피 해를 줌(CABI, 2012) - 커피나무, 고무나무 등 수입식물의 검사과정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멕시코산 아보카도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음 Unaspis citri는 아시아 원산으로 열대 및 아열대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현재는 북미, 중미, 남미,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에서 발견되 며, 광식성종으로 9개과 12속의 식물을 가해함(CABI, 2012) - 경제적으로 중요한 주요 기주는 감귤속으로 특히 오렌지는 주요한 기 주이며, 감귤속의 기본적인 으로 전세계의 감귤 재배지역에서 발생 하고 있고(CABI, 2012), 감귤과수원과 인접한 아보카도 재배지에서 발 견 또는 기주식물로 기록이 있음(Pena, 2002; ScaleNet, 2012) - 과실, 잎, 줄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가해하며, 수입 과실에 알, 약충, 성 충이 부착할 우려가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파인애플, Annona muricata, 잭프룻, Capsicum, 라임, 오렌지, 레몬, 포멜로, 감귤, 자몽, 코코넛, 금귤, 바나나, 구아바 등 임(CABI, 2012) - 오렌지, 라임, 감귤 등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스페인, 아르헨티나산 오렌지, 칠레, 호주산 레몬 오렌지의 우려해 충으로 지정하고 있음 - 30 -
따라서, 상기 5종의 깍지벌레는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해 유입 가능하므로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지정하여 관 리할 필요가 있음 - 다만, 과실에 발생시 선과과정에서 제거 및 과실 표면을 가해하는 특 성이 있어 수입 검역시 검출 가능하므로 별도 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위험병) 과실파리과 2종: Bactrocera cucurbitae, Bactrocera dorsalis species complex 상기 과실파리 2종 모두 필리핀에 분포하고, 아보카도를 포함하여 기주범위가 넓고 기주식물의 과실내부에 산란하고, 유충이 내부 에서 가해하며, 감염된 과실을 발견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는 종 들임(CABI, 2012) Bactrocera cucurbitae는 인도 원산으로 여겨지며, 현재는 40개 이 상의 국가에서 발견되며, 높은 번식력과 높은 생물학적 잠재성 (연 10회 이상의 짧은 생활사), 빠른 전파능력을 갖고 있으며 (CABI, 2012), 주요 기주식물은 호박 등 박과에 속하는 식물이 지만, 망고, 아보카도, 구아바 등 과실류도 가해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음(CABI, 2012) - 이종은 EPPO, APPPC, COSAV, CPPC, IAPSC, OIRSA 등 지역 식 물보호기구에서 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수출시장에서의 검 역적인 요구조건을 수용하기 위한 비용 증가 등 장애요인으로 작용 함(CABI, 2012) - 31 -
- 과실 내부의 과피 아래에 산란하며, 부화한 유충이 내부의 과육을 가 해하며 성장하는 특성이 있고, 유충의 생육이 경과하여 외부에 피해 증상이 나타날 때 까지는 검역과정에서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움(CABI, 2012) - 성충 비행과 감염 과실의 이동이 미감염된 지역으로 이동과 전파의 주요 수단이며, 대부분의 Bactrocera spp.는 50~100km를 비행할 수 있음(CABI, 2012) - 오이과실파리는 박과식물에 매우 심각한 이며, 125종이상의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록이 있으며, 기주식물로 파파야, 포멜로, 무 화과, 망고, 사포딜라, 패션프룻, 아보카도, 구아바, 토마토, 대추 등이 알려져 있음(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에서 금지식물인 여주, 망고, 망고스틴, 파파야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대만 태국 필리핀산 망고 및 필리핀산 망고스틴, 베트남산 용과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증열처리 등 수확후 방안을 요 구하고 있음 Bactrocera dorsalis는 아시아 원산으로 현재는 아메리카, 오세아니아를 포함하여 30여개 국가에서 발견되며, 높은 번식력과 높은 생물학적 잠재성(연 10회 이상의 짧은 생활사), 빠른 전파능력(50~100km의 비행능력)과 광범위한 기주범위에 따라 쉽게 전파되며(CABI, 2012), 다양한 과실과 채소의 중요 으로 주요 기주식물로는 사과, 살구, 아보카도, 감귤류, 커피, 구아바, 망과, 멜론, 복숭아, 배와 자두가 알려져 있음(CABI, 2012) - 32 -
- 이종은 EPPO, APPPC, COSAV, CPPC, IAPSC, OIRSA 등 지역식물 보호기구에서 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감수성인 과실에 대하여 훈증, 열처리(증열, 온수), 저온처리, 방사전 조사 등 수확 후 처리과정이 없는 경우 수입이 금지되는 임(CABI, 2012) - 과실의 과피 아래에 산란하며, 부화 유충이 내부에서 과육을 가해하며 성장하는 특성이 있고, 유충 생육이 경과하여 외부에 피해 증상이 나타날 때 까지는 검역 과정에서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움(CABI, 2012) - 성충 비행과 감염 과실의 이동이 미감염된 지역으로 이동과 전파의 주요 수 단이며, 대부분의 Bactrocera spp.는 50~100km를 비행할수 있음(CABI, 2012) - 주요 기주식물은 케슈넛, 슈가애플, 잭프룻, 카람볼라, 파프리카, 파파 야, 라임, 포멜로, 감귤, 커피, 멜론, 오이, 롱간, 감, 사과, 망고, 사포딜 라, 바나나, 아보카도, 살구, 양벚, 자두, 복숭아, 구아바, 석류, 서양 배, 로즈애플, 대추 등이 있음(CABI, 2012) - 휴대식물 검역과정에서 금지식물인 가지, 고추, 구아바, 망고, 무화과, 여지, 용안, 망고스틴, 슈가애플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음(PIS, 2012) * 대만 태국 필리핀산 망고 및 필리핀산 망고스틴, 중국산 양벚, 베트 남산 용과의 우려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증열처리 등 수확후 방안을 요구하고 있음 생과실은 일반적으로 과실파리 이동에 중요한 경로가 되어, 유 입방지를 위한 요건을 부여하고 있음 - 상기 2종의 과실파리는 현재 금지으로 분포국가산 기주식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대만 태국 필리핀산 망고, 베트남 용과, 필 리핀산 파야야에 대하여 증열처리 요건을 부여하여 수입을 허용하고 있음 - 33 -
따라서, 상기 2종의 과실파리는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을 통 해 유입 가능하므로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우려병으로 지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 과실파리 특성상 과실 내부 가해으로, 과실 내부에 산란하고 흔 적이 쉽게 드러나지 않아 과실이 부패하고 유충이 탈출하기 전에는 발견하기 어려움 - 과실내부에 산란하는 특성상 선과과정에서 피해과 제거 및 수출입 검사시 검출이 어려우므로 별도의 방안은 필요함(특별위험 병) - 34 -
<붙임 4> 필리핀산 아보카도 목록 구분 학 명 [목명:과명] Aleurocanthus woglumi Ashby, 1915 [Hemiptera : Aleyrodidae] Aleurodicus dispersus Russell, 1965 [Hemiptera : Aleyrodidae] Aonidiella aurantii (Maskell) [Hemiptera : Diaspididae] Aonidiella orientalis (Newstead,1894) [Hemiptera : Diaspididae] Aphis gosypii Glover [Hemiptera : Aphididae] Aphis spiraecola Patch, 1914 = Aphis citricola van der Goot, 1912 [Hemiptera : Aphididae] Araecerus fasciculatus (DeGeer) [Coleoptera : Anthribidae] Aspidiotus destructor Signoret, 1869 [Hemiptera : Diaspididae] Aulacaspis tubercularis Newstead [Hemiptera : Diaspididae] Bactrocera cucurbitae Coquillett [Diptera : Tephritidae] 일반명 수출국 분포 국내분포 citrus blackfly spiralling whitefly California red scale oriental yellow scale Melon aphid (목화진딧물) Spirea aphid (조팝나무진딧물) cocoa weevil (술소바구미) Coconut scale (유리깍지벌레) mango scale melon fly (필리핀제공자료,20 11;CABI,2012) (필리핀제공자료,20 11;CABI,2012) 규제 상태 금지 경로여부 [잎,줄기] [잎]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잎,줄기,과실(외부 부착)(CABI, 2012)] [잎,줄기,꽃(필리핀제공자료,2011 ; CABI,2012)] [줄기,꽃,과실] [줄기,뿌리] [잎,줄기,과실(외부 부착)(필리핀제공자료,2011; CABI,2012)]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과실(내부 가해)] 평가 대상 달팽 이 Bactrocera dorsali species complex [Diptera : Tephritidae] Bactrocera philippinensis = Bactrocera sp. near dorsalis (C) (Hendel) [Diptera : Tephritidae] Cerataphis lataniae (Boisduval, 1867) [Hemiptera : Aphididae] Ceroplastes ceriferus (Fabricius, 1798) [Hemiptera : Coccidae] Ceroplastes rubens Maskell, 1893 [Hemiptera : Coccidae] Chaetanaphothrips orchidii (Moulton) [Thysanoptera : Thripidae] Chrysomphalus dictyospermi (Morgan, 1889) [Hemiptera : Diaspididae] Coccus hesperidum L. [Hemiptera : Coccidae] Cornu aspersum Müller [Stylommatophora : Helicidae] Cricula trifenestrata (Helfer) [Lepidoptera : Saturniidae] Dysmicoccus brevipes (Cockerell) [Hemiptera : Pseudococcidae] Euwallacea fornicatus (Eichhoff, 1868) [Coleoptera : Scolytidae] Ferrisia virgata Cockerell [Hemiptera : Pseudococcidae] Frankliniella occidentails (Pergande) [Thysanoptera : Thripidae] Oriental fruit fly species complex Philippine fruit fly palm aphid Indian wax scale (뿔밀깍지벌레) red wax scale (루비깍지벌레) anthurium thrips dictyospermum scale (귤깍지벌레) brown soft scale (무화과깍지벌레) brown snail, common garden snail tea flush worm Pineapple mealybug (파인애플가루깍 지벌레) tea shot-hole borer striped mealybug western flower thrips (꽃노랑총채벌레) (Mitudaetal,2000) (ScaleNet,2012) (필리핀제공자료,20 11;CABI,2012) (Chin-LingWangeta l,2010) (한국동물명집,1997) (국립식물검역 원,2010) 금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과실(내부 가해)] [과실(내부 가해)(Pena,2002)] [잎,줄기,과실(외부 흡즙)] [잎,줄기,과실] [잎,줄기,과실] [잎,과실(외부 부착)(PIS,2012; Pena,2002)] [잎,줄기,과실(CABI,2012; Pena,2002)] [잎,줄기,과실(Pena,2002)]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잎] [잎,가지,꽃,과실(외부 부착)(필리핀제공자료,2011)] [줄기]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꽃(Pena,2002)] 학명 오류 제외 과실 미부착 제외 - 35 -
구분 학 명 [목명:과명] 일반명 수출국 분포 국내분포 규제 상태 경로여부 평가 대상 선충 Helicotylenchus dihystera (Cobb, 1893) Sher, 1961 [Nematoda : Hoplolaimidae] spiral nematode (고추나선선충) (한국동물명집,1997) [뿌리] 선충 선충 응애 응애 Helicotylenchus multicinctus (Cobb, 1893) Golden, 1956 [Nematoda : Hoplolaimidae] Helicotylenchus pseudorobustus (Steiner, 1914) Golden, 1956 [Nematoda : Hoplolaimidae] Helicoverpa armigera (Hübner, 1809) [Lepidoptera : ctuidae] Heliothrips haemorrhoidalis (Bouche) [Thysanoptera : Thripidae] Helopeltis bakeri Poppius, 1915 [Hemiptera : Miridae] Helopeltis collaris Stal, 1871 [Hemiptera : Miridae] Hemiberlesia lataniae (Signoret) [Hemiptera : Diaspididae] Icerya aegyptiaca Douglas, 1890 [Hemiptera : Margarodidae] Icerya seychellarum (Westwood, 1855) [Hemiptera : Margarodidae] Lymantriid larva [Lepidoptera : Lymantriidae] Maconellicoccus hirsutus (Green, 1908) [Hemiptera : Pseudococcidae] Monolepta australis (Jacoby) [Coleoptera: Chrysomelidae] Monolepta bifasciata (Hornstedt) [Coleoptera : Chrysomelidae] Myzus persicae Sulzer (1776) [Hemiptera : Aphididae] Nezara viridula (Linnaeus) [Hemiptera : Pentatomidae] Nipaecoccus nipae (Maskell, 1893) [Hemiptera : Pseudococcidae] Nipaecoccus viridis (Newstead) [Hemiptera : Pseudococcidae] Oligonychus coffeae (Nietner) [Acari : Tetranychidae]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 Tetranychidae] Paracoccus marginatus Williams & Granarade Willink, 1992 [Hemiptera : Pseudococcidae] Paraleyrodes perseae Quantaince [Hemiptera : Aleyrodidae] Parasaissetia nigra (Nietner, 1861) [Hemiptera : Coccidae] Philicoptus iliganus (Heller) [Coleoptera : Curculionidae] Pinnaspis strachani (Cooley) 1899 [Hemiptera : Diaspididae] Planococcus citri (Risso) [Hemiptera : Pseudococcidae] Planococcus lilacinti Cockerell [Hemiptera : Pseudococcidae] banana spiral nematode (보리나선선충) spiral nematode (감나무나선선충) cotton bollworm (왕담배나방) Greenhouse thrips (귤총채벌레) Mirid bug Mirid bug latania scale (야자흰깍지벌레) breadfruit mealybug Seychelles scale 독나방류 유충 pink hibiscus mealybug red-shouldered leaf beetle green peach aphid (복숭아혹진딧물) green stink bug (남쪽풀색노린재) avocado mealybug (종려가루깍지벌레) spherical mealybug tea red spider mite citrus red mite (귤응애) papaya mealybug pomegranate scale (검은철모깍지벌레) Scarring weevil lesser snow scale (고사리핀깍지벌레) citrus mealybug (귤가루깍지벌레) (필리핀제공자료,2011) (PHA.2011) (PHA.2011) (필리핀제공자료,201 1) (Erichsen.1993.) (Erichsen.1993.) (Whitefly Fauna of the World Web, 2012) (필리핀제공자료,2011) (ScaleNet,2012) - 36 - (한국동물명집,1997) (한국동물명집,1997) (한국동물명집,1997) (한국동물명집,1997)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뿌리] [뿌리] [꽃,잎,과실] [잎,과실(필리핀제공자료, 2011; Pena,2002)] [줄기,과실(PHA.2011) [줄기,과실(PHA.2011) [잎,줄기,과실 ] [잎,줄기] [잎,줄기] [잎,과실(표면)(필리핀제 공자료,2011)]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잎(Pena,2002)] [잎(Pena,2002)] [잎,줄기,과실 ] [줄기,꽃,과실 ] [줄기,과실] [줄기,꽃,과실(외부 부착)] [잎(Pena,2002)] [잎,줄기,과실 ] [잎,줄기,과실(외부 부착)] [(Pena, 2002)] [잎,줄기] [잎,과실(표면)(필리핀제 공자료,2011)] [잎,줄기,과실(CABI,2012; Pena,2002)] [잎,줄기,꽃,과실(CABI,20 12)] [줄기,과실(외부 부착)(Pena,2002)] 비경로 제외 학명 오류 제외
구분 학 명 [목명:과명] 일반명 수출국 분포 국내분포 규제 상태 경로여부 평가 대상 Planococcus lilacinus Cockerell [Hemiptera : Pseudococcidae] Coffee mealybug (대만가루깍지벌레) (ScaleNet,2012) [과실(외부 부착)(PHA.2011)] 응애 선충 선충 Polyphagutarsonemus latus (Banks) [Acari : Tarsonemidae] Pratylenchus brachyurus (Godfrey, 1929) [Nematoda : Pratylenchidae] Pratylenchus penetrans (Cobb, 1917) [Nematoda : Pratylenchidae] Pseudococcus longispinus Targioni Tozzetti [Hemiptera : Pseudococcidae] Pulvinaria psidii Maskell, 1893 [Hemiptera : Coccidae] Broad mite, yellow tea mite (차먼지응애) root-lesion nematode northern root lesion (딸기뿌리썩이선충) long-tailed mealybug green shield scale (필리핀제공자료,2 011;CABI,2012) (한국동물명집,1997) (한국동물명집,1997) (한국동물명집,1997) (백문기등,2010) [잎,과실(필리핀제공자료,2011)] [뿌리] [뿌리] [잎,줄기,꽃,과실] [잎,줄기,꽃,과실(외부 부착)(CABI,2012; PIS,2012)] 선충 Radopholus similis (Cobb,1893) [Nematoda : Pratylenchidae] burrowing nematode (바나나뿌리썩이선충) (한국동물명집,1997) 금지 [뿌리] 선충 Rotylenchulus reniformis Linford & Oliveira, 1940 [Nematoda : Hoplolaimidae] reniform nematode (한국동물명집,1997) [뿌리] Saissetia coffeae (Walker, 1852) [Hemiptera : Coccidae] hemispherical scale (철모깍지벌레) [잎] Saissetia oleae (Olivier, 1791) [Hemiptera : Coccidae] olive scale [잎,줄기] Selenaspidus articulatus Morg. [Hemiptera : Diaspididae] Selenothrips rubrocinctus (Giard) [Thysanoptera : Thripidae] Sinoxylon conigerum Gerstaecker 1855 [Coleoptera : Bostrichidae] West Indian red scale red-banded thrips conifer auger beetle (ScaleNet,2012) 미평가 [잎,줄기,과실(외부 부착)(PIS,2012)] [잎,꽃,과실(외부 부착)(CABI,2012; Pena,2002)] [줄기] Suana concolor (Walker) [Lepidoptera : Lasiocampidae] 미평가 [(CABI, 2012)] 비경로 제외 Thrips palmi Karny, 1925 [Thysanoptera : Thripidae] Unaspis citri Comstock [Hemiptera : Diaspididae] melon thrips (오이총채벌레) citrus snow scale (귤흰깍지벌레) (ScaleNet,2012) (국립식물검역원,2010) [잎,꽃,과실(CABI,2012; Pena,2002)] [잎,줄기,과실(외부 부착)(PIS,2012; Pena,2002)] Xyleborinus saxesenii (Ratzeburg) [Coleoptera : Scolytidae] ambrosia beetle (암브로시아나무좀) 미평가 [줄기] Xyleborus perforans (Wollaston) [Coleoptera : Scolytidae] sugarcane ambrosia beetle [줄기] Xyleborus volvulus (Fabricius, 1775) [Coleoptera : Scolytidae] 두릅나무좀 미평가 [줄기] Xylosandrus compactus (Eichhoff, 1875) [Coleoptera : Scolytidae] black coffee borer [줄기] Xylosandrus crassiusculus (Motschulsky) [Coleoptera : Scolytidae] granulate ambrosia beetle (팥배나무좀) 미평가 [줄기] Xylosandrus morigerus (Blandford) [Coleoptera : Scolytidae] brown coffee borer [줄기] Zeuzera coffeae Nietner [Lepidoptera : Cossidae] coffee carpenter 미평가 [줄기] - 37 -
<붙 임 5> 아보카도의 식물학적 특성 및 관련 정보 아보카도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며, 열대지역산 과일로 우리나라에 동일속(Persea)에 이명으로 후박나무, 녹나무, 센달나무 3종이 기록되어 있음 국내에서 아보카도의 재배는 제주도 시설내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시범재 배 성격으로 재배면적은 약1ha로 적음 1. 식물학적 특성 과명 : Lauraceae(녹나무과) 학명 : Persea americana Mill. (영명 : Avocado) 이명 : Persea gratissima C.F. Gaertn. Persea nubigena L.O. Williams Persea drymifolia Schltdl. & Cham. (CABI, 2012) 우리나라의 Persea속은 이명으로 후박나무(Persea arisanensis, Persea thunbergii), 녹나무(Persea camphora), 센달나무(Persea japonica, Persea kusanoi, Persea puseudolongifolia) 3종이 기록되어 있음(국가표준식물목록 홈페이지) - 후박나무 :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 녹 나 무 : Cinnamomum camphora (L.) J.Presl - 센달나무 : Machilus japonica Siebold & Zucc. 기 원 원 산 지 : 원산지는 멕시코에서 페루까지 동쪽으로는 베네수엘라의 중앙아메리카임(방지환, 2002) 주요산지 : 재배지역은 열대와 아열대 지방이며, 상업적 생산은 열대의 저지대와 기후가 서늘한 반건조 지역으로 알려져 있음 아보카도는 생태학적으로 크게 멕시코변종, 과테말라변종, 남미변종으로 구분됨 성장에 필요한 적온은 25~33, 일교차는 8~10 이며, 연평균 강우량은 최하 300mm(관수 보충), 그리고 2,500mm 이상시에도 성장을 잘하며, 토양산도는 ph 5.0~5.8이 적합 - 38 -
용 도 주로 생식용으로 이용하며, 쥬스, 양념을 혼합한 음식재료로 소비되며, 야채재료, 후식(인도네시아, 필리핀)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은 비누, 화장수 제조에 사용되기도 함함(방지환, 2002) 번 식 대부분의 열대지방에서 대생계체로 자라서 실생묘가 되며, 접목은 영양번식 방법을 택함 실생묘는 파종 후 2~3개월 내에 접목이 가능한 크기로 자람 형태적 특징 열매는 구형 혹은 배모양으로 크며, 일반적으로 양쪽의 모양이 동일하지는 않음 성숙시 황록색 혹은 엷은 자주색 또는 짙은 자주색, 광택이 나며 길이 7~20cm, 직경 7~10cm임 열매껍질은 얇은 혁질이며, 과육은 두껍고 걸쭉하게 즙이 많으며, 다소 단맛이 남 종자는 하나며, 다소 향기가 나며, 구형으로 직경이 2.5~5cm이며, 외종피는 막질임 2. 필리핀의 아보카도 재배현황 (필리핀 제공자료, 2011) 아보카도 생육특성 품종명 : Hass종(수입 허용된 멕시코산 아보카도와 동일한 품종) 생육특성 - 나무모양은 직립하며, 원형수관으로 저온 저항성은 -2 C까지임 - 39 -
과일 특성 - 크기는 140~150g이며, 타원형으로 종자비율은 22.65%이며, 종피는 종자에 붙어 있음 - 과피는 자주빛의 검은색이며, 표피는 거칠고 질기고 두꺼움 수확시기 - 개화 2주 후 과실이 형성되며, 과실형성 직후 수확시기의 확인을 위해 과실에 리본을 부착함 - 개화는 3~4월에 시작하며, 개화 4~7개월 후에 수확이 이루어지며, 이 시기 수분함량은 75%이하임 아보카도 재배현황 재배면적 및 생산량* 농장위치 12지역, Kablon, Tupi, 남코타바토주 11지역, Tamayong, Calinan, 다바오시 11지역, Carmen, Calinan, 다바오시 총면적 (ha) 생산면적 (ha) 생산량 (kg/ha) 120 25 2,000 30 20 2,000 5 4 2,000 * 수입허용 요청과 관련하여 필리핀에서 제공한 정보 필리핀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수입허용 요청과 관련하여 남부 민다나오 3개 지역의 재배면적 및 수량 정보만 제공 FAO 자료에 따르면, 2008년도 필리핀에서 생산된 아보카도 생산량은 24,180M/T임 - 세계적인 아보카도 생산량은 약 385만M/T이며 주요 생산국은 멕시코(123), 칠레 (32.8), 미국(26.7), 인도네시아(25.8), 도미니카(18), 콜롬비아(17) 등이며, 그 외 페 루, 브라질, 중국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 교역량은 적으며, 주요 수입국은 영국, 프랑스, 유럽연합, 일본 등임 수출실적 등 수출여부에 대한 자료는 제공되지 않음 - 40 -
3. 필리핀 아보카도 현황 (필리핀 제공자료, 2011) 병 예찰 필리핀의 Kablon과 Calinam지역의 아보카도 재배포장에서 실 시하고 있는 병 프로그램상의 자료 제공 병에 대한 발생 부위 및 피해 증상에 대한 정보 제공 - 해 충 : 응애, 총채벌레, 바구미, 깍지벌레류, 바구미, 진딧물 등 - 병원체 : 탄저병, 무름병, 창가병, 역병 등 아보카도 농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병 예찰, 조사결과 처리, 방제 사항 등에 대한 자료 제공 - 조사자 자격, 조사절차(포장내 셈플 추출방법, 조사방법), 조 사결과 제출 - 조사결과 병의 밀도에 따른 방제 실시 및 방제 약제 소개 아보카도 재배지역에서 과실파리 예찰, 조사자, 트랩조사 절차, 조사결과 처리 절차 등에 대한 자료 제공 - 대상 : Bactrocera philippinensis, B. occipitalis(2종 모두 아보카도 해 충으로 기록된 사항은 없음) - 트랩설치 : 1개/20ha, 유인제(methyl eugenol) 병 무발생 포장에서 과실을 수확하며, 과실 수확 전 포장 에서 병에 대한 검사 실시 수확 및 포장절차 수확시기는 과실에 칼라 리본을 부착하여, 색을 비교하여 결정 하며, 수확전 실험실에서 수분함량 사전 분석 - 41 -
수확된 과실은 상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제가 있는 플라 스틱 상자에 담아 선과시설로 이동 선과시설로 입고된 과실은 개별적으로 병 및 피해여부를 검 사하고, 과실을 염소성분이 있는 탱크에 잠기게 하여 소독 실시 소독된 과실을 스폰지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물세척 과실에 부착된 과경을 0.5인치 길이로 자르고, 자른 부위를 0.5% 염소 소독 처리 과실 건조 및 왁스 코팅후 크기별로 선별하여 종이상자 포장 13 이하의 저온상태로 운반 및 저장 4. 국내 아보카도의 재배 및 수입현황 아보카도의 재배현황 국내 아보카도 재배는 제주도의 시설내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재배면적은 적음(김성철, 2010) -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뉴질랜드에서 처음 도입되어 2009년 현재 서귀포시 4농가에서 3,320m2(420주)를 재배하고 있음 - 아보카도가 재배되고 있으나, 현재는 시작단계로서 재배기술 개발 필요 제주도의 경우 가온재배시 연 1회 수확이 가능함(김성철, 2010) 노지에 재배가능한 적응성 시험을 실시(서귀포시 안덕면) - 42 -
아보카도 수입 실적 최근 10년간 아보카도 수입실적 [2012년 5월말 기준(PIS, 2012)] 구분 : 화물 단위 : M/T 구분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5 계 냉 동 생 과 실 건수 7 1 8 17 13 15 14 6 6 3 81 수량 14.0 0.1 9.1 21.4 38.5 27.3 32.0 10.1 2.2 5.0 152.5 건수 150 224 239 227 262 276 288 350 371 137 2,016 수량 168.1 271.5 397.3 611.8 683.5 523.5 353.2 492.6 442.6 225.1 3,501.5 생과실 : 미국, 뉴질랜드, 멕시코, 냉동과실 : 미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생과실 수입허용 요건 - 미국 뉴질랜드 : 시행규칙 별표 1의 2항에 따른 수입금지지역에서 제외 - 멕시코 : 수입금지식물 중 멕시코산 아보카도 생과실의 수입금지 제외 기준(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고시) - 43 -
<붙 임 6> 참 고 문 헌 Allen R.N., G.E. Stovold and J.F. Dirou, 2004. Avocado diseases. www.agric.nsw.gov.au CABI-CPC. 2012. Crop Protection Compendium Database, CAB Int'l. Wallingford, UK. Available online at: http://www.cabi.org/cpc/ Chey V.K. 2004. Suana concolor Giant defoliator of Acacia mangium. Sepilok Bulletin 1: 63-65 (2004); Forest Research Centre, Sabah Forestry Department, P.O. Box 1407, 90715 Sandakan, Sabah, Malaysia. Chin-Ling Wang, Feng-Chyi Lin, Yi-Chung Chiu, and Hsien-Tzung Shih. 2010. Species of Frankliniella Trybom (Thysanoptera: Thripidae) from the Asian-Pacific Area. Zoological Studies 49(6): 824-838 (2010) Darvas JM, Kotze JM. 1987. Avocado fruti diseases and their control in South Africa. South africa avocado grower's Association Yearbook 10:117-119 Erichsen. C. & A.S. Schoeman. 1993. MONOLEPTA APICALIS (SAHLBERG) (COLEOPTERA : CHRYSOMELIDAE): A NEW ADDITION TO THE AVOCADO PEST COMPLEX. South African Avocado Growers Association Yearbook 1993. 16:123-124 Everett. K. R., 1996. Hort Research Publication - Postharvest diseases of avocados. www.hortnet.co.nz/publications/science/everavo1.htm Hartill WFT. 1991. Post-harvest diseases of avocado fruits in New Zealand. NZJ Crop Hortic Sci 19:297.304 http://nt.ars-grin.gov/fungaldatabases/ Mcmillan R.T., Jr., J.W. Sauls, R.L. Phillips and L.K. Jackson(eds.). 1976. Gainesville: Fruit Crops Dept., Florid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pages 66-70 - 44 -
Mituda-Sabado, E. C.; Calilung, V. J. 2000. Survey, identification and life history of anthurium thrips. Philippine Entomologist 2000 Vol. 14. 2 pp. 121-129(Abstract) Palmateer A. 2006. Description of disease: Avocado scab. In: Evans EA. (ed) Avocado Technical Assistance Curriculum. Pena, J.E., J.L. Sharp and M. Wysoki. 2002. Tropical Fruit Pests and Pollinators (Biology, Econnomic Importance, Natural Enemies and Control). CABI Publishing. Pernezny K, Marlatt R. 2007. Diseases of avocado in Florida. Bulletin Florid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PP21:3. Plant Health Australia(PHA). 2011. Industry Biosecurity Plan for the Avocado. Version 2.0 September 2011 Ploetz, R. C. 2003. Diseses of tropical fruit crops. CABI Publishing. Quimio, Arcadio J. Survey,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diseases of minor fruit crops in the Philippines (avocado, cashew, guava, soursop, jackfruit and strawberry. College, Laguna: UPLB, 1985. pp. 1-12. -(PCARRD Proj.. 34-222-21; Study I). Rosa Maria Perez-Jimenez., 2008. Significant Avocado Diseases Caused by Fungi and Oomycetes. The European Journal of Plant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8 Global Science Books. 1-24 ScaleNet.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ccessed May, 2012). - Planococcus lilacinus (http://scalenet.info/validname/planococcus/lilacinus/) - Coccus hesperidum (http://scalenet.info/validname/coccus/hesperidum/) - Selenaspidus articulatus (http://scalenet.info/validname/selenaspidus/articulatus/) - Unaspis citri (http://scalenet.info/validname/unaspis/citri/) - Coccus hesperidum (http://scalenet.info/validname/coccus/hesperidum/) Tony Cooke, Denis Persley and Susan. 2009. House Disease of fruit crops in Australia, CIRSO publishing. - 45 -
White fly Fauna of the World Web(Accessed May, 2012) [http://keys.lucidcentral.org/keys/v3/whitefly/old/homepage.htm] Whiley, Antony William., Schaffer, Bruce. and Wolstenholme, B. Nigel. 2002. The Avocado: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국립식물검역원. 2010. 식물외래병도감(Compendium of Exotic Plant Pestss and Weeds). 국립식물검역원 김성철. 2010. 아열대 과수 도입, 평가 및 적응 재배법 개발. 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시험연구보고서)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2. 병정보시스템(PIS). Web 방지환. 2002. 열대 아열대 과수의 재배법. 아카데미서적. 백문기 등. 2010. 한국곤충총목록(checklist of Korean Insects). 자연과생태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위험도평가를 위한 필리핀산 아보카도 생과실 위험도평가를 위한 필리핀측 제공 자료(2011). 필리핀측 제공 자료(2012).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출판부. pp. 744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아카데미서적. pp. 489 한국식물보호학회. 1986. 한국 식물병 잡초명감. 한국식물보호학회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제5판) 한국식물병리학회. pp. 851 국립식물검역원 병정보검색시스템(PIS), 201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