語文論文 - 아요 는왜 - 았 - 뒤에나타나지않는가 * 李勇 ( 류블랴나大助敎授 ) 要約및抄錄 이글에서는 에서 이 할수있는지를 - 아요 가 - 았 - 뒤에나타나지않는 를 으로살펴보았다. 이 는 에서의 을 로 된것으로한국어교육의현장에서 을위해서는때로 에대한 을필요로한다. 에서보면 - 았 / 었 - 은 - 아 / 어 와 잇 - 의결합이 하여형성된것이다. 된이후에도 - 았 - 은 잇 - 의 을가지기때문에 - 았 - 뒤에서도 - 어요 가 하는것이다. 또한 나뻐요, 바뻐요 가아니라 나빠요, 바빠요 로나타나는것을 와 의 를 으로 해보았다. 그런다음에이러한 을토대로 에서 의 이나 을다루어보았다. 이를위해 에 된것과더불어 Thonbury(1999) 의 의 을정리하고이것을 에서 의 이나 과 해보았다. 核心語,, - 었 -,, 1. 들어가면서 이글은 - 아요 가 - 았 - 뒤에나타나지않는 를 하면서 에서이른바 이 할수있는지를 하는데그 이글은 2014 년 4 월 3 일 ~4 일이탈리아의베네치아에서열렸던제 5 회유럽한국어교육자워크숍에서 한것을 한것이다. 발표를듣고 을표하면서도움을주셨던많은분들께이자리를통해감사의인사를올린다.
을두고있다. 따라서이글을쓴 은 에드러난것처럼단순히 - 아요 가 -았- 뒤에나타나지않는 를 하는데있지는않다. 이보다는이 에대해 하면서 에서 이유용하게쓰일수있는지를논의하게될것이다. 에서다루고자하는것은유럽지역의대학교에서한국어교육을해오면서받았던질문들중에서나온것이다. 1) 질문의요지는 -아요 / 어요 / 여요 의 와관련하여 의 -았- 뒤에서왜 -아요 가나타나지않고 -어요 가나타나느냐는것이었다. 한국어교육과정에서이에대한답을하기는쉽지가않은것으로보인다. 이에대한 을마련하기전에과연한국어교육과정에서그것도심지어는초급의과정에서이러한문제에대한답을할필요가있는지, 그리고답을할필요를느끼더라도어떻게설명할지에대해서먼저논의할필요가있기때문이다. 이와관련하여현재까지 에서 의 이나효율적인 등에관련된논의는제대로이루어지지않은것으로보인다. 이에 에서 의경험을바탕으로 을 할 이나한국어사지식의 등에대해서생각해보았던것을정리하고 들을기술하기로한다. 이를위해먼저학생의질문을소개하고관련된 을정리하면서, 질문이나온 을 한다. 그리고한국어사분야에서는널리알려진지식을바탕으로이에관련한답을마련하면서 에서 의필요성에대해서논의해보기로한다. 미리밝혀두고이해를구하는바, 이글에서다루는내용은 에서 의 인 과 등에대해서 인데까지논의하는데는이르지못한다. 그것은본고에서는구체적인방안과시 1) 여기서 이되고있는학교는슬로베니아의류블랴나대학교이다. 현재슬로베니아류블랴나대학교에는 의 으로서 이설치되어있지않고, 가동아시아문화학 에하나의모듈로설치되어진행되고있다. 은 1, 2, 3 으로나뉘어진행되고있다. 여기서소개할 2 개의질문은 1 과정에서제기된것이다.
기의논의에앞서한국어사지식이한국어교육에서필요한가에대한 를얻어야한다고생각하고한국어사지식의필요성이나유용성에대한논 의에초점을맞추게될것이기때문이다. 2. 問題의提起 현재필자가강의하는대학에서쓰고있는 의 을간단히 하 고학생의질문이나온이유를살펴보면서 를 하기로한다. 2) 서울 대학교언어교육원 (1999) 의한국어 1 에는 8 과에 - 아요 / 어요 에대한 이나온다. 이들 에대하여 ( ) 의 이 나 로 끝나면 - 아요 와결합하지만, 이 하 를가지고있을때는 해요 로 나타나고, 그밖의경우에는동사의어간이 - 어요 와결합한다는 이나 타난다 ( 어학연구소 1999: 88). 3) 그리고바로 9 과에서 - 았 / 었 - 에 대한 이이어진다 ( 어학연구소 1999: 95). 4) 이때 - 았 / 었 / 였 - 의 이 - 아요 / 어요 / 여요 와같다고 하고있다. 그런데 의 과 관련하여둘사이에다른설명이보인다. - 아요 / 어요 / 여요 의 는 뒤에나타나는것으로설명하고있지만 - 았 / 었 / 였 - 의교체는 이나다 른 뒤에나타나는것으로 하고있다. 그러나이 에는 가 2) 이와관련하여미리밝혀두고자하는것은여기서서울대교재를택하여논의하게된것은서울대교재의문제를드러내고자하는것이아니라류블랴나대학교에서이교재를쓰고이를통해서학생에게질문을받은데말미암은바가크다. 서울대교재에드러난문제가다른 들에서 으로 되는바, 의 를위해서울대교재를 하여 를하게된것이다. 서울대교재는효율적으로문제를제기하기위해사용된것일뿐이다. 그러므로 에서는서울대교재가잘못되어있으므로교재를수정해야한다고 하지도않는다. 3) 에대한 은다음과같다. - 아요 / 어요 These verb endings, which are appropriate in polite informal style speech, are used in different contexts. It the verb stem contains either,, 아요 is appropriate. 해요 is added when the verb stem contains 하 ; otherwise, - 어요 follows the verb stem. 4) 의 은다음과같다. - 았 - / - 었 - are markers that indicate the past tense of a verb. These past tense markers are usually inserted between the verb stem and the ending. 았 - is inserted after 아 and 오 -, - 했 - comes after 하 -, and 었 - comes after the other vowels.
있다. 먼저 -아요 / 어요 는다른어미뒤에도나타나고다른어미뒤에나타났을때에도 -아요 와 -어요 의 를보인다. -아요 와 -어요 의이형태교체가다른어미뒤라고해서일어나지않을리는없다. 다음으로 - 았 / 었- 의경우에는이형태가다른어미뒤에나타났을때위에서제시한교체에서벗어나는예를보이기도하는데그대표적인예로 -았었 - 을들수있다. 서울대 에따르면, 의 -았- 뒤에는 -아요 와 -어요 의 중에서 -아요 가선택되어야한다. 결과적으로 -었어요 / -았아요 가되어야한다. 그런데 -았- 과 -아/ 어요 의결합은 -았어요 로실현이된다. 이문제에대해서서울대 에서는 에서 -었어요, - 았어요 를하나의 으로 하는방법을택해 하고있다. 그런데그전에배웠던 - 니다 / 습니다 를제시하고 형을붙이다보면 에따라서는질문이뒤따르게된다. -았습니다 / 었습니다 와 -았어요 / 었어요 의 를통해적지않은 들이 -었 / 았- 이하나의 된 임을인식하게되기때문이다. 서울대교재의설명을따를때 -아요 와 -어요 의 와관련해서또하나설명하기어려운문제는 나쁘다, 바쁘다, 담그다 처럼 으 로끝나는 일것이다. 교재의설명에따라 나쁘-, 바쁘-, 담그- 에 -아/ 어요 를결합하면각각 나뻐요, 바뻐요, 담거요 가되어야할것이다. 5) 그러나실제도출형은 나빠요, 바빠요, 담가요 가되어야한다는점에서문제가있다. 3. - 았 - 과 - 어요 의結合에關聯된問題 3.1. 왜 - 았어요 로나타나는가 이제위에서제기된 들을 와관련해서어떻게 할수있 5) 실제생활에서 담그다 의 아요 / 어요 을 담거요 보다는 담궈요 로알고있는경우도있다.
는지그리고이러한 이 할수있는지를논의해보기로한다. 그전에먼저간단히 에서 -았 / 었- 의 에대해살펴보기로한다. 의 -았 / 었- 은 -아 / 어 와 잇- 의 인 -아잇-, -어잇- 이 과정을거쳐서 -앳-, -엣- 이된후에 을거쳐 -앗-, -엇- 으로바뀌면서 를나타내는 가된것으로알려져있다. 6) (1). ( ) : ( ) (, 51a) ( 2004: 389). (, 46a) ( 2004: 389) (1가) 와 (1나) 를비교하면 16세기자료인 에서는 을통해 가표시되었지만 17세기자료인 에서는 -앗- 을통해 가표시된것을볼수있다. 이와같은대조를통해 의 -앗- 이 17세기에출현한것임을짐작할수있다. 한동완 (1986) 에서는 의 -었- 의출현이다음과같은형성과정을거쳐서이루어진것임을밝힌바가있다. 6) 의형성에대해서는한동완 (1986), 이용 (1992) 를참조. 한편, 의 잇 - 이 앞에서는 잇 - ( 잇 니, 잇고 ), 와 앞에서는 이시 - ( 이시니, 이셔 ) 로 를보였다는사실을밝혀둘필요가있다. 이시니, 이셔 는 시기에 가성행한결과로인하여 잇시니, 잇셔 로표기되기도하였다. 19 세기에들어 아래에서 가 로바뀌는현상 ( 슳다 > 싫다, 슷 > 싯등 ) 이성행하면서화자들은 잇시니, 잇시나, 잇시며 를 잇스니, 잇스나, 잇스며 로이해하기시작하면서 있 - 으로 하기에이르렀다.
(2) - - > - - > - - ( ) - - [[V]- -[ -]] ( ) - 1- - 2- - - [[V]- -[ -]] [V- -] [V- -] ( ) - - - - [[V]- -[ -]] [V- -]] (3). ( 6: 2a). ( 3: 22b) 위에서 ( ) 은 15세기이전으로 이 되기 의 을, ( ) 는 이 되고있는 15세기 의 (3가, 나 ) 을, ( ) 은 가 된 17세기전후의상황을개략적으로상정한것이다. 이를통해 -었- 은어미 -어 와존재사 잇- 의 인 -어잇- 에서온것을볼수있다. 여기서 의 -았- 이 -어요 와결합하는이유를찾을수가있다. 이처럼 -았 / 었- 이 -아잇 / 어잇- 의통사적 으로부터 를거쳐형성되었기에 -았- 이 -어요 와결합하게된것이다. 다시말해서 가일어나역사적으로 -았- 이하나의 로굳어졌지만 잇- 이라는 의 이남아있어서 -어요 를취하게된것이다. 이설명을참고하게되면이전에쉽게이해가되지않았던많은것들이이해가가능해진다. 그중에대표적인것이 가 의 - 었- 과결합하게되면 -는데 와결합할수있다는이유에대한설명이다. 예쁘다 를예로들자면, 형용사는 -는데 와는결합이불가능하고 -은데 와는결합이가능하므로 예쁘는데 는안되는데 예뻤는데 는된다. 왜이처럼 예쁘- 가 -었- 과결합할때 -는데 와는결합이가능한데 -은데 와는결합할수없을까? 그이유는 -았- 이 -어요 와결합하는것에대해설명했을때
와마찬가지로 -았 / 었- 에 있- 의 이남아있는데서찾을수있다. 있은데 가아니라 있는데 가문법적이기에 형용사 + - 었- + -는데 의 이가능해지는것이다. 7) 형용사의경우에도 -었- 뒤에서는 -는데 가결합하게된다는설명이가능해지면많은것들이실타래가풀리듯설명될수있다. 이른바 느 를가진 들이유사한패턴을보이기때문이다. 이에속할만한어미류들을찾아보면다음과같은것들이있다. (4) -, -, -, -, -, -, -, -, -, - 8) 그리고 -았었 - 에대해서도설명이이루어질수있다. 이때도뒤의 -었- 이반드시 -었- 의형태로만나타나는것은앞에나타나는 의 -었- 이 있- 의소성을가지고있기때문에일어나는현상이다. 에대한고려가없었을때는 -었었 - 을 하면서앞의 -었- 과뒤의 - 었- 이다른형태소라는증거로앞의 -었- 은 -았- 과 -었- 의두가지형태로나타날수있는반면에뒤의 -었- 은 -었- 의형태로만나타날수있는것을들기도하였다. 그러나이는잘못된설명이다. 9) 따라서이러한사실을통해때로는 에대한 에있어서도 이 할수있다는것을볼수있다. 7) 예쁘겠는데 처럼 - 겠 - 뒤에서 - 는데 와결합할수있는것도 와관련이있다. - 겠 - 은일반적으로 - 게하얏 - 의 이 한것이다. 그렇다면 - 겠 - 의경우에도결과적으로 있 - 의형태론적소성을가진것으로파악해볼수있다. 8) 이들어미들에대하여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에는 ( 있다, 없다, 계시다 의어간, 동사어간또는어미 - 으시 -, - 었 -, - 겠 - 뒤에붙어 ) 라는설명이붙어있다. 9) 앞의 - 었 - 과뒤의 - 었 - 이같은것인가의 에대해서는그동안몇몇논의가있었다. 이에대해서는이용 (2003) 을참조.
3.2. 왜 나빠요, 바빠요 로나타나는가 10) 이제 나빠요 와 바빠요 에대해서다루기로한다. 나쁘다, 바쁘다 는서울대 ( 어학연구소 1999: 88) 에나온일반적인 을따라 -아요 와 -어요 를붙이면 나쁘어요 ( 나뻐요 ), 바쁘어요 ( 바뻐요 ) 로교체되어나올것이다. 11) 그러나실제로는 나빠요, 바빠요 로실현된다는점에서 가생긴다. 이러한 의해결방안으로 에서는어미 -아 / 어 가모음 로끝나는 에붙을때, 모음이떨어지고적절한어미가붙는다는 을제시하고있다. 그리고 바쁘다 바빠, 나쁘다 나빠 에서볼수있는것처럼, 용언어간이 나 로끝날때는 가붙는다고하였다 ( 어학연구소 1999: 153). 12) 서울대 에서는 나쁘다, 바쁘다 류의용언들을 으 탈락으로파악한것을보인다. 13) 10) 이 역시도학생의질문과관련이있다. 당시학생이했던질문의요지를그대로간추리면다음과같다. 쓰다 는 - 어요 / 아요 와결합할때 써요 가되는데 나쁘다 는왜 나빠요 가되느냐는것이었다. 는처음이질문을들었던순간에학생이하는질문의요지를금방이해하지못했다. 써요 와 나빠요 는너무나당연하게생산되는도출형들이었기때문이다. 학생의보충질문을받고나서야학생이하는질문의요지를이해할수가있었다. 그리고언어현상을받아들이는데있어서 와 가다르다는것을새삼느낄수있었다. 11) 나쁘 -, 바쁘 - 과관련해서는 으 의설정이관심의대상이될수있다. 이와관련하여현재 으로는 으 불규칙용언을설정하지않고 으 탈락으로 하는것이일반적이다. 이러한경향을반영하여학교문법에서도 으불규칙용언 을설정하지않고있다. 이에대해서 의입장은다를수도있다. 오히려 으 불규칙의설정이 에는효율적일수도있기때문이다. 으 불규칙을상정하게되면 - 아요 와 - 어요 의이형태교체조건에따른 이필요없게된다. 이와관련하여 에서 으 로끝나는용언을 에서불규칙용언으로설정하는데대하여는다음과같은세가지의입장이있을수있다. 첫째, 불규칙용언으로설정하는것이다. 은모어화자들을대상으로하는것이아니므로 으 로끝나는용언을불규칙으로설정해가르치는것이좋다는것이다. 둘째, 불규칙용언으로설정하기어렵다는것이다. 이는현재학교문법에취하는관점이다. 으 를불규칙용언으로설정하게되면규칙형이없는불규칙형을설정해야한다는 가생기므로받아들이기어렵다는입장이다. 셋째, 이두가지입장을절충하여반불규칙용언을설정하는입장이다 ( 한재영외, 2005). 12) 해당 의원문은다음과같다. When the particle 아 / 어 is added to a verb stem ending with the vewel or, as can be seen in examples like 바쁘다 바빠 and 나쁘다 나빠. 13) 그렇기는하지만 으 불규칙용언에대해서울대 에는그입장이명확하게드러나지않는다고하는것이더적당할지도모르겠다. 달리말하면, 입장을명확히밝히지않고
이제서울대 에서제시한방안이적절한지에대해서생각해보기로한다. 14) 이에대해두가지를고민해볼수있다. 첫째, 의 이 으로적절한것인지에관한것이다. 둘째, 설령 적절성에있어서는 가생기더라도한국어교육에적절한다른방법을택할수도있으므로, 에나온 방식을따를때적절한활용형이 되는지에관한것이다. 먼저 에나온 을용언 쓰다, 크다 에적용해활용형을도출해보기로한다. 에따르면 쓰다, 크다 는 가떨어진, 에적절한어미 -어요 가붙게된다. 그러나이 방식을따르게되면 에서자음 (, ) 만으로이루어진 이가능한지, 그리고 -, - 에는 -아요 와 -어요 중 -어요 가붙는이유에대해서 이필요하다. 오히려 의탈락을상정하지않았을때는 쓰-, 크- 에 -어 가붙는것으로되어 -아요 와 -어요 중 -어요 가선택되는것이명확하게 이되지만 의탈락을상정하게되면 -, - 에 -어요 가붙는것으로되어 -어요 가붙는이유가 이되지않는다. 다음은 한 이 되는가의 이다. 서울대 의 으로는 본떠 ( 본뜨다 ), 싹터 ( 싹트다 ) 의적절한활용형을도출할수가없다. 에나온방식에따르면 본뜨-, 싹트- 는여기서 으 가떨어진 본 -, 싹 - 에 -아 가붙어야할것이니이로써는 본따, 싹타 를도출해낼수밖에없다. 그런데 는 본따, 싹타 가아니라 본떠-, 싹터- 이다. 15) 처리할수있는방안을채택하고있다고하는것이더정확할지도모르겠다. 서울대 에서는대체로불규칙용언이나오면 의 를제시하면서 Notes 에구체적변화에대한 을덧붙이고있는바, 나쁘다 와 바쁘다 에대해서도활용표를제시하고변화에대한 을덧붙이고있다. 그런데이것이이른바 으불규칙용언 류를인정하는것은아니다. 이처럼활용표를제시해서처리하는방법은어떤용언이불규칙용언인지아닌지에대해서명확히밝히지않고도처리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14) 배주채 (2003: 127) 에서는규칙용언과불규칙용언을각각다음과같은기준으로나누었다. 규칙용언 : 어간부와어미부가연결될때어간이나어미가변동하지않거나그변동을음운규칙으로써예측할수있는용언. 불규칙용언 : 어간부와어미부가연결될때어간이나어미의변동을음운규칙만으로는예측할수없는용언. 규칙용언과불규칙용언을나누는다른기준으로 의기저형이하나인지둘이상인지를들고있다. 15) 이와관련하여생각해볼수있는것으로 고달프다, 애달프다 가있다. 이들은현실에
이제까지다루었던두가지문제를고려한다면어간에어미 -아요 / 어요 가결합한뒤에 으 가탈락한것으로보는것이좋겠다는의견이있을수도있다. 그러나이러한해결방안도문제가있다. 나쁘-, 바쁘- 와 -아요 / 어요 의결합형이 나뻐요, 바뻐요 로 될것이기때문이다. 의탈락과관련해서어떤방식으로 해도 가생길수있다. 그러면이때어떤해결방안이있을수있는가? 그것은 의 이라고본다. 에있어서역사적정보의활용은매우요긴하게쓰일때가많은데이경우가대표적이다. 이제부터 나빠요, 바빠요 의도출을중심으로 가 에서어떻게 할수있는지를살펴보기로한다. 이를위해 의 을살펴보기로한다. 에서보면시대를거슬러올라갈수록모음조화에따른교체를보이는현상들이더많이존재한다. (5) 15 ( 1972, 133) 위는 15세기와그이전시기의모음을고려한모음체계이다. 여기서,, 는,,, 는, 는 이다. 에대하여좀더 을덧붙이면 15세기에는중성이지만그이전에는 i( 양성 ), ї( 음성 ) 로구별되었던것이다. 15세기이전의어느시기에 i 로합류한것으로추정된다. 그런데이글에서다루고있는 -아요 / 어요 와관련해서모음조화가 15세기당시에는비교적잘지켜지고있었다. 이른바 은 아, 은 어, 은 아 와 어 중하나와결합하였다. 서 고달퍼, 애달퍼 등으로쓰는경향이있으나 고달파, 애달파 가표준어이다.
(6) / + - : ( 22: 55 ), ( 8: 24b), ( 2: 48a), ( 14b), ( 3: 21b), ( 1: 15b) + - : ( 23: 44b), ( 3: 156b), ( 3: 35a), ( 3: 14a), ( 6: 27a) + - : ( 23: 66a), ( 23: 65b), ( 21: 211b) + - : ( 3: 21b), ( 3: 36b), ( 9: 36b), ( 11: 26a), ( 6: 29b), ( 14: 33a) 위의예는활용어미 -아/ 어 가각각어간의모음이양성으로끝나는가음성으로끝나는가에따라교체되는양상을보여준다. 으로끝나는어간뒤에는 -아 가붙고 으로끝나는어간뒤에는 -어 가붙는것을볼수있다. 인 뒤에서는 -아 가붙기도하고 -어 가붙기도한다. 실제용례빈도를보면 인 가 으로변하는 의 과 하게 -어 가붙는용례가많다. 이처럼 15세기국어의 과 에대한 을가지고보면다음과같은설명은한국어의모음조화현상과관련이깊음을알수있다. (7), : -, 16) : - 이처럼정리하고보면, - 아요 는 뒤에 - 어요 는 뒤에 오는것을알수있다. 15 세기와비교하면 가 의어미를취하고 16 세기에들어서 : 의 이없어지고 가 이되었 다. 17) 여기서 나쁘 - 와 바쁘 - 가 - 아요 / 어요 를취할때 나빠요 와 바빠 16) 배주채 (2003: 128) 을참조하면, 를제외한모음으로끝나는규칙용언은,,,,,,,, 가있다. 이들을분류해보면 15 세기에음성모음이었던것 (,, ), 전설모음인것 (,,,, ), 전설모음을가진것 ( ) 이있다. 17) 이기문 (1972: 139) 에따르면 16 세기에 에서 가 로합류하게된다.
요 가되는이유를찾을수있다. (8). ( 11: 37b), ( 9: 5a) '. ( 56b), ( 5: 12b),. ( 85b), ( 10: 21a), ( 5: 20a) '. ( 10-11), ( 6b), ( 6: 49a) 위는 나쁘- (8가 ) 와 바쁘- (8나 ) 가 15세기에실현되었던활용형을보인것이다. 이것들은활용을할때 15세기에는어간이각각 낟 - 와 밧 - 로 + 의 을가지고실현되었지만 16세기에는비어두음절에서 가 로 되면서각각 낟브- 와 밧브- 로바뀌어실현되는것을볼수있다 (8가', 8나 '). 이경우에 낟브- 와 밧브 의 는겉으로는 처럼보이지만실제로는 의 을가지게된다. 그렇기때문에어간이 낟브- 와 밧브- 가되어 로끝나지만 -아/ 어 와결합할때 인 -아 를취하게된다. 달리는 브 에 의 가남아있어서 -아 를취한다고할수도있다. 이처럼 을활용하면 에대한 만으로는설명할수없는것들이설명가능해진다. 반면에 에대한 만으로는 나쁘다 와 바쁘다 가 로끝나는데도 -아 를취하는이유를설명해주는데어려움을겪을수밖에없다. 4. 韓國語史知識과韓國語敎育 앞에서 를 으로 이 에서 이고 으로쓰일수있는지를다소 하게살펴보았다. 여기서다룬한국어사지식은 에서는잘알려진사실로, 경우에따라서매우유용하게쓰일수있는것들이다. 그렇지만 에서이러한지식을모두사용해야할이유도없거니와사용하기도어려울것이다.
가 에대한 을가지고 과 에따라적절하게 하여 을 하는것역시도중요하다고하겠다. 이제까지살펴본것을바탕으로 에서 의 이나 에대해생각해보기로한다. 그런데기존의논의에서이와직접적으로관련된것으로는장윤희 (2007), 권화숙 (2013) 정도를찾아볼수있다. 의 를 하여 에서 의 과 을검토해보기로한다. 먼저 는 구사뿐만 에대한깊은이해가있어야한다 ( 민현식 2005, 139). 에대한 이 의 에속한다면 의 은 가이해해야하는영역에속하게된다. 에대한 과관련해서보면, 의외로 인 에서도 가생기는것을볼수있다. 장윤희 (2007: 68) 에나와있는것처럼, 한국어 와 한글 을구별하지못해서 가 에의해만들어졌다는설명이이루어진다든지한글의 이 의 으로탈바꿈한다든지하는일이생겨서는안될것이다. 18)19) 이글에서논의된것들과관련해서는이것들이 의초기단계에서 되면서질문을받은것들이라는점에서 과관련을지니고있다고하겠다. 이들질문에대해 에기초하여본고에서제시한설명은나름대로유용성을지닐수있을것으로본다. 의 에서본고에서소개한것과 18) 그런데사실은한글이 한 인가하는것자체가또다른 의 를지니고있다. 는언어의특성이나그문자를쓰는사람들의 가 된것이므로 이고 한것만을가지고문자를평가하는것은적절하지않다. 따라서 이고 한점만을부각하여한글을우수한문자로둔갑시키는것은바람직한태도가아니다. 또한한글과관련하여책인 ( 훈민정음 ) 이유네스코에 으로지정되었는데이것을글자인 ( 훈민정음 ) 이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지정된것으로알고잘못된 을전달하는일이생기기도한다. 유네스코에세계기록유산으로지정된것은정확히말하면책으로서 이다. 나 가유네스코의세계기록유산으로지정되는것은아니다. 19) 한글에관한교육은 과도 이있다. 현재 에서 와 를통한 의 이점점더 가되고있는바, 의 으로서한글에대한설명은 에서의 과 이있다고하겠다. 한글의 과 된 과, 의 등이모두 에서 될수있는것들이다.
한 은 히 할수있는것으로보인다. Thornbury(1999) 는 의 으로 7가지를제시한바가있다. 20) 의 은이 7가지중에서 의 (the fossilization argument), 를 으로 하여 이가능하게해줌 (the discrete item argument), 에대한 를거는 의 (learner expectations argument) 와관련해서논의될수있다. 먼저문법적오류의화석화방지와관련하여, 나빴어요 와 나뻤어요 사이에서어려움을겪던 에게 은이둘을명확히 할 를마련해줄수있다. 나뻤어요 로알고있었던 는이둘의관계에대한정확한이해를통해오류를바로잡을수있게되고이후에오류가화석화하는것을방지할수있게된다. 언어를개별항목으로구분해준다는점에서보면, 이없는상태에서는 -었어요, -았어요 가하나의 이되지만 에의해 -았 / 었- 이분석되어나오면기억의부담이줄어든다는점에서장점을지니게된다. 그리고무엇보다도한국어의문법에서어긋난기술로부터자유로워질수있게된다. 의 와 해서는 에기대를거는 는문법의이해에도움이된다면 인 에긍정적일가능성이높다고예상해볼수있다. 에기대를거는 는어디에든존재하고이러한 일수록더욱설득력있는 을요구하게마련이다. 한편으로 이초급단계에서중급단계와고급단계로올라갈수록 는다른시각으로 를보게되고 의 에대한기대치가올라가게마련이다. 이처럼기대치가올라가게되면점차 이고 한것 20) Thornbury(1999) 의문법교육의필요성으로제시된 7 가지는다음과같다. 문법은문장을만들어내는기제 (the sentence-machine argument) 문법은언어에정치한규범언어를만드는기준 (the fine-tuning argument) 문법교육은오류문법의화석화를방지 (the fossilization argument) 문법학습은언어습득의선행조직자역할 (the advance-organizer argument) 문법은언어를개별항목으로구분하여교육이가능하게해줌 (the discrete item argument) 문법은문법규칙을만들어전수가가능하게해줌 (the rule-of-low argument) 문법교육에대한기대를거는학습자부류의존재 (learner expectations argument)
처럼보이는 에대해 을 하게된다. 따라서 에기대를거는 의입장에서는 -았아요 가아닌 -았어요 가나오는것을수용하기가쉽지않을것이다. 심지어는초급단계에서적당히넘어갔던것들을상기하면서다시설명할것을요구하기도한다. 이때많은경우에 에대한 은매우 한 이될수있다. 마지막으로 의 과 된것을들수있다. 는 와 에따라그 과 이 하게나타난다. 는단순히 에나와있는것만으로도만족하기도하지만, 어떤 들은 에나와있는것 을 할수도있다. 와같은 인 가존재할가능성이충분히있고 인 는때로는 의예상을뛰어넘는질문을던지기도한다. 이런경우 인 에대해설명해야할때 이 한 이되는경우가적지않다. 을통한 은 들에게 과 를불러일으킬수있다. 학습자에따라서는한국어사지식과관련한주제가목표언어를학습하려는동기를더해줄수있다. 이러한 는 의 한 가될수있다. 이때주의할것은한국어사와관련해서잘알려진지식을활용하는것이좋다는것이다. 너무 인 을 하게되면설명하기도어렵거니와내용이어려워져서오히려학습자가흥미를잃고집중력이떨어질가능성이있다는사실에 를해야한다. 이상으로 에서 의 에대해검토해보았다. 이에대해한편에서는 의활용이오히려 의부담을늘리는것이아니냐는 이있을수있다. 의목적이의사소통을중심으로한다는시각에서보면 의활용은오히려 의부담을늘리는것에지나지않을것이다. 따라서한국어교육에서한국어사지식의응용과관련하여어떻게하는것이좋은지근본적인문제를생각하는기회를마련해보기로한다. 누가? 누가배우는가하는것이다. 즉 에관한것이다. 이점과관련해서
는 가어떤 을가지고있는가? 의 이어느정도인가? 의 이어느정도인가? 이이루어지는장소가어디인가? 등이고려될필요가있다. 이와관련하여권화숙 (2013: 41) 에서는한국어사지식을활용한한국어교육이필요한대상으로대학에서 의 ( 한국어문법 ) 를 하고있는 들을들고있다. 이들은그필요성이명확히드러나는한국어학습자들이라고할수있다. 이를바꾸어말하면한국어를 으로공부할목적을가지는있는학습자들이라고할수있다. 의 에서보면 의 과 이높으면높을수록필요성이높아지는것으로보인다. 그리고 을대상으로한곳보다는학문을목적으로하는대학에서더욱그필요성이높아지는것으로보인다. 에있는 의 들에게는 에서라도경우에따라서는한국어사지식에대한교육이꺼려질이유가없는것으로보인다. 무엇을? 의 이될만한 를정하는것과관련한것이다. 권화숙 (2013) 에서이문제에대해논의하고있다. 이논문에서는현재 의 를평가하는기준이되고있는 (TOPIK) 문법기출문제중 21회부터 33회까지출제된문법문항들을분석하고이들중에서비교적 가높은 들을 하고이렇게 된 들중에서다시문법화의과정을거치거나 으로남아있어 이 한 들을 하여 하고있다. 그런데이와관련하여무엇보다도중요한것은다양한 들은 의 을 하기위한 이지이들자료를 시간에모두적용하여학습자에게이해시켜야한다는부담을가질필요가없다는점이다. 그리고앞에서도언급한바와같이 에서 의 이되어야할것들은익히알려진것들이좋다. 낯설거나설명이어려운것이교육의대상이되면오히려교육의어려움만 시키게될것이다.
어떻게? 은그양이만만치않다. 더욱이이지식들을갖추고있더라도제대로설명하기어려운것이사실이다. 따라서 는 한 에대하여가능한한 하고도 하게정리하여 들이 할수있는 을 하는것이좋다. 는우선적으로 의 을다양하면서도 하게 하고 에서는 을정리하여 들에게알기쉽게설명해줄수있어야한다. 따라서한국어사지식들이교재에직접적으로포함되지는않는다하더라도 나 을통해 이이루어질필요가있다. 언제? 에서 에대한 이초급단계부터이루어지기는쉽지않다. 학생들이이해하기도어렵거니와 역시도설명의어려움을느끼기마련이기때문이다. 따라서일반적으로는적어도 은되어야 을 할수있으리라본다. 그러나 에서 을 한다거나 인 을위해한국어를배우는경우에따라서는 부터 을해야하는상황도생길수있다. 왜? 는 을가지고있고,, 의 을겪으면서 한다. 따라서 에나타나는많은,, 그리고 은 로부터의 를 하는경우가많다. 이때문에현대한국어에대한 만으로는이러한 의 을제대로설명하지못하는경우가생긴다. 21) 이러한문제들에대해서설명을생 21) 한국어교육에서한국어사지식의필요성이생기는원인중하나로한국어의 특징을들수있다. 한국어는 로서 나 가매우발전해있고형태음소론적교체현상이현저하다. 물론 도 를가지고있기는하지만한국어의조사나어미처럼중첩해서쓰지도않고형태음소론적교체현상이많이드러나지도않는다. 이러한점은고립어나굴절어를쓰는화자들이한국어를학습할때어려움을겪는요인이된다. 흥미로운것은한국어에서형태음소론적교체가활발하고문법형태의 과 이언어의 와깊이연관되어있기때문에한국어교육에서한국어사지
략하고 으로 할것을요구하게되면왜이런현상이생겼는지에대한 이근본적으로 되지않고이로말미암아오히려학습자가한국어학습에 를잃는경우도생길수있을것이다. 그리고앞에서 -었 / 았- 과관련하여살펴본것처럼암기할것만많아지고오히려 만높아지는경우도충분히 할수있다. 이 들의 에도움이된다면 이 에 되는것에대해서부정적인인식을가질필요가없을것으로본다. 5. 結論 이중시되는 에서 은덜중요한것으로인식되는경향이있다. 이와관련하여본고에서는수업현장에서일어났던 을토대로 에서 의 또는 에대하여논의해보았다. 이의논의를위하여 -았- 뒤에서 -아요 와 -어요 중 -아요 가실현되지않고 -어요 가선택되는것과 나쁘-, 바쁘- 가 -아요 / 어요 와결합할때 나빠요, 바빠요 로실현되는것에대한설명을 에서찾아보았다. 에서기술한바에따르면 의 에서 의 은의외로일찍부터찾아오는것으로보인다. 그럼에도불구하고그동안 의 에대한논의가충분히이루어지지않았다. 의 중에는눈에보이는것도많이있지만눈에보이지않는것이더많이존재한다고할수있다. 실제학생들의혼란을줄이기위해서가능한한 을 하게하려는데서오는 과 과의 식에대한교육의필요성이생긴다는것이다. 에만집중하게되면언어사적지식이덜필요하지만통사론적영역에서단어의역할을하는문법형태까지교육을하게되면언어사적지식이더필요한측면이있다. 의교육도어원론적인면에대한고려가학습자들의어휘습득에도움이되는것은사실이다. 그러나어휘는어원론적인면에대한고려가없더라도본고에서다룬문법형태처럼내적모순을가져오는경우는없는것으로본다. 자세한논의는후고를기약해본다.
, 예기치않은순간에던져지는 들의, 의 등은모두눈에보이지않는것들이다. 이처럼눈에보이지않는것들은교실안에서교육자를매우당황하게만드는요소가된다. 이러한순간을넘기는한수단으로서 은매우 한 이된다고본다. 그러나이글은 에서 의 과 에대해서만논의했을뿐 인 이나 에대해서는논의를하지못했다. 그이유는이글이 과 에대한 를 하였던데서찾을수있을지모르겠다. 의 으로인하여남은문제에대한논의는 의 로돌린다. < 參考文獻 > 고영근 (1998), 중세국어의시상과서법 ( 보정판 ), 탑출판사. 권화숙 (2013), 외국인을위한한국어문법교육에서의한국어사지식활용방안마련을위한기초연구, < 언어와문화 > 9.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pp.33 69. 김석득 (1987), 완료 와 상태지속 에대한역사적정보, < 한글 > 196, pp.109 126. 김영욱 (1999), 전기중세국어의시상과서법, < 선청어문 > 27( 서울대국어교육과 ), pp.719 751. 김지형 (2007), 훈민정음의창제원리를활용한한국어자모및발음교육방안, < 국어국문학회 > 147, pp.221 158. 남윤진 (1989), 15세기국어의접속어미에대한연구, < 국어연구 > 93. 민현식 (2005), 한국어교사론 - 21세기한국어교사의자질과역할 -, < 한국어교육 > 16.1, pp.131 168. 박진호 (1994), 통사적결합관계와논항구조, 서울대국어국문학과석사논문. 박진호 박병선 (1999), 서법의정의및한국의서법범주체계화, 한국어학회제 19차전국학술대회. 배주채 (2003), 한국어의발음, 삼경문화사. 서울대학교언어교육원 (1999), 한국어 1, 문진미디어.
성기철 (1974), 경험의형태 -었- 에대하여, < 문법연구 > 1, pp.237 269. 이기갑 (1985), 씨끝 -아 와 -고 의역사적교체, < 어학연구 > 17.2, pp.227 236. 이기문 (1972), 국어음운사연구 ( 국어학총서 3), 국어학회. (1998), 국어사개설 ( 신정판 ), 태학사. 이용 (1992), 18세기국어의시상에관한연구, 서울시립대국어국문학과석사논문. (2003), -었었 - 에대한단상, < 형태론 > 5.1, pp.53 65. (2013), 유추를이용한불규칙용언교육방안의모색,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 38, pp.163 195. 장윤희 (2007), 한국어교육에서의한국어사지식의유용성, < 언어와문화 > 3.2, pp.67 8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진문이 (2000), 15세기국어의중성모음 연구, 이화여대국어국문학과석사논문. 최동주 (1995), 국어시상체계의통시적변화에관한연구, 서울대언어학과박사논문. 한동완 (1986), 었 의, < 국어학 > 15, pp.217 248. 한재영외 (2005), 한국어교수법, 태학사. 허웅 (1975),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J. Bybee (1985), Morphology, Amsterdam: Benjamins. Ross King & Jae-Hoon Yeon (2000), Elementary Korean, Boston: Tuttle Publishing. Thornbury, S. (1999), How to teach grammar, Harlow, England: Pearson Education. 이논문은 2015 년 5 월 10 일접수되어 6 월 10 일까지심사받아 6 월 30 일발행
ABSTRACT Why doesn't -ayo appear after -ass-? Lee, yong In this paper, we examin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the reason why ayo doesn't appear after -ass-. This problem is brought from experience in the education field up. I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prefinal ending marker -ass/əsswas formed by grammaticalization of combination of ending marker -a/ə and existence verb iss-. Because -ass- has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iss- even after grammaticalization, -ass- needs -əyo, when it combines with ayo/əyo. In addition to these explanation, the reason why nappayo appears, not nappəyo,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vowel harmony and vowel system. Then we deal with th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we arranged the existing study and the case for grammar in Thonbury(1999), and then try to connect it with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basic probl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scussed. key-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past tense -əss-, grammaticalization, vowel harm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