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 J. Aesthet. Cosmetol., 모발건강과관련된한국의최신특허동향 이남지 1,2, 조홍범 3 * 1 서경대학교미용예술학과, 2 ( 주 ) 에스미디아, 3 서경대학교화학생명공학과 The Latest Patent Trends in Korea with Related to the Health of Hair Nam-Ji Lee 1,2, Hong-Bum Cho 3 * 1 Department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2 SMEDIA Co. Ltd. 3 Department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Abstract In today s society, a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ppearance, the health of hair is taking on added significance, and the population who are worrying about hair loss is on the rise. This study is intended to put forward basic data, which can giv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hair loss protection and hair loss treatment in the beauty field, by inquiring into the trend of patents on hair restorer, hair grower, hair loss protection and hair loss treatment registered in Korea. The products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health of hair are classified into cosmetics, quasi-drug and medicine by the kind and mixture of pharmacological active ingredients, the difference in efficacy and effect, and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method of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fficacy of quasi-drug is hair growth promotion, hair growth, and protection of dandruff, itching and hair loss. The morbid alopecia like alopecia areata, poor hair growth, alopecia seborrheica, pityroid alopecia needs to be applied by medicines. The recent patent application related to the health of hair showed that natural materials of few side effects were used for most of patents in terms of a long-term treatment of hair loss protection. The peptide or stem cell was used for many materials of hair loss treatment. And most of patents were applied for external application or cosmetics production. Keywords: Hair grower, Hair loss, Hair restorer, Hair loss protection, Patent trend 현대사회에서외모에대한관심과함께모발건강에대한중 요성이더욱강조되고있으며, 산업의발달로새로운유해환경에노출되는빈도가증가하면서, 이에따른탈모로고민하는인구가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 최원준, 2007; 하병조, 2006). 탈모는대상과증상에따라남성형탈모, 여성형탈모, 원형탈모, 감염성탈모로분류할수있다 ( 구은주, 2012; 이황희등, 2006). 남성형탈모는유전적소인과모발에대한남성호르몬 *Corresponding authors: Hong-Bum Cho, Department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Seoul 136-704, Republic of Korea Tel.: +82 2 940 7614. Fax: +82 2 940 7616 E-mail: hbcho@skuniv.ac.kr Received January 24, 2014; Revised February 8, 2014; Accepted February 13, 2014; Published February 28, 2014 의작용으로발생되고, 여성형탈모는남성호르몬이과다분비되어정수리부위의모발이가늘어지면서두발의밀도가낮아지게된다 ( 이진희, 2011). 저연령대에서나타나는원형탈모는스트레스에의한교감신경의흥분으로혈행장애를일으키는것이주된원인으로알려져있으며 ( 구은주, 2012), 정신적외상, 자가면역감소, 내분비장애등이원인이거나또는유발인자로알려지고있다 ( 하병조, 2006).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모낭충등에의한감염성탈모는감염균의종류와발병기간에따라두피에염증이나비듬의문제가생기며, 발생범위나부위에따라모발이탈락하는증상이다르다. 심한경우모낭자체가소실되어반흔성탈모를일으키는경우도있으며 ( 최옥순, 2012), 두피나모근에병원성세균이직접감염되어생기는외인성감염탈모증과병원체의인체감염이간접적으로탈모의원인이되는내인성감염탈모증으로구분할수있다 ( 서순옥, 2012). 최근에나타나는탈모양상은유전적요인과더불어불규칙한식생활, 스트레스, 음주, 흡연등환경적인요인에의 www.kosac.or.kr 133
Kor. J. Aesthet. Cosmetol., 한복합작용으로후천적인탈모가증가하고있으며, 40 50대에서빈발하던탈모증상은미용을위해두피와모발에가하는물리 화학적자극으로인하여 20 30대여성들에서도탈모가더욱증가함으로써, 외모에민감한젊은여성들에게심각한문제로부각되고있다 ( 서순옥, 2012; 윤동란 2009). 국내에서탈모증상을나타내는인구는 2006년약 5백만명에서 2010년에는약 1천만명으로증가하였으며, 발모관련시장규모는매년 20 30% 의빠른성장세를보이고있다 ( 김평금, 2010). 국내탈모방지및발모제, 모발이식등관련시장규모는년 2조원대에이르고있고 ( 안규성, 2010), 탈모치료제시장은 2008년 5백억원에서 2009년 1천억원으로성장하였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탈모관련시장에출하되는제품형태는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공산품등으로구분할수있다 ( 변지성, 2012). 국내탈모치료관련산업은모발관리제품, 모발관리서비스, 탈모치료제, 가발, 모발이식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 탈모치료를위한의약품과샴푸, 비누등의세제에서부터화장품, 그리고건강식품에이르기까지신체위생과관리를위한생활용품업계에서다양한제품으로개발되고있다 ( 고민석, 2005; 김평금, 2010; 이정란, 2009). 탈모방지제는약리유효성분의종류및배합량, 그리고효능효과의차이와제품의개발및생산방식에따라,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등으로구분된다 ( 하병조, 2010). 의약외품의효능범위는발모촉진, 육모, 비듬, 가려움, 탈모의예방이며, 원형탈모증, 발모부진, 지루성탈모증, 비강성탈모등의병적탈모증은의약품에의한적용이필요하다. 이렇듯시장은넓어지고, 제품의다양성증가등발전속도는매우빠른데, 2009년이후최근까지이와관련된제품그리고그원천기술의특허동향에대한조사, 분석이없었다. 이에본연구는선행연구 ( 강세일, 2010; 최원준, 2007) 를기반으로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에관한국내특허동향을고찰하여미용분야에서탈모방지와탈모치료의개발방향을제시할수있는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하였다. 1. 연구설계본연구의설계는최원준 (2007), 강세일 (2010) 에의하여 2009년까지등록된탈모및발모관련특허동향에대한선행연구를고려하여, 2010년부터 2013년 5월까지등록된특허를대상으로진행하였다. 조사는한국특허정보원이운영하는특허정보검색서비스를이용하였으며,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를키워드로, 모발의건강과관련된특허를검색, 분석하는서술적조사연구로수행하였다. 그림 1. 육모제, 발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에대한연도별특허출원수. 2. 자료수집및분석본연구에서자료의수집과분석은국내에서 2010년부터 2013년 5월까지출원되어등록된특허의조성물과, 특허를적용할수있는제품의형태, 출원인의국적, 조성물과제품의안전성및유효성평가방법을조사하여그동향을분석하였다. 특허출원에이용된조성물의종류는천연물소재, 생화학소재, 줄기세포및기기개발을구분하여분석하였고, 특허를이용하여생산될수있는제품의종류를화장품조성물, 약제학조성물, 식품조성물로구분하여조사함으로써향후개발제품에대한형태동향을분석하였다. 아울러특허성분을이용한제품의안전성및유효성평가방법에관한분석과함께내국인과외국인, 개인과법인등특허출원의주체를함께분석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에 2010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출원, 등록된모발건강관련특허 (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 ) 는총 158건이검색되었다. 이중검색식 탈모방지제 에대한검색결과는탈모방지와발모촉진즉발모제에관한특허와중복으로검색되었다. 중복된건수 21편을제외하면총 137건으로, 발모제 37건, 육모제 12건, 탈모방지제 73건, 탈모치료제는 15건의특허가검색되었다 ( 그림 1). 특히탈모방지제에대한특허는 2011년에비해 2012년에출원된특허수가약 3배증가하였는데, 이는모발건강과관련된기술개발분야에서탈모에대한관심이높아짐에따라탈모가유발된후이를치료하려는노력보다, 탈모를사전에예방하려는소비자의심리가기술개발에반영된것으로사료되어진다. 1. 소재에관한특허동향 모발건강제품의소재에대한특허중발모제는대부분천연 134 www.kosac.or.kr
모발건강과관련된특허동향 물을소재로하는것이특징이었다. 이는두피 모발관련화장품의조성물로천연소재에대한소비자의관심증가가제품개발에반영된것으로볼수있다. 천연소재로사용된조성물은인삼이가장많았으며, 구기자, 옻나무, 감초, 측백엽, 고삼, 백복령, 한련초, 박하, 건지황은출원된특허에서조성물로사용된빈도가높았다. 발모제는사용기간이장기적이라는특징을고려할때, 천연물은부작용이적다는장점을가지고있어, 천연물소재에대한기술개발은앞으로도활발하게이루어질것으로예상된다. 인간유래줄기세포및줄기세포에서유래한물질을발모제의소재로사용하는경향도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탈모방지제관련특허에도박영옥등 (2013) 과이경미등 (2010) 이보고한바와같이인삼이가장많이사용되었고, 상백피, 당귀, 감초, 측백엽, 천궁, 하수오, 한련초등과같은천연물의사용빈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탈모치료제에관련된특허는천연물보다는생화학물질과줄기세포를소재로하는특허가많았으며, 특히과거에비해줄기세포유래소재개발경향이뚜렷한특징으로나타났다. 종합하면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의소재는천연물중심 ( 표 1), 탈모치료제는생화학물질중심 ( 표 2) 의소재특성이뚜렷이나타났으며, 이는이주영등 (2012) 이보고한결과와같은경향을나타내었다. 표 1.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관련주요특허소재,,,,,,,,,,,,,,,,,,,,,,,,,,,,,,,,,,,,,,,,,,,,,,,,,,, AHA,,,,,,,,,,,,,,,,,,,,,,,,,,,,,,,,,,,,,,,,,,,,,,,,,,,,, sol-m(,, ),,,,,,,,,,,, -p- -, 표 2. 탈모치료제관련주요특허소재 EGF ( ),, EDAR, 표 3.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의특허출원인의수 46 2 48 19 21*(7) 15*(7) 11 0 11 2 8 1 66 0 66 30 25*(4) 15*(4) 12 3 15 5 8 2 *( ) : www.kosac.or.kr 135
Kor. J. Aesthet. Cosmetol., 그림 2.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의조성물의제품의수. 그림 3.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의화장품조성물제품의수. 2. 특허출원인의분석발모제에관련된특허를출원인별로살펴보면총 48건중외국인에의해국내에출원된특허는 2건에불과하였고, 내국인에의한특허출원은개인, 법인, 연구기관이단독혹은공동으로참여하였으며, 특허출원 46건중개인은 19건, 법인참여특허는 21건이며, 연구기관참여특허는 15건, 그중법인과연구기관공동이 7건으로나타났다 ( 표 3). 육모제는모두내국인이출원한특허였으며, 개인이 2건, 법인이 8건, 연구기관이 1 건으로상대적으로규모도작고법인위주의개발특성을나타내었다. 반면, 탈모방지제의경우총 66건중개인 30건, 법인 25건, 연구기관 15건, 법인과연구기관공동 4건으로개인출원비율이매우높았고, 모두내국인이었다. 이는탈모방지에대한소비자의관심이높아진것과함께천연물등예부터전래된민방을기반으로개인이개발에참여할수있는진입장벽이비교적낮은분야이기때문으로사료되어진다. 탈모치료제는총 15건중내국인 12건, 외국인 3건이었으며, 개인 5건, 법인 8건, 연구기관 2건으로개인비율이낮았다. 이는제품특성상의약품및의약외품의형태로개발되기때문에, 개발과정에서비임상시험및임상시험을위한대규모의연구가장기간에걸쳐진행되어야하므로, 제약회사와같은법인이개인에비하여특허출원이용이할것으로사료된다. 3. 특허적용제품의분석모발건강관련특허를적용하여개발가능한제품의형태는매우다양하나대표적인제품의용도는화장품조성물, 약제학조성물, 식품조성물로분류되었고, 개발제품은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로구분하였다. 발모제와탈모방지제가육모제와탈모치료제에비해다양한제품조성물을나타내었으며, 특히화장품조성물의빈도가눈에띄게높았는데, 발모제와탈모방지제를합해화장품조성물의수만약 800개에이르렀다. 육모제와탈모치료제는화장품조성물과약제학조 성물의비율이비슷하였고, 전체적으로식품조성물은빈도수가매우낮았다 ( 그림 2). 약제학조성물은발모제와탈모방지제가 92~93개였고, 주로연고제, 크림, 정제, 현탁제, 젤형태로외용제위주였으나, 육모제와탈모치료제의경우는주로정제와캡슐제형태로경구용약품특성을나타내었으며 (data not shown), 제품수는약 1/2~1/3 수준으로낮았다. 식품조성물은발모제 8개, 육모제 10개, 탈모방지제 2개, 탈모치료제 5개로제품수가매우적었으며, 제품의특성은드링크제나건강식품의형태를나타내었다 (data not shown). 화장품조성물의주요제품군특성은그림 3에따로나타내었다. 화장품조성물중가장많은제품은헤어샴푸였으며, 발모제와탈모방지제에서만각각 24개, 57개로나타났고,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스, 헤어젤은발모제에서각각 10~20개, 탈모방지제에서각각 20~30개정도로그빈도가비슷하였다. 육모제와탈모치료제의경우는화장품조성물의제품수가매우적었으며,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스가 3~6 개로비슷한빈도를나타내었다 ( 그림 3). 4. 특허출원시이용한안전성및유효성평가방법안정성및유효성평가방법은특허출원건당여러가지방법을이용하고있으나, 인체적용임상시험은발모촉진임상이가장많았으며, 모발의굵기변화, 수량변화, 두피의가려움증진정등의측정방법이주로이용되었다. 동물을이용한유효성평가에서는 C57BL/6N, Wistar rat, BALB/cSlc-nu, C3H, 누드마우스, ICR 마우스를동물모델로하여면역조직, FGF9, 성체마우스의항 FGF9중화실험, 모발성장효과, Vibrissa 모낭성장혹은모유두세포증식에대한 EGF의효과, 그리고화학요법제에의해유발된탈모모델에서탈모예방, nanoegf 안전성평가, 콧수염모낭의형태, 털의길이측정, GOT, GPT, LDH, 총콜레스테롤, SOD, MDA, 모공에서의단백질발현양등을측정 136 www.kosac.or.kr
모발건강과관련된특허동향 그림 4. 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의유효성평가방법의수. 하고있었다. 세포를이용한효력시험은비색법, 면역염색화합법, 파이브린넥틴발현양증가, HPLC, 모유두조직에의한모낭형성유도등을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의장기보존시험과추출물의일반성분을측정하는방법이주로사용되었다. 발모제와관련된평가방법은인체적용시험 53건, 동물모델효력시험 54건, 세포를이용한효력시험 55건으로임상, 동물, 세포효력시험방법이유사한빈도로사용되었고, 유효성분추출물시험도 16건적용됨으로써전체적으로는임상에비해비임상시험빈도가높았다. 육모제의평가방법은인체적용시험 19건으로가장많았으며, 세포효력시험방법이 12건이며동물모델효력시험과유효성분추출물시험이유사한빈도로나타났다. 탈모방지제의유효성평가는동물효력시험 66건, 세포효력시험 36건등비임상시험보다인체적용임상시험이 116건으로상대적으로많이높았다. 이는타제품군보다탈모방지제와연관된출원인특징이회사나연구소보다는개인의비율이높다는점과연관해서해석해볼때, 동물혹은세포모델을대상으로하는실험은개인발명가가연구를수행하기에는기술적장벽이높은까닭으로사료되어진다 ( 그림 4). 본논문은 2010년부터 2013년 05월까지국내외발모제, 육모제, 탈모방지제, 탈모치료제에대한특허동향을연도별, 소재별, 출원인별로조사, 분석하였고, 아울러유효성평가방법도함께조사하였다. 발모제에대한특허는제품의용도로는화장품조성물이가장많았으며, 안전성및유효성평가를위해임상, 비임상시험이골고루이용되었으나상대적으로동물및세포를이용한비임상시험이더많았다. 육모제에대한특허는인간유래줄기세포가이용되기시작하였고, 법인에의한특허출원이주로진행되었으며, 제품의용도는약제의조성물을개 발하는것으로, 주로모델동물을이용하여유효성을측정하는방법이사용되었다. 탈모방지제는대부분천연물소재를이용하였으며, 기업보다는개인에의한특허출원이대부분이었고, 화장료조성물을개발하는특허로, 유효성측정방법은인체를적용한임상시험방법이주로이용되었다. 탈모치료제는천연물소재보다는생화학물질과줄기세포를이용한소재를이용하여법인이출원한특허가대다수였고화장품조성물을개발하는연구가증가하였으며, 2010년부터줄기세포를이용한탈모치료화장품의개발이증가하였다. 종합하면모발의건강과관련된특허특징은부작용이적은천연물소재를사용한것으로, 탈모치료제는펩타이드를이용하거나줄기세포를이용한소재가많으며, 대부분의특허가외용제이거나화장품으로개발하는용도로분석되었다. 따라서향후모발의건강과관련된시장규모는더욱확대될것으로전망됨에따라탈모예방및발모관련화장품의수요가예상되며, 미용분야에서는탈모치료보다는탈모가이루어지기전예방적차원에서천연소재와줄기세포를이용한화장품개발연구가선도할것으로예상된다. 강세일. 탈모방지및발모와육모에관한특허동향연구. 서경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0. 고경숙, 윤복연. 두피모발관리학. 퍼시픽, 서울, pp. 58-69, 2007. 고민석. 탈모증의대응요법및기술동향에관한연구. 남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5. 구은주. 성인남 녀의탈모와스트레스자가진단및스트레스영향요인분석. 남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2. 김수미. 미용실전용두피탈모브랜드의경쟁력강화의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7. 김은화, 강태종, 고민석. 탈모증의이해와대응책에관한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5: 45-55, 2007. 김정해. 탈모예방을위한대체의학의적용동향연구. 전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9. 김종란. 두피관리실의대체요법적용에관한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4: 39-50, 2008. 김평금. 두피 탈모제품개발에여향을미치는요인연구 : 소비자인식및구매행동을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0. 김혜숙. 자연요법에의한두피및탈모개선효과에관한연구. 영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박영옥, 김영철, 장병수. C57BL/6 마우스에서편백정유의모발성장효과. 대한미용학회지, 9: 87-95, 2013. www.kosac.or.kr 137
Kor. J. Aesthet. Cosmetol., 백승엽. 국내한의학학술지에게재된탈모실험논문의동향분석. 대구한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3. 변지성. 두피관리실의두피및탈모개선효과에관한연구. 남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2. 서순옥. 두피토닉과미세다륜침이두피 모발상태에미치는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0: 863-878, 2012. 안규성. 산삼배양근을함유한생약추출물에의한탈모방지및육모촉진효과. 고신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이경미, 이재순, 오지영, 김영철. C57BL/6 마우스에서하수오열수추출물의육모효과촉진. 대한미용학회지, 6: 419-426, 2010. 이정란, 임은진. 국내탈모관리시장의분석및전망.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 155-163, 2009. 이주영, 김은영, 박세필. 모낭줄기세포배양에대한기초적연구. 대한미용학회지, 8: 75-80, 2012. 이진희. Scalp & Hair Treatment와 Alopecia에대한인식및실태에관한연구. 성신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이진희. 여성의모발화장품에대한인식과사용실태에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3. 이황회, 정미영, 김석주. Scalp Care & Medical Treatment. 청람, 서울, pp66, 2006. 정설경. Opuntia속선인장추출물이두피및탈모개선성분에관한연구동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6: 1-15, 2008. 최옥순. 에센셜오일을이용한두피마사지가탈모직장인들의스트레스에미치는효과. 한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2. 최원준. 탈모방지및발모에관한특허동향고찰.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3: 28-36, 2007. 하병조. 탈모증의원인과발모제연구동향에관한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2: 5-15. 2006. 하병조. 화장품학. 수문사, 서울, pp141, 2010. 한국두피모발연구학회. 트리콜로지스트레벨 Ⅲ. 훈민사, pp70-76, 2008. 허진주, 강봉수, 김준형, 남상윤, 윤영원, 김종수, 정재황, 이상화, 안준배, 이범준. Effect of sodium silicate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한국실험동물학회지, 26: 55-56, 2010. 기타국민건강보험공단. 탈모 질환 20~30대젊은층진료많이받는다. 알림마당보도자료, 2011. 03. 28. 윤동란. 국내탈모방지및발모제시장 춘추전국시대, 동아경제, 2009. 02. 02, 2009. 11. 04 발췌. 138 www.kosa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