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에미, 백치의달, 순은의넋, 묵시의바다 낫, 밟아도아리랑 ( 전3권 ) 빛가운데로걸어가면 ( 전2권 ) 등장편소설을잇달아집필하여단행본으로출판을하는, 왕성한작품활동을현재까지하고있는데, 이러한장편소설에대해서는지금까지변변한연구가거의없는실정이다.

Similar documents
120~151역사지도서3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152*220

5 291



º´¹«Ã»Ã¥-»ç³ªÀÌ·Î




2015년9월도서관웹용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041~084 ¹®È�Çö»óÀбâ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012~031)223교과(교)2-1

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 pb61۲õðÀÚÀ̳ʸ

#7단원 1(252~269)교


2ÀåÀÛ¾÷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_¸ñÂ÷(02¿ù)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178È£pdf

¿©¼ºÀαÇ24È£

10월추천dvd

통계내지-수정.indd

<BABBB9AE2DC7D5C3BC2E687770>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쌍백합23호3

2002report 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레이아웃 1

¿øÀü¼¼»ó-20È£c03ÖÁ¾š

ok.

hwp

(초등용1)1~29

2002report hwp

82-대한신경학0201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DBPIA-NURIMEDIA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3635B1E8C1F8C7D02E485750>

77

¼øâÁö¿ª°úÇÐÀÚ¿ø

내지(교사용) 4-6부


p529~802 Á¦5Àå-¼º¸í,Ç×ÀÇ

2019달력-대(판형키워)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1301(•••).pdf

3¿ù.PDF

해오름summer2009

ÀÚ¿øºÀ»ç-2010°¡À»°Ü¿ï-3

A 목차

141018_m

~

Ä¡¿ì_44p °¡À» 89È£

1028½É¹Ì¾Èâ30È£º»¹®


¹é¹üȸº¸ 24È£ Ãâ·Â

09 ½ÅÇù 12¿ùb63»ÁöFš

STATICS Page: 7-1 Tel: (02) Fax: (02) Instructor: Nam-Hoi, Park Date: / / Ch.7 트러스 (Truss) * 트러스의분류 트러스 ( 차원 ): 1. 평면트러스 (planar tru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ITFGc03ÖÁ¾š

기본소득문답2

coverbacktong최종spread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내지 뒷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CT083001C

아침 송(頌) 유자효 자작나무 잎은 푸른 숨을 내뿜으며 달리는 마차를 휘감는다 보라 젊음은 넘쳐나는 생명으로 용솟음치고 오솔길은 긴 미래를 향하여 굽어 있다 아무도 모른다 그 길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길의 끝은 안개 속으로 사라지고 여행에서 돌아온 자는 아직

À¯¾ÆâÀÇ°úÇмÒÃ¥ÀÚ.PDF

%±¹¹®AR


3 권 정답

Untitled-1

CONTENTS CSCaritas Seoul Mission. Vision Caritas,,. 28 Yes, I Do 32 DO CAT 2017 SPRING <+>

01¸é¼öÁ¤

1220½É¹Ì¾Èâ27È£º»¹®

allinpdf.com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CONTENTS 2011 SPRG Vol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기업분석(Update)

Transcription: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2006. 8) 321~349 쪽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1) 서은선 * 차 Ⅰ. 머리말 Ⅱ. 서사분석 : 모성신화의형성과정 1. 발단의수수께끼제시 2. 죽음극복의재생의식 ( 再生儀式 ) 3. 반전 ( 反轉 )- 부계질서의마지막징벌 4. 모성신화의완성 례 Ⅲ. 담론분석 : 객관적시점과변모하는목소리 1. 객관적시점서술 2. 은장도문화와합환화의굿판 3. 은장도무용론 ( 無用論 ) 의민중적모성 Ⅳ. 맺음말 Ⅰ. 머리말 에미 는윤흥길이 1980년대초에 360 쪽분량으로완성한장편소설이다. 1970년대윤흥길은 < 아홉켤레의구두로남은사내 > 등의연작소설과중편 < 장마 > 를발표하여리얼리즘작가란평가를받으면서상당한명성을얻게되었다. 그래서그에관한연구논문은대다수이작품들에관한것이다. 그러나그는 80년대와서장편작가로전환하여 * 부산대학교강사

322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에미, 백치의달, 순은의넋, 묵시의바다 낫, 밟아도아리랑 ( 전3권 ) 빛가운데로걸어가면 ( 전2권 ) 등장편소설을잇달아집필하여단행본으로출판을하는, 왕성한작품활동을현재까지하고있는데, 이러한장편소설에대해서는지금까지변변한연구가거의없는실정이다. 1) 그중 에미 와 묵시의바다 ( 단행본출판은 1987년 ), 순은의넋 (1987) 은모두모성 ( 母性 ) 을강하게추구한작품이므로, 모성모티프분석은그의장편소설을연구하는데꼭필요한과정이라고할수있다. 특히 에미 는헌신적인모성을강조한것이전통적인어머니소설같지만, 가장 ( 家長 ) 부재하의모성을보호해야한다는주제가결과적으로모성신화를형성하고당시의가부장이데올로기를거부하는측면이있게되었다는점에서관심을가질만하다. 에미 에서작가는기존어머니소설이내세우던, 시련극복이란상투적인플롯에서벗어나기위하여상당한공을들였는데, 그것은발단에서수수께끼를제시하고, 위기와반전에서재생의식, 미륵공양, 은장도이데올로기등의모티프를다양하게내세우고, 마침내대단원에서모든수수께끼를해결하고통합하는짜임새있는플롯을보면잘알수있다. 또한담론부문에서작가는아들인 나 가주인공인어머니를객관적으로형상화할수있도록하기위하여일인칭관찰자시점서술방식을택하였는데, 이러한객관적인서술이세월이흐르면서변모하는어머니의모습과목소리를잘반영하여어머니를입체적인인물로만들었고, 더나아가모성을신화화하는데무리가없게하였다. 그러므로이논문은일차적으로는윤흥길이 에미 에서어떤방식으로모성을신화화할수있었는지, 그형식적특징을분석하는데초점 1) 김세원은윤흥길이장편작가로전환하게된것을 삶에대한총체성의미탐구가불가능하다는깨달음 의결과로보고있다. 김세원, < 윤흥길연작소설의서사구조연구 >, 명지대대학원문예창작학과석사학위논문, 2003.6, 25 쪽.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23 을두었으며, 이차적으로는그렇게형성되는과정에서모성은어떤성격을지니고있는지를고찰하고자하였다. 이러한목적을위하여서사론적연구방법을활용하였는데, 편의상텍스트를서사와담론두부문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이렇게나누어분석하면, 서사분석에서플롯의각단계가대단원으로점차통합되면서모성신화를형성하게되는서사의특성과주요모티프를상세히알수있게되고, 담론분석, 즉작가가선택한시점과서술, 인물과의거리등의서술행위분석이모성의성격을규명하는데도움이되기때문이다. 텍스트는 1990년 5월청한문화사에서펴낸 에미 이다. Ⅱ. 서사분석 : 모성신화의형성과정 작가윤흥길은플롯의각단계에서사건의실마리를조금만제공하다가대단원에서모든일을밝히는방식으로모성을신화화한다. 각단계마다어머니는가부장적질서에도전하는등초인적힘을발휘하면서마침내신화를완성하는것이다. 작가가작품을집필해나갔던 1970년대후반혹은 1980년대초한국사회는대기업이발전하여도시화와산업화, 수출을주도하고있었으며, 민중들도늘어난수입으로핵가정을이루면서소시민적인여가를즐겼고, 특히도시여성의대학진학률이급속도로높아질정도로여권 ( 女權 ) 도상당히성장했던시대였다. 과거로돌아가밥을굶는가난을서술하고, 난리통에짓밟힌여인이주인공으로나오는 6.25 전쟁기의농촌풍경을묘사하기가쉽지않던시기였다. 그래서작가는짓밟힌어머니를신화화하는스토리의타당성을인정받기위하여서사의중심을치밀한플롯구성에두었다. 본래서사의기본적인요소는시간적, 공간적인배경과인물, 사건이된다. 이런요소들을뭉뚱그려서재구성하고편집한 진술된이야기 가

324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텍스트의서사혹은, 서사구조인데, 이러한서사를가장잘정리하는요소는플롯이된다. 플롯을단순히사건의재구성이라고생각할것이아니라인물과사건, 시간, 공간적구성이모두복합적으로연관되면서짜이는텍스트의틀로본다면, 플롯은서사구조그자체라고도할수있다. 그러므로텍스트의서사분석은플롯분석을중심으로하고자한다. 또 에미 의서사구조에서텍스트의시간은일주일정도로서 나 가어머니위독소식을듣고귀향하여임종을지키는한주일간이된다. 그러나스토리의시간은어머니로서의생애사십여년이다. 그래서텍스트의서사는 나 가일주일간의현재상황을서술하는겉이야기와현상황과연관된과거장면의기억을계기로어머니의생애. 특히 6,25 전쟁기를요약서술하는 중심이야기 2) 로이분 ( 二分 : 부제가붙어있는장 ( 章 ) 마다현재와과거를교차서술하다가대단원에서통합함 ) 되므로, 주로중심이야기의플롯분석위주임도밝혀두는바이다. 1. 발단의수수께끼제시 에미 의플롯의특징은인과관계가순차적으로연결되지않고파편적으로제시된다는점이다. 중심이야기에서발단-갈등-위기-반전등의각단계는나중에서야모두기춘이의출생문제와통합된다. 작가는기춘이의출생을수수께끼로처리하다가대단원에서야폭로하는것이다. 그러나겉이야기의발단에서수수께끼를던지는방식은일단효과적이다. 약간의암시가있는각단계를거치면서서사는긴장을유지하 2) 흔히액자소설에서서사는겉이야기와속이야기로구분된다. 그러나 에미 는전통적인액자형식을취하지않고, 장 ( 章 ) 마다부인물이면서서술자인 나 의현재상황을서술하는비중이크다. 작가가 나 와현실의비중을높여서어머니의과거에머물게되는액자소설의형식을회피하려는의도로보인다. 그래서필자는어머니에관한서사는 속이야기 대신 중심이야기 란용어로표현하고자한다.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25 기때문이다. 독자는호남사투리와속어로수수께끼를제시하는발단부분에서친근감을느끼는동시에끝까지읽어서수수께끼를풀고싶은욕구를느끼게된다. 발단의수수께끼는어머니가위독하다는전갈을받고귀향한 나 에게어머니머리맡에서이모가한마디던지는것으로시작한다. 이모가넋두리를만류하는기춘이부부와실랑이를벌인직후이다. 오오냐, 요두억시니같이복장이시커먼것들! 니년눈엔손톱이달리고니놈눈엔칼이들렸고나아! 감히어따대고, 누구앞이라고감히손톱으로할켜대고칼을휘둘르는거냐아! 느그엄니, 느그시엄씨죽고나면내가달팽이숟가락하나라도집어갈깨미느그덜이시방우리친동기간이간붙이는줄내안다아! 당장이라도내입하나벙끗하는날이면기절초풍허고나자빠질것들이! 어따대고! 누구앞이라고! 가암히! (36 쪽 : 굵은글씨체는필자, 이하같음 ) 성님! 어째피이판사판인디나요것들듣는자리서죄다확불어버릴라요! 삼십년이다되드락입에다가독바느질을허고지내느라고나는쎗바닥에백태가앉어도멫겹은앉었는디, 고런은공도몰르고요것들사람괄씨가어찌이리우심헐수가있다요? (37쪽) 하지만말을제대로못하는어머니의웅얼거림을듣자이모는풀이죽는다. 어머니는 입주뎅이를짝찢어죽일년 이라고했던것이다. 여기서 나 는강한의혹을지니게된다. 우리들에게불어버리려던그얘기가도대체뭡니까? (38 쪽 ) 하며추궁하지만이모는딴전을부릴뿐이고 나 의의혹은반전을거쳐대단원에서야해결이된다. 발단에서의수수께끼제시는 나 가중심이야기에서어머니의행적을소상하게회상하고전달하는계기가된다.

326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2. 죽음극복의재생의식 ( 再生儀式 ) 중심이야기에서사건의발단은어머니가사팔뜨기여서첫날밤부터소박당한일이된다. 그러나실제적인발단은민족간의전쟁 6.25로인한것이다. 전쟁은어머니에게소박정도가아니라목숨을요구하는급박한위기상황을형성하였다. 우선어머니는전쟁중갖은정성으로살려낸남편, 그사람 으로부터완전히버림받고죽을지경이된것이다. 명색뿐이긴하지만그나마남편이라고믿고의지하던그사람한테서결정적으로버림을받고꼬박이이틀을굶었다. 나를밖으로내쫓은다음안에서방문을걸어잠그고둘이서전에없이한나절을대판거리로싸우던끝에그가뒤도안돌아보고휭하니뛰어나가버리자어머니는삽시에지푸라기한낱들어올릴기력도없는완연한폐인이되어자리에눕고말았다. 길거리에서기총소사에맞아죽은어떤시체하고거의비슷한모양이었다. [...] 기범아, 기범아, 너에미랑같이안죽을래? [...] 머리끝이쭈뼛곤두서는느낌과함께나는느닷없이온몸을덜덜떨기시작했다. 전쟁을치르는동안에우격다짐으로비집고들어와서내뇌리에터를잡아버린죽음은갖가지험상스런몰골을하고있었다.(p.120: 굵은글씨체필자, 이하같음 ) 죽음을필사적으로거부하면서울어대는 나 로인하여어머니는고향인익산군삼기면연담리에서제일가는부자인큰외삼촌을찾아간다. 하지만외삼촌조차다짜고짜로도리깨를휘두르며어머니를죽이려하고, 나가죽거라아! 욕되게사느니죽는게낫다아! 은장도가없거든용당방죽에빠져서라도죽거라아! (126쪽) 라고외치며절연을선포할뿐이다. 내포작가는외삼촌의절연의원인이무엇인지알려주지않는다. 단지 기범이아부지가그저껫밤에오라부니를만나고갔다야! (126쪽) 라는이모의암시로미루어가부장적질서와관계있다는것을추리할수있다. 문제는어머니에게외삼촌이 욕되게살기보다죽어라 고강요했다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27 는점이다. 어머니는지주의딸이란신분에어울리지않게, 생과부처지로굶주림을해결해야하는 욕된삶 을펼치는일만이남은상태였다. 그러나어머니는떳떳한죽음보다는 욕된삶 을선택하였다. 돌멩이에벗은옷을싸서허리띠로보따리를만들어손에쥐고물에들어가는죽음의식 ( 儀式 ) 으로위기를돌파하고자한것이다. 그러나살얼음이낀얕은물에발목을적시는순간, 나는비명을지르면서어머니의손을마구뿌리쳤다. 잠깐물러가있던죽음이전보다더험악한몰골로나를확덮치려했다. 나는두려움에떨면서죽음의손아귀에서놓여나멀리도망치고자마구울부짖고발버둥쳤다. [...] 사타구니가물에잠겼다. 배꼽이잠기고가슴이잠겼다. 드디어목까지물에잠겼을때, 나는금세까무러칠것만같은혼미속에서죽음의목소리를들었다. 손에쥐고있는것놓아라! 나는옷꾸러미를물속에떨어뜨렸다. 됐다. 다끝났다. 어서물밖으로나가자 [...] 기범아, 너는오늘서부텀한집안가장이다. 사내대장부는그렇게아무때나함부로우는법이아니다. (131-133쪽) 옛날부터인간은가장위기에봉착했을때신에게목숨을맡기고자신을추스르는의식을행하는일로삶을새롭게살려고하였다. 어머니가엄동설한에용담못에들어가죽음의식을치르는행위는신에게자신을희생으로바쳐서생사여부를묻는일종의희생제의 ( 犧牲祭儀 ) 였는데, 신은물이지닌생명력으로어머니의죄를씻어주고삶에대한투지를일깨워주었다. 어머니는희생제의로 욕된삶 을정화 ( 淨化 ) 하는정화의식을치른것이다. 결과적으로어머니의희생제의는일차적으로는죽음을강요하던외삼촌의가부장이데올로기를거부하면서, 앞으로펼칠 욕된삶 자체가바로떳떳한삶임을알리기위한재생의식 ( 再生儀

328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式 ) 인것이다. 재생의식이후에어머니는누구의도움도없이홀로서는자립의길을걷기시작했다. 그것은굶주림과가난과의처절한투쟁이기도하였다. 전쟁중일가가몰살당한흉가에거처를정한후품팔이를하면서, 만삭의어머니는때로는 나 와먹을거리다툼을벌이기도하남의닭도몰래먹는 욕된삶 을살았지만, 당당했다. 산파의도움도거부하고홀로난산 ( 難産 ) 끝에기춘이를해산하는초인적인어머니형상은나 의기억의압권이다. 1 문고리에붙잡아맨튼튼한끄나풀을양쪽손아귀에감아쥔채어머니는상처받은짐승의마지막순간과도같이전신을무섭게떨고있었다. 어머니는파랗게불이켜진사팔눈을칩떠천장의어느한곳을뚫어져라쏘아보고있었다. 어머니의입엔겹겹으로접은수건이물려있었으며, 입술밖으로나온윗이빨이두꺼운수건을뚫고살을깨무는바람에아랫입술언저리에서흘러나오는또다른피가수건을새빨갛게물들이고있었다. 그처럼끔찍한몰골을하고서도찍소리한마디내지않는어머니가나는더욱더두렵고괴상하게만느껴지는것이다.(157 쪽 ) 2 하지만어머니는방안을억누르는무거운공기에조금도신경을쓰지않앗다. 윗이빨로힘껏깨물어서낸깊은상처를아랫입술언저리에지닌채로어머니는소리없이웃고있었다. 어머니의얼굴엔승리자로서의너그러운미소가, 보람과자부심을느끼는사람만이가지는터질듯한환희가가득히번져나고있었다.(159쪽 ) 난산의어머니는인용처럼 짐승 같이보이다가도마침내죽음의위기를극복하고, 기춘이의줄생을아무도반기지않는무거운분위기를아랑곳하지않고처럼승리자의미소를짓는존재로묘사된다. 이러한장면묘사는강인한어머니상을모성신화와연결하기위한작가의복선이라고할수있다.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29 이처럼재생의식이후어머니는가부장적부계질서를두려워하지않았는데, 기춘이를축첩투서등의투쟁으로절연한남편의호적에올린것이그한예이다. 3. 반전 ( 反轉 )- 부계질서의마지막징벌서사는계속진행되지만, 외삼촌이왜은장도를내세우면서어머니에게죽음을강요하였는지는계속수수께끼였다. 화자인 나 는위기이후에 욕된삶 을떳떳하게맞아들이면서현실과투쟁하던어머니의모습을회상하면서의혹을되살려낸다. 어머니의욕죈삶이란남들의입방아는무시하고, 품팔이를하면서모은돈으로고리대금도하고, 때로는채무상환을못하는이의옥답을머슴판길이의도움으로빼앗는등, 악착스럽게재산을만드는일이었다. 나 가서울에서대학을다닐무렵에어머니는연담리에서남들이부러워할만한많은재산을이미일구고있었다. 세월이흘러이제임종을맞이하게된어머니는 나 의주선으로삼십년간의절하고살던큰외삼촌의방문을받고화해까지하였다. 어머니의욕된삶을외삼촌이인정하고존경하게된것이다. 이제어머니는생과부로살면서죽음을거부하고, 두아들을반듯하게키웠으며, 큰재산을이룩한행복한어머니이다. 그러나내가지닌의심은결국생과부어머니의정절에관한것으로, 해결을필요로했다. 그런데내가속임수를써서이모에게들은사실은의외로어머니와판길이와의관계가아니라, 기춘이가 미륵님의아들 이라는말이었다. 어머니의 욕된삶 의근원은전쟁으로인하여어머니가희생양이된일에서시작된것이었다. 난리통에짓밟힌여인이바로어머니였다. 그러나정작어머니본인은짓밟힌몸으로여기지않고미륵에관한신화적상상력을보태면서미륵을육신으로공양하는의식으로여겼다. 스스로만든희생공양이다. 어머니는전쟁중인민군이퇴각하면서반동

330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분자를처단한다는소식을금산사에서듣자, 전주를향해떠나는데, 어둠이올무렵전주근처숲에서폭격을피하다가미륵님의계시를들었다는것이다. 니남편을살려줄테니까너는내가시키는대로하겠느냐? 하는소리였다. 어머니는어마지두인데도옆으로바싹다가드는그사람이깍짓동이만한몸집의거한인것을폭탄의섬광으로얼핏보았다. 그는다름아닌미륵님, 인간의몸으로헌신하여도솔천으로부터구세주로서이세상에내려오신미륵존불바로그분이었다. 하필그런상황그런시간에미륵님이무슨일로미천한자기앞에납시었는지도어머니는벌써확연히알아차리고있었다. 자신의신심을시험해보려고오신것이었다. 미륵님은곧산과도같은무게로다짜고짜덮쳐오더니나무들을가리고나중에는하늘까지온통다가려버렸다.(263쪽 ) 이제수수께끼의절반은풀렸다. 나 는기춘이가 미륵님의어들 로서아비가다른동생이란비밀을알았으므로, 서사는대단원으로넘어가야한다. 그러나작가는신화형성에필수적인반전 ( 反轉 ) 단계를마련하여텍스트에흥미를보탰다. 생의마지막순간에위기를안겨주면서어머니를시험한것이다. 혼불이나타나서임종이임박한순간이지만, 이위기를해결하고행복한죽음을맞이해야만어머니는신화의주인공이될수있다. 그위기는정절이데올로기를강요하는가부장적질서를거부하고사생아를지극정성으로키운어머니에게부계질서가가한마지막징벌이된다. 3) 당시한국에는가부장적인질서가라캉이말한바있는상징계 3) 이논문에서는가부장이데올로기를여성에게강요하는순결혹은정절이데올로기로한정하였다. 가부장제의본질규명은분량관계로논의를하지않았다. 가부장제에서는지위가불평등한결혼을통한성적결합이지배와복종의관계를바탕으로성립된다. 기부장제는남성에게여성의성에대한소유와통제의권한을부여하기때문에여성은성적자율권과결정권을갖지못하게마련이다. - 김원홍 / 이인숙 / 권희완공저, 오늘의여성학,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98 쪽.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31 의법의세계였기때문이다. 전쟁의희생양이던어머니가오랜세월생과부로살면서키워준은혜를망각한 나 는가부장이데올로기의수호자가되어서그무의식적징벌을기춘이에게행하였다. 어머니가목숨을걸고지켜온기춘이가동네밖으로뛰쳐나가나무에머리를박아피투성이로울부짖는등, 원시인의목소리 를내며밤낮을질주하고다니면서스스로를자학하고상해하도록하는일이었다. 내가기춘이에게전주에살고있는 그사람 이아버지가아니라고말해서기춘이를쇼크상태에빠지게한것이다. 기춘이에게준쇼크였지만실상은부계질서를무시하고사생아기춘이를소중하게사랑한어머니에대한압박이었다. 또한처자식을버린 그사람 을아버지로인정하게하면서아버지의법의질서속으로밀어놓고, 정작 나 의결혼식에는오지않았던어머니의어리석은집착을비난하는외디푸스콤플렉스가빚은징벌이기도했다. 4. 모성신화의완성대단원은사건이종결되는단계이다. 발단의수수께끼가완전히풀리고인물간의갈등이종결되며, 독자들의의문과긴장이해소하는단계이다. 작가는반전단계에서어머니에게나타난새로운위기를해결하기위하여모성을신화화한다. 우선어머니는 나 의적자로서의오만함을꾸짖지않고, 내가평소에지니고있던불만을오히려위로하면서포용하였다. 기범이너는정정당당한적자로서너대로거그에맞게키울라고애썼느니라. 그리고기춘이갸는또갸대로당초부터허물딱지덮어쓰고나온액운을가늠혀서으떻게든그험집을땜질혀줄라고이에미는악착을떨어나왔니라. 그러는에미가너한티는두고두고야속했을것이다마는... 아닙니다, 어머님. 아니기는뭣이아니란말이냐. 너를내속으로맹글었는디명색이

332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에미란것이니맴자리하나못더듬을줄알았드냐? (302-303 쪽 ) 또한기춘이의상처를타격으로여기지않고, 기춘이가곧집으로돌아올것이라고기춘이댁을위로하였다. 애비는참말로암시랑토않느니라. 나는느이애비한티쇠심줄보담도찔기디찔긴목숨을주었느니라. 나는느이애비를에릴적부터자갈밭머리바라구풀마냥억새마냥끈질긴사나로키웠느니라. 이에미가가진것을몽땅다갸한티쏟아부었느니라. 폭탄이펑펑터지는밤중에솔남새풀남새벙글어지는칠흑같은어둠한복판에서, 맨땅이라흙남새속에누워서누구씬지도몰르고갸를내속에다덤썩품었느니라. 애비는따땃한비단금침속에서언제생기는지도몰르게실무시생기는따른희미헌목숨들허고는그태생부터가원판틀리느니라. 누가갸를집채만한바윗돌로짓눌러봐라. 납작허니터져서고닥새죽고말것같지만, 어림도없다. 어림도없어. [...] (306쪽) 그런데어머니의말중에가장특별한것은이모의전언과는달리, 어머니가기춘이에대한무한한애정과그의원시적생명력을강조하면서도, 기춘이를 미륵님의아들 로말하지않고, 누구씬지도모르고 란표현을썼다는점이다. 6.25라는민족사적전란에서운명적으로겪은시련속에서터득한지혜와이성 이 평생을붙잡고매달려나온그미륵님을드디어해방시켜준셈이다. (308쪽) 이렇게미륵을떠나보낸어머니의모습은모든오욕과영예를미륵에게돌리지않고 자신의몫으로뒤집어쓰려는어머니의마지막의지 를보여주는것으로서, 어머니는기춘이의출생이남편이나전쟁으로인한희생제의의결과가아니라자신이책임져야할의지의결과로돌렸고, 그로인한 욕된삶 조차가부장적이데올로기로빚어진시련이아니라, 자신이신명이나서치른풍족한삶이었음을분명히하였다.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33 미친년늘뛰듯기살어온펭생이지만서도, 그것도내가자청혀서순전히내신명바람으로내가운전허고여기까장당도헌펭생이니까눈꼽만치도부족헌것이없다. 그우에뭣이더필요허겠내. 내멋대로, 내허고잪은대로살어왔고, 내가뜻허는바를죄다이뤘으니께나는아무여한없이눈을감을수있다. 나는하늘에감사허고땅에감사한다. 나는부처님께감사하고미륵님께감사한다. [...] 이렇게곱게죽을수있는것을느이들은당최슬퍼허들말고축복혀주는것이당연허다. (351 쪽 ) 이제어머니는마지막위기를극복하고행복한죽음을맞이할수있었다. 생의마지막순간에어머니가평생동안의지하던미륵신앙을내던지면서, 자신의희생조차뜻대로살아온결과라고당당하게말하는어머니는인간의지로남편과오빠와아들이휘두르던가부장적이데올로기와운명을완전히초극했다는점에서신을떠난인간주체의모습을보이는동시에인간의오욕과칠정을해탈한부처의경지를보이고있다. 모성신화는이런이중적인성격으로완성되었다. 작가는대단원에서임종의어머니를신적경지로형상화하여모성신화를형성한것이다. 플롯의짜임새를본다면, 대단원에서작가가모성을신화화한것은인과적구성에서크게벗어난것은아니다. 위기, 반전의단계틈틈이어머니가 욕된삶 을떳떳한삶으로여기도록재생의식을단행하고, 난산 ( 難産 ) 의위기를극복하는초인적힘을보여주고, 판길이에대한동네소문에도당당하게대응하는등가부장적질서를넘어서는모습을보였기때문이다. 그런데산업사회가무르익은 1970년대에운흥길이형성한모성신화는원형이되어야할전통적인여신신화와는차이가있다. 본래신화는역사이후인간이신적인힘을강렬하게욕망하여추구한흔적으로서, 인간의문화적기억속에남아있다. 에른스트카실러는신화의세계를 행동과힘, 그리고상반된세력의세계, 즉아주극적대상물들에게서힘이감지되며, 신화창조자의감정에따라그일상의모

334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습이바뀐세계 라고하였다. 4) 또한여성학이론가인아드리엔느리치는고전인류학자인제인해리슨을거론하며, 신화는상상력으로부터 분명하고명확하게 솟아나는것이아니라, 그보다는환경에대한대응, 정신과외부세계와의상호작용의결과로서생겨난다고하였다. 즉신화는 어떤필요, 바람을표현한것 5) 이라고하였다. 이렇게본다면극적인힘의표상인신화는신화창조자의염원과밀접한관계가있는것이다. 작가는어떤형태의모성신화를창조한것인가? 우리나라무속신 ( 巫俗神 ) 인삼신의등극신화는인간의딸인명진국애기씨가시합에서동해용왕의딸인동해용궁애기씨를물리치고삼신이되었다는이야기인데, 그첫번째시합은나무동이에담긴물을은동이에온전히옮겨담는것이고, 두번째시합은꽃씨를잘가꾸어아름다운꽃을피우는일이었다. 6) 여성이생명을잉태, 출산해야하며, 더나아가그생명이현실세계에적응해서활짝필수있도록인내로서시련을견뎌야함을암시하고있는헌신적인어머니상 ( 像 ) 에관한신화이다. 그러나작가는헌신적인어머니상이상의것을모성신화에내포하고있다. 그가추구한모성신화는전쟁과제도가가한위기와운명을스스로초극할줄아는이성과인간주체의표출도동시에갖춘신화이다. 필자가보건대윤흥길이산업화시대에창조한모성의주체성은여신신화보다는오히려아도르노가오딧세이신화에서찾은인간주체성과유사한것같다. 오딧세이가간지를써서트로이전쟁에서승리한이후여러신의분노로, 10년간고향으로가지못하고방랑하면서죽을고비를겪은것은 4) 리처드체이스, < 문학으로서의신화 >, 김병옥 / 김영일 / 김진국 / 최정무역, 문학과신화. 예림기획, 1998, 127 쪽. 5) 아드리엔느리치, 김인성역, 더이상어머니는없다. 평민사, 1995, 113 쪽. 세계가모성을강하게필요로한다면여신신화를만들수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6) 황경숙, 영동할미와삼신할미에대한명상, 여기 3 호, 부산세종출판사, 2005, 여름, 59-60 쪽.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35 에미 에서난리통에희생양이된어머니의체험과유사하며, 둘다그위기를신의도움으로극복한것또한유사하므로필자는아도르노가쓴논문 오디세우스또는신화와계몽 에서모성신화의원형적인속성을찾아보고자한다. 아도르노는역사사회를신화가사라진계몽의시대로명명하면서, 인간이신화의세계를상실하게된것은인간인지의발달, 즉인간의 도구적이성 ( 奸智 ) 이신적인힘을대체했기때문이라고하였다. 그에의하면신적인것은이미오래전부터문학의영역으로추방되었으며 7), 오딧세이에게서 신화와계몽의대립 을볼수있다고하였다. 트로이에서이타카로의험난한귀향길은자연의힘에비해육체적으로무한히허약하며, 이제자아의식속에서서서히형성되는 자아 가신화를통과하는길이다. 자아가싹트기이전의세계는자아가헤쳐나가야할공간으로세속화된다. [...] 자연앞에서는무한히초라한존재에불과하지만바다의모든부분을알고있는주인공은그러한자신의 무기력한능력 으로신화적힘들을무력화시키려한다. 성숙한 인간은신화속에있는분명한허위적요소를자각하게된다. 그는바다에도육지에도마귀란없다는것을알게되면서마귀이야기는전승되어온민간종교의속임수에불과하다는것을발견한다.( 계몽의변증법, 82쪽 ) 그래서아도르노는 자아는모험을두려워하며모험앞에서경직되는것이아니라모험을통해강인한자아, 즉통일성을부정하는다양성속에서통일성을갖게되는자아를형성하게되는것이다. 8) 라고하면서오딧세이가다양한경험세계에서이룬자아의통일성으로신화의세계를헤쳐나오고있다고강조하고있다. 즉아도르노에의하면오딧세이 7) 아도르노는 계몽 이숫자로환원될수없는것, 나아가결국에는 하나 로될수없는것을 가상 으로여기고문학의영역으로추방한다고하였다. M. 호르크하이머 /Th. W. 아도르노 ( 김유동, 주광식, 이상훈역 ), 계몽의변증법 ( 문예출판사, 1996), 29 쪽. 8)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같은책, 82-83 쪽.

336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는인간적인모험을통해자아의분열을극복하고통일성을성취하여, 성공적으로귀향했다는점에서, 신적인경지를뛰어넘은계몽의세계를산출한것이다. 그렇다면사이렌의유혹등위기를극복할수있었던오딧세이의이성과경험, 자아의분열을막은주체성등은보통인간이넘어서기어려운인간의지로서, 인간의한계를극복한신성 ( 神性 ) 에가까운경지로인정할수있다. 윤흥길 영동할미와삼신할미에대한명상, 여기 3호, 부산세종출판사, 2005, 여름이형성한모성신화도결국이러한인간의지를보여준다. 즉 에미 의어머니는대단원에서오딧세이신화처럼분열된자아가통일된다. 가부장적질서를수호하면서징벌을가한아들을조금도흔들림없는이성으로포용한다. 난리통에짓밟힌위기를미륵의신력에의존하면서미륵공양이란희생제의로미화하고, 합환화의굿판을벌이는등자아의분열상을보이기도했지만, 임종시의마지막위기에는미륵을훌훌던져버리고, 그모든시련이자신이신명바람으로선택한것임을분명히하면서, 운명에대한한과원망을완전히초극하는모습은인간주체성의결정판이면서, 헌신적인어머니상을뛰어넘는신적인경지이다. 결과적으로 에미 가형성한모성신화의속성은인간의의지와이성, 통일된주체성을강조하는작가의세계관과밀접한관계가있음을알수있다. Ⅲ. 담론분석 : 객관적시점과변모하는목소리 담론 (Discourse) 은작가가자신의세계관과주제를독자에게효과적으로전달하려는서술행위이다. 작가는시점과서술, 내포작가와인물간의거리설정에고심하면서메시지전달에신경을쓰게된다. 에미 에서모성을신화화한것은결국어떠한생명이든지간에생명자체를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37 소중하게여겨당당하게키워야한다는민중적모성을강조하기위해서이다. 객관적시점서술, 내포작가와주인물인어머니와의적절한거리설정, 은장도문화에대한목소리변화등서술행위를구체적으로분석하면서작가의메시지를살펴보고자한다. 1. 객관적시점서술 에미 에서시점의주체는주인공인어머니가아니라, 아들인 나 이므로, 텍스트는일인칭관찰자시점서술이다. 나 는나의시각으로행동의주체인어머니를관찰할뿐아니라그모든서사를진행하는화자가된다. 그러나 나 가상황을제대로보고해석하기에는무리가있다. 그러므로화자인 나 가제대로보지못하는부분은어머니나외삼촌, 이모의시각을통해전달하게된다. 작가가아들을화자로선택한것은내포작가와인물간의거리를유지하기위해서이며, 모든사건을객관적으로전달하기위해서이다. 특히어머니의격정적인내면심리가거의드러나지않아서어머니를신화화하기에편리하다. 이를테면사건의발단인남편의배신은이미준비된것이었다. 일제강점기당시상황에서사팔뜨기규수와전답문서지참금은가난한수재의자존심과욕망을건드리는유혹이었다고할수있다. 가난한수재는전답문서를미리챙겼다가결혼며칠뒤에헐값으로팔아치워그돈으로서울로가서전문대학에입학하고새장가도들어서호적에사팔뜨기아내의이름조차올리지못하게할정도로파렴치하지만, 이승만정부에서도지사가될정도로출세를한다. 이경우에작가가아들인 나 의분노는조금씩서술하게하지만, 어머니의심리는끝내서술하지않고, 거리를두는서술행위는결말이있는대단원까지작가의메시지전달과세계관표출을지연하려는의도이다. 즉남편에대한사랑, 모든생명에대한사랑을끝까지지니면서 욕된삶 의책임을어머니스스로가짊어지는모성의신화화를위한것이다.

338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2. 은장도문화와합환화의굿판텍스트에서가부장적질서는정절이데올로기혹은순결이데올로기로대표된다. 그래서작가는문학적장치로은장도모티프를네번등장시킨다. 은장도모티프는우리가부장문화의특성을강조하면서도차별화하는작가담론을선보이고있다. 은장도문화는두번외삼촌의목소리로등장하는데, 어머니와절연했음에도불구하고, 어린나를수시로꾸중하면서훈육해왔던외삼촌은어머니임종시에방문한 나 에게뜻밖의말을한다. 너도몰르고나도몰른다. 용당방죽같고미륵산같은느이에미그속내는아무리영험한족집게점쟁이라도못짚어낸다. 느이두모자가요동네로쫓겨들어올당시만허드라도나는내집안에단한자루밲에없는은장도를한탄했었니라. 그런디, 지내놓고보니께넓은세상엔은장도보담도더잘드는칼을품고사는사람도있다는사실을나중에사제절로알게되더라. (65쪽 ) 세월이흘러어머니의 욕된삶 을외삼촌도떳떳한삶임을인정하면서은장도문화의의미없음을인정하게된것이다. 은장도는가부장사회에서여성의애욕과훼절을단죄하던도구였다. 그러나 나 는어머니가생과부가되면서진작에은장도문화를내던진것을회상한다. 그자귀나무가갑자기움직여꽤액꽥뜻모를고함을지르면서산정을향해무서운속도로치닫기시작했다. [...] 그야말로광란의무도였다. 격렬한동작으로말미암아옷고름이풀어져서저고리앞섶이빤히열려있었다. 말기와끈으로젖가슴부위까지꽁꽁동여맸던치마는이제가까스로허리통에걸려있었다. 비녀는어디로없어졌는지아무렇게나풀어헤뜨린긴머리칼이어깨위에서출렁거렸다. 한송이도남김없이분홍꽃들은다떨어져달아나버렸다. 그대신어머니자신이, 어머니의몸뚱이전체가어느새커다란분홍꽃으로화하여비친듯이훌쩍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39 훌쩍공중으로솟구치는가하면또팽이처럼빙글빙글맴돌이를하는중이었다. 펄렁거리는옷깃사이로한쌍의팽팽한젖가슴이아래로내려쏟힐듯이힘차게덜렁거리고, 번쩍번쩍들리는겨드랑이아래로는신비의너울을걷어버린뽀얀살격과거뭇거뭇한거웃이얼른거렸다. 눈에서는불꽃이사정없이튀고입에서는 얼쑤절쑤 하는외침이계속터져나왔다. 얼굴은온통핏빛으로상기되어있고, 전신이기름같은땀에젖어옷밖으로드러나는살결마다매끄럽게번들거렸다. (p.88) 평소에생활과투쟁하던어머니가미륵산에서 나 에게보인 광란의무도 는그야말로은장도가강요하던금욕의문화를무시하고애욕을그대로표출한춤이었다. 끈적끈적하면서도왠지모르게용수철처럼배배뒤틀린것같은기묘한향기 를지닌자귀나무는합환목 ( 合歡木 ) 으로불린다. 그러므로어머니는공양을하면서마신술의힘을빌려서합환화 ( 合歡花 ) 가되어굿판, 제의 ( 祭儀 ) 를벌이고, 미륵신을섬기는신녀로서신명을다해신무 ( 神舞 ) 를추는중이었다. 얼마나광란의무도였던지이제막중학교에입학한 나 는 사팔뜨기자식 이란말도고통인데, 미친년자식 까지될수없다며, 울음을터트렸던것이다. 어머니의광란의무도는겉으로는생과부의삶과는거리가있는것처럼보인다. 은장도로애욕을끊는것을거부하고, 오히려내면에서불타던애욕을분출한것이다. 그래서은장도와합환화굿판의대조적인모티프를통해작가는의도적으로욕망단절의은장도문화와욕망분출의굿판이란대립구조형성을시도한것처럼보인다. 그러나남성이아닌, 오직신에게욕망을분출하는모티프는가부장적질서의세계가생과부의여성성을거세하기위한제도적인장치라고할수있다. 오히려여성의애욕을통제하고정화해주면서오로지자식의양육에만신경쓰도록하는, 그래서 은장도보다더잘드는칼 을품도록해주는상징계의사회적관습으로볼수있다. 그러므로강제적인은장도문화대신에합환화의춤으로애욕을분출하고카타르시스하는모습을작가가어린

340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화자인 나 의서술로전달한것은가부장이데올로기를벗어난것처럼위장하는데상당히효과적이다. 결국합환화의굿판서술은여성의애욕을통제하고있다는점에서가부장적요소가강한것으로, 위기상황에서는남성과의교합을염원하는여성성을억제해야모성이보존된다는모성신화의모순을반영하고있다. 3. 은장도무용론 ( 無用論 ) 의민중적모성원래어머니는외삼촌처럼가부장적정절이데올로기의신봉자였다. 임진왜란때의한조상할머니가왜군들에게사로잡히자정절을지키려고은장도로자결했다는내용을어머니는자랑스럽게나에게전한바있다. 그러나실제그런어머니의입장은전쟁을겪으면서바뀐다. 외삼촌의죽음강요를거부하고 욕된삶 을당당하게받아들인것이다. 어머니의가부장이데올로기에대한공식적인변화의목소리는은장도무용론 ( 無用論 ) 으로표출된다. 9) 4.19 혁명에동참하려는나를붙잡기위하여상경한어머니는밤새껏 나 를귀향시키려고설득하다가마침내는목까지조르면서위협하였다. 한번씩당헐적마다너도나도다은장도를빼든다면뒷감당은누가헐것이냐? [...] 난리통에도안죽고살어남은어린것들을거둘손은있어야한다. 숭년이지나간후에그래도팔소매를걷어붙이고빈논밭으로들어서는사람은남어있어야한다. 그런사람들이있은연후라야만은장도도값이나가는법이다. (p.197) 하며설득하던어머니는 나 를찾기위하여용감하게총탄현장을누볐고, 정작 나 는총알의공포에질려울면서숨어있다가일찍돌아와있었던것이다. 그런나를은장도무용론으로위로하는어머니는자식의목숨만이소중하다는민중의목소리를반영하고있다. 9) 은장도무용론은정절이데올로기를부정하는것같지만, 모성만을강조하고여성의성적인욕망에무관심하다는있다는점에서는일맥상통한다. 이것은모성신화의근원적모순이기도하다.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41 작가윤흥길에게민중이미지는 < 아홉켤레의구두 > 연작의오선생에게서보듯이, 정치적변혁기에도오로지가족의생계만이염려되는소박한가장 ( 家長 ) 의이미지로나타난다. 이소박한가장이 에미 에서명분이나이상을버리고, 생명그자체를소중히여겨보호하려는모성으로변신했다고할수있다. 그러므로은장도무용론서술은정치운동에적극참여하기를권유하는지식인의혁명론을거부하는민중적모성을메시지로전달하려는작가의서술행위에해당된다. 본래가부장사회에서문학이모성을떠받들게된경우는제국주의의압박을받던제3 세계가민족주의와결합하여, 민족을살릴인재양성과자연적생명력을여성에게강조하는때라고할수있다. 10). 우리소설사에서는 1930년대이태준의장편소설성모 ( 聖母 ) 가그대표적인예이다. 아들철준이를굳이사생아로키우면서상해임시정부의일꾼으로보내는안순모는당대의독자들에게나라없는식민지상황이아버지부재와같다고일깨워주는신여성이었다. 텍스트 에미 는성모 ( 聖母 ) 와같은계몽적소설은아니지만, 시대적배경이민족이위태롭던고난의시대와무관하지는않다. 일제강점기와 6.25, 4.19를겪는어머니의젊은시절에초점이맞추어져있기때문이다. 다만 에미 의어머니는성모의철준이같은인재가아니고기춘이같은무명의생명일지라도소중하게길러야한다는새로운민중의식을보여준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 그런데지주의딸로서은장도문화를부정하고험집투성이기춘이를미륵의아들로당당하게키울수있는어머니의생명의식의배경은무엇인가? 작가는그원천을미륵신앙으로돌리고있다. 10) 예를들어 인도에서신여성의정신적역할은흰두문화의우수성의표식일뿐아니라여성들이새로이획득한자유의표시이기도했다. 그러면서인도신여성의여성성의경우 남성성 을입증하려는인도남성들의노력을촉진함으로써가족내의전통적가부장적관계를고수하였다. -정현백, 민족과페미니즘, 당대, 2003, 35쪽.

342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본래미륵은삼국시대신라, 백제에전래하여지배계층은자기수양을열심히하면미륵부처가계신도솔천에왕생한다는미륵상생경을신봉하는경향도지니게되었고, 이후변혁기에는미륵이용화교주 11) 로하생한다는사상 12) 이정치개혁이나혁명론과연관되면서민중들에게영향을미치기도하였다. 근대에와서는박중빈이창시한원불교 13), 강일순을창시자로모시는증산도나대순진리교와같은신흥종교 14) 의발원지가되었다. 그러나가장익숙한미륵신앙은민중들이의지하고도움을받을수있는일종의기복신앙이었다. 즉샤머니즘에가까울정도로미륵은민중이무조건적으로의존하는부성 ( 父性 ) 적인존재이다. 텍스트에서어머니가신봉하는미륵도무가 ( 巫歌 ) 에등장하는신 15), 샤머니즘의신에가까운개념으로볼수있다. 16) 11) 고은, 미륵신앙과민중, ( 문학과지성 35 호, 1979, 봄호 ), 163 쪽. 12) 김삼룡, 한국미륵신앙의연구, 동화출판공사, 1983, 130 쪽참고 13) 1916 년창립한원불교는교단의재정적기반이나, 신도들개개인의경제적자립을강조하여, 미륵의이상향은신도개인의노력과종교적수양에의해이룩된다고하였다.- 백승종, 한국에서의미륵신앙의역사적전개 ( 원불교사상 21 호, 1997, 12), 553 쪽참고. 14) 모두전북고부의증산강일순이 1901 년천지의대도 ( 大道 ) 를깨달은데서출발한다. 증산은미륵을자처하였고, 천지공사 ( 天地公事 ) 로이상적불국토인용화세계를건설하려고하였다.- 김상룔, 같은책, 213-214 쪽참고. 15) 옛날, 옛시절에미륵님이한쪽손에은쟁반을들고한쪽손에금쟁반을들고하늘에기도하니하늘에서벌레가떨어져금쟁반에도다섯이오, 은쟁반에도다섯이라. 그벌레들을길러서금벌레는사내가되게은벌레는계집으로만들었다. 은벌레와금벌레를길러서부부로짝을지어놓으니세상사람이났구나. 미륵님세월에는섬 ( 石 ) 으로말 ( 斗 ) 로밥을 [ 배불리많이 ] 먹고인간세월이태평하였다. ( 창세가 : 1923 년 8 월에함경남도함흥에서채집된무가의일부 )- 손진태, 손진태문학전집 ( 서울 : 태학사, 198)1, 514-516 쪽. 백승종, 앞의논문 521 쪽에서재인용. 16) 증산도신도인어머니는주문도엉터리로할뿐아니라, 내세를기원하며수행하거나신도집회에참석하는모습이전혀없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미륵님전에비나이다! 옴아아나삼바바바아라훔! 천지개벽심판날에불쌍한우리모자미륵님이살피시고증산상제님이돌봐주시사총알도비껴가게맨드소서! 옴아아나삼바바바아라훔! (252 쪽 ) 처럼엉터리주문을외며현실을살아가는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43 중요한것은민중의기복신앙인미륵신앙이어머니에게는절대적인존재로서생명사상을깨우쳐주었다는사실이다. 총살형에처해질남편을위하여낯선거한을미륵의계시로받아들인어머니는남편의생명을살리는대신신에게보시해야한다는의무로일생을보냈다. 미륵신앙이깨우쳐준세상의이치였다. 그것은인연에의해태어난생명을책임져야하며, 또한잉태하게한신이보살펴줄것이라는믿음의이치였다. 본래종교는제도나관습을앞세우는인간사회보다생명의발아와양육자체를가장우선으로앞세우는존재였다. 난리통의수난을남편에대한보시로돌리고사생아기춘이에게사람답게살도록하기위하여가부장적질서에저항한어머니는민중만이지닌소박한미륵신앙에서생명의식을배우게되었다고할수있다. 이렇게볼때 에미 의은장도무용론서술은미륵신앙과결합하여명분보다중요한것은오직생명그자체라는생명의식을표방하고있으며, 이러한생명의식은소박한민중을대표하는모성이미지로부각된다. 결과적으로 에미 의은장도무용론모티프는민중의끈질기고잡초같은생명력이무엇보다소중하다는작가윤흥길의시각이반영된것으로서, 욕된삶 을살더라도자식의생명을책임져야한다는모성이조상할머니의자결보다는우선이라는것을의미한다. 그러므로작가의민중적모성은민중이개혁의주체가되어야한다는민중론과는달리, 개혁이념과명분보다는일상적삶을소중하게받들어야한다는생명이데올로기로볼수있다. 그래서부계질서를대표하여어머니의훼절에징벌을가한 나 가어머니의민중적모성에압도당하면서결국외삼촌에게 여자들은결코난리에당하지도않고남자에당하지도않으며 [...] 여자들은폭력에맞서기보다는난리도남자도한꺼번에다자기네내부에다수용해버립니다. 그게바로모성본능이겠지요. (324쪽) 란말 데의존할수있는신으로여기고있을뿐이다.

344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을하면서모성을신격화한것이다. 요약하면은장도무용론모티프는단순히모성지향성을표방하는데그치지않고, 한국민족주의가지닌가부장이데올로기의배타성을극복하기위해서는생명자체를소중하게여기는민중적모성이필요하다는작가의메시지를전달하고있다. Ⅳ. 맺음말 작가윤흥길은장편소설 에미 에서 6.25 전쟁기에모성으로시련을극복하는이상적인어머니상을형상화하고더나아가신화화하였다. 전쟁때, 남편을살리기위한미륵공양의결과, 어머니는사생아를출산하는시련을겪게되었지만, 미륵의아들로섬기며전력을다해제대로된자식으로키워내었다. 작가는이러한서사를전달하면서모성신화를형성하였는데, 그형성과정에는치밀한플롯구성이있었다. 우선발단에서수수께끼를제시하고, 위기와반전의단계에서재생의식, 미륵공양, 은장도모티프등과연결하여어머니의 욕된삶 을형상화하면서초인적인모성을암시하다가마침내어머니가대단원의단계에서부게질서의마지막징벌을극복하며모성신화가완성되도록플롯을구성하였다. 어머니는임종시에미륵부처를버리고남편과전쟁으로인한시련과위기를모두자신의책임으로돌리는, 자아의통일성을보이면서신화화된다. 담론은시점과서술, 인물과의거리등의서술행위인데, 작가는아들인 나 를시점과서술의주체로내세워주인물인어머니와도거리를두는객관적인서술을하고있다. 이러한일인칭관찰자시점서술은어머니의주관적인심리를거의드러내지않아모성이무리없이신화화되는데기여하였다. 또한여러번의은장도모티프서술은세월이흐름에따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45 라어머니의목소리가점차변모하는모습을입체적으로전달하고있다. 이중은장도무용론 ( 無用論 ) 서술은생명그자체를소중히여겨야한다는민중적모성을메시지로전달하면서, 결과적으로가부장이데올로기를거부하는측면을지니게되었다. 문제는 에미 의모성신화가지니는모순이다. 신화가모성에너무집착할때, 어머니가행한합환화의굿판처럼, 여성의애욕을정화하는방식으로통제하는한계를지니게된다. 그러므로잘못하면여성의욕망을배제하고, 시련과희생을당연하게여기는가부장이데올로기에모성신화가종속될수있으므로, 남은문제는이모순의해결책이다. 주제어 : 에미, 모성신화, 서사구조, 플롯, 담론, 가부장이데올로기, 희생제의, 미륵공양, 은장도, 민중적모성

346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참고문헌 텍스트윤흥길, 에미, 청한문화사, 1991., 아홉켤레의구두로남은사내 ( 연작소설집 ), 1977., 황혼의집 ( 단편소설집 ), 1976., 묵시의바다, 문학사상사, 1987., 순은의넋, 이조출판사, 1987., 낫, 문학동네, 1995. 단행본및논문고은, 미륵신앙과민중, 문학과지성 35호, 1979, 봄호. 김병욱 / 김영일 / 김진국 / 최정무편, 문학과신화, 예림기획, 1998. 김삼룡, 한국미륵신앙의연구, 동화출판공사, 1983. 김송은, 윤흥길소설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국어국문학과석사학위논문, 2000, 7월. 김수진, 윤흥길소설의주제와기법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국어교육학과석사. 학위논문, 2000, 2월. 김세원, 연작소설의서사구조연구-아홉켤레의구두로남은사내를중심으로, 명지대학교대학원문예창작학과석사학위논문, 2003년 6월. 김원홍 / 이인숙 / 권희완공저, 오늘의여성학,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리타펠스키, 김영찬 / 심진경역, 근대성과페미니즘, 거름, 1998. 백승종, 한국에서의미륵신앙의역사적전개, 원불교사상 21호, 1997, 12월.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47 서은선, 최인훈소설의서사형식연구, 국학자료원, 2003., 미륵신앙과모성신화, 여기 3호, 부산세종출판사, 2005, 여름. 제라르주네트, 권택영역,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수잔스나이더랜서, 김형민역, 시점의시학, 좋은날, 1998. 아드리엔느리치, 김인성역, 더이상어머니는없다, 평민사, 1995. 이상우, 현대소설의원형적연구, 집문당, 1985. 임주탁, 가락국기서사의형성과전승, 지역문학연구, 2004, 가을. 정현백, 민족과페미니즘, 당대, 2003. 표일초, 미륵신앙과민중불교, 담수 제 16호, 담수회, 1987, 10월호. 황경숙, 영동할미와삼신할미에대한명상, 여기 3호, 부산세종출판사, 2005, 여름.

348 한국문학논총제 43 집 <Abstract> A Study on Forming the Myth of Maternity in Yoon Heung-Gil's Novel, Mother Seo, Eun-Seon In his novel, Mother (1991), Yoon Heung Gil formed the image of an ideal mother who depends on maternity in overcoming sufferings and further mythified her. The mother sacrificed herself to save the life of her husband during the Korean War, and finally delivered an illegitimate child. She respected the child as the son of Maitreya and raised him with her full efforts into a decent son. This narrative is developed under a plot which focuses on solving mysteries. In his novel, Yoon Heung Gil is sometimes materializing the consciousness of re-birth, sacrificial offerings and eunjangdo as a motif by using techniques of confrontation and reversal. In the final part of the novel, the mother abandons Maitreya and transcends all her sufferings and grudges by herself. In other words, she reaches a divine state with unified self, becoming mythified. Discourse is referred to as dealing with point of view, narration styles and distance from characters. In the novel, the author maintains an objective narration in which the son as 'I' becomes the speaker and narrator and keeps himself distant from his mother. In that narration, the mother's emotions are not revealed, but instead she

윤흥길소설 에미 의모성신화형성연구 349 is regarded as the subject who accepts her fate and sufferings under her responsibility. This supports forming the myth of maternity in the novel. In the novel, eunjangdo is often used as a motif. Especially, some writings that eunjangdo is useless suggest universal maternity which stresses respect for life itself and further deliver a message that patriarchy-based ideology should be overcome.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above mentioned ideology might deepen the myth of maternity, so it might be taken for granted to suppress women's desires and force their suffering and sacrifice. This should be dealt with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re's a big difference between when Mother was written and the present. Key Words:Mother, myth of maternity, plot, discourse, eunjangdo, Maitre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