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연구사업명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발주부서유전체역학과과제담당관김성수 주관연구 기관 책임연구원 기관명소재지대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수원시영통구월드컵로 최경희 성명소속및부서직위전공 조남한아주대학교의과대학교수예방의학 총연구기간 당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정책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연구사업명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발주부서유전체역학과과제담당관김성수 주관연구 기관 책임연구원 기관명소재지대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수원시영통구월드컵로 최경희 성명소속및부서직위전공 조남한아주대학교의과대학교수예방의학 총연구기간 당"

Transcription

1 발간등록번호 정책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의과대학 질병관리본부

2 정책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연구사업명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발주부서유전체역학과과제담당관김성수 주관연구 기관 책임연구원 기관명소재지대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수원시영통구월드컵로 최경희 성명소속및부서직위전공 조남한아주대학교의과대학교수예방의학 총연구기간 당해연도연구기간 총연구비 천원 보안여부보안 일반 당해연도연구비결과 공개여부 가 부 천원 연구참여자총 명 책임연구원 명 연구원 명 연구보조원 명 보조원 명 세부사업여부 해당 해당없음 해당사항 표기 세부사업수총 개 년도정책연구용역사업의최종결과보고서를붙임과같이제출합니다 붙임 최종결과보고서제본 발주부서에서요구한부수 붙임 엑셀파일 매 장의 에 파일 결과평가의견반영대비표모두포함 년 월 일책임연구원조남한 인또는서명 주관연구기관장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장 직인 질병관리본부장귀하 - 1 -

3 목 차 Ⅰ. 연구결과요약문 3 Ⅱ. 정책연구용역사업연구결과 5 제1장최종목표 목표 목표달성도및관련분야에대한기여도 11 제2장국내외기술현황 국외연구의현황및전망 국내연구의현황및문제점, 전망 15 제3장최종연구내용및방법 연구대상자추적관리 코호트검진 설문조사 데이터관리및분석 21 제4장최종연구결과 연구결과 23 제5장연구결과고찰및결론 결론 정책반영제언및타연구개발사업과의연계성 향후연구의전개및발전방안 195 제6장연구성과및활용계획 연구성과 활용계획 201 제7장연구개발과정에서수집한해외과학기술정보 202 제8장기타중요변경사항 203 제9장연구비사용내역 연구비사용내역 연구분담표 205 제10장참고문헌 208 제11장첨부서류 표준화결과및관리기록표 학술지논문사본

4 Ⅰ. 연구결과요약문 보고서요약문 연구사업명 색인어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당뇨병 코호트연구 노화 대사증후군 발생률 주관연구기관아주대학교의과대학책임연구원조남한연구기간 지역사회를기반으로한역학연구에서는당뇨병, 대사증후군, 골다공증과관련된발생률, 생존율, 병인요소를평가하였다. 2001년한국정부는주요한만성질환과당뇨병의경향을조사하기위해대규모지역사회를기반으로한역학연구를실시하였다. 기초조사는 년도에이루어졌으며, 8번째추적검사가 2016년도에완료되었다. 2016년도연구의구체적인목표는 1) 추적검사 2) 당뇨병군에서의합병증검사 ( 망막증, 심혈관질환등 ) 분석 3) 노화연구와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변화검사를진행하는데목적을두고설문조사, 추적검사가진행되었다. 추적검사의질을향상시키고유지시키기위하여안성-안산연구소의연구원들간에, 안성연구소내의연구원들간에표준화교육을실시하였다. 검진대상자총 2,280명중 1,603(70.3%) 명이추적검사에참여를하였으며, 61명의사망자에대한사망시기, 원인에대한조사가이루어졌다. 14년차추적검사시 53명 (3.6%) 의당뇨병발생률을보였으며 [ 남자 =14명 (2.2%), 여자 =39명 (4.6%)], 14년간누적당뇨병생존율은 76.1% 로나타났으며연간약 1.7% 씩당뇨병으로이환됨을보였고, 정상군의경우연간약 1.1%, 내당능장애군의경우연간약 4.0% 씩당뇨병으로이환됨을보여주었다. 당뇨병합병증연구결과를보면,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내당능장애군에서 1명 (0.6%), 당뇨병군에서는 47명 (11.7%) 으로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다. 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당뇨병군에서 9명 (2.2%) 으로확인되었으며, 당뇨병발병기간이길어질수록비증식성과증식성당뇨망막병증의비율이증가하는것 (p<0.001) 으로나타났다. 65세미만군보다 65세이상군에서 1.51배 (95% C.I ) 당뇨병의발생률 (p<0.001) 이높았으며,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인 WHOQOL-BREF 설문조사에서도 65세이상군에서신체적건강영역 (p<0.001), 사회적영역 (p<0.001) 에서 65세미만그룹에비하여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게나타났다. 치매관련검사인 K-MMSE와 KDSQ는남녀모두연령대가높아질수록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에서도연령대가높아질수록증가하는 trend를보였다. 신체활동평가도구 (SPPB) 를사용한신체활동능력및근력검사에서도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의경우남성에서나이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남성호르몬성분의일종인 DHEA-S에서는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p=0.004)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연구를통해만성질환들의새로운병인요소규명과함께국가보건증진, 보건정책확립, disease assessment models 개발에기여할것이다. 또한노화와관련된대사변화및삶의질, 생화학적지표, 호르몬검사는고령화사회에서의국가적, 개인적차원의중요한이슈로부각되고있는삶의질을평가할수있는노인보건관련한기초자료가개발될수있을것이다

5 Summary - 4 -

6 Ⅱ. 정책연구용역사업연구결과 목표 본사업은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일환으로수행되며해당사업의목적은한국인일반인구집단을대상으로대규모코호트를구축하고검진및역학조사를통해역학 임상자료, 생체자원을수집하는것임. 또한, 본사업은안성지역에구축된코호트대상자를추적조사함으로써변화된역학및임상자료를수집하여, 질병과환경및유전적요인과의인과관계를규명하는것을목적으로함. 본사업은 01년부터안성지역의성인남녀 40세이상을대상으로시작된사업으로 2년마다동일한대상자에게서추적조사를수행하였으며, 15년부터는 7차추적조사를수행하고있음. 대상자를 12년이상반복추적조사한자료는코호트자료로써활용도가높기때문에반복조사를계속수행할필요가있으며, 대상자의노령화에따른노화관련변수수집및심층연구를수행할필요성이있음. 본연구의중점질환인당뇨병외동일대상자들에대한노화연구를통해노화관련위험요인을파악하고, 질환및비질환자의역학, 임상, 유전정보의비교분석을통하여질병발생관련유전 환경요인을규명할필요가있음. 또한추적시검진에참여하지않은대상자의질병상태혹은사망여부등 endpoint를파악하여기구축코호트의지속성을유지할필요가있음. 한국인의만성질환에대한질환감수성에영향을미치는유전 환경요인에따라개별화된예방및관리지침을수립하고나아가평생건강관리를실천할수있는과학적근거기반을제공하고자함.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목적은생활환경-유전자-질환의관계성을규명하여 1) 질환의조기진단, 2) 치료, 3) 예방, 4) 관리, 5) risk assessment model 을통한보건증진, 6) 국가보건정책에필요한기초통계자료를구축하는것이다. 본연구의목적을달성하기위한최종목표는약 30만명대상의코호트 ( 우리나라특성을대표할수있는집단 ) 를구축하여만성질환들의유병률, 발생률, 인과관계등을통한질병의이해및관련된유전자 (protective gene, responsible gene, and associated gene) 발굴을목표로하고있다. 지역사회코호트연구에서는우선적으로약 1만명규모의코호트 ( 농촌, 중소도시특성 ) 가안성과안산지역에서구축되어진행중이다. 현재질환별환자-대조군연구의일환으로당뇨병과근골격계질환 - 5 -

7 연구에필수적인참고수치개발을위한연구가진행중이며, 유병률, 발생률, 병인요소규명과함께병 인요소들의변화특성, magnitude 등을이해하는데연구의목표를두고있다. 가 추적 기 차년도연구목표 추적 7 기 2 차년도의연구목표는 1) 추적검사 2) 당뇨병군에서의합병증검사 ( 망막증, 심혈관질환 등 ) 분석 3) 노화연구와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변화검사가이루어질것이다. 추적검사 l l l l l l 연구원및연구방법의표준화를위한교육 총 명연구대상자에서참여가능한 차년도대상자 명중 명검진 군포함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된검사수치변화및양상분석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발생률 생존분석 병인요소 인과관계분석 연구대상자건강정보 질병상태 사망정보확보 만성질환예측모델의지속적인수정 보완 추적 7 기 2 차년도추적검사의최종목적을달성하기위해진행될세부목표는아래와같다. l 연구원및연구방법표준화교육 추적 7기 2차년도의목표는위에서언급한바와같이추적검사를통한병인요소, 발생률, 검진요소의변화양상및결과를분석평가와차기노화연구에필요한연구기반을조성하는데목적을두고있다. 제1기 2차년도 (2002년) 검사에참여하였던대상자들이본연구소를재방문하여질병의유무, 병인요소변화등을다시평가받게되므로재현성이높은검진이요구된다. 검사자오차 (inter-intra observer bias) 를최소화하기위한방법으로연구원들을대상으로여러차례의표준화교육과보수교육이선행될것이다. 표준화교육에서는설문방법, 당뇨검사와골다공증검사, 고혈압, 심혈관질환, 호흡기계검사방법의표준화, 기기사용방법표준화등검사수치에오차를초래할수있는항목들을중점적으로교육하고표준화하는데그목적을두고있다. 이러한교육과정을통해전문인력을배출하여연구의질을높이고있다. 기존에국내에서진행되었던대부분의코호트연구에서는의대생, 간호대생등을한시적으로투입시켜코호트관리를하였으나본연구에서는교육및훈련된전문인력이투입되어양질의데이터를생성, 수집하고있다. l 2 차년도대상자총 5,018 명에서참여가능한대상자 2,280 명중 1,600 명검진 - 6 -

8 본연구는전향성코호트연구라는방법적인특성을고려할때연구대상자의성공적인추적관리가본연구목표를달성하는데결정적인역할을하게될것이다. 따라서안성코호트에서 2016년도까지추적관리되어지고있는대상자 1,532명과 2회이상추적검사를거부한미추적군 748명을포함해총 2,280명중 1,600명의대상자를검사하는것을목표로 2016년도연구사업을진행하고자한다. l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된검사수치변화및양상분석 당뇨병과관련해 1기기초검사, 추적 1기검사, 추적 2기검사, 추적 3기검사, 추적 4기검사, 추적 5기검사, 추적 6기검사에서변화된혈당및인슐린수치를혈당곡선하면적, 인슐린곡선하면적, 인슐린대혈당 (I/G 비 ), 인슐린저항성모델을사용한인슐린민감도, 인슐린저항성등을각각구분하여세집단 ( 정상, 내당능장애, 그리고당뇨병이환 ) 에서그특성을규명한다. 또한특성및변화양상을기준으로구축된당뇨병을예측모델을지속적으로보완수정해나간다. 대사증후군은만성질환과의강한관계성을가지고있기에당뇨병과같은만성질환발생을예측할수있는모델을지속보완개발한다. l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발생률 생존분석 병인요소 인과관계분석 기초검사의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에서의년간당뇨병발생률산출및생존분석을하게될것이다. 추적 6기 2차년도검사까지당뇨병검사에서정상으로진단받은대상자들을중심으로추적 7기 2차년도검사에서당뇨병으로이환된대상자들의발생률을산출할것이다. 나아가추적검사에서정상으로진단된군과당뇨병또는내당능장애군으로진단된군간에병인요소분석및인과관계를규명할수있을것이다. 병인요소들의변화양상및강도를통해 Force of morbidity 분석평가와함께질환의조기진단및예방에응용할수있는지표를개발하는데초석을다지게될것이다. 이처럼방대한대상자들을기준으로경구당부하검사가시행되고그결과를바탕으로년간당뇨병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산출하는연구는국내에서는처음으로진행된다는점이의의가크다. 골다공증, 대사증후군에대한발생률을산출할것이다. 질환자군간에병인요소분석과인과관계분석이당뇨병과동일한방법으로이루어지고 1차적인인과관계분석은본연구기간후이루어질것으로전망한다. 또한당뇨병고위험군에서유전체, 단백체기술을이용한당뇨병발병예측, 조기진단기술을개발하고이를통해궁극적으로당뇨병발병을예측하고예방하는것을목표로 2015년 12월부터 2018년 11월까지질병관리본부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서안성코호트검진대상자의시료를분양받아분석하는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을지원할것이다. 이를위하여 1단계로 Proteome Profiling (Mass Spectrometry) 을 100명의시료에서시행후 Target Proteome을선정하고이후 2단계 Multiple - 7 -

9 Reaction Monitoring 을 1000 명의시료에서시행함. l 연구대상자건강정보 질병상태 사망정보확보 건강정보, 질병상태, 사망자료확보를위해연구대상자들을추적군, 탈락군, 그리고사망군으로구분하여설문조사가연구기간중진행될것이다. 현재기초검사이후연구대상자관리가체계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또한전년도와동일하게매 3개월마다전화상담을통해추적일지를작성할것이다. 일지내용으로는기초검사후진단된질환명과진단받은의료기관등을파악한후관련의료기관을방문하여질환과관련하여검사결과및질병유무에대한자료를확보하고이를데이터화시킬것이다. 질병관리에대한내용들 ( 약물복용유무, 종류, 관리비용등 ) 역시데이터화시킬것이다. 나아가대상자들중사망자들은사망원인을확인하고사망신고가이루어진의료기관이나관공서를방문하여사망과관련된모든자료를확보할것이며확보된자료역시데이터화하게될것이다. l 만성질환예측모델의지속적인수정 보완 만성질환과관련된환경요인, 생활습관, 식이요인과혈액학적요인을응용한만성질환예측모델을개발하였다. 개발된모델의내적타당도검증은현재진행되는역학연구를활용하여이루어지고지속적으로보완될것이며, 외적타당도검증은차후신과제들을통해평가될수있도록추천할것이다. 향후지속적인연구를통하여예측모델을수정 보완해나갈것이다. 당뇨병합병증관련추적검사당뇨병합병증검사는당뇨병과내당능장애군에게필요한검사이다. 안성코호트에서추적 7기 2차년도에검진을받을대상자들에는현재 562명의당뇨병환자들과 209명의내당능장애군이있다. 과거에당뇨병으로진단을받은군 142명과추적 1기, 추적 2기, 추적 3기, 추적 4기, 추적 5기, 추적 6기검진을통해당뇨병으로진단을받은군 420명이있다. 이러한당뇨병과내당능장애군대상자들을이용하여추적 7기 2차년도연구에서도당뇨병합병증 ( 망막증, 심혈관질환등 ) 에대한추적검사를실시할것이다. 안성코호트의당뇨병환자중추적 7기 2차년도에합병증 ( 망막증, 심혈관질환등 ) 에대한추적검사를실시할대상자는 771명이다 ( 표 1)

10 표 추적 기 차년도당뇨병환자와내당능장애군의연령별 성별인원 당뇨병 내당능장애군 남자 여자 Total 남자 여자 Total 50대 27(10.6%) 29(9.4%) 56(10.0%) 9(13.0%) 23(16.4%) 32(15.3%) 60대 86(33.7%) 89(29.0%) 175(31.1%) 35(50.7%) 49(35.0%) 84(40.2%) 70대 96(37.6%) 135(44.0%) 231(41.1%) 21(30.4%) 58(41.4%) 79(37.8%) 80대 46(18.0%) 54(17.6%) 100(17.8%) 4(5.8%) 10(7.1%) 14(6.7%) Total 255(45.4%) 307(54.6%) 562(100.0%) 69(33.0%) 140(67.0%) 209(100.0%) l 망막병증검사 당뇨병성망막병증은신증, 신경병증과더불어모세혈관에병변을일으키는대표적인당뇨병합병증이다. 서구의경우당뇨병성망막병증은 20세이상성인에게발생하는실명의가장흔한원인이다. 당뇨병이환기간 5년미만인제1형당뇨병환자에게안저검사를실시하면, 당뇨병성망막병증의소견은거의보이지않는다. 하지만당뇨병에이환되고 20년이지나면제1형의경우대부분이, 제2형의경우 60% 이상이망막증의소견을보인다. 망막병증은혈관장애로인한망막의병변이망막내에국한되어있는비증식성망막병증과망막으로부터유리체강으로신생혈관조직이자라들어가는증식성망막병증으로구분한다. 1) 비증식성당뇨병성망막병증으로 preproliferative 와 proliferative를 cotton wool spot; soft exudate 등을평가하며, 2) 증식성당뇨병증망막병증으로유리체출혈, 녹내장등을평가한다. 검사방법으로는안저검사를참가자전수를대상으로시행한다. 무산동 Retinal camera를이용하여 Fundus Photography 촬영과시력손실, 안구건조증및각막질환유발요소를역학설문및혈액검사결과와의연관성을확인하여분석한다. 나아가추후유전자와의연관성또한분석평가하게될것이다. 또한시력검사도이루어질것이다. 노화연구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및호르몬변화검사 l l l l 추적 기 차년도목표대상자 명중만 세이상의노인을대상으로노화심층연구노화관련대사변화분석평가및질환유병률분석삶의질평가생화학지표및호르몬검사 추적 7 기 2 차년도중차기노화연구에필요한연구기반조성의최종목적을달성하기위해진 행될세부목표는아래와같다. l 추적 기 차년도목표대상자 명중만 세이상의노인을대상으로노화심층연구 본연구는전향성코호트연구라는방법적인특성을고려할때연구대상자의성공적인추적관 - 9 -

11 리가본연구목표를달성하는데결정적인역할을하게될것이다. 따라서안성코호트에서 2016 년도 추적 7 기 2 차년도목표대상자 1,600 명중만 60 세이상에해당하는노인대상자에대하여노인심층연 구를하는것을목표로사업을진행하고자한다 ( 표 2). 표 추적 기 차년도연령대별대상자현황 남자 여자 Total 50대 177(40.7%) 258(59.3%) 435(19.1%) 60대 366(47.5%) 404(52.5%) 770(33.8%) 70대 301(38.9%) 472(61.1%) 773(33.9%) 80대 127(42.1%) 175(57.9%) 302(13.2%) Total 971(42.6%) 1,309(57.4%) 2,280(100.0%) l 노화관련대사변화분석및질환유병률분석 본연구에서는노화와관련된대사변화및양상을평가하고노화관련질환의유병율을분석할것 이며, 이는노화연구에기초검사로활용될것이다. l 삶의질평가 추적 7 기 2 차년도검사에서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WHOQOL-BREF, KMMSE, KDSQ, GDS 설문조사로삶의질의평가가이루어질것이다. l 생화학적지표분석및호르몬검사 갑상선질환과관련해추적 5기검사, 추적 6기검사, 추적 7기검사에서변화된갑상선기능을갑상선기능저하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정상, 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 기능항진증의 5군으로구분하여, 각각의유병률과발생률, 자연경과를살펴보고, 그특징을규명한다. 또한노화가진행함에따라가장뚜렷이감소하는호르몬으로는성장호르몬 (GH, growth hormone) 과이에따라간에서합성되는인슐린양성장인자-I (IGF-I, insulin-like factor-i), 성호르몬 ( 남성에서는 testosterone, 여성에서는 estradiol), 부신의성호르몬 (DHEA-S, Dehydroepiandrosteone sulfate) 이있다. 이러한호르몬의변화는복부비만과근육량감소와같은체성분의변화, 근력이나신체기능의장애, 삶의질과연관되고인슐린저항성과대사증후군의발생, 동맥경화와같은심혈관계질환에미치는영향에대한관심이커지고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노인에서의호르몬을측정하여체성분의변화, 근력, 신체기능의장애, 인슐린저항성, 심혈관계질환에미치는영향에대해알아보고자한다. 나아가본연구에서측정되는생화학지표들은노인당뇨병발생과의관계성을규명하는데도활용될것이다. 골다공증과관련해측정하는생화학지료및호르몬검사로는골형성지표, 골흡수지표, 혈중칼

12 슘, 부갑상선호르몬을측정하여피험자의전반적인골대사상태를평가한다. 골형성지표로는골형성을평가하기위해조골세포에서생성되는단백질인 osteocalcin 을측정한다. 골흡수지표로는파골세포의골흡수대사속도를반영하는 CTX 를측정한다. 골대사에가장중요한호르몬인부갑상선호르몬과칼슘을측정하여피험자의칼슘과부갑상선호르몬축을평가한다. 이와같이골대사지표를다각도로측정하여, 노화과정에서발생위험이높은골다공증과골절에의한삶의질저하위험을평가한다. 목표달성도및관련분야에대한기여도 가 목표달성도 추적 7기 2차년도추적검사에대한목표달성도를정리하였으며, 세부적인목표들과자료분석은연구결과부분에자세하게기술하였다. 추적 기 차년도검진대상자 명중 명추적검사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2,280명을추적한결과, 본기년도추적목표인 1,600명을기준으로하였을때 1,603명으로목표율보다높은 100.2% 의추적율을달성하였으며, 남자보다여자의참여율이높았다 ( 표 3). 연령 남자 여자 Total 50대 124(18.1%) 183(20.0%) 307(19.2%) 60대 274(39.9%) 312(34.0%) 586(36.6%) 70대 220(32.1%) 320(34.9%) 540(33.7%) 80대 68(9.9%) 102(11.1%) 170(10.6%) Total 686(42.8%) 917(57.2%) 1,603(100.0%) 나 관련분야에대한기여도 본코호트연구는예방유전체사업의연구목표인질환관련유전자를분석하기위하여, 건강한사람의유전자와특정질병환자의유전자를비교하는대조군연구이다. 따라서본연구의강점을최대한활용하여, 질병관련유전체규명으로 target 유전자를밝혀냄으로써예방의학과신약의개발이나유전자치료와같은새로운차원의예방및질환치료법이가능할수있다. 이코호트연구의총괄적기여는다음과같다. 지역사회인구집단의질병상태및병인요소, 유전자빈도규명 특정질환의관련유전자규명 질환발병이후의질환관리행태규명

13 case-control 연구에정상 Reference 자료제공 연구대상질환의발생률산출및병인요소와의인과관계규명 병인요소변화양상을분석평가하여질병의조기진단및관리와예방에응용 ( 질병별 Assessment model 개발 ) 당뇨병합병증관련자료구축 본연구에서규명된자료를응용하여실제적이며과학적인국가보건증진정책확립에초석역할

14 국외연구의현황및전망 미국, 영국, 일본등선진국에서는당뇨병, 심혈관질환등의발생률, 진행정도및이들에의한사망률을조사하기위하여이미수십년간대규모의국가적역학사업이진행중이다 ( 예, 미국프라밍햄연구, 미네소타-심장연구, 영국 health survey, 일본국립순환기연구소의 Suita 연구, 캐나다 heart health survey 등 )( 표 4). [36-40] ( 표 4. 외국의역학연구예 ) 연구명 대상인구 대상질환 미국Framingham heart study 5,209 심장질환 Minesota heart health 9,901 심장질환 San Antonio 1,334 Type2 당뇨병 Pittsburgh 2,500 Type1 당뇨병 Chicago 500 임신성당뇨병 Pima Indian 3,137 Type1 당뇨병 NHANES II, NIH 16,210 건강 / 영양 DPP 미국 21센터 Type2 당뇨병 DCCT 1,441 Type1 당뇨병 일본NCVC Suita study 14,400 심장질환 영국 health survey 12,116 건강 / 고혈압 이집트 NHP 7,925 고혈압 이란 Isfahan hypertension study 782 고혈압 인도 Moradabad study 2,235 고혈압 캐나다 heart health survey 26,293 고혈압 이들사업은궁극적으로질환을일으키는위험인자를찾아조절함으로써발생률및사망률을감소시켜, 청장년층에대해서는국가가노동력의소실을막고, 노령층에대해서는건강한삶을제공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실제대규모의역학연구의위험인자는환경적요인에집중되어있으며, 실제로이들요인을제어함으로써최근 10여년동안미국에서는심혈관질환, 당뇨병에의한사망률이유의적으로감소했으며, 암에의한사망률도감소추세에있는것으로보고되었다. 그러나가계력에의한생활습관관련질환의밀접한관련성이알려짐에따라환경적요인이외의유전적요인에대한연구가최근활발히진행중이다. 따라서이들질환의유전인자와위험인자를결정하기위함보다종합적인연구방법이필요하다. 특별히지난 2000년 6월말에미국에서발표한인간유전체지도의완성으로각민족에특이한질병관련유전자의탐색이본격화되고, 전세계적으로이런유전자와각민족에게특징적으로노출되는환경과식사등과의관련성이광범위하게연구될것으로생각된다. [41-47] 혈압은연령에따라증가하며고혈압은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및뇌졸중으로인한사망위험을높이는인자이다. [48-50] 1997년미국의보고서에따르면, [51] 180/110 Hg 이상의고혈압군은정상혈압

15 군에비해전체사망률은 1.45 배, 심혈관질환에의한사망은 2.93 배, 관상동맥질환에의한사망은 2.91 배, 뇌졸중에의한사망은 4.22 배높은것으로나타났다. 뇌졸중이없는중년대상자들에서혈압의증가 에따른뇌졸중의상대위험도는고혈압군과정상군모두에서남녀 60 세에각각 1.92 배및 1.68 배, 70 세에 1.30 배및 1.66 배를보여노년기뇌졸중예방을위해혈압의조절이필요함을보여주었다. [52] 또한 160/100 Hg 이상의고혈압환자나치료중인고혈압환자들은이보다낮은혈압을보이면서고혈압치 료를받지않은대상자들에비해심근경색후재경색의위험이 2.20 배나높았다. [53] 따라서모든대상자 들의혈압을정상화시키는것이중요하며이로써뇌졸중과관상동맥질환을예방할수있다. 명백한고혈압군에대한치료및관리가오래전부터실시되어온서구에서는중년이전에높은정 상혈압을보이는대상자군에대한연구들이수행되었다. [54-55] 이들은임상적으로정상으로간주되기 때문에치료의범위에포함되지않으나, 혈압은연령이증가함에따라상승한다는점을고려할때이러한집단에서중년이후고혈압발생률이높아질것이라는추측이가능하다. 최근연구 [54] 에따르면고혈압군이아닌집단 ( 평균연령 52세 ) 을대상으로적정혈압군 (optimum: <120/80 Hg), 정상혈압군 (normal: /80-84 Hg), 높은정상군 (high normal: /85-89 Hg) 으로나누어추적조사한결과첫 4년내고혈압발생률이세군에서각각 5.3%, 17.6% 및 37.3% 였으며, 다음 4년동안의고혈압발생률은각각 16.0%, 25.5% 및 49.5% 였다. 다른연구 [55] 에의하면높은정상혈압군은정상혈압군에비하여심혈관질환의다른위험인자들을보정했을경우에도심혈관질환의위험도 (hazard ratio) 가 2.5배높았다. 심혈관계질환에관한대표적인전향성연구인미국의 Framingham Heart Study는 1948년 5,209명의코호트로처음시작하여격년으로추적조사를시행하였으며, 1971년에최초코호트의 2세들로구성된 5,124명의대상자들에대한연구가다시시작되었고현재이들의자녀들에대한 3번째코호트구성이진행중이다. 이연구를통해심혈관질환의주요위험인자들 -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비만, 당뇨병및신체활동 - 뿐만아니라이와관련된요인들 - 혈중지질및고밀도콜레스테롤, 나이, 성별및정신 사회적상태 - 이밝혀졌으며, 이들의효과적인치료및예방전략의발전이임상적으로중요한비중을차지하게되었다. 이를바탕으로미국에서는고혈압에대한인식을높이고, 효과적인치료와관리를통해고혈압으로인한이환과사망을줄이기위한목적으로 1971년부터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를시작하였고, 1972년부터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NHBPEP) 을실시하고있다. 이것은대규모코호트연구자료가장기적인국가정책개발의밑거름이되는한가지사례로볼수있다. 미국에서 년에실시된 NHANES 결과에의하면고혈압환자군에서 51% 였던고혈압인식률이이와같은국가정책에힘입어 년 NHANES 결과에서 73% 로크게증가하였고치료율도각각 31% 에서 55% 로상승하였을뿐만아니라혈압조절에도달한비율도 10% 에서 29% 로상승하였다. [49,56]

16 국내연구의현황및문제점 전망 w 국내의경우, 선진국과달리아직까지잘계획된대규모의역학연구는소수에불과하며또한우 리나라의열악한연구환경의제한점으로장기간에걸친정기검진코호트연구는안성코호트 연구가유일하다. w 지역사회의일반인구집단을대상으로시행한유전체역학연구는국내에서매우드물다. w 병원의임상의사를중심으로하는 case-control 연구방법을통한생활습관관련질환의유전적 연구와환경적요인에대한연구가있어왔으나, 방법론과결과분석에많은문제점이있음이지 적되어왔다. w 국내연구의가장심각한문제점은대규모의역학연구에는지속적이고안정적인연구비의뒷받 침이있어야함에도불구하고현재까지연구비의확보에많은어려움이있다. w 건강보험의자료는많은수의자료를모을수있고경비면에서적은비용으로역학연구를수 행할수있으나, 불특정다수질환을대상으로설문지를사용하거나조사를수행하기때문에본연구와같은특정질환을집중적으로분석해야하는경우에는그연구의신뢰도가현저히떨어질수있다. 또한 2년마다시행되는조사방법에대한검증이미비하여결과의해석에대해많은문제점이노출될수있다. w 국민건강영양조사는 cross-sectional study 로불특정다수에게시행되는조사로계획되었기때 문에, 조사당시의질환에대한유병률등은조사할수있으나, 질환발생을야기시키는인자들을찾아내기에는많은문제점이있을것으로사료된다. 그러나무엇보다도이조사는유전자를분석하지않으므로이조사를통해질환발병유전체연구를수행할수없다는결정적단점이있다. w 본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계획하는지역사회코호트연구는상기기술한건강보험자 료와국민건강영양조사의단점이보완된연구로서원인분석결과가구축되면국민건강증진을 위하여그결과의활용이크게기대된다. w 유전체연구는질병관련유전자의변화 ( 특정질환에대한유전자의발현, 혹은작용민감도, 유 전자의 polymorphism, 유전자돌연변이등 ) 와환경적요인의변화등을직접적으로비교할수 있는잘계획된전향적코호트연구가반드시필요하다. w 또한본지역사회코호트연구는건강보험자료와국민건강영양조사를통해얻어진국민의질 환발생추이를검증하기위한표준화된역학연구로서의역할도담당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

17 다. w 전향성연구만이질병 - 병인요소의인과관계를정확하게규명할수있다. w 당뇨병발생초기단계부터합병증발생과정과관련된병리학적기전을분석평가할수있다. w 고령화사회에서의국가적, 개인적차원의중요한이슈로부각되고있는삶의질을평가할수 있는노인보건관련한기초자료가개발될수있다

18 연구대상자추적관리 가 연구팀들이매월대상지역을방문하여 일이상연구지역에상주하면서모든검사를진행안성에거주하는검진대상자들은대부분농업에종사하시기때문에 2시간이상씩걸려서바쁜농사일을미루고검사를받기위해병원을찾는대상자는그리많지않다. 이러한점을고려하여안성코호트에서는안성검진센터를두고연구원들이매월 16일이상안성에직접거주하면서검사를시행하였다. 나 검사당일대상자들에게교통편을제공하여편리성을제공대중교통이열악한농촌지역에서하루에 1 2대운행하는버스를타고검진을받으러오기는불가능한상황이다. 더군다나안성검진센터까지들어오는버스는운행되지않아불편함은더욱더컸다. 이러한점들을고려하여마을회관까지차량을운행하여검진센터까지직접대상자들을모셔오고검사가끝난후에다시마을회관까지모셔다드리는셔틀버스의운영으로편리성을제공하였다. 다 검사종료후마을회관에직접방문하여결과상담안성지역의경우기존에도유사한연구들이많이진행되었으나대부분의경우연구자들이자신들이원하는것만을가져가고참여자들에게는임상연구에대한불신을남겨놓았다. 따라서연구참여인식을바꾸기위해검사후 1달이내에검진결과지를집으로발송하였으며, 그후일주일이내에마을회관에나가서결과상담을해드린다는안내전화를드리고직접마을회관으로방문하여검사결과를상담하였다. 라 회의예약확인전화를통해예약취소율을낮춤검사 4주전에해당부락이장들에게협조공문과함께부락별검사대상자명단을발송하며, 검사 2 주전에개인별로검사에대한안내공문 ( 검사내용, 검사항목, 시간등 ) 을발송하여검사에대해다시인지시킨다. 그리고검사 1주일전, 3일전, 1일전등총 3회의예약전화를하였다. w 1 주일전 : 공문수령유무, 검사자주소, 세대주확인, 가족검사자확인, 약물력, 현재질환관 리유무, 직업유무확인 ( 직장인 : 휴무일검사가능일확인 ), 핸드폰, 직장전화번호확인, 정확 한예약일자확인을위해예약 3 일전재통화함. w 3 일전 : 예약일자변경유무확인, 술 담배삼가할것을주의시켰음. w 1 일전 : 약복용, 질병확인 ( 당뇨병환자 : 공복상태와약지참 / 고혈압 심장질환 : 공복상태에서 약만복용 ), 공복시간 (8 14 시간 ) 유지해야함을설명, 차량운행시간알려드렸음

19 마 혈액검사결과우선상담검진결과중에가장먼저분석되는혈액과소변검사결과를체크한뒤검사결과수치가이상인대상자들에게각담당자들이유선상으로결과상담을먼저해드렸다. 따라서급성질환인경우에는빠른시일내에병원을방문하여치료를받을수있도록상담을하여건강이악화되는것을예방하고추후결과지를받았을때결과에대해당황하지않도록하였다. 연구목표를달성하기위해서는질병치료를집행하면안되나의학윤리를우선하여예방, 중재, 치료를우선시하였다. 바 검사대상자관리를위해공문 생일카드 전화통화본연구는전향성연구이기때문에추적관리가연구결과에중요한영향을미치므로대상자들과지속적인연락을통해신뢰를쌓고사망자및이주자를파악하여연락이두절되는일이발생치않도록공문발송과전화통화를하였다. 생일카드는 1년에 1회모든대상자들에게발송하여지속적인관심을보였다. 사 거동이불편하거나호응이좋지않은분들은직접마을을방문하여참여를유도호응이좋지않은분들, 연락이되지않아전화통화를하지못한분들, 거동이불편한분들을위해직접거주지역을방문하여인사드리고상담함으로써대상자들의불만사항을접수하고추후에라도검진을받을수있도록관심을유도하였다. 아 마을별특성과대상자들의직장유무에따라예약농촌이라는지역적특색때문에마을마다재배작물이다르므로계절별, 월별로한가하거나바쁜날이모두달랐다. 농촌이지만예전과달리직장을갖고있는대상자들이많아지면서검진을받는데어려움이많았다. 따라서농업에종사하는대상자들은농사일정에따라, 직장인은토요일또는공휴일을이용하여검진을받도록하였다. 자 검사참여자들에게인센티브 구급함세트또는찜질팩 빵 우유 를제공하여참여를유도제한된예산으로효율적인인센티브를제공하고자검진대상자들에게선물에대한설문을실시하였고그결과가장호응도가좋았던구급함세트또는찜질팩, 빵, 우유등을검사후인센티브로제공하였다. 코호트검진 가 신장및체중측정 검사실방문시검사복으로갈아입고신장과체중을측정한다. 신장과체중은체질량지수와체지방

20 검사에직접적으로사용하였다. 나 혈압및맥박측정혈압측정은앉은자세에서충분히휴식한후양팔의혈압을측정하여혈압이높은쪽의팔을선택하고 2회반복측정하였다. 누운자세에서 5분이상휴식한후 30초간격으로 2회측정하였다. 앉은자세와누운자세모두에서맥박을함께측정하였다. 다 경구당부하검사혈당검사방법으로는공복상태로 8 14시간유지된상태에서공복채혈을시행하였다. 공복채혈후포도당액 (75g/300 ) 을천천히 5분이내에마시게하였다. 채혈은 Heparin cap을사용하여이루어지며, 채혈시간은공복, 포도당용액복용후 60분, 120분으로총 3회실시하였다. 라 혈청지질검사 간기능검사 류마티스혈액검사 정량검사 골다공증혈액검사 갑상선혈액검사 유리 유리 성호르몬혈액검사 오전검사중채혈된약 20cc의채혈 sample은검사를목적으로검사기관으로수송하였다. 마 오전검사중채혈된 sample 은 EDTA tube 에각각 3cc 를담아 HbA1C 와 CBC 검사를위해담당 검사기관으로당일발송하였다. 바 일반소변검사 중간뇨 10 를채취하여담당검사기관으로수송하였다. 사 체지방및비만도측정비만도측정과관련해 Inbody720d(Biospace사, korea) 체지방분석기를사용하여환자의성별, 연령, 신장, 체중, 체격, 운동정도에의해교정된총체지방량을측정하였다. Body Mass Index(BMI) 는몸무게 (kg) 를신장 (m 2 ) 으로나눈값, 허리둘레를엉덩이둘레값으로나눈허리-엉덩이둘레비, 그리고피하지방두께는 suprailiac, subscapular 부위를측정한비만도 index들을제시하였다. 아 심전도

21 검사대상자의상의를벗기고침대에눕힌다. 정확한측정부위에젤을바른후흉부유도 (V1 V6) 를부착하고, 오른팔, 왼팔, 오른발, 왼발에도유도를부착하였다. 부착된유도가떨어지지않도록잘관 찰하면서심전도를측정하였다. 자 골밀도검사대상자를똑바로눕힌상태에서 AP spine( 척추 ) 을 scan하고발의외전시킨상태에서 Femur neck( 대퇴골경부 ) 을 scan 하였다. 대상자의키와체중, 연령을참고로장비내한국인 Reference Data 를이용하여 T-score, Z-score값을산출하였다. 차 망막병증검사 무산동 Retinal camera(cr-dgi, Canon, JAPAN) 를이용하여 Fundus Photography 촬영과시력손 실, 각막질환유발요소를역학설문및혈액검사결과와의연관성을확인하여분석하였다. 하였다. 카 선검사 호흡순환기계질환을진단하기위해평상흡기의종료때에숨을멈춘상태에서 Chest PA 를촬영 타 폐기능검사마우스피스를검사대상자의입에삽입하고코에는 Nose clip을사용하여입으로만호흡하도록지시하였다. 대상자에게 3번이상평상시호흡을하도록지시한후폐가가득찰때까지흡기하도록지시하였다. 흡기후폐가완전히비워지도록빠르게강하게 6초간호기하도록지시한후호기가종료되면빠르고완전하게다시흡기하도록지시하였다. 파 노인신체기능평가방법들중유용하면서쉽게측정할수있다고생각되는객관적인기능평가세가지 ( 균형, 보행속도, 의자일어서기 ) 를묶어사용한다. 균형검사는일반자세 (Side-by-side stance), 반일렬자세 (Semi-tandem stance), 일렬자세 (Tandem stance) 세자세를 10초간유지할수있는지평가한다. 보행속도검사는 4m를몇초만에걸어가느냐로평가하는데 2회측정하여가장빠른시간을기준으로한다. 의자일어서기검사는손을가슴에팔짱을낀상태로일어서고앉기를 5회반복하는시간을평가하는검사이다. 하 근력검사 신체기능평가방법중하나로 를이용하여손의악력을평가한다

22 거 검사검사대상자를침대에바로누이고목을뒤로젖혀검사측의반대쪽으로머리를돌린후시행하였다. B-mode 초음파기기의 5~12 MHz의선형탐촉자를이용하여, 좌우각각에서총경동맥, 내경동맥, 외경동맥의종단면및횡단면을관찰하였다. 혈관내강-내막이맞닿는곳으로부터중막-외막이맞닿는곳사이의거리 ( 내중막두께 ) 를캘리퍼나컴퓨터프로그램을이용하여측정하였다. 너 검사종료 연구대상자들은모든검사를끝낸후최종적으로손에의해작성된설문지를재확인하고간단한 음식 ( 빵, 우유 ) 과선물 ( 찜질팩또는구급함 ) 을제공받고교통편으로귀가하였다. 설문조사 추적 7기조사에사용될설문내용은제1기기초조사와추적 6기조사의설문을대부분재조사하는것을원칙으로하고일부는변형하여사용하기로하였다. 추적 6기조사때와마찬가지로중점질환인당뇨병에대해서는치료및관리현황에대한내용과노화심층연구가조사되었다. 설문은만 세이상대상자에게 설문조사와전체대상자에게삶의질평가를위해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인 WHOQOL-BREF 설문조사가시행되었다. 추적 기조사에서는당뇨병환자군에한해서만식습관과식품섭취에대한설문을 24시간회상법으로실시되었다. 일반적특성및기존의과거력, 가족력, 수술력, 여성력, 호흡기및심혈관계질환및골다공증과관련된설문들은기존의틀을유지하면서일부수정보완하여사용하였다. 데이터관리및분석 가 데이터관리본연구사업의데이터관리는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유전체역학과에서개발한코호트역학정보시스템을사용하여관리한다. 전향성연구의특성에따른데이터관리프로그램이국립보건연구원의용역사업일환으로개발되었으며지역사회유전체데이터입력및분석은이프로그램을사용하고있다. 데이터의입력코호트에서수집된자료는자료의손실이나분실로인한위험성을방지하기위하여최단시간에데이터화하는것을원칙으로한다. 자료의양이방대한이유로자료를하부영역으로구분하여관리하고,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유전체역학과와각코호트의데이터베이스는네트워크로연결하여동시에메인컴퓨터에입력되도록한다. 입력된데이터는외부네트워크망을통해국립보건연구원으로전송된

23 다. 또한입력오류를최소화하기위하여소프트웨어에재입력기능과최소 최대값입력옵션을사용하 였다. 자료분석시개인정보유출방지를위한내부보안방침메인컴퓨터에저장된중요한자료의유출을막기위해서데이터는두종류의파일로구성되어진다. 하나는대외비적개인신상정보로보안을유지해야하는파일로서메인컴퓨터에서만조회및수정할수있도록하며, 다른하나는네트워크상인터넷으로연결된컴퓨터상에서자료를조회하며수정및이용할수있도록한다. 이또한허용된접근암호를사용한다. 오류검색 저장되어진자료의오류를최소화하기위하여코호트프로그램에서지정값범위처리, 재입력과 통계프로그램에서 outlier 검색을통해타당한값만을받아들여분석시오류를최소화하고있다. 나 결과분석모든통계처리는 SPSS 분석프로그램을사용한다. 추적검사가시작된추적 1기연구부터는병인요소들의시간적변화를분석평가하가위해 repeatability 분석, 상관분석을사용하고있다. 그리고질환이환자들과정상군간의병인요소분석을 t 검정, ANOVA, 회귀분석, 로지스틱분석, 생존분석, pearson correlation, χ 2 검정등을이용하여통계적인유의성을검증하게될것이다. 질병의 outcome과관련하여발생률산출도이루어질것이다

24 연구결과 가 추적검사 연구원및연구방법의표준화를위한교육 검사자오차 (inter-intra observer bias) 를최소화하기위한방법으로연구원들을대상으로표준화된연구방법에대해교육 ( 전체교육은 3월중 1회, 보수교육은 3월, 6월, 8월, 10월중 1회씩총 4회 ) 을실시하였다 ( 제 8장참조 ). 설문방법, 표준화된대상자관리방법, 당뇨병검사와골다공증검사, 고혈압, 심혈관질환, 호흡기계검사방법의표준화, 기기사용방법표준화등검사수치에오차를초래할수있는항목들을중점적으로교육하고표준화하였다. 이러한과정등을통하여연구코디네이터,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방사선기사, 영양사, 통계학자, 환자관리원등본연구에참여하는모든연구원들의각자업무에관한문제점, 주의사항, 방법등을교육받았다. 또한각연구원들은자신들의전담업무분야외 2개의비전담분야도연구진행사항을 60% 정도이해할수있도록교육이이루어졌다. 이처럼협동업무제도를통하여단기간에다수를대상으로집중적인검사및조사가동시에한지역사회에서시행될때야기될수있는인력부족을미연에방지할수있었다. 또한응급상황시업무대체나협조가수월하게이루어졌다. 표준화및연구원교육은단순히연구시초래될수있는상황들을대처하고검사자간의오차를줄이고표준화하는효과뿐만아니라연구원들사이에자발적으로연구의중요성을인식시키고국민건강에도움을준다는사명감까지심어주어서예상치않았던성과도이룰수있었다. 교육후에연구원들에의한시스템개선책이나건의들이늘어났고성공적인연구수행을위하여밤늦은시간까지대상자들을찾아다니며추적검사의중요성을호소하는등긍정적인효과들을나았다. 그뿐아니라휴일이나토요일오후에마을에있는경조사나체육대회초청시에도예전처럼불평불만을하기보단자발적으로참여하여지역사회의한일원으로서주민들과하나됨을보여주었다. 이러한교육의결과검사의질을높일수있었고, 연구원들에게동기유발을해주어검사참여율을높이는긍정적인결과도부수적으로가져왔다. 추적 기 차년도검진대상자 명중 명추적검사 검진지역별추적방법및현황검진지역은대덕면, 양성면, 삼죽면등 3개의면으로구성되었으며, 2016년 4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8개월동안검진이시행되었다. 첫번째검진지역인대덕면에속한마을들은모산리, 죽리, 내리, 건지리, 신령리, 소현리등 6개의마을로총인원이 522명이며 3개의면중에서는제일인원수가적은마을이다. 대덕면에서처음검진을시작하는마을은주로배과수원을생업으로하는모산리로배꽃수

25 정시기이전이여서시기가적절하였고마을이장의적극적인홍보와 CMS 팀의노력의결과로높은검진율 (87.4%) 을달성하였으며, 대부분대상자들은몇번의전화통화로 80% 이상의인원이검진에참여하여어려움없이추적검사를시행하였다. 다음마을인내리, 죽리마을은중앙대주변으로상권이많이발달한마을이여서직장인들과자영업을하시는분들이많았다. 예년의경우를살펴보면생계를이유로바쁘다는응답자들이많아추적검사률이저조했던지역이지만여러가지의홍보때문인지비교적수월하게검사에참여를결정하였고, 대상자들중 60% 이상의대상자들이몇번의전화통화만으로검진을받았고부재중인경우는저녁시간과이른아침시간에전화통화를하였다. 직장인들은쉬는날인토요일또는공휴일에검진을받도록예약을잡아검진율을높였다. 연락이두절된분들은대상자들과마을조력자들인마을이장, 노인회장, 부녀회장을통해서문의를하거나또는 114 서비스를이용하여연락처를찾아내어대상자들과연락을취하였고검진을받도록하였다. 대덕면소재의건지리, 신령리, 소현리마을도바쁘거나, 거동불편, 질병으로인해검진을못받으시는분들을제외하고는모두검진을받았다. 추후에도시간이없으셔서검진을받지못한분들은담당자들이지속적으로전화를드려대덕면검진이끝난시기에도검진을받을수있도록하였다. 연구팀의끊임없는노력으로대덕면전체검진율은 70.9%(370명 ) 이었다. 대덕면검진이후양성면검진을시작하였다. 양성면에속한마을들은동항리, 구장리, 석화리, 추조리, 이현리, 도곡리, 산정리, 필산리, 방신리, 삼암리, 명목리, 덕봉리, 방축리, 장서리, 난실리, 노곡리, 미산리등총 17개의마을 1,015명으로 3개의면중에서는가장많은검사자들이거주하는지역이다. 양성면은과수원과특수작물을재배하는마을이많고검진시기가농촌에서한창바쁜농번기였기때문에대상자들이농사일로시간을내기가어려운점들이많았다. 이런사항들을고려하여담당자들은대상자들에게농사도중요하지만건강이더중요하다는것을인식시켜주면서시간이없어도하루아침만시간을내도록설득하는전화를하여검진을받도록하였으며, 전체 71.0%(721명 ) 의검진율을나타냈다. 동항리를시작으로검진이시작되었지만동항리는농사를짓는분들보다는상업을하시는분들과직장인들이많았다. 따라서상업을하시는분들은바쁘지않은월요일, 직장인들은토요일, 공휴일을통해서또가능한대상자들은하루휴가를내어검진을받도록하였다. 양성면중에서산정리와미산리는호응도가가장낮은지역이었다. 예약을잡고도검진에참여하지않는횟수가많았다. 더구나연구조력자인이장의호응도가좋지않아대상자들을설득하고검진을받도록하는데더욱힘이들었다. 이두마을을통해마을조력자들의호응도가마을의검진율에얼마나커다란영향을주는지알수있었다. 이로인해연구팀들은조력자관리에더욱관심을갖고관리를하였다. 검진이시작되기한달전에이장에게검진안내문을발송하고안부전화를여러번하면서이장의역할이얼마나중요한지인식을시켜주며많은협조를구하였다. 추곡리, 이현리는마을주변에골프장이많은지역이었고골프장에서단순노무를하시는분들이많이거주하였다. 골프장은비오는날을제외하고는쉬는날이없었기때문에 1주일전에예약을잡는데에는많은어려움이있었다. 그래서연구팀은비오는날검진가능하신분들의명단을따로작성하여

26 관리를하였다. 명단에포함된대상자들에게는비가올가능성이있는검진일하루전에전화통화를하여검진전일 10시이후로금식을하여비가와서출근을안하는날검진을받을수있도록하였다. 오이농사를주로하는삼암리, 명목리, 덕봉리는오이수확시기를놓치면납품에차질이많아검사를위해오전에시간을내는것은쉬운일이아니었다. 따라서이런대상자들은토요일에검진을받거나마을검진시기가지난 8월이후에오셔서검진을받도록하였다. 양성면의마을중비교적호응도가좋았던방신리, 노곡리, 필산리, 난실리는몇번의전화통화로 80% 이상검진을받았고, 직장인과거동불편자를제외하고는검진시기에대부분검진을받아힘들지않게많은대상자들을참여시킬수있었다. 마을검진시기가끝난후, 그지역으로결과상담을가면서검진거부자들이나미검진자들을찾아가건강상담을해드리며검진을받도록설득하였다. 질병이나부득이한사정으로받지못하는분들은건강관리에관한자료를제공하고상담을해드리며다음검진에는꼭받도록권유하였다. 세번째검진지역인삼죽면에속한마을들은율곡리, 덕산리, 내강리, 배태리, 내장리, 용월리, 진촌리, 미장리, 마전리, 기솔리등총 10개의마을로총인원 613명이검진대상자였으며, 총검진율은 729%(447명 ) 로 3개의면중에서가장높은검진율을나타냈다. 율곡리, 내장리, 미장리, 마전리의경우몇번의전화통화로검진을받은대상자가 75% 가넘었으며, 미검진자들은대부분직장인이거나타검진을받아서검진의필요성을못느껴받지않는다는대상자들이였다. 삼죽면중에서용월리와배태리는호응도가가장낮은지역이었다. 공단이나병원에서검진을받아서검진을받지않겠다는분들이예상외로많아서대상자들을설득시키고검진을받도록권유하는데많은어려움이있었다. 연구팀은먼저타검진의검진항목에대해자세히알아보고정확한정보를얻은뒤숙지한후대상자들에게검진의차별성에대해상담하여대상자들이검진에대해정확하게알고신뢰를갖고검사를받을수있도록하였다. 검진중에도검사종목에대한설명과타검진과의차이점에대해자세히설명을하여대상자들의만족도를높이는데노력하였다. 특별한이유없이검진받기를거부하거나, 실험대상자같아서기분이나빠오기싫다고했던대상자들도많았다. 이런문제는본인뿐만아니라다른대상자들에게도좋지않은영향을미칠수있기때문에특별히경험이많은연구자가유선상으로또는직접만나연구에대해자세히설명을하도록하였다. 결과상담을나가면서도팀을나누어호구방문을지속적으로하였으며검진이끝난후에는마을별로검사대상자명단과상담기록표를가지고다니면서검사를받지않은대상자들을만나상담을해드리며검진을받도록설득하였다. 특히, 독거노인이나몸이불편해검사를받지못하는대상자들을찾아가위로하고지속적인관심을보이면서유대관계를유지하였다. 추적 기 차년도연구참여자 기초검사시검진받은 2,517 명중기초검사시부터추적기간중확인된사망자 237 명을제외한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2,280 명중 1,603 명을추적하여약 70.3% 의추적율을달성하였으며, 추

27 ( 그림 1. 성별 연령별참여율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 그림 2. 성별분포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적 7 기 2 차년도목표 (1,600 명 ) 대비 100.2% 의추적율을달성하였다 ( 표 5). 나이 그룹 50th 60th 70th 80th Total 성별기초검사자 1) 추적 7 기이전사망자 추적 7 기 2 차년도검사대상자 추적 7 기이후사망자 추적 7 기 2 차년도검사완료자 ( 추적율 ) 추적 7 기 2 차년도목표 (70%) 추적달성률 남자 185(7.4%) 8 177(7.0%) 2 124(70.1%) 99.8 여자 262(10.4%) 4 258(10.3%) 0 183(70.9%) 남자 390(15.5%) (14.5%) 3 274(74.9%) 여자 412(16.4%) 8 404(16.1%) 2 312(77.2%) 남자 388(15.4%) (12.0%) (73.1%) 여자 498(19.8%) (18.8%) (67.8%) 96.6 남자 176(7.0%) (5.0 %) 18 68(53.5%) 76.3 여자 206(8.2%) (7.0 %) (58.3%) 83.1 남자 1,139(45.3%) (38.6%) (70.6%) 여자 1,378(54.7%) 69 1,309(52.0%) (70.1%) 99.8 Total 2,517(100%) 237 2,280(90.6%) 61 1,603(70.3%) 추적 7기 2차년도의성별 연령별참여율은전체적으로 60대 (76.1%) 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80대 (55.9%) 의참여율이낮게나타났다. 60대여자가 77.2% 로가장높은참여율을보였고 80대남자의참여율이 53.5% 로가장낮았다. 70대를제외한모든연령대에서남성보다여성의참여율이높았다 ( 그림 1). 추적 7기 2차년도검사참여자는총 1,603명이었으며, 성별에따른분포를보면남자는 686명 (42.8%), 여자는 917명 (57.2%) 으로나타나여성의참여율이높았다 ( 그림 2) 남자 여자 남자 여자 42.8% 대 60 대 70 대 80 대 57.2%

28 추적 기 차년도비참여자현황 추적 7기 2차년도검사에참여하지못한대상자들의불참이유를확인하였다. 참여거부자중가장많은이유는개인적인일, 과수원이나축산, 농번기와겹쳐 1시간의여유도없다는분들, 직장때문에전혀시간이안난다등의사유로인한 바쁨 으로검진을거절하시는경우가전체의 34.4% 를차지하였다. 또한건강하다, 건강관리사업의필요성에의한무료건강검진증가, 배우자의사망으로인하여삶에대한상실감증가, 대화를원하지않으시면서거절하시거나너무나이가들어검진을원치않으시는경우등의이유로인한 검진의필요성인식부족 의경우도 24.8% 로나타나비교적높은빈도를보였다. 이외에도 중환으로치료중, 요양원입원, 거동불편 (10.9%), 타지역으로이사 (10.5%), 사망 (9.0%), 연락두절 (5.9%), 검사불만 (2.7%), 입원중 (1.8%) 등의이유로검진을받지못한경우도있었다 ( 표 6). 비참여사유 빈도 바쁨 ( 개인적인일, 농번기, 직장등 ) 233(34.4%) 검진필요성인식부족 ( 건강하다, 타검진, 삶에대한상실감, 전화거부등 ) 168(24.8%) 중환으로치료중, 요양원, 거동불편 74(10.9%) 타지역으로이사감 71(10.5%) 사망 61(9.0%) 연락두절 40(5.9%) 검사불만 ( 형식적, 채혈시간, 치료없음등 ) 18(2.7%) 입원중 12(1.8%) Total 677(100.0%) 추적 기 차년도참여자 비참여군비교분석 검진에참여하지않은대상자에서나타날수있는참여자편견 (Participant Bias) 을확인하기위하여추적 7기 2차년도검진에참여한대상자와비참여대상자들 ( 사망자제외 ) 의기초검사시검사수치차이를비교분석하는방법으로참여자편견을평가하였다. 가 연령과성별분포 본연구를통해연구의중점질환인당뇨병과참고질환인골다공증, 관절염등의원인으로계속해서 지적되고있는연령의차이를비교분석하였다

29 40 49세 50 59세 60 69세 Total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남자 95(44.0%) 243(43.0%) 여자 121(56.0%) 322(57.0%) Total 216(27.7%) 565(72.3%) 남자 75(44.9%) 229(43.5%) 여자 92(55.1%) 297(56.5%) Total 167(24.1%) 526(75.9%) 남자 115(39.1%) 214(41.8%) 여자 179(60.9%) 298(58.2%) Total 294(36.5%) 512(63.5%) 남자 285(42.1%) 686(42.8%) 여자 392(57.9%) 917(57.2%) Total 677(29.7%) 1603(70.3%) p-value 기초검사시연령의평균은참여자에서 54.15±8.34세였고, 비참여자는 55.75±9.32세로참여자보다비참여자의연령이높았으며, 두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는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추적 7기 2차년도참여군과비참여군의성별에따른차이는나이를보정하여카이제곱검정을실시한결과 40대 (p=0.806), 50대 (p=0.755), 60대 (p=0.456) 모든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음을확인하였다 ( 표 7). 나 본연구의목적중의하나가질병과환경, 생활습관등과의연계성을규명하는것이다. 참여군과 비참여군간의이러한차이가있다면연구에심각한편향을초래할수있으므로이러한요인들에대해서 도차이를비교분석하였다. 남자 여자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57(20.2%) 123(18.3%) 유 225(79.8%) 548(81.7%) Total 282(29.6%) 671(70.4%) 무 286(74.3%) 664(73.4%) 유 99(25.7%) 241(26.6%) Total 385(29.8%) 905(70.2%) p-value 음주유무는남녀로구분하여비교분석한결과, 남성 (p=0.498) 과여성 (p=0.733) 모두에서통계적 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 표 8)

30 남자 여자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37(13.0%) 123(18.0%) 유 247(87.0%) 559(82.0%) Total 284(29.4%) 682(70.6%) 무 351(91.2%) 875(95.9%) 유 34(8.8%) 37(4.1%) Total 385(29.7%) 912(70.3%) p-value 본연구를통해당뇨병발생과큰연관이있는흡연여부도분석을실시하였다. 남성의경우참여군 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6) 가없었으며, 여성의경우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 (p=0.001) 를보였다 ( 표 9). 남자 여자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170(59.6%) 435(63.4%) 유 115(40.4%) 251(36.6%) Total 285(29.4%) 686(70.6%) 무 282(71.9%) 714(77.9%) 유 110(28.1%) 203(22.1%) Total 392(29.9%) 917(70.1%) p-value 본연구를통해서는질병과의독립적인연관성이규명되지는않았지만만성질환예방에도움이된다고알려진운동상태도성별을구분하여두군간의차이를비교한결과남자의경우유의한차이 (p=0.271) 가없었으며, 여자의경우에는유의한차이 (p=0.02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0). 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여성의흡연과운동상태를제외하고는음주와같은 Habitual factor에서는남녀모두참여군과비참여군과의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다 질병상태 추적참여율에가장큰요인으로작용할수있는질병상태를각질환별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 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는지비교분석을하였다

31 당뇨 WHO 기준 ( 기초검사 )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Normal 429(64.4%) 1134(71.3%) IGT 129(19.4%) 278(17.5%) DM 108(16.2%) 178(11.2%) Total 666(29.5%) 1590(70.5%) p-value 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인당뇨병의경우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당뇨병진단상태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특히비참여자군에서질환의당뇨병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비참여군의 DM 연령 (58.96±8.16) 이참여군의 DM 연령 (56.84±7.81) 보다높고비참여군에서당뇨병관련질환으로인한치료, 거동불편, 입원등이비참여자에서 DM 대상자의비율이많은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11). 고혈압 ( 기초 )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289(42.7%) 759(47.3%) Prehypertension 174(25.7%) 430(26.8%) HTN stage1 73(10.8%) 165(10.3%) HTN stage2 23(3.4%) 52(3.2%) Diagnosed 118(17.4%) 197(12.3%) Total 677(29.7%) 1603(70.3%) p-value 고혈압은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은아니지만안산코호트와데이터공유를통해공동연구를진행하 고있기때문에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고혈압상태 (p=0.020) 는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를보였다 ( 표 12). 골다공증 ( 기초 )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352(52.1%) 869(54.2%) 골감소증 185(27.4%) 457(28.5%) 골다공증 139(20.6%) 277(17.3%) Total 676(29.7%) 1603(70.3%) p-value 안성코호트의참고질환인골다공증의경우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180) 를보이지않았다

32 ( 표 13). 대사증후군 ( 기초 )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443(66.5%) 1143(71.8%) 대사증후군 223(33.5%) 449(28.2%) Total 666(29.5%) 1592(70.5%) p-value 당뇨병과고혈압및심혈관질환의위험지표가되는대사증후군에서는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2) 가나타났다 ( 표 14). 질병상태에서는골다공증의경우에만참여군과비참여군간이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그러나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에서는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특히당뇨병에서는비참여자군에서질환의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나추후연구에서는비참여자들에게건강관리의중요성을인식시켜검진참여도를높여야하겠다. 라 혈압및혈액검사수치 참여군과비참여군과의차이를좀더세심하게살펴보기위하여혈압및혈액검사수치들에대해서 도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Variable 비참여자 (N=677) 참여자 (N=1,603) p-value 수축기혈압 ( mmhg) ± ± 이완기혈압 ( mmhg) 77.81± ± AST(IU/I) 27.04± ± ALT(IU/I) 24.07± ± 먼저추적 7기 2차년도연구의참여군과비참여자군간의혈압 간기능수치를비교한결과, 수축기혈압 (p=0.016) 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나, 이완기혈압 (p=0.292), AST(p=0.177), ALT(p=0.756) 수치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아두군간의동질성을재확인할수있었다 ( 표 15)

33 Variable 비참여자 (N=677) 참여자 (N=1,603) p-value 체지방율 (%) 26.42± ± 체질량지수 ( kg / m2 ) 24.67± ± 허리둘레 ( cm ) 84.71± ± Waist/Hip ratio 0.94± ± 만성질환과의연관성이높은비만수치에대해서도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체지방률 (p=0.189), 체질량지수 (p=0.666), 허리둘레 (p=0.559), Waist/Hip ratio(p=0.117) 의비만수치모두통 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아두군간의편견은없는것으로확인하였다 ( 표 16). Variable 비참여자 (N=677) 참여자 (N=1,603) p-value 공복혈당 ( mg / dl ) 91.58± ± 시간혈당 ( mg / dl ) ± ±55.02 < 시간혈당 ( mg / dl ) ± ± 공복인슐린 (μu/ ml ) 8.09± ± 식후 1시간인슐린 (μu/ ml ) 31.86± ± 식후 2시간인슐린 (μu/ ml ) 22.14± ± β-cell function ± ± HOMA Insulin resistance 1.86± ± Quicki index 0.67± ± ISI composite 8.32± ± Insulinogenic index 4.58± ± 당화혈색소 (%) 5.71± ±0.79 <0.001 본연구의질환이당뇨병인점을감안하여당뇨병과연관된모든당대사수치및응용수치에대해서도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1시간혈당 (p<0.001) 과 2시간혈당 (p=0.012), 당화혈색소 (p<0.001), Insulinogenic index(p=0.007) 에서당뇨병관련혈액검사수치에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나참여자연령 (54.15±8.34세) 보다비참여자연령 (55.75±9.32 세 ) 이높았고표 11에서와같이비참여군에서당뇨병관련질환으로인한치료, 거동불편, 입원등이비참여자에서대상자가많아당뇨병관련혈액검사수치에영향이있는것으로보이며그외당대사수치및응용수치에대해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 표 17)

34 Variable 비참여자 (N=677) 참여자 (N=1,603) p-value 총콜레스테롤 ( mg / dl ) ±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48.52±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 ± 중성지방 ( mg / dl ) ± ± 만성질환및각종성인질환의지표가되는혈중지질수치들에대해서도분석을실시한결과, 총콜레 스테롤 (p=0.005) 과중성지방 (p=0.013) 을제외한지질대사수치에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 표 18). 추적 기년도참여자 비참여군비교분석 검진에참여하지않은대상자에서나타날수있는참여자편견 (Participant Bias) 을확인하기위하여추적 7기년도검진에참여한대상자와비참여한대상자 ( 사망자제외 ) 들의기초검사시검사수치차이를비교분석하는방법으로참여자편견을평가하였다. 가 연령과성별분포 본연구를통해연구의중점질환인당뇨병과참고질환인골다공증, 관절염등의원인으로계속해서 지적되고있는연령의차이를비교분석하였다 세 50 59세 60 69세 Total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남자 187(44.1%) 481(43.7%) 여자 237(55.9%) 620(56.3%) Total 424(27.8%) 1101(72.2%) 남자 144(45.7%) 442(42.5%) 여자 171(54.3%) 598(57.5%) Total 315(23.2%) 1040(76.8%) 남자 209(38.2%) 438(40.0%) 여자 338(61.8%) 656(60.0%) Total 547(33.3%) 1094(66.7%) 남자 540(42.0%) 1361(42.1%) 여자 746(58.0%) 1874(57.9%) Total 1286(28.4%) 3235(71.6%) p-value 기초검사시연령의평균은참여자에서 54.52±8.42 세였고, 비참여자는 55.60±9.40 세로비참여자

35 보다참여자의연령이낮았으며, 두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는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추적 7기년도참여군과비참여군의성별에따른차이는나이를보정하여카이제곱검정을실시한결과 40 대 (p=0.883), 50대 (p=0.313), 60대 (p=0.475) 모든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음을확인하였다 ( 표 19). 나 본연구의목적중의하나가질병과환경, 생활습관등과의연계성을규명하는것이다. 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이러한차이가있다면연구에심각한편향을초래할수있으므로이러한요인들에대해서도차이를비교분석하였다. 남자 여자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102(19.8%) 248(19.3%) 유 412(80.2%) 1039(80.7%) Total 514(28.5%) 1287(71.5%) 무 543(75.6%) 1365(75.1%) 유 175(24.4%) 453(24.9%) Total 718(28.3%) 1818(71.7%) p-value 음주유무는남녀로구분하여비교분석한결과, 남성 (p=0.781) 과여성 (p=0.775) 모두에서통계적 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 표 20). 남자 여자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86(16.2%) 251(18.7%) 유 445(83.8%) 1089(81.3%) Total 531(28.4%) 1340(71.6%) 무 657(91.1%) 1755(96.0%) 유 64(8.9%) 74(4.0%) Total 721(28.3%) 1829(71.7%) p-value <0.001 본연구를통해당뇨병발생과큰연관이있는흡연여부도분석을실시하였다. 남성의경우참여군 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198) 가없었다. 여성의경우참여군 (4.0%) 과비참여군 (8.9%) 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나이는여성에서적은흡연률에의한결과인

36 것으로평가되었다 ( 표 21). 남자 여자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무 357(66.1%) 952(69.9%) 유 183(33.9%) 409(30.1%) Total 540(28.4%) 1361(71.6%) 무 561(75.2%) 1508(80.5%) 유 185(24.8%) 366(19.5%) Total 746(28.5%) 1874(71.5%) p-value 운동은본연구를통해서질병과의독립적인연관성이규명되지는않았지만만성질환예방에도움이된다고알려져있어두군간의차이를비교한결과, 남자의경우유의한차이 (p=0.103) 가없었으며, 여자의경우에는유의한차이 (p=0.003)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22). 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여성의흡연과운동상태를제외하고는음주와같은 Habitual factor에서는남녀모두참여군과비참여군과의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다 질병상태 추적참여율에가장큰요인으로작용할수있는질병상태를각질환별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는지비교분석을하였다. 당뇨 WHO 기준 ( 기초검사 )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Normal 848(67.0%) 2333(72.7%) IGT 237(18.7%) 551(17.2%) DM 180(14.2%) 325(10.1%) Total 1265(28.3%) 3209(71.7%) p-value <0.001 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인당뇨병의경우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당뇨병상태 (p<0.001) 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특히비참여군에서질환의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비참여군의 DM 연령 (59.17±8.28) 이참여군의 DM 연령 (56.94±7.98) 보다높고비참여군에서당뇨병관련질환으로인한치료, 거동불편, 입원등이비참여자에서 DM 대상자의비율이많은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23)

37 고혈압 ( 기초 )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550(42.8%) 1449(44.8%) Prehypertension 365(28.4%) 942(29.1%) HTN stage1 131(10.2%) 363(11.2%) HTN stage2 42(3.3%) 91(2.8%) Diagnosed 198(15.4%) 390(12.1%) Total 1286(28.4%) 3235(71.6%) p-value 고혈압의경우에는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고혈압상태 (p=0.033) 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 였다 ( 표 24). 골다공증 ( 기초 ) 검진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670(52.4%) 1739(54.0%) 골감소증 360(28.2%) 921(28.6%) 골다공증 248(19.4%) 558(17.3%) Total 1278(28.4%) 3218(71.6%) p-value 안성코호트의참고질환인골다공증의경우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261) 를보이지않았다 ( 표 25). 대사증후군 ( 기초 ) 검진대상여부 비참여자 참여자 정상 818(64.7%) 2168(67.4%) 대사증후군 447(35.3%) 1047(32.6%) Total 1265(28.2%) 3215(71.8%) p-value 당뇨병과고혈압및심혈관질환의위험지표가되는대사증후군 (p=0.077) 의경우참여군과비참여 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 표 26). 라 혈압및혈액검사수치 참여군과비참여군과의차이를좀더세심하게살펴보기위하여혈압및혈액검사수치들에대해서

38 도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Variable 비참여자 (N=1,286) 참여자 (N=3,235) p-value 수축기혈압 ( mmhg) ± ± 이완기혈압 ( mmhg) 77.64± ± AST(IU/I) 28.33± ± ALT(IU/I) 26.15± ± 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혈압 간기능수치를비교한결과, AST(p=0.047) 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 한차이를보였으나, 수축기혈압 (p=0.155), 이완기혈압 (p=0.205), ALT(p=0.223) 수치모두통계적으 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아두군간의동질성을재확인할수있었다 ( 표 27). Variable 비참여자 (N=1,286) 참여자 (N=3,235) p-value 체지방율 (%) 27.07± ± 체질량지수 ( kg / m2 ) 24.50± ± 허리둘레 ( cm ) 84.77± ± Waist/Hip ratio 0.92± ± 만성질환과의연관성이높은비만수치에대해서도분석을실시하였다. 체지방률 (p=0.222), 체질량 지수 (p=0.547), 허리둘레 (p=0.464), Waist/Hip ratio(p=0.259) 의비만수치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 이가나타나지않아두군간의편견은없는것으로확인하였다 ( 표 28)

39 Variable 비참여자 (N=1,286) 참여자 (N=3,235) p-value 공복혈당 ( mg / dl ) 87.81± ± 시간혈당 ( mg / dl ) ± ± 시간혈당 ( mg / dl ) ± ± 공복인슐린 (μu/ ml ) 8.18± ± 식후 1시간인슐린 (μu/ ml ) 35.45± ± 식후 2시간인슐린 (μu/ ml ) 27.64± ± β-cell function ± ± HOMA Insulin resistance 1.80± ± Quicki index 0.70± ± ISI composite 8.11± ± Insulinogenic index 5.65± ± 당화혈색소 (%) 5.69± ± 본연구의질환이당뇨병인점을감안하여당뇨병과연관된모든당대사수치및응용수치에대해 서도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1 시간혈당 (p=0.016) 과 2 시간혈당 (p=0.021), 당화혈색소 (p=0.005) 에서 당뇨병관련혈액검사수치에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나, 비참여군에서당뇨병관련질환으로인한치료, 거동불편, 입원등이비참여자에서대상자가많아당뇨병관련혈액검사수치에영향이있는것으로보이며그외당대사수치및응용수치에대해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 표 29). Variable 비참여자 (N=1,286) 참여자 (N=3,235) p-value 총콜레스테롤 ( mg / dl ) ±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46.53±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 ± 중성지방 ( mg / dl ) ± ± 만성질환및각종성인질환의지표가되는혈중지질수치들에대해서도분석을실시한결과, 총콜레 스테롤 (p=0.015) 과중성지방 (p=0.040) 을제외한지질대사수치에서참여군과비참여군간에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 표 30). 추적 기 차년도추적군 탈락군비교분석 연구대상자들을본연구에꾸준히참여한추적군과탈락군 (2-4 년미참여군과 6 년이상미참여군 ) 으로구분하여건강정보와질병상태를비교평가하였다

40 성별 ( 표 31. 검진대상자별성별 연령별분포 ) 탈락군추적 p-value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남자 559(42.7%) 76(42.2%) 51(44.3%) 여자 749(57.3%) 104(57.8%) 64(55.7%) 연령 67.62± ± ±9.24 <0.001 검진대상자들의평균연령은추적군에서 67.62±8.12세였고, 2~4년미참여군은 70.71±9.00세, 6 년이상미참여군은 69.72±9.24세로추적군보다탈락군의연령이높았으며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는있는것으로나타났다. 추적군과탈락군모두여성의참여율이높았으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933) 는없었다 ( 표 31). ( 표 32. 검진대상자별질병상태 )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당뇨망막병증 추적 탈락군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 Total Normal 880(70.2%) 93(66.0%) 44(56.4%) 1017(69.1%) DM 373(29.8%) 48(34.0%) 34(43.6%) 455(30.9%) 정상 926(70.8%) 129(71.7%) 87(75.7%) 1142(7102%) 고혈압 382(29.2%) 51(28.3%) 28(24.3%) 461(28.8%) 정상 718(57.6%) 73(46.5%) 45(54.9%) 836(56.3%) 골다공증 528(42.4%) 84(53.5%) 37(45.1%) 649(43.7%) 정상 425(32.8%) 56(33.7%) 31(33.0%) 512(32.9%) 대사증후군 872(67.2%) 110(66.3%) 63(67.0%) 1045(67.1%) 정상 1,158(95.9%) 121(93.8%) 60(96.8%) 1339(95.8%) 비증식성 43(3.6%) 5(3.9%) 1(1.6%) 49(3.5%) 증식성 6(0.5%) 3(2.3%) 1(1.6%) 10(0.7%) p-value 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인당뇨병의경우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26) 를보였으며, 특히탈락군에서질환의당뇨병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추적군의유병률은 29.8% 로나타났으며, 탈락군을포함한전체유병률은 30.9% 로나타나탈락군의유병률이높게나타났으나, 전체유병률에는큰영향을미치지않았다. 고혈압의경우에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539) 가없었다. 골다공증의경우에는추적군과탈락군의비교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29) 를보였으나, 전체유병률은 43.7% 로추적군의 42.4% 와큰차이는보이지않았다. 당뇨병과고혈압및심혈관질환의위험지표가되는대사증후군에서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969) 가없었다.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와증식성인경우모두탈락군에서높게나타났으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139) 는없었다 ( 표 32). 질병상태에서는고혈압, 대사증후군, 당뇨망막병증상태의경우추적군과탈락군간에유의한차이를나타내지않았다. 그러나당뇨병과골다공증에서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

41 보였으며, 특히탈락군에서질환의당뇨병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33. 검진대상자별건강정보 ) 탈락군추적군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 (n=1,308) (n=180) (n=115) p-value 수축기혈압 ( mmhg) ± ± ± 이완기혈압 ( mmhg) 73.01± ± ± AST(IU/I) 26.15± ± ± ALT(IU/I) 19.99± ± ± 체지방율 (%) 30.25± ± ± 체질량지수 ( kg / m2 ) 24.60± ± ± 허리둘레 ( cm ) 90.23± ± ± Waist/Hip ratio 0.94± ± ± 공복혈당 ( mg / dl ) ± ± ± 시간혈당 ( mg / dl ) ± ± ± 시간혈당 ( mg / dl ) ± ± ± 공복인슐린 (μu/ ml ) 8.08± ± ± 식후 1시간인슐린 (μu/ ml ) 31.13± ± ± 식후 2시간인슐린 (μu/ ml ) 20.98± ± ± β-cell function 87.06± ± ± HOMA Insulin resistance 1.97± ± ± Quicki index 0.62± ± ± ISI composite 6.49± ± ± Insulinogenic index 8.36± ± ± 당화혈색소 (%) 5.90± ± ± 총콜레스테롤 ( mg / dl ) ± ±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45.05± ±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 ± ± 중성지방 ( mg / dl ) ± ± ± W H O Q O L - 신체적건강영역 13.51± ± ± 심리적영역 13.00± ± ± B R E F ( 삶의사회적영역 13.07± ± ±2.75 <0.001 질척도 ) 생활환경영역 12.58± ± ± KMMSE( 기억인지력검사 ) 25.55± ± ±3.91 <0.001 GDS( 우울증검사 ) 2.40± ± ± 근력검사 28.64± ± ±8.65 <0.001 추적군과탈락군과의차이를좀더세심하게살펴보기위하여활력증후 간기능수치, 비만지수, 당대사수치, 지질대사수치, 삶의질평가등의건강정보에대해서도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AST(p=0.001), ALT(p=0.011), 공복혈당 (p=0.009), 식후 1시간인슐린 (p=0.021), 식후 2시간인슐린 (p=0.048), 고밀도콜레스테롤 (p=0.048), 중성지방 (p=0.013), WHOQOL-BREF( 삶의질척도 ) 검사의신체건강영역 (p=0.011) 과사회적영역 (p=<0.001), KMMSE( 기억인지력검사, p=<0.001), 근력검사 (p=<0.001) 의경우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 표 33). 추적군과탈락군 (2-4년미참여군과 6년이상미참여군 ) 의질병상태와건강정보를확인한결과, 탈

42 락군 (2-4 년미참여군과 6 년이상미참여군 ) 의건강정보와질병상태가추적군보다나쁜것으로나타났 다. 따라서추후탈락군 (2-4 년미참여군과 6 년이상미참여군 ) 들에대하여건강관리의중요성을인식 시켜연구에적극적으로참여할수있도록관리해야할것이다. 추적 기년도추적군 탈락군비교분석 연구대상자들을본연구에꾸준히참여한추적군과탈락군 (2-4 년미참여군과 6 년이상미참여군 ) 으로구분하여건강정보와질병상태를비교평가하였다. 성별 ( 표 34. 검진대상자별성별 연령별분포 ) 탈락군추적 p-value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남자 1,119(41.9%) 141(43.4%) 101(42.4%) 여자 1,553(58.1%) 184(56.6%) 137(57.6%) 연령 68.09± ± ±8.96 <0.001 검진대상자들의평균연령은추적군에서 68.09±8.33세였고, 2~4년미참여군은 70.69±8.73세, 6 년이상미참여군은 68.86±8.96세로추적군보다탈락군의연령이높았으며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는있는것으로나타났다. 추적군과탈락군모두여성의참여율이높았으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868) 는없었다 ( 표 34). ( 표 35. 검진대상자별질병상태 )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당뇨망막병증 추적 탈락군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 Total Normal 1,739(68.8%) 149(60.1%) 92(58.6%) 1980(67.5%) DM 789(31.2%) 99(39.9%) 65(41.4%) 953(32.5%) 정상 1,872(70.1%) 229(70.5%) 177(74.4%) 2278(70.4%) 고혈압 799(29.9%) 96(29.5%) 61(25.6%) 956(29.6%) 정상 1,358(53.2%) 110(39.4%) 88(53.0%) 1556(51.9%) 골다공증 1,196(46.8%) 169(60.6%) 78(47.0%) 1443(48.1%) 정상 802(30.3%) 91(30.4%) 76(37.3%) 969(30.8%) 대사증후군 1,842(69.7%) 208(69.6%) 128(62.7%) 2178(69.2%) 정상 2,359(95.5%) 199(91.7%) 128(96.2%) 2686(95.2%) 비증식성 94(3.8%) 11(5.1%) 3(2.3%) 108(3.8%) 증식성 18(0.7%) 7(3.2%) 2(1.5%) 27(1.0%) p-value < 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인당뇨병의경우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특히미참여기간이길수록당뇨병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추적군의유병률은 31.2% 로나타났으며, 탈락군을포함한전체유병률은 32.5% 로나타나탈락군의유병률이높게나타났

43 으나, 전체유병률에는큰영향을미치지않았다. 고혈압의경우에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382) 가없었다. 골다공증의경우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당뇨병과고혈압및심혈관질환의위험지표가되는대사증후군에서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118) 가없었다.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와증식성인경우모두탈락군에서높게나타났으며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4) 가있었다 ( 표 35). 질병상태에서는당뇨병과골다공증, 당뇨망막병증상태에서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특히탈락군에서질환의당뇨병유병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36. 검진대상자별건강정보 ) 탈락군추적군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 (n=2,672) (n=325) (n=238) p-value 수축기혈압 ( mmhg) ± ± ± 이완기혈압 ( mmhg) 71.55± ± ± AST(IU/I) 25.91± ± ±1.44 <0.001 ALT(IU/I) 19.89± ± ± 체지방율 (%) 30.26± ± ± 체질량지수 ( kg / m2 ) 24.52± ± ± 허리둘레 ( cm ) 90.10± ± ± Waist/Hip ratio 0.95± ± ± 공복혈당 ( mg / dl ) ± ± ± 시간혈당 ( mg / dl ) ± ± ± 시간혈당 ( mg / dl ) ± ± ± 공복인슐린 (μu/ ml ) 8.28± ± ± 식후 1시간인슐린 (μu/ ml ) 29.24± ± ± 식후 2시간인슐린 (μu/ ml ) 19.93± ± ± β-cell function 88.41± ± ± HOMA Insulin resistance 2.03± ± ± Quicki index 0.61± ± ± ISI composite 6.64± ± ± Insulinogenic index 7.39± ± ± 당화혈색소 (%) 5.97± ± ± 총콜레스테롤 ( mg / dl ) ± ±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45.38± ±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 ± ± 중성지방 ( mg / dl ) ± ± ± W H O Q O L - 신체적건강영역 13.49± ± ±3.03 <0.001 심리적영역 13.00± ± ± B R E F ( 삶의사회적영역 13.23± ± ±2.64 <0.001 질척도 ) 생활환경영역 12.65± ± ± KMMSE( 기억인지력검사 ) 25.10± ± ±4.25 <0.001 GDS( 우울증검사 ) 2.96± ± ± 근력검사 27.09± ± ± 추적군과탈락군과의차이를좀더세심하게살펴보기위하여활력증후 간기능수치, 비만지수,

44 당대사수치, 지질대사수치, 삶의질평가등의건강정보에대해서도비교분석을실시하였다. AST(p=<0.001), ALT(p=0.028), 체질량지수 (p=0.038), 공복혈당 (p=0.023), 식후 1시간인슐린 (p=0.048), 고밀도콜레스테롤 (p=0.026), 저밀도콜레스테롤 (p=0.008), 중성지방 (p=0.009), WHOQOL-BREF( 삶의질척도 ) 검사의신체건강영역 (p=<0.001) 과사회적영역 (p=<0.001), KMMSE ( 기억인지력검사, p=<0.001), 근력검사 (p=0.002) 의경우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 표 36). 추적군과탈락군 (2-4년미참여군과 6년이상미참여군 ) 의질병상태와건강정보를확인한결과, 탈락군 (2-4년미참여군과 6년이상미참여군 ) 의건강정보와질병상태가추적군보다나쁜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추후탈락군 (2-4년미참여군과 6년이상미참여군 ) 들에대하여건강관리의중요성을인식시켜연구에적극적으로참여할수있도록관리해야할것이다. 추적 기년도추적군 탈락군의질환별발생률비교 연구대상자들을본연구에꾸준히참여한추적군과탈락군 (2-4 년미참여군과 6 년이상미참여군 ) 으로구분하여질환에따른발생률을비교평가하였다. ( 표 37. 검진대상자별질환별발생률 )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추적 탈락군 2~4년미참여군 6년이상미참여군 Total Normal 1728(76.7%) 148(71.8%) 92(73.0%) 1968(76.1%) DM 526(23.3%) 58(28.2%) 34(27.0%) 618(23.9%) 정상 1702(86.5%) 201(84.1%) 157(85.3%) 2060(86.2%) 고혈압 265(13.5%) 38(15.9%) 27(14.7%) 330(13.8%) 정상 1348(64.6%) 110(52.1%) 87(68.0%) 1545(63.7%) 골다공증 739(35.4%) 101(47.9%) 41(32.0%) 881(36.3%) 정상 796(45.3%) 91(47.6%) 76(57.6%) 963(46.3%) 대사증후군 961(54.7%) 100(52.4%) 56(42.4%) 1117(53.7%) p-value 추적의참여여부에따른부분이질환의발생률에미치는영향을비교한결과안성코호트의중점질환인당뇨병의경우추적군에비해탈락군의비율에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212) 는보이지않았다. 또한추적군의발생률은 23.3%, 전체의발생률은 23.9% 로나타나추적의참석여부에따른전체적인발생률에미치는영향은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고혈압의경우에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554) 가없었다. 골다공증 (p=0.001) 과대사증후군 (p=0.022) 에서는추적군과탈락군간에유의한차이를보였으나, 추적군과전체의발생률차이가골다공증은 0.9%, 대사증후군은 1.0% 로큰차이를보이지않아질환의발생률이과소평가될수있는위험은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37)

45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된검사수치변화및양상분석 당뇨병 가 추적 기 차년도당뇨병발생률의관계요인분석 년 추적 7기 2차년도 (2016년) 검진을통해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당뇨병의병인요소로의심되는변수들의검사수치변화상태를분석하였다. 본연구가전향성연구라는점을감안하여당뇨병진단에따라반복측정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Variables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821) (N=189) (N=53) p-value 연령 66.46± ± ± 기초검사 ± ± ±16.99 <0.001 추적1기 ± ± ±18.47 <0.001 추적2기 ± ± ±12.95 <0.001 수축기혈압추적3기 ± ± ±12.90 <0.001 * ns ( mmhg) 추적4기 ± ± ±17.66 <0.001 추적5기 ± ± ±18.47 <0.001 추적6기 ± ± ±20.75 <0.001 추적7기 ± ± ±14.01 <0.001 기초검사 75.37± ± ±9.59 <0.001 추적1기 74.26± ± ±10.63 <0.001 추적2기 77.04± ± ± 이완기혈압추적3기 74.72± ± ± ( mmhg) 추적4기 72.95± ± ± 추적5기 71.79± ± ± 추적6기 70.96± ± ± 추적7기 72.72± ± ± 기초검사 22.60± ± ± 추적1기 22.85± ± ± 추적2기 23.10± ± ± AST 추적3기 22.79± ± ± ns (IU/I) 추적4기 23.62± ± ± 추적5기 26.13± ± ± 추적6기 24.41± ± ± 추적7기 25.50± ± ±1.45 <0.001 기초검사 18.55± ± ±1.57 <0.001 추적1기 18.61± ± ± 추적2기 19.70± ± ± ALT 추적3기 18.81± ± ± ns ns (IU/I) 추적4기 19.76± ± ± 추적5기 19.68± ± ± 추적6기 19.50± ± ± 추적7기 18.88± ± ±1.57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p<

46 당뇨병진단별연령분포를살펴보면, 내당능장애군이 68.39±7.87세로가장많았으며, 다음으로당뇨병군이 68.36±8.37세, 정상군이 66.46±8.15세로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5) 가있었다. 수축기혈압의경우검사시기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검사시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다. 이완기혈압의경우추적4기와추적5기, 추적6기를제외한나머지검사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간기능수치인 AST의경우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에서만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ALT의경우추적2기와추적5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으며, 검사시기별모두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의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38, 그림 3)

47 ( 그림 3. 당뇨병진단별활력증후 간기능수치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48 Variables 체지방률 (%) 체질량지수 ( kg / m2 ) 허리둘레 ( cm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821) (N=189) (N=53) p-value 기초검사 24.73± ± ±5.94 <0.001 추적1기 25.33± ± ±6.65 <0.001 추적2기 25.01± ± ±6.92 <0.001 추적3기 24.96± ± ±6.55 <0.001 추적4기 25.05± ± ±6.76 <0.001 추적5기 25.84± ± ±6.61 <0.001 추적6기 29.03± ± ±7.09 <0.001 추적7기 29.23± ± ±7.50 <0.001 기초검사 24.16± ± ±3.02 <0.001 추적1기 24.23± ± ±2.97 <0.001 추적2기 24.09± ± ±3.42 <0.001 추적3기 23.77± ± ±3.50 <0.001 ns 추적4기 23.91± ± ±3.55 <0.001 추적5기 23.88± ± ±3.62 <0.001 추적6기 24.03± ± ±3.52 <0.001 추적7기 24.05± ± ±4.15 <0.001 기초검사 82.46± ± ±6.90 <0.001 추적1기 85.12± ± ±7.13 <0.001 추적2기 86.27± ± ±8.94 <0.001 추적3기 86.27± ± ±8.37 <0.001 추적4기 85.81± ± ±8.83 <0.001 추적5기 84.18± ± ±9.05 <0.001 추적6기 88.43± ± ±8.53 <0.001 추적7기 88.65± ± ±9.43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p<0.001 당뇨병과관계된위험요소들중비만도를나타내는여러변수들을당뇨병진단별로구분하여비교분석하였다.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모두검사시기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체지방률과허리둘레의경우모든군 (p<0.001) 에서, 체질량지수의경우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 (p<0.001) 에서만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체지방률과체질량지수의경우시간이지남에따라정상군과당뇨병군이차별화되는경향을보이고있었다. 허리둘레의경우검사시기에따라당뇨병진단별로차이가일정하게유지됨을알수있었으며, 검사시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비만은당뇨병을유발시키는원인이되는주요한인자임을본연구결과를통하여다시금확인하였다 ( 표 39, 그림 4)

49 ( 그림 4. 당뇨병진단별비만지수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50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 시간혈당 ( mg / dl ) 2 시간혈당 ( mg / dl ) 공복인슐린 (μu/ ml ) 1 시간인슐린 (μu/ ml ) 2 시간인슐린 (μu/ ml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821) (N=189) (N=53) p-value 기초검사 85.91± ± ±7.90 <0.001 추적1기 91.20± ± ±9.19 <0.001 추적2기 87.94± ± ±8.89 <0.001 추적3기 92.19± ± ±10.56 <0.001 추적4기 93.22± ± ±9.73 <0.001 추적5기 90.39± ± ±10.95 <0.001 추적6기 89.73± ± ±9.04 <0.001 추적7기 91.36± ± ±39.88 <0.001 기초검사 ± ± ±38.48 <0.001 추적1기 ± ± ±38.94 <0.001 추적2기 ± ± ±42.40 <0.001 추적3기 ± ± ±43.59 <0.001 추적4기 ± ± ±32.68 <0.001 추적5기 ± ± ±40.19 <0.001 추적6기 ± ± ±35.02 <0.001 추적7기 ± ± ±67.94 <0.001 기초검사 ± ± ±29.68 <0.001 추적1기 ± ± ±29.99 <0.001 추적2기 ± ± ±33.92 <0.001 추적3기 ± ± ±33.67 <0.001 추적4기 ± ± ±29.43 <0.001 추적5기 ± ± ±33.13 <0.001 추적6기 ± ± ±30.21 <0.001 추적7기 ± ± ±66.07 <0.001 기초검사 6.83± ± ± 추적1기 7.17± ± ± 추적2기 6.89± ± ±1.55 <0.001 추적3기 7.88± ± ±1.56 <0.001 * 추적4기 7.10± ± ±1.52 <0.001 추적5기 6.72± ± ±1.47 <0.001 추적6기 7.23± ± ±1.51 <0.001 추적7기 7.51± ± ±1.87 <0.001 기초검사 20.53± ± ± 추적1기 21.28± ± ± 추적2기 18.93± ± ±2.26 <0.001 추적3기 23.08± ± ± ns 추적4기 25.92± ± ±2.68 <0.001 추적5기 26.33± ± ± 추적6기 24.22± ± ± 추적7기 30.32± ± ± 기초검사 13.49± ± ±2.73 <0.001 추적1기 11.99± ± ±2.17 <0.001 추적2기 11.28± ± ±2.39 <0.001 추적3기 16.58± ± ±2.39 <0.001 ** 추적4기 14.46± ± ±2.61 <0.001 추적5기 14.90± ± ±1.95 <0.001 추적6기 13.93± ± ±2.54 <0.001 추적7기 17.37± ± ±2.47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

51 당대사수치를당뇨병진단별로구분하여비교분석한결과, 공복혈당과 1시간혈당, 2시간혈당모두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도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또한내당능장애군과당뇨병군에서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혈당수치의증가폭도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공복인슐린과 2시간인슐린의경우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인유의성 (p<0.05, p<0.01, p<0.001) 을보였으며, 1시간인슐린의경우당뇨병군을제외한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다. 또한공복인슐린, 1시간인슐린, 2시간인슐린의경우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40, 그림 5)

52 ( 그림 5. 당뇨병진단별당대사수치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53 Variables β-cell function HOMA Insulin resistance Quicki index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821) (N=189) (N=53) p-value 기초검사 ± ± ± 추적1기 95.61±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 추적4기 88.30± ± ± 추적5기 92.57±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2.10 <0.001 기초검사 1.44± ± ± 추적1기 1.61± ± ± 추적2기 1.49± ± ±1.60 <0.001 추적3기 1.79± ± ±1.62 <0.001 ** 추적4기 1.63± ± ±1.57 <0.001 추적5기 1.49± ± ±1.56 <0.001 추적6기 1.59± ± ±1.55 <0.001 추적7기 1.69± ± ±2.02 <0.001 기초검사 0.67± ± ± 추적1기 0.65± ± ± 추적2기 0.66± ± ±1.13 <0.001 추적3기 0.63± ± ±1.13 <0.001 ** 추적4기 0.64± ± ±1.12 <0.001 추적5기 0.66± ± ±1.12 <0.001 추적6기 0.65± ± ±1.12 <0.001 추적7기 0.64± ± ±1.19 <0.001 p Repeated ANOVA, ** : p<0.01, : p<0.001 당대사응용수치 (1) 를비교분석한결과, β-cell function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1기 (p<0.05), 추적7기 (p<0.001) 에서만각군간에통계적인유의성을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나타났다. 인슐린저항성모형을응용한 HOMA Insulin resistance의경우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도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를보였다. 또한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는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는당뇨병군이 HOMA Insulin resistance 수치가높은양상을보였다. Quicki index의경우에는기초검사를제외한나머지검사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01) 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를보였다. 또한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이 Quicki index 수치가낮은것을확인할수있었다 ( 표 41, 그림 6)

54 ( 그림 6. 당뇨병진단별 1)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55 Variables GAUC IAUC I over G ISI IGI 검사 시기 NGT (N=821) p 당뇨병진단 IGT (N=189) p DM (N=53) p p-value 기초검사 ± ± ±1.18 <0.001 추적1기 ± ± ±1.16 <0.001 추적2기 ± ± ±1.21 <0.001 추적3기 ± ± ±1.20 <0.001 추적4기 ± ± ±1.14 <0.001 추적5기 ± ± ±1.18 <0.001 추적6기 ± ± ±1.15 <0.001 추적7기 ± ± ±1.23 <0.001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2.20 <0.001 추적2기 ± ± ±2.01 <0.001 추적3기 ± ± ±2.07 <0.001 ** 추적4기 ± ± ±2.20 <0.001 추적5기 ± ± ±1.95 <0.001 추적6기 ± ± ±2.02 <0.001 추적7기 ± ± ±2.02 <0.001 기초검사 0.15± ± ± 추적1기 0.15± ± ± 추적2기 0.13± ± ± 추적3기 0.17± ± ± ns 추적4기 0.17± ± ± 추적5기 0.17± ± ± 추적6기 0.16± ± ± 추적7기 0.20± ± ± 기초검사 9.44± ± ±1.81 <0.001 추적1기 9.08± ± ±1.81 <0.001 추적2기 10.00± ± ±1.71 <0.001 추적3기 8.02± ± ±1.81 <0.001 * 추적4기 8.07± ± ±1.76 <0.001 추적5기 8.54± ± ±1.70 <0.001 추적6기 8.32± ± ±1.72 <0.001 추적7기 7.45± ± ±1.81 <0.001 기초검사 7.41± ± ± 추적1기 7.07± ± ± 추적2기 5.75± ± ± 추적3기 7.95± ± ± ns 추적4기 9.45± ± ± 추적5기 8.74± ± ± 추적6기 6.81± ± ±5.16 <0.001 추적7기 10.42± ± ±3.41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0.001 당대사응용수치 (2) 를비교분석한결과, 혈당변화의면적인 Glucose AUC 의경우모든시기에서 당뇨병진단별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정상군보다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

56 장애군보다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다.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특히당뇨병군의경우추적시기에따라증가폭이다른군들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변화의면적인 Insulin AUC에서는검사시기별군간의비교에서당뇨병군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각군의검사시기별비교에서는모든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과혈당의변화면적의비를나타내는 I over G의경우추적2기 (p<0.05) 와추적7기 (p<0.01) 에서만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에서만추적시기에따른변화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민감도를나타내는 ISI composite의경우모든검사시기 (p<0.001) 에서, 인슐린분비기능을나타내는 Insulinogenic index의경우에는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모든시기에서당뇨병군의수치가가장낮게나타나당뇨병진단의중요한참고수치로확인되었다. 또한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 ISI composite의경우모든군 (p<0.05, p<0.001) 에서, Insulinogenic index의경우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 (p<0.001) 에서만추적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42, 그림 7)

57 ( 그림 7. 당뇨병진단별 2)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58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821) (N=189) (N=53) p-value 기초검사 ± ± ±27.28 <0.001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49.74± ± ± 추적1기 47.81± ± ± 추적2기 42.87± ± ± 추적3기 46.60± ± ± 추적4기 44.30± ± ± 추적5기 46.54± ± ± 추적6기 44.75± ± ± 추적7기 46.47±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1.56 <0.001 추적2기 ± ± ±1.70 <0.001 추적3기 ± ± ±1.59 <0.001 * ns ns 추적4기 ± ± ±1.83 <0.001 추적5기 ± ± ± 추적6기 ± ± ±1.53 <0.001 추적7기 ± ± ±1.64 <0.001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p<0.001 당뇨병의주요발병원인으로이미여러연구를통하여알려진지질관련변수들도당뇨병에전향적으로미치는영향을평가하기위하여앞의다른변수들과동등하게반복측정분산분석법으로평가하였다. 총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고, 기초검사 (p<0.001) 와추적1기 (p<0.01), 추적2기 (p<0.05), 추적3기 (p<0.01) 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에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

59 보였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당뇨병군보다는정상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중성지방의경우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검사시기별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를보였다. 저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당뇨병군보다는정상군에서수치가낮게나타났으며, 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01) 를보였다 ( 표 43, 그림 8). ( 그림 8. 당뇨병진단별지질대사수치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나 추적 기년도당뇨병발생의관계요인분석 년 년 추적 7기년도 (205년, 2016년 ) 검진을통해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당뇨병의병인요소로의심되는변수들의검사수치변화상태를분석하였다. 본연구가전향성연구라는점을감안하여당뇨병진단에따라반복측정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60 Variables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1,579) (N=389) (N=122) p-value 연령 66.83± ± ±8.58 <0.001 기초검사 ± ± ±16.60 <0.001 추적1기 ± ± ±17.75 <0.001 추적2기 ± ± ±13.76 <0.001 수축기혈압추적3기 ± ± ±15.85 <0.001 ns ( mmhg) 추적4기 ± ± ±18.60 <0.001 추적5기 ± ± ±16.17 <0.001 추적6기 ± ± ±18.68 <0.001 추적7기 ± ± ±16.25 <0.001 기초검사 75.27± ± ±10.22 <0.001 추적1기 75.41± ± ±10.21 <0.001 추적2기 77.04± ± ±8.25 <0.001 이완기혈압추적3기 75.59± ± ± ( mmhg) 추적4기 73.96± ± ± 추적5기 72.66± ± ± 추적6기 71.39± ± ± 추적7기 71.55± ± ± 기초검사 24.35± ± ± 추적1기 22.76± ± ± 추적2기 23.87± ± ± AST 추적3기 24.06± ± ± * (IU/I) 추적4기 23.97± ± ± 추적5기 26.19± ± ± 추적6기 24.17± ± ± 추적7기 25.42± ± ±1.47 <0.001 기초검사 20.29± ± ±1.54 <0.001 추적1기 18.42± ± ±1.55 <0.001 추적2기 19.48± ± ± ALT 추적3기 20.14± ± ± ns (IU/I) 추적4기 19.85± ± ±1.60 <0.001 추적5기 19.72± ± ± 추적6기 18.46± ± ±1.51 <0.001 추적7기 18.82± ± ±1.65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p<0.001 당뇨병진단별연령분포를살펴보면, 당뇨병군이 68.97±8.58세로가장많았으며, 다음으로내당능장애군이 68.60±8.01세, 정상군이 66.83±8.37세로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다. 수축기혈압의경우검사시기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검사시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다. 이완기혈압의경우검사시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61 간기능수치인 AST와 ALT의경우기존의연구를통해중요한당뇨병발생의원인변수로확인되었던것과같은결과로검사시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AST의경우기초검사 (p<0.01) 와추적1기 (p<0.05) 와추적7기 (p<0.001) 에서만, ALT에서는모든시기에서당뇨병진단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반복측정분산분석결과에서 AST의경우모든군 (p<0.05, p<0.001) 에서, ALT의경우당뇨병군을제외한모든군 (p<0.001) 에서시기간의효과를보였다 ( 표 44, 그림 9). ( 그림 9. 당뇨병진단별활력증후 간기능수치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62 Variables 체지방률 (%) 체질량지수 ( kg / m2 ) 허리둘레 ( cm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1,579) (N=389) (N=122) p-value 기초검사 25.45± ± ±7.27 <0.001 추적1기 25.70± ± ±7.08 <0.001 추적2기 24.91± ± ±7.36 <0.001 추적3기 24.87± ± ±6.91 <0.001 추적4기 25.41± ± ±6.90 <0.001 추적5기 25.93± ± ±7.53 <0.001 추적6기 28.79± ± ±7.40 <0.001 추적7기 29.16± ± ±7.73 <0.001 기초검사 24.03± ± ±3.57 <0.001 추적1기 24.22± ± ±3.34 <0.001 추적2기 24.08± ± ±3.60 <0.001 추적3기 23.93± ± ±3.53 <0.001 ns 추적4기 23.90± ± ±3.65 <0.001 추적5기 23.93± ± ±3.62 <0.001 추적6기 23.97± ± ±3.48 <0.001 추적7기 24.05± ± ±4.00 <0.001 기초검사 82.72± ± ±7.87 <0.001 추적1기 85.35± ± ±7.71 <0.001 추적2기 85.39± ± ±9.26 <0.001 추적3기 86.89± ± ±8.24 <0.001 추적4기 86.46± ± ±9.08 <0.001 추적5기 85.29± ± ±8.62 <0.001 추적6기 87.94± ± ±8.12 <0.001 추적7기 88.74± ± ±9.66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p<0.001 추적 7기년도전체참여자들의비만지수에대한분석결과를보면, 체지방률, 체질량지수그리고허리둘레모두검사시기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결과에서는체지방률과허리둘레의경우모든군 (p<0.001) 에서, 체질량지수의경우당뇨병군을제외한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성 (p<0.001) 을보였다.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모두검사시기별로는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으며, 특히허리둘레의경우모든군에서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평균수치역시증가하며증가폭도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비만은당뇨병을유발시키는원인이되는주요한인자임을본연구를통하여다시금확인하였다 ( 표 45, 그림 10)

63 ( 그림 10. 당뇨병진단별비만지수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64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 시간혈당 ( mg / dl ) 2 시간혈당 ( mg / dl ) 공복인슐린 (μu/ ml ) 1 시간인슐린 (μu/ ml ) 2 시간인슐린 (μu/ ml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1,579) (N=389) (N=122) p-value 기초검사 82.90± ± ±8.67 <0.001 추적1기 89.33± ± ±9.29 <0.001 추적2기 88.57± ± ±9.44 <0.001 추적3기 90.80± ± ±9.78 <0.001 추적4기 92.95± ± ±9.91 <0.001 추적5기 91.28± ± ±10.97 <0.001 추적6기 89.90± ± ±9.90 <0.001 추적7기 91.46± ± ±34.07 <0.001 기초검사 ± ± ±38.92 <0.001 추적1기 ± ± ±43.42 <0.001 추적2기 ± ± ±41.95 <0.001 추적3기 ± ± ±44.25 <0.001 추적4기 ± ± ±43.12 <0.001 추적5기 ± ± ±40.56 <0.001 추적6기 ± ± ±35.26 <0.001 추적7기 ± ± ±61.66 <0.001 기초검사 ± ± ±33.05 <0.001 추적1기 ± ± ±31.07 <0.001 추적2기 ± ± ±33.33 <0.001 추적3기 ± ± ±32.51 <0.001 추적4기 ± ± ±32.66 <0.001 추적5기 ± ± ±32.30 <0.001 추적6기 ± ± ±30.69 <0.001 추적7기 ± ± ±63.12 <0.001 기초검사 6.59± ± ± 추적1기 6.42± ± ± 추적2기 6.60± ± ±1.59 <0.001 추적3기 7.54± ± ±1.55 <0.001 ** 추적4기 7.63± ± ±1.45 <0.001 추적5기 6.86± ± ±1.53 <0.001 추적6기 7.50± ± ±1.51 <0.001 추적7기 7.54± ± ±2.00 <0.001 기초검사 23.01± ± ± 추적1기 18.07± ± ± 추적2기 19.97± ± ±2.30 <0.001 추적3기 23.51± ± ± * 추적4기 26.37± ± ±2.35 <0.001 추적5기 27.63± ± ±2.16 <0.001 추적6기 27.51± ± ± 추적7기 28.64± ± ± 기초검사 16.23± ± ±2.67 <0.001 추적1기 11.48± ± ±2.15 <0.001 추적2기 11.52± ± ±2.31 <0.001 추적3기 16.35± ± ±2.29 <0.001 추적4기 15.58± ± ±2.35 <0.001 추적5기 15.21± ± ±2.25 <0.001 추적6기 15.32± ± ±2.47 <0.001 추적7기 16.30± ± ±2.45 <0.001 p Repeated ANOVA, * : p<0.05, ** : p<0.01, : p<

65 공복혈당, 1시간혈당, 2시간혈당모두검사시기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정상군보다는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는당뇨병군의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내당능장애군과당뇨병군에서는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혈당수치의증가폭도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으며, 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공복인슐린과 1시간인슐린, 2시간인슐린모두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를보였으며, 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46, 그림 11)

66 ( 그림 11. 당뇨병진단별당대사수치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67 Variables β-cell function HOMA Insulin resistance Quicki index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1,579) (N=389) (N=122) p-value 기초검사 ± ± ± 추적1기 92.30± ± ± 추적2기 97.61± ± ± 추적3기 ± ± ± ** 추적4기 95.57± ± ± 추적5기 91.54± ± ± 추적6기 ± ± ±1.54 <0.001 추적7기 99.97± ± ±2.03 <0.001 기초검사 1.34± ± ± 추적1기 1.41± ± ± 추적2기 1.44± ± ±1.65 <0.001 추적3기 1.68± ± ±1.61 <0.001 추적4기 1.74± ± ±1.52 <0.001 추적5기 1.54± ± ±1.58 <0.001 추적6기 1.66± ± ±1.56 <0.001 추적7기 1.69± ± ±2.16 <0.001 기초검사 0.69± ± ± 추적1기 0.67± ± ± 추적2기 0.67± ± ±1.14 <0.001 추적3기 0.64± ± ±1.13 <0.001 추적4기 0.63± ± ±1.11 <0.001 추적5기 0.66± ± ±1.13 <0.001 추적6기 0.64± ± ±1.12 <0.001 추적7기 0.64± ± ±1.19 <0.001 p Repeated ANOVA, ** : p<0.01, : p<0.001 β-cell function의경우모든검사시기에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의 β-cell function 수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추적1기 (p<0.01) 와추적5기 (p<0.05), 추적6기와추적7기 (p<0.001) 에서만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모든군에서시기간의효과 (p<0.01, p<0.001) 를보였다. 인슐린저항성모형을응용한 HOMA Insulin resistance의경우추적1기를제외한모든검사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으며, 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는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는당뇨병군이 HOMA Insulin resistance 수치가높은양상을보였다. 또한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도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Quicki index의경우에는기초검사와추적1기를제외한모든검사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또한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이 Quicki index 수치가낮은것을확인할수있었다 ( 표 47, 그림 12)

68 ( 그림 12. 당뇨병진단별 1)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69 Variables GAUC IAUC I over G ISI IGI 검사 시기 NGT (N=1,579) p 당뇨병진단 IGT (N=389) p DM (N=122) p p-value 기초검사 ± ± ±1.20 <0.001 추적1기 ± ± ±1.21 <0.001 추적2기 ± ± ±1.21 <0.001 추적3기 ± ± ±1.22 <0.001 추적4기 ± ± ±1.21 <0.001 추적5기 ± ± ±1.18 <0.001 추적6기 ± ± ±1.16 <0.001 추적7기 ± ± ±1.22 <0.001 기초검사 ± ± ±2.18 <0.001 추적1기 ± ± ±2.13 <0.001 추적2기 ± ± ±1.98 <0.001 추적3기 ± ± ±1.96 <0.001 * 추적4기 ± ± ±2.03 <0.001 추적5기 ± ± ±1.95 <0.001 추적6기 ± ± ±2.05 <0.001 추적7기 ± ± ±2.04 <0.001 기초검사 0.17± ± ± 추적1기 0.13± ± ± 추적2기 0.14± ± ± 추적3기 0.17± ± ± * 추적4기 0.18± ± ± 추적5기 0.18± ± ± 추적6기 0.18± ± ± 추적7기 0.19± ± ±2.12 <0.001 기초검사 9.29± ± ±1.89 <0.001 추적1기 10.30± ± ±1.79 <0.001 추적2기 10.00± ± ±1.70 <0.001 추적3기 8.29± ± ±1.77 <0.001 추적4기 7.74± ± ±1.72 <0.001 추적5기 8.20± ± ±1.68 <0.001 추적6기 7.79± ± ±1.74 <0.001 추적7기 7.61± ± ±1.76 <0.001 기초검사 8.11± ± ±3.59 <0.001 추적1기 6.04± ± ± 추적2기 6.74± ± ± 추적3기 8.30± ± ±2.85 <0.001 ** 추적4기 9.44± ± ±3.14 <0.001 추적5기 9.50± ± ±3.08 <0.001 추적6기 8.05± ± ±4.07 <0.001 추적7기 9.59± ± ±3.16 <0.001 p Repeated ANOVA, * : p<0.05, ** : p<0.01, : p<0.001 혈당변화의면적인 Glucose AUC 의경우모든시기에서당뇨병진단별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정상군보다내당능장애군이, 내당능장애군보다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다

70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도모든군에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특히당뇨병군의경우추적시기에따라증가폭이다른군들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변화의면적인 Insulin AUC에서는검사시기별군간의비교에서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에따른수치변화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과혈당의변화면적의비를나타내는 I over G의경우추적7기에서만당뇨병진단별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 (p<0.001), 당뇨병군 (p<0.05) 모두에서검사시기에따른수치변화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민감도를나타내는 ISI composite에서는모든검사시기에서당뇨병군에서수치가가장낮게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또한각군의검사시기에따른반복측정분석에서정상군, 내당능장애군, 당뇨병군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으며, 세군모두검사시기에따라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인슐린분비기능을나타내는 Insulinogenic index의경우에도검사시기별군간의비교에서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낮게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다. 또한각군의검사시기에따른반복측정분석에서모든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48, 그림 13)

71 ( 그림 13. 당뇨병진단별 2)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72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당뇨병진단검사 NGT IGT DM 시기 p p p (N=1,579) (N=389) (N=122) p-value 기초검사 ± ± ±31.45 <0.001 추적1기 ± ± ±34.56 <0.001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47.53± ± ± 추적1기 46.65± ± ± 추적2기 43.98± ± ± 추적3기 44.46± ± ± * 추적4기 43.44± ± ± 추적5기 47.29± ± ± 추적6기 46.14± ± ± 추적7기 46.90± ± ± 기초검사 ± ± ±1.61 <0.001 추적1기 ± ± ±1.58 <0.001 추적2기 ± ± ±1.76 <0.001 추적3기 ± ± ±1.60 <0.001 ** * 추적4기 ± ± ±1.67 <0.001 추적5기 ± ± ±1.70 <0.001 추적6기 ± ± ±1.63 <0.001 추적7기 ± ± ±1.71 <0.001 기초검사 ± ± ±30.52 <0.001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0.001 추적 7기년도전체참여자들의당뇨병과강한관계성을보이고있는지질관련변수들도당뇨병에전향적으로미치는영향을평가하기위하여반복측정분산분석법을실시하였다. 총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보다는당뇨병군에서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정상군과내당능장애군에서만검사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모둔군에서시기간의효과 (p<0.05, p<0.001) 를보였으며, 검사시기별로정상군에비해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낮음을확인하였다

73 중성지방의경우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모든군에서시기간의효과 (p<0.05, p<0.01, p<0.001) 를보였다. 또한검사시기별로는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저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기초검사 (p<0.001) 와추적1기 (p<0.01) 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당뇨병진단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01) 를보였다 ( 표 49, 그림 14). ( 그림 14. 당뇨병진단별지질대사수치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골다공증 가 추적 기 차년도골다공증발생률의관계요인분석 년 추적 7기 2차년도 (2016년) 검진을통해골다공증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골다공증진단에따라반복측정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74 Variables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456) (N=380) (N=20) p-value 연령 63.95± ± ±8.57 <0.001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수축기혈압추적3기 ± ± ± ** ( mmhg)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76.84± ± ± 추적1기 75.44± ± ± 추적2기 78.64± ± ± 이완기혈압추적3기 76.28± ± ± * ( mmhg) 추적4기 74.22± ± ± 추적5기 72.97± ± ± 추적6기 72.67± ± ± 추적7기 73.86± ± ± 기초검사 24.42± ± ± 추적1기 24.14± ± ± 추적2기 24.16± ± ± AST 추적3기 24.14± ± ± (IU/I) 추적4기 24.96± ± ± 추적5기 26.84± ± ± 추적6기 25.28± ± ± 추적7기 26.35± ± ± 기초검사 22.42± ± ±1.43 <0.001 추적1기 21.63± ± ±1.38 <0.001 추적2기 22.51± ± ±1.50 <0.001 ALT 추적3기 22.07± ± ± ns ns ns (IU/I) 추적4기 22.75± ± ±1.40 <0.001 추적5기 22.21± ± ±1.34 <0.001 추적6기 22.05± ± ±1.47 <0.001 추적7기 21.52± ± ±1.50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0.001 추적 7기 2차년도참여자들의연령분포를보면, 골다공증군이 68.65±8.57세로가장많았으며, 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수축기혈압의경우추적4기 (p<0.05) 에서만, 이완기혈압의경우추적7기 (p<0.05) 에서만, AST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1기 (p<0.05, p<0.01) 에서만, ALT의경우모든시기 (p<0.01, p<0.001) 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검사시기별변화를살펴본결과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AST의경우모든군에서시기간의차이 (p<0.05,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75 특히수축기혈압과 ALT 의경우검사기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에서평균수치가 낮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 표 50). Variables 체질량지수 ( kg / m2 ) 체지방률 (%) Waist/Hip ratio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456) (N=380) (N=20) p-value 기초검사 25.07± ± ±3.16 <0.001 추적1기 25.15± ± ±2.64 <0.001 추적2기 25.09± ± ±2.47 <0.001 추적3기 24.73± ± ±1.80 <0.001 * 추적4기 24.91± ± ±1.91 <0.001 추적5기 24.91± ± ±2.42 <0.001 추적6기 25.01± ± ±2.34 <0.001 추적7기 25.00± ± ±3.01 <0.001 기초검사 23.41± ± ± 추적1기 24.05± ± ± 추적2기 23.56± ± ± 추적3기 23.43± ± ± ns 추적4기 23.56± ± ± 추적5기 24.17± ± ± 추적6기 27.34± ± ± 추적7기 27.75± ± ± 기초검사 0.93± ± ± 추적1기 0.94± ± ± 추적2기 0.95± ± ± 추적3기 0.95± ± ± 추적4기 0.95± ± ± 추적5기 0.93± ± ± 추적6기 0.97± ± ± 추적7기 0.93±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p<0.001 체질량지수의경우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으며, 골다공증진단별로시기간의효과는모든군 (p<0.05, p<0.001) 에서유의하였으며, 정상군에비해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낮은경향을보였다. 체지방률의경우정상군보다는골감소증군의평균수치가높게경향을보였다. 또한추적3기와추적5기, 추적6기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를보였으며, 시기효과는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유의하게나타났다. 허리 / 엉덩이둘레비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3기 (p<0.05), 추적4기 (p<0.05), 추적5기 (p<0.01) 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모든군에서시기효과 (p<0.001) 가유의하게나타났다 ( 표 51)

76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시간혈당 ( mg / dl ) 2시간혈당 ( mg / dl ) 백혈구 (Thous/ μl ) 적혈구 (Mil/ μl )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456) (N=380) (N=20) p-value 기초검사 91.51± ± ± 추적1기 95.28± ± ± 추적2기 94.02±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56.66 <0.001 추적3기 ± ± ± **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6.38± ± ± 추적1기 6.21± ± ± 추적2기 7.08± ± ± 추적3기 5.83± ± ± 추적4기 5.65± ± ± 추적5기 5.43± ± ± 추적6기 5.48± ± ± 추적7기 5.51± ± ± 기초검사 4.55± ± ±0.41 <0.001 추적1기 4.45± ± ±0.36 <0.001 추적2기 4.49± ± ±0.40 <0.001 추적3기 4.50± ± ±0.30 <0.001 ns 추적4기 4.55± ± ±0.35 <0.001 추적5기 4.62± ± ±0.31 <0.001 추적6기 4.46± ± ±0.35 <0.001 추적7기 4.33±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1, : p<0.001 공복혈당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 3 기, 추적 4 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에서, 1 시간혈 당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 1 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유의한차이를보

77 였다. 백혈구의경우추적2기 (p<0.05) 에서만, 적혈구의경우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나타났다. 반복측정분석결과를보면, 공복혈당과 2시간혈당, 적혈구의경우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 1시간혈당과백혈구의경우모든군 (p<0.01, p<0.001) 에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를보였다 ( 표 52).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456) (N=380) (N=20) p-value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47.46± ± ± 추적1기 46.06± ± ± 추적2기 40.86± ± ± 추적3기 44.71± ± ± ns 추적4기 41.62± ± ± 추적5기 43.92± ± ± 추적6기 42.06± ± ± 추적7기 43.49±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p<0.001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 3 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에서, 중성지방의경우추 적 4 기와추적 6 기 (p<0.05) 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이를보이고있었다. 시기간의효과는지질대사수 치모두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또한고밀도콜레

78 스테롤의경우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높게나타났다. 중성지방의경우골다공증군보 다는정상군의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53). 나 추적 기년도골다공증발생의관계요인분석 년 년 추적 7 기년도 (2015 년, 2016 년 ) 검진을통해골다공증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골다공증진단에따라반복측정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Variables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863) (N=682) (N=43) p-value 연령 64.03± ± ±9.41 <0.001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수축기혈압추적3기 ± ± ± ** ( mmhg)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76.94± ± ± 추적1기 76.28± ± ± 추적2기 78.71± ± ± 이완기혈압추적3기 77.06± ± ± ** ( mmhg) 추적4기 75.39± ± ± 추적5기 74.01± ± ± 추적6기 73.48± ± ±9.01 <0.001 추적7기 72.82± ± ± 기초검사 26.05± ± ±1.24 <0.001 추적1기 23.93± ± ± 추적2기 24.83± ± ± AST 추적3기 25.09± ± ± (IU/I) 추적4기 25.18± ± ± 추적5기 26.83± ± ± 추적6기 24.73± ± ± 추적7기 26.18± ± ± 기초검사 24.40± ± ±1.45 <0.001 추적1기 21.85± ± ±1.44 <0.001 추적2기 22.44± ± ±1.41 <0.001 ALT 추적3기 23.19± ± ±1.33 <0.001 ns (IU/I) 추적4기 23.04± ± ±1.43 <0.001 추적5기 22.52± ± ±1.34 <0.001 추적6기 20.94± ± ±1.37 <0.001 추적7기 21.58± ± ±1.42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1, : p<

79 추적 7기년도전체참여자들의연령분포를보면, 골다공증군이 69.63±9.41세로가장많았으며, 다음으로골감소증군이 66.47±7.99세, 정상군이 64.03±7.37세로나타났으며, 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완기혈압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1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 AST 의경우기초검사 (p<0.001) 와추적1기 (p<0.05), 추적2기 (p<0.01) 와추적4기 (p<0.05) 에서만, ALT의경우모든시기 (p<0.001) 에서유의한차이를보이고있었다. 검사시기별변화를살펴본결과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AST의경우모든군 (p<0.01, p<0.001) 에서, ALT의경우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시기간의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이완기혈압, ALT, AST의경우검사기기별모두에서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에서평균수치가낮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 표 54). Variables 체질량지수 ( kg / m2 ) 체지방률 (%) Waist/Hip ratio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863) (N=682) (N=43) p-value 기초검사 24.94± ± ±2.81 <0.001 추적1기 25.16± ± ±2.50 <0.001 추적2기 25.03± ± ±2.48 <0.001 추적3기 24.81± ± ±2.38 <0.001 ns 추적4기 24.86± ± ±1.94 <0.001 추적5기 24.86± ± ±2.36 <0.001 추적6기 24.93± ± ±2.23 <0.001 추적7기 25.02± ± ±2.88 <0.001 기초검사 24.10± ± ± 추적1기 24.26± ± ± 추적2기 23.38± ± ± 추적3기 23.35± ± ±6.75 <0.001 ns 추적4기 23.84± ± ±5.97 <0.001 추적5기 24.05± ± ±6.56 <0.001 추적6기 27.17± ± ±7.71 <0.001 추적7기 27.77± ± ±8.03 <0.001 기초검사 0.92± ± ± 추적1기 0.95± ± ± 추적2기 0.95± ± ± 추적3기 0.96± ± ± 추적4기 0.96± ± ±0.07 <0.001 추적5기 0.95± ± ±0.06 <0.001 추적6기 0.97± ± ± 추적7기 0.95±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p<

80 비만변수에대한분석결과를보면, 체질량지수의경우정상군보다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낮은것으로나타났으며, 골다공증진단별로시기간의효과는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유의하였다. 체지방률의경우검사시기별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를보였으며, 시기효과는정상군과골감소증군 (p<0.001) 에서만유의하게나타났다. 또한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낮은경향을보였다. 허리 / 엉덩이둘레비의경우추적1기와추적2기, 추적7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가있었으며, 시기효과는모든군 (p<0.001) 에서유의하게나타났다. 또한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낮은경향을보였다 ( 표 55)

81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시간혈당 ( mg / dl ) 2시간혈당 ( mg / dl ) 백혈구 (Thous/ μl ) 적혈구 (Mil/ μl )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863) (N=682) (N=43) p-value 기초검사 88.54± ± ± 추적1기 93.61± ± ± 추적2기 94.57± ± ± 추적3기 ± ± ± **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28.84 <0.001 추적7기 ± ± ±16.57 <0.001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6.57± ± ± 추적1기 6.33± ± ± 추적2기 6.59± ± ± 추적3기 6.40± ± ± * 추적4기 5.52± ± ± 추적5기 5.56± ± ± 추적6기 5.56± ± ± 추적7기 5.65± ± ± 기초검사 4.55± ± ±0.39 <0.001 추적1기 4.49± ± ±0.37 <0.001 추적2기 4.52± ± ±0.40 <0.001 추적3기 4.50± ± ±0.35 <0.001 ns 추적4기 4.53± ± ±0.36 <0.001 추적5기 4.58± ± ±0.38 <0.001 추적6기 4.53± ± ±0.38 <0.001 추적7기 4.41± ± ±0.44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0.001 골다공증진단별당대사수치와일반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적혈구에서는골다공증군이정상군

82 에비해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은것 (p<0.001) 으로나타났다. 검사시기별비교에서는골다공증군의경우공복혈당 (p<0.01) 과백혈구 (p<0.05) 에서, 정상군과골감소증군에서는당대사및혈액수치모두에서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공복혈당과적혈구의경우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낮은양상을보였다 ( 표 56).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골다공증진단검사정상골감소증골다공증시기 p p p (N=863) (N=682) (N=43) p-value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45.64± ± ± 추적1기 45.06± ± ± 추적2기 42.17± ± ± 추적3기 42.77± ± ± ns 추적4기 40.91± ± ±9.68 <0.001 추적5기 44.99± ± ± 추적6기 43.48± ± ± 추적7기 44.01±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1.60 <0.001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기초검사 ± ± ± 추적1기 ± ± ± 추적2기 ± ± ± 추적3기 ± ± ± ns 추적4기 ± ± ± 추적5기 ± ± ± 추적6기 ± ± ± 추적7기 ± ± ±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p<0.001 지질대사수치를비교한결과, 총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 5 기와추적 6 기에서만각군간에유의한차

83 이 (p<0.05) 를보였다. 고밀도콜레스테롤에서는모든시기에서골감소증군에서평균수치가유의하게높은것 (p<0.05, p<0.01, p<0.001) 으로나타났다. 중성지방의경우추적3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를보였으며, 정상군보다는골다공증군의평균수치가낮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검사시기별비교에서는지질대사수치모두정상군과골감소증군에서만유의한변화 (p<0.001) 를보였다 ( 표 57). 대사증후군 가 추적 기 차년도대사증후군발생률의관계요인분석 년 추적 7기 2차년도 (2016년) 검진을통해대사증후군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대사증후군진단기준이되는요인의검사수치의변화현상을평가하였으며, 성별에따라진단기준치의차이가있기때문에성별로나누어서분석하였다. Variables 대사증후군진단검사정상대사증후군시기 p p (N=280) (N=28) p-value 연령 67.75± ± 기초검사 86.84± ± 추적1기 92.25± ± 추적2기 88.80± ± 공복혈당추적3기 93.81± ± ( mg / dl ) 추적4기 96.80± ± 추적5기 92.34± ± 추적6기 92.57± ± 추적7기 94.17± ±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수축기혈압추적3기 ± ± ** ( mmhg)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 기초검사 75.03± ± 추적1기 72.95± ± 추적2기 76.39± ± 이완기혈압추적3기 74.06± ± * ( mmhg) 추적4기 71.59± ± 추적5기 70.93± ±7.69 <0.001 추적6기 69.84± ± 추적7기 72.33± ±10.27 <0.001 p Repeated ANOVA, * : p<0.05, ** : p<0.01, : p<

84 Variables 허리둘레 (cm) 중성지방 ( mg / dl ) 고밀도 콜레스테롤 ( mg / dl ) 대사증후군진단검사정상대사증후군시기 p p (N=280) (N=28) p-value 기초검사 79.20± ±6.74 <0.001 추적1기 81.45± ±7.04 <0.001 추적2기 82.48± ± 추적3기 83.54± ±7.13 <0.001 추적4기 82.89± ± 추적5기 80.81± ±6.36 <0.001 추적6기 84.86± ± 추적7기 84.97± ±4.78 <0.001 기초검사 ± ± 추적1기 97.14± ± 추적2기 95.97± ± 추적3기 97.63± ± ns ** 추적4기 95.77± ± 추적5기 98.43± ± 추적6기 93.91± ± 추적7기 ± ±1.83 <0.001 기초검사 51.54± ± 추적1기 50.11± ± 추적2기 44.37± ± 추적3기 48.69± ± 추적4기 45.96± ± 추적5기 48.57± ± 추적6기 47.01± ± 추적7기 48.10± ±7.71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1, : p<0.001 남자의경우공복혈당은추적2기 (p<0.01) 에서만, 수축기혈압은추적1기와추적7기 (p<0.05, p<0.01) 에서만, 이완기혈압에서는추적1기와추적4기 (p<0.01), 추적5기와추적7기 (p<0.001) 에서만각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허리둘레는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 중성지방에서는추적6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 고밀도콜레스테롤은기초검사, 추적2기와추적3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각군간에유의성을보였다. 시기간의효과는공복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모든군 (p<0.05, p<0.001), 중성지방의경우대사증후군 (p<0.01,) 에서유의하게나타났다. 공복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의경우대사증후군에서,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 표 58, 표 59)

85 Variables 검사대사증후군진단시기정상 (N=232) p 대사증후군 (N=30) p p-value 연령 65.30± ± 기초검사 84.79± ± 추적1기 89.42± ± 추적2기 86.18± ± 공복혈당추적3기 89.78± ± ** ( mg / dl ) 추적4기 91.25± ± 추적5기 88.89± ± 추적6기 88.51± ± 추적7기 90.43± ±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수축기혈압 ( mm Hg) 이완기혈압 ( mm Hg) 허리둘레 (cm) 중성지방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추적3기 ± ± ns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 기초검사 71.88± ± 추적1기 70.52± ± 추적2기 73.03± ± 추적3기 71.20± ± * 추적4기 69.11± ± 추적5기 67.97± ± 추적6기 67.53± ± 추적7기 69.63± ± 기초검사 78.78± ± 추적1기 81.67± ± 추적2기 83.63± ± 추적3기 82.34± ± 추적4기 81.73± ± 추적5기 81.02± ± 추적6기 85.30± ± 추적7기 85.69± ± 기초검사 81.28± ±1.49 <0.001 추적1기 81.58± ± 추적2기 81.47± ± 추적3기 80.95± ± 추적4기 86.42± ± 추적5기 93.75± ± 추적6기 85.97± ± 추적7기 87.55± ±1.44 <0.001 기초검사 56.98± ± 추적1기 54.24± ± 추적2기 49.76± ± 추적3기 53.70± ± ** 추적4기 51.55± ± 추적5기 54.10± ± 추적6기 52.11± ± 추적7기 54.88± ±9.54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 p<0.05, ** : p<0.01, : p<

86 여자의경우공복혈당과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에서는모든군 (p<0.05, p<0.01, p<0.001) 에서, 수축기혈압에서는대사증후군 (p<0.05) 에서만시기간의효과를보였다.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는추적7기 (p<0.05, p<0.01) 에서만, 중성지방은기초검사 (p<0.001), 추적3기 (p<0.01) 와추적7기 (p<0.001) 에서만,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모든시기 (p<0.01, p<0.001) 에서각군간에유의한차이를보였다. 중성지방의경우대사증후군에서,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났다 ( 표 60). 나 추적 기년도대사증후군발생의관계요인분석 년 년 추적 7기년도 (2015년, 2016년 ) 검진을통해대사증후군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대사증후군진단기준이되는요인의검사수치의변화현상을평가하였으며, 성별에따라진단기준치의차이가있기때문에성별로나누어서분석하였다. Variables 대사증후군진단검사정상대사증후군시기 p p (N=543) (N=55) p-value 연령 68.31± ± 기초검사 83.88± ± 추적1기 90.23± ± 추적2기 89.59± ±9.33 <0.001 공복혈당추적3기 92.72± ± ( mg / dl ) 추적4기 96.17± ± 추적5기 93.89± ± 추적6기 92.33± ± 추적7기 93.89± ±16.82 <0.001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수축기혈압추적3기 ± ± ( mmhg)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15.67 <0.001 p Repeated ANOVA, : p<

87 Variables 이완기혈압 ( mm Hg) 허리둘레 (cm) 중성지방 ( mg / dl ) 고밀도 콜레스테롤 ( mg / dl ) 대사증후군진단검사정상대사증후군시기 p p (N=543) (N=55) p-value 기초검사 74.64± ± 추적1기 73.82± ± 추적2기 75.99± ± 추적3기 74.33± ± ** 추적4기 72.93± ± 추적5기 71.95± ± 추적6기 70.26± ± 추적7기 71.07± ±9.12 <0.001 기초검사 79.50± ±6.78 <0.001 추적1기 81.31± ±6.34 <0.001 추적2기 81.55± ± 추적3기 83.48± ±7.10 <0.001 추적4기 83.06± ±7.04 <0.001 추적5기 81.28± ±6.14 <0.001 추적6기 84.10± ±6.81 <0.001 추적7기 84.65± ±6.41 <0.001 기초검사 ± ±1.63 <0.001 추적1기 95.22± ±1.62 <0.001 추적2기 94.80± ±1.61 <0.001 추적3기 97.68± ± 추적4기 98.51± ± 추적5기 97.97± ± 추적6기 92.90± ± 추적7기 97.24± ±1.73 <0.001 기초검사 49.62± ± 추적1기 49.48± ± 추적2기 46.04± ± 추적3기 46.56± ± ** 추적4기 45.41± ± 추적5기 49.76± ± 추적6기 48.71± ± 추적7기 49.11± ±10.87 <0.001 p Repeated ANOVA, ** : p<0.01, : p<0.001 남자의경우공복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모두시기간의효과는모든군에서통계적인유의성 (p<0.01, p<0.001) 을보였다. 공복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의경우대사증후군에서,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양상을보였다 ( 표 61, 표 62)

88 65.18± ± ± ± ± ± ± ± ± ± ± ± ± ± ± ± ± ± ± ± ± ± ± ± ±13.95 * ±14.03 ** ± ± ± ± ± ± ± ±15.65 < ± ± ± ± ± ± ± ±8.21 * ± ± ± ± ± ± ± ±7.59 < ± ± ± ± ± ± ± ±8.54 ** ± ± ± ± ± ± ± ±7.50 < ± ± ± ± ± ± ± ± ± ± ± ± ± ± ± ±1.62 < ± ± ± ± ± ±7.80 < ± ±9.02 ** ± ± ± ± ± ± ± ±10.11 <0.001 p Repeated ANOVA, * : p<0.05, ** : p<0.01, : p<

89 여자의경우공복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모두대사 증후군진단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성 (p<0.05, p<0.01, p<0.001) 을보였다. 허리둘레, 중성지방의경 우대사증후군에서, 고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정상군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났다 ( 표 63).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발생률 생존율 병인요소 인과관계분석 당뇨병 본연구결과분석에서사용한당뇨병진단기준은 WHO 기준을사용하였다 시간공복후 75g 2 시간경구당부하검사 2. 식후 2 시간혈당값이아래기준을만족할때당뇨병으로진단 venous plasma blood 200 / 3. 공복혈당수치가 126 / 일때당뇨병으로진단 4. 공복혈당수치가 <126 / 이면서식후 2시간혈당값이아래조건을만족할때내당능장애군으로진단 venous plasma blood 140 / 이면서 venous plasma blood <200 / 가 추적 기 차년도당뇨병발생률 년 추적 7 기 2 차년도연구에참여한대상자들의당뇨병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다. 당뇨병진단 Normal IGT DM DM(past) 남자 75(65.8%) 15(13.2%) 1(0.9%) 23(20.2%) 50 59세 여자 126(72.8%) 16(9.2%) 7(4.0%) 24(13.9%) Total 201(70.0%) 31(10.8%) 8(2.8%) 47(16.4%) 남자 164(63.1%) 24(9.2%) 6(2.3%) 66(25.4%) 60 69세 여자 165(55.6%) 49(16.5%) 14(4.7%) 69(23.2%) Total 329(59.1%) 73(13.1%) 20(3.6%) 135(24.2%) 남자 90(46.6%) 28(14.5%) 4(2.1%) 71(36.8%) 70 79세 여자 139(48.3%) 44(15.3%) 15(5.2%) 90(31.3%) Total 229(47.6%) 72(15.0%) 19(4.0%) 161(33.5%) 남자 21(37.5%) 4(7.1%) 3(5.4%) 28(50.0%) 80세이상 여자 41(50.6%) 9(11.1%) 3(3.7%) 28(34.6%) Total 62(45.3%) 13(9.5%) 6(4.4%) 56(40.9%) Total * 여자 471(56.1%) 118(14.1%) 39(4.6%) 211(25.1%) 남자 350(56.2%) 71(11.4%) 14(2.2%) 188(30.2%) Total 821(56.2%) 189(12.9%) 53(3.6%) 399(27.3%) * 검진대상자 1,603 명중 Missing 141 건 (OGTT 거부, 채혈불가등 ) p-value

90 추적 7기 2차년도검사를통해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는 53/1,462명 ( 전체 : 3.6%, 남자 : 2.2%, 여자 : 4.6%) 이었으며, 내당능장애군은 189/1,462명 ( 전체 : 12.9%, 남자 : 11.4%, 여자 : 14.1%) 으로나타났다. 연령대별당뇨병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 8/287명 ( 전체 : 2.8%, 남자 : 0.9%, 여자 : 4.0%), 60대의경우 20/557명 ( 전체 : 3.6%, 남자 : 2.3%, 여자 : 4.7%), 70대의경우 19/481명 ( 전체 : 4.0%, 남자 : 2.1%, 여자 : 5.2%), 80세이상의경우 6/137명 ( 전체 : 4.4%, 남자 : 5.4%, 여자 : 3.7%) 이본연구를통해새롭게당뇨병으로진단되었다. 80세이상에서당뇨병발생군의비율이가장높았고, 50대와 60대, 70대에서는여자가남자보다당뇨병발생률의비율이높았고, 80세이상에서는여자에비해남자가당뇨병발생률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연령대가증가할수록당뇨병기진단군의비율이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또한 60대에서성별에따른발생률의차이는통계적인유의성 (p<0.05) 을보였다 ( 표 64). 나 추적 기년도전체당뇨병발생률 년 년 추적 7 기년도연구에참여한전체대상자들의당뇨병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다. 당뇨병진단 Normal IGT DM DM(past) 남자 144(60.8%) 28(11.8%) 8(3.4%) 57(24.1%) 50 59세 여자 243(68.8%) 42(11.9%) 14(4.0%) 54(15.3%) Total 387(65.6%) 70(11.9%) 22(3.7%) 111(18.8%) 남자 282(60.1%) 47(10.0%) 15(3.2%) 125(26.7%) 60 69세 여자 296(55.0%) 84(15.6%) 22(4.1%) 136(25.3%) Total 578(57.4%) 131(13.0%) 37(3.7%) 261(25.9%) 남자 189(47.5%) 62(15.6%) 20(5.0%) 127(31.9%) 70 79세 여자 293(47.6%) 95(15.4%) 28(4.6%) 199(32.4%) Total 482(47.6%) 157(15.5%) 48(4.7%) 326(32.2%) 남자 58(48.3%) 12(10.0%) 4(3.3%) 46(38.3%) 80세이상 여자 74(40.9%) 19(10.5%) 11(6.1%) 77(42.5%) Total 132(43.9%) 31(10.3%) 15(5.0%) 123(40.9%) Total * 여자 906(53.7%) 240(14.2%) 75(4.4%) 466(27.6%) 남자 673(55.0%) 149(12.2%) 47(3.8%) 355(29.0%) Total 1579(54.2%) 389(13.4%) 122(4.2%) 821(28.2%) p-value * 검진대상자 3,235 명중 Missing 324 건 (OGTT 거부, 채혈불가등 ) 추적 7 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 3,235 명중 Missing 324 명 (OGTT 거부, 채혈불가등 ) 을제외한 2,911 명으로당뇨병발생률을분석한결과, 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는 122/2,911 명 ( 전체 : 4.2%, 남자 : 3.8%, 여자 : 4.4%) 이었으며, 내당능장애군은 389/2,911 명 ( 전체 : 13.4%, 남자 : 12.2%, 여

91 자 : 14.2%) 으로나타났다. 연령대별당뇨병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 22/590명 ( 전체 : 3.7%, 남자 : 3.4%, 여자 : 4.0%), 60대의경우 37/1,007명 ( 전체 : 3.7%, 남자 : 3.2%, 여자 : 4.1%), 70대의경우 48/1,013명 ( 전체 : 4.7%, 남자 : 5.0%, 여자 : 4.6%), 80세이상의경우 15/301명 ( 전체 : 5.0%, 남자 : 3.3%, 여자 : 6.1%) 이본연구를통해새롭게당뇨병으로진단되었다. 80세이상에서높은발생률을보이고있으며, 전체적으로남자에비해여자가당뇨병발생률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연령대가증가할수록당뇨병기진단군의비율이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 표 65). 하였다. 다 당뇨병의생존곡선 당뇨병의상태를 Kaplan-Meier 법과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이용하여생존분석을실시 Time 전체 Normal IGT Baseline Cum Hazard At mean of covariates Survival SE Cum Hazard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생존분석을실시한결과, 추적1기생존율은 95.5% 로 2년동안 4.5% 의당뇨환자가발생하였으며, 4년간누적생존율은 93.1%(4년간 6.9% 가이환 ), 6년간누적생존율은 89.8%(6년간 10.2% 가이환 ), 8년간누적생존율은 86.2%(8년간 13.8% 가이환 ), 10년간누적생존율은 83.9%(10년간 16.1% 가이환 ), 12년간누적생존율은 80.8%(12년간 19.2% 가이환 ), 14년간누적생존율은 76.1% 로 23.9% 가당뇨병으로이환된것으로분석되었다

92 기초검사시당뇨병진단에따른생존율을산출한결과, 추적1기검사시정상군의경우 98.2% 의생존율을보인반면내당능장애군은 84.6% 로나타나내당능장애군의당뇨병발생률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4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97.2%) 과내당능장애군 (76.4%), 6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95.2%) 과내당능장애군 (68.0%), 8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92.4%) 과내당능장애군 (61.2%), 10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90.4%) 과내당능장애군 (57.3%), 12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8.1%) 과내당능장애군 (51.5%), 14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4.2%) 과내당능장애군 (43.5%) 으로나타나모두내당능장애군에서의당뇨병이환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66, 그림 15). ( 그림 15. 당뇨병생존곡선 ) 골다공증본연구결과분석에서사용한골다공증진단기준은 WHO 기준을사용하였다. 1. Normal : T 골감소증 (Osteopenia) : -2.5 < T < 골다공증 (Osteoporosis) : T -2.5 가 추적 기 차년도골다공증발생률 년 추적 7 기 2 차년도연구에참여한검진대상자들의골다공증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다

93 골다공증진단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골다공증 (past) 남 74(66.1%) 27(24.1%) 0(0.0%) 11(9.8%) 50 59세 여 68(40.5%) 59(35.1%) 3(1.8%) 38(22.6%) Total 142(50.7%) 86(30.7%) 3(1.1%) 49(17.5%) 남 148(58.5%) 65(25.7%) 3(1.2%) 37(14.6%) 60 69세 여 64(21.5%) 101(33.9%) 6(2.0%) 127(42.6%) Total 212(38.5%) 166(30.1%) 9(1.6%) 164(29.8%) 남 76(39.8%) 66(34.6%) 2(1.0%) 47(24.6%) 70 79세 여 15(4.8%) 38(12.2%) 3(1.0%) 256(82.1%) Total 91(18.1%) 104(20.7%) 5(1.0%) 303(60.2%) 남 10(19.2%) 20(38.5%) 3(5.8%) 19(36.5%) 80세이상 여 1(1.0%) 4(4.0%) 0(0.0%) 94(94.9%) Total 11(7.3%) 24(15.9%) 3(2.0%) 113(74.8%) Total * 여 148(16.9%) 202(23.0%) 12(1.4%) 515(58.7%) 남 308(50.7%) 178(29.3%) 8(1.3%) 114(18.8%) Total 456(30.7%) 380(25.6%) 20(1.3%) 629(42.4%) p-value <0.001 <0.001 <0.001 <0.001 <0.001 * 검진대상자 1,603 명중 Missing 118 건 ( 장비고장, 신체장애, 검사거부, 호구방문검진등 ) 추적 7기 2차년도검사를통해골다공증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는 20/1,485명 ( 전체 : 1.3%, 남자 : 1.3%, 여자 : 1.4%) 이었으며, 골감소증은 380/1,485명 ( 전체 : 25.6%, 남자 : 29.3%, 여자 : 23.0%) 이었다. 연령대별골다공증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는 3/280명 ( 전체 : 1.1%, 남자 : 0.0%, 여자 : 1.8%) 이 2년동안새롭게골다공증으로진단을받았다. 60대의경우 9/551명 ( 전체 : 1.6%, 남자 : 1.2%, 여자 : 2.0%), 70대의경우 5/503명 ( 전체 : 1.0%, 남자 : 1.0%, 여자 : 1.0%), 80세이상의경우 3/151명 ( 전체 : 2.0%, 남자 : 5.8%, 여자 : 0.0%) 이새롭게골다공증으로진단받았다. 80세이상의경우여성에비해남성의골다공증발생률이높았으나, 골다공증기진단군을포함한전체골다공증에서는각연령대별모두여성에서골다공증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67). 나 추적 기년도골다공증발생률 년 년 추적 7 기년도연구에참여한전체검진대상자들의골다공증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다

94 골다공증진단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골다공증 (past) 남 149(64.5%) 46(19.9%) 1(0.4%) 35(15.2%) 50 59세 여 137(39.5%) 106(30.5%) 9(2.6%) 95(27.4%) Total 286(49.5%) 152(26.3%) 10(1.7%) 130(22.5%) 남 265(58.5%) 118(26.0%) 5(1.1%) 65(14.3%) 60 69세 여 103(18.7%) 178(32.4%) 6(1.1%) 263(47.8%) Total 368(36.7%) 296(29.5%) 11(1.1%) 328(32.7%) 남 149(37.3%) 114(28.6%) 8(2.0%) 128(32.1%) 70 79세 여 31(4.6%) 69(10.3%) 5(0.7%) 568(84.4%) Total 180(16.8%) 183(17.1%) 13(1.2%) 696(64.9%) 남 28(23.3%) 42(35.0%) 7(5.8%) 43(35.8%) 80세이상 여 1(0.5%) 9(4.3%) 2(0.9%) 199(94.3%) Total 29(8.8%) 51(15.4%) 9(2.7%) 242(73.1%) Total * 여 272(15.3%) 362(20.3%) 22(1.2%) 1125(63.2%) 남 591(49.1%) 320(26.6%) 21(1.7%) 271(22.5%) Total 863(28.9%) 682(22.9%) 43(1.4%) 1396(46.8%) p-value * 검진대상자 3,235 명중 Missing 251 건 ( 장비고장, 신체장애, 검사거부, 호구방문검진등 ) 추적 7기년도검사를통해골다공증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는 43/2,984명 ( 전체 : 1.4%, 남자 : 1.7%, 여자 : 1.2%) 이었으며, 골감소증은 682/2,984명 ( 전체 : 22.9%, 남자 : 26.6%, 여자 : 20.3%) 이었다. 추적 7기의골다공증진단을보면골감소증과골다공증의비율이남자에서높게나타나지만, 골다공증기진단군을포함할경우남자는 271명 (22.5%), 여자는 1,125명 (63.2%) 로여자에서골다공증의비율이남성에비해약 3배정도높은것으로나타났다. 연령대별골다공증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는 10/578명 ( 전체 : 1.7%, 남자 : 0.4%, 여자 : 2.6%) 이 2년동안새롭게골다공증으로진단을받았다. 60대의경우 11/1,003명 ( 전체 : 1.1%, 남자 : 1.1%, 여자 : 1.1%), 70대의경우 13/1,072명 ( 전체 : 1.2%, 남자 : 2.0%, 여자 : 0.7%), 80세이상의경우 9/331명 ( 전체 : 2.7%, 남자 : 5.8%, 여자 : 0.9%) 이새롭게골다공증으로진단받았다. 70대와 80세이상에서여성에비해남성에서골다공증발생률 (p<0.001) 이높게나타났으나골다공증기진단군을포함한전체골다공증에서는각연령대별모두여성에서골다공증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68). 다 골다공증의생존곡선 시하였다. 골다공증의상태를 Kaplan-Meier 법과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이용하여생존분석을실

95 Time 전체정상골감소증남자여자 Baseline Cum Hazard At mean of covariates Survival SE Cum Hazard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생존분석을실시한결과, 2년간누적생존율은 82.6% 로 2년동안 17.4%, 4년간누적생존율은 76.5% 로 4년간 23.5%, 6년간누적생존율은 70.0% 로 6년간 30.0%, 8년간누적생존율은 67.5% 로 8 년간 32.5%, 10년간누적생존율은 66.8% 로 10년간 33.2%, 12년간누적생존율은 65.5% 로 12년간 34.5%, 14년간누적생존율은 63.7% 로 14년간 36.3% 가새롭게골다공증으로이환된것으로분석되었다. 기초검사시골다공증진단에따른생존율을산출한결과, 추적1기검사시정상군의경우 94.2% 의생존율을보인반면골감소증군은 61.9% 로나타나골감소증군에서의골다공증발생률이높은것으

96 로분석되었다. 4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91.0%) 과골감소증군 (50.7%), 6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3.8%) 과골감소증군 (45.4%), 8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1.1%) 과골감소증군 (43.2%), 10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0.2%) 과골감소증군 (43.0%), 12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78.6%) 과골감소증군 (42.1%), 14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76.8%) 과골감소증군 (40.4%) 의생존율을보여모두골감소증군에서의골다공증이환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성별에따른생존율을산출한결과, 추적1기검사시누적생존율은남자 (95.4%) 와여자 (70.9%), 추적2기누적생존율은남자 (93.9%) 와여자 (60.6%) 의생존율을보여여성에서의골다공증발생률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6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85.4%) 와여자 (55.9%), 8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82.7%) 와여자 (53.6%), 10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81.8%) 와여자 (53.1%), 12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80.6%) 와여자 (51.7%), 14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78.8%) 와여자 (49.9%) 의생존율을보여모두여자에서의골다공증이환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69, 그림 16). ( 그림 16. 골다공증생존분석 )

97 대사증후군 본연구결과분석에서사용한대사증후군의진단기준은다음과같다. w NCEP ATP- 대사증후군진단기준 Risk Factor 기준남여 Abdominal Obesity( cm ) waist > 90 waist > 80 HDL cholesterol( mg / dl ) HDL < 40 HDL < 50 Triglycerides( mg / dl ) 150 Blood pressure( mmhg) sbp 130 or dbp 85 Fasting glucose( mg / dl ) 110 가 추적 기 차년도대사증후군발생률 년 추적 7 기 2 차년도연구에참여한검진대상자들의대사증후군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 다. 대사증후군진단 정상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 (past) 남자 54(45.0%) 6(5.0%) 60(50.0%) 50 59세 여자 83(46.1%) 10(5.6%) 87(48.3%) Total 137(45.7%) 16(5.3%) 147(49.0%) 남자 111(41.4%) 12(4.5%) 145(54.1%) 60 69세 여자 74(24.0%) 7(2.3%) 227(73.7%) Total 185(32.1%) 19(3.3%) 372(64.6%) 남자 90(44.3%) 7(3.4%) 106(52.2%) 70 79세 여자 50(16.0%) 10(3.2%) 253(80.8%) Total 140(27.1%) 17(3.3%) 359(69.6%) 남자 23(39.7%) 2(3.4%) 33(56.9%) 80세이상 여자 23(24.0%) 3(3.1%) 70(72.9%) Total 46(29.9%) 5(3.2%) 103(66.9%) Total * 여자 230(25.6%) 30(3.3%) 637(71.0%) 남자 278(42.8%) 27(4.2%) 344(53.0%) Total 508(32.9%) 57(3.7%) 981(63.5%) Total <0.001 < <0.001 * 검진대상자 1,603 명중 Missing 57 건 ( 공복혈당미측정및허리둘레측정거부 )

98 추적 7기 2차년도연구결과대사증후군발생률은 57/1,546명 ( 전체 : 3.7%, 남자 : 4.2%, 여자 : 3.3%) 이었다. 연령대별대사증후군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 16/300명 ( 전체 : 5.3%, 남자 : 5.0%, 여자 : 5.6%), 60대의경우 19/576명 ( 전체 : 3.3%, 남자 : 4.5%, 여자 : 2.3%), 70대의경우 17/516명 ( 전체 : 3.3%, 남자 : 3.4%, 여자 : 3.2%), 80대의경우 5/154명 ( 전체 : 3.2%, 남자 : 3.4%, 여자 : 3.1%) 이새롭게대사증후군으로진단되었다 ( 표 70). 나 추적 기년도대사증후군발생률 년 년 추적 7 기년도연구에참여한전체대상자들의대사증후군발생률을성별 연령별로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진단 정상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 (past) 남자 107(43.1%) 12(4.8%) 129(52.0%) 50 59세 여자 162(44.0%) 13(3.5%) 193(52.4%) Total 269(43.7%) 25(4.1%) 322(52.3%) 남자 187(38.5%) 19(3.9%) 280(57.6%) 60 69세 여자 118(20.6%) 15(2.6%) 439(76.7%) Total 305(28.8%) 34(3.2%) 719(68.0%) 남자 188(43.8%) 16(3.7%) 225(52.4%) 70 79세 여자 105(15.3%) 14(2.0%) 566(82.6%) Total 293(26.3%) 30(2.7%) 791(71.0%) 남자 58(45.3%) 6(4.7%) 64(50.0%) 80세이상 여자 38(18.0%) 5(2.4%) 168(79.6%) Total 96(28.3%) 11(3.2%) 232(68.4%) Total * 여자 423(23.0%) 47(2.6%) 1366(74.4%) 남자 540(41.8%) 53(4.1%) 698(54.1%) Total 963(30.8%) 100(3.2%) 2064(66.0%) Total * 검진대상자 3,235 명중 Missing 108 건 ( 공복혈당미측정및허리둘레측정거부 )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 3,235명중 Missing 108명 ( 공복혈당미측정및허리둘레측정거부 ) 을제외한 3,127명으로대사증후군발생률을분석한결과, 대사증후군발생률은 100/3,127명 ( 전체 : 3.2%, 남자 : 4.1%, 여자 : 2.6%) 이었다. 연령대별대사증후군발생률을보면 50대의경우 25/616명 ( 전체 : 4.1%, 남자 : 4.8%, 여자 : 3.5%), 60대의경우 34/1,058명 ( 전체 : 3.2%, 남자 : 3.9%, 여자 : 2.6%), 70대의경우 30/1,114명 ( 전체 : 2.7%, 남자 : 3.7%, 여자 : 2.0%), 80대의경우 11/339명 ( 전체 : 3.2%, 남자 : 4.7%, 여자 : 2.4%) 이새롭게대사증후군으로진단되었다. 50대에서높은발생률을보이고있으며,

99 전체적으로여자에비해남자가대사증후군발생률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대사증후군기진 단군을포함한전체대사증후군에서는각연령대별모두여성에서대사증후군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 타났다 ( 표 71). 다 대사증후군의생존곡선 대사증후군의상태를 Kaplan-Meier 법과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이용하여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남자 여자 Time Baseline Cum Hazard At mean of covariates Survival SE Cum Hazard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추적1기 추적2기 추적3기 추적4기 추적5기 추적6기 추적7기 생존분석을실시한결과, 추적1기생존율은 83.9% 로 2년동안대사증후군발생률은 16.1% 로분석되었으며, 4년간누적생존율은 73.4%(4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26.6%), 6년간누적생존율은 64.6%(6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35.4%), 8년간누적생존율은 58.3%(8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41.7%), 10년간누적생존율은 54.9%(10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45.1%), 12년간누적생존율은 51.1%(12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48.9%), 14년간누적생존율은 46.3% 로 14년간대사증후군발생률은 53.7% 로분석되었다. 성별에따른생존율을산출한결과, 추적1기검사시남자의경우 87.7% 의생존율을보인반면여자의생존율은 80.2% 로나타나여성에서의대사증후군발생률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4년간누적

100 생존율은남자 (79.6%) 와여자 (67.4%), 6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70.5%) 와여자 (58.9%), 8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64.6%) 와여자 (52.3%), 10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62.0%) 와여자 (48.1%), 12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58.2%) 와여자 (44.3%), 14년간누적생존율은남자 (53.0%) 와여자 (39.9%) 의생존율을보여모두여성에서의대사증후군이환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72, 그림 17). ( 그림 17. 대사증후군생존곡선 ) 연구대상자건강정보 질병상태 사망정보확보 가 건강정보및질병상태에대한빈도추적검사가이루어지는당일대상자들이검진센터를방문하였을때다른역학설문들과함께 1:1 면접방법으로조사가되었으며, 추가적으로매 3개월마다전화상담을통해추적일지 ( 제 8장참조 ) 가작성되어졌다. 나 사망에관한정보사망자에대한파악과함께사망시기, 사망원인에대한조사가함께이루어졌다. 하지만 70세 ~80 세이상고령에서사망하시는경우가족분들이나마을분들이사망이유에대한구체적인내용을모르는경우가많아추후공단자료의연계등의추가적인조사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추적 7기 2차년도조사이후총 61명이사망하였으며, 사망자의원인을보면연령대가높아지면서뇌질환 (7명), 노환 (6명) 으로인한사망률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암으로인한사망도총 12명으로조사되었고세부적으로는폐암 (4명), 간암 (1명), 대장암 (1명), 기타암 (6명) 이었으며간경화 / 간질환, 심장질환각각 3명사망된것으로조사되었다. 이러한특성은안성지역의대상자들이대부분이고령자이며, 주로바쁜농사일로인한운동부족, 불규칙또는불균형한식습관등과함께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흡연, 음주, 비만등과같

101 은위험인자에쉽게노출되어있기때문으로사료된다 ( 표 73). 사망원인 추적 7기 2차년도이후누적사망자사망자 ( 명 ) ( 명 ) 뇌질환 ( 뇌졸중 / 뇌출혈등 ) 7 46 기타암 6 58 노환 6 7 폐암 4 24 간질환 ( 간경변등 ) 3 6 심장질환 ( 심장마비 / 심근경색등 ) 3 4 대사질환 2 11 폐렴 / 폐렴합병증 2 6 사고 ( 교통사고, 익사, 동사등 ) 1 27 간암 1 15 대장암 1 4 소화관병 0 12 위암 0 10 호흡기병 0 7 전염병 0 6 식도암 0 4 신경병 0 4 당뇨합병증 0 2 고혈압 / 협심증 0 1 원인불명및기타 Total 만성질환예측모델의지속적인수정 보완 당뇨병예측모델본연구를통해중점질환인당뇨병과관련된환경요인, 생활습관을응용한당뇨병발생예측모델이개발되었다. 당뇨병예측모델은채혈을하지않고간단한가족력측정및환경요인및생활습관의요인들을이용하여개발한모델로써일반인들도쉽게당뇨병을예측할수있는모델로위험요인들을세분화하여기존의모델을수정 보완하였다

102 ( 표 74. 당뇨병발생예측일반모델 ) variables B p-value RR(95% C.I.) model 가중치 Age ~ ~ (0.79~1.39) 0 50~ (0.80~1.42) 0 55~ (0.92~1.63) 1 60~ (0.97~1.68) 1 65~ (1.15~2.00) 2 Non-smokers < Ex-smokers < (1.28~2.02) 2 Current smokers < (1.87~2.70) 4 Non HTN < Pre HTN (1.14~1.66) 1 HTN < (1.67~2.42) 4 Fam Hx DM < (1.23~1.93) 2 WC ~M80/F70 < M80th/F70th (1.01~1.72) 1 M90th/F80th < (1.70~2.87) 4 M100/F90~ < (2.52~4.50) 8 Adjusted for 성별, 음주여부, 운동여부 당뇨병발생예측모델을수정 보완하기위하여연령대및생활습관, 혈압, 허리둘레등을세분화하여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를실시한결과당뇨병가족력이없는군에비해당뇨병가족력이있는경우가 1.54배 (95% C.I ) 당뇨병으로이환될확률이높았으며, 비흡연군에비해과거흡연군이 1.61배 (95% C.I ), 흡연군이 2.25배 (95% C.I ) 당뇨병으로이환될확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연령대에서는 60대후반에서 1.52배 (95% C.I ) 당뇨병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혈압이높을수록당뇨병발생의위험이높게나타났으며, 비만지수인허리둘레의경우 4단계로구분하였으며, 각단계가증가할수록당뇨병발생의위험도가급격하게증가하였으며, 특히허리둘레가남자 100cm, 여자 90cm 이상인그룹에서는당뇨병발생의위험이 3.37배 (95% C.I ) 나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당뇨병발생에영향을주는병인요소들의 RR값에가중치를부여하여일반인들이더쉽게당뇨병을예측할수있도록재평가하였다 ( 표 74). 위험요소의가중치를합한값의점수대별당뇨병발생률은아래와같다 ( 표 75). ( 표 75. 점수대별당뇨병발생률 ) 점수대 0-2 점 3-5 점 6-8 점 9-11 점 점 점 18 점이상 당뇨병발생률 6.1% 13.1% 21.2% 27.7% 37.2% 54.3% 66.7%

103 ( 그림 18. 당뇨병예측일반모델 ) 개발된당뇨병발생예측일반모델에이름을기입하고 5 가지위험요인에체크를하면총점수가 산출되며, 당뇨병발생확률을알수있다. 예를들어이름에홍길동이라고기입한후당뇨병가족력은 있다에체크, 흡연여부는과거흡연에체크, 연령대는 60~64 세에체크, 혈압은고혈압 (140/90 이상 ) 에

104 체크, 허리둘레는남90~99/ 여80~89cm에체크를하면총점수가 13점으로산출되는데당뇨병발생확률은 37.2% 임을알수있으며, 약 3명중 1명은당뇨병이발생된것으로나타났다. 또한홍길동이라고적은후당뇨병가족력은있다에체크, 흡연여부는비흡연에체크, 연령대는 55~59세에체크, 혈압은경도고혈압 (140/90 미만 ) 에체크, 허리둘레는남80~89/ 여70~79cm에체크를하면총점수가 5점으로산출되어당뇨병발생확률은 13.1% 로나타났다 ( 그림 18). 본모델은민감도와특이도가떨어지지만채혈을하지않고간단한요인조사와생활습관측정만으로도당뇨병을예측할수있다는데큰의의가있다고하겠다. 개발된모델의내적타당도검증은현재진행되는역학연구를활용하여이루어질것이고, 외적타당도검증은차후신과제들을통해평가될수있도록추천할것이다. 나 당뇨병합병증관련추적검사 우 좌 당뇨병진단 Normal (n=825) IGT (n=188) DM (n=445) 0.1 이하 170(20.6%) 41(21.8%) 120(27.0%) (37.7%) 86(45.7%) 201(45.2%) 0.6 이상 344(41.7%) 61(32.4%) 124(27.9%) 0.1 이하 157(19.0%) 37(19.7%) 117(26.3%) (36.8%) 74(39.4%) 183(41.1%) 0.6 이상 364(44.1%) 77(41.0%) 145(32.6%) p-value < 추적 7기 2차년도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진단별시력검사분포를살펴보면, 우측과좌측시력모두에서당뇨병진단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p=0.001) 를보였다. 좌우측시력 0.1 이하와시력 의경우모두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비율이높게나타났으며, 시력 0.6 이상에서는좌우측모두당뇨병군보다정상군에서비율이높게나타났다 ( 표 76). 우 좌 당뇨병진단 Normal (n=1,583) IGT (n=388) DM (n=935) 0.1 이하 336(21.2%) 94(24.2%) 268(28.7%) (37.7%) 179(46.1%) 396(42.4%) 0.6 이상 651(41.1%) 115(29.6%) 271(29.0%) 0.1 이하 314(19.8%) 82(21.1%) 270(28.9%) (36.5%) 160(41.2%) 368(39.4%) 0.6 이상 691(43.7%) 146(37.6%) 297(31.8%) p-value <0.001 <

105 추적 7기전체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진단별시력검사분포를살펴보면, 우측의경우 0.1이하의비율이 DM군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Normal군에서 0.1이하의비율이가장낮고, 0.6이상의비율이가장높게나타나시력과당뇨병진단간에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좌측에서도 DM군에서 0.1이하의비율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0.6이상은정상군에서비율이가장높게나타나시력과당뇨병진단간에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77).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진단 Normal IGT DM 정상 794(99.7%) 180(99.4%) 345(86.0%) 비증식성 1(0.1%) 1(0.6%) 47(11.7%) 증식성 1(0.1%) 0(0.0%) 9(2.2%) Total 796(57.8%) 181(13.1%) 401(29.1%) p-value <0.001 추적 7기 2차년도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진단별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보면,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내당능장애군에서 1명 (0.6%), 당뇨병군에서는 47명 (11.7%) 으로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으며, 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당뇨병군에서 9명 (2.2%) 으로나타났다. 당뇨망막병증상태별로당뇨병진단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 표 78).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진단 Normal IGT DM 정상 1544(99.6%) 374(98.9%) 704(85.1%) 비증식성 5(0.3%) 3(0.8%) 99(12.0%) 증식성 1(0.1%) 1(0.3%) 24(2.9%) Total 1550(56.3%) 378(13.7%) 827(30.0%) p-value <0.001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진단별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보면,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5명 (0.3%), 내당능장애군에서 3명 (0.8%), 당뇨병군에서는 99명 (12.0%) 으로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으며, 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내당능장애군에서 1명 (0.3%), 당뇨병군에서 24명 (2.9%) 으로나타나당뇨병군에서당뇨망막병증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79)

106 당뇨망막병증 당뇨병발병기간 5년미만 5년이상-10년미만 10년이상 정상 221(97.4%) 141(89.2%) 342(77.4%) 비증식성 6(2.6%) 16(10.1%) 77(17.4%) 증식성 0(0.0%) 1(0.6%) 23(5.2%) Total 227(27.4%) 158(19.1%) 442(53.4%) p-value <0.001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발병기간별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본결과, 당뇨병발병기간이 5년미만인경우에서는비증식성상태가 6명 (2.6%) 으로나타났으며, 5년이상 10년미만인경우비증식성상태가 16명 (10.1%) 으로나타났다. 특히당뇨병발병기간이 10년이상인군에서는 442명중 77명 (17.4%) 이비증식성상태를보였으며, 23명 (5.2%) 이증식성상태를보였다. 당뇨병발병기간이길어질수록정상의비율은감소하였고, 비증식성과증식성당뇨망막병증의비율이증가하였으며, 당뇨병발병기간에따라당뇨망막병증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 표 80). 따라서당뇨병망막증은내당능장애군에서도발생되고있으며, 특히당뇨병발병후 5년내 2.6%, 10년내약 11% 발생하는것으로규명되었다. 따라서당뇨병발생시점부터안과에서는망막증검사가진행되어야조기진단과치료를통해실명 (blindness) 을예방할수있을것이다. 다 노화와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변화검사 노화관련대사변화분석평가및질환유병률분석 가 질환별유병률및발생률 질환별유병률 추적 7 기 2 차년도연구참여자들의질환별유병률을연령별로나누어비교분석하였다

107 ( 그림 19. 연령에따른질환별유병률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연령에따른질환별유병률을확인한결과연령이높아질수록당뇨병및고혈압, 골다공증, 대사증 후군의유병률이증가하는 trend 를보였으며, 질환별유병률이급격하게증가하는 65 세를기준으로하 여연령에따른질환별유병률을재확인하였다 ( 그림 19).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연령군 65세미만 65세이상 OR(95% C.I.) Normal 453(75.8%) 564(64.5%) 1.00 DM 145(24.2%) 310(35.5%) 1.72(1.36~2.17) 정상 503(79.6%) 639(65.8%) 1.00 고혈압 129(20.4%) 332(34.2%) 2.03(1.60~2.56) 정상 465(78.9%) 371(41.4%) 1.00 골다공증 124(21.1%) 525(58.6%) 5.31(4.18~6.74) 정상 240(38.6%) 272(29.1%) 1.00 대사증후군 381(61.4%) 664(70.9%) 1.54(1.24~1.91) p-value <0.001 <0.001 <0.001 <0.001 추적 7기 2차년도연구참여자의질환별유병률을살펴보면, 당뇨병의경우 65세미만그룹은 145 명 (24.2%), 65세이상그룹은 310명 (35.5%) 이당뇨병으로확인되었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72배 (95% C.I ) 당뇨병의확률이높았으며, 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다. 고혈압의경우 65세미만그룹은 129명 (20.4%), 65세이상그룹은 332명 (34.2%) 이고혈압으로확인되었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2.03배 (95% C.I

108 2.56) 고혈압의확률 (p<0.001) 이높았다. 골다공증에서는 65세미만이 124명 (21.1%), 65세이상이 525명 (58.6%) 이골다공증으로확인되었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5.31배 (95% C.I. 4.18~6.74) 골다공증의확률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대사증후군에서는 65세미만그룹이 381명 (61.4%), 65세이상그룹은 664명 (70.9%) 이대사증후군으로확인되었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54배 (95% C.I ) 대사증후군의확률 (p<0.001) 이높게나타났다. 연령을 65세를기준으로구분하여만성질환의유병률을비교한결과 65세이상그룹에서모든대사성만성질환의유병률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81, 그림 20). ( 그림 20. 질환별유병률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09 ( 그림 21. 연령에따른질환별유병률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추적 7 기전체연구참여자들의질환별유병률을연령에따른질환별유병률을확인한결과연령 이높아질수록당뇨병및고혈압, 골다공증, 대사증후군의유병률이증가하는 trend 를보였으며, 특히골 다공증과고혈압의유병률이급격하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21).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연령군 65세미만 65세이상 OR(95% C.I.) Normal 856(74.6%) 1124(63.0%) DM 292(25.4%) 661(37.0%) 1.72(1.46~2.03) 정상 982(80.5%) 1296(64.3%) 고혈압 238(19.5%) 718(35.7%) 2.29(1.93~2.71) 정상 857(75.0%) 699(37.6%) 골다공증 285(25.0%) 1158(62.4%) 4.98(4.23~5.87) 정상 439(36.6%) 530(27.2%) 대사증후군 761(63.4%) 1417(72.8%) 1.54(1.32~1.80) p-value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의질환별유병률을살펴보면, 당뇨병의경우 65세미만그룹은 292명 (25.4%), 65세이상그룹은 661명 (37.0%) 이당뇨병으로확인되었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 세이상그룹에서 1.72배 (95% C.I ) 당뇨병의확률이높았으며, 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다. 고혈압의경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2.29배 (95% C.I ) 고혈압의확률 (p<0.001) 이높았다

110 골다공증의경우에도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4.98배 (95% C.I. 4.23~5.87) 골다공증의확률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대사증후군에서도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54배 (95% C.I ) 대사증후군의확률 (p<0.001) 이높게나타났다. 연령을 65세를기준으로구분하여만성질환의유병률을비교한결과, 65세이상그룹에서모든대사성만성질환의유병률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82, 그림 22). ( 그림 22. 질환별유병률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질환별발생률 년 년 연령군에따른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대사증후군등의만성질환에대한발생률및위험도를확 인하였다.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연령군 65세미만 65세이상 RR(95% C.I.) Normal 854(80.4%) 1114(73.1%) 1.00 DM 208(19.6%) 410(26.9%) 1.51(1.25~1.83) 정상 923(89.3%) 1137(83.8%) 1.00 고혈압 111(10.7%) 219(16.2%) 1.60(1.25~2.04) 정상 849(79.6%) 696(51.2%) 1.00 골다공증 218(20.4%) 663(48.8%) 3.71(3.09~4.45) 정상 439(48.1%) 524(44.9%) 1.00 대사증후군 473(51.9%) 644(55.1%) 1.14(0.96~1.36) p-value <0.001 <0.001 <

111 질환별발생률을연령군으로구분하여확인한결과, 당뇨병의경우 65세미만그룹은 208명 (19.6%), 65세이상그룹은 410명 (26.9%) 에서당뇨병이발생하였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51배 (95% C.I ) 당뇨병의발생확률이높았으며, 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다. 고혈압의경우 65세미만그룹은 111명 (10.7%), 65세이상그룹은 219명 (16.2%) 에서고혈압이발생하였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60배 (95% C.I ) 고혈압의발생확률 (p<0.001) 이높았다. 골다공증에서는 65세미만이 218명 (20.4%), 65세이상이 663명 (48.8%) 에서골다공증이발생하였으며,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3.71배 (95% C.I. 3.09~4.45) 골다공증의발생확률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대사증후군에서는 65세미만그룹이 473명 (51.9%), 65세이상그룹은 644명 (55.1%) 에서대사증후군이발생하였으며, 대사증후군의발생확률은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14배 (95% C.I ) 로나타났으나통계적으로유의 (p=0.138) 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연령을 65세를기준으로구분하여만성질환의발생률을비교한결과 65세이상그룹에서대사증후군을제외한모든대사성만성질환의발생률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83, 그림 23). ( 그림 23. 질환별발생률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나 연령대별경동맥내중막두께 초음파를이용하여경동맥내중막두께를우측과좌측에대하여측정하였다. 경동맥내중막두께가

112 1.0mm 이상인경우를비정상경동맥내중막두께라고정의하였다. ( 표 84. 연령대에따른 IMT 결과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 Abnormal CIMT * Carotid plaque 50~54세 1(2.8%) 4(11.1%) 55~59세 7(2.8%) 19(7.5%) 60~64세 5(1.6%) 52(16.6%) 65~69세 12(5.0%) 50(20.4%) 70~74세 27(11.4%) 68(28.7%) 75~79세 28(11.7%) 79(32.9%) 80세 ~ 19(15.2%) 62(48.8%) p for trend <0.001 <0.001 * Abnormal CIMT: abnormal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연령대를구분하여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비정상경동맥내중막두께의비율을비교한결과, 50대부터 60대초반까지는 1~2% 의비율로나타났으며, 60대후반부터급격하게증가하기시작하여 80세이상에서는 15.2%(19명 ) 로나타나연령대가증가할수록 Abnormal CIMT의비율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동맥경화반 (Carotid plaque) 이있는경우는 50대초반에서는 4명 (11.1%), 50대후반에서는 19명 (7.5%), 60대초반에서는 52명 (16.6%), 60대후반에서는 50명 (20.4%) 으로연령대가증가할수록동맥경화반의비율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나타났으며, 60대이후에크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84, 그림 24). ( 그림 24. 연령대에따른 IMT 결과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13 ( 표 85. 연령대에따른 IMT 결과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 Abnormal CIMT * Carotid plaque 50~54세 1(1.3%) 5(6.4%) 55~59세 12(2.4%) 46(9.0%) 60~64세 14(2.5%) 94(16.9%) 65~69세 26(5.9%) 96(21.7%) 70~74세 52(10.3%) 157(30.9%) 75~79세 58(11.7%) 168(33.9%) 80세 ~ 44(15.8%) 133(47.3%) p for trend <0.001 <0.001 * Abnormal CIMT: abnormal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연령대를구분하여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비정상경동맥내중막두께의비율을비교한결과, 50대에서는 3% 미만의비율을가졌으며, 60대에서는 6% 미만의분포를보였으며, 70대초반부터 10.3% 로급격하게증가하였다. 연령대가증가할수록 Abnormal CIMT의비율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동맥경화반 (Carotid plaque) 이있는경우는 50대초반에서는 5명 (6.4%), 50대후반에서는 46명 (9.0%), 60대초반에서는 94명 (16.9%), 60대후반에서는 96명 (21.7%) 으로연령대가증가할수록동맥경화반의비율이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나타났으며, 65세이후에크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85, 그림 25). ( 그림 25. 연령대에따른 IMT 결과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14 다 연령별병인요소분석 추적 기 차년도연구참여자의연령별병인요소분석 년 추적 7 기 2 차년도연구참여자들의병인요소수치들을연령별로비교분석하였다. Variables 수축기혈압 ( mm Hg) 이완기혈압 ( mm Hg) AST (IU/I) ALT (IU/I)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 ±18.12 <0.001 추적1기 ± ±17.28 <0.001 추적2기 ± ±15.87 <0.001 추적3기 ± ±15.90 <0.001 추적4기 ± ±16.08 <0.001 추적5기 ± ±16.40 <0.001 추적6기 ± ±17.25 <0.001 추적7기 ± ±15.41 <0.001 기초검사 75.08± ±10.05 <0.001 추적1기 74.51± ±9.84 <0.001 추적2기 77.68± ± 추적3기 75.85± ± 추적4기 74.20± ± 추적5기 73.02± ± 추적6기 72.80± ±10.17 <0.001 추적7기 74.36± ±8.94 <0.001 기초검사 22.57± ±1.39 <0.001 추적1기 22.81± ± 추적2기 22.63± ± 추적3기 23.18± ± 추적4기 23.93± ± 추적5기 26.48± ± 추적6기 24.50± ± 추적7기 26.01± ± 기초검사 20.25± ± 추적1기 20.15± ± 추적2기 20.87± ± 추적3기 21.16± ± ** 추적4기 22.00± ±1.50 <0.001 추적5기 22.10± ±1.48 <0.001 추적6기 21.52± ±1.45 <0.001 추적7기 21.83± ±1.51 <0.001 p Repeated ANOVA, ** : p<0.01, : p<0.001 수축기혈압의경우검사시기별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65 세 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였다. 반복측정분석결과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이완기혈압의경우추적 2 기와추적 3 기, 추적 4 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

115 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으며, 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01) 가유의하였다. AST의경우기초검사 (p<0.001), 추적1기와추적2기 (p<0.01) 에서만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01) 를보였다. ALT의경우는기초검사와추적1 기, 추적2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으며, 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1, p<0.001) 를보였으며, 65세미만그룹이높은수치를나타내는경향을보였다 ( 표 86, 그림 26). ( 그림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116 Variables 체지방률 (%) 체질량지수 ( kg / m2 ) 허리둘레 ( cm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24.94± ±7.89 <0.001 추적1기 25.49± ±7.43 <0.001 추적2기 25.14± ±7.54 <0.001 추적3기 25.05± ±7.51 <0.001 추적4기 24.93± ±7.57 <0.001 추적5기 25.81± ±7.51 <0.001 추적6기 29.00± ±8.26 <0.001 추적7기 29.27± ±8.26 <0.001 기초검사 24.85± ± 추적1기 24.92± ± 추적2기 24.79± ± 추적3기 24.46± ± 추적4기 24.62± ± 추적5기 24.64± ± 추적6기 24.81± ± 추적7기 24.83± ± 기초검사 83.13± ±8.84 <0.001 추적1기 85.79± ±8.94 <0.001 추적2기 87.03± ±9.11 <0.001 추적3기 87.23± ±8.98 <0.001 추적4기 86.90± ± 추적5기 85.68± ± 추적6기 89.65± ± 추적7기 89.85± ± p Repeated ANOVA, : p<0.001 체지방률의경우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이고있었다. 체질량지수의경우 65세미만그룹에서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으며, 추적6기와추적7기에서만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 p<0.01) 를보였다. 허리둘레의경우추적5기와추적6기, 추적7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었으며,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였다. 반복측정분석결과비만지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다 ( 표 87, 그림 27)

117 ( 그림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118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시간혈당 ( mg / dl ) 2시간혈당 ( mg / dl ) 공복인슐린 (μu/ ml ) 1시간인슐린 (μu/ ml ) 2시간인슐린 (μu/ ml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89.49± ± 추적1기 93.37± ± 추적2기 91.29±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98.03± ± 추적6기 98.01± ± 추적7기 ± ± 기초검사 ± ±55.69 <0.001 추적1기 ± ±48.19 <0.001 추적2기 ± ±52.78 <0.001 추적3기 ± ±50.63 <0.001 추적4기 ± ± 추적5기 ± ±50.20 <0.001 추적6기 ± ±49.37 <0.001 추적7기 ± ± 기초검사 ± ±48.14 <0.001 추적1기 ± ±35.31 <0.001 추적2기 ± ±43.87 <0.001 추적3기 ± ±41.10 <0.001 추적4기 ± ±44.92 <0.001 추적5기 ± ±43.22 <0.001 추적6기 ± ±44.61 <0.001 추적7기 ± ± 기초검사 7.07± ± 추적1기 7.56± ± 추적2기 7.38± ± 추적3기 8.44± ± 추적4기 7.50± ± 추적5기 7.20± ± 추적6기 7.85± ± 추적7기 7.93± ± 기초검사 20.99± ± 추적1기 21.49± ± 추적2기 19.13± ± 추적3기 23.11± ± 추적4기 26.31± ± 추적5기 26.28± ± 추적6기 23.98± ± 추적7기 29.64± ± 기초검사 14.60± ± 추적1기 12.97± ± 추적2기 11.67± ±2.21 <0.001 추적3기 17.92± ± 추적4기 15.96± ± 추적5기 15.75± ±2.31 <0.001 추적6기 15.17± ± 추적7기 19.84± ± p Repeated ANOVA, : p<

119 ( 그림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20 공복혈당의경우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다. 1시간혈당과 2시간혈당의경우모든검사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p<0.001) 를보였으며, 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01) 가유의하였고, 모두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이고있었다. 공복인슐린, 1시간인슐린, 2시간인슐린의경우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나타났으며, 2시간인슐린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였다 ( 표 88, 그림 28). Variables β-cell function HOMA Insulin resistance Quicki index p Repeated ANOVA, : p<0.001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 ± 추적1기 95.07± ± 추적2기 ± ± 추적3기 93.22± ± 추적4기 79.60± ± 추적5기 83.86± ± 추적6기 91.83± ± 추적7기 85.32± ± 기초검사 1.54± ± 추적1기 1.73± ± 추적2기 1.65± ± 추적3기 2.04± ± 추적4기 1.84± ± 추적5기 1.71± ± 추적6기 1.86± ± 추적7기 1.94± ± 기초검사 0.66± ± 추적1기 0.64± ± 추적2기 0.64± ± 추적3기 0.61± ± 추적4기 0.62± ± 추적5기 0.64± ± 추적6기 0.62± ± 추적7기 0.62± ± β-cell function의경우추적1기 (p<0.01) 에서만연령군간에유의성을보였다. HOMA Insulin resistance와 Quicki index 검사시기별연령군간에통계적인유의성은없었다. 반복측정분석결과당대사응용수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 표 89, 그림 29)

121 ( 그림 29. 1)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22 Variables GAUC IACU I over G ISI composite Insulinogenic index p Repeated ANOVA, : p<0.001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 ±1.31 <0.001 추적1기 ± ±1.26 <0.001 추적2기 ± ±1.30 <0.001 추적3기 ± ±1.28 <0.001 추적4기 ± ±1.29 <0.001 추적5기 ± ±1.28 <0.001 추적6기 ± ±1.27 <0.001 추적7기 ± ±1.29 <0.001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 기초검사 0.15± ± 추적1기 0.14± ± 추적2기 0.13± ± 추적3기 0.16± ± 추적4기 0.16± ± 추적5기 0.16± ± 추적6기 0.15± ± 추적7기 0.19± ± 기초검사 8.63± ± 추적1기 8.37± ± 추적2기 9.12± ± 추적3기 7.35± ± 추적4기 7.36± ± 추적5기 7.82± ± 추적6기 7.64± ± 추적7기 6.83± ± 기초검사 6.66± ± 추적1기 5.97± ± 추적2기 4.79± ± 추적3기 6.71± ± 추적4기 8.03± ± 추적5기 7.61± ± 추적6기 6.20± ± 추적7기 8.86± ± 당대사응용수치 (2) 를비교분석한결과, 혈당변화의면적인 Glucose AUC 의경우모든시기에서 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65 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였다. 반

123 복측정분석결과두군모두추적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변화의면적인 Insulin AUC에서는기초검사와추적1기, 추적7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유의한차이 (p<0.05, p<0.01) 가있었으며, 추적시기에따른변화의비교에서는 65세미만그룹과 65세이상그룹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과혈당의변화면적의비를나타내는 I over G에서는기초검사에서만연령군간유의한차이 (p<0.05) 가있었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인슐린민감도를나타내는 ISI composite에서는기초검사와추적1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 p<0.01) 를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두군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65세미만그룹에서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인슐린분비기능을나타내는 Insulinogenic index의경우기초검사 (p<0.01) 와추적3기 (p<0.05), 추적6기 (p<0.01) 와추적7기 (p<0.05) 에서만연령군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두군모두추적시기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65세미만그룹에서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90, 그림 30)

124 ( 그림 30. 2)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25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632) p 65세이상 (N=971) p p-value 기초검사 ± ±35.59 <0.001 추적1기 ± ±33.80 <0.001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32.28 <0.001 추적7기 ± ±35.65 <0.001 기초검사 48.62± ± 추적1기 46.81± ± 추적2기 41.94± ± 추적3기 46.06± ± 추적4기 43.37± ± 추적5기 45.80± ± 추적6기 43.70± ± 추적7기 45.86± ±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추적3기 ± ± ns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 기초검사 ± ±34.14 <0.001 추적1기 ± ±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32.64 <0.001 p Repeated ANOVA, ns : not significant, : p<0.001 총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2기와추적3기, 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1, p<0.001) 에서, 중성지방의경우기초검사 (p<0.05) 와추적1기 (p<0.01), 추적6기와추적7기 (p<0.05) 에서만, 저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2기와추적3기, 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연령군간에유의한차이를보였다.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총콜레스테롤, 고밀도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01) 가유의하였으며, 중성지방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만시기간의효과 (p<0.001) 가있었다 ( 표 91, 그림 31)

126 ( 그림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추적 기년도연구참여자의연령별병인요소분석 년 년 추적 7 기년도연구참여자들의병인요소수치들을연령별로비교분석하였다

127 Variables 수축기혈압 ( mmhg) 이완기혈압 ( mmhg) AST (IU/I) ALT (IU/I)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 ±17.67 <0.001 추적1기 ± ±16.97 <0.001 추적2기 ± ±16.27 <0.001 추적3기 ± ±15.63 <0.001 추적4기 ± ±16.77 <0.001 추적5기 ± ±16.51 <0.001 추적6기 ± ±17.76 <0.001 추적7기 ± ±15.86 <0.001 기초검사 75.31± ±10.16 <0.001 추적1기 75.23± ±9.84 <0.001 추적2기 77.60± ± 추적3기 76.26± ± 추적4기 74.95± ± 추적5기 73.95± ±9.23 <0.001 추적6기 73.12± ±10.30 <0.001 추적7기 73.26± ±9.55 <0.001 기초검사 24.20± ±1.36 <0.001 추적1기 22.51± ±1.36 <0.001 추적2기 23.24± ±1.38 <0.001 추적3기 24.20± ± 추적4기 24.16± ± 추적5기 26.39± ± 추적6기 24.18± ± 추적7기 25.89± ± 기초검사 21.97± ± 추적1기 19.93± ± 추적2기 20.73± ± 추적3기 22.05± ± 추적4기 22.16± ±1.47 <0.001 추적5기 21.96± ±1.47 <0.001 추적6기 20.65± ±1.48 <0.001 추적7기 21.88± ±1.49 <0.001 p Repeated ANOVA, : p<0.001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활력증후 간기능수치들을연령별로비교분석하였다. 수축기혈압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이완기혈압의경우추적2기와추적3기, 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으며, 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 65세이상그룹에비해 65세미만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AST의경우기초검사와추적1기 (p<0.001), 추적2기 (p<0.001) 와추적3기 (p<0.05) 에서만유의성

128 을보였으며, 반복측정분석결과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ALT 의경우는기초검사, 추적 1 기, 추적 2 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 (p<0.01, p<0.001) 를보였다 ( 표 92, 그림 32). ( 그림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129 Variables 체지방률 (%) 체질량지수 ( kg / m2 ) 허리둘레 ( cm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25.67± ±7.73 <0.001 추적1기 25.84± ±7.96 <0.001 추적2기 25.11± ±7.47 <0.001 추적3기 25.00± ±7.61 <0.001 추적4기 25.44± ±7.53 <0.001 추적5기 25.93± ±7.56 <0.001 추적6기 28.87± ±8.25 <0.001 추적7기 29.32± ±8.12 <0.001 기초검사 24.79± ± 추적1기 25.01± ± 추적2기 24.85± ± 추적3기 24.67± ± 추적4기 24.70± ±3.34 <0.001 추적5기 24.74± ±3.37 <0.001 추적6기 24.82± ±3.39 <0.001 추적7기 24.91± ±3.51 <0.001 기초검사 83.20± ±8.77 <0.001 추적1기 85.90± ±9.00 <0.001 추적2기 86.10± ±8.88 <0.001 추적3기 87.64± ±8.88 <0.001 추적4기 87.42± ±9.11 <0.001 추적5기 86.43± ± 추적6기 89.16± ± 추적7기 89.88± ± p Repeated ANOVA, : p<0.001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비만지수들을연령별로비교분석하였다. 비만지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체지방률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이고있었으며, 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었다. 체질량지수의경우검사시기별로연령군간에유의성 (p<0.05, p<0.01, p<0.001) 을보였으며, 65세미만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이있었다. 허리둘레의경우추적6기와추적7기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에유의한차이 (p<0.05, p<0.001) 를보였으며,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이고있었다 ( 표 93, 그림 33)

130 ( 그림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131 Variables 공복혈당 ( mg / dl ) 1시간혈당 ( mg / dl ) 2시간혈당 ( mg / dl ) 공복인슐린 (μu/ ml ) 1시간인슐린 (μu/ ml ) 2시간인슐린 (μu/ ml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87.39± ± 추적1기 92.38± ± 추적2기 92.80±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99.44± ± 추적7기 ± ± 기초검사 ± ±55.00 <0.001 추적1기 ± ±50.20 <0.001 추적2기 ± ±54.45 <0.001 추적3기 ± ±52.81 <0.001 추적4기 ± ±54.73 <0.001 추적5기 ± ±52.34 <0.001 추적6기 ± ±51.14 <0.001 추적7기 ± ±52.10 <0.001 기초검사 ± ±48.72 <0.001 추적1기 ± ±40.97 <0.001 추적2기 ± ±44.93 <0.001 추적3기 ± ±42.67 <0.001 추적4기 ± ±47.29 <0.001 추적5기 ± ±46.25 <0.001 추적6기 ± ±45.78 <0.001 추적7기 ± ±47.92 <0.001 기초검사 7.03± ± 추적1기 6.83± ±1.62 <0.001 추적2기 7.10± ± 추적3기 8.09± ± 추적4기 8.03± ± 추적5기 7.46± ± 추적6기 8.18± ± 추적7기 8.25± ± 기초검사 24.02± ± 추적1기 18.05± ± 추적2기 20.52± ± 추적3기 23.08± ± 추적4기 26.34± ± 추적5기 27.40± ± 추적6기 26.76± ± 추적7기 27.59± ± 기초검사 17.71± ± 추적1기 12.46± ± 추적2기 12.16± ±2.19 <0.001 추적3기 17.59± ±2.26 <0.001 추적4기 16.97± ±2.31 <0.001 추적5기 16.14± ±2.26 <0.001 추적6기 16.38± ±2.45 <0.001 추적7기 18.77± ± p Repeated ANOVA, : p<

132 ( 그림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33 공복혈당의경우연령군별모두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평균수치가증가하는경향을보였으며, 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가유의 (p<0.001) 하였다. 1시간혈당과 2시간혈당의경우는모든검사시기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모두 65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이고있었다. 공복인슐린, 1시간인슐린, 2시간인슐린모두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가유의 (p<0.001) 하였으며, 2시간인슐린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은양상을보이고있었다 ( 표 94, 그림 34). Variables β-cell function HOMA Insulin resistance Quicki index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 ± 추적1기 90.15± ± 추적2기 94.20± ± 추적3기 91.41± ± 추적4기 83.72± ± 추적5기 81.81± ± 추적6기 93.42± ± 추적7기 87.62± ± 기초검사 1.49± ± 추적1기 1.54± ± 추적2기 1.61± ± 추적3기 1.95± ± 추적4기 1.98± ± 추적5기 1.81± ± 추적6기 1.96± ± 추적7기 2.03± ± 기초검사 0.67± ± 추적1기 0.66± ±1.17 <0.001 추적2기 0.65± ± 추적3기 0.61± ± 추적4기 0.61± ± 추적5기 0.63± ± 추적6기 0.61± ± 추적7기 0.61± ± p Repeated ANOVA, : p<0.001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당대사응용수치 (1) 을연령별로비교분석하였다. 반복측정분석결과당대사응용수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β-cell function의경우추적1기 (p<0.01) 와추적2기 (p<0.05) 에서만, HOMA Insulin resistance의경우추적1 기 (p<0.01) 에서만, Quicki index의경우추적1기 (p<0.001) 에서만연령군간에유의성을보였다 ( 표 95, 그림 35)

134 ( 그림 35. 1)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35 Variables GAUC IACU I over G ISI composite Insulinogenic index p Repeated ANOVA, : p<0.001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 ±1.31 <0.001 추적1기 ± ±1.28 <0.001 추적2기 ± ±1.31 <0.001 추적3기 ± ±1.30 <0.001 추적4기 ± ±1.31 <0.001 추적5기 ± ±1.30 <0.001 추적6기 ± ±1.29 <0.001 추적7기 ± ±1.29 <0.001 기초검사 ± ± 추적1기 ± ± 추적2기 ± ± 추적3기 ± ±1.93 <0.001 추적4기 ± ±1.93 <0.001 추적5기 ± ±1.98 <0.001 추적6기 ± ±1.94 <0.001 추적7기 ± ± 기초검사 0.17± ± 추적1기 0.13± ± 추적2기 0.13± ± 추적3기 0.16± ± 추적4기 0.17± ± 추적5기 0.17± ± 추적6기 0.16± ± 추적7기 0.17± ± 기초검사 8.23± ± 추적1기 9.41± ± 추적2기 8.90± ± 추적3기 7.57± ± 추적4기 7.03± ±1.76 <0.001 추적5기 7.45± ± 추적6기 7.17± ± 추적7기 6.93± ± 기초검사 7.46± ±3.74 <0.001 추적1기 5.09± ± 추적2기 5.44± ± 추적3기 6.96± ± 추적4기 7.47± ± 추적5기 7.85± ± 추적6기 7.08± ± 추적7기 7.55± ± 당대사응용수치 (2) 를비교분석한결과, 혈당변화의면적인 Glucose AUC 의경우모든시기에서 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으며, 65 세이상그룹에서높은수치를보였다. 반

136 복측정분석결과 65세미만군과 65세이상군모두추적시기에따라수치가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변화의면적인 Insulin AUC에서는기초검사를제외한모든시기에서연령군간유의한차이 (p<0.05, p<0.01, p<0.001) 가있었으며, 추적시기에따른변화의비교에서는 65세미만그룹과 65세이상그룹모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인슐린과혈당의변화면적의비를나타내는 I over G에서는기초검사 (p<0.01) 에서만, 인슐린민감도를나타내는 ISI composite는기초검사와추적1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1, p<0.001) 에서, 인슐린분비기능을나타내는 Insulinogenic index는기초검사 (p<0.001) 와추적3기 (p<0.01), 추적5기 (p<0.05) 와추적6기 (p<0.01) 에서만연령군에따른수치비교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났다. 연령군의검사시기에따른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 65세미만과 65세이상모두에서 I over G, ISI composite, Insulinogenic index의수치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또한 ISI composite와 Insulinogenic index의경우 65세미만그룹에서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96, 그림 36)

137 ( 그림 36. 2)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38 Variables 총콜레스테롤 ( mg / dl ) 고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중성지방 ( mg / dl ) 저밀도콜레스테롤 ( mg / dl ) 검사연령군시기 65세미만 (N=1,221) p 65세이상 (N=2,014) p p-value 기초검사 ± ±34.33 <0.001 추적1기 ± ±35.27 <0.001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33.95 <0.001 추적6기 ± ±32.96 <0.001 추적7기 ± ±35.45 <0.001 기초검사 46.49± ± 추적1기 45.49± ± 추적2기 42.95± ± 추적3기 43.75± ± 추적4기 42.37± ± 추적5기 46.54± ± 추적6기 44.78± ± 추적7기 45.84± ± 기초검사 ± ±1.64 <0.001 추적1기 ± ±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 추적6기 ± ± 추적7기 ± ± 기초검사 ± ±33.57 <0.001 추적1기 ± ±33.66 <0.001 추적2기 ± ± 추적3기 ± ± 추적4기 ± ± 추적5기 ± ±31.66 <0.001 추적6기 ± ±30.10 <0.001 추적7기 ± ±32.19 <0.001 p Repeated ANOVA, : p<0.001 총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3기와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5, p<0.001) 에서, 중성지방과저밀도콜레스테롤의경우추적2기와추적3기, 추적4기를제외한모든시기 (p<0.01, p<0.001) 에서연령군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반복측정분석결과에서는지질대사수치모두연령군별로시기간의효과 (p<0.001) 가유의하였다. 또한지질대사수치모두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 65세이상그룹에비해 65세미만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으며, 중성지방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평균수치가감소하는양상을보였다 ( 표 97, 그림 37)

139 ( 그림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삶의질평가 가 노화에따른삶의질평가를위해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인 WHOQOL-BREF(Field Trial version August, 1996) 으로조사한결과를 4가지의척도별로구분하여각척도별만점이 20점이되도록계산하여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를비교하였다

140 ( 표 98. 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 신체적건강영역 심리적영역 사회적영역 생활환경영역 50~54세 13.75± ± ± ± ~59세 14.11± ± ± ± ~64세 13.88± ± ± ± ~69세 13.88± ± ± ± ~74세 13.23± ± ± ± ~79세 12.80± ± ± ± 세 ~ 12.00± ± ± ±2.26 p for trend <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를비교한결과, 신체적건강영역 (p<0.001), 심리적영역 (p=0.006), 사회적영역 (p<0.001), 생활환경영역 (p=0.011) 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각영역별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65세이후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98, 그림 38). ( 그림 38. 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41 ( 표 99. 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기년도검진대상자 ) 신체적건강영역 심리적영역 사회적영역 생활환경영역 50~54세 14.17± ± ± ± ~59세 14.15± ± ± ± ~64세 13.97± ± ± ± ~69세 13.83± ± ± ± ~74세 13.34± ± ± ± ~79세 12.68± ± ± ± 세 ~ 11.97± ± ± ±2.41 p for trend <0.001 <0.001 <0.001 <0.001 추적 7기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를비교한결과, 신체적건강영역 (p<0.001), 심리적영역 (p<0.001), 사회적영역 (p<0.001), 생활환경영역 (p<0.001) 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각영역별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65세이후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특히신체적건강영역과사회적영역의경우변화의경향이뚜렷하게나타났으며, 감소의폭이큰것으로나타났다 ( 표 99, 그림 39). ( 그림 39. 연령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42 ( 표 100. 연령그룹별당뇨병유무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65yr 65yr Normal DM Normal DM p-value p * 신체적건강영역 13.92± ± ± ±2.73 <0.001 b,c,d,e,f 심리적영역 13.12± ± ± ± c,e,f 사회적영역 13.41± ± ± ±2.36 <0.001 b,c,d,e,f 생활환경영역 12.68± ± ± ± c,e,f * b: <65 Normal vs 65 Normal, c: <65 Normal vs 65 DM, d: <65 DM vs 65 Normal, e: <65 DM vs 65 DM, f: 65 Normal vs 65 DM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그룹별노화에따른삶의질평가를당뇨병유무에따라확인한결과, 65세이상에서는신체적건강영역, 심리적영역, 사회적영역, 생활환경영역모두에서당뇨병군이정상군에비해삶의질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은것 (p<0.01, p<0.001) 으로나타났다. 연령그룹별당뇨병유무의 4그룹에대한비교에서도모든영역에서 65세이상의당뇨병군에서삶의질이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100). ( 표 101. 연령그룹별당뇨병유무에따른삶의질척도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14.04± ± ± ±2.86 <0.001 b,c,d,e,f 13.18± ± ± ±2.57 <0.001 c,e,f 13.47± ± ± ±2.36 <0.001 b,c,d,e,f 12.73± ± ± ±2.33 <0.001 c,e,f * b: <65 Normal vs 65 Normal, c: <65 Normal vs 65 DM, d: <65 DM vs 65 Normal, e: <65 DM vs 65 DM, f: 65 Normal vs 65 DM 추적 7기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그룹별노화에따른삶의질평가를당뇨병유무에따라확인한결과, 65세이상에서는신체적건강영역, 심리적영역, 사회적영역, 생활환경영역모두에서당뇨병군이정상군에비해삶의질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은것 (p<0.001) 으로나타났다. 연령그룹별당뇨병유무의 4그룹에대한비교에서도모든영역에서 65세이상의당뇨병군에서삶의질이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다. 특히신체적건강영역과심리적영역, 사회적영역, 생활환경영역의경우 65세미만의당뇨병군보다 65세의정상군에서더낮게나타나고령군에서의삶의질개선에대한노화심층연구가지속적으로진행되어야할것이다 ( 표 101)

143 나 대상자들의고령화에따라만 60세이상에해당하는노인대상자에대하여노인심층연구로치매및우울증관련을기억인지력검사 (K-MMSE), 치매검사보호자용설문 (KDSQ), 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설문지를이용하여조사및분석하였다. K-MMSE KDSQ GDS ( 우울증검사 ) ( 표 102. 치매관련검사및우울증검사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남자 (n=558) 여자 (n=733) Mean±SD p * Mean±SD p * p 60~64세 27.24± ± ~69세 26.85± ±3.40 < ~74세 26.15± ± <0.001 < ~79세 25.83± ±4.22 < 세 ~ 23.05± ± Total 26.22± ±4.15 < ~64세 2.69± ± ~69세 3.47± ± ~74세 3.41± ± < ~79세 3.71± ± 세 ~ 4.19± ± Total 3.36± ±3.32 < ~64세 1.41± ± ~69세 1.72± ± ~74세 2.14± ± < ~79세 2.31± ± 세 ~ 2.38± ±3.88 <0.001 Total 1.91± ±3.66 <0.001 : p for trend 추적 7기 2차년도연구참여자충 60세이상에대하여치매관련검사및노인성우울증검사를한결과, 기억인지력검사 (K-MMSE) 에서는남자가 26.22±3.07점으로여자 24.35±4.15점보다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치매검사보호자용설문 (KDSQ) 과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에서는남자보다여자가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남자보다여자에서기억인지력이떨어지고, 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고, 우울증정도가심한것으로나타났다. 연령대에따른치매관련검사및노인성우울증을비교한결과치매관련검사인 K-MMSE와 KDSQ는남녀모두연령대가높아질수록통계적으로유의하게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에서도남녀모두연령대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하게증가 (p=0.006, p<0.001) 하는 trend가확인되었다 ( 표 102)

144 K-MMSE KDSQ GDS ( 우울증검사 )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 표 103. 치매관련검사및우울증검사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n=1,098) 여자 (n=1,497) Mean±SD p * Mean±SD p * p 60~64세 27.03± ± ~69세 26.80± ±3.75 < ~74세 25.70± ±3.79 <0.001 <0.001 < ~79세 25.11± ±4.03 < 세 ~ 23.49± ±4.62 <0.001 Total 25.89± ±4.27 < ~64세 2.96± ± ~69세 3.45± ± ~74세 3.87± ± <0.001 < ~79세 4.42± ±4.15 < 세 ~ 4.93± ±4.47 <0.001 Total 3.79± ±3.94 < ~64세 1.74± ± ~69세 2.01± ± ~74세 2.42± ±4.10 <0.001 <0.001 < ~79세 3.18± ±4.22 < 세 ~ 3.17± ±4.29 <0.001 Total 2.43± ±3.96 <0.001 : p for trend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중 60세이상에대하여치매관련검사및노인성우울증검사를한결과, 기억인지력검사 (K-MMSE) 에서는남자가 25.89±3.33점으로여자 23.94±4.27점보다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치매검사보호자용설문 (KDSQ) 과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에서는남자보다여자가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남자보다여자에서기억인지력이떨어지고, 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고, 우울증정도가심한것으로나타났다. 연령대에따른치매관련검사및노인성우울증을비교한결과치매관련검사인 K-MMSE와 KDSQ는남녀모두연령대가높아질수록통계적으로유의하게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노인성우울증검사 (GDS) 에서도남녀모두연령대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하게증가 (p<0.001) 하는 trend가확인되었다 ( 표 103). 다 신체활동평가도구 노인의신체기능을평가하는방법들중보행속도, 의자에서일어나기, 균형등의항목을묶어서만든평가항목인신체활동평가도구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를사용하여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능력을평가하였다

145 ( 표 104. 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평가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남자여자 Mean±SD p * Mean±SD p * p 60~64세 11.66± ± ~69세 11.70± ±1.23 < ~74세 11.15± ±1.87 < < ~79세 10.68± ±2.38 < 세 ~ 10.02± ± Total 11.23± ±2.08 <0.001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 p for trend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대별신체활동능력을성별을구분하여확인한결과, 60대초반을제외한모든연령대에서성별에따른신체활동능력은유의한차이 (p<0.01,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남녀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3, p<0.001) 하게신체활동능력이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남자보다여자에서연령대가증가할수록더빠르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04, 그림 40). ( 그림 40. 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평가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46 ( 표 105. 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평가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남자여자 Mean±SD p * Mean±SD p * p 60~64세 11.70± ± ~69세 11.67± ±1.22 < ~74세 11.14± ±1.82 < < ~79세 10.70± ±2.27 < 세 ~ 10.11± ±2.41 <0.001 Total 11.19± ±2.03 <0.001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 p for trend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연령대별신체활동능력을성별을구분하여확인한결과, 각각의연령대별비교에서남자보다여자에서통계적으로유의 (p=0.001, p<0.001) 하게낮은것으로나타났다. 남녀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4, p<0.001) 하게신체활동능력이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남자보다여자에서연령대가증가할수록신체활동능력이더빠르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05, 그림 41). ( 그림 41. 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평가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라 근력검사 신체기능평가방법중하나인근력검사는 Hydraulic hand dynamoneter 를이용하여손의악력을 평가하였다

147 ( 표 106. 연령대에따른근력수치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n=663) 여자 (n=896) Mean±SD p * Mean±SD p * ~54세 43.56± ± ~59세 43.32± ± ~64세 40.07± ± ~69세 37.15±6.10 < ±4.10 < ~74세 33.68± ± ~79세 31.36± ± 세 ~ 27.20± ±3.44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 p for trend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대별근력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의경우 55세미만의그룹에서는 43.56±7.84kg으로나타났으며, 80세이상에서는 27.20±5.19kg으로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하게악력이감소하는것 (p<0.001) 으로나타났으며, 여자에서도 55세미만의그룹에서는 25.29±3.96kg, 80세이상에서는 16.91±3.44kg으로나타나연령대가증가할수록악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 (p<0.001) 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남자에서는젊은그룹인 55세미만과 80세이상의그룹의악력이약 16.4kg정도차이가났으나여자에서는약 8.4kg 밖에차이가나지않는것으로나타나여자보다남자의악력이연령이증가할수록감소가큰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06, 그림 42). ( 그림 42. 연령대에따른근력수치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48 ( 표 107. 연령대에따른근력수치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n=1,319) 여자 (n=1,843) Mean±SD p * Mean±SD p * ~54세 43.56± ± ~59세 41.84± ± ~64세 39.68± ± ~69세 36.12±6.68 < ±4.54 < ~74세 32.75± ± ~79세 30.11± ± 세 ~ 26.73± ±4.19 p : Independent Samples Test, p * : p for trend 추적 7기년도검진대상자들의연령대별근력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의경우 55세미만의그룹에서는 43.56±6.77kg으로나타났으며, 80세이상에서는 26.73±5.50kg으로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하게악력이감소하는것 (p<0.001) 으로나타났으며, 여자에서도 55세미만의그룹에서는 24.73±4.01kg, 80세이상에서는 15.73±4.19kg으로나타나연령대가증가할수록악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 (p<0.001) 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남자에서는젊은그룹인 55세미만과 80세이상의그룹의악력이약 16.8kg정도차이가났으나여자에서는약 9kg 밖에차이가나지않는것으로나타나여자보다남자의악력이연령이증가할수록감소가큰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07, 그림 43). ( 그림 43. 연령대에따른근력수치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검사

149 가 갑상선질환 갑상선기능의이상은크게항진증과저하증으로구분되지만, 갑상선호르몬농도와 TSH 수치로전 통적으로나누는기준을사용하여갑성선기능의이상을세분화하여정리하였다. ( 표 108. 성별에따른갑상선기능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여자 p-value 정상 531(95.0%) 652(89.1%) 갑상선기능저하증 1(0.2%) 6(0.8%) 중추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심 10(1.8%) 21(2.9%)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2(0.4%) 16(2.2%) 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 14(2.5%) 30(4.1%) 갑상선기능항진증 1(0.2%) 5(0.7%)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갑상선호르몬농도와 TSH 수치로전통적으로나누어분석한결과, 성별에따른갑상선기능의이상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5) 를보였다. 남자의경우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이의심되는경우가 14명 (2.5%) 으로가장많았으며, 중추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심,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순으로나타났다. 여자의경우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이의심되는경우가 30명 (4.1%) 으로가장많았으며, 중추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심,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순으로나타났다. 하지만이러한진단이되기위해서는수술이력, 갑상선에영향을주는약물, 일시적인호르몬의변동등다양한것을고려하여야한다 ( 표 108, 그림 44). ( 그림 44. 갑상선기능이상의분포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150 ( 표 109. 성별에따른갑상선기능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여자 p-value 정상 1,020(92.9%) 1,344(89.9%) 갑상선기능저하증 2(0.2%) 10(0.7%) 중추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심 20(1.8%) 34(2.3%)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16(1.5%) 33(2.2%) 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 34(3.1%) 63(4.2%) 갑상선기능항진증 4(0.4%) 9(0.6%)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성별에따른갑상선기능의이상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158) 는보이지않았다. 남자와여자모두무증상갑상선기능항진증이의심되는경우가 34명 (3.1%) 과 63명 (4.2%) 으로가장많았다. 하지만이러한진단이되기위해서는수술이력, 갑상선에영향을주는약물, 일시적인호르몬의변동등다양한것을고려하여야한다 ( 표 109, 그림 45). ( 그림 45. 갑상선기능이상의분포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초음파검사기를사용하여갑상선의결절여부를연령대및성별을구분하여조사하였다. ( 표 110. 갑상선초음파결절여부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n=599) 여자 (n=777) p-value 없음 281(46.9%) 179(23.0%) 우측 95(15.9%) 121(15.6%) 좌측 88(14.7%) 127(16.3%) <0.001 양측 129(21.5%) 318(40.9%) 수술 6(1.0%) 32(4.1%)

151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갑상선초음파결절여부의분석결과를살펴보면, 남자에서는 318명 (53.1%) 이, 여자에서는 598명 (77.0%) 이수술을하였거나결절이있는것으로나타나성별에따라갑상선결절여부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성별을구분하여연령대에따라결절유무를확인한결과모든연령대에서남자보다여자에서결절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남자와여자에서는연령이증가할수록결절의비율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10, 그림 46). ( 그림 46. 갑상선초음파결절유무에따른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 표 111. 갑상선초음파결절여부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남자 (n=1,189) 여자 (n=1,613) p-value 없음 527(44.3%) 387(24.0%) 우측 202(17.0%) 260(16.1%) 좌측 175(14.7%) 247(15.3%) <0.001 양측 273(23.0%) 661(41.0%) 수술 12(1.0%) 58(3.6%)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갑상선초음파결절여부의분석결과를살펴보면, 남자에서는 318명 (53.1%) 이, 여자에서는 598명 (77.0%) 이수술을하였거나결절이있는것으로나타나성별에따라갑상선결절여부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성별을구분하여연령대에따라결절유무를확인한결과남자와여자모두에서연령이증가할수록결절의비율이증가

152 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모든연령대에서여자의결절비율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11, 그림 47). ( 그림 47. 갑상선초음파결절유무에따른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나 골다공증혈액검사골다공증관련혈액검사에서는골형성을평가하기위해조골세포에서생성되는단백질인 Osteocalcin과파골세포의골흡수대사속도를반영하는 C-telopeptide, 체내의중요한전해질로서다양한역학을하고있는 Calcium, 그리고간, 담도, 뼈, 신장등에존재하여간, 담도계질환및골질환의진단에이용되는 Alk. Phosphatase에대하여연령대증가에따른변화를비교하였다

153 ( 표 112. 연령대에따른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Osteocalcin C-telopeptide Calcium Alk. Phosphatase 남자 (n=561) 여자 (n=732) Mean±SD p Mean±SD p p-value 60~64세 14.00± ±8.56 < ~69세 15.91± ± ~74세 14.01± ± < ~79세 15.19± ± 세 ~ 15.90± ± ~64세 0.36± ±0.21 < ~69세 0.37± ± ~74세 0.34± ± ~79세 0.34± ± 세 ~ 0.37± ± ~64세 9.21± ± ~69세 9.19± ± ~74세 9.28± ± ~79세 9.12± ± 세 ~ 9.24± ± ~64세 66.94± ±20.56 < ~69세 68.86± ± ~74세 72.52±24.25 < ± ~79세 73.39± ± 세 ~ 80.85± ±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들의연령대에따른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의경우 Alk. Phosphatase(p<0.001) 에서만연령증가에따른수치의변화는유의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여자의경우에는골다공증관련혈액검사인 Osteocalcin, C-telopeptide, Calcium, Alk. Phosphatase의모든변수에서연령대증가에따른수치의변화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 표 112)

154 ( 표 113. 연령대에따른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Osteocalcin C-telopeptide Calcium Alk.Phosphatase 남자 (n=1,100) 여자 (n=1,495) Mean±SD p Mean±SD p p-value 60~64세 14.90± ±8.14 < ~69세 15.41± ±7.34 < ~74세 15.06± ± < ~79세 15.58± ±17.75 < 세 ~ 17.06± ± ~64세 0.36± ±0.20 < ~69세 0.35± ± ~74세 0.34± ± < ~79세 0.35± ± 세 ~ 0.40± ± ~64세 9.24± ± ~69세 9.21± ± ~74세 9.24± ± ~79세 9.18± ± 세 ~ 9.22± ± ~64세 71.46± ± ~69세 71.04± ± ~74세 76.37±25.46 < ± ~79세 73.95± ± 세 ~ 81.77± ±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들의연령대에따른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의경우 Osteocalcin(p=0.020), Alk. Phosphatase(p<0.001) 에서만연령증가에따른수치의변화는유의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여자의경우에는모든골다공증관련혈액검사변수에서연령대증가에따른수치의변화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 표 113). Pencil beam DEXA 방식의 Central Bone 골밀도측정기를이용하여진단한골다공증진단여부에 따라골다공증관련혈액검사에대하여비교분석하였다. ( 표 114. 골다공증진단별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정상 (n=314) 골감소증 (n=293) 골다공증 (n=595) p-value Osteocalcin 14.72± ± ±8.79 <0.001 C-telopeptide 0.35± ± ±0.23 <0.001 Calcium 9.21± ± ± Alk.Phosphatase 66.25± ± ±25.20 <0.001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Osteocalcin 의경우정

155 상군에서는 14.72±5.97, 골감소증군에서는 17.61±8.88, 골다공증군에서는 17.95±8.79으로나타나정상군에비해골감소증군이나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나타났다. C-telopeptide에서도골다공증군 (0.40±0.23) 에서정상군에비해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나타났으며, Calcium에서는골다공증군 (9.23±0.37) 에서정상군 (9.21±0.37) 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지만유의성 (p=0.220) 은없었다. Alk. Phosphatase에서도정상군 (66.25±16.62) 에비해골감소증군 (73.36±32.85) 과골다공증군 (74.34±25.20) 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확인되었다 ( 표 114). ( 표 115. 골다공증진단별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정상 (n=579) 골감소증 (n=532) 골다공증 (n=1,297) p-value Osteocalcin 15.04± ± ±11.86 <0.001 C-telopeptide 0.35± ± ±0.22 <0.001 Calcium 9.22± ± ± Alk.Phosphatase 68.65± ± ±24.86 <0.001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Osteocalcin의경우정상군에서는 15.04±7.75, 골감소증군에서는 18.13±8.22, 골다공증군에서는 18.95±11.86로나타나정상군에비해골감소증군이나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나타났다. C-telopeptide에서도골다공증군 (0.41±0.22) 에서정상군에비해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나타났으며, Calcium에서는골다공증군 (9.25±0.37) 에서정상군 (9.22±0.35) 보다조금높은것으로나타났지만유의성 (p=0.157) 은없었다. Alk. Phosphatase에서도정상군이 68.65±19.41, 골감소증군이 75.80±29.17, 골다공증군이 76.49±24.86로정상군에비해골감소증군과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확인되었다 ( 표 115). 다 호르몬관련검사 노화가진행됨에따라뚜렷이감소하는성호르몬 ( 남성에서는 testosterone, 여성에서는 estradiol) 과부신의성호르몬 (DHEA-S) 에대하여연령대증가에따른변화를비교하였다

156 ( 표 116. 연령대에따른호르몬수치비교 - 추적 7 기 2 차년도검진대상자 ) Testosterone Estradiol DHEA-S 남자 여자 Mean±SD p * Mean±SD p * 60~64세 10.42± ± ~69세 9.96± ± ~74세 8.95±2.74 < ± ~79세 8.57± ± 세 ~ 7.37± ± ~64세 35.72± ± ~69세 37.22± ± ~74세 39.66± ± ~79세 39.59± ± 세 ~ 37.93± ± ~64세 ± ± ~69세 77.96± ± ~74세 76.26±58.49 < ± ~79세 61.16± ± 세 ~ 48.03± ±32.41 p * : for trend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호르몬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에서 Testosterone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여성호르몬인 Estradiol의경우여자에서연령대증가에따른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남성호르몬성분의일종인 DHEA-S에서는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p=0.004)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남자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16). 호르몬수치에따른위험요인들과의관계성을확인하기위해호르몬수치를그룹으로나누어비교분석하였다. Testosterone의경우남자에서추가분석하였으며, Estradiol은여자에서만추가분석하였다. DHEA-S의경우남여모두연령에따른유의한관계성을보여남여모두위험요인과의관계성을확인하였다

157 Testosterone 1st 2nd 3rd p-value 연령 73.28± ± ±6.15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2.87± ± ± AST 31.04± ± ± ALT 23.89± ± ± 체지방율 25.83± ± ± BMI( kg / m2 ) 23.85± ± ± 허리둘레 90.54± ± ± 공복혈당 ±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9.22± ± ± 시간인슐린 39.05± ± ± 시간인슐린 24.01± ± ± β-cell function 90.77± ± ± HOMA-IR 2.50± ± ± Quicki index 0.62± ± ± GAUC ± ± ± IAUC ± ± ± I over G 0.21± ± ± ISI composite 7.33± ± ± Insulinogenic index 13.80±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4.14± ± ± 중성지방 ± ± ± LDL ± ± ± Testosterone을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호르몬수치가낮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낮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활력증후관련요인에서는수축기혈압 (p=0.008) 이, 비만관련지수에서는체지방율 (p=0.001) 이호르몬수치의그룹에대하여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당대사관련에서는호르몬수치가낮은그룹에서공복혈당과공복인슐린, HOMA-IR의수치가가장높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 (p<0.05, p<0.01)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는 Quicki index의수치 (p=0.021) 가가장높게나타났다 ( 표 117)

158 Estradiol 1st 2nd 3rd p-value 연령 71.05± ± ±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2.47± ± ± AST 26.30± ± ± ALT 20.11± ± ± 체지방율 34.96± ± ± BMI( kg / m2 ) 24.92± ± ± 허리둘레 91.19± ± ± 공복혈당 99.94±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9.63± ± ± 시간인슐린 39.37± ± ± 시간인슐린 31.18± ± ± β-cell function ± ± ± HOMA-IR 2.43± ± ± Quicki index 0.62± ± ± GAUC ± ± ± IAUC ± ± ± I over G 0.23± ± ± ISI composite 7.15± ± ± Insulinogenic index 20.37±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6.93± ± ± 중성지방 ± ± ± LDL ± ± ± 여자에서 Estradiol을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 간기능수치에서는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 AST의수치가가장높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 (p=0.040)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비만관련지수, 당대사관련수치, 지질대사관련요인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성은확인되지않았다 ( 표 118)

159 DHEA-S 1st 2nd 3rd p-value 연령 73.49± ± ±6.33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1.64± ± ± AST 30.86± ± ± ALT 24.11± ± ± 체지방율 24.45± ± ± BMI( kg / m2 ) 23.23± ± ± 허리둘레 89.04± ± ± 공복혈당 ±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8.42± ± ± 시간인슐린 36.27± ± ± 시간인슐린 23.38± ± ± β-cell function 86.54± ± ± HOMA-IR 2.24± ± ± Quicki index 0.64± ± ± GAUC ± ± ± IAUC ± ± ± I over G 0.19± ± ± ISI composite 8.13± ± ± Insulinogenic index 10.86±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4.57± ± ± 중성지방 ± ± ± LDL 98.68± ± ± DHEA-S를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남여모두 DHEA-S 수치가낮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남자에서는이완기혈압 (p=0.047), BMI(p=0.015), 저밀도콜레스테롤 (p=0.045) 에서, 여자에서는공복혈당 (p=0.037), 1시간혈당 (p=0.036), 2시간혈당 (p=0.012), GAUC(p=0.009) 에서 DHEA-S 그룹별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19, 표 120)

160 DHEA-S 1st 2nd 3rd p-value 연령 72.40± ± ±7.09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2.04± ± ± AST 27.57± ± ± ALT 20.17± ± ± 체지방율 35.45± ± ± BMI( kg / m2 ) 24.76± ± ± 허리둘레 90.88± ± ± 공복혈당 96.61±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9.78± ± ± 시간인슐린 40.19± ± ± 시간인슐린 29.32± ± ± β-cell function ± ± ± HOMA-IR 2.40± ± ± Quicki index 0.62± ± ± GAUC ± ± ± IAUC ± ± ± I over G 0.23± ± ± ISI composite 7.49± ± ± Insulinogenic index 23.11±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7.81± ± ± 중성지방 ± ± ± LDL ± ± ±

161 ( 표 121. 연령대에따른호르몬수치비교 - 추적 7 기년도검진대상자 ) Testosterone Estradiol DHEA-S 남자 여자 Mean±SD p * Mean±SD p * 60~64세 9.50± ± ~69세 9.05± ± ~74세 8.30±2.63 < ±0.45 < ~79세 7.64± ± 세 ~ 7.00± ± ~64세 35.98± ± ~69세 37.43± ± ~74세 39.22± ± ~79세 38.31± ± 세 ~ 37.74± ± ~64세 ± ± ~69세 82.05± ± ~74세 77.57±52.97 < ±28.64 < ~79세 61.10± ± 세 ~ 50.68± ±30.97 p * : for trend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호르몬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에서 Testosterone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여성호르몬인 Estradiol의경우여자에서연령대증가에따른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남성호르몬성분의일종인 DHEA-S에서는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남자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21).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호르몬수치에따른위험요인들과의관계성을확인하기위해호르몬수치를그룹으로나누어비교분석하였다. Testosterone의경우남자에서추가분석하였으며, Estradiol은여자에서만추가분석하였다. DHEA-S의경우남여모두연령에따른유의한관계성을보여남여모두위험요인과의관계성을확인하였다

162 Testosterone 1st 2nd 3rd p-value 연령 73.29± ± ±6.54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0.99± ± ± AST 29.55± ± ± ALT 23.52± ± ± 체지방율 25.64± ± ±5.82 <0.001 BMI( kg / m2 ) 23.75± ± ± 허리둘레 90.29± ± ± 공복혈당 ±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9.70± ± ±3.83 < 시간인슐린 37.83± ± ± 시간인슐린 24.52± ± ± β-cell function 96.03± ± ± HOMA-IR 2.61± ± ±1.19 <0.001 Quicki index 0.62± ± ±0.12 <0.001 GAUC ± ± ± IAUC ± ± ± I over G 0.20± ± ± ISI composite 7.92± ± ± Insulinogenic index 8.32±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4.25± ± ± 중성지방 ± ± ± LDL 99.86± ± ± Testosterone을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호르몬수치가낮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낮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호르몬수치가낮은그룹에서수축기혈압 (p=0.001), 체지방율 (p<0.001), 허리둘레 (p=0.006), 공복혈당 (p=0.014), 공복인슐린 (p<0.001), HOMA-IR(p<0.001) 의수치가가장높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 Quicki index(p<0.001), 저밀도콜레스테롤 (p=0.012) 의수치가가장높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122)

163 Estradiol 1st 2nd 3rd p-value 연령 71.86± ± ±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0.50± ± ± AST 25.40± ± ±12.12 <0.001 ALT 19.60± ± ± 체지방율 34.46± ± ± BMI( kg / m2 ) 24.62± ± ± 허리둘레 90.24± ± ± 공복혈당 ±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10.55± ± ± 시간인슐린 37.12± ± ± 시간인슐린 31.37± ± ± β-cell function ± ± ± HOMA-IR 2.79± ± ± Quicki index 0.61± ± ± GAUC ± ± ± IAUC ± ± ± I over G 0.22± ± ± ISI composite 7.49± ± ± Insulinogenic index 16.27±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7.33± ± ± 중성지방 ± ± ± LDL ± ± ± 여자에서 Estradiol을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 간기능수치에서는호르몬수치가높은그룹에서 AST의수치가가장높게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활력증후, 비만관련지수, 당대사관련수치, 지질대사관련요인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성은확인되지않았다 ( 표 123)

164 DHEA-S 1st 2nd 3rd p-value 연령 73.67± ± ±6.23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0.52± ± ± AST 30.89± ± ± ALT 24.44± ± ± 체지방율 24.64± ± ± BMI( kg / m2 ) 23.18± ± ±3.21 <0.001 허리둘레 88.84± ± ± 공복혈당 ± ±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8.85± ± ± 시간인슐린 35.88± ± ± 시간인슐린 23.28± ± ± β-cell function 94.49± ± ± HOMA-IR 2.33± ± ± Quicki index 0.64± ± ± GAUC ± ± ± IAUC ± ± ± I over G 0.19± ± ± ISI composite 8.62± ± ± Insulinogenic index 7.71±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4.67± ± ± 중성지방 ± ± ± LDL 98.61± ± ±30.65 <0.001 DHEA-S를 3그룹으로구분하여위험요인에대하여비교분석한결과남여모두 DHEA-S 수치가낮은그룹에서연령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를보였다. 남자에서는이완기혈압 (p=0.004), AST(p=0.004), ALT(p=0.015), BMI(p<0.001), 총콜레스테롤 (p=0.005), 저밀도콜레스테롤 (p<0.001) 에서, 여자에서는이완기혈압 (p=0.029), 공복혈당 (p<0.001), 1시간혈당 (p=0.045), GAUC(p=0.012), 총콜레스테롤 (p=0.014), 저밀도콜레스테롤 (p=0.001) 에서 DHEA-S 그룹별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24, 표 125)

165 DHEA-S 1st 2nd 3rd p-value 연령 73.02± ± ±6.86 <0.001 수축기혈압 ± ± ± 이완기혈압 70.64± ± ± AST 26.85± ± ± ALT 20.12± ± ± 체지방율 35.15± ± ± BMI( kg / m2 ) 24.56± ± ± 허리둘레 90.40± ± ± 공복혈당 96.93± ± ±30.76 < 시간혈당 ± ± ± 시간혈당 ± ± ± 공복인슐린 10.19± ± ± 시간인슐린 40.39± ± ± 시간인슐린 32.21± ± ± β-cell function ± ± ± HOMA-IR 2.51± ± ± Quicki index 0.61± ± ± GAUC ± ± ± IAUC ± ± ± I over G 0.24± ± ± ISI composite 7.28± ± ± Insulinogenic index 16.28± ± ± 총콜레스테롤 ± ± ± HDL 47.47± ± ± 중성지방 ± ± ± LDL ± ± ± 추적 7 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질환여부와호르몬수치의관계성을확인하기위해성별을구 분하여비교분석하였다. ( 표 126. 질병에따른호르몬수치비교 - 남자 )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Testosterone Estradiol DHEA-S Mean±SD p-value Mean±SD p-value Mean±SD p-value Normal 9.00± ± ±51.71 < DM 7.85± ± ± 정상 8.61± ± ± 고혈압 7.85± ± ± 정상 8.82± ± ±50.01 < 골다공증 7.76± ± ± 정상 9.03± ± ±51.90 < 대사증후군 8.19± ± ±

166 질병에따른호르몬수치를비교한결과남자에서는 Testosterone의수치가당뇨병 (p<0.001), 고혈압 (p=0.001), 골다공증 (p<0.001), 대사증후군 (p<0.001) 의모든질환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났으며, 정상군에비해질환군에서 Testosterone의수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여성호르몬인 Estradiol의경우질환여부에따른수치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DHEA-S의경우골다공증에서통계적으로유의 (p=0.006) 하게나타났으며, 정상군에비해골다공증에서수치가낮은것으로확인되었다. 여자에서는당뇨병 (p=0.006) 과골다공증 (p<0.001) 에서 Testosterone의수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났으며, 골다공증에서는수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으나, 당뇨병에서는정상군에비해수치가높게나타나남자와다른특성을보였다. 여성호르몬인 Estradiol의경우질환에따른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DHEA-S에서도당뇨병 (p=0.047) 과골다공증 (p<0.001) 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골다공증에서는남자와동일하게골다공증이있는그룹이 DHEA-S 의수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으나, 당뇨병에서는당뇨병이있는그룹이 DHEA-S의수치가높게나타나남자와다른특성이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126, 표 127). ( 표 127. 질병에따른호르몬수치비교 - 여자 ) 당뇨병고혈압골다공증대사증후군 Testosterone Estradiol DHEA-S Mean±SD p-value Mean±SD p-value Mean±SD p-value Normal 0.70± ± ± DM 0.77± ± ± 정상 0.71± ± ± 고혈압 0.74± ± ± 정상 0.80± ± ±31.51 < 골다공증 0.69± ± ±28.89 <0.001 정상 0.68± ± ± 대사증후군 0.73± ± ± 라 위험요인관련연구결과분석발표자료 가 비만지수인 BMI 는당뇨병발생의중요한위험요인이지만인종에따라다르며, 아시아인들은서양 인들에비해낮은 BMI 에서도당뇨병이발생한다. 따라서비만지수를지방과근육량으로구분하여낮은 근육량이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과관계성을확인하였다

167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Muscle mass index (MMI) P for Lowest Middle Highest trend Age (yr) 53.8± ± ±8.2 <0.001 Weight (kg) 66.3± ± ±8.3 <0.001 BMI (kg/m2) 26.6± ± ±2.2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7.5± ± ±7.2 <0.001 Hypertension, n (%) 692(30.1%) 423(18.4%) 273(11.9%) <0.001 Body Fat (%) 35.4± ± ±6.6 <0.001 MMI (%) 26.3± ± ±3.5 <0.001 HbA1c (%) 5.5± ± ±0.4 <0.001 Fasting plasma glucose (mmol/l) 4.74± ± ±0.48 < h glucose (mmol/l) 7.0± ± ±1.7 <0.001 Total intake (Kcal) ± ± ± Protein (%) 13.3± ± ± Fat (%) 13.6± ± ±5.3 <0.001 Carbohydrate (%) 71.7± ± ±6.7 <0.001 Family history of diabetes, n (%) 223(9.7%) 265(11.5%) 255(11.1%) Area (Rural), n (%) 1086(47.3%) 1036(45.1%) 1230(53.5%) <0.001 Smoking, n (%) Never-smoker 1376(60.9%) 1373(60.3%) 1346(59.6%) Ex-smoker 407(18.0%) 364(16.0%) 293(13.0%) Current smoker 475(21.0%) 539(23.7%) 620(27.4%) Alcohol consumption (>60 Kcal/day), n (%) 515(22.9%) 521(23.3%) 516(23.1%) Regular exercise ( 3/week), n (%) 455(19.8%) 433(18.8%) 404(17.6%) Monthly income, n(%) <0.001 <1million Korean won 877(46.2%) 679(37.5%) 686(38.0%) 1 2 million Korean won 633(33.3%) 656(36.2%) 717(39.7%) >2 million Korean won 389(20.5%) 476(26.3%) 401(22.2%) Education, n (%) <0.001 Less than elementary school 893(39.2%) 639(27.9%) 568(24.9%) Middle to high school 1063(46.7%) 1332(58.2%) 1403(61.6%) High school graduate 322(14.1%) 318(13.9%) 307(13.5%) Data are expressed as the means±sd or as percentages.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linear-by-linear association between categorical variables was calculated using the chi-square test for trend. BMI, body mass index, is weight in kg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height in meters. MMI, muscle mass index, is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divided by body weight in kg. Sex-specific MMI tertiles: 1st : < 30.95, 2nd: , 3rd : in men and 1st : < 24.97, 2nd: , 3rd : in women. 근육량을나타내는 Muscle mass index(mmi) 를성별을구분하여 3그룹으로나누어당뇨병발생의위험인자들과의관계성을확인한결과 BMI와허리둘레, 지방비율, 고혈압비율이 MMI가작은그룹에서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당대사수치인 HbA1c와공복혈당, 2시간혈당에서도 MMI가큰군보다작은군의수치가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높게나타나 MMI가작은그룹이당뇨병의위험요인과관련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흡연에서 MMI그룹에대한유의한차이 (p=0.002) 가있었으며, 월수입과교육수준에서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01) 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당뇨병가족력, 식이습관, 음주여부, 운동여부에서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Table 1)

168 Figure 1. Body mass index and risk of type 2 diabetes 비만지수인 BMI를그룹으로구분하여당뇨병발생위험도를확인한결과, 위험도는 BMI가 20~22.5 구간에서가장낮게나타났다. 18.5~20 구간에서는 1.38배 (95% C.I. 1.00~1.89) 위험도가높게나타났으며, BMI가증가할수록위험도가증가하여 30이상구간에서는 3.09배 (95% C.I. 2.42~3.94) 높은것으로나타나 BMI와당뇨병발생에는 J형태의연관성이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Figure 1)

169 Table 2. Hazard ratios for incident type 2 diabetes according to sex-specific MMI stratified group MMI Lowest Middle Highest P for trend Per 1 SD decline in MMI Total subjects No. of event/person-yr 630 (27.4%) 422 (18.4%) 284 (12.4%) Incident case of DM/1000 person unadjusted HR 2.55 ( ) 1.56 ( ) 1.00 < ( ) Age, sex-adjusted HR 2.38 ( ) 1.54 ( ) 1.00 < ( ) Model A: Multivariable-adjusted HR 2.05 ( ) 1.39 ( ) 1.00 < ( ) Model A + Fat* 1.53 ( ) 1.19 ( ) 1.00 < ( ) Model A + BMI 1.76 ( ) 1.29 ( ) 1.00 < ( ) Model A + Waist circumference 1.77 ( ) 1.31 ( ) 1.00 < ( ) Excluding those who diagnosed in first 2yrs of follow-up No. of event/person-yr 491 (22.7%) 333 (15.1%) 218 (9.8%) Incident case of DM/1000 person unadjusted HR 2.67 ( ) 1.62 ( ) 1.00 < ( ) Age, sex-adjusted HR 2.51 ( ) 1.61 ( ) 1.00 < ( ) Model A: Multivariable-adjusted HR 2.08 ( ) 1.42 ( ) 1.00 < ( ) Model A + Fat* 1.60 ( ) 1.23 ( ) 1.00 < ( ) Model A + BMI 1.74 ( ) 1.30 ( ) 1.00 < ( ) Model A + Waist circumference 1.77 ( ) 1.33 ( ) 1.00 < ( ) Adjustment variables for multivariable-adjusted hazard ratios included age, rural or urban area, family history of diabetes (at least one diabetic first-degree relative), hypertension, smoking (never, former, or current smoker), alcohol drinking ( 60 Kcal per day), education level (less than elementary school, middle to high school, or high school graduate), physical activity ( 3/week),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Korean won, 1 2 million Korean won, or over 2 million Korean won), total caloric intake, body fat, and obesity. 95% CIs are shown in parenthese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ex-specific median value of fat mass and current BMI or waist circumference category for obesity. *The median values of fat mass were 14.5% in men and 18.5% in women.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2or WC 90 cm for men and 85 cm for women

170 근육량관련지표인 MMI가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 12년동안의발생률에대한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를실시하였다. MMI 3그룹중수치가큰그룹을 Reference로하여분석한결과근육량이적을수록당뇨병발생의위험이단계적으로증가하였으며, 근육량이적은그룹이 2.55배 (95% C.I. 2.21~2.93) 당뇨병발생할확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성별과연령을보정하였을경우근육량이많은그룹에비해적은그룹이 2.38배 (95% C.I. 2.06~2.74), 중간그룹이 1.54배 (95% C.I. 1.33~1.79)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당뇨병발생의위험요인인지역, 당뇨병가족력, 고혈압, 생활습관, 교육수준, 소득수준, 식이습관등을보정한후에도근육량이적은그룹은많은그룹에비해당뇨병발생이 2.05배 (95% C.I. 1.73~2.43) 위험한것으로나타났다. 또한근육량이 1SD 감소할때마다당뇨병발생의위험도는 1.35배 (95% C.I. 1.26~1.45)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근육량과당뇨병발생과의관계성은비만관련지수들을보정한후에도유지되었으며, 근육량이낮은그룹에서 Fat% 를추가로보정한경우 1.53배 (95% C.I. 1.23~1.90), BMI를추가로보정한경우 1.76배 (95% C.I. 1.45~2.14), 허리둘레를추가로보정한경우 1.77배 (95% C.I. 1.48~2.12) 위험한것으로나타났다. 추적검사이후 2년이내에당뇨병이발생한경우를제외하여모든분석을반복한결과에서도전체결과와유사하게나타났다 (Table 2)

171 Figure 2. Multivariable-adjusted hazard ratio for incident type 2 diabetes by tertiles of sex-specific muscle mass index (MMI) relative to baseline BMI. Age, rural or urban area, family history of diabetes (at least one diabetic first-degree relative), hypertension, smoking (never, former, or current smoker), alcohol drinking ( 60 Kcal per day), education level (less than elementary school, middle to high school, or high school graduate), physical activity ( 3/week),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Korean won, 1 2 million Korean won, or over 2 million Korean won), and total caloric intake were adjusted for in Cox models. 95% CIs are shown in parentheses. BMI를고려하여근육량과당뇨병의관계성을확인한결과, BMI가정상인그룹에서도근육량이적은그룹이많은그룹에비해당뇨병발생의위험이 1.95배 (95% C.I. 1.53~2.48) 높은것으로나타났다. 특히비만이면서근육량이적은그룹은비만하지않으면서근육량이많은그룹에비해 2.35배 (95% C.I. 1.94~2.84)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비만인그룹내에서도근육량이많은그룹에비해적은그룹의당뇨병발생위험이 1.42배 (95% C.I. 1.03~1.95)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Figure 2). 나 이전의연구에서는 OGTT 검사를진행하지않아당뇨병발생에대한연구가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OGTT 검사를진행한 12 년추적의데이터를활용하여공복혈당장애 (IFG) 와내당능장애 (IGT) 에따른당뇨병발생률과위험도를확인하고, 당뇨병발생의예측인자를분석하였다

172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lucose tolerance status at baseline. Normal glucose Isolated IFG Isolated IGT Combined IFG-IGT P-value N (% of total) 5633 (74.7) 199 (2.6) 1512 (20.0) 198 (2.6) Men (%) < a,b,c,d,f Age (years) 51.3± ± ± ±8.7 < b,d Urban area (%) < b Family history of diabetes (%) a,b,c Smoking: never/former/current (%) 59.2/14.5/ /28.2/ /16.2/ /31.3/25.3 < a,b,c,d,f Alcohol consumption (%) < a,c,d,f Exercise (%) BMI (kg/m2) 24.3± ± ± ±3.2 < a,b,c Waist circumference (cm) 81.8± ± ± ±8.3 < a,b,c,d,f Hypertension (%) a,b,c,f Systolic BP (mmhg) 115.5± ± ± ±17.8 < a,b,c,f Diastolic BP (mmhg) 74.3± ± ± ±10.7 < a,b,c,d,f FPG (mg/dl) 82.7± ± ± ±5.3 < a,b,c,d,f 2-h PG (mg/dl) 104.8± ± ± ±16.8 < a,b,c,d,e,f Fasting plasma insulin (IU/ml) 7.5± ± ± ±4.5 < a,c,f 2-h plasma insulin (IU/ml) 24.4± ± ± ±30.4 < b,c,d,e HbA1c (%) 5.3± ± ± ±0.4 < a,b,c,e,f HbA1c (mmol/mol) 34.5± ± ± ±4.3 < a,b,c,e,f IGI 0.53± ± ± ±0.85 < b,c,d,e HOMA-IR 1.53± ± ± ±1.21 < a,b,c,d,f Total cholesterol (mg/dl) 189.8± ± ± ±34.3 < a,b,c,f HDL cholesterol (mg/dl) 46.6± ± ± ± a,d Triglycerides (mg/dl) 145.7± ± ± ±108.6 < b,c,e,f LDL cholesterol (mg/dl) 116.2± ± ± ±36.1 < a,b,c CRP (mg/dl) 0.20± ± ± ±0.35 < a,b,c IFG, impaired fasting glucose; I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urban area, Ansan; BMI, body mass index; BP, blood pressure; FPG, fasting plasma glucose; 2-h PG, 2-h plasma glucose; HbA1c, glycosylated hemoglobin; IGI, insulinogenic index; HDL/LDL, high-density/low-density lipoprotein; CRP, C-reactive 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standard deviation (SD) or %. Log-transformed values were used for statistical comparison. P-values re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for each variable using ANOVA and χ2 tests, as appropriate. a Normal glucose vs. isolated IFG; b normal glucose vs. isolated IGT; c normal glucose vs. combined IFG-IGT; d isolated IFG vs. isolated IGT; e isolated IFG vs. combined IFG-IGT; f isolated IGT vs. combined IFG-IGT

173 혈당상태에따라 NGT, IFG, IGT, IFG+IGT의 4그룹으로구분하여인구학적특성과생화학적특성을분석하였다. NGT군에비해 IFG군, IGT군, IFG+IGT군에서 BMI, 허리둘레, 혈압, 혈당, HbA1c, HOMA-IR,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CRP의수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 IFG군에서는 HOMA-IR의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IGT군에서는 IGI의수치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특히 IFG+IGT군에서는 HOMA-IR은높고 IGI 는낮게나타나인슐린분비장애로인한인슐린저항성증가를확인하였다 (Table 1). Table 2.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ccording to gender and baseline glucose tolerance status Normal glucose Isolated IFG Isolated IGT Combined IFG-IGT Prediabetes All No. developing diabetes Cumulative incidence (%) Pearson-years Incidencea HR (95% CI*) (3.16~5.02) 4.50(4.03~5.02) 9.50(7.90~11.43) 4.85(4.38~5.38) Men No. developing diabetes Cumulative incidence (%) Pearson-years Incidencea HR (95% CI ) (2.96~5.11) 4.42(3.77~5.19) 9.90(7.89~12.41) 4.95(4.29~5.70) Women No. developing diabetes Cumulative incidence (%) Pearson-years Incidence a HR (95% CI ) (2.71~6.71) 4.57(3.92~5.32) 8.46(6.10~11.73) 4.76(4.11~5.52) IFG, impaired fasting glucose; I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HR, hazard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a Incidence(per 1000 person-years); *adjusted for age and sex; adjusted for age. Prediabetes was defined as diagnosed with IFG or IGT

174 전체코호트의 12년동안당뇨병의발생률은 19.9% 로나타났으며, 1000명당 pearson-years는 21.1로나타났다. NGT군에비해 Prediabetes에서는 1000명당 pearson-years가 12.3 vs 58.0으로당뇨병발생률이높게나타났으며, 당뇨병발생위험도는 4.85배 (95% C.I. 4.38~5.38) 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 IFG+IGT군은 IFG군과 IGT군에비해 1000명당 pearson-years가각각 vs 51.3 vs 53.1 로당뇨병발생률이 2배이상높게나타났다. 성별을구분한분석에서도동일한패턴을보였다 (Table 2). Table 3. Predictors of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Variables HR (95% CI) P Prediabetes Isolated IFG (vs. normal glucose) 3.61 (2.85~4.57) <0.001 Isolated IGT(vs. normal glucose) 4.06 (3.62~4.55) <0.001 Combined IFG-IGT (vs. normal glucose) 8.21 (6.79~9.94) <0.001 Age (year) 1.02 (1.02~1.03) <0.001 Urban area (vs. rural area) 1.38 (1.23~1.55) <0.001 Family history of diabetes 1.47 (1.27~1.71) <0.001 Smoking Former (vs. Never) 1.18 (1.02~1.36) Current (vs. Never) 1.61 (1.42~1.83) <0.001 Abdominal obesity 1.35 (1.20~1.51) <0.001 Hypertension 1.25 (1.11~1.41) <0.001 High Triglyceride 1.55 (1.38~1.73) <0.001 Low HDL cholesterol 1.17 (1.04~1.31) IFG, impaired fasting glucose; I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urban area, Ansan; rural area; Ansung; HDL, high-density lipoprotein.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djusted for age, sex, residential area, family history of diabetes,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exercise, abdominal obesity, hypertension, high triglycerides, and low HDL cholesterol. 혈당상태에따라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 12년동안의발생률에대한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를실시하였다. NGT군에비해 IFG군은당뇨병발생위험이 3.61배 (95% C.I. 2.85~4.57) 높게나타났으며, IGT군은 4.06배 (95% C.I. 3.62~4.55) 위험한것으로나타났다. IFG+IGT군에서는 NGT군에비해 8.21배 (95% C.I. 6.79~9.94) 로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연령, 지역, 당뇨병가족력, 흡연여부, 비만, 혈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이당뇨병발생에독립적으로영향을미치는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3)

175 다 기존의연구를통해공복혈당과 2시간혈당및 HbA1c가당뇨병의발생및예측에많이활용되고있다. 백인의연구에서공복혈당에 1시간혈당을포함할경우당뇨병발생의예측력이더강하다는연구가있으며, 이에한국에서의당뇨병예측을위한공복혈당, 1시간혈당, 2시간혈당, HbA1c의예측력을비교하고, 1시간혈당의당뇨병발생예측을위한 cut off point를확인하였다. Table 1. Baselin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Parameters Total subjects Nonprogressor Progressor P (n= 5,703) (n= 3,336) (n= 593) Age (years) 51.4± ± ±8.7 <0.001 Sex (men: women) 48:52 47:53 54: Family history of diabetes (%) Body mass index (kg/m2) 24.3± ± ±3.2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1.8± ± ±8.7 <0.001 Waist-to-hip ratio 0.88± ± ±0.07 <0.001 SBP (mmhg) 115.6± ± ±17.7 <0.001 DBP (mmhg) 74.3± ± ±11.2 <0.001 PG at baseline (mmol/l) 4.6± ± ±0.4 <0.001 PG at 1 h (mmol/l) 7.5± ± ±2.0 <0.001 PG at 2 h (mmol/l) 5.8± ± ±1.1 <0.001 HbA1c (%) 5.3± ± ±0.4 <0.001 Fasting plasma insulin (pmol/l) 44.3± ± ± Triglyceride (mmol/l) 1.4± ± ±1.7 <0.001 LDL-cholesterol (mmol/l) 3.0± ± ± HDL-cholesterol (mmol/l) 1.2± ± ±0.2 <0.001 AST (IU/L) 25.3± ± ±1.4 <0.001 ALT (IU/L) 21.7± ± ±1.7 <0.001 Creatinine (mmol/l) 72.0± ± ± hscrp (mmol/l) 0.98± ± ± IGI60(mU/mmol) 7.2± ± ±3.5 <0.001 HOMA-b 127±2 129±2 112±2 <0.001 HOMA-IR 1.30± ± ± QUICKI 0.70± ± ± Matsuda index 9.5± ± ±1.8 <0.001 Oral DI 1.6± ± ±1.5 <0.001 Data are reported as the means±sd or %. Log transformation was used for variables (fasting plasma insulin, triglyceride, AST, ALT, creatinine, hscrp, IGI60, HOMA-β, HOMA-IR, QUICKI, Matsuda index, and oral disposition index) before statistical analysis. P values for Student s t test or chi-square test.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PG, plasma glucose; IGI, insulinogenic index; DI, disposition index. 기초검사시 NGT 군을대상으로 12 년추적검사를진행하였다. 12 년동안 593 명 (10.3%) 의당뇨병 이발생하였다. 당뇨병이발생한군에서연령이 52.4±8.7 세로정상군보다많은것으로나타났으며, 남

176 자의비율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비만관련지수와혈압, 당대사관련수치들도당뇨병발생군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Table 1). Table 2. Areas under the ROC curve for various factors related to glucose metabolism and their optimal cutoffs an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prediction of future diabetes mellitus. Parameter ROC Cutoff Sensitivity Specificity FPG PG at 1 h of OGTT PG at 2 h of OGTT HbA1c IGI HOMA-β HOMA-IR QUICKI Matsuda index Oral DI ROC,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FPG, fasting plasma glucose; PG, plasma glucose; IGI, insulinogenic index; HOMA-β,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β-cell function; HOMA-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QUICKI,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DI, disposition index 당대사관련수치들에대하여 ROC 분석을통하여각요인들의민감도와특이도를확인하였다. ROC 곡선의면적이 1시간혈당에서 0.74로가장면적이큰것으로나타났으며, 다음으로 HbA1c 와 Oral DI가 0.68로면적이큰것으로나타났다. 당뇨병발생을예측하기위한 1시간혈당의 Cut off point는 8.0 mmol/l로나타났으며, 이때의민감도와특이도는각각 70%, 68% 로다른변수들보다유의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2)

177 Table 3.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GT with 1-h postload plasma glucose 8.0 mmol/l compared to NGT with 1-h postload plasma glucose <8.0 mmol/l PG at 1 h <8.0mmol/L PG at 1 h 8.0mmol/L (n = 3,970) (n = 2,435) P* P Age 50.7± ±8.9 <0.001 N/A Sex (M:F) 44:56 54:46 <0.001 N/A Family history of diabetes (%) N/A Body mass index (kg/m2) 24.1± ±3.2 <0.001 N/A Waist circumference (cm) 81.1± ±8.8 < Waist-to-hip ratio 0.87± ±0.07 < SBP (mmhg) 114.0± ±17.2 <0.001 <0.001 DBP (mmhg) 73.4± ±11.4 <0.001 <0.001 PG at baseline (mmol/l) 4.5± ±0.4 <0.001 <0.001 PG at 1 h (mmol/l) 6.3± ±1.4 <0.001 <0.001 PG at 2 h (mmol/l) 5.6± ±1.2 <0.001 <0.001 HbA1c (%) 5.3± ±0.4 <0.001 <0.001 Fasting plasma insulin (pmol/l) 44.3± ± Triglyceride (mmol/l) 1.4± ±1.7 < LDL-cholesterol (mmol/l) 2.99± ± HDL-cholesterol (mmol/l) 1.2± ± AST (IU/L) 24.6± ±1.4 <0.001 <0.001 ALT (IU/L) 20.7± ±1.7 <0.001 <0.001 Creatinine (mmol/l) 71.3± ±1.2 < hscrp (mmol/l) 0.9± ±3.5 < IGI60(mU/mmol) 9.2± ±3.4 <0.001 <0.001 HOMA-b 137±2 111±2 <0.001 <0.001 HOMA-IR 1.27± ± QUICKI 0.70± ± Matsuda index 10.7± ±1.8 <0.001 <0.001 Oral DI 1.7± ±1.5 <0.001 <0.001 Data are reported as the means±sd. Log-transformation was used for variables (fasting plasma insulin, triglyceride, AST, ALT, creatinine, hscrp, IGI60, HOMA-β, HOMA-IR, QUICKI, Matsuda index, and oral disposition index) before statistical analysis. *P values for Student s t test or chi-square test. P values calculated by ANCOVA adjusted for age, sex, BMI, and family history of diabetes. PG, plasma glucos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IGI, insulinogenic index; DI, disposition index. 기초검사시의 NGT군을 1시간혈당을 8.0 mmol/l로나누어두그룹에대하여당뇨병발생의위험요인들과비교하였다. 성별, 연령, BMI, 당뇨병가족력을보정하여분석한결과 1시간혈당이높은그룹에서혈압, HbA1c, AST, ALT, 중성지방의수치들이높게나타났으며, IGI60, HOMA-β, Matsuda index, Oral DI에서는낮은 1시간혈당보다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은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3)

178 Table 4. HRs (95% CI) and P values for progression to diabetes based on 1 h postloa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from Cox proportional-hazards model 8.0 mmol/l HRs(95%CI) p Model ( ) <0.001 Model ( ) <0.001 Model ( ) <0.001 Model 1: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and family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Model 2: model 1 + fasting plasma glucose, and 2-h postload glucose Model 3: model 2 +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 ALT, creatinine, hscrp, and oral disposition index 1시간혈당의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 12년동안의발생률에대한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를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BMI, 당뇨병가족력을보정한경우 1시간혈당이낮은그룹에비해높은그룹이 3.83배 (95% C.I. 3.21~4.58)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공복혈당, 2시간혈당,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ALT, creatinine, CRP, Oral DI를보정한후에도 1시간혈당이높은그룹에서당뇨병의발생위험이 2.84배 (95% C.I. 2.34~3.45)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즉 1시간혈당이높을수록당뇨병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으며, 1시간혈당이당뇨병발생의예측을위한유용한요인임을확인하였다 (Table 4, Figure 1). Figure 1. Kaplan-Meier curve showing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subjects who were free from diabetes mellitus

179 라 심혈관질환의발생에대한위험요인과 Apolipoprotein B 가미치는영향과관계성을확인하였다. 10 년추적조사데이터의 8,713 명의특성을확인한결과연령을평균 52.2 세였으며, 남자가 7.4% 였 다. 체질량지수는 24.6kg/m 2 로과체중범주에가까웠으며, 기초당시흡연자가 24.9% 로나타났다. 질병 력에서는당뇨병이 12.5%, 고혈압이 22.2% 로확인되었다 (Table 1)

180 심혈관질환의위험요인을확인하기위하여단변량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하였다. 평균 8.1년의추적기간동안 600명의심혈관질환이발생하였으며, 연령, BMI, 허리둘레, 혈압, HOMA-IR, 당뇨병여부, 고혈압여부가심혈관질환의발생에관련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지질관련요인에서도모두통계적으로유의하게관련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Apolipoprotein B가심혈관질환과밀접한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Table 2). Figure 1. Kaplan Meier survival curve for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median estimated apob (A, P<0.001) and LDL cholesterol (B, P=0.017) levels

181 Apolipoprotein B 와 LDL 콜레스테롤을중앙값으로 2 그룹으로나누어생존분석을확인한결과 LDL 콜레스테롤을이용한경우보다 Apolipoprotein B 로구분할경우심혈관질환의발생에대하여더빠르게 판별할수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Figure 1). Adjusted for age, sex, waist circumference, current smok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심혈관질환의발생의영향을미치는연령, 성별, 허리둘레, 흡연여부, 당뇨병여부, 고혈압여부등을보정하여지질대사관련수치들의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하였다. Apolipoprotein B가 1SD 증가할때마다심혈관질환의발생률이 1.14배 (95% C.I. 1.05~1.24) 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허혈성심질환과뇌졸중에서도가장유의한요인으로확인되었다 (Table 3). Non-HDL cholesterol과 Apolipoprotein B가모두독립적으로심혈관질환의발생에관련성이있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LDL cholesterol의경우허혈성심질환과뇌졸중에서는유의한관계성을보이지않아심혈관질환의위험을예측하기위해서는 Apolipoprotein B를사용하는것이좋은것으로확인되었다. 마 만성질환의위험지표가되는대사증후군과비만유무에따라당뇨병및심혈관질환의발생에미치는영향을비교분석하기위해대사증후군의진단요인 5가지중 2가지미만및이상으로구분하고 BMI를 25kg/m 2 으로비만을구분하여 4그룹으로나누었다. 대사질환이건강하면서정상체중을 MHNW, 대사질환이건강하면서비만인그룹을 MHO, 대사적으로건강하지않으면서정상체중을 MUNW, 대사적으로건강하지않으면서비만인경우를 MUO로 4 그룹으로나누어당뇨병과심혈관질환의발생률에대한관계성을확인하였다

182 MHNW=metabolically healthy normal weight; MHO=metabolically healthy obese; MUNW=metabolically unhealthy normal weight; MUO=metabolically unhealthy obese; 대사성표현형으로 4그룹으로구분하여기초시점의특성을확인하였다. 7,588명의대상자중 4,025명 (53.0%) 이대사적으로건강한것으로나타났으며, 대사적으로건강한그룹이 MUNW와 MUO 그룹보다연령이낮은것으로확인되었다. 비만관련수치및당대사관련수치, 지질대사관련수치모두 MUO 그룹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1). 대사성표현형의 4 그룹에대하여 10 년동안추적에따라어떻게변하는지확인하였다. MHNW, MUNW, MUO 그룹의경우 10 년의추적기간동안약 60% 의대상자들이동일한대사성표현형이유지 되었으며, MHO 그룹은 36.2% 만동일한표현형으로유지되었다 (Table 2)

183 Model 1: adjusted for age, sex, study site at baseline. Model 2: adjusted for age, sex, study site, exercise habits, smoking status, and alcohol intake. 대사성표현형의 4그룹이당뇨병및심혈관질환의발생에미치는관계성을확인하기위하여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하였다. 당뇨병의경우연령, 성별, 지역및생활습관들을보정한후에도대사적으로건강하면서정상체중의그룹에비해 MUNW 그룹은 3.0배 (95% C.I. 2.5~3.6), MUO 그룹은 4.0배 (95% C.I. 3.4~4.7) 당뇨병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심혈관질환에서는 MUNW 그룹이 1.6배 (95% C.I. 1.3~2.0), MUO 그룹이 1.9배 (95% C.I. 1.5~2.4) 높은것으로나타났다. MHO 그룹은당뇨병발생과심혈관질환의발생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Table 3). Figure 1. Diabetes-free survival by Kaplan Meier analysis

184 대사성표현형과연령사이에유의한상호작용이있어연령을구분하여 MHNW 그룹과 MHO 그룹에대하여생존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결과 45세이상에서는 MHNW 그룹과 MHO 그룹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으나, 45세미만에서는 MHO 그룹이 MHNW 그룹에비해통계적으로유의하게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Figure 1). Model 1: adjusted for age, sex, study site at baseline. Model 2: adjusted for age, sex, study site, exercise habits, smoking status, and alcohol intake. 대사성표현형의변화에따른당뇨병과심혈관질환의발생률을확인하기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한결과연령, 성별, 지역, 생활습관들을보정한후에도당뇨병에서는 MHNW 그룹에비해 MHO 그룹은 1.9배 (95% C.I. 1.2~3.1), MUNW 그룹은 5.3배 (95% C.I. 3.9~7.3), MUO 그룹은 7.0배 (95% C.I. 5.2~9.3)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심혈관질환에서도 MHO 그룹이 2.1배 (95% C.I. 1.2~3.7), MUNW 그룹이 1.7배 (95% C.I. 1.1~2.6), MUO 그룹이 2.2배 (95% C.I. 1.5~3.1) 로 MHNW 그룹에비해심혈관질환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4). 바 갑상선기능이건강한폐경여성에서골반의골점수와갑상선호르몬관련수치인 free thyroxine(ft4) 및 TSH 의관계성을확인하였다

185 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한결과, 여자의나이는 64.9±8.0세, 남자는 64.0±8.1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 TSH 수치는여자가 2.02±1.04로남자 1.71±0.89 보다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았으며, ft4는남자에서 1.19±0.15로여자 1.15±0.14 보다유의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TBS 수치는여자에서높게나타났으며, 모든부위의 BMD는남자에서여자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다 (Table 1). a Data are also adjusted for BMD L1-4 갑상선관련수치들과골관련변수들과의관계성을확인하기위하여연령과 BMI를보정하여회귀분석을진행하였다. 남자에서는 ft4 와 TSH 모두 TBS와유의한관계성은보이지않았다. 대퇴골경부와고관절 BMD의경우남여모두 ft4 및 TSH에유의한관계성은확인되지않았다. 여자에서 ft4와 TBS은음의관계성을보였으며, BMD L1-4를보정한후에도 β=-0.098로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TSH에서는 TBS와유의한관계성을보이지않았다. 즉, ft4의수치가높을수록 TBS의값의악화와관련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2, Figure 1)

186 Figure 1. Scatter plots of trabecular bone scores (TBS) and thyroid function test parameters in euthyroid postmenopausal women. 사 폐경예성에서골점수 (TBS) 및골밀도 (BMD) 에지방이미치는영향을분석하였다

187 폐경여성 1,474명의평균연령은 63.4±8.6세였으며, BMI는 24.7±3.4kg/m 2 으로확인되었으며, 골점수 (TBS) 를세그룹으로구분하여특성을확인하였다. TBS가낮은그룹에서 BMI 및 BMD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낮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다리의지방량은 TBS가낮은그룹에서가장낮았으며, BMI 및총지방량은 TBS가높은그룹에서가장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1). 골격관련측정치와비만관련지수에대하여골점수 (TBS) 와 BMD의상관관계를확인하였다. 연령을보정한결과에서총근육량과총지방량의경우 TBS와는관련이없었으나, 요추 BMD와고관절 BMD와는양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TBS는 Waist/hip ratio, Trunk/leg fat ratio와음의상관관계가있는나타나 TBS가높을수록다리및엉덩이둘레가큰것으로확인되었다. 반면요추와고관절의 BMD는지방분포에상관없이모든비만지수와양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나요추및고관절골밀도의증가는엉덩이둘레및다리가가늘어지는양상과관련이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Table 2). Adjustment for age, BMI, and physical activity

188 연령과 BMI, 신체활동을보정하여회귀분석을한결과 TBS의경우 Android fat mass는반비례하는관계가있는반면, Gynoid fat mass는양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요추 BMD에서는 Android fat mass와양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Gynoid fat mass는음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고관절 BMD에서는 Android fat mass 및 Gynoid fat mass 모두유의한관계성은보이지않았다 (Table 3). Figure 1. Least square means of a waist/hip ratio, b trunk/leg fat ratio, and c android/gynoid fat ratio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according to the tertiles of TBS. TBS의 3그룹에대하여연령과 BMI를보정하여비만지수와의관계성을확인하였다. Waist/hip ratio의경우 TBS가낮은그룹에서 0.929, 높은그룹에서 0.911로나타나 TBS가높아질수록 Waist/hip ratio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Trunk/leg fat ratio와 Android/gynoid fat ratio에서도 TBS가낮은그룹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TBS가높은그룹에서가장낮게타나났다. 즉중앙의지방비율이높을수록 TBS의값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즉, 비교적큰내장지방과작은피하지방이 TBS에해로운영향을줄수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Figure 1)

189 결론 추적 7기 2차년도안성코호트연구에서의구체적인연구의목표는 1) 추적검사 2) 당뇨병군에서의합병증검사 ( 망막증, 심혈관질환등 ) 분석 3) 노화연구와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변화검사를진행하는데목적을두고설문조사, 추적검사가진행되었다. 본초록에는중점연구질환인당뇨병과관련된자료를기술하고자하며, 참고질환인골다공증과대사증후군과관련된결과분석자료는연구보고서에기술하였다. 가 추적검사 제 1세부목표 : 연구원및연구방법의표준화교육 2016년 3월안성 안산연구원들을대상으로표준화교육이혈압, 골다공증, 호흡기능검사등으로이루어졌다. 혈압측정표준화는 4명의연구원들이교육용청진기를사용하여동일한대상자를 2명의연구원들이동시에혈압을측정하는방법으로 24회측정이이루어졌으며동시측정값은모든측정에서 2 Hg 미만으로표준화를달성하였다. 골밀도, 호흡기능검사역시측정오차가참여연구원들간에통계적으로무의미한수준 (p>0.05) 에달성할때까지표준화를하였다. 설문항목중새로이추가된내용들에대한설문방법교육및표준화도이루어졌다. 연구소내의표준화는총 4회 (3, 6, 8, 10월 ) 진행되었으며연구소간표준화된내용들을재교육하는방법으로연구원들의표준화교육이이루어졌다. 제 2세부목표 : 추적검사기초검사시검진받은 2,517명중기초검사시부터추적기간중확인된사망자 237명을제외한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 2,280명중 1,603명을추적하여약 70.3% 의추적율을달성하였으며, 추적 7기 2차년도목표 (1,600명) 대비 100.2% 의추적율을달성하였다. 성별에따른추적율은남자 686 명 (42.8%), 여자 917명 (57.2%) 으로여성의참여율이높게나타났다. 제 3세부목표 :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된검사수치변화및양상분석추적 7기 2차년도 (2016년) 검진을통해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당뇨병의병인요소로의심되는변수들의검사수치변화를살펴본결과, 비만지수인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모두당뇨병과가장강한관계성을보여주었으며, 시간이지남에따라정상군과당뇨병군이차별화되는경향을보였다. 당대사응용수치인 Quicki index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낮은것을알수있었으며, HOMA Insulin resistance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양상을보였다. Glucose AUC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았으며, 특히당뇨병군의경우추적시기에따라증가폭이다른군들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다. Insulin AUC에서도검사시기별군간의비교에서당뇨병군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ISI composite와 Insulinogenic index에서는모든시기에서당뇨병군의수치가가장낮게나타나당뇨병진단의중요한

190 참고수치로확인되었다. 추적 7기년도 (2015년, 2016년 ) 검진을통해당뇨병으로새롭게진단받은대상자들의특성을확인하기위하여당뇨병의병인요소로의심되는변수들의검사수치변화를살펴본결과, 당뇨병과강한관계성을보이는간기능수치모두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경향을보였다. 비만지수모두검사시기별로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났으며, 특히허리둘레의경우모든군에서추적기간이길어질수록평균수치역시증가하며증가폭도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당대사응용수치인 β-cell function과 Quicki index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낮은것을알수있었으며, HOMA Insulin resistance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평균수치가높은양상을보였다. Glucose AUC와 Insulin AUC의경우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의수치가높은것으로확인되었으며, 특히당뇨병군의경우추적시기에따라 Glucose AUC의증가폭이다른군들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다. ISI composite와 Insulinogenic index에서는모든시기에서당뇨병군의수치가가장낮게나타났다. 제 4세부목표 : 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과관련된발생률, 생존율, 병인요소, 인과관계분석당뇨병은추적 7기 2차년도추적검사시 53명 (3.6%) 의발생률을보였으며, 남자 14명 (2.2%), 여자 39명 (4.6%) 으로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80대 (4.4%) 에서높은발생률을보이고있었으며, 전체적으로남자에비해여자가당뇨병발생률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추적 7기년도전체추적검사시 122명 (4.2%) 의발생률을보였으며, 남자 47명 (3.8%), 여자 75명 (4.4%) 으로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남자에비해여자가당뇨병발생률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14년간누적당뇨병생존율은 76.1% 였으며, 당뇨병진단에따른 14년간누적생존율은정상군 (84.2%) 과내당능장애군 (43.5%) 으로나타나모두내당능장애군에서의당뇨병이환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제 5세부목표 : 연구대상자건강정보, 질병상태, 사망정보확보를위한조사건강정보와질병상태는면접조사방식으로작성된역학설문지와 3개월마다전화상담을통해작성된추적일지를토대로조사가이루어졌다. 사망자 (61명) 에대한파악과함께사망시기, 사망원인에대한조사가함께이루어졌다. 제 6세부목표 : 만성질환예측모델의지속적인수정 보완당뇨병예측모델은채혈을하지않고일반인들도쉽게당뇨병을예측할수있도록간단한환경요인및생활습관의요인들을이용하여개발한모델로써당뇨병가족력과, 흡연여부, 연령대, 수축기혈압, 허리둘레만으로당뇨병을예측할수있는모델이다. 본모델은민감도와특이도가떨어지지만채혈을하지않고간단한요인조사와생활습관측정만으로도당뇨병을예측할수있다는데큰의의가있다고하겠다. 개발된만성질환예측모델의내적타당도검증은현재진행되는역학연구를활용하여이루어질것이고, 외적타당도검증은차후신과제들을동해평가될것이다

191 나 당뇨병합병증관련추적검사 추적 7기 2차년도연구참여자들의시력분포를보면, 좌우측시력 0.1 이하와시력 의경우모두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비율이높게나타났다. 당뇨병진단별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보면, 당뇨망막병증상태가비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내당능장애군에서 1명 (0.6%), 당뇨병군에서는 47명 (11.7%) 으로당뇨병군에서높게나타났으며, 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1명 (0.1%), 당뇨병군에서 9명 (2.2%) 으로나타났다.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시력분포를보면, 좌우측시력 0.1 이하와시력 의경우모두정상군보다당뇨병군에서비율이높게나타났다. 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보면, 비증식성인경우정상군에서 5명 (0.3%), 내당능장애군에서 3명 (0.8%), 당뇨병군에서는 99명 (12.0%) 으로당뇨병군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증식성인경우에도정상군에서 1명 (0.1%), 내당능장애군에서 1명 (0.3%), 당뇨병군에서 24명 (2.9%) 으로당뇨병군에서가장높게나타났다. 당뇨병발병기간별당뇨망막병증상태를살펴본결과, 당뇨병발병기간이길어질수록정상의비율은감소하였고, 비증식성과증식성당뇨망막병증의비율이증가하였다. 따라서당뇨병망막증은내당능장애군에서도발생되고있으며, 특히당뇨병발병후 5년내 2.6%, 10년내약 11% 발생하는것으로규명되었다. 따라서당뇨병발생시점부터안과에서는망막증검사가진행되어야조기진단과치료를통해실명 (blindness) 을예방할수있을것이다. 다 노화와관련하여삶의질평가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변화검사 제 1세부목표 : 노화관련대사변화분석평가및질환유병률분석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당뇨병유병률은 65세미만그룹은 145명 (24.2%), 65세이상그룹은 310명 (35.5%) 이당뇨병으로확인되었다.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의당뇨병유병률은 65 세미만그룹은 292명 (25.4%), 65세이상그룹은 661명 (37.0%) 이당뇨병으로확인되었다.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당뇨병발생률은 65세미만그룹보다 65세이상그룹에서 1.51배 (95% C.I ) 당뇨병의발생확률 (p<0.001) 이높았다. 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병인요소수치들을연령별로비교한결과, 수축기혈압, 체지방률, 허리둘레, 1시간혈당, 2시간혈당, 2시간인슐린, Glucose AUC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 ALT, 체질량지수, ISI composite, Insulinogenic index의경우 65세미만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였다. 당대사응용수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인유의성 (p<0.001) 을보였다. 추적 7기년도전체연구참여자들의병인요소수치들을연령별로비교한결과, 수축기혈압, 체지방률, 허리둘레, 1시간혈당, 2시간혈당, 2시간인슐린, Glucose AUC의경우 65세이상그룹에서, 체질량지수, ISI composite, Insulinogenic index의경우 65세미만그룹에서평균수치가높게나타나는경향을

192 보였다. 당대사응용수치모두연령군별로검사시기간에통계적인유의성 (p<0.001) 을보였다. 제 2세부목표 : 삶의질평가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인 WHOQOL-BREF 설문조사결과, 신체적건강영역 (p<0.001), 심리적영역 (p=0.006), 사회적영역 (p<0.001), 생활환경영역 (p=0.011) 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각영역별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65세이후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치매관련검사 (K-MMSE, KDSQ) 및노인성우울증검사 (GDS) 를한결과, 전체적으로남자보다여자에서기억인지력이떨어지고, 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고, 우울증정도가심한것으로나타났다. 신체활동평가도구 (SPPB) 를사용하여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능력을평가한결과, 남녀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3, p<0.001) 하게신체활동능력이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남자보다여자에서연령대가증가할수록더빠르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Hydraulic hand dynamoneter를이용하여손의악력을평가한결과, 남녀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악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 (p<0.001), 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여자보다남자의악력이연령이증가할수록감소가큰것으로분석되었다.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 WHO 삶의질척도 ( 단축형 ) 인 WHOQOL-BREF 설문조사결과, 신체적건강영역 (p<0.001), 심리적영역 (p<0.001), 사회적영역 (p<0.001), 생활환경영역 (p<0.001) 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각영역별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65세이후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치매관련검사 (K-MMSE, KDSQ) 및노인성우울증검사 (GDS) 를한결과, 전체적으로남자보다여자에서기억인지력이떨어지고, 치매에노출될위험성이높고, 우울증정도가심한것으로나타났다. 신체활동평가도구 (SPPB) 를사용하여연령대에따른신체활동능력을평가한결과, 남녀모두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4, p<0.001) 하게신체활동능력이감소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남자보다여자에서연령대가증가할수록신체활동능력이더빠르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Hydraulic hand dynamoneter를이용하여손의악력을평가한결과, 남녀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악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 (p<0.001), 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여자보다남자의악력이연령이증가할수록감소가큰것으로분석되었다. 제 3세부목표 : 생화학지표분석및호르몬검사추적 7기 2차년도검진대상자들의갑상선결절여부를성별을구분하여연령대에따라확인한결과, 모든연령대에서남자보다여자에서결절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남자와여자에서는연령이증가할수록결절의비율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골다공증진단별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Osteocalcin, C-telopeptide, Alk.Phosphatase의경우정상군에비해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확인되었다. 연령대에따른호르몬수치를비교한결과, Testosterone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DHEA-S에서는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p=0.004)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남자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193 추적 7기년도전체검진대상자들의갑상선결절여부를성별을구분하여연령대에따라확인한결과, 남자와여자모두에서연령이증가할수록결절의비율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모든연령대에서여자의결절비율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골다공증진단별골다공증관련혈액수치를비교한결과, Osteocalcin, C-telopeptide, Alk.Phosphatase의경우정상군에비해골다공증군에서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은것 (p<0.001) 으로확인되었다. 연령대에따른호르몬수치를비교한결과, 남자에서 Testosterone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DHEA-S에서는남여모두연령대가증가할수록통계적으로유의 (p<0.001) 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남자의경우연령이증가할수록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 연구결과정리 ) 당뇨병발생률, 생존률 - 추적 7기 2차년도당뇨병발생률 3.6% ( 남 =2.2%, 여 =4.6%) - 추적 7기년도전체당뇨병발생률 3.7% ( 남 =3.4%, 여 =4.0%) - 당뇨병 14년간누적생존률 76.1% (Normal=84.2%, IGT=43.5%) 골다공증발생률, 생존률 - 추적 7기 2차년도전체골다공증발생률 1.3%, ( 남 =1.3%, 여 =1.4%) - 추적 7기년도전체골다공증발생률 1.4%, ( 남 =1.7%, 여 =1.2%) - 골다공증 14년간누적생존률 63.7% (Normal=76.8%, 골감소증 =40.4%) 대사증후군발생률, 생존률 - 추적 7기 2차년도대사증후군발생률 3.7% ( 남 =4.2%, 여 =3.3%) - 추적 7기년도전체대사증후군발생률 3.2% ( 남 =4.1%, 여 =2.6%) - 대사증후군 14년간누적생존률 46.3% ( 남 =53.0%, 여 =39.9%) 라 위험요인관련연구결과분석발표자료 Low Muscle Mass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indings from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BMI를고려하여근육량과당뇨병의관계성을확인한결과 BMI가정상인그룹에서도근육량이적은그룹이많은그룹에비해당뇨병발생의위험이 1.95배 (95% C.I. 1.53~2.48) 높은것으로나타났다. 특히비만이면서근육량이적은그룹은비만하지않으면서근육량이많은그룹에비해 2.35배 (95% C.I. 1.94~2.84)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비만인그룹내에서도근육량이많은그룹에비해적은그룹의당뇨병발생위험이 1.42배 (95% C.I. 1.03~1.95)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194 Incidence and predictors of type 2 diabetes among Koreans: A 12-year follow up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혈당상태에따라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 12년동안의발생률에대한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를실시하였다. NGT군에비해 IFG군은당뇨병발생위험이 3.61배 (95% C.I. 2.85~4.57) 높게나타났으며, IGT군은 4.06배 (95% C.I. 3.62~4.55) 위험한것으로나타났다. IFG+IGT 군에서는 NGT군에비해 8.21배 (95% C.I. 6.79~9.94) 로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연령, 지역, 당뇨병가족력, 흡연여부, 비만, 혈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이당뇨병발생에독립적으로영향을미치는것으로확인되었다. One-hour Postloa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in People with Normal Glucose Homeostasis Predicts Future Diabetes Mellitus: A 12-Year Community-based Cohort Study 당대사관련수치들에대하여 ROC 분석을통하여각요인들의민감도와특이도를확인하였다. ROC 곡선의면적이 1시간혈당에서 0.74로가장면적이큰것으로나타났으며, 다음으로 HbA1c 와 Oral DI가 0.68로면적이큰것으로나타났다. 당뇨병발생을예측하기위한 1시간혈당의 Cut off point는 8.0 mmol/l로나타났으며, 이때의민감도와특이도는각각 70%, 68% 로다른변수들보다유의하게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1시간혈당의당뇨병발생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 12년동안의발생률에대한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를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BMI, 당뇨병가족력을보정한경우 1시간혈당이낮은그룹에비해높은그룹이 3.83배 (95% C.I. 3.21~4.58)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공복혈당, 2시간혈당,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ALT, creatinine, CRP, Oral DI를보정한후에도 1시간혈당이높은그룹에서당뇨병의발생위험이 2.84배 (95% C.I. 2.34~3.45) 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즉 1시간혈당이높을수록당뇨병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으며, 1시간혈당이당뇨병발생의예측을위한유용한요인임을확인하였다. Predi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with an equation to estimate apolipoprotein B: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심혈관질환의발생의영향을미치는연령, 성별, 허리둘레, 흡연여부, 당뇨병여부, 고혈압여부등을보정하여지질대사관련수치들의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하였다. Apolipoprotein B가 1SD 증가할때마다심혈관질환의발생률이 1.14배 (95% C.I. 1.05~1.24) 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허혈성심질환과뇌졸중에서도가장유의한요인으로확인되었다. Non-HDL cholesterol과 Apolipoprotein B가모두독립적으로심혈관질환의발생에관련성이있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LDL cholesterol의경우허혈성심질환과뇌졸중에서는유의한관계성을보이지않아심혈관질환의위험을예측하기위해서는 Apolipoprotein B를사용하는것이좋은것으로확인되었다. Risk of the Development of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People: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195 대사성표현형의변화에따른당뇨병과심혈관질환의발생률을확인하기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을진행한결과연령, 성별, 지역, 생활습관들을보정한후에도당뇨병에서는 MHNW 그룹에비해 MHO 그룹은 1.9배 (95% C.I. 1.2~3.1), MUNW 그룹은 5.3배 (95% C.I. 3.9~7.3), MUO 그룹은 7.0배 (95% C.I. 5.2~9.3) 당뇨병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심혈관질환에서도 MHO 그룹이 2.1배 (95% C.I. 1.2~3.7), MUNW 그룹이 1.7배 (95% C.I. 1.1~2.6), MUO 그룹이 2.2배 (95% C.I. 1.5~3.1) 로 MHNW 그룹에비해심혈관질환의발생위험이높은것으로확인 되었다. High-normal free thyroxi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low trabecular bone scores in euthyroid postmenopausal women 갑상선관련수치들과골관련변수들과의관계성을확인하기위하여연령과 BMI를보정하여회귀분석을진행하였다. 남자에서는 ft4 와 TSH 모두 TBS와유의한관계성은보이지않았다. 대퇴골경부와고관절 BMD의경우남여모두 ft4 및 TSH에유의한관계성은확인되지않았다. 여자에서 ft4와 TBS은음의관계성을보였으며, BMD L1-4를보정한후에도 β=-0.098로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TSH에서는 TBS와유의한관계성을보이지않았다. 즉, ft4의수치가높을수록 TBS의값의악화와관련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Regional body fat depots differently affect bone microarchitecture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BS의 3그룹에대하여연령과 BMI를보정하여비만지수와의관계성을확인하였다. Waist/hip ratio의경우 TBS가낮은그룹에서 0.929, 높은그룹에서 0.911로나타나 TBS가높아질수록 Waist/hip ratio가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Trunk/leg fat ratio와 Android/gynoid fat ratio에서도 TBS가낮은그룹에서가장높게나타났으며, TBS가높은그룹에서가장낮게타나났다. 즉중앙의지방비율이높을수록 TBS의값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즉, 비교적큰내장지방과작은피하지방이 TBS에해로운영향을줄수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정책반영제언및타연구개발사업과의연계성 가 생명과학분야의필수기초자료로활용 질병진단및예방교육을위해현재국내에서사용하는있는참고자료들은국외의연구결과나국내에서진행된연구결과여도대거의정상인이포함된지역사회주민들을대상으로이루어진연구결과가아니므로참고수치로사용하기에는많은문제점이있다. 본연구결과는이러한단점을보완한참고수치들로앞으로생명과학분야의참고수치로서의높은민감도와신뢰도를보이고있다. 나 의 약학및보건학분야에활용

196 본연구의추적 7기 2차년도까지의연구결과를종합해보면국내역학연구에서는최초로질높은표준화된방법으로진행된전향성연구인만큼그결과는의학, 약학, 보건학차원의다방면에그활용가치가높다고본다. 노화와관련된대사변화및삶의질, 생화학적지표, 호르몬검사는고령화사회에서의국가적, 개인적차원의중요한이슈로부각되고있는삶의질을평가할수있는노인보건관련한기초자료가개발될수있다. 따라서본연구결과들은앞으로국가보건정책에서도공익홍보등을통해국민보건교육자료로사용할수있다. 다 국민보건증진의국가보건정책결정과정에기여 본연구에서수집된많은연구결과물들은질병진단의참고자료로개발하는데그가치가매우높다고본다. 예를들어골다공증진단에사용하는 t-값은현재 -2.5를세계보건기구에서는진단기준수치로규정하고있으나본연구결과초음파용검사장비를사용할경우진단수치를낮게선정해야질병진단에높은민감도를달성할수있다. 또한개발된만성질환예측모델을국가보건정책에반영할경우국민들에게당뇨병및만성질환에대한인지도를높여질병조기발견과함께예방을통해국가적차원에서는막대한의료비지출을절감시킬수있는가능성도있다. 라 질병조기진단과치료관리 예방등의활용에기여 현재국내에서사용하고있는많은의료데이터들은외국자료들로질병조기진단, 치료관리에낮은민감도를보이고있다. 본연구에서개발된참고자료들은우리나라사람들질환자가아닌일반거주환경에서얻어진정확한데이터들로그활용가치는방대하다고본다. 나아가본연구지역에는많은집성촌이군집되어이를효과적으로활용할경우질병과관련된유전자형질분석에중요한역할을할수있을것이다. 또한안성지역에서는지난 14년간 1,108명의당뇨병환자를조기에발굴하였다. 이러한자료들은현재국내외에서진행되고있는당뇨병합병증과관련된많은연구들과연계할경우합병증과관련한병인요소를발굴하는데중요한역할을할것이다. 전향성연구를통한당뇨병초기부터합병증발생까지의관계된질병자료는현재국내에는전무한상태로본연구의결과물들을기반으로늦지않은조속한시기에합병증연구에활용되어야할것이다. 현재수집된연구결과물들은전무후무한소중한자료들로국가의학발전및보건증진에지대한기여를할수있을것으로확신한다. 향후연구의전개및발전방안 지역사회코호트연구에서수집된기초검사정보및유전자는가까운미래에유전자 clustering의분석방법이획기적으로발전되었을때본연구자료가다시유전자와질병관계를분석하는 project에중요하고방대한연구자료로써재사용될수있을것이다. 나아가유전자를응용한특정질환의진단및치료와예방도가능할것이다. 유전자자료외본연구에서수집된방대한정상인들의검사수치는우리

197 나라사람들의참고수치로응용되어질병조기진단및예방에도매우높은활용가치를지니고있다. 또한본연구에서정확하게구분될당뇨병, 골다공증, 대사증후군 ( 정상군, 고위험군, 질병군 ) 을응용한 intervention study 또는 nested case-control study도가능하게될것이다. 나아가현재까지누적된데이터를분석평가한결과국가와국민들에게직접적인혜택을미칠수있는보건연구기반의역학연구의가능성을확인하였기에아래와같은연구방향을제시한다. w w w w 병인요소특성이다른노인당뇨병가능성발견만성질환예측에대한새로운병인요소규명당뇨병합병증 ( 망막증 ) 분석평가본연구의 Basic Scientist는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내부에서분석을하고있고차후전문인 력기관과공통연구가능 w 안성코호트자료만사용할경우일부지역의코호트연구라는제한점이있으나, 안성과안산지역의 자료를통합하여분석할경우지역사회기반코호트의자료로제한점이보완될것임. w 본연구를통해보고되는의학적결과물들은국가보건증진및보건정책확립에초석은물론보건의 학관련산업계에도응용가치가매우높으며, 국민보건교육과세계의학발전에도크게기여할것 임

198 연구성과 정책연구용역사업명 책임연구원 지역사회기반코호트심층조사사업 안성 조남한 아주대학교의과대학 예방의학 가 연구논문 번호논문제목저자명저널명집 권 페이지 국내 국 외 여부 국외 국 외 국외 국외 국외

199 번호논문제목저자명저널명집 권 페이지 β 국내 국 외 여부 국외 국외 국 외 국외 국 내 국 외 국외

200 번호논문제목저자명저널명집 권 페이지 나 학술발표 본연구결과물들은지속적으로국내외 그학술지외투고됨은물론국내외학술대회 에서도발표될것이다 국내 국 외 여부 국외 국외 국외 국외 다 지적재산권 해당사항없음

201 라 정책제안및활용 본연구의성공적인사업수행을위해연구기간의확보 년 및사업의조기시행이필요함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성공적인결과를도출하기위해서는중장기코호트운영계획이작성되어야할것임 당뇨병망막증은내당능장애군에서도발생되고있으며 특히당뇨병발병후 년내약 발생하는것으로규명되었다 따라서당뇨병발생시점부터안과에서는망막증검사가 진행되도록정책적으로지원하여조기진단과치료를통한실명 을예방할수있도록활용되어야할것이다 마 타연구 차기연구에활용 해당사항없음 바 언론홍보및대국민교육 본연구에서개발된당뇨병발병예측모델은보건증진에활용될수있도록국립보건연구원이주도하여웹사이트를구축하고대국민홍보를통한당뇨병조기진단및예방에활용되어야함 사 기타 코호트참여자역학 임상자료및생체시료수집

202 미정

203 w 해당사항없음

204 w 처음선정시와비교하여변경된사항이없음

205 연구비사용내역 단위 원 구 분 비 목 금액구성비비고 인 건 비 소 계 원 책 임 연 구 원 총 명 원 연 구 원 총 명 원 연구보조원 총 명 원 경 비 소 계 원 여 비 원 유 인 물 비 원 전 산 처 리 비 원 시약및연구용재료비 원 회의비 원 임 차 료 원 교 통 통 신 비 원 위탁정산수수료 원 연구활동비 원 일반관리비 원 부가가치세 원 계 원

206 연구분담표 구분소속직위성명성별분담내용 책임 연구원 아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원숙명여대강사 참여연구원 참여연구원 참여연구원 참여연구원 서울의대 내분비내과서울의대 내분기내과서울의대 내분비내과서울의대 내분비내과 교수조남한남 연구를총괄책임하며역학적인방법 연구진행에총괄책임을맞는다 인건비지급여부 참여율 여영양역학과관련한연구에참여한다 교수장학철남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조교수임수남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조교수최성희여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부교수신찬수남골다공증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학교병원전임의문신제남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분당서울대병원전임강사오태정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학교병원전임의 홍아람 여골다공증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의대내과교수박도준남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의대내과교수박경수남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병원진료교수김정희여골다공증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분당서울대병원조교수김경민여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강원대병원진료조교수최훈성남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국립암센터진료조교수 황보율남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병원조교수곽수헌남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분당서울대병원조교수문재훈남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의대교수박영주여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시보라매병 원 부교수이가희여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의대안과조교수박규형남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의대안과조교수우세준남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분당서울대병원전임의김용규남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분당서울대병원전임의박상준남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서울대학교병원전임의 유나경여 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207 구분소속직위성명성별분담내용 인건비지급여부 참여율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임상강사 조관혁 남 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임상강사 조준희 남 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임상강사 주광식 남 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조수창 남 당뇨합병증안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지선하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삼성서울병원 임상조교수 이문규 남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삼성서울병원 조교수 허규연 여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삼성서울병원 임상조교수 진상만 남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삼성서울병원 임상조교수 배지철 남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동아대학교병원 조교수 서성환 남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카톨릭대학교 교수 유순집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카톨릭대학교 조교수 손장원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카톨릭대학교 부교수 이성수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카톨릭대학교 부교수 송윤주 여 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조교수 최형진 남 골다공증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삼성서울병원 부교수 김재현 남 심혈관계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림의대내과 부교수 김현아 여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림의대내과 부교수 정영옥 여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국군수도병원류마티스내과과장 유종진남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양대학교 부교수 성윤경 여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김지해 여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양대학교 임상강사 송윤아 여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양대학교 조교수 이승훈 남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한양대학교 교수 전재범 남 관절염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아주대학교병원 조교수 한승진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조선욱 여 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208 구분소속직위성명성별분담내용 인건비지급여부 참여율 참여연구원 서울의대 학생 최용제 남 갑상선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송영신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이지현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공성혜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분당서울대병원 전임의 이지은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분당서울대병원 전임의 김이경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안창호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배재현 남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민세희 여 당뇨병연구및논문작성에참여한다 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연구보조원계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코디네이터김현규남 연구원관리 데이터관리및분석등본연구 총괄책임자를보조하여프로젝트매니저역할을하게됨 임상역학센터통계분석김봉덕남검사당일교통제공 전산시스템관리 데이터아주의대통계분석임승훈남관리 통계분석및당뇨합병증검사인 임상역학센터 와시력검사업무를담당함 아주의대통계분석김종배남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아주의대 임상역학센터 간호사송혜은여 채혈및 관리 결과평가 채혈 수임상병리사윤희진여 송및보관업무를담당함 임상병리사윤미선여 코호트 관리원 코호트 관리원 양진무남검사대상자예약 검사확인및결과발송 지역사회협동연구원업무협조 그리고검사대상자입 원시병원을방문하여차트복사등검사대상자 황성애 여 와관련된모든업무를담당함 방사선사임연수남지역사회검사중흉부 관절등의방사선촬영업무및골다공증검사를담당함

209 1. Amos AF, McCarty DJ, Zimmet P. The rising global burden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estimates and projections to the year Diabet Med. 1997;14 Suppl 5:S Plan of action for the Western Pacific Declaration on Diabetes , WHO-WPR Gloyn AL. The search for type 2 diabetes genes. Ageing Res Rev 2003;2(2): Soonthornpun S, Setasuban W, Thamprasit A, Chayanunnukul W, Rattarasarn C, Geater A. Novel insulin sensitivity index derived fro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Mar;88: Hogan P, Dall T, Nikolov P. Economic Costs of Diabetes in the U.S. in Diabetes Care ;26(3): , 김상아, 박웅섭, 오희철, 강혜영, 이대희, 이상욱, 곽연희, 송재석. 우리나라당뇨병의유병률과관리상태. 대한내과학회지 68:10-17, Holt G, Khaw KT, Reid DM, Compston JE, Bhalla A, Woolf AD, Crabtree NJ, Dalzell N, Wardley-Smith B, Lunt M, Reeve J. Prevalence of osteoporotic bone mineral density at the hip in Britain differs substantially from the US over 50 years of age: implications for clinical densitometry. Br J Radiol. 2002;75(897): Jordan KM, Cooper C.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Dec;16(5): Kanis JA, Jonsson B. Economic evaluation of interventions for osteoporosis. Osteoporos Int Oct;13(10): Kim KI, Han IK, Kim H, Cho NH.How reliable is the ultrasound densitometer for community screening to diagnose osteoporosis in spine, femur, and forearm J Clin Densitom Summer;4(2): Reaven GM: Banting lectur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 , Executive Summary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28: 박혜순. 한국인에서의대사증후군의역학. 대한비만학회지 2002;11: WHO West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Feb Ford ES, Giles WH, Dietz WH.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JAMA

210 2002;287: 이기업, 인슐린저항성의발생기전. 대한내분비학회지 7: , 허갑범. 한국인의인슐린저항성증후군. 대한내분비학회지 1999;14: 김상욱, 김진엽, 김은숙, 김영일, 김형호, 이무송, 박중열, 홍성관, 이기업. 정읍지역주민에서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유병률. 당뇨병 1999;23: 김상욱, 허명희, 김영일, 김진엽, 김은숙, 이무송, 박중열, 홍성관, 이기업. 정읍지역주민에서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군집성분석. 당뇨병 1999; 23: 박정식, 박현덕, 윤중원, 정찬희, 이원영, 김선우. 도시지역검진수진자 40,698명에서 NCEP ATP III 기준에의한대사증후군의유병율. 대한내과학회지 2002;63: 김병성. 한국인에서의대사증후군의유병율 : 일개대학병원종합건진센터수진자를대상으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2;2: Abdul-Rahim HF, Husseini A, Bjertness E, Giacaman R, Gordon NH, Jervell J.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West Bank population: an urban-rural comparison. Diabetes Care 2001;24: Fung TT, Hu FB, Yu J, Chu NF, Spiegelman D, Tofler GH, Willett WC, Rimm EB.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television watching, and plasma biomarkers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 J Epidemiol 2000;152: Fitzgerald SJ, Kriska AM, Pereira MA, de Courten MP.Associations among physical activity, television watching, and obesity in adult PIMA Indians. Med Sci Sports Exerc 1997;27: Blokstra A, Burns CM, Seidell JC. Perception of weight status and dieting behaviour in Dutch men an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23: Risch NJ: Searching for genetic determinants in the new millennium. Nature : WHO: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Tunbridge WM, Evered DC, Hall R, Appleton D, Brewis M, Clark F, et al. The spectrum of thyroid disease in a community: the Whickham survey. Clin Endocrinol (Oxf) 1977;7(6): Canaris GJ, Manowitz NR, Mayor G, Ridgway EC. The Colorado thyroid disease prevalence study. Arch Intern Med 2000;160(4): Hollowell JG, Staehling NW, Flanders WD, Hannon WH, Gunter EW, Spencer CA, et al. Serum TSH, T(4), and thyroid antibodi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88 to 1994): National

211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2): Laurberg P, Pedersen KM, Hreidarsson A, Sigfusson N, Iversen E, Knudsen PR. Iodine intake and the pattern of thyroid disorders: a 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y of thyroid abnormalities in the elderly in Iceland and in Jutland, Denmark. J Clin Endocrinol Metab 1998;83(3): Teng W, Shan Z, Teng X, Guan H, Li Y, Teng D, et al. Effect of iodine intake on thyroid diseases in China. N Engl J Med 2006;354(26): 최훈성, 박영주, 김현규, 최성희, 임수, 박도준, 장학철, 조남한, 조보연. 지역사회코호트연구를통한한국인에서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유병률분석. 대한갑상선학회지 2010;3(1): Vanderpump MP, Tunbridge WM, French JM, Appleton D, Bates D, Clark F, et al. The incidence of thyroid disorders in the community: a twenty-year follow-up of the Whickham survey. Clin Endocrinol (Oxf) 1995;43(1): Cho NH, Choi HS, Kim KW, Kim HL, Lee SY, Choi SH, Lim S, Park YJ, Park DJ, Jang HC, Cho BY. Interac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Iodine-intake and Their impact on Thyroid Function. Clin Endocrinol (Oxf) Aug;73(2): Rozing MP, Houwing-Duistermaat JJ, Slagboom PE, Beekman M, Frölich M, de Craen AJ, Westendorp RG, van Heemst D.Familial longevity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thyroid function. J Clin Endocrinol Metab Nov;95(11): Corsonello A, Montesanto A, Berardelli M, De Rango F, Dato S, Mari V, Mazzei B, Lattanzio F, Passarino G.A cross-section analysis of FT3 age-related changes in a group of old and oldest-old subjects, including centenarians' relatives, shows that a down-regulated thyroid function has a familial component and is related to longevity. Age Ageing Nov;39(6):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 Mellitus.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Care 1997;20: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ategories of glucose intolerance: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Diabetes 28: Kanis JA, Melton LJ 3rd, Christiansen C, Johnston CC,Khaltaev 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9: , Kellgren J, Lawrence J. Radiologic assessment of osteoarthritis. Ann Rheum Dis 1957;16 :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12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85 (2001) Watanabe I, Tomita A, Shimizu M, Sugawara M, Yasumo H, Koishi R, Takahashi T, Miyoshi K, Nakamura K, Izumi T, Matsushita Y, Furukawa H, Haruyama H, Koga T. A study to survey susceptible genetic factors responsible for troglitazone-associated hepatotoxicity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lin Pharmacol Ther May;73(5): Yokoyama H, Hirose H, Moriya S, Saito I.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amma-gtp) activity in non-drinkers.alcohol Clin Exp Res Aug;26(8 Suppl):91S-94S. 45. Vozarova B, Stefan N, Lindsay RS, Saremi A, Pratley RE, Bogardus C, Tataranni PA. High alanine aminotransferase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hepatic insulin sensitivity and predicts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diabetes Jun;51(6): Vassan RS, Massaro JM, Wilson PW, Seshadri S, Wolf PA, Levy D, D'Agostino RB. Antecedent blood pressur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2;105: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Arch Intern Med 1997;157: Seshadri S, Wolf PA, Beiser A, Vasan RS, Wilson PW, Kase CS, Kelly-Hayes M, Kannel WB, D'Agostino RB. Elevated midlife blood pressure increases stroke risk in elderly person. The Framingham Study. 49. Calle EE, Thun MJ, Petrelli JM, Rodriguez C, Heath CW Jr.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a prospective cohort of US adults. N Engl J Med 1999;341: rch Intern Med 2001;161: Collins R, Peto R, MacMahon S, Hebert P, Fiebach NH, Eberlein KA, Godwin J, Qizilbash N, Taylor JO, Hennekens CH. Blood pressure,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Part 2: short-term reductions in blood pressure: overview of randomised drug trials in their epidemiological context. Lancet 1990;335: Risch N, Zhang H: Extreme discordant sib pairs for mapping quantitative trait loci in humans. Science 1995 Jun 16;268(5217): Amos CI: Robust variance-components approach for assessing genetic linkage in pedigrees. Am J Hum Genet 1994 Mar;54(3): Matsuura N, Ko KW, Park YS, Elliott R: Molecular epidemiology of IDDM in the Western Pacific Rim Region. WHO DiaMond Molecular Epidemiology Sub-Project Group. Diabetes Res

213 Clin Pract 1996 Oct;34 Suppl:S Bergman RN: Lilly lecture Toward physiological understanding of glucose tolerance. Minimal-model approach. Diabetes 1989 Dec;38(12): McCarthy MI, Froguel P, Hitman GA: The genetics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ools and aims. Diabetologia 1994 Oct;37(10): Zhang H, Zhao H, Merikangas K: Strategies to identify genes for complex diseases. Ann Med 1997 Dec;29(6): Carey G, Williamson J:Linkage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s: increased power by using selected samples. Am J Hum Genet 1991 Oct;49(4): Sagie A, Larson MG, Levy D. The natural history of borderlin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N Engl J Med 1993;329(26): Vasan RS, Larson MG, Leip EP, Kannel WB, Levy D. Assessment of frequency of progression to hypertension in nonhypertensive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a cohort study. Lancet 2001;358: Vasan RS, Larson MG, Leip EP, Evans JC, O'Donnell CJ, Kannel WB, Levy D. Impact of high-normal blood pressure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2001;345: Burt VL, Curtler JA, Higgins M, Horan MJ, Labarthe D, Whelton P, Brown C, Roccella J. Trends in the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adult US population: data from the hearth examination surveys, 1960 to Hypertension 1995;26(1): Jee SH, Appel LJ, Suh I, Whelton PK, Kim IS.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outh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KMIC) Study. Ann Epidemiol 1998;8: Stein AD, Stoyanovsky V, Mincheva V, Dimitrov E, Hodjeva D, Petkov A, Tsanova V.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a working Bulgarian population. Eur J Epidemiol 2000;16: Moser M, Hebert P, Hennekens CH. An oveview of the meta-analyses of the hypertension treatment trials. Arch Intern Med 1991;151: Henriksson KM, Lindblad U, Bullberg B, gren B, Nilsson-Ehle P, Råstam L. Development of hypertension over 6 years in a birth cohort of young middle-aged men: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 Study in southern Sweden (CRISS). J Intern Med 2002;252: Martins D, Nelson K, Pan D, Tareen N, Norris K. The effect of gender on age-related blood

214 pressure changes and the prevalence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among older adults: data from NHANES III. J Gend Specif Med. 2001;4(3): Lutz, C. T. & Quinn, L. S. Sarcopenia, obesity, and natural killer cell immune senescence in aging: altered cytokine levels as a common mechanism. Aging 4, (2012). 68. Trayhurn, P., Drevon, C. a & Eckel, J. Secreted proteins from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 adipokines, myokines and adipose/muscle cross-talk. Archives of physiology and biochemistry 117, (2011). 69. Lang, T. et al. Sarcopenia: etiology, clinical consequences, intervention, and assessment. Osteoporosis international : a journal established as result of cooperation between the European Foundation for Osteoporosis and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of the USA 21, (2010). 70. Solerte, S. B. et al.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oral amino acid mixtures increases whole-body lean mass and insulin sensitivity in elderly subjects with sarcopenia.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01, 69E-77E (2008). 71. Schrager, M. a et al. Sarcopenic obesity and inflammation in the InCHIANTI stud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Bethesda, Md. : 1985) 102, (2007). 72. Karakelides, H. & Nair, K. S. Sarcopenia of aging and its metabolic impact. Current topics in developmental biology 68, (2005). 73. Zamboni, M., Mazzali, G., Fantin, F., Rossi, A. & Di Francesco, V. Sarcopenic obesity: a new category of obesity in the elderly.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 NMCD 18, (2008). 74. Cruz-Jentoft, A. J., Landi, F., Topinková, E. & Michel, J.-P. Understanding sarcopenia as a geriatric syndrome.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c care 13, 1-7 (2010). 75. Cruz-Jentoft, A. J. et al.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nd ageing 39, (2010). 76. Fielding, R. a et al. Sarcopenia: an undiagnosed condition in older adults. Current consensus definition: prevalence, etiology, and consequences.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sarcopen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2, (2011). 77. Pahor, M., Manini, T. & Cesari, M. Sarcopenia: clinical evaluation, biological markers and other evaluation tool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3, (2009). 78. Cooper, C. et al. Frailty and sarcopenia: definitions and outcome parameters. Osteoporosis international : a journal established as result of cooperation between the European Foundation

215 for Osteoporosis and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of the USA 23, (2012). 79. Cappola, a R., Bandeen-Roche, K., Wand, G. S., Volpato, S. & Fried, L. P. Association of IGF-I levels with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older wom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6, (2001). 80. Cappola, a. R. Insulin-Like Growth Factor I and Interleukin-6 Contribute Synergistically to Disability and Mortality in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8, (2003). 81. Sayer, A. A. et al. Is grip strength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indings from the Hertfordshire Cohort Study. Age and ageing 35, (2006). 82. Vermeulen, A., Kaufman, J. M. & Giagulli, V. A. Influence of some biological indexes on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ndrogen levels in aging or obese male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1, (1996). 83. Andersson, A.-M. et al. Secular decline in mal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erum levels in Danish population survey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2, (2007). 84. Rejeski, W. J. et al. The Lifestyle Interventions and Independence for Elders Pilot (LIFE-P): 2-year follow-up.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4, (2009). 85. Espeland, M. A. et al. Designing clinical trials of interventions for mobility disability: results from the lifestyle interventions and independence for elders pilot (LIFE-P) tria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2, (2007). 86. Tivesten, A. et al. Low serum testosterone and high serum estradiol associate with lower extremity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elderly men. The MrOS Study in Swede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0, (2007)

216 표준화결과및관리기록표 가 코호트간표준화결과 혈압 가 측정자혈압표준화를위해안산코호트 2명, 안성코호트 2명의연구원이측정자로참여하였으며, 각코호트의참여자명단은다음과같다. 안산코호트 - 김경숙 (1), 김밝음 (2) 안성코호트 이지희 (1), 윤희진 (2) 나 표준화방법 대상자의특성에의해민감하게변화하는혈압의특성을고려하여, 같은대상자를동시에측정하여기록한값을비교하도록하였다. 2인이 1팀을이루어동시에같은혈압을측정할수있도록하기위해, 2인용교육용청진기를이용하였다. 각코호트 1명의측정자들이서로다른코호트의 1명측정자들과두명씩짝을이루도록하여, 총 4개의팀이만들어지도록하였다. 대상자는총 2인을선정하였으며, 각팀별로무작위로순서를부여하여대상자를적절히배분하였다. 각대상자에대해각팀이 3회씩측정하도록하였다. 측정자의위치의차이를고려하여, 표준화기준은동시에측정한측정값의차이가 2 mmhg 이하인것으로하였다. 다 표준화결과총 24회의측정결과, 4 mmhg 이상차이나는경우는없었으며, 모든측정결과에서측정자간오차는 2 mmhg 이하로나타났다. 다음은대상자 A, B에대한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를나타낸표이다

217 표 대상자 에대한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 코호트간 대상자측정자 수축기이완기측정자 ( 안산 ) ( 안성 ) 수축기 이완기 수축기차이 이완기차이 A A A A A A A A A A A A B B B B B B B B B B B B 표 2. 안산, 안성코호트간혈압표준화측정신뢰도 :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Cronbach 의 α 계수 :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피어슨상관계수, N = 24 H0: Rho=0 검정에대한 Prob > r 수축기 이완기 상관계수 p <.0001 <

218 나 연구소내표준화결과 차표준화결과 년 월 일 가 측정자혈압표준화를위해 3명의연구원이측정자로참여하였으며, 참여자명단은다음과같다. 윤희진 (1), 이지희 (2), 송혜은 (3) 나 표준화방법 대상자의특성에의해민감하게변화하는혈압의특성을고려하여, 같은대상자를동시에측정하여기록한값을비교하도록하였다. 2인이 1팀을이루어동시에같은혈압을측정할수있도록하기위해, 2인용교육용청진기를이용하였다. 3명의측정자들이서로다른측정자들과두명씩짝을이루도록하여, 총 3개의팀이만들어지도록하였다. 대상자는총 2인을선정하였으며, 각팀별로무작위로순서를부여하여대상자를적절히배분하였다. 각대상자에대해각팀이 5회씩측정하도록하였다. 측정자의위치의차이를고려하여, 표준화기준은동시에측정한측정값의차이가 2 mmhg 이하인것으로하였다. 다 표준화결과수축기와이완기혈압각각총 30회의측정결과, 4mmHg 이상차이나는경우는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없었으며, 신뢰도를확인하는 Cronbach의 α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으며, 피어슨상관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다

219 다음은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를나타낸표이다. 대상자 측정자1 수축기1 이완기1 측정자2 수축기2 이완기2 수축기차이 이완기차이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 연구소내혈압표준화측정신뢰도및상관계수 > Cronbach 의 α 계수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피어슨상관계수, N = 30 H0: Rho=0 검정에대한 Prob > r 수축기 이완기 상관계수 p <.0001 <

220 차표준화결과 년 월 일 가 측정자혈압표준화를위해 3명의연구원이측정자로참여하였으며, 참여자명단은다음과같다. 윤희진 (1), 이지희 (2), 송혜은 (3) 나 표준화방법 대상자의특성에의해민감하게변화하는혈압의특성을고려하여, 같은대상자를동시에측정하여기록한값을비교하도록하였다. 2인이 1팀을이루어동시에같은혈압을측정할수있도록하기위해, 2인용교육용청진기를이용하였다. 3명의측정자들이서로다른측정자들과두명씩짝을이루도록하여, 총 3개의팀이만들어지도록하였다. 대상자는총 2인을선정하였으며, 각팀별로무작위로순서를부여하여대상자를적절히배분하였다. 각대상자에대해각팀이 5회씩측정하도록하였다. 측정자의위치의차이를고려하여, 표준화기준은동시에측정한측정값의차이가 2 mmhg 이하인것으로하였다. 다 표준화결과수축기와이완기혈압각각총 30회의측정결과, 4mmHg 이상차이나는경우는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없었으며, 신뢰도를확인하는 Cronbach의 α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으며, 피어슨상관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다

221 다음은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를나타낸표이다. 대상자 측정자1 수축기1 이완기1 측정자2 수축기2 이완기2 수축기차이 이완기차이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 연구소내혈압표준화측정신뢰도및상관계수 > Cronbach 의 α 계수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피어슨상관계수, N = 30 H0: Rho=0 검정에대한 Prob > r 수축기 이완기 상관계수 p <.0001 <

222 차표준화결과 년 월 일 가 측정자혈압표준화를위해 3명의연구원이측정자로참여하였으며, 참여자명단은다음과같다. 윤희진 (1), 정선미 (2), 송혜은 (3) 나 표준화방법 대상자의특성에의해민감하게변화하는혈압의특성을고려하여, 같은대상자를동시에측정하여기록한값을비교하도록하였다. 2인이 1팀을이루어동시에같은혈압을측정할수있도록하기위해, 2인용교육용청진기를이용하였다. 3명의측정자들이서로다른측정자들과두명씩짝을이루도록하여, 총 3개의팀이만들어지도록하였다. 대상자는총 2인을선정하였으며, 각팀별로무작위로순서를부여하여대상자를적절히배분하였다. 각대상자에대해각팀이 5회씩측정하도록하였다. 측정자의위치의차이를고려하여, 표준화기준은동시에측정한측정값의차이가 2 mmhg 이하인것으로하였다. 다 표준화결과수축기와이완기혈압각각총 30회의측정결과, 4mmHg 이상차이나는경우는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없었으며, 신뢰도를확인하는 Cronbach의 α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으며, 피어슨상관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다

223 다음은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를나타낸표이다. 대상자 측정자1 수축기1 이완기1 측정자2 수축기2 이완기2 수축기차이 이완기차이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 연구소내혈압표준화측정신뢰도및상관계수 > Cronbach 의 α 계수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피어슨상관계수, N = 30 H0: Rho=0 검정에대한 Prob > r 수축기 이완기 상관계수 p <.0001 <

224 차표준화결과 년 월 일 가 측정자혈압표준화를위해 3명의연구원이측정자로참여하였으며, 참여자명단은다음과같다. 윤희진 (1), 송혜은 (2), 윤미선 (3) 나 표준화방법 대상자의특성에의해민감하게변화하는혈압의특성을고려하여, 같은대상자를동시에측정하여기록한값을비교하도록하였다. 2인이 1팀을이루어동시에같은혈압을측정할수있도록하기위해, 2인용교육용청진기를이용하였다. 3명의측정자들이서로다른측정자들과두명씩짝을이루도록하여, 총 3개의팀이만들어지도록하였다. 대상자는총 2인을선정하였으며, 각팀별로무작위로순서를부여하여대상자를적절히배분하였다. 각대상자에대해각팀이 10회씩측정하도록하였다. 측정자의위치의차이를고려하여, 표준화기준은동시에측정한측정값이 2mmHg 이상차이나지않는것으로하였다. 다 표준화결과수축기와이완기혈압각각총 30회의측정결과, 4mmHg 이상차이나는경우는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없었으며, 신뢰도를확인하는 Cronbach의 α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으며, 피어슨상관계수는수축기혈압에서 , 이완기혈압에서 로나타났다

225 다음은각팀의실제혈압측정결과를나타낸표이다. 대상자 측정자1 수축기1 이완기1 측정자2 수축기2 이완기2 수축기차이 이완기차이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A A A A A B B B B B < 연구소내혈압표준화측정신뢰도및상관계수 > Cronbach 의 α 계수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피어슨상관계수, N = 30 H0: Rho=0 검정에대한 Prob > r 수축기 이완기 상관계수 p <.0001 <

226 다 대상자및연구조력자관리기록표

2017 년장애인실태조사결과 2018. 4.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목 차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1. 조사개요 1 2. 총괄표 1 3. 주요실태조사결과 5 장애인구및출현율 5 일반특성 8 건강특성 11 사회적특성 18 일상생활및돌봄특성 22 경제적특성 25 복지서비스수요 31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조사개요 총괄표 268 273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1 1 1. 연구목적 2. 연구필요성 - 4 - - 5 - - 6 - - 7 - 2-8 - 3 1. 브루셀라증 - 9 - (2006 5 12 ) ( ) (%) : (2007) (2007 112008 1 ) - 10 - 2. 큐열 9. (2009, ) (2007 112008 1 ) - 11 - 3.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12

More information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과제번호 색인어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국문 영문 고혈압연구를통한안산 안성코호트자원활용연구모델구축사업 기관명소재지대표 서울대학병원서울시종로구오병희 성명소속및부서전공 주관연구 책임자 이해영서울대학병원내과 연락처 이메일 발주부서 부서명 생물자원은행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과제번호 색인어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국문 영문 고혈압연구를통한안산 안성코호트자원활용연구모델구축사업 기관명소재지대표 서울대학병원서울시종로구오병희 성명소속및부서전공 주관연구 책임자 이해영서울대학병원내과 연락처 이메일 발주부서 부서명 생물자원은행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과제번호 색인어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국문 영문 고혈압연구를통한안산 안성코호트자원활용연구모델구축사업 기관명소재지대표 서울대학병원서울시종로구오병희 성명소속및부서전공 주관연구 책임자 이해영서울대학병원내과 연락처 이메일 발주부서 부서명 생물자원은행과 담당자 연구비 천원 연구기간 총참여연구원 명 책임연구원 명 연구원 명 연구보조원 명보조원

More inform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2010. Based on fasting g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2010. Based on fasting g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DA)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학술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제 5 기 3 차년도 (2012) 가구원확인및만족도조사최종보고서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fth term, third year(2012) househol

학술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제 5 기 3 차년도 (2012) 가구원확인및만족도조사최종보고서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fth term, third year(2012) househol 학술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제 5 기 3 차년도 (2012) 가구원확인및만족도조사최종보고서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fth term, third year(2012) household member checking research and Satisfaction index Survey

More information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2014. 7. 29 ~ 2016. 7. 28.)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6. 7. 28.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인 ) 협동연구기관명 : 목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대표자 ) 고대식 ( 인 ) 협동연구기관명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최종결과보고서요약문 - 9 - Summary - 10 - 학술연구용역과제연구결과 - 11 - - 12 - - 13 - - 14 - 질병관리본부의공고제 2012-241 호 (2012. 10. 15) 의제안요청서 (RFP) 에나타난주요 연구내용은다음과같다. 제안요청서 (RFP) 에서명시한내용을충실히이행하고구체적이고세세한전략방안을제시했다.

More information

연구결과점검보고서

연구결과점검보고서 발간등록번호 학술연구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수행년도 년도학술연구용역과제에의하여수행중인학술연구용역과제의연구 결과점검보고서를붙임과같이제출합니다 붙임 최종결과보고서제본 부 매 장의 에 파일 결과평가의견반영대비표모두포함 년 월 일 주관연구책임자신철 인또는서명 주관연구기관장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장 직인 질병관리본부장귀하 연구결과점검보고서요약문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제기 차년도 영양조사질관리및전자조사표도입을위한사전조사실시 Quality Control and a Preliminary Study on Comput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 System for Nutrition Survey of KNHANES (2013)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More information

IL-1β, IL-1RN, IL-8, MUC, NAT, GST 등 ) IL-1β, IL-1RN, IL-8, MUC, NAT, GST 등 ) IL-1β, IL-1RN, IL-8, MUC, NAT, GST 등 ) l l l α β α β β α β β α β 목적 (Background/Aims): 위암의가족력과 Helicobacter pylori 감염은각각위암발생의위험인자로알려져있으나,

More information

Jksvs019(8-15).hwp

Jksvs019(8-15).hwp Grade I Grade II Grade III 12 대한혈관외과학회지 : 제 20 권 제 1 호 2004 Control Group A Group B Fig. 4. Microscopic findings of vein wall in control, group A and group B on the day of 7 after venous occlusion. The

More information

<B4E3B9E8B0A1B0DD3033303830322DB9E8C6F7C0DAB7E12E687770>

<B4E3B9E8B0A1B0DD3033303830322DB9E8C6F7C0DAB7E12E687770> 담배가격과 건강증진 - 1. 서론: 담배값 을 다시 보기 - 1 - 2. 고령사회( 高 齡 社 會 )와 고흡연율( 高 吸 煙 率 ): 위기의 복합 1) 과소평가되어 있는 담배 피해 - 2 - - 3 - 건 강 위 해 암, 만성호흡기계질환, 심혈관계질환의 지연 위험 등 급성호흡기계질환, 천식발작, 태아 영향, 심혈관계질환 조기 위험 등 흡연 시작 15-20년

More information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 - 4 - 6 - 8 - 10 - 12 - 과제명 차수 수령일 전체시료개수 실험실패 Exome Chip 실험완료 1차 2012-07-18 2,688 7 2,681 2차 2012-08-21 4,021 19 4,002 대사질환원인유전요인 3차 2012-10-24 634 3 631 발굴을위한대규모 4차 2012-11-09

More information

hwp

hwp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ⅰ ⅱ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ⅲ ⅳ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ⅴ ⅵ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ⅶ ⅷ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ⅸ ⅹ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ⅹⅰ ⅹⅱ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More information

1 (2006~2007) (KLoSA). 2009. 12.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More information

노인건강운동의효과와정책적함의 (3) 개만성질환중에서당뇨병과관절염으로인한건 강관련삶의질이 로가장낮은점수를보이 고있고, 60~69 세의경우디스크로인한건강관련 삶의질이 로가장낮은점수를보이고있어, 연령대별로다양한만성질환이건강관련삶의질 에영향을주고있음을알수

노인건강운동의효과와정책적함의 (3) 개만성질환중에서당뇨병과관절염으로인한건 강관련삶의질이 로가장낮은점수를보이 고있고, 60~69 세의경우디스크로인한건강관련 삶의질이 로가장낮은점수를보이고있어, 연령대별로다양한만성질환이건강관련삶의질 에영향을주고있음을알수 노인건강운동의효과와정책적함의 The Effect and Policy Implication of Elderly Fitness Programs 고숙자한국보건사회연구원부연구위원 고령자를대상으로건강보험검진자료와진료비자료를분석한결과, 30분이상걷기를하지않는고령자는 30분이상걷기를하는고령자보다연간운동미실천관련질병의의료비가 125,303원더높았다. 또한, 개인의특성을모두통제하고운동미실천관련질병의연간의료비에미치는영향을살펴보기위해,

More information

.....6.ok.

.....6.ok. Ⅳ 성은 인간이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되어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므로 성과 건강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성가치관은 평생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성과 건강 단원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피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성매매와 성폭력의 폐해, 인공임신 중절 수술의 부작용 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잘못된 성문화를

More information

(01) hwp

(01) hwp Journal of Life Science 2013 Vol. 23. No. 2. 157~166 ISSN (Print) 1225-9918 ISSN (Online) 2287-3406 DOI : http://dx.doi.org/10.5352/jls.2013.23.2.157 α μ δ κ 158 생명과학회지 2013, Vol. 23. No. 2 Journal of

More information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그린홈이용실태및 만족도설문조사 - 2009. 11.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정순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 설문조사 2009. 11. 책임연구원 정순희 (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

More information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2010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외국인투자유치의성과평가기준개발 - 2010. 10.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국립부경대학교지역사회연구소권오혁 수신 : 대한민국국회예산정책처장귀하. 2010 10 : : : : 요약문 I. 서론 1.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발간등록번호 발간등록번호 3. 보고서요약서 보고서요약서 - 2 - - 3 - 4. 국문요약문 - 4 - 5. 영문요약문 < SUMMARY > - 5 - 6. 영문목차 < CONTENTS > - 6 - - 7 - 7. 본문목차 목차 - 8 - - 9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개요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More information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3. 20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1장. 연구개요 1 제2장. 1세부과제 : 장애인건강상태평가와모니터링 10 - i - 제3장. 2세부과제 : 장애인만성질환위험요인조사연구 117 - ii - 4장.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제 1 장연구개발과제의개요 - 17 - - 18 - - 19 - - 20 - - 21 - 제 2 장재료및방법 - 22 - - 23 - - 24 - - 25 - 시료번호 596 항목에따라해당점수위에표기해주십시오.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1) 통계청고시제 2010-150 호 (2010.7.6 개정, 2011.1.1 시행 ) - 4 -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에따른골밀도검사기준 (2007 년 11 월 1 일시행 ) - 5 - - 6 - - 7 - - 8 - - 9 - - 10 -

More information

<BAD9C0D3335FBFACB1B8BAB8B0EDBCAD5FC0D3C7FCC5C35FBCF6C1A4BFCFB7E E687770>

<BAD9C0D3335FBFACB1B8BAB8B0EDBCAD5FC0D3C7FCC5C35FBCF6C1A4BFCFB7E E687770> 연구보고서 2016-20-015 www.nhimc.or.kr 대한민국저교정굴절이상유병률 : 국민건강영양조사 임형택 김동욱 정은지 2016 NHIS Ilsan Hospita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연구보고서 2016-20-015 대한민국저교정굴절이상유병률 : 국민건강영양조사 임형택 김동욱 정은지

More information

국민건강지식센터와 함 께 하 는 허리둘레 -5% 줄이기 대사증후군이란? l 0 0 l P R O J E C T 주간의 식이/운동요법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 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자 본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대사증후군이란

국민건강지식센터와 함 께 하 는 허리둘레 -5% 줄이기 대사증후군이란? l 0 0 l P R O J E C T 주간의 식이/운동요법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 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자 본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대사증후군이란 0 국민건강지식센터 대사증후군 교육자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와 함께 하는 출연사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동양생명 신한생명 흥국생명 미래에셋생명 라이나생명 AIA생명 알리안츠생명 동부생명 푸르덴셜생명 KDB생명 ING생명 PCA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우리아비바생명 KB생명 국민건강지식센터와 함 께 하 는 허리둘레 -5% 줄이기 대사증후군이란?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프로그램 선택은 다단계적인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본 연 구는 TV시청을 일상 여가행위의 연장선상에 놓고, 여러 다양한 여가행위의 대안으로서 TV시청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과, TV를 시청하기로 결정할 경우 프로그램 선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 밝히고자 했다. 27) 연구 결과, TV시청

More information

2017 일반건강검진표_1220

2017 일반건강검진표_1220 2018년 일반건강검진 안내 최근 10년간 본인의 검진결과 확인 건강정보전문 포털사이트 (http://hi.nhis.or.kr/건강검진) 국민건강보험 모바일 앱 (M건강보험/검진결과 조회) 건강검진 주의사항 빠르고 정확한 검진을 위하여 반드시 주의사항을 확인하시고 검진 받으시기 바랍니다. 01. 금식 03. 문진표 작성 검진 전날 저녁 9시 이후에는 금식하시기

More information

목차 Ⅰ. 사업개요 1 1. 사업목적 1 2. 사업목표 1 가. 단기목표 1 나. 중장기목표 ( 성과지표 ) 2 다. 산출목표 3 3. 주요사업내용및사업대상 4 가. 주요사업내용 4 나. 사업대상 5 4. 주요사업자체평가 ( 계획대비성과 ) 6 가. 중장기목표달성도 6

목차 Ⅰ. 사업개요 1 1. 사업목적 1 2. 사업목표 1 가. 단기목표 1 나. 중장기목표 ( 성과지표 ) 2 다. 산출목표 3 3. 주요사업내용및사업대상 4 가. 주요사업내용 4 나. 사업대상 5 4. 주요사업자체평가 ( 계획대비성과 ) 6 가. 중장기목표달성도 6 시 도명 : 울산광역시 2017 년도울산광역시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사업실적보고서 목차 Ⅰ. 사업개요 1 1. 사업목적 1 2. 사업목표 1 가. 단기목표 1 나. 중장기목표 ( 성과지표 ) 2 다. 산출목표 3 3. 주요사업내용및사업대상 4 가. 주요사업내용 4 나. 사업대상 5 4. 주요사업자체평가 ( 계획대비성과 ) 6 가. 중장기목표달성도 6 Ⅱ. 사업실적

More information

2013여름시론(3-5)

2013여름시론(3-5) 2013 Vol.7 No.3 & CONTENTS 04 06 10 20 26 32 38 44 52 56 62 68 74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特 輯 특집Ⅱ 특정 전문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이슈 특집Ⅱ 10) 11) 운송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는 디젤연소 한 56세 근로자로서

More information

123 관과운동, 금연, 과도한음주회피등과같은평소자신의건강관리를얼마나잘하는가가상당히중요하다는것을말해준다. 그럼지금부터는우리나라주요만성질환별로이러한질환이얼마나발생하고있고, 그러한질환이발생하는원인에대해자세히알아보기로하자. 하게증가하는인구의노령화라고할수있다. 급성질환이줄어들

123 관과운동, 금연, 과도한음주회피등과같은평소자신의건강관리를얼마나잘하는가가상당히중요하다는것을말해준다. 그럼지금부터는우리나라주요만성질환별로이러한질환이얼마나발생하고있고, 그러한질환이발생하는원인에대해자세히알아보기로하자. 하게증가하는인구의노령화라고할수있다. 급성질환이줄어들 122 한국의사회동향 212 _ 건강 서구형질환이증가하고있는한국 요약 암, 심혈관계질환, 대사증후군은우리나라국민의주요사망원인을차지하고있다. 운동부족과과잉영양, 비만이늘어남에따라암중에서도대장암, 유방암과같은서구유럽형암이증가하고있으며, 심혈관계질환중에서는심장질환이증가하고있다. 운동부족, 과잉영양으로인한비만인구증가는이상지혈증, 당뇨병이나내당능장애및고혈압등이함께동반되어나타나는대사증후군을증가시키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More information

<4D F736F F F696E74202D20B1B9B9CEB0C7B0ADC1F6BDC4BCBEC5CD5FC1A4C0B2BFF85FB9DFC7A5C0DAB7E1205BC8A3C8AF20B8F0B5E55D>

<4D F736F F F696E74202D20B1B9B9CEB0C7B0ADC1F6BDC4BCBEC5CD5FC1A4C0B2BFF85FB9DFC7A5C0DAB7E1205BC8A3C8AF20B8F0B5E55D> < 국민건강나눔포럼 > The way forward: improving management of diabetes from a public health perspective 공중보건관점에서본당뇨병관리미래전략 질병관리본부만성질환관리과정율원 2015.9.16 목차 I. 당뇨병현황및이슈 II. 당뇨병예방관리패러다임 III. 당뇨병예방관리정책및사업방향 당뇨병현황및이슈

More information

요약지표_2013년_2월(앞).hwp

요약지표_2013년_2월(앞).hwp 경제현안분석 Analysis of Current Economic Issues 고령화를준비하는건강보험정책의방향 연구위원윤희숙 1. 문제제기 그간암등일부중증질환의비용에초점을맞춘건강보험보장성확대에정책적역량이집중되어온결과, 급속한고령화과정에서심각한사회적위험으로부각되고있는만성질환에대한사회적대비가미흡 1,070, 2040 1,840, ( 10% ). 2010 41, 13,

More information

<C3D6C1BEBAB8B0EDBCAD5FB4E3B9E8B0A1B0DDC0CEBBF3B0FA20C0E7BFF8C8B0BFEBB9E6BEC82E687770>

<C3D6C1BEBAB8B0EDBCAD5FB4E3B9E8B0A1B0DDC0CEBBF3B0FA20C0E7BFF8C8B0BFEBB9E6BEC82E687770> 90 흡연율 (%) 80 70 60 50 40 30 1992 1994 1996 1999 2000 2001 2002 20 대 30 대 40 대 50 대 60 대이상 14 12 10 흡연율 (%) 8 6 4 2 0 1992 1994 1996 1999 2000 2001 2002 20 대 30 대 40 대 50 대 60 대이상 흡연율 (%) 50 45 40 35 30

More information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국립국어원 2007-01-42 사회적의사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출문 국립국어원장귀하 국립국어원의국고보조금지원으로수행한 사회적의사 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 연구 의결과보고서를작성하여제출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백영주, 양애경, 강혜란, 윤정주 목 차 연구개요 선행연구의고찰

More information

2차 수사분석사례집_최종.hwp

2차 수사분석사례집_최종.hwp 1 발간사 최근국민소득의향상과 100세시대도래로인한수명의연장등으로건강에대한열망과관심이급증하고있습니다. 건강한삶을추구하기위하여식품이나건강기능식품등의소비가증가하고있으며, 이에따라건강기능식품시장이엄청나게활성화되고있습니다. 하지만부정 불법으로의약품성분이나그유사물질을식품이나건강기능식품등에혼입하거나의약품을불법제조 유통하는사례가빈발하여소비자가섭취시부작용과위해성에노출되어있는실정이며식

More information

본연구를위해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0년전국건강검진통계자료와특정일반회사및특정버스회사의내부자료인건강검진대상자와 1차건강검진결과를각각사용하였다. 일반근로자와버스운전자의연령 (20~64세) 에맞추어일반성인의연령층도 20~ 64세로한정하였다. 또한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1차검진결

본연구를위해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0년전국건강검진통계자료와특정일반회사및특정버스회사의내부자료인건강검진대상자와 1차건강검진결과를각각사용하였다. 일반근로자와버스운전자의연령 (20~64세) 에맞추어일반성인의연령층도 20~ 64세로한정하였다. 또한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1차검진결 버스운전자와일반근로자의성인병현황비교연구 - 고혈압과당뇨병중심으로 - 유진화, 최경임 녹색교통 IT 본부, 교통안전공단, 안산, 425-801 ABSTRACT Objective: 본연구의목적은버스운전자와일반직장인의성인병현황을비교하는것이다. Background: 운전자는좁은공간에앉아서장시간일을해야하는특성을가지고있으며, 특히노선버스운전자는일정한구간을정해진시간에운전해야하는특성을지니고있다.

More information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목차 i 목 차 iv 목차 표목차 목차 v vi 목차 목차 vii 그림목차 viii 목차 요 약 요약 1 요 약 제 1 장사업개요및조사방법 4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 * ( 15 ) 요약 5 : 6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요약 7 8

More information

Current Controversies in Blood Pressure Assessment

Current Controversies in Blood Pressure Assessment Current Controversies in Blood Pressure Assessment 한양의대심장내과신진호 Contents 1. 진료실에서자동혈압계를이용해도되는가? 2. 활동혈압과가정혈압측정은필수적인가? 3. 개별환자의위험도평가가꼭필요한가? 4. 아침혈압또는아침고혈압의의의는무엇인가? 5. 아시아인의고혈압의평가는서양인과차이점이있는가? 6. 항혈소판 / 항응고제치료중인환자의적정혈압은얼마인가?

More information

튦 NO. 2155 Since 1969 2016. 06. 15 www.catholicfound.org www.cmc.or.kr blog.naver.com/cmc_health twitter.com/cmcmedicalnews www.facebook.com/cmcmedicalnews 02 CATHOLIC MEDICAL TIMES Vol.2155 2016.06.15 03

More information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 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 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 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Ⅰ. 서언 1 2 Ⅱ. 의료피폭에서의방사선방어 1 1990 ICRP 권고에따른방사선방어의원리 3 2 2007 ICRP 신권고에따른방사선방어의원리 4 3 환자선량권고량 (Diagnostic Reference Level)

More information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20 호 연구단신, Brief report 고혈압진단기준의최근동향 대한고혈압학회손일석, 강석민, 조명찬 1) 질병관리본부심혈관질환과임남규, 김원호 2) * 교신저자 : ), j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20 호 연구단신, Brief report 고혈압진단기준의최근동향 대한고혈압학회손일석, 강석민, 조명찬 1) 질병관리본부심혈관질환과임남규, 김원호 2) * 교신저자 : ), j 연구단신, Brief report 고혈압진단기준의최근동향 대한고혈압학회손일석, 강석민, 조명찬 ) 질병관리본부심혈관질환과임남규, 김원호 2) * 교신저자 : mccho@chungbuk.ac.kr, 043-269-6356 ), jhkwh@nih.go.kr, 043-79-8650 2) Current trends in diagnostic criteria for hypertension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목 차 2012-5 - 7) - 6 - - 7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1 사업명 - 8 - 2 필요성및목적 - 9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0 - - 11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2 - - 13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2-1 필요성 - 14 - 2-2 목적 3 사업내용총괄 3-1 사업개요 - 15 - 직업교육의메카,

More information

> 국가기술자격검정시행계획 2015. 11. 2016 - 4 - 1. 근거 2. 기본방침 - 1 - 3. 세부시행계획 - 2 - - 3 - - 4 - 4. 검정별시행계획 - 5 - - 6 - - 7 - 기술사 종목별시행회 108 110 108 110 108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경북대학교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 50 집 (2015.05) 209~236 면.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Vol.50 (May 2015) pp.209~236. 주제어 : 산업재해보상보험, 급여지급체계, 업무상재해, 휴업급여, 장해급여, 상병보상연금, 중복급여, 급여의조정 투고일 : 2015.04.30 / 심사일 : 2015.05.15

More information

001HKT노안리플렛A4(20)

001HKT노안리플렛A4(20) 커스텀뷰 노안 수술 돋보기안경 없이 먼 곳과 가까운 곳 모두 OK! 젊은 눈으로 즐기는 아름다운 중년과 활기찬 노년 40대 이후 중 장년층도 돋보기안경 없이 신문과 글을 읽고, 레포츠와 자유로운 일상생활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미국 최고 안과의료기관인 마이애미의 바스컴 팔머 아이 인스티튜트(Bascom Palmer Eye Institute) 의료진과 협력하여

More information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2011--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요약문 1-1 - 2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운용 - 2 - 요약문 3-3 -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doc

Microsoft Word doc ORIGINAL ARTICLE Korean Circ J 8;38:152-16 Print ISSN 1738-55 / On-line ISSN 1738-5555 Copyright c 8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성별에따른혈청요산농도와대사증후군의연관성 대구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순환기내과학교실, 1 의학통계학교실 2 홍승표 1 이영수 1

More information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srckgss@skku.edu http://src.skku.edu http://kgss.skku.edu 인사말씀 안녕하십니까 저희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에서는지난 년이래해마다한국종합사회조사 를시행하고있습니다 이조사는한국사회를종합적으로파악하고세계의주요국가들과비교연구하는데필요한자료를만들어내는목적이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 산재보험사후관리실태및개선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숫자로 보는 질병과 건강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4 연령별 사망원인 5 남성의 자살률 6 환자 보호자 우울증 10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10. 서고환경개선방안연구(중부대학교윤만영).hwp

10. 서고환경개선방안연구(중부대학교윤만영).hwp 용역연구사업연구결과보고서 연구결과보고서 관리번호 사업명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주관연구 책임자 국문 영문 기록물보존환경핵심기술연구 기록물장기보존을위한서고환경개선방안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a Stack Room to Preserve Archive 기관명소재지대표 중부대학교충남금산군추부면강신정 성명소속및부서전공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www.idongbu.com 1. 사스 및 조류독감 위로금 담보를 추가 가입하면 사스 및 조류 독감 진단시 위로금을 지급하여 드립니다. 2. 해일(쓰나미), 지진, 화산폭발로 인한 천재상해까지 보상하여 드립니다. (단, 배상책임, 휴대품손해은 보 상하지 아니함) 3. 해외여행 중에 상해, 질병 등으로 어려움을 당하거나 여행관련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할 때 동부화재

More information

(1) 근무지원수준평가지표 ([ 부록 ] 예시 1 참조 ) 를야간및교대작업자, 보건관리자, 관리자, 사업주가작성한다. (2) 근무지원수준평가점수를계산하고근무지원수준을평가한다. (3) 6개월, 1년경과후, 작성한개선계획의시행여부를확인하고, 근무지원수준을재평가한다. (4) 근무지원수준이향상될수있게개선계획의실천을독려한다. (1) 의료지원수준평가지표 ([ 부록 ]

More information

248019_ALIS0052.hwp

248019_ALIS0052.hwp Generation history for optimization eneration history of optimization 불평형질량 편심량 회전수 축외경 축내경 축길이 베어링간격위치 베어링강성 교배 대상이되는개체의수 집단의크기 돌연변이 대상이되는유전자수 집단내전체유전자수 와 와 Generation history

More information

고혈압 어떻게 잘 진단하고, 치료할 것인가?

고혈압 어떻게 잘 진단하고, 치료할 것인가? 고혈압의위험도평가 -2013 대한고혈압학회진료지침을중심으로 - (2016 년 2 월개정교육표준슬라이드 ) Sang Jae Rhee, MD., PhD.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Division of Cardiovascular Medicine 고혈압어떻게잘진단하고, 치료할것인가? 1. 고혈압의역학 2. 혈압측정방법및진단기준 3. 진단과평가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서 2009-05 일반화선형모형 (GLM) 을이용한 자동차보험요율상대도산출방법연구 Ⅰ. 요율상대도산출시일반화선형모형활용방법 1. 일반화선형모형 2 연구보고서 2009-05 2. 일반화선형모형의자동차보험요율산출에적용방법 요약 3 4 연구보고서 2009-05 Ⅱ. 일반화선형모형을이용한실증분석 1. 모형적용기준 < > = 요약 5 2. 통계자료및통계모형

More information

본연구결과는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에대한고용노동부의학술연구용역사업에의한것임 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 연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고용노동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More information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사용자매뉴얼 한의약건강증진사업 - 3 - - 1 - 지역주민의건강증진을위해보건소등에서실시되어만성, 퇴행성질환에대한인식을고취시키고질환의위험요인과전조증상등에대한한의학적지식을구체적으로교육시켜지역주민스스로건강관리를할수있도록다양한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을제공하는사업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운영을통한지역주민의건강증진및다빈도증상의개선 지역주민에대한포괄적인한의약보건의료서비스제공을통하여지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학술대회 2016년 5월 26일 ( 목 ) 15:40-17:40 서울아산병원동관 6층대강당서울성심병원김지형 기능, 가격, 모든것을종합 1 Excel 자료정리 2 SPSS 학교에서준다면설치 3 통계시작 : dbstat 4 Web-R : 표만들기, 메타분석 5 R SPSS www.cbgstat.com dbstat 직접 dbstat 길들이기

More information

..1,2,3,4-........

..1,2,3,4-........ 2011 Spring Vol.09 Contents 2011 Spring Vol.09 Issue 04 06 09 12 15 16 Story Cafe 18 Special Theme Theme 01 Theme 02 Theme 03 24 26 28 32 36 38 40 41 42 44 48 49 50 Issue 04 05 2011 SPRING NEWS Issue

More information

<B4E7B4A2BAB4C0BB20B5BFB9DDC7CFB4C220B0EDC7F7BED020BEE0B9B0C4A1B7E1C0C720C3D6BDC5C1F6B0DF5FB0A8BCF6BFCFB7E15FC3D6BAB4C3B62E687770>

<B4E7B4A2BAB4C0BB20B5BFB9DDC7CFB4C220B0EDC7F7BED020BEE0B9B0C4A1B7E1C0C720C3D6BDC5C1F6B0DF5FB0A8BCF6BFCFB7E15FC3D6BAB4C3B62E687770> 당뇨병을동반하는고혈압 약물치료의최신지견 저자이경림 / 맹지혜이화여자대학교약학대학장약학정보원학술자문위원 / 이화여자대학교박사후연구원 개요 제2형당뇨병환자의 3분의 2 이상에서고혈압이발병하는데, 혈당이높은당뇨병환자에서혈압이상승하는원인에대해서는여러병태생리학적기전들이제시되고있다. 당뇨병환자에서고혈압은다른심혈관계질환의위험도를증가시키므로당뇨병환자는더욱더적극적인혈압조절이요구된다.

More information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μ μ 해당년도 2008년 2009년 2010년 의뢰부서 과제의뢰의뢰총 Sample reaction 수책임자건수 sample수 (Assay * sample수 ) 암코호트과 성ㅇㅇ 1 936 31,824 기능유전체연구과 이ㅇㅇ 1 948 11,376 유방암연구과 이ㅇㅇ 1 344 344 폐암연구과

More information

자료의 이해 및 분석

자료의 이해 및 분석 어떤실험이나치료의효과를측정할때독립이아닌표본으로부터관찰치를얻었을때처리하는방법 - 동일한개체에어떤처리를하기전과후의자료를얻을때 - 가능한동일한특성을갖는두개의개체에서로다른처리를하여그처리의효과를비교하는방법 (matching) 1 예제 : 혈청 cholesterol 치를줄이기위해서 12 명을대상으로운동과함께식이요법의효과를 측정하기위한실험실시 2 식이요법 - 운동실험전과후의

More information

* ** *** ****

* ** *** **** * ** *** **** - 47 - - 48 - - 49 - - 50 - - 51 - 구분범주빈도 ( 명 ) 비율 (%) 성별연령장애유형장애정도 남자 92 65.71 여자 48 34.28 3~6세 ( 학령전기 ) 70 50.00 7~10세 ( 학령기 ) 70 50.00 자폐성장애 53 37.85 지적장애 71 50.71 기타 16 11.42 경미한정도 31

More information

Inter Arm Difference of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cardiovascular risk in Coperative network construction of nationwide clinical tria

Inter Arm Difference of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cardiovascular risk in Coperative network construction of nationwide clinical tria Recent trend in Vascular study Observational study ARIRANG study CoCoNET study Observational study Cross-sectional study Case-control study Cohort study R+,D+ R-,D+ R+,D- R-,D- Observational study Cross-sectional

More information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 2013.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정진호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2013. 12.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More information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미혼으로 1 인가구에거주하는여성 1) 2011 경제활동인구조사는통계청에서실시하는조사로서울지역은표본조사구약 4,140 가구 ( 약 9 천여명정도 ) 내에상주하는자로서, 매월 15 일현재만 15 세이상인자를대상으로조사하며, 매월 15 일이포함된 1 주간 ( 일요일 ~ 토요일 ) 을조사대상주간으로하며,

More information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어렵다. 1997년우리나라 50대그룹 (586개기업 ) 에근무하는 110,096 명의과장급이상관리 - 1 - - 2 - - 3 - 행정및경영관리자 (02) 중에서경영관리자에해당되는부문이라고할수있다. 경영관리자는더세부적으로는기업고위임원 (021), 생산부서관리자 (022), 기타부서관리자 (023) 등으로세분류할수있다 (< 참고-1> 참조 ). 임원-부장-과장

More information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2014 10 30() 16. OECD(Frascati Manual) 48,381 (,, ), 2014,. * 통계법국가승인지정통계 ( 제 10501 호 ) 로서 1963 년에최초실시된이래, 매년시행하고있는전국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10-23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실효성확보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연구의목적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내용 1. 친권에관한검토 2. 양육권에관한검토 3. 면접교섭권에관한검토 4. 관련문제점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제도의시행현황 1. 공식통계를통해본시행현황 2. 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관련법원실무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PJIOFGQVDOKY.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Microsoft PowerPoint - PJIOFGQVDOKY.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현재와미래 2013. 05. 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위원이규덕 순서 1 일반사항 ( 대한민국 / 미국 ) 2 2011 년도심평원평가자료 미국의접근 3 향후평가방향 당뇨병진료인원과진료비추이 한국주요사망원인, 2008 ( 단위 : 명, %, 인구 10 만명당 ) 사망원인순위 사망자수 구성비 사망률 1일평균 사망자수 계 244,874 100.0 350.9 671

More information

제출문 한국연구재단이사장귀하 본보고서를정책연구용역과제인 학문분야별연구개발사업추 진체계수립을위한사전기획연구 의최종보고서 ( 초안 ) 로제출 합니다 년 6 월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관명 : 건국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박재민 공동연구원 : 엄미정 공동연구원 :

제출문 한국연구재단이사장귀하 본보고서를정책연구용역과제인 학문분야별연구개발사업추 진체계수립을위한사전기획연구 의최종보고서 ( 초안 ) 로제출 합니다 년 6 월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관명 : 건국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박재민 공동연구원 : 엄미정 공동연구원 : 제출문 한국연구재단이사장귀하 본보고서를정책연구용역과제인 학문분야별연구개발사업추 진체계수립을위한사전기획연구 의최종보고서 ( 초안 ) 로제출 합니다. 2011 년 6 월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관명 : 건국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박재민 공동연구원 : 엄미정 공동연구원 : 정진엽 공동연구원 : 이정수 공동연구원 : 김효영 공동연구원 : 장두산 본보고서의내용은정책연구용역과제연구팀의의견이며,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YEMNQZEWSOVU.pptx

Microsoft PowerPoint - YEMNQZEWSOVU.pptx Carbohydrate & CVD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영양팀노민영 Contents 당뇨병과심혈관질환 탄수화물 (carbohydrate) 탄수화물과심혈관질환 1) 섭취량 (intake amount) 2) 유형 (type) 3) 질 (quality, glycemic index 또는 load) 4) 섬유소 (dietary fiber) 결론및제언 당뇨병과심혈관질환

More information

USC HIPAA AUTHORIZATION FOR

USC HIPAA AUTHORIZATION FOR 연구 목적의 건강정보 사용을 위한 USC HIPAA 승인 1. 본 양식의 목적: 건강보험 이전과 책임에 관한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이라고 알려진 연방법은 귀하의 건강정보가 이용되는 방법을 보호합니다. HIPAA 는 일반적으로 귀하의 서면 동의 없이 연구를 목적으로 귀하의

More information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ISS 2092-7117 (2012-37) 발행일 : 2012. 09. 14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기혼 남녀 20~49세 연령층에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약 8배에 달하며, 취업자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는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에 달하 지만, 일요일에는 여성이 남성의 3배로 감소 기혼여성의 경우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3 김신곤.pptx

Microsoft PowerPoint - 3 김신곤.pptx 제 17 차당뇨병연수강좌, 2011 인슐린치료, 어떻게할까? 다양한인슐린의처방사례 고대안암병원내분비내과 김신곤 인슐린약동학 인슐린 작용시작 ( 시간 ) 최고작용 ( 시간 ) 효과지속 ( 시간 ) 휴먼 속효성 (RI) 30분 2-3 6.5 중간형 (NPH) 1-3 5-8 18 유사체 (Analog) 아스파트 10-15분 1.0-1.5 3-5 초속효성 리스프로

More information

Part.1 대사증후군 관리의 첫걸음, 대사증후군 알기 04 1. 가난했던 시대에는 없던 병, 대사증후군 07 2. 대사증후군은 왜 생길까? 07 3.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현황과 심각성 09 Part.2 대사증후군과 함께 달리는 생활습관병 12 1. 인슐린저항성이란?

Part.1 대사증후군 관리의 첫걸음, 대사증후군 알기 04 1. 가난했던 시대에는 없던 병, 대사증후군 07 2. 대사증후군은 왜 생길까? 07 3.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현황과 심각성 09 Part.2 대사증후군과 함께 달리는 생활습관병 12 1. 인슐린저항성이란? 04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 습관 만들기 넘쳐서 생기는 독 대사증후군 Part.1 대사증후군 관리의 첫걸음, 대사증후군 알기 04 1. 가난했던 시대에는 없던 병, 대사증후군 07 2. 대사증후군은 왜 생길까? 07 3.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현황과 심각성 09 Part.2 대사증후군과 함께 달리는 생활습관병 12 1. 인슐린저항성이란? 15 2. 인슐린저항성으로

More information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본문제에대한지적소유권은동국대학교에있습니다. 본교의서면허락없이무단으로출판, 게재, 사용할수없습니다. 문제 2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 아래의질문에 3-4 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 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포의생존과증식

More information

(최은영)( ).hwp

(최은영)( ).hwp Original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2010;10:162-168 pissn: 1598-1401 eissn: 2093-5676 한국성인에서당뇨병진단기준으로서의공복혈당과당화혈색소비교 최은영 단국대학교의과대학가정의학과 Comparison of Fasting Glucose and Hemoglobin A 1c for Diagnosing

More information

i

i i ii iii iv v vi 요약 요약 제 1 장과업의개요 제 1 절과업의배경및목적 제 2 절과업의내용및수행방법 제 1 장과업의개요 제 1 절과업의배경및목적 제 2 절과업의내용및수행방법 제 2 장기존연구검토및연구방향설정 제1절수송분담구조관련지표들제2절수송실적관련자료현황제3절표본조사에근거한수송분담률산정제4절연구방향설정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

보건학석사학위논문 당뇨병유병자의질병인지에따른 건강행태와혈당조절수준 아주대학교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박근이

보건학석사학위논문 당뇨병유병자의질병인지에따른 건강행태와혈당조절수준 아주대학교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박근이 보건학석사학위논문 당뇨병유병자의질병인지에따른 건강행태와혈당조절수준 아주대학교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박근이 당뇨병유병자의질병인지에따른 건강행태와혈당조절수준 Health Behavior and Glycemic Control Level of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Disease 지도교수이순영 이논문을보건학석사학위논문으로제출함.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여성의대사증후군과삶의질 한국성인여성의대사증후군과삶의질 박형수 * 박종 **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Women Hyung-Su Park * Jong Park ** 요약 대사증후군은심혈관질환에큰위험인자이며, 대사증후군을가진사람의삶의질은저하될수밖에없을것으로판단된다.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1) 초고를읽고소중한조언을주신여러분들게감사드린다. 소중한조언들에도불구하고이글이포함하는오류는전적으로저자개인의것임을밝혀둔다. 2) 대표적인학자가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90 을저술한 MIT 의 A. Amsden 교수이다. - 1 - - 2 - 3) 계량방법론은회귀분석 (regression)

More information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1976. 03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1980. 06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1998. 06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2006. 05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1976. 03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1980. 06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1998. 06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2006. 05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1976. 03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1980. 06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1998. 06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2006. 05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결제 등 병원 디지털화 2007. 01_ 종합병원 승격 다수의 상급 종합병원과 협력체결 2007.

More information

- 1 -

- 1 - - 1 - - 2 - - 3 - - 4 - - 5 - - 6 - ι κ λ β β β β β - 7 - - 8 - - 9 - - 1 - - 11 - 마.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 - - 21 - - 22 - - 23 - - 24 - ι κ λ β β - 25 - - 26 - -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