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mer(Korea), Vol. 34, No. 4, pp 333-3, 21 보조계면활성제첨가에따른잘토프로펜을함유한 PLGA 미립구의생체외방출거동 : 제조및특성 엄신ㆍ유석철ㆍ김용기ㆍ이영현ㆍ이은용ㆍ유현ㆍ이동원ㆍ강길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21년 1월 2일접수, 21년 3월 16일수정, 21년 3월 17일채택 ) Effect of Cosurfactants on the Release Behavior of Zaltoprofen-loaded PLGA Microspheres in In Vitro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Shin Eom, Seok Cheol Yoo, Yong Ki Kim, Young Hyun Lee, Eun Yong Lee, Hyeon Yu, Dongwon Lee, and Gilson Khang Department of BIN Fusion Technology & Department of PolymerㆍNano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664-14, Dukjin Ku, Jeonju 561-756, Korea (Received January 2, 21; Revised March 16, 21; Accepted March 17, 21) 초록 : 잘토프로펜은프로피온산유도체인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로서아급성및만성염증에큰억제효과를가지고있다. 지속적인약물의방출을위해서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달리하여 O/W 용매증발법에의해잘토프로펜이함유된 PLGA 미립구를제조하였다. 잘토프로펜이함유된 PLGA 미립구의물리화학적성질및표면형태를조사하기위해주사현미경, X선회절분석법그리고시차주사열량계를이용하였다. PLGA 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미립구의크기도증가한다. PLGA 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미립구의다공성이줄어들고, 느린약물의방출을보인다. 본연구에서는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조절하여약물이함유된미립구의방출계수를제어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Abstract: Zaltoprofen, a propionic acid deriva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is known to have powerful inhibitory effects on acute, sub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We developed poly(lactide-co-glycolide)(plga) microspheres loaded with zaltoprofen for sustained controlled delivery using an oil-water solvent evaporation methods by varying PLGA molecular weight and cosurfactant conten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zaltoprofen-loaded PLGA microspher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ay diffraction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size of microspheres increased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PLGA and the content of cosurfactants. The increase of PLGA molecular weight and cosurfactant content decreased the porosity of microspheres,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slow drug releas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djustment of PLGA molecular weight and the cosurfactant content allowed us to control the drug release profiles of drug-loaded microspheres. Keywords: zaltoprofen, O/W, PLGA microspheres, cosurfactant, solvent-evaporation method. 서론잘토프로펜은프로피온산유도체인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로서카라지난, 나이스타틴그리고머스타드에서유발된급성염증에큰억제효과를가지고있을뿐만아니라아급성및만성염증에도효과를가지고있다. 1 하지만, 소염진통제는부분적으로두가지기전을통해점막손상을일으키는데, 점막에대한직접적이며국소적인작용과전신적인작용이있다. 2 또한, 잘토프로펜은성인을기준으로약 8 mg 용량을 1일 3회복용이필요하며, 따라서환자의편리성과순응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 gskhang@jbnu.ac.kr 도를개선할수있는서방형약물전달시스템이필요하다. 그중하나로서방성방출특성을가지고있으며방출속도제어가가능한생분해성미립구의연구가활발하게진행되고있다. 3,4 주로이용되는생분해성고분자로는폴리에스테르계열의락타이드 - 글리콜라이드공중합체 (PLGA) 가있으며생분해성과생체적합성의특징으로인하여약물전달체로서다양한분야에이용되고있다. 5-7 이러한고분자는분자량과공중합시분율조절의요인으로인해약물의방출을조절할수있다는장점이있고미국식품의약국 (FDA) 에서허가를받은물질이기도하다. 8-11 생분해성고분자를이용한미립구는아주다양한방법으로제조되고있다. 그예로용매추출 / 증발, 상분리, 분무건조법등이있다. 그중에서용매추출 / 증발법에의한미립 333
334 엄신 ᆞ 유석철 ᆞ 김용기 ᆞ 이영현 ᆞ 이은용 ᆞ 유현 ᆞ 이동원 ᆞ 강길선 구의제조는산업적으로대형화하기쉬우며, 무균의미립구를제조할수있다는장점이있어널리사용되고있는방법이다. 12,13 생분해성고분자미립구를이용한약물의전달방법으로서단일층미립구는지속적인약물방출에있어서표면에포접되어져있는약물의방출로부터야기된높은초기버스트, 영차방출과낮은포접률을극복하는데있어서여러내제된어려움을가지고있다. 14-18 단일층미립구의이러한결점을극복하고약물방출계수조절을향상시키기위해서명확한구조와크기를가지고있는이중층미립구의제조를위한다양한기술들이사용되었다. 18-2 본연구에서는소염진통제로사용되는잘토프로펜을함유한 PLGA 이중층미립구를 O/W 용매추출 / 증발법을이용하여제조하였고, 생체외방출거동의확인과보조계면활성제로사용된 Labrafil M1944CS 의첨가유무에따라생체외방출거동과미립구의특성이어떻게달라지는지를확인하고자하였다. 여기서계면활성제는인체내에적은양의약물이서서히방출되도록방출률을조절할수있는장점을가지고있다. 따라서, 독성이큰약물의미립구제조에사용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Labrafil 은 PEG 유도체로서비이온양친매성계면활성제이다. Labrafil 은마이크로에멀션을제조하는보조계면활성제로주로사용되고생체적합하며생분해성이라는특성을가지고있다. 21 제조된미립구의크기, 표면과단면의상태, 분해후의상태는전자주사현미경 (SEM) 을이용하여관찰하였다. 제조된미립구의생체외방출거동을조사하기위하여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를사용하였으며결정성여부를확인하기위하여 X- 선회절분석기 (XRD), 시차주사열량계 (DSC) 를이용하였다. 실 시약및재료. 모델약물인잘토프로펜은마성상사 ( 한국 ) 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 생분해성고분자인 PLGA 는 Resomer TM RG 52H(Mw 8 g/mole, lactide/glycolide mole ratio, 5/5, Boehringer Ingelheim), RG 752(Mw 2 g/mole, 75/25, Boehringer Ingelheim), RG 756(Mw 33 g/mole, 75/25, Boehringer Ingelheim, 독일 ) 제품을사용하였다. 유화제로사용한폴리비닐알코올 (PVA, Mw 13 23 g/mole) 은 Sigma-Aldrich ( 미국 ) 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 보조계면활성제인 Labrafil M 2125 CS는 Gatefosse( 프랑스 ) 제품을사용하였다. 그외의용매및시약은 HPLC 등급을사용하였다. 이중층미립구의제조. 모델약물인잘토프로펜을함유하는이중층미립구의제조는 Table 1에서제시한것과같이 O/W 유화용매증발법을이용하여,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달리하여제조하였다. 이중층미립구의제조과정은 Figure 1에서나타내었다. 먼저, PLGA 를 5 ml의디클로로메탄에용해시킨후 2 w/w% 잘토프로펜을용해시켜 O상을제조한다. 그후제조된 1. w/v% 의 PVA 용액과보조계면활성제를상온에서 7 rpm 으로교반하면서 O 용액을피펫을이용하여적하한후 5시간동안교반하여용매를증발시킴으로써이중층미립구를제조하였다. 실험에사용된물리적교반기로는 RZR 212(Heidolph Instrument Gmbh & Co, Schwabach, 독일 ) 을사용하였다. 이렇게제조된미립구는원심분리기를이용하여 25 rpm으로 5분동안원심분리하고가라앉은미 험 Table 1. The Preparation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Zaltoprofen Loaded Double-Layered PLGA Microspheres Batch No. Initial drug loading(w/w%) PLGA M w PVA (w/v%) Cosurfactant conc.(w/w%) Size(μm) ±SD EE (%) 1 2 8 1. - 54+5 81 2 2 2 1. - 7+6 79 3 2 33 1. - 85+1 67 4 2 8 1. 1 61+8 68 5 2 2 1. 1 66+6 65 6 2 33 1. 1 86+11 62 7 2 8 1. 2 66+6 63 8 2 8 1. 3 73+8 45 EE: Encapsulation efficiency. w/w: Initial drug loading(cosurfactant/ PLGA). Figure 1. Preparation schemes of double-layered microspheres using O/W emulsion. 립구를제외한상등액을제거하고새로운증류수를첨가하는방법으로 5회이상세척한다. 5 이렇게얻어진미립구는동결건조한후사용전까지습기를제거하여 4 에서보관하였다. 이중층미립구의형태학적분석.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에따라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표면과단면의특성분석은주사전자현미경 (LV-SEM, S-3N, Hitachi Co, Tokyo, 일본 )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SEM 분석을위해시료를탄소테이프위에고정시키고아르곤가스를충전하여백금- 팔라듐코팅을 5 초간실시하였다. 코팅된시료는 5. kv 에서관찰하였다. 또한, 미립구의분해거동을관찰하기위해서 1주동안생체외방출실험후미립구를수집하고동결건조하여 SEM 관찰을통해분해정도를확인하였다. 결정화도분석. 잘토프로펜과 PLGA 그리고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결정학적구조를 XRD(MAX 25 X-ray diffractometer, Rigaku, 일본 ) 와 DSC(TA Instrument DSC 21, Dupont, 미국 )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X선회절은.3 mm 두께의투명한유리기판에일정량의시료를충분히적층하여배향이발생하지않도록 4 /min의속도로 1 8 범위내에서 3 ma, kv 조건으로측정하였다. 22 DSC는 1 /min의승온속도로 3 29 의범위에서온도를증가시키면서결정성을확인하였다. 23 이중층미립구내의약물함량분석. 제조된이중층미립구내약물 폴리머, 제 34 권제 4 호, 21 년
335 보조계면활성제가 첨가된 PLGA 미립구 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2 mg의 미립구를 2 ml의 디클로 로메탄에 넣어 PLGA를 녹이고 메탄올을 18 ml을 첨가하여 미립구 내에 존재하는 잘토프로펜을 추출하였다. 상등액 1 ml를 취하여.45 μm의 PTFE(Tokyo Roshi Kaisha, Ltd, 일본)필터를 이용하여 여 과한 후 2 μl를 취하여 289 nm에서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다. 이후 총 사용된 고분자의 양과 약물의 비를 검출된 약물의 양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포접률(EE, encapsulation 24,25 efficiency)을 계산하였다. 포접률(%) = HPLC 분석기는 NS- HPLC System(Futecs, 한국)과 NS Autosampler(Futecs, 한국)로 구성되었다. 이동상은 아세토 니트릴/증류수를 각각 :(V/V%)비율로 혼합한 후, 빙초산.2 (V/V%)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사용하기 전에 초음파분쇄기를 이용하여 잔존가스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잘토프 로펜의 검출 파장은 2 nm에서 측정하였고, 분석에 이용한 컬럼은 5 μm C18컬럼(15 4.6 mm, Luna, 미국)을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 ml/min, 시료주입량은 2 μl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론 미립구 내의 약물양 사용한 전체 약물의 양 생체외 방출 거동.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에서 약물방출은 2 ml 의 인산염 완충용액(PBS, ph 7.4)에 2 mg의 미립구를 넣어 현탁 하고 인큐베이터 안에서 37, rpm으로 교반하면서 일정 기간 별로 시료를 취하여 HPLC 분석을 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는 완충용액에 서 분산이 늦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abrafil M2125CS을 첨가하여 미립구를 완충용액에 분산시켜 미립구와 완 충용액 사이의 친화력을 증가시켜 빠른 시간 내에 가라앉게 하여 약 물의 방출 거동을 확인하였다.26,27 약물의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한 surface 이중층 미립구의 제조. 이중층 미립구 제조에 사용된 약물은 잘토 프로펜을 생분해성 고분자는 PLGA를 사용하였고, 이중층 미립구의 제조조건, 포접률 및 미립구의 크기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미립구의 포접률은 PLGA의 분자량과 보조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 라 약 45 8%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PLGA의 분자량이 낮은 경우 더 높은 포접률의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 는 분자량이 낮은 고분자의 경우 점도가 낮기 때문에 고분자사슬간의 상호작용이 감소하여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약물을 포접하기가 용이 27,28 또한, 보조계면활성제 농도의 증가에 따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cross section Figure 2.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morphologies of zaltoprofen loaded double-layered microspheres with different PLGA molecular weight: 8 K; 2 K; 33 K. Polymer(Korea), Vol. 34, No. 4, 21
336 엄 신ᆞ유석철ᆞ김용기ᆞ이영현ᆞ이은용ᆞ유 현ᆞ이동원ᆞ강길선 surface cross section Figure 3.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morphologies of zaltoprofen loaded double-layered microspheres with different PLGA molecular weight at 1% cosurfactant: 8 K; 2 K; 33 K. (d) Figure 4. The surface morphologies of zaltoprofen loaded double-layered microspheres with different cosurfactant concentration at 8 K PLGA: no cosurfactant; 1%; 2%; (d) 3%. 폴리머, 제34권 제4호, 21년
보조계면활성제가첨가된 PLGA 미립구 337 라포접률이감소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이유는보조계면활성제의첨가에의해고분자사슬간의상호작용이증가하여약물의포접을방해하기때문으로사료된다. 이중층미립구의크기는고분자의분자량이크고보조계면활성제의첨가와농도의증가에따라크기가증가한다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중층미립구의형태학적분석. PLGA 분자량에따라잘토프로펜이포접된이중층미립구의표면및단면의형태를 Figure 2에나타내었다. 제조된미립구의표면은둥글고매끄러운표면이나타나는것을확인할수있었고, 또한 PLGA 분자량이높을수록미립구의크기가커지는것을 SEM 분석을통해서확인할수있었다. 미립구의단면을확인한결과 PLGA 의외부층과약물을함유하는내부층으로구성된이중층미립구가형성된것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미립구의크기가 PLGA 의분자량이높을수록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고 PLGA 외부층역시분자량이높을수록더두꺼워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같은조건에서 PLGA 분자량의증가에따른점성의증가와높은분자량의 PLGA 로제조된미립구는낮은분자량의 PLGA 로제조된미립구에비해서유기용매의증발속도가더느려더크고두꺼운외부층이형성된것으로사료된다. 29-32 보조계면활성제첨가에따라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표면및단면은 Figure 3에나타내었다. 이조건에서도미립구의표면은구형이면서매끄러운표면을가지고있다는것을확인하였고, PLGA 분자량이 높을수록미립구의크기와 PLGA 외부층역시커지는것을 SEM 분석을통해확인하였다. 하지만 1% 보조계면활성제의유무에따른미립구크기는큰차이가없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보조계면활성제농도증가에따라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표면은 Figure 4에나타내었다. 이조건역시제조된미립구의표면은구형이면서매끄러운표면을가지고있었고보조계면활성제농도의증가에따라미립구의크기가커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보조계면활성제농도의증가에따라고분자간의점도증가로사료된다. 또한, 보조계면활성제농도의증가는약물포접률을감소시키는경향을보인다. 본연구를바탕으로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조절한다면약물을고분자내부에고르게분산시키거나약물의방출속도를일정하게제어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이중층미립구의결정학적분석. Figure 5는잘토프로펜, PLGA 및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결정학적특성을나타내는 XRD 분석결과이다. 를관찰했을때잘토프로펜의고유한결정성피크가 1 35 사이에서관찰되었고 PLGA 는 15 25 사이에서고유한피크가관찰되었다. 를관찰하였을때 PLGA 와같이 15 25 사이에서고유한결정성피크가나타나는것을확인하였고약물의고유한결정성피크는나타나지않았음을확인하였다. 이로인해외부층이 PLGA 인이중층미립구의형성을확인할수있었다. Figure 6은 DSC 분석결과이다. 를관찰하였을때잘토프로펜 PLGA 8K Intensity(CPS) zaltoprofen Heat flow(w/g) Zaltoprofen PLGA 8K 1 2 3 5 7 8 2θ(degrees) 5 15 2 Temperature( ) Batch 8 Batch 8 Intensity(CPS) Batch7 Batch 4 Heat flow(w/g) Batch 7 Batch 4 Batch 1 Batch 1 1 2 3 5 7 8 2θ(degrees) Figure 5. XRD spectra of zaltoprofen and PLGA 8 K; batchs 1,4,7 and 8. 5 15 2 Temperature( ) Figure 6. DSC thermograms of zaltoprofen and PLGA 8 K; batchs 1,4,7 and 8. Polymer(Korea), Vol. 34, No. 4, 21
338 엄신 ᆞ 유석철 ᆞ 김용기 ᆞ 이영현 ᆞ 이은용 ᆞ 유현 ᆞ 이동원 ᆞ 강길선 8 2 8K PLGA 2K PLGA 33K PLGA 8 2 8K PLGA 8K PLGA+1% Labrafil 3 6 9 12 15 Figure 7. Effects of PLGA molecular weights on the zaltoprofen release profile. 3 6 9 12 15 은 135 부근에서고유한결정성피크를확인할수있었고 PLGA 는 5 에서결정성피크를확인할수있었다. 를관찰하였을때 batchs 1, 4, 7 및 8 모두 PLGA 와같이 5 부근에서결정성피크를확인할수있었고또한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결정성피크가줄어듦을확인할수있었다. XRD 와 DSC 의분석결과용매증발법에의해제조된미립구는외부층이 PLGA 로서내부에약물을포접하는이중층미립구형태임을확인할수있었다. 이중층미립구의생체외방출거동. Figure 7은 PLGA의분자량에따라제조된이중층미립구의 2주동안방출거동을확인한결과이다. 8 K PLGA 를사용하였을때초기약물의방출이약 5% 로낮게측정되었으며, 이후약물이지속적으로방출되어최대 95% 이상의높은방출률을보였다. 반면에 2 K와 33 K PLGA 를사용하였을때초기약물의방출이약 5% 이하로낮게측정되었지만, 이후약물이지속적으로방출되어최대 7% 와 % 이상의방출률이나타남을확인하였다. 이렇게분자량이증가함에따라약물의최대방출률이줄어드는이유는 PLGA 분자량이작을수록분해가더빠르게일어나기때문이다. 또한, PLGA 의높은분자량은소수성과점성의증가를가져와제조된미립구의수용액상에서젖음속도를늦춰방출속도가늦어지게되는것으로사료된다. Figure 8은 1% 농도의보조계면활성제유무에따른이중층미립구의방출거동을확인한결과이다. 약물의방출거동을확인하였을때 1% 농도의보조계면활성제첨가로인해약물의초기방출이낮아지고최대방출률또한모두줄어듦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보조계면활성제의첨가에따라고분자사이의점도가증가하고이로인해약물의포접률이감소하여방출률이줄어들었을것으로사료된다. Figure 9는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에따른이중층미립구의방출거동을확인한결과이다. 약물의방출거동을확인하였을때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함에따라약물의최대방출률이줄어듦을확인할수있었다. 이것은앞에서설명한것과같이고분자사이의점도증가로인해포접률이감소되고이로인해방출률이점점줄어드는것으로사료된다. 본연구를바탕으로 2주동안에이중층미립구의방출거동을확인한결과, batch 1 조건을이용하여만든이중층미 8 2 2K PLGA 2K PLGA+1% Labrafil 3 6 9 12 15 8 2 33K PLGA 33K PLGA+1% Labrafil 3 6 9 12 15 Figure 8. Cumulative release of zaltoprofen from PLGA microspheres with and without Labrafil: 8 K PLGA; 2 K PLGA; 33 K PLGA. 립구의포접률이가장좋고방출률역시가장이상적인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 고분자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농도를조절하여약물을미립구내부에고루분산시키고초기약 폴리머, 제 34 권제 4 호, 21 년
보조계면활성제가첨가된 PLGA 미립구 339 물의방출을제어함으로써약물의방출을효과적으로제어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이중층미립구의분해거동. 제조된이중층미립구에 1주후의분해정도를 SEM 분석을통해 Figure 1 에나타내었다. 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달리하여미립구의분해거동을확인한결과 1주일후각각의미립구들은형태가일그러지고표면에다공성이생기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미립구의일그러짐과다공성이감소함을확인할수있는데, 이러한결과는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미립구의크기가더크게제조되어 8 2 8K PLGA 8K PLGA+1% Labrafil 8K PLGA+2% Labrafil 8K PLGA+3% Labrafil 2 4 6 8 1 12 14 Figure 9. Effects of co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zaltoprofen release profile. 지고이로인해미립구의표면적이더적어져분해가늦게일어나는것으로설명되어질수있다. 결론본연구에서는생분해성고분자인 PLGA 를이용하여소염진통제로사용되는잘토프로펜의서방화를위해이중층미립구를제조하였다. O/W 유화용매증발법을이용하여제조된이중층미립구는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달리하여제조하였으며이와같이제조된미립구내부에약물이포접된이중층미립구를제조할수있었다. 제조된미립구의표면이구형이며매끄러운형태임을확인할수있었고내부에약물이포접되어있는이중층구조임을확인할수있었다. PLGA 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농도의증가에따라미립구의크기가점점커지고약물의포접률이감소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PLGA 의분자량이증가할수록외부층의두께가두꺼워지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약물의방출거동은 PLGA 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더낮은방출거동이나타남을확인할수있었고분해거동에있어서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가증가할수록미립구의일그러짐과다공성이감소함을확인할수있었다. 본연구에서제조된미립구는제조조건에따라크기와약물포접률이달라짐을확인할수있었고사용한고분자의분자량과보조계면활성제의농도를조절함으로써원하는시간동안약물의방출을효과적으로제어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본연구를통해얻어진미립구의제조기술은잘토프로펜뿐만아니라다른난용성약물의서방화에적용하여약물에의 (d) Figure 1. The surface degradation morphology of zaltoprofen loaded double-layered microspheres with different cosurfactant concentration at 8 K PLGA: no cosurfactant; 1%; 2%; (d) 3%. Polymer(Korea), Vol. 34, No. 4, 21
3 엄신 ᆞ 유석철 ᆞ 김용기 ᆞ 이영현 ᆞ 이은용 ᆞ 유현 ᆞ 이동원 ᆞ 강길선 한부작용을최소화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감사의글 : 본연구는 WCU(R31-29) 의연구지원에의하여이루어졌으므로이에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H. B. Tang, A. Inoue, K. Oshita, K. Hirate, and Y. Nakata, Neuropharmacology, 48, 135 (25). 2. J. M. Scheiman, E. M. Behler, K. M. Loeffler, and G. H. Elta, Dig. Dis. Sci., 39, 97 (1994). 3. J. W. So, S. H. Kim, M. O. Back, J. Y. Lim, H. W. Roh, N. R. Lee, M. S. Kim, G. H. Ryu, Y. H. Cho, S. J. Lee, B. H. Min,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4, 577 (27). 4. J. S. Park, J. C. Yang, S. H. Yuk, H. S. Shin, J. M. Rhee, M. S. Kim,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1, 189 (27). 5. W. Y. Jang, S. H. Kim, I. W. Lee, M. S. Kim, J. M. Rhee,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25). 6. W. I. Son, D. I. Yun, G. Khang, B. S. Kim, and H. B. Lee, Biomater. Res., 4, 92 (2). 7. H. S. Choi, S. W. Kim, D. I. Yun, G. Khang, J. M. Rhee, Y. S. Kim, and H. B. Lee, Polymer(Korea), 25, 334 (21). 8. H. S. Choi, S. A. Seo,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Int. J. Pharm., 234, 195 (22). 9. S. J. Lee, G. Khang, Y. M. Lee, and H. B. Lee, J. Biomater. Sci. Polym. Ed., 13, 197 (22). 1. H. S. Seong, D. S. Moon, G. Khang, J. S. Lee, and H. B. Lee, Polymer(Korea), 26, 128 (22). 11. D. S. Moon, G. Khang, H. S. Seong, J. M. Rhee, J. S. Lee, and H. B. Lee, Biomater. Res., 4, 17 (2). 12. P. Johansen, H. P. Merkle, and B. Gander, Eur. J. Pharm. Biopharm., 5, 413 (27). 13. J. H. Park, S. Eom, D. S. Kim, W. Kim, Y. K. Kim, Y. H. Lee, H. H. Hong, S. H. Yuk, H. S. Shin,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1172 (29). 14. E. C. Tan, R. Y. Lin, and C. H. Wang, J. Colloid Inter. Sci., 291, 135 (25). 15. N. A. Rahman and E. Mathiowitz, J. Control. Release, 94, 163 (24). 16. K. J. Pekarek, M. J. Dyrud, K. Ferrer, Y. S. Jong, and E. Mathiowitz, J. Control. Release,, 169 (1996). 17. K. J. Pekarek, J. S. Jacob, and E. Mathiowitz, Nature, 367, 258 (1994). 18. J. H. Park, S. Eom, S. I. Ahn, H. H. Hong, C. M. Kim, S. H. Yuk, D. W. Lee, J. M. Rhee, K. H. L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588 (29). 19. K. J. P. Leach, S. Takahashi, and E. Mathiowitz, Biomaterials, 19, 1981 (1998). 2. M. Shi, Y. Y. Yang, C. S. Chaw, S. H. Goh, S. M. Moochhala, S. Ng, and J. Heller, J. Control. Release, 89, 167 (23). 21. A. Fernández-Carballido, R. Herrero-Vanrell, I. T. Molina-Martinez, and P. Pastoriza, Int. J. Pharm., 279, 33 (24). 22. E. J. Henderson, C. M. Hessel, and J. G. C. Veinot, J. Am. Chem. Soc., 13, 3624 (28). 23. P. D. Martino, R. Censi, C. Barthelemyb, R. Gobetto, E. Joiris, A. Masic, P. Odou, and S. Martelli, Int. J. Pharm., 342, 137 (27). 24. T. H. Lee, J. Wang, and C. H. Wang, J. Control. Release, 83, 437 (22). 25. T. Nii and F. Ishii, Int. J. Pharm., 298, 198 (25). 26. M. Yasunori, O. Yoshinori, Y. Shigeru, and T. Kozo, Int. J. Pharm., 324, 144 (26). 27. J. D. Alicia, D. E. Howard, M. Stacey, W. C. C. Lee, and G. M. Kacey, J. Biomed. Mater. Res. A, 15, 954 (23). 28. J. S. Lee, J. H. Shin, J. K. Jeong,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7, 9 (23). 29. B. S. Kim, J. M. Oh, K. S. Kim, K. S. Seo, J. S. Cho, G. Khang, H. B. Lee, K. N. Park, and M. S. Kim, Biomaterials, 3, 92 (29). 3. J. H. Park, S. Eom, S. I. Ahn, D. S. Kim, W. Kim, D. W. Lee, I. S. Yoo,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141 (29). 31. C. Wischkel and S. P. Schwendeman, Int. J. Pharm., 364, 298 (28). 32. M. Li, O. Rouaud, and D. Poncelet, Int. J. Pharm., 363, 26 (28). 폴리머, 제 34 권제 4 호, 21 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