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 종교와문화 현대한국에서개신교는문화에대한관심을적극적으로표명하고있는종교 다. 사실문화에대한개신교의관심은새로운것이아니다. 문화는개신교에서 매우중요한주제이며오랜신학적담론의역사를가지고있다. 개신교신학에서 문화와복음은서로를위해필요한조건이다. 신이인간으로변하여인간을구원 했다

Similar documents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내지-교회에관한교리

- 4 -

(......).hwp

* pb61۲õðÀÚÀ̳ʸ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Untitled-1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52*220




08학술프로그램

hwp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CR hwp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425.pdf

ok.

DBPIA-NURIMEDIA

5 291


1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120~151역사지도서3

allinpdf.com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ePapyrus PDF Document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041~084 ¹®È�Çö»óÀбâ


#7단원 1(252~269)교

CC hwp

2),, 312, , 59. 3),, 7, 1996, 30.

01¸é¼öÁ¤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감사회보 5월

쌍백합23호3

<3231C3A4C8F1C5C22E687770>

민속지_이건욱T 최종

11+12¿ùÈ£-ÃÖÁ¾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2002report hwp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DBPIA-NURIMEDIA

인천개항장역사기행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2005) ,,.,..,,..,.,,,,,

*12월영상 내지<265턁

PowerPoint Presentation

한글요약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03

발행일 _ 2012 년 10월 5일발행인 _ 홍정길편집인 _ 조제호편집 _ 박진영발행처 _ ( 사 ) 기독교윤리실천운동서울시용산구한강로 1가 217 세대빌딩 401호 Tel_ Fax_ _


교도용

전체 / 읷본문학의이해 3 3 읶문과학부 1/ 한국현대문학의이해 3 3 국어국문학 1/ 영문학입문 3 3 영어영문학 1/ 프랑스언어와문화Ⅰ 3 3 불어불문학 1/ 서양의역사와문화 3 3 사학 1/1 3682

°¡À̵åºÏ 3Â÷-1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농촌과목회제31호

1. 경영대학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È޴ϵåA4±â¼Û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11¹Ú´ö±Ô

1220½É¹Ì¾Èâ27È£º»¹®

제19호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B1D9B4EBB9AEC8ADC0E7BAD0B0FA20C1A637C2F720C8B8C0C7B7CF28B0F8B0B3292E687770>

±³À°È°µ¿Áö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120330(00)(1~4).indd

CT083001C


2. 1) 7 ( ). (1) 1),. ( 湖西 ),. 19,., , (2).,,,,.,,., ),.. 1) 조광, 초기천주교의충청도선교와그사회문화적특성, 2014, p.11~30. 프란치스코교

DBPIA-NURIMEDIA

공연영상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德嶠짚

왕께찬양합니다-R.Vader_&_J.Rouse._Arr.C._Kirkland)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¹¹®AR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Transcription:

종교와문화제24호 서울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2013, pp. 105-120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 1) 1. 머리말 문화라는용어가우리주위를떠돌고있다. 21세기는문화의시대로일컬어지면서다양한영역에서문화라는용어가넘쳐난다. 종교의영역도별반다르지않아서개별종교들이문화를사용하는경우뿐만아니라, 종교문화라는개념까지출현했다. 1) 본연구는문화개념이다양하게나타나지만그에관한학문적성찰은여전히부족하다는판단하에, 개신교의문화담론에주목하고그성격을규명하려는목적을갖고있다. 2) * 이논문은 2010 년도정부(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NRF-2010-551-A00042 ** 건양대학교 1) 강돈구는우리사회에문화의용어가널리사용되고있지만여전히성찰이이루어지지않는다는판단하에종교문화의의미를모색하고있다. 특히종교와문화, 종교적문화가혼재된종교문화의개념을중점적으로분석한다. 강돈구, 종교문화 의의미, < 종교연구 > 제61 집, 한국종교학회, 2010, pp. 33-67. 2) 이글에서말하는개신교문화는개신교내에서 기독교문화 라고일컬어진다. 이글에서기독교문화라는용어를사용하지않는이유는, 개신교가그리스도교 (Christianity) 의한자음역어인기독교( 基督敎 ) 를점유하고자신을지칭하는용어로사용하고있다는판단때문이다.

106 종교와문화 현대한국에서개신교는문화에대한관심을적극적으로표명하고있는종교 다. 사실문화에대한개신교의관심은새로운것이아니다. 문화는개신교에서 매우중요한주제이며오랜신학적담론의역사를가지고있다. 개신교신학에서 문화와복음은서로를위해필요한조건이다. 신이인간으로변하여인간을구원 했다는복음은개신교의가장핵심적인주장이며이는결국문화속에서실현되 어야할궁극적인과제다. 문화는복음을전달하는매개체이다. 3) 문화의환경이 어떠한가에따라서복음이제대로전달되느냐가결정되기때문에개신교는문화 에관심을기울여온것이다. 또한개신교인들은복음이라는절대적가치를어떻 게삶에서적용할수있을지에관심을갖는다. 문화는복음을살아가는장이기도 하다. 개신교인이가진절대적가치는문화라는현실속에서드러나야하기때문 이다. 그렇기에문화에대한올바른인식및판단은아주중대한과제이다. 4) 즉, 개신교인은문화속에서복음을전하고복음을살아가야하기에, 복음과문화는 불가분의관계에있다. 지금까지종교학분야에서이루어진개신교문화담론에관한선행연구는찾 기쉽지않다. 종교학자인정진홍의복음과문화에관한오래된글이거의유일 하다. 그는복음이해야하는일이문화와의관계구조를도식화하는것이아니 라복음자체를되묻는일이라고주장한다. 이는개신교또한문화속에서살아 가는종교라는점에서개신교의핵심을묻는것은필수불가결한임무임을강조하 고있다. 5) 본논문은이러한종교학적선행연구를토대로현대한국개신교의문화담론 에주목하고자한다. 개신교문화담론의전개과정을따라가면서개신교인들이 문화담론속에서어떻게신앙을수립하고정당화하는지확인하고자한다. 과연 문화라는개념을통해서개신교인들이말하고자하는바가무엇인지를밝히고자 하는것이이글의목표다. 이를위해서먼저개신교와문화의관계에대한서구 의신학적연구들을간략하게살펴보기로한다. 2. 개신교와문화의관계 3)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Michigan: Baker Book House, 1996, p. 26. 4) 로버트 E. 웨버지음, 이승구옮김, 기독교문화관, 서울: 엠마오, 1984, p. 24. 5) 정진홍복음과문화의종교적이해기독교사상제집제호대한기독교서회,, < > 23, 9,, 1979, pp. 21-30.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07 그리스도는오직하나님을향한일편단심의자세로사람들이문화의현세성과다원성에등을돌리게한다. 문화는과거의많은가치를보존하는데관심을기울이기때문에, 사람들에게은혜에의지하도록권하는그리스도를배척한다. 그러나하나님의아들도종교적문화가낳은자식이며, 그분은자신의제자들을보내어양들을돌보라고하는데사실그들을보호하려면문화적작업이불가피하다. 6) 문화에대한연구로잘알려진신학자리처드니버(H. Richard Niebuhr) 의진 단은결국유한한인간이어떻게무한한신을인식하고표현하고전달하고이해 하는가하는역설이곧신학의중심문제라는점을잘말해주고있다. 7) 수많은 신학자들이다양한문화론을제시했지만, 여기서는가장권위있는주장을한다 고평가받는리처드니버와폴틸리히(Paul Tillich) 의논의를중심으로살펴보고 자한다. 리처드니버는유형화방법론을사용하여복음과문화의관계를파악한다. 그 는문화를인간활동의총체적과정과그활동으로인한총체적결과를가리키는 말이라고정의하는데, 이는문명과동의어로사용된다. 8) 역사상그리스도와문화 와의대화는크게다섯유형으로이루어져왔으며, 이는문화와대립하는그리스 도(Christ against Culture), 문화에속한그리스도(Christ of Culture), 문화위에 있는그리스도(Christ above Culture), 문화와역설적인관계에있는그리스도 (Christ and Culture in paradox) 마지막으로문화를변혁하는그리스도(Christ the transformer of Culture) 이다. 대립과변혁의반대되는유형과그중간적입 장들을취하는다양한스펙트럼이존재했다. 그리스도교의역사속에서문화에 대한인식은다양했고, 그과정에서유형들의결합과갈등을지속했다. 그렇다면 니버는문화에관한어떤태도를지향하고있을까. 니버는문화의실재가복잡하 기때문에많은대화가오가야하지만, 결국문화를변혁하는것이이후개신교 의가장중요한과제라고조심스럽게제안한다. 니버의이러한주장은그가문화 를구체적인현상으로파악한것이아니라보편적인현상으로파악했기때문에 가능했다는비판의여지도존재한다. 9) 그런데흥미롭게도문화를논의하는한국 6) 리처드니버, 홍병룡옮김, 그리스도와문화, 서울: IVP, 2007, p. 120. 7) 배국원, 한국문화신학에대한방법론적반성, 한국문화신학회논문집 제3 집, 한국문화신학회, 1999, p. 205. 8) 리처드니버, 위의책, p. 112. 9) 김동건, 기독교와문화의바람직한관계설정에관한연구, 신학과목회 제25 집, 영남신학대학교, 2006, p. 6.

108 종교와문화 개신교신학자들은거의대부분니버의논의를바탕으로자신의주장을전개하고 있다. 니버의유형론과그에따른해석은가장권위있는것으로평가되면서한 국개신교신학자들에게바로미터역할을하고있으며, 그에따라문화변혁을 주장하고있다. 10) 한편틸리히의문화론도한국개신교신학자들에게영향을끼친것으로알려져 있다. 그의주장에따르면문화는종교적 초월적성격을가진다. 이는종교가추 구하는궁극적인관심이문화속에서도드러나고있다는말로풀이할수있다. 어떤궁극적인관심이그안에표출되지않은문화적산물이란존재하지않는 다. 11) 따라서문화가드러나는방식을평가하기보다는그내면에어떠한종교적 문법이있는지를파악하는것이중요하다. 이러한생각에근거해서종교와문화 는모두같은궁극적관심의두가지다른표현양식이며 종교는문화의실체이 고문화는종교의형식 이라는유명한주장이등장한다. 12) 그렇기때문에종교와 문화는갈등하지않으며오히려문화속에서궁극적인관심을드러내는작업이 그의신학에있어매우주요하다. 개신교에서는이른바문화속에드러나는신율 적( 神律, theonomy) 문법을찾아내는신학적방법론으로이를계승하고있다. 특 히틸리히는한국의개신교문화를정립하려는신학자들의신학작업에기반을 제공하고있는것으로평가되고있다. 13) 그렇다면이제본격적으로현대한국개신교의문화담론은어떤계기를통해 등장했으며그과정은어떠했는가를살펴보기로한다. 3. 개신교문화담론의출현과전개 1 한국의개신교문화 10) 일례로리처드니버의유형론은오늘날정설처럼굳어졌다고주장하는신국원, 변혁주의 문화론의신학적근거, 기독교문화, 소통과변혁을향하여,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5 를확인할것. 11) Paul Tillich, Theology of Culture, ed. by Robert C. Kimball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p. 42. 12) 배국원, 위의글, p. 208. 13) 종교철학자이자신학자인배국원은한국문화신학에서거의모든신학자들이틸리히의문화신학에대한요청을근거로삼고있다고진단한다, 배국원, 위의글, p. 205.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09 한국개신교의문화담론은 1960 년대들어서등장했다. 이는개신교의정체성 에관한물음에기반을둔것으로서, 이시작되었다. 과연한국에개신교문화는있는가라는질문.. 표면적으로는지난 2 세기를통해교인들의숫자도기적적으로늘었고, 교회와또그와관련된기관들도많이생겼으나, 이땅에서그리스도교는아직도이방문화로남아있고한국의전통문화에그렇게큰영향을주고있지않은것같다. 아직도한국에는그리스도교문화가형성되어있지않은것같다. 아직도한국에는그리스도교문화가형성되어있지않다는표현이정직한표현일것같다. 한국의전통문화와그리스도교와의만남에서왜창조적인변화가일어나고있지않는가? 혹일어나고있다고해도왜그렇게미미한정도인가? 14) 개신교는한국문화의근간을이루는타종교와의관계가명확하지않으며교류 를이루지못하고있다는자성의목소리가등장하기시작한다. 그렇기에진정으 로 한국적 이라고불리는개신교문화가있는지의물음이출현한다. 물론개신교 가태생적으론분명히서구의외래종교이지만한국에정착한역사적사실이있으 며이는곧토착종교라고불릴수있는근거이기도하다. 그러나개신교가타문 화에정착하면서일련의상황화혹은토착화를거치는역사적인사실을간과한 채서구적인신학에만기대어개신교를설명했기때문에여전히한국적인문화를 이루지못하고있다는평가가등장하는것이다. 한국개신교의정착과그전개 과정속에서한국의전통문화를간과한채서구의잣대로스스로를해석하였다는 반성은이후한국적개신교문화모델을추구하는방향으로논의가진행된다. 이 는한국의전통문화에서추출한독특한개념들을이용해서이른바한국적인신학 을정립하려는특징을보인다. 사실이런생각은 1960 년대세계개신교의신학적흐름과관련이있다. 당시 하느님의선교 (Missio Dei) 라는개념의출현과더불어교조주의적선교방식에 대한반성이일기시작하고세계교회일치운동등이생기면서타종교와의대화 는필수불가결하다는인식이출현하기시작했다. 이후신학자들의논의가지속 되면서타종교와의대화의단계를넘어선인류의공존이바로신이원하는뜻이 자성서적이라는해석이출현한다. 이러한배경하에한국개신교에서도개신교 문화정립에대한관심이생겼으며일련의신학자들을중심으로한신학적담론 들이출현한것이다. 개신교문화담론의특징은이른바한국전통문화속에서개신교신학을재정 14) 한신대학교신학부편, 기독교와문화, 오산: 한신대학교출판부, 1998, p. 338.

110 종교와문화 립하는것이다. 즉한국의독특한상황속에서등장하는신학이한국적신학이자 그것이바로개신교문화라는것이다. 예를들어한국에서개신교의하나님이서 구개신교의해석보다는한민족의하 님신앙, 즉한민족의궁극적인관심에대 한역사속에서이해할때그성격이명확하게드러난다는주장은, 이른바토착 화신학의방향성을잘보여준다. 15) 이러한작업을위해서는기존의신학에서서 구의신학을기본바탕으로한것과는달리샤머니즘에서부터불교, 유교, 동학에 이르기까지한국에등장한종교들에관심을갖는일이우선중요하다. 율곡이이 의성( 誠 ) 에대한이해가한국인이개신교의성육신을이해할수있는가능성을 보여주는것이라고주장하는윤성범의성( 誠 ) 의신학, 풍류도가유교 불교 도교를 포괄하고있으며, 이는 한 멋진 삶 이라는삼중구조를가진한국인의포괄적인영 성이라고주장하는유동식의풍류신학등이한국적개신교문화정립의시초로알 려져있다. 그런데한국의전통문화, 즉타종교에서한국적인성격의단초를찾으려는이 러한작업들은개신교내부의갈등을초래하기도한다. 한국개신교문화를정립 하고자하는신학자들의노력이오히려개신교의독특성, 즉복음의고유성을훼 손하고이질적인타종교들과의무분별한혼합을이끈다는모종의혐의를받기도 했다. 16) 그럼에도불구하고타종교의개념들을중심으로이른바한국적개신교 문화를정립하려는노력들은토착화신학을거쳐문화신학등의이름으로이어져 오고있다. 2 개신교와대중문화 한국개신교와전통문화와의관계, 이른바토착화관련논의들이지금까지중 요한논의의한축을이루고있는가운데대중문화에대한논의들이 1990년대에 들어본격적으로등장하기시작했다. 한국의대중문화는 90년대에들어서면서활 발한활동을보이는매체들의힘을빌어급속도로확산되었고이는대중에게큰 영향력을미쳤다. 17) 미디어의발달로이전보다강력한영향력을가진대중문화 또한개신교인들에게중요한질문을던진다. 문화가복음이유통되는장이자인 15) 김경재, 한국문화사의측면에서본궁극적관심의성격과한국신학의과제, 한국문화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p. 111. 16) 일례로 불교적기독교 를주장한변선환은감리교단으로부터신앙고백제출을요구받기도하고결국종교재판을통해감리교신학대학에서출교당하기도했다. 17) 박종균, 기독교와대중문화의이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11 간이가꾸어야할신의선물이라면지금의대중문화를과연어떻게설명하고이 에대응해야할것인가. 더불어대중을대상으로하는대중문화에영향을받는 개신교인들은어떤자세를취해야하는가. 대중문화에관해서는신학자들과더불어개신교관련단체종사자들이참여하 여공통된목소리를내고있다. 그렇다면과연대중문화에대한그들의인식은 어떠한가. 우선대중문화는포스트모던적이다. 포스트모던의출현은더이상특 정한혹은획일적인기준으로세계를보지않고다양성이환영받는시대임을의 미한다. 이는곧복음이라는특정한기준을가진개신교인들에게반드시설명해 야할난제가되었다. 대중문화가포스트모던뿐만아니라뉴에이지(New Age) 등 의모호한개념과결합되면서더욱강력해지자개신교는이를반드시넘어야할 위기이자도전으로인식하기시작했다. 대중문화는개신교의동지가아니라적이 되었다. 대중문화에대한개신교의관심은 대중문화, 더이상침묵할수없다 등의제목에서볼수있듯이특정한관점을공유하고있다. 개신교인들이올바른 문화의식을가져야한다는주장은혼란스러운대중문화에관한시급한판단을해 야한다는생각에서비롯한다. 18) 이러한생각은 1992 년미국의록그룹뉴키즈온더블록(New Kids on the Block) 의공연때문에수면위로떠올랐다. 청소년들이대다수공연을관람하는 가운데한명이죽고 50여명이다치는사고가발생하면서공연에대한개신교의 평가는그날을세우기시작했다. 개신교는공연하는록그룹이인류를유혹하기 위해악마가보낸사탄이라고평가하면서적극적인공세를펼쳤다. 19) 대중문화는 죽음과폭력, 음란과공포, 죄악과타락, 사탄과악마와관련된것이기에이는개 신교와반대되는것이자동시에청소년을해칠수있는사회악(social evil) 이다. 그렇기때문에대중문화는개신교뿐만아니라사회전체를위해서도개선해야만 한다. 20) 이당시문화운동을주창하는그룹인낮은울타리와기독교윤리실천운동 ( 이하기윤실) 은이러한주장을지속적으로확대유포했다. 21) 낮은울타리가청소 18) 개신교신학자들은대중문화 (Popular Culture) 를대부분의경우대중매체를통해전달되는문화를의미하는것으로사용하고있다. 19) 전명수, 뉴에이지운동과한국의대중문화, 서울: 집문당, 2009, p. 216. 당시이러한주장을뒷받침하는미국의다양한서적들이다수번역출판되어유통되었다. 20) 기독교윤리실천운동문화전략위원회엮음, 대중문화, 더이상침묵할수없다,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21)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은서울대기독교수성경공부모임을모태로손봉호교수를주축으로한개신교시민단체이다. 1987년 12 월에창립되었으며발기인들은대학교수및의사, 법조인등이었다.

112 종교와문화 년층을계도하는방식이었다면, 22) 기윤실은연소자이용불가신청등의법적제 재를가하는방식이었다. 서태지와아이들, 싸이, 박지윤, 박진영등대중가수들의 음반이출시될때마다그들의음악이선정적이고음란한가사들로가득차있기 때문에청소년에게해롭다는주장을하였고방송불가및청소년이용불가판정 을이끌면서여론의힘을얻어갔다. 23) 기윤실은영화 < 거짓말>, < 죽어도좋아> 등또한과도한성적묘사라는혐의를들어문제를제기했고논란을야기하면서 개신교윤리를실천하는단체가아닌사회정화를위한시민운동의주축으로비 춰졌다. 즉기독교윤리실천이라는한종교의윤리적잣대가청소년보호를통한 사회정화의이상아래감춰지게된것이다. 이제대중문화는개신교의적이며 동시에사회가경계해야할대상이되었다. 개신교단체들이대중문화정화구호를외치며종교밖에서활동했다면, 신학 자들은종교내부에서활동하면서문화에대한공통된견해를제시했고이를종 교공동체에유포했다. 그들은대중문화전반을뉴에이지, 사탄, 악마, 우상숭배 등과결부시키면서신자들의주의를끊임없이요구해왔다. 대중문화는신의뜻을 거스르는인간의영역이며개신교와관련되지않는문화이기에마땅히신의뜻에 맞지않는다고주장한다. 이러한판단하에신학자들은대중문화를구성하는다 양한분야들을점검하면서비판적인평가를하고있다. 특히한국대중문화의특 성을이식된외래문화, 제국주의문화, 포스트모더니즘적인문화, 성담론에치중 한문화등으로규정하고있다. 대중문화는비인간화되고물화된왜곡된문화이 자상품화된소비문화이다. 대중문화는일방적이기때문에수용자들은비판적인 자세를취하지않은채무방비상태에놓여있다고평가한다. 24) 22) < 낮은울타리> 는월간평론지로서, 이와관련된사람들은대중강연과평론을통해서대중음악에관해비판했다. 특히서태지와아이들이등장했을당시에는음악을거꾸로들으면사탄의소리를들을수있다는이른바 백워드마스킹 (BackwardMasking)' 을주장하면서논란을일으켰다. 특히신상언의 사탄은마침내대중문화를선택했습니다 는이들의주장을대변하는책으로당시청소년들에게폭발적인관심을일으킨것으로알려져있다. 신상언의주장은꽤적극적이며선동적이었다. 일례로그는뉴에이지운동이1960 년대에서구문명사회에서진화론을토대로발전한세속적인본주의와동양의종교를토대로발전한세속적신비주의가접목되면서새로운형태로기독교적세계관을혼란시키는사탄의고차원적인휴머니즘운동이므로뉴에이지보다우수한기독교문화를만들어적군( 뉴에이지운동) 의사기를무너뜨려야한다고주장한다. 신상언, 뉴에이지운동은과연교회에영적위기를줄만한정도인가?, < 활천>, 활천사, 1992년 10 월호( 통권제468 호), pp. 15-16. 서태지와관련된당시논란에관해서는승현민, 서태지와문화읽기, < 시대와민중신학 >, 1995 년봄호, pp. 111-126 을참조할것. 23) 이에관해서는이원석, 기윤실의대중문화논쟁- 표현의자유 논쟁을중심으로, < 문화과학> 제56 호, 문화과학사, 2008, pp. 341-359 를참조할것.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13 그렇기에교회는성경적인세계관에확고하게근거하여대중문화의부패한찌꺼기들을걸러내는정수기의역할을담당해야하고, 교회가갖고있는세계관의안경은인간문화의부정적영향으로인해흐려지기때문에항상그안경을성경적세계관으로닦아내는작업을해야만한다. 25) 대중문화에대한개신교인의책임과의무가생기는것이다. 이러한과정에서대중문화의본질적인성격이문제가되는것은아니다. 대중문화는이른바전투의영역이므로누가선점하느냐에따라서그성격을바꿀수있다. 다음의인용문은개신교의이러한이해를잘보여준다. 사탄(Satan) 은대중매체를이용해서폭력과살인, 성적방종과퇴폐, 파렴치와무자비의내용을전달하고, 무당과점성술, 역술을전통문화의이름으로, 현대사조의이름으로뉴에이지사상을전달한다. 그러나이대중매체를신앙인이이용하면그내용을생산적이고건전하며신앙적이며하나님께영광을돌리는매개체로만들수있다. 26) 이렇듯대중문화에개신교의아이디어를주입하면대중문화의부정적인측면을 없앨수있다는생각은대중문화를변혁해야한다는주장으로더욱명확해진다. 개신교문화담론에서신학자들의공통된주장은대중문화를변혁해야한다는것 인데, 변혁이란대중문화자체를폐기하는것이아니라내용물을바꾸어서개신 교중심의문화로만드는것이다. 이렇듯대중문화를개신교문화로바꾸는것은 효과적인선교를위해서도매우중요하다. 27) 이러한배경하에개신교의복음을 전하기위한수단으로대중문화매체가적극적으로활용되고이후개신교방송 국, 라디오, 신문등이출현하면서대중문화를통한선교가본격적으로등장한다. 한편최근에는 기독교문화학 이란이름하에스스로를신학에속하지않은객 관적인학문분야로규정하는그룹들이등장하고있다. 개신교세계관을기반으 로문화를비평하는것은이제신학의몫이아니라인문학적임무이며이는문화 학의영역에속한다는주장까지이어지고있다. 28) 24) 통합윤리학회편, 21c 의도전과기독교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25) 최형근, 한국교회의선교와대중문화, 기독교문화와한국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p. 198. 개신교의이러한주장과는달리, 한국천주교에서는인간이초월적인것을추구하는본성을갖고있지만기성종교와문화가이런욕구를충족시키지못하기때문에대체물을찾는것이며이는기성종교의반성을요구한다는주장이등장한다. 이에관해서는박문수 주원준, 한국의종교문화와뉴에이지운동, 서울: 바오로딸, 1998. 26) 김영한, 21c 문화변혁과개혁신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7. p. 190. 27) 윤철호, 기독교와문화의관계에대한유형론적고찰, 장신논단 제23 집, 장로회신학대학교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05, p. 131.

114 종교와문화 4. 개신교문화담론의의미 한국적개신교문화에대한신학적이론정립과대중문화비평을통한개신교 문화형성은모두새로운문화를만들기위한노력에다름이아니다. 이두가지 흐름모두대안문화(alternative culture) 를지향하고있다. 사실새로운문화를 꿈꾸는것은개신교가가진독특한종교적특성이기도하다. 앞서살펴보았듯개 신교는복음을전하고유지하기위해문화에관해발언해왔다. 새로운문화를만 들기위해서기존의문화는어떻게평가하고있는지, 그특징을파악해보면한국 개신교문화담론의의미가드러난다. 지금까지살펴본한국현대개신교문화담론은이분법을전제하고있다. 전통 문화와대중문화는극복해야할것으로모두부정적인것으로평가한다. 한국에 개신교문화를만들기위한신학적인노정, 이른바토착화신학이라고불리는담 론들에서타종교는매우중요한위치를차지한다. 한국적인신학을정립하기위 해서전통문화를담당하는타종교와의만남은중요하다. 그렇기에신학자들은유 교, 불교, 도교, 샤머니즘뿐만아니라동학, 원불교등의아이디어를바탕으로신 학적논리를구축하려한다. 그러나개신교문화를구축하고자하는신학작업에 서타종교는대화와이해의대상이아니라아이디어의원천이다. 타종교의독특 한개념은개신교의신학적인논리를정당화하는수단일뿐이다. 그렇기때문에 신학의토착화는토착종교의신학화로변질될우려가존재한다. 29) 한국적개신 교문화만들기는매우진지한고민이지만그진지함이자칫일방적인횡포가될 수있는가능성은언제나존재하고있다. 개신교문화만들기의기저에는항상 다음과같은의도를확인할수있다. 한국의그리스도교가할수있는일은우리전통문화속에있는부정적인요소를승화시키는일이다. 이미이부정적인요소들은이땅에들어온그리스도교의체질과도습합된것이다. 무속의개인주의적이고현세적인기복신앙, 유교의배타주의, 불교의타계도피주의, 그리고꼭한국전통종교의유산이라고만은할수없는이원론적사고등등이그대표적인요소들이다. 우리민족사의악순환의뿌리가여기에있다. 이땅에들어온이질적인그리스도교문화는이런악순환의요소에영합할것이아니라그것을선한요소로서대체해갈수있어야한다. 30) 28) 이러한적극적인주장을펼치는신응철, 기독교인문학과문화학: 기독교인문학의관점에서본기독교문화학의학( 學 ) 적이념과목표를중심으로, 기독교철학연구 제10 호, 백석대학교기독교인문학연구소, 2008. pp. 69-103 을참조할것. 29) 배국원, 앞의글, p. 201.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15 실제로신학자들의담론속에서신학적전이해로서의타종교의특정한개념들 은유용하지만타종교자체를긍정적으로평가하진않는다. 개신교의독특성을 확보하기위해서타종교위주의문화는대체되어야하는것이다. 이러한논리는개신교의대중문화비평에서도확인할수있다. 대중문화를사 탄, 악마등의부정적인개념으로낙인찍으면서이해해야할대상이아니라제거 해야할악으로인식한다. 이는대중문화의다양성은고려하지않은채비평을 위해서부정적인면만을보는것일수있다. 물론신학이객관적인기술 (description) 을지향하는학문이아니기때문에이런지적은부당할수있다. 신 학은가치판단을위한학문이고그렇기에객관적이지않다는평가는옳지않을 수도있다. 그러나우리는신학의객관성부재를논하는것이아니라, 신학적담 론을통해드러나는개신교의문화인식을보고자하는것이다. 이분법적인구별 에서차이는우월의논리로바뀌기쉽다. 전통문화와대중문화를부정적인것으 로파악할때, 이는대화의상대가아니라경쟁과정복의대상일수밖에없다. 소 통의부재는자의적인해석을낳고이는결국에는종교의게토화(ghetto) 를초래 한다. 실제로최근안티기독교진영에서는대중음악, 뉴에이지음악등을악마와 사탄의흉계로매도하는개신교에대해비난하고있다. 개신교의대중문화읽기 가결국스스로의독단과배타성을드러내는행위라고평가되고있는것이다. 31) 이분법적문화이해는결국문화의종교화를추구하는개신교의욕구를드러낸 다. 더명확히말하자면문화를복음과일치시키려는욕구이며이는문화 변혁 이란이름하에등장하는개신교문화담론의기저에자리하고있다. 변혁주의의 진정한의의는한국문화속에내재한부정적인문화형식을긍정적인문화형식으 로변혁시킨다는문화창조에있다. 는주장은문화를논하는개신교신학자들 모두가공유하고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32) 이실천으로이어지진않는다. 그러나문화를변혁하자는주장 개신교대안문화를주장하는신학적담론과는다르게실제로이른바개신교 문화로일컬어지는실천이나타나고있다. 현실속에서개신교의문화담론과실 천은그방향이다르다. 문화를복음화하려는개신교담론의욕구와는달리, 실천 30) 한신대학교신학부편, 앞의책, p. 335. 31) 이진구, 최근한국사회의안티기독교운동과기독교의대응양상, 한국기독교와역사 제38 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년 3 월, p. 64. 3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편, 예수그리스도와문화,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 국, 1991, p. 69.

116 종교와문화 을살펴보면복음의문화화가이루어지는것으로보인다. 실천의측면에서보자 면담론이아니라대중문화가강력한영향력을끼치고있는것이다. 이른바사탄 악마와관련있다고평가하던록(Rock) 이나뉴에이지(New Age) 음악들이개신 교음악(Contemporary Christian Music) 에등장하고, 청년들을중심으로한의 례에서적극적으로사용된다. 대중에게친숙한의례의시도로서, 대중음악및영 화들을상영하는일도있다. 33) 그런데실제로이러한움직임이개신교내부의문 화인지혹은대중문화의한양상인지에관한평가도이루어지지않으며실제로 어떻게판단해야할지도여전히모호하다. 신학자들의문화담론은여전히대중 문화를겨냥하고있기때문이다. 이렇듯실천의몸짓이지속되는현실속에서문 화개념은부유하고있다. 공동체속실천은설명하지않고대중문화비평을하 고있는사이, 판단은결국신도개인의몫으로남는다. 34) 개신교문화담론과실 천의괴리속에서오히려지금의문화가가진다양성을엿볼수있다. 문화는파 악하려해도파악할수없는다양성의면모를지닌채또다른담론들을요청하 고있다. 5. 맺는말 지금까지현대한국개신교의문화담론을파악하고그성격을규명해보았다. 논의한내용을요약하면서글을마무리하고자한다. 현대한국개신교문화담론 은 1960 년대들어서본격적으로등장했다. 일련의신학자들은한국개신교문화 는과연있는지에대한신학적반성속에서전통문화에대한관심을갖게되었 다. 전통문화특히종교영역에서이른바한국적인요소들을찾아내어신학적으 로해석하고이를통해한국적개신교를구축하는작업들을꾸준히진행하고있 다. 이후 1990 년대에들어서개신교는대중문화에관심을갖게된다. 강력한파급 력을미치는대중문화는새로운사조인포스트모던및뉴에이지등과관련된것 으로서폭력, 음란, 퇴폐등의성격을가졌으며이는곧사탄과악마를상징하는 것이었다. 대중문화에대한이러한평가는개신교안팎에지속적으로유포되었고 33) < 조선일보 > 2005. 11. 24. A21 면. 34) 실제로네이버지식IN 뉴에이지음악과기독교 항목에는개신교인인데록음악이나뉴에이지음악을들어도되는지등에관한질문이지금도이어지고있으며, 신자들간의논의및비신자들의비난이등장한다.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17 결국문화를변혁해야한다는주장으로이어지게된다. 개신교문화를정립하거나 대중문화를비평하거나모두변혁의모티프를담고있다. 변혁의주장은한편으 로전통문화를, 다른한편으로대중문화에관한이분법적인태도때문에가능했 다. 변혁은결국부정적인것을긍정적인것으로, 악을선으로바꾸는것이다. 그 러나단일한가치보다다양한가치들을중요하게여기는현대문화를바꾸기위 해서는개신교문화담론속에서문화에대한다양한태도를모색해야할필요성 이있다. 무엇보다도개신교의실천영역속에서등장하는대중문화의영향력에 관한담론이가장먼저요청되고있다. 본연구는개신교의실천속에서등장하는문화에관해서는자세하게논의하지 않았다. 담론과실천을함께다룬다면본연구가의도한개신교에서문화를무엇 이라고규정하는지가더명확하게드러날것이지만, 개신교실천영역은너무방 대하기때문에다루지못했다. 개신교실천영역은아쉽게도추후의과제로남기 고자한다. 주제어: 개신교, 문화, 담론, 토착화, 문화신학, 대중문화 원고접수일: 2013년 5월 20일 심사완료일: 2013년 6월 1일 게재확정일: 2013년 6월 10일

118 종교와문화 참고문헌 < 단행본> 강영안외, 대중문화, 더이상침묵할수없다,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영한외, 사이버문화와기독교문화전략, 서울: 쿰란출판사, 1999.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편, 예수그리스도와문화, 서울: 대한예수교장로 회총회출판국, 1991. 문화선교연구원엮음, 기독교문화와상상력,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박문수 주원준, 한국의종교문화와뉴에이지운동, 서울: 바오로딸, 1998. 박종균, 기독교와대중문화이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신상언, 사탄은마침내대중문화를선택했습니다, 서울: 낮은울타리, 1992. 임성빈엮음, 기독교문화와한국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임성빈엮음, 경제위기를넘어선기독교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9. 이계준역, 폴틸리히강연집文化와宗敎, 서울: 전망사, 1984. 이문균, 포스트모더니즘과기독교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이승구, 기독교세계관이란무엇인가, 서울: SFC, 2005. 장남혁, 한국문화속의복음,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10. 전명수, 뉴에이지운동과한국의대중문화, 서울: 집문당, 2009. 조인서, 기독교와문화, 서울: 한올출판사, 1996. 최인식, 예수와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통합윤리학회편, 21 세기의도전과기독교문화,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프레드리카매튜스그린외, 김미연옮김, 세상을정복하는기독교문화, 서울: 이레서원, 2008. < 국내논문> 강돈구, 종교문화의의미, 종교연구, 제61 집, 한국종교학회, 2010. 강현두, 대중문화의주요개념, 대중문화이론, 서울: 민음사, 1984. 김경재, 기독교적대항문화의정립과방법론, 복음과상황, 7 8 월호, 1991. 김영한, 문화: 한국대중문화에대한기독교적조명 - 사조적측면에서, 신앙 과학문, 제1집 3 호, 기독교학문연구회, 1996.

현대한국 개신교문화 담론의의미 119 김동건, 기독교와문화의바람직한관계설정에관한연구, 신학과목회, 제25 집, 영남신학대학교, 2006. 박종균, 기독교와대중문화, 기독교문화연구, 제3 집, 한남대학교기독교문화 연구소, 1998. 배국원, 한국문화신학에대한방법론적반성, 복음과실천, 제23 집, 1999. 서정우, 한국대중문화의역사적고찰, 산업사회와대중문화, 정신문화연구 소, 1982. 송태현, 전자영상매체시대의기독교문화, 신앙과학문, 제4집 1 호, 기독 교학문연구회, 1999. 손원영, 대중문화와종교교육의과제: 기독교대중음악과종교교육, 종교교육 학연구, 제17 집, 한국종교교육학회, 2003. 신응철, 대중문화의이해와비평그리고소통- 기독교적대중문화비평의관점 에서, 해석학연구, 제18 집, 한국해석학회, 2006. 승현민, 서태지와문화읽기, 시대와민중신학, 1995 년봄호. 이원석, 기윤실의대중문화논쟁- 표현의자유 논쟁을중심으로, 문화과학 제56 호, 문화과학사, 2008. 이진구, 최근한국사회의안티기독교운동과기독교의대응양상, 한국기독교 와역사 제38 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윤철호, 기독교와문화의관계에대한유형론적고찰, 장신논단 제23 집, 장 로회신학대학교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05. 정진홍, 복음과문화의종교적이해, 기독교사상 Vol. 23 No. 9, 대한기독 교서회, 1979. < 국외단행본>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Michigan: Baker Book House, 1996.

120 종교와문화 <Abstracts> Significance of Protestant Discourses on Culture in Contemporary Korea This article analyzes Protestant discourses about culture to elucidate its significance. As the use of the term culture became predominant, Protestantism has constructed and justified its religiosity in relation with culture. Traditionally, culture wa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Protestantism, and therefore it has the long-standing theological discourse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Western theology have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Protestantism and culture. Then it focuses on how Protestant discourses about culture emerged and developed in Korean history. Scholars of Protestantism in the 1960s made efforts to define the culture of Korean Protestantism, which included the studies of indigenization and Cultural Theology. The 1990s saw the emergence of Protestant discourses about popular culture that insisted on transformation of popular culture. The Protestant discourses about culture presuppose a binary distinc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which claim that both traditional and popular cultures are negative and they should be overcome. However, such discourses entail the risk of a lack of communication only to ghettoize the religion. Key Words: Protestantism, Culture, Discourse, Indigenization, Cultural Theology, Popular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