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에서밑줄친부분의발음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손자 : 할아버지, 여기있는ᄀ밭을우리가다매야해요? 할아버지 : 응, 이ᄂ밭만매면돼. 손자 : 이ᄃ밭모두요? 할아버지 : 왜? ᄅ밭이너무넓으니? 1 ᄀ : [ 바슬 ] 2 ᄂ : [ 반만 ] 3 ᄃ : [ 받 ] 4 ᄅ : [

Similar documents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2015년9월도서관웹용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hwp




5 291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BABBB9AE2DC7D5C3BC2E687770>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 D E687770>

#7단원 1(252~269)교


178È£pdf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슬라이드 1


DocHdl2OnPREPRESStmpTarget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1교시(공통) 2책형.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1수준

1 1 만 알아보기 1000이 10개이면 10000입니다. 이것을 또는 1만이라 쓰고 만 또는 일만이라 고 읽습니다. 9000보다 은 2 다섯 자리 수 알아보기 9900보다 보다 보다 1 큰 수입니다. ⑴ 1000

152*220

Y Z X Y Z X () () 1. 3

untitled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º´¹«Ã»Ã¥-»ç³ªÀÌ·Î

국어1권표지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국어문법개념총정리 체계를알고원리를이해하면암기는저절로...^^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정답과해설 본문 02 부록 25 중등문법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141018_m

•••••1301(•••).pdf

7) 다음의 다음 9) 남학생과 9. zb 여학생 각각 명이 갖고 있는 여름 티 셔츠의 개수를 조사하여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낸 것 이다. 이 두 그래프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ㄴ. 회째의 수학 점수는 점이다. 수학 점수의 분산은 이다. ㄷ. 영어점수가 수학 점


<BCF6B4C9BFA120C7CABFE4C7D120B8F0B5E720B9AEB9FD E687770>

3 < 보기 > 를참고할때, 밑줄친부분의발화성격이다른하나는? 4 < 보기 > 를바탕으로 관형어 에대해탐구한다고할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발화는맥락에따라 명령, 요청, 제안, 약속, 경 다른사람들은어디있지? 고, 축하, 위로, 칭찬, 비난 등의실제적인행위를 형제지

¿©¼ºÀαÇ24È£

<C1A4C3A5C0CC3538C8A32E687770>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CT083001C

01¸é¼öÁ¤

10월추천dvd

03 ¸ñÂ÷

<B1B9BEEE412E687770>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3¿ù.PDF

³»Áö_10-6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2002report hwp

국어혁명 박수미쌤 2 겹문장 : 두개이상의홑문장이합쳐져서이루어진문장 주어와서술어의관계가두번이상나타남 예 ) 나는학교에갔고, 동생은도서관에갔다. 예 ) 나는동생이건강하기를바란다. 2. 문장의종류 1 문장의종류 2 확장방식 < 이어진문장 > 뜻 : 홑문장이여러개이어진문장.

82-대한신경학0201

(012~031)223교과(교)2-1

피동 ( 被動 (1 피동과능동 - 피동 : 남의행동을입어서당하는동작을나타냄. 도둑이경찰에게잡히었다. - 능동 : 제힘으로행하는동작을나타냄. 경찰이도둑을잡았다. (2 피동문되기 1 파생적피동 (-이-, -히-, -리-, -기- - 타동사어근 + 접사 ( 능동문주어 부사어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E (2005).hwp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지도학발달06-7/8/9장

Print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2019달력-대(판형키워)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국어영역 모의고사 기출 문법(어휘/어법)문제 모음 레전드스터디 닷컴 2 페이지 5.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 7.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7) 해로 옳지 않은 것은?5)

(01~16)알찬중2국어_천재박답.ps

통계내지-수정.indd

5권심층-양화1리-1~172

연구노트

¾ç¼ºÄÀ-2

120~151역사지도서3

Rabbi ( 김기덕) 학력 ) 한양대학교사범대학졸업 - 국어교육, 교육학전공 조교 1 재림 약력 ) 오르비클래스국어과강사 대치, 교대오르비학원출강 미금, 영통명인학원출강 저서 ) 국어영역마스터키 ( 지공신공) 훈련도감비문학, 문학 ( 쏠티북스) 학력 ) 서울대학교약력

[1 강 ] 2017 학년도사관학교 1 차시험문법기출분석 [ 관련개념정리하기 ] - 2 -

2019 수능특강 문법 변형문제 적용학습 기출로 보기 1 28문항.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FSB-12

기본소득문답2

자음과모음 1. 자음체계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 ( 순음 ) 잇몸소리 ( 치조음 ) 센입천장소리 ( 경구개음 ) 여린입천장소리 ( 연구개음 ) 목청소리 ( 후음 ) 예사소리 파열음 된소리 안울림소리 울림소리 파찰음 마찰음 비음유음 거센소리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예사소리

- 1 -

2013 경찰직 1차 형법 해설 이영민 (0gichul.tistory.com).hwp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먼저 其, 尼 류는초성에서쓰였을때의음가를, 役, 隱 류는종성에서쓰였을때의음가를예시하는글자인데그것이결합되어자연스럽게글자의이름으로굳어지게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각자음에모음 ᅵ 와 ᅳ 를결합시킨음을기준으로삼았는데마침한자에는 윽, 읃, 읏 에해당되는글자가없어서각각 役 ( 역 )

<C7D1B1B9C7D0BFACB1B820C1A63532C1FD28BABBB9AE E687770>

서만설명되는이형태 1 과거시제를나타내는 -았-/-었- 은음운론적조건에따른교체양상을보이는데, 하 - 와결합할때는 -였- 으로바뀌게된다. -았-~-었- -였- 2 명령형어미 (-아라/-어라) 는형태소 하- 와결합할때음운론적조건에따라 -아라 가연결되지않고 -여라 가연결되며,

#1. 문법공부를위한필수! 기본용어 음운체계 1. 모음 : 음절 ( 소리마디 ) 을이룰수있는독립적인소리 하늘 땅 사람 [ 天地人 ] 삼재로기본 3 글자를만들고, 가획하여다른글자를만듦 1 단모음 : 소리내는중에입술모양이나혀의위치가고정되어달라지지않는모음 혀의최고점의위치앞

1220½É¹Ì¾Èâ27È£º»¹®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를받으면서나오는소리이다. < 기출문제 > 다음의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년 월수능모평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 장소리 목청소리 형 예사소리ㅂㄷㄱ 파열음 된소리ㅃㄸㄲ 거센소리ㅍㅌ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ㅈ ㅉ ㅊ 마찰음 예사소리ㅅ

Transcription:

1. 의괄호안에알맞은한자성어는? 일을하다보면균형과절제가필요하다는것을알게된다. 일의수행과정에서부분적잘못을바로잡으려다정작일자체를뒤엎어버리는경우가왕왕발생하기때문이다. 흔히속담에 빈대잡으려다초가삼간태운다 는말은여기게해당할것이다. 따라서부분적결점을바로잡으려다본질을해치는 ( ) 의어리석음을저질러서는안된다. 1 개과불린 ( 改過不吝 ) 2 경거망동 ( 輕擧妄動 ) 3 교각살우 ( 矯角殺牛 ) 4 부화뇌동 ( 附和雷同 ) 01 한문-한자성어제시글에나온 빈대잡으려다초가삼간태운다 는속담과같은의미로, 부분적결점을바로잡으려다본질을해친다는의미의한자성어는 3의 교각살우 ( 矯角殺牛 ) 이다. 쇠뿔을바로잡으려다소를죽인다 라는뜻으로, 결점 ( 缺點 ) 이나흠을고치려다수단이지나쳐도리어일을그르침을뜻한다. 1 개과불린 ( 改過不吝 : 改고칠개 / 過지날과 / 不아닐불 / 吝아낄린 ) 허물을고침에인색하지않음을이르는말 2 경거망동 ( 輕擧妄動 : 輕가벼울경 / 擧들거 / 妄망령될망 / 動움직일동 ) 가볍고망령 ( 妄靈 ) 되게행동한다 는뜻으로, 도리나사정을생각하지아니하고경솔하게행동함. 3 교각살우 ( 矯角殺牛 : 矯바로잡을교 / 角뿔각 / 殺죽일살 / 牛소우 ) 쇠뿔을바로잡으려다소를죽인다 라는뜻으로, 결점 ( 缺點 ) 이나흠을고치려다수단이지나쳐도리어일을그르침. 4 부화뇌동 ( 附和雷同 : 附붙을부 / 和화할화 / 雷우레뇌 / 同한가지동 ) 우레소리에맞춰함께한다는뜻으로, 자신의뚜렷한소신없이그저남이하는대로따라가는것을의미함. 2. 의단어에공통적으로적용된음운변동은? 꽃내음 [ 꼰내음 ] 바깥일 [ 바깐닐 ] 학력 [ 항녁 ] 1 중화 2 첨가 3 비음화 4 유음화 02 현대문법-음운의변동 꽃내음 [ 꼳내음 ( 중화 : 음절의끝소리규칙 ) 꼰내음( 비음화 )] 바깥일 [ 바깓일 ( 중화 : 음절의끝소리규칙 ) 바깓닐( ㄴ첨가 ) 바깐닐( 비음화 ] 학력 [ 학녁 ( 비음화 ) 항녁( 비음화 )] 3. 밑줄친단어의품사가가장옳지않은것은? 1 나도참을만큼참았다 < 의존명사 > 나도그사람만큼할수있다. < 조사 > 2 오늘은바람이아니분다. < 부사 > 아니, 이럴수가있다말인가? < 감탄사 > 3 그아이는열을배우면백을안다. < 명사 > 열사람이백말을한다. < 관형사 > 4 그는이지적이다. < 명사 > 그는이지적인간이다. < 관형사 > 03 3 현대문법- 품사의통용첫문장에서 백 은격조사와결합하는수사이다. 두번째문장에쓰인 백 은수량관형사로서, 뒤에체언을수식한다. 1 만큼 은앞말이용언인경우에는의존명사이고, 앞말이체언이나조사일경우에는조사이다. 따라서의존명사일때에는앞말과띄어써야하며조사일때에는앞말에붙여쓴다. 2 첫째문장에서 아니 는용언앞에쓰여 ) 부정이나반대의뜻을나타내는부사이다. 둘째문장의 아니 는놀라거나감탄스러울때, 또는의아스러울때하는감탄사이다. 4 -적( 的 ) 은접미사이며, -적( 的 ) 이결합한단어의품사는세가지이다. ᄀ -적( 的 ) 뒤에조사가결합되어있으면명사이다. ᄂ -적( 的 ) 뒤에조사가결합되지않고, 뒤에체언을수식하면관형사이다. ᄂ -적( 的 ) 뒤에조사가결합되지않고, 뒤에용언을수식하면부사이다. 4. 1960년대한국문학의특징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1 전후문학의한계에대한극복이주요한과제로제기되었다. 2 4ㆍ19 혁명의영향으로현실비판문학이가능하게되었다. 3 참여문학과순수문학진영간의논쟁이발생하였다. 4 민족문학과민중문학에대한논의가활발히전개되었다. 03 4 현대문학사민족문학론이본격적으로제기된것은 1970년대에들어서이다. 1960년대의참여문학론, 소박한차원의민중문학론, 농민문학론, 시민문학론, 리얼리즘문학론등을거쳐서 1970년대에높은수준의문학이념으로서민족문학론으로종합되었다. 80년대의민중문학은바로 70년대민족문학의민중론을계승하면서대두된것이다. 1 이전의전후소설과는달리분단의원인과치유방안에대한새로운인식을형상화하였다. 대표적인작가로황순원, 최인훈, 오상원, 이호철등이있다. 2, 3 4 19 이후민족주의적인분위기가고조되고, 사회에대한시민의식이높아지면서현실참여주의적인비판적작품이많이발표되었다. 이러한경향의작가들은사회의모순과부조리, 서민층의비참한삶의모습을사실적으로묘사하여비판적시각으로고발하고있다. 김정한 ' 모래톱이야기 ', 손창섭 ' 부부 ', 이호철 ' 소시민 ', 선우휘 ' 망향 ', 전광용 ' 꺼삐딴리 ', 등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1

5. 에서밑줄친부분의발음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손자 : 할아버지, 여기있는ᄀ밭을우리가다매야해요? 할아버지 : 응, 이ᄂ밭만매면돼. 손자 : 이ᄃ밭모두요? 할아버지 : 왜? ᄅ밭이너무넓으니? 1 ᄀ : [ 바슬 ] 2 ᄂ : [ 반만 ] 3 ᄃ : [ 받 ] 4 ᄅ : [ 바치 ] 05 1 국어생활-표준발음법 1 ᄀ : [ 바슬 ] [ 바틀 ] 받침뒤에모음으로시작된조사나어미, 접미사와결합되는경우에는, 제음가대로뒤음절첫소리로옮겨발음한다. 따라서ᄀ의 밭을 의발음은 [ 바틀 ] 이다. 2 ᄂ : [ 받만 ( 음절의끝소리규칙 ) 반만( 비음화 )] 받침 ㅌ 은어말또는자음앞에서대표음 [ ㄷ ] 으로발음하는음절의끝소리규칙이나타난다. 받침 ㄷ [ ㅅ, ㅆ, ㅈ, ㅊ, ㅌ, ㅎ ] 은 ㄴ, ㅁ 앞에서 [ ㄴ ] 으로발음하는비음화현상이나타난다. 3 ᄃ : [ 받 ] 받침 ㅌ 은어말또는자음앞에서대표음 [ ㄷ ] 으로발음하는음절의끝소리규칙이나타난다. 4 ᄅ : [ 바치 ] 받침 ㄷ, ㅌ 이조사나접미사의모음 ㅣ 와결합되는경우에는, [ ㅈ, ㅊ ] 으로바꾸어서뒤음절첫소리로옮겨발음하는구개음화현상이다. 6. 표준어끼리묶인것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1 등물, 남사스럽다, 쌉싸름하다, 복숭아뼈 2 까탈스럽다, 걸판지다, 주책이다, 겉울음 3 찰지다, 잎새, 꼬리연, 푸르르다 4 개발새발, 이쁘다, 덩쿨, 마실 06 국어생활-표준어규정 4 덩쿨 ( ) 넝쿨, 덩굴길게뻗어나가면서다른물건을감기도하고땅바닥에퍼지기도하는식물의줄기를이르는말로, 넝쿨 과 덩굴 이모두많이쓰이므로둘다표준어로인정한다. 1 등물 : 등목 와 목물 은모두널리쓰이므로모두표준어로삼는다. 또 2011년 등물 도표준어로인정하였다. 남사스럽다 : 남에게놀림과비웃음을받을듯하다 라는뜻을나타내는말로, 남사스럽다, 남세스럽다 를모두쓸수있다. 2011년 남사스럽다 도표준어로인정한것이다. 쌉싸름하다 : 쌉싸름하다 는본래 쌉싸래하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1 년 쌉싸래하다 와동일한뜻으로널리쓰이는것으로판단하여복수표 준어로인정하였다. 복숭아뼈 : 발목부근에안팎으로둥글게나온뼈 를이르는말로 복숭아뼈, 복사뼈 를모두쓸수있다. 2011년 복숭아뼈 도표준어로인정하였다. 2 까탈스럽다 : 까탈스럽다 는본래 까다롭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7년국립국어원에서 까다롭다 와뜻에차이가있는것으로판단하여표준어로인정하였다. 걸판지다 : 걸판지다 는본래 거방지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7년국립국어원에서 거방지다 와뜻에차이가있는것으로판단하여표준어로인정하였다. 걸판지다 : ᄀ매우푸지다. ᄂ동작이나모양이크고어수선하다. 주책이다 : 주책이다 는본래 주책없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7년국립국어원에서 주책없다 와동일한뜻으로널리쓰이는것으로판단하여표준어로인정하였다. 겉울음 : 겉으로드러내놓고우는울음, 슬픈마음없이겉으로만우는울음 을뜻하는말로서, 2017년국립국어원에서표준어로인정하였다. 3 찰지다 : 원래표준어는 차지다 이고, 찰지다 는방언이었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 차지다 의원래말로보고표준어로인정하였다. 잎새 : 잎새 는 잎사귀 의방언이었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의미가다른것으로보고별도의표준어로인정하였다. 꼬리연 : 원래표준어는 가오리연 이고, 꼬리연 은비표준어였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의미가더넓은것으로보고별도의표준어로인정하였다. 푸르르다 : 푸르르다 는 푸르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의미가다른것으로보고별도표준어로인정하였다. 4 개발새발 : 본래 괴발개발 이표준어이고, 개발새발 은비표준어였으나 2011년국립국어원에서 괴발개발 과뜻에차이가있는것으로판단하여표준어로인정하였다. 이쁘다 : 이쁘다 는본래 예쁘다 의비표준어였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표준어로인정하였다. 덩쿨 ( ) 넝쿨, 덩굴 넝쿨 과 덩굴 이모두많이쓰이므로둘다표준어로인정한다. 그러나 덩쿨 은비표준어이다. 마실 : 마실 은 마을 의방언이었으나 2015년국립국어원에서 이웃에놀러가는일 의의미에한하여표준어로인정하였다. 7. 문장쓰기어법이가장옳은것은? 1 한국정부는독도영유권문제에대하여일본에강력히항의하였다. 2 경쟁력강화와생산성의향상을위해경영혁신이요구되어지고있다. 3 이것은아직도한국사회가무사안일주의를벗어나지못했다는생각이든다. 4 냉정하게전력을평가해봐도한국이자력으로 16강티켓가능은높은편이다. 07 국어생활-비문의유형 1 일본에 ( ) 유정명사뒤에는부사격조사 에게 가, 무정명사뒤에는부사격조사 에 가쓰인다.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2

2 요구되어지고 요구되고 되어지다 (-되 + 어지다 ) 는이중피동이므로 되다 의형태이므로써야한다. 3 주어와서술어의호응및조사의쓰임이바르지않은문장이다. ᄀ고친문장 : 이것은 ~ 무사안일주의에서벗어나지못했다는사실 ( 것 ) 을나타낸다 / 보여준다./ 의미한다. 에서 는체언뒤에붙는격조사로앞말이어떤일의출처임을나타내는조사이다. ~ 에서 ( 으로부터 ) 벗어나다 의형태로써야한다. 또는ᄂ고친문장 : 이것은 ~ 무사안일주의를벗어나지못했다는생각을들게한다. 이것은 ~~ 을들게한다 는 아직도 ~ 하지못했다 라는문장을안은겉문장이다. 즉 이것은 한국사회가벗어나지못한대상 ( 무사안일주의 ) 이라는것 을나타낸다. 4 동사서술어가생략된문장이다. 고친문장 : 냉정하게전력을평가해봐도한국이자력으로 16강티켓을딸 ( 얻게될 ) 가능성은높은편이다 09 3 국어생활-속담의의미 3 물도가다구비를친다 : 사람의한평생에는전환기가있기마련이라는속담이다. 1 달도차면기운다 : ᄀ세상의온갖것이한번번성하면다시쇠하기마련이라는속담. ᄂ행운이언제까지나계속되는것은아님을비유적으로이르는속담. 2 열흘붉은꽃은없다 : 화무십일홍 ( 花無十日紅 ) 이란말로서, 열흘동안붉은꽃은없다는뜻은한번성한것이얼마못가서반드시쇠하여짐, 즉권세나세력의성함이오래가지않는다는말이다. 4 꽃이시들면오던나비도안온다 : 사람이세도가좋을때는늘찾아오다가그처지가보잘것없게되면찾아오지아니함을비유적으로이르는말. [ 같은속담 ] 꽃이라도십일홍 ( 十日紅 ) 이되면오던봉접도아니온다. 10. 에대한설명으로가장옳은것은? 8. 6.25 전쟁과가장거리가먼소설은? 1 손창섭, 비오는날 2 박경리, 토지 3 장용학, 요한시집 4 박완서, 엄마의말뚝 08 2 현대문학사-작품의배경 2의박경리, 토지 는구한말부터 1945년해방에이르기까지를시간적배경으로하여, 진주부근하동평사리에서만주, 그리고다시한반도등으로이어지는광범위한공간을무대로숱한인물들이등장하는장대한규모의대하소설이다. 1 단편소설로, 6ㆍ25 전쟁후의암담한시대상황속에서불구적인인간들의무기력하고우울한삶을형상화하였다. 2 박경리, 토지 3 요한시집 은 진정한자유는가능한가 라는문제를담고있다. 자유를위한인간의고민과번뇌가 6ㆍ25 전쟁과포로수용소를배경으로계속펼쳐진다. 4 이작품은세편으로된연작소설로, 어머니와딸이나누는인간적교감을매개로하여 6 25 전쟁으로인한비극적상황과인물의의식성장과정을형상화하고있다. 1편은남편을잃은한여성이자식들과함께서울에삶의공간을마련하기까지의과정, 2편은 6 25 전쟁의고통과오빠의참혹한죽음, 3편은어머니가돌아가신뒤자신의소망과는달리서울근교의공원묘지에묻히는과정을그리고있다. 9. 권력의무상함 을나타내는속담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1 달도차면기운다. 2 열흘붉은꽃은없다. 3 물도가다구비를친다. 4 꽃이시들면오던나비도안온다. 내가어렸을때만하더라도미국의어린이들은원래북아메리카에는 100만명가량의인디언밖에없었다고배웠다. 이렇게적은수라면거의빈대륙이라고할수있으므로백인들의정복을정당화하는데유용했다. 그러나고고학적인발굴과미국의해안지방을처음밟은유럽인탐험가들의기록을자세히검토한결과인디언들이처음에는약 2000만명에달했다는것을알게되었다. 신세계전체를놓고보았을때콜럼버스가도착한이후한두세기에걸쳐인디언의인구는최대 95% 가감소했을것으로추정된다. 인디언들이죽은주된요인은구세계의병원균이었다. 인디언들은그런질병에노출된적이없었으므로면역성이나유전적인저항력이전혀없었다. 살인적인질병의 1위자리를놓고다투었던것은천연두, 홍역, 인플루엔자, 발진티푸스등이었고그것으로도충분하지않다는듯디프테리아, 말라리아, 볼거리, 백일해, 페스트, 결핵, 황열병등이그뒤를바싹따랐다. 병원균이보인파괴력을백인들이직접목격한경우도헤아릴수없이많았다. 1837년대평원에서가장정교한문화를가지고잇던만단족인디언들은세인트루이스에서미주리강을타고거슬러올라온한척의증기선때문에천연두에걸렸다. 만단족의한마을은불과몇주사이에인구 2000명에서 40명으로곤두박질쳤다. - 재레드다이아몬드, 총ㆍ균ㆍ쇠 중에서 1 유렵은신세계였고, 아메리카는구세계였다. 2 인디언들은구세계의병원균에대한면역성이없었다. 3 만단족인디언들의인구감소는백인들의무기때문이었다. 4 콜럼버스이전에북아메리카에는 100만명가량의인디언이있었다. 10 2 비문학-내용파악하기둘째단락을보면인디언들이죽은주된요인은구세계의병원균이었다. 인디언들은면역성이나유전적인저항력이전혀없었다는설명이있다.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3

1 유럽인탐험가들이북아메리카를발견한것이므로, 유렵은구세계였고, 아메리카는신세계였다. 3 만단족인디언들의인구감소는구세계의천연두때문이다. 4 첫째단락을보면콜럼버스이전에북아메리카에는인디언들이처음에는약 2000만명에달했다는내용이나온다. 콜럼버스가도착한이후한두세기에걸쳐인디언의인구는최대 95% 가감소했다. 13. 의사조를이해한내용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가노라ᄀ三角山아다시보쟈ᄂ漢江水야ᄃ故國山川을 고쟈 랴마 時節이하ᄅ殊常 니올동말동 여라 - 김상헌 11. 본용언 + 보조용언 구성이아닌것은? 1 영수는쓰레기를주워서버렸다. 2 모르는사람이나를아는척한다. 3 요리맛이어떤지일단먹어는본다. 4 우리는공부를할수록더많은것을알아간다. 11 1 현대문법-본용언과보조용언독립된두문장을만들었을때의미적으로완전한문장이성립하면본용언이사용된문장이고, 성립되지않거나본래의의미구조가달라지면보조용언이사용된문장이다. 1의 주워서 와 버렸다 는모두본용언이고, 종속적으로이어진문장이다. 2의 척한다, 3의 본다, 4의 간다 1 ᄀ의다른명칭은 인왕산 이다. 2 ᄂ은여전히사용하는명칭이다. 3 ᄃ의당시국호는 조선 이다. 4 ᄅ은병자호란직후의상황을뜻한다. 14 1 고전문학-시어의의미 1 ᄀ의 삼각산 ( 三角山 ) 은 북한산 의다른이름이다.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의세봉우리가있어이렇게부른다. 2 ᄂ의 한강 은조선시대에는 ' 경강 ' 이라고도불렀으며그이전에백제가동진과교통하여중국문화를받아들이기시작하면서한강의이름을중국식으로고쳐서 ' 한수 ' 라불렀고, 그뒤부터옛이름은차츰사라지고 ' 한수 ' 또는 ' 한강 ' 이라고만불렸다. 3 제시작품이조선시대병자호란 ( 丙子胡亂 ) 을배경으로한작품이므로때의 고국 은조선이다. 4 병자호란 ( 丙子胡亂 ) 때, 끝가지척화항전 ( 斥和抗戰 ) 을주장하던작자가패전후청나라로잡혀가면서부른노래로, 비분강개한심정이나타난작품이다. 12. 에대한설명으로가장옳은것은? 화랑도 ( 花郞道 ) 란, 신라때의청소년들이자신의마음과몸을닦고목숨을바쳐나라를지키려는우리고유의정신적흐름을말한다. 그리고이를실천하기위하여조직된단체를화랑도 ( 花郞道 ) 라한다. 그사회의중심인물이되기위하여마음과몸을단련하고, 올바른사회생활의규범을익히며, 나라가어려운시기에처할때싸움터에서목숨을바치려는기풍은고구려나백제에도있었지만, 특히신라에서가장활발하였다. -변태섭, 화랑도 중에서 1 용어정의를통해독자의이해를돕고있다. 2 자신의체험담을제시하여독자의이해를돕고있다. 3 반론을위한전제를제시하여독자의이해를돕고있다. 4 통계적사실이나사례제시를통해독자의이해를돕고있다. 12 1 비문학-서술상특징첫문장에서 화랑도 ( 花郞道 ) 에대한용어의개념을먼저정의하고, 화랑도 의특징에대하여서술하고있다. 2의 자신의체험담, 3의 반론, 4의 통계적사실 이나 사례제시 등은제시되지않았다. 14. 는어떤소설의마지막부분이다. 괄호안에들어갈소설속지명은? 그러나나는돌아서서전보의눈을피하여편지를썼다. 갑자기떠나게되었습니다. 찾아가서말로써오늘제가먼저가는것을알리고싶었습니다만대화란항상의외의방향으로나가버리기를좋아하기때문에이렇게글로써알리는바입니다. 간단히쓰겠습니다. 사랑하고있습니다. 왜냐하면당신은제자신이기때문에적어도제가어렴풋이나마사랑하고있는옛날의저의모습이기때문입니다. 저는옛날의저를오늘의저로끌어다놓기위하여갖은노력을다하였듯이당신을햇볕속으로끌어놓기위하여있은힘을다할작정입니다. 저를믿어주십시오. 그리고서울에서준비가되는대로소식드리면당신은 ( ) 을 / 를떠나서제게와주십시오. 우리는아마행복할수있을것입니다. 쓰고나서다시나는그편지를읽어봤다. 또한번읽어봤다. 그리고찢어버렸다. 덜컹거리며달리는버스속에앉아서나는어디쯤에선가길가에세워진하얀팻말을보았다. 거기에는선명한검은글씨로 당신은 ( ) 읍을떠나고있습니다. 안녕히가십시오 라고씌어있었다. 나는심한부끄러움을느꼈다.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4

1 삼포 2 서울 3 거제 4 무진 14 4 현대문학- 작품의공간적배경제시작품은김승옥의단편소설인 무진기행 의끝부분이다. 출전 : 김승옥. 무진기행 1. 해제 : 무진기행 은 4 19 이후우리문학이 1950년대의전후문학에서벗어나새로운단계로접어들었음을보여주는소설이다. 1960년대의허무와회의의식을주인공인 ' 나 ' 가서울을떠나무진으로갔다가다시서울로돌아오는 ' 떠남-추억의공간-복귀 ' 의순환구조를통해드러내고있다. 2. ' 무진기행 ' 의배경이갖는의미 1960년대는안개가낀듯이미래가보이지않는시대, 전통적인가치가모두파괴되어버리고모든것이세속화된시대이다. ' 무진 ' 은이같은혼돈의시대를상징적으로보여준다. 무진은안개가자주덮이는곳으로, 권태와단조로움, 절망의추억을불러일으키는부정적이미지를갖고있다. 또한그부정적인이미지의내부에는파괴되고속물화되기이전의인간적인원형을함의하고있다. 3. ' 무진기행 ' 의갈등구조 ' 무진기행 ' 에는선명하게구분되는두개의공간이있는데이두개의이질적공간은화자의내면에서팽팽하게대립되어갈등을일으키고있다. 두개의공간중하나는서울로표상되는일상의공간이고, 다른하나는무진이라는탈일상의공간이다. 4. 주제 : 현실속에던져진자기존재의파악 16. 나이와한자어가바르게연결된것은? 1 62세 화갑 ( 華甲 ) 2 77세 희수 ( 喜壽 ) 3 88세 백수 ( 白壽 ) 4 99세 미수 ( 米壽 ) 16 2 한문- 나이를의미하는한자어휘 2의희수 ( 喜壽 : 喜기쁠희 / 壽목숨수 ) 희 ( 喜 ) 자를칠로도썼기때문에희수 ( 喜壽 ) 는七 + 七세즉, 77세를일컫는다. 1 화갑 ( 華甲 : 華빛날화 / 甲갑옷갑 ) 화 ( 華 ) 자는십 ( 十 ) 이여섯개에다일 ( 一 ) 이하나있으므로 61세를나타내며, 회갑 ( 回甲 ) 또는환갑 ( 還甲 ) 이라고도한다. 2 희수 ( 喜壽 : 喜기쁠희 / 壽목숨수 ) 희 ( 喜 ) 자를칠로도썼기때문에희수 ( 喜壽 ) 는七 + 七세즉, 77세를일컫는다. 3 백수 ( 白壽 : 白흰백 / 壽목숨수 ) 백 ( 百 ) 에서일 ( 一 ) 을빼면 99세가된다. 4 미수 ( 米壽 : 米쌀미 / 壽목숨수 ) 미 ( 米 ) 자를분해하면팔십팔 ( 八十八 ) 이되기때문에미수 ( 米壽 ) 는 여든여덟살 (88세) 을의미한다. 15. 의비판대상으로가장옳지않은것은? 폴매카트니는도축장의벽이유리로되어있다면모든사람이채식주의자가될거라고말한적이있다. 우리가식육생산의실상을안다면계속해서동물을먹을수없으리라고그는믿었다. 그러나어느수준에서는우리도진실을알고있다. 식육생산이깔끔하지도유쾌하지도않은사업이라는것을안다. 다만그게어느정도인지는알고싶지않다. 고기가동물에게서나오는줄은알지만동물이고기가되기까지의단계들에대해서는짚어보려하지않는다. 그리고동물을먹으면서그행위가선택의결과라는사실조차생각하려들지않는수가많다. 이처럼우리가어느수준에서는불편한진실을의식하지만동시에다른수준에서는의식을못하는일이가능할뿐아니라불가피하도록조직되어있는게바로폭력적이데올로기다. 1 채식주의자 2 식육생산의실상 3 동물을먹는행위 4 폭력적이데올로기 15 1 비문학- 어휘의의미관계 1의 채식주의자 는도축장의식육생산의실상은아는사람들을의미한다. 따라서비판의대상이아니다. 17. 맞춤법표기가가장옳은것은? 1 이렇게하면되? 2 이번에는꼭합격할께요. 3 서로도우고사는게좋다. 4 그사람은제가잘압니다. 17 4 국어생활-한글맞춤법 4에서 압니다 는 알 ( 어간 )+ ㅂ니다 ( 종결어미 ) 의구성이다. 어간끝받침 ㄹ 이어미의첫소리 ㄴ, ㅂ, ㅅ 및 -( 으 ) 오, -( 으 ) ㄹ 앞에서는탈락한다. 1 되? 돼? 기본형 되다 의어간 되- 뒤에 -어, -어라, -었- 등이결합되어 되어, 되어라, 되었- 과같이활용한다. 그리고 ㅚ 뒤에 -어 가아울러 ㅙ 으로될적에는 돼, 돼라, 됐- 의 돼- 형태가된다. 되- 는어간이므로홀로쓰이지못하고, 되 ( 어간 )+ 어 ( 어미 )= 되어 / 돼 의형태로쓰인다. 2 합격할께요 하격할게요. -ㄹ게 는 -ㄹ게 는어떤것을하겠다고약속하는뜻을나타내는종결어미이다. 발음은 [-ㄹ께] 이다. 그러나 ㄹ 뒤에서된소리로발음되는것은된소리로적지않는다. -( 으 ) ㄹ거나 -( 으 ) ㄹ걸 -( 으 ) ㄹ세 등도소리대로적지않는다. 3 도우고 돕고 ' 돕다 의어간 돕- 뒤에 -고 가붙으면, 돕고 로활용다. 2 식육생산의실상, 3 동물을먹는행위, 4 폭력적이데올로기등은모두부정적의미를지닌것으로비판의대상이다.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5

18. 밑줄친단어의품사가다른하나는? 1 그곳에서갖은고생을다겪었다. 2 우리가찾던것이바로이것이구나. 3 인천으로갔다. 그리고배를탔다. 4 아기가방글방글웃는다. 18 1 현대문법-품사 1의 갖은 은 여러가지의, 골고루다갖춘 의뜻을지닌관형사이다. 문장에서서술성이없고뒤에명사를수식한다. [ 오답정리 ] 2의 바로 는 ( 성분 ) 부사, 3의 그리고 는 ( 접속 ) 부사, 4의 방글방글 은 ( 의태 ) 부사이다. 19. 띄어쓰기가가장옳은것은? 1 창조적독해가현실적인문제해결방안으로활용될수밖에없다. 2 사소한오해로철수가나하고사이가멀어졌다. 3 아는체하는걸보니공부깨나했나보다. 4 동해로가는김에평창에도들렀다가자. 왔던 1910년대독자들의가슴만이아니라아직강대국에싸여있는 21세기우리시대독자들에게도조국을생각하는마음에큰감동을주고있다고생각해. 1 반영론적관점 2 효용론적관점 3 표현론적관점 4 객관론적관점 20 문학-문학이해의관점제시글의 나는 ~ 느껴, 우리시대독자들에게도 ~ 큰감동을주고있다고생각해 등의표현에서, 독자가문학작품에서얻은깨달음, 교훈, 감동, 반성등을중점으로하는효용론적관점이다. 1 반영론적관점 : 작품속배경이되는당시제도, 생활상, 시대상, 역사적상황, 사회상등을중점으로하는관점이다. 3 표현론적관점 : 작가의창작의도, 창작동기, 체험이나사상등을중시하는관점이다. 4 객관론적관점 : 작품내부의구성요소인시의언어, 운율, 이미지, 표현법, 화자와청자, 시적화자의정서나태도, 어조등을중시하는관점으로서, 내재적관점, 절대주의관점이라고도한다. 19 2 국어생활-띄어쓰기 하고 는구어체로상대로하는대상임을나타내는조사이므로 나하고 처럼붙여쓴다. 1 수밖에없다 수밖에없다 밖에 는체언뒤에붙어 그것말고는, 그것이외에는, 기꺼이받아들이는, 피할수없는 의뜻을나타내는보조사이므로앞말에붙여써야한다. 반드시뒤에부정을나타내는말이따른다. 3 공부깨나 공부깨나 깨나 는어느정도이상의뜻을나타내는보조사이므로앞말에붙여써야한다. 4 가는김에 가는김에관형사형어미뒤에 김 은 어떤일의기회나계기 을뜻하는의존명사이므로알말에띄어써야한다. 20. 에나타난작품감상의관점으로가장옳은것은? 나는지금도이광수의 무정 작품을읽으면가슴이뜨거워지는것을느껴. 특히결망부분에서주인공이형식이 옳습니다. 우리가해야지요! 우리가공부하러가는뜻이여기있습니다. 우리가지금차를타고가는돈이며가서공부할학비를누가주나요? 조선이주는것입니다. 왜? 가서힘을얻어오라고, 지식을얻어오라고, 문명을얻어오라고... 그리해서새로운문명위에튼튼한생활의기초를세워달라고... 이러한뜻이아닙니까? 라고부르짖는부분에가면금방내가슴도울렁거려나도모르게 네, 네, 네 라고대답하고싶단말이야. 이작품은이소설이나 http://cafe.daum.net/weedsong Page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