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순천지역의식생 - 봉두산, 수리봉 - 조영호 김진석 ( 경북대생물학과 ) 요 약 기존의임상도와녹지자연도, 현지의상관및식물사회학적조사를토대로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의식생보전지역이설정되고, 식생보전대상지역의현존식생도가작성되었다. 한편상관에의한현존식생도상의식물군락은소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소나무군락으로 9개유형으로구분하였다. 이중에서소나무군락이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이넓은면적을차지하였다. 소나무군락은대부분저산지에넓게분포하고있으며, 신갈나무군락은봉두산 600m 이상에서산정상부까지분포하고있으며, 소나무- 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소나무군락은소나무군락의소실과참나무류로천이도중상의이차림으로 600m 이하의저산지에분포하고있었다. 환경부의식생평가등급기준에의해정해진본소권역의식생평가등급은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의식생보전대상지역은식생평가등급 등급, 전체평가단위의식생평가등급은 등급으로각각판정되었다. 서 론 본조사지역은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로한반도의남단에위치하고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봉두산평가단위는전라남도곡성군죽곡면, 순천시월등면, 황전면에걸쳐있고, 수리봉평가단위는순천시승주읍, 서면, 상사면에걸쳐있다. 조사지역내에는봉두산 (775.5m) 과수리봉 (549.9m) 을중심으로삼산 (765m), 동주리봉 (690.0m), 숫개봉 (542.8m), 유치산 (530.2m), 오성산 (606.2m), 문유산 (688m), 갓꼬리봉 (687.6m), 남동쪽에용계산 (625.6m) 등이각각위치하고있다. 한편, 봉두산으로부터약 5km 떨어진북쪽에는섬진강이북동쪽에서남서방향으로흐르고있으며, 봉두산의북서사면에는보성강 - 1 -
조영호 김진석 이북동쪽으로흘러섬진강에유입되고있다. 한편, 대표산인봉두산과수리봉주변지역은산세의거의전부가대부분화강암질편마암으로구성되어있다. 기후의특징은 1년중최한월인 1월의평균기온이 -0.8 정도이고최난월은 8월로 25.3, 연평균기온은 12.4 이며연평균강수량이많아약 1,490.7mm에이른다. 이곳은식물구계지리학상으로볼때한반도남부아구 ( 이와임 1978) 에속하며, 군계수준에서는냉온대남부 (Yim and Kira 1975) 에해당된다. 식생지리학적분포는대륙형으로서한반도아형의남부 / 저산지형이다 (Kim 1992). 본조사지역에대한연구자료는제1차자연생태계전국조사의일환으로전라남도의승주군, 곡성군및순천시일대를대상으로식생조사및녹지자연도조사가실시된바있다. 이번의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평가하고,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을효율적으로관리하기위한것이다. 따라서상대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에대해서는식생보전대상지역으로설정하고적절한보전등급을부여하게된다. 조사방법 1. 조사일정및경로 본지역에서의조사는 2003년 5월부터 8월까지 17일간실시되었으며조사일정 ( 표 1) 및경로 ( 그림 1, 2) 는다음과같다. 표 1. 조사일정소권역별 ( 평가단위 ) 조사기간 조사일수 조사대상지역 봉두산 2003. 5. 24~5. 29 5박 6일 곡성군 봉두산 2003. 6. 21~6. 25 4박 5일 순천시 수리봉 2003. 8. 7~8. 12 5박 6일 순천시 - 2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E127 25 -N35 8 10 곡성군죽곡면 봉두산 (752.5m) 황전면 순천시 월등면 0 3km 그림 1. 봉두산조사지역및조사경로 (...) 도 - 3 -
조영호 김진석 E127 25 서면 승주읍 수리봉 (549.9m) 순천시 N34 57 30 - 상사면 0 4km 그림 2. 수리봉조사지역및조사경로 (...) 도 2. 조사지역의선정 산림청에서발행한임상도는항공사진을토대로만들어진자료로써식생조사에필요한정보를얻는데유익하며, 본식생조사에신뢰성을높일수있을것으로판단되어조사대상지는임상도를통해선정하였다. 이기준은교목층의영급 ( 수령 ) 으로하였으며, 침엽수림및소나무림, 침활혼효림, 활엽수림및참나무림은 3영급이상을대상으로하였고, 인공조림지는 5영급이상을조사대상으로하였다 ( 표 2). - 4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3. 식생조사 각지역에자연적그리고 2차적으로발달한식물군락을대상으로식생조사를실시하였다. 여기에는가장널리적용하고있는 Z-M method(braun-blanquet, 1964) 을따랐다. 표 2. 임상도를이용한조사구역의기준 임상도상의식생유형 조사여부 미임목지, 황폐지, 경작지, 제지, 임간나지 소나무림의 1-2영급, 침활혼효림의 1-2영급, 참나무의 1-2영급, 인공림의 1-4영급, 활엽수림의 1-2영급소나무림의 3-4영급, 침활혼효림의 3-4영급, 참나무의 3영급, 인공림의 5-6 영급소나무림의 5-6영급, 참나무의 4영급, 활엽수림의 4영급, 침활혼효림의 5-6영급소나무림의 1-6영급 ( 아고산대 ), 참나무의 5-6영급, 활엽수림의 5-6영급 : 비조사지역, : 조사가능지역, : 조사지역이방법은식생을분류하는데에있어서식물사회학적 (floristic-sociological) 인측면, 즉식물사회의종조성을크게강조하는연구방식이다. 식생조사연구는야외에서직접수행되는식생조사와이조사에서얻어진자료를바탕으로군락추출을위한실내작업으로이루어진다. 이번조사지역은일반조사지역으로조사표작성은생략하였으며군락구조의기본적인해석은이루어졌다. 즉각층의높이, 피도등과주요구성종은기록하였고동정불가능한종에대해서는표본을채집하여실내에서동정작업을하였다. 식물종의학명과한국명은대한식물도감 ( 이, 1979) 과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 이, 1996) 에따랐다. 그리고군락명은환경부 (1997) 에의거하였다. 4. 식생평가등급 환경부에서작성한식생의자연성을 5등급 (Ⅰ, Ⅱ,, Ⅳ, Ⅴ) 으로분류한내용을기준으로하여평가단위의식생보전대상지역에대한등급을선정하였고이지역이평가단위전체에서차지하는비율이 30% 이상이면그평가등급그대로하고 30% 미만이면식생보전대상지역의등급보다한등급낮춰서각평가단위의등급을평가하였다. - 5 -
조영호 김진석 결과및고찰 1. 식물군락의분류가.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군락의자연입지는암반이노출되어있거나건조하고척박한산능선부및하천변의척박한입지나인간이오랫동안거주해온지역에서목재의생산을위해선택적남벌및식재에의해 2차림인소나무림이넓게분포하고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봉두산과수리봉에서는해발 600m까지산지의중하부사면에주로분포하고있다. 본군락은아교목층의발달이빈약한 3층구조로서교목층의식생높이는 10~15m, 각계층별주요출현종은교목층에소나무가우점종이며, 갈참나무, 굴참나무등이출현하였고, 관목층에진달래, 굴참나무, 졸참나무, 참싸리, 조록싸리, 화살나무, 초본층에맑은대쑥, 큰기름새, 구절초, 억새, 그늘사초, 노루발, 골무꽃, 삽주등이었다. 나.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은한반도의냉온대지역의극상군락으로식물지리학상으로중일구계역의한국구로특징지워지고있다. 상관으로보면낙엽활엽수림의교목림으로교목층에신갈나무, 아교목층에당단풍, 생강나무, 관목층에철쭉꽃이우점하는특징이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봉두산의 8부능선에서정상부일대와계곡부에일부분포하고있을뿐이다. 본군락은 4층구조로서교목층의식생높이는 10m 이상, 각계층별주요출현종은교목층에신갈나무, 굴참나무, 아교목층에신갈나무, 관목층에생강나무, 신갈나무, 당단풍, 미역줄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참싸리, 철쭉꽃, 개옻나무, 초본층에둥굴레, 애기나리, 단풍취, 그늘사초, 대사초, 신갈나무, 굴참나무, 나비나물, 족도리등이었다. 다. 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이군락은산지사면의전석지주변부또는토심이얕은능선부및사면부등이나소나무림의벌목이나산불이후이차적으로발달하는것으로추정되고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곡성군죽곡면태안사입구계곡을포함한양쪽사면에분포하고있다. 군락의높이는 10m 내외, 군락의계층구조는 4층으로각계층별주요출현종은교목층에굴참나무, 신갈나무, 아교목층에굴참나무, 신갈나무, 관목층에굴참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때죽나무, 조록싸리, 참싸리, 작살나무, 초본층에둥굴레, 대사초, 산거울, 참취, 억새, 굴참나무, 졸참나무, 산꿩의다리등이었다. - 6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라. 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 community) 이군락은봉두산의북서사면에넓게형성되어있으며, 또한수리봉정상에서서사면방향으로능성부를중심으로분포하고있다. 이군락의교목층은졸참나무, 아교목층에졸참나무, 쇠물푸레, 당단풍, 관목층에개옻나무, 생강나무, 당단풍, 화살나무, 때죽나무, 쇠물푸레, 초본층에졸참나무, 더덕, 맑은대쑥, 참취, 분취, 그늘사초, 대사초등이었다. 마. 소나무-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이군락은곡성군죽곡면하한리봉두산산괴의섬진강과접한북사면에분포하고있다. 상록침엽수인소나무군락단순림에서낙엽활엽수인굴참나무가혼생하는혼효림으로발달하는천이도중상식생이라할수있다. 교목층에소나무, 굴참나무가우점하고있고, 관목층에참싸리, 쇠물푸레, 생강나무, 초본층에산거울, 굴참나무, 맑은대쑥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였다. 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community) 이군락은순천시서면깃대봉저산지에출현하고있으며, 이군락은소나무-굴참나무군락과마찬가지로상록침엽수인소나무군락단순림에서낙엽활엽수인굴참나무가혼생하는혼효림으로발달하는천이도중상식생이라할수있다. 교목층에소나무, 졸참나무가우점하고있고, 관목층에졸참나무, 참싸리, 쇠물푸레, 생강나무, 회잎나무, 초본층에산거울, 굴참나무, 맑은대쑥, 둥굴레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였다. 사. 졸참나무-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이군락은봉두산에서신갈나무군락아래북서사면에소군상으로분포하고있으며, 이군락인접해서아래쪽에졸참나무군락이인접하고있다. 이군락의종조성은인접하고있는졸참나무군락과유사하여졸참나무군락으로천이가진행될것으로예상된다. 아.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이군락은순천시승주읍유평리옥녀봉북쪽계곡의양사면에분포하고있다. 이지역은식생학적으로졸참나무가우점하는지역으로인간간섭에의해일부숲이훼손되어굴참나무가혼생하는낙엽활엽수림으로진행중이다. 교목층에굴참나무, 졸참나무, 아교목층에굴참나무, 관목층에개옻나무, 쇠물푸레, 생강나무, 굴피나무, 당단풍, 초본층에맑은대쑥, 털대사초, 둥굴레, 그늘사초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였다. 자.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이군락은수리봉소권역지역의저산지에분포하고있으며, 이군락은소나무군락의인간간섭에의해부분적으로조림한지역으로추정되며일부지역에서는참나무류가혼생하고있다. 하지만면적이적어이들지역을포함하여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으로명명하였다. 이군락의종조성은수리봉조사지역의소나무군락과유사하였다. - 7 -
조영호 김진석 2. 현존식생도 상관에의한조사지역의현존식생 ( 그림3, 5) 은소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소나무군락으로 9개유형으로구분하였다. 이중에서소나무군락이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였으며,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은부분적인조림지로수리봉지역에서다소넓은면적을차지하였다. 소나무군락은대부분저산지에넓게분포하고있으며, 신갈나무군락은봉두산 600m 이상에서산정상부까지분포하고있으며, 졸참나무군락은봉두산신갈나무군락의아래사면부에주로분포하고있다.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소나무군락은소나무군락의소실과참나무류로천이도중상의이차림으로 600m 이하의저산지에소군상으로분포하고있었다. 3. 각평가단위의식생현황및식생등급가. 봉두산평가단위 이지역은전라남도의내륙에위치하며, 거의대부분이산지로구성되어있다. 봉두산 (753m) 을중심으로응봉 (575m), 상한봉 (526m), 오봉산 (674m) 등이큰산악지대를형성하고있다. 신갈나무군락은봉두산정상을중심으로출현하며, 신갈나무, 당단풍, 생강나무, 미역줄나무등이출현하고있다.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은봉두산저산지계곡부와사면중부이하에분포하고있다. 이들참나무군락은봉두산산지의서쪽사면부에주로분포하고있다. 봉두산산지의동쪽사면부는주로소나무군락이폭넓게형성되어있다. 이외에소나무군락에서참나무군락으로의천이도중상인소나무와굴참나무, 졸참나무혼효림이소나무군락과인접하여저산지에소군상의형태로출현하고있다. 그러나이들군락은이차림으로보여지며, 흉고직경, 밀도등를감안하면아직까지는성숙림의단계에는미치지못하고있다. 하지만이지역의북쪽과동쪽으로는섬진강과섬진강지류인보성강, 황천천이흐르고있어봉두산을중심으로유역의산림이매우중요한역할을할것으로보여이들숲을훼손하는개발행위는지양되어야할것으로보인다. 봉두산평가단위의식생은 등급이다. 나. 수리봉평가단위본조사지역전라남도남부지역으로순천시시가지일부를제외하면대부분산지로구성되어있고저산지는주민의간섭이많은지역으로대부분의저지대와인가및농경지주변은인위적인교란이심하고, 아까시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등이식재되어있으며자연성은떨어졌다. 대부분지역이소나무군락이며, 부분적으로 - 8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리기다소나무가식재되어있으나지도상에는구분하여표시하기가어려워이들지역을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으로표시하였다. 소나무군락은흉고직경이 15cm 내외, 수고 8~10m, 노간주나무, 쇠물푸레, 굴참나무, 갈참나무, 둥굴레, 억새, 고사리, 삽주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고있다. 순천시삼거동, 승주읍신성리, 상사면지역은졸참나무, 굴참나무가우점하는지역이다. 이외에소나무군락에서참나무군락으로천이가진행되는중이라생각되는소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은저산지의사면중부이하에서일부출현하고있다. 순천시삼거동수리봉의일부산지에는시립공원묘지가조성되어있으며, 주변산지로확장공사중에있어산지계곡부가훼손될위험이있으므로주위가요망된다. 수리봉평가단위의식생은 등급이다. - 9 -
조영호 김진석 E127 25 Qv Qv -N35 8 10 Qs Qs Qm Qv 0 3km 그림 3. 봉두산평가단위중식생보전대상지내의현존식생도 : 소나무군락, Qm : 신갈나무군락, Qs : 졸참나무군락, Qv : 굴참나무군락, Qs : 졸참나무-소나무군락. Qv :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식생보전대상지역등급 :, 평가단위의식생등급 :. - 10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E127 25 -N35 8 10 Ⅳ Ⅳ Ⅳ Ⅳ 0 3km 그림 4. 봉두산평가단위중식생보전대상지내의식생평가등급 - 11 -
조영호 김진석 E127 25 QvQs Pr Pr Qv Pr Qs Pr N34 57 30 - Pr Qv 0 4km 그림 5. 수리봉평가단위중식생보전대상지내의현존식생도 : 소나무군락, Pr :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Qv : 소나무-굴참나무군락, Qs : 소나무-졸참나무군락, Qs : 졸참나무군락, QvQs :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식생보전대상지역등급 :, 평가단위의식생등급 :. - 12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E127 25 Ⅳ N34 57 30-0 4km 그림 6. 수리봉평가단위중식생보전대상지내의식생평가등급 - 13 -
조영호 김진석 결 론 본조사는곡성 순천일반조사지역으로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를 2003년 5월부터 8월까지 17일간의현지조사와기존의조사자료를통해서얻은결과를정리하였다. 조사는임상도를비교 검토하여조사지점을선정하여 Braun-Branquet(1964) 의식물사회학적조사를실시하였으며이와더불어상관에의한현존식생도 (actual vegetation map) 를 1/25,000의지형도에작성하였다. 본지역식생의주요군락은다음과같다. 1. 삼림식생 o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o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o 소나무-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o 소나무-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community) o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o 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o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o 졸참나무군락 (Quercus serrata community) o 졸참나무-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2. 식생평가등급 o 봉두산평가단위 : 등급 o 수리봉평가단위 : 등급 - 14 -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2003) 참고문헌 김종홍, 1990a. 전남의식생 ( 광양군, 승주군, 여천군, 화순군 ). 89자연생태계전국조사(Ⅱ -2). 환경처, pp. 125-206. 김영식, 1990b. 전남의식생 ( 장성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 89자연생태계전국조사(Ⅱ -2). 환경처, pp. 207-271.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이용보, 1993. 전라남도구례군, 광양군, 승주군, 화순군, 고흥군, 보성군. 녹지자연도지역정밀조사-전라북도 전라남도- 에서. 환경부, pp. 89-140.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1688.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분포에관한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 부록 ): 1-33. 정영철, 1990a. 전남의녹지자연도 ( 여수시, 순천시, 여천시, 광양군, 여천군, 승주군, 화순군 ). 89자연생태계전국조사 (Ⅰ-2). 환경처, pp. 71-136. 정영호, 1990b. 전남의녹지자연도 (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장성군 ). 89자연생태계전국조사 (Ⅰ-2). 환경처, pp. 137-164. 환경부, 1997.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pp. 23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New York, pp. 631.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Wien University, pp. 314.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Ⅰ.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