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303528C1A4BFB5C1F8292E666D>

Similar documents
< DC1A4BFB5C1F82E687770>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372DC1A4BFB5C1F82E687770>

α α α α α

( )Kju269.hwp

03-2ƯÁý -14š

( )Kjhps043.hwp

DBPIA-NURIMEDIA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012임수진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

(01) hwp

Æ÷Àå½Ã¼³94š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춍??숏

12.077~081(A12_이종국).fm

개최요강

10(3)-10.fm

03-서연옥.hwp

<C7D1BDC4BFAC20B1E8B5BFBCF6B9DABBE7B4D4676C75636F20C3D6C1BE5B315D2E687770>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歯_ _ 2001년도 회원사명단.doc

농학석사학위논문 폴리페닐렌설파이드복합재료의기계적및열적 특성에영향을미치는유리섬유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복합보강재에관한연구 The combined effect of glass fiber/reduced graphene oxide reinforcement on the mecha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γ

14.531~539(08-037).fm

Can032.hwp

09È«¼®¿µ 5~152s

ETC Electrolytic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olytic Technologies Corporation (ETC) (High Strength Sodium Hypochlorite). ETC.,. ETC,,. - (Cl2) (NaOH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fm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139~144 ¿À°ø¾àħ


untitled

KAERIAR hwp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Microsoft PowerPoint - src.ppt [\300\320\261\342 \300\374\277\353] [\310\243\310\257 \270\360\265\345])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aeryomading review.pdf

main.hwp

Lumbar spine

(

KH100¼³¸í¼�

½Ç°ú¸Ó¸®¸»¸ñÂ÷ÆDZÇ(1-5)¿Ï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발간등록번호

12.2 Molecular Spectroscopy ( 분자분광학 ) 분자에전자기복사선을쪼여주면분자가낮은에너지상태에서높은에너지상태로이동하게되며, 이때특정흡수진동수를이용하여분자의구조를알아낼수있다. Figure 12.1 : Absorption of energy in elec


00....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03±èÀçÈÖ¾ÈÁ¤ÅÂ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12권2호내지합침

- 1 -

- 1 -

(12-145).fm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 BSF BSF. - BSF BSF ( ),,. BSF -,,,. - BSF, BSF -, rrna, BSF.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탄소연속섬유복합체 제조기술 본분석물은교육과학기술부과학기술진흥기금을지원받아작성되었습니다.

Statistical Data of Dementia.

歯49손욱.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03이경미(237~248)ok

늘푸른세상4월-136호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hwp

11¹ÚÇý·É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untitled

2015 경제ㆍ재정수첩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화학적방법에의한폐석면의무해화처리연구 환경자원연구부자원순환연구과,,,,,,,,,,,, 2010

Oxidation of Alcohols 1 o Alcohol : RCH 2 OH [ O ] RCHO [ O ] RCOOH 2 o Alcohol : RR'CHOH [ O ] RCOR' 3 o Alcohol : R 3 COH [ O ] No oxidation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19(1) 02.fm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PDF

36 Chap 20 : Conjugated Systems 20.1 Stability of Conjugated Dienes Diene : 2 개의 C=C 이중결합을가진화합물 C 1,4-Pentadiene 1,3-Pentadiene 1,2-Pentadiene (unconj


03-ÀÌÁ¦Çö

_....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Transcription: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2) : 71-76 Biomaterials Research C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성생체재료의제법과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ellulosic Biomaterial made from Styela Clava Tunics 정영진 1 안병재 1 황대연 1 김한도 2 박수민 2 조현 3 김홍성 1 * Young Jin Jung 1, Byung Jae An 1, Dae Youn Hwang 1, Han Do Kim 2, Soo Min Park 2, Hyun Cho 3, and Hong Sung Kim 1 *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1 바이오소재전공, 2 공과대학,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3 나노과학기술대학, 나노시스템공정공학과 1 Dept. of Biomaterials Engineering, College of Natural Resource & Life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2 Dept. of Organic Materials System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735, Korea 3 Dept. of Nanomaterials, College of Nano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Received April 30, 2008/Accepted May 16, 2008) New chemical cellulose powder (94% α-cellulose content) was made from Styela Clava Tunics (SCT, Midduck) which were purified in the following order: hydrochloride, sodium hydroxide,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nd mechanical grinding. SCT cellulose films were prepared from the SCT solution in which N-methylmorpholine-N-oxide(NMMO)/ water (87/13 wt%) was used as a solvent by casting it on a glass plate.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new chemical cellulose film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ood Pulp Cellulose(WPC) films in terms of IR-spetra, X-ray, and tensile strength. The 6 wt% cellulose contents were adequate for strong and thin films because NMMO/H 2 O completely dissolved SCT at 110-120 o C. SCT film exhibited 3.6 times higher water adsorption capacity than WPC film.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CT film as a wound healing product, a hist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in which we observed changes in the tissues of rats for two weeks after implantation. As a result, no signs of flare, dropsy and inflammation were detected. Key words: Cellulose, Styela clava tunics, Ir-spectra, x-ray, Biomaterial, Inflammation 미 서 더덕 (Styela Clava) 은 sea squirt, tunicate 등으로불리는척색동물문미색동물아문에속하는동물이면서식물의특성을지니는해양생물로서피부각질은단단한셀룰로오스로덮혀있다. 미더덕은우리나라전역에서발견되고있으나, 경상남도마산시에서소비량의 80% 정도를생산하고있다. 단단한외피를제거하고근막체를생으로먹거나염지하여즐겨먹는독특한향과맛으로인해식품에널리이용되고있다 1). 미더덕은유생기에는전형적인동물체로뚜렷한뼈대구조를지니고이동하지만적절한부위에부착하면식물처럼피부각질은식물성셀룰로오스와유사하게 β-1,4 결합을형성하고있다. 미더덕과유사한우렁쉥이의경우건조표피를기준으로 50-60% 의셀룰로오스함량과그중합도가 900-3500 정도로재생섬유용펄프셀룰로오스의중합도 (DPw=700~1000) 보다더높다는보고가있다. 2) * 책임연락저자 : khs@pusan.ac.kr 론 미더덕에관한연구로는스테롤함량분석 3), 계절에따른영양성분조성의변화 4),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 5) 의추출에관한연구및미더덕에서추출한콘드로이틴황산을이용한기능성화장품 6) 에관한연구, 미더덕추출물이암세포주에대해가지는기본적인항암활성과세포독성효과 7-10) 에대한연구등이있었다. 최근들어미더덕껍질을이용하여골재생효능을가진생활성막 11) 의개발이연구된바있다. 이연구는미더덕껍질을이용하는데있어서고농도의산과알칼리를고온에서장시간처리하여단백질과회분을제거하고연마를하는방법을사용하여껍질자체의성분을이용한생체적합성효과를연구한것이다. 셀룰로오스는분자쇄사이에강한수소결합이존재하기때문에일반용매에는용해되지않는다. 목재펄프로부터인견사를제조하기위하여필요한셀룰로오스유도체인크산테이트에스테르는먼저셀룰로오스를강알칼리로처리한후이황화탄소와반응시킴으로써얻을수있고그알칼리수용액으로부터섬유나필름을제조했었다. 12) 그러나현재는이황화탄소와는달리인체독성과환경오염을발생시키지않는새로운여러가지 71

72 정영진 안병재 황대연 김한도 박수민 조현 김홍성 용매들이개발되고있다. NMMO/H 2 O 용매계 13-15) 를이용하는방법은최근에개발된우수한용해성과저독성이라는장점에의하여재생셀룰로오스섬유및필름의제조를위한용매로서널리사용되고있다. NMMO 는강한극성 N-O 결합때문에친수성이매우큰화합물이므로물에대한용해도가매우높아완전혼합이가능하고수소결합경향이크다. N-O 결합은큰에너지를방출하면서강한산화제로서작용하고, 열적으로불안정하며, 각종촉매에대해민감하다. N-O 결합의극성이크므로수소결합능력이크고 N-O 결합이약하기때문에오늘날셀룰로오스의용매로널리쓰이고있다. 본연구에서는미더덕껍질을화학적으로처리한후분쇄한분말이셀룰로오스성분임을확인하고비교시험용으로실험에사용하기쉬운목재펄프로부터제조한셀룰로오스분말을동일한조건으로 NMMO/H 2 O 용매계를사용하여필름및섬유등의성형물을제조하여내부구조및기계적성질등의물성을조사하였다. 또한향후생체적합성소재로서의의료용생분해성의봉합사, 창상치료용의필름및유착방지용의막 (membrane) 등의의료용소재로서의가능성을확인하고자동물실험을실시하고그결과를분석하였다. 재료및방법 재료본연구에사용한미더덕껍질분말은목재펄프용크라프트공정을준용하여제조한것으로 ( 주 ) 위드원으로부터제공받아사용하였다. 비교분석용시료로서 ( 주 ) 효성으로부터제공받은목재펄프셀룰로오스분말은중합도 (DPw=1180), α- 셀룰로오스함량이 97% 이었고, 셀룰로오스용매는 1 수화물의 NMMO/H 2 O(87/13 wt%) 이었다. 산화방지제 n-propyl gallate 는 Aldrich 사로부터구입하고, DMAc, n-heptane, CCl 4 등은 1 급시약을그대로사용하고 LiCl 은 100 o C 에서 24 시간진공건조후사용하였다. Film 의제조고체상의 NMMO/H 2 O(87/13 wt%) 를소정량분쇄한후목재펄프셀룰로오스분말또는미더덕껍질분말이각각 2-10 wt% 가되도록평량하고, 분자량감소를방지하기위한산화방지제 n-propyl gallate 를총량의 0.5 wt% 를첨가하여믹서기에서충분히혼합한후온도조절장치와기계적교반장치및콘덴서를부착한반응기에혼합물을넣고서서히온도를올리면서 110-120 o C 에서 1 시간처리하여완전히용해시킨다. 분말이완전히용해하여투명한용액으로되었을때탈포및필터링을한용액을방사기에서섬유로제조하고, 또한필름은용액을유리판위에붓고바인더를사용하여두께가일정하게되도록캐스팅한다. 유리판에부착된필름은증류수또는일정농도의 NMMO 수용액을응고욕으로한욕조에침지하여응고시켜유리판으로부터분리시킨후충분히수세하고실온에서 건조하여데시케이트에보관하면서실험에사용하였다. 특성분석적외선분광분석은 KBr 을사용하여 pellet 을만들고 IR spectrometer(perkin Elmer, spectrum GX, USA) 로분석하였다. X-ray 회절분석은섬유및필름상태의시편을사용하여 X- ray diffractometer(xrd Rigaku, Dmax 2000 V, Japan) 을 CuKα radiation 에서 40 Kv, 30 ma 로하여 scan range 2θ 를 5 도에서 40 도범위까지, scan speed 분당 10 도로분석하였다. 인장시험은시험편의크기를길이 4cm, 폭 0.5 cm, 두께 0.02-0.03 mm, 파지거리 2cm, 인장속도 5mm/min, 측정온도 25 o C 로하여 United UTM(SSTM-1, USA) 를사용하였다. 실험동물창상실험을위해 120-140 g 의수컷 SD 랫드 (Sprague-Dawley) 를 Samtako 로부터구입하여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12 시간간격의명암주기로온도 23±2 o C, 상대습도 50±15% 로유지되는부산대학교의과대학동물시설에서사육관리하였다. 실험에사용된 SD 랫드는물과먹이를자유롭게섭취하도록하였다. 창상치료시험실험을위해먼저 SD 랫드를무작위로대조군과실험군의두개의집단으로분류하였으며, 각집단에랫드는 pentobarbital sodium(50 mg/kg) 을처치하여마취한후등쪽을 5-10 cm 정도를전기 clipper 를이용하여제모하였다. 제모된피부중에서느슨하고피하조직이깊은곳에생체조직절편용 biopsy punch 를사용하여 8 mm 정도를절개하였다. 절개된부위에대조군에는 Tegaderm TM 밴드를부착시켰고외부는 PVC 필름으로감아상처를보호하였다. 처리군은상처부분을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을삽입한후 Tegaderm TM 밴드를부착시킨후외부는 PVC 필름으로상처를보호하고 2 주동안랫드를관찰하였다. 조직검사 2 주동안관찰된랫드를 CO 2 가스를이용하여안락사한후부위조직을진피까지절개하여 4% formalin 에고정한후 paraffin 을입혀조직슬라이드를준비하였다. 준비된슬라이드는 xylen 에서 3 번 deparaffinize 를실시하고 rehydration 을 100%-100%-100%-90%-70%-50%-30% 에탄올에서 3 분동안처리하여 hydration 을실시하였다. Rehydration 된조직을 H&E 염색시약으로염색한후현미경상에서조직의변화를관찰하였다. 결과및고찰 필름의적외선분광분석미더덕껍질및목재펄프셀룰로오스로부터필름을제조하 Biomaterials Research 2008

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성생체재료의제법과성질 73 기위하여본연구에사용한용매 NMMO/H 2 O 와시료의농도에대한용해성및성형성을검토한결과미더덕껍질의경우 3%(wt) 이하는필름의강도가부족하였고, 9%(wt) 이상은용해성의불량과과도한점성도로인하여필름의두께가불균일하므로 4-7%(wt) 의농도가적당하였고, 목재펄프셀룰로오스의경우 6-10%(wt) 의농도가적당하였다. 두시료를동일한조건으로비교분석하고자 4.0, 6.0, 8.0%(wt) 농도의필름을제조하여실험에사용하였다. Figure 1 은미더덕껍질의분말과목재펄프셀룰로오스및각각의필름들의적외선흡수스펙트럼을나타내었다. 목재펄프셀룰로오스는 Cellulose I 의결정구조를가지며, 전형적인적외선흡수스펙트럼은 893 cm -1 에 CH 의변형에의한진동, 1430 cm -1 에 CH 2 대칭성굽힘의진동, 2900 cm -1 에 CH 의신축진동, 3400 cm -1 에 OH 의신축진동에해당하는피크를나타낸다. 또한천연셀룰로오스는적외선분광분석에서 1250-1450 cm -1 영역에서 5 개의피크분리가나타나고, 1000-1200 cm -1 영역에서 4 개의피크로분리된다. Figure 1 의 (c) 와 (d) 의두분말은상기의각종파수에해당하는진동과 1250-1450 cm -1 영역에서 5 개의피크가분리되므로 Cellulose I 의결정구조임을확인할수있었다. (a) 와 (b) 는각각의분말을용해하여제조한필름의적외선흡수스펙트럼으로 1380 cm -1 을중심으로는완만하고, 893 cm -1 영역에서는흡수강도가약한 CH 2 wagging peak 를나타내는 Cellulose II 의결정구조인비스코스레이온의스펙트럼과동일한패턴을나타내었다. 따라서미더덕껍질과목재펄프의분말은 Cellulose I 의결정구조이고, 각각의필름은 Cellulose II 의결정구조로구성되어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Nelson 과 O'Connor 16) 는셀룰로오스의결정화도를측정하는방법으로 2900 cm -1 와 1372 cm -1 에서의피크면적을구하고그값의비 (A 1372cm-1 / A 2900cm-1 ) 로부터 IR crystallinity index 를제안하였다. 본연구에서이방법을사용하여구한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의결정화도지 수는 0.52 이고, 목재펄프셀룰로오스필름의결정화도지수는 0.57 이었다. 모든파수에서나타나는특성피크의모양과강도의일치는미더덕껍질을이루고있는세포벽물질이셀룰로오스로구성되어있는것임을확인하였고, 미더덕껍질의셀룰로오스로제조한필름에서 893 cm -1 의강한흡수피크와 1430 cm -1 피크의감소현상은 NMMO 에의한용해과정에서고분자의미세구조및결정구조의변화를일으킨것으로생각된다. X-ray 회절특성 Figure 2는목재펄프셀룰로오스분말과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화학셀룰로오스분말및그섬유와필름의 X-ray 회절패턴을나타낸것이다. 일반적으로 Cellulose I의결정구조를형성하고있는펄프셀룰로오스의경우 2θ=14.6 o 와 16.4 o 에서각각 (101) 면과 (101) 면의회절피크가 doublet으로나타나고, 2θ=22.6 o 에서 (002) 면의회절피크가강하게나타난다. 본연구에사용한목재펄프셀룰로오스 (a) 의경우 13 o -17 o 에걸쳐넓게보이는회절피크는 14.6 o (101) 면과 16.4 o (101) 면의두피크의겹침에의한 doublet이고, 2θ=22.6 o (002) 에강한단일피크가나타나는것으로보아전형적인표백한펄프셀룰로오스인것으로확인되었다. 미더덕껍질의분말 (b) 은 2θ=14.5 o (101) 면과 16.4 o (101) 면에강한 singlet 피크가각각으로나타난이유는미더덕껍질의정제과정에서단백질을제거하기위하여사용한알칼리처리효과에의하여생성된소량의 Cellulose II가본래의 Cellulose I과합하여 Cellulose I과 II가혼재된상태라고생각된다. 각각의피크모양과크기는 Cellulose I과 II의비율에의하여결정되며미더덕껍질의경우 Cellulose I:II= 75:25 정도의비율이문헌상의패턴과대조했을때거의일치하였다. 17) 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섬유 (c) 의경우축방향으로연신을통한배향을형성하므로비스코스레이온섬유와같은재생셀룰로오스섬유의전형적인 Cellulose II의 Figure 1. FT-IR spectra of styela clava tunics powder, wood pulp cellulose powder and regenerated films. (a) SCT film, (b) WPC film, (c) WPC powder, and (d) SCT powder. Figure 2. X-ray difractorgrams of wood pulp powder, styela clava tunics powder, fiber an film. (a) WPC powder, (b) SCT powder, (c) SCT fiber, and (d) SCT film. Vol. 12, No. 2

74 정영진 안병재 황대연 김한도 박수민 조현 김홍성 구조를나타내었고, 회절피크인 2θ=12 o 에서 (101) 면이, 20 o 와 21.7 o 에서각각 (101) 면및 (002) 면이분리되어나타났다. 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 (d) 의경우에는용해에의해셀룰로오스의내부결정구조의변화가일어나고미연신으로배향이발달하지못하고거의비결정화되어 2θ=14.6 o 와 16.4 o 에서각각 (101) 면과 (101) 면의회절피크가 2θ=12 o 로이동하였으며피크의강도가감소한것은필름으로성형하면서결정부분이감소하였기때문이라생각된다. 역학적성질미연신필름의역학적성질은시료의농도, 용해온도및시간, 응고욕의종류및조성에큰영향을받는다. 농도가높을수록잔류중합도의감소가적으므로강도를높게유지할수있고, 응고욕의분자량이적을수록물질전달속도가빨라진다. Figure 3 과 Figure 4 는셀룰로오스와미더덕필름의역학적특성을나타낸것이다. 건식상태의강도와신도를시료의농도와응고욕중의 NMMO 농도를달리하여응고시킨필름의건조상태의강신도를나타내었다. 배향구조나응고욕조성은섬유와필름을제조할때성형물의물성에영향이매우크게작용한다. 높은배향을형성하여도응고속도가느리면배향이흐트러질수있으며, 비록배향의형성이부족하더라도응고욕의조성이적당히조절된다면보다나은물성을얻을수있다. 본연구에서는미연신필름을제조하였으므로배향이물성에주는조건을최소화하고응고욕조성에따른물성의변화를검토하였다. 강도는응고욕이순수한물을사용했을때보다용매인 NMMO 수용액을사용했을때약간증가하는경향을나타내었고, 시료의농도와응고욕중의용매와의적절한농도가조정되었을때에는역학적성질을높일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Figure 3 에서미더덕껍질의 6% 농도와응고욕의 NMMO 농도가 20% 일때가장높은강도를나타내었다. 이것은시료의농도와응고욕중의용액의분자량의크기에따라용매의교환속도가달라서, 필름의내부구조를결정하는배향도 Figure 3. Tensile strength at dry state as a function of cellulose concentration. Figure 4. Elongation at break on dry state as a function of cellulose concentration. 및결정화도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생각된다. 응고욕을순수한물로했을때강도가약한것은용액내의용매가빠른속도로응고욕중으로확산하고, 동시에응고욕중의물은필름내부로빠른확산이일어나므로필름의공극율이커지기때문이다. 신도는강도와는달리응고욕중의용매의농도에는큰변화는없지만시료의농도와는밀접한관계가있다. 생체재료로서의활용가능성검토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필름의생체재료로서의활용가능성을검토하기위하여 SD 랫드에 2 주동안이식실험을실시하여조직의변화를관찰하였다. 그결과 2 주후처리군에서발적과부종은외관상으로관찰되지않았으며, 대조군과큰차이를나타내지않았다. Figure 5 는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을피부에삽입한실험군과대조군의독성평가시험으로동물의이식부위를육안으로관찰한사진이다. 랫드의제모된피부에생체조직절편용 biopsy punch 를사용하여 8mm 정도를절개하고, 미처리한대조군은단순히절개만하였고, 실험군은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을랫드의피부에이식하였다. 이식후 2 주동안상처부위를관찰하였으며, A 와 B 는처리직후, C 와 D 는 2 주경과후외관상태를나타내고있다. 또한조직내에독성시험에서관찰되는피부병변을관찰하기위해표피조직을염색하여관찰하였으나대조군과큰차이를나타내지않았으며, 표피과형성이나염증세포침윤등의현상을나타내지않았다. Figure 6 은미더덕껍질로부터제조한재생셀룰로오스필름의독성평가시험을위해동물의이식부위의조직을현미경으로관찰한사진이다. 절개된랫드의진피까지절개하여 4% formalin 에고정한후 paraffin 을입혀조직슬라이드를준비하였으며, H&E 염색을통해핵을염색하여관찰하였다. A 와 B 는대조군의조직, C 와 D 는미더덕껍질의필름처리군의조직을나타내고있다. 이러한시험결과는본실험에서사용된미더덕껍질의필름이생체에이식하여도일반적으로나타내는독성병변을유발하지않 Biomaterials Research 2008

미더덕 껍질로부터 제조한 재생 셀룰로오스성 생체재료의 제법과 성질 75 환경노출물질이나 독성물질에 노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소재물질의 독성시험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특히 독성 시험을 위해 독성물질을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여 피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병변을 관찰하고 있다. 이러한 병변에는 표피 과형성, 표피궤양, 염소여드름, 외이도염, 독성표피융해, 황생종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반응은 염증, 변성 및 증식과 같은 3가지 의 기초과정이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랫드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미더덕 껍질로부 터 제조한 재생 셀룰로오스 필름을 적용하여 그 일반적인 독 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외관상으로 관찰되는 발적 이나 부종 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조직에서도 염증, 변성, 증식 등의 현상이 관찰되지 않아 별다른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Figure 5. Wound healing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igure 6. H&E staining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우리 몸에서 가장 넓은 조직으로 다양한 론 식용 후 폐기 되고 있는 미더덕 껍질은 proteoglycans이라 는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재활용을 한다면 무독성, 생 분해성, 고흡수성의 의료용 생체재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미더덕의 피낭으로부터 무기질과 단백질을 제거하고 얻은 다당류의 화학 셀룰로오스 분말을 NMNO/H2O 용매계 를 사용하여 용액상태로부터 캐스팅한 후 여러 가지 농도의 NMMO수용액의 응고욕에서 응고하여 미더덕 껍질의 재생 셀 룰로오스 섬유 및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물성과 내부구조 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목재 펄프의 재생 셀룰로오스 필름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분말의 결정구조는 Cellulose I의 구조이고 미더덕 껍질로부터 제조한 필름은 비 스코스 레이온과 동일한 Cellulose II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측 정한 필름의 고유점도([η])는 6.35, 무게평균분자량(Mw)은 423,000이었고, 섬유밀도(g/cm3)는 1.50, 함수율(%)은 10.2로 목재 펄프 세룰로오스 필름과 비슷하였다. 시료의 농도를 6%(wt), 응고욕의 NMMO농도를 20%로 하여 제조한 필름은 건조 및 습윤상태에서 우수한 강도와 신도를 나타내었고 수분 흡수율은 목재 펄프 필름이 자기중량의 1.1배인데 비하여 미 더덕 껍질의 셀룰로오스 필름의 경우 3.6배 정도로 매우 높은 흡수성을 나타내었다. 미더덕 껍질로부터 제조한 필름의 생체 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D랫드에 2주 동안 이식실험을 실시하여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2주 후 처리군에서 발적과 부종은 외관상으로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더덕 껍질 필름의 독 성평가시험으로 동물의 이식부위에 대한 육안으로 관찰한 결 과와 랫드의 제모된 피부에 절개 후 미더덕 껍질로부터 제조 한 필름을 삽입한 실험군과 절개만 실시한 미처리의 대조군으 로부터 표피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하였으나 대조군과 큰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표피과형성이나 염증세포침윤 등의 현 상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생체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ol. 12, No. 2

76 정영진 안병재 황대연 김한도 박수민 조현 김홍성 참고문헌 1. E. H. Lee, Lipid components of sea squirt, Halcyntria roretzi and Mideuduck, Styela clava, J Korean Food Sci. Tec., 17, 289-294 (1985). 2. Y. S. Wang, W. M. Koo, and H. D. Kim,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ew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Textile Res. J., 73(11), 998-1004 (2003). 3. Y. G. Jo, The sterol composition of Styela Clava, Kor. Fish. Soc., 11, 97-101 (1978). 4. K. H. Lee,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Food Sci. Nutr., 24, 268-273 (1995). 5. S. H. Ahn, S. H. J, and B. D. Choi, Extraction of glycosaminoglycans from Styela clava tunic,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3), 180-185 (2003). 6. Y. R. Kim, S. H. Ahn, B. D. Choi, and T. S. Jung, In vitro examination of Chondroitin sulfates extracted Midduck as a cosmetic materi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 646-652 (2004). 7. J. J. Kim, S. J. Kim, and S. C. Le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937-941 (2005). 8. J. J. Kim, S. J. Kim, and S. C. Le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s and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3), 278-283 (2006). 9. E. S. Jung, J. Y. Kim, E. J. Park, H. R. Park, and S. C. Lee, Cytoxic Effect of Extract from styela clav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 823-827 (2006). 10. B. Y. Seo, E. S. Jung, J. Y. Kim, H. R. Park, S. C. Lee, and E. J. Park, Effect of aceton extract from styela clava on oxidative DNA damage and anticancer activity, Korean Soc. Appl. Biol. Chem., 49(3), 227-232(2006). 35(7), 823-827 (2006). 11. S. M. Kim, J. H. Lee, J. A. Jo, S. C. Lee, and S. K. Lee, Development of a bioactive cellulose membrane from sea squirt skin for bone regeneration-a preliminary research, J. Kor. Oral Maxillofac. Surg., 31, 440-453 (2005). 12. A. S. Chegolya, D. D. Grinshpan, and E. Z. Burd, Production of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without carbon disulfide, Textile Res. J., 59, (1989). 13. Y. K. Hong, S. M. Jo, and W. S. Lee, Effect of air-gap distances on properties of cellulose fiber spun, J. Korean Soc. Dyers and Finishers., 5(2), 49-53 (1993). 14. B. H. Moon, S. K. Kim, T. W. Son, and Y. S. Oh,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ellulose fiber from MMNO/Water/Cellulose, J. Korean Fiber Soc., 34(8), 477-488 (1997). 15. D. B. Kim, W. S. Lee, and H. J. Kang, The effects of thermal degradation of cellulose/nmmo dop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llulose fibers, Polymer(Korea)., 22(5), 770-778 (1998). 16. M. L. Nelson. and R. T. O'Connor, Relation of certain infrared bands to cellulose crystallinity and crystal lattice type, part II: A new infrared ratio for estimation of crystallinity in cellulose I and II, J. Appl. Polym. Sci., 8, 1325-1341 (1964). 17. H. A. Kraessig, In Polymer Monographs, Cellulose, vol. 11,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Yverdon, Switzerland, 1990, pp. 43-149. Biomaterials Research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