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관리및조류충돌예방대책 마련을위한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 3 차년도 생물자원연구부 동물자원과 The survey of wildlife for controlling birdstrike in Suwon Air Force Base (III)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참여 연구진
요약문 1. 제목 항공안전관리및조류충돌예방대책마련을위한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 3 차년도 2. 연구목적 가. 공군에서는 2000 년 2015 년까지총 577 건의조류충돌기록이있으며그중기지내 (0 500ft 고도 ) 에서 240건이발생 1) 공군기지내조류충돌사고의주요원인은기지내조류의먹이활동등과연관성이있으며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에서권고하는조류서식억제방안중가장효과적인방법은조류의먹이원 ( 식물, 곤충, 소형척추동물등 ) 을제거하는것임 2) 공군에서는조류충돌예방을위해삭초작업, 약제살포및직접퇴치등다양한방법을사용하고있으나, 공군기지주변의생물상파악을통한조류의먹이원분석은이루어지지않음 3) 군사지역이라는특수한제약조건때문에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는지금까지수행된바가거의없어본조사는학술적으로도가치가있음나. 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를통해조류와먹이사이의생태적상관관계를밝히고이를통해조류서식억제방안마련및조류충돌에대한종합적인예방대책수립필요 3. 연구내용및방법 가. 수원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 1) 공군기지주변식생조사 2) 공군기지내말레이즈트랩및직접채집을통한곤충상조사 3) 조류의주요먹이원인나비목곤충의집중분석 4) 공군기지및주변지역에서식하는조류의서식실태조사나. 조류사체에서꺼낸식이물의 DNA 분석및먹이원동정 1) 포획된조류사체로부터 total DNA 추출및확보 2) Blocking primer 및클로닝기법을이용한조류의식이물 DNA 분석
4. 연구결과 가. 수원공군기지및주변지역생물상조사결과 조사분야분류군비고 식물상, 식생 식물상 : 화본과등 46 과 151 분류군식생 : 식생도작성 곤충상나비목등 8 목 4,377 개체정성채집 조류상큰기러기등 7 3 종 4,059 개체최대치합계 나. 조류식이물의 DNA 분석및먹이원동정 1) 4종의조류를대상으로먹이원을판별하는연구를수행한결과총 57 개분류군의먹이원확인, 이중동물이 49개분류군으로가장많은비율을차지하였으며, 식물등이 18 개분류군을차지, 동물중에는나비목곤충이가장많음 2) 큰밭종다리는총 19 개분류군, 개똥지빠귀는총 26 개분류군, 종다리의경우총 19개분류군그리고제비는 22개분류군을확인 다. 조류의 서식 요인 및 서식지 관리방안 1) 환경적 요인 : 기지 주변으로는 농경지와 하천이 둘러싸여 있고, 기지 내부로는 활주로 주변으로 초지와 하천, 인공 연못 등이 있어 철새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번식하는 텃새의 서식공간 제공 요인 2) 황로, 종다리, 황조롱이 등 초지 서식조류의 식이물 분석과 초지의 먹 이원 ( 식물, 곤충 ) 분석 3) 하천 서식 조류인 흰뺨검둥오리의 식이물 분석 및 기지 내 외부 서식 실태 분석 4) 기지 내부의 초지, 하천 등 서식지와 기지 외부의 농경지, 하천 등 서 식지 관리 방안 라. 기지내 외생물상조사결과의종합분석을통한예방대책 1) 식생 : 국내공항의경우풀길이를평균 5-15cm 정도해외공항들에비해비교적짧게유지한다. 초지관리역시주요우점식물들의개화기를고려하여개화이전에삭초하고, 삭초된식물은반드시기지밖으로처리조치하여곤충의서식을보다제한하는것이효과적임
2) 식물 : 조류의주요먹이원인나비목곤충의주요먹이식물을조사하여선택적으로관리함으로써조류의유인요소를차단, 조류의주요먹이식물을선별하여구체적인관리방안을마련하는것이합리적임 2) 곤충 : 주요조류먹이원으로알려진나비목, 메뚜기류들은활주로주변초지대에서개체밀도가높게나타나조류충돌예방대책수립에있어핵심지역으로나타났으므로이들의성충출현시기를고려하여초지대의관리방법인제초작업, 화학적방제작업등을고려 3) 조류 : 현재기지내에서조류퇴치를위해사용하는기피음향 ( 자동폭음, 생물음향 ) 은효과가낮으나, 이동형폭음장치및총기포획등은어느정도효과가증명됨. 가시적인효과를내기위해서는세밀하고정기적인조류의모니터링이요구되며, 조사결과를바탕으로서식처관리도함께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됨. 특히, 기지내와인접지역의하천등수변부지역은오리류, 도요류등물새류를유인하는잠재적인요건을갖추고있으므로, 이곳의조사와관리가집중적으로이루어져야할것임 5. 연구결과의활용에대한건의 가. 곤충류를조사한결과월별로많이출현하는시기는메뚜기목, 딱정벌레목, 노린재목의경우 6월, 나비목, 파리목등은 9월에개체수가급증하는것으로나타남, 시기적으로곤충과조류의상관관계를분석하여곤충의먹이식물을분석하고, 식물을보다효과적으로관리할필요가있음나. 기지외부의농경지및하천등서식지는조류의서식뿐만아니라기지내부로조류의유입에가교역할을하고있어관리가필요하며, 기지내부의하천과배수로는그물설치및바닥을정비하여조류의유입을차단하고, 연못역시매립등보다효과적인대책이요구됨다. 공군기지내덤불숲은등줄쥐와같은소형포유류의경우은신처가되며이들은또한맹금류의먹이가되므로제거가필요함라. 동물과식물의 DNA 바코드범용마커를이용하여조류를대상으로먹이원을판별하는실험 분석기법과유전정보들은향후일반공항이나공군기지를대상으로서식조류의생태연구및먹이원판별시스템을구축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가능함
목 차 요 약 문 ⅰ 목 차 iv 표 목 차 v 그림목차 vi Abstract ix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2 1. 연구사업의 추진 전략 2 2. 조사 시기 및 지역 2 3. 조사 방법 3 가. 식생 3 나. 곤충 4 다. 조류 5 라. 조류의 식이물 DNA 분석 6 Ⅲ. 결과 및 고찰 9 1. 식생 9 2. 곤충 18 3. 조류 29 4. 조류의 식이물 DNA 분석 43 Ⅳ. 조류 서식지 관리방안 48 1. 조류의 서식 요인 48 2. 서식지 관리방안 64 Ⅴ. 종합고찰 68 Ⅵ. 참고문헌 7 2 Ⅶ. 부록 7 5
표목차 표 1. 각분야별조사시기 2 표 2. 미토콘드리아및엽록체유전자증폭에이용된프라이머정보 7 표 3. 3차년도조사지역의소산식물현황 9 표 4. 전체 (1-3차년) 조사의소산식물현황 9 표 5. 전체 (1-3차년) 소산식물의생활형현황 10 표 6. 전체 (1-3차년) 조사에서확인된귀화식물현황 11 표 7. 조사지점별식생특성 13 표 8. 조사지역일대의육상곤충종다양성현황 18 표 9. 공군비행장에서채집된 2016 년월별, 목별개체수 23 표 10. 2016년도조류종별먹이원판별결과 44 표 11. 황로의식이물분석결과 53 표 12. 종다리의식이물분석결과 55 표 13. 황조롱이의번식기먹이종류 56 표 14. 흰뺨검둥오리의식이물분석결과 62 표 15. 밤나방과상위우점종및주요먹이식물 65 표 16. 포충나방과상위우점종및주요먹이식물 66
그림목차 그림 1. 공군기지내 외부생물상조사구역 3 그림 2. 곤충조사방법 5 그림 3. 식이물분석연구방법및절차 8 그림 4. 전체소산식물의과별종수현황 10 그림 5. 활주로인근의대표식생전경 12 그림 6. 비행기이착륙방향의토지이용 14 그림 7. 활주로 2km직간접영향권의식생현황 15 그림 8. 활주로 0.7 km직간접영향권의식생현황 16 그림 9. 2016년조사지역일대의곤충류군집구조 ( 현지조사 ) 19 그림 10. 2016년습지일대의곤충류개체수점유율 ( 현지조사 ) 19 그림 11. 조사지역의잠자리목주요종 ( 하계 ) 20 그림 12. 조사지역의노린재목주요종 ( 하계 ) 21 그림 13. 조사지역의메뚜기목주요종 ( 하계 ) 21 그림 14. 조사지역의나비목주요종 ( 하계 ) 22 그림 15. 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목별개체수 (2014. 6.- 2016. 12.) 24 그림 16. 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월별개체수 (2014. 6.- 2016. 12.) 24 그림 17. 트랩별포획된곤충개체수 (2014. 6.-2016. 12.) 24 그림 18. 월별포획된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5 그림 19. 목별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5 그림 20. 말레이즈트랩별, 월별전체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6 그림 21. 월별나비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6 그림 22. 월별딱정벌레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6 그림 23. 월별파리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7 그림 24. 월별벌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7 그림 25. 월별노린재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27
그림 26. 월별 메뚜기목 곤충 개체수 동향 (2014. 6.-2016. 12.) 27 그림 27. 기지 내 외부 상위 우점 조류의 우점도 (% ) 29 그림 28. 기지 내 외부 조류의 월별 종 및 개체수 변화 30 그림 29. 2015-2016년 기지 내 외부 조류의 월별 개체수 변화 31 그림 30. 조류의 계절별 주요 우점종 및 개체수 비율 (%) 32 그림 31. 기지 내 외부의 월별 조류상 34 그림 32. 기지 내부 소구역의 월별 조류상 36 그림 33. 기지 외부 소구역의 월별 조류상 38 그림 34. 활주로 및 건물주변의 계절별 조류상 40 그림 35. 황구지천 동편 조류 퇴치 관리구역과 비관리구역의 계절별 물새류 비교 41 그림 36. 황구지천 서편 조류 퇴치 관리구역과 비관리구역의 계절별 물새류 비교 42 그림 37. 고정식 음향장치 및 이동식 로켓형 폭음탄 42 그림 38. 2016년 조류 4종의 먹이원 구성 비율 (%) 46 그림 39. 기지 외부의 식생 환경 48 그림 40. 기지 외부의 농경지 49 그림 41. 기지 외부의 하천 50 그림 42. 2015-2016 년 곤충채집 개체수와 백로류의 개체수 변화 51 그림 43. 2015-2016 년 곤충채집 개체수와 백로류의 개체수 상관관계 52 그림 44. 황로의 식이물 구성 비율 (2015 년 ) 52 그림 45. 2015-2016 년 종다리의 개체수 변화 54 그림 46. 2015-2016 년 종다리의 식이물 구성 비율 (% ) 55 그림 47. 황조롱이의 육추 먹이 57 그림 48. 2015년 황조롱이의 식이물 구성 비율 (%) 57 그림 49. 2014-2016 년 포획 조류 12 종의 동물성 먹이원 구성 비율 (%) 58 그림 50. 2014-2016 년 포획 조류 12 종의 곤충류 먹이원 구성 비율 (%) 58 그림 51. 2014-2016 년 포획 조류 12 종의 식물성 먹이원 구성 비율 (%) 59 그림 52. 2014-2016 년 단자엽류 먹이원 구성 (A) 과 쌍자엽류 먹이원 구성 (B) 59
그림 53. 2015 년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포획된나비목군집구조 (A) 및과별개체수점유율 (B) 60 그림 54. GPS 부착을통한흰뺨검둥오리의기지내 외부서식실태 61 그림 55. 2015년흰뺨검둥오리식이물구성비율 (%) 62 그림 56. 철새의서식지유입과차단 64
Abstract Aircraft collisions with wildlife have increased nationally over the past 20 years. In particular, bird strikes are significant threat to aircraft safety, and have caused monetary losses as well as accidents with human casualties. Thus, the measures to reduce the collisions are urgently need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guidelines for controlling bird strikes in Suwon Air Force Base. The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wildlife inhabiting the base area and their available prey resources were examined. O verall, our survey conducted in 2016 indicated that there are 73 bird species; 46 families of vascular plants with 151 taxa and 8 orders of insects with 4, 377 individuals currently inhabiting the Suwon Air Force Base area. Based on DNA analysis of 4 bird species in the relevant area, 72 taxa of prey were identified. The food of Richard's Pipit (Anthus richardi) were 19 taxa. M ost common sources of prey identified in the stomach were Insecta with 14 taxa. The diet of Dusky Thrush (Turdus eunomus), Eurasian Skylark (Alauda arvensis) and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were 26, 19, and 24 tax a respectively. The grassland around the runway were the main factor attracting the insectivorous migratory birds such as Eastern Cattle Egret (Bubulcus coromandus), Eurasian Skylark, and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Insects and other invertebrates were the main food sources. Eliminating ex isting habitats or making them unattractive or inaccessible can solve many bird problems. Such as long or short-grass management, prevention of seed or fruit-carrying plants, shrubs at roost sites, drainage of wet and swampy areas. But most bird species in Air Force Base were winter
visitors such as ducks and geese which were not related with insects. Rice fields, streams and rivers near the Air Force Base were main factors attracting the waterfowl that are nearly all large birds and may also occur in large flocks. Ex pelling agricultural land use were considered near the Air Force Base. This third year's study more clarified to find the food chain of birds in the Suwon Air Force Base. With a view to establish a guidelines to reduce the bird strik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Ex amples are: continuous monitoring of birds, using satellite telemetry and other animal tracking techniq ues for the home range analysis of wildlife, DNA analysis of food sources from the giz zards of birds.
I. 서론 전세계의공항에서발생하는항공기의조류충돌은항공기의안전한운항에큰위협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미연방항공청에따르면 1988년부터최근까지세계적으로 247 건이상의치명적인항공사고가발생하였고, 이로인해 262명이사망하는인명피해가발생한것으로집계되었다. 1990년 1,847 건이었던조류충돌은해마다증가하여 2015년현재 13, 7 95건이발생하였으며, 2014년 13,692건에비해 103건이증가한수치다 (1990 2015년총 169,856건발생 ), 그중조류 95.8%, 육상포유류 1.6%, 박쥐류 2.3%, 파충류 0.3% 로조류가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였다. 대한민국공군 (2014) 에따르면국내에서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9년간총 1,429건의조류충돌이발생한것으로보고되었다. 대부분의조류충돌은 500ft 이하이착륙시에발생하며, 이륙보다는착륙시에더많이발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FAA, 2016). 공군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6년간총 57 7 건이발생하였고 500ft 이하에서는 240건이발생하였다. 공군에서도조류충돌이발생한고도는대부분 500ft 이하의이착륙시에발생한것으로집계되었는데, 그주요원인은기지내조류의먹이활동때문인것으로추정된다 ( 공군항공안전단, 2016).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2012) 에서권고하는조류서식억제방안중가장효과적인방법은조류의먹이원 ( 식물, 곤충, 육상척추동물등 ) 및공항내와인접지역의서식처를관리하는것이다. 공군에서는조류충돌예방을위해기피음향사용, 삭초작업, 약제살포및직접퇴치등다양한방법을사용하고있으나, 아직가시적인성과를내지못하고있으며, 공군기지주변의생물상파악을통한조류의먹이원분석은이루어지지않고있다. 또한, 군사지역이라는특수한제약조건때문에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는지금까지수행된바가거의없다. 따라서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를통해조류와먹이사이의생태적관계를밝히고이를통해조류서식억제방안마련및조류충돌에대한종합적인예방대책수립이요구된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조류충돌감소를위해한국공항공사 (' 09.7.29.), 인천국제공항공사 ('09.7.29.), 공군항공안전관리단 (' 13.6.18.) 과기술협력 M OU 를체결하였으며이에대한후속사업으로수원공군기지와인접지역의생물상을파악하고이를바탕으로수원공군기지를포함한국내공항내항공기의안전한운항을위한조류충돌예방및관리대책을제시하고자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사업의추진전략 수원공군기지생물상조사는국립생물자원관동물자원과에서주관하며, 공군항공안전관리단과협업을통해연구를추진하였다. 2. 조사시기및지역 수원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시기는 2016년 1월부터 12월사이이며, 각생물상의조사시기는다음과같다 ( 표 1). 표 1. 각분야별조사시기 조사분야조사 ( 채집 ) 구역조사시기조사횟수 식물 ( 식생 ) 곤충 현장조사 5 개소 (site 1, 3 6) 말레이즈트랩조사 5 개소 (site 1 5) 7, 10 월 2 회 1 12 월월 1 회 트랩주변정성채집 7 월 2 회 조류 기지 내부 : 8개 소구역 기지 외부 : 7 개 소구역 1 12 월 월 1회 ( 총 12회 ) 식이물 ( 유전자 ) 분석 공군기지내부 3 10 월 조류 4종 (12개체 ) 수원공군기지내생물상조사지역은공군부대특성상 ( 보안및안전등 ) 사전에주요조사지역을선정하여 (Site 1 6) 기지내에서는공군항공안전관리단의인솔에따라조사하였다 ( 그림 1). 또한, 조류는서식특성을고려하여공군기지내 외부조사구역을세분화하여실시하였다 ( 그림 1).
그림 1. 공군기지 내 외부 생물상 조사 구역. 식생 및 곤충 조사구역 : Site 1 6 조류 조사구역 ( 기지 내부 8개 소구역 ): A-1( 활주로주변 남부 ), B-1( 활 주로주변 중앙부 ), C-1( 활주로주변 북부 ), A-2( 황구지천 동편 내부 ), B-2( 건물 주변 농지방향 ), C -2( 건물주변 도심방향 ), D-1( 황구지천 서편 내부 ), D-2( 보라 매공원 ) 조류 조사구역 ( 기지 외부 7 개 소구역 ): a-1( 동황구지천 외부 ), a-2( 원천 리천 ), b-1( 서쪽농경지 ), b-2( 서황구지천 외부 ), b-3( 기안교 주변 ), c-1( 북쪽농 경지 ), c-2( 서호천 ) 3. 조사방법 가. 식생 조사지일대에대한현장조사는생물서식환경의이질성과다양한식물종이출현이예상되는시기를고려하여수행하였다. 1차, 2차년도조사와달리 3차년도조사에서는별도의방형구조사를수행하지않고, 조사지점에서식물 ( 식생 ) 환경을파악하기위해최소면적으로식물사회학적인방법 (Braun-Blanquet 방
법 ) 으로조사를수행하였다 (Braun-Blanquet, 1965; Becking, 1957 ; M ueller-dombois and Ellenberg, 197 4; 김종원과이율경, 2006). 동정이불가능한종은별도로채집하여실내에서해부현미경등으로동정을수행하였다. 또한식생유형별피복현황을파악하기위해구글지도 (map.google.com) 를이용하여최종현존식생도 ( 식생공간분포 ) 를작성하였다. 현장조사의한계성에의해실내영상에많이의존하여최종결과를도출하였다. 현존식생도범례는현장선행답사를통해식물사회학적수준이아닌상관적인특성 (physiognomic character) 을고려한 - 수준에서결정하였다. 조사대상지외곽일대는 2014 년최신의세분류토지피복분류도 ( 환경부, 2014) 를활용하였다. 최종현존식생도는실내에서 GIS 프로그램등을이용하여완성하였다. 또한, 촬영시기의차이, 해상도의차이등으로인해작성및분석에한계가있음을밝혀두며, 현장에서부분적으로공사가시행되고있는것은별도로반영하지않았다. 나. 곤충 공군기지내곤충상조사는비행간섭트랩인말레이즈트랩에알콜 7 0% 를이용하여곤충류를채집하였으며, 말레이즈트랩의설치는공군기지내서식지환경조건이서로다른 5곳을선택하여설치하여조사하였다. 포획트랩에채집된표본은매월월말에채집통을교환하였다. 확보된표본은국립생물자원관곤충표본제작실에서채집지별, 분류군별로표본들을분석하였다. 조사지역의신뢰성을높이기위해포충망을이용한직접조사방법도병행하였다 ( 그림 2). 조사지일대에대한현장조사는생물서식환경의이질성과현지조사시기에출현예상되는분류군생태를고려하여다양한서식지유형이포함되도록설정하였다. 현장조사방법은본조사의목적과각분류군의생태적특성을고려하여실시하였는데, 주로포충망을이용한쓸어잡기법 (sweeping), 털어잡기법 (beating), 채어잡기법 (brandishing), 돌들추기등의임의채집법을중심으로하였으며, 목견기록을포함시켰다. 현장에서쓸어잡기법으로조사된채집물전체를 A4 크기의지퍼백에일시보관후실험실에서채집곤충을 sorting, 해부현미경 (OLYMPUS) 에서동정, 분류하였다 ( 그림 2).
그림 2. 곤충조사방법. 말레이즈트랩으로채집 ( 左上 ), 포충망으로채집 ( 右 上 ), 표본제작실에서표본제작된상태 ( 左下 ), 나비목유충의먹이활동 ( 右 下 ). 다. 조류 조류조사는조류충돌의위험과조류의서식환경및조류퇴치활동구간에따라기지내부는 8개소구역, 기지외부는 7개소구역으로분할하여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정점및선조사를하였으며, 지점간차량으로이동중에도관찰된종에대하여조사하였다. 각조사지점에서쌍안경 (Leica ULTRAVID 8x42) 과망원경 (Leica APO TELEVID 7 7, x20-60) 을이용하여관찰된조류를기록하였으며, 소리 (song, call) 를통해서식이확인된종도포함하였다. 조사기간동안계절별, 연간조류의개체수변동은조사기간동안각소구역에서관찰된최대개체수로분석하였다.
라. 조류의식이물 DNA 분석 1) 재료확보및 DNA 추출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수원공군기지내에서포획된조류 4종 ( 제비, 큰밭종다리, 개똥지빠귀, 종다리 ) 을대상으로식이물분석을수행하였다. 포획된개체들은사체해부를하기전 -20 C 냉동고에보관하였으며, 개체별로식도부터총배설강에이르는소화기관을분리하였다. 분리된소화기관으로부터멸균된시약스푼및피펫을이용하여식이물을확보하였으며 DNA 추출전까지 -20 C에보관하였다. 게노믹 DNA는 DNeasy Blood and Tissue kit(qiagen, CA, USA) 와 PowerSoil DNA Isolation Kit(MO BIO, USA) 를이용하여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1μl를 1.0% agarose gel에전기영동한뒤 Loading Star( 다인바이오, 한국 ) 로염색하여 UV 조명하에서 DNA size marker 와형광의밝기를비교하였다. 이후 Nanodrop(Power lab, USA) 을이용하여농도및순도를측정하였다. 2) 유전자증폭 (P olymerase C hain Reaction) DNA 바코딩분석기법을이용하여조류의먹이원분석을수행하였다. 동물의경우 DNA 바코드구간으로공인된미토콘드리아유전체상의 COI (Cytochrom oxidase subunit I) 영역을사용하였다 (H ebert et al., 2003). COI 유전자의경우조류도갖고있기때문에포식자의소화기관세포가가진미토콘드리아 COI 증폭을막고먹이생물이가진 COI 만을증폭하고자블로킹프라이머 (blocking primer) 를제작하여실험에이용하였다. 블로킹프라이머는특정유전자구간을증폭하는범용프라이머와함께혼합하여실험에이용되는데, 임상진단이나환경미생물연구등에주로이용되고있으며, 최근생물의먹이원연구에도쓰이고있다 (Vestheim and J arman, 2008). 블로킹프라이머는 PC R 수행시 CO I 유전자를증폭하는범용프라이머 (LCO 1490, H CO 2198) 와함께혼합하여사용한다. 블로킹프라이머는 COI 유전자를증폭하는역방향프라이머 (reverse primer) 인 H C O2198의 3' 말단과중첩되도록제작하였는데, 블로킹프라이머의 3' 말단에는 c3(3 hydrocarbon) spacer 를부착하여 PCR 과정동안호스트인조류의 COI 유전자증폭을방해하는역할을하게한다. 식물의경우엽록체유전체를대상으로대부분의 DNA 바코드연구가진행되었으나, 동물과같이단일유전자영역으로종을동정하는데한계를갖고있다. 본연구에서는최근식물 DNA 바코드범용마커로이용되고있는
식물엽록체유전체의 matk, rbcl 영역을분석하였다 (H ollingsworth 2011). 실험에이용된증폭프라이머정보는표 2와같다. 증폭된 PCR 산물중 1~ 2ul 를 1.0% agarose gel 에전기영동한뒤 Loading Star( 다인바이오, 한국 ) 로염색하여 UV 조명하에서 DNA size marker 와형광의밝기를비교하였다. 표 2. 미토콘드리아및엽록체유전자증폭에이용된프라이머정보 프라이머명프라이머염기서열증폭 (PCR) 조건관련문헌 LCO1490 HCO2198 Blocking primer rbcl1f rbcl724r matk F3 matkr GGT CAA CAA ATC ATA AAG ATA TTG G 95, 3m (95, TAA ACT TCA GGG TGA 45s 48, 45s CCA AAA AAT CA 72,1m) 35cycles ATA AAG ATA TTG GCA 72, 7m CCC TAT ACC T-C3 ATG TCA CCA CAA ACA GAA AC TCG CAT GTA CCT GCA GTA GC CGT ACA GTA CTT TTG TGT TTA CGA G ACC CAG TCC ATC TGG AAA TCT TGG TTC 94, 2m (94, 1m 50, 1m 72, 1m) 35cycles 72, 7m 94, 2m (94, 45s 50, 45s 72, 1m) 35cycles 72, 7m Folmer et al., 1994 Fay et al., 1997 CBOL Plant W orking G roup, 2009. 3) 클로닝 (C loning) PCR purification kit 를이용하여정제 (BIONEER Co., Korea) 한후 TOPO TA Cloning Kit for Sequencing(invitrogen C o., U SA) 방법에따라 P CR product를 TOP O vector에 insertion 시켜 One shot Top10 C hemically Competent cell( 대장균 ) 에 transformation 시킨다. LB plate 에서형성된 white colony를 AccuPower PCR Premix (BIONEER) 를이용해개체별로 24개씩 Colony PCR screening 방법을진행한다. 4) 염기서열결정 (DNA Seq uencing) PCR 산물의증폭여부를확인한뒤, PCR purification kit(qiagen, Co., USA) 를이용하여정제하였다. PCR반응에서사용된프라이머를이용하여 Applied Biosystem 사의 ABI prism 3730XL analyzer 로염기서열을결정하였다.
5) Data 분석확보된염기서열은 Bioedit(H all, 1999), M EGA version 6(Tamura et al., 2013) 을이용하여편집하였으며, NC BI 와 BoLD systems에등록된기존에공개된염기서열과함께정렬 비교하였다. 공개 DB 상의 DNA 염기서열과서열유사도를분석하여먹이로이용된분류군을판별하였다 ( 그림 3). 그림 3. 식이물분석연구방법및절차.
Ⅲ. 연구결과및고찰 1. 식생 가. 식물상 특성 1차년도조사결과에서는 49과 141속 192종 16변종 208분류군이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2차년도조사결과에서는 10 월조사를수행하여화본과등 26 개과에속하는 70분류군이확인되었다. 금년 3차년도조사에서는총 46 과 119속 133종 18변종으로총 151분류군이조사되었다 ( 표 3; 부록 1). 이를통해 3년동안생육이확인된식물상은총 53과 154속 208종 28변종으로총 236분류군의서식이확인되었다 ( 표 4). 과별종수는벼과 (44종), 국화과 (33종), 사초과 (18종), 마디풀과 (13종), 콩과 (12종) 가높은구성비를나타내었으며, 이들 5개과의구성비가전체의 50% 를상회한다 ( 그림 4). 표 3. 3 차년도조사지역의소산식물현황 구 분 과 (Family) 속 (Genus) 종 (Species) 변종 (Variety) 품종 (Forma) 소계 석송강 0 0 0 0 0 0 속새강 1 1 1 0 0 1 고사리강 0 0 0 0 0 0 나자식물강 3 4 5 0 0 5 피자식물강 42 114 127 18 0 145 쌍자엽식물아강 34 75 83 10 0 93 단자엽식물아강 8 39 44 8 0 52 합계 46 119 133 18 0 151 표 4. 전체 (1-3 차년 ) 조사의소산식물현황 구 분 과 (Family) 속 (Genus) 종 (Species) 변종 (Variety) 품종 (Forma) 소계 석송강 0 0 0 0 0 0 속새강 1 1 1 0 0 1 고사리강 0 0 0 0 0 0 나자식물강 3 4 5 0 0 5 피자식물강 49 149 202 28 0 230 쌍자엽식물아강 37 97 131 17 0 148 단자엽식물아강 12 52 71 11 0 82 합계 53 154 208 28 0 236
그림 4. 전체소산식물의과별종수현황. 표 5. 전체 (1-3 차년 ) 소산식물의생활형현황 구분 M N E Ch H G HH Th 종수 15 3 0 9 53 17 43 96 구성비 (%) 6.4 1.3 0.0 3.8 22.5 7.2 18.2 40.7 생활형구분 : M - 대형지상식물 ( 교목성식물 ), N - 소형지상식물 ( 관목성식물 ), E - 착생식물, Ch - 지표식물, H - 반지중식물, G - 지중식물, HH - 근생수생식물 ( 근생일년생수생식물포함 ), Th 일년생식물 전체조사과정에서확인된식물상에서귀화식물은총 51 종이확인되었으며 ( 표 6), 전체의 21.6% 에해당된다. 이러한귀화식물및 1-2 년생의높은구성비 ( 전체의약 41%: 표 5) 는상대적으로서식환경이교란되어있음을의미한다. 즉, 지속적인관리가이루어지는비행장의특성을잘보여주는식물상적특성이라할수있다. 이가운데미국쑥부쟁이, 가시박등은환경부가지정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에해당된다. 귀화식물에서는국화과, 벼과, 십자화과등이높은구성비를나타내었다. 표 6. 전체 (1-3 차년 ) 조사에서확인된귀화식물현황 과명 학명 한글명 비고 Amaranthaceae( 비름과 ) Amaranthus patulus Bertoloni 가는털비름 Caryophyllaceae( 석죽과 )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Chenopodiaceae( 명아주과 )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ourt. 돼지풀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Compositae( 국화과 )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치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 G. Jones 큰비자루국화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Erigeron strigosus Muhl. 주걱개망초 Galinsoga ciliata Blake 털별꽃아재비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Rudbeckia laciniata L. var. hortensis Bailey 겹삼잎국화 Matricaria matricarioides (Less.) Porter 족제비쑥 Cuscuta pentagona L. 미국실새삼 Convolvulaceae( 메꽃과 ) Ipomoea hederacea Jacq. 미국나팔꽃 Quamoclit angulata (Lam.) Bojer 둥근잎유홍초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Cruciferae( 십자화과 ) Thlaspi arvense L. 말냉이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Nasturtium officinale R. Br. 물냉이 Cucurbitaceae( 박과 )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Euphorbiaceae( 대극과 )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Gramineae( 벼과 )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Lolium perenne L. 호밀풀 Chloris virgata Sw. 나도바랭이 Eragrostis curvula Nees. 능수참새그령 Lolium perenne L. 가는보리풀
나. 식생 특성 1) 조사지점별 식생 특성 조사지점 대상지는 대부분 활주로 인근이며, 활주로 식생관리를 위해 지속 적으로 삭초(cutting)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우점종으로는 큰김의털이 우점 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일부 지역은 왕포아풀, 능수참새그령과 같은 식물 들이 우점하기도 하였다. 이는 비행장을 건설하던 당시 또는 이후 활주로의 식생을 인위적으로 조성하는데 외래식물을 이용한 종자뿌리기(Seed spray)의 결과로 판단된다. 활주로에는 지속적인 식생관리로 인해 생활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초본식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본식생의 정착은 확인되지 않는다. 하 지만, 개체 수준으로 일부 생육이 확인되기도 하나, 지속적 제거와 같은 교란 에 의해 확장은 어렵다. 조사지점별로 보면 대부분 벼과식물의 단자엽식물이 우점하는 형태이며 (표 7, 그림 5), 큰김의털, 왕포아풀, 바랭이 등이 주로 우점하는 형태이다. St.6은 상대적으로 곤충의 밀원식물이 되는 쌍자엽식물의 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1 및 4-6은 활주로 인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삭초에 의 한 강한 식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St.3은 활주로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억새와 같이 식생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식물종의 구성비가 높은 것이 특징 이며, 약한 식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ጪὢ ẞ ⵆ 4U ጪὢ ẞ ⵆ 4U 그림 5. 활주로 인근의 대표식생 전경. TG XYG T
표 7. 조사지점별식생특성 구분주요식생환경비고 St.1 St.3 St.4 St.5 St.6 - 우점식물 : 큰김의털우점, 왕포아풀, 바랭이, 강아지풀등혼생 - 우점유형 : 벼과식물의단자엽식물우점 - 관리현황 : 주기적인삭초가이루어지고있음 - 우점식물 : 물억새우점, 새, 큰비자루국화, 그령등이혼생 - 우점유형 : 벼과식물의단자엽식물우점 - 관리현황 : 자연방치를통한식생유지 - 우점식물 : 왕포아풀우점, 바랭이, 토끼풀, 괭이사초, 큰김의털혼생 - 우점유형 : 벼과식물의단자엽식물우점 - 관리현황 : 주기적인삭초가이루어지고있음 - 우점식물 : 큰김의털우점, 질경이, 쥐깨풀, 산조풀등이혼생 - 우점유형 : 벼과식물의단자엽식물우점 - 관리현황 : 주기적인삭초가이루어지고있음 - 우점식물 : 토끼풀, 매듭풀우점, 미국실새삼, 능수참새그령, 바랭이, 기 생초, 왕포아풀우점 - 우점유형 : 쌍자엽식물이우점한가운데단자엽식물혼생 - 관리현황 : 주기적인삭초가이루어지고있음 활주로인근강한관리 활주로외곽약한관리 활주로인근강한관리 활주로인근강한관리 활주로인근강한관리 2) 식생공간분포특성조사대상지는활주로를중심으로수직적비행고도를고려하여수평적영향범위를결정하여야한다. 하지만, 정확한비행고도를알수없기때문에활주로에서약 2km를영향범위로고려하여식생공간분포특성을파악하였다. 활주로를중심으로북동쪽일대는주거지, 상업지등과같은시설지가매우넓게밀집해있으며, 북서쪽은시설지및농경지가혼재하고있다. 남쪽은골프장및산림지대가남서쪽은대부분농경지가분포하고있다. 남동쪽은농경지가우세한가운데시설지가일부분포하고있다. 활주로와직접적인영향권에해당되는약 0.3 km의범위는대부분시설지또는관리초지로이루어져있다. 약 0.5 km영향범위내에도대부분시설지및관리초지가분포하고있다. 비행기의이착륙은바람의방향에따라다를수있으나, 구조적으로남동쪽또는북서쪽으로진행된다 ( 그림 6, 7, 8). 남동쪽은영향범위 0.3 km에서 1.0 km사이에황구지천 ( 합류부하폭 120m) 과원천리천 ( 합류부하폭약 7 0m) 이분포하고약 0.7 km영향범위에서두하천이합류한다. 이들지역에는수생식물외에정수식생이거의없는형태인수역이비교적넓게분포하고있고, 인근하여농경지가비교적넓게분포하고있다. 북서쪽으로는황구지천의지류인서호천이영향범위 0.5 km에서 0.7 km사이에위치하고있으나, 하폭은남동쪽의
여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다. 농경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하나, 그 규모도 상대 적으로 작고 시설지가 비교적 복잡한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그림 6. 비행기 이착륙 방향의 토지이용(상: 남동, 하: 북서; 영상: 구글어스). TG X[G T
그림 7. 활주로 2 직간접영향권의 식생 현황. TG X\G T
그림 8. 활주로 0.7 직접영향권의 식생 현황. TG X]G T
생물서식처로 기능을 하는 식물에 대해 본 조사 대상지역의 현황을 파악 하였다. 조사는 여름철, 가을철 총 2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현장조사를 비롯 하여 실내 영상분석이 병행되었다. 전체 3년 동안 생육이 확인된 식물상은 총 53과 154속 208종 28변종으로 총 236분류군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과별구성비 는 벼과 (44종 ), 국화과 (33종), 사초과 (18종 ), 마디풀과 (13종), 콩과 (12종 ) 가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5개 과의 구성비가 전체의 50% 를 상회한다. 이 러한 식물들은 주로 초지대를 형성하는 요소로써 곤충상에서도 초지대에 적응 성이 높은 종들이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 곤충분야 참조 ). 이러 한 과별 구성비가 높은 식물들이 조사지역의 곤충상의 먹이식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되며, 벼과, 사초과류는 메뚜기류의 먹이원으로 국화과, 마디풀과, 콩과는 나비 등의 주요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 식물종에서 귀화식물 및 일이년생식물종의 높은 구성비는 대상지역 일대의 서식여건이 상대적으로 교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인위적으로 식생이 관리되는 비행장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식물상적 특성이라 할 수 있 다. 활주로 일대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삭초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우점하는 식물은 단자엽식물종이며, 큰김의털, 왕포아풀, 바랭이, 강아지풀, 능수참새그 령 등으로 과거 활주로 식생을 인위적으로 조성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러한 건조 초지대에는 이들을 먹이원으로 하는 청분홍메뚜기의 개체밀도가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 곤충분야 참조 ), 메뚜기류를 먹이원으로 하는 상위 포식자들의 서식이 예상된다. 활주로 일대에는 지속적인 식생관리로 목본식생 의 정착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활주로 및 격납고 주변 등에는 교목성 수 목지가 존재하고 있어 까치 등의 번식지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지 활주로의 방향은 남동쪽 또는 북서쪽이다. 남동쪽은 영향범위 0.3km에서 1.0km사이에 황구지천 ( 합류부 하폭 120m) 과 원천리천 ( 합류부 하폭 약 70m) 이 위치하고 합류한다. 이들 지역은 수역이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 고, 인근하여 농경지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다. 북서쪽으로는 황구지천의 지류인 서호천이 영향범위 0.5 km에서 0.7 km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하폭이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농경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그 규모도 상대적으로 작으며, 시설지가 비교적 복잡한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한편, 활주로 주변의 초지관리는 공항마다 관리의 방법이나 기법이 다양하 며, 국내공항의 경우에는 풀길이를 평균 5-15cm 정도 해외공항들에 비해 비 교적 짧게 유지하고 있다 ( 한국공항공사, 2014). 풀관리 역시 주요 우점 식물들 의 개화기를 고려하여 개화 이전에 삭초하여 곤충의 서식을 보다 제한하는 것 이 효과적일 것이다.
2. 곤충 가. 포충망을 이용한 현지 정성채집 결과 곤충들은저마다서식지, 먹이식물등의특이성을가지고있어출현분류군의구성비특성은그지역을환경을파악하는데있어서기본자료로활용된다. 현지조사 ( 부록 3) 에서확인된 79종의목 (Order, 目 ) 별다양성을살펴보면, H emiptera 노린재목이 12과 20종 ( 상대적구성비 25.3% ) 으로우점군, Odonata 잠자리목이 4과 14 종 ( 상대적구성비 17.7%) 으로아우점군으로나타났으며, 그외 Coleoptera 딱정벌레목 6과 13 종, Orthoptera 메뚜기목 4과 11 종, Diptera 파리목 6과 8종, Lepidoptera 나비목 5과 7종순으로상위우점군 (dominance taxa) 을형성했다 ( 표 8; 그림 9). 표 8. 조사지역일대의육상곤충종다양성현황 현지조사 (2016년) 목명점유율점유율과수종수개체수 (% ) (% ) O donata 잠자리목 4 14 17.7 1,789 40.9 Blattaria 바퀴목 1 1 1.3 3 0.1 O rthoptera 메뚜기목 4 11 13.9 587 13.4 Hemiptera 노린재목 12 20 25.3 1,146 26.2 C oleoptera 딱정벌레목 6 13 16.5 338 7.7 Hymenoptera 벌목 4 5 6.3 167 3.8 Diptera 파리목 6 8 10.1 197 4.5 Lepidoptera 나비목 5 7 8.9 150 3.4 8목 42 7 9 100.0 4, 37 7 100.0
그림 9. 2016 년조사지역일대의곤충류군집구조 ( 현지조사 ). 그리고 현장조사에서 4,377개체의 목 (Order, 目 ) 별 상대적 점유율을 살펴 보면, 잠자리목이 1,7 89개체 ( 상대적 구성비 40.9%) 로 우점군, 노린재목이 1,146 개체 ( 상대적 구성비 26.2.1%) 으로 아우점군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메뚜기목 587 개체, 딱정벌레목 338개체 순으로 상위 우점군 (dominance taxa) 을 형성했 다 ( 그림 10). 그림 10. 2016 년습지일대의곤충류개체수점유율 ( 현지조사 ).
전체적으로출현종다양성이있어서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종들이다수포함되어있는노린재목과비행성이강한잠자리목이다른분류군보다높게나타났다. 그리고출현개체수에있어서도잠자리목과노린재목이다른분류군보다높게나타났다. 따라서본조사지역은활주로및외곽지역의초지대가우점하는서식지유형에따라이들서식지유형에적응성이높은곤충류가출현하였으며, 특정계절에는잠자리류, 나비류등이동성이강한곤충류가일부혼재되어있는지역적특성을나타내었다. 따라서조류의주요먹이원은잠자리목, 노린재목그리고곤충의크기, 생태등을고려하면 4과 11 종 587 개체가확인된메뚜기목, 5 과 7 종 150 개체가확인된나비목이이시기에조류의주요먹이원으로파악되었다. 조류의주요먹이원으로파악된잠자리목, 노린재목, 메뚜기목그리고나비목에서과 (family, 科 ) 수준의다양성및생태적특성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잠자리목에서는생체량이실잠자리류에비해크고, 수변에적응성이높으며, 이동성이강한종들이다수포함된잠자리과가 10 종으로잠자리목의과 ( 科 ) 우점군으로나타났다. 그리고본조사지역의서식처유형을반영하여, 수변및수변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아시아실잠자리가 1,000 개체이상확인되어개체밀도가가장높았으며, 이동성이강한고추좀잠자리, 밀잠자리, 된장잠자리가각각 70개체이상관찰되어개체밀도가비교적높은종이었다. 또한정수역에서관찰되는나비잠자리가 40 개체이상관찰되었다 ( 그림 11). 그림 11. 조사지역의잠자리목주요종 ( 하계 ). 개체별생체량은상위우점군중에서가장작은노린재목에서는수변초지대및개화식물에적응성이높은긴노린재과가 5종으로노린재목의과 ( 科 )
우점군으로나타났다. 개화식물에군집생활을하는애긴노린재가 500 개체이상확인되어개체밀도가가장높았으며, 초지대, 개화식물및농경지에서주로관찰되는알락수염노린재, 북쪽비단노린재, 애십자무늬긴노린재, 최근외래침입해충으로주목받고있는미국선녀벌레가각각 60 개체이상관찰되어개체밀도가비교적높은종이었다 ( 그림 12). 그림 12. 조사지역의노린재목주요종 ( 하계 ). 메뚜기목에서는생체량이초지대및경작지에적응성이높은메뚜기과가 7종으로메뚜기목의과 ( 科 ) 우점군으로나타났다. 그리고건조한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청분홍메뚜기가 200 개체이상확인되어개체밀도가가장높았으며, 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방아깨비, 삽사리, 팥중이가각각 50 개체이상관찰되어개체밀도가비교적높은종이었다 ( 그림 13). 그림 13. 조사지역의메뚜기목주요종 ( 하계 ).
다른출현분류군에비해출현종다양성은낮았으나, 조류의주요먹이원이되는것으로알려진나비목은 7종이확인되었으며, 배추흰나비, 노랑나비가각각 40 개체이상관찰되어개체밀도가비교적높은종이었다 ( 그림 14). 그리고그외의분류군에서출현밀도가높은종을살펴보면, 초지대및경작지에서주로관찰되는녹색콩풍뎅이, 개화식물에서쉽게볼수있는양봉꿀벌 꼬마꽃등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수변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뿔들파리 풀멸구가각각 50 개체이상관찰되어개체밀도가비교적높은종이었다. 그림 14. 조사지역의나비목주요종 ( 하계 ). 나. 말레이즈트랩을이용한월별정량채집 본조사지역은활주로를중심으로이륙과착륙지점, 그리고호수지역이며, 비행장의특성상대부분초지지역으로되어있으면서, 건조하지않은습한지역이다. 특히항공기의활주로주변환경에따라서항공기의이륙과착륙을하는곳에 Site 1, Site 4, Site 5 지역을설정하여 3곳을설치하였고, 황구지천와수원천의합류점에 Site 2, 보라매공원호수지역에 Site 3를선정하여각각 1개의말레이즈트랩을설치하였다. 2016. 1월 12 월곤충상조사결과파리목, 벌목, 나비목, 딱정벌레목순으로많은개체가조사되었으며월별로는 5월부터증가하기시작하여 10 월까지많은개체들이유지되다가 10 월이후부터급격하게감소되는것을확인하였다. 조사지역별로는 Site 3(3,369개체 ) 에서가장많은개체수가확인되었고, 다음으로 Site 4(2,395개체 ), Site 1(2, 366개체 ) 순으로나타났다. 가장적은개체수가확인된지역은 Site 2(1,725 개체 ) 로확인되었다 ( 부록 2). 공군비행장각조사지역에서확인된목별개체수와월별변화에서는나비
목이 8월에증가하였으나뚜렷하게연 2회대량증가하는현상은확인되지않았다. 딱정벌레목은 5월에가장많은개체가확인된이후점차감소하였다. 포획된개체들중가장많은개체가확인된파리목은 6월과 8월그리고 10 월에증가한꼭지점이확인되었다. 기생벌들이가장많이포함되어있는벌목은 8 월에가장많은개체수가확인되었고그이후 11 월까지점차감소하는양상을보였다. 전체곤충류중에서조류가가장선호하는메뚜기목은 4월부터확인되다가 8월에가장많은개체가확인되었으며점차감소하였으며이것은지난 2015 년결과에서도 8 월과 9 월에많이확인되었다 ( 표 9). 표 9. 공군비행장에서 채집된 2016 년 월별, 목별 개체수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 월 11 월 12월 합계 나비목 0 3 2 14 206 268 184 869 269 107 33 2 1, 957 딱정벌레목 0 2 7 71 303 538 274 256 68 22 12 0 1,553 파리목 20 213 27 343 959 1,005 618 930 110 445 17 0 15 4, 855 벌목 0 1 2 114 510 614 412 714 192 50 42 1 2, 652 노린재목 0 0 1 9 13 60 99 324 10 4 26 3 549 잠자리목 0 0 0 0 3 0 5 4 0 0 0 0 12 풀잠자리목 0 0 1 14 1 3 2 1 53 13 5 0 93 메뚜기목 0 0 0 0 1 2 3 30 51 5 2 0 94 사마귀목 0 0 0 0 0 3 0 1 1 2 0 0 7 월별개체수 20 219 40 565 1,996 2,493 1,597 3,129 754 648 290 21 11,772 조사지역에서채집된곤충류는 9목 11,762 점이채집되었으며각분류군에서나비목 1,957 개체, 파리목 4, 855개체, 벌목 2,652개체로확인되었다 ( 표 9). 계절별분류군증가시기는파리목, 벌목은 4월부터, 나비목, 딱정벌레목은 5 월부터개체수가증가하기시작하여 9월 10 월경부터감소하기시작하였다. 조사기간 (2014 2016년) 동안에전체목별개체수는파리목에서가장많이나타났으며, 다음으로벌목, 나비목순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15, 19). 월별개체수는봄부터여름까지상승하지는않았다. 연중개체수증가시기는 6월과 9월에개체수가증가하였으나 2015년곤충개체수의증가시점은 2014, 2015 년과유사하게시작하였으나대량증가시기인 6월과 9월에증가하지않았다 ( 그림 16, 18).
그림 15. 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목별개체수 (2014. 6.-2016. 12.). 그림 16. 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월별개체수 (2014. 6.-2016. 12.). 그림 17. 트랩별포획된곤충개체수 (2014. 6.-2016. 12.). 말레이즈트랩별포획된곤충개체수 (2014. 6.-2016. 12.) 는 Site 3에서 6,300개체이상으로가장많은개체가확인되었다. 다음으로황구지천주변인 Site 1에서 5,900개체이상확인되었다. 활주로와가까운 Site 4 트랩에서는가장적은 4,000개체정도가확인되었다 ( 그림 17 ).
그림 18. 월별포획된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그림 19. 목별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조사기간 (2014 2016년) 동안에각각의트랩별월별동향으로는 1년에 5 6월과 8 9 월에대량발생경향이있다 ( 그림 20). 조사기간 (2014 2016년) 중에서 2015년은모든분류군, 트랩위치등에서모두개체수가감소하였다. 나비목개체수의증가는 5월경에증가양상을보였으나 1년중가장많은개체가출현하는시기는 8월로확인되었다 ( 그림 21). 딱정벌레목은 5 6 월에개체수가증가하여이후점점감소한다 ( 그림 22).
그림 20. 말레이즈트랩별, 월별전체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그림 21. 월별나비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그림 22. 월별딱정벌레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파리목은다른곤충류와비교할때 1년중가장빠른시기에출현하여증가 (3 월 ) 하기시작하여가장늦은 11 월이후에감소하기시작한다 ( 그림 23). 벌목에서는초지에서화분매개용으로활동하는꿀벌등이일부확인되었으며대부분은기생성벌들이대부분이다. 개체수증가는 3월부터증가하기시작하여 9월에감소한다 ( 그림 24)
그림 23. 월별파리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그림 24. 월별벌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노린재목은 7 8월에가장많은개체수가확인되었으며, 대부분식식성종류가확인되었다 ( 그림 25). 메뚜기목은 6월까지는유충으로활동하며, 8 9 월에개체수가증가하였으며, 포획된개체들은종령또는성충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26) 그림 25. 월별노린재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그림 26. 월별메뚜기목곤충개체수동향 (2014. 6.-2016. 12.).
비행기활주로지역의자연환경은대부분초지로구성되어있으며, 인위적공간인활주로이지만비행장주변에형성되어있는하천과농경지등의자연조건을볼때항상습한지역이고초지로구성되어있다. 식물을기주로하는초식성곤충들이계절별로다양한종류가모여들수있는조건을가지고있다. 초식성곤충의비행간섭트랩인말레이즈트랩을이용하여포획한결과 (2014-2016년) 연도별일부차이는있으나대체적으로 5월부터개체수가증가하기시작하여 10 월에감소하는경향을보였으며온도가가장높은 7월과 8월경에전체적으로곤충개체수가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많은분류군이 5월부터개체수가증가하여 10 월에감소하지만분류군별가장많은개체가출현하는시기는서로다르게확인되었으며, 연중 1 2회발생양상을나타냈다. 본조사지역에서출현한곤충류의생태적특성을고려하면, 초지대가우세하여초지대에적응성이높은종들이우점하였고, 경작지등에적응성이높은종들이함께출현하였다. 그리고계절에따라된장잠자리등타지역에서이동해와일시적으로출현하는이동성이강한종들이일부혼재하는특성을가지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3. 조류 가. 기지 내 외부의 조류 2016년조사기간동안기지내 외부전체 7 3종 4,059개체가관찰되었고, 기지내부에서 50 종 976개체, 기지외부에서 64 종 3,083 개체이었다. 상위우점 12 종중개체수비율이가장높은것은큰기러기로전체의 44.9%(1,821 개체 ) 이었고, 다음순으로떼까마귀 (26.8%), 종다리 (23.0%), 흰뺨검둥오리 (16.3%), 참새 (12.7 % ), 집비둘기 (10.9% ), 쇠기러기 (7.9% ), 멧비둘기 (6.6% ), 제비 (3.8% ), 붉은머리오목눈이 (3.7%) 황로 (3.6%), 까치 (3.1%) 등이었다. 이중에서조사기간동안계속관찰된종은흰뺨검둥오리, 참새, 집비둘기, 멧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 까치등 6종이었다. 그외겨울철에는큰기러기, 떼까마귀, 종다리, 흰뺨검둥오리, 쇠기러기가관찰되었고, 여름철에는제비, 황로등이었다. 흰뺨검둥오리는연중지속적으로관찰되었으며겨울철에더많은개체수가기록되었다 ( 그림 27). 그림 27. 기지내 외부상위우점조류의우점도 (%).
나. 월별종및개체수 기지내부에서의종및개체수는겨울철인 12 월에서 2월사이 600 900개체로가장많았고, 가을철인 9 11월사이에는 200 400개체, 그외 3월에서 8 월사이에는 100 개체내외로비슷한수치를보였다. 기지외부에서는전체적으로 11 월에서 1월사이가장많은개체수가관찰되었는데늦은가을철인 11 월 (3,083개체 ) 이가장많은개체수를기록했고, 겨울철인 12월 (2,97 7 개체 ), 1월 (2,833개체 ) 에도대체적으로비슷한개체수를기록했다. 이후 2월 (1,000여개체 ) 에급격하게개체수가감소하여봄철과여름철인 3월에서 8월사이에는 500 개체내외로비슷한개체수가관찰되었고, 가을철인 9 월부터는점차적으로늘어나는경향을보였다. 기지내부종수의경우가장많은 1월 (17 종 ) 및 10 월 (18종), 12월 (17종 ) 과가장적은 2월 (10종) 및 8월 (9종) 을제외하면대체적으로 14 종내외로비슷한종수를나타내었다. 반면에기지외부에서는겨울철새월동기인 1월에 32 종으로가장많은종이기록되었고, 3월과 10 월에는각각 26 종및 27 종, 그외에는 20 여종정도로종수가비슷하였다 ( 그림 28). 이러한경향은 2015 년의결과와도일치한다 ( 그림 29). 기지외부에서는겨울철과여름철의개체수변동폭이큰반면, 기지내부에서종및개체수변동폭이적은것은기지내부의조류퇴치활동, 항공기이착륙등인위적방해요인이작용한것으로사료된다. 그림 28. 기지내 외부조류의월별종및개체수변화.
그림 29. 2015-2016 년기지내 외부조류의월별개체수변화. 다. 계절별우점종 겨울철에는기지내부의경우종다리 (46.1%) 가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떼까마귀 (34.4%), 참새 (9.3%) 순으로나타났으나, 기지외부의경우큰기러기 (27.5%) 가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흰뺨검둥오리 (16.6%), 떼까마귀 (12.4%) 순이었다. 봄철에는기지내부의경우참새 (33.5%) 가가장높았고다음으로알락할미새 (10.2%), 백할미새 (9.1%) 순으로나타났으며, 외부의경우도참새 (25.9%) 가가장높았고다음으로흰뺨검둥오리 (21.5%), 붉은머리오목눈이 (6.9%) 순으로나타났다. 여름은기지내부의경우황로 (46.3%) 가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참새 (19.5%), 까치 (7.4%), 멧비둘기 (4.7%) 순이었으며, 외부의경우는참새 (34.2%) 가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흰뺨검둥오리 (10.9%), 집비둘기 (10.1%), 까치 (6.8%) 순이었다. 가을철은기지내부의경우종다리 (17.4%), 참새 (15.6% ), 제비 (15.1% ), 멧비둘기 (12.0% ) 순으로나타났으며, 외부의경우큰기러기 (46.5%) 가가장높았고다음으로흰뺨검둥오리 (15.3%), 집비둘기 (9.0%), 참새 (8.7%) 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30). 조사기간동안흰뺨검둥오리, 참새, 멧비둘기, 집비둘기, 까치등 5종은기지내부에서우점하는종으로대부분이텃새이었다. 겨울철에는큰기러기, 쇠기러기, 흰뺨검둥오리, 종다리, 떼까마귀등이우점하였고, 여름철에는황로와제비가가장많이관찰되었다. 기지외부의농경지와하천의경우여름에는흰뺨검둥오리, 백로류등물새류의번식지및먹이터의역할을하고있었고, 겨울에는오리류, 까마귀류, 종다리등의서식지로이용되었다.
그림 30. 조류의계절별우점종및개체수비율 (%).
라. 월별조류구성 주요출현조류종및무리로구분종다리, 밭종다리류, 까치, 까마귀류및기타참새목조류, 오리 기러기류, 백로류, 비둘기류, 맹금류, 도요물떼새류등으로나누어변화상을보았다.. 기지내부월별개체수변화를보면전체적으로기타참새목의조류가가장높게나타난가운데특히 2월 (380여개체 ), 3월 (87 0여개체 ) 에는기지외부농경지로부터겨울철새인종다리 ( 참새목에포함????) 등의유입에따라전체개체수가높게나타났다. 또한, 6월에서 9월사이에는여름철새인백로류의개체수가다소증가하였고, 9월에는텃새인비둘기류가기지외부로부터많이유입된것으로나타났다. 10 월에다시종다리, 할미새류가증가하였으며, 12 월에는까마귀류가많이관찰된것으로나타났다. 기지외부의경우도참새목의조류가전체적으로높은개체수를기록한가운데, 11 월에서 1월사이에는오리 기러기류의개체수비율이높았다. 또한, 1월, 9월과 10 월에는비둘기류가많이관찰되었다 ( 그림 31). 기지내부의경우조류퇴치활동의결과로 12 월에서 1월을제외하면대체적으로개체수의비율이낮게나타났다. 그러나기지외부는겨울에서여름에거쳐월별로개체수가감소하였고, 여름에서다시겨울이가까워질수록월별개체수가증가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그림 31. 기지내 외부조류의월별조류상.
마. 기지내 외부조사구역별조류구성 기지 내부 각 소구역의 월별 조류상 변화를 보면 대부분의 소구역은 주요 우점종인 참새목의 조류가 다소 높게 나타났고, 특히 1월에서 2월까지 주로 활주로 주변 초지에서 각각 300여 개체와 800여 개체의 종다리, 할미새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10 월에도 활주로 중앙부 주변 초지에서 140 여 개체 이상이 관찰되었다. 황로 등 백로류는 6월에서 9월 사이 활주로 주변과 건물주변 ( 농 지방향 ) 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 그림 32). 건물주변 ( 농경지 방향 ) 에서 이들 종의 개체수가 높은 이유는 농경지에서 서식하던 조류의 기지 내부로 유입이 원인 일 것으로 사료된다. 기지 외부의 각 소구역 월별 조류상 변화를 보면 주요 우점종인 오리 기 러기류의 경우 1월에는 북쪽 농경지에서 1, 100여개체, 2월에는 동황구지천과 서황구지천 외부에서 각각 220여 개체 및 160여 개체가 관찰되었다. 또한, 11 월과 12월에도 각각 1, 600여 개체 및 1,100여 개체가 관찰됨으로써 하천과 농 경지가 철새의 주요 서식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참새목 조류의 경우는 전체적 으로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주요 종으로는 참새, 붉은머리오목눈이 등인 것으 로 나타났다. 백로류는 5월에서 9월 사이에 관찰되었고 특히 5월에 서쪽 농경 지에서 70여 개체로 다소 많이 관찰되었다. 11 월에는 오리 기러기류의 개체수 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원천리천과 동황구지천 및 서황구지천 주변 에서 각각 60여 개체 및 420여 개체, 200여 개체 그리고 서호천 주변에서도 100여 개체가 관찰되었다. 12월에도 원천리천과 동황구지천 인근에서 각각 60 여 개체 및 400여 개체가 관찰되었다. 원천리천과 동황구지천 및 서황구지천 과, 서호천 주변은 흰뺨검둥오리의 주된 서식지로 연중에도 관찰되지만 특히 겨울철에 많이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쪽 농경지는 기러기류의 주된 취 식지로 11월과 12월에 각각 1,600여 개체 및 1, 100여 개체가 기록되었다 ( 그림 33).
그림 32. 기지내부소구역의월별조류상 (1-6 월 ). A1( 활주로주변남부 ), B1 ( 활주로주변중앙부 ), C1( 활주로주변북부 ), A2( 동황구지천내부 ), B2( 건물주 변농지방향 ), C2( 건물주변도심방향 ), D1( 서황구지천내부 ), D2( 보라매공원 ).
그림 32. 기지내부소구역의월별조류상 (7-12 월 ). A1( 활주로주변남부 ), B1 ( 활주로주변중앙부 ), C1( 활주로주변북부 ), A2( 동황구지천내부 ), B2( 건물주 변농지방향 ), C2( 건물주변도심방향 ), D1( 서황구지천내부 ), D2( 보라매공원 ).
그림 33. 기지외부소구역의월별조류상 (1-6 월 ). a1( 동황구지천외부 ), a2( 원 천리천 ), b1( 서쪽농경지 ), b2( 서황구지천외부 ), b3( 기안교주변 ), c1( 북쪽농경 지 ), c2( 서호천 ).
그림 33. 기지외부소구역의월별조류상 (7-12 월 ). a1( 동황구지천외부 ), a2 ( 원천리천 ), b1( 서쪽농경지 ), b2( 서황구지천외부 ), b3( 기안교주변 ), c1( 북쪽농 경지 ), c2( 서호천 ).
바. 기지내부활주로및건물주변계절별조류상 활주로와건물주변의조류상을보면대체적으로건물주변에비해활주로주변에서더많은조류가관찰되었고, 도심쪽에비해농경지쪽건물주변에서더많은조류가관찰된것으로나타났다. 주요종은참새목의조류가높게나타났으며, 활주로주변에서는겨울과봄에거쳐종다리, 할미새류가많이관찰되었다. 또한, 백로류는여름과가을에거쳐활주로주변과건물주변 ( 농경지방향 ) 에서많이관찰되었고, 가을에는비둘기류가농경지로부터많이유입된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34). 기지내부의조류는주로활주로주변에서건물주변및공원보다더많이관찰되었으며다음으로농경지에서가까운건물주변에서많이관찰되었다. 따라서농경지에서서식하는조류가기지내부로유입된것으로보이며농경지와같은기지외부서식지는기지내부로조류의유입과서식에큰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보라매공원은인공연못과주변야산을중심으로백로류와다양한참새목의조류가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림 34. 활주로및건물주변계절별조류상변화.
사. 조류퇴치관리구역및비관리구역물새류비교 조류퇴치관리구역인황구지천기지내부와비관리구역인기지외부지역의물새류를비교하였다. 그결과, 외부지역에비해내부지역에서조류의감소효과가뚜렷한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35, 36). 황구지천내부 ( 동편, 서편 ) 에서는조류퇴치관리자가고정식음향장치, 로켓형폭음탄 ( 그림 37), 총기등으로직접포획관리하므로외부지역에비해조류감소효과가뚜렷하였다. 외부지역에서특히많이관찰되는조류는오리류의조류가겨울과봄에거쳐많이관찰되었고, 여름과가을에는백로류가특히많이관찰되었다. 황구지천동편에서는항공기이착륙이이루어지는구역으로폭음탄, 총기사용등관리자에의한조류의직접적인퇴치활동이활발하게진행되고있다. 그러나하천의외부지역은내부지역과펜스로차단되어있어조류퇴치활동에대한영향이거의없으며많은물새류가서식하고있어조류퇴치를위한관리를위해서는외부지역의관리가요구된다. 그림 35. 황구지천동편조류퇴치관리구역과비관리구역의계절별물새류 비교.
그림 36. 황구지천서편조류퇴치관리구역과비관리구역의계절별물새류 비교. 그림 37. 고정식음향장치및로켓형폭음탄 ( 이동식음향장치 ).
4. 조류의식이물 DNA 분석가. 분석결과 2016년도조사는총 4종의조류를대상으로식이물분석을수행하였으며, 실험을통해 382개염기서열을확보하였다. 확보된염기서열을대상으로분자적종동정수행을위해공개 DB 상의 DNA 염기서열과유사도를비교하였으며서열유사도 90% 이상인경우만분석에사용하였으며, 최종 57개분류군을확인하였다 ( 표 10). 종별로확인된식이물판별결과는표 11 같다. 큰밭종다리 (Anthus richardi) 의식이물을분석한결과총 19 개분류군의먹이를확인할수있었다. 이중곤충이 14 개분류군, 복조류및미소절지동물, 빈모류 5 개분류군인것으로확인되었다. 곤충류중에서도주로우리벼메뚜기의염기서열양이가장많이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의경우총 26 개분류군이먹이원으로판별되었는데, 곤충및무척추동물이 23 개분류군으로가장많았으며, 관속식물이 2개분류군, 조류 (algae) 1개분류군이확인되었다. 무척추동물은달팽이류, 빈모류등이주를이루었고, 곤충의경우메뚜기류와나방류의염기서열이가장많이확인되었으며그외잠자리류, 먼지벌레류등이주요먹이원인것으로확인되었다. 종다리 (Alauda arvensis) 의경우총 19 개분류군이먹이원으로판별되었는데, 곤충및무척추동물이 14 개분류군으로가장많았으며, 관속식물이 3개분류군, 조류 (algae) 2개분류군이확인되었다. 무척추동물은달팽이류와복족류가대부분이며, 곤충의경우파리류와메뚜기류가주요먹이원인것을확인하였다. 제비 (Hirundo rustica) 의식이물로부터동물 22 개분류군이확인되었는데, 곤충이 17 개분류군, 무척추동물이 3개분류군이고, 관속식물및녹조류가각각 1개분류군확인이되었다. 조류 4종의식이물로부터총 57 개분류군이판별되었으며, 이중동물이 49 개분류군, 식물및조류 (algae) 가 18 개분류군이다. 구성비율은곤충류가가장높았고복족류, 빈모류, 외떡잎식물, 거미류순이다 ( 그림 38). 기타분류군에는윤형동물, 패충류, 소악류, 진정쌍떡잎식물, 녹조류, 홍조류등이포함되었다. 동물의경우메뚜기류, 깔따구류, 파리류, 노린재류, 잠자리류, 물땡땡이류, 지렁이류, 달팽이류가가장많이나타났으며또 4종모두에서공통적으로확인되었다. 식물의경우식물은여뀌, 돌피, 사초과식물이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표 10. 2016 년도조류종별먹이원판별결과 Class 학명국명 Insecta Agonum muelleri 먼지벌레류 o Insecta Anisodactylus signatus 먼지벌레 o o Insecta Berosus signaticollis 점박이물땡땡이 o o o Insecta Chlaenius tomentosus 먼지벌레류 o Insecta Harpalus distinguendus 초록머리먼지벌레 o Insecta Holotrichia diomphalia 참검정풍뎅이 o o Insecta Holotrichia parallela 큰검정풍뎅이 o o Insecta Pogonus iridipennis 먼지벌레류 o Insecta Popillia japonica 콩풍뎅이속 o o Insecta Chironominae sp. 깔따구류 o o o Insecta Curtonotum helvum 파리류 o o Insecta Drosophila truncata 파리류 o o Insecta Lespesia aletiae 기생파리과 o Insecta Lucilia caesar 금파리 o o Insecta Lucilia illustris 연두금파리 o o Insecta Sciaridae sp. 검정날개버섯파리류 o Insecta Simulium nodosum 먹파리류 o o Insecta Tanytarsus kiseogi 기석장부깔따구 o Insecta Pyrrhocoris apterus 노린재류 o o o o Insecta Aleiodes compressor 고치벌류 o Insecta Leptobatopsis appendiculata 맵시벌류 o o Insecta Anorthodes tarda 밤나방류 o Insecta Athetis furvula 띠담색밤나방 o Insecta Calleulypewhitelyi leechi 뒷노랑흰물결자나방 o Insecta Mythimna separata 멸강나방 o o Insecta Sympetrum frequens 고추좀잠자리 o Insecta Brachythemis contaminata 담색잠자리 o Insecta Pantala flavescens 된장잠자리 o o o Insecta Acrida cinerea 방아깨비 o o Insecta Alulatettix yunnanensis 모메뚜기류 o 큰밭종다리 개똥지빠귀 종다리 제비
Class 학명국명 Insecta Atractomorpha lata 섬서구메뚜기 o Insecta Oxya chinensis 우리벼메뚜기 o o Insecta Gryllotalpa orientalis 땅강아지 o Arachnida Roeweria virescens 거미류 o o Arachnida Anahita fauna 너구리거미 o Arachnida Tarsonemidae sp. 먼지응애류 o Eurotatoria Habrotrocha constricta 윤형동물 o G astropoda Systrophia helicycloides 달팽이류 o o o G astropoda Acusta despecta 명주달팽이 o G astropoda Biomphalariacf.pfeifferi 또아리물달팽이류 o G astropoda Patelloida striata 두드럭배말류 o G astropoda Scolodonta sp. 육상달팽이류 o G astropoda Creseis virgula 복족류 o G astropoda Galba pervia 물달팽이류 o Maxillopoda Calanus sinicus 요각류 ( 담수산 ) o o Maxillopoda Canthocalanus pauper 요각류 o Oligochaeta Amynthas agrestis 밭지렁이 o o Oligochaeta Perichaeta carnosa 젖꼭지지렁이 o Ostracoda Eucypris virens 담수산패충류 o Eudicots Polygonum dubia 마디풀속식물 o Eudicots Polygonum hydropiper 여뀌 o M onocots Echinochloa crusgalli 돌피 o o M onocots Carex pruinosa 사초과식물 o o Zygnemophyceae Closterium acerosum 녹조류 o Zygnemophyceae Closterium lunula 녹조류 o Eustigmatophyceae Nannochloropsis sp. 녹조류 o Florideophyceae Colaconema pectinatum 홍조류 o 큰밭종다리 개똥지빠귀 종다리 제비
그림 38. 2016 년조류 4 종의먹이원구성비율 (% ). 당해연도연구에서는동물과식물의 DNA 바코드범용마커를이용하여 4종의조류를대상으로먹이원을판별하는연구를수행하였다. COI 유전자실험에있어포식자인조류의 COI 유전자증폭을방지하고자블로킹프라이머를개발하여분석에이용하였다. 유전자클로닝실험을통해총 382개염기서열을확보하였으며, 이로부터총 57 개분류군의먹이원이확인되었다. 2014년에수행한 1차년도사업결과블로킹프라이머를이용하지않았을때총 1,200 개염기서열을확보했고이중먹이원의 C OI 염기서열은 520개뿐인것으로확인되었다. 2015년연구수행결과블로킹프라이머를이용하여 5종의조류로부터총 560개염기서열을확보하였고이로부터 7 2 개분류군을확인한바있다. 2차년도와 3차년도연구결과를통해블로킹프라이머를이용하였을때먹이원의염기서열확보성공률이높은것을확인할수있었다. 큰밭종다리의먹이원분석결과모두동물성먹이원만확인되었으며, 특히곤충의잠자리류, 메뚜기류의염기서열이가장많은것으로확인되었다. 그외에도파리류, 딱정벌레류, 거미류, 지렁이류등이주요먹이원인것으로나타났다. 큰밭종다리의먹이원으로판별된무척추동물중요각류의경우수서곤충이나달팽이류등을포식하는과정에서함께섭식된것으로판단된다. 개똥지빠귀의경우역시곤충과달팽이류, 지렁이류를주요동물성먹이원으로이용하는것을확인하였는데, 사초속식물 (Carex pruinosa), 돌피 (Echinochloa crusgalli), 그리고녹조류 (Closterium acerosum) 도먹이원판별
결과확인되었다. 녹조류는물속에사는다른먹이원을포식하면서같이섭취된것으로판단된다. 종다리의경우메뚜기류, 나방류, 파리류, 달팽이류등을주요먹이원으로이용하는것을확인하였는데, 식물성먹이원도확인이되었는데돌피 (Echinochloa crusgalli), 여뀌 (Polygonum hydropiper), 마디풀속다른식물 1 종 (Polygonum dubia) 으로, 해부과정에서도식물종자의형태를발견한바있다. 또한홍조류 (Colaconema pectinatum) 및녹조류 (Nannochloropsis sp.) 의염기서열도확인이되었다. 이들조류또한다른먹이를섭취하는과정에서함께섭취되었거나 2차섭식에의한것으로생각된다. 제비의경우먹이원 22 개분류군중녹조류 1종 (Closterium lunula) 과사초속식물 1종 (Carex pruinosa) 을제외하고나머지는모두동물성먹이원인것으로확인되었는데, 다른 3종에비해고치벌류및맵시벌류등벌류의염기서열이더많이확인되었다. 사초속식물과녹조류의섭식과정에대해서는추가확인이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확보된대부분의염기서열이 NCBI 및 BOLD 공개 DB 와비교하였을때 90% 이상의서열유사도를나타내었으나, 일부염기서열의경우 78 90% 의서열유사도값을가지는데이는해당먹이원이포함된동일속 (genus) 이나과 (family) 에있는다른근연종의 COI 염기서열은보고되었으나, 해당종의염기서열이등록되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이를개선하기위해서는향후조사지내자생생물종에대한자체적인 DNA 염기서열정보구축이수반되어져야할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로부터확립된실험 분석기법과유전정보들은향후일반공항이나공군기지를대상으로서식조류의생태연구및먹이원판별시스템을구축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Ⅳ. 조류서식지관리방안 1. 조류의 서식 요인 가. 환경적 요인 수원기지주변북서쪽에서남동쪽까지농경지와하천이둘러싸고, 북동쪽과남동쪽으로는도시와도시외곽이위치한다. 도시로부터는유입되는도시형조류는대부분텃새로기지내부의숲, 초지, 정원, 수로, 하천과기지외부의도심 ( 시설지 ) 을왕래하며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39). 즉기지내부의서식환경은기지외부의도시형조류에게있어완충지대의역할을하고있는것으로생각된다. 특히, 기지외부의농경지와하천은철새의취식과, 휴식을위한서식공간을제공하면서많은조류를유인시키는여건을갖추고있었고, 기지내부로유입되는가교역할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기지내부의조류유입을차단하기위해서는기지외부의관리도함께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그림 39. 기지외부의식생환경.
1) 농경지겨울철에는곡류및잡초의씨앗을먹이원으로하는오리류, 까마귀류, 종다리등많은겨울철새가유입되고있다. 여름철에는곤충과어류및식물을먹이원으로하는백로류와오리류가유입되고, 흰뺨검둥오리등수조류의번식을위한서식공간으로이용되고있다. 1차적으로농경지에유입되어서식하는조류는 2차적으로기지내부로유입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40). 그림 40. 기지외부의농경지. (A) 집비둘기먹이활동, (B) 농경지상공을비 행하는종다리무리, (C) 큰기러기먹이활동, (D) 떼까마귀먹이활동. 2) 하천기지의북부, 서부, 남부와인접한농경지주변은서호천, 황구지천, 원천리천등하천들이형성되어있어많은겨울철새가서식하고있다. 특히, 동편황구지천과원천리천주변에는많은오리류가서식하고있으며항공기이착륙구간과도교차하고있어철저하고시급한관리가요구되는구간으로사료된다. 여름철에는오리류의번식을위한서식공간을제공하고, 민물가마우지와백로류는약 5km밖의서호에서집단번식하는개체군으로이곳하천을찾아
와먹이활동을한다. 또한, 집비둘기는공군기지인근하천의황계교와고색교등의교각에서집단을이루어번식하고있다. 하천내에는다양한수초가서식하고수초를중심으로잉어등어류의산란터가형성되어있으며어류의치어들은민물가마우지와백로류의먹이원이되고있다. 또한, 수초의잎과종자는수조류의은신처및먹이원이되어많은조류가유입되고있다 ( 그림 41). 그림 41. 기지외부의하천. (A) 하천교각에서서식하는집비둘기무리 ( 황계 교 ), (B) 교각에서번식한집비둘기 ( 고색교 ), (C) 하천에서서식하는왜가리와 민물가마우지, (D) 서호천에서번식한흰뺨검둥오리.
나. 초지서식조류 1) 황로 수원기지에서조사된대부분의조류는겨울철새이지만일부텃새및여름철새의경우채집된곤충과의상관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그중에서가장상관성이큰종은백로과의황로이다. 황로는곤충을주식으로하는대표적인조류로써일반적으로 5월에서 10 월사이에관찰되었고 6-8 월사이에활주로주변의초지에서개체수가급증하였는데, 동일한시기에채집된곤충의개체수도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 그림 42). 즉황로의증가는곤충의증가와상관성이있는양의상관관계를나타내었다 (r=0.575, p<0.01) ( 그림 43). 따라서황로의개체수조절을위해서는곤충의개체수조절이필요하며, 이를위해서는곤충의서식지가되는초지의조절이필요하다. 황로의식이물을분석한결과에서도곤충류먹이가높은비율을차지하였다. 총 40 개분류군중곤충이 28 개분류군, 복족류및미소절지동물이 6개분류군, 양서류 2개분류군, 녹조류 2개분류군, 식물 2개분류군으로확인되었다. 특히, 곤충류중에서도주로나방류와파리류가주요먹이원인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44; 표 11). 그림 42. 2015-2016 년곤충채집개체수와따른백로류의개체수변화.
그림 43. 2015-2016 년곤충채집개체수와백로류의개체수상관관계. 그림 44. 황로의식이물구성비율 (2015 년 )
표 11. 황로의식이물분석결과 분류군 염기수 Agonum muelleri 먼지벌레류 2 Anisodactylus signatus 먼지벌레 1 Anorthodes tarda 밤나방과 24 Athetis furvula 띠담색밤나방 4 Atractomorpha lata 섬서구메뚜기 8 Brachythemis contaminata 담색잠자리 1 Calliphoridae sp. 요각류 1 Chironomus tepperi 깔따구과 1 Chlaenius tomentosus 먼지벌레류 1 Citruslimon 레몬 1 Closterium acerosum 녹조류 - Closterium lunula 녹조류 - Drosophila truncata 파리 4 Eucypris virens Eucypris virens 5 Gryllotalpa orientalis 땅강아지 41 Habrotrocha constricta 윤형동물 2 Harpalus distinguendus 초록머리먼지벌레 1 Helicoverpa assulta 담배나방 1 Holotrichia diomphalia 참검정풍뎅이 3 Holotrichia parallela 큰검정풍뎅이 1 Hyla japonica 청개구리 2 Lemna perpusilla 좀개구리밥 61 Leptobatopsis appendiculata 맵시벌류 1 Lespesia aletiae 기생파리과 1 Lucilia caesar 금파리 10 Mimozethes angula 갈고리나방류 1 Mythimna separata 멸강나방 4 Nomophila noctuella 등심무늬들명남방 6 Oncocera semirubella 앞붉은명나방 2 Pantala flavescens 된장잠자리 3 Pelophylax nigromaculatus 참개구리 1 Perichaeta carnosa 젖꼭지지렁이 4 Popillia japonica 콩풍뎅이속 2 Roeweria virescens 거미류 1 Rotaria tardigrada 윤형동물 9 Sepia pharaonis 파라오갑오징어 1 Spirodela polyrhiza 개구리밥 2 Sympetrum frequens 고추좀잠자리 2 Tetrix japonica 모메뚜기 1 Thaumastocera akwa 등에류 1
2) 종다리식물의잎과씨앗등은비둘기류, 꿩, 오리류, 종다리, 참새등식물성먹이를취하는조류를유입하는요인이되기도하지만곤충및조류, 설치류등의먹이가되며, 이들은결국황조롱이, 말똥가리, 백로류등육식성조류와제비, 밭종다리, 할미새류, 물떼새류등과같은식충성조류를유입시키는요인이되기도한다. 종다리는우리나라에서번식하며연중관찰되는텃새집단도있으나, 수원공군기지에서는겨울철과일부이동시기에관찰되었다. 대부분 10 월부터시작하여 4월까지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최대 800 개체 (2 월 ) 이상의무리가관찰되는경우도있었다 ( 그림 45). 종다리의식이물을분석한결과총 19 개분류군이먹이원으로판별되었는데, 곤충및무척추동물이 14 개분류군으로가장많았으며, 관속식물이 3개분류군, 조류 (algae) 2개분류군이확인되었다. 특히, 종다리는겨울철새이지만식물성먹이보다는곤충과같은동물성먹이를많이취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46; 표 12). 종다리가겨울철새임에도불구하고곤충류의먹이가높은비율을차지한것은 10 월과 11 월그리고 2 월에도많은곤충류가지면에서식하고있음을나타내는것으로해석된다. 그림 45. 2015-2016 년종다리의월별개체수변화.
그림 46. 2015-2016 년종다리의식이물구성비율 (%). 표 12. 종다리의 식이물 분석 결과 분류군 염기수 Canthocalanus pauper 요각류 1 Biomphalaria cf. pfeifferi 또아리물달팽이류 1 Patelloida striata 두드럭배말류 2 Scolodonta sp. 육상달팽이류 1 Systrophia helicycloides 달팽이류 1 Creseis virgula 복족류 3 Acrida cinerea 방아깨비 1 Alulatettix yunnanensis 모메뚜기류 1 Atractomorpha lata 섬서구메뚜기 1 Calleulype whitelyi leechi 뒷노랑흰물결자나방 4 Pyrrhocoris apterus 노린재류 10 Lucilia illustris 연두금파리 2 Sciaridae sp. 검정날개버섯파리류 1 Berosus signaticollis 점박이물땡땡이 1 Colaconema pectinatum 홍조류 1 Nannochloropsis 녹조류 2 Echinochloa crusgalli 돌피 1 Polygonum dubia 마디풀속 식물 1 Polygonum hydropiper 여뀌 1
3) 황조롱이황조롱이의경우겨울철및번식기에는주로척추동물인조류, 설치류, 파충류등을먹이로하지만, 곤충이출현하는시기인봄부터가을까지는주로곤충을주식으로한다 ( 강등, 2012b). 2015년에서 2016년까지수원기지조사결과기지내 외부황조롱이의개체수는월평균 4마리정도로다른조류에비해극히적다 ( 부록 4, 5). 그러나황조롱이의독특한비행습성인 정지비행 으로인해항공기조류충돌발생위험성이가장큰조류의한종으로밝혀졌다. 황조롱이는계절에따라먹이원이바뀌는대표적인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다. 황조롱이의먹이가되는곤충이급증하는 5 6 월은황조롱이의이소시기인 5 6월과겹치게되며이시기에이소후황조롱이의유조가기지내부로유입되어곤충사냥등먹이활동을하는것으로밝혀졌다. 그러나가을과겨울철곤충류의먹이가감소하면곤충대신조류, 설치류등을먹이로취한다. 2015 년수원기지주변둥지에설치된센서카메라에촬영된사진총 111매중에서먹이의종류를분석한결과참새목에속하는조류 (63, 56.8%) 의비율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다음순으로쥐과에속하는설치류 (26, 23.4%), 장지뱀과에속하는파충류 (11, 9.9%) 로먹이의대부분을차지하였다. 그외개구리과의양서류와곤충류가약간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3; 그림 47). 봄번식기가끝나면계절이여름으로바뀌면서먹이는곤충류로바뀌었다. 9-10 월조사된황조롱이의식이물분석결과에서도알수있듯이먹이원은총 4개분류군이판별되었는데, 모두곤충류이며멸강나방과우리벼메뚜기의염기서열이가장많이증폭되었다 ( 그림 48). 황조롱이의조류충돌위험성을줄이기위해먹이의서식처관리등이에대한곤충과초지관리등대책이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표 13. 황조롱이의번식기먹이종류 먹이분류군 Site A Site B 합계 % 참새목 (Passeriformes) 34 29 63 56.8 쥐과 (M uridae) 7 19 26 23.4 장지뱀과 (L acertidae) 8 3 11 9.9 개구리과 (Ranidae) - 3 3 2.7 곤충류 (Insecta) - 1 1 0.9 기타 (others) - 7 7 6.3 합 계 49 62 111 100
그림 47. 황조롱이의육추먹이. (A), (B) 에어컨실외기틈새에서번식하는 황조롱이와사냥한먹이 ( 참새목조류 ). 그림 48. 2015 년황조롱이의식이물구성비율 (% ). 다. 초지의먹이원 1) 식이물 DNA 분석결과종합 (2014-2016년) 2014년부터 2016년까지수원공군기지내에서포획된조류 12종 ( 멧비둘기, 집비둘기, 흰뺨검둥오리, 까치, 꿩, 꼬마물떼새, 황로, 황조롱이, 종다리, 큰밭종다리, 개똥지빠귀, 제비 ) 을대상으로먹이원을분석하였다 ( 표?).
그림 49. 2014-2016 년포획조류 12 종의동물성먹이원구성비율 (% ). 동물성 먹이원으로는 곤충류가 81.4% 를 차지하였으며, 무척추동물이 18.4%, 양서류가 0.2%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49). 곤충류 중에서는 멸강나방, 밤나방류 등 나비류가 38.9%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파리류가 20.8%, 우리벼메뚜기 등 메뚜기류가 18.5% 로 나타났으며, 그 외 콩 풍뎅이류, 깔따구류, 땅강아지 등이 주요 먹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그림 50). 그림 50. 2014-2016 년포획조류 12 종의곤충류먹이원구성비율 (% ).
식물성먹이원으로는단자엽류가 59.5%, 쌍자엽류가 40.5% 를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51). 그림 51. 2014-2016 년포획조류 12 종의식물성먹이원구성비율 (% ). 단자엽류중에서는주로좀개구리밥의염기서열이가장많이확인되었으며, 사초류, 돌피등이그다음으로많이확인되었다. 쌍자엽류의경우, 마디풀류의염기서열이가장많이확인되었으며, 여뀌, 제비꽃류가다음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52). 그림 52. 2014-2016 년단자엽류먹이원구성 (A) 과쌍자엽류먹이원구성 (B).
2) 초지와나비목곤충 (2015년말레이즈트랩채집 ) 나비목곤충들은저마다서식지, 먹이식물등의특이성을가지고있는경우가많아출현분류군의구성비특성은그지역의서식처특성을파악하는데있어서기본자료로활용된다. 2015년도의각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 130 종의과 (Family, 科 ) 별다양성을살펴보면, 밤나방과가 61 종 ( 상대적구성비 46.9%) 으로우점군, 포충나방과가 20종 ( 상대적구성비 15.4% ) 으로아우점군으로나타났으며, 그외자나방과 8종, 명나방과 7종순으로순으로상위우점군 (dominance taxa) 을형성했다. 각말레이즈트랩에서확인된 855개체의과 (Family, 科 ) 별상대적점유율을살펴보면, 밤나방과가 461 개체 ( 상대적구성비 53.9%) 으로우점군, 포충나방과가 163개체 ( 상대적구성비 19.1% ) 으로아우점군으로나타나군집구조와차이가없었으나, 종수가 2종인알락나방과가다른과의개체수보다높은 55 개체가확인되어일부과들은특정종의개체밀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53). A. 나비목군집구조 B. 나비목의과별개체수점유율 (%) 그림 53. 2015 년조사지역의말레이즈트랩에포획된나비목군집구조 (A) 및 과별개체수점유율 (B).
라. 하천서식조류 1) 흰뺨검둥오리 하천과배수로에서관찰된조류는오리류, 백로류, 도요류등물새류였다. 수원공군기지하천인황구지천에서는기지내에도흐르는하천으로백로류와오리류가상시출입하는기지내 외부의연결통로가되었다. GPS 부착을통한흰뺨검둥오리의서식범위를확인한결과를보면기지외부의농경지와하천으로부터기지내부의초지, 연못, 하천등수변구역사이에서상시적으로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54). 식이물분석을통한흰뺨검둥오리의먹이를보면대부분이수생동 식물로습지와연관성이큰것으로나타났다. 식이물은총 26 개분류군이먹이원으로판별되었는데, 곤충및무척추동물이 18 개분류군으로가장많았으며, 관속식물이 7개분류군, 조류 (algae) 1개분류군이확인되었다 ( 그림 55; 표 14). 그림 54. GPS 부착을통한흰뺨검둥오리의기지내 외부서식실태 (ID 1503, ' 15. 7. 28 11. 26.). (A) 활주로북부초지주변물웅덩이, (B) 황구지천 ( 서 부 ) (C ) 보라매공원인공연못.
그림 55. 2015 년흰뺨검둥오리의식이물구성비율 (% ). 표 14. 흰뺨검둥오리의 식이물 분석 결과 분류군 염기수 Aleiodes compressor 고치벌류 3 Austropeplea ollula 애기물달팽이 2 Berosus signaticollis 점박이물떙떙이 14 Biomphalaria cf. pfeifferi 복족류 1 Carex pruinosa 사초과 2 Coreopsis wrightii 국화과 2 Curtonotum helvum 파리류 8 Diplazon laetatorius 등에살이뭉툭맵시벌 1 Drosophilidae sp. 파리류 1 Ecnomus sp. 별날도래속 2 Galba pervia 물달팽이과류 4 Heteromeringia fumipennis 파리류 1 Hygrotus impressopunctatus 북쪽물방개 1 Itea chinensis 이테아속 식물 1 Lactobacillus salivarius 균류 1 Lemna perpusilla 좀개구리밥 2 Lipiniella fujiprimus 깔따구과 1 Nola taeniata 흰혹나방 11
Pogonus luridipennis 먼지벌레류 3 Pseudendoclonium akinetum 파래류 6 Simulium nodosum 먹파리과 6 Solanum pennellii 감자속 1 Spirodela polyrhiza 개구리밥 21 Stuckenia pectinata 솔잎가래 4 Systrophia helicycloides 달팽이류 3 Tanytarsus kiseogi 기석장부깔따구 1 Tarsonemidae sp. 먼지응애과 2
2. 서식지관리방안가. 조류의유입차단 수원공군기지주변에서서식하는조류의유인요소를분석한결과계절적요인, 환경적요인, 관리적요인등세가지요소가결합되어져있는것을알수있었다. 그중계절에따른철새의이동은자연의섭리로써인간의힘으로통제가불가능하다. 그러나환경적요인과관리적요인의경우이론적으로는인간의통제가가능하며, 두가지유인요소를제거한다면철새의유인이일부차단될것으로해석이된다 ( 그림 56). 그림 56. 철새의서식지유입과차단. 나. 기지내부서식지관리 1) 초지관리 초지관리의한방법으로나비목곤충의주요먹이식물을제거한다. 나비목곤충들은애벌레및어른벌레가여러조류의주요먹이원으로알려져있으므로중요나비목출현종의먹이식물등의생태적특성분석은수원비행장에도래하는조류에대한관리방안수립에도움이될것으로판단된다. 종다양성및개체밀도에있어우점군인밤나방과와포충나방과의상위 10 종의먹이식물등의생태적특성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밤나방과에서는종명미확정종을제외하고멸강나방, 각시띠담색밤나방, 메밀거세미나방, 물결밤나방, 잔디밤나방, 엉겅퀴밤나방, 노랑줄벼밤나방, 은무늬밤나방, 맵시곱추밤나방, 소루쟁
이밤나방의 10 종이다른밤나방과출현종에비해개체밀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들종의먹이식물을정리한결과, 멸강나방등의대부분우점종들은수변주변이나초지대에생육하는식물을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으며, 이중물결밤나방 소루쟁이밤나방은냉이등의초본류뿐만아니라교목류인뽕나무를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다. 따라서밤나방과상위우점종들의주요서식처는주변교목류보다는활주로주변의초지대가주요유충및성충서식지라할수있다 ( 표 15). 표 15. 밤나방과 상위 우점종 및 주요 먹이식물 종명 주요 먹이식물 출현시기 ( 월 ) 유충성충 * 멸강나방 벼과 식물 ~7 7~11 각시띠담색밤나방 알려져 있지 않음 ~9 6~10 메밀거세미나방 소리쟁이 ~9 6~10 물결밤나방 냉이, 개망초, 뽕나무 등 4, 10 6~10 잔디밤나방 잔디류 ~7 7~10 엉겅퀴밤나방 환삼덩굴 ~7 6~9 노랑줄벼밤나방 부들, 갈대 ~6 7~8 은무늬밤나방 콩과 식물 ~9 7~10 맵시곱추밤나방 왕고들빼기 ~9 7~9 소루쟁이밤나방 소루쟁이, 뽕나무 ~7 6~7 * 2015년 말레이즈 트랩 포획 기준 포충나방과에서는종명미확정종을제외하고벼포충나방, 연물명나방, 이화명나방, 등심무늬들명나방, 들깨잎말이명나방, 몸노랑들명나방, 혹명나방, 애기무늬들명나방, 흰띠명나방, 목화바둑명나방의 10 종이다른포충나방과출현종에비해개체밀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들종의먹이식물을정리한결과, 벼포충나방등의대부분우점종들은수변주변이나초지대에생육하는식물을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으며, 이중등심무늬들명나방 흰띠명나방 목화바둑명나방은호박등의재배작물뿐만아니라뽕나무등의교목류를먹이식물로함께이용하고있고, 몸노랑들명나방은감나무, 상수리나무등의교목류가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다. 따라서포충나방
상위우점종들의주요서식처는활주로주변의초지대라할수있으며, 일부우점종은상수리나무, 감나무등의비행장외곽지역의산림이주요유충및성충서식지라할수있다 ( 표 16). 전체적으로우점군인밤나방과와포충나방과의상위우점종들의주요서식처는활주로주변및외곽지역의초지대로파악되었으며, 제초작업, 적절한방제등이들지역의생육기반환경을제한하는요소를활용하는것을모색할필요성이있다. 표 16. 포충나방과상위우점종및주요먹이식물 종명주요먹이식물 출현시기 ( 월 ) 유충성충 * 벼포충나방벼, 밭벼, 잔디 ~9 9~ 10 연물명나방개연꽃, 왜개연꽃, 수련, 자라풀, 가래 ~8 7~10 이화명나방 벼, 조, 옥수수, 사탕수수, 갈대, 달뿌리풀, 피, 참새피, 솜대, 죽순대, 갓대, 조릿대, 줄등 ~8 6~9 마디풀, 가문비나무, 독일가문비, 종비나등심무늬들명나방 ~7 7~8 무, 콩류들깨잎말이명나방들깨, 참깨 ~9 10~11 감나무, 쪽동백나무, 벚나무, 상수리나몸노랑들명나방 ~ 9 9~ 10 무, 참오동혹명나방벼, 보리, 밭벼, 사탕수수, 조, 무궁화 ~9 9~10 애기무늬들명나방쇠무릎 ~9 10 흰띠명나방 목화바둑명나방 금치, 근대, 사탕무, 호박, 맨드라미, 백합, 뽕나무, 산뽕나무, 옥수수, 조, 토마토 뽕나무, 수박, 호박, 참외, 오이, 수세미오이, 노랑하늘타리, 하늘타리, 무궁화, 목화 ~9 10 ~7 10~11 * 2015 년말레이즈트랩포획기준 원천적으로초지를제거하는것이최상의해결책이라할수있으나현실적으로불가능하다. 그렇기때문에삭초길이조절, 독성이없는선택적살충제살포, 물웅덩이제거로써조류의먹이원을차단하는방법이현실적인대안이될수있다. 현재삭초및살충제살포는실행되고있으나여전히적지않은조류가서식하고있는실정이므로세밀한분석으로초지의관리가더욱강화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2) 하천및배수로하천의수초는물새류의먹이와은신처역할을할뿐만아니라수서곤충과어류의서식공간도제공한다. 또한, 이들은다시백로류와같은육식성및식충성조류의서식공간을제공한다. 하천및배수로는복개가현실적인방법이다. 그러나임시적으로그물을설치하여조류유입을차단할수도있으며, 하천바닥의흙을제거하고수초의발생억제를위한정비로조류는물론조류의먹이원을차단하는것이효과적인방법이다. 또한인공연못은가능한제거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사료된다. 또한, 하천주변의덤불숲주변은조류뿐만아니라소형포유류의은신처역할을하며, 너구리, 고라니가기지내 외부를왕래하므로하천과배수로에대한관리가요구된다. 3) 정원및야산건물등시설물의경우둥지를포함한까치, 참새등이번식할수있는공간을제거해야한다. 유실수및관목, 잡초등은조류및식물, 곤충등의먹이원및은신처가되므로제거하거나유실수는무실수로교체하여조류의서식공간을제거하는것이가장효과적인방법이다. 또한교목은까치가번식할조건이되기때문에제거하는것이좋다. 다. 기지외부서식지관리 1) 농경지 공군기지외부는조류퇴치활동으로발생할수있는소음등지역주민에게불편을초래할수있으므로농지의소유주및지역주민, 관계기관과적절하고충분한협의와논의가우선적으로요구된다. 그후조류의유입을차단하기위한대안으로농경지에서유실되는낟알과볏짚등을최대한줄이는것이필요하다. 농지를전체적으로불을피워먹이원을차단하는방법도고려해볼수있으나농지의소유주및관계기관의도움이요구된다. 2) 하천하천의경우도기지외부에위치한경우지역주민및관계기관과의협의가우선적으로요구된다. 부대내부의하천관리와마찬가지로복개가검토되어야하며임시적으로는그물설치와조류퇴치를위한폭음및물체의움직임을이용한자동식조류퇴치기설치등을고려해볼수있다. 하천의바닥은흙을제거하고, 수초의발생차단을위한정비사업이요구된다.
Ⅴ. 종합고찰 수원공군기지는수원도심 (U rban area) 과도시외곽 (suburban area) 지역의중심에위치하고있다. 기지외부의환경은서쪽과북쪽은농경지가인접하고있고, 기지의북서부, 남부와인접한농경지주변은서호천, 황구지천, 원천리천등하천들이형성되어있어많은겨울철새가서식하고있으며, 여름철에도일부조류가번식하고있다. 기지내부는활주로주변에조성된초지가조류의유입에가장큰환경요인으로작용하고있고, 그밖에건물주변으로조성된정원, 인공연못, 가로수와하천및야산도조류의유입에적지않은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수원기지에서조사된대부분의조류는겨울철새이지만일부텃새및여름철새의경우채집된곤충과의밀접한상관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그중에서가장상관성이큰종은백로과인황로이다. 황로는곤충을주식으로하는대표적인조류로써일반적으로 5월에서 10 월사이에관찰되었고 6-8 월사이에활주로주변의초지에서개체수가급증하였는데, 동일한시기에채집된곤충의개체수도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황로의개체수조절을위해서는곤충의개체수조절이필요하며, 곤충의개체수조절을위해서는곤충의서식지가되는초지의조절이필요한것으로판단된다. 공군항공안전단 (2016) 에따르면전국에서항공기조류충돌조류를분석한결과황조롱이의충돌건수가가장많은것으로확인되었다. 수원공군기지주변의조류조사결과황조롱이는 2015-2016년조사에서평균 4개체, 최대 12 개체 ( 부록 4) 정도로다른조류에비해개체수가매우적은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사냥을할때공중에서제자리비행하는일명 정지비행 의형태, 또는천천히비행하는 활공 과같은형태로비행을하는비행습성으로인해적은개체수로도항공기의운항에큰위협이되고있다. 황조롱이의먹이가되는메뚜기목, 딱정벌레목등의곤충이급증하는 6월은황조롱이의이소시기인 5-6 월과겹치게되며이시기에황조롱이의유조가기지내부로상당수가유입되어곤충사냥등먹이활동을하는것으로밝혀졌다. 황조롱이의경우 Kang et al. (2015) 에따르면관찰을통해행동권을분석한결과번식기에황조롱이는최대 2.63 km2의행동권을소유하며실제적으로는그이상의행동권도가능할것으로추정된다. 수원기지주변에서발견된황조롱이번식둥지는직선거리로 0.8 1.2 km, 가장먼곳은 3.2 km밖에위치하고있었으나모두기지내부까지이동하여먹이활동을하는것이관찰을통해확인되었다. 황조롱이
는월동기부터번식기에는주로척추동물인조류, 설치류, 파충류를주먹이원으로하지만번식기가끝나고유조가이소하는시기부터는주로곤충을먹이로한다 ( 강등, 2012a,b). 2014년부터 2016년까지수원공군기지내에서포획된조류 12종 ( 멧비둘기, 집비둘기, 흰뺨검둥오리, 까치, 꿩, 꼬마물떼새, 황로, 황조롱이, 종다리, 큰밭종다리, 개똥지빠귀, 제비 ) 을대상으로먹이원을찾기위해식이물의 DNA 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동물성먹이원으로는곤충류가 81.4% 를차지하였으며, 무척추동물이 18.4%, 양서류가 0.2% 를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곤충류중에서는멸강나방, 밤나방류등나비류가 38.9% 로가장큰비중을차지하였고, 파리류, 메뚜기류, 콩풍뎅이류, 깔따구류, 땅강아지등이주요먹이원인것으로확인되었다. 식물성먹이원으로는단자엽류가 59.5%, 쌍자엽류가 40.5% 를단자엽류의비율이높게나타났다. 식물의잎과씨앗등은비둘기류, 꿩, 오리류, 종다리, 참새등식물성먹이를취하는조류를유입하는요인이되기도하지만곤충및조류, 설치류등의먹이가되며, 이들은결국황조롱이, 말똥가리, 백로류등육식성조류와제비, 밭종다리, 할미새류, 물떼새류등과같은충식성조류를유입시키는요인이되기도한다. 따라서활주로주변의초지와습지의철저한관리가요구된다. 하계곤충현지조사결과에있어서조류의주요먹이원은잠자리목, 노린재목그리고곤충의크기, 생태등을고려하면, 메뚜기목, 나비목등이이시기에조류의주요먹이원으로파악되었다. 조사지역에서출현한잠자리목종들은된장잠자리등의생태적특성으로보아조사지역의하천이나습지에서전체발생하였다고할수없으므로이들의자연이입시기도조류충돌예방대책수립에있어서함께고려할사항으로판단된다. 또한주요조류먹이원으로알려진메뚜기류들은활주로주변초지대에서개체밀도가높게나타나조류충돌예방대책수립에있어핵심지역으로나타났으므로이들의어른벌레출현시기를고려하여시설물내초지대의관리방법인제초작업, 화학적방제작업등을고려할수있다. 나비목곤충들은애벌레및어른벌레가여러조류의주요먹이원으로알려져있으므로중요나비목출현종의먹이식물등생태적특성분석은수원비행장에도래하는조류에대한관리방안수립에도움이될것으로판단된다. 종다양성및개체밀도에있어우점군인밤나방과와포충나방과의상위 10 종의먹이식물등의생태적특성을파악할필요가있는데, 부분우점종들은수변주변이나초지대에생육하는식물을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으며, 이중물결밤나방 소루쟁이밤나방은냉이등의초본류뿐만아니라
교목류인뽕나무를먹이식물로이용하는것으로파악되었다. 밤나방과와포충나방과의상위우점종들의주요서식처는대부분주변교목류보다는활주로주변의초지대가주요유충및성충서식지인것으로파악되었다. 활주로주변의초지관리는공항마다관리의방법이나기법이다양하며, 국내공항의경우에는풀길이를평균 5-15cm 정도해외공항들에비해비교적짧게유지하고있다 ( 한국공항공사, 2014). 수원공군비행장은 15cm 이하로관리하고있다. 초지관리역시주요우점식물들의개화기를고려하여개화이전에삭초작업을함으로써곤충의서식을보다제한하는것이효과적일것이다. 일반적으로짧은풀을선호하는조류는황조롱이, 황로, 중백로, 제비, 종다리등으로알려져있으며 ( 한국공항공사, 2014), 이들에대한보다구체적인제어방안을수립하는것이합리적일것이다. 삭초후부산물은반드시초지에남지않도록멀리떨어진장소에서처리가요구된다. 부산물이초지위에서부식할경우딱정벌레목, 파리목, 지렁이등과같은조류먹이원의발생환경이갖추어지고이를먹이로하는종다리, 황로, 황조롱이등의충식성조류를유인하는요인으로작용할수도있다. 수원공군기지내 외부의조류를원천적으로차단하기위해서는앞서언급한기지내의초지와기지외부의농경지및하천등세가지의환경요소를제거하는것이필요하나현실적으로는불가능하다. 그대안으로요구되는것이서식지관리이며미국, 일본, 유럽등많은선진국의공항에서는조류의유입차단을위한서식지관리로써초지, 하천관리등이주로이루어지고있다. 초지관리로써대표적인방법은삭초길이조절, 독성이없는선택적살충제살포, 물웅덩이제거등이있다. 또한, 가로수의관리로써유실수, 교목등을제거하는것도조류의유입을차단하는대표적인방법이다 (Ministerie van Verkeer en Waterstaat, 1999). 현재기지내부에서는조류퇴치활동의일환으로삭초및살충제살포가실시되고있으나여전히곤충과식물의종자가많이발생하고있어조류를유인하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또한초지저지대의경우물웅덩이가형성되어있고, 하천, 배수로및인공연못등은흰뺨검둥오리, 도요류등물새를유인하는요소로작용하고있어철저한관리가요구된다. 하천과배수로는그물설치및바닥을정비하여조류의유입을차단하고, 연못은가능한제거하는것이바람직하다. 현재항공기이착륙구간에서주로실시되는퇴치활동으로로켓형폭음탄등공포탄사용은조류의차단에상당한효과가있는것으로판단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