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EC0B1C7FCBFF82E687770>

Similar documents
<BFACBCBCC0C7BBE7C7D E687770>

11¹Ú´ö±Ô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속표지(도큐)

untitled

12Á¶±ÔÈŁ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중등독해1-1단원(8~35)학

장양수

Stage 2 First Phonic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Preflight (2)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服飾

歯kjmh2004v13n1.PDF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아태연구(송석원) hwp

본문01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 2 -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49-9분동안 표지 3.3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2 소식나누기 대구시 경북도 영남대의료원 다문화가족 건강 위해 손 맞잡다 다문화가정 행복지킴이 치료비 지원 업무협약 개인당 200만원 한도 지원 대구서구센터-서부소방서 여성의용소방대, 업무협약 대구서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난 4월 2일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적응 지원을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1_2•• pdf(••••).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03220C7D1C5C2B9AE2E687770>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01_60p_서천민속지_1장_최종_출력ff.indd

03신경숙내지작업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Output file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DBPIA-NURIMEDIA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Ȳ¿ë¼®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서론 34 2

04_이근원_21~27.hwp

hwp

(2005) ,,.,..,,..,.,,,,,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2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about_by5

p 19; pp 32 37; 2013 p ㆍ 新 興 寺 大 光 殿 大 光 殿 壁 畵 考 察 ; : 2006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¹Ìµå¹Ì3Â÷Àμâ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2011´ëÇпø2µµ 24p_0628

IKC43_06.hwp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pdf 16..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12¾ÈÇö°æ 1-155T304®¶ó

(JH)

<BABBB9AE2E687770>

07_Àü¼ºÅÂ_0922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44-3대지.08류주현c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현대영화연구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02. 특2 원혜욱 지니 3.hwp


WIDIN - Toolholding Catalogue.pdf

I&IRC5 TG_08권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서론

<313220BCD5BFB5B9CCC1B6BFF8C0CF2E687770>

전용]

도큐-표지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편 5. 오비맥주 카스 카스 후레쉬 테이블 맥주는 천연식품이다 편 처음 스타일 그대로, 부탁 케어~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지속적인 모발 관리로 끝까지 스타일이 유지되도록 독보적이다! 근데 그거 아세요? 맥주도 인공첨가물이

hwp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Transcription:

1)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고고학증거를중심으로 * 윤형원 ** Ⅰ. 머리말 Ⅱ. 흉노의발견과몽골고고학 Ⅲ. 초원과흉노인의생존 1. 흉노인 2. 음식 (1) 남아있는음식물 (2) 그릇으로본식생활 3. 복식 (1) 사람 - 머리부터발끝까지 (2) 무기와휴대품 (3) 마차와말장식 4. 거주 (1) 삶의터전 : 주거지와성터 (2) 사후의안식처 : 무덤 Ⅳ. 맺음말 Ⅰ. 머리말 대한민국국립중앙박물관과몽골국립역사박물관ㆍ몽골과학아카데미고고학연구소는 1997년부터몽골에서고고학적조사를실시한이래, 2000년부터는흉노 ( 匈奴 ) 에관심을두고투브아이막모린톨고이와아르항가이아이막호드긴톨고이에이어동몽골헨티아이막도르릭나르스흉노고분군에대한발굴조사를진행하여괄목할만한성과를거두고있다. 1) 흉노匈奴는훈누 (Hunnu) 의중국식음차로이들은기원전 3세기후반에중앙아시아초원에서처음으로유목민들을통합하고대제국을건설하여중국의진ㆍ한을위협했으며, 기원후 2세기에초원의흉노가흩어지고북흉노의일부가서진하였다. 200여년이흐르고기원후 375년경에발라미르의지휘하에돈강주변을석권하고동유럽으로침입했으며, 5세기중엽에는아틸라의지도아래판도니아평원을근거지로유럽의 * 이논문은 2010년도정부재원 ( 교육과학기술부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 ) 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NRF-2010-A-00031). ** 국립대구박물관 1) 윤형원, 한- 몽공동학술조사 10년,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18-20. 윤형원외, 몽골유적조사 5년-특별전도록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2). - 29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대부분을휩쓸었던 훈 으로나타난다. 판도니아평원은지금의헝가리이다. 2) 흉노의이동이세계사의판도에미치는파장은엄청난것이었다. 흉노 에대한기록은중국의사료나서양의전쟁으로인한접촉과관련된기록에일부나타나있을뿐이며기록이남아있지않은지역에서도흉노의흔적이발견되고있으나그실체를찾는길은고고학조사를동원하는방법뿐이다. 따라서러시아 헝가리 프랑스 미국 벨기에 한국 일본등동서양여러나라에서흉노의중심지역이었던몽골지역에조사단을파견하여고고학조사를진행하고있다. 3) 최근중국의동북공정이활발하게진행되어그대응책으로써많은연구가진행되고있지만하나의대안으로중국북쪽의몽골 ( 외몽골및내몽골 ), 남쪽의베트남, 서쪽의티베트, 서북쪽의신장위구르와중앙아시아여러민족들의역사적 문화적동질성을공고히하는작업이매우중요하다고할수있다. 몽골의역사에있어서도위대한칭기즈칸의제국뿐만아니라초원유목문화의중심지로써스키타이와흉노로부터돌궐, 선비, 위구르, 거란의문화양상을차례로밝힘으로써초원문화를일관하고인류역사를이끌어온수레바퀴의한축이자동서양의경계를넘어중앙유라시아를무대로활동했던유목민들의큰흐름을이해할수있을것이다. 자국의문화를자국의학자들이스스로연구할수있도록토양을만들고지원할때, 커다란역사문화공동체를만들어낼수있으며, 이러한작업은동쪽에위치한한국문화의정체성과동질성을선명히하는데크게도움이될것이다. 따라서필자는본고에서기왕에진전된몽골의흉노무덤연구의연장선상에서, 고고학적유물의단편을통해흉노인의생활을살펴보고광활한초원에서생존했던흉노의모습을그려보고자한다. Ⅱ. 흉노의발견과몽골고고학 4) 몽골에서흉노의발견은 20세기전반으로거슬러올라간다. 1912년, 금광채굴작업을했던발로드는노용올에서탐사를하다가깊은구덩이를팠는데그것은무덤이었다. 그는금은청동으로만들어진유물을발견하였고, 소련과학아카데미에서는 2) 르네그루쎄, 유라시아유목제국사 (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역, 사계절, 1998), pp.62-81. 고마츠히사오 ( 小松久男 ) 편, 중앙유라시아의역사 ( 이평래역, 소나무, 2005), pp.54-59. 사와다이사오 ( 澤田勳 ), 흉노 ( 김숙경역, 아이필드, 2007). 林幹, 匈奴通史 ( 人民出版社, 1986). 3) 체벤도르지, 몽골고고학연구, 고고학지 8 ( 이평래역, 한국고고미술연구소편, 1997), pp.133-170. 4) 체벤도르지, 흉노유적발굴조사개요,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30-37. - 30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1924년에코즐로프의티베트- 몽골조사단을파견하여발굴조사하였다. 이후테포우호프와보로브카등전문적인고고학자들이다시조사하여무덤도면을만들었으며, 1927년에몽골기록연구소의시무코프가대형무덤을발굴조사하였다. 노용올발굴은 20세기에이루어진세계적인고고학적성과였으며 1960년대까지중앙아시아연구자들에게큰관심을끌었으며연구보고서가러시아 ( 구소련 ) 의루덴코와일본의우메하라에의해각각책으로출판되었다. 5) 1955년에몽골의고고학자인도르지수렌은노용올에대한추가조사를진행하였다. 그는 1956년에는골모드유적을발견하고 57년까지소형무덤을발굴하였으며, 그해 1호대형무덤발굴을시작하였지만 14m깊이에서벽이무너져내려중단되었다. 그는 1960년에는타힐팅홋거르유적을발견하고소형무덤을발굴하였으며 1961 1963년에몽골- 헝가리공동조사에참여한후에고고학을그만두고말았으나 북흉노 라는책에서흉노문화를종합적으로저술하였다. 1960년대에몽골- 헝가리고고학자들은고고학발굴의계기를마련하였다. 그들은벨르힝암 노용올 나이마톨고이 돌라가올등에서조사하였고, 몽골- 소련조사단은텝씨올 설비올 에쯔기팅호찌르 호드긴톨고이 모린톨고이 찬드만올을비롯하여몽골전역에서발굴하였다. 몽골과학아카데미역사연구소의고르방골조사단은돌르가올유적을 1968년에발견하고그이듬해에발굴조사하였다. 또한페를레와그리신은투무르테이올에서, 나왕은 1977년에살히트와 1982년에알탄볼락에서발굴조사하였다. 이후, 체벤도르지는텝씨올무덤에수레를파괴하여피장자와같이매장한관습을후대몽골인들의매장법과관련시켜흉노와몽골은유사한점이있다고판단하였다. 이시기에많은유적이새로이발견되었고수십기의무덤에대한발굴조사가이루어졌으나체벤도르지가몽골- 소련조사단에서직접발굴한 16기의무덤자료를발표한것이외에는대부분보고서작업이이루어지지않고있다. 몽골역사연구소는 1986년부터체벤도르지의 < 흉노유적조사단 > 과 1987년부터나왕의 < 홉드지역조사단 > 을구성하고발굴을시작하였다. 흉노조사단은 1986년에히르기스트홀로이 언톨르트, 1987년에호드긴톨고이 설비올 나이마톨고이, 1988년에돌르가올 자라톨고이, 1989년에바가가쯔링촐로 모린톨고이 타르박타이 후씬후툴르, 1990년에바론하이르한에서발굴하였다. 홉드조사단은 1987년부터 1990년까지타힐팅홋고르와타르박타인암등에서발굴하였다. 1990년에는주로에깅강유역을중심으로발굴이이루어졌다. 5) С.И.Руденко, Культура жунну и Ноин-улинские курганы(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62) 梅原末治編, 蒙古ノイン ウラ發見の遺物 ( 東洋文庫, 1960). - 31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1991년부터 < 셀렝게지역조사단 > 이지표및발굴조사를실시하였으며보르한톨고이를발굴하였다. 이후연구에서체벤도르지는 흉노의활 을연구하고, 바트사이한과함께흉노토기제작기술과용도를분류하기도하였다. 1990년에몽골은외국과의공동조사를확대해나간다. 몽골- 일본조사단은 < 고르방골프로젝트 > 를진행했고, 1994년몽골 -프랑스, 몽골- 미국조사단에의해에긴강유역에서본격적으로발굴이이루어졌다. 몽골- 프랑스는 1994~1999년에보르한톨고이 헐터스트녹가에서발굴하고, 2000년부터는골모드에서지속적으로발굴하고있다. 6) 몽골- 미국조사단의경우주로지표조사를실시하나 1994년에보르한톨고이 훈해링암 하난하드 도르알르 후흐하드에서발굴하였다. 2000년에들어한국, 벨기에, 미국, 러시아등이흉노무덤을조사하기시작했다. 즉, 몽골- 한국 < 몽-솔 (Mon-Sol) 프로젝트 > 조사단은 2000년모린톨고이, 2001년호드긴톨고이에서발굴하고, 2006년부터는지속적으로도르릭나르스에서발굴하고있다. 7) 몽골- 벨기에는 2001년에오브근트에서, 몽골- 미국의 < 한오이유역프로젝트 > 조사단은 2001년에골모드Ⅱ 유적을발견하고 2002~2003년에최대형무덤인 1호와배장묘 6 기를발굴하였다. 몽골- 러시아조사단은노용올에서 2006년에 20호를발굴하고 2009 년에는 31호대형무덤을발굴하였다. 이외에도몽골국립대고고인류학과와국립사범대역사학과도설비올, 에멜르톨고이, 타미링올란호쇼, 엔게링보쯔등에서발굴하였다. 최근에출판된바트사이한의 흉노 나투르바트의 흉노일반인의무덤 등은주목할만한연구성과이다. 몽골- 한국조사단은 2007년에 초원의대제국흉노심포지엄 을개최한이후에 2008년에는몽골에서 흉노 ( 훈누 ) 심포지엄 을개최하여흉노연구의붐을일으켰다. 이윽고, 2008 년말에몽골- 한국조사단은지난 77년간의몽골흉노고고학의자료를집대성한 몽골흉노무덤자료집성 을출판한다. 8) 아울러, 2008년 10월에는세계각국의흉노연구자들이울란바토르에서모여 흉노고고학 은대상과지역이너무나광범위하여 6) 데러쉬, 프랑스고고학대몽골조사단 (MAFM) 프랑스 -몽골 15년협력에대하여, 초원의대제국 흉노 -학술심포지엄 (2007), pp.178-184. 7) 윤형원외, 몽골모린톨고이흉노무덤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1). 윤형원외, 몽골유적조사 5년- 특별전도록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2). 윤형원외,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3). 윤형원외, 몽골학술조사성과 (2002-2004)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4). 장은정ㆍ황보창서외, 몽골도르릭나르스흉노무덤발굴조사보고, 초원의대제국 흉노 (2007), pp.204-210. 알다르뭉흐, 도르릭나르스유적흉노무덤발굴조사,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148-154. 8) 국립중앙박물관편, 몽골흉노무덤자료집성 (2008). - 32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개별연구자나단일국가가진행하기어려움을공감하고세계적인네트워크를형성하고공동연구를진행할필요성을강조하였다. 9) Ⅲ. 초원과흉노인의생존 1. 흉노인 10) 초원의거대한흉노문화를남겼던흉노사람들은어떤사람들이었을까? 하는의문의실마리를찾기위해서는노용올 25호에서출토된모직물의형상에나타난두사람의얼굴을살펴볼필요가있다. 큰눈과넓게퍼진코그리고긴콧수염이인상적이다. 그러나이사람들이무덤의주인공인지당시에어떤지위에있었던사람인지는알수없다. 고고학자료에서는직접적으로흉노인과접할수있는데그것은바로출토인골을통해서이다. 대부분의흉노무덤내부에는피장자또는순장자의인골이있는데, 대형분의경우목곽 목관이함몰되며뒤엉켜있고, 동물뼈와인골이섞여있는경우도허다하다. 그것은도굴되어피장자의위치가이동되었을가능성이높은데, 당대에도굴된무덤들도많다. 또는타르바가나들쥐와같이지하를파고들어가서사는동물들때문에무덤내부가훼손되기도하며두개골이발견되지않는등신체일부가심하게파괴되기도한다. 발굴된인골이라하더라도정확한출토위치에대한정보가남아있지않고, 인골분석도전문적으로이루어지지않았기때문에피장자의성별연령, 질병, 추가장이나순장문제등을살펴보기에는어려운점이많다. 그러나, 최근에이루어지는발굴에서는인골분석의필요성을절감하고형질인류학자와함께연구를진행하는추세이다. 구체적으로출토인골자료를살펴보면다음과같다. 자료는조사단이발표한기록을따르기로한다. 골모드 MF-32호에서는몽골로이드로 160cm키에 25세의여성, MF-33호에서는 168cm의남성으로, MF-43호에서는 20-25세의젊은이로추정하였다. 나이마톨고이 1호에서는성인남녀와유아 2구가동시에매장되었고, 2호에서는상하층사이에백화수피를깔아분리시켰는데하층에성인남성과 7-8세의유아가묻혔다. 3호에서는성인남녀, 12호에서는노인여성이발견되었다. 보르한톨고이 84-4호에서는 1세가량의유아가발견되었고 33호에서는 40~45세남성, 같은묘광의북벽안에서 30~40세의여성인골이발견되었으며, 27호에서나이많은남성이발견되었다. 훈헤린암 1호에서 50~60세남성이발견되었고히르기스트홀로이 1호에서 40세가량의남 9) 게르만의본 (Bonn) 대학에서관련자료를 2010년중으로출판할계획에있다. 10) 오치르, 흉노인과몽골인, 초원의대제국 흉노 ( 서울, 2007), pp.32-34. - 33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자가매납되었으며 2호에서는시신의상하체가분리된상태로출토되었다. 4호에서는인골이목관내부가아닌부장공간에있어도굴에의한것으로추정하였고, 노용올 24호에서도여성인골이목관밖에서출토된바있다. 타르박타이 1호에서 7세어린이, 2호에서 60세가량의남성이발견되었다. 텝시올 72-8호에서젊은여성이, 72-16 호에서는 60~70세의노인남성이안치되었다. 후씬후툴 89-1호인골은하악골에치아가없어노인으로추정하였다. 모린톨고이 89-1호에서 50세남성, 89-3호에서는몽골로이드계노인여성, 89-4호에서도노인으로추정되었고 2000-1호에서는 2번의출산경험이있는 30세전후의여성으로추정되었다. 호드긴톨고이 2001-1호에서는 174cm의 30~35세남성이유럽인의특징을지니고있는데관자놀이에천공되어있어뇌수술을받았을가능성이있으며, 우측상완골이만곡되어있어팔이부러졌던것으로보인다. 2호는 167cm의 15세남성이다. 3호는 155cm의 35~40세의여성으로치아마모가심하다. 4호는 7~8세의어린이로영양부족으로사망했을것으로추정하였다. 11) 타힐팅홋거르 2007-64호에서는주피장자가몽골로이드계통의 159-167cm의 35~40세의여성으로알려졌는데 1번의출산경험이있고힘든노동은전혀하지않았던것으로추정하였다. 1호배장묘에서 150~158cm의 10~14세가량의성별을알수없는인골이, 2호배장묘에서는 149~157cm의 12~18세가량의여성이발견되었다. 82-1호배장묘에 34~40세, 2호에서 40~45세남성, 25-1호배장묘에서 6~10세의어린이, 2호에서 30~35세, 3호에서 40~45세의남성이출토되었다. 섣부른결론을내리기는어려우나나타난자료로볼때, 키는여성 150~167cm, 남성 167~174cm에속해있다. 사망연령은여성은 30대, 남성은 30~40대가많고 10 대도다수있다. 남성의골절상은전투나기마와관련시켜볼수있으며, 60대이상의고령인골은드물다. 대형분의경우귀족신분으로생산노동에관여하지않았을가능성이크며, 7~8세의어린이무덤은부모의지위와관련있을것으로생각된다. 목관외부의인골은순장의가능성을시사하며배장묘에묻힌사람들은주피장자와밀접한관련이있다. 아울러, 가족장이나부부합장의경우도나타난다. 두개골천공의경우치료목적이거나신앙과풍습에관련된것일수있으며, 어린이가영양실조로죽은사례는동절기의기후조건등으로식량조달이어렵거나매우열악한환경에처했던것으로보인다. 치아마모가심한것은육식성식생활과관련있을것이다. 한가지주목할점은몽골로이드와유럽형인종이같은무덤군내에매납되어있는점이다. 이는중국사료에나타나는 흉노족 의개념에서벗어나흉노의인적구성은다인종ㆍ다민족ㆍ다문화가진행되어있다는점을고려해야한다. 앞으로 11) 나란,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출토고인골자료분석,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3), pp.105-118. - 34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출토인골에대한정확한분석자료가축적되면다양한해석이가능할것으로생각된다. 12) 2. 음식 (1) 남아있는음식물유목민들의주식은육식으로양, 염소, 소, 말등의고기와유제품을식량으로이용한다. 동물뼈는흉노무덤에서엄청나게출토되는데장송의례와관련된희생물이많다. 노용올 20호에서 30여마리의말머리가출토되었고,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말과양, 염소등 20여마리의머리와다리가가지런히놓여있었다. 모린톨고이 2000-1호분에는소머리가있었으며, 상층에서온전한개 1마리가출토되었다. 골모드 Ⅱ-1호의배장묘 3호에는많은복사뼈가부장되었는데음식으로보기어렵다. 때로는호드긴톨고이 1호목관상부에서처럼사슴뿔을올려놓기도한다. 그러나, 확실한음식물로볼수있는것은피장자를위한제사음식이다. 도르릭나르스 4호동복내부에소의등뼈등을담아입구를비단으로덮었고, 잠인톨고이 1호에서양뼈와함께토끼뼈가발견되었다. 호드긴톨고이 2001-3호에는양갈비를피장자옆에놓아두었다. 유목민들은육류를주식으로했지만곡물을섭취하고다양한음식을음용하였을것으로생각된다. 용기에담겨져있던음식물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대옹은저장을위한용기로골모드 20호, 노용올 1호, 도르릭나르스 2호등대형무덤에서주로발견되고있는데, 여기에서는곡물이출토되기도하여곡물자체를저장했거나곡물을이용해발효시킨술또는액체를저장했던것으로보인다. 특히노용올 1호나도르릭나르스 2호 ( 목제쐐기도발견됨 ) 의대옹은동체하부에구멍이 1개뚫려있어현대의쌀통같이조금씩내용물을빼내는기능을했던것으로보인다. 다르한 2호 4 호의목관내에서곡물이출토되었고, 텝시올 72-20호에서붉은바탕에검은색문양이들어있는타원형칠기배안에곡물이있었으며, 히르기스트홀로이 5호동복안에는양의다리뼈와곡물ㆍ야채등이들어있었다. 버러주거유적에서는곡물보관용창고도발견된바있다. (2) 그릇으로본식생활유목민들의조리기구는실내에서사용할수는있지만대개는야전생활에적합한것들이다. 부엌을나타내는유일한유물은보르한톨고이 40호에서출토된한대명기와같은형태로토제부뚜막모형이다. 음식물조리를위해솥 ( 동복 ) 은식생활에서중요한도구이다. 노용올 6호, 보르한톨고이 73호, 타힐팅홋거르 1호, 도르릭나르스 4호에서 12) B. Naran, Pathological cases of the Hunnu period in Mongolia, Mongol-Korean Academic Symposium, 1st Vol., (Ulaanbaatar, 2003), pp.175-180. - 35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대각있는동복이, 히르기스트홀로이 5호와돌르가올 88-15호에서발형 ( 鉢形 ) 동복이출토되었다. 이들동복은여러차례땜질하여수리해서사용한흔적이있다. 세발달린청동정이돌르가올 79-9호에서발견되었는데고리형손잡이가있다. 노용올 25호와도르릭나르스 2호에서세발손잡이초두가발견되었고 13) 돌르가올 79-9 호에서는네발달린청동용기가발견되었다. 청동반이도르릭나르스 2호와골모드 1 호에서발견되었는데골모드출토품은동물문양과함께영락 ( 瓔珞 ) 이달려있는것이다. 텝시올 72-8호에서는네발달린목제반이출토되기도하였다. 주전자는타힐팅홋거르 2호출토품이대표적이며다리, 몸체, 손잡이, 주구, 뚜껑이모두갖추어져있으나노용올 25호에서는 13조각으로흩어져서발견되었다. 타힐팅홋거르 1호에서는칠기배와비슷한모양의청동용기가출토되었다. 시루형토기는모린톨고이 2000-1호에서출토되었고타미링올란호쇼에서는동체중앙에전이돌아가고바닥에구멍뚫린토기가출토되었다. 이는모두음식물을찌는용도이다. 칠기제품으로노용올 6호에서건평 5년 ( 建平五年, 기원전 2년 ) 명칠이배 ( 漆耳杯 ) 가출토되었다. 칠이배는노용올 23호, 보르한톨고이 33호에서도보인다.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방형합, 골모드 20호에서는칠반이발견되기도하였다. 히르기스트홀로이 4 호에서는형태는평면타원형에끈으로매달수있는목제양이부배 ( 兩耳附杯 ) 가발견되었다. 골모드 75호에서는철제국자가출토되었고, 보르한톨고이 50호에서는티스푼같은것도있으며 38호에서는귀이개같은작은숟가락이발견되기도하였다.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도철제국자와찻숟가락이발견되었다. 또한, 노용올 23호에서는나무숟가락이출토되었고 24호에서는칠기숟가락이출토되기도하였다. 젓가락은뼈제품을많이사용하였는데모린톨고이 2000-1호에서는나무접시위에젓가락이올려져있었으며, 보르한톨고이에서 20여쌍의뼈젓가락이출토된바있다. 엔게링보쯔 103호에서는목제쟁반과함께백화수피제원형용기가출토되었다. 흉노토기의기형은발형토기 소호 호 대옹 동이 굽다리접시 등잔등이있는데두터운기벽에어깨에파상문과횡침선이있고기벽에암문 ( 暗文 ) 이있는것이특징이며바닥에는네모난성형받침흔이있다. 간혹한대토기제작기술의영향을받아빠른회전으로성형한세련된호도보이나지역적으로생산된것이많으며태토나기형에서차이가있다. 뭉근모리트에서흉노토기ㆍ기와가마터가간략히조사된바있으며, 버러주거유적에도토기제작흔적이남아있다. 등잔토기는골모드 75호, 타힐팅홋거르 1호, 도르릭나르스 3호묘, 일모바야빠디 54호에서출토되었으며, 호드 13) 이유물은등잔램프로사용되었다고보기도하나, 불을피우는과정과손잡이의존재로보아음식물을데우는초두의용도로사용했을것으로생각된다. - 36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긴톨고이 2001-2 4 호에서는토기의저부를활용해등잔으로사용한예도있다. 3. 복식 (1) 사람-머리부터발끝까지모자는노용올 6호에서방한용귀달린펠트모자와비단으로만든삼각형모자가출토되었다. 6호와 25호등에서주목할만한것은댕기머리를잘라비단주머니에고이담아무덤에부장한것이다. 이는전발 ( 翦髮 ) 이라고도하는데영혼이머문다는머리카락을베어서죽은자에게바쳐영혼을불러오는풍습을말하는데이는유목사회의특성상순장을형식화해서남겨진사람들의희생을막는의미도있었던것으로보인다. 호드긴톨고이 2001-1호에서는머리끝을상투처럼모으는청동장식이발견된바있다. 옷은노용올 6호무덤에서발견된것이대표적이다. 아래위가나뉜기마형복식, 즉소매가좁은긴저고리와무가달린궁고 ( 좁은바지 ) 가출토되었다. 긴저고리는길이가길어포에가까우며가운데에서여며지는형식이다. 어깨 소매끝 밑단에흑표범모피가박음질된흔적이있고안에도모피를대었던흔적이남아있다. 바지류는두가지인데궁고와양다리가분리된각반형이있다. 14) 견으로만든바지가랑이부분에는용변을위한구멍이뚫려있으며이는추운환경에서바지를벗지않고해결하기위한것으로생각된다. 15) 드물기는하지만골모드의배장묘중의하나인 MF-32호에서는연꽃모양의청동판이여러개발견되었는데보고자들은이것을찰갑으로보았다. 허리띠는보르한톨고이 27호에서칠보장식된방형금제품이출토되었고, 도르릭나르스 3호무덤에서장방형의철지금장버클이출토되었다. 타힐팅홋거르고리형 2호와홀르터스트녹가 12호에서철제품이 5점발견되었으며, 자라톨고이 3호에서 모양의철제버클이출토되었다. 텝시올 72-8호에서는목제허리띠도출토되었다. 버러 105호주거지에서문양이새겨진석제허리띠장식이발견되기도하였다. 금동말모양옷장식은일모바야빠디 54호, 타힐팅홋거르 1호,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출토되었다. 옥장식은신체장례를위한장옥葬玉과생전의장신구로나누어볼수있겠다. 장옥으로는도르릭나르스 2호무덤에서원형구멍이뚫린원판형옥벽과가장자리에 2 개의작은구멍이뚫린마름모꼴과타원형의옥장식이출토되었으며벽옥제곡옥도 10점이상출토되었다. 이외에도호박구슬 2종 4점과활석제패식꾸미개와단추도발견되었으며, 청금석제새장식과물방울모양터키석장식등이출토되었다. 골모드 20호에서는옥가락지 5점이발견되었다. 노용올 1호에서도피장자의장례를위한옥 14) 최해율, 유목민의꽃-몽골여자복식의흐름 ( 민속원, 2008), pp.23-24. 15) 주 5) 의앞의책, p.56. - 37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장식이출토된바있으며, 타힐팅홋거르 64호에서벽옥제구슬 12점이출토되었다. 홀르터스트녹가 12호와텝씨올 77-1호에서는금제귀걸이가출토되었다. 유리구슬은골모드 1호에서노란색 1점, 푸른색 3점이발견되었고, 나이마톨고이 20호에서흑색, 흰색, 회색등 19점이발견되었으며, 호드긴톨고이 2001-4호무덤 ( 피장자는 7-8세어린이 ) 에서금박유리구슬 2점이출토되었다. 다르한 2호에서는터키석, 마노, 진주등청색구슬및코일형유리가출토되었으며텝씨올 77-1호에서하트모양장식, 갈색구슬이수습되었다. 자라톨고이 1호에서는장식구로시용되었던보배조개 4점이발견되었으며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는누금세공기법의투작구체와터키석감옥장식이발견되기도하였다. 특이하게도이흐링암 1호에서는이집트계통으로추정되는살라브치돌목걸이장식과알몸의베스신상이출토되었다. 16) 신발은노용올 12호에서화려한무늬가있는비단으로만들진것이출토되었고 6 호에서는펠트로만든것이발견되었다. 바가가쯔링촐로 1호에서는투조된청동신발장식판, 호드긴톨고이 2001-1호에서는철제구두장식구가출토된바있다. 천이나복식을구성하는요소를알기위해서는세밀한분석이필요한데, 도르릭나르스 2호무덤에서는동물의털을이용한모섬유의펠트나모섬유로깔개를만들때사용되는태피스트리가확인되었고, 견직물인경우에는평직으로짜인명주 ( 紬 ), 또는미리염색된두가지이상의색사를사용하여평직이나능직으로만들어진고급품인비단 ( 錦 ) 등이쓰였던것으로조사되었다. 17) (2) 무기와휴대품사람은자신의몸에 1차적으로밀착되는옷이나장신구이외에도 2차적으로무기나휴대품을소지한다. 출토된유물을살펴보면칼 톱 지팡이 숫돌 발화구 활과화살 ( 성시구포함 ) 거울 악기 담뱃대 동전등이있다. 칼은유목민들에게는기본착장구이며, 도자 소도 철검 철도등다양한형태가출토되고있다. 돌르가올 71-7호에서는철검과철도가함께출토된바있으며, 71-9 호에서는철검과함께철지팡이가출토되기도하였다. 톱은돌르가올 71-7호, 71-9호, 호드긴톨고이 2001-1호에서출토되었다. 숫돌은훈헤린암 1호에서출토되었으며, 노용올시무코프무덤에서는발화구가확인되기도하였다. 활과화살은전사와사냥꾼으로서의흉노인에게필수품이다. 활은단궁에활끝과손잡이부분에뼈를붙여견고히하였다. 호드긴톨고이 2000-1호출토품을복원해본결과길이는 127cm정도였으며 18), 함께성시구부속구인교구와철편등이발견 16) 아마르툽신, 흉노무덤에서출토된외래계유물,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270-280. 17) 장은정외, 도르릭나르스흉노무덤- 특별전도록 ( 국립중앙박물관편, 2009), pp.78-83. - 38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되었다. 찬드만올 61호에서백화수피제화살통이발견되었는데말머리와태양이새겨져있다. 모린톨고이 2000-1호와노용올 6호에서도화살통의일부가발견되었으며, 골모드 MF-44호에서는화살이화살통에담긴채로출토된바있다. 화살촉은텝시올 72-8호와같은유엽협철촉이있으며, 호드긴톨고이 2001-1호와같이삼익형철촉을비롯해목제촉이출토된경우도있다. 특이하게도솔르톨고이 1호에서는칠이배와함께기원전 5-3세기청동기시대에사용되던양익 ( 兩翼 ) 청동촉이공반된경우이다. 거울은한경으로대부분파경 ( 破鏡 ) 된상태로매납되어있다. 골모드 1호에서운뢰연호문경 ( 雲雷緣弧文鏡, 기원후 20-50년 ) 이, 모린톨고이 2000-1호에서규구경 ( 規矩鏡, 기원전 1세기- 기원후 1세기 ) 이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는鳥獸規矩鏡이출토되었다. 도르릭나르스 3호에서는반리문경 ( 蟠螭文鏡, 기원전 3-2세기 ) 이출토되었다. 이외에도나이마톨고이 20호, 타미링올란호쇼 6호, 호드긴톨고이 87-2호에서양호한상태로발견되었으며, 골모드Ⅱ1 호-배장7 에서비단으로감싼한경이나왔다. 보르한톨고이 1 호 19호 33호 36호 71호, 옵곤트 83-2호, 텝시올 72-7 8호, 엔게링보쯔 103호, 노용올 25호등에서파경된상태로출토되었다. 한편, 노용올 20호에서는그리스신화에나타난케피소스왕의딸안드라메다여신의모습으로추정되는은제장식판이출토되었는데흉노의대외교역과관련해특히주목할만한유물이다. 19) 이외에도휴대용물품중에는모린톨고이 89-1호에서뼈로만든헬호르 ( 입으로튕기면서연주하는악기 ) 가출토되었고, 타미링올란호쇼에서는담뱃대모양뼈제품이발견되었다. 설비올 87-1호에서는실에묶여화천貨泉 ( 엽전 ) 6점이출토되기도하였다. (3) 마차와말장식마차는지금까지 20여대정도발견되었는데대형분의목곽뚜껑위에서안치되어있었다. 수레부속구로는일산살꼭지, 마차바퀴와, 주칠또는흑칠을한차상, 청동수레굴대부속과철제차관이함께출토된다. 수레의종류는차상위에일산을세운형식 (Ⅰ) 과차상위에내실을만들고덮개가있는형식 (Ⅱ) 이있다. Ⅰ형식은노용올 1 호, 타힐팅홋거르 1,2호, 골모드 20호,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출토되었으며, Ⅱ형식은골모드 1호, 차람 7호에서출토되었다. 마구는마면, 재갈, 행엽, 운주, 등자, 마탁등이출토되었다. 마면은골모드 1호에서출토된청동제폭이넓은것과골모드 20호, 노용올 25호의금동제배모양마면이있다. 일모바야빠디 54호, 도르릭나르스 2호에서는철제마면이출토되었다. 재갈은표비계통이며인수는길지않다. 일모바야빠디 54호에서철제품이출토되었고 18) 윤형원외,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 ( 국립중앙박물관외, 2003), p.57. 19) 보그다노프외, 노인- 울라 (Noin-Ula) 제20호고분, 초원의대제국 흉노 -학술심포지엄 (2007), pp.156-160. - 39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나이마톨고이 6호 13호출토품과같이표부분을철이아닌녹각이나뼈로대체한경우도있다. 노용올 6호에서는목제안장이출토되었고, 돌르가올 71-7호에서는삼각형철제등자가발견되기도하였다. 행엽과운주는편타원형과원형이있는데 20), 편타원형장식은노용올 6호 20호, 골모드 20호, 차람 7호등에서발견되었다. 일각수또는기린으로생각되는동물이표현되어있으며, 우리나라의낙랑석암리 219호출토품과비교될수있으며. 21) 유롤에르데네는이들을말의가슴걸이장식으로쓰였을것으로추정하였다. 원형장식에는기린 야크 사슴 산양 용등이표현되어있는데골모드에서는기린, 차람에서는산양이출토되고있어지역과부족을상징하는표식으로생각되며말의후걸이장식또는우리나라에서나오는운주와같은용도로사용된것으로보인다. 마탁은호드긴톨고이 2001-1호출토품은탁신에뉴 ( 鈕 ) 가 2개씩있으며탁설은석제인데반투명백색쳐트계통이다. 보르한톨고이 10호에서는문양없는마탁 ( 馬鐸 ) 이출토되었다. 4. 거주 (1) 삶의터전 : 주거지와성터유목민들은지상에게르라는천막식집을짓고여름과겨울캠프를이동하며살아가기때문에이사간자리에남아있는것이거의없다. 그렇다면흉노인은어디에서살았고어떻게물자의교역을했는가? 그해답을밝혀줄고고학조사가수혈주거지와성터를중심으로간헐적으로이루어졌다. 흉노시대의주거지는투브아이막버러유적과부리야트의두로니유적에서발견되었다. 버러주거유적은노용올무덤군과가까이에있는데, 이유적은 1966년에도르지수렌에의해발견되었으며, 1987년체벤도르지가헝가리와공동으로시굴하고 2005-2007년에투르바트와스위스팀이주거지의본격적인발굴을실시하였다. 수혈주거지와온돌시설을발견하고농업과토기생산을하는사람들의정착촌으로해석하였다. 각종토기와갈돌, 동물이새겨진뼈등많은유물이출토되었다. 22) 현재까지알려진흉노시대의성터는투브아이막뭉근모리트솜테를진두르블진, 후렌도브, 부르힌두르블진, 에르데네솜운두르도브, 바양자르갈란솜과도브, 도르노드아이막차간오보솜바론두르불긴헤름, 바르스호트2, 헨티아이막자르갈탕솜쳉헤링골린헤름, 볼간아이막부렉항가이솜슈브타인골린헤름, 우문고비아이막놈곤솜바 20) 유롤에르데네, 골모드유적흉노귀족무덤출토거마구,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118-126. 21) 에렉젠, 흉노와낙랑무덤비교,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52-65. 22) 투르바트, 흉노시대버러주거유적발굴조사,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326-333. - 40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양볼라긴토르이등이있다. 최초로발굴된흉노성터는 1930년대부터시작된부리야트의이볼가유적이다. 몽골에서는테를진두르블진이조사되었으며, 이유적은 1925 년에러시아와부리야트학자들이소규모조사를시작한이후에 1952년몽골의고고학자페를레선생이흉노의유적임을확인하였다. 23) 성곽은 235m 235m 규모로현재남아있는성벽은높이 50-80cm, 폭 10-15m 가량이다. 12 18m 면적을발굴하였는데황토를다져서판축한건물의벽체가발견되었고지표아래약 2m깊이에서건물바닥에도달한다. 잔돌을박아서정리한도로유구도발견되었다. 유물은방형전 ( 塼 ) 과암수키와 20,000여점을수습하였으며, 전과암막새에는집선문이시문되어있고수막새에는 4분되어 )( 모양이새겨져있다. 부리야트의이볼가성터의주민들은둔전병또는금속제련업으로정주생활을하고있었으며, 주민은중국에서잡혀온한인이나정치적이유로강제이주해온사람들로추정된다. (2) 사후의안식처 : 무덤 24) 무덤의기본구조 : 흉노무덤은기본적으로지하깊숙히매장주체부가자리잡고있다. 지상으로올라온부분보다무덤축조시에지하로깊이굴착되어있는점이큰특징이다. 깊은무덤을축조하는이유는초원의주인공이바뀌어다른종족들이흉노의선조무덤의도굴을방지하기위한것으로이해되고있으며, 엄청난노동력이필요한작업이다. 외형은무덤외부의적석으로묘역을표시하고있으며봉분을가지고있는무덤은극히드물다. 평면형태는원형과방형으로구분되는데매장주체부목곽의붕괴로중앙부가움푹패인것처럼함몰되어있다. 때로는불을피워제사를지낸듯한검은흙이드러나있기도하다. 깊은굴광내부에는엄청난양의할석이채워져있다. 할석아래에는동물을희생하거나마차가매납되기도한다. 대형분인방형무덤에는긴묘도가이어져있고방형모서리부분에는호석을세운경우가많으며, 원형무덤에는묘도가없다. 무덤의규모를살펴보면, 골모드 1호방형무덤의묘역은 34.0m 26.0m이고묘도는사다리꼴인데길이가 36.0m, 깊이는 18.0m에이른다. 골모드 Ⅱ-1호는지금까지발굴된무덤중에서가장큰데, 묘역은 46.0m 42.0m이고묘도의최대길이는 37.5m이다. 대형분의경우매장주체부에목곽과목관이배치된다. 노용올 1호 6 호 24호등은 2중목곽의내부에목관을설치한구조이다. 목곽내부바닥에는단축방향으로 23) 에르데네볼트, 흉노도성유적에관한연구,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356-361. 24) 에렉젠, 몽골흉노무덤연구 (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9). 몽골에서발견된흉노무덤에대한분석은위논문에잘이루어져있어본고에서는자세한설명을생략한다. - 41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받침목을설치한다. 목곽의크기는노용올 24호는길이 5.5m, 폭 3.0m, 높이 2.2m, 노용올 1호는길이 5.1m, 폭 3.3m, 높이 2.3m이다. 목관은노용올 24호에서좀더정확한모습을추정할수있는데, 상하 2개의판재를이용하였고측판은 2매를잇대고철재이음새로연결하였다. 중소형분인히르기스트홀로이 4호처럼목관의모서리에서나무결구한것도있다. 부장공간을살펴보면 2중곽무덤은외곽과내곽의사이공간에유물을부장하였는데노용올 6호에서는카펫같은모직물들이다량출토되었다. 모린톨고이 1호분의경우에는 3차굴광즉묘광내부에목관을설치하고그북쪽에부장공간을두었는데나무판으로상하를구분하여 2층의부장공간을마련하기도하였다. 중국역사서인사마천의 史記 에는 흉노의무덤에순장을하는데수백에서수천의여자와노예가포함되어있었다. 는기록이있는데, 흉노사회에순장풍습이존재했던것만은분명하나대규모순장의흔적은아직까지발견되지않고있다. 관곽장식 : 흉노무덤은곽과관의내부를카펫과비단천또는백화수피로장식하여아늑한공간을만들고있다. 이를두고체벤도르지는 흉노사람들이목관을게르 ( 몽골전통집 ) 의벽과같은형태로장식한것은피장자가사후세계에서도게르의생활을계속하라는뜻에서꾸민것이다. 라고표현했다. 카펫은노용올 6호곽내부에서양호한상태로출토되었는데곽바닥의것은크기가 2.6 1.95m 이고뒷면에붉은색비단이부착되어있다. 중앙에는구름문양을수놓고그둘레로동물과나무를묘사하였다. 사슴을공격하는날개달린짐승 4마리, 서로마주보며겨루는호랑이와야크가표현되어있다. 곽천장안쪽의것은크기가 4.5 3.2m 인데, 앞면을갈색비단으로덮고식물과거북이, 물고기등을수놓아물속장면을묘사하였다. 노용올 20호직물조각에서는수렵도와비슷한그림이확인되기도하였다. 목관은금띠와금속꽃무늬장식이특징이다. 금띠는흉노의대형분에서발견되며신라의황남대총에서도보인다. 금제꽃모양장식은 4개의꽃잎이펼쳐진듯하며골모드 20호에서는터키석이감옥된것도있다. 골모드 1호, 도르릭나르스 2호등에서는금제장식이발견되었다. 서몽골타르박타이 1호에서는철제꽃무늬장식이발견되기도하였다. 해와달모양장식이타힐팅홋거르 64호 25), 골모드 12호, 일모바야빠디 33호ㆍ54호, 보르한톨고이 33호무덤에서발견되었는데재질은금 청동 철등으로다양하다. 돌르가올 79호에서는목관바닥에백화수피를깔아두기도하였다. 골모드 1호 20호, 도르릭나르스 2호, 일모바야빠디 54호 26) 의목관주변에서금동 25) 바야르사이한, 타힐트유적 64호무덤발굴조사와성과, 초원의대제국 흉노 ( 울란바토르, 2008), pp.178-185. 26) P.B. Konovalov, The Burial Vault of a Xiongnu Prince at Sudzha(Il'movaia Pad',Transbikalia), 3rd Vol., (Bonn Contributions to Asian Archaeology, 2008), Plate 36. - 42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봉또는청동봉이발견되는데타힐팅홋거르 2호에서는비단에싸여가죽끈으로묶인상태로 2점이발견되었으며, 이봉의기능에대해서는절구공이 무기 귀족의신분상징물등으로보는견해도있으나노용올 25호에서 4개씩세트로발견되는경우도있어출토위치를고려할때목관에매달아이동시키는손잡이일가능성이크다. Ⅳ. 맺음말 흉노의생활은생존그자체였다. 앞에서흉노인과그들의음식 복식 주거를고고학증거를통해살펴보았다. 흉노고고학은유적의발견으로부터지표조사발굴에이르기까지그과정이매우어려운일이다. 광활한초원과변덕스러운기후조건, 부족한물자와인력등해결해야할과제가너무나많기때문이다. 그러나지난 77년동안, 몽골초원에서몽골- 각국의학자들이협력하여느리지만꾸준한조사와연구를지속하여오늘날에이르렀다. 흉노의생활에대한접근을시도하려면우선유목민들이처한상황을이해할필요가있다. 유목민들은역동적인활동에비해유적 유물로남기는것은매우적기때문이다. 따라서보이는것만으로전체를판단하는것은금물이다. 지난한발굴조사과정을거쳐그나마조금씩실체가드러나고있기는하지만지금까지의조사도극히일부분에서이루어져고고학적으로연구할수있는부분은빙산의아주작은일각에지나지않는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필자는고고학증거를통해바라보는흉노의생존은 물자의부족에기인한재료의다변화와격식의파괴와생략 으로표현하고싶다. 하나의생활용품을만들더라도금, 금동, 청동, 철, 나무, 뼈등상황에적절한재료를찾아넘나든다. 중국의격식으로는순장을했을상황에서도격식을파괴하고머리카락만잘라서무덤에넣기도한다. 흉노인들은유목민특유의효율성을중시하여이질적인문화를빠르게흡수하고적응한다. 당시, 세계각국의문물을포괄하고있는흉노문화의주인은누구인가? 흉노는정복한민족과의관계에서자유로운교역을중시하였다. 흉노는말을길들여기동력있는교통수단을확보하고있었기때문에지리적으로멀리떨어져있는지역과교역하는데있어서중국같은정주국가보다우세하였다.(2010.10) 주제어 : 초원, 흉노, 생존, 몽골, 고고학, 증거 논문투고일 2010. 11. 14, 심사개시일 2010. 11. 22, 게재확정일 2010. 12. 02-43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참고문헌 < 동양서 > 고마츠히사오 ( 小松久男 ) 편. 중앙유라시아의역사. 이평래역, 소나무, 2005. 국립중앙박물관외. 제1 회한-몽학술심포지엄. 울란바토르, 2003. 국립중앙박물관외. 제2 회한-몽학술심포지엄. 울란바토르, 2004. 국립중앙박물관외. 초원의대제국 흉노. 2007. 국립중앙박물관외.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국립중앙박물관편. 몽골흉노무덤자료집성. 2008. 니콜라디코스모. 오랑캐의탄생. 이재정역, 황금가지, 2005. 르네그루쎄. 유라시아유목제국사. 김호동ㆍ유원수ㆍ정재훈역, 사계절, 1998. 사와다이사오 ( 澤田勳 ). 흉노. 김숙경역, 아이필드, 2007. 송의정외. 몽골우글룩칭골유적. 국립중앙박물관외, 1999. 에렉젠. 몽골흉노무덤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9. 윤형원외. 몽골모린톨고이흉노무덤. 국립중앙박물관외, 2001. 윤형원외. 몽골유적조사 5년-특별전도록. 국립중앙박물관외, 2002. 윤형원외.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 국립중앙박물관외, 2003. 윤형원외. 몽골학술조사성과 (2002-2004). 국립중앙박물관외, 2004. 장은정외. 도르릭나르스흉노무덤- 특별전도록. 국립중앙박물관편, 2009. 최해율. 유목민의꽃-몽골여자복식의흐름. 민속원, 2008. 김장구. 흉노제국연구의성과와새로운방향-1990년대이후한ㆍ중ㆍ일의연구를중심으로,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204-211. 나란.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출토고인골자료분석,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 국립중앙박물관외, 2003, pp.105-118. 데러쉬. 프랑스고고학대몽골조사단 (MAFM) 프랑스- 몽골 15년협력에대하여, 초원의대제국 흉노 -학술심포지엄. 2007, pp.178-184. 바야르사이한. 타힐트유적 64호무덤발굴조사와성과.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178-185. 보그다노프외. 노인- 울라 (Noin-Ula) 제20호고분. 초원의대제국 흉노 - 학술심포지엄. 2007, pp.156-160. 아마르툽신. 흉노무덤에서출토된외래계유물.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270-280. 알다르뭉흐. 도르릭나르스유적흉노무덤발굴조사.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148-154. 유롤에르데네. 골모드유적흉노귀족무덤출토거마구. 초원의대제국 흉노. - 44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울란바토르, 2008, pp.118-126. 에렉젠. 몽골호드긴톨고이흉노무덤의성격. 제1 회한-몽학술심포지엄. 2003, pp.161-167. 에렉젠. 노용- 올흉노무덤출토직물문양에대한고찰. 제2 회한-몽학술심포지엄. 울란바토르, 2004, pp.248-262. 에렉젠. 흉노와낙랑무덤비교.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52-65. 에르데네볼트. 흉노도성유적에관한연구.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356-361. 오치르. 흉노인과몽골인. 초원의대제국 흉노. 2007, pp.32-34. 윤형원. 몽골모린톨고이흉노무덤의성격. 제1 회한-몽학술심포지엄. 울란바토르, 2003, pp.138-154. 윤형원. 신라- 흉노의무덤구조비교검토. 제2 회한-몽학술심포지엄. 울란바토르, 2004, pp.275-293. 윤형원. 한- 몽공동학술조사 10년.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18-20. 장은정ㆍ황보창서외. 몽골도르릭나르스흉노무덤발굴조사보고. 초원의대제국 흉노. 2007, pp.204-210. 체벤도르지. 몽골고고학연구. 고고학지 8. 이평래역, 한국고고미술연구소편, 1997, pp.133-170. 체벤도르지. 흉노유적발굴조사개요.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30-37. 투르바트. 흉노시대버러주거유적발굴조사. 초원의대제국 흉노. 울란바토르, 2008, pp.326-333. 허니처치외. 몽골고대흉노의죽음과사회적현상. 초원의대제국 흉노. 2007, pp.120-133. 馬利淸. 原匈奴, 匈奴 : 歷史與文化的考古探索. 內蒙古大學出版社, 2005. 劉學金兆. 匈奴史論. 台北 : 南天書局, 1987. 林幹. 匈奴通史. 人民出版社, 1986. 田廣金ㆍ郭素新. 北方文化與匈奴文明. 江蘇敎育出版社, 2005. 陳序經. 匈奴史稿.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7. 黃曉芬. 漢墓與匈奴文化. 韓國國立中央博物館外, 2008. 江上波夫. 匈奴. 騎馬民族國家. 東京 : 中公新書, 1984. - 45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菊池徹夫. 北方考古學の硏究. 六興出版, 1984. 內田吟風. 北アジア史硏究 - 匈奴篇. 同朋舍, 1975. 梅原末治編. 蒙古ノイン ウラ發見の遺物. 東洋文庫, 1960. 山田信夫. 北アジア遊牧民族史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91. < 서양서 > С.И.Руденко. Культура жунну и Ноин-улинские курганы. Москва-Ленингра д, 1962. Naran, B. Pathological cases of the Hunnu period in Mongolia, Mongol-Korean Academic Symposium 1st Vol. Ulaanbaatar, 2003, pp.175-180. Konovalov, p.b. The Burial Vault of a Xiongnu Prince at Sudzha(Il'movaia Pad', Transbikalia) 3rd Vol. Bonn Contributions to Asian Archaeology, 2008. - 46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 도 1) 흉노무덤출토얼굴모습 ( 노용올 25 호 ) 나이마톨고이 두개골천공 호드긴톨고이 2001-1호 출토인골 ( 도 2) 흉노인의인골 - 47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도르릭나르스 4 호 타힐팅홋거르 1 호노용올 6 호돌르가올 88-15 호 보르한톨고이 73 호 보르한톨고이 73 호 히르기스트홀로이 5 호 ( 도 3) 흉노인의식생활 - 청동솥 ( 동복 ) - 48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 도 4) 흉노인의식생활 - 칠기 ( 도 5) 흉노인의의생활 1 ( 모자, 머리카락 ) ( 도 6) 흉노인의의생활 2 ( 털모자와의복 ) - 49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 도 7) 흉노인의거주 - 테를진두르불진성터와와당 ( 도 8) 흉노인의무덤 - 사후의안식처 ( 노용올 20 호무덤 ) - 50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Abstract> The Existence of Xiongnu on Great Mongol Steppe -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 Yun, Hyeung-won The movement of Xiongnu people gave greatly influence to the dominion of world history. Records about Xiongnu people were left only partly in the Chinese historical records of their contact with the West through the war. Their vestige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area without the records of them, but the only way to find out their actual substance is archaeological expedi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of both East and West such as Russia, Hungary, France, the U. S., Belgium, Korea and Japan have dispatched the researchers to the Mongol area, once the central area of Xiongnu people, to proceed archaeological survey. Thereupon, in this study I will portray the picture of Xiongnu people who survived in the great steppe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excavated from Mongolia a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 Xiongnu tombs in Mongolia. Xiongnu People: How Xiongnu people who left the great Xiongnu culture on the steppe look like? The faces of two people appearing on the woolen object have eyes, wide nose and long mustache that are impressive. Through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we can directly meet Xiongnu people via the excavated human skeleton, but in many cases the bones were damaged by tomb robbery or underground animals. In the recent excavations, it is the trend to proceed the study with physical anthropologist because researchers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skeletal analysis. The materials tell that the height of Xiongnu women was 150-167 cm, and that of Xiongnu men was 167-174 cm. The age of death was thirties in women and thirties to forties in men. Also many male were dead in their teens. The fractures of men were because of battles and aged people over sixties were rare. The owner of large tomb is aristocrat who did not do hard work, and the tomb of children followed the status of their parents. Bones outside the wooden coffin might have been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ose who were buried in the attached tombs are subordinates of the owner of the main tomb. The hole in the skull is related to the medical treatment or religion, and there is a - 51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child who died of malnutrition. The serious wear and tear on teeth is because of carnivorous diet. What is important is the co-presence of Mongoloid and European race in the same tumulus, which means the Xiongnu society was multi-raced and multi-cultured one. Food & Cook: The main diet of nomad was meat such as mutton, goat, beef and horseflesh and dairy products. A great deal of animal bone has been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and most of them was sacrifices for funeral rites. The offering food for the owner of the tomb was left in some cases: Cow bones were put in bronze cauldron, sheep bone and rabbit bone were discovered together and sheep ribs were put beside the owner of the tomb. Large jar is a storing vessel. Sometimes grains were excavated from it and alcohol or liquid was stored in it. There is a hole in the lower part of the jar, which seems to be used like today's rice barrel from which the contents are pulled out. Grains were excavated from the inside of a wooden coffin; grains were also in a lacquer ware; sheep bone, grain and vegetables were put in a bronze cauldron. Vessel: The kitchen appliances of nomad can be used indoor, however, in most cases they are fit for field life. Earthenware model of cooking fireplace was excavated. Bronze cauldron, bronze tray, wooden dish, bronze kettle, rice steamer, lacquer ware vessel with inscription (B.C. 2), lacquer ware side-dish box and bowl with two ear for cooking and distributing food were discovered. Iron ladle, tea spoon, wooden spoon, bone chopstick, birch bark vessel were also excavated. Earthenware excavated are bowl, pot, vessel, jar, footed dish, lamp-oil container and steamer etc. Clothing and Clothing Ornaments: Winter cap with earpiece made of pelt and triangle-shaped hat made of silk were excavated. The burial of pigtail in silk pouch means the custom to summon the soul of the dead by cutting the hair where the soul stays, which illustrates the nomad proceeded the funeral rites without killing the living. A bronze ornament for the head end was discovered. The form of the clothing is convenient for riding horse. The long coat is long and there is the trace of fur padding on the inside. There is a hole on the crotch of the trousers which is to excrete without taking off trousers in the cold. The belts excavated were made of gold, iron, wood and stone and the shoes excavated were made of silk and pelt. A bronze shoes ornament and an iron shoes ornament were excavated. The jade ornaments excavated were round disk-shaped one, jade shroud, - 52 -

광활한몽골초원과흉노인의생존 comma-shaped jade, jade trousers and beads. There were also ornaments like gold earrings and shells. 'Salavch' stone necklace ornament and the sculpture of naked 'Bes' which are presumed to have come Egypt were excavated. Weapons and Portable goods: A knife is basic belongings for nomad and diverse types of knife have been excavated such as knife, small knife, iron sword and iron knife. Xiongnu people carried iron cane and iron saw. Whetstone and firing tools, small musical instrument made of bone, tobacco pipe and coins were also major belongings. Bow and arrow was necessities for Xiongnu people as warrior and hunter. The tip and the hand-grip of the bow were made solid by attaching bones. A quiver made of white birch bark was discovered. Iron arrowheads of willow-leaf shape and three-wing shape were excavated and wooden arrowhead was also excavated. Mirrors made in the Han-Dynasty China and it was buried with destroyed and wrapped in silk. Unrhaeyeonhomungyeong( 雲雷緣弧文鏡 )(A.D. 20-50), Gyugugyeong( 規矩鏡 )(B.C. 1C-A.D. 1C) and Bannimungyeong( 蟠螭文鏡 )(B.C. 3-2C) were excavated. A silver ornament plate which are presumed to be a Greek goddess is an important relic that suggests the presence of international trade. Coach and Horse Ornaments: Twenty or more coaches were discovered on the lid of large wooden chamber tomb and the form of the coaches were ones with umbrella and ones with room. Horse ornaments such as forehead plate, horse-bit, harness ornament, harness fittings, stirrup and horse-bell were excavated. In some cases, the part of horse-bit was replaced with antler and bone. Wooden saddle and iron stirrup were discovered. On the breast ornament of the horse was expressed an unicorn and on the hip ornament unicorn, yak, deer, goat and dragon. Sometimes horse bell was excavated. Settlement & Tomb: Nomads left few things after their movement since they made tent-like houses called 'Ger' on the ground and moved to and from the summer camp and the winter camp.however, recently subterranean dwelling pit house and heating equipment was discovered, and building site and roadway were excav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astle site. Basically, the main burial is settled deep underground. The plane figure is divided into round and square, and the square-shaped tomb has doorway. The central part of the tomb is depressed because of the disruption of the wooden chamber of the main burial. Sometimes - 53 -

中央아시아硏究第 15 號 there exposed black soil that was presumed as the trace of firing rituals. Deep inside the pit of the tomb was filled with many stones (broken stones, 할석 ) and underneath there were sacrificed animals or buried coach. In case of large tomb, dual wooden chambers and wooden coffin were placed on the main burial. Artifacts were buried in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chamber and the interior chamber, a good deal of woolen cloth were excavated. The inside of the tomb was decorated with carpet, silk cloth or white birch bark to make a cozy place for rest after death. On the exterior of the wooden coffin are diverse ornaments such as gold belt, metal flower pattern ornament, ornament with sun and moon pattern made of various materials like gold, bronze and iron. The gilt-bronze or bronze rod discovered outside the coffin is likely to have been knob. Xiongnu Existence: The life of Xiongnu people was survival itself. We reviewed Xiongnu people and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s mentioned above. The Xiongnu archaeology has very difficult process from the discovery of the remains to the survey & excavation because there are numerous challenges to solve such as great Steppe, fast-changing climate, insufficient materials and manpower. However, the collaboration of the scholars from Mongol and other countries for the past 77 years had made slow but steady survey and study until now and it yielded today's achievement. I would like to express the existence of Xiongnu reviewed with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s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due to the insufficiency and the destruction and omission of formality. Even in the production of one product, the choice of material was diverse such as gold, gilt-bronze, bronze, iron, wood and bone as situation permitt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Chinese buried the living with the dead, Xiongnu people destroyed the formality and just cut their hair and put it into the tomb. Xiongnu people valued the unique efficiency of nomad, fast absorbed and adapted to heterogeneous cultures. Who was the host of the Xiongnu culture at that time that comprehended the civiliz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Xiongnu emphasized free trade more than tax treatment. Xiongnu was superior to settled countries like China in the trade with far away region because they secured transportation with mobility by taming horses. (Nov. 2010) Key words: Xiongnu, Steppe, Existence, Archaeology, Evidence, Tomb, Mongol - 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