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인구구조 9.3 생산가능인구와피부양인구 2010 년의생산가능인구는정점에도달 9.4 혼인인구와외국인인구 2010 년기준지난 30 년간가장큰변화는이혼비율의상승 ㅑ IV ㅑ. 1980 년의부양인구의규모는 564 만명으로전체인구의 66% 저출산과고령화에사로잡히면이혼의증가로인해이혼상태에머물고 를차지하였다. 같은시기인구의 65%, 전국인구의 62% 가부양인구였다. 이후저출산과고령화로인해유소년피부양인구는감소하지만, 노년피부양인구는증가했다. 2010년기준시생산가능인구의규모는 있는인구가보이지않을수있다. 지난 30년동안미혼과유배우상태의비율은큰변화가없는반면이혼상태의인구는 1980년 0.6% 에서 2010 년 4.1% 로 3.5% 포인트증가하였다. 이혼의증가는재혼의증가도 가구구조 770 만명이고시전체인구가운데차지하는비율은 76.7% 이다. 의미하지만공식통계로는재혼이유배우상태와구별되지않기때문에 유배우의증가에기여할것이라고예상만할수있다. 재혼을통해이혼의 2010 년기준의유소년부양비와노년부양비를 상태에서벗어나는경우가증가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 이혼상태의 합한총부양비는 30.4 인구가증가하고있는것은시전체인구의혼인상태변화의가장 저출산은유소년인구의규모를줄이고고령화는고령인구의비율을늘려 중요한현상가운데하나이다. 결국에는고령인구부양부담을증가시킨다. 그럼에도불구하고저출산의효과가고령화에반영되기까지시간지체가있어, 저출산이지속되면유소년 의가임기미혼인구비율은 2000 년 35.5% 에서 1 가구구조의변화 1.1 가구수의변화 1.2 가구유형의변화 부양비의감소정도가노년부양비의증가보다높아총부양비는감소한다. 2010 년 46.4% 로크게증가 1.3 자치구가구수분포 조만간노년부양의부담이유소년부양의부담을앞질러 2015~2016년이되면유소년을부양해야하는부담이고령인구를 20-49세까지의가임연령층만을대상으로볼때의미혼비율은 1990년에 31.6% 였고, 2000년 35.5%, 2010년 46.4% 등급격하게증가하였다. 의경우 1990년 29.6%, 2000년 29.6% 으로큰 2 가구소득 2.1 시보통가구의소득 2.2 시중산층의소득 부양해야하는부담보다감소하게된다. 즉저출산의여파가지속되면서유소년인구가지속적으로감소하고반면에고령인구를부양해야하는부담은지속적으로증가하기때문이다. 증가가없다가 2010년 39.8% 로크게증가하였다. 의외국인수는 2011년까지계속증가하다, 2012년에감소추세 3 1 인가구 3.1 과의 1인가구 3.2 자치구별 1인가구수의변화 3.3 1인가구가구주의연령특성 3.4 시 1인가구의경제활동상태 의외국인수는 2011 년 279,220 명에서 2012 년에는 32,112 명이 3.5 여성 1 인가구 감소하여 247,108명을기록하였다. 최근 20년간증감추세는,, 전국이모두유사하나 2002년부터 2011년까지과의증가폭이전국수준보다크며, 2005년부터는의증가율이의증가율을상회했다. 4 노인가구 4.1 노인가구의변화 4.2 구별노인가구현황, 2010 4.3 노인 1인가구주의차별적특성, 2010 지역외국출생자는 35-39세를기준으로정규분포와같은연령분포를보임 2010년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를분석해보면, 지역에있는 5 이혼가구 5.1 이혼가구의분포 5.2 이혼가구주의성별, 연령별특성 5.3 이혼가구주의경제활동과 외국출생자의연령분포에서 35-39 세사이의외국인이가장많아전체 가구원구성 외국출생자의 15.3% 를차지한다. 그다음은 40-44세와 30-34세로각각 11.7% 와 11.1% 를차지하고있다. 이후연령이적어지거나높아질수록외국출생자의비율이감소한다. 그래서 35-39세를중심으로외국출생자가가장많고, 젊거나나이들수록외국출생자의수가감소하는소위정규분포 6 다문화가구 6.1 다문화가구의분포 6.2 다문화가구의특성 6.3 다문화가구의연령구조 비슷한분포를이루고있다. 7 요약 7.1 가구구조 7.2 가구소득 7.3 1인가구와노인가구 7.4 이혼가구와다문화가구 42 연구원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2010) 2010 년기준양천구의평균가구원수가 2.93 명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약 2배증가 1980년부터의가구는계속증가하여 2010년 3,504,297가구로전국가구의 를차지하고있다. 2010년의가구는 8,254,281 가구로전국가구의 48% 에해당하며, 이비중은인구비중인 49% 수준과거의유사한수준이다. 1980부터 2010년까지약 30년동안 0.25 0.20 0.15 0.10 0.24 0.21 0.22 0.17 0.15 0.11 0.13 0.10 이어노원구 (2.87명), 송파구 (2.87명), 도봉구 (2.84명). 강동구 (2.83명) 가뒤를따른다. 평균가구원수가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명을기록했고, 다음으로중구 (2.36명), 종로구 (2.48명), 마포구 (2.49명), 용산구 (2.49명) 로나타났다. 의가구는약 1.9배, 은 2.8배, 전국은 2.2배증가하여증가율은, 전국, 순으로크게나타났다. 특히 1990년과 1995년사이 0.05 0.00 1980~1985 1985~1990 0.05 1990~1995 0.04 1995~2000 0.07 2000~2005 0.06 2005~2010 그림 4-3 자치구별가구원수에따른가구유형 의가구증가율이크게감소하였다. 100% 6.3 5.1 6.2 7.6 7.6 8.1 7.5 5.8 6.8 6.8 6.6 7.8 5.9 6.7 7.7 7.8 7.4 7.5 7.3 7.3 8.6 8.8 7.5 9.1 8.5 표 4-1 과의가구규모변화 (1980-2010) 90% 구분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1,836,903 2,324,219 2,814,845 2,965,794 3,085,936 3,309,890 3,504,297 2,919,711 3,827,935 4,919,405 5,792,619 6,502,119 7,462,090 8,254,281 80% 16.5 18.2 21.5 18.4 24.8 20.0 21.6 19.1 23.4 22.7 19.9 23.3 20.7 20.5 23.2 23.5 24.6 25.9 24.7 23.8 27.9 25.6 29.0 24.2 29.7 70% 18.5 20.2 1.2 가구유형의변화 은 가족 으로이루어진가구가 74% 를차지인구총조사자료에서가구유형을구분하는여러방식중가족으로이루어진가구, 가족과가족이외의성원이있는가구, 1인가구, 혈연관계가없는남남끼리가구등으로구분해보면의주류가구는역시가족으로이루어진가구로전체가구의 74% 를차지한다. 1인가구는전체가구의약 25% 를차지한다. 그외의가구즉가족과가족이외의사람이함께이루는가구나, 혈연관계없이남남이이루는가구는비율이매우낮다. 그림 4-2 과의가구당평균가구원수 5 4.33 4.32 3.99 3.97 4 3.68 3.67 3.36 3.39 3.12 3.19 3 2 1 0 1980 1985 1990 1995 2000 2.88 2.96 2005 2.7 2.78 2010 60% 50% 40% 30% 22.1 21.1 19.1 21.2 20.0 22.8 19.3 18.5 20.0 22.6 20.6 21.7 22.0 24.4 20.5 21.4 21.5 21.9 22.0 25.1 21.9 21.2 23.7 24.7 23.2 24.8 22.2 22.8 23.9 22.5 24.0 22.2 22.6 23.3 22.7 24.5 26.2 23.6 23.5 21.6 24.0 23.2 24.3 21.4 25.1 24.7 25.2 19.8 2010년의평균가구원수는 2.7명, 은 2.8명 2010년의평균가구원수 (family size) 는 2.7명으로 1980년 4.33 명에비해크게감소하였다. 평균가구원수는,, 전국이모두비슷하게감소추세를보인다. 30년동안의경우에도평균가구원수가 4.32에서 2.78명, 전국의경우에도 4.45명에서 2.69명으로감소하였다. 표 4-2 의가구유형 가구유형 % 1. 가족으로이루어진가구 73.8 2. 가족과가족이외의남남이함께사는가구 0.7 3. 혼자서살림하는 1인가구 24.6 4. 혈연관계가없는남남끼리함께사는 5인이하의가구 1.0 10% 0% 36.6 35.4 32.0 31.2 29.8 29.4 28.6 28.6 28.0 27.1 26.3 25.8 25.0 관악구중구마포구종로구강남구동대문구광진구용산구동작구서대문구성북구성동구영등포구서초구강서구중랑구구로구은평구강북구송파구강동구노원구도봉구중구양천구 24.7 24.0 22.4 21.9 20.8 20.8 19.2 18.4 18.3 17.9 16.9 16.8 합계 100 1 인 2 인 3 인 4 인가구 5 인 +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44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45
Ⅳ. 가구구조 2. 가구소득 표 4-3 자치구별평균가구원수 순위 자치구 2000 2005 2010 평균가구원수 ( 명 ) 순위 자치구 평균가구원수 ( 명 ) 1 도봉구 3.33 1 양천구 3.13 1 양천구 2.98 2 노원구 3.30 2 도봉구 3.10 2 노원구 2.90 3 양천구 3.30 3 노원구 3.09 3 도봉구 2.88 순위 자치구 평균가구원수 ( 명 ) 2. 가구소득 2.1 보통가구의소득 의보통가구 ( 평균가구 ) 는월 327만원소득규모 2011년서베이자료기준으로의보통가구는남자가장이 48.3 세로전문대졸의학력을가지고있으며월 327만원의소득을가진다. 이를 3년전과비교해보면 2008년의보통가구는 48.2세의남자가장이 고졸학력을가지고있으며월 292만원의소득을가진다. 2011년구별가구소득은서초구가가장높고, 금천구가가장낮게나타났다. 권역별로는동남권이 379만원으로가장높고서남권이 308만원으로가장낮게나타났다. 4 강동구 3.23 4 강동구 3.04 4 송파구 2.86 그림 4-4 의보통가구 5 은평구 3.22 5 송파구 3.01 5 강동구 2.84 6 강북구 3.22 6 은평구 3.00 6 은평구 2.83 7 송파구 3.21 7 구로구 2.98 7 서초구 2.80 8 중랑구 3.20 8 강서구 2.96 8 구로구 2.78 2008 년보통가구 48.2 세남자가장 월 292 만원소득 고졸학력 평균가구원수 2.7 명 서북권 291 만원도심권 291 만원 동북권 267 만원 2011년보통가구 48.3세남자가장 월 327만원소득 전문대졸학력 평균가구원수 2.69명 서북권 327 만원도심권 332 만원 동북권 310 만원 9 강서구 3.20 9 강북구 2.95 9 강서구 2.77 10 구로구 3.12 10 중랑구 2.94 10 성북구 2.72 11 성북구 3.12 11 성북구 2.92 11 중랑구 2.72 서남권 277 만원 금천구 224 만원 서초구 408 만원 동남권 365 만원 서남권 308 만원 금천구 236 만원 서초구 448 만원 동남권 379 만원 12 동작구 3.09 12 서초구 2.91 12 강북구 2.72 자료 : 서베이 2008, 2011 13 성동구 3.09 13 금천구 2.87 13 영등포구 2.67 표 4-4 의소득 5 분위경계값 14 서초구 3.08 14 동작구 2.85 14 성동구 2.65 15 서대문구 3.07 15 성동구 2.85 15 서대문구 2.64 16 관악구 3.05 16 영등포구 2.83 16 금천구 2.63 17 영등포구 3.05 17 광진구 2.82 17 광진구 2.61 P20 P40 P50 P60 P80 2008년 150만원 230만원 280만원 300만원 400만원 2011년 180만원 290만원 300만원 350만원 470만원 자료 : 서베이 2008, 2011 18 금천구 3.04 18 서대문구 2.80 18 동작구 2.60 19 광진구 3.04 19 동대문구 2.76 19 동대문구 2.59 20 강남구 2.98 20 용산구 2.71 20 강남구 2.56 21 마포구 2.97 21 종로구 2.70 21 마포구 2.53 22 동대문구 2.94 22 마포구 2.69 22 종로구 2.51 23 용산구 2.94 23 강남구 2.67 23 중구 2.49 24 종로구 2.91 24 중구 2.66 24 용산구 2.48 25 중구 2.86 25 관악구 2.54 25 관악구 2.31 2.2 중산층 의중산층은 10가구중 6가구인 65.2% 2011년기준의중산층 ( 중위소득의 50~150%) 가구는월평균총가구소득이 150-450만원인가구로전체가구의 65.2% 를점하고있다. 3년전 2008년의의중산층비중은 2011년과동일하지만중산층구성에서변화를알수있다. 즉, 중산층비중은동일하지만경제위기상황에서저소득층으로하락가능성이높은한계중산층은 2011년 10가구중 4가구정도 (38%) 로 2008년대비 5% 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즉, 2008년대비전형적중산층비중은줄고한계중산층비중은늘어난것이다. 그림 4-5 의계층구성 2011 년 2008 년 14.5% 65.2% 저소득층한계중산층전형적중산층고소득층 17.8% 2008 년 65.2% - 한계중산층 : 32.5% - 전형적중산층 : 32.7% 자료 : 서베이 2008, 2011 37.8% 32.5% 2011년 65.2% - 한계중산층 : 37.8% - 전형적중산층 : 27.4% 65.2% 27.4% 32.7% 20.3% 17.1% 46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47
Ⅳ. 가구구조 3. 1 인가구 3. 1 인가구 그림 4-7 자치구별 1 인가구비율 3.1 과의 1 인가구 2010년의 1인가구는 85만가구로전체가구의 23.9% 를차지 2010년의 1인가구는 854,606 가구로시전체가구의 23.9% 를차지한다. 1980년에의 1인가구의수는 82천가구에불과했다. 이러한규모가 1985년에는 156천가구로증가하고, 1990년에는 257천가구, 1995년에는 382천가구등으로크게증가한다. 다시 2000년에는 502천가구, 2005년에는 675천가구등으로아주빠른속도로증가해 그림 4-6 1 인가구 (, 전국 ) 25% 15% 10% 9.1% 6.7% 9.0% 12.7% 12.9% 15.5% 16.3% 20.0% 20.4% 23.9% 24.4% 종로구서대문구중구마포구용산구동작구관악구금천구 동대문구 강남구 광진구 결국 2010 년에 85 만여가구가 1 인가구이다. 1980 년에비해지난 30 5% 4.5% 4.8% 6.9% 년동안의 1 인가구는 10 배증가하였다. 0% 1980 년 1985 년 1990 년 1995 년 2000 년 2005 년 2010 년 표 4-6 자치구별 1 인가구규모변화 과전국 1인가구역시과비슷한규모의 1980년도 1인가구의수는 14만가구였다. 1985년에는 26만가구로증가하고, 1990년에는 427만가구로증가하였다. 다시 1995년에 68만가구, 2000년에 94만가구, 2005년에 138만가구, 그리고 2010 년에 182만가구로급격히증가하였다. 1980년부터 2010년까지 30년사이에의 1인가구는 13배증가하였다. 전국의 1인가구규모는전체가구의 24.4% 이다. 표 4-5 과의 1 인가구비중및규모추이 (1980-2010) 자료 : 통계청, 2011, 인구주택총조사전수집계결과 ( 가구, 주택부문 )(http://kostat.go.kr) 전국 순위 자치구명 1990 자치구명 2000 자치구명 2010 1 중구 7,698 중구 10,353 중구 13,909 2 종로구 8,671 도봉구 10,826 종로구 18,156 3 은평구 8,735 종로구 12,784 도봉구 21,233 4 서초구 8,744 강북구 14,049 금천구 23,274 5 노원구 8,829 용산구 15,233 양천구 25,218 6 용산구 9,617 양천구 16,426 용산구 25,846 7 중랑구 9,918 금천구 16,706 강북구 26,054 8 강서구 10,123 성동구 17,205 성동구 27,041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82,477 156,207 257,382 382,024 502,245 675,739 854,606 4.8% 6.9% 9.0% 12.7% 15.5% 20.0% 23.9% 9 양천구 10,365 노원구 17,621 서초구 29,188 10 마포구 10,629 은평구 17,824 은평구 29,795 11 동작구 10,665 서대문구 18,698 서대문구 29,943 12 강동구 10,676 중랑구 19,115 구로구 30,156 137,839 260,191 427,401 679,370 936,927 1,380,245 1,822,848 4.5% 6.7% 9.1% 12.9% 16.3% 20.4% 24.4% 13 관악구 10,837 강동구 20,164 강동구 31,719 14 영등포구 11,197 서초구 20,204 중랑구 33,324 15 서대문구 11,373 강서구 21,158 영등포구 34,158 16 강남구 11,625 구로구 21,274 노원구 34,290 17 송파구 12,805 동작구 21,833 광진구 36,411 3.2 자치구별 1 인가구수의변화 전체가구대비 1인가구의비중이가장높은구는관악구지금부터 20여년전인 1990년에는구로구에서 1인가구가 21,676 가구로가장많았다. 그다음이성동구 20,332가구, 성북구 16,411가구, 도봉구 13,643가구, 동대문구 12,813가구의순이었다. 이시기에중구의 1인가구의수는 7,698가구였고, 종로구는 8,671가구였다. 은평구, 서초구등에서도 1인가구가적었다. 10년이지난 2000년에는강남구의 1인가구수가가장많아 34,667가구가 1인가구였다. 그다음이관악구로 29,256가구가 1인가구였고, 그다음이송파구 (26,606가구), 동대문구 (26,498가구) 등으로 1990년도와는완전히바뀐구도를보여준다. 한편다시 10년이지난 2010년에는관악구 1인가구가 84만가구로 1위를, 그다음은강남구 59천가구, 송파구 42천가구순이다. 18 동대문구 12,813 영등포구 22,704 동대문구 36,897 19 도봉구 13,643 광진구 22,711 성북구 38,652 20 성북구 16,411 마포구 23,754 동작구 40,256 21 성동구 20,332 성북구 24,576 마포구 41,109 22 구로구 21,676 동대문구 26,498 강서구 41,804 송파구 26,606 송파구 42,222 관악구 29,256 강남구 59,528 강남구 34,667 관악구 84,423 48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49
Ⅳ. 가구구조 3. 1 인가구 표 4-7 자치구별 1 인가구비중변화 3.3 1 인가구연령특성 순위 자치구명 1990 순위 자치구명 2000 순위 자치구명 2010 1 노원구 6.93 1 노원구 9.80 1 양천구 16.35 2 은평구 7.32 2 도봉구 10.43 2 노원구 17.39 3 관악구 7.38 3 양천구 12.05 3 도봉구 17.85 4 강동구 7.57 4 은평구 13.30 4 은평구 19.23 1인가구가구주의연령분포는 25-34세에집중시 1인가구가구주의연령분포는남성가구주의경우 25-29세에서가장높고, 나이가많아질수록점점분포가낮게나타났다. 여성가구주의경우도 25-29세에서가장높고, 나이가많아질수록점점분포가낮아지는경향을보이다, 중년을지나면서분포가다시증가하여고령층에서의분포가높게나타났다. 남성 1인가구주는 30~34세에집중분포의경우여성 1인가구의연령분포가 25-29세에서가장높았으나보다는낮은수준이었고, 고령층에서다시분포가높아지는경향을보인다. 남성 1인가구의경우 25-29세보다 30-34세에서분포가높게나타났으며, 나이가많아질수록 1인가구주의분포는감소하였다. 5 송파구 7.63 5 강북구 13.55 5 송파구 19.24 그림 4-8 과의 1 인가구가구주의연령및성별구조 (2010) 6 도봉구 7.77 6 강서구 13.70 6 강동구 19.87 7 양천구 8.05 7 송파구 13.78 7 구로구 21.14 8 중랑구 8.39 8 강동구 14.03 8 서초구 21.33 9 서초구 8.50 9 중랑구 14.16 9 강서구 21.59 10 영등포구 8.97 10 성동구 16.82 10 강북구 22.25 11 강남구 9.03 11 서대문구 16.99 11 중랑구 22.99 12 마포구 9.19 12 성북구 17.10 12 성북구 23.73 남자여자남자여자 85세이상 85세이상 80-84세 80-84세 75-79세 75-79세 70-74세 70-74세 65-69세 65-69세 60-64세 60-64세 55-59세 55-59세 50-54세 50-54세 45-49세 45-49세 40-44세 40-44세 35-39세 35-39세 30-34세 30-34세 25-29세 25-29세 20-24세 20-24세 20세미만 20세미만 9 8 7 6 5 4 3 2 1 0 0 1 2 3 4 5 6 7 8 9 9 8 7 6 5 4 3 2 1 0 0 1 2 3 4 5 6 7 8 9 13 성동구 9.52 13 동작구 17.24 13 영등포구 24.64 14 강서구 9.57 14 구로구 17.32 14 성동구 25.25 15 동대문구 9.58 15 서초구 17.38 15 서대문구 26.57 16 동작구 9.86 16 영등포구 18.27 16 금천구 26.90 1인가구주평균연령이가장젊은구는관악구 1인가구가가장많은관악구의 1인가구주평균연령도 38세로가장젊었다. 강남구의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이 38.3세로관악구보다약간 그림 4-9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 높다. 그다음은광진구로광진구의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강남구와거의비슷한 38.6세이다. 그다음이서초구로 40세, 동작구 40세, 서대문구 41세등으로나타난다. 55,00 17 구로구 10.54 17 관악구 18.39 17 광진구 27.28 51.20 51.61 18 서대문구 11.04 18 광진구 18.58 18 동작구 27.62 19 성북구 11.17 19 금천구 19.51 19 동대문구 28.82 20 용산구 11.77 20 마포구 19.69 20 마포구 29.07 21 종로구 13.08 21 강남구 20.26 21 강남구 29.62 22 중구 14.46 22 용산구 20.32 22 용산구 29.89 50,00 45,00 40,00 37.66 38.30 38.62 40.14 40.32 41.52 42.05 43.07 43.15 43.53 44.03 44.40 44.69 44.76 45.62 45.72 46.53 47.15 48.08 48.60 49.30 49.30 49.42 23 동대문구 21.78 23 중구 30.46 35,00 24 종로구 22.71 24 종로구 31.41 25 중구 23.29 25 관악구 38.84 30,00 관악구강남구광진구서초구동작구서대문구마포구성동구성북구종로구금천구동대문구송파구용산구영등포구구로구강동구중구강서구중랑구강북구양천구은평구노원구도봉구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50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51
Ⅳ. 가구구조 3. 1 인가구 그림 4-10 자치구별 1 인가구가구주의성별구성 (2010) 그림 4-12 자치구별 1 인가구주의경제활동참여상태 (2010) 100% 100% 5.4 7.5 7.8 4.5 7.5 3.8 2.4 5.1 4.6 5.5 6.3 4.1 5.3 6.9 6.2 5.3 3.1 6.1 3.8 4.4 8.0 4.6 6.3 5.7 5.3 90% 90% 80% 70% 40.3 40.3 43.0 43.4 43.6 43.8 43.8 44.2 44.8 44.9 45.6 45.8 46.3 46.9 47.6 49.0 49.0 50.0 50.6 50.7 50.9 51.4 52.3 55.1 56.0 80% 70% 29.5 28.9 29.3 33.6 31.0 34.6 35.6 39.1 37.1 38.8 38.2 40.6 39.9 38.4 39.9 41.1 43.8 40.9 43.8 44.4 40.8 47.8 46.5 49.1 54.2 60% 60% 50% 50% 40% 40% 30% 59.7 59.7 57.0 56.6 56.4 56.2 56.2 55.8 55.2 55.1 54.4 54.2 53.7 53.1 52.4 51.0 51.0 50.0 49.4 49.3 49.1 48.6 47.7 30% 65.1 63.6 63.0 61.9 61.6 61.6 59.4 58.5 58.3 55.8 55.4 55.3 54.9 54.7 53.9 53.7 53.1 53.0 52.4 51.3 51.1 44.9 44.0 47.6 47.3 45.2 40.4 10% 10% 0 강남구 노원구 도봉구 서초구 서대문구 강북구 은평구 송파구 양천구 마포구 성북구 용산구 강서구 강동구 광진구 중랑구 종로구 중구 동작구 동대문구 성동구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 금천구 0 구로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광진구 금천구 강동구 중랑구 성동구 영등포구 강서구 은평구 관악구 용산구 마포구 종로구 도봉구 중구 강북구 양천구 서대문구 동작구 성북구 동대문구 노원구 여자남자일함일하지않음기타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3.4 시 1 인가구의경제활동상태 3.5 여성 1 인가구 의 1인가구의경제활동참가율은 61% 2010년기준의 1인가구주중경제활동에참여하고있는비율은 61.2% 이다. 의경우는보다약간더높은 62.6% 로나타난다. 전국 1인가구주의경제활동참여율은 56.2% 이다. 남성 1인가구의 69% 가경제활동에참여하는반면, 여성 1인가구주의 54.5% 만이경제활동에참여하고있다. 이비율이에서는각각 73%, 52.6% 로나타났다. 여성1인가구주의경제활동비율이과반정도에불과하여여성1인가구주의경제적열악함을추정할수있다. 자치구에서 1인가구경제활동참여율은구로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순구로구 1인가구의 65.1% 가경제활동에참여하여자치구중가장높은참여율을보였으며, 그다음이서초구 63.6%, 강남구 63%, 송파구 61.9% 순으로전체평균보다높은비율을나타냈다. 그림 4-11 과의 1 인가구가구주의경제활동참여비율 (2010) 100% 80% 69.0% 73.0% 61.2% 62.6% 60% 40% 54.5% 52.6% 의전체 10 가구중한가구이상은여성 1인가구 1인가구의비율이전체가구의 이상을차지하면서여성이 1인가구의가구주인경우도크게증가하였다. 이라는대도시에서여성 1 인가구수는 2010년현재 450,030 이다. 여성 1인가구가전체가구가운데차지하는비율은 12.6% 로의 10 가구가운데한가구이상은여성혼자서가구주로사는여성 1인가구이다. 이를과비교해보면, 의여성 1인가구수는 917,146이고이는전체가구의 10.9% 를차지한다. 전체가구중여성 1인가구의점유율로보면이보다더높다. 표 4-8 과의전체가구중여성 1 인가구규모및비중 (2000-2010) 구분 전체가구수 여성 1인가구주비율이가장높은구는강남구시전체구가운데여성 1인가구주의비율이가장높은곳은강남구이다. 강남구에서는전체가구의 17.5% 를여성 1인가구가차지하고있다. 1인가구비율이높았던관악구에서도여성 1인가구의비율이높아관악구의경우전체가구의 17.1% 가여성 1인가구이다. 이뒤를마포구 (15.7%), 용산구 (15.5%), 종로구 (15.4%), 서대문구 (14.7%) 의순으로잇고있다. 2000 2005 2010 여성1인가구여성1인가구여성1인가구전체전체가구수가구수가구수 % 가구수 % 가구수 % 3,085,936 264,905 8.58% 3,309,890 353,835 10.69% 3,504,297 450,030 12.60% 0% 계남자여자계남자여자 6,502,119 483,542 7.44% 7,462,090 697,881 9.35% 8,254,281 917,146 10.90% 52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53
Ⅳ. 가구구조 4. 노인가구 표 4-9 자치구별전체가구중여성 1 인가구수및비중 (2010) 4. 노인가구 구분 전체가구수 여성 1 인가구 가구수 % 4.1 노인가구의변화 강남구 202,906 35,518 17.5 관악구 221,895 37,883 17.1 마포구 143,997 22,634 15.7 용산구 90,423 14,002 15.5 종로구 60,008 9,255 15.4 서대문구 114,830 16,888 14.7 중구 47,410 6,949 14.7 동대문구 131,402 18,178 13.8 의노인가구는전체가구중 20.2%, 과전국에비해증가폭이큼노인가구란 65세이상의노인을가구원으로포함한가구를말한다. 2010 년의 65세이상노인을가구원으로포함하고있는가구는총 709, 585호로시전체가구의 20.2% 이다. 2000년노인가구는전체가구의 14.2% 였으며, 2005년에는 16.9% 로 559천가구였다. 의노인가구는 5년마다 3% 이상증가하는급속한증가세를보인다. 역시비슷한패턴이나보다는노인가구비중이낮다. 2000년에서노인가구의비율은 14.8%, 2005년에는 17.1%, 2010년에는 19.8% 이었다. 의노인가구구성을보면 2세대가구가전체노인가구의 32.6% 를차지 2010년의노인가구를세대구성별로살펴보면, 전체노인가구중 32.6% 에해당하는 231,465 가구는 2세대가구이다. 즉부모와자식세대로구성된가구인것이다. 노인부부로만구성된 1세대가구는노인가구의 23.7% 를차지하고있다. 노인혼자만으로구성된노인 1인가구, 즉노인단독가구는전체노인가구중 19.6% 에해당하는 138,825 가구이다. 노인가구중조부세대, 부모세대, 자녀세대가함께거주하는 3세대가구는전체노인가구중 23.2% 에달한다. 노인가구구성은 2세대가구 30%, 3세대가구 25.2%, 노인단독가구 24% 로구성되어있다. 광진구 138,030 19,085 13.8 동작구 149,146 19,873 13.3 표 4-10 자치구별노인 1 인가구주의성별구조 (2010) 성북구 164,849 21,031 12.8 구분 2000 2005 2010 강북구 117,749 14,639 12.4 성동구 109,701 13,279 12.1 서초구 138,265 16,506 11.9 중랑구 146,265 17,002 11.6 강서구 194,862 22,464 11.5 영등포구 149,566 16,609 11.1 438,578 559,256 709,585 14.2% 16.9% 20.2% 964,512 1,279,389 1,632,075 14.8% 17.1% 19.8% 금천구 93,523 10,240 10.9 은평구 155,647 16,735 10.8 송파구 221,990 23,564 10.6 표 4-11 자치구별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 (2010) 구분계 1 세대가구 2 세대가구 3 세대가구 4 세대이상가구 1 인가구비친족가구 강동구 161,158 16,833 10.4 노원구 197,921 20,454 10.3 도봉구 119,431 12,100 10.1 구로구 151,168 14,381 9.5 양천구 155,355 13,928 9.0 709,585 168,455 231,465 164,926 2,058 138,825 3,856 100.0% 23.7% 32.6% 23.2% 0.3% 19.6% 0.5% 1,632,075 391,433 490,124 411,807 5,725 324,712 8274 100.0% 24.0% 30.0% 25.2% 0.4% 19.9% 0.5% 54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55
Ⅳ. 가구구조 4. 노인가구 4.2 구별노인가구현황, 2010 4.3 노인 1 인가구주의차별적특성, 2010 노인가구의비율이가장높은구는강북구로전체가구중노인가구의비율은 25.7% 강북구에서는전체가구중 4가구가운데한가구이상이노인가구이다. 다음으로종로구의노인가구비율이 24.9% 이며, 중구 24.7%, 서대문구 24.4%, 은평구 24.1% 순으로노인가구비중을보이고있다. 반면강남구에서는전체가구중노인가구의비율이 15.2% 로전체구가운데가장낮다. 1인가구의비율이매우높았던관악구에서도노인가구는관악구전체가구의 16.5% 밖에되지않는다. 광진구 (16.8%), 송파구 (17.2%), 강동구 (18.0%), 서초구 (18.1%), 양천구 (18.5%) 등도노인가구의비율이낮은편이다. 표 4-12 자치구별전체가구중노인가구규모와비중 (2010) 구분 가구수 비중 강북구 30,092 25.7% 노인 1인가구는 85% 이상이여성가구주노인 1인가구주는대부분여성가구주이다. 구별로보면구로구의노인 1인가구주가운데 85.7% 가여성이다. 서대문구 85.2%, 성동구 85%, 도봉구 82%, 종로구 82% 등이여성노인가구주임을알수있다. 노인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3세, 도봉구노인 1인가구주평균연령은 75.9세로가장높아혼자사는노인의평균연령을파악하는것은노인복지정책의중요한근거자료가될수있다. 의노인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3세이다. 이를 그림 4-13 자치구별노인 1 인가구주의성별구조 (2010) 100% 자치구별로보면도봉구의노인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5.9세로가장높다. 그다음이강서구 75.4세, 마포구 75세순이다. 이세지역은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이 75세를넘는다. 상대적으로노인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이젊은자치구인관악구 (72.7세), 중구 (72.6세), 용산구 (72.4 세 ), 영등포구 (72.0세), 금천구 (71.4세) 등도 70세가넘어노인 1인가구주의평균연령이높음을알수있다. 종로구 14,399 24.9% 중구 11,272 24.7% 90% 80% 14.3 14.8 15.0 17.3 18.0 19.7 20.4 20.7 20.8 21.4 21.8 22.5 24.1 24.2 24.6 25.0 27.3 27.7 27.7 28.8 29.0 29.6 30.6 31.7 34.9 서대문구 27,468 24.4% 은평구 37,405 24.1% 70% 도봉구 27,884 23.4% 60% 용산구 19,997 23.1% 50% 동대문구 29,321 22.9% 40% 85.7 85.2 85.0 82.7 82.1 80.3 79.6 79.3 79.3 78.6 78.2 77.6 75.9 75.8 75.4 75.0 72.7 72.3 72.3 71.3 71.1 70.5 69.4 68.3 성북구 37,041 22.7% 30% 65.1 노원구 42,454 21.5% 성동구 22,835 21.3% 중랑구 30,507 21.0% 영등포구 29,154 21.0% 10% 0 구로구서대문구성동구도봉구종로구송파구중랑구금천구양천구동작구노원구강북구영등포구서초구관악구강동구은평구강서구동대문구성북구중구강남구광진구마포구용산구 동작구 29,881 20.5% 여자 남자 마포구 28,314 20.0% 금천구 17,257 19.9% 구로구 28,295 19.8% 그림 4-14 자치구별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 (2010) 강서구 37,217 19.2% 양천구 28,548 18.5% 서초구 24,734 18.1% 강동구 28,718 18.0% 송파구 37,776 17.2% 76.0 75.0 74.0 73.0 75.9 75.4 75.0 74.4 74.3 74.1 73.9 73.8 73.8 73.7 73.6 73.5 73.4 73.4 73.4 73.2 73.2 73.2 73.1 73.0 72.7 72.6 72.4 광진구 22,469 16.8% 72.0 72.0 71.6 관악구 35,904 16.5% 강남구 30,643 15.2% 71.0 도봉구 강서구 마포구 구로구 양천구 동작구 서대문구 노원구 성북구 중랑구 강동구 강남구 은평구 송파구 서초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종로구 강북구 관악구 중구 용산구 영등포구 금천구 56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57
Ⅳ. 가구구조 5. 이혼가구 5. 이혼가구 5.1 이혼가구의분포 가구주의이혼상태가구는 260,789가구로전체가구의 7.4% 이혼가구란가구주의혼인상태가이혼인경우이다. 2010년기준의전체가구중이혼가구는 260,789가구로전체가구의 7.4% 를차지하고있다. 의이혼가구는 644,077가구로전체가구의 7.8% 를차지해과비슷한비율을보인다. 이혼가구가가장많은자치구는중랑구구별로이혼가구의비율이가장높은지역은중랑구로이혼가구가 16, 362이다. 이는중랑구전체가구의 11.3% 를차지하는규모이다. 즉중랑구에서는 10가구가운데 1가구이상이가구주가이혼상태인셈이다. 강북구와금천구에서도각구의전체가구중이혼가구가차지하는비중이 10.5%, 10.1% 를차지한다. 은평구는이혼가구의비율이 9.3%, 강서구 9.1%, 중구 8.7%, 강동구 8.4%, 도봉구 8.4% 의순으로이혼가구의비율이높다. 한편, 서초구의이혼가구비율은가장낮은 4.9% 이다. 표 4-13 과의이혼가구규모와비중 (2010) 전체이혼가구주가구구분가구규모전체가구중비중 표 4-14 자치구별이혼가구규모와비중 (2010) 구분 이혼가구주가구규모 전체가구중비중 중랑구 16,362 11.3% 강북구 12,277 10.5% 금천구 8,740 10.1% 은평구 14,388 9.3% 강서구 17,534 9.1% 중구 3,964 8.7% 강동구 13,408 8.4% 도봉구 9,965 8.4% 노원구 14,757 7.5% 동대문구 9,481 7.4% 양천구 11,308 7.3% 종로구 4,230 7.3% 광진구 9,683 7.3% 성동구 7,727 7.2% 서대문구 7,839 7.0% 영등포구 9,630 6.9% 성북구 11,236 6.9% 용산구 5,950 6.9% 구로구 9,482 6.6% 송파구 14,364 6.5% 마포구 8,898 6.3% 관악구 13,348 6.1% 표 4-15 과의성별이혼가구주가구규모와비중 남성이혼가구주가구 여성이혼가구주가구 구분 가구규모 전체남성가구주가구중비중 가구규모 전체여성가구주가구중비중 101,446 4.0% 159,343 16.2% 264,158 4.3% 379,919 18.1% 그림 4-15 과의이혼가구가구주의연령및성별구조 (2010) 남자 여자 85세이상 80-84세 75-79세 70-74세 65-69세 60-64세 55-59세 50-54세 45-49세 40-44세 35-39세 30-34세 25-29세 20-24세 14 12 10 8 6 4 2 0 0 2 4 6 8 10 12 14 260,789 7.4% 동작구 8,453 5.8% 강남구 11,038 5.5% 5.3 이혼가구주의경제활동과가구원구성 644,077 7.8% 서초구 6,727 4.9% 남성이혼가구주의 68%, 여성이혼가구주의 58% 가 표 4-16 이혼가구주의경제활동상태 경제활동에참여 남성이혼가구주가운데 67.7% 는경제활동에참여하고있는반면 27.7% 구분남자여자 5.2 이혼가구주의성별, 연령별특성 는일하지않고있다. 여성이혼가구주는남성에비해경제활동참여율이낮게나타났는데, 여성이혼가구주가운데 57.5% 는경제활동을하고 일함 67.7% 57.5% 있으나, 35.3% 는경제활동에참여하지않고있다. 이혼가구주가구는여성가구주가남성가구주보다많아 이혼가구주는여성 45-49 세집단비율이가장높아 일하지않음 27.7% 35.3% 이혼가구의가구주의성별구조를보면에서남성이혼가구의수가 시전체이혼가구주를 100 으로보았을때, 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는 시자치구중용산, 강남, 동대문구의이혼가구는 1 인 101,446 이고, 여성이혼가구의수는 159,343 으로나타난다. 남성가구주 집단은여성 45-49 세로전체의 13.5% 를차지한다. 여성 50-54 세집단이 가구가중심 기타 4.6% 7.2% 중남성이혼가구가차지하는비율은 4% 에불과하지만여성이혼가구는 13.3%, 여성 40-44 세집단은전체이혼가구의 10.5% 를차지한다. 즉 이혼가구의가구구성유형을보면 1 인가구의비율이높지만지역별편차가 여성가구주가구의 16.2% 로남성이혼가구비율보다훨씬높다. 여성 4,50 대이혼가구주가의이혼가구의 40% 가까이차지하고있다. 크다. 용산구 (60.0%), 강남구 (54.6%), 동대문구 (52.6%), 마포구, 서초구 합계 100% 100% 역시여성이혼가구주가전체여성가구주에서차지하는비율은 18.1% 로 남성 50-54 세이혼가구주집단은전체이혼가구의 8.7% 를, 남성 등의이혼가구는 1 인가구의비율이높다. 그러나강북구에서는 2 인가구 남성이혼가구주가구가전체남성가구주가구에서차지하는비율 4.3% 45-49 세이혼가구주는 8.1% 를차지한다. 그다음으로다시여성 55-59 유형이 39.8% 로 1 인이혼가구인 24.7% 보다높다.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비율보다훨씬높게나타났다. 세이혼가구주집단이전체이혼가구의 7.9% 를차지한다. 58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59
2.3% 2.2% 1.9% 1.8% 1.8% Ⅳ. 가구구조 6. 다문화가구 그림 4-16 자치구별이혼가구의평균가구원수 100% 90% 80% 70% 60% 50% 40% 30% 10% 0 4.4 20.0 60.0 4.6 16.4 54.6 4.1 15.5 15.6 24.6 27.8 52.6 6.0 48.8 용산구강남구동대문구마포구서초구성동구종로구강서구중구광진구동작구영등포구관악구중랑구강북구금천구구로구양천구노원구도봉구은평구강동구서대문구송파구성북구 자료 : 2010 인구총조사 1% 표본원자료 6.3 16.7 15.6 28.6 29.7 48.4 2.9 26.5 23.5 47.1 11.6 46.5 4.5 10.3 23.2 14.0 18.0 46.5 46.2 4.9 19.6 27.9 25.8 25.6 30.4 45.1 6.8 43.2 11.3 42.3 6.9 41.8 4.5 21.6 21.9 26.1 18.6 28.4 27.8 29.5 27.9 41.4 1 2 3 4+ 5.8 28.3 25.8 40.0 2.3 23.9 35.2 38.6 11.0 34.2 37.8 8.3 17.1 24.8 37.6 5.6 22.5 36.6 16.7 13.3 29.4 35.2 34.4 35.6 12.5 26.4 25.7 35.4 7.6 24.3 34.0 34.0 14.1 21.1 32.4 9.8 25.4 32.4 32.8 32.0 5.4 30.1 39.8 24.7 6. 다문화가구 6.1 다문화가구의분포 의다문화가구는전체가구의 3.3% 다문화가구는가구원으로외국인이나귀화한내국인을포함하는가구를의미한다. 2010년인구센서스기준의다문화가구는 115,043호로전체가구의 3.3% 를차지하고있다. 의다문화가구는전체가구의 3.1% 를차지하며, 전국수준에서는한국사회전체가구의 2.2% 가다문화가구이다. 시자치구중다문화가구비중이가장높은구는영등포구영등포구는전체가구중 10.6% 가다문화가구이다. 그다음이금천구 10.1%, 구로구 8.1% 순이다. 용산구도다문화가구의비율은 6.9% 이다. 전체가구중 5% 대의다문화가구비율을보이는자치구는중구 (5.3%) 와종로구 (5.3%) 이다. 서초구는다문화가구의비율이 2.8%, 강남구 2.3%, 송파구 2.2% 로강남 3구의다문화가구비율은비슷하게낮은수준이다. 에서다문화가구비율이가장낮은지역은노원구로다문화가구비율이 1% 에불과하다. 도봉구 1.1%, 은평구 1.3%, 강북구 1.4%, 강서구 1.6% 등도다문화가구비율이낮은구들이다. 그림 4-17 과의전체가구수대비다문화가구의비중 (2010) 3.35% 3.3% 3.30% 3.25% 3. 3.15% 3.1% 3.10% 3.05% 3.00% 그림 4-18 의자치구별전체가구수대비다문화가구의비중 (2010) 12.0% 10.0 10.6% 10.1% 8.0 8.1% 6.9% 6.0 5.3% 5.3% 4.6% 4.0 3.7% 3.5% 3.4% 3.2% 2.9% 2.8% 2.8% 2.0 1.7% 1.6% 1.4% 1.3% 1.1% 1.0% 0.0 영등포구금천구구로구용산구중구종로구광진구성동구동대문구동작구관악구마포구서대문구서초구강남구송파구성북구강동구중랑구양천구강서구강북구은평구도봉구노원구 60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61
Ⅳ. 가구구조 6. 다문화가구 6.2 다문화가구의특성 6.2 다문화가구의연령구조 의다문화가구구성은 1인가구 33.8%, 2인이상친족가구 61.8%, 비친족가구 4.4% 의다문화가구가운데 1인가구는 33.8% 로 1인가구의비율이높다. 2인이상친족가구는다문화가구의 61.8% 를이루고있다. 다문화가구가운데비친족가구는 4.4% 이다. 의다문화가구중 1 인가구는 32.7%, 2인이상친족가구는 59.3% 이며, 비친족가구의비율은 8.0% 로나타났다. 다문화가구원의연령구조는 40대가가장많아다문화가구에속한가구원의연령구성을보면전체가구원중 40대가 23.3% 로가장많고, 그다음이 30대로 20.5% 를차지한다. 50대가 17.5%, 20 대가 16.4% 순으로나타났다. 중장년층이다문화가구원의중심연령임을알수있다. 다문화가구중외국인연령구조역시 40대가가장많아의다문화가구에속한외국인의연령구조는 40대가 25% 정도로가장많은비율을차지한다. 나머지연령층 (20대부터 50대까지 ) 은거의비슷한비율이다. 다문화가구원구성은외국인 61%, 귀화한외국인 9.2%, 한국인 30.2% 표 4-19 과의성별연령별가구원수및비중 다문화가구는정의상외국인이거나귀화한내국인이포함된가구이다. 따라서이정의에따르면 다문화가구에는외국인만아니라내국인도함께거주할수있다. 의다문화가구에속한모든 가구원수는 2010년인구센서스기준 254,288명이다. 이중남성이 48.7%, 여성이 51.3% 이다. 가구원구성의특성을살펴보면, 출생부터내국인인경우가전체다문화가구가구원수의 30.2%, 원래는외국인이었지만귀화한한국인은전체다문화가구가구원수의 9.2% 로나타났다. 한편, 지금 까지여전히외국인신분으로살고있는가구원은다문화가구전체가구원수의 60.6% 를차지한다. 표 4-17 과의가구원수및가구구성별다문화가구의수및비중 (2010) 구분 전체 1인가구 2인이상친족가구 비친족가구 115,043 38,849 71,145 5,049 100.0% 33.8% 61.8% 4.4% 구분 총가구원 내국인 ( 출생 ) 내국인 ( 귀화 ) 외국인 연령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254,288 123,774 130,514 76,787 43,331 33,456 23,520 7,103 16,417 153,981 73,340 80,641 24,321 12,436 11,885 16,942 8,497 8,445 1,022 509 513 6,357 3,430 2,927 0~9 9.6% 10.0% 9.1% 22.1% 19.6% 25.2% 4.3% 7.2% 3.1% 4.1% 4.7% 3.6% 12,524 6,218 6,306 5,855 2,982 2,873 1,421 650 771 5,248 2,586 2,662 10~19 4.9% 5.0% 4.8% 7.6% 6.9% 8.6% 6.0% 9.2% 4.7% 3.4% 3.5% 3.3% 39,053 16,021 23,032 4,735 2,156 2,579 3,548 1,090 2,458 30,770 12,775 17,995 20~2 15.4% 12.9% 17.6% 6.2% 5.0% 7.7% 15.1% 15.3% 15.0% 20.0% 17.4% 22.3% 52,174 25,542 26,632 14,233 8,237 5,996 6,176 1,497 4,679 31,765 15,808 15,957 30~39 20.5% 20.6% 20.4% 18.5% 19.0% 17.9% 26.3% 21.1% 28.5% 20.6% 21.6% 19.8% 59,166 30,828 28,338 14,202 10,413 3,789 6,282 1,751 4,531 38,682 18,664 20,018 40~49 23.3% 24.9% 21.7% 18.5% 24.0% 11.3% 26.7% 24.7% 27.6% 25.1% 25.4% 24.8% 252,886 82,739 149,920 20,227 100.0% 32.7% 59.3% 8.0% 44,548 21,928 22,620 8,829 5,473 3,356 3,843 1,093 2,750 31,876 15,362 16,514 50~59 17.5% 17.7% 17.3% 11.5% 12.6% 10.0% 16.3% 15.4% 16.8% 20.7% 20.9% 20.5% 22,502 10,801 11,701 11,991 5,573 6,418 1,228 513 715 9,283 4,715 4,568 8.8% 8.7% 9.0% 15.6% 12.9% 19.2% 5.2% 7.2% 4.4% 6.0% 6.4% 5.7% 계 574,646 299,710 274,936 184,834 111,246 73,588 50,976 13,312 37,664 338,836 175,152 163,684 표 4-18 과의전체가구원수와성별, 출신별다문화가구원수및비중 (2010) 0~9 58,576 30,024 28,552 45,327 23,047 22,280 2,190 1,076 1,114 11,059 5,901 5,158 10.2% 10.0% 10.4% 24.5% 20.7% 30.3% 4.3% 8.1% 3.0% 3.3% 3.4% 3.2% 구분 총가구원 내국인 ( 출생 ) 내국인 ( 귀화 ) 외국인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254,288 123,774 130,514 76,787 43,331 33,456 23,520 7,103 16,417 153,981 73,340 80,641 10~19 20~29 30~39 27,328 13,478 13,850 15,225 7,688 7,537 2,855 1,333 1,522 9,248 4,457 4,791 4.8% 4.5% 5.0% 8.2% 6.9% 10.2% 5.6% 10.0% 4.0% 2.7% 2.5% 2.9% 98,057 46,766 51,291 9,849 4,976 4,873 8,514 2,043 6,471 79,694 39,747 39,947 17.1% 15.6% 18.7% 5.3% 4.5% 6.6% 16.7% 15.3% 17.2% 23.5% 22.7% 24.4% 130,745 70,669 60,076 31,445 20,771 10,674 15,047 2,873 12,174 84,253 47,025 37,228 22.8% 23.6% 21.9% 17.0% 18.7% 14.5% 29.5% 21.6% 32.3% 24.9% 26.8% 22.7% 100% 48.7% 51.3% 30.2% 17.0% 13.2% 9.2% 2.8% 6.5% 60.6% 28.8% 31.7% 40~49 129,410 73,192 56,218 36,882 29,676 7,206 12,773 3,119 9,654 79,755 40,397 39,358 22.5% 24.4% 20.4% 20.0% 26.7% 9.8% 25.1% 23.4% 25.6% 23.5% 23.1% 24.0% 574,646 299,710 274,936 184,834 111,246 73,588 50,976 13,312 37,664 338,836 175,152 163,684 100% 52.2% 47.8% 32.2% 19.4% 12.8% 8.9% 2.3% 6.6% 59.0% 30.5% 28.5% 50~59 60세이상 83,257 43,309 39,948 19,578 13,199 6,379 6,622 1,744 4,878 57,057 28,366 28,691 14.5% 14.5% 14.5% 10.6% 11.9% 8.7% 13.0% 13.1% 13.0% 16.8% 16.2% 17.5% 47,273 22,272 25,001 26,528 11,889 14,639 2,975 1,124 1,851 17,770 9,259 8,511 8.2% 7.4% 9.1% 14.4% 10.7% 19.9% 5.8% 8.4% 4.9% 5.2% 5.3% 5.2% 62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63
Ⅳ. 가구구조 7. 요약 7. 요약 7.1 가구구조 7.3 1 인가구와노인가구 7.4 이혼가구와다문화가구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2010 년의 1 인가구는 85 만가구로전체가구의 의노인가구는전체가구중 20.2%, 에서가구주가이혼상태인가구는 260,789 가구로 약 2 배증가 23.9% 를차지 과전국에비해증가폭이큼 전체가구의 7.4% 1980 년부터의가구는계속증가하여 2010 년에는 3,504,297 2010 년의 1 인가구는 854,606 가구로시전체가구의 23.9% 노인가구란 65 세이상의노인을가구원으로포함한가구를말한다. 2010 이혼가구란가구주의혼인상태가이혼인경우이다. 2010 년기준의 가구로전국가구의 를차지하고있다. 2010 년의가구는 를차지한다. 1980 년에의 1 인가구의수는 82 천가구에불과했다. 년의 65 세이상노인을가구원으로포함하고있는가구는총 709, 전체가구중이혼가구는 260,789 가구로전체가구의 7.4% 를차지하고 8,254,281 가구로전국가구의 48% 에해당하며, 이비중은인구 이러한규모가 1985 년에는 156 천가구로증가하고, 1990 년에는 257 천 585 호로시전체가구의 20.2% 이다. 2000 년노인가구는전체 있다. 의이혼가구는 644,077 가구로전체가구의 7.8% 를 비중인 49% 수준과거의유사한수준이다. 1980 부터 2010 년까지약 30 가구, 1995 년에는 382 천가구로크게증가한다. 다시 2000 년에는 502 가구의 14.2% 였으며, 2005 년에는 16.9% 로 559 천가구였다. 의 차지해과비슷한비율을보인다. 년동안의가구는약 1.9 배, 은 2.8 배, 전국은 2.2 배증가하여 천가구, 2005 년에는 675 천가구등으로아주빠른속도로증가해결국 노인가구는 5 년마다 3% 이상증가하는급속한증가세를보인다. 증가율은, 전국, 순으로크게나타났다. 특히 1990 년과 1995 2010 년에 85 만여가구가 1 인가구이다. 1980 년에비해지난 30 년동안 역시비슷한패턴이나보다는노인가구비중이낮다. 2000 년 이혼가구주는여성 45-49 세집단비율이가장높아 년사이의가구증가율이크게감소하였다. 의 1 인가구는 10 배증가하였다. 노인가구는 14.8%, 2005 년 17.1%, 2010 년 19.8% 비율을보이고 시전체이혼가구주를 100 으로보았을때, 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는 있다. 집단은여성 45-49 세로전체의 13.5% 를차지한다. 여성 50-54 세집단이 2010 년의평균가구원수는 2.7 명, 은 2.8 명 1 인가구가구주의연령분포는 25-34 세에집중 13.3%, 여성 40-44 세집단은전체이혼가구의 10.5% 를차지한다. 즉 2010 년의평균가구원수 (family size) 는 2.7 명으로 1980 년 4.33 시 1 인가구가구주의연령분포는남성가구주의경우 25-29 세에서 의노인가구구성은 2 세대가구가 여성 4,50 대이혼가구주가의이혼가구의 40% 가까이차지하고있다. 명에비해크게감소하였다. 평균가구원수는,, 전국이모두 가장높고, 나이가많아질수록점점분포가낮게나타났다. 여성가구주의 전체노인가구의 32.6% 를차지 남성 50-54 세이혼가구주집단은전체이혼가구의 8.7% 를, 남성 비슷하게감소추세를보인다. 30 년동안의경우에도평균가구원 경우도 25-29 세에서가장높고, 나이가많아질수록점점분포가낮아지는 2010 년의노인가구를세대구성별로살펴보면, 전체노인가구 45-49 세이혼가구주는 8.1% 를차지하고있다. 그다음으로다시여성 수가 4.32 에서 2.78 명으로전국의경우에도 4.45 명에서 2.69 명으로감소 경향을보인다, 중년을지나면서분포가다시증가하여고령층에서의분포가 중 32.6% 에해당하는 231,465 가구는 2 세대가구이다. 즉부모와 55-59 세이혼가구주집단이전체이혼가구의 7.9% 를차지한다. 하였다. 높게나타난다. 자식세대로구성된가구인것이다. 노인부부로만구성된 1 세대가구는 노인가구의 23.7% 를차지하고있다. 노인혼자만으로구성된노인 1 인 의다문화가구는전체가구의 3.3% 7.2 가구소득 의 1인가구의경제활동참가율은 61% 2010년기준의 1인가구주중경제활동에참여하고있는비율은 61. 가구, 즉노인단독가구는전체노인가구중 19.6% 에해당하는 138,825 가구이다. 노인가구중조부세대, 부모세대, 자녀세대가함께거주하는 3 다문화가구는가구원으로외국인이나귀화한내국인을포함하는가구를의미한다. 2010년인구센서스기준의다문화가구는 115,043호로 2% 이다. 의경우는보다약간더높은 62.6% 로나타난다. 전국 세대가구는전체노인가구중 23.2% 에달한다. 노인가구구성은 2 전체가구의 3.3% 를차지하고있다. 의다문화가구는 의보통가구 ( 평균가구 ) 는월 327 만원소득규모 1 인가구주의경제활동참여율은 56.2% 이다. 남성 1 인가구의 69% 가 세대가구 30%, 3 세대가구 25.2%, 노인단독가구 24% 로구성되어있다. 전체가구의 3.1% 를차지하며, 전국수준에서는한국사회전체가구의 2011 년서베이자료기준으로의보통가구는남자가장이 48.3 경제활동에참여하는반면, 여성 1 인가구주의 54.5% 만이경제활동에 2.2% 가다문화가구이다. 세로전문대졸의학력을가지고있으며월 327 만원의소득을가진다. 이를 참여하고있다. 이비율이에서는각각 73%, 52.6% 로나타났다. 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3 세, 3 년전과비교해보면 2008 년의보통가구는 48.2 세의남자가장이 여성 1 인가구주의경제활동비율이과반정도에불과하여여성 1 인가구주의 도봉구노인 1 인가구주평균연령은 75.9 세로가장높아 의다문화가구구성은 1 인가구 33.8%, 고졸학력을가지고있으며월 292 만원의소득을가진다. 2011 년구별 경제적열악함을추정할수있다. 혼자사는노인의평균연령을파악하는것은노인복지정책의중요한 2 인이상친족가구 61.8%, 비친족가구 4.4% 가구소득은서초구가가장높고, 금천구가가장낮게나타났다. 권역별로는 근거자료가될수있다. 의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3 세이다. 의다문화가구가운데 1 인가구는 33.8% 로 1 인가구의비율이높다. 동남권이 379 만원으로가장높고서남권이 308 만원으로가장낮게 의전체 10 가구중한가구이상은여성 1 인가구 이를자치구별로보면도봉구의노인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은 75.9 세로 2 인이상친족가구가다문화가구의 61.8% 를차지하고있다. 다문화가구 나타났다. 1 인가구의비율이전체가구의 이상을차지하면서여성이 1 인 가장높다. 그다음이강서구 75.4 세, 마포구 75 세이다. 이세지역은노인 가운데비친족가구는 4.4% 이다. 의다문화가구중 1 인가구는 가구의가구주인경우도크게증가하였다. 이라는대도시에서여성 1 1 인가구주의평균연령이 75 세를넘는다. 32.7%, 2 인이상친족가구는 59.3% 이며, 비친족가구의비율은 8.0% 로 의중산층은 10 가구중 6 가구인 65.2% 인가구수는 2010 년현재 450,030 이다. 여성 1 인가구가전체가구 나타났다. 2011 년기준의중산층 ( 중위소득의 50~150%) 가구는월평균총가구 가운데차지하는비율은 12.6% 로의 10 가구가운데한가구이상은 소득이 150-450 만원인가구로전체가구의 65.2% 를차지하고있다. 여성혼자서가구주로사는여성 1 인가구이다. 3 년전 2008 년의의중산층비중은 2011 년과동일하지만중산층 구성에서변화가있다. 즉, 중산층비중은동일하지만경제위기상황에서 저소득층으로하락가능성이높은한계중산층은 2011 년 10 가구중 4 가구 정도 (38%) 로 2008 년대비 5% 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64 연구원통계연구 1 : 통계로본인구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