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내패션의류산업현황 1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경제적지표 1 2. 국내패션의류산업동향 3 3. 해외진출의류기업현황 9 4. OEM 의류기업현황 국내의류제조 봉제산업현황 16 II. 국내섬유패션산업인력수급현황 섬유패션인력수급지표

Similar documents
표목차 그림목차 표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규모 (2013년도현황 ) 1 표 2. 섬유산업의품목별수출입추이 3 표 세계 100대브랜드에해당되는패션의류브랜드 4 표 4. 국내패션의류브랜드별특성 7 표 5. 기업역량별진출유형분류 11 표 6. OEM ODM O

목차 Ⅰ Ⅱ (2013)

섬유패션산업동향 1) 생산및고용, 업체수변화 해외투자증가에따른국내생산기반축소 ㅇ우리나라섬유산업은국내적으로는경제성장초기부터국가경제발전에견인차역할을수행해오고있으며핵심기간산업으로의위상을견지 -70,80 년대섬유산업은경제성장을견인하는핵심주력산업으로생산이전체제조업의약 18%,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C1B6BBE7BFF9BAB85F E30312E687770>


- 1 -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2003report250-9.hwp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2 준정부기관위탁집행 2 총괄요약표 평가범주 지표명 비계량계량합계 가중치등급가중치득점가중치득점 1. 리더십 5 A o 책임경영 3 B 리더십 책임경영 3. 국민평가 사회적기여 (1) 사회공헌 2 B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1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160425_연구소_이슈_태양의_후예_수출파급효과.hwp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450 공기업 2 총괄요약표 평가범주 지표명 비계량계량합계 가중치등급가중치득점 ( 점 ) 가중치득점 1. 리더십 5 B 책임경영 3 B 리더십 책임경영 3. 국민평가 ( 고객만족도, 브랜드 )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17% 8 * 한국의류산업협회설문조사(24 개업체) < 생산국가비중> 중국니카라과 7% 5% 방글라데시 8% 과테말라 캄보디아 필리핀 2% 베트남 3 해외진출국내의류제조업체들의주요수출대상국은미국으로, 전체수출의 85.5% 를차지함 < 수출대상국비중> 인도 네시아 2 참

(%) < 섬유류수출물량및단가현황 > '13.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3.12 월 '14.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14.7 월 수출금액증가율수출물량증가율수출단가증가율 품목별수출 : 섬유원료, 섬유직물,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섬유패션산업 통계(2017.8)최종.hwp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ÁÖ5Àϱٹ«Á¦Á¶»ç(03).hwp

기업분석(Update)


< B3E2C0D3B1DDC1B6C1A4B1E2BABBB9E6C7E22DC3B7BACE2D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KOTRA 자료 해외시장권역별진출전략 < 유럽 >

hwp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54.1%) 기계류 (20.2%) 의류 (42.6%) 는증가, 제조용장비 ( 0.2%) 철광 ( 2.0%) 은감소 ( 소비재 : 34.9% 증가 ) 의류 (42.6%) 승용차 (8.2%) 담배 (98.8%) 등은증가,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목 차 1. LED/ 광 1 2. 자동차 의료기기 정보가전 플랜트엔지니어링 생산시스템 조선 로봇 화학공정 세라믹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 ii - - iii -

ºñÁ¤±ÔħÇغ¸°í¼�.hwp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 표 1> 폴란드의 3 대이동통신기업현황 구분사업현황영업현황주요주주 피티케이 센터텔 폴콤텔 l 2) 피티씨 - 설립연도 : 1994 년 - 시장점유율 : 30.9% - 가입자수 : 14.1 백만명 ( 선불제 : 7.3 백만명, 후불제 : 6.8 백만명 ) - 고용자수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중남미화장품시장현황 / 3 Ⅱ. 주요국별시장정보 / 9 ( 트렌드 유통망 인증 ) 1. 브라질 / 9 2. 멕시코 / 콜롬비아 / 칠레 / 64 Ⅲ. 우리기업진출전략 / 79 # 첨부. 화장품관

½Å½Å-Áß±¹³»Áö.PDF

2. 세계패션산업의규모 패션산업으로서의의류 (apparel) 산업은세계적으로가장오래되고가장규모가큰산업중의 하나다. 세계전체소비재매출중에서가장큰산업이식품산업으로 2.2 조달러이고, 다음이 의류산업으로 1.7 조달러이며, IT 제품의 7,780 억달러보다약 2.2 배더큰시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hwp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01정책백서목차(1~18)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발간사. 1978,. G-8 G-20.,..,,,

- 섬유원료, 섬유사의수출물량은증가하였으나수출단가하락영향으로수출액이감소했고, 인조섬유, 재생섬유, 인조장섬유사등의수출액감소폭이크게나타남 * 섬유원료수출품목 ( 백만불, 증감률 ): 인조섬유 (104, 9.2%), 재생섬유 (4, 65.6%) * 섬유사수출품목 ( 백만불

섬유패션산업동향 한국섬유산업연합회 1. 섬유류수출입동향 월수출 9.8%, 수입 9.8% 감소 ( 전년동기대비 ) ㅇ 11월섬유류수출액은 1,246백만불, 수입액은 1,091백만불로 155백만불의무역수지흑자기록 - 섬유원료와섬유사수출감소가지속되었으며, 2개월연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강의자료)구매단가 절감 전략 및 예상효과

Ⅰ Ⅱ Ⅲ Ⅳ

º»ÀÛ¾÷-1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4D F736F F D20C6D0BCC7C0C7B7F95FBFCFB7E12DB0F8BDC3BFEB5F4A696E2E646F6378>

1. 경영대학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Layout 1

- 2 -

<BCB6C0AFC6D0BCC7BBEABEF720B5BFC7E22834BAD0B1E229C3D6C1BE2E687770>

비상업목적으로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할경우내용의출처를명시하면자유롭게인용할수있으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경제연구실 : 주원이사대우 ( ,

ㅇ ㅇ

<4D F736F F D20B1E2BEF7C5BDB9E6BAEAB8AEC7C1202D20B7CEB8B8BCD F >

09³»Áö

( 수출현황 ) 품목별실적및특징 반도체 수요 서버및스마트폰등 증가지속등 으로 개월연속 억불대기록및 개월연속수출증가세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패널경쟁심화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수요확대에힘입어 개월만에증가전환 휴대폰 프리미엄스마트폰수출호조등으로 개월 연속수출증가 컴퓨터

시관련업체가 305,027 개사에달하는등국민경제 생활에기여효과가매우큰산업임 4. 우리나라섬유패션산업은원사, 직물, 염색가공, 패션의류등 Up Stream 에서 Down Stream 까지균형된생산기반을보유하고있으며생산기술도고르게발달됨 5. 의류용의경우중 저가범용품보다고부

Transcription:

섬유패션산업인력수급조사및실태분석 (2015 년 3 분기 ) 2015 년 11 월

목차 I. 국내패션의류산업현황 1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경제적지표 1 2. 국내패션의류산업동향 3 3. 해외진출의류기업현황 9 4. OEM 의류기업현황 12 5. 국내의류제조 봉제산업현황 16 II. 국내섬유패션산업인력수급현황 18 1. 섬유패션인력수급지표 18 2. 임금및근로현황 21 3. 산업기술인력현황 22 4. 자격현황 24 III. 국내섬유패션산업인력양성현황및방안 25 1. 섬유산업의미래를위한인력양성 25 2. 패션의류산업의미래를위한인력양성 26 참고문헌 34

표목차 표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규모 (2013년도현황 ) 1 표 2. 섬유산업의품목별수출입추이 3 표 3. 2015 세계 100대브랜드에해당되는패션의류브랜드 4 표 4. 국내패션의류브랜드별특성 7 표 5. 기업역량별진출유형분류 11 표 6. OEM ODM OBM 방식비교 13 표 7. 국내 OEM 업체현황 15 표 8. 국내봉제산업주요지표 17 표 9. 국내봉제업체규모별종사자수 17 표 10. 섬유제조패션분야 NCS 분류체계 18 표 11. NCS 분류기준섬유제조 패션분야사업체수및종사자수 ('13년) 18 표 12. 연도별섬유및패션의류분야취업현황 19 표 13. 섬유및패션의류인력부족률 19 표 14. 산업별인력부족전망 (5년간) 20 표 15. 섬유패션산업업종별월평균급여액 21 표 16. 섬유의류산업종사자의근로현황 22 표 17. 산업별산업기술인력수급현황 22 표 18.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현황 23 표 19.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의구인채용인력변화 23 표 20.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의연도별추이 23 표 21. 국가기술자격현황 24 표 22. 공인민간자격현황 24 표 23. 패션의류업계인력부족직종 27 표 24. 2013년도인력양성이필요한고부가서비스분야 28 표 25. 테크니컬디자이너에게요구되는자질및재교육필요한자질 29 표 26. 분야별필요한실무프로그램 32

그림목차 그림 1. 국내패션의류시장규모 2 그림 2. 국내의류제품의무역수지추이 2 그림 3. 전세계패션의류시장의지역별시장규모추이 4 그림 4. 1980년대이후글로벌패션산업변화 5 그림 5. 국내의류시장복종별규모 ( 손주리, 2013.07.24.) 6 그림 6. 가계당월평균의복소비지출액및비중 6 그림 7. 패션의류산업메가트렌드 : 의류 OEM 회사와해외진출회사 8 그림 8. 글로벌의류공급구조 12 그림 9. 의류 OEM 업체와내수패션기업의매출성장률 14 그림 10. 내수브랜드와의류 OEM 업체실적 15 그림 11. 세계화섬소재의발달과정및전망 25 그림 12. 한국패션산업의직종분류 26 그림 13. 패션의류산업내인재양성이요구되는직종 27 그림 14. 테크니컬디자이너와글로벌의류생산 30 그림 15. 테크니컬디자이너양성방안 30 그림 16. 패션의류기업에서희망하는교육내용 32

I. 국내패션의류산업현황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경제적지표 패션의류산업의규모 ㅇ섬유패션산업기업체수는 '13년기준 45,475개로제조업대비 12.3%, 종사자수는 301천명으로 7.9% 를점유하는핵심기간산업임. 이중, 패션의류제품제조업은봉제의복제조업, 모피가공및모피제품제조업, 편조의복제조업, 의복액세서리제조업을포함하며, '13년기준 1인이상전체제조업체의 6.5%, 종사자의 3.8%, 10인이상전체제조업체의 3.9%, 종사자의 2.5% 를점유하고있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5.10.12.). ㅇ이들패션의류산업관련지표는 24개산업중분류제조업분야중 10인이상업체수에서는 10위, 종사자수에서는 14위에해당되며 ( 통계청, 2013), 패션제품에속하는가죽, 가방및신발제조업의업체수 (786개), 종사자수 (19,846명) 를추가적으로고려한다면그비중은더큼을알수있음. 표 1. 국내패션의류산업의규모 (2013 년도현황 ) 구분 패션의류제품제조업 (A) 제조업 (B) 비중 (A/B,%) 1인이상사업체수 ( 개 ) 24,129 370,616 6.5 1 인이상사업체종사자수 ( 명 ) 144,266 3,802,218 3.8 10 인이상사업체수 ( 개 ) 2,554 65,389 3.9 10인이상사업체종사자수 ( 명 ) 69,639 2,813,575 2.5 생산액 ( 십억원 ) 18,035 1,495,730 1.2 출하액 ( 십억원 ) 17,529 1,491,736 1.2 부가가치 ( 십억원 ) 8,089 479,281 1.7 출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5.10.12.). 섬유패션산업통계 ; 통계청 (2013).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 ㅇ '13 년기준의류산업의생산액은 18 조 350 억, 출하액은 17 조 5,290 억으로 제조업대비 1.2% 를차지하고, 부가가치는 8 조 890 억에이름. '10 년기준 부가가치율은 45.1% 에달하여제조업평균인 32.6% 보다높은산업군임. - 1 -

ㅇ국내패션의류시장규모는 2012년 40조 2천억 (5.5% 상승 ), 2013년 43조 3천억 (7.5% 성장 ), 2014년 44조 6천억 (3.1% 성장 ) 에이르러 3개년연평균성장률은 5.2% 에이르며, 2015년도에는약 1.8% 성장시 45조 4천억에이를것으로추산됨 ( 한국섬유신문, 2015.11.01.).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15). 2015 패션시장조사사업 그림 1. 국내패션의류시장규모 수출입액과무역수지 ㅇ우리나라섬유 의류산업은원재료의 3 분의 1 을수입, 가공해완제품의 3 분의 2 를수출하는해외시장의존형, 수출주도형산업구조를갖고있음. ㅇ대표적외화가득산업으로서 1988년수출의 9.1% 를담당하는등주도적역할을하였으나, 점차수출액이감소하여 1998년을정점으로무역수지흑자폭도감소하기시작하였음. 이에는 1997년말국제통화기금의통제에따른설비의헐값해외유출과기술이전에따른경쟁력저하가작용하였음. 출처 : 무역위원회 한국의류산업협회, 2011EU 산업보고서 - 의류 그림 2. 국내의류제품의무역수지추이 - 2 -

ㅇ '13년세계섬유류수출액은전체상품의전년대비수출증가율의 4배에가까운 8.4% 증가하여, 섬유는 7.7% 증가한 3,059억불, 의류는 8.9% 증가한 4,603억불을기록함. 우리나라는중국, 유럽연합 (EU), 인도, 터키, 방글라데시, 베트남, 미국에이어세계 8위수출국으로서 159억달러를수출하였고, 146억달러를수입하여수입국세계 7위에랭크되었으며, 13억불의흑자라는성과를이루었음 ( 헤럴드경제, 2015.7.17.). 표 2. 섬유산업의품목별수출입추이 ( 단위 : 백만불, %) 연도 섬유류전체 MTI 4 섬유제품 MTI 44 의류 MTI 441 우븐의류 HS 6200 신변잡화 MTI 51 수출수입무역수지 수출수입무역수지 수출수입무역수지 수출수입무역수지 수출수입무역수지 1991 15578 2784 12794 8462 392 8069 7141 173 6968 3092 96 2996 4915 183 4732 1996 18112 5504 12607 5280 1834 3447 3970 1433 2537 1819 870 948 1909 674 1235 2001 16081 4860 11221 5279 1948 3331 3924 1562 2362 1745 958 786 1302 546 756 2006 13232 8037 5195 3203 4666-1463 1956 3611-1655 799 2444-1645 838 1340-502 2008 13317 8800 4517 2916 5337-2421 1526 4067-2541 657 2720-2063 839 1826-936 2010 13899 9924 3975 2747 5794-3047 1462 4247-2786 675 2803-2128 830 2216-1336 2011 15943 12624 3319 3034 7801-4767 1530 5877-4347 796 3945-3149 924 2959-2034 1991~95 3.67 13.37-6.30 28.29-7.97 42.47-7.10 44.61-14.39 22.35 1996~00 0.73-2.75 3.02-2.87 3.22-2.83 3.40-1.07-4.97-6.39 2001~05-2.81 6.84-7.55 13.42-10.03 12.43-11.01 14.27-6.62 14.45 2006~10 0.99 4.31-3.03 4.42-5.66 3.30-3.32 2.78-0.20 10.59 2011 14.70 27.20 10.46 34.64 4.65 38.37 17.94 40.73 11.45 33.54 섬유류 MTI4 는섬유원료 (41), 섬유사 (42), 직물 (43), 섬유제품 (44). 섬유제품 (MTI44) 은의류 (441), 기타섬유제품 (449). 의류 MTI441 는 HS61 니트의류, HS62 우븐의류, HS4203 가죽의류, HS4304 인조모피가죽의류, HS4303 모피의류등임. 신변잡화 MTI51 는신발 (512), 가방 (513) 및우산양산 (511), 벨트 (514), 기타장신구 (515: 장신구, 화장용품, 시계줄, 라이터등 ) 임. ( 주 ) 무역수지는수출액 - 수입액임 ( 주 ) CAGR 은 5 개년연평균증감율이고, 2011 년은전년동기대비증감율임 ( 자료 :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의무역통계데이터 ) 출처 : 무역위원회 한국의류산업협회, 2011EU 산업보고서 - 의류 2. 국내패션의류산업동향 세계적시장동향 ㅇ패션의류산업은가장역사가깊고큰산업중하나로서전세계적으로그 규모가 1.7 조달러에이르러식품산업다음으로큰산업이며, IT 제품의 2.2 배에이르는규모임 ( 하윤금, 2013.10.14.). ㅇ최근, 경기침체속에수입의 52% 를담당하는주요수입국인유럽과미국의소비량감소로 2016년전세계패션시장규모는 959조원 (CAGR +0.5%) 으로추정되며, 장기저성장세를유지할것으로전망됨. 투자기회가적은저성장기에는신흥국가의소비시장성장에주목해야하며중산층즉, 소비주체가많은시장을공략할필요가있음 ( 손주리, 2013.07.24.). - 3 -

ㅇ OECD에의하면, 2009년 19억명이던전세계중산층은 2020년 32억명, 2030년 49억명으로급증하고, 이중 90% 는아시아 태평양지역, 그중에서도중국, 인도, 브라질과같은신흥국에 70% 이상이거주할것으로예측됨. 이에, 패션소비시장의흐름또한선진국에서신흥국으로점진적인이전하여우리나라의비중역시증가할것으로전망됨 ( 손주리, 2013.07.24.). 그림 3. 전세계패션의류시장의지역별시장규모추이 ㅇ지속적저성장국면에도불구하고인터브랜드가정한 2015 세계 100 대브 랜드중스포츠용품 2 개사, 럭셔리 7 개사, 어패럴 4 개사의총 13 개패션의 류업체진입하였으며, 이들의총자산가치는 1,434 조 3400 만불에이름. 표 3. 2015 세계 100 대브랜드에해당되는패션의류브랜드 ( 단위 : 백만불 ) 순위브랜드명분류자산가치순위브랜드명분류자산가치 17 Nike 스포츠용품 23,070 62 adidas 스포츠용품 6,811 Louis Fiffany & 20 럭셔리 22,250 66 럭셔리 6,306 Vuittion Co. 21 H&M 어패럴 22,222 69 PRADA 럭셔리 6,222 30 ZARA 어패럴 14,031 73 Burberry 럭셔리 5,873 41 HERMES 럭셔리 10,944 91 Ralph Lauren 어패럴 4,629 50 Gucci 럭셔리 8,882 96 BOSS 어패럴 4,270 57 Cartier 럭셔리 7,924 자료 : www.interbrand.com ㅇ다양한소비자의요구에맞춰 2000 년대이후패스트패션, 다품종소량반 응생산을표방하는 SPA 시장의활성화가두드러지며, 인디텍스 (ZARA), H&M, 패스트리테일링 (Uniclo) 등이글로벌선두주자로활약하고있음. - 4 -

ㅇ단순히가격으로만승부하는중저가의류라는기존관념을깨버린 SPA 브랜드의성공에는 1) 기간단축과잘못된물량책정 ( 채찍효과 ) 을방지하는물류관리 IT시스템기반반응생산 2) 기존의매체광고가아닌고객접점공간으로서의매장기능을강화한공간중심마케팅 3) 럭셔리브랜드나아티스트와의콜라보레이션이주요역할을함. 이러한트렌드리더로서의브랜드이미지고급화와인지도향상을위한노력이주요하게작용하였음 ( 이준환외 3인, 2011.4.6.). 자료 : 섬유산업연합회 (2012), 글로벌 SPA 브랜드의국내시장진출과대응방안 그림 4. 1980 년대이후글로벌패션산업변화 내수시장동향 ㅇ 1960~70년 OEM, ODM 중심의공급시장에서소비시장으로변모한후, 해외패션을모방하는수입국수준에서 2000~2004년동대문중심의이지캐주얼패션, 2000년중반에는글로벌명품위주의시장성장, 가치소비, 아웃도어패션이성장을주도함. ㅇ경기둔화와날씨영향으로최근내수시장도성장세가둔화되었고, 특히, 캐주얼, 남성 여성복은정체가지속될것으로예상됨. 두드러진동향으로, 복종간경계모호, 짧은유행주기, 개성추구, 가치소비등을들수있음 ( 손주리, 2013.07.24.; 이준환외 3인, 2011.4.6.). - 복종간경계가무너진사례로캐주얼웨어와스포츠웨어를들수있으며, 웰빙추구, 라이프스타일의다양화등에서원인을찾을수있음. 다양한 일상상황에서기능성과실용성을발휘하는아웃도어의선전이눈에띔. - 5 -

그림 5. 국내의류시장복종별규모 ( 손주리, 2013.07.24.) - 의류업체가일방적으로사전에기획하여제공하는획일화된의복코드를받아들이던소비자가개성을추구하면서의복역할이다양해짐. 이에, 디자이너숍, 편집숍, 해외직구등다양하고차별화된유통채널이등장하였고, 자신의요구에맞는브랜드에대한충성도가높아지며, 믹스매치패션에유리한패션잡화부문의성장이기대됨. - 점차소득수준의양극화가심화되면서합리적가치소비를추구하는소비자가증가하고있는추세임. 소득이낮다고개성이나품질에대한욕구가사라지는것은아니므로가격대비좋은품질과다양성을제공하는 SPA 시장의성장의원동력으로작용함. 월평균가계지출의복비총액은소폭이라도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는양상이나, 기존브랜드에서 SPA브랜드로의전환은계속될것으로예측됨. 그림 6. 가계당월평균의복소비지출액및비중 ( 손주리, 2013.07.24.) - 6 -

국내패션의류기업특성 ㅇ현국내패션의류내수브랜드는내셔널브랜드, 디자이너브랜드, SPA브랜드로크게나눌수있음. 내셔널브랜드중대기업은해외진출을모색하는등글로벌브랜드화를추진하고있으나, 내셔널브랜드와디자이너브랜드는전반적으로감소하는추세로국내외적인경쟁력강화를위한전문컨설팅이나마케팅전략이필요한실정임. 세계적동향과마찬가지로대기업의국내 SPA브랜드런칭이눈에띔. 표 4. 국내패션의류브랜드별특성분류현황특성 내셔널브랜드디자이너브랜드 SPA 브랜드 Ÿ 우수한상품기획력, 품질에비해브 Ÿ 2007년이후감소랜드인지도에따라매출좌우 - 2007년 1004개 Ÿ 글로벌브랜드로의브랜드경쟁력 - 2012년 920개제고필요 Ÿ 2008년이후감소 Ÿ 전문마케팅및매니지먼트컨설팅 - 2008년 150개필요 - 2012년 140개 Ÿ 매출급성장 - 2008년 5억원 - 2012년 1조 4천억 - 2015년 5조원예상 Ÿ 글로벌 SPA브랜드의급성장 Ÿ 국내시장경쟁과열 Ÿ 토종브랜드에위협 Ÿ 한국형 SPA브랜드런칭러쉬 자료 : 산업연구원 (2013).Upgrade 패션한국을위한패션산업발전방안보고서. ㅇ글로벌저성장환경에처해있는현국내패션의류업계의주목할만한메가트렌드로, 1) 동남아에생산기지를보유한대형 OEM 벤더의안정적성장과 2) 국내패션시장저성장에따른경쟁심화및유통망확보의중요성, 3) 중국 2~3선도시개발로중가의류시장의고성장을들수있음 ( 최민주, 2013.6.25.). ㅇ기존의류패션산업의중심축이내셔널브랜드, 디자이너브랜드와같은내 수브랜드에있었다면, 이제는밸류체인과수출지역까지고려해 1) 의류 OEM 업체, 2) 내수브랜드, 3) 해외진출업체로그범위를확대해야할시 - 7 -

점임. 의류 OEM 업체, 내수브랜드, 해외진출업체의시가총액비중은 '09 년기준 39:56:5 이었으나, 13 년에는 43:42:15 로의류 OEM 업체와해외진 출업체의비중이증가하였음. 자료 : 최민주 (2013.6.25.). 산업분석 - 섬유의류. 그림 7. 의류패션산업메가트렌드 : 의류 OEM 회사와해외진출회사 국내의류제조업체역량변화 ㅇ임금향상등산업구조의변화로의류제조 수출패러다임또한직접임가공을담당하던방식에서글로벌벤더로서해외생산기지를활용하는방식으로전환되었음. 관련하여방글라데시,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중남미등현지공장설립을통한해외투자도증가하고있는추세임. ㅇ내수시장이침체되어일감부족으로봉제공장들의어려움이가중되고있 는반면, 일본, 미주, 유럽등으로부터의류샘플제작요청은증가하는추 세로수출시장의경기가내수시장보다좋음. - 8 -

ㅇ미주지역의물량은한솔이나노브랜드등수퍼벤더들에대한오더량이많 으며, 일본쪽물량은 7~12 명정도의영세한업체에서생산하고있음. 샘 플요청이들어오는품목은다이마루셔츠나직기제품임. ㅇ한편, 70 년대 OEM 방식으로수출담당하던벤더업체들은 ODM, OBM 방 식을병행하는경쟁력을갖춤으로써글로벌소싱 생산네트워크를활용한 새로운글로벌비즈니스모델의창출이가능하게됨. 3. 해외진출의류기업현황 국내패션기업의해외진출개요 ㅇ 2005년글로벌 SPA가본격적으로한국시장을공략하고내셔널브랜드간경쟁이치열해지면서해외시장개척은선택이아닌필수요건이됨. 중국에서성공을거둔이랜드, 보끄레머천다이징, 더베이직하우스등점차해외사업에서매출및이익을달성하는기업이증가하고있어국내패션브랜드의글로벌기업으로의도약을위해지원이필요한중요한시점으로분석됨 ( 한국패션협회,2013). ㅇ대기업뿐만아니라중견, 중소기업이글로벌행보에동참하였으며진출국가도중국등아시아를넘어미국, 유럽등으로확대되어 13년기준 110여개브랜드가해외시장에진출해있으며, 디자이너브랜드, 소규모브랜드까지합하면 150개가넘을것으로추정됨 ( 한국패션협회,2013). ㅇ국내브랜드를해외시장에소개, 수출하는단계를넘어서해외시장을거점으로브랜드를런칭하거나해외에대형플래그쉽을오픈하고, 해외유명브랜드를인수하는등의다양한글로벌브랜드육성형태를보이고있음. 일례로, 이랜드는자사브랜드가아니더라도세계각지역에네트워크를이미구축하고있는브랜드를인수함으로써해외진출확대하고있음. ㅇ진출형태는크게홀세일, 직진출, 파트너쉽, 합작회사, 합작투자, 라이센스의 6가지로구분되며, 60개기업조사결과, 직진출 29건, 홀세일 11건, 라이센스 11건, 파트너쉽 5건, 합작회사 2건, 합작투자 2건으로직진출, 홀세일, 라이센스가가장빈번한것으로나타남. - 9 -

ㅇ산업통상자원부는해외진출디자이너와브랜드에힘을실어주기위해 2009년글로벌브랜드육성프로젝트를통해 K-Fashion Project 마케팅지원프로그램과중국진출지원을위한 코리아패션비즈니스지원센터 ( 상해 ) 운영및한중패션비즈니스교류회등의프로그램을운영함. ㅇ문화체육관광부가주축이된 컨셉코리아, 서울시의 서울스텐소울 (Seoul's 10 Soul)' 을선두로국내패션디자이너들을지원하는프로그램이 더욱구체화되고있음. ㅇ최근, 중국도로컬브랜드의성장으로경쟁이심화되어제3의시장, 신흥국가로눈을돌리며해외진출지역을확장하고있음. 미국과유럽시장을공략하는국내업체들은아직미미한수준임. 미국과유럽은대부분홀세일비즈니스가기본이기때문에쇼룸을통한판로개척과유명트레이드쇼를통해바이어들을상담하는상황임. ㅇ한국콘텐츠진흥원이시행하는 신진디자이너판로개척지원사업 의일환으로국내패션디자이너 5개브랜드가이탈리아남성복쇼 피티워모 에참가, 지일근디자이너의 인스탄톨로지 는독점계약권제시를받는등이탈리아쇼룸 리비아그레고레티 에초청입점하는성과를거둠 ( 한국패션협회, 2013). ㅇ최근에는 스타일난다 같은온라인쇼핑몰브랜드도해외진출하였으며, 2010년중문, 영문, 일문쇼핑몰구축을통해해외시장공략에나섰고, 2013년에는홍콩아이티 (I.T.) 편집샵의요청을받아홍콩에단독매장을오픈함. 국내패션기업의해외진출전략 ㅇ한국패션협회 (2013) 는우리나라패션브랜드의해외진출핵심성공요인을디자인, 시스템, 자본으로보고, 이에근거하여진출형태를디자이너브랜드, 제2 내수시장공략형, 홀세일접근형, 유통브랜드추구형, OEM수출형, 인수합병형, 글로벌네트워크기반형의 7가지로분석하고각각에따른핵심경쟁전략을제시함. - 10 -

표 5. 기업역량별진출유형분류 역량 디 자 인 시 스 템 자 본 Ÿ Ÿ Ÿ Ÿ Ÿ Ÿ Ÿ 분류디자이너브랜드형제 2 내수시장공략형홀세일접근형유통브랜드추구형 OEM수출형인수합병형글로벌네트워크기반형 특성 Ÿ 장기적비즈니스를위해자본력, 소싱력을갖춘기업과의협력, 국가의지원프로그램필요. Ÿ 개인은디자이너브랜드내에서의네트워킹구축이필요함. Ÿ 국가미래경제를위하여창조적인글로벌디자이너양성이필수적인과제라할수있으며, 디자이너육성, 지원프로그램운영을통한후속주자를지속적으로발굴해야함. Ÿ Ÿ Ÿ 철저한현지시장 / 소비자조사가선행되어야하며현지인의수요에맞는상품개발이필수임. 고품질제품, 고품격서비스, 제품컨셉과매장비주얼의차별화등으로강점에성공. 중국패션마켓이빠르게성장하나디자인, 패턴, 디테일면에서우세하므로장점부각시킬수있는선택적인현지화전략필요. Ÿ 홀세일비즈니스에익숙하지않으므로바이어네트워크가탄탄한 쇼룸및홍보대행사개발중요. Ÿ 해외바이어는여러번참관하고최소 2년후부터오더하므로 아 이덴티티를명확히하고지속적으로참여하는것이중요함. Ÿ 홀세일사업에서가장중요한것은수주된상품을적시에납품하는 팔로우업 (Follow-up) 시스템의확보임. Ÿ 내수와해외사업을연계하는선기획시스템, 글로벌생산기반, 물 류시스템과같은글로벌역량을개발하는것이필수요건임. Ÿ Ÿ Ÿ Ÿ Ÿ Ÿ Ÿ Ÿ 다년간의현지조사, 이해를통해국가의특성, 소비자패션및유통환경등의시장분석과지역별, 세대별타겟팅이중요함 GDP성장과인구는많으나단가가낮은다른아시아국가들에진출하기위해서는해당국가의발전에기여하여소비수준을올리는윈윈 (win-win) 전략이필요함. 제안형 ODM( 제조자디자인생산 ) 시스템으로자체기획, 개발하여고객사가선택하도록함으로써경쟁력강화. OEM수출기반형업체가지향하는형태는리테일형태의글로벌 SPA 브랜드로이미강력한글로벌브랜드가존재하므로차별화될수있는아이덴티티구축및경쟁력확보가관건내수와해외진출을병행할수있는내부프로세스개선및시스템화가중요함. 국내기업의인수브랜드는대부분글로벌시장에서인지도가떨어지는상태에서인수되는경우가많아이를회복하기위한대대적마케팅전략이필요함. 특정지사, 라이센시지역을집중지원하여수익모델을만들고향후주변국으로확장하는전략. 피인수브랜드의오리지널리티를현소비자의니즈에부합하는형태로재정립하기위한투자가필수임. Ÿ 정공법을통한장기간의지속적투자와해외에일정권한을위임하는신속, 유연한운영시스템구축이선결과제 Ÿ 자본력을바탕으로인재육성, 펀딩프로그램등을통한글로벌인재확보나타분야의글로벌인재영입으로기업체질개선. Ÿ 다수브랜드보유로지역별특성을고려한진입이가능함. Ÿ K-pop 열풍과함께기획사와의합작투자로해외진출에강점을가질수있음. 자본력과글로벌네트워크를바탕으로한류콘텐츠를접목하여마케팅력을극대화하는전략이필요함. - 11 -

4. OEM 의류기업현황 의류 OEM 방식의특성 ㅇ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상표부착생산 ) 이란주문자위탁생산또는주문자상표부착생산을지칭하는약어로, 유통업체가제조업체에게자사상품의제조를위탁한후주문자의브랜드로판매하는방식을의미하며, 소비자기호나유행에민감한패션, 화장품산업에서주로적용되는추세임 ( 이희정, 2013.1.31.). ㅇ의류제조, 도매및중개, 판매의 3 단계로구분되는글로벌의류공급구조 에서 1 단계인제조부문을담당하며해외법인에서생산한후수입국으로 수출함. 자료 : 이희정 (2013.1.31.), 의류 OEM 산업의동향과전망 그림 8. 글로벌의류공급구조 ㅇ위탁업체는생산 CAPA 증설및생산인력고용에따른투자부담에서벗어나고, 생산을외부전문가에게맡겨품질을유지하며, 재고관리도용이하여제품디자인, 브랜드관리, 마케팅에전념할수있음. 수탁업체는저렴한인건비와큰규모의생산설비를갖추고경쟁우위를유지하여야하는부담이있으나브랜드마케팅, 유통채널확보등에드는비용이필요하지않으므로자금력이풍족하지않은중소기업들의진입이용이함. - 12 -

ㅇ 2000년대이후시장의글로벌화 기업의대형화 업무의전문화경향이강해지면서제조부문의비효율이발생하는경우 OEM 업체에위탁하기시작하였음. 도매업체및중개업체또는백화점, 전문점, 할인점으로구성된소매상, 유통업체의파트너로서의류제조생산의핵심적역할을수행함. ㅇ패션의류산업구조상고부가가치는브랜드력에좌우되는경우가많아생산을담당하는 OEM 업체의마진은상대적으로낮으며, 우리나라의류 OEM 업체들은 OEM ODM 방식의생산구조가일반적임. 그러나, 기술개발및경영전략에따라 OEM에서제품개발까지담당하는 ODM, 개발과유통을관장하는 OBM으로생산방식의단계적이동이발생하기도함. 표 6. OEM ODM OBM 방식비교 구분정의사업구조의류산업장점단점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위탁생산주문자상표부착생산 주문자가요구하는제품과상표명으로완제품을생산하는방식 ODM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제조자설계생산 하청업체가제품의개발과생산을모두담당하는방식 OBM (Original Brand Manufacturing) 자체상표생산 제품을자사상품이름으로판매하기위한자체생산방식 생산생산 + 디자인생산 + 디자인 + 유통 [ 재단 바느질 마감 포장 배송 ] 기존고객층을확보한시장에서매출신장가능대량생산에따른규모의경제가능 [ 디자인 ( 샘플승인 ) 원자재구매 ][ 재단 바느질 마감 포장 배송 ] OEM 대비부가가치높음로열티수익있음 위탁업체의계약여부에따라실적변동성높음마진율낮은편 디자인 ( 샘플승인 ) 원자재구매 ] [ 재단 바느질 마감 포장 배송 ] [ 유통 + 마케팅 ] 부가가치가장높음 유통채널구축및브랜드마케팅에시간과비용소요 자료 : 이희정 (2013.1.31.), 의류 OEM 산업의동향과전망 우리나라의류 OEM 산업의특징 ㅇ가내수공업형태의소규모공장에서시작된우리나라의류 OEM 산업은 1960년대노동집약적산업육성지원하에본격적으로시작됨. 1977년국내총수출액중의류수출액의비중이 20% 를상회하는등 70년대까지홍콩, 대만과함께주요수출국으로서의위상을높임 ( 이희정, 2013.1.31.). ㅇ그러나, 임금상승, 노사분규에따른경영환경악화와후발국의도전으로 80년대후반부터국제경쟁력이약화되면서정체기에접어들었고, 90년대에는고급제품은선진국, 중저가제품은개발도상국에게뒤처지는샌드위치현상이심화되면서어려움이가중됨. - 13 -

ㅇ이후의류제조업체대부분이저렴한노동력을제공하는중국, 베트남, 방글라데시등해외로생산기지를이전함. 생산국에기반한수출이이루어짐에따라아시아지역의주요의류제품수출국가는 1960~80년대한국, 홍콩, 대만에서 1990년대중국과인도, 최근에는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베트남으로이동하고있는추세임. ㅇ자체브랜드나유통망이없어서제품의판매실적추적이어렵고, 동남아 중 남미등해외에서생산하여미주 유럽지역으로수출하기때문에국내통계 에파악되지않아 OEM 업체의세계적시장점유율추산이용이하지는않음. ㅇ그럼에도, 국내 OEM 경쟁력은세계적으로수준급이라고판단하는데, 그근거는 1990년초봉제업생산노하우 ( 미국의류수입 M/S 8%), 인건비경쟁력이있는해외생산기지 (1990년대중남미, 2000년대동남아 ), 글로벌바이어성장에따른볼륨확대및간접적해외시장진출, 복종의다양화로인한제품 Mix 개선, 중국임금상승의반사수혜, TPP 발효시무관세혜택에따른가격경쟁력강화등을들수있음 ( 최민주, 2013.6.25.; 정세진, 2014.11.10.). ㅇ매출성장률을살펴보면, 내수기업이 11년을기점으로성장이꺾여 0% 에가까운반면, OEM 업체들은 5% 이상대의성장률을보임. 내수브랜드와달리 OEM 업체의성장률이꺾이지않는것은글로벌바이어들의브랜드력과단일브랜드에집중되지않고평균 10개, 많게는 30개이상의바이어로구성되는다양한브랜드포트폴리오덕분이라할수있음. 1) OEM 의류업체 2) 내수패션업체 자료 : 정세진 (2014.11.10.). 그림 9. 의류 OEM 업체와내수패션기업의매출성장률 - 14 -

ㅇ국내주요 OEM 회사평균영업이익률은 7.28%(2011 년기준 ) 으로내수 의류대기업의 6.9% 보다높은수준임. 자료 : 이희정 (2013.1.31.). 의류 OEM 산업의동향과전망 그림 10. 내수브랜드와의류 OEM 업체실적 ㅇ국내주요의류 OEM 업체들은외형규모 (1 조원내외기준 ) 로 1st Tier 인 세아상역, 한세실업과영원무역, 한솔섬유, 매출 5000 억규모의 2nd Tier 인태평양물산, 신성통상, 신원, 태평양물산등으로구분됨. 표 7. 국내 OEM 업체현황 ( 단위 : 년, 억원 ) - 15 -

ㅇ 2nd Tier 들의경우, 규모의한계를우모가공및자체브랜드등다른사업 을통해메우고있어상위 4 개사이외에는우리나라의류 OEM 업체의매 출액은 3 천억원정도로볼수있음 ( 정세진, 2014.11.10.). ㅇ 1st Tier들은규모의경제를바탕으로한가격경쟁력, 품질및납기충족능력을통해성장세를이어감. 주요아이템은영원무역 ( 아웃도어 ) 과태평양물산은우븐의류, 한세실업과신성통상, 신원은니트의류임. 우븐이니트에비해수익성높으며, 한세실업의경우, 우븐비중을높이는실정임. ㅇ 1st Tier들의지속적성장에는중국의인건비상승과같은국제적요인이작용함. 중국은인건비급상승으로 의류생산국에서소비국으로변모 하였고, 이는글로벌의류생산비용의상승을야기함. 결과적으로, 임가공비압박이가중되어바이어가대형벤더에게수주량을늘리는대신가격을낮추고자대형벤더에게주문을몰아주는현상인글로벌벤더컨설리데이션 (Vendor Consolidation) 이강화되고있는실정임 ( 최민주,2013.6.25.). ㅇ앞으로우리나라의류 OEM 산업은대형전략벤더와중소형선호벤더의주문증가, 소형벤더의도태가지속되며, 품질과가격에경쟁력이있는자가공장이하청공장보다선호되면서재하청을주는 Agent의역할이축소되고, 생산기지측면에서는중국의점유율 (M/S) 이감소하며동남아 (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미얀마등 ) 의 M/S가증가할전망임. 5. 국내의류제조 봉제산업현황 국내기반약화 영세화 ㅇ '90년대해외로생산기지가이동하면서국내생산기반약화되었으며, 일감이줄고, 2, 3차재하청오더에의한低마진으로영세화뚜렷해짐. 이에, 정규직보다는객공형태의계약을하는등근무환경, 급여수준도열악해지면서봉제인력의고령화가심해지고, 인력수급이어려워짐. 고급인력이지원하지않아전문성결여, 고난도숙련공의배출이어려운실정임. ㅇ봉제업체종사자수를보면, 199 년부터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으며특히, 1997 년 22.4%, 1998 년 14% 급감하여 2010 년현재 14 만 1 천여명에지 - 16 -

나지않음. 봉제업체규모별종사자수를보면, 1980년, 1985년에는 100-299명규모의종사자가가장많았으나, 1980년에 18.4% 에지나지않던 5-49명규모의종사자수가 2008년에는 72.7% 에이르러가장높은비중을차지함. 현봉제업체종사자평균은전국평균 5.8명임. ㅇ공임경쟁력이아닌품질경쟁력강화측면에서, 한국형브랜드인큐베이팅 을위한명장급의류제조인력양성이요구되며, 이는의류생산시설집적화 에따른생산인프라구축을전제로함. 표 8. 국내봉제산업주요지표 년도 사업체수 종사자종사자년도사업체수종사자수증감률종사자수증감률 1993 37,904 337,436 2004 23,753 163,106-16.0 1994 38,451 281,432-16.6 2005 23,189 149,704-8.2 1995 38,253 258,681-8.1 2006 24,855 155,612-3.9 1996 35,724 270,245 4.5 2007 24,240 152,130-2.3 1997 32,375 209,842-22.4 2008 23,065 146,867-1.9 1998 26,935 180,440-14.0 2009 22,841 144,116-1.8 1999 25,972 180,845 0.2 2010 22,470 141,465-1.8 2000 27,160 195,615 8.2 2011 23,507 146,961 3.9 2001 27,170 194,206-0.7 2012 24,210 149,750 1.9 2002 2,074 65,836 2013 24,129 144,266-3.7 2003 1,980 60,077 자료 : 최선윤 (2012). 국내봉제산업인력양성실태와전망 표 9. 국내봉제업체규모별종사자수연도 1980 1985 1990 2000 2005 2007 2008 종사자규모 5~49명 18.4% 20.8% 35.8% 66.0% 70.1% 71.2% 72.7% 50~99명 8.8% 15.4% 20.5% 13.9% 10.6% 9.1% 7.7% 100~299명 28.2% 28.7% 22.3% 9.0% 7.9% 12.4% 11.24% 300~499명 11.4% 10.5% 6.6% 3.5% 3.9% 4.1% 3.6% 500~999명 16.4% 12.8% 7.7% 5.3% 4.45 3.2% 4.8% 1000명이상 16.8% 12.8% 7.2% 1.5% 3.1% 0% 0% 총종사자수 ( 명 ) 198,898 239,181 244,491 152,118 114,435 126,087 122,477 자료 : 홍경희외 4 인 (2012). 의류봉제업체의생산현황과대량맞춤에대한인식 - 17 -

II. 국내섬유패션산업인력수급현황 1. 섬유패션인력수급지표 사업체수와종사자수 ㅇ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에의하면섬유제조 패션분야분류체계는대분류 1 개 ( 섬유 의류 ), 중분류 2 개 ( 섬유제조, 패션 ), 소분류는 7 개, 세분류 22 개로 구성됨 ( 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표 10. 섬유제조패션분야 NCS 분류체계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방사제직의류생산방적편직의류생산섬유생산제직패션제품생산가죽모피생산편직패션소품생산섬유제조사가공한복생산섬유가공염색가공의류유통관리섬유 의복구매생산관리섬유 의복패션가죽모피유통관리섬유생산관리패션제품유통생산현장관리신발유통관리 패션 패션제품기획 패션기획 패션디자인패턴비주얼머천다이징 신발개발 생산 패션소품유통관리 신발생산 표 11. NCS 분류기준섬유제조 패션분야사업체수및종사자수 ('13 년 ) - 18 -

ㅇ NCS 분류하에섬유제조 패션분야사업체수는신발제조업, 섬유 의복 신발 가죽관련도소매업등을포함하여 232,010 개, 종사자수는 68 만 6 천명임 ( 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취업현황및인력부족률 ㅇ 2014년섬유및의복관련취업건수는 8,569명으로전년대비 11.1% 감소함. 섬유 패션업체경영실적악화로신규구인인원은전년대비 20.9% 감소한 29,445명, 신규구직건수는 31.663명으로 2.5% 감소하였음. 표 12. 연도별섬유및패션의류분야취업현황 ( 단위 : 명, 개, %) ㅇ경기침체가장기화되면서 '15년도상반기상용근로자 5인이상섬유패션산업사업체의구인인원은 3,457명, 채용인원은 2,752명으로인력부족률은 2.9%, 전직종평균부족률 2.3% 에비해높게나타남. 표 13. 섬유및패션의류인력부족률 ( 단위 : 명, %) - 19 -

ㅇ제조업에서서비스업으로진행하는산업구조의고도화로노동력을서비스부문이흡수하고있으나낮은생산성으로저부가가치일자리위주로구성되고있음. 아울러, 젊은층이유입되지않으면산업의기반자체가흔들리수있으므로일자리의고부가가치화와적재적소산업이력의공급이필수적임 ( 경제관계장관회록, 2013.9.24.). ㅇ섬유의류제조, 봉제산업에서는인력수요는있으나지원인력이부족하여인력수급의미스매치가발생하고있음. 인력부족률이높아편조원단및편조제품제조업 18.93%, 봉제의복제조업 8.36% 임. 전국의류제조업체중 17.4% 에서업체당 3명인력부족호소하고있으며, 부족한인력해결시약 1,1000명고용창출가능함. ㅇ섬유패션분야는인력양성필요한 4 대전략산업으로서뿌리산업과함께인 력이유입되지않아산업생태계기반이와해될우려가있어우선지원할 전략산업군으로타게팅됨 ( 경제관계장관회록, 2013.9.24.).. ㅇ섬유산업회생을지원하고, 국내소비재의대중명품화를이끌어갈패션디자인 봉제인력을 17년까지 2,100명양성할계획이수립되어있으며, 레저산업을선도하고전제조과정을통섭할생산관리, 시장개척고급전문인력, 제품의품질과디자인향상을위한현장수요형기술인력의양성을목표로함 ( 경제관계장관회록, 2013.9.24.). 표 14. 산업별인력부족전망 (5년간) 구분 해양플랜트 임베디드 SW 뿌리산업 섬유 패션 인력부족규모 5천명 11천명 2.5만 4천명 고급인력 설계 HW/SW 하이브리드연구요원엔지니어링융합디자인 중급인력 연구개발 연구개발 숙련기술자 시장개척인력 기능인력 용접, 배관 - 주조, 용접 봉제인력 기계, 화공, 무인자동차, 전산업의아웃도어의류, 他산업 SOC, 환경, 항공기등공통기반인력, 섬유 + 신발융합, 파급효과에너지미래성장동력산업혁신 3.0 글로벌명품 - 20 -

2. 임금및근로현황 업종별월평균급여액 ㅇ '13년도섬유패션산업월평균급여액은 2,159천원으로, 화학섬유제조업을제외하고는전체평균급여액 3,081천원의 70% 수준또는그이하인것으로나타났음. 특히봉제의복제조업 1,901천원, 의복액세서리제조업 1,696천원은제조업대비 60% 수준으로개선의여지가있음을시사함. 표 15. 섬유패션산업업종별월평균급여액 ( 단위 : 천원, 전년대비 %) 근로현황 ㅇ '14년기준, 전체제조업평균대비섬유의류산업의근로연령은높고근속년수는짧은편임. 섬유제품제조인력의월근로일수 (22.4일) 및근로시간 (201.8시간) 은제조업대비많고, 의복제품제조인력 (20.9일, 176.4시간 ) 과제조업인력 (21.4일, 187.7시간 ) 보다도더많은것으로나타남 ( 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 21 -

표 16. 섬유의류산업종사자의근로현황 3. 산업기술인력현황 ㅇ산업기술인력이란고졸이상학력자로서사업체에서연구개발, 기술직또는생산및정보통신업무관련관리자, 기업임원으로근무하고있는인력을말하며, '13년기준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은 33,810명으로제조업전체인력 1,070천명의 3.2% 를차지하여바이오 헬스산업 (2.3%) 을제외하고는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음. 표 17. 산업별산업기술인력수급현황 - 22 -

ㅇ섬유산업종사자수에대한산업기술인력의비중은 20.2% 로제조업평균 35.1% 에비해낮은편임. '13 년섬유산업분야산업기술인력부족인원은 815 명, 인력부족률은 2.4% 로제조업전체평균 2.4% 와유사한수준임. ㅇ '13년섬유업체의산업기술인력구인인력은 3,256명으로, 전년대비 9.8% 감소했으며, 구인인력의 94.7% 인 3,085명을채용하였으며, 2015년채용이예상되는산업기술인력은 1,036명임. 표 18.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현황 ( 단위 : 명, %) ㅇ '13년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구인, 채용및퇴사인력모두전년대비신입자는감소한반면, 경력자는증가함.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중 '13년퇴사인력은 3,427명이며, 이중경력직은 2,156명으로 62.9% 를차지함. 표 19.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의구인채용인력변화 ( 단위 : 명, %) ㅇ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은매년증가하고있으며, 특히 2012년에는전년대비 4배가까이증가하였고, 인력부족률은 09-10년에비하면낮아졌으나여전히부족한실정임. 표 20. 섬유산업산업기술인력의연도별추이 ( 단위 : 명, %) - 23 -

4. 자격현황 국가기술자격현황 ㅇ섬유패션분야국가기술자격은기술사 2종목, 기사 2종목, 산업기사 5종목, 기능사 6종목으로총 15종목이시행되고있음. 최근 3년간 ( 12년 ~ 14년 ) 섬유패션분야국가기술자격증취득자는총 5,288명이며취득자수는매년감소추세를나타냄 ( 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표 21. 국가기술자격현황 공인민간자격현황 ㅇ패션분야공인민간자격으로는한국직업연구진흥원에서관리하는샵마스터 (3 급 ) 종목이있음 ( 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표 22. 공인민간자격현황 - 24 -

III. 국내섬유패션산업인력양성현황및방안 1. 섬유산업의미래를위한인력양성 섬유산업의유망직군 ㅇ섬유산업은우리나라수출의견인차역할을하는대표산업군으로서산업용, 의료용, 의류용, 인테리어용등다양한용도로아이템을확장하고고기능화로차별화하여후진국의수출시장잠식에대응하고, 새로운돌파구를찾기위해인력양성에대한제고가필요한시점임. ㅇ국내외전문가및대학, 연구소를연계하는네트워크를구성하여지도인력 Pool 을구성하고, 지도방법을체계화하여신제품개발, 생산공정효율화, 품질향상등을위한실시중소섬유업체에대한기술지도기반구축필요. 그림 11. 세계화섬소재의발달과정및전망 ㅇ다른이공계열분야와마찬가지로지속적기술개발을위한고도화된전문 적산업기술인력이필요한분야로서이러한수요를만족시키기위한인력 양성및취업자재교육방안이모색되어야함. ㅇ글로벌생산이보편화되면서해외소싱력이섬유패션산업의성패의주요 관건으로작용하게되어소재소싱, 소재디자인, 소재기획관련교육및 인력양성이요구됨. - 25 -

2. 패션의류산업의미래를위한인력양성 패션의류산업의인력수요 ㅇ패션의류산업은고도기술을필요로하는 숙련집약형 분야이지만인력구조적으로는기획 디자인인력의열세를꼽을수있음. 상품기획력과독창적인디자인개발력부족으로제품의고부가가치화에한계가있고 (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2013) 앞서검토한해외진출글로벌기업배출에도제약이따름. ㅇ현패션산업은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모두마이너스성장이거나정체된상태로내수시장이위축되고수출도감소하고있어이러한위기를타개하기위해전문인력육성을통해고부가가치분야로안착시키고글로벌패션주도국으로서의위상을높이기위한기반구축이필요함. ㅇ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패션분야직종구조도를패션기획, 패션디자인, 생산제조, 생산관리, 패션유통 물류, 마케팅의 6단계로구분하고있음. 아래그림은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 (2011) 가의류제조업체업무진행흐름에따라기획, 설계, 제조, 생산, 물류, 유통및판매, 마케팅, 기타의 8 단계로정리하여단계별관련직종을분류한것임. 출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 (2011) 그림 12. 한국패션산업의직종분류 - 26 -

ㅇ정성적 정량적조사결과, 패션산업에서인력부족현상이두드러지는직종으 로는생산전문가 ( 생산관리및소싱 ), 테크니컬디자이너, VMD 등이가장 많이언급되었음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 2011). 표 23. 패션의류업계인력부족직종 ㅇ패션분야유망직종또는인력수요증가예상직종으로는머천다이저 (MD), 패션정보분석가, 마케팅, 설계분야의테크니컬디자이너와모델리스트, 컬러리스트, 샵마스터, 비주얼머천다이저 (VMD), 수입바이어, 생산전문가, 소재디자이너등을꼽을수있음. 그림 13. 패션의류산업내인재양성이요구되는직종 ( 단위 : 빈도수 ) - 27 -

ㅇ한편, 패션산업의글로벌화에따른유망직종으로는현지영업전문가, 테크니컬디자이너, 소싱전문가, 소재디자이너, 생산전문가 /MR, 바이어등이뽑혔으며, 현지영업전문가는부동산, 유통, 인맥등현지시장관련지식, 테크니컬디자이너는패턴, CAD, 그래픽관련지식, 생산전문가는생산실무와봉제기술, 디자인과패턴에대한지식, 소재디자이너는시장수요, 트렌드정보분석능력이필수적임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2011). ㅇ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2013) 은일자리창출을견인하는고부가서비스전문인력양성의필요성을피력하고, NCS 소분류 833개직무를기초로 1 서비스분야선별, 2 직업훈련가능성이높은직무선별, 3 새로이직업훈련을통해양성해야할분야선별등의순서를통해인력양성이필요한고부가서비스분야를선정하고전문인력양성과제를도출하였음. ㅇ이과정에서공연예술, 문화콘텐츠, 영상제작, 방송서비스분야와더불어대분류 섬유 의복, 중분류 패션, 소분류 패션제품기획 에해당되는패션기획, 패션디자인, 패턴, 비주얼머천다이징직종을고급인력양성수요가있는것으로선정하였음. 표 24. 2013 년도인력양성이필요한고부가서비스분야 - 28 -

ㅇ위의자료들에서제시된유망직종과앞에서검토한우리나라패션의류시장의눈에띄는동향인 1) 글로벌화, 2) 패스트패션, 3) 개성추구, 4) 가치소비측면에서고려할때, 패션의류계에서인력양성이필요한유망직종으로테크니컬디자이너와패션어드바이저를들수있음. 패션의류산업유망직종 : 테크니컬디자이너 ㅇ테크니컬디자이너 (technical designer) 는미국 Private label 업체가하청업자들에게위탁하는특별주문생산 (Specification Buying) 에의해생긴신직종으로, 내수브랜드는 SPA브랜드처럼값싸고품질좋으며트렌디한제품제공위해테크니컬디자이너를채용. ㅇ도식화가대량생산용상품으로제작되기위한스타일지침서인 Technical Package를만들고이에따른 Pattern의제작과수정및의복의구성과관계된작업관할하며, 담당업무는해외바이어, 국내에이전트, 국내벤더, 생산기지, 내수브랜드중어디에속하는지에따라다소차이가있음. ㅇ테크니컬디자이너에게요구되는자질로는피팅능력, 패턴수정능력, 영어능력, 봉제방법에대한지식, 패턴제작능력, 소재물성에대한지식이며, 직업만족도는매우또는약간만족한다 (69.2%), 보통 (30.8%) 로높은편이며, 4년제대학 (89.7%), 대학원석사 (7.7%) 로학력또한높은편임 표 25. 테크니컬디자이너에게요구되는자질및재교육필요한자질 중요도순위 테크니컬디자이너에게요구되는자질 재교육필요한자질 1위 피팅기술 패턴수정방법 2위 패턴수정능력 봉제 3위 영어능력 피팅기술 4위 봉제방법에대한지식 업무영어 5위 패턴제작능력 소재 6위 소재물성에대한지식 바이어와업무진행방법 7위 - 검품 (QC) 자료 : 김안지, 김소라 (2012). 테크니컬디자이너업무특성에관한연구, 재작성 ㅇ테크니컬디자이너교육내용은피팅, 패턴제작 / 수정, 봉제방법에대한지 식, BOM 작성, 생산관리, 품질관리등 1) 샘플진행관련지식, 소재, 부자재 에대한 2) 원부자재관련지식바이어와업무진행을위한무역영어, 무역 실무지식등의 3) 무역실무지식을들수있음. - 29 -

그림 14. 테크니컬디자이너와글로벌의류생산 ㅇ이미다른패션관련직종보다학력이높고고급지식및업무처리능력을 요구하는직종이므로고급인력의사전교육및수요에대비하여산학연협 동학 석 박통합과정등의특화프로그램개발이필요함. ㅇ고도화된전문업무능력을요하므로 해외의류생산소싱전문가 관련자격증운용이필요함. 관련하여특정바이어가제공하는자격증있으나, 이는취업자에만해당되는자격증이므로전문인력배출을위해서는공인인증기관에서관리하는자격증제도운용이필요함. 그림 15. 테크니컬디자이너양성방안 패션의류산업유망직종 : 패션어드바이저 ㅇ과거단순히유명브랜드로고를중요시하던구매형태가남과다른차별화 된이미지와자신의개성과이미지, 가치관에의부합을중요시하는소비자 요구의변화로다양화되고있음. ㅇ이와같은개성추구, 가치소비에따른복합쇼핑몰의확대와편집샵, SNS 등유통채널다각화등유통패러다임변화에적극대응하고, 글로벌 SPA 브랜드의다양한제품믹스로전문패션어드바이저에대한수요발생함. - 30 -

ㅇ소비자에게패션관련정보를제공하고소비자의체형, 이미지등에맞춰스타일링등에대해자문하는점은샵마스터와유사하나, 매장상황에서매출을일으키는역할자로서의패션어드바이저는패션상품의전문지식을가진소매가게전문판매원을일컬음. ㅇ판매사원에게도단순판매에서벗어나전문지식을가진코디네이터의역할도소화할수있는자질을요구하게되었고, 브랜드의스토리를전달하고고객에게적합한스타일링을제안하는주도적이고적극적인 Adviser' 로서구매를이끄는역할의수행이필요한시점임. ㅇ패션어드바이저의필요성에대한움직임은브랜드측에서먼저일어났으며, 제일모직은 1986년업계최초로친절서비스전문교육기관인 TOPFAS (Top Fashion Adviser) 를설립해회사직원, 매장의판매사원과매장책임자등에대해지속적으로친절교육을실시하고있음. ㅇ '07년에는고객서비스향상을위한정책과교육을강화하려는 CEO의의지로토파즈교육센터를 CS센터로승격시켜인력을확충하고매장교육강화및현장방문교육에힘쓰고있으며, 주기적으로전국매장점대표자와판매사원을대상으로가치공유워크샵을시행함. ㅇ매장최일선에서소비자들을대하는직원의태도, 능력에따라소비자의구매가일어나기도또는일어나지않기도하므로이들에게단순친절이아닌전문적이고고급패션정보와차별화된스타일링과관련된어드바이스를제공할수있는지식을함양하도록하는것이중요함. ㅇ영업현장에서판매사원구인, 구직에어려움을느끼고있는점주들의의견을수렴하고, 이를개선하고자세정에서패션브랜드전문 FA(Fashion Adviser 패션어드바이저 ) 구인구직모바일어플리케이션 ' 패션커리어 ' 를개발, 서비스를오픈하기도할정도로이분야의인력수급이원만하지않음을알수있음. ㅇ패션어드바이저에게요구되는자질로는최신트렌드분석능력, 패션관련 지식, 체형파악과피팅능력, 옷감에대한지식, 스타일링능력등이있으며, 대면상황에서소비자와원활한의사소통능력등을들수있음. - 31 -

패션의류산업인력양성방안 ㅇ기업에서희망하는교육내용 - 마케팅관련 (22%), 기획계획및실행 (33.9%), 생산계획및실행 (7.6%), 판 매계획및실행 (30.5%), 관리및조직관련 (5.9%) 그림 16. 패션의류기업에서희망하는교육내용 - 필요한실무프로그램중기초업무능력으로는어학, 컴퓨터운용, 커뮤니케 이션을들수있음. 업무관련전문지식은직종별로다양하나, 코디, 패턴 및구성, 생산, 소재, 소싱등에대한내용이주를이루고있음. 표 26. 분야별필요한실무프로그램 - 32 -

인력양성추진방안및전략 ㅇ패션의류분야는심리학, 미학, 인간공학, 산업공학, 마케팅, 섬유공학등타 학문과의융합에의해도출된응용학문 (applied science) 을바탕으로하 고의류산업 (apparel industry) 를기반으로하는실용적분야임. ㅇ업스트림과다운스트림의흐름에서도알수있듯이전체교과과정이유기 적으로연계되어있어, 타스트림에대한이해를배제한직업교육진행에는 어려움이있음. ㅇ패션의류산업은실무형산업군으로산학협동 기획을바탕으로한협동교육과정발굴이이상적이며, 실제로채용연계형글로벌생산현장책임자양성과정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 글로벌패션아웃소싱교육 ( 한국패션협회 ), 의류수출관련무역실무교육 ( 한국의류산업협회 ) 등은교육대상자의참여도와만족도가높고성과도좋은사례임. ㅇ채용연계, 인턴쉽기회제공등의실무형교육이필요함. 최근글로벌의류생산체계의구축으로미주, 유럽등다양한국가로의해외인턴도활발히이루어지고있어이를조직적으로관리, 운영할수있는기관의역할도기대가되는시점임. ㅇ패션의류산업군은비교적진입장벽이낮아비전공자의진출이많은분야로서노동강도나부가가치비율에비해임금등이하향조정되어있는경향이있으나, 고급경력직의타산업군으로의이탈을막고우수인력의흡인을위해근무환경, 임금조건등의향상이수반되어야고급인재양성의결실을볼수있을것으로판단됨. ㅇ테크니컬디자이너, 패션어드바이더이외에도바이어, 머천다이저, 디자이너등고부가가치를위한기획, 설계, 생산, 관리업무에대한지속적지원과교육프로그램의개발, 특히, 기취업자에대한무료재교육등을통해경력자의전문성을고도화하고, 동산업군에의기여도를높임으로써패션의류산업의글로벌화, 고부가가치화를도모하여우리나라의대표산업군으로의도약을이룰수있을것으로전망됨 - 33 -

참고문헌경제관계장관회록 (2013.9.24.) 전략산업의전략산업인력양성및일자리창출력강화방안. 산업연구원 (2013). Upgrade 패션한국을위한패션산업발전방안보고서섬유제조패션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7.). 섬유패션산업인력수급현황리포트. 손주리 (2013.07.24.) 산업분석-섬유 / 의복. IBK투자증권. 이준환, 안신현, 하송, 홍선영 (2011.4.6.). 패스트패션에서배우는역발상의지혜. CEO Information, 제798호, 삼성경제연구소. 이희정 (2013.1.31.). 의류 OEM 산업의동향과전망-거시 미시적설명변수중심으로-. 한국기업평가. 정세진 (2014.11.10.). 기업리포트-의류 OEM. 교보증권. 최민주 (2013.6.25.). 산업분석-섬유, 의류. 현대증권. 최선윤 (2012). 국내봉제산업인력양성실태와전망하윤금 (2013.10.14.). KOCCA통계브리핑, 13(18)-해외편.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 (2011) 패션산업인력활용실태조사사업.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5.10.12.). 섬유산업통계. 한국섬유신문 (2015.11.01.). 2015패션시장조사사업-매출 45조4000억. 한국섬유신문. 검색일자 2015.11.01. http://www.ktnews.com/sub/view.php?cd_cate=a010&cd_news=95182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2013) 업종별인력양성시스템구축의필요성. 한국패션협회 (2013) 2013년도글로벌브랜드육성사업-한국브랜드의글로벌패션시장진출방안보고서. 헤럴드경제, 2015.7.17. FTA섬유의류산업원산지협상방향논의, 헤럴드경제.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0717000521 홍경희외 4인 (2012). 의류봉제업체의생산현황과대량맞춤에대한인식 - 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