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BC6EDC1FD5D20C7D1B1B9BFA9BCBAC7D B1C72031C8A32E687770>

Similar documents
~

* pb61۲õðÀÚÀ̳ʸ

(연합뉴스) 마이더스

152*220

5 29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03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120~151역사지도서3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2002report hwp

ITFGc03ÖÁ¾š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03report hwp

041~084 ¹®È�Çö»óÀбâ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178È£pdf

<BABBB9AE2DC7D5C3BC2E687770>

_¸ñÂ÷(02¿ù)

통계내지-수정.indd

내지-교회에관한교리

쌍백합23호3

미술00부속(001~007)2ee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º´¹«Ã»Ã¥-»ç³ªÀÌ·Î

레이아웃 1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002report hwp

Untitled-1

CC hwp

2015년9월도서관웹용

3¿ù.PDF

레이아웃 1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10월추천dvd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hwp


hwp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3635B1E8C1F8C7D02E485750>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一群 Ⅰ. 경성인, 소비문화의첨단을걷다 流行 自發的 禁慾 自律的 忍苦 高僧 牧師 說敎 社會生活 規制 管理 點 如何 法律 優勢 凡人 特別 時代 尖端 尖端狂 種類 屬 4 1 三越 每日申報 時代色 表證 怜悧 多角的 流動的 急進的 循環的 觸角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01정책백서목차(1~18)

2015현엘 내지.indd

DBPIA-NURIMEDIA

목차 Ⅰ. 충칭시개황및역사 1 Ⅱ. 충칭시경제및무역현황 3 Ⅲ. 현지출장참고자료 5 ( 항공편, 생활정보, 관광명소, 충칭진출한국기업 ) Ⅳ. 비즈니스시유의사항 14 Ⅴ. 유용한중국어표현 17 Ⅵ. 충칭무역관주소및연락처 18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더바이어102호 01~09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 89 -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82-대한신경학0201

- 4 -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CT083001C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2ÀåÀÛ¾÷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내지 뒷

È޴ϵåA4±â¼Û

Fashionbiz

ÀÚ¿øºÀ»ç-2010°¡À»°Ü¿ï-3

0.筌≪럩??袁ⓓ?紐껋젾 筌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¹¼ú°¡À̾߱â



•••••1301(•••).pdf

2),, 312, , 59. 3),, 7, 1996, 30.


hwp

2014 년 5 월 16 일 부천시보 제 1044 호 부천시공유재산관리조례일부개정조례 참좋아! 햇살같은부천에별같은사람들이있어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012~031)223교과(교)2-1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2005) ,,.,..,,..,.,,,,,

1220½É¹Ì¾Èâ27È£º»¹®

Transcription:

연구논문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2010 년 ) pp.127~156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서지영 *17) 이논문은 1920-30년대식민지도시경성에소비대중으로등장한여성들에주목하여, 여성과소비의관계망을고찰하고자한다. 1920년대중반이후대중매체속에등장한여성아이콘인 모던걸 은 소비하는여성 을대표하는표상으로서사치와성적타락의전형으로등장한다. 하지만, 소비와여성의결합양상을적대적으로바라보는윤리적시선너머, 여성소비자를물신주의적이고성애적으로병리화시키는당대의담론이면에작동하고있는자본주의의메카니즘에대한성찰이요구된다. 나아가소비를통해여성들이새롭게눈뜨는욕망의형식이여성의근대적주체성형성에기여하는지점또한세밀하게검토될필요가있다. 1920-30년대도시신종직업부인이자 모던걸 의일부였던백화점숍껄들의존재양식은불안정하고결핍된식민지경제속에서이루어지는도시소비문화와여성의관계망을상징적으로보여준다. 식민지도시경성에서소비는젠더내부의계급적간극을넘어서다양한계층의여성에게로확산되는데, 여성의몸을통해구현되는 성애화된근대 는불균형한개발과소비중심의식민지도시의공간성, 제국의군국주의, 자본주의적근대가접합함으로써파생되는식민지조선의모더니티의역사적형식을제기하고있어주목된다. 주제어 : 소비, 젠더, 모던걸, 자본주의, 숍껄, 식민지도시, 모더니티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 jysuh3@hanmail.net

128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Ⅰ. 식민지도시경성과군중속의여성들식민지시기일상풍속의세밀한관찰자였던소설가김남천은 현대여성미 라는글에서 1930년말어느오후, 경성종로거리를오가는여성들의모습을포착한바있다. 양장두루마기에은호 ( 銀狐 ) 의스카프 를두르고인력거를타고요리점으로가는 기생, 스와가식의외투에알룽달룽한조셋드의목도리 와 입술의붉은루즈와전발 ( 電髮 ) 을한여급, 간편한스목크로화해버린스츠와두터운멜롱으로깡총하게겉갑줄을두른가방 을건, 총독부, 체신국, 보험과, 경무국, 전화국등에서일하는젊은직업여성들, 애프터눈의푸아코트를입고장식이붙은크레르데싱의부인모 를쓰고, 부민관에서공연하는무용이나음악, 아니어느영화관아트렉션에나올것같은 모습으로 반도호텔의포치에서차에오르는, 모피속에대추씨만큼한얼굴을차묻은오만스러운부인 이바로그들이다 ( 김남천, 1940: 83-84). 조선에서구현되고있는이러한최신유행복식과장신구, 화장품, 헤어스타일은식민지도시경성을낯선서구식상표와명명들로가득한이질적인공간으로만든다. 그런데, 1924년 朝鮮及滿洲 에는동경을출발해서코즈 ( 國府津 ), 나고야 ( 名古屋 ), 교토 ( 京都 ), 오사카 ( 大阪 ) 등을거쳐서현해탄건너경성으로오면, 부인들의화장미가동경이나오사카부인들의화장미와하등의차이가없을정도로현혹적이어서일본여행객을놀라게한다는기사가실려있다 ( 千葉春路生, 1924: 161-162). 이미 1920년대초중반에여성들의유행, 취미, 기호품의목록들이동경과경성사이에교류되고있었으며, 젠더, 인종, 모더니티의관념들이상품을매개로전지구적흐름속에서유통되고있었음을확인할수있다. 김남천에의해포착된도시거리의여성들은근대도시거리를메운 군중 이라는추상적이고무정형적인집단의일부이자, 소비대중의모습으로도시에나온여성산책자들이기도하다. 또한, 이들은 1920-30 년대대중매체속에서서구적외양을한도시문화의향유자로서불안과매혹의이중적시선을받았던 모던걸 들로분류된다. 1920-30년대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29 조선의 모던걸 은상품의소비에몰두하고관습적인성적규범에도전하는새로운여성아이콘이었다. 특히, 각종상품들을소비하고향유하는코스모폴리탄적존재로서의 모던걸 의등장은지역적맥락에따라변형과굴절, 차이를보이지만, 도시소비문화가확산되는 20세기초서유럽과미국, 공산주의와파시즘국가, 제3세계식민지에까지등장한전지구적현상이기도하였다. 1) 본고에서는 1920-30년대식민지조선, 도시공간에등장한 소비하는여성 들의존재양식에주목한다. 일차적으로신문이나잡지와같은대중매체나소설속에등장하는소비대중으로서의여성과 모던걸 의표상분석을통해그이면에작동하고있는소비와여성의관계망을추적하고, 상품을매개로하여생산되고분배되고소비되는욕망의메커니즘을살피고자한다. 2) 이를통해본연구는피식민지인을주변화시키고생산보다는소비가중심이되는식민지도시경성의불균형한개발속에서여성의몸을통해유입되고구현되었던 1920-30년대모더 1) 자신의몸을위해구매한상품들에중심을두는여성성의등장은전세계적으로여성 ( 성 ) 을규정했던민족의권역을위협함으로써크나큰사회적논란과근심을야기시켰다. 모던걸이소비했던립스틱, 매니큐어, 얼굴크림, 파우더, 스킨라이트너, 태닝로숀, 샴푸, 머리스타일링물건, 팬시비누, 향수, 방취제, 치약, 담배, 하이힐, 모자, 유행하는섹시한옷등은 모던걸상품 이라명명된다. 모던걸의소비를사회적행위성의중요한영역으로보는입장이있는반면, 막시즘적시각에서는상품들이사람을박탈과의존을산출하는정치적구조속에얽어매게한다고주장하는데, 이들은모두모던걸상품들이개인적, 사회적몸들을패션화하는데연루된다고본다. 비록상품들이반드시소비자로서의모던걸에게젠더화된사회적제한으로부터자유를제공하거나, 새로운사회적, 성적규범을산출하지않지만, 자기반영성, 자기창조, 자기평가의영역에새로운가능성을열어놓는것으로논의된다 (The Modern Girl Around the World Research Group, 2008: 18-37). 2) 소비와여성의관계망을다룬기존연구를살펴보면, 이영자 (2000) 의연구는소비자본주의에대한서구의비판적이론을다각적으로소개하고소비사회에서여성의위치를문제삼았다는면에서의의가있지만이론적검토에머무르고있다. 근대초기한국이라는역사적맥락속에서여성의소비에주목한논의들가운데, 김미선 (2005) 은 1930 년대여성잡지를중심으로신식화장담론을분석하고, 소비주체로서의신여성의입지를탐색하였으며, 서지영 (2006) 은식민지당대매체분석을통해도시소비문화의향유자로서의식민지조선모던걸의역사적특수성을제기하였다. 김수진 (2009) 은 신여성 잡지를중심으로 1920-30 년대신여성 / 모던걸표상과소비행위의사회역사적의미에대해주목한바있다, 위연구들은근대초기공적공간에등장한여성들의소비행위와주체성의문제를다루고있지만, 식민지조선과자본주의근대의사회역사적틀속에서소비와여성의구조적관계망을천착하는데에까지나아가지못하였다고볼수있다.

130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니티의역사성에대해질문하고자한다. Ⅱ. 경성모던걸과소비의윤리 도시곳곳에전근대조선의잔상들이자리하고있었지만, 경성의도심지는서구근대의외관을숨가쁘게쫓아가고있었다. 특히, 1930년대 대경성의주름잡힌얼굴위에가장하고나타난근대의메이크업 은 데파트멘트 [ 백화점 ] 의출현이었다 ( 김기림, 1988: 386). 찬란한일루미네이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쇼윈도우, 마네킹, 옥상정원등으로치장하여, 사람의이목을유혹하고잇는근래의요귀, 떼파-트멘트스토어 는 근대의특산물이요상업경쟁장의총사 ( 總師 ) 라지칭되었다 ( 함윤성, 1931: 27-28). 찾는사람의반수이상이조선남녀였던진고개에는미쓰코시 ( 三越 ), 조지야 ( 丁子屋 ), 미나까이 ( 三中井 ), 히라다 ( 平田 ) 등의호화로운일본백화점들이 1920년대중반이후로자리잡게된다 ( 双 S 生, 1929: 81). 남촌진고개를한번구경한사람은거기에홀리어평생소원이 진고개가서그조흔물건이나맛조흔것을사보앗스면죽어도한이업겟다. 고하거나, 서울구경한시골사람들이진고개를방문한사실자체가크나큰자랑거리이자우월감을자아내는정도였다는다소과장된기술도발견된다 ( 鄭秀日, 1929: 46-47). 하지만, 경성의 긴자 에비유된 혼마치 는누구든 조선을떠나일본을여행이나온늣김 을주는 경성안의일본 이자새로운유행의산지였다. 유행! 도독굉이눈과가치잘변하는유행! 십년전조선에엇지모뽀모꺼들이橫行하엿겟스며마네킨레뷰를보앗스랴! 그러나오늘날그것은너무도당연한當世風의유행이되여잇지안으냐?! 유행은多角的이며流動的이다. 유행은急進的이며循環的이다. 그리고달팽이의觸角가치예민하다. 또그리고언제든지그시대정신의末梢尖端을急角度的으로돌고잇는그림자와가튼輕業師이다. 이輕業師를뽄새잇게잘조종하는것이이윤에민감한뿌르조아상인들이요그앗슬앗슬한묘기와짜릿짜릿한몸짓에황홀히정신을일코미친듯이그의一擧一動과어릿광대的服色까지도모방하려는것이모-던有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31 閑階級청년들의생활이며철학이요종교다. 올타! 그것보다도유행은時代色을날새게表證하는한마리怜悧한카메레온이다 ( 朴露兒 a, 1930: 100). 도독굉이눈과가치잘변하는유행 은경성의일상을점령한 모뽀모거 의새로운 생활양식 이자 모던유한계급 의 철학, 종교 처럼자리잡는다. 특히, 유행 을좇는신풍조와소비행위이면에는여성들이적극적행위자로초점화된다. 별건곤 (1934. 1) 에실린이선희의만문 ( 漫文 ), 다당여인 ( 茶黨女人 ) 이라는글은영하 40도를내려가는추위를아랑곳하지않고겨울밤도시거리를배회하고다니는여성을묘사하고있다. 떼파트쇼-윈도의황홀한색채가나를유혹하고울트라모-던니즘을숭배하는젊은남녀의야릇한채림새가내호기심을끈다. 거리로나가거라. 입술을빩앗케물드리고눈섭을가늘게그리고윙쓰를사방으로보내며레뷰-식으로깡충깡충거러라. 단연이갑싼모-던니즘의여왕이될테니. 나는이것이조흔지납븐지모른다. 하기는아마조선의녀성이다이모양이되어서는안될것이다. 그러나내눈은變으로아름다운것을구하고내가슴은허영과향락으로차잇지안은가. 나는도회의딸이다. 아스팔트의딸이다 ( 이선희, 1934: 35). 위글에서 떼파트 ( 백화점 ) 쇼윈도에매혹된한도시인테리여성은활동사진관에싫증을느끼다가, 장곡천정 ( 長谷川町 ) 에있는다방 樂浪파-라 에서 화려하고경쾌한맛 으로 현대인의美感 을충족시키는도회의사교장을발견하고경탄한다. 서울은파리와가티생각되고조고만차점도세계에서제일큰사교장가티 되어다방가운데를걸으면서 華美와亨樂慾의절정 으로춤추는이여성은새로운유행의선도자였던식민지조선 모던걸 3) 의한형상을보여준다. 모던걸은탈국가적인 3) 모던걸 은 1920 년대중반이후에대중매체에확산된새로운여성아이콘으로 1910 년대 신여성 으로부터파생되었지만근대적교육을받은선각자로서의신여성과는다른함의를가진다. 1920-30 년대물질에대한소비와섹슈얼리티의향유라는두가지의지표로대변되는 모던걸 은 1930 년대허영과사치, 성적문란과같은부정적인자질로재의미화되는 신여성 기호와혼용되기도한다. 서구의모던걸이미지를근간으로일본 모가 를모방하면서동시에차이를보이는식민지모던걸의역사적특수성에대해서는서지영 (2006: 213-214), 김수진 (2009: 279-289) 참조.

132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모더니티의강력한상징이자근대적소비주의를설명하는필수적아이콘이지만, 현저하게도시중심적, 중산층소비주의의산물이었다 (Modern Girl Around the World Research Group, 2008: 37). 하지만도시중산층의사회적토대가미비했던식민지조선에서모던걸의형상은불명료하고혼성적이다. 1930년대모더니스트시인이자비평가였던김기림의 봄의전령-북행열차를타고 ( 조선일보, 1933. 2. 22) 라는글에는봄을맞아새로운여성고객들을맞이하는도회백화점의풍경을묘사하고있다. 彼女들의 하이힐 이더한층가벼움을느낄때가왔다. 육색의스타킹. 극단으로짧은스커트... 등등으로彼女들은둔감한가두의기계문명의표면에짙은에로티시즘과발랄한흥분을농후하게칠것이다. 털깊은외투-, 솜놓은비단두루마기-, 두터운방한모-, 여우털목도리-, 잘있거라너희들... 점원들은겨울물건을차츰차츰진열대로부터창고구석으로운반하는일에영광을느낄것이고, 파라솔은또다시백화점의主演者가될것이다. 시크라멘 은봄이던지는첫키스를뺏기위하여花商의쇼윈도우속에서붉은입술을방긋이벌이고있고彼女들의푸른치마폭은아침의아스팔트위에서, 백화점의층층계위에서깃발과같이발랄하게팔락거리지않는가 ( 김기림, 1988a: 305). 겨울내내입었던털외투, 비단두루마기, 방한모, 여우털목도리를벗어던지고, 육색의스타킹, 짧은스커트에하이힐을신고, 도시의아스팔트, 백화점의층계를 깃발과같이발랄하게팔락거리 는여성들은경성백화점의주된소비층여성들이었다. 하지만, 김기림이포착한여성들은 花商의쇼윈도우속에서붉은입술을방긋이벌이고있는 마네킹과같이실제적존재감을느낄수없는가공적이미지들이다. 이러한계급적지표가모호한 소비하는여성들 의이미지는당대모던걸표상의중요한특징을이룬다. 일본 모가 ( 모던걸 ) 의경우에도젠더와섹슈얼리티의규범을이탈하는나쁜여자의전형을이루며상업적저널리즘의구성물의성격을띠지만, 경제적독립, 도시적감각, 자율적욕망을추구한도시신종직업여성들을주축으로자신들만의문화적토대를일정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33 정도구축하였다고볼수있다. 하지만, 식민지조선에서 모던걸 은여학생에서직업부인, 기생, 카페여급등다양한층위의여성들을포괄하는이질혼성적이고파편적인형태의집단성을보인다. 물적, 문화적기반을바탕으로새로운여성아이콘으로서의사회적상징성을확보하지못했던식민지조선의모던걸은도시의 환영 과도같은피상적인이미지로부유하였으며, 남성사회주의자의담론속에서 물질주의와아메리카니즘에중독되어허영과사치를일삼는 遊女로서의모던걸, 성적으로문란한불량소녀 로서낙인찍힌다 ( 유광렬외, 1927: 112-113). 못된걸 로 번역 된식민지조선의 모던걸 은 소비하는여성 이 악한 ( 나쁜 ) 존재로등가화되는지점을보여준다. 여기에는일차적으로여성의상품에의욕망자체를문제시하는소비의윤리학이작동하고있다. 双 S 生의 大京城狂舞曲 에서, 이곳에오는조선녀자는반듯이입속을벌리고다니라 고누가어대다써붓첫는지저마다입을해-벌리고다닌다. 라는희화화된표현은 소비 와 여성 의관계망과더불어, 그현상을바라보는남성지식인의냉소적 시선 이포착된다. 화신 ( 和信 ) 상회로피해드러가닛가숨이탁탁막히게갑갑하게진렬한집속에그래도금은패물에제정신빼앗긴녀자들과그따위녀자에게또제정신빼앗긴남자가여긔도저긔도치운줄모르고드러서잇다. 드러서야어서드러오라는사람도업고머리하나굽실하거나눈찟하나반가히하는이업는것은갓득좁은데왜또드러오느냐는핀잔인지녀자동반도업시오는것을보니고맙지안을손님이라는눈치인지 ( 별건곤, 1929. 1. 1, 77). 위글은 1929년당시, 종로화신상회와진고개의히라다, 미쓰꼬시백화점풍경을남성관찰자의풍자적인언어로묘사하는데, 화신상회 ( 숨이탁탁막히게갑갑하게진렬한집 ) 에는 금은패물에제정신빼앗긴녀자들 과 그따위녀자에게또제정신빼앗긴남자 들로가득차있다고조롱적어투로기술한다. 당시, 백화점이선호한고객의유형은부르주아남녀군이거나소비의실질적수행자인여성을동반한중상층남성이었는데, 백화점에서환대받지못한룸펜지식인필자는

134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백화점내부의물건들과그곳에서만나는치장한여성들에압도된다. 종로를지나 요지경속가튼진고개 로건너간관찰자는히라다백화점에가서반수이상이조선남녀인데놀라며, 미쓰꼬시에서작난감, 학용품, 아동복, 치마감등을고르는중산층여성고객을 예수냄시나는트레머리 (83) 로희화화한다. 또한, 여성의소비욕망이도덕적문란, 성적관습의위반과연결되면서모던걸의 나쁨 은강박적혐오의대상으로전이된다. 진고개 2정목 3정목입을벌리고정신다빠져서혜엄치듯거러가는조선부인들. 여긔와서입을벌리고지나가는녀자는여긔물건만몃가지사준다면몃번이든지개가해갈것이라고할수잇겟다. (83) 라는조소가득한기술은여성의물질욕이도덕적타락으로이어지는지점을가시화한다. 도시유한부인과더불어, 1920-30년대매체에서재현되는또다른여성소비주체는여학생들이었다. 당시여학생은백화점쇼핑과양요리를즐기고, 값비싼의복을구입하는등일상적소비욕구들을충족시키는중산층의삶에대한열망으로가득한존재로그려지는데, 1910-20년대의사회적계몽성을가졌던 여성해방 이라는기호는물질문화의향유및소비행위를위한경제적독립을의미하는것이라희화화되기도한다. 4) 한편, 경성시내상점과백화점의또다른실질적인여성고객은기생이나카페여급등일정정도의경제력을갖춘유흥공간의여성들이었다. 화려하게외형을꾸미는것이직업적으로요구되었던기생들에게시내상점이나일류백화점에서값비싼의복과화장품, 장신구를사는것은일상적행위중의하나였다. 5) 극도의사치를 4) 당세여학생은직업여성이되어볼까한다. 그들은경제적독립이여성해방에유일한무기인것을안다. 안이그보다도백화점의진열장에심취할줄을알고양요리의美味를깨다를수가잇고舶來品치마감의好否를감상할줄알면서부터그들은돈이필요하게된다 ( 정의순, 1932: 93) 5) 이난향의회고에의하면, 당시요리점에놀음을나오는권번기생들의옷차림은매우호화로웠는데, 정초에는보들보들한토끼털로된두루마기를입고, 머리에는은비녀, 손에는은가락지를꼈으며, 1 월보름에는옷과장식이바뀌어은비녀대신에진주비녀, 은가락지대신에다른패물반지로갈아끼웠다고한다. 춘삼월이되면, 패물은다시비취로바뀌고, 계절이바뀌는가을 10 월초하룻날이면금비녀, 금가락지, 금귀지개등금패물로장식하고, 그위에털로된모피옷 ( 毛物 ) 을입었다고한다 ( 이난향, 1977: 590).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35 즐길수있었던기생은요리점에서고수입을올리거나고관대작과부호의지원을받았던일부의권번기생들에한정되지만, 계절마다호화로운의상과패물로치장한기생들은경성의요리점안팎에서소비문화의리더로자리하였다. 6) 1930년대에들어서면기생들은한복과같은전통의상이아닌양장을하고동경에 구쓰 ( 구두 ) 를직접주문해서신으며활동사진여배우를선망하는 모던걸 의한형상을이루기도한다 ( 이서구, 1929: 35). 한편, 당시여성직업인으로서 50-100원정도의비교적고수입을올렸던카페여급들은경제력을바탕으로소비문화의주축이되는데, 그들을특징짓는에이프런과양장, 단발머리, 그리고뾰족구두, 핸드백, 서양식모자등은당대 모던걸 의문화적취향을대변한다고볼수있다. 7) 이렇게유한부인, 여학생으로대표되는중산층여성과기생, 여급등의다양한계층의여성들의소비는 모던걸 이란이질혼성적인집단의범주화를통해실체화되면서집중적으로비판된다. 조선의대표적도시에굼벵이보금자리가튼쓰러진초가집이거지반인데도- 그리고대학졸업생거지반이취직을못하야거리로방황하는여긔에여자들은치마한감에삼사십원양말한켤레에삼사원손가락에끼인것만해도이삼백원머리에꼬진것만해도오륙백원 6) 경성편람 ( 京城便覽 ) ( 백관수, 1929: 296) 에의하면당시요리점에출입한일급기생들의매월수입은 300 원 - 380 원을호가했다고한다. 기생잡지 장한 에는당시기생독자들을주된소비자로겨냥한각종상업광고가게재되어있다. 1 호 (1927. 1) 에는남녀양복, 외투등서구식의복을판매하는 < 구미식양복점 >( 경성종로중앙청년회내 ), 2 호 (1927. 2) 에는국내외주단이나포목, 수입물건을판매하는 < 손종수상점 >( 경성종로 3 정목 20 번지 ), 금 은 백금, 미술품, 각종신식기념품, 신구식안경, 각종각국시계등을판매하는 < 경화상회 >( 경성남대문통 1 정목 7 번지 ), 각종시계, 반지, 안경을판매하는 < 보신당시계포 >( 경성종로 1 정목 ), 당대귀부인의고급화장품으로소개되던박가분판매점 < 김명근상점 >( 경성남대문통 1 정목 ) 등이그예이다. 국내및국외수입품을포함하는신구식고급의류및포목상점, 금은보석을포함하여시계, 안경등의장신구, 화장품등은당시기생들에게는필수적인아이템들이었다고볼수있다. 7) 식민지시대카페여급은개인의차이는있지만평균월수입이 60-70 원으로이는중등교원이나기자의월급수준이었으며일급여급은 100 원대를넘기도하였다 ( 서지영, 2003: 51-52). 女聲 창간호 (1934. 1) 에등장하는몇몇여급들의사진과프로필은당대기생, 여배우등과더불어서구적패션과화려하고과감한스타일로최첨단유행을이끌었던모던걸이미지를잘보여준다.

136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얼골에칠하는것중에분갑만해도아츰분낫분, 밤분해서사오원, 머리만지지는대도일이원이라하고, 초가집을나서서는오든길을또가고가든길을돌처서서대활보를거러가는것이소위요사이모던껄이다 ( 안석영 (1930), 어듸서그돈이생길가, 一日一畵 (5), 조선일보, 4. 8). 치마한감에 3-40원, 양말한켤레 3-4원, 반지 2-3백원, 머리장신구 5-6백원, 화장품 4-5원, 헤어 1-2원등 700-900원가량의비용을외모를꾸미는데투자한다는 모던걸 의사치행위에대한과장된묘사는초가집에실업자로들끓는경성의현실과대비되면서극단화된다. 먹기에도어려운우리들의소위누이들은어듸서그만한돈을엇느냐 라는질문에서제기되는바, 소비행위를가능케하는여성들의물적토대의허약성은그들을 그사나희의첩- 흘러다니는여자. 허영의도시의시민 으로규정하는알리바이가된다 ( 안석영, 1937). 이러한 모던걸 로대변되는여성들의소비, 사치에대한적대적시선은사회주의지식인남성들의 거리로나온여성 과상품의소비자체에대한혐오와불안을투사하고있을뿐아니라, 여성의소비행위를더욱두드러지게문제적으로만드는식민지조선의경제적불균형과궁핍에기원한다고볼수있다. 1930년대여성의소비행위는근대시기구매력을갖지못한여성들의 물질욕 비판과이로인해 신성한연애 를위반하는도덕적, 성적타락의서사들을무수히양산한다. 8) 박태원은 소설가구보씨의일일 에서, 산책자구보를통해근대도시의욕망의공식을기술한다. 여자들은그렇게도쉽사리황금에서행복을찾는다. 구보는그러한여자를가엾이또안타까웁게생각하다가, 갑자기그사나이의재력 8) 이는방인근이여학생들의 구두, 핸드빽, 化粧品, 衣服에벼여러섬이매달린것은確實히問題꺼리다. 라고하여, 여성들의근대적기호품의향유를사회적으로과도한소비행위로기술하고, 여자란의복에퍽관심을하는천성이있다 고하며 지금의여학생은허영덩어리다 라고하여허영을여성의본질적특성으로파악하는점, 그리고이들이혼인상대자를구할때 금전과미남 을제 1 조건으로취한다고하여, 물질과외양을중시하는것을여학생의특성을일반화하는과정에서확인된다 ( 방인근, 1927: 54-56).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37 을탐내본다. 사실, 같은돈이라도그사나이에게있어서는헛되이, 그리고또아까웁게소비되여버릴께다. 그는날마다기름진음식이나실컷먹고, 살찐계집이나질기고, 그리고아무앞에서나그의금시계를끄내보고는만족하여할께다. 남자는여자의육체를질기고, 여자는남자의황금을소비하고, 그리고두사람은충분히행복일수있을께다 ( 박태원, 1987: 191). 여기에는여성의물질과소비에대한욕망과남성의여성에대한욕망이서로뫼비우스의띠처럼연결되어있다. 욕망의회로는남성에게여성으로그리고여성에서상품으로흘러가게되고, 경제적인권력투쟁은여성과남성, 여성과상품사이의성애적인관계와밀접하게뒤얽혀있고또한그것에의해매개된다. 1920-30년대경성에서계급적간극을가로지르며확산된여성의소비는 경제적무절제 와 성적무절제 가결합한혐오의기호로증식된다. 여성의소비행위는 사치 와 허영 의자질에기인하고성적타락을야기시키며, 소비하는여성들 은 탕녀 적본성을가진것으로비난받는다 ( 朴露兒 b, 1930: 59). 하지만근대초기여성의소비는윤리적시선만으로설명되지않는다층적인사회구조의산물이다. 소비자체를죄악시하는막시즘적비판과소비욕망을가진여성에대한젠더화된응시를넘어서, 여성을매개로소비욕망과섹슈얼리티를결합시키는자본주의근대내부의구조적문제, 여성소비자를둘러싼근대가부장제와자본주의기제는생각보다훨씬복잡한관계망을형성하고있기때문이다. 한편, 1920년대물산장려운동으로대표되는민족주의진영의식민지경제자립운동속에서여성의소비와사치는부정적으로인지될수밖에없었지만, 여성의소비에대한주된공격은 1920년대후반이후식민지자본주의모순을문제삼아민족해방과계급해방의과제를실현하고자했던사회주의담론에의해주도적으로이루어졌다. 특히, 모던걸 에대한계급적, 성별적적대감을드러냈던사회주의담론이면에는원천적으로자본을통해유입되는모더니티자체에대한강력한반감이작동하고있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1930년대로접어들면서상품을매개로욕망을관리하고재생산하는자본주의메카니즘은민족,

138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계급담론에서의이념적기제에포획되지않은소비의영역을일상속에보다확산시키게된다. Ⅲ. 여성은무엇을원하는가? : 소비 - 섹슈얼리티 - 자아 김기림의 그봄의전리품 ( 조선일보, 1935. 3. 17) 은 1930년대중반, 어느봄날경성의백화점안풍경을묘사하고있다. 백화점에서는어느새봄차림을할대로하고도오히려부족하여절기에맞는물건을찾느라고, 움직이는손님의어깨와어깨들이휘황한전등불밑에서고기떼처럼흔들린다. 나는이윽고우리의누님들과아내가자못노골하게코티회사나캔피회사나자생당의충실한고객인것을뽐낼때가왔구나하고속으로뭉클해졌다. 사실오늘의백화점을번영하게만드는유력한지지자는그절대다수가마님들이나아가씨들일것이다. 이점은각국의商工省이나자본가연맹에서크게일반여성들에게감사해야할것이어늘불란서같은나라에서조차최근에와서그나라의여자들에게참정권을주었다고하는일은기괴한일이다. 그들은실로현대문명의모든소비면을유지하기위하여서는물도새지아니할듯한그들의 가정의평화 조차를용감하게깨트리기도한다 ( 김기림, 1988a: 339-340). 우리의누님들과아내가자못노골하게코티회사나캔피회사나자생당의충실한고객 이며, 오늘의백화점을번영하게만드는유력한지지자는그절대다수가마님들이나아가씨들 이라는김기림의지적은당시상품의소비가 1930년대조선의중산층가정에스며들고있는풍경을시사한다. 특히, 부인의청탁과강요에의해화신백화점양품부진열장에서최신유행하는백여원짜리 악어껍질 핸드백을보러온부부들이결국사는것은 7-8원짜리 和製品 [ 일본제품 ] 이거나 9) 백화점밖 9) 식민지조선에서유행한이들소비상품들은메이지시기서양으로부터직수입하여일본의소수부유층과엘리트층만이소비하던고급양풍문화상품들과는달리, 다이쇼기를거치면서일본의대중적기호에맞추어변용된상품들이었다 ( 김백영, 2009: 498).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39 의 2-3원짜리 대리품 이라는기술은식민지조선에서유통된물품이서구에서직수입된고가의것이아닌일본을통해재조립된 박래품 이거나종로야시에서나거래되는모조품이주류를이루었음을의미한다. 하지만이시기에이르러쇼핑은도시여성들의새로운자기확인의형식으로자리잡는다. 이선희의 妻의設計 ( 매일신보, 1940. 11. 27-12. 30) 에서도 1930년대도시중산층가정을염원하는젊은부부의증대하는소비욕구와문화생활을위한경제적상승의욕망이포착된다. 우리지금생활이란게전혀돈날노릇은업거든요. 게다가우리뿐아니겟지만, 우리어머니나아버지시대는고사하고우리언니나아즈머니때보담도눈으로보는생활은엄청나게들사치하지안허요? 그리고보니나무쌀에드는돈보담도그냥박게나와서거리로싸다니는데드는돈이갑절은되고... 이러다보니우리의생활이란영자리가잽히지못햇서요... 지금의청재나소라는그옛사람처럼먹지안코모흐기위해서돈생각을하는것이아니다. 진실로먹되밥만먹지말고양식도먹고포도주도마시고되도록잘먹고잘향락하기위해서돈이그러케필요한것이다. 그러나청재나소라는도저히그들이희망하는문화생활을할수잇도록돈을벌재주는업다. 여기에현대가정의필요이상의고민이잇는것이라고그들은생각햇다 ( 이선희, 1989: 58-59). 위작품에서 나무쌀에드는돈보담도그냥박게나와서거리로싸다니는데드는돈이갑절은되 고, 밥만먹는것이아니라양식도먹고포도주도마시고문화생활이필요한 하이칼나적 삶이새롭게부각되고있다. 하지만, 잘향락하기위해 돈이필요한상황에서욕망에부응할수있는경제적토대가부재한것이현대가정의고민이라토로된다. 특히, 위글은물질적기반과문화적욕구가괴리를이루는 1930년대경성의인텔리가정부부의실상과욕망의지향성을가늠케한다. 하지만, 도시의남성산책자김기림의눈에백화점으로몰려든소비행위자들은 쇼윈도우의화사한인형과박래품의모자와넥타이에모여서고있는불건전한몽유병자의무리들 로보이고, 그중여성들은모조의 코론 향수를풍기며아스팔트를쫒는, 병아리와같이팔닥이지

140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만, 날지못하는동양류의회색의암탉 처럼인식된다 ( 김기림, 1988a: 383). 또한, 상품을통해사람들의혼을빼앗는도회는은밀한밤의유혹자와같은 매춘부 의형상으로비치고 ( 김기림, 1988a: 389), 파리나 柊林의유행 은결국 프로스티튜트문화 에불과한것이라비유된다 ( 김기림, 1988b: 46). 이렇게욕망의무한증식을가져오는 소비 행위에깊숙이개입하는여성에대한근대남성지식인의시선은소비와관련하여젠더화된메타포를지속적으로생산해왔다. 자신의욕구를알고합리적으로추구할수있는역량을가진자율적존재인 계몽주의적남성 에비해, 여성은욕망을합리적으로계산하지못하는욕망의노예이며변덕이나충동으로규정되는 멍청한소비자 로이미지화되었던것이다 ( 슬레이터, 2000: 81). 19세기말과 20세기초의 소비사회 로의전이과정에서상품의주된구매자였던여성을 탐욕스러운소비자 로상투화하는과정에는이윤동기의이해관계속에서계산과합리화의논리에의해여성들의비합리적이고감정적속성을조작하고관리하는젠더화된책략이확인된다. 여성은쾌락의상업화를추구한자본주의소비이데올로기속에서이상적주체로전유되어왔기때문이다 ( 펠스키, 1998: 107). 10) 데보라파슨즈 (Deborah L. Parsons) 는여성소비자를물신주의적이고성애적으로병리화시키는남성관찰자의 시선 이면에여성들의욕망을관리하고재생산하는자본주의의메카니즘이자리하고있음에보다천착할것을요구한다 (2000: 49). 맑스이후, 소비자 ( 여성 ) 와상품의관계는성적맥락에서빈번히논의되어왔는데, 자본주의경제에서여성들은남성들사이에교환되는대상으로간주되는여성의물신화과정을통해상품형식과유사한관계에위치지어진다. 즉, 구매자의시선을끌기위해스스로를유혹적인대상으로만들도록한다는면에서상품 10) 마샬버만의저작을재독해한리타펠스키에의하면, 서유럽에서전근대의가족적, 공동체적유대로부터해방된부르주아남성주체의자율성은이성적이며, 산업생산을작동시키는합리적존재이자목적을위해노력하는파우스트적남성성인데반해, 근대적인욕망형식의논리는물신화, 리비도화, 상품화된여성성을산출하였다. 이때여성은리비도적이고표현불가능하며미적인, 가부장제적이성의억압된타자로환원된다 ( 펠스키, 1998: 26-29).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41 과여성은동일한위치에놓이게된다 ( 펠스키, 1998: 105). 이는여성의유혹과상품의유혹을융합시키는광고에서흔하게발견된다. 여성들이패션에몰두하는현상을 무기물에서성적어필을느끼는페티시즘 ( 물신숭배 ) 의한형태로본벤야민의공언 ( 벤야민, 2005: 101) 11) 이후로, 여성을상품에현혹되는수동적존재가아닌욕망의주체로상정하는많은성적알레고리들이양산된다. 가령, 여성 ( 소비자 ) 이상품을구매하는관계를매춘부와고객간의화폐를매개로하는성의교환으로설명함으로써미묘한역할전도를가져오기도한다 (Bowlby, 1985: 11). 또한, 상품과구매자사이의상상적관계는 여성에대한남성적어필 의형태를취하는데, 남녀간의 유혹 또는 강간 의형태로설명되기도한다. 즉, 소비자 ( 여성 ) 는상품들에대해궁극적으로 그것들을소유하고자하는 힘에 저항 할수없는상태에놓이게된다는것이다 (Bowlby, 1985: 19-28). 여성 ( 소비자 ) 에게서드러나는상품에대한관음증과갖가지장신구에대한물신화 ( 페티시즘 ) 는여성들의과도한 ( 도착적 ) 욕망이기에앞서, 여성을매개로하여성적인것을상품화하고상품을성애화하는현대자본주의의본질로설명될수있다. 12) 그런데, 이러한상품에매혹되는물신주의적소비자의이미지가 1920-30년대식민지조선에서도새로운욕망의형식으로등장하고있어주목된다. 13) 자본주의자들의판매기획은여성의소비욕구를증대시키기위한갖가지전락들을구사하여왔다. 하지만, 잠재적소비자인여성들은이 11) 백화점에서상품을매개로한여성의나르시시즘적쾌락은성적인권력과지배에대한환상과병렬되는바, 상품에대한관능적흥분상태는 성적열정의승화된표현 이면서, 이상적인여성의아름다움에대한비이성적인숭배에굴복하여병적인행복감에젖는자아의상실 이기도하다 ( 펠스키, 1998: 116-119). 12) 이러한 페티시즘 과 관음증 으로매개되는상품에의욕망과성적욕망사이의구조적친연성에대해서는질로크 (2007: 242, 340) 참조. 13) 상품에대한소비는중산층여성이나모던걸, 기생, 여급등의유흥산업종사자들뿐아니라, 여공과같은도시노동자층에게도강박적욕망으로뿌리내린흔적을보인다. 채만식의단편소설 < 병이낫거든 >( 조광 7 권 7 호, 1941) 에는폐병으로인해공장에서쫓겨난어린여공이 1 년반동안노동의댓가로받은돈 73 원 80 전을받자마자공장매점으로달려가각종옷감, 목도리, 인조가죽가방등평소에사고싶었던물건들을구입하면서총 30 원이넘는돈을지출한다. 휘황찬란한상품들로가득한공장매점에서여공들은 상품에서소외된노동자 가아닌 물신성에사로잡힌소비자 로전이한다. 이에대한분석은서지영 (2009: 27-29) 참조.

142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러한자본의메카니즘에공모하거나연루되는과정에서새로운욕망의형식에눈뜨게된다. 게오르그짐멜이말했듯이, 자본주의사회에서소비행위란자아의확장을가져오며이는물질의소유를통해그물질에대한지배권을획득하는과정에서체험된다 ( 짐멜, 1983: 413). 14) 특히, 여성에게있어소비문화는 여성의사사로운요구, 욕망, 자아인식등이공적인상품의표상과그것이약속하는만족에의해매개되는여성의새로운주관성의형식 을형성하는데기여하는측면이있다. 백화점은여성들로하여금가족의경계를넘어공적공간에서자신의욕구를표현하고자기만족의에토스를가질수있게하는계기를제공하였던것이다 ( 펠스키, 1998, 106-147). 이선희의장편소설, 女人命令 ( 조선일보. 1937. 12. 28-1938. 4. 7) 은근대도시소비문화속에서새로운욕망의회로를발견하는여성의내면을포착하고있다. 전문학교출신의여성숙채는도시에홀로상경하여백화점점원으로잠시일하게된다. 숙채가경험하는백화점공간은석고로만든것과같은희고매끈한둥근기둥을두른유리함속에 온갖향기와빗갈을가지는화장품 과, 인형, 과자, 넥타이 등의각종물품으로가득한상품의신전형상을띤다. 이러한백화점이란공간은근대의물품들을유통시키는공간이면서, 여성들의억압된섹슈얼리티를자극하는도발적공간으로자리한다. 15) 숙채는백화점에서우연히손님으로온 안나 라는여성을알게되는데, 전직배우출신으로 빠 를경영하는안나를통해새로운세계와조우한다. 처음안나의방을들어갔을때, 숙채는갖가지화려한세간과 14) 돈슬레이터에의하면, 소비자는모더니티개념의핵심인사적이고모험적인개인의실례인데, 소비에자율성, 의미, 주체성, 사적권리, 자유등의특권적국면이부여되는한편으로, 사소한물질욕망의노예가되는등소비의자율성과정체성감각은지속적인위협받는다고보았다 ( 슬레이터, 2000: 43-51). 15) 시크라멘 은봄이던지는첫키스를뺏기위하여花商의쇼윈도우속에서붉은입술을방긋이벌이고있고피녀들의푸른치마폭은아침의아스팔트위에서, 백화점의층층계위에서깃발과같이발랄하게팔락거리지않는가. 젊은애인들은건넌방속에혹은안방속에밀폐해두었던연애를공원에, 가두에그리고백화점의옥상정원에노골하게해방하리라. 죄많은봄을罰하여라. 실로그봄때문에선량한마담도물건을사가지고돌아오던길에잠깐 일부일처제 를핸드백속에집어넣기도하고, 건망증의令孃여고 4 년동안닦아넣은孔夫子의윤리를승강기의쿠숀위에저도모르게흘리고다니기도한다 ( 김기림, 봄의전령 - 북행열차를타고, 조선일보, 1933. 2. 22( 김기림, 1988: 305-306).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43 장신구, 화장품들로가득차있으면서화려함과혼란, 적막과공허가뒤섞여있는세계를경험하고, 두려움속에서도강한매혹을느낀다. 16) 빠 를운영하는여성에대한관습적잣대에서벗어나오히려안나를두둔하는숙채의시각은주목을요한다. 도덕적으로방종하고, 사치스럽고, 팜므파탈적인안나의모습에서숙채는오히려순진함을찾아내고, 야릇한아름다움과호감을느낀다. 백화점과카페와같은공간을체험하면서, 숙채는위험스럽고도향긋한유혹이있는근대물질의세계, 젠더관습을위태롭게하는향락의세계에한발을들이게된다. 숙채가안나를통해느끼는 독사의상자 에서나오는요기스러운기운, 폼피안 향료에서나오는수수께끼와같은기이한냄새는물질의욕망과섹슈얼리티로채워진 근대적 판도라의상자가열리는순간을연상시킨다 ( 이선희, 1989: 236). 소비자본주의는여성들에게사적공간의경계를넘어욕망의주체로서의자아를확인하고젠더적억압에균열을가하는계기를제공하기도한다. 17) 그런데, 소비가여성의근대적주체성형성에기여하는방식은문제적이다. 레이첼볼비 (Rachel Bowlby) 는 " 여성은무엇을원하는가?" 라는프로이드의질문을재전유하면서자본주의사회에서끊임없이상품을원하게되는여성욕망내부에, 행위성과억압의양가적위치에놓여있는여성의자아구성에주목하였다. 백화점에들어선여성들은스스로의여성적매력을강화하기위하여제공되는상품들의유혹에빠지게되는데, 프로이드적관점에서볼때이들은 거울 이아닌상점 유리 속의모델을통해자아이상의이미지를발견하는나르시스트가된다. 이 16) 이방안은화려하지만안코어딘가몹시적막한데가잇다. 이방안은밤에환락장인대신나제는견딜수업는적막과공허가잇다. 이세상에가장질서를일흔곳이잇다면그곳은곳이방일것이다. 방안엣세간이하나도제대로노힌것이업고발드려노흘틈도업시무엇이널렷다. 그러나그널려잇는물건들은지저분한행낭방넝마와달러서모두다향수를발른것가튼아름다운물건뿐이다 ( 이선희, 1989: 232-233). 17) 펠스키는소비주의문화가조장하는쾌락주의는개별남성자본가에게는중요한경제적이익을가져오지만, 여성들로하여금자신의욕망의만족에빠져들게하면서남성의권위를침식할뿐아니라, 남성이주도하는가부장적가족구조의신성함을교란시키고토대를흔들리게하는파괴적인힘을가진다고보았다 ( 펠스키, 1998: 124-126).

144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러한 사회화 이전, 거울단계의자기오인에가까운원초적나르시시즘이근대시기여성들의소비의메카니즘을통해현현된다고보는레이첼볼비의분석은주목을끈다. 여성은상점유리속의모델들을통해서자신이원하는것, 되기를원하는것을바라보지만, 그들이유리를통해보는모델은잠재적으로약정된가격의지불을경유하여획득되는타자적인어떤것이며, 결국그러한행위는결핍된자, 부재한자로서의보는자 (looker) 를구성하게된다 (Bowlby, 1985: 33-34). 여성들의물건을매개로한자기동일시는공적영역에서의사회화가차단된여성들의소외와권력의결핍을드러내는한편으로, 적절한물건의구입을통해서획득되는 ( 보들리야르적의미의 ) 근대 소비시민 (citizen of consumer society) 으로서의자아정체성의특징을상징적으로드러낸다. 유행의끊임없는변화속에서소비자의갈망과결핍은한도가없는상태가되며, 박탈감과욕망사이, 실제의여성과그녀가그렇게보일지도모르는모습사이의지칠줄모르는상호작용이산출된다. 그결과, 쇼핑하는여성은환상과실재, 사실과판타지, 자아의거짓과진짜이미지의경계에서존재하게된다 (Bowlby, 1985: 29-32). 뿐만아니라, 소비자본주의가끊임없이욕망하는주체를생산하는동시에주체내부에억압의논리가침식해들어가는방식은사회집단내여성들간의계급적불평등을드러내지못하고오히려은폐하는지점을보이기도한다 ( 펠스키, 1998: 144-145). 근대도시가여성에게 가능성과위험의장소 였던것처럼 (Walkowitz, 1992: 80), 소비는여성에게새로운욕망의통로를열어놓는동시에, 나르시소스가자신이만든매혹의덫안에서치명적으로갇히는것처럼빠져나갈수없는욕망의미로속에놓이게한다 (Bowlby, 1985: 29). 이러한소비와여성주체의행위성사이의양가적관계망은 1920-30년식민지도시경성의여성들, 특히다음장에서논의될모던걸 ( 숍껄 ) 의근대체험속에서징후적으로포착된다.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45 Ⅳ. 모더니티의판매자또는상품 : 1920-30년대경성백화점의 숍껄 소비자본주의는상품의생산과소비의메커니즘뿐아니라, 유통의메카니즘에도여성을동원하였는데, 여성을타깃으로하여소비를진작시키기위해이상적이미지를부여하는여성을광고모델로삼고여성을판매원으로고용하였다. 백화점에서녀점원을쓰는것-쓰되미인, 스타일조흔녀자를선택하는것도일종의고객유인책. 경성에서대표적이라고할만한 데파트스토어. 동아, 화신, 장자옥, 삼월, 평전등인데, 그벌집가티생긴소에서마치해ㅅ볏이봄날이곳저곳으로화분을날리듯이귀여운처녀들은현대물질문명을자랑하는상품을이손에서저손으로틔한점없는물건을틔한점업는손으로옴겨놋는경쾌한맛이현대가아니고는도저히볼수가업는일이다 ( 이성환, 1932: 16). 상품을포함한자본주의적모더니티의판매에동원된마네킹껄, 숍껄, 데파트껄등의여성들은 1920-30년대식민지조선에서각광받은도시신종서비스직여성들로 모던걸 의한부류이다. 대부분이중등학교이상의고학력을가졌던 숍껄 은백화점의물질문화에전면적으로노출되면서여성들이소비에눈뜨고, 스타일, 취미, 연애등의도시적라이프스타일을체득하게되는과정을극명하게보여준다 ( 최정희, 1931: 101). 1930년대식민지의궁핍한현실에서여성들의다양한대응양식을그리고있는채만식의장편소설, 탁류 ( 조선일보, 1937. 10. 12-1938. 5. 17) 에서백화점의숍껄들의묘사는당대모던걸의전형적이미지를보여준다. 진열장속과위로는, 형상이모두각각이요색채가아롱이다롱이기는하지만제각기용기의본새랄지곽의의장이랄지가어느것할것없이섬세하고아담한게여자의감각을곧잘모방한화장품들이좀칙칙하다할이만큼그득들이쌓였다. 두평은됨직한진열장둘레안에는그들이팔고있는화장품못지않게맵시말쑥말쑥한숍걸이

146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넷, 모두고또래고또래들이다 ( 채만식, 1987: 401). 위작품에서숍껄은크게네가지유형으로분류되는데, 국지관 [ 菊池寬 : 장편통속소설로신현실주의문학의방향을연일본의극작가 소설가 ] 의소설에빠진 문학소녀, 아직연애보다는영화를좋아하는 영화광, 백화점을드나드는남성고객으로부터쏟아지는연애편지를받는 연애파, 리베 ( 애인 ) 를키네마입장권선사하듯동무에게내주는 행동파 등이있다. 스무살안팎의한참피어나는계집아이들이넷이나한데모여재깔거리고, 그러다가는탄력있는웃음이대그르르맑게구르고, 침침해도명랑하기란바깥에가득내리는오월의햇빛과도바꾸지않겠다. ( 채만식, 1987: 405) 라는채만식의기술은새로운도시문화의향유자로서의숍껄의위치를시사한다. 백화점은모든사람이중산계급의생활방식을열망하도록조장하면서, 계급적차이를확고히하는동시에그차이를희석시키는상품의미학화와라이프스타일의판매에주도적인역할을한다 ( 펠스키, 1998: 107-123). 숍껄은누구보다여성 ( 고객 ) 이원하는것, 당대소비욕망의흐름을먼저간파하여야했으며, 여성들에게쇼핑의쾌락을중개하는과정에서스스로향유의주체가되기도한다. 그런데, 숍껄은백화점이란공간을무대로하여 소비 와 여성 의관계망을구성하는계급성의문제를제기한다. 백화점과같은도시소비공간은일차적으로부르주아중상층여성들이주된고객이었다. 하지만, 물건의소비자로서중산층부인들과판매자로서숍껄사이에넘을수없는계급적간극이존재하였는데, 그것은숍껄의그들에대한선망, 질투의의식으로표출된다 ( 함대훈, 1933: 110). 보들리야르가지적한바, 소비는하나의 계급적제도 이며, 소비행위이면에는특정사물의구매력과계급상승의기능을하는교육수준의차이에따른사물앞의불평등, 그리고실용적생활, 미적구성, 높은교양등의환경내재적요소를갖춘소수의사람들만이소비의자립적이고합리적인논리에접근할수있다고하는보다근본적의미의차별이존재한다. 또한, 사물 ( 상품 ) 은물리적영역을넘어지식, 권력, 교양등의사회적의미를함축하는기호로통용되며,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47 개인적으로또는집단적 ( 계급적 ) 으로타인을구별하는 차이화 의기호로소비된다 ( 보드리야르, 1993: 69-78). 교육받은인텔리계층임에도식민지의만성적취업난속에서도시서비스직노동자로나서야했던식민지조선의백화점숍껄의소비충동은사회계급의수직적인서열에서충족되지않은욕구를보상하는것의형태를띤다고볼수있다. 한편, 숍껄의부르주아계급에대한선망과모방의식은부르주아계층남성과의결혼을통한신분상승의욕구로발현되기도한다. 대개여점원의첫째조건은얼골이잇스므로여기채용된여점원은거이다자기얼골에대하여만흔자부심과교만을가젓다. 그런까닭에이얼골을미천으로해서그들은이백화점에드나드는가장호화로운부인들과가튼데시집을갈수가잇는것이다. 또그러케훌륭한자리에시집가는것은그러케어려운일도아니다. 영애도순이도죄다그런부잣집에시집을가서시집간멧달후에이백화점을다시차질때는가느다란금시겟줄을저고리미테느리고갑빗싼여호목도리속에서뽀얀얼골을살짝우서만보이는것이다. 수만흔여점원가온데서영애나순이처럼되는사람이좀체쉬운일이아니다. 이안에여점원들은누구나그러한시집을꿈꾼다 ( 이선희, 1989: 209-210). 이선희의 女人命令 에서기술되는바, 백화점에드나드는가장호화로운부인들과가튼데시집을 가고자꿈꾸었던 1920-30년대경성의백화점숍껄은근대의갖가지상품들을파는시장의판매자였을뿐아니라, 스스로를신부감으로진열하는결혼시장의상품이기도하였다. 이러한백화점의결혼시장에나선숍껄들은 16세-23세의여성들로, 대개 녀자상업학교 출신이제일많고 진명, 숙명, 이화, 정신 등이그다음이며, 식당에서일하는나이어린녀점원들도보통학교를졸업생이상으로소위 인테리색시 들이모여들었다. 그중결혼률이가장높은곳은진고개 미쓰꼬시 백화점으로, 급료도높고당시일본으로부터유입되는부르주아고객들을상대해야함으로써채용조건이매우까다로웠다고한다 ( 삼천리, 1934. 5. 155-156). 삼천리, 1933년 12월호의 만혼타개좌담회 ( 이광수외 ) 에서도학교와더불어백화점이일종의결혼시장으로작용하고있었던당대의기현상에대해서언급

148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하고있다. 하지만, 당시숍껄들은실질적으로 하루 12시간정도 ( 오전 10시- 밤 10시 ) 의고달픈노동에시달렸던도시의노동자들이었다. 한달에 15-30원의보수를받았던숍껍들은하루 12-13시간노동에한달평균 9-17원의저임금을받았던공장여공에비해상대적으로나은조건속에있었지만, 이들역시백화점의화려한상품들로부터소외되는자본주의노동자군의일원들이었다고볼수있다 ( 데파트 의悲哀, 조선일보, 1931. 10. 11). 그러나, 숍껄들에대한기록들은소비재에대한탐닉과자신들의수입을넘어서과잉지출을하는모습을특징적으로보인다. 다음은이선희의 女人命令 ( 조선일보, 1937. 12. 28-1938. 4. 7) 에등장하는백화점점원, 명자에대한묘사이다. 명자는시내어떤백화점에점원으로다니는데그월급이얼마인지알수업스나, 이러케이집뜰아랫방을세로엇고자취하엿다. 그가월급봉투를타는날은으레이집주인에게방세로사원을가저오고, 그담에는쌀을소두두말에숫한섬에전등불갑세이러케혼잣살림이나마난호와노코나면오원내외가남는데, 이돈은세상업서도자기몸단장하는데써버리는것이다. 그러한덕에명자에게는가지각색모양의구두가세켜레그박게치마저고리가여러벌방속에걸려잇다. 그는늘토끼와가티바지런한데, 그것도다른일엔최대한도로느러지고게으르고오직자기얼골과몸치장하는데만그처럼빨랑빨랑한것이다. 명자는점원가온데서도상당히인끼가잇는데, 그인끼의대까로밧는것은늘젊은연애꾼들로부터밧는편지들이다. 당신은떼파트유리상자속에피어난한송이의말업는꼿칩니다. 나는밤마다당신의뒤를따라밤거리를헤매는무명의용사입니다 ( 이선희, 1989: 204). 1930년대중후반백화점점원으로혼자살고있는명자의한달가계경영상태를살펴보면, 약 20여원으로추정되는월급중에서방세 4 원, 쌀소두두말, 숫 [ 숯 ] 한섬, 전등불갑 [ 전기세 ] 등기초생활비를내고나면 5원이남는데, 명자는이돈은오롯이자기몸단장하는데써버린다. 가지각색의구두세켤레, 치마저고리여러벌을가지고있는명자는점원가운데상당한인기가있어, 그녀를 떼파트유리상자속에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49 피어난한송이의말업는꼿 으로묘사하는구애의편지를받기도한다. 수입에비해모던걸상품인구두, 옷가지등에과도한지출을행하는명자는온전한경제적자립을확보하지못한상황에서물건에대한갈망과결핍, 박탈감과욕망사이의출구없는회로속에갇히는 1930 년대경성숍껄 ( 모던걸 ) 의물신주의적면모를시사한다. 金乙漢의 女人群像 ( 삼천리 1931. 10) 은당시데파트껄의경제적실상과불안정하고위태로운처지를보다잘보여준다. 여자고등보통학교출신인백화점의여점원영숙은가족의생계를책임진가장으로백화점이판매하는화려한상품이나라이프스타일과는거리가먼힘겨운생활을한다. 다음은백화점여점원, 영숙이받은월급명세서와금전출납부이다. 7 월분봉급내역한달지출내역 봉급 - 24 원 ( 일급 80 전식삼십일분 ) 상품판매부족액 - 1 원 30 전공제회비 - 50 전 집세 - 11 원, 쌀값 - 6 원 50 전, 나무값 - 3 원, 반찬외상 - 4 원 50 전, 전기세 - 2 원 30 전, 약값 - 7 원 70 전. 실수령액 - 22 원 20 전총계 - 33 원 70 전 ( 부족액 11 원 50 전 ) 자료 : 金乙漢, 女人群像, 삼천리 1931 년 10 월호 161 쪽에서재구성 한달봉급 24원중에서상품을팔다가부족한액수와공제회비를제하고손에넣은 22원 20전은한달생활비 33원 70전을채우지못한다. 네달동안월급을받았지만, 박봉에다적자를면치못하는영숙은화려한백화점의분위기속에서떨어진구두를아직새구두로교체하지못한것을부끄러워한다. 이러한영숙에게옆양품부여점원은영숙의주변을얼쩡거리던 로이드안경 을쓰고양복입은모던보이와한번만놀러가면, 인조견 ( 人造絹 ) 치마 와 칠피구두 를얻을수있다고권유하고, 눈앞에어른거리는칠피구두때문에하룻밤의유혹을수락한영숙은결국정조를잃게된다. 당시백화점진열대위의숍껄은 도색 ( 桃色 ) 의꿈을가슴속기피감춘스마-트한청년 18) 이나, 백화점남성주임의욕망의대상이되는

150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등성적위험에쉽게노출된존재들이었다. 또한, 중산층계급의라이프스타일을선망하지만거기에이를수없는현실적간극속에있었던숍껄들의물질에의욕구는도덕적, 성적위반으로이어지기십상이었다. 19) 쇼프걸은월급이적어서, 매음안하고는살수가없고, 이들의태반이결국여급으로흘러나온다 ( 정당연애와결혼좌담회, 조광, 1939. 2) 라는한기사는당대의정황을일정정도반영한다. 20) 정숙한중산층가정 부인 도아니고 매춘부 도아닌, 중간지대에있었던 숍껄 의모호한계급적위치는근대소비공간에배치된여성의곤경을가시화한다. 관습적젠더기제로통제되지않는여성의욕망과그것이야기하는숍껄들의위태로운선택의지점들은소비자본주의의희생물이미지와독립적인자기욕망의주체사이에있는식민지조선의모던걸의양가성을드러낼뿐아니라, 불완전하고기형적인식민지경제의토대속으로침투한조선의소비문화와도시여성의관계를상징적으로보여준다고할수있다. Ⅴ. 식민지조선에서 코스모폴리탄 이된다는것근대시기백화점에서는물건을소비할금전적능력이있는사람이면누구든지고객이된다. 19세기유럽에서시작된소비사회는부르주아중산층계급을주된동력으로삼아성장하였지만, 1920-30년대경성은만성실업상태의인텔리들로가득하였으며도시소비문화가뿌리내릴수있는사회적기반은미약하였다고볼수있다. 21) 하지만, 18) 누구든지종로의네거리화신백화점의출입구나정자옥, 미쓰꼬시, 히라다, 미나까이가튼큰백화점으로다리를옴겨보면도색 ( 桃色 ) 의꿈을가슴속기피감춘스마 - 트한청년들이물건보기보다거기서나비가치경쾌하게써 - 비스하는쏩프껄들을바라보기에정신업는광경을본다 ( 최정희, 1931: 101). 19) 20 세기초서유럽에서숍껄이지니는특수한위치는펠스키 (1998), 파슨스 (Parsons, 2000), 월코위츠 (Walkowitz, 1992) 에서지적되었다. 20) 이서구의 데파트애화, 키스 와 월급 과 처녀 ( 신여성 1932. 11, 81-86) 라는글에서도백화점에근무하는順이는어머니와동생등가족을부양해야하는가장의위치에있으며, 그러한順의경제적취약함을알고있는백화점주임의간계와협박에의해順은결국정조를잃게된다.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51 드보르가언급했듯이, 물질적토대가아직없는곳에서조차, 현대사회는스펙타클을수단으로이미각대륙의사회적표면을침투 하였으며 ( 드보르, 1996: 41), 대중소비문화를유통시키는중간층의부재와경성부민의절대다수가도시빈민층이었던 1920-30년대경성이라는시공간 22) 에서도상품의소비는새로운 보편 의형식으로일상속에유입된다. 당시소비대중으로서거리에나온여성들은자본주의적근대가뿌리내리는경로에서양산되는 코스모폴리탄 의한형태라할수있다. 그런데, 식민지조선의백화점 ( 상점 ) 에등장한여성 코스모폴리탄 들은소비주체로서의보편적경험과더불어식민지도시의결핍을내재한역사적특수성또한현저하게드러낸다. 1930년대초경성백화점의한여점원은 洋服개나변변히입은이들은散步를山水맑은山이나들! 或은市外라면몰르나百貨店으로긔생을연성녑헤끼고가장승리나한것처럼한시간에한번식발을옴기며주절벅석대고단이는것을보면젓먹은배알이다올라오지요. 포목부에서보면긔생텬지! 양복쟁이천지! 얼마나긔괴한場面일까요 라고한탄하였다 ( 金敬愛, 1931: 52-53). 또한, 双 S 生의 大京城狂舞曲 ( 별건곤 1929. 1) 라는글에는, 진고개미쯔꼬시백화점에서 사는물건도업고골라보려고도안하고그냥 3층위로올러왓다가나려갓다가또올러왓다가휘휘둘러보고는또나려가고세번이나휘도는여자 를발견하는데, 필자는외모와맵시가뛰어난이여성을 은근자 ( 밀매음여성 ) 라추정한다. 최신유행복장을한화려한외양속에서물건을구매하는백화점에서부르주아중산층여성고객, 전근대적존재양태인첩, 사창 ( 私娼 ) 은엄밀하게구별되지않으며, 이들은모두소비주체로서환대받는다. 23) 21) 유선영은 1920 년대초경성가구의약 10. 79% 가중산층이상의가구로대중문화소비의모집단으로상정할수있으며, 1930 년대경영자, 소산층, 화이트칼라를합한중상층이전체인구의 17% 정도에해당한다고보았다 ( 유선영, 2009: 76-77). 22) 자본주의의빈부양극화로인한계급적모순을완충할수있는중간계급의존재와안정적재생산기반을가진중산층형성이야말로대중문화시장의형성과발전의전제조건이지만, 식민지조선의경우, 식민지자본주의의경제구조로인해이러한중간층대중의형성이취약했으며, 경기의활황과불황에따라부침이심했다는점을특징적으로보았다 ( 김백영, 2009: 508). 23) 특히하층계급의 과소비 갈망은사회적지위를추구하는요구의표현인동시에이요구의실패를체험한데서나오는표현이라할수있다 ( 보들리야르, 1993: 78).

152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여성들이백화점의소비주체로몰려드는풍경속에서여성들내부의계급적차이가뒤범벅된채성별만이유표화되는양상이나, 도시공간에서 창녀들 의몸을통해구현되는 성애화된근대성 (sexualized modernity) 은서구자본주의적근대가젠더와관계맺는전형적인방식들을보여준다 ( 펠스키, 1998: 109). 하지만, 1920-30년대경성진고개 종로의백화점진열장에등장한 소비하는여성들 이면에두드러지게포착되는혼성적계급구성은부르주아중산층의계급적토대가부재했던식민지조선의근대성을드러내는한지표라볼수있다. 또한, 식민지조선에서사창 ( 私娼 ) 의몸을매개로구현되는 성애화된근대 는불균형한개발과소비중심의식민지도시, 제국의군국주의가자본주의적근대와접합하면서양산되는 주변적 (minoritarian) 모더니티 (Pollock et al., 2000: 581) 의한풍경으로포착된다. 24) 이에대한심도있는논의는후속과제로돌리고자한다. 24) 식민지조선의성애화된근대는극심한불경기속에서호황을누린도시유흥 향락산업의번성과관련된다. 동아일보 (1932, 12. 19) 의 여성의비애, 점증되는실업여성의창기화 에는 1931 년도조선의妓娼및작부수가 9, 437 명으로 7 년전인 1925 년 6, 900 명에비하면 2, 537 명증가하였는데, 그사이에 저주할만한빈곤과실업 이더욱커졌음에도불구하고, 조선인은 2, 805 명에서 5, 073 명으로, 2, 268 명이늘고, 일본인은 4, 805 명에서 4, 361 명으로 276 명이늘은것으로보아, 조선인측의사회적빈곤과실업이얼마나심각한지를보여준다고보도하고있다. 동아일보 (1937. 11. 5) 의 고물상, 예기는증가, 여관, 음식점은退勢 - 예창기, 만오백명, 여급사천명, 사회조류의奇현상 은만주사변 (1931 년 ) 이후, 군수, 전쟁경기로일본의경제계는호황기에접어들면서식민지조선의私娼수는점차증가하였으며, 30 년대말전시체제에유흥영업의통제에도불구하고, 접객업은성황을이룬다. 1940 년대신체제에이르러접객업은전폐업조치로타격을입는다 ( 손정목 : 1996, 470-471; 박정애 : 2009, 134-194).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53 참고문헌신문ㆍ잡지 長恨, 女聲 金敬愛 (1931), 店頭에서본朝鮮손님, 신여성, 4월. 김기림 (1930), 찡그린도시풍경, 조선일보, 11. 11. 김기림 (1931), 도시풍경 1 2, 조선일보, 2. 21-2. 24. 김기림 (1933), 봄의전령-북행열차를타고, 조선일보, 2. 22. 김기림 (1940), 인형의옷, 여성, 7월. 김남천 (1940), 현대여성미, 인문평론, 1월. 金乙漢 (1931), 女人群像, 삼천리, 10월. 朴露兒 (1930a), 十年後流行, 별건곤, 1월. 朴露兒 (1930b), 女性恐慌時代, 별건곤, 7월. 방인근 (1927), 여학생론, 동광, 12월. 쌍S생 (1929), 大京城狂舞曲, 별건곤, 1월. 안석영 (1930), 어듸서그돈이생길가, 一日一畵 (5), 조선일보, 4. 8. 안석영 (1937), 여성팔태- 모던걸, 조광, 5월. 유광렬외 (1927), 모던걸-모던보이-대논평, 별건곤, 12월. 이광수외 (1933), 만혼타개좌담회, 삼천리, 12월. 이서구 (1929), 서울맛 서울정조-경성의짜쯔, 별건곤, 10월. 이서구 (1932), 데파트애화, 키스 와 월급 과 처녀, 신여성, 11월. 이선희 (1934), 茶黨女人, 별건곤, 1월. 이성환 (1932), 부인과직업전선, 신여성, 3월. 鄭秀日 (1929), 진고개, 서울맛 서울情調, 별건곤, 9월. 정의순 (1932), 當世女學生氣質, 신동아, 12월. 최정희 (1931), 데파트애화 니나 ( 尼奈 ) 의세토막기억, 신여성, 12월. 함대훈 (1933), 점원의로-멘스, 신동아, 4월. 함윤성 (1931), 時代相 - 寸言鐵語, 실생활, 8월. 結婚市場을차저서, 百貨店은美人市場, 삼천리, 1934. 5. 1.

154 한국여성학제 26 권 1 호 데파트 의悲哀, 조선일보, 1931. 10. 11 千葉春路生 (1924), 降ろや春雨桃李の彌生, 千姿萬容の京城女性, 朝鮮及滿洲 Vol-no. 197. 소설백관수 (1929), 京城便覽, 京城 : 弘文社. 박태원 (1987), 소설가구보씨의일일, 서울 : 슬기. 채만식 (1987), 채만식전집- 2, 서울 : 창작과비평사. 김기림 (1988a), 김기림전집- 5, 서울 : 심설당. (1988b), 김기림전집- 6, 서울 : 심설당. 이선희외 (1989), 월북작가대표문학-5, 서울 : 瑞音出版社. 논문 김미선 (2005), 1930 년대 신식 화장담론이구성한소비주체로서신여성, 이화여대한국여성연구원 ( 편 ), 여성학논집, 제 22 집 2 호 145-182 쪽. 김백영 (2009), 지배와개발 - 식민지도시경성과제국일본, 서울 : 문학과지성사. 김수진 (2005), 1920-30 년대신여성담론과상징의구성,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박정애 (2009), 일제의공창제시행과사창관리연구, 숙명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서지영 (2003), 식민지시대카페여급연구 - 여급잡지 < 女聲 > 을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 편 ), 한국여성학 19 권 3 호, 31-73 쪽, (2006), 식민지조선의모던걸 : 1920-30 년대경성거리의여성산책자, 한국여성학회 ( 편 ), 한국여성학, 22 권 3 호, 200-228 쪽. (2009), 여공의눈으로본식민지도시풍경, 역사문제연구소 ( 편 ), 역사문제연구 22 호, 7-31 쪽.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도시사회상연구, 서울 : 일지사. 신명직 (2003), 모던뽀이, 경성을거닐다, 서울 : 현실문화연구. 유선영 (2009), 근대적대중의형성과문화의전환, 성곡언론문화재단 ( 편 ), 언론과사회, 17 권 1 호, 42-101 쪽. 이난향 (1977), 명월관, 남기고싶은이야기들, 서울 : 중앙일보, 동양방송.

소비하는여성들 : 1920-30 년대경성과욕망의경제학 155 이영자 (2000), 소비자본주의사회의여성과남성, 서울 : 나남출판. 드보르, 기 (1996), 스펙타클의사회, 이경숙역, 서울 : 현실문화연구 (Debord, Guy, Society of the spectacle, New York : Zone Books, 1994). 벤야민, 발터 (2005), 아케이드프로젝트, 조형준역, 서울 : 새물결 (Benjamin, Walter, (Das)Passagen-Werk, Frankfurt am Main: Suhrkamp, c1982). 보드리야르, 장 (1993), 소비의사회 - 그신화와구조, 이상률역, 서울 : 문예출판사 (Baudrillard, Jean, La societe de consommation, Paris: Gallimard, 1974) 슬레이터, 돈 (2000), 소비문화와현대성, 정숙경역, 서울 : 문예출판사 (Slater, Don, Consumer culture and modernity, Polity Press, 1997). 질로크, 그램 (2007), 발터벤야민과메트로폴리스, 노명우역, 서울 : 효형출판 (Gilloch, Graeme, Myth and metropolis Walter Benjamin and the city, Cambridge, UK: Polity Press, 1996). 짐멜, 게오르그 (1983), 돈의철학, 안준섭, 장영배, 조희연역, 서울 : 한길사 (Simmel, Georg, The Philosophy of Money/3Rd Enl. Ed. London, Boston: Routledge & Kegan Paul, 1978). 펠스키, 리타 (1998), 근대성과페미니즘, 김영찬, 심진경역, 서울 : 거름 (Felski, Rita, The gender of modernit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Bowlby, Rachel(1985), Just Looking:Consumer Culture in Dreiser, Gissing and Zola, Methuen. Parsons, Deborah L.(2000), Streetwalking the Metropolis: Women, the City, and Modernity, Oxford University Press. Pollock, Sheldon, Bhabha Homi K., Carol A. Breckenridge and Dipesh Chakrabarty(2000), Cosmopolitanism, Public Culture, Vol. 12, Issue 3. The Modern Girl Around the World Research Group(2008), The Modern girl around the World: Consumption, Modernity, and Glob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Walkowitz, Judith R.(1992), City of Dreadful Delight- Narratives of Sexual danger in Late-Victorian London, Chicago Press. ( 투고일 : 2010.1.19, 1 차심사일 : 2010.1.25, 2 차심사일 : 2010.2.25, 게재확정일 : 2010.3.17)

ABSTRACT Female Consumers: Gyeongseong in 1920-30s and the Economics of Desire Suh, Ji-young HK Research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his paper trie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consumption, paying attention to the women who appeared in the colonial city, Kyongseong, as a consuming public in 1920-30s. The female icon of 'Modern girl' in mass media after the mid 1920s was a model representation of 'consuming woman' who was signified as a figure of extravagance and sexual depravity. However, over the moral eye seeing the combination of consumption and woman in a hostile way, the capitalistic mechanism operating in the discourses which sexualizes and fetishizes female consumer as a pathological figure should be examined. Furthermore, a new form of desire which enables women to wake up through the consumption and the way the consumption is concerned with the modern subjectivity of women ne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The way of being in 'shop girls' in the department store as one part of new career women in urban area and 'modern girl' in 1920-30s shows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urban consumption culture and women in the unstable and deficient colonial economy. Consumption in the colonial city, Kyongseong expands to the women from diverse social status beyond the class gap inside the gender. 'Sexualized modernity' mediated by the female body in Kyongseong presents the historical form of modernity in colonial Korea produced in the inosculation of colonialism, militarism, and capitalistic modernity. Keywords consumption, gender, modern girl, capitalism, colonial city, shopgirl, moder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