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í¼®ÁÖ Ãâ·Â

DBPIA-NURIMEDIA

통신서비스품질평가보고서 2017 Evaluation Report for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휴대용 기기 분야 가정용 영상 기기 분야 휴대 전화 USB, FireWire 등 PC PC TV DVD/Blu-ray 플레이어 게임 콘솔 휴대 전화 휴대전화, PMP 등 휴대용 기기 간 대용량 데이터 무선 전송 캠코더 Component, Display Port, DVI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4D F736F F D FB1E2BCFAB5BFC7E2BAD0BCAE2DB8F0B9D9C0CF20B3D7C6AEBFF6C5A92DC3D6BFCF2E646F6378>

<303120B0EDB1A4C3E12E687770>

Á¶Áø¼º Ãâ·Â-1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제 3 편

½Éº´È¿ Ãâ·Â

07김동회_ok.hwp

TTA Verified : HomeGateway :, : (NEtwork Testing Team)

¼º¿øÁø Ãâ·Â-1

<313920C0CCB1E2BFF82E687770>

02손예진_ok.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08김현휘_ok.hwp

±è±¤¼ø Ãâ·Â-1

04 최진규.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30(9),

湖北移动宽带接入市场研究前期评述报告

untitled

29 Ⅰ. 서론 물리학자들이 전파의 이론을 정립한 이후, 이를 기술적으로 실현함은 물론 적정 수준의 19세기 물리학자인 페러데이, 맥스웰, 헤르츠 등의 연구 결과로 인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변화 에 따른 전파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고, 인류에 게 있어 없어서는 안되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y; 27(5),

8-VSB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Carrier Phase Offset, CPO) (Timing Frequency Offset),. VSB, 8-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 DC 1.25V, [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歯이시홍).PDF

. HD(High Definition). HD 1024x720, 1280x720 HD, 1980x [1]., UHD(Ultra High Definition) [1]. HD (1280x720 ) 4 (4K UHD:3840x2160 ) 16 (8K UHD:76


±è¼ºÃ¶ Ãâ·Â-1

< BBEABEF7B5BFC7E228C3D6C1BE292E687770>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슬라이드 제목 없음

1217 WebTrafMon II

<333820B1E8C8AFBFEB2D5A B8A620C0CCBFEBC7D120BDC7BFDC20C0A7C4A1C3DFC1A42E687770>

歯김병철.PDF

<3034B1E2B9DD32302DBAB8B0EDBCAD2D DC0FCC6C4C0DABFF BAB0C3A53420C8A8B3D7C6AEBFF6C5A9292E687770>

슬라이드 제목 없음

歯I-3_무선통신기반차세대망-조동호.PDF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Feb.; 29(2), IS

○ 제2조 정의에서 기간통신역무의 정의와 EU의 전자커뮤니케이션서비스 정의의 차이점은

±èÀçÇö Ãâ·Â

<3031B0ADB9CEB1B82E687770>

Bluetoot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 IEEE WiMAX. WiMAX [2]. WiMAX Wang [3] WiMAX / (multicast/broadcast service) (Cross- Layer Optimization, CLO). Hosein [4] WiMAX (Variable Bit

<40C1B6BBE7BFF9BAB85F3130BFF9C8A32E687770>

untitled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1.LAN의 특징과 각종 방식

KT 무선네트워크진화방향 KT 개인고객부문무선연구소 최병진

Microsoft PowerPoint - wireless communications.ppt

09권오설_ok.hwp

00내지1번2번

<C0CCBCBCBFB52DC1A4B4EBBFF82DBCAEBBE7B3EDB9AE2D D382E687770>

< C0FCC6C4BBEABEF7B5BFC7E E687770>

untitled

ÀÌÀç¿ë Ãâ·Â

Microsoft PowerPoint 통신과 통신망.ppt

Microsoft PowerPoint ppt

04-다시_고속철도61~80p

OMA Bcast Service Guide ATSC 3.0 (S33-2) T-UHDTV 송수신정합 Part.1 Mobile Broadcast (Open Mobile Alliance) 기반 Data Model ATSC 3.0 을위한확장 - icon, Channel No.

무선데이터_요금제의_가격차별화에_관한_연구v4.hwp

시스템, 네트워크모니터링을통한보안강화 네트워크의미래를제시하는세미나 세미나 NetFocus 2003 : IT 관리자를위한네트워크보안방법론 피지피넷 /

À±½Â¿í Ãâ·Â

,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3]., [4],[5]., V2V(Vehicle to 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IEEE 82.11p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DBPIA-NURIMEDI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Chapter11OSPF

(JBE Vol. 23, No. 5, September 2018) (Regular Paper) 23 5, (JBE Vol. 23, No. 5, September 2018) ISSN

歯1.PDF


歯3이화진

09오충원(613~623)

DBPIA-NURIMEDIA

인켈(국문)pdf.pdf

untitled

5-서영주KICS hwp

(72) 발명자 정진곤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1동 이용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한빛아파트 122동 1301 호 - 2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30(3),

Microsoft Word - SRA-Series Manual.doc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6, Jun Rate). STAP(Space-Time Adaptive Processing)., -

Microsoft Word - ZIO-AP1500N-Manual.doc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2-1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정의 2-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징 2-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시장 현황 2-4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사례 연구 2-5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8(11),

1ºÎ

Microsoft PowerPoint - 4-TPS Network Architecture.ppt


歯김한석.PDF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6, no. 2, Feb ,., LTE,. MCL (MCL [3], E-MCL [4], A-MCL [5] ) [

I

Transcription:

논문 10-35-03-04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정회원이규환 *, 오성민 *, 종신회원김재현 * A Performance Analysis of VoIP in the FMC Network to provide QoE for users Kyu-Hwan Lee*, Sung-Min Oh* Regular Members, Jae-Hyun Kim* Lifelong Member 요 약 다양한트래픽에대한사용자의요구증대와망기술의발전은각각의분리된망을하나의망으로융합해가고있다. 하지만융합망에서음성사용자에게 QoE를제공하기위해서는융합망에서 VoIP 성능분석연구가필요하다. 그러므로본논문에서는사용자가융합망에서 VoIP를사용할때발생할수있는음성품질저하시나리오를제시한다. 특히, 본논문에서는융합망구성요소별로시나리오를나타내고음성품질개선포인트를찾는다. 시뮬레이션결과, HSDPA 무선계층에서패킷손실이발생했을경우와 3GPP와인터넷프로토콜백본의게이트웨이인 GGSN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을하지않았을경우, 그리고무선랜에서 non-qos AP를사용하였을경우에음성품질저하가발생하는것을살펴볼수있었다. Key Words : Fixed Mobile Convergence, VoIP, QoS, QoE, HSDPA, WLAN, IP ABSTRACT Due to increase of user requirement for various traffics and the advance of network technology, each distinct network has converge into FMC(Fixed Mobile Convergence) networks. However, we need to researc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n the FMC network to provide QoE for the voice user of FMC network.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the scenario which is the situation of voice quality degradation when a user uses VoIP t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in the FMC network. Especially, this paper presents scenario in terms of the component of the network and finds the improvement point of voice quality. In the simulation results, three improvement points of voice quality are found as following: voice quality degradation by packet loss in the physical layer of the HSDPA network, by utilizing GGSN without QoS parameter mapping mechanism which is gateway between 3GPP and IP backbone, and by using non-qos AP in the WLAN network. Ⅰ. 서론 음성, 영상및데이터서비스에대한이용자들의다 양한요구증대와망기술의빠른발전은기존에각각분리되어있던단일망에서망의광대역화및효율적인망운영을위한융합 (Fixed Mobile Convergence) " 본연구는지식경제부및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2009-F-043-01, 사용자중심이동성제어를통한중단없는이동성제공기술개발 ] 과대학 IT 연구센터지원사업의연구결과로수행되었음 " (NIPA-2010-(C1090-1021-0011)) * 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무선인터넷연구실 ({lovejiyoon7, smallb01, and jkim}@ajou.ac.kr) 논문번호 :KICS2009-10-461, 접수일자 :2009 년 10 월 13 일, 최종논문접수일자 : 2010 년 3 월 5 일 398

논문 /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 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망으로의진화를가속시키고있다 [1-4]. 특히,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를사용하여댁내의무선랜 (Wireless LAN) 과이동통신망이인터넷프로토콜백본으로융합되어음성통화서비스를제공하는서비스가운영중이고이를위한듀얼모드 ( 무선랜 /CDMA) 단말기가출시되어있는상태이다 [5,6]. 하지만각기다른기간망을사용하는사용자들이음성통화서비스를사용할때각각의기간망사이에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mapping이제대로수행되지않거나망종단의무선계층에서채널상황이악화될경우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 가저하되는상황이발생할수있다. 따라서음성통화서비스를사용하는사용자들에게 QoE를제공하기위해서는망구성요소간패킷전송성능과망종단간객관적음성통화지표성능을분석하여음성통화품질을저하시키는요인들을찾아내고개선해야한다. 그러므로본논문에서는무선랜과 3GPP HSDPA 망을인터넷프로토콜백본으로융합한망에서사용자들이 VoIP를사용하여음성통화서비스를제공받을때, 융합망에서의구성요소별음성통화품질저하시나리오를제시하고, 통신종단간성능분석을통하여음성품질개선포인트를도출한다. 본논문의구성은다음과같다. 2장은 IEEE 802.11e, HSDPA, E-model에대하여기술하며, 3장에서는융합망에서의음성품질저하예상시나리오들을제시한다. 4장에서는시뮬레이션을통하여통신종단간성능분석을수행하고, 음성품질개선포인트를도출하며, 5장에서결론을맺는다. Ⅱ. 관련기술 2.1 IEEE 802.11e EDCA는기존 IEEE 802.11의 DCF에서서비스에따른차별화된 QoS(Quality of Service) 를제공하지못하는단점을보완한프로토콜로서비스에따라각기다른접근대기시간을사용한다. 각서비스의우선순위에따라 CW(Contention Window) 와 AIFSN (Arbitration Inter Frame Space Number) 이다르며, 우선순위가높은서비스가우선적으로패킷을전송할수있는기회를얻는다. IEEE 802.11e표준에서는크게 4가지의 AC(Access Category) 와각각서비스별 AIFSN, CW 및 TXOP(Transmi ssion Opportunity) 를정의하고있다. [8] 2.2 HSDP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는기존의 WCDMA Release 99 및 Release 4와동일한주파수대역에서사용가능한고속의하향패킷데이터서비스를위한시스템이며, 전송효율증대를위해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와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을사용한다. 또한 Node B에스케줄러기능을추가하고기존의 10ms이었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를 2ms 로변경하여빠른채널적응을수행할수있도록설계되어있다 [9]. 2.3 E-model E-Model은 ETSI에서표준화한통화품질에관한객관적평가방법을말한다 [14]. E-Model에서정의하는통화품질에관한객관적평가지표인 R값과 MOS(Mean Opinion Score) 는수식 (1) 과 (2) 와같이구할수있다. (1) (2) 이때, Ro는회선잡음, 송 수화실내경음, 가입자선잡음에대한주관적품질을의미하고, Is는측음 (sidetone), 양자화변형에의한주관적품질저하를의미한다. Id는송신한사람및수신한사람의에코, 절대지연에의한주관적품질저하를의미하고 Ie는낮은비트율부호화, 패킷손실또는셀손실등에의한주관적품질저하, A는모바일통신등의편리성이주관적품질 ( 만족도 ) 에끼치는영향을보완하는요인을의미한다. 일반적으로 R값은 70이상 MOS는 3.6이상되어야사용자가통화품질에불편을느끼지않는다 [15]. 응용계층에서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이 MOS에미치는영향을자세히살펴보면그림 1과 2와같다 (Ro가 94.77, Is는 1.43, 그리고 codec은 G.729 [16] 를사용했을경우 [17] ). 그림 1은종단간패킷전송지연의증가에따른 MOS의변화를나타낸다. 종단간패킷전송지연이 200ms보다증가하게되면 MOS가급격히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2는패킷손실률의증가에따른 MOS의변화를나타낸다. 패킷손실률이증가할수록 MOS가 exponential하게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399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그림 1. MOS vs. 종단간패킷전송지연 그림 3. 융합망의참조망구조 3) 시나리오 3. 무선랜에서 non-qos AP(DCF) 를사용할경우전송지연발생에의한음성품질저하 3.1 시나리오 1 UE-Node B UE와 Node B간채널상황은 path loss, shadowing, multi-path에의해급격히변화한다. 그림 4는평균잡음비 (SNR: Signal to Noise Ratio) 가 35/15/0dB일때 그림 2. MOS vs. 패킷손실률 Ⅲ. 융합망에서의음성품질저하예상시나리오 본장에서는무선랜과 HSDPA망의융합망에서 VoIP를사용할때음성품질저하예상시나리오에대하여상세히기술한다. 그림 3은융합망의참조망구조를나타낸다. 무선랜단말기와 HSDPA 단말기 (UE) 는 VoIP로음성통화를할수있고, HSDPA망과무선랜은인터넷프로토콜백본으로연결되어있다. 본논문에서고려한음성품질저하예상시나리오는다음과같다. 1) 시나리오 1. UE-Node B간채널상황변화에의한전송지연및패킷손실발생으로인한음성품질저하 2) 시나리오 2.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대기행렬지연 (queueing delay) 발생에의한음성품질저하 그림 4. (a) 평균잡음비가 35dB 일때의실시간잡음비, (b) 평균잡음비가 15dB 일때의실시간잡음비, (c) 평균잡음비가 0dB 일때의실시간잡음비 400

논문 /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 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의실시간잡음비를나타낸다. 그림 4.(b),(c) 에서보는것과같이평균잡음비가 15/0dB일때는잡음비가 0dB이하 ( 점선아래 ) 로떨어지는구간이발생하여전송지연및패킷손실을야기할수있다 [10]. 3.2 시나리오 2 GGSN-인터넷프로토콜백본인터넷프로토콜망에서는전송하는패킷의 QoS를제공하기위하여 Inserv와 Diffserv를사용한다 [18]. Differv에는 default PHB(Per Hop Behaviors), CS(Class Selector) PHB, AF(Assured Forwarding) PHB, EF(Expedited Forwarding) PHB의서비스클래스가존재하고 3GPP망에서는 4가지서비스클래스 (conversation, streaming, interactive, back ground) 가존재하는데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망과 3GPP 망간 QoS 파라미터 mapping이존재하지않을경우에는그림 5에나타낸예시와같이대기행렬지연이발생할수있다. GGSN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 기능을제공하지않아모든패킷이 default PHB로전송되면트래픽량이증가할경우대기행렬지연이증가하여, 특히지연에민감한음성트래픽같은경우에는 QoS 요구사항을만족시킬수없는경우가발생할수있음을살펴볼수있다. GGSN에인터넷프로토콜망 (Diffserv를사용할경우 ) 과 3GPP망간 QoS 파라미터 mapping이존재하는경우에는음성통화트래픽 (conversation) 과다른서비스들의클래스 (streaming, interactive, background) 가구분이되어 QoS를제공할수있다. Diffserv를사용할경우 conversation은 EF로 stream은 AF41로서비스클래스를 mapping시킬수있고 interactive는 AF31으로 background는 AF11로서비스클래스를 mapping시킬수있다. 그림 6은 GGSN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는경우의예를나타낸다. QoS 파라미터 mapping을 GGSN에서수행하게되면트래픽량이증가하게되더 그림 6. GGSN 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 을수행하는경우의예시 라도지연에민감한음성트래픽은패킷전송에우선권을갖기때문에 QoS를보장할수있다. 3.3. 시나리오 3 무선랜-인터넷프로토콜백본인터넷프로토콜백본에서서비스를서비스클래스에따라분류하여전송하더라도무선랜에서 Non-QoS AP를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 AP에서 STA(STAtion) 로전송되는트래픽이 AP의하나의대기행렬로전송되어대기행렬지연이발생할수있다. 또한, AP와 STA들이동일하게채널접근을수행하기때문에채널접근지연이발생할수있다. 그림 7에서보는것과같이 AP가 QoS 파라미터 mapping을제공하지않는경우지연에민감한음성트래픽같은경우에는 QoS 요구사항을만족할수없는경우가발생할수있음을살펴볼수있다. 또한그림 8에서보는것과같이무선랜에존재하는 AP를포함한다수의 STA들이경쟁방식으로데이터를전송하게되기때문에채널접근지연이발생할수있다. 무선랜에서 EDCA기능을제공하는 QoS AP를사용할경우에는서비스클래스별로 AIFSN과 CW값이다르고 TXOP기간동안패킷을계속전송할수있 그림 5. 인터넷프로토콜망과 3GPP 망간 QoS 파라미터 mapping 이존재하지않았을경우에대기행렬지연이발생하는예시 그림 7. Non-QoS AP 를사용하여 QoS 파라미터 mapping 을수행하지않을경우발생하는대기행렬지연예시 401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단말기와 UE간종단간패킷전송지연을보여준다 ( 시나리오 1). HSDPA에서의패킷손실에의한재전송지연이평균종단간패킷전송지연에영향을미쳐평균잡음비가감소할수록전송지연이증가하는것을볼수있다. 그림 12는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 그림 8. 경쟁방식으로데이터를전송하기하기때문에발생하는채널접근지연예시 는기회를제공하여 QoS 를보장해할수있다. Ⅳ. 망종단간성능분석및음성품질개선포인트도출 본장에서는망구성요소간패킷전송성능 ( 패킷전송지연및패킷손실률 ) 이망종단간객관적음성통화품질평가지표 (MOS) 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여본논문에서의예상시나리오를검증해보고구성요소별음성품질개선포인트도출한다. 4.1 망종단간성능분석본논문에서는융합망에서사용자들이 VoIP를사용하여음성통화서비스를제공받을때통신종단간성능분석을위하여무선랜단말기, AP(non-QoS/ supported QoS), IP backbone, GGSN, Node B, UE 로구성된융합망을시뮬레이션하였다. 무선랜단말기와 UE는서로 VoIP를이용하여음성통화가가능하고 VoIP codec은 G.729를사용하였다. 자세한시뮬레이션파라미터는표 1과같고, 시뮬레이션에사용한 Node B와 UE 사이의채널모델과트래픽모델은각각표 2와표 3에나타내었다 [7]-[13]. 본논문에서는 QoS 파라미터 mapping 기능이없을경우음성품질저하발생여부만을살펴보면되기때문에시뮬레이션시나리오 2와시나리오 3에망내에트래픽 ( 음성, 비디오, 데이터 ) 의비율은트래픽량에따라임의로설정하였다. 그림 9와그림 10은각각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음비에따른 HSDPA에서의평균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1). Node B와 UE사이의 SNR이 15~35dB에서는안정한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을나타내지만 UE가셀가장자리로이동하면서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음비가 0dB값에가까워질수록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이증가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1은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음비의변화에따른무선랜 표 1. 시뮬레이션파라미터 Parameter Value 3GPP side Frame duration 2ms(Downlink)/ 10ms(Uplink) MCS Level QPSK 1/2, 3/4, 16QAM 9/16,3/4 HARQ scheme I2R(Adaptive incremental redundancy) MAX. uplink bit rate(wcdma) 384kbps MAX. Downlink bit rate(hsdpa) 720kbps(Spreading Code 1개사용 ) distance between Node B and UE 0~1.5km WLAN side Physical characteristics Extended rate PHY(IEEE 802.11g) Data rate 54Mbps Transmit Power 0.005W Packet reception-power threshold -95dBm Retry limit 7(long)/4(short) AP beacon interval 100ms IP backbone IP backbone delay 20ms 표 2. Node B 와 UE 사이의채널모델 Parameter Propagation model Slow fading Std. deviation of slow fading Correlation Distance of slow fading Carrier frequency Fast fading BS total Tx power BS antenna gain UE noise figure Thermal Noise Explanation (Cost 231 model, R in kilometers) As modeled in UMTS 30.03 (Log-normal dist.) 8dB 50 meter 2GHz Rayleigh dist. (Std. deviation 3dB) Up to 44dBm 14dBi 9dB -174dBm/Hz 402

논문 /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 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표 3. 시뮬레이션트래픽모델 Parameter Value Voice traffic Codec G.729 Voice frame per packets 1 Compression delay 20ms Decompression delay 20ms FTP traffic 750,000/1,050,000/15,000,0 File size 00/1,650,000 byte (constant) Inter-request time 1/1.2/2/3sec (exponential dist.) Video traffic Frame size 34560/120000byte (constant) Frame inter-arrival rate 30frame/sec Type of service Best effort(ftp) 2 Interactive video(video) 1 Interactive voice(voice) 0 그림 11. 잡음비의변화에따른 UE 와무선랜단말기사이의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 ( 시나리오 1) 그림 12. 잡음비의변화에따른 MOS( 시나리오 1) 그림 9. 잡음비의변화에따른 Node B 와 UE 사이의평균전송지연 ( 시나리오 1) 그림 10. 잡음비의변화에따른 Node B 와 UE 사이의평균패킷손실률 ( 시나리오 1) 음비의변화에따른 MOS의평균과최저값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1). Node B와 UE사이의평균잡음비가 0dB와가까워질수록 MOS가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MOS의감소요인으로는그림 1과그림 2에서나타낸 MOS와종단간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의관계에서알수있듯이 Node B와 UE사이의종단간패킷전송지연보다는패킷손실률의영향이더큰것을살펴볼수있다.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음비가 0dB에가까워져도 UE와무선랜단말기사이에종단간평균전송지연이 200ms보다작기때문에 MOS에큰영향을주지않지만패킷손실률은 30% 로증가하여 MOS에큰영향을준다. 그림 13과그림 14는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백본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의증가에따른 GGSN 에서의평균대기행렬지연과평균패킷손실률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2).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에는트래픽량이 95% 이상될때대기 403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그림 13. 트래픽량증가에따른 GGSN 에서평균대기행렬지연 ( 시나리오 2) 그림 15. 트래픽량증가에따른 UE 와무선랜단말기사이에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 ( 시나리오 2) 그림 14. 트래픽량증가에따른 GGSN 에서평균패킷손실률 ( 시나리오 2) 행렬지연이급격히증가하는것을살펴볼수있고버퍼오버플로에의한패킷삭제때문에패킷손실이발생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QoS 파라미터 mapping 을수행하였을경우에는대기행렬지연은 1ms미만으로발생하고패킷손실은발생하지않음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5는 UE와무선랜단말기사이에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2).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에는 GGSN 에서의평균대기행렬지연이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에영향을미쳐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백본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이증가할수록종단간패킷전송지연이증가하지만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였을경우에는대기행렬지연지연이거의발생하지않기때문에트래픽량이 100% 로증가하여도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이 90ms미만인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6은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백본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의증가에따른 MOS 그림 16. 트래픽량증가에따른 MOS( 시나리오 2) 의평균과최저값을나타낸다.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에는트래픽량이 95% 이상될때 MOS가급격히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 시나리오 2).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을경우에 MOS의감소요인으로는그림 1과그림 2에나타낸 MOS와종단간패킷전송지연과패킷손실률의관계에서알수있듯이대기행렬지연의중가에의한영향이패킷손실에의한영향보다큰것을살펴볼수있다. 트래픽량이 100% 일때패킷손실률은 2% 내외로 MOS에큰영향을미치지않지만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은 200ms로 MOS에큰영향을미치는것을살펴볼수있다. QoS 파라미터 mapping 을수행하였을경우에는 MOS값이감소하지않고일정하게유지되는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7과그림 18은무선랜에서트래픽량증가에따른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과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3). 평균무선랜 404

논문 /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 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그림 17. 트래픽량증가에따른 AP 와무선랜단말기사이의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 ( 시나리오 3) 그림 19. 트래픽량증가에따른 MOS( 시나리오 3) 펴볼수있듯이트래픽량이 60% 이상일때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의증가로인하여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이 500ms까지발생하여 MOS에큰영향을미치는것을살펴볼수있다. QoS AP를사용하면 MOS가감소하지않고일정하게유지되는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8. 트래픽량증가에따른 UE 와무선랜단말기사이에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 ( 시나리오 3) 패킷전송지연은무선랜의 MAC 계층에서발생하는패킷전송지연을나타낸다. non-qos AP를사용했을경우에는트래픽량이 60% 이상될때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이급격히증가하는것을살펴볼수있고그로인하여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이증가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무선랜에서트래픽량이 60% 이상인경우에는채널접속지연과패킷충돌의증가로의해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이급격히증가한다 [19]. QoS AP를사용할경우에는평균무선랜패킷전송지연이 5ms 미만으로발생하여종단간평균패킷전송지연이 90ms 이하로발생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그림 19는무선랜에서트래픽량의증가에따른 MOS의평균과최저값을나타낸다 ( 시나리오 3). non-qos AP를사용하는경우에는트래픽량이 60% 이상될때 MOS가급격히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MOS의감소요인으로는그림 1에나타낸 MOS와종단간패킷전송지연의관계에서살 4.2 음성품질개선포인트도출시나리오별로망구성요소별음성품질개선포인트를도출해보면다음과같다. 시나리오 1: HSDPA 무선계층에서는 UE가셀가장자리로이동하면서 Node B와 UE 사이의평균잡음비가 0dB값에가까워질수록패킷손실률이증가하여 MOS가급격히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이러한분석결과로볼때, HSDPA 무선계층에서패킷손실률을감소시키는것이음성통화품질개선포인트임을살펴볼수있다. 시나리오 2: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했을경우에는대기행렬지연은거의발생하지않았지만 QoS 파라미터 mapping을수행하지않았을경우에는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백본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이증가함에따라대기행렬지연이급격히증가하여 MOS가급격히감소하는것을살펴볼수있다. 이러한분석결과로볼때,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백본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의증가에따른대기행렬지연을감소시키는것이음성통화품질개선포인트임을알수있다. 시나리오 3 : QoS AP를사용했을경우에는트래픽량의증가와관계없이 MAC 계층에서패킷전송지연이 5ms이하로작게나타났지만 non-qos AP를사용했을경우에는트래픽량의증가에따라 MAC 계층에서의패킷전송지연이증가하여 MOS에큰영향을 405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미치는것을볼수있었다. 이러한분석결과로살펴볼때, 무선랜에서 non-qos AP를사용할경우에트래픽량증가에따라같이증가하는패킷전송지연을감소시키는것이음성통화품질개선포인트임을알수있다. Ⅴ. 결론본논문에서는융합망에서사용자들이 VoIP를사용하여음성통화서비스를제공받을때발생할수있는망구성요소별음성통화품질저하시나리오를제시하고, 통신종단간성능분석을통하여각각의음성품질개선포인트를도출했다. 도출한음성품질개선포인트는다음과같다. 1) HSDPA 무선단에서패킷손실에의한 MOS 감소 2) GGSN에서인터넷프로토콜망으로전송되는트래픽량의증가에따라발생하는대기행렬지연에의한 MOS 감소 3) 무선랜에서 non-qos AP(DCF) 를사용할경우에트래픽량증가에따라발생하는전송지연에의한 MOS 감소그러므로, 융합망에서음성품질개선을위해서는 HSDPA 망에서패킷손실을감소시키기위한재전송 (HARQ) 기술, GGSN과같은이종망간의게이트웨이에서 QoS 파라미터 mapping 기법, EDCA를지원하지않는무선랜에서트래픽을제어하는승인제어기술등이추가적으로연구되어야될것이다. 참고문헌 [1] 김영탁, ALL-IP FMC (Fixed-Mobile Convergence) 의서비스품질관리기술, 전자공학회지, Vol.33, No.12, Dec., 2006, pp. 69-81. [2] F. G. Harrison and S. R. Hearnden, The Challenge to Realize Convergence of Fixed and Mobile Communications, Electronic & Communication Engineering Journal, June 1999, pp. 164-168. [3] D. H. Yang et al., Fixed and Mobile Service Convergence and Reconfiguration of Telecommunications Value Chains, IEEE Wireless Commun., Vol.11, No.5, Oct. 2004, pp.42-47. [4] G. Shen, R. S. Tucker, and T. Chae, Fixed Mobile Convergence(FMC) Architectures for Broadband Access: Integration of EPON and WiMAX, IEEE Commun. Mag., Aug. 2007, pp.44-50. [5] Fixed-Mobile Convergence Alliance, http://www.thefmca.com/convergence-worldpu blication. [6] UMA Today: http://www.umatoday.com/ [7] IEEE,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IEEE Standard 802.11, June, 1999. [8] IEEE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Amendment: Medium Access Control (MAC) Quality of Service Enhancements, IEEE Standard 802.11e, Nov., 2005. [9] 3GPP TS 25.308 v8.3.0,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verall description, 2008. [10] S. M. Choo et al., Study on Cross-Layer Retransmission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ster Chogree Thesis, Ajou Univ., Korea, Aug., 2008. [11] 3GPP TR 25.848 v4.0.0, Physical layer aspects of UTR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2001. [12] UMTS 30.03 v3.2.0, Selection procedures for the choice of radio transmission technologies of the UMTS, 1998. [13] ITU-T Y.1541, Network performance objectives for IP-based services, 2006. [14] ITU-T G.107, The E-model, a computational model for use in transmission planning, 2000. [15] L. Carvalho, E. Mota, R. Aguiar, A.F. Lima, J.N. de Souza, A. Barreto, E-Model Implementation for Speech Quality Evaluation in VoIP Systems IEEE Infocom, New York, NY, June 2002. [16] ITU-T G.729, Coding of speech at 8 kbit/s using conjugate-structure algebraic-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S-ACELP), 2007. [17] OPNET Technologies, Modeler Documentation, OPNET Documentation, 2008. [18] K. Chan et al., Differentiated Services Quality of Service Policy Information Base (RFC 406

논문 / 융합망에서사용자에게 QoE 를제공하기위한 VoIP 성능분석 3317), IETF RFC 3317, Mar. 2003. [19] F. Cail et al., IEEE 802.11 wireless LAN: capacity analysis and protocol enhancement, in Proc. INFORCOM 98, Mar., 1998. 이규환 (Kyu-Hwan Lee) 정회원 2007년아주대학교전자공학부 2007년 ~ 현재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석 / 박사통합과정 < 관심분야 > WLAN, 무선망 QoS, WPAN 보안인증, Ad-hoc, Mesh network 등 김재현 (Jae-Hyun Kim) 종신회원 1987년~1996년한양대학교전산과학사및석 / 박사 1997년~1998년미국UCLA 전기전자과박사후연수 1998년~2003년 Bell Labs, Performance Modeling and QoS Management Group, 연구원 2003년~현재아주대학교전자공학부부교수. < 관심분야 > 무선인터넷 QoS, MAC 프로토콜, IEEE 802.11/15/16/20, 3GPP, 국방전술네트워크등 오성민 (Sung-Min Oh) 정회원 2004년아주대학교전자공학부 2006년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석사졸업 2006년~ 현재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박사과정 < 관심분야 > QoS 성능분석, 4G 네트워크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