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측두골에발생한사구종 6 예 남정권 윤태현 이광선 Six Cases of Glomus Tumor Jeoung Kueon Nam, MD, Tae Hyun Yoon, MD and Kwa

Similar documents
KISEP Abstract 안면신경초종의치료경험 전영명 박기현 이진석 전상훈 The Management of Facial Nerve Schwannoma Young-Myoung Chun, M.D., Keehyun Park, M.D., Jin-Suk Le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Microsoft Word doc

노영남

Modified Fisch class A 와 B 의부신경절종의치료전략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목동병원이비인후과학교실신승호 J Korean Skull Base Society 12 권 2 호 : 13~17, 2017 Treatment strategy of modified Fi

황지웅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5;48: 외이도편평상피암종의치료경험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한림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2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3 정상호 1 김창우 2 김한수 3 이원상

Microsoft Word doc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Lumbar spine

hwp

(49-54)Kjhps004.hwp

김범수

012임수진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16_이주용_155~163.hwp

Kaes017.hwp

<30372EC0CCC0AFC1F82E687770>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7;60(8):411-5 에서 어음명료도가 증가하며 이는 곧 청소년기의 학습 능력의 증대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외이도 성형술이 세 이상의 소아에서 시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04조남훈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Kbcs002.hwp

( )Jkstro011.hwp

Can032.hwp

경이접근법으로제거한측두골추체부진주종 1 계명대학교의과대학동산의료원이비인후과학교실, 2 계명대학교의과대학동산의료원신경외과학교실 김지룡 1, 이예원 1, 김엘 2, 남성일 1 J Korean Skull Base Society 12 권 2 호 : 61~65, 2017 Tra

Trd022.hwp

(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79-83 연성 안면마비의 경우 대부분에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자연 회복된다고 한다 외상에 의한 안면신경 손상의 경우 슬신경절 부위가 가장 흔하게 다친다고 하며 최근에는 중두개와 접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Experience of Sophono Implantation Rha MS, et al. 증례 세 남자 환자가 타 병원에서 우측 중이염으로 유양동 절제술 및 고실성형술을 시행받았고 당시 뇌 수막종 침범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로 인해 중이 수술 후 수술을 받았고 술 후 년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12이문규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 Microdebrider 를이용한아데노이드절제술의임상적효과 문지호 송영호 신승엽 박기환 홍남표 안회영 Clinical Efficiency of Adenoidectomy U

김한수 외 Type I Type IAA Type III AA IM Type IV Fig. 1. Kinds of procedures. Type I thyroplasty was the most commo

16(1)-3(국문)(p.40-45).fm

Jkss hwp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이형석외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4;47: 정상측두골전산화단층사진상내이구조물의계측 부산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고의경 1 박성환 1 윤빛나 1 이일우 1 노환중 1 전경명 1 김학진 2 Nor

¼Û±âÇõ

6.Kaes013( ).hwp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477

( )Jksc057.hwp

A 617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 ) Jkra076.hwp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 2000 급성경막하혈종에서응급두개골천공의위치 문수현 김근회 권택현 박윤관 정흥섭 서중근 = Abstract = Emergency Trephination Site o

<38BFF93238C0CF28B1DDBFE4C0CF2920BFB9BBF3B9E8B4E72E786C7378>

Kjhps016( ).hwp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 )Kjhps043.hwp

Endoscopic Removal of Pediatric Congenital Cholesteatoma Yang CJ, et al.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 시에는 수술 부위의 관찰을 위해 한 손에는 내시경을 유지한 채로 다른 한 손만으로 수술기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수

16(2)-7(p ).fm

±è¹ÎÁö

120304강신용


Jkbcs012( ).hwp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1..


Jkbcs032.hwp

±èÀº¿µ³»Áö9-191š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이하선악성종양에서신경이식술을통한안면신경재건 유승주 1 장영 1 고경석 2 김상윤 1 Facial Nerve Reconstruction with Nerve Graft f


<BFACBCBCC0C7BBE7C7D 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지원연구분야 ( 코드 ) LC0202 과제번호 창의과제프로그램공개가능여부과제성격 ( 기초, 응용, 개발 ) 응용실용화대상여부실용화공개 ( 공개, 비공개 ) ( 국문 ) 연구과제명 과제책임자 세부과제 ( 영문 ) 구분 소속위암연구과직위책임연구원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3;46:21-6 급성융합성유양돌기염 :10 증례의임상적고찰 김동주 안성기 김진평 전시영 Acute Coalescent Mastoiditis:A Clinical Analysis of 10 Cases D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 요추 및 천골부위의 피부에 발견되지 않았으며 CT에서 주위와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이상 소견은 없었으나 촉진상 좌측 천골 2번째 부위로 약 좌측 천골부에 있으며 이 종괴는 자궁과 소장을 앞, 좌우로 4 5cm정도의

03-서연옥.hwp

139~144 ¿À°ø¾àħ

untitled

005송영일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0;43: 라인케부종의 Videostrobokymography 소견 김광현 성명훈 김동영 이동욱 이상준 이승신 박민현 김정준 Videostrobokymographic Analysi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00약제부봄호c03逞풚


02이용배(239~253)ok

<303120C0CCBBF3B8F12DC0CCB1D4BFEB2E687770>

Microsoft Word doc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슬라이드 제목 없음

Jkcs022(89-113).hwp

04_이근원_21~27.hwp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109~120 õÃʾàħ Ä¡·á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8;41 9 : 두경부영역에발생한횡문근육종 4 례 하승룡 이봉재 박선태 김상윤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 Se

03-ÀÌÁ¦Çö

001-학회지소개(영)

7.ƯÁýb71ÎÀ¯È« š

7 1 ( 12 ) 199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6 ( ) ( ) ( ) ( ) ( ) ( ) ( ). 4). ( ) ( ) ( ),., 4-5, 6-7, 5) 6) (

¸Þ´º¾ó-ÀÛ¾÷5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Transcription: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1370-5 측두골에발생한사구종 6 예 남정권 윤태현 이광선 Six Cases of Glomus Tumor Jeoung Kueon Nam, MD, Tae Hyun Yoon, MD and Kwang-Sun Lee,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Glomus tumor in the temporal bone arises from the paraganglia along the Jacobson's nerve. It has been proved to be the most common primary neoplasm of the middle 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among the patients with glomus tumor in the temporal bone. Materials and MethodsFrom Dec. 1995 to Dec. 1998, six patients with glomus tumor underwent surgical removal at Asan Medical Center. The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ith regard to sex, age, signs and symptoms, audiometric and radiologic evaluation, treatment modalities, and complications. ResultsThis study group consists of 1 man and 5 women. Their ages ranged from 34 to 70, an average of 51.9 years old. Pulsatile tinnitus was the most common symptom. Five of 6 patients were positive for Brown's sign. The patients showed conductive hearing loss or mixed hearing loss with a mean airbone gap of 29.2dB. The main feeding vessels for the glomus tumor were the ascending pharyngeal artery 67%, and the middle meningeal artery 33%. The treatment modalities were 1 transcanal approach, 4 posterior tympanotomy, and 1 subtotal petrosectom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sist of 1 case of wound infection, 1 case of facial palsy, and 2 cases of deafness. There was no recurrence. ConclusionGlomus tumor has to be considered to differentiate the etiology of middle ear mass with pulsatile tinnitus. After embolization for feeding vessels, we could achieve complete removal of mass without severe bleeding. Korean J Otolaryngol 1999;42:1370-5 KEY WORDSGlomus tumor Pulsatile tinnitus Embolization. 1370

남정권 외 찰 기간은 15.7개월이었다. 남녀비는 1 5이었으며, 연령분포는 34세에서 70세까지 평균 51.9세였다 Table 1. Presenting symptoms of patients with glomus tumor (N 6) Symptoms Number of patients (%) 6 (100) Tinnitus 결 과 환자의 주증상은 6예 모두 이명이었으며, 이명의 양상은 5예가 박동성이었고, 1예는 연속성이었다. 증상의 이환기간 Pulsatile 5 Continuous 1 Hearing disturbance 5 ( 83) Earfullness 5 ( 83) Dizziness 2 ( 33) 1 ( 17) 은 3개월에서 10년까지 평균 5.5년 이었다. 기타 증상으로 EAC bleeding EAC External Auditory Canal 청력장애 및 이충만감이 각각 5예, 어지러움증이 2예, 외 Table 2. Summary of 6 cases of glomus tumor (N 6) 이도 출혈이 1예였으며, 사구종에 대한 가족력이 있는 환 Case Sex/ Age PTA(bone/air) Main Op Preop Postop feeding V. name 1 F/66 30/73 63/109 자는 없었다(Table 1). 이학적 소견상 5예에서 고막 후하부 및 중간부의 박동성 APA,CTA ICWM Deaf APA,OA S.P. W.I., Deaf 2 M/34 17/53 60/100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5예 모두에서 Brown 소견 3 F/47 28/60 18/ 48 APA,MMA ICWM 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나머지 1예의 경우는 하부에 청적색 4 F/70 40/63 37/ 63 APA,MMA ICWM 고막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박동성 종괴는 관찰할 수 없었 5 F/68 30/38 23/ 28 MMA,APA 고, Brown 소견 또한 음성이었다. 술전 청력검사 소견상 4예는 혼합성 난청을 가지고 있 었으며 2예는 전음성 난청을 가지고 있어 모든 예에서 전 음성 난청의 요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도골도청력차는 8 db에서 43 db까지 평균 29.2 db였다. 술후 3개월째 시행 A Cx FNP T.C. 6 F/36 10/43 3/ 20 MMA,CTA ICWM PTA pure tone average V. vessel Op operation Cx complication Preop. Preoperative Postop. postoperative F female M male APA ascending pharyngeal artery CTA caroticotympanic artery OA occipital artery MMA middle meningeal artery ICWM 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 S.P. subtotal petrosectomy T.C transcanal approach W.I. wound infection FNP facial nerve palsy (delayed) B Fig. 1. Radiologic evaluations. A Coronal view of temporal bone CT shows soft tissue density in the middle ear space without destruction of the jugular bulb (arrow). B Gadolinium-enhanced T1-weighted coronal view of temporal bone MRI shows high signal intensity in middle ear cavity (arrow). 1371

사구종 A B Fig. 2. Transfemoral carotid angiogram. A It shows hypervascular tumor-staining (arrow). B After embolization, it shows scanty tumor-staining (arrow). 한 청력검사상 1예에서 술전 기도청력에 비해 22 db의 청 골파괴가 관찰된 경우는 없었다. 이러한 연부조직 음영의 력 호전을 보였고, 3예는 술전청력과 차이가 없었으며, 2예 감별진단 및 병변의 범위를 알기 위해 측두골 자기공명영 는 술전에 비해 청력이 악화되었다(청력이 악화된 2예의 상촬영을 실시한 결과, 병변은 T1 및 T2-weighted영상 술전 청력은 각각 30/73, 17/53 db이었으며, 술후 청력은 에서 중등도의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Gadolinium-enh- 골도 청력은 각각 scale out이었고 기도 청력은 각각109 anced T1-weighted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여, 이 db, 100 db이었다). 청력이 악화된 경우중 1예는 수술 중 차적으로 발생한 고실 및 유양동의 저류액과 감별할 수 있 종괴 제거를 위하여 추골 및 침골을 제거한 후 고실성형 었다(Fig. 1). 종괴의 침범범위는 직경이 약 4 mm정도로 (tympanization)을 시행한 경우이고, 나머지 1예는 종괴에 중고실에만 한정된 경우가 1예였고, 상고실, 중고실, 하고 의해 추골 및 침골의 손상이 있었으며, 또한 유돌봉소 및 실 및 고실협부까지 침범한 경우가 2예였으며, 고실내의 후안면신경 봉소의 심한 육아조직형성으로 인하여 추체아전 종괴가 유골동구(aditus ad antrum)까지 침범한 경우가 3 삭개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그리고 전례의 경우에서 술전 예였다. 또한 유골동구까지 침범한 3예 중 1예에서 유골봉 골도 청력은 평균 22.1 db였으며, 술후 3개월 째 시행한 골 소 및 후안면신경 봉소 등에 사구체 종괴와 구별하기 곤란 도 청력은 2예에서는 전농이 되었으며, 나머지 4예에서는 한 육아조직이 발견되었다. 술전 골도청력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Table 2). 방사선학적 검사는 모든 예에서 측두골 단층촬영과 측두 골 자기공명영상촬영을 실시하였으며, 6예 모두에서 측두 종괴의 기능성 여부를 알기 위해, 경대퇴동맥 경동맥 조영 술을 하기 전에 24시간 요중 vanillylmandelic acid(vma) 양을 조사하였는데 6예 모두에서 정상범위였다. 골 단층촬영상 고실 및 유양동에 연부조직 음영이 관찰되 수술하기 1일에서 3일 전에 시행한 경대퇴동맥 경동맥 었고, 이소골의 미란이 관찰된 경우는 2예였으며, 측두골의 조영술상 4예에서 상행인두동맥(ascending pharyngeal ar- 1372 Korean J Otolaryngol 1999;42:1370-5

Fig. 3. A histopathologic finding of glomus tympanicum shows zellballen pattern arrowh & E staining, 100. 1373

1374 Korean J Otolaryngol 1999;42:1370-5

REFERENCES 1) Gulya AJ. The glomus tumor and its biology. Laryngoscope 103 Suppl 19936065-70. 2) Kim CS, Kim JY, Shin KC, Kim HK, Hwang SJ, Ahn KH. Glomus tumor of the middle ear. Korean J Otolaryngol 198326118-24. 3) Kim HN, Lee WS, Yim SB, Kim DU, Uoon BM, Park CI. A case of glomus tumor treated by the infratemporal fossa approach. Korean J Otolaryngol 198629874-81. 4) Chang KH, Park RS, Lee IJ, Suh BD. A case of glomus tympanicum. Korean J Otolaryngol 1991341065-8. 5) Yoon BM, Lee WW, Park DJ, Bong JP. A case of glomus tympanicum. Korean J Otolaryngol 1995381806-9. 6) Shin HS, Yoon TH, Chang HJ, Nam JK. A case of glomus tympanicum. Korean J Otolaryngol 199841401-4. 7) O Leary MJ, Shelton C, Giddings NA, Kwartler J, Brackmann DE. Glomus tympanicum tumors A clinical perspective. Laryngoscope 19911011038-43. 8) Jackson CG. Basic surgical principles of neurotologic skull base: Diagnosis for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options. Laryngoscope 103 Suppl 19936017-22. 9) Woods CI, Strasnick B, Jackson CG. Surgery for glomus tumors The otologic group experience. Laryngoscope 103 Suppl 199360 65-70. 10) Kim HC, Yoon TH, Lee KC, Kim SH. Unilateral pulsatile tinnitus A case report. Korean J Otolaryngol 199336342-6. 11) Brammer RE, Graham MD, Kemink JE. Glomus tumor of the temporal bone.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417499-512. 12) Jackson CG, Willing B, Chitonis P, Glasscock ME, Wood CI. Glomus tymapnicum tumors Contemporary concepts in conservation surgery. Laryngoscope 198999875-84. 13) Glasscock ME, Jackson CG, Harris PF. Glomus tumor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large lesions. Arch Otolaryngol 1982108401-6. 1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