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내지-교회에관한교리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CR hwp


나하나로 5호

2003report hwp

152*220

전도정책자료집-1

0.筌≪럩??袁ⓓ?紐껋젾 筌

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연구노트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01¸é¼öÁ¤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kokkos2012-8

(중등용1)1~27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With_1.pdf

A 목차

Jkafm093.hwp

SIR Á¦16È£.hwp

해피메이커 표지.indd

178È£pdf

농촌과목회제31호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3635B1E8C1F8C7D02E48575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041~084 ¹®È�Çö»óÀбâ

Çѹ̿ìÈ£-197È£

- 4 -

»êÇÐ-150È£

ok.

±³À°È°µ¿Áö

ÃѼŁ1-ÃÖÁ¾Ãâ·Â¿ë2

2ÀåÀÛ¾÷

CONTENTS CSCaritas Seoul Mission. Vision Caritas,,. 28 Yes, I Do 32 DO CAT 2017 SPRING <+>

1-23.qxd

(......).hwp



기본소득문답2

¿ì¸®Áö02¿ùmj3

#7단원 1(252~269)교

CT083001C

....pdf..

- 2 -

ìœ€íŁ´IP( _0219).xlsx

<C7DAB5E5BACFBFCFBCBA2E687770>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1111

SIGIL 완벽입문

°¨Á¤Æò°¡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지표3권1-265

ÁÖº¸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ÆÞ¹÷-Æîħ¸é.PDF

01-02Àå_»ç·ÊÁýb74öÁ¤š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3231C3A4C8F1C5C22E687770>

**09콘텐츠산업백서_1 2

hwp

04 Çмú_±â¼ú±â»ç

도 40% 이다. 다양한이유가있겠지만두어가지예를들면하나는최근에들어교단마다이중 회원권선교사들에대한협력협정보다는소속결정요구조치의결과로분석된다. 또다른한가 지는각단체마다평신도선교사파송에박차를가하고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년 1 월현재한국기독교교파별교세현황종합 교파별


Ι

감사회보 5월

(연합뉴스) 마이더스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º»ÀÛ¾÷-1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5 291

µ¶¸³Á¤½Å45È£

120~151역사지도서3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통계내지-수정.indd

Art & Technology #5: 3D 프린팅 - Art World | 현대자동차


소식지수정본-1

2002report hwp

Slide 1

쌍백합23호3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유한표지F

³»Áö_10-6

2. 1) 7 ( ). (1) 1),. ( 湖西 ),. 19,., , (2).,,,,.,,., ),.. 1) 조광, 초기천주교의충청도선교와그사회문화적특성, 2014, p.11~30. 프란치스코교

8표지 앉기

Transcription: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273 세계 선교의 무대에서 한국은 제 2위1)의 선교사 파송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3년 이상의 장기 파송 선교사들은 주로 교단적인 배경을 가지고 파송되는 경향이있지만 그이하의 단기선교사들은 대개전문 선교단체 들에서 파송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단기 선교사 분야에 기독교 대학들 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있다. 기존 배치된 선교사들의 재배치 문제등 선교 현장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부족한 인력들을 공급하는 데에는 대학에서 파송해 보낼수 있는 단기 선교 인력들이 의미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 세계 선교에서의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점과 고등 교육 기관에서의 세계 선교의 의미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자. 1. 세계 선교의 주도세력의 변화 한국 기독교 대학들은 60여개에 이르며 재학 중인 학생들은 전체 재학생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선교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원이라고 보여진다. 이제는 과거의 피선교지의 교육 기관으로서 의 위상을 넘어서서 적극적으로 세계 선교를 담당해나갈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고본다. 세계선교의주도세력의변화에대해서2/3세계의역할 이 매우 증대 되었다. 랄프 윈터(Ralph Winter)는 윌리암 케리(William Carey) 이후의 개신교 선교운동을 3시기로 구분하였는데 제1기는 케리가 선교회를 조 직한 1792년부터 1910년 (118년)까지로 해안 선교 시대(coastlands mission)로 보았다.2) 아직 복음이 전파되지 않는 나라의 해안에 선교 사가 상륙하던 초기 단계였으며 유럽교회가 주도하던 시기였다. 제2기 는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가 중국 내지 선교회(China 1) 2) 서정운 선교와 선교사 http://www.cnews.or.kr/1445/contents/hangdong/hangdong1445-1.htm,

276 대학과 선교 제6집 1) 선교사들의 사역범위 확장이다. 오랫동안 서구선교사들이 들어가 지 못했던 지역에 2/3세계 선교사들이 들어가기가 용이한 것이다. 이런 사례들은 도처에서 볼 수 있는 현실이다. 2) 2/3세계 선교사들이 대부 분의 지역에서 문화적 적응이 서구인들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고 본다. 3) 선교비용의 절감 때문이다. 2/3세계 교회 출신 선교사들의 선교비가 서방교회 출신 선교사들보다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2/3세계 선교사들이 갖는 공통적인 약점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예컨대, 선교훈련의 미비, 선교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교회, 선교회 및 선교사 자신이 반복하는 시행착오 및 정치적, 경제적 미약성 때문에 당 하는 고충들이 있으나, 점차적으로 나아가고 있는 정치, 경제적 조건과 축적되는 선교경험들이 앞으로 이같은 취약점들을 보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회의 성장과 선교에 대한 열의, 약소민족교회로서 고난을 통해 지녀온 독특한 신앙체험을 섞은 영성, 온누리에 흩어져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선교에 힘쓰고 있는 점들과 맞물려 한국교회에 대한 선교적 기대도 고조되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는 선교현장에서도 분명히 감지되 는 경향이 있다. 1 세계선교사들이 떠나는 현장을 한국교회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이 인수하고 있는 경향이 있으며 한국 선교사들은 1-3년의 단 기 선교사들을 포함하여 12,000명 정도가 파송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 다. 이는 세계 선교에 있어서 한국 교회의 역할이 주요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구 교회나 제 3 세계 교회의 지도자들로부터 한국 교회는 돈선교를 한다는 비판4)을 받고 있다. 한국 교회의 선교 태도가 비판을 4) 한국선교신학회 엮음 선교학 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77-278.,, ( :, 2001), pp.

278 대학과 선교 제6집 아니겠는가 생각된다. 국내 대학의 경우는 어떠한가? 대부분의 국내 대학들은 그설립 주체는기독교 교단이나기독교적 신앙을가진 개인들 이지만 실제그 건학이념을교육의 지표에반영하고 그구체적인 실천을 해 나가는데 내외적으로 많은 저항에 부딪히고있는 실정이다. 내부적으 로는 교수 직원들이 교육기관이라는 점을 내세우면서 각종 기독교적 정책에 중립성을 요구하고 나서는 것이 현실이다. 교육부로서도 각종 지원책을 구사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적 고유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기 보다는 고유성을 희석할 수밖에 없는 방향으로 집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독교 대학이란 그 설립자나 대학당국만이 것이 아니다. 설립 이념 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상 중심에서 하나님 중심으로 가치관의 전환을 위한 교육의 틀을 가져야한다. 궁극적으로는 하나님 나라의 전진기지로 서의 기독교 대학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처럼이땅에서이루어질수있도록올바른기독교교육을통하여기독교 대학을 세계선교를 위한 전진기지화해야 한다. 우리는 겨자씨의 믿음을 갖고 보잘것없이 보이는 개개 기독교 대학의 올바른 교육이 큰 나무를 만들어 많은 새들이 깃들도록 만들어야 한다5). 기독교 대학 교육은 곧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으로 직결되어야 한다. 즉, 세계선교는 예수님께서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명하신 지상명 령이다. 이 지상명령을 감당하기 위하여 기독교 대학은 선교를 위한 지 적발판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선교대상 국가의 변화는 이와 같은 지도자 양성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것이 '대학'선교의 역할이다.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의 기독교 교육은 기독교적인 사역자 특히 세계선 교에 임하는 사람들이 보여주어야 할 자세를 배우는 기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5) 마 13:31-32; 누룩의 믿음 마, 13:33.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279 한국 고등교육기관에서 학교 측의 제도적인 선교 지원책은 미약한 반면 독자적인 외부 선교단체들은 매우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예수 전도단이나 한사랑 선교회, UBF, CCC, 어린이 전도협회 등은 그 선교 네트워크가 기성 교단 못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기독교 대학들이 좀더 체계적으로 세계 선교 인력을 육성하고 헌신하도 록 하는 프로그램을 집행해야 하는 책임을 절감하게 된다. 심지어는 신 흥종교나 이단시 되는 단체들도 자신들의 생존 기반을 대학 안에 두고 있는 것을 본다. 선교 현지에는 이들이 오히려 먼저 선교를 하고 있는 역동성을 보이고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런데까지이르게 되면 제도적인 선교 기관들이 자신들의 선교 조직을 활성화하거나 새로 조직하기 위하 여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띠지 않을 수 없게 요청을 받게 된다.6) 이제 최근에 무한대로 선교의 자유가 허용되기 시작했다고 보여지는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한국 기독교 대학들이 어떻게 선교 일꾼을 육성하 고 파송하며 선교의 성과들을 거둘 수 있을지 모색해 보고자 한다. 캄보 디아를 선정한 이유는 목원대학교의 비전트립 팀이 일단 탐사를 하고 정보 수집을 한 경험이 있고, 가장 최근에 가장 폭넓게 선교의 자유가 허용되고 있으며 세계 최빈국 중의 하나로서 선교에 용이하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 환경이라는 것이며 사회 전체가 격변기에 있기에 이 기회에 과거의 잘못된 전통들을 변혁하고 자라나는 새로운 세대를 통해서 캄보 디아가 새로운 미래를 향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6) 그러나 기독교 청년 선교 단체를 세워 나가는 것이 중요한가 하나님의 교회를 세우는 것이 중요한가 대비시켜 묻게 된다면 물론 하나님의 교회를 세우는 것 이 우선되는 일일 것이다 현대선교의 도전과 전망 장신대세계선교원 옮김 서울 한국 장 로교출판사. D. J. Hesselgrave, Today's Choices for Tomorrows Missions,,, 1994), pp. 58-9. ( :

282 대학과 선교 제6집 도의 경우 US 285 달러 였다고 한다. 지금은 300달러 정도 보고 있다. 그 만큼 빈국 중에 하나이다. 지금 캄보디아는 내전과 전쟁에 시달려온 나라를 일으키려고 힘을 다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밤 8시 이후 혼자 밖을 나다니는 것은 위험한 일이고 술집, 창녀촌(주로 베트남인), AIDS가 만연하는 곳이기도 하다. 캄보디아 매춘여성들의 HIV/AIDS 감염비율 (1998)을 보면 지역별로 깜퐁톰 64.1 %, 프놈펜 61.3%, 씨엠립 61.2, 시아누크빌 57.3%, (이후 1997 통계) 반띠민쩌이 54.49%, 바탐방 58.33%, 깜퐁짬 27.33%, 깜퐁츠낭 38,79%, 깜퐁스프 50.43%, 깜뽓 41.56%, 코콩 52.1%, 프놈펜 41.62%, 뽀으삿 49.51%, 씨엠립 49%, 시아누크빌 51.52%, 스와이리엥 36.23% 등 절대 다수가 치명적인 성병에 걸린 채로 매춘을 하고 있으며이웃 태국의잘못된 풍조가그대로 밀려들어오고있는 실정 이다. 빈민촌에 가보면 기아와 질병에 시달려 죽고 있는 어린 아이들이 많 다.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식수의 부족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 이 빗물을 받아먹으며 생활하고 있다. 오염된 물로 인한 이질이나 장티 푸스로 많은 어린이들이 죽어가고 있다. 문화의식민지화7) 현상도심각한문제인데미국, 태국등주변국가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하루만 캄보디아 TV를 보면 알게 되는데 캄보디아 자체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태국, 싱가폴, 대만, 홍콩, 미국영화들을 하루에도 몇 편씩 볼 수 있는데, 이것들은 폭력저질 3류 영화들이고 반복해서 방송되고 있기에 이런 무분별한 저질문화가 어떤 악영향을 미치게 될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많은 어려운 나라에서 흔히 볼수 있는 공무원의 부패문제도 심각한 7) 서경기 목사의 홈페이지 http://www.amen.org/~david

284 대학과 선교 제6집 은 기독교의 선교와는 달리 오일달러를 통해서 이뤄지고 있어서 경제적 유혹이 강력한 모습이다. 2. 캄보디아의 기독교 선교 역사8) A. 카톨릭 역사 카톨릭의 캄보디아 선교역사는 1555년 게스팔 다 크루즈(Gespar da Cruz) 라는 한 포르투갈의 도미니칸 선교사에 의해 시작되었다. 1719년에 프란시스 선교회 소속 선교사들이 캄보디아에 왔고, 1770년 니콜라 레바세(Levasseur)가 천주교 교리를 크메르어로 가르쳤다. 그 후 프랑스의 식민지 시대의 천주교는 크메르인들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독립후 현재까지도대부분의 천주교인이캄보디아 거주베트남 인이고 실제로 캄보디아인들에게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B. 개신교 역사 1. 기도와 준비(1900-1922) 미국 C&MA의 R. A. Jaffray 박사가 "캄보디아"라는 소책자를 발 간한 것을 계기로 미국의 크리스찬들에게 처음으로 미전도 종족으로서 의 캄보디아가 소개되었다. C&MA(Christian & Missionaries Alliance)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캄보디아에서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다. 8) 김태권 캄보디아 선교사의 홈페이지 자료 현지 정보 http://www.osm21.org/ 29.

294 대학과 선교 제6집 1) 전반적인 현재 상황 92년부터 기독교가 허용되어, 실제적인 선교의 문이 열린 지 11년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주변의 다른 국가에 비해 선교 사역이 자유롭고 제한이 거의 없다. 기독교 방송(CCC, FEBC)이 방송되며, TV에 기독 교 프로그램이 편성 방영이 되며, 성탄절에는 대형 집회가 공설 운동장 에서 개최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기독교에 대해 배타적이 지 않으며, 비교적 복음을 잘 받아들인다 (매년 기독교 증가율이 25% 임) 세계 각국의 선교 기관들, 교회들도 캄보디아를 집중적인 선교의 타 켓으로삼고있다. 1,000명이상의각국선교사들과한국인선교사100 여명이 활동 중이다.9) 정부정책도 기독교를 크게 제한하지 않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사역(교회 개척, 신학교사역, 교육사역, 문맹퇴치, 각종 기술교육, 질병 예방교육, 지도자 양성, 학교, 매스콤 선교, 등)들이 이뤄지고 있다. 7개의 신학교(목회자 양성소)와 전국에 800여개(가정 교회 포함)이상의 교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내전이 종식되고 정치 적 안정을 이뤄 400년만의 전 국토 평정이 되었다. 한편 캄보디아에는 Cambodia Church Committee가 있어서 교회 들끼리 연합 하는 일을 하려고 노력하나 이들은 대부분 지식 수준이 낮아 모든일들은 외국에서신학교육을 마치고외국 선교단체의 파송을 받아 캄보디아에 다시 돌아온 외국 시민권을 갖고 있는 캄보디아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봐야한다. 대부분의 교회는 House Church의 형태를 유지하나 나사렛, 성공회 등은 프놈펜 시내에 큰 교회 건물을 확보해 모교회로서 사역을 감당하게 하고 있다. 교회는 세워지면 1년 9) 캄보디아 어린이 전도협회 자료. http://www.koreamission.net/cambodiacef/church.htm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295 안에 50-10명이 모이는데 공산주의 하에서 학습을 많이 해서 그런지 성경공부에 열심이 대단하게 느껴지고 있다. 정부는 모든 기독교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들을 하나로 묶으려고 하고 있다(정부 접촉 창구 단일화). 그러나 복음적인 선교단체들은 신앙 과 교리가맞지 않는단체들과의 연합전선에난색을 표하고있으며 현재 정부와의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 캄보디아 교계를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도 캄보디아 정세를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캄보디아 정치는 교계, 재계 등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 선교사역에서 특색 있는 것은 만약의 사태에 직접적인 탄압 을받을수있는종교단체의이름으로서가아니라극빈국가에서언제든 지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형식인 NGO 형태를 가지고 선교한다는 것이다. 2) 현지 교회들의 어려움 우선은 복음의 수요가 있는 지역마다 교회를 설립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교회 설립은 어떤 선교보다도 우선되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되지를 않고 있다. 이런 경향은 비단 캄보디아라는 특수한 선교 지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선교사들 중에 어느 통계는 최소 5%, 어느 통계는최대25%만이교회개척사역을하며대부분의선교사들이다른 선교 사역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10) 이런 경향은 교회수가 절대적으로 모자라는 상황에서는 재고되어야 하는 경향이다. 다음으로는 지도자(목회자 및 주교 교사) 양성과 훈련이 시급하다. 10) 세계선교의 이론과 전략 곽선희 김종일 이요한 옮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 사 Edward R. Dayton & David A. Fraser, Planning Strategy for World Evangelism,,, 2002), pp. 321-2. ( :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297 먼저 내세우기보다는 먼저 진정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는 자립 자치를 이루어야 조건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 제시하는 사례들을 통하여 선교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 선교적인 요구 선교적인 요구는 전방면에 걸친 총체적인 요구가 있다고 보여진다. 영어교육을 복음과의 접촉점으로 사용하는 데 다양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으며 언어 교육과 병행하여 복음을 전파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런 훈련을 담당해줄 필요가 있다. 고아원 운영은 캄보디아의 모든 가정에는 킬링필드의 아픔이 있고 고아가 전국적으로 많기에 꼭 필요한 사역이다. 의료사역(조산원, 치과, 공중 보건 등)은 대단히 필요로 하는 사역이다. 농업 지도사역은 전통적인 농업국가이면서도 영농 기술은 뒤 떨어져 있기에 농업 입국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사업이다. 우물파기 지 원 사역은 깨끗한 식수를 얻기 어려운 여건이기에 교회 건축 시에도 필수적인 부대 사업이 되고 있다. 직업 기술 학교를 통해서 여성 및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은 실업율이 높은 현재의 고용 여건에서 대단히 필요한 사역이다. 지역사회 개발 사역은 단위 규모가 매우 큰 사업이기는 하지만 선교 단체들과, 지역 행정부가 연합하여 벌일 수 있는 사업이다. 각급 학교의 운영도 필요한 일이다. 초등학교, 중, 고등학교, 치과대학 등등 지원 및 운영 사역은 기독교 이념에 근거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어서 대규모 장기 선교 사업으로서 유망한 사업이다. 전 쟁과 내란으로 인하여 난민들이 많이 발생하였고 그들이 원하는 장소에 11) 타종교 최정만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H. Kraemer, The Christian Message in a Non-Christian World,,, ( : 기독교 선교와, 1993) pp. 434ff.

298 대학과 선교 제6집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육하며 생업을 마련해 주는 사업도 꼭 필요한 사업이다. 전쟁 부상자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의수, 의족을 마련 해 주고 재활하여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애자들을 위한 사역 역시 필요한 사역이다. 만연하고 있는 성병이나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인구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자 보건 사역이 필요한데 우선은 조산원이나 간호원을중심으로 사업을시작해 나갈수 있을것이고 확장 을 해나간다면 의료기관과전문의들을 배치하여야할 것이며또한 의료 인력들을 양성하는 의료 교육기관도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제안되는 선교 전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2) 1) 전문적선교사와비전문적선교사를통한선교- 목회자선교사의 역할은 언어문제가 해결되기전까지는 간접적인선교가 될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이 현지통역을 통해서선교하고 있는현실은 주로 언어로 전달되는 복음 전파의 특성상 언어 습득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비전문적 선교사 즉, 자신의 직업과 특기가 있는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업무영역을 독자적으로갖고 있고비교적 훈련기간에 구애받 음이 없이 필요한 업무를 위해서 손쉽게 접근해 갈 수 있다. 이 부분이 대학생들이 담당할 수 있는 부분이다. 2) 국내 교회 및 현지 교회와의 협력을 통한 선교 - 개교회들이 서로 자매결연이 된다면 국내의 교회에서 작은 지원만 한다고 하더라도 국가 간의 경제력의 차이 때문에 좋은 후원이 될수 있다. 이 경우에 주의할 것은 도움 받는 현지 교회를 대하는 국내 교회의 자세이다. 1861년부터 전통적으로 중시되어 온 것은 루퍼스 앤더슨(Rufus Anderson)과 헨 리 벤(Henry Venn)이 제안한 신생교회들의 독립에 필요한 세 가지 12) 구견회 선교사 홈페이지 자료 http://www.cmbp.net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299 원칙 자전(自傳 self propagation), 자립(自立 self support), 자치 (自治 self-governance)의 원칙13)이다. 3)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선교 - 캄보디아는 지금 경제의 회생에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러한 경제의 회생에는 사회 간접 산업이 발전 되어야 한다. 도로, 항만, 전력, 수도, 하수 등등 모든 기간 산업이 먼저 발달하여야 한다. 그렇다고 우리가정부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기간 산업 을 돕기는 힘들다. 그러나 선교적인 차원에서 특정지역의 개발에 참여 함으로써 선교에 동참 할 수는 있다. 그 방법은 우리가 이야기하는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그곳에 필요한 학교를 세워 준다거나, 의료 시설이 낙 후된 곳에 병원을 세우 준다거나 하는 것으로 그 한 지역들의 개발에 참여함으로서 우리는 선교 할 수 있는 것이다. 낙후된 곳이 캄보디아에 는 너무나 많다. 이런사회적구호를해나가면반발이생기는것이복음전도에치중해 야 하지왜 직접적인열매가 없는사회적 구호에만치중하느냐는 것인데 이런질문에대한반응, 특히한국, 중국선교사를역임했던마펫의단호 한 대응은 복음전도에나 사회적 활동에나 그 두 가지의 정의를 혼동해 서그것을실제로분리하는것만큼해를끼치는것이없다14) 는것이다. 4) 국내 입국자들을 위한 선교 - 많지는 않으나 한국에 취업차 오게 되는 캄보디아인들을 위한 선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5) 현지 신학교 운영을 통한 선교 전략 - 30-50대 남자가 없는 인구 구조에서 젊은 교계 지도자를 키워내는 것은 유력한 선교 방안이라고 13) 선교와 문화 인류 학 김동화이종도 이현모 정흥호 옮김 서울 조이선교회출판부 Paul G. Hiebert,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276. 14) ( :, 1996), p. 앞장서는 협력자 미션 퍼스펙티브 Samuel H. Moffett,, pp. 389-91.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301 다. 11월에는 바탐방 선교센터를 봉헌하고, 바탐방 지역 연합세례식 (250명)을 거행하였다. 1999년 2월 감리교 신학교 1회 졸업식(17명) 이 있었다. 1999년 3월 입국한 김경일 선교사(대신교회 소속)는 신학 교 강의 사역과 함께 제3의 도시인 꼼뽕짬(Kompong Cham)에서 거주 하며 메콩강 주변 지역과 이 나라 동북부 산악지역과 베트남, 라오스로 이어지는 지역을 사역하고 있다. 11월에는 감리교 신학교 건물을 봉헌 하였다. 2000년 1월 꼼뽕짬에 선교센터를 봉헌하였다. 6월 감리교 신 학교와 감리교 선교협의회(CCMA)를 종교부에 등록하였다. 2001년 5월 아시아태평양복음선교회 파송으로 입국한 박도한 선교사(아멘교회 소속)는 신학교 사감으로 사역하면서 꼼뽕스푸지역 선교를 감당하고 있다. 2002년 5월에 입국한 강희성 선교사(예산삽교교회소속)는 한인 교회인 프놈펜제일교회를 담임하며 현지인 사역을 돕고 있다. 2002년 에 입국한 박효준 선교사(미아동교회소속)는 현재 언어사역 중이며, 송 진섭 선교사를 도와 프놈펜지역을 섬기고 있다. 2002년에는 최원찬 선교사(돈암동교회소속) 입국하였다. 2003년 3월 꼼뽕스프 선교센터 를 봉헌하였으며 2003년 6월 윤종철 선교사(천안갈릴리교회소속)가, 7월에는김선중선교사가입국하여선교를준비하고있다.15) 열린문을 향해 집중적인 선교를 하기 위해서 속속 일군들이 증파되고 있다. 최초 선교사인 송진섭 선교사의 최근 보고16)에 의하면 캄보디아에서 감리교의 주요 사역은 우선 교회 개척 및 관리 사역으로서 2001년 말 15) 현대 교회의 캄보디아 단기 선교 계획서 중 일부. http://hyundaichurch.org/03_mini04/read.asp?idx=20&ref=20&d epth=0&step=0&page=1 16) 송진섭 선교사의 선교 보고 중 일부. http://www.omegamission.org/2002omega/%bc%b1%b1%b3%c8%c6%b7%c3%bf%f8/ %B0%AD%C0%C7%BE%C8/0419/%BC%DB%C1%F8%BC%B7%B0%AD%C0%C7.htm

302 대학과 선교 제6집 현재 98개 교회, 4300여명의 성도로 성장하였다고 한다. 교회 개척에 는 먼저사역자를 세우고그 사역자가전도하여 일정한교우들을 모으고 활동을 제대로하게 되면교회 건물을세워주는 순서로진행하여 건물이 먼저 지어지는 법은 없게 하고 있다. 선교지역은 세개 지역으로 크게 분할하여 프놈펜, 바탐방, 꼼뽕짬 등 3대 도시 위주로 진행하고 있고 2002년 목표는 120 교회, 6,000성도를 이루는 것이었다. 신학교 사역은 1997년 4월 KMC 단독으로 프놈펜 선교 센터에서 개교하여 25명 입학, 1999년 2월에 17명 졸업하였다. 1999년 11월 캄보디아 감리교신학교 건축, 봉헌하고 캄보디아에 선교중인 외국 감리 교회들과 연합 감리교 신학교체제로 새롭게 3년제로 시작하였다. 2000 년 7월 2회로 20명이 입학, 2001년 10월 3회로 23명이 입학, 현재 43명이 공부 중이며 2002년 10월에 4회 25명 정도가 입학하였다. 전임 교수 2명, 시간 강사 8명이 교수로 사역하는 동역 사업이다. 신학 생들은 전원이 기숙사 생활을 원칙으로 하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철저한 말씀과 기도와 묵상, 신학수업 등을 통해 영성을 갖춘 목회자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17) 연합 사역(Cambodia Christian Methodist Association)으로는 캄보디아에서 사역하는 6개 감리교회, 즉 한국, 미국, 싱가폴, 스위스, 프랑스, 말레이시아 감리교회가 연합회를 조직하여 종교부에 함께 등록 하였다. 앞으로 하나의 감리교단 조직을 목표로 가능한대로 연합사역을 실행하기로 하였고 그 일환으로 신학교 공동 운영, 평신도 목회자 세미 나, 교회학교 교사, 청소년 지도자, 여선 교회 지도자 세미나 등을 연합 으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KMC 98개 교회, UMC 50 교회, 싱가폴 17) 김경일 감리교 선교사의 홈페이지 자료. http://myhome.hanafos.com/%7epinakes/nowkmc.htm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307 방향을 정해야 한다. 청년들(20-30대)을 대상으로 한 사역에 많은 힘을 쏟기에는 너무 늦는다. 이미 불교적 문화와 사고, 습관 등에 젖어 있어 기독 문화를 수용할 자리가 없고 설사 수용한다 해도 유일신이 아닌 다신 중의 하나로 자리 잡을 수밖에 없어 진정한 의미의 헌신은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그러므로 수용성이 강한 어린이부터 시작하는 것이 이곳에서의 사역에 있어서 중요한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어린이들이 인구 비례에서 절대적 다수를 점하고 있다는 점도 선교대상 으로서 반드시 성공해야하는 대상이 된다. 불교의 영향 하에 있는 사람 들에게 선교할 때에는 그들이 종교인에 대해서 갖고 있는 선입견을 잘 이해해야 한다. 캄보디아인들의 사고 방식으로는 종교인들은 신뢰성과 통전성을 구비한 사람으로 이해하며 불교가 세상 부정과 물질 부정의 종교이므로 선교 사역에서 사치스럽거나 호화로운 모습을 보이는 것은 금기이다.18) 여성들을 우선 전도대상으로 삼는 사역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19) 서민들의경우결혼을하게되면대개남자가처가에들어가사는경우가 많고 또 여자가 살림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여자가 믿지 않을 경우 남자도 쉽게 믿음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목회와 프로그램(모자보건 등)을 개발하여 이를 매개로 많은 여성들을 주님 품으로 돌려야만 한다. 한국의 여성신학에서보여주 는 적극적인 사고방식들은 이들을 기독교인으로, 사회를책임 있게 이끌 18) 불교권에 대한 선교 전략 전호진 종교다원주의와 타종교 선교전략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 투커 에 의하면 여성들이 교회의 지도자 자리를 위해서 제대 로 양육되고 활동했더라면 교회의 역사에서 복음화의 결실은 아주 다른 노정을 밟았을 것이라고 한다 선교신학의 세기 동향 한국복음주의신학회선교분과회 편역 서울 도서출판 이레서원 (, :,,, 1994), pp. 236-237. (Ruth A. Tucker). James M. Phillips & Robert T. Coote,, 2001), p. 420. ( : 21,

310 대학과 선교 제6집 에 사전 통보, 여유 있는 일정 운영 등이 필요하였다. 4. 사후 후원 지속 선교지에서 키워낸 중간 지도자들을 한국의 기독교 대학과 자매 결연 을 하게 하고 편입하거나 연장 교육을 받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교육의 내용도 중요하겠지만 후원하는 인맥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도 소중한 결실이 된다. 현지의 요구를 정확히 알게 되어서 목원대학교 팀의 방문 이후 1개 교회의 신축과 교역자 생활비 후원이 연결되어성사되었다. 방문한 교회 에서 제일 필요로 하던 영상 기자재의 구입도 이루어졌고 음악 특기 교육에 필요한 교육 자료들도 수급이 되었다. 비거주 선교사 개념은 이런 경우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본다. 특정 민족을 선교 대상으로 선정하고 사역에 관심 있는 모든 그리 스도인들과 상호협력하며 선교지밖의 지역인선교 정보수집이나 후원 세력이 밀집되고 관련당사자들이 가까이에 있는 지역에 거주하면서 복 음화를 위한 모든 사역을 감당해 나가는 것이다. 주로 까다로운 통제를 피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단기 사역을 하고서 다시 가기 어려운 대학생들로서는 이런 개념을 원용하여 사후 후원을 지속하 는 일을 비거주 선교사와 같은 마음가짐으로 이어간다면 매우 유효한 성과를 얻게 될 것이다.20) 20) 조은화 옮김 서울 생명의 말씀사 V. David Garrison, The Nonresidential Missionary,. ( : 비거주 선교사 김창영, 1994), pp. 28-29.,,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국외선교 방안 모색 311 VI. 맺는 말 이제막열려진선교지캄보디아는한국기독교대학들이세계선교의 대상지로서 제일 먼저 고려해 볼 수 있는 나라이다. 주변에 공산주의 세례를 받았던나라들이 아직도이런 저런통제를 가하면서선교의 자유 를 제약하고 있지만 캄보디아만큼은 자유롭게 십자가를 걸고 교회를 지을 수 있으며 NGO의 형태로 할 수 있는 모든 방면에 선교를 할 수 있는 문호가 활짝 열려져 있다고 본다. 대학들이 가지고 있는 인적 자원을 훈련시키고 선교마인드를 갖게 하여 단기선교로라도 선교하게 된다면 아주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여건이되어있다. 선교의문이열린지갓십년을넘긴상황이기에 더더욱 새로운 방법으로 선교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기독교 대학들이 고등교육에 있어서 상당부분을 담당하고 있 으며 많은 인재들을 교육하고 있다. 이들을 세계 선교를 위한 자원으로 안내하는 일은 기독교 대학의 중요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 그것은 기독 교적 설립이념의 구현의방안이기도 하며한국에 이룩된개신교의 부흥 에 걸맞는 책임 수행이라고 생각된다. 이를 위한 노력을 전문 선교 단체 의 임의적인 노력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제도적인 접근을 해서 세계 선교 인력수급의 활성화를육성책을 마련해주는 것이절대적으로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선교사업은우리의힘에의존하고선교반대세력을고려 해야 하는 등의 인간적 사업(human undertaking)이 아니라 그것은 우리에 의해서 모든 민족으로부터 교회(Congregation)를 자기에게로 모으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21)이라는 점을 잊을 수는 없다. 21) 진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J. H. Bavinck,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 ( :, 1992), p. 314. 선교학개론 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