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논문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 1)2) 김영운 ** 국문초록이논문은현재전승되고있는아리랑계통악곡중중요한악곡을중심으로몇가지문제점을살펴본글이다. 먼저다양한제목으로전승되는 180여곡의아리랑계통악곡중제목만으로는어떤곡인지알기어려운곡을대상으로모곡 ( 母曲 ) 별로유형을나누어보았다. 그결과다양한이름으로전승되는아리랑계악곡의모곡은 < 구조아리랑 >, < 밀양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 정선긴아리랑 > 등으로정리될수있으며, 악곡명에혼동의여지가없는 <( 본조 ) 아리랑 >, <( 경기 ) 긴아리랑 >, < 진도아리 * 이글은필자의선행연구에크게의존하였다. 즉이글의 1 2 4 장은 아리랑의형성과정과정선아리랑의음악문화적가치, 정선아리랑표준악보연구보고서 ( 재단법인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09) 를고쳐쓴것이다. 본래연구보고용으로발주처에만보고된글이라이번기회에학계에널리발표하고자논문으로다듬었다. 그리고이글의 3장은 강원도민요의존재양상과음악적특징, 2010 우리춤연구소제4회국제학술심포지엄예술적담론으로본한 중 일지역문화재조명- 강원도편 - ( 한양대학교우리춤연구소, 2010. 10. 23) 의 2장부분을일부수정 보완한것이다. 이처럼선행연구에크게의존하게된것은이글이아리랑계악곡을전반적으로조망하고자하는목적에서쓰여지는만큼, 최근의연구결과를한편의글로정리할필요가있었기때문이다. ** 한양대
6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랑 > 등이아리랑계통악곡의중요한곡목들로파악되었다. 이어서강원도지역의향토음악이었던 < 긴아라리 > < 엮음아라리 > < 자진아라리 > 등이경기명창들에의하여통속민요화하는과정을살펴보았으며, 이들악곡이통속민요화한곡이각각 < 한오백년 > <( 서울제 ) 정선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임을재확인하였다. 끝으로강원도의향토민요인 < 긴아라리 > 와 < 자진아라리 > 중어느곡이경기도에전하여져경기아리랑을파생하였는지를살펴본결과, 강원도의 < 긴아라리 ( 정선아리랑 )> 에서경기도의 < 구조아리랑 > 이파생되었음을논증하였다. 그리고 < 구조아리랑 > 이신경토리로변화되어 < 본조아리랑 > 이형성된것으로파악하였는데, 그과정에서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통속민요강원도아리랑 )> 가중요하게참고된것으로보았다. 주제어 : 아리랑, 정선아리랑, 자진아라리, 구조아리랑, 긴아리랑, 강원도아리랑, 한오백년 1. 머리말 이글은한민족의대표적인민요 < 아리랑 > 에대한음악적논의이다. 일반적으로 < 아리랑 > 이라하면경기민요명창들이공연용으로부르는통속민요 < 본조아리랑 > 을지칭하는데, 이노래이외에도경기민요 < 구조아리랑 > < 긴아리랑 > 을비롯하여전국각지에전승되는다양한악곡들이 아리랑 또는 아라리 라는명칭을제목에포함하고있으며, 향토민요또는통속민요로전승되고있다. 이글에서는먼저향토민요와통속민요로전승되는각종아리랑계통악곡을대상으로그전승양상을살펴보고자한다. 그다음으로아리랑을대표하는악곡으로알려진 < 본조아리랑 > 의형성과관련하여중요한계기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7 가된강원도향토민요 ( 토속민요 ) 아리랑계악곡이경기민요화하는과정에대한기존의견해를재검토하고, 필자나름의새로운견해를제시하고자한다. 흔히 아리랑 이라불리는민요는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 또는 아리아리쓰리쓰리 나 아리아리랑쓰리쓰리랑 처럼 아리랑 또는이와유사한음절을후렴구에서반복적으로노래하는일군의민요를가리킨다. 1) 이같은아리랑은전국에널리분포되어있을뿐만아니라, 해외한민족사회에도널리퍼져있다. 최근에는해외동포사회에전승되는아리랑을채록한음반과북한지역의음원자료등이국내에소개되어아리랑계통악곡의제목은그숫자가더욱늘어났다. 이들자료에보이는곡명은 100여곡을훨씬넘고있으며, 이중곡명이중복되거나, 하나의악곡이여러지역에서조사된경우, 대중음악이나외국음악인들에의하여창작된것, 아리랑계통의악곡으로보기어려운것등을제외하고정리하면 < 표 1> 과같이 120여곡정도로간추릴수있다. 2) 1) 이보형은 아리랑 아라리 아라성 하는아리랑이라는말이들어가는뒷소리를갖추고있는민요를가리키는것 으로아리랑의개념을정리한바있다. 이보형, 아리랑소리의根源과그變遷에관한音樂的硏究, 한민국민요학 제5집, 한국민요학회, 1997, 83쪽. 2) 1930년대부터 1980년대에걸쳐여러연구자들이정리한아리랑관련악곡명정보는이보형, 위의논문, 86~87쪽에서도볼수있다.
8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표 1> 현전아리랑계통악곡 126 곡의제목 < 표 1> 에정리된악곡중에는제목이나노랫말만전할뿐, 음향자료나악보를통하여악곡의실체를확인하기어려운것도있다. 따라서이글에서는실제음원을통하여확인이가능한아리랑계통악곡을대상으로논의를진행하고자한다. 이를위하여본고에서악곡분석의대상으로활용될자료는최근 CD음반으로복각되거나제작된자료에한정하고자하는바, 아리랑계통악곡을수집하여발매한다음의자료들이활용될것이다. 1 남북아리랑전설 (14곡수록 ) 2 멈추지않는아리랑 (2CD: CD-1 11곡, CD-2 13곡수록 ) 3 민족의노래 (13곡수록 )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9 4 북한아리랑 (16곡수록 ) 5 북한아리랑명창전집 (3CD: CD-1 15곡, CD-2 15곡, CD-3 16곡수록 ) 6 영남아리랑의재발견 (2CD: CD-1 13곡, CD-2 7곡수록 ) 7 한반도의아리랑 (4CD: CD-1 6곡, CD-2 5곡, CD-3 18곡, CD-4 4곡수록 ) 8 해외동포아리랑 (17곡수록 ) 위의음반자료에수록된아리랑계통악곡을살펴보면, 통속민요또는향토민요로불리고있는대표적인악곡들이포함되었고, 비록제목은여러가지로달리표기되었으나실제로는이들대표적인악곡과동일한곡이다수포함되었다. 그리고적지않은악곡은이들대표적인민요를편곡하거나변주한것이고, 소수의악곡만새롭게창작된것이다. 위의음반자료 8종에수록된아리랑계통악곡의제목은 < 표 2> 와같다. < 표 2> 음향자료수록아리랑계통악곡 46 곡의제목 따라서다음장에서는 8종의아리랑음반에수록된총 183곡의아리랑계악곡중제목만으로는어떤곡인지불분명한곡들을유형별로분류하고, 각유형의모곡 ( 母曲 ) 이된아리랑을중심으로그전승양상을살펴보고자한다. 이어서경기아리랑의형성과관련된논의를진행하고자한다.
10 한국문학과 예술 제7집 2. 아리랑계통 악곡의 유형별 분류 앞에서 살펴본 아리랑 관련 CD음반에 수록된 아리랑계통 악곡의 제목 은 <긴아리랑>이니 <강원도아리랑>처럼 전통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 되거나, 국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제목을 사용한 것도 있지만, <쪽 박아리랑>이나 <울릉도아리랑>처럼 널리 알려지지 않은 제목을 사용한 것도 적지 않다. 전자의 경우는 녹음시기나 녹음지역 또는 가창자의 개성 에 따라 부분적인 변주나 편곡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악곡의 유형을 구분 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이들 악곡이 실제로 어떤 곡 인지? 아니면 어떤 곡을 바탕으로 변주 편곡된 작품인지를 살펴 그 모곡 (母曲)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표 3> 아리랑계 악곡의 모곡별 정리표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11 < 구조아리랑 > 또는 < 구아리랑 > 으로불리는곡은중국연변지역의조선족동포사이에서 < 새아리랑 > 이라고불리는곡과, 이애리수 고명희 ( 북한 ) 가부른 < 신아리랑 >, 북한의계춘이가부른 < 아리랑타령 ( 서도아리랑 )>, 중국흑룡강성동포인차병걸이 < 아리랑 > 이란이름으로부른노래는모두 < 구조아리랑 > 이다. < 본조아리랑 > 이 변격도선법 3) 의악곡인데비하여, < 구조아리랑 > 은 정격솔선법 4) 의악곡으로전통음악의평조 ( 平調 ) 와같으며, 진경토리즉창부타령조와음조직이같다. 이곡은일제강점기김죽파 ( 金竹坡, 당시예명金雲仙 ) 의가야금병창으로취입된바있으며, 5) 1896년미국인선교사헐버트 (Homer B Hulbert, 1863~1949) 에의하여오선보로채보된 아라렁타령 (< 악보 1> 참조 ) 과같은곡으로보인다. 3) sol-la-do'-re'-mi' 의 5음음계로, 음계중간에있는 do' 가종지음이다. 4) sol-la-do'-re'-mi' 의 5음음계로, 음계맨아래에있는 sol이종지음이다 5) Polydor 19017-B 流行歌아리랑金雲仙 ( 伽倻琴並唱 ) 아리랑ヘ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봄노리가자나를버리고가시는님은十里도못가발병이난다아리랑ヘ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봄노리가자매월신보 : 포리돌매월신보-1933-09-(11), 광고 : 동아일보 -1933-03-21-(01)-포리돌.
12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1> 헐버트채보의 < 아라렁타령 > < 악보 2> 김죽파의 < 구조아리랑 > 과헐버트채보 < 아르렁타령 > 후렴비교악보 헐버트의채보가실제악곡을얼마나섬세하게채보하였는지는알수없으나, 1930년대김죽파의노래에비하여몇몇장식적인음이보이지않는점을제외하고는선율선이대체로일치한다. 그차이점은헐버트가채보한것은향토민요의형태에가까웠을것이고, 김죽파는전문음악인이므로장식음을첨가하여녹음하였을것이기때문에나타나는근소한차이일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13 것이다. 두노래의선율선이 < 악보 2> 와같이대체로일치하는점을본다면, 1896년헐버트가채보한노래는현행 < 구조아리랑 > 에해당하는곡이분명하다. < 밀양아리랑 > 은오늘날경상도지방아리랑을대표하는곡처럼여겨지지만, 음구조는경상도지역향토음악의특성을드러내는 메나리토리 나 어사용토리 6) 와다르다. < 밀양아리랑 > 의음조직은오히려서울 경기지방의반경토리에가깝다. 또한이곡은라선법으로불리는경우도있지만, 미선법으로불리는경우도있다. 따라서 < 밀양아리랑 > 은음악적인성격만으로보았을때경상도지방민요로볼수있는근거가약하다. 실제로이노래의선율선은 < 악보 3> 과같이현행 < 해주아리랑 > 과닮은점이많은데, 특히후렴후반부는두곡이거의일치한다. 뿐만아니라 < 밀양아리랑 > 은일반적으로경기명창들의공연곡목에포함되어있다. 경상도향토민요중 < 쾌지나칭칭나네 > 나 < 옹헤야 > 등은남도명창들의공연곡목인데비하여신민요인 < 울산아가씨 > 는경기명창들이주로부르는데, < 밀양아리랑 > 이경기명창들의연주곡목에포함되었다는점은이곡이지니는음악적인특성이경기민요와닮은점이많기때문일것이다. 앞의 < 표 3> 의 < 광복군아리랑 > 은 < 밀양아리랑 > 곡조에새로운노랫말을얹은곡이다. 6) 메나리토리에서최저음인 mi 가반음높은 fa 로변화되어종지음으로도활용되는토리. 김영운, 영남민요어사용의음조직연구, 한국민요학 제 6 집, 한국민요학회, 1999, 45~131 쪽참조.
14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3> < 해주아리랑 > 과 < 밀양아리랑 > 후렴비교악보 다음으로 < 강원도아리랑 > 을살펴보고자한다. 강원도거의전지역과충청도와경상도지방에서도불리는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는 3소박 +2소박의혼소박장단으로구성되었으며, 후렴은대체로 아리아리쓰리쓰리아라리요~ 로되어있다. 아리랑관련 CD음반에수록된악곡중 < 자진아라리 > 계통노래가가장많은점이흥미롭다. 즉, 이곡의혼소박장단은현행전통음악에서는보편적인장단이아님에도불구하고 < 표 3> 의아리랑계통악곡에서는이곡이유난히다양한이름과노랫말로불리는점이흥미롭다. 통속민요 < 강원도아리랑 > 은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를바탕으로만들어진곡이며, 북한지역에서는 < 경상도아리랑 > 이라는이름으로불리고있다. 그리고 < 독립군아리랑 > < 인제뗏목아리랑 > < 랭산모판큰애기아리랑 > < 영천아리랑 > < 예천아리랑 > < 제주도아리랑 > < 쪽박아리랑 > < 초동아리랑 > 등은모두 < 자진아라리 > 와같은곡이거나, 또는 < 자진아라리 > 를변주 편곡한곡이다. 이중 < 경상도아리랑 > < 영천아리랑 > < 랭산모판큰애기아리랑 > 등은북한지역에서즐겨부르는것으로보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15 인다. < 정선긴아리랑 > 은강원도거의전지역에서불리는향토민요로, 현지에서는제목에지명을붙여부르기도한다. 위표에보이는 < 인제아리랑 > < 태백아리랑 > < 통천아리랑 > < 횡성어리랑타령 > 등이그예이다. < 울릉도아리랑 > 은조금특수한경우로보이는데, 울릉도에서향토민요로전승되지는않는것으로보인다. < 춘천의병아리랑 > 은노랫말을새로얹었지만, 그역시강원도지역을벗어나지않았다. 따라서아리랑관련 CD자료에수록된 < 정선긴아리랑 > 계통악곡들은그전승지역이대체로강원도지역을벗어나지않았다고할수있다. 그런점에서 < 정선긴아리랑 > 은 < 강원도아리랑 > 으로알려진 < 자진아라리 > 보다더강원도적인노래라할수있다. < 표 3> 에서창작아리랑으로분류한것은 < 본조아리랑 > 과 < 밀양아리랑 > < 진도아리랑 > 이후에대중가요풍으로작곡되었거나, 북한지역과해외동포사회에서창작된악곡또는통속민요연주자들이지역사회의요구에따라새로짠노래를가리킨다. 이들악곡은 아리랑 이라는제목은지니고있지만, 기존아리랑과는선율의유사성등악곡정체성을공유하지않고있어기존의아리랑과는별개의것으로볼수밖에없다. 이상살펴본바와같이 < 표 3> 의 46곡을분석한결과, 현재다양한이름으로전승되는아리랑계통악곡의모곡 ( 母曲 ) 은 < 구조아리랑 >, < 밀양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 정선긴아리랑 > 등으로정리될수있다. 이밖에도악곡명의변용이없어서혼동의여지가없는 <( 본조 ) 아리랑 >, <( 경기 ) 긴아리랑 >, < 진도아리랑 > 등이현재전승되는아리랑의중요한곡목이라할수있다. 이상의악곡을정리하면 < 표 4> 와같다.
16 한국문학과 예술 제7집 <표 4> 현전 아리랑계 중요악곡 정리표 7) <표 4>에 정리된 아리랑계 악곡 중 기층음악으로 존재하는 것은 강원 도의 향토민요 세 곡이다. 학계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강원도의 향토민요 아라리계통 소리가 서울지방에 전해져 경기민요 아리랑계통 악곡을 파생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강원도지방 향토민요 세 곡이 경기민요의 음 악어법 즉 경토리로 변이되어 <구조아리랑>이나 <(본조)아리랑> 또는 <긴아리랑>을 파생시킨 경우와 달리, 강원도 향토음악이 지니는 본래의 음악어법 즉 메나리토리를 유지한 채, 경기명창의 공연곡목인 <강원도아 리랑> <(서울제)정선아리랑> <한오백년> 등으로 통속화하는 과정도 있으므로 두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3. 강원도 향토민요의 통속민요화 강원도에 전승되는 향토민요 중 아리랑계통 악곡으로 볼 수 있는 것은 7) 밀양이라는 명칭 때문에 흔히 경상도민요로 분류하지만, 음악적인 성격은 경상 도의 민요와 같지 않고, 실제 경기명창들의 공연종목에 포함된다.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17 <( 긴 ) 아라리 > 8), < 엮음아라리 >, < 자진아라리 > 의세곡이있으며, 이들악곡이통속민요화한곡으로는 < 한오백년 >, <( 서울제 ) 정선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이있다. 이장에서는강원도에전승되는향토민요로서의세곡과, 이들이통속민요화한세곡을비교하면서그음악적인변화양상을살펴보고자한다. 1) < 아라리 > 와 < 한오백년 > < 아라리 > 는강원도전역에걸쳐널리불리는노래로그주된기능은모심는소리이지만, 노는좌석에서도흔히불리는유희요이기도하다. 이노래는지역에따라양구지방에서는 < 얼러지 >, 횡성지역에서는 < 어러리 > 등의곡명으로불리기도한다. 강원도의 < 아라리 > 중정선지방의 < 아라리 > 가널리알려져있으므로, 외지에는이를 정선아라리 또는 정선아리랑 이라부른다. 정선지역의 < 아라리 > 는 < 정선아리랑 > 이라는이름으로강원도무형문화재제1호로지정되었다. < 정선아리랑 > 은 < 긴아리랑 > 과 < 엮음아리랑 > 의두가지곡조가전승된다. 8) 아라리 와 아리랑 은흔히혼용된다. 강원도무형문화재제 1 호인 정선아리랑 처럼현지의공식명칭은 아리랑 을선호하지만, 향토민요로서의명칭은 아라리 가더광범위하게사용된다. 이글에서는이두관점을존중하면서두명칭을혼용하고자한다.
18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4> 강원도무형문화재제 1 호 < 정선아리랑 > 중 < 긴아리랑 > < 악보 4> 는정선의무형문화재보유자들이부르는 < 긴아리랑 > 이고, 아래 < 악보 5> 는양양군현남면입암리에서모심는소리로부르는 < 아라리 > 이다. 정선의아라리가후렴을갖는노래인데비하여, 양양의모심는소리 < 아라리 > 는본래의기능에충실하게 심어주게심어주 / 심어주게 // 원앙의줄모를 / 심어를주게 // 라는사설을한절에얹어부르며, 후렴은부르지않는다. 두노래의음조직은전형적인메나리토리이며, mi가종지음이다.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19 < 악보 5> 양양군현남면입암리모심는소리 < 아라리 > 1 절 현재경기명창들이부르는통속민요중에는 < 아라리 > 라는제목의노래는보이지않는다. 그리고통속민요 < 정선아리랑 > 은차후에상세하게논의하겠지만, 강원도지방의 < 엮음아라리 > 가통속화된민요이다. 통속민요형성기로볼수있는 20세기전반기강원도향토민요의통속민요화를고찰하기위한중요한자료는당시의유성기음반이라할수있다. 이연구를위하여필자가살펴본유성기음반자료는 < 표 5> 와같다. 9) < 표 5> 에보이는바와같이일제강점기에 < 강원도아리랑 > 이라는제목으로유성기음반에취입된노래중 Okeh 1711-A(1936년신보 ) 의 회령청진가신낭군은 과 Okeh 31034-B(1943년신보 ) 의 임자당신나싫다고 의두곡은그제목과는달리현행강원도향토민요인 < 긴아라리 > 와 < 엮음아라리 > 이다. 9) 이연구에활용된 SP 음반의음향자료와학술정보는동국대학교배연형교수가제공한것이다. 지면을빌어감사드린다.
20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표 5> 유성기음반취입강원도통속민요 < 표 5> 에서박부용 ( 朴芙蓉 ) 이부른 Okeh 1711-A는제1절을 회령청진가신낭군은 의사설로 < 긴아라리 > 를부르지만, 후렴에이어지는제2 절은 정선읍내물래집에물레방아는사시장철물살을안고 의 < 엮음아라리 > 를부른다. 이어서제3절은 < 긴아라리 >, 제4절은 < 엮음아라리 > 를부른다. 이처럼긴소리와엮는소리를섞어부르는것은현재강원도무형문화재로지정된 < 정선아리랑 > 과같은현상이다. 다만현행의노래와다른점은리듬구조에서약간의차이가있다. 즉현행 < 정선아리랑 > 은 3소박 3박자가한마디를이루고, 각절이나후렴이모두 8마디를단위로하는비교적규칙적인구조임에비하여, 이음반의노래는대체로 3소박 3박자를마디의단위로삼지만, 4마디를단위로보았을때그끝부분의박자가가변적이어서한두박이늘어나거나줄어드는변화가있다.(< 악보 6> 참조 )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21 < 악보 6> 박부용의 < 강원도아리랑 > 의일부 반면에이화자 ( 李花子 ) 가부른 Okeh 31034-B(< 악보 7>) 는후렴 ( 전렴 ) 10) 을먼저부르고제1절이이어지는데, 화류계골목은돈쓰는골목 의제1절과 얼굴이잘나천하일색인가 의제3절은 < 긴아라리 > 이며, 임자당신나싫다고 의제2절은 < 엮음아라리 > 이다. < 긴아라리 > 와후렴은대체로 3소박 3박자가한마디를구성하지만, 후렴의제6소절은 1박이모자 10) < 악보 7> 에채보된이음반의노래는후렴을먼저부르고, 제 1 절이이어진다. 따라서악보에는 전렴 이라표기하여후렴이먼저불려짐을나타내었다. 그러나논의과정에서는보다익숙한용어인 후렴 을주로사용할것이다.
22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란다. 따라서후렴은 10마디 +2박이고, 제3절은 10마디로구성되는점이각절과후렴이각각 8마디씩으로구성되는현행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과다르다. < 악보 7> 이화자의 < 강원도아리랑 > 의일부 그럼에도불구하고위두곡에서엮는부분은 mi음이중요하게활용된다. 즉박부용의노래 (< 악보 6>) 제2절은모두낮은 mi음으로엮으며, 이화자의노래 (< 악보 7>) 제2절은 mi음으로시작하여엮다가 la음으로상승하여엮는다. 이처럼 < 긴아라리 > 와 < 엮음아라리 > 가한곡안에서교체되면서불리는점에서일제강점기유성기음반에수록된박부용과이화자의 < 강원도아리랑 > 은현행통속민요 < 강원도아리랑 > 이아니라, 현행강원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23 도향토민요인 < 정선아리랑 > 과같은곡임을알수있다. 비록제목을 < 강원도아리랑 > 이라표기하였지만, 유성기음반에강원도향토민요인 < 긴아라리 > 와 < 엮음아라리 > 가민요명창들에의하여취입되었음을알게되었다. 그러나현재는강원도향토민요 < 긴아라리 > 와 < 엮음아라리 > 에해당하는노래가경기명창의통속민요로는전승되지않고있다. 아리랑계통노래의정체성을앞서살펴본바와같이후렴에서 아리랑 또는 아라리 등을특징적으로노래하는악곡으로한정한다면, 아리랑계악곡으로분류될수없는노래로통속민요 < 한오백년 > 이있다. 이창배는 < 한오백년 > 에대하여 강원도고장특유의애수에깃든노래 로평가되면서, < 강원도아리랑 > 과 < 정선아리랑 > 중간에서따만든것 이라하였다. 11) 실제로 < 한오백년 > 과같거나유사한노래가강원도의향토민요로존재하지않으므로, 이창배의언급과같이 < 한오백년 > 은새롭게만들어진것이분명해보인다. 일제강점기의음반으로는김난홍 ( 金蘭紅 ) 의노래와김계선 ( 金桂善 ) 의대금반주로취입되어 1938년에신보로발매된 Victor KJ-1139-B 음반에 속요 ( 俗謠 ) 로소개된 < 한오백년 > 이있다. 이노래를채보한 < 악보 8> 을통하여이음악의어떠한요소가강원도적인특징을지니고있으며, 또한이창배의언급처럼이곡의어떠한부분이 < 강원도아리랑 > 과 < 정선아리랑 > 에서따온부분인지살펴보고자한다. 11)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826 쪽.
24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8> 김난홍의 < 한오백년 > < 악보 8> 에의하면이노래는전형적인메나리토리로구성되었으며, 종지음은 la이다. 박자구조는 3소박 3박자를한마디로하고있으며, 각절이나후렴은모두 8마디씩으로구성되었다. 각절의시작은높은 re' 음으로일관하여숙이거나지르는등의변화가전혀보이지않고, 선율도대체로같은가락으로일관하여향토민요에서흔히보이는즉흥적인변화를찾기어렵다. 이러한점들이 < 한오백년 > 이새롭게만들어진노래임을보여주는중요한요소라하겠다. 그리고이노래의후렴인 아무렴그렇지그렇구말구, 한오백년을사자는데웬성환고 역시강원도향토음악에서는전혀찾아볼수없다는점도이노래가새롭게만들어진노래임을강하게시사해준다. 실제로 < 한오백년 > 이신민요 < 아리랑세상 > 과관련이있음은장사훈의 국악개요 에서확인된다. 이책의 < 아리랑세상 > 에는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도망을간다 라는후렴이있고, 노래의본사설후반부가 아무렴그렇지그렇구말구짚신장사김첨지밥굶는다 라고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25 하였는데, 제2절에서는이부분이 아무렴그렇지그렇구말구한오백년사잿더니웨도망했나 로되었다. 12) 그러나 1938년김난홍이취입한 < 한오백년 >(< 악보 8>) 에서는 아리랑 으로시작하는후렴대신 아무렴그렇지그렇구말구한오백년사자는데웬성환고 가후렴으로불리고있다. 이점은이미이보형이지적한바있다. 13) 이처럼노랫말은상호연관이있음에도불구하고신경토리로된신민요 < 아리랑세상 > 14) 은선율구조나음조직등음악적인요소에서는 < 한오백년 > 과연관성을찾기어렵다. < 악보 8> 의김난홍창 < 한오백년 > 의각절과후렴이 3소박 3박자 8마디로구성된점은현행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과매우닮았고, 각절의시작음이 re' 인점은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의 드는형 15) 과닮았다. 한편 < 강원도아리랑 > 과의유사성은 < 악보 9> 이옥화의 < 강원도아리랑 > 악보를통하여살펴볼수있다. 12)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6, 152쪽. 13)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음악사전, 대한민국예술원, 1985, 253쪽. 아리랑세상 항목 ( 이보형집필 ) 14) Columbia 40440-B(21739) 新民謠아리랑世上 ( 全基玹作 ) 金鮮英伴奏日本콜롬비아管絃樂團 < 朝鮮日報 >:1933.7.20.( 八月特選新譜 ) 15) 강원도무형문화재 < 정선아리랑 > 의가장보편적인형태이다.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09), 정선아리랑표준악보연구보고서, 재단법인정선아리랑문화재단, 87쪽.
26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9> 이옥화의 < 강원도아리랑 > < 악보 9> < 강원도아리랑 > 악보의각행제2소절은 mi로마치며, 제4 소절은 la로마친다. 이처럼선율형의전반부가 mi로마치고, 후반부가 la 로마치는선율구조는 < 악보 8> 의 < 한오백년 > 에그대로드러난다. 즉 < 악보 8> < 한오백년 > 악보에서는제4소절과제12소절이 mi로마치며, 제 8소절과제16소절이 la로마친다. 즉 < 악보 8> < 한오백년 > 과 < 악보 9>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27 < 강원도아리랑 > 은 mi가반종지음으로사용되고, la가종지음으로활용된다는점에서닮았고, 이는 mi를종지음으로삼는 < 정선아리랑 > 과뚜렷이구별되는특징이다. < 한오백년 > 과 < 강원도아리랑 > 의닮은점은후렴에서도발견된다. 주지하다시피민요각편의정체성은그후렴구절에드러나는경우가많다. 메기는소리는노랫말이나곡조에변화가심하지만, 후렴이나받는소리는대체로고정적인사설과곡조로짜여진것이일반적이다. 이두노래의경우도 < 악보 10> 과같이닮은점이많다. 즉후렴의둘째마디가첫째마디보다 4도높은음으로시작하는점은 < 한오백년 > 의후렴이 < 강원도아리랑 > 후렴의영향을받았음을보여준다. 반면에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은 < 악보 4> < 악보 6> 에서보는바와같이처음두마디는같은가락으로노래한다. < 악보 10> < 강원도아리랑 > 과 < 한오백년 > 의후렴비교악보 이상의고찰을통하여통속민요 < 한오백년 > 은강원도향토민요 < 정선긴아리랑 > 의 3소박 3박자리듬구조와본절과후렴을각각 8마디로구성하는형식, 그리고김난홍의노래처럼첫음을 re' 로들어내는점과닮았고, < 강원도아리랑 > 과는반종지음으로 mi, 종지음으로 la를활용하는점과후
28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렴의둘째마디가첫째마디보다 4도높게시작하는점이닮았다. 이처럼 < 한오백년 > 은 < 강원도아리랑 > 과 < 정선아리랑 > 에서특징적인요소를취한다음, 새로운요소를가미하여만든신민요라할수있다. < 한오백년 > 의형성에영향을준 < 강원도아리랑 > 은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가통속민요화된곡이다. 그리고 < 한오백년 > 형성에영향을준 < 정선아리랑 > 은통속민요 < 정선아리랑 > 이만들어지기이전이므로당연히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으로보아야할것이다. 그러나정선이나강원도현지의향토민요가직접적인영향을주었는지, 아니면앞서살펴본바와같이 1930~40년대 Okeh 유성기음반에 < 강원도아리랑 > 이라는이름으로취입된박부용 이화자등의노래와같이서울지역의전문음악인들이부르던노래가영향을준것인지는확인하기어렵다. 2) 엮음아라리와 ( 서울제 ) 정선아리랑 강원도정선지역의 < 아라리 > 중노랫말을촘촘하게엮어서부르는 < 엮음아리랑 > 이통속민요화되어 < 정선아리랑 > 이라는이름으로경기명창들에의하여음반에취입되어널리알려졌다. 장사훈은경기명창들이부르는 < 정선아리랑 > 에대하여 반드시강원도아리랑을부른다음그뒤를잇대는노래 16) 라하였고, 이창배는 본래짧은사설로 < 강원도아리랑 > 의끝같이부르는데, 정선본고장에서는 < 엮음아리랑 > 이라고한다 17) 고하였다. 실제로이창배의 한국가창대계 에수록된 < 정선아리랑 > 노랫말 14절은모두 < 엮음아리랑 > 계통의사설이다. 그리고현재경기명창의연주곡목으로불리는 < 정선아리랑 > 은모두엮는노래이다. 최근에는강원도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과구별하기위하여경기명창들이부르는노 16)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164쪽. 17)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6, 828쪽.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29 래를 < 서울제정선아리랑 > 이라부르기도한다. 장사훈과이창배처럼 < 정선아리랑 ( 엮음 )> 이 < 강원도아리랑 > 의뒤끝에부수적으로딸리는노래라는인식은쉽게이해하기어려운측면이있다. 경기명창들의연주에서메나리토리의민요몇곡을모아무대를구성하는경우는더러있고, 그경우에도느린노래인 < 정선아리랑 > 이나 < 한오백년 > 을먼저부르고, < 강원도아리랑 > 을나중에부르는것이일반적이어서 < 강원도아리랑 > 뒤에 < 정선아리랑 > 을잇대어부르는관행은찾기어렵다. 통상느린곡을먼저부르고, 뒤에빠른곡을잇대는향토민요나통속민요의일반적인구성방식과도배치되는이러한인식의배경에는현재와다른무슨문제가있는듯하다. 혹시장사훈과이창배가언급한 < 강원도아리랑 > 이현재의 < 강원도아리랑 > 을가리키는것이아니라 1930~ 40년대유성기음반에보이는 < 강원도아리랑 > 즉현재의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을지칭한것이라면위의언급은납득이된다. 즉장사훈과이창배에의한 < 강원도아리랑 > 을먼저부르고 < 정선아리랑 > 을이어서부른다 는언급은실제로는정선지방의 < 긴아리랑 > 을먼저부르고, < 엮음아리랑 > 을뒤에덧붙인다는의미로해석될수있기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현행통속민요 < 정선아리랑 > 은 서울제정선아리랑 이라불릴정도로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과는그모습이다르다. 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은 < 긴아리랑 > 과 < 엮음아리랑 > 이두루불리고있으나, 통속민요는 < 엮음아리랑 > 만부른다는점이크게다르다. 그리고사설을촘촘하게엮다가느려진부분이나후렴은 < 악보 11> 의향토민요에서는 3소박 3박자의규칙적인리듬을유지하지만, < 악보 12> 의통속민요에서는리듬의운용이보다자유롭다. 통속민요에드러나는이같은특성은경기명창들이전문적인음악성을표현하기위하여리듬의가변성을확대하고화려한장식음과사이음등을추가하였기때문이다. 이처럼 명인기 ( 名人技 ) 를자랑할수있는통속민요 < 정선아리랑 > 이세상에알려지게된것은김
30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옥심 ( 金玉心 ) 이이노래를레코드에취입하고, 공연이나방송을통하여널리알린데따른것으로보는것이일반적이다. 18) 18) 음반이나문헌에의하여확인되는것은아니지만민요명창들사이에서는이노래의시원과관련하여두가지의설이전하고있다. 김연갑이소개한두가지설은다음과같다. 1948 년처음김옥심에의해불려지게된것으로알려져오는데, 여기에는두가지설이있다. 하나는 1948 년강원도순회공연중정선지역공연에서정선아라리를듣고, 이창배가이를 무대소리 로엮어보자며구성해서, 그해김옥심에게부르게했다 ( 한성자증언 ) 는설이고, 또하나는김옥심이구성하여이창배앞에서불러보자 그소리괜잖구먼 이라고하여, 그뒤로김옥심이무대에서부르게되었다는것이다.( 이춘희 이호연 김영임도유사하게이해하고있다.)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5&dirid=5&docid=428698& qb=6rma7iic64waioq5goyxsoqwkq==&enc=utf8§ion=kin&rank=1& sort=0&spq=0&pid=gczstsoi5u4ssvlzlehsss--366816&sid=thd85ojncew AADN5ER4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31 < 악보 11> 강원도무형문화재제 1 호 < 정선아리랑 > 중 < 엮음아리랑 >
32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12> 김옥심창경기통속민요 <( 서울제 ) 정선아리랑 > 김옥심이킹스타음반에 < 정선아리랑 > 을취입한시기는 1940년대말경이라하지만, 실제음반을통하여확인되지는않는다. 19) 통속민요 <( 서울제 ) 정선아리랑 > 이처음불린시기와이를처음부른연주자또는향토민요를바탕으로새롭게다듬은편곡자가누구인지에대하여는추후새로 19) 킹스타음반이처음발매된것이 1950 년대중반이후라하니, 이녹음은빨라야 1950 년대후반에이루어졌을것이다. 정확한연대는알수없으나, 당시의대중가요와음반에밝은전문가의견해에따르면김옥심의 < 정선아리랑 > 이수록된킹스타 K5833 의발매시기는 1956~7 년경, K6611 은 1959~60 년경으로보인다고한다. 한편 < 정선아리랑 > 을이은주가부른것으로되어있는 K5833 음반도있어혼란을주고있다.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33 운자료의발굴과수집을통하여상론되어야할문제로보인다. 다만통속민요 < 정선아리랑 > 은강원도지역의향토민요중 < 엮음아리랑 > 을세련되게다듬어부르는노래이며, 그변주과정을통하여달라진점은다음과같다. 첫째, 향토민요는 < 긴아리랑 > 과 < 엮음아리랑 > 을부르지만, 통속민요에서는 < 엮음아리랑 > 만부른다. 둘째, 향토민요는낮은 mi음으로엮는데비하여, 통속민요는 la음을중심으로엮되, la보다낮은 mi와 sol, la보다높은 do' 등의음을장식음이나사이음으로활용하여선율적인흐름을다양하게구성한다. 셋째, 향토민요에서는빠르게주서섬기며엮지만, 통속민요에서는비교적느리게선율적인흐름을느낄수있도록엮어부른다. 넷째, 통속민요에서는엮다가느려져서본래의박자로돌아온이후의부분과후렴의선율은향토민요처럼 3소박 3박자의리듬을대체로따르지만, 부분적으로특정음을장인 ( 長引 ) 하거나박자의들고남이있어향토민요 < 엮음아리랑 > 처럼리듬체계가규칙적이지만은않다.
34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13> 김옥심창 < 정선아리랑 >(Kingstar K6611)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35 < 악보 14> 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엮음 ))( 유영란외 ) 3) 자진아라리와강원도아리랑 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는 3소박과 2소박이섞인혼소박계통의노래이다. 강릉시구정면학산리의모심는소리 < 자진아라리 > 는 < 악보 15> 와같다. 이노래는대체로 3+2박의리듬구조를지니고있으나, 악보의각줄끝부분처럼악구의마지막부분에서는박을다채우지않는경향이있다. 사설로는모심는소리의기능을잘드러내는 심어주게심어주게심어주게, 원앙에줄모를심어주게 를먼저부르는데, 이사설은양양의 < 아라리 > 에
36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서도첫마디로부르던사설이다. 음조직은전형적인메나리토리이며, 음역은한옥타브이내이며, 메기는소리의종지음은 la이고, 받는소리는 la를퇴성하여종지한다. 가창방식은독창으로메기고제창으로후렴을받는메기고받는방식이다. < 악보 15> 강릉구정면학산리 < 모심는소리 > 모심는소리라는뚜렷한기능을지닌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가통속민요화되어민요명창들에의하여불리게된시기는정확히알수없다. 그러나일제강점기유성기음반중닙보노홍 K158 에 < 난난타령 ( 卵卵打領 )>(1928) 20) 이란이름으로수록된곡이있는데, A면에는 아줏가리동 아여지마라 의사설이, B면에는 네가잘나일 이냐 의사설이취입되었다. 이음반은일츅 K158에 < 雜歌江原道아리랑打令 > 이라는곡명으로다시발매되는데, 두음반모두이유색 ( 李柳色 ) 유운선 ( 柳雲仙 ) 박채선 ( 朴彩 20) < 卵卵打領 > 은 알알타령 = 아리아리타령 = 알아리타령 = 아라리타령 의한자표기로보인다.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 37 仙)의 노래이다. 이 곡은 A면 사설로 보아 현행 <강원도아리랑>과 같은 곡으로 추정된다.21) 또한 <난난타령>이라는 같은 제목의 노래를 수록한 유성기음반으로 닙보노홍 K137-A에 실린 아릉렁고 뎡거댱짓고 는 한국가창대계 의 제8절 아리랑 고개다 주막집 짓고 와 비슷하다. 이런 점으로 보아 현행 <강원도아리랑>에 해당하는 <자진아라리> 계통 노래가 민요명창들에 의하여 불리게 된 시기는 늦어도 <난난타령>이 음 반으로 발매된 1928년경 이전으로 볼 수 있다. <표 5>에 보이는 박부용의 <강원도아리랑>(1936)과 이화자의 <강원 도아리랑>(1943)이 제목과는 달리 현행 정선 향토민요 <긴아라리>와 <엮음아라리>의 가락으로 구성된 노래임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 러나 이옥화의 <강원도아리랑>(1934)은 <악보 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혼소박으로 구성된 현행 <강원도아리랑>이 분명하다. <악보 16> 1934년 취입 이옥화의 <강원도아리랑> 21) K158-A면의 아줏가리동 아여지마라 는 이창배의 한국가창대계 <강원 도아리랑>의 제1절 가사로 실려 있다.
38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현행 < 강원도아리랑 > 과같은노래가유성기음반에실린것중필자가음원을확인한것은 1934년이옥화가부른 Regal C198-B이다. < 악보 16> 에보이는바와같이이노래는후렴 22) 을먼저부른다음제1절로 만나보세만나보세 를부르고후렴을이어붙인다음간주에이어서제2절로 울타리부시면나온단님이, 제3절로 담넘어갈적에 를부른다. 모두혼소박 2박자의리듬으로노래하는데, 3+2박 (5박) 2=10 박은엇모리한장단에맞는다. 각절은엇모리 8장단의길이이며, 후렴은그절반인엇모리 4장단에해당한다. 그러나이노래에서특이한점은후렴이두가지라는점이다. 즉노래의시작부분에서불리는첫후렴 ( 전렴 ) 은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 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 이나, 제1절이후에불리는후렴은 아리아리아리아리아라리요, 아리아리얼씨구넘어간다 로되어있으며, 두후렴의선율도 < 악보 16> 에서보듯이그전반부가조금다르다. 첫후렴 ( 전렴 ) 의가사는소위 < 영화주제가아리랑 ( 본조아리랑 )> 의후렴과같으며, 이는 1928년박문서관에서발행한 아리랑영화소설 에실린아리랑가사의전문 23) 을통하여확인된다. 그러나두번째후렴은현재강원도의향토민요로전승되는 < 자진아라리 > 의후렴인 아리아리아리아리아라리요, 아라리고개로넘어간다 와밑줄친부분만다르다. 그렇다면혼소박 2박자의이노래에는제2 후렴이본래의후렴이라할수있는데, 정작이노래의첫후렴노랫말은 < 본조아리랑 > 의후렴이쓰인점이의아하다. 그이유는알수 22) < 악보16> 에는 전렴 이라표기하였다. 일반적으로서양노래의후렴은노래의뒷부분에서불리지만, 우리민요의받는소리는노래처음에선소리꾼과뒷소리꾼이한번씩주고받으며노래를시작하는것이보편적이다. < 악보16> 의 < 강원도아리랑 > 에서는후렴 ( 아리아리아리아리 ) 과전혀다른부분 (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 ) 을곡조처음에독창으로불렀으므로, 후렴과구별하기위하여 전렴 이라는용어를사용하였다. 23) 이진원, 영화음악사연구, 민속원, 2007, 37쪽에서재인용.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39 없으나, 이음반이취입된 1934년경에는전문음악인들조차아리랑계통여러노래의악곡정체성이나여러악곡들사이의특성에대하여확실한구별을하지않았을지도모르겠다. 이옥화가부른 Regal C198-B의 < 강원도아리랑 > 은메나리토리로구성되었으며, 본절 ( 메기는소리 ) 이나후렴 ( 받는소리 ) 이모두 la로끝난다. 이곡이현행 < 강원도아리랑 > 과조금다른점은후렴의선율이다. < 악보 17> 은강원도강릉시구정면학산리의모심는소리인 < 자진아라리 >, Regal C198-B에서이옥화가부른 < 강원도아리랑 >, 현재경기명창들이부르는 < 강원도아리랑 > 의후렴선율을비교한것이다. 이악보에서보는바와같이세노래의후렴은혼소박의박자구조 (10/8 박자 ) 와 아리아리 로시작되는노랫말, 중간부분의 la-sol-mi 하행선율에의한 mi음으로의반종지, 후반부의선율윤곽과마지막 la음으로의종지 24) 등이같거나비슷하여동일한노래임을알수있다. 다만각노래별로후렴의전반부선율은가변성이큰편인데, 이는이옥화창후렴1과현행통속민요가 숙이는형 이며, 이옥화2가 막내는형, 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가 드는형 으로시작하는데따른자연스러운현상이다. 24) 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만 la-sol 의퇴성으로종지하는점이다르다.
40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17> 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이옥화 < 강원도아리랑 >, 통속민요 < 강원도아리랑 > 후렴비교 < 악보 17> 의비교악보를통하여이옥화의 < 강원도아리랑 > 은현행통속민요 < 강원도아리랑 > 과같은곡이며, 이는강원도영동지방에서모심는소리로불리는 < 자진아라리 > 를통속민요연행자들이자신들의연주곡목으로수용한것임을알수있다. < 악보 17> 의현행통속민요 < 강원도아리랑 > 의경우첫마디의상행선율인 mi-sol-la의음형에 sol음이출현하는바, 이는향토음악을비롯한대부분의메나리토리음악에서는찾아보기어려운음형이다. 이점은메나리토리에서는 mi-la 의 4도상행에서 sol이생략되는것이일반적이지만, 순차진행선율에익숙한경기명창들이메나리토리의노래를수용하는과정에서경기민요의특징인순차진행의요소를추가하였기때문에생기는현상으로이해된다.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41 4. 경기아리랑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검토 현재전승되는여러아리랑계통악곡의형성과정에관한음악적인연구는여러연구자에의하여수행된바있으나, 이중이보형의논의가가장광범위하고심층적인고찰을거친것으로보이며, 여타의연구는이보형의견해를보충하거나부분적인의견을개진한것으로보인다. 따라서이장 ( 章 ) 에서는이보형의선행연구를소개하고, 부분적으로차이를보이는필자의견해를첨가하고자한다. 이보형은 아리랑소리의根源과그變遷에관한音樂的硏究 25) 의소결에서현행아리랑의형성과정에대하여아래와같이정리한바있다. 강원도와그인근지역에서농요로전승되는자진아라리와긴아라리가소리꾼의소리로발전하면서긴아라리에서엮음아라리와아리랑세상이파생되고아리랑세상에서한오백년이발생하였고, 한편강원도긴아리랑에서경기도긴아리랑이파생되고이것이빨라져서경기자진아리랑이생기고경기자진아리랑에서아롱타령, 남도아리랑, 본조아리랑이파생되고아롱타령에서밀양아리랑이나왔고, 남도아리랑에서진도아리랑이나왔으며본조아리랑에서성천아리랑, 온성아리랑, 삼아리랑이나왔다고할수있다. 26) 위인용문에서아리랑계악곡의형성과그파생과정에서중요한지점에놓인악곡으로지목한것은강원도의향토민요인 < 자진아라리 > 와 < 긴아라리 > < 엮음아라리 >, 경기명창의연주곡목인 < 긴아리랑 > 과 < 구조아 리랑 ( 자진아리랑 )> < 본조아리랑 >, 그밖의 < 아롱타령 > < 밀양아리 25) 이보형, 앞의논문, 89쪽. 26) 이인용문에이어서아래의 < 도표 > 가제시되었다.
42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랑 > < 남도아리랑 > < 진도아리랑 > 등이다. 강원도지역의향토민요였던아라리계통악곡이전국으로확산되는중요한계기는이들노래가서울지역에전파되고, 영화의주제음악이되는사건이다. 향토민요가통속민요화하는일련의과정속에서그내면의음악적변화는메나리토리의노래가경토리의노래로변모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보형의주장처럼강원도향토민요 < 긴아리랑 > 에서경기도 < 긴아리랑 > 이나왔던, 아니면이용식의주장 27) 처럼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에서경기도 < 자진아라리 ( 구조아리랑 )> 가나왔던모두메나리토리에서진경토리로의변화이다. 이와관련하여필자는강원도향토민요 < 긴아라리 > 에서경기 < 긴아리랑 > 이나왔다기보다는경기 < 구조아리랑 ( 자진아리랑 )> 이나온것으로보고자한다. 이상의서로다른주장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27) 이용식, 강원도 < 아라리 > 의음악적특징과원형적특질, 한국민요학 제 25 집, 한국민요학회, 2009, 225~251 쪽.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43 이보형 : 강원도향토민요긴아리랑 경기긴아리랑 경기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이용식 : 강원도향토민요자진아라리 경기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긴아라리 경기긴아리랑김영운 : 강원도향토민요긴아라리 경기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이상세가지주장은강원도지방의아라리계통향토민요가경기지방으로전파되어경기아리랑이발생하는과정에대한견해인데, 세연구자모두원곡은강원도의 < 긴아리랑 ( 긴아라리 )> 또는 < 자진아라리 > 로보고있으며, 파생곡은경기지방의 < 긴아리랑 > 또는 < 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으로보고있다. 먼저이보형은다음과같은이유에서강원도 < 긴아라리 ( 긴아리랑 )> 에서경기 < 긴아리랑 > 이나온것으로보고있다. 1 경기아리랑소리가운데긴아리랑이가장오래된아리랑이고다른아리랑이新아리랑이라는정득만, 안비취의증언. 2 경기긴아리랑은너무느리게변조되기는하였으나, 그구조가 3소박 3박 2대박자구조로강원도긴아라리와같으나, 구조아리랑과본조아리랑은 2소박 3박 2대박자구조로서로다르다는점. 3 강원도긴아라리와경기긴아리랑은토리는달라도선율형골격이비슷한점. 그러나필자는다음과같은이유에서강원도향토민요 < 정선긴아리랑 ( 긴아라리 )> 에서경기 < 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이나온것이아닌가생각한다. 첫째, < 정선아리랑 ( 강원도긴아라리 )> 은본래비전문가들의가창곡목
44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인데비하여, 경기 < 긴아리랑 > 은전문가들의공연종목이다. < 긴아리랑 > 은음역이넓고, 고음을활용하며, 화려한장식음과긴호흡을구사하는등전문성이매우강화된악곡이다. 향토민요 < 긴아라리 > 는메나리토리인데, 전문음악인들은메나리토리를구사하는데어려움이없으므로, 별도로변조 ( 變調 ) 과정이필요없음을통속민요 < 한오백년 > < 강원도아리랑 > < 정선아리랑 > 의예에서보았다. 따라서메나리토리의악곡을진경토리로변조하여불렀다면이는비전문가들에의한변화로보아야할것이다. 반면에 < 구조아리랑 > 은헐버트의채보를통하여 19세기말엽에그존재가확인된다. 정득만과안비취는경기소리의전문가창자들이었고, 그들이활동하던시기에는 < 구조아리랑 > 이활발히불리지않게되면서아리랑하면 < 긴아리랑 > 과 < 본조아리랑 > 이주로불리던시기였을것으로보이는데, 경기긴아리랑이가장오래된아리랑 이라는그들의증언은 < 긴아리랑 > 과 < 본조아리랑 > 만고려한상태에서나온것일수있다. 둘째, 강원도 < 긴아라리 > 는조금느린편이고, 경기 < 긴아리랑 > 은매우느리며, < 구조아리랑 > 은김죽파의병창에서보듯이조금빠르게불린다. 3소박의곡조가빨라지면 2소박이될수있으므로, 박과대박구조가다르지않은 < 정선아리랑 ( 긴아라리 )> 은 < 구조아리랑 > 처럼변화될수있다. 느린곡이빠른곡으로변화되는과정에서가락이덜리는현상도자연스럽다. 그러나그역인 < 정선아리랑 > 에서 < 긴아라리 > 로의변화는아무래도자연스러운현상으로보기어렵다. 이보형은 < 정선아리랑 > 에서 < 긴아리랑 > 으로변화하는과정을 당시의정서가반영되어선율이과장되고선율선이복잡하게의곡되고박자가불규칙하게변동된것 으로보았으나, 이는자연스러운토리나박자구조 속도 창법등의변화에따른것이라기보다는의도적인작창 ( 作唱 ) 이개입되었을것으로보인다. 강원도의아라리소리가서울지방에전해진것이경복궁중건무렵인 1860년경이고, 헐버트의채보가 1896년이며, 나운규의아리랑이 1926년이라면이들세시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45 점은각각 30년정도의차이가있으며, 이시기동안 3박 2대박자의아리랑이서울지방에서지속적으로불렸을것이므로, < 정선아리랑 > 과 < 구조아리랑 > 의연결고리는어느정도확인된다할것이다. 셋째, 메나리토리인 < 정선아리랑 > 의후렴이진경토리로변화되어 < 구조아리랑 > 의후렴이되었다. 민요의음악적인정체성은후렴선율에드러나는것이일반적이다. 메기는소리는숙이거나지르거나하면서변화를주지만, 받는소리 ( 후렴 ) 는노랫말과선율형이고정되어있으므로, 각악곡의정체성은받는부분에서강하게드러난다고할수있다. 그런데강원도 < 긴아라리 > 인 < 정선아리랑 > 의후렴구절이경기지방의 < 구조아리랑 > 에서토리가바뀐형태로불린다는점은두노래의관계를잘드러내는것이라할수있다. 이보형의연구뿐만아니라일반적으로경기지방의아리랑은강원도의아라리소리가전래되어경기음악화한것으로이해하고있는바, 음악적지역성을대표하는음조직 ( 토리 ) 의변화과정에어떠한규칙성을발견할수있다면이들두노래는매우밀접한관련이있음을말해주는것이다. < 정선아리랑 > 의후렴이 < 구조아리랑 > 의후렴으로변화되는과정을살펴보면 < 악보 18> 과같다.
46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18> < 정선아리랑 > 과 < 구조아리랑 > 의후렴비교악보 < 악보 18> 은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과통속민요 < 구조아리랑 > 의후렴선율을비교한것인데, 두악보사이에는일정한규칙에따른선율의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47 상관성이보인다. 즉메나리토리가진경토리로변화하는과정에서장식음이나잔가락을제외한선율의골격음을중심으로비교하면, 메나리토리의저음역인 mi-sol-la 의 3음중에서메나리토리의하행경과음인 sol은진경토리에서생략되고, mi-la 의 4도는진경토리에서 sol-la 의 2도선율로바뀐다. 그리고메나리토리의고음역인 la-do'-re' 의 3음은진경토리에서 do'-re'-mi' 의 3음으로변화된다. 이상과같은규칙적인틀속에서선율의윤곽을비교하면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의후렴은 < 구조아리랑 ( 경기자진아리랑 )> 의후렴과선율골격이비슷하다. 반면에경기 < 긴아리랑 > 의후렴은 < 악보 19> 와같은데, 이선율은그전반부는경기 < 구조아리랑 > 후렴선율선과닯은점이있으나, 후반부는차이가많고, 전체적으로매우복잡한선율로짜여졌다. < 악보 19> 이은주창 < 긴아리랑 ) 의후렴부분악보 이상과같은이유로필자는강원도의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이서울지방으로전래되어경기조의아리랑악곡을생성하는과정에서 < 구조아
48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리랑 > 이먼저생겼고, 이를바탕으로전문가창자들이세련되게다듬고, 음악적인전문성을가미하여새롭게짜서부른노래가경기 < 긴아리랑 > 이아닐까한다. 강원도의향토민요아리랑계악곡이경기민요로전이되는과정에대하여이용식은 < 자진아라리 > 에서 < 경기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이파생되었고, 강원도 < 긴아라리 > 에서경기 < 긴아리랑 > 이파생되었다는견해를밝힌바있는데, 28) 이견해도위와같은이유에서수긍하기어렵다. 뿐만아니라 < 악보 20> 에보이는바와같이강원도 < 자진아리랑 > 후렴처음의 아리아리 와 쓰리쓰리 는 4도관계를보이는데, 경기 < 자진아라리 ( 구조아리랑 )> 는 아리랑아리랑 이같은음으로노래된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 또한노래의종지음이강원도 < 자진아라리 > 는음계의중간에있는 la음인데비하여, 경기 < 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은음계의최저음인 sol이라는점도서로다르다. 따라서이용식이주장한강원도 < 자진아라리 ( 정선긴아리랑 )> 경기 < 자진아리랑 ( 구조아리랑 )> 으로의변화는재고를요한다하겠다. 또한이용식의강원도 < 긴아라리 > 경기 < 긴아리랑 > 의변화과정도쉽게수긍하기어렵다. 그첫번째이유는다음과같다. 즉강원도 < 긴아라리 > 가경기통속민요화한곡으로는앞에서살펴본 < 한오백년 > 이있는데, 이과정에서는토리의변화가일어나지않았다. 이처럼토리의변화가일어나지않은것은경기명창과같은전문음악인들은다양한토리의구사가가능하기때문으로보인다. 따라서강원도 < 긴아라리 > 를경기명창들이경기 < 긴아리랑 > 으로변화시켰다면토리의변화는일어나지않았을것이다. 그런데경기 < 긴아리랑 > 은진경토리의악곡이다. 만약이러한변화의주체를비전문음악인으로가정할수도있겠으나, < 긴아리랑 > 이매우전문적인창법을구사하는노래라는점에서그러할가능성은매우낮다. 따 28) 이용식, 앞의논문, 225~251쪽.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49 라서이용식의강원도 < 긴아라리 > 경기 < 긴아리랑 > 의변화과정도재고를요한다하겠다. 이상의검토를바탕으로필자는강원도 < 긴아라리 ( 정선긴아리랑 )> 가경기지방에전래되어그영향으로경기 < 구조아리랑 > 이생겼으며, 1896 년에채보된헐버트의 < 아라렁타령 > 이김죽파의 < 구조아리랑 > 과같은곡이므로 < 구조아리랑 > 의파생시기는적어도 19세기말이전으로보아야한다고생각한다. 그리고 < 본조아리랑 > 은진경토리인 < 구조아리랑 > 이신경토리로변화하면서, 후렴의둘째마디가첫째마디보다 4도높은음으로변주된노래로보이는데, 이과정에서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가중요하게참고되었을가능성이있다. 29) 29) 현재전승되는아리랑계통악곡중후렴의둘째마디가첫째마디보다 4 도높은가락으로불리는것은 < 자진아라리 > 계통노래와 < 본조아리랑 > 이다. 그밖의아리랑계통악곡즉향토민요 < 정선아리랑 >, 경기 < 구조아리랑 >, < 긴아리랑 >, < 밀양아리랑 >, < 진도아리랑 > 등은첫마디와둘째마디가같은가락을반복하는특징이있다.
50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 악보 20> 구조아리랑 / 자진아라리 / 본조아리랑후렴비교악보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51 < 악보 20> 에서보듯이 < 본조아리랑 > 은후렴의둘째마디가첫마디보다 4도높게시작된다. 이같은특징은강원도 < 자진아라리 > 의특징이자 < 본조아리랑 > 의특징이기도하다. 뿐만아니라 < 본조아리랑 > 과 < 자진아라리 > 는종지음이음계의중간에있는변격선법이라는공통점을지니고있다. 어쩌면나운규가영화주제가 < 아리랑 > 을만드는과정에나타나는 남쪽에서온노동자들에게서들은노래 가바로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가아니었을까한다. 그렇게보는이유는강원도향토민요아리랑계통악곡중강원도이외의지역에까지광범위하게퍼져불리는노래가 < 자진아라리 > 이기때문이다. 따라서필자는 < 본조아리랑 ( 주제가아리랑 )> 이만들어지는과정을강원도 < 긴아라리 ( 정선긴아리랑 )> 가경기지방에전해져경기 < 구조아리랑 ( 자진아리랑 )> 이되고, 이노래가신경토리로변화되면서 < 본조아리랑 ( 주제가아리랑 )> 이되는데, 그과정에서강원도의향토민요 < 자진아라리 ( 통속민요강원도아리랑 )> 의영향이있은것으로본다. 이글에서는 < 본조아리랑 > 이후만들어져널리퍼진 < 밀양아리랑 > 과 < 진도아리랑 > 의형성에관한논의는별도로진행하지않았다. < 밀양아리랑 > 이 < 아롱타령 > 과 < 해주아리랑 > 과관련이있음은선행연구에서도충분히논의되었으며, 이글의제2장에서도간단히언급되었다. 그리고 < 진도아리랑 > 의형성과정에대해서는김혜정의연구 30) 를통하여어느정도그실체가드러났다. 30) 김혜정, 진도아리랑형성의음악적배경, 한국음악연구 제 35 집, 한국국악학회, 2004, 269~284 쪽.
52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5. 맺는말 이글은현재전승되고있는아리랑계통악곡중중요한악곡을중심으로몇가지문제점을살펴보았다. 먼저다양한제목으로전승되는 180여곡의아리랑계통악곡중제목만으로는어떤곡인지알기어려운곡을대상으로모곡 ( 母曲 ) 별로유형을나누어보았다. 그결과다양한이름으로전승되는아리랑계악곡의모곡은 < 구조아리랑 >, < 밀양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 정선긴아리랑 > 등으로정리될수있으며, 악곡명에혼동의여지가없는 <( 본조 ) 아리랑 >, <( 경기 ) 긴아리랑 >, < 진도아리랑 > 등이아리랑계통악곡의중요한곡목들로정리되었다. 이어서강원도지역의향토음악이었던 < 긴아라리 > < 엮음아라리 > < 자진아라리 > 등이경기명창들에의하여통속민요화하는과정을살펴보았으며, 이들악곡이통속민요화한곡이각각 < 한오백년 > <( 서울제 ) 정선아리랑 > < 강원도아리랑 > 임을재확인하였다. 끝으로강원도의향토민요인 < 정선아라리 > 와 < 자진아라리 > 중어느곡이경기도에전하여져경기아리랑을낳았는지를살펴본결과, 이보형 이용식등의기존견해와는달리강원도의 < 긴아라리 > 에서경기도의 < 구조아리랑 > 이나왔고, < 구조아리랑 > 이신경토리화하여 < 본조아리랑 > 을형성한것으로보았는데, 그과정에서강원도의 < 자진아라리 ( 통속민요강원도아리랑 )> 가중요하게참고된것으로보았다. 이상의논의를바탕으로현재전승되는각종아리랑의발생과정을 < 표 6> 과같이정리할수있다.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 53 <표 6> 아리랑계통 악곡의 파생관계 정리표 참 고 문 헌 김영운, 강원도 민요의 존재양상과 음악적 특징, 2010 우리춤연구소 제4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예술적 담론으로 본 한 중 일 지역문화 재조명-강 원도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한양대학교 박물관, 2010. 10. 23. 3 38쪽. 김영운, 영남민요 어사용의 음조직 연구, 한국민요학 제6집, 한국민요학 회, 1999. 45 131쪽. 김혜정, 진도아리랑 형성의 음악적 배경, 한국음악연구 제35집, 한국국악 학회, 2004, 269 284쪽. 이보형, 아리랑소리의 根源과 그 變遷에 관한 音樂的 硏究, 한국민요학 제5집, 한국민요학회, 1997, 81 120쪽. 이용식, 강원도 <아라리>의 음악적 특징과 원형적 특질, 한국민요학 제 25집, 한국민요학회, 2009, 225 251쪽. 김영운, 김혜정, 이윤정, 정선아리랑 표준악보 연구보고서, 재단법인 정선아
54 한국문학과예술제 7 집 리랑문화재단, 2009.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음악사전, 대한민국예술원, 1985. 이진원, 영화음악사연구, 민속원, 2007.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6. 투고일 : 2011. 2. 10 심사일 : 2011. 2. 15 ~ 3. 18 심사완료일 : 2011. 3. 22
< 아리랑 > 형성과정에대한음악적연구 55 <Abstract> A Study of the Formation of Arirang Kim, Young-woon This study examines a few issues with some of the important variations of Arirang. About 180 songs with various titles derived from Arirang but unidentifiable by the titles alone have been classified by their original versions, and it has turned out that the originals from which those songs have evolved come down to the four categories of Old Arirang, Miryang Arirang, Gangwondo Arirang, and Jeongseon Gin Arirang. Songs with unmistakable titles such as (Original) Arirang, Gyeonggi Gin Arirang, and Jindo Arirang, are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those songs related to Arirang. The study then investig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Gin Arari, Yeokkeum Arari, and Jajin Arari, folk songs indigenous to Gangwon Province, became known to the public as Han Obaengnyeon, Seoulje Jeongseon Arirang, and Gangwondo Arirang, respectively, through performances of professional singers of Gyeonggi folk songs. Finally, a probe into which of the two folk songs from Gangwon Province, Gin Arari and Jajin Arari, became Arirang of Gyeonggi Province has shown that it was Gin Arari (Jeongseon Arirang) that later became what is now known as "Old" Arirang. And as Old Arirang took on the mode of New Gyeongtori and developed into what is called Original Arirang, it made close reference to Jajin Arari (or its popular version, Gangwondo Arirang). Key words : Arirang, Jeongseon Arirang, Jajin Arari, Old Arirang, Gin Arirang, Gangwondo Arirang, Han Obaengn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