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 삼출성중이염에서삼출액의점도에따른조성의차이 최재영 1 윤주헌 1,2 이원상 1,2 정명현 1 Compositional Difference of Middle Ear Effusion ac

Similar documents
Microsoft Word doc

진주종상피세포의점액상피세포로의분화 Korean J Otolaryngol 2003;46:727-32

Microsoft Word doc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3;46: 사람코점막과배양된코점막상피세포에서 15-Lipoxygenase 와 Cyclooxygenase-2 의발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두뇌한국 21 의과학사업단 2 김경

hwp

歯1.PDF

Can032.hwp

012임수진


139~144 ¿À°ø¾àħ

Lumbar spine

서 론 대상 및 방법 658

03-ÀÌÁ¦Çö

Crt114( ).hwp

<30372EC0CCC0AFC1F82E687770>

???춍??숏

(49-54)Kjhps004.hwp

12이문규

γ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7;60(5): / pissn / eissn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09È«¼®¿µ 5~152s

(

( )Jkstro011.hwp


( )Kju269.hwp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 오존노출에의한백서비점막의형태학적변화 정진욱 김용민 나기상 김병국 박찬일 Morphologic Changes in Nasal Mucosa of the Rat after Ozon

황지웅

Jkbcs016(92-97).hwp

Kaes010.hwp

( )Kjhps043.hwp

untitled

1..


<35BFCFBCBA2E687770>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15.hwp

±èÀº¿µ³»Áö9-191š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Jksvs019(8-15).hwp

721

프로그램 목차 들어가는 말 9 문전성시 문화시장 프로그램 99선 지역 공동체 10 시장 공동체 44 내발적 문화 74 예술의 역할 106 지역활성화 축제 150 여행지로 변신 182 문화중심 216 문화복지 258 문화예술학교 296 새로운 시장 개척 332 마치는 말

±èÇ¥³â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외측반규관기원의양성발작성두위안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정운교 이원상 김문석 이주환 이세영 Direction Changing Positional Nystagmus from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41 ( ) * 1) ***.,. I.,..., ( ) ( ).,. ( ) *. ** 1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 )Kju225.hwp

#Ȳ¿ë¼®

Microsoft Word doc

590호(01-11)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7.ƯÁýb71ÎÀ¯È« š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α α α α α

untitled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1548 Fig. 1. Laryngeal preparation for the laryngeal chemoreflex in puppy. Thyroid cartilage was retracted and bipolar, concentric needle electrode wa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歯kjmh2004v13n1.PDF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도비라

권유진

歯M PDF


노영남

Jkbcs032.hwp


Jkcs022(89-113).hwp

433대지05박창용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한국전지학회 춘계학술대회 Contents 기조강연 LI GU 06 초강연 김동욱 09 안재평 10 정창훈 11 이규태 12 문준영 13 한병찬 14 최원창 15 박철호 16 안동준 17 최남순 18 김일태 19 포스터 강준섭 23 윤영준 24 도수정 25 강준희 26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December,

03±èÀçÈÖ¾ÈÁ¤ÅÂ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 마우스대식세포주에서항산화제및 Dexamethasone 이유발형산화질소합성효소발현과산화질소생성에미치는효과 강준명 여상원 이흥엽 장기홍 서병도 Effect of Antioxidants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strategy of YANG Hak Seon technique Joo-Ho Song 1, Jong-Hoon Park 2, & Jin-Sun Kim 3 * 1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

[ReadyToCameral]RUF¹öÆÛ(CSTA02-29).hwp

00내지1번2번

이형석외

04조남훈

석사논문.PD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2 -

김범수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개최요강

Transcription: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 삼출성중이염에서삼출액의점도에따른조성의차이 최재영 1 윤주헌 1,2 이원상 1,2 정명현 1 Compositional Difference of Middle Ear Effusion according to Viscosity of the Effusion Jae Young Choi, MD 1, Joo-Heon Yoon, MD 1,2, Won Sang Lee, MD 1,2 and Myung-Hyun Chung, MD 1 1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and 2 BK21 Center for Med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Serous otitis media SOM is usually responsive to medical treatment, whereas mucoid otitis media MOM is no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com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serous and mucoid effus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MUC5AC acts as a major mucin in the middle ear mucosa with MOM. Materials and MethodsMiddle ear effusion ME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9 patients with MOM and 20 patients with SOM. The level of mucin, lysozyme, secretory IgA and interleukin-8 were measured by dot blotting or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eriodic acid-schiff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monoclonal anti-muc5ac antibody were performed on the serial sections of middle ear mucosa with MOM. ResultsMucoid effusions contained higher levels of mucin, lysozyme, secretory IgA and interleukin-8 than serous effusion. Immunohistological study revealed that MUC5AC mucin was expressed in only a small portion of the goblet cells of middle ear mucosa with MOM. ConclusionOur study suggests that both serous secretions and mucin might make the middle ear effusion more viscous, and that mucins other than MUC5AC might have a major role in the viscosity of MEE.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jor mucins in the MEE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 KEY WORDS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 Mucin Lysozyme Interleukin-8 MUC5AC. 124

125

Fig. 1. The level of mucin in middle ear effusion detected by dot-blottingmucoid vs. serous. We used mucin as an indicator of mucous secretion and the level of mucin in mucoid effusion was 12-fold higher than that in serous effusion. *p-value.01. 126 Fig. 2. The level of lysozyme A and secretory IgA B in middle ear effusion detected by dot-blottingmucoid vs. serous. We used these levels as indicators of serous secretions. The levels of lysozyme and secreted IgA in mucoid effusion were 7- and 5-fold higher than that in serous effusion, respectively. *p-value.01. Fig. 3. The level of interleukin-8 in middle ear effusion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mucoid vs. serous. The level of IL-8 in mucoid effusions was 13-fold higher than that in serous effusion. *p-value.01.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

최재영 외 A B Fig. 4. Periodic acid-schiff (PAS) staining (A) and MUC5AC immunostaining of middle ear mucosa with mucoid otitis media (B) (original magnification 200). MUC5AC mucin (arrows) was expressed in only a small portion of the goblet cells (B) confirmed by PAS staining (A). 상적인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도 점막의 하나인 중이 장액성 분비물도 활발히 분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막에서도 점액과 더불어 장액성 분비물들이 생성되며, 이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IL-8은 호 들이 과분비되는 것이 삼출성중이염의 한 원인으로 여겨지 중구에 대한 주화인자로써 작용을 한다. IL-8이 삼출성중 2-4) 이염 환아의 92%에서 발견되었으며10) 소아환자나 삼출액 고 있다. 점액은 기도 점막의 배세포와 점막하 점액선 세포에서 의 점도가 높을 때 그 농도가 높다고 하였다.11) 저자들의 연 만들어지는데 삼출성중이염 환자의 삼출액에 다량의 당단백 구에서는 점액성 삼출액에서 장액성에 비하여 13배 이상의 2) 질이 있다고 하였으며 9) Carrie등 은 삼출액에서 점액을 높은 양의 IL-8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MOM에서는 SOM PAS로 염색 후 염색정도를 colorometry로 측정하는 간접 에 비해 감염 등의 염증과정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적 방법으로 정량한 결과 삼출액의 점도는 점액의 양에 비 현재까지 알려진 점액의 종류는 MUC1-MUC4, MUC- 례하여 증가한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점액성 삼출액과 장액 5AC와 MUC5B, MUC6-MUC9, MUC11, UC12 등 12가지 성 삼출액에서 점액의 양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알기 위해 이다.12)13) 이중 인체의 기도 점막에서는 MUC5AC와 MUC- 점액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직접적인 방법으로 점액 5B가 주요 점액으로 알려져 있다.14) 을 정량하였다. 점액성 삼출액에서는 장액성 삼출액에 비하 이점막에서 발현되는 점액유전자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여 평균 약 12배의 점액이 정량되어, 배세포나 점액선에서 에서 Lin등15)은 백서중이점막에서 MUC2 유전자가 발현된 의 점액 과분비가 삼출액 점도 증가의 원인이 됨을 알 수 다고 하였으며, Moon등16)은 사람의 배양된 passage-2 중이 있었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점액이 증가되어 있는가에 대 점막상피세포에서 MUC1, MUC2, MUC5AC와 MUC5B의 해서는 향후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mrna가 발현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Hutton등17)은 중이 삼 저자들은 또한 두 삼출액 사이에 장액성 분비물 양의 차 출액이 MUC5B와 MUC5AC의 항체와 반응한다고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리소자임과 siga의 양을 측정해 보았 그러나 삼출성중이염에서, 지금까지 밝혀진 12개의 점액유 다. 리소자임은 점막의 장액분비세포나 삼출액 내의 염증세 전자중 어떤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보고는 아 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세균의 세포막 성분 중 당질을 직 없다. 분해하는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 삼출성중이염 환자에서 저자들은 다양한 점액유전자중 배세포에 발현되는 대표적 삼출액 내의 리소자임이 혈장에 비해 증가해 있으며, 특히 인 점액인 MUC5AC의 발현에 대해 조사하였다. Buisine 삼출액의 점도가 높을 때 그 농도가 증가되어 있다고 알려 등18)은 MUC5AC가 사람의 기관과 기관지의 모든 배세포 져 있는데3)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장액성 삼출액에 비해 점 에서 발현되는 중요한 점액이라고 보고하였으나, Kim등19)은 액성 삼출액에서 약 7배 더 많은 리소자임이 측정되었다. 사람 코점막에서 염증이 심한 점막의 배세포에는 MUC5AC 이와 더불어 저자들의 측정에서는 또 다른 장액성 분비물인 가 대부분의 배세포에서 발현이 되나, 염증이 없는 후사골 siga도 점액성 삼출액에서 월등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실 동의 점막에서는 거의 발현이 되지 않음으로써 MUC5AC 은 MOM에서는 SOM에 비하여 점액성 분비물뿐만 아니라 가 모든 배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은 아니며 염증반응이 배세 127

REFERENCES 1) Tonder O, Gundersen T. Nature of the fluid in serous otitis media. Arch Otolaryngol 1971;93:473-8. 2) Senturia BH, Carr CD, Bauman ES. Middle ear effusion: Causes and treatment. Trans Amer Acad Opthal 1960;64:60-7. 3) Harada T, Juhn SK, Adams GL. Lysozyme levels in middle ear effusion and serum in otitis medi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0;116:54-6. 4) Veltri RW, Sprinkle PM. Serous otitis media: Immunoglobulin and lysozyme levels in middle ear fluids and serum. Ann Otol Rhinol Laryngol 1973;82:297-301. 5) Sade J. Pathology and pathogenesis of serous otitis media. Arch Otolaryngol 1966;84:297-308. 6) Yellon R, Leonard G, Marucha P. Characterization of cytokines present in middle ear effusion. Laryngoscope 1991;101:165-9. 7) Schousboe LP, Ovesen T, Pedersen B. Middle ear epithelium has inflammatory capacity. Acta Otolaryngol 2000;sup 543:89-91. 8) Basbaum CB, Jany B, Finkbeiner WE. The serous cell. Annu Rev Physiol 1990;52:97-113. 9) Carrie S, Hutton DA, Birchall JP, Green GGR, Pearson JP. Otitis media with effusion: Component which contribute to the viscous properties. Acta Otolaryngol 1992;112:504-11. 10) Maxwell KS, Fitzgerald JE, Burleson JA, Leonard G, Carpenter R, Kreutzer DL. Interleukin-8 expression in otitis media. Laryngoscope 1994;104:989-95. 11) Hotomi M, Samukawa T, Yamanaka N. Interleukin-8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Acta Otolaryngol 1994;114:406-9. 12) Yoon JH, Park IY. Mucin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in human airway epithelium. Rhinology 1998;36:146-52. 13) Williams SJ, McGuckin MA, Gotley DC, Eyre HJ, Sutherland GR, Antalis TM. Two novel mucin genes down-regulated in colorectal cancer identified by differential display. Cancer Res 1999;59: 4083-9. 14) Thornton DJ, Howard M, Khan N, Sheehan JK. Identification of two glycoforms of the MUC5B mucin in human respiratory mucus. J Bio Chem 1997;272:9561-6. 15) Lin J, Ho S, Shekels L, Paparella MM, Kim Y. Mucin gene expression in the rat middle ear: An improved method for RNA harvest.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108:762-8. 16) Moon SK, Lim DJ, Lee HK, Kim HN, Yoon JH. Mucin gene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middle ear epithelial cells. Acta Otolaryngol (Stockh). In press. 17) Hutton DA, Fogg FJ, Kubba H, Birchall JP, Pearson JP. Heterogeneity in the protein cores of mucins isolated from human middle ear effusions: Evidence for expression of different mucin gene products. Glycoconj J 1998;15:283-91. 18) Buisine M-P, Devisme L, Copin M-C, Durand-Reville M, Gosselin B, Aubert J-P, et al. Developemtnal mucin gene expression in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9;20: 209-18. 19) Kim CH, Song KS, Kim Hu, Yoon JH. Expression of MUC5AC m RNA in the goblet cells of human nasal mucosa. Laryngoscope. In press. 128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