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의학회지

Similar documents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52*220

사상체질의학회지

* pb61۲õðÀÚÀ̳ʸ

사상체질의학회지

<30312D3038BBE7BBF3C0C7C7D05F3233C8A328317E E687770>

쌍백합23호3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2007;19(2):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 19, No. 2, 2007; 정서자극이四象人의뇌파변화에미치는영향 이상기 김영원 신동윤 임미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¾ç¼ºÄÀ-2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41~084 ¹®È�Çö»óÀбâ

내지-교회에관한교리

통계내지-수정.indd

82-대한신경학0201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77

- 4 -

#7단원 1(252~269)교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사상체질의학회지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05_......_42~47.hwp

Jkafm093.hwp

연구노트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사상체질의학회지

hwp

ok.

광주시향 최종22

03_이의주_25~33.hwp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untitled

내지(교사용) 4-6부

< F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42D34C8A35F33C2F72E687770>



4-Ç×°ø¿ìÁÖÀ̾߱â¨ç(30-39)

....pdf..

16-3

178È£pdf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30335FC7FCBBF3BAD0B7F9B8A620C0CCBFEBC7D120BCBAC0CEBFA9BCBAC0C720C3BCC1FABAB020BEC8B8E9C7FCC5C220C6AFC2A1BFA120B0FCC7D120BFACB1B82E687770>

CC hwp

º´¹«Ã»Ã¥-»ç³ªÀÌ·Î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사상체질의학회지

È޴ϵåA4±â¼Û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2),, 312, , 59. 3),, 7, 1996, 30.

2019달력-대(판형키워)

Microsoft Word - PLC제어응용-2차시.doc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¾Æµ¿ÇÐ´ë º»¹®.hwp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내지 뒷


<40BBE7BBF3C3BCC1FAC7D0C8B8C1F65F32332D33C8A32034C2F7BFEB2E687770>

~

2003report hwp

이 장에서 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을 한다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ÍÀ̺ê·ÎµµÅ¥

DocHdl2OnPREPRESStmpTarget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30365FC3D6C8C4C5EBC3B8B0D4C0D3BFA1BCADC0C720B0E6C1A6C0FB20C0C7BBE7B0E1C1A4B0FA20BBE7BBF3C3BCC1FAC0C720B0FCB7C3BCBA2E687770>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

<31322EB1E8B3AABFB55FBFCFB7E D E687770>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 2 -

PowerPoint Template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O u t i n e P a r t : F r o m R a n d o m V V a k s t o L e v y p r o c e s s e s P a r t : F r o m D i f f u s i o n m o d e s t o J u m p m o d e s

03 ¸ñÂ÷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 - O I L M A G A Z I N E 2016 February Vol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이학박사학위논문 동무이제마 ( ) 의의학사상과실천 동아시아의학전통의재구성과 천인성명장부의학 의탄생 2014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이기복

ÀÚ¿øºÀ»ç-2010°¡À»°Ü¿ï-3

Transcription:

李 i 齊馬의形象觀이해와頻 面홉 B 형태의해석 U n d e r s t a n d i n g o f L e e, J e - m a 김형순 최광진 s V i e w o f F o r m a n d I n t e r p r e t a t i o n o f F o r m o f F a c e K i m H y u n g - s o o n, C h o i K w a n, 앙 i n C o l l e g e o f O r i e n t a l M e d i c i n e, W o n k w a n g U n i v e r s i t y 떠 L e e, J e - m a p r o p o s e d w a y s l i k e C h e h y u n g k i s a n g t o j u d g e e a c h c o n s t i t u t i o n, s o, o n t h e 밟 s i s o f t h i s, w e c a n j u d g e c o n s t i t u t i o n i n v a r i o u s w a y s S u c h a t h r y I S 뼈 s e d o n b e h a v i o r d e t e r m i n i s m w a y o f t h i n k i n g o f L e e, J e - m a W e c 때 k n o w t 비 s t h a t f o r m i s n 이 r e c o g m 빼 a s a n 이 e c t r e f l e c t i n g i m a g e, b u t a s u b j e c t i v e n c e p t t r o m T 따 y o n y o d u n, Y i m o k b i k u e a r s, e y e s, n o s e a n d m o u t h ), H a m k j e b o k o f S u n g m y o n g 까 1 η L e e, J e - m a t h o u g h t e a c h 빼 o f h u m a n 뼈 y h a s n 아 o n l y p h y s i c a l f u n c t i o n b u t a l s o c o m p l e x t e m p e r a t i v e f u n c t i o n P u t t i n g t h i s c o n s i d e r a t i o n 때 d J a n g b u T h r y d e s c r i b i n g h u m a n b o d y d i r e c t l y, t o g e t h e r, i t c a n b e s a i d t h a t t h e s e a l l h a v e a n e s t a b l i s h e d t h r y o n C h e h y u n g k i s a n g o f c o n s t i t u t i o n j u d g e m e n t 까 1 파, t h e f o l l o w i n g h y p o t h e s e s a r e g i v e n F r o m S a d a n 까 1 r y a n d H w a k c h u n g 까 l e o r y, s t r e n g t h o f J a n g b u o f S a s a n g i n i s P e > B i > S t l l n > K 없 1 i n T a e y a n g i n 뻐 d B i > P e > K a n > S t l l n i n S o y a n g i n 뻐 d K a n > S h i n > B i > P e > i n T a e u m i n 뻐 d S h i n > K a n > P e > B i i n S o u m i n 깨 e n c e p t o f S t l l n k i h y u l j u n g i s r e l a t e d w i t h c r e a t i o n o f f o r m 때 d s p i r i t o f e a c h J 뻐양따 a n d A e n o h e e r a k s o r r o w, a n g e r, j o y, p l e a s u r e ) F r o m t h i s v i e w p o i n t, S a s a n g i n c a n b e c l a s s i f i e d i n t o ; T a e y a n g i n i n t o S h i n k i j u n g h y u l t y p e, T a e u m i n i n t o H y u l j u n g k i s h i n t y p e, S o u m i n i n t o J u n g h y u l s t l l n k i t y p e I l t 大뿔校훌훌뽑짜 챙 4 짧醫챙 4 科 4 챙 4 年 뼈光大횡校 醫科大챙 4 짧훌훌뺑科 2 學年 s - 3 1 1 -

- 사상처 질의학회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I n t r o d u c e d a f i x e d w a y t o e x p l a i n o f e a c h c o n s t i t u t i o n a c c o r d i n g t o t h i s s t r e n g t h r e l a t i o n s h i p I h o 야 m o r e l i v e l y d i s c u s s i o n s o n C o n s t i t u t i o n a l M e d i c i n e w i l l b e c o n t i n u 때 b a s e d o n t h i s a t t e m p t K e y w o r d s : V i e w o f F o r m, C h e h y u n g k i s a n g, S h i n k i h y u l j u n g, F a c e x 르르, 李濟馬는각체질의판단을위해짧形氣像등의방법을제시하였으며, 이를바탕으로우리는여러가지다 양한방법의체질판단을시도할수있다 그러한이론의바탕에는李濟馬의행위결정론적사고방식이강하게뿌리박고있다 이는 性命論 의 頭局體뽑 耳텀윷口짧應體짧 등의단어들을볼때, 기존처럼形을象을반영하는객체로인식하는것이아니라 하나의부분주체적개념으로인식하고있는것을보연알수있다 이로보아李濟馬는인체의각부위에대하여기존에가지고있던육체적기능뿐만아니라 복잡한性情的기능도가지고있다고본것이다이러한고찰과인체의외형에대한직접적서술이있는 韓服論 등을종합해보면 현재이용하고있는체질판단의體形氣像부분에대하여일정한이론을가지고설명할수있다고생각하여다음과같은가설을제시하여보았다 며端論 과 據允論 을볼때 며象 A 의職빠大 I J 는太陽 A 의경우뻐 牌 뽑 ) J J f 의순으로 少陽 A 은牌 ) R i! i ) J J f ) 협의순으로 太陰 A 의경우빠 뽑 牌 ) R i! i 少陰 A 은賢 ) J J f ) 떼 牌의순으로 생각할수있으며 r 職뼈論 에서사람의形이형성되는과정중에보이는神氣 血精 이라는개념은形의생 성과관련이있음과아울러각緣局및흉 ; 션훔樂의기운과통한다라고할수있다 이러한관점에서며象 A 을분류해보면 太陽 A 을神氣精血쩔, 少陽 A 을氣빼血精型 太陰 A 을血精氣때型少陰 A 을精血神氣型으로 분류할수있을것이다 이러한역량관계에따라각체질의외형에대하여일정한설명방법을도입해보았으며, 탕으로사상의학의형상에대한논의가활발해졌으면하는바램이다 이러한시도를바 중심어 : 形象觀짧形氣像神氣血精願面部 李濟馬는 I 序論동일하게보아오던체질적의미를인품장리로써太 束짧壽世保元 을저술하여기존에밝 히지못하고있던四象밟質의原理를밝혀기존에 陽 A 太陰 A 少陽 A 少陰 A 으로구분하였다 J ) 東뽑壽世保元 에서는먼저인간의일반적원리 性해 ) 를설명하고이원리에입각하여인체를구성 1 ) 2-1 A 훌훌理씨때不同뼈大 i f i i J l f / J 햄名터太陽 A J I f 大때뼈小홈名터太陰 A 牌大 I 께띔小者名日少陽 A 협 大 f f T j l J! \ ' / J 햄名닌少陰 A < 束훌훌뚫따保元 때端論 - 3 1 2 -

- 총협馬의形象 1 m 이해와顆面部형태의해석 - 하는鐵略論을 구성한후에각체질별로生理 病理 를설명하였다이러한원리는性情에의하여職聊 의大小가결정되고職빠의大小에따라體質의모든차이를설명하는방식으로구성되어있다 幹 ), 따라서四象 A 辦證論등에근거하여性情 性質才 外形 밟形氣像 容 詞氣 ), 病證 完實無病, 病, 重病, ) 體質病證등을이용함으로써四象 A 을분변하는것이다 이러한체질판단방법중원칙적으로는性情을정 확히파악하는것이가장정확한방법이다 그러나 이것은그정교함으로凡 A 0 1 분변하기어려운점이 많아일반적으로는세가지를종합하여체질을판단 한다 기존의한의학에서는천풍적인체질의유형을인 정하지않고인체에서나타나는모든현상을陰陽五 大 응하고조화해나가는존재로인식하는엄然中心的인식론을취하고있는것이다 그러나李濟馬는인간을자연에순응하는자세가 아니라, 능동적으로대처해나가는자율적인조절능 력이있는존재로파악하는인간중심적인식론을 취하고있다 이러한인식론의차이가결국李濟馬가사상인의 熾船샘 - 理를얻을수있게한바탕이되었다고생각 한다 形은이세상존재의바탕이고象은그바탕을 결정하는대전제이다 우리인간은이象을직접적 으로바라볼수없기때문에形을통하여간접적으 로象을찾는다 2 ) " ", 1 齊馬역시四象 A 이라는象을찾기위하여形을 이용하였다 우리에게있어선결문제는과연李濟馬 行論을중심으로相生相엔의순환관계로생리 병리 가이形과象의관계를어떻게보았으며 李濟馬의 현상을설명하고자했으며다만병리적특정을바탕 으로체질적특정을관찰하려고했다 이에반해四象웰學에서는천풍적인체질의유형 을네가지로설정하고이러한바탕위에서나타나 는생리적현상에서도체질적특성이있고병리적 현상에서도체질적특성이있으며순환론적개념이 아니라事心身物的득정에바탕을둔며物類的요약정신으로파악하고자했다 이러한차이는결국인간에대한개념이다른데서 기인한것인데기존의한의학에서는우주자연현상 의해석에보편적으로적용되는전통적동양사상의 하나인陰陽五行說을바탕으로자연을대우주, 인간 形象觀은무엇인가에대하여고찰해보아야하는것 이라고생각한다 그것을바탕으로우리는여러가 지다양한방법의체질판단을시도할수도있으리라기대한다 이에필자는 東醫뚫世保元 의原理篇 r 件命 論 J r 며端論 J ) 을통하여李濟馬가가지고있던 인간관및형상관에대해살펴보고 이를바탕으로 인체의형성에대하여직접적으로설명하고있는 職뼈論 을통하여李濟馬의形象觀에대하여간 접적으로나마이해하고 이를바탕으로현재사용되 고있는사상인의 형상판별에대해나름대로해석할 수있는하나의가능성을제시해보고자한다 을소우주라는天 A 相應的관점에서인간을파악하고있다 이는인간의天및을일률적인것으로간주 하여주체로서의인간보다는자연현상과환경에순 2 ) 짧束짧宇 f f i 變化의原理, 행림출판사, 서울, 1 9 9 4, p 1 3 4-3 1 3 -

- 사상체질의학회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l l 본론 1 形과象메대한이해 形이란인간이五感을통하여실제로구분할수있는객관적실체를말하는것이다 象이라는개념 은形과는다른개념이다 만일形을인간의감각에 쉽게느껴질수있는것이라고한다연象은일반적 으로인식되기어려운無形으로형에내재된것을 말하는것이다 그렇다면象은사실상無形인가하면반드시그런것은아니다 다만세속적인사회생 활과거기에서오는사욕때문에어두워진근시안적 인사람의耳덤에만無形으로나타나는것뿐이 다 3 ) 그렇다면왜形과象의개엽이문제가되는것인 가? 形자체는인간이五感으로느낄수있고이를 재생하는객관성을가지고있기때문에인식에있어 서는크게문제가되지않는다 그러나그形자체 로는의미하는바가적어실존은하지만실체는아 니다 그것은부분에불과할뿐이다 象은그자체 가곧 의미하는바 이므로실체이지만인간이직접 적으로알수없다 문제는근본적으로우리가바라는것이形이아닌象이라는데에있는것이다 위에서말한바대로象은인체의오감을통하여 실제로구분할수있는것이아니다 그래서그象 을취득하는것은形을통하여간접적으로인식해야 한다그러나이세상의만상을취합하여종합하는 것이象이기때문에우리에게는象이필요한것이 다 우리가象을보지못하는이유를짧東錫은象은 形以前의정조인데이러한징조를바로보지못하 고또한보려고도하지않기때문이라고설명하고 있으연서 4 ) 그정조를바라보려는적극적인노력을강조하고있다 실제로기존의한의학을포함한동양학에서는形 과象의인식관계를중간에數라는문자부호를통하 여인식하였다그래서象의취득에있어서도數象, 화象! t? J J 象을구분하여취득했다 5 ) 왜냐하연形은 象이萬化하여나타나는수만가지표현적현상인데 그것들을직접적으로象으로취합하기에는어려웅이 많아자체적으로논리적설명이필요하였으며, 수의체계자체가象을이미포함하는것이기때문이다 형과수와상의연결선상에서기준이되는것은음양과오행이었다 이러한인식체계는오랫동안인체 를포함한자연의이해의도구로사용하여왔다 李濟馬가서문에서밝혔듯이실제로李濟馬가밝 힌것은形으로서의四體質이아닌象으로서의며밟 質이다 6 ) 즉우리가체질이라는말을할때는실존 하는인간의체질을말하지만 그때인식하는방편 은象으로서인식한다 이에대한한예를 며象 A 辦證論 에찾을수있는데 太陽 A 짧形氣 像腦뼈 之起勢盛 : t f : 而體圍之立勢孤弱少陽 A 體形氣像 R 댐 標之包勢盛 : t f : 而 8쫓빠之坐勢孤弱太陰 A 짧形氣 { 象 體圍之立황盛 : t f : 而腦뼈之起勢孤弱少陰 A 짧形氣像勝빠之 i l i 勢盛 : t f : 而 R힘際之包勢孤弱한조문 은빠와볍院部位 상초 ) 인背 J : ) j 힘 t 以 J : 牌와볍部 位 중상초 ) 인짝隔之間 f f 과小陽 g M 立 중하초 ) 인 體階之間, 그리고뽑과大陽 E 뻐立하초 ) 인 f H 홈下以 下에각각의강세와약세의形이나타나는것으 3 ) 前偶톰 쩔束錫 1 3 4 4 ) 上揚합 짧束錫 1 3 5 5 ) 上偶홈 : 짧束짧 1 3 6-1 4 8 6 ) A 珠때 r f u 各 f r i 꺼長짱 J ; $ ι 理化成應찢萬珠之 l < 束짧뿔따保元 序 x ) - 3 1 4 -

- 좋협馬의形象없이해와願面짧형태의해석 -,, 로 각체질의 장부대소를 반영하는 象임을 제시한 것이다 7 ) 현재 임상에서도 각 며象 A 의 外形에 대한 많은 설명들이 있다 그러나기존의학에서 陰陽五行에근 거하여外形을설명하는 일정한 방법이 있는 반면 사상의학에서는 외형에대한서술의 며象醫웰的기 전의설명이부족하다 形에서 象을취할 때는일정 한 방법이 있어야 그응용범위도 넓어지고 我 H l 1 水格의 억측이사라지며 그근거도 확실해진다 그 러한점에서며象뽑뺑에서도外形에 대한설명방법 이필요하리라생각된다 인간의본질적인행위를 四端 인 聽視름劉學問 뺨 μ $ 收放屆 / 릎慮略志 의작용에의한것으로규정하여 개인적인것과사회적인것으로구분하였는데 9 ) 이 는지극히의지표현적인사고로기존의인간관과는 많은차이점을보여준다 이러한차이점은 反誠 짧 과 - 獨行簡 에서中剛의정신을강조하는내용 과 四端論 의옮 f f 행負懶라는心愁의과정등으로 보아이제마의 행위결정론적 1 0 ) 사고방식을그대로 드러낸다 性命論 에보면표연적으로는아무상관없는 형태에 心 을사용한단어를연결시켜形에의지적 표현을도입한것을볼수있다 1 1 ) 이것은지극히 2 r 性命論 을통하여고찰해본 A 間觀 1 ) r 性命論 을통하여본인간관 形象觀 행위결정론적사고방식으로물론爾 a 勝願등의고착 적형상은아무런행위를하지않지만이러한의지 를담고있다는말은그러한의지가결국이러한존 李濟馬의形象觀을이해하기위해서는李濟馬의 A 間觀을이해해야한다 그것을이해해야만인간의 形중에어떤부분을중시하였는가알수있기때문 이다 李濟馬의저서중 東醫壽世保元 이의학서라연 格致훌 는철학서라할수있다 格致훌 의 내용은 r 1 굶뺑 J r 反誠짧 J r 獨行篇 등의 3 권 으로구성되어있으며 유학에서추구하는제반문 제에대하여자신만의독창적방법과시각으로재해 석한내용이라할수있다 8 ) 格致훌 에서보면 재와불가분이아니라는뜻일것이다 李濟馬가단 순히인간의의지를설명하는데 O k 醫옳世保元 이 의학서인관계로인체중일부분을나타내는명사를 차입하여연결만시켰는지, 아니면실제로이러한부분에서그러한마음을보았는지는명확치않다 그러나 東醫짧世保元 전체적맥락으로이를살 펴보았을때는후자의가능성이더욱높다고생각한 다 東醫홉世保元 의 件命論 J r 뼈服論 을 전체적으로고찰하면性隔의측면과물질적측면을 넘나들면서인체에서하나의생리기능을논리적으로 설명하고있다 耳텀흉口는 性命論 에서好폼之 7 ) 4-1 뼈部位在때下背上볍院部位在없下뼈上故背上뼈上以上짧 之上 J ] { 뿔部位在쩔법部立在뼈故짧隔之 間웹之中上흙 1 I f 部位在體小陽部位在略故 R찢 6홈之間해之냐 l 下 1 : 1 : 뽑홈 M 立 : f i j 훌휴下大陽部位在 8홈題下故흉 8홈下以下짧之下 1 : 1 : 束뽑홈 i! t 保元 B 옳略論 8 ) 송일병외 띠 醫學, 집문당, 서울 1 9 9 7 p 4 0 9 ) 上偶홈송일병외 p 4 2 1 0 ) 최종덕 四 % 醫뺑으로본철학적자연관 때象醫뺑會誌 1 9 9 8 : 1 0 2 ) : p 3 5 1 1 ) 1-1 9 뼈저屬心 a 원깨 a ι 6홈껴i ι m l 1 : f 킹 5 ι 1-2 1 뼈有뾰心펴有 ι 服有懶心협쩌 했心 束짧흉따保元 i t 命짧 - 3 1 5 -

, - 사상체질의학회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心하는 1 2 ) 일련의주체적작용을하면서도 職뼈論 에서는 水웠之氣라는물질적개념으로職뼈의盛흉 에대하여생리적설명을하는데있어耳 B 算口라 는外形이聽視횟味라는역할을하고 1 3 ) 이는다시수곡지기에의해영양받는순환관계를설정하였다 또한비록본질적채질은변화시킬수없지만그한 계범위에서의지적변화의가능성을깊게암시한부 분은이러한의견을뒷받침할수있는증거라생각 한다 예를들어仁義禮智의四性과옵 1 5 i t 懶의四 했은누구에게있으나, 이를다루는것에따라뿔 A 이될수도있고凡 A 이될수도있다고한것이이 것이다 1 4 ) 이상을보연이제마는의지중심적이며행위결정론적인간관을가진것으로생각해볼수있다 인 체의외형에서조차마음의의미를관찰하고이를연 결시키며 心 의적용범위룹확대시킨것과인체의 생리를설명하는부분에서서로의상호작용을연결 시킨 것을 보면 이러한 이제마의 인간관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주체적인간관이이제마의 향을미쳤을것으로생각된다 2 ) r 生命論 을통하여본형상관 형상관에도영 東醫꿇世保元 에서體質에대한기본적원리를 설명한부분은 性命論 J r 四端論 J r 熾뼈論 등이다 특히 性 - 命論 과 띠端論 은李濟馬의 철학적사상을여과없이바라볼수있는부분으로, 李濟馬의形象觀을이해하기위해서는반드시고찰해보고넘어가야한다 性命論 에는기존에유학이나철학들이사용하 지않던단어들이많이나오며그각각의단어들은 사상에기준하여일정한구도로설정되어체계를형성하고있다 李 i 齊馬는 格致훌 에서이미팎心身物이라는四 象的本體論을정립한것처럼 性命論 에서도크 게 A 事와天機로나누고이에각각가지고있는어 떤속성즉四象類型하 l 속성을이용히여모든사물 과현상을설명하는하나의방법론을이용하고있 다 따라서복합사상구조도그의사상유형적요약 정신에입각하여인체와우주의현상을서로요약하 여설명하고자한것이다 1 5 ) 이러한李濟馬의사상은 形心論的形象醫學 1 6 ) 라는말로설명되기도한다 반면 東醫寶짧 에서 는 氣憂形表 정신의형상변증방법으로身形篇을설 명하고 1 7 ) 병증설명에서도이에대한언급이있어 의학의모든생리나병리현상을형상변증방법으로 설명하고있다 1 8 ) 이표현들에서도李濟馬의觀을 엿볼수있다形을바라보는시각에서氣는지극 이 性命論 :, :, p 6 7, 1 2 ) 1-2 6 A ι 耳텀홉口 好善之心 以쨌 A 耳텀홉口論之 束뽑짧따保元 1 3 ) 4-8 耳以廣뱀大時之聽力 짧出律海之 1 휩氣 텀以廣꽤 띠 會之視力짧出 흡海之淸싫 랬 以 I월빡 A 倫之 거 않出油海之 i 줌 口 以않 뱀地方之 n 力 않出뻐海之淸氣 束賢홉띠保元 鷹腦論 1 4 ) 前쩌양 최종덕 p 3 2-3 3 1 5 ) 前楊홈 송일병외 1 6 ) 上偶폼 송일병외 p 4 7 1 7 ) 했樞딘뒀頭色훔흙해 色 E션흙勞 껴 ; /! 예 M 옆 f훨難也 환明훤껴- 留 fix 也 O T 륭 H i 中 1 而?! i 유홈死 i f 때 ) O 왔 B 흉亡血也껴i 챔血熱也酒홈多 ; f t 之 三因 ) " 와 뻐웰陽中之陽헝居때之中 一身之血運到때깡皆홉 i줌至쁨之 血多酒 ι A i 햄 U 휠줬 I T i i 1 i 명血없樓熱熱血得寒 i 당 } 월 i 앓뾰 f f u 不行 I & 함센 ; 治효化쁨血生新血! H 홉血때物傷 方見上 ) J i \ \ 弱者 n u i 햄필품 i r 때 1 8 ) 劉훨 W : 束톨훌훌양따保元 에나타난陰陽觀 때 % 훌훌 ' 會誌, 1 9 9 7, 제 9 권제 l 호, p 1 0 5-3 1 6 -

, - 총협馬의形象 1 M 이해와願面部형태의해석 - 히자연적인설명방법이고心은지극히의지적인설명방법이기때문이다 생각하고있음을알수있다 2 0 ) 이로보면본연적 마음과그로인하여나타나는표현적상태에대한 사실이러한李濟馬의 며象觀은그본연의구조를 李濟馬의생각을엿볼수있다 즉기능을주로담 논하기이전에그것을설명하는단어자체의의미부 터파악하기힘들기때문에많은논란이있어왔다 頭冒體뽑 耳目웰口 짧廳觸題 등의실체를가리키 는단어들은그의미를표상하는관계에있어실체 적존재를직접적으로가리키는것인지, 아니면단 지설명하려는의미를표상화하기위하여사용된차 용적명사인지명확치않다 이는 黃帝內經 을비 판한내용 1 9 ) 이나병증론에서사용된명확한어투를 본다연무의미하게사용된 단어들이 아닐듯하기 때문이다 3 目口꿇 A 皆可以鳥뚫흉 A A B 홈 1 l! l A 皆엄不買옳 짧 8 피牌 J } f 뽑 A 皆可以鳥쫓짧 g 핍탑 R 훌齊 A 皆엄不흙뚫 짧 에예문에비추어이를분류해보면이목비구와 폐비간신은위치적인연에서눈에보이는부분과보 이지않는부분 內藏과外藏 ) 으로나눌수있는데, 공히기능적인연을담당하는것들이다 頭局 R 體과 짧脫體願은모두외형적인연을나타내지만인체의 앞면이냐인체의뒷연이냐로나눌수있다 r 性命 論 을보연耳텀륭口와빠牌府뽑은인간이心을다 스려責心힐氣할수있는출구로생각하고있으며, 頭局體뽑과융였! l 1 M 홈題은賣心賣氣해야하는원인으로 당하는耳目흉口와 g 힘牌 J } f 뽑은본연적마음과밀접 한관련을 7 까고있어그 心 이好善, 惡惡하는부 분을담당하고, 그것을바탕으로행위가결정되는 頭扁體齊과짧脫觸題은쩌h, 과훈行 l 無雙하게되는것이리라생각된다 이는결국서로상호간에영 향을미치는상관관계를형성하고있다 긍정적인 心 好휩과惡惡 ) 과부정적인 i 쩨 L 과 향 行 ) 의 상호작용에의하여부단히문제를일으키고발전하 는것이인간의숙명이라연이는결국인간의생명 영위의 본질이고 이를 극복해 가는 과정을 李濟馬는 중시한 것이라 생각된다 李濟馬는앞에서말했듯이인간중심적사고가강 한인간관을가지고있었다 그래서인간의훌 ; 志性情을중요시한것이다 李濟馬는인체의형상자 체도의미없이생긴것이아니라고보았다 아무 상관도없을듯보이는짧에훌훌心을, 應에염心을 배속시킨것을보면알수있다, 2 ] ) 다시말해인체의외형에대하여기존에가지고 있던단순기능의이해에서좀더복잡한이해를하 게된것이다 2 2 ) 이러한이해에는기존에내부적 장기의설영에치중했던생리적설명에서외형에대 1 9 ) 5-8 論티행樞素問 f 얹 f E N 帝 5 월怪幻뽕無足稍 i 홉方術好갱 者之言容或 u 是不必深훨也然此폼亦是古 A 之 또훌숭而五 6훌六服經絡鐵法病證修생흥之쩌多有所짱發則훌是훌훌家格致之宗主而 E홉 J I J k 之所엄出也不可全혔其 虛꿇之罪而廢其양發之 r } ) ; }! ; ', 也蓋此훔亦古之牌환 t 형物之言方士淵 i 原修養之述也其理 - H ' 可而其說不可盡信 束뽑짧世保元醫 i 原論 2 0 ) 1-2 3 A 之耳 g 홉口 好팡無헬也 A 之! J i M 뿔 H f 홉훨惡無헬也 A 之융 n H 홈 & 홍쩌 k 無燮也 A 之頭局 R양협 흉ι 無雙也 東뽑홉 - t! t 保元性命論 2 1 ) 1-1 9 짧有屬心隨 有 % 心 6홈有 t i t ι 6 흥져 i : 헝心 束뽑흙 \ J! : 保元 t 命論 2 2 ) 기존에는없웬體뼈이나頭텀體뺑에대하여기능적인식이없었고, 단기자연적形의형태로만인식하였다 - 耳 B 흉口역시기능의의미를이해하였지性情的측면을이해하지못하였으나 李濟딴는기존의이해활뛰 어넘어이러한인체의형태적부분에까지도새로운의미를부여한것이다 - - 3 1 7 -

- 사싱체질의학효 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한좀더자세한생리적설명이있었던것도포함된 얘다 뼈服論 에서외형의형성에대한설명이생훌總빼까@ 리와함께더불어나타나며이러한설명은사상인의 V뺑근간인 해과도일치되는연을보이기때문이다織 뺑이에대한설명은 熾뼈論 을고찰하는부분에서 -總m A t i 횡자세하게이야기될것이다 빼m때U t I 뺑g 찌때꾀3 각체질별장부의力量관계 H aμ 李濟馬는 四端論 에서사람이품고있는職理 四氣의相成相資및훌局遠傷의원리도 ) 2 5 ) 는넷으로각각다르다고말하고太陽 A은뻐大府 I J 少陽 A 은牌大賢 I J, 太陰 A은빠大빠 I J 少陰 A 牌는傷하게하며, 3 降하는榮氣 는溫而춤하는랩은뽑大牌小라하였으며 2 3 ) 흉愁홉樂의기운및그을盛하게하는반면, 直而뼈하는떼는傷하게한다 상호관계를설명하고있다 2 4 ) 태양인의경우에있어 直而뼈하는빠는흉性의이로보아 哀愁흉樂之氣는자신과유사한기운끼直커 하는기운에의해盛해지고 寬而援하는맑은리는相成相資하고자신과반대되는기운을傷하게이와반대기운인촉급한전情의橫 1 1 - 하는기운에의함을알수있다 즉, 直升하는흉氣는直而뼈하는해짝이게되므로빠大府小의형태를이룬다 또한, 빠를盛하게하는반연 溫而훌하는뽑을傷하게하그聊와뽑을비교할때 哀愁는相 i t 한다 태양 며 橫 1 / - 하는 J v t ' C o ' 氣 는쫓而包하는빠를盛하게하는인의牌는능히交週에勇統한다 2 6 ) 고말한것과반면 寬而緣하는 } j f 은 f 1 J 하게하며 放降하는흉氣 哀性이深해질경우엔, 이또한경계하라 " 2 7 ) 라고는寬而緣하는땀을盛하게하는반연, 좋而包하는말한점등을감안할때 溫而훌하는기운을가진 뺑양% 썼까쐐빠繼\願/ 꼈 2 3 ) 2-1 A 훌嚴理쩌四不同뼈大而맑小흉名티太陽 A! I大而뼈 f I J ; f f ; 名티太陰 A 牌大때딴 I J 홈名티少陽 A 띔大 r 띠牌샤 홈名티少陰 A 2-1 0 太陽 A 흉 1 i 힐散而전情 1 足急훌 t ; 힐散則 ) r \ i 主師而뼈益盛 f 뿜 f 足急뼈 I J $ i l! I f 而! I f 益빼太陽之服 f f, ) 所以成形於뼈大! l f / J t!! 少陽 A 愁 갱 : 1 i 抱而哀情 f 足急뻔 1 1 ; 抱 " I J J l i l 注 l뼈而 O뿔益盛흉 좁f 足急 H I J j M 激댐而쁨益 꺼 I J 少陽 z n 훌꾀所以成形於 l 뼈大뺨小也太陰 A 홉 1 1 홈댔而혔 휩 f 足急웰 1 = 1 홈뚫則똥 i 注! I f f f i i! I f 益낀홉혔 f 휩 f 足急빼 " 0 없 M i r m H i l i 益배太陰 ι 뼈꾀所以成形於! I f 大뼈小 t!! 少陰 A 聚 牛深짧而용情 f 足急혔 牛深짧업 I J 동 i 注뽑 f f u 뾰홉 홈! l E 急 H I J ; ; ' " 0 없牌 f f i j 牌益빼少陰 ζ 職 f f, j 所以成形於띔大牌 4 也 來醫뽑따保元 2 4 ) 2-1 1 뼈싸直而뼈 I 빼싸핏而包! I f ; ; ' l J t f f l H : 쫓휴 l i 묘而홈 2-1 3 哀싸훌升 ; 섣 1 - ' 橫升홉,, 放降 8 한! i \ l 四端請 2-2 2 흉션 m 成훌혔 m 줬흉 t 많則쌍情動션 t t! 힐뼈 I J n 협뼈찢 1 1 : 짧배홈 홉빼흉 t 뺑빼찢 뿜뼈 따 { 훌 5 1 ;, 四端論 띔益 來짧좁 2 5 ) 前쩌톰송일영외 p 8 1 2 6 ) 3-3 太陽 ι 牌能勇統於交遇 i f D 太陽之따不能雅立於 $ ; 與 束짧뚫따保元 t \ i ' i 7 t : 論 2 7 ) 2-1 8 太陽 A 써暴씬深흉不可不 1 없少陽 A 써暴꼈홉장不可不 1 0 C 太陰 A 써浪혔深홉不可不 1 없少陰 A 써 i 홉深쫓不可不 1 없 束뽑홉따保元 띠端論 - 3 1 8 -

- 李웹馬의形象없이해와顆面部형태의해석 - 뿜도흉件의直 1 1 하는기운에영향을받을것이므 로 그역량에있어서牌보다뽑이열세임이분명하 다 따라서 태양인의 역량관계는 떼 牌 뽑 빠라 할수 있다 少陽 A 의경우, 票而包하는牌는션性의橫끼하는 기운에의해盛해지고, 溫而훌하는뽑은이와반대 기운인촉급한哀情의直 1! - 하는기운에의해짝이므 로牌大협小의형태를이룬다 또한 그빠와! } f 을 비교할때, 흉愁는相成한다 少陽 A 의빠는능히 필務에 f 1 l i 좋한다 " 2 8 ) 고말한것과 愁性이심해질 경우엔, 이를경계하라 라고말한점등을감안할 때 寬而援하는기운을가진! } f 도션性의橫 1 1 하는 기운에영향을받아, 그역량에있어서때보다빠이 열세임이분명하다 따라서少陽 A 의역량관계는 牌 빠 빠 띔라할수있다 太陰 A 의경우에있어 寬而緣하는빠는훨性의 放降하는기운에의해盛해지고 直 i T i f { t 1 3 하는빠는이 와반대기운인촉급한쨌情의 降하는기운에의해 짝이므로 H f 大 R 이 I J 의형태를이룬다 또한, 그협과 牌를비교할때 홈聚은相資한다 太陰 A 의뽑는 능히居處에항상안정될수있다 " 2 9 ) 라고말한것 과 홉性이深해질경우엔이를경계하라 라고말한 점등을감안할때, 票而包하는기운을가진牌도 룹性의放降하는기운에영 6 J : 을받으므로 그역량에있어서뽑보다牌가열세임이분명하다 따라서太陰 A 의역량관계는府 뽑 牌 빠라할수있다 少陰 A 의경우에있어 溫而훌하는띔는찢性의 隔降하는기운에의해盛해지고 쫓而包하는牌는 이와반대기운인촉급한喜情의放降하는기운에의 해짝이므로뽑大牌小의형태를이룬다 또한, 그! } f 과빠를비교할때 喜쨌은相資한다 少陰 A 의 府은능히黨與에대하여雅立할수있다 " 3 이라고 말한것과 쨌性이深해질경우엔 이를경계하라 라고말한점등을감안할때 直而뼈하는기운을 가진빠도쨌件의 P 쉽降하는기운에영향을받으므 로, 그역량에있어서府보다떼가열세임이분명하 다 따라서少陰 A 의역량관계는띔 빠 ) R i! i ) 牌라할수있다 4 神氣血精메근거한四象 A 型의재분류 이제마의四象에대한이론은뼈뼈論에와서절정 을이룬다 즉, 事心身物이각각가지고있는어떤 속성즉, 四物類적속성을이용하여모든사불과현 상을설명하는이제마의기본적철학체계가 職 I D f f 論 에와서구체화되고형상화되기때문이다 藏聊論에서는水뤘의氣가인체에들어와소화 홉수되면서발생되는氣와物의흐름을설명하면서 인체의형성과기능에대하여설명하고있다 수곡의四氣가陰陽의편차에따라상하에네단 계로분류되어前四海를형성하게되고前四海가다 시四黨을형성하는과정은다음과같다 前四海는 j 후海 홈 海 油海 浪海인데, 水줬의 j 짧 熱 i 후寒의氣가볍院, 뽑, 小陽, 大 1 m 에서각각 i 휠 률 때波으로 i t 하겨혀밑, 젖가슴 배꼽, 前陰의毛髮際 로들어가많海멸 海 때海 이前四海의 i 려氣는귀눈 淑海를이루게된다 코입으로나와서 빼 氣 血 精이되고頭腦 홉雅셉 0 體홉 勝脫으 로들어가麻海 碩海 血海 精海의後四海가된 l 밟 = J t 論 2 8 ) 3-3 少陽之뼈能敏迷於뿔修 i f u 少陽之폼 不能 브 ) 於居處 束뽑홈따保元 2 9 ) 3-3 太陰之띔能센l l i : : 於居處며 j 太陰之뼈不能敏 j 홍於벌짜 束뽑흙띠保 J C o 械 I e 論 3 0 ) 3-3 少陰 ι! I f 能雅立於짧與때少陰之牌不能맺統於交遇 束醫홉띠保元 械 t 論 - 3 1 9 -

- 사상체질의학회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다 이後며海의 i 힘한것은 H i M 뿌맑뽑으로돌아가고 潤홉는 이러한 皮毛 節 肉骨을이룬다 3 ] ) 隨뼈論 의설명을통해前四海와後며 海가생명의물질적기초가됨과동시에陰陽의편 차에따라氣 n 獨澤등으로명명되고輕해한것 은上꺼 하고重獨한것은下降하여인체를형성하고 자양하는것임을알수있다 3 2 ) 이중사람의形이형성되고길러지는일련의 흐름을살펴보면 제일먼저귀가廣博天時하는聽 力으로않海의 j 혐氣를끌어내어上魚에충만하게되 어神이되게하고, 눈은廣뺑世會하는視力으로홈 海의 i 환氣를끌어내어中上뚫에충만하게하여氣가 되게하고 코는廣博 A 倫하는뺏力으로때海의 j 휩氣를끌어내어中下, 월에충만하여血이되게하고 입은廣博地方하는味力으로浪海의 j 펴氣를끌어내 어下뿔에충만하게하여精이되게한다 3 3 ) 이렇듯흉努홉樂의性즉, 聽 빼 맺 味의힘 3 4 ) 에의 해각각 L ' 中上 中下下뚫에서 쩨 이된후 다시거듭쌓여 l 1! i 홉 H 된다 흉愁喜聚의性에의해 l l i ' 많 찾海血海 血 氣 血 精 精海 精海에쌓 인神 氣 血 精은다시이의기운을받아形의단계에까지이르는데, 따海의 j 월 i 좋는머리가直뼈하는힘으로이를단련하여皮毛를생성하고 眼海의漫澤는손이能收하는힘으로이를단련하여節을 생성하고 血海의 i 월 I 훌는허리가寬放하는힘으로 이를단련하여肉을생성하고, 精海의 i 융律는발이 I l l B 휠하는힘으로 I J J! 를단련하여접 을생성한다 3 5 ) 또한뼈海는빠의근본이며 R찾海는牌의근본이며血海는 ) j f 의근본이며精海는神의근본이라했는데 3 6 ) 꽤은 R i l i 의直而 { $ 한기운 氣는牌의票而包 3 1 ) 4-4 水왔溫氣타띔院 f f f j 化 i 얻入子굵下웠 i 렇 j j 양 i 컬海경 i뿌之所舍也 i 렇海之함 $ i \ \ 出子耳而쩔神入千頭腦而 I l i \ \ t 양뼈海者神之所舍也 I I i t i 海之 l I i t i i 十 i 홉者內앓 ' H i l i i 뭘 i 外짧 予皮毛故볍院與굵耳頭腦皮毛皆 8삐之짧也 4-5 水왔熱氣염볍f f f j 化 다入手 O댄間패쭈 L 뭘 륨海 탑 海흉흡之所송也 ; 海之 I 홉 l 出予덤而월氣入주背햄而롭 6 훗海 B옛海홈 $ i \ l 之所舍也 6엇海之陳 i t i 휩者內앓予牌 } 월홉外앓予欣故볍與兩쭈L 팀背뽑 J I f j 皆牌之짧 - t!! 4-6 水줬 j ; 氣自小陽而化油入주 g 홈없油海油海쯤油之所舍也油海之 i 뿜氣出手항而쩔血入 T O훌휴而웰血海 j 血海흉血之所舍也血海之血十 l 홉者內앓子! l f i 젊 i 外앓주肉故小陽與 8 홈홉 6양휴肉皆! I f 之짧 - t!! 4-7 水줬흉氣自大陽而化波入手前陰毛際之內웰波海 i f > i i P t 者浪之所舍也 i f > i i I 풍之 i 홉 $ i \ l 出子口而월 t 入予脫 I! J \ ; 而 f 홈? 깐 黨 t 낀 束홈좁世保元 B 훌뼈論 3 2 ) 上揚뺨 : 송일병외, p, 1 l 1 염海쯤해之所舍 t!! 힘 i i l 훌之해 i t i 휩者內짧千뽑 i 뭘 i 外앓予셉 故大陽與前陰口勝 I! J \ ; 3 3 ) 4-8, 耳以많앤天時之聽力짧出 j j 렇海之휩 l 充 i m 於上흙없神 f f f j 注之頭腦흙 I! f t i 웹累쩔服海 덤以않 t 앙 i I t 會之祝力 t 出 ; 之 i 뿜氣充 i m 於中上뿔쩔 \ 而注之背짝 H 훗橫累월 6 옛海웠以廣 띤 A { 옮之 U 윷거 1 出 i l i l i 每之淸 l 充 i 햄於中下 t t 血而注之 R 떻흡용 S 앓血 f 累 J f I L 口以짜뻗地方之, 力 1 出 海之뼈氣充 j 隔於下 뭘해而注之路 ) j J I ; 앓 홉 " 1 累웰 면海 來훌훌흙따保元 짧 R 짜論 3 4 ) 3-1 흉付非他聽也션 l ' 非他視也홉件非他맺也聚性非他, 也 束뽑훔世保元 J \ t f t : : 융 3 5 ) 4-1 1 l I i t i i 흩 ι i 뭘 i 則頭以휠 { E i J 之力 i 앙練之而成皮毛 6 옛海之 i 월 i 則手以能收之거 g 앓짧之 f f I j 成 J I f j 血海之圖 i H I J O 었以짧放 ι 力짧鎭之而成肉 흠 t훌之핍 i 뼈 I J 足以 I 패彈서 Z 力 $ 앓鎭之而成 ) F i " 3 6 ) 4-1 5 뼈腦 ι 빼海 n 삐 ι t R 4 > : 也 f 짝 ι 6 옛 1 홉 R 후之 t R 也 휴之血海! I f 之 t R 4 : 也 J t t ) j J l ; 之 훌훌壽 i I t 保元 隨뻐論 ) 束헝훌훌양따保元隊뼈論 허 i 양띔之 ' R 也 ' t '! ' 皆댐之 束 - 3 2 0 -

김달래 - 총협馬의形象 I N 이해와願面 $ 형태의해석 - 皮毛 簡 뿌 廣 1형天時 i L 1 圖海之홉!t) 皮神 圖 海之聽力 海頭以휩f$ 之力 毛뭘 廣 1땅世會 6훗 體훨之 } 홉1훌 ) 氣 硬 i V i i f j 之 力 海手以能빼之力 油 - 廣 1땅A 倫血 血海之 i홉챔 ) 血 l앓血 肉海之맺力 X 眼以寬放之力 엇 1 홈 f 했地方 肉 骨생성흐름표 홉 짧홉 홈 精海之 i 월 i) ô 海之味力 海足以댐彈之力 i i i R 즉, 太陽 A 은 H i l i > 牌 賢 > > > t 하므로神 氣 精 血하고 少陽 A 은牌 빠 府 뽑함으로氣 神 血 精하고, 太陰 A 은» t > 뽑 牌 뼈함으로血 精 氣 神하며 少陰 A은賢 > J J f > 뼈 牌하으로精 血 神 氣이니 태양인을빼氣精血힐, 少陽 A을氣神血精켈, 太陰 A을血精혔때型 少陰 A을精血빼 氣행이라규정할수있을것이다 血은府의寬而 잦하는기운 精은神의 i 짧而홉증하는기운의근본이라할수있으며이미언급 한기운 한것처럼神氣血精은哀愁홉樂의性에의해길러지 는바각각흉氣直꺼 愁氣橫커 - 룹氣放降 聚氣階 降이라는훌! 션훌樂의기운을담고있는것또한 꽤氣血精이라할수있다 이처럼 j 때氣血精이形의생성과관련이있고각 職局및哀愁홉樂의기운과통한다라고할때 다음 과같이形에초점을두어며象 A 을재분류해볼수있을것이다 5 四象 A 의願面部형태에대한재해석 사상인의體形氣像에대해서는그동안많은연구가진행되어왔다 束훌훌훌좋世保元 이지어진이후로많은사상의학서적에체질판별에대한설명이많다 3 7 ) 3 8 ) 3 9 ) 4 이 4 1 ) 또한이러한주관적형상법외에도이를객관적으로계측화하려는연구도많이진행되어오고있다 4 2 ) 4 3 ) 4 4 ) 4 5 ) 4 6 ) 4 7 ) 4 8 ) 4 9 ) 5 0 ) 이러한기계적측정에의한체형측정방법은체질 3 7 ) 李泰浩 : 束醫四象씀뺑톨훌뺏, 서울, 행림출판 1 9 9 0 3 8 ) 후道料 - 四象쫓훨, 원불교출판사, 익산 1 9 9 5 3 9 ) 朴寅商 - 束짧四象풍 n, 소나무, 서울 1 9 9 2 4 0 ) 慶熙大學校짧醫科大學제 4 2 7 1 후業뺑倫委당용編著 : 짧國의랩젤理論 大星文化社 서울 1 9 9 7 4 1 ) 金뻐 : t t 理臨 學, 大星文化社, 서울 1 9 9 7 4 2 ) 허만회 송정모 고병희 : 사상인의형태학적도식화에관한연구, 사상의학회지 : 4 1 ), : ) : - ), : ) : - ),, : 1 0 1 ) : 1 0 1-1 4 2 1 9 9 8, : ) : - ) : 1 0 1 ) 1 6 1-1 7 0 1 9 9 8 4 8 ), : 1 0 1 ) : 1 7 1-1 8 0 1 9 9 8 4 9 ) : 1 0 2 ) : 2 2 1-2 4 7 1 9 9 8 5 0 ) : 1 0 2 ) : 2 7 1-2 8 2 1 9 9 8 1 0 7-1 4 8 1 9 9 2 4 3 ) 고병희외 7 명사상체질별두연부의형태학적특정사상의학회지 8 1 1 0 1 1 8 6 1 9 9 6 4 4 김창수 太陰 A과少陰 A 의 두면부의 체질인류학 특정 사상의학회지 9 2 2 9 9 3 0 2 1 9 9 7 4 5 홍석철외 7 명 체간부의 사상채질별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사상의학회지 46) 이의주외 3 영 한국인 신체분절에 관한 사상의학적 연구 사상의학회지 1 0 1 1 4 3 1 6 0 1 9 9 8 4 7 홍석철이수경 송일병 사상체질별 상안부의 형태학적인특정에 관한 연구 사상의학회지 홍석철외 5 명사상체질진단의객관화를위한형태학적연구사상의학회지 홍석철고병희 송일병사상인이목비구의형태학적특정연구사상의학회지홍석철외 5 명사상체질별상안부 M a r i e 형태의특정에관한연구사상의학회지 - 3 2 ] -

- 사상체질의학회지저 1 1 1 권제 1 호 1 9 9 9 - 판별에유의성있는객관적지표들을제공해주기는하지만체구와頭局體뽑의크기측정에의한방법은예외가많고, 願面홉뼈세부크기계측법은측정방법과공식화에문제가있다 5 1 ) 또한사상의학서적에는사상인의형태에대하여는설명하였지만 그형태를사상의학적으로설명하는시도는아직이루어지지않았다 이에필자는앞에서말한사상인의빼氣血精의역 량관계에근거하여사상인의願面部형태에대하여 재해석해봄으로써체형기상에대한새로운해석방법의가능성을제시해보고자한다 각사상인의形은김주의 성리임상학 에나와 있는 사상인상형비결 > 5 2 ) 과유주열의 동의사 상의학강좌 } 5 3 ) 를바탕으로하고그범위는願面部 願面部形비교 jg 分點 X J t 下햄이안정감이없다 太陰 A 少陰 A 少陽 A 血精氣神휠稍血神 rt 휠 l#y^ˆ@ ¾ i f l J " " ' - 體월에比하여조금긴편, 있다 或은둥근경우도 馬狀으로錫 形이며下댐이 安定感이있다 少陰 A 보다는體꿇에비해덜긴편 下행形 가름하게빠졌다 얼굴이작다는것은아님 ) 얼굴이퍼지연서주걱턱인경우도있다 안정강이있다 얼굴이길면서주걱턱인경우도있다 주걱턱이 많은 편이나 투박 하지않음 이마가突出된곳이없이平大짧的으로兩眉問이突出되大짧的으로中間部位가약간 IS3 沒되어있다 $ 없形平하고兩眉間은동전한개어있거나中間部位가돌출를놓아둔것같다되어있다 행한烏 fill 形으로合理的이고重而平한! 眼形이다부리짧fill 形으로닭눈 ti] 슷하연서대체로둥글고둥글연서또렷또렷하다, f i!!_b 부리하게보이기도한다 虎 狀 ) 눈초리는약간있는연或은눈이작으연서눈초리가있는境遇도있다 퉁퉁하고에서 下젊의 얼굴모양에 전제의 면적비해 ) 코끝에앵두를달아놓은것같다 방울코 코의상부가좁고코의하부는넓어지며끝에코끝이대체로짧利하고얼앵두가달린듯함 ) 굴전체연적에서찌하는예리하나코끝이튀어나와끝에앵두가달비중이작은편 或크연서짧利한 t흉遇도있매부리코, 혹은납작하연서넓으연서코끝에방울이달린듯하다다넓은경우도있다납작코인데코끝이살짝올라간듯 安束 J 形차지하는비중이큰연려있는느낌을준다 多 ) 코의상부가죽고코의하부는넓어지혹들창코 고끝에앵두가 달린듯하다 gÿå J f 3 1 L¹hÇ@ 뤘하고 下홉은멍하연서나옴 11: 下톨이매우앓음 上下톨의 1 웰 X 이거의비슷 2 전체적으로둥글면서입술이모아진느낌 2 上下확이서로벌어지연한편 3 입이크연서입술은앓고단아한느낌서두럽고특히 t 확이 4 틱이쭉빠지며서下뼈가上뼈를엎음위로치켜져올라감 5 1 ) 김종열김경요송정모 : 사상판별표를이용한체질판별의객관화 1 8 1-2 1 4 1 9 9 8 5 2 ) 金뻐성리임상학 대성문화사, 서울 4 0-4 4, 1 9 9 7 5 3 ) 柳냄烈동의사상의학강좌 대성문화사 서울 1 3 5-1 7 0 1 9 9 9 방안 사상의학회지 : 1 0 0 ) - 3 2 2 -

- 충홉馬의形象 I I I! 이해와쨌面部형태의해석 - 로하여祚氣 精血캡氣빼血精옐 血精氣빼멍 精血 약해생기는형태이며짱구이마처럼이마가불거져 神氣맺이라나눈규정에맞추어고챔본다 1 ) 太陰 A - 血精氣神型 太陰 A 의본질이血精흥미때 5 4 ) 하므로기운의중심 이中下부위에있으며血의기운이강해아래로放 降하는느낌을주고전반적으로重멜한인상을준 다 또한하부에비해상부의흥 v i i $ 의세력이약한 형상이며 특히 神의 直升하는 기세가 가장 취약하 다 1 ) 顧形및下짧形 太陰 A 의 願形은 대체로 옆으로 펴지는 양상을 가 진다 下짧이상대적으로안정감이없다는말은血精氣 j 때型이기 때문에精의略降하는 기운이 영향을미치 기는하나 血의放降하는작용이강해흐르거나빠 지는경우가많음을의미한다 얼굴아랫부분으로 내려오면서넓어지고하악꿀이발달한경우라연상 대적으로氣神의세력이약하므로이마로올라갈수 록얼굴의폭이좁아질것이고, 太陰 A 의주걱턱의 경우血의퍼지는기운의영향으로완만하게곡선을 이루기보다는퍼지면서쭉흐르는투박한형태가된 다 2 ) 했形 했때의기세가상대적으로약해이마가돌출되지 않고평평한형이다 眉間이동전한개를놓아둔것같다고한것은 血의기운이강해좌우로펴지연서도상부의기세가 나온형태라하더라도이마가가운데로몰리는것이아니라옆으로퍼지는형태를말하는것이다 3 ) 眼形 소의눈같다라고말한것은크연서고눈매가매 섭지않고순박하고우직한눈을의미 5 5 ) 하고血의 기운이많아용성한눈이다 눈이작거나찢어졌다 고할지라도太陰 A 의喜性과聚情을담고있기에결코매섭게보이지는않는다 부리부리한虎形의눈이라함은 5 6 ) 血精의 기세 가지나치게강하여흰자위가두껍게보이며약간 붉은기가도는형태를말하는데, 이경우라하더라 도눈매가찢어져서무서워보이는것이아니다 또 한이런눈의太陰 A 이라하더라도평상시에는무섭기보다는 호탕하다 라는느낌을준다 4 ) 짧形 중하부에 위치한코는부위적으로도그렇고짧가 府局에속해있기도하기때문에太陰 A 의경우面 부위에서가장두드러진곳이기도하다따라서전체의연적에서차지하는비중이큰편이라하겠다 큰코라도太陰 A 의경우, 血精氣神하므로상하로 발달해있다기보다는좌우로발달해있고혹납작 하연서도넓은경우라하더라도이경우다른체질 의 % 냉처럼山根부위가죽으면서지나치게내려와있진않고좌우로펴짐이지나칠것이다 5 ) 합形 血精氣神쩔인太陰 A 으로서 血精에서精의영향이 그렇게강하지도않아少陰 A 처럼下휩이탤하연서 5 4 ) 이하 神氣血病 의순서는각체질에따른역순의순서를의미한다 5 5 ) 前揚홈유주열 p 1 4 3 5 6 ) 上偶폼 유주열, p 1 4 4-3 2 3 -

- 시상체질의학효 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나오지도않고 氣神의영향은약해少陽 A 처럼 J " 팝이약간위로치켜져올라간편도아니다 上下휩 의모양이거의비슷하다하더라도 血의放降하는기 운과血精및氣神의상대적기세의차이로인해가 지런하면서도 입의양끝이약간내려오는경우가다 른체형에비해서많다 아랫입술이윗입술에비해 두꺼운경우도있겠지만이경우 少陰 A 처럼 3 降 한기운이강한것이아니라오히려放降의기운이 강하므로少陰 A 에비해작지않고퍼지는느낌을 주는두퉁한모양일것이다 2 ) 少陰 A - 精血神氣型 少陰 A 의본질이精血神氣하므로기운이중심이 하부에있어얼굴의하부가발달해있으며기운이 아래로흐르는상일텐데, 精의기세가血의견제로 말미암아지나치게 아래로흐르지않으며短小靜雅 하다반연, 神氣의기세가精血에비해약하므로 상부가약한모양일것이고특히氣의橫끼하는기세가취약할것이다 1 ) 顧形및下훌形 少陰 A 은精血빼氣하므로血의放降하는기세도 精의 3 降하는기세보다약하고氣의橫까하는기세 는취약하여좌우로퍼지는기운은약한상이라하 겠다 그러다보니짧形은조금긴편이고下뿔形 역시길다고한것이다 있어길다는것이지나치게 그러나상부의 I 때은열세에 상하로긴것을말하는 것은아니고 少陰 A 의경우주걱턱이보인다해도 앞으로지나치게튀어나왔다든지좌우의각이발달 한투박한모습은드물것이다 또한얼굴모양이 당나귀모양이다 ' 5 7 ) 라고한경 우도있는데, 이는少陰 A 의얼굴분위기에서풍기 는簡易 + 1 5 함을나타낸것이다 2 ) 顆形 少陰 A 이이마가대체적으로중간부위가약간함 몰되었다고한것은상부의기세가약한것을말한다 덩치가크고살이많이씬少陰 A 이라할지라도 이마의함몰아생기지않을지는모르지만이마가 좁아보이고꽉찬느낌을주지못하므로神氣의기세가약함을보이고있는것이다 3 ) 眼形 少陰 A 은牌局즉, 氣의기세가가장취약한경우 이므로눈의경우, 역시少陽 A 처럼또렷또렷하진 못하며약간탁하면서대체로둥글고눈초리가약간 있는짧眼形이많다 5 8 ) 太陰 A 과비슷한눈매라도 血의기세가강한太陰 A 과는거리가있고少陰 A 은 좌우의기세가약하기에눈이길게찢어지는경우도드물다 4 ) 짧形 少陰 A 의精血의기세가강한양상은코에서도나 타나는데, 겁降하는精의강한기세와放降의血의 기세의조합으로대체로코끝이나코의하부가발달 하여조금넓어지연서코끝에앵두가달린듯하거나불방울이달린듯한경우가많음을볼수있다 코가예리하다하더라도코끝이튀어나와끝에앵두 가달려있는느낌을주고납짝코라하더라도太陰 A 과는달리精의隔降하는기세가쩌山根부터 죽어서내려오다가코끝만살짝드리며옆으로펴지 지도않고코끝에불방울이달린듯하며, 코가크 다하더라도살이아주적으며코의하부만 유난히 ;,, 5 7 ) 前偶땀 유주열 p 1 0 4-1 0 5 " 당나귀 얼굴모양이라는 말이아니고 당나귀의 성질을 띠었다는 말이다 " 5 8 ) 上偶톰 유주열 p 1 6 0-3 2 4 -

- 총웹馬의形象 I N 이해와願面部형태의해석 - 발달하여있는경우인것이다 는데, 5 ) 합形 少陰 A 은 t 휩이폐하고下흡이멜하다라고하였 이는상부의神氣의기세에비해하부의精血 의기세가강함을나타내는것이다 또한혐局의협 으로서少陰 A 의경우기세가입에서살아있음은 분명하며, 대체로전체적으로두툼하면서모아지는 느낌이다 만약, 입이클경우 太陰 A 보다는상대적 으로앓으면서기운의차이로단아하게보인다 5 9 ) 3 ) 少陽 A - 혔神血精型 少陽 A 은본질이힐때血精하므로기운의중심이 中士없에있고氣의기운이쟁 R 위로衛하는흐 름을보이며, 위로흐르되아래로흐르는느낌은약 하다 아울러 精의 隔降하는 기세가가장취약할 것 이다 1 ) 顧形및下훌形 얼굴전체의모양은계란형으로氣때의기세가강 하므로특히얼굴에서眉間이나이마등상부가발 달하였으며턱도少陰 A 과는달리위로발달하는감 이다 少陽 A 의下題은전체얼굴형에어울리는안 정감을주며 6 0 ) 주걱턱이많다하더라도상부로橫 升하는기세가강한少陽 A 에있어서太陰 A 의주걱 턱과같은아래도퍼지는듯발달해서생기는투박 한형태는아니다 또한馬狀이라하면少陽 A 이氣神의기세가강하 고眉間이명랑함을말하는것인데, 홉사말의성질 을띈얼굴이라는의미다 2 ) 顆形 少陽 A 의이마는少陽 A 에게선얼굴에서가장눈 에띄는부위이기도하다 그만큼기세가집중되어있다라는말인데 大짧的으로兩眉間이突出되어있 거나中間짧立가돌출되어있다 少陽 A 의이 I J t 는 상부가가운데로몰려있어서이마가넓은경우에는 이마의상부가운데가두두러지게발달해있음을볼 수있고, 이마가약간좁은경우에는상대적으로眉 間이발달한것이므로모두少陽 A 의氣神의기세가 강함을나타내고있는것이다 만약, 眉間이약간 넓은경우라하더라도太陰 A 처럼좌우로넓어져眉間이죽은경우는아님을발견할수있다 3 ) 眼形 눈은牌局으로서 廣博世會之視力의기운을나타 내는것이므로少陽 A 의눈이대체로또렷또렷하고 환자가탁하더라도그렇게보이며다른체질에비해눈이더발달하고또렷하고밝다 6 1 ) 혹 매의눈처 럼작고예리하다고한경우역시氣神의기세가血 精의기세보다강하여나타나는것이라볼수있는 데, 눈이작으면서도텀外子가약간찢어져서조그 만하연서도예리한경우를말한다 4 ) 짧形 少陽 A 은氣神의기세가강해아래로길게발달하 진않으며예리하고얼굴전체에차지하는비중이 작은편이다 이는太陰 A 이나少陰 A 처럼中下이 하가발달한체형과비교되는부분으로, 太陰 A 처럼 멜하면서퍼지거나少陰 A 처럼코끝에방울지지도 않음을볼수있다 설혹 少陽 A 의코가아주크연 5 9 ) 上쩌훈 유주열 p 1 6 3-1 6 4 6 0 ) 上偶흙 : 유주열 p 1 5 3 6 } ) 上偶뿔 : 유주열 p 1 5 4-3 2 5 -

- 사상체질의학회지제 1 1 권제 1 호 1 9 9 9 - 서짧고넓적하게된경우라도쭉뻗어내리거나코끝이맺히지는않는다 5 ) 합形 血精의기세가약한少陽 A 으로서口팝이대체로 다른체질에비해작은편이다少없 f A 은氣神의세 력이강하므로팝에서도입술을다물지않을경우 少陽 A 은윗입술의인중부위가위로당겨올라가는것처럽보이게되며 t 下뽑이약간앓으연서코 l 않고윗입술이약간밀려올라가는느낌이일반적이 다 6 2 ) 4 ) 태양인 - 神氣精血型 태양인은본질이神氣精血함으로기운의중심이 상부에있고神의기운이강해상부로直카송 } 는기 세가강한반면, 血의하부로放降하는기세는가장 취약하다 태양인의形에대하여는기존사상의학계에서발 표된바없어임상경험이없는필자가무어라정의 할바는없지만, 이제마의초상을볼때무엇보다 귀가 t 下로길게자리잡고있음을알수있으며눈 썽과눈초리가평상시임에도불구하고위로치켜올 라가있음을볼수있다 이런연이태양인의神氣 의기세가 강함을 나타내는 연이라 할수있을것이 다 이상으로四象 A 의願面部형태에대하여神氣血 精的가설을세워나름대로설명해보았다 이러한 설명의시도는위에서말한바대로경험적으로얻은 지식이라도 어야 일정한법칙에의해이론적으로셜명되 발전의토대와일정한근거를마련함에있다 이에대한바탕은물론 東뽑꿇世保元, 을바탕으 로하는사상의학의이론이되어야함은물론이다 앞으로 東짧홉흉世保 i t ) 에기초한가설로형상에 대한많은설명이논의되었으면하는바램이다 m 결론 1 李濟馬의철학세계에는행위결정론적사고방 식이강하게뿌리박고있었으며이러한사고방식은며象醫學에도영향을미쳤다 2 r 性命論 의 頭엽體뽑 耳텀흉口 짧뽑勝版 등의단어들을볼때 기존처럼形을象을반 영하는객체로인식하는것이아니라하나의부분주체적개념으로인식하고있다 3 李濟馬는인체의각부위에대하여기존에 8 가지고있던육체적기능만자진것이아니고복잡한性情的기능을가지고있다 r 四端論 과續充論을통해볼때며象 A 의 R 앓 R 따大小는太陽 A 의경우뻐 牌 뽑 J J f 순으로, 少陽 A 은牌 制 府 뽑의순으로, 太陰 A 의경우맑 賢 牌 剛 少陰 A 은뽑 맑! J i 1 i 牌의순으로생각할수있다 9 사람의형이형성되는과정을설명한職빠論 을통해볼때神氣血精은四象 A 의외형에대하여설명하기가장합당한개념이다 1 0 이로보아사상인의외형은神氣血精의力置 관계로해석해볼수있는데, 의 태양인은빼氣 精血행 少陽 A 은氣神血精뺑 太陰 A 은血 精氣神옐, 少陰 A 은精血 f f i $ 氣켈으로규정할 수있으며이러한관점에의하여각채질의세부형태를설명해보았다 6 2 ) 이상각체질간의유사체형은유주열의 동의사상의학강좌, 에 제시된바를인용하였다 - 3 2 6 -

송정모 - 총펌馬의形象 1 m 이해와願面部형태의해석 - 참고문헌 1 짧東錫 宇 힘變化의原理 행림출판사 서울 1 9 9 4 p 1 3 4 2 송일병외 : 四象醫學, 집문당 서울 1 9 9 7 p A O 3 최종덕 : 四象醫學으로본철학적자연관 四象 醫學會誌 1 9 9 8 : 1 0 2 ) : p 3 5 4 劉準相 東醫흙世保元에나타난陰陽觀, 며象 뽑學會誌 1 9 9 7 제 9 권제 l 호 p 1 0 5 5 李泰浩 : p : 醫四象앙標醫典, 서울, 행림출판 1 9 9 0 6 李道料며象꽃훨 원불교출판사, 익산 1 9 9 5 7 朴寅商 : 東醫四象뤘짧, 소나무 서울 1 9 9 2 8 慶熙大學校韓醫科大學제 4 2 7 ] 쑤業準備委 a 會짧著 : 韓냉의體質理論, 大星文化社, 서울 1 9 9 7 9 金뻐 件 理臨 學, 大星文化社 서울 1 9 9 7 } 1 0 柳혀烈 : 동의사상의학강좌, 대성문화사, 서울 1 3 5-1 7 0 1 9 9 9 1 1 홍순용 서울 1 9 9 4 이을호 : 사상의학원론, 행림출판사 1 2 홍석철외 7 명 체간부의사상체질별형태학적 특정에관한연구, 사상의학회지 : 1 0 0 ) 1 0 1-1 4 2 1 9 9 8 1 3 홍석철이수경송일병 : 사상체절별상안부 의형태학적인특정에관한연구 사상의학회 지 : 1 0 1 ) : 1 6 1-1 7 0 1 9 9 8 1 4 홍석철고병희 송일병 : 사상인이목비구의 형태학적특징연구 사상의학회지 : 1 0 2 ) 2 2 1-2 4 7 1 9 9 8 1 5 김종열김경요 사상판별표를이용 한체질판별의객관화방안 사상의학회지 ; 1 0 0 ) : 1 8 1-2 1 4 1 9 9 8-3 2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