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년도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KSR2014S042 안전소통을 위한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 Service for Safety Communication 김범승 *, 이규찬 *, 심재호 *, 김주희 *, 윤상식 **, 정경우 * Beom-Seung Kim *, Kyu-Chan Lee *, Jae-Ho Sim *, Joo-Hee Kim *, Sang-Sik Yun **, Kyeong-Woo Jung *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APP Service and direction through the immediate expansion of communication channel without regard to the time and space for the safety culture diffusion of the railway and the advanced prevention of human error. Recently, the large-scale railroad accident generated. This is basically due to lack of the safety consciousness (Human Error). But,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is insufficient safety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he safety information propagation is restricted due to the alternating shift work. Thereby the immediate safety information service is insufficient. This is the major factor. We have developed Mobile APP Service for anytime, anywhere safety communi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fficiently. The developed Mobile APP Service expects to do the properly function of a window for ensuring the safety that is the value of the best of the railway. Keywords : Railway Safety, Human Error, Mobile APP Service, Safety Communication, Safety Channel 초 록 본 연구는 시간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즉시성 있는 소통채널 확대를 통해 철도의 안전문화 확산 및 휴먼에러의 사전예방을 위한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최근 들어 대형 철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안전의식의 결여(인적오류) 뿐만 아니라 시간 공간의 제약에 따른 안전정보 소통의 부재, 교번 교대 근무에 따른 안전정보 전파 제약으로 인하여 즉시성 있는 안전정보 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한 것이 큰 원인이다. 이 러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언제, 어디서나 안전소통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바일 앱 서비스는 철도 최상의 가치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선도적인 창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철도안전, 휴먼에러, 모바일 앱 서비스, 안전소통, 안전채널 1. 서 론 최근 들어 2011년 2월 광명역 KTX 탈선사고, 2013년 8월 대구역 열차충돌사고 등 대형 철 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 뒤에는 인적오류가 상시 잠재되어 있다. 철도 내부의 교신저자: 코레일 정보기술단(bluedav@korail.com) * 코레일 정보기술단, ** 코레일 안전본부
인적오류 방지는 바로 안전과 직결되는 가장 큰 요소 중에 하나이며 내부의 안전소통을 기반 으로 한다. 시간 공간의 제약에 따른 안전정보 소통의 부재, 교번 교대 근무에 따른 안전 정보 전파 제약에 따른 즉시성 있는 안전정보 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한 것이 큰 원인이다. 이 러한 시간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안전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재난안전 분야에 모바 일 앱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재난안전 분야 모바일 앱 적용 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Choi et al.[1]는 해양오염 방제작업자를 위한 모바일 앱 개발, Choi와 Kim[2]은 앱기반 전기화재 예측시스템 개발, Ko et al.[3]은 재난 취약자 대상 재난 안전 콘텐츠 모바일 앱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Chae와 Kim[4]은 초등학생 학보모들 의 잔류농약 인식에 기초한 안전 식생활 교육용 앱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처럼 모바 일 앱의 활용은 재난재해 예방 및 안전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각 분 야의 특성에 맞는 실용적인 최적의 모바일 앱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최상의 핵심가치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장 에서 연구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3장에서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 및 방향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4장에서는 결론 및 향후 연구계획을 제시한다. 2. 연구배경 및 목적 2.1 연구배경 및 필요성 목적 철도 영업거리는 1899년 33.2km에서 2013년 3,587.8km로 108배, 역수는 1899년 7개에서 2013년 663개로 94배 늘었으며, 열차속도는 1899년 20km/h에서 2013년 300km/h로 15배, 1일 열차 운행횟수는 1899년 4회에서 2013년 3,347회로 837배 늘었다. 이처럼 철도산업은 눈부시 게 혁신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에 따라 안전관리 초점도 1970 ~ 80년대 설비중심, 1990년대 사람중심, 2000년대 시스템을 통한 안전관리체계 중심, 2010년대 안전문화 정착의 시대로 지 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철도는 영업설비, 차량, 노반 궤도, 전철 전력, 신호 통신, 관제 운전 등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첨단 시스템의 결합체 이며 복잡한 시스템간 상호보완적이 고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는 네트워크 산업이다. 이 중 하나만 잘못되어도 큰 사고로 이어진 다. 이러한 변화와 철도산업의 특성 속에서 철도 최상의 가치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고 후 재발방지 뿐 만 아니라 예지된 위험요인의 차단을 통한 선제적 사전예방, 제도적 규 제 보다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안전문화의 정착 및 확산을 통한 안전의식의 개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안전문화의 정착 및 확산을 위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소통을 위한 실용적인 기여를 위하여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철도의 경우 안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채널로 기간계 시스템인 그룹포털, XROIS의 기능을 이용하여 안전관련 공지 지시, 안전경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Fig 1과 같이 본사 안전담당자가 안전경보를 발송하면 그룹포털 XROIS를 통하여 현업 담당자는 팝업표출 인지 및 내용확인(공문서접수처리 포함)을 하고 현업 근무자에게 전파한다. 하지만 현장의 근무여건은 대부분이 교번 교대근무자(3조2교대)이다. 따라서 즉시성 있는 실시간 전파를
Fig. 1 The Flow of Safety Information 하는 데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소통의 개념을 단순한 안전정보의 소통 뿐만 아니라 안전확보를 위한 교육, 홍보, 제도 매뉴얼 정비 등 상 호 공유가 필요한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Fig 2는 2012년 1월 부터 오픈하여 운 영중인 그룹포털 내 안전마당의 안전경보의 조회건수 이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평균 545.1 명(현원 대비 1.95%)이 안전경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실제 현장의 직원에 게 까지 체감할 수 있는 정도의 전파는 구두, 페이퍼 전달 등에 의지 할 수 밖에 없다. 따라 서 즉시성 있는 안전정보의 소통과 시간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수단의 필요성이 절 실히 대두되고 있다. Fig. 2 The Select Count of Safety Alarm Information
Fig. 3 SWOT Analysis Fig 3과 같이 모바일 앱 서비스를 위한 SWOT 분석을 하여 구축방향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 다. 모바일(스마트폰) 이용자가 2013년 4000만을 넘어서고 있으며 대부분의 철도 직원들도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1]. 이러한 주변 환경의 고려와 철도의 직무환경의 특성상 교번 교대근무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즉시성 있는 실시간 안전정보를 제공 하는 데 시간적 공 간적 제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내부소통 채널로 활용하고 있는 철도 안전마당과 연계하여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채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대외적으 로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침해의 위험이 존재하며 이러한 보안 위협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도 내의 안전조직과 IT조직의 역량을 적극 활용하여 이를 극복 하도록 한다. 또한 정부의 공공 기관 모바일 앱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만족을 위한 인프라 투자비용 발생 등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단계적인 구축방향이 필요하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내외부 소통채널 확대 를 위한 모바일 수단의 이용은 이제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되고 있다. 다만 빠르게 변하고 있 는 기술의 발전, 이에 따른 보안의 위협 등 주변환경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해결할 것인 가 하는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2 모바일 앱의 개발 방식 일반적으로 모바일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모바일 앱,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으로 나눌 수 있다. 모바일 앱은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뜻하며 모바일 웹은 인터넷 기능을 통해 각종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모바일 전용 환경을 고 려한 웹사이트를 말한다. 하이브리드 앱은 모바일 앱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가져와서 혼합한 형태의 앱으로 웹표준을 준수한 모바일 웹을 만든 후 앱에 연동시켜 형식은 앱으로 만들고 내용은 웹으로 만든 형태이다. 모바일 앱과 동일한 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HTML과 CSS로 작성된다. 하이브리드 앱은 인터넷 환경과 WIFI 환경에 따른 영향에 유연하고 모바일 앱 보다 로딩속도가 빠르며, 개발비용을 상대적으로 절 감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최근 모바일 기기들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개발방식이다[1]. Table 1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의 구현 방식을 비교한 표이다[1]. Table 1. Compare with Mobile APP and Mobile Web Contents Mobile APP Mobile Web Implementation Individual using exclusive Tool Specific server using Script Language (Visual Studio, X-code, Eclipse) or HTML Install APP in Mobile Device After No (Connect Web Browser) Install Downloading the Binary File in APP market Operating Depends on Mobile Device Errors in different OS Versions Operating based on Web Browser (Chrome, Safari, Opera) Errors in different kinds of Browsers Strength Rapid Response Time Interactive user Interface Development of Specific APP according to OS or Devices 1month of Developing Period Apply the conventional Web Simple Update and Alteration No Problem with and OS Usable I all Devices Connection using Web No need to Install Weakness High Development Cost in Comparison with Mobile Web 1~3 months of Developing Period Different Programming Language according to Individual OS Long Connection Time on the Internet Unavailable Specific Functions (GPS, Accelerator) Low Secondary Accessibility using Browser
3.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 3.1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환경 및 시스템 구성 철도 내부직원의 모바일 기기의 이용자들은 대부분 95%(표본조사 113명 중 107명) 이상이 Android 기반의 OS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droid OS에 기반한 모바일 기 기를 대상으로 한정하기로 한다. Table 2와 같이 개발환경은 Android OS 4.3 체제에서 Eclipse 개발 Tool을 활용한 JAVA로 개발하였으며, WAS는 WebtoB/Jeus, DB(Server)는 ORACLE 을 사용하였다. Table 2. Environment of Development LIST Mobile OS Language WAS,Application Server DB(Server) Tool Contents Android 4.3(Jelly Bean) Java, JSP, jquery Mobile WebtoB, Jeus Oracle Eclipse, Aptana Studio 개발방식은 2장에서 살펴 보았듯이 모바일 앱 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앱 방식을 채택하였다. Table 3의 모바일 메뉴 중 안전경보의 Push Message 기능의 구현과 제한된 자용자(내부 사용자)를 위한 편리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바일 앱 방식을 적 용하였고, 나머지 메뉴들은 게시판 형식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조회 서비스 및 보안적인 고려 를 위하여 모바일 웹 방식을 적용하였다. 모바일 안전마당은 Fig 4와 같이 사용자는 설치한 앱 아이콘을 클릭하여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내부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모바일 기기 를 이용하여 각 통신사 망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모바일 앱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형태이다. Fig. 4 The Construct Diagram of Mobile APP Service
3.2 모바일 앱 서비스의 콘텐츠 구성 Fig 5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초기 로그인 화면 및 전체 메뉴 구성화면 이다. 메뉴는 크게 9가지의 카테고리로 구성 된다. 첫 번째, 안전관련 정책, 홍보, 콘텐츠 운영 등의 정보 전달 및 직원 상호간의 소통을 위한 직원소식 메뉴이다. 두 번째, 안전에 관련된 실시간 안전정보 를 전파하기 위한 안전경보 메뉴이며, 발생 할 때마다 Push Message로 전달되며, 환경설정에 Fig. 5 The Screen of Login and Menu in Mobile APP 따라 알람 진동 기능이 제공된다. 세 번째,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사 례에 대하여 전파하기 위한 국내사고사례 메뉴이다. 네 번째, 안전관련 제도(규정, 지침 등) 에 대한 정보를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제공하는 안전제도Q&A 메뉴이다. 다섯 번째, 전직원의 안전에 관련된 제안을 통해 안전의식을 공유하고자 마련된 안전제안방 메뉴이다. 여섯 번째, 열차운행에 관련된 제도(규정, 지침 등)에 대한 정보를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제공하는 운전 제도Q&A 메뉴이다. 일곱 번째, 전직원의 열차운행에 관련된 제안을 통해 안전의식을 공유하고 자 마련된 안전제안방 메뉴이다. 여덟 번째, 반복되는 안전사고, 작업현장의 불안전요인 등 안 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자 안전의식을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의 아직도이런일이 메뉴이다. 아홉 번째, 안전관련 교육, 홍보, 사고사례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안전관련동영상 메뉴이다. 이에 대한 각 메뉴의 구성 및 세부내용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The Menu of Mobile APP Menu 직원소식 안전경보 국내사고사례 안전제도Q&A 안전제안방 운전제도Q&A 운전제안방 아직도이런일이 안전관련동영상 Contents 안전관련 정책, 홍보, 콘텐츠 운영 등의 정보 전달 및 직원 상호간 소통 안전에 관련된 실시간 안전정보 전파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사례에 대하여 전파 안전관련 제도(규정, 지침 등)에 대한 정보를 Q&A 형식으로 제공 전직원의 안전에 관련된 제안을 통해 안전의식을 공유하고자 마련 열차운행에 관련된 제도(규정, 지침 등)에 대한 정보 Q&A 형식으로 제공 전직원의 열차운행에 관련된 제안을 통해 안전의식을 공유하고자 마련 반복되는 안전사고, 작업현장의 불안전요인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의식을 공유 안전관련 교육, 홍보, 사고사례 동영상 등 안전관련동영상 제공 3.3 모바일 앱 서비스의 단계별 확대 전략 본 연구에서는 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Fig 6과 같이 보안위협(개인정보 유출, 웹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효율적으로 안전소통을 할 수 있는 단계적 접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적(1단계)으로 단방향 소통 위주의 철도 직원을 대상으로 안전정보의 신속한 전파 및 공유를 통하여 안전문화의 정착에 기여하기 위하여 모바일 안전 마당을 구현하였다. 중기적(2단계)으로 철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대국민 서비스 및 긴급 사고시 유관기관과 연계한 사고복구를 신 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방위(양방향 및 유관기관 연계, 위치기반 서비스 등) 서비스를 고 려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의 공공기관에 대한 표준 보안 가인 드라인 제공 현행화 및 보안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뒤 따라야 할 것이다. Fig. 6 Step-by-step expansion strategy
4. 결론 및 향후계획 본 연구는 시간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즉시성 있는 소통채널 확대를 통해 철도의 안전문화 확산 및 휴먼에러의 사전예방을 위한 모바일 앱 서비스의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최근 들어 대형 철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안전의식의 결여(인적오류) 뿐만 아니라 시간 공 간의 제약에 따른 안전정보 소통의 부재, 교번 교대 근무에 따른 안전정보 전파 제약에 따른 즉시성 있는 안전정보 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한 것이 큰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율적으 로 해결하기 위하여 언제, 어디서나 안전소통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바일 앱 서비스는 철도 최상의 가치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선도적인 창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모바일 앱 서비스의 운영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제 시하는 등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할 계획이다. 후 기 본 연구는 코레일 안전본부 후원 및 2014년도 코레일 정보기술단 ICT 연구회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J.W Choi et al. (2013)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Marine Pollution Respo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9(4), pp.532-358. [2] Y.K Choi, E.K Kim (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App-Based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4(4), pp. 85-90. [3] Y.H Ko et al. (2012) Developing disaster preparedness contents mobile application for disaster vulnerable peopl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4] H.J Chae, J.W Kim (2013)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pp for Safe Dietary Life based o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septions on Pesticide Resid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ookery, 29(2), pp.16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