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포커스 작성 권호영 / 본원 수석연구원 (hykwon@kocca.kr) 이문행 / 수원대학교 교수 (moonhlee@suwon.ac.kr) 2015. 04. 29 2015-03호(통권 93호)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Ⅰ. 미국 방송 산업 현황 Ⅱ.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진출 현황 Ⅲ.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요약 1.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의 특징 미국은 세계 최대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소비 국가 - 미국인들은 저녁 주시청 시간대에 실시간TV(67%)를 가장 많이 시청하고, 다음으로 스트리밍(45%), DVR(31%)의 순임 - 미국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29.3%는 OTT서비스를 통해 소비 - 미국의 지상파 방송사는 해외 드라마를 수입하여 편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드라마의 경우 리메이크하거나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을 도입 - 미국에서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유통 경로는 전문채널과 온라인 사이트 미국은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시장 중 3번째로 큰 시장 - 일본, 중국 다음으로 한국 프로그램을 미국에 많이 수출 -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경로는 과거 비디오 유통에서 채널 사업과 온라인 사이트로 변화됨 - 2014년 MBC America의 콘텐츠 수익 구성을 보면 채널 등 오프라인 유통이 61%, 온라인 유통이 35%, 비디오 유통이 4%를 차지함 - 한국의 지상파 방송 3사는 지상파, 케이블TV, 위성방송으로 채널을 송출하고, 한국의 PP는 위성방송, 케이블TV, IPTV 등으로 채널을 송출 -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온라인 유통은 한국 드라마 스트리밍 사이트 위주(Drama Fever, Viki, Kdrama)로 판매되며, Netflix, HuLu 등에도 전송권을 판매하고 있음 - 한국의 방송 포맷을 2010년 이후 미국에 판매하고 있으나, 본방송에 현재까지 편성된 경우는 없음 (2015년 하반기에 2편 예정되어 있음) - 미국에 한국 드라마의 고정 팬층이 넓고 고르게 존재(미국내 한국 드라마 시청자수는 약 1,800만 명으 로 추산)하지만, 예능 프로그램의 소비자층은 드라마나 K-POP에 비해 두텁지 않음 한국 프로그램을 미국내 전인종이 고르게 소비하고 있음(드라마 시청자는 한국계 4.4%, 아시아계 29%, 백인 24%, 히스패닉 19%, 흑인 9%) 미국내 한국 드라마의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30대 초반의 여성 시청경로 : 드라마의 경우 한국 드라마 전문 사이트(드라마피버, 비키), 예능 프로그램은 유튜브와 드 라마피버를 통해서 시청 방송사의 미국 수출 전략 - 드라마의 온라인 유통 강화 : 주요 인기 배우들의 프로모션 지원, 판권 판매 전략의 수정, 미국 시장에 적합한 드라마 개발 -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수출 확대 : 미국 채널에 본방 편성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함 02
- 히스패닉 채널에 한국 콘텐츠의 배급 확대 정부의 미국 수출 전략 - 미국의 유수한 바이어와 제작사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함 - 한국 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인지도를 높이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함 - 재제작 지원과 포맷 제작 지원의 강화 - 미국에서 한국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 03
2015-0393 04
그림 1 커넥티드TV와 실시간TV간 시청자 경험 비교 70 60 50 40 30 60 30 51 33 49 32 48 21 40 23 커넥티드TV 실시간TV 20 10 0 편리함 손쉬움 편리함 라이프사이클에 적합 콘텐츠 검색의 즐거움 * 출처 : The video ink, Streaming on Connected-TVs Continues to rise(stady) 2014. 10. 29. 미국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29.3%는 OTT서비스를 통해 소비 2) 미국 동영상 스트리밍 이용 실태 3) - 2014년 가정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을 시청하는 비중은 83%(전년대비 9%p 증가) 18~34세 응답자의 90%, 35~19세 응답자의 75%가 가정에서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 -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시 이용한 단말은 커넥티드 TV(62%)가 가장 많고, 다음이 랩탑PC(48%), 태블릿 (28%), 핸드폰(23%) 순임 미국의 온라인 비디오 소비 행태(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을 통한 비디오 이용) 4) - PC나 태블릿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횟수가 많음 - 온라인 비디오 시청시 온라인 비디오앱을 주로 이용하고(73%), 다음으로 SNS(29%)를 많이 이용함 - 온라인 비디오 이용시 음악(33%), 코미디(29%), TV쇼(22%), 영화(18%), 뉴스 및 정책 순(17%)으로 많이 시 청함 2. 미국의 방송콘텐츠 제작과 유통 미국 방송에서 방송 프로그램은 자체 제작과 외주/공동 제작으로 구분됨 - 자체제작 : 지상파방송사가 기획, 투자, 제작, 배급 모두를 주도하는 경우(예 : ABC의 Lost, ) - 외주/공동제작 : 주로 제작은 독립제작사가 하고 투자 및 배급은 지상파 방송사가 담당하는 형태(예 : Prison Break, CSI ) - 포맷 라이센싱 : 리얼리티 쇼 등의 포맷 구매(예 : American Idol 의 경우 FremantleMedia가 원작권을 소 2) Axwave조사(CCTV뉴스, 2015년4월13일) 3) The video ink, Streaming on Connected-TV s Continues to rise(study), 2014.10.29 4) Consumer Barometer with Google 05
06 2015-0393
미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2013년 회원제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은 전년 대비 25% 증가해 12억 달러로 성장해 전체 비디오 시장의 50% 를 차지 - 넷플릭스가 선두를 지키고 있고, 훌루플러스가 뒤따르고 있음 - 미국 전체 가구의 25%는 넷플릭스에 가입, 미국 전체 성인의 36%가 넷플릭스를 이용 무료 비디오 콘텐츠 시장은 유튜브가 36%로 선두를 지키고 있고, 훌루는 18%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2013년)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 넷플릭스와 아이튠즈의 브랜드 인지도는 90%를 상회하며, 훌루닷컴은 슈퍼볼 경기 광고 등을 통해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있음 미국인 응답자의 50%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34%는 비디오 대여를, 16%는 비디오 구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남(2013년 조사) 넷플릭스의 <House of Card>의 성공이후 온라인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오리지널 독점 콘텐츠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표 3 미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동영상 플랫폼 Youtube Netflix Hulu itunes Store 설명 세계 최대 영상 공유 웹사이트 2005년 설립 후 2006년 Google에 인수 UGC와 단편 영상, 뮤직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성 일평균 방문자 수 3,694만 명 광고 기반의 무료서비스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월 0.99달러의 유료모델도 운영 중 미국 최대 방송,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 1977년 DVD우편 대여 서비스로 출발 2007년 온라인 서비스로 사업 확장 가입자 기반의 유료서비스(이용요금은 월 7.99달러) 영화와 TV방송콘텐츠가 중심 전체 가입자수는 5,306만명, 유료 가입자수는 5,065만명(2014년 3분기 기준) 미국 방송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지상파방송사 ABC, FOX, NBC의 합작으로 2007년 설립 영화와 TV 방송콘텐츠 중심 광고 매출과 정액제 유료서비스가 주요 수입원 가입기반 프리미엄 상품인 Hulu+의 경우 월 요금 7.99달러 유료가입자수는 500만명 수준(2013년 말 기준) 애플이 운영하는 온라인 디지털 미디어 스토어(시작은 음악) 2005년 월트디즈니의 드라마, 2006년에는 영화 등의 동영상 콘텐츠 판매 10억개의 TV프로그램과 3.9억만개의 영화 타이틀 판매(2013년 3분기 기준) * 출처 : 각사 홈페이지 07
3. 미국내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수입 유통 구조 6) 미국 지상파 방송사가 해외 드라마를 수입하여 편성하는 경우는 많지 않음 - 영국의 드라마 및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제외하고 해외 드라마를 거의 편성하지 않음 - 스페인어의 채널(유니비전 등)의 경우 남미의 드라마 편성 - 인기 드라마 The Office 는 영국 BBC의 작품이나 미국의 NBC는 이를 더빙이나 자막 처리하지 않고 미국 정 서에 맞게 재제작함 포맷(또는 원작) 수입 - 미국 지상파 방송사는 해외 프로그램을 포맷 수입 형태가 역사상 가장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 - 역사상 유명한 포맷 수입 사례 : Wheel of Fortune(현재는 Jeopardy), Who Wants to Be a Millionaire, Survivor 등 - 미국 방송사는 주로 영국의 방송국이나 독립 제작사들인 BBC, Fremantle, RDF Media, 네덜란드의 Endemol 등으로부터 포맷을 수입하고 있음 - 미국 방송사가 일본의 후지TV나 호주의 ABC가 원작인 프로그램들이 일부 있음 - 포맷 수입은 주로 리얼리티 프로그램 및 퀴즈쇼 등 게임쇼 장르에서 이루어짐 - 드라마나 코미디어의 경우 포맷 수입이 된 사례가 별로 없음 : 드라마 포맷 성공 사례가 The Office 임 라이선스 수입/공동제작 - 유료TV채널이나 지방 방송국은 해외 영화, 해외 드라마,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등을 방영권을 수입하여 편성함 - 가장 간단한 방식은 해외 영화 및 다큐멘터리 시리즈의 방영권을 저작권자 또는 해당 저작권자의 미국 내 방 송 배급권을 가진 주체로부터 현금을 주고 구입하는 방식임, 주로 주요 유료TV 채널이 많이 활용하는 방식,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사가 미국 방송 시장에 진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임 - 미국의 채널사업자 또는 제작사와의 공동 제작을 통해 미국 방송에 진출하는 방식, 주로 애니메이션 분야에 서 많이 활용되는 이 공동제작 및 배급 방식은 한국의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제작사들도 많이 활용하고 있 는 방식임 채널 설립을 통한 진출 - CNN, MTV, ESPN, Nickelodeon 등 미국의 전문 채널들이 그 장르의 브랜드를 그대로 살려 해외에 진출함 - 반면 미국으로 지출하는 해외의 프로그램들은 인종 시장을 겨냥한 인종 채널이 중심 : 이유는 이민자들의 언 어가 상이하고, 이민자들의 특성상 모국의 문화와 콘텐츠를 향유하려는 강한 지향성 때문임, 이러한 지향성 은 소비에 있어서도 이민자들을 구분시키며 이는 바로 광고 시장을 형성을 의미하여 미국 내 채널 진출은 인 종 시장이 중심이 됨 - 스페인어 채널의 성공 :4,500만 명에 이르는 안정적인 스페인어 사용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유니비전 (Univision)과 텔레문도(Telemundo) 등은 반 세기가 넘는 지속적인 사업 전개를 통해 인종 채널 시장에서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확립 - 아시안 아메리칸 대상 케이블 채널의 실패 :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아시안 아메리칸 대상 케이블 채널 인 AZN은 문을 닫았고, IATV(ImaginAsian)는 정착에 실패후 CJ에 매각함 6) 권호영(2010), 한국 영상물의 미국 수출 전략, KOCCA FOCUS 2010-12, 한국콘텐츠진흥원 08
2015-0393 09
10 2015-0393
- AVOD(Advertisement Video on Demand) : 광고기반 무료 VOD로 드라마피버와 ViKi가 이 방식을 이용 하여 유통 - SVOD(Subscription Video on Demand) : 유료 가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VOD 유통 방식으로 드라마피버가 이용중 - T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 시청 프로그램당 지불 방식(Pay per view)으로 한국 방송 후 24시간 이내 온라인으로 미국 시장에 유통됨 프로그램 시청 가격이 AVOD 와 SVOD에 비해 고가 TVOD는 한국 본방 후 시청률이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선판매됨 드라마피버닷컴 (Dramafever.com) 북미에 기반을 둔 동영상 사이트로, 미국에 한국 드라마의 주요 공급처임 - 드라마피버는 현재 한국 드라마 700여 편을 서비스 - 드라마피버는 2014년 소프트뱅크에 합병됨 가입자는 콘텐츠 관람을 위해 월 9.99 달러의 비용을 지불해야 - 미국, 캐나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이용이 가능 드라마피버는 1개월에 1,800만 명의 방문자수를 기록(2014년 4월 기준) - 이용자의 66%가 여성이고, 18~34세 이용자 비중이 큼 - 회원의 84%가 비아시아 출신의 미국인 : 백인 44%, 히스패닉 25%, 아시아인 16%, 아프리칸 아메리칸 14% 2009년에 사이트 개설 후 최근 5년 간 6개월 마다 두 배 이상 성장 드라마피버 회원들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이유는 편안한 환경에서 다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매력이 가장 큼 미국에 거주하는 라틴 아메리카 출신 회원 수의 증가로 인해, 2014년 4월 NBC 산하 히스패닉 텔레비전 채널 텔레문도(telemundo)와 한국 드라마 콘텐츠 공급계약을 체결함 2013년 드라마피버는 한국 드라마제작사와 협업으로 자체 드라마 시리즈 Heirs 를 제작하여, 약 3개월간 1,700만 조회 수를 기록함 드라마피버는 HuLu, Netflix, YouTube, Amazon, Samsung, itunes에 200여개 한국콘텐츠를 공급 - 협약 체결 후 첫 주에 꽃보다 남자 와 넌 내게 반했어 가 아이튠즈 Top 200에 랭크됨 비키닷컴 (Viki.com) viki는 video와 wiki의 합성어로, 팬베이스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전 세계 팬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 드라마에 대해 약 160여 개의 외국어 자막 서비스 가 제공 가입자는 매월 3.99 달러 비용으로 한국 드라마 시청이 가능 2014년 현재 앙큼한 돌싱녀 가 32개 국어, 별에서 온 남자 는 69개 국어의 자막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11
숨피닷컴 (Soompi.com) 한국의 팝 문화를 소개하는 영어 웹사이트로, 한국계 미국인 수전강(강수진)이 2006년에 창업 2014년 초에 일본 애니메이션 사이트인 크런치롤에 인수되어 기존 한국 드라마 채널인 케이 드라마 닷컴과 합 병함 자매 서비스인 숨피뉴스와 숨피 포럼에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으로 한국 소식, 연예, 음악, 스타일 정 보 제공 2011년부터 한국의 연예 기획사들과 협업하여 한국의 아티스트와 콘텐츠를 소개 2014년 10월에 한국 방송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숨피TV 를 론칭 - KBS, MBC, SBS, CJ E&M 등과 제휴해 국내 방영 직후 영어 자막으로 제공 케이드라마닷컴(Kdrama.com) 애니메이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사이트 Crunchyroll 이 한국 드라마 시청자를 겨냥한 케이드라마닷컴을 2014년 2월 런칭함 2014년 NATPE에서 Crunchyroll은 KBS 미디어는 봄의 왈츠 를 구매 Crunchyroll은 향후 드라마피버와 경쟁할 것으로 전망됨 넷플릭스 (Netflix.com) 넷플릭스는 로테이션 방식으로 한국 드라마 서비스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한 한국 드라마 숫자는 2012년 3개 작품에서 현재 32개 작품으로 증가함 훌루닷컴 (hulu.com) 2010년 2월 드라마피버 닷컴과 한국 드라마 콘텐츠 공급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한국 드라마 페이지를 만들어 공 격적으로 마케팅함 운영 초기에는 종영된 드라마를 주로 제공해왔으나, 2011년 KBS, SBS, MBC와 신규 계약을 체결한 2012년 부터 한국에서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들을 제공하기 시작함 - 한국과의 콘텐츠 공급 시간차를 줄임으로써 2012년 사이트 내 한국 드라마 시청 횟수는 전년 대비 135% 증가함 훌루닷컴에 따르면, 한국 드라마는 비아시안계층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고 주요 시청자 층은 중년 여성인 것 으로 파악됨 12
4. 한국 프로그램 포맷의 미국 판매 현황 미국으로 포맷 판매는 2013년 이후에 활발함 - 한국의 프로그램 포맷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주로 판매 미국의 경우 드라마 리메이크 판권 구매가 많음 - 2010년에 KBS가 마왕, 부활 의 리메이크권을 판매하였고, 이후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포맷을 미국에 판매함 - 2013년 이후 드라마 리메이크권의 미국 판매는 11건이고,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판매는 2건에 불과함 CJ E&M와 KBS가 미국으로 포맷 판매에 열심 - 이외에 SBS와 jtbc가 미국에 포맷을 판매함 한국이 판매한 포맷이 미국 방송사에 정규 편성된 사례가 아직 없음 - 꽃보다 할배 와 크리이지마켓이 가 제작에 들어가 2015년 하반기에 방송 예정 - 포맷 판매된 작품이 방송사에 정규 편성되려면, 대본 작업-포맷제작-본방편성의 과정의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한 경쟁을 통과해야 함 표 6 한국방송사의 미국 지사의 채널 사업 제목 방송 채널 미국 대행사 경과 나인: 아홉 번의 시간 여행 뱀파이어 검사2 제3병원 tvn OCN tvn Fake Empire Entertainment Intrige ABC 라이업 제외 옵션 계약 굿닥터 KBS 3AD, EnterMedia CBS와 옵션 계약 사랑과 전쟁 KBS 옵션 계약 슈퍼맨이 돌아왔다. KBS 옵션 계약 별에서 온 그대 SBS EnterMedia, Sony Pictures ABC와 포맷 계약 신의 선물 SBS CAA 파일럿 제작 무정도시 jtbc Sony Pictures SONY와 포맷 계약 꽃보다할배 tvn Small World IFT NBC 촬영 시작, 방영 예정 크리이지마켓 올리브 Small World IFT Food Network 방영 예정 히든싱어 jtbc NBC유니버셜와 포맷 계약 * 출처 : 신문보도 종합 13
5. 한국 프로그램의 미국 내 이용 현황 한국 드라마의 미국 소비자 조사 결과 조사개요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사무소가 조사를 주관 - 2014년 10월에 2주간 2,304명을 온라인으로 조사 - 조사 대상 :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영어자막) 시청경험이 있는 소비자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 고정 팬 층이 넓고, 고르게 존재 - 미국내 한국 드라마 시청자수는 약 1천8백만 명으로 추산 - 전 연령대, 인종, 지역에 걸쳐 고른 팔층 확보 : 한국계 4.4%, 아시아계 29%, 백인 24%, 히스패닉 19%, 흑인 9% 미국내 한국 드라마 팬의 특성 -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 ~ 30대 초반의 여성(75%) - 선호 장르 : 로맨틱 코미디(72%), 멜로(12.9%), 역사(6.9%) 등 - 드라마 선택 기준 : 좋은 스토리 (53%), 좋아하는 배우 (34%) 한국 드라마의 매력 포인트: 빼어난 스토리 (44%), 좋은 연기 (20%)와 유사 - 시청경로 : 영어자막 서비스 갖춘 온라인 스트리밍 사이트 Dramafever 55.7%, Viki 25.7% 등 한국 드라마 전문 사이트 주로 활용 미국 드라마, 코미디, 영화 등을 주로 서비스하는 Netflix, Hulu에 비해 많은 작품수 보유, K-pop, 예능 버라이어티 등 한류 콘텐츠 접근성 용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미국 소비자 조사 결과 조사개요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사무소가 조사를 주관 - 2014년 11월에 2주간 784명을 온라인으로 조사 - 조사 대상 : 미국에서 한국 예능 프로그램(영어자막) 시청경험이 있는 소비자 미국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의 특성 -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 ~ 20대 반의 여성(전체 응답자의 75% 차지) 조사 참여자의 90.4%가 여성으로, 여성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주소비자 -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전 인종 집단이 고르게 소비하고 있음 : 동양인(30.1%), 히스패닉 라틴계(24.7%), 백 인(19.4%). 아프리카계 미국인(9.6%), 한국계 미국인(2.9%) - 선호 장르 : 로맨틱 코미디(72%), 멜로(12.9%), 역사(6.9%) 등 -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소비자 층은 드라마와 K-Pop에 비해 두텁지 않음 미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들은 유튜브(37.8%)와 드라마피버(37.4%)를 통해 주로 소비 -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53.4%)이 가장 좋아하는 한국 예능 프로그램으로 런닝맨(SBS) 을 선택함 14
미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들은 리얼 버라이어티(67%)를 좋아하며, 토크쇼(11%), 코미디(9.6%), 오디 션(2.8%), 퀴즈쇼(2.7)의 순으로 선호함 -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자의 53%는 동양인이며, 코미디 시청자의 31%와 토크쇼 시청자의 36%는 히스패닉/ 라틴계, 퀴즈쇼 시청자 28%는 백인으로 조사됨 미국 팬들은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매력으로 재미와 웃음 (50.6%), 좋아하는 연예인의 출연 (43.4%)을 꼽음 Ⅲ.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1.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현황 : 요약 한국의 지상파 방송3사들은 다양한 경로를 프로그램을 판매해 왔음 - 2010년경까지 매출은 한인 교포 대상의 비디오 사업이 가장 큰 비중 - 2015년 현재는 채널 진출과 온라인 판매가 주력 매출이고, 비디오 사업 매출의 거의 소멸함 미국에서 전통 매체인 TV채널에는 한국 프로그램의 편성이 어려움 - 한국 사업자는 미국 TV채널에 예능 포맷과 드라마 리메이크권을 판매함 - KBS는 2010년 KBS가 부활 과 마왕 의 포맷을 판매한 이후 다수를 프로그램의 포맷 판매를 계약하였지 만, 아직까지 본방에 편성된 사례는 없음 한국에서 완성된 콘텐츠는 한국계 채널과 온라인 사이트에 주로 판매됨 - 지상파채널 및 유료TV 채널로 수십 개의 한국계 채널이 운영중이지만 수익성이 높지 않음 - 현재는 광고수익을 모델로 하는 방송사들이 재정적으로 어렵고, 유료채널 또는 프리미엄 티어에 제공중인 채널은 재정 상태가 양호함 - 드라마피버, 비키, 케이드라마 등 한국 드라마 스트리밍 사이트 위주로 판매되며 Netflix, Hulu 등에도 전 송권을 판매하고 있음 : 온라인에는 주로 드라마가 판매됨 -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온라인 사업의 수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2. 방송사의 미국 수출 전략 미국에서 온라인 사업의 강화 - 고객층을 넓히기 위해 주요 인기 배우들의 프로모션 지원 등 마케팅이 강화될 필요 있음 - 판권 거래 방식을 MG+수익 배분 방식을 도입하고, 판권 판매 전략을 위한 협의체를 마련하여 전략적 거래 시스템을 마련 - 미국 시장에 소구되는 드라마를 발굴 15
- 온라인 스트리밍에 적합한 미니시리즈를 개발하고, 기존 드라마의 온라인용 버전 제작을 활성화해야 함 포맷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미국 지상파TV 채널등 주요 채널에 본방으로 편성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함 - 2015년 하반기에 두 개의 예능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인기를 끌 경우, 한국 프로그램 포맷의 미국 판매가 급 증할 가능성이 큼 히스패닉 채널에 한국 콘텐츠를 배급하여 방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미국 바이어를 타깃으로 제작된 시놉시스, 번역, 트레일러를 제작해야 함 - 현재 한국 방송사들이 만드는 홍보물을 아시아 바이어를 타깃으로 제작됨 3. 정부의 미국 수출 전략 미국의 유수한 바이어와 제작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함 - 현재 KOCCA가 개최하는 K Drama in LA Screening 과 유사한 마켓의 확대 - 할리우드 제작자들과 네트워킹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한국 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인지도를 높이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함 - CJ가 주최하는 K-CON 과 같은 행사 개최 등 - 정부 차원에서 미국 시청자에게 인기 있는 배우/연예인과의 공동 프로모션 추진 재제작 지원과 포맷 제작 지원의 강화 - 미국 케이블채널(다문화권 채널)에 편성되기 위해서는 현지 수준의 영어 더빙 제작지원 확대 - 미국 바이어를 타깃으로 시놉시스, 번역, 트레일러의 제작 지원 - 포맷 바이블 등 제작 지원 사업 확대 미국 지상파방송사에 한국 프로그램이 편성되기 위해서는 미국방송사와 정책적인 차원의 교류 또는 광고유치 를 통한 자금지원이 필요 체계적인 미국 시장 정보의 제공과 피칭 전문가 양성 - 미국 시장 동향에 대한 정기적인 워크숍 등 개최 - 한국 마켓터의 피칭 능력을 높여야 함 미국에서 한국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 - 온라인 유통의 경우 불법 다운로드로 인해 큰 피해를 보고 있음 - 미국 현지에 진출 해 있는 국내 저작권관련 업체들의 불법저작물 단속지원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 을 지원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