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의 특징 미국은 세계 최대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소비 국가 - 미국인들은 저녁 주시청 시간대에 실시간TV(67%)를 가장 많이 시청하고, 다음으로 스트리밍(45%), DVR(31%)의 순임 - 미국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29.3%는 OT

Similar documents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마이 리틀 텔레비전>(출처: MBC 홈페이지) 란 타이틀로 방송할 수 있다. 단발성으로 끝나도 무방하다. 시청률이 저조해도 실패했다는 느낌 을 주지 않는다. 명절 기간 특유의 확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사람들이 모이는 기간이다 보니 프로 그램에 대한 감상과 평가가 다

KBI......_ hwp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 1), Google TV TV, Hulu, Netflix, TV N-Screen TV,, TV, TV IPTV TV N-Screen TV, Needs TV *, (TEL)

VOD시청률 조사 판매 설명회를 실시하였다. TNMS에서 제공한 VOD 시청률 자료 3) 를 통해 국내 방송에서는 시청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플랫폼별 인기 프로그램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방영된 TV 프로그램 중 일별

1월16일자.hwp

□ 개요

이 된 것은 아닌지. 떠난 내 동기는 이 회사가 결코 자랑스럽지 않았다. SBS 황성준 교양PD가 그와 입사동기인 예능PD 3명이 중앙일보 종편 jtbc로 이직하자 8월 24일자 SBS노보에 실은 기고문의 한 대목이다. 황 PD는 동료들의 이직 사유를 돈 이 아닌 끝나

ePapyrus PDF Document

슬라이드 1

hwp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1 TV,,, One Source Multi Use ,.,...,.

2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Hallym Communication Policy Research Center 47 C/P/R/C/칼/럼 네트워크에 종속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OTT는 네트 워크나 단말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입자의 입장에서는 더 이상 네트워크나 단말에 구속받지 않 고 콘텐츠의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 그림 2> 를살펴보면, TV 콘텐츠소비자의 95.2% 가 TV수상기를통해프로그램을시청하고있으며, 소비자의절반정도 (51.8%) 는 TV수상기이외의기기를통해서프로그램을시청하고있다. TV 콘텐츠소비자는 PC보다스마트기기 (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 를통해방송프로그램을더

<312E20C1BEC7D5C6ED2D B3E220C4DCC5D9C3F7BBEABEF720B1B9B3BB203130B4EB20C0FCB8C120B9D720C7D8BFDC2035B4EB20C0FCB8C12DC6EDC1FD2E687770>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위한 Adobe Experience Manager Mobile

슬라이드 1

untitled

6월1일자(2007).hwp

연속극 <가족끼리 왜 이래>, 2위는 KBS 1TV의 일일연속극 <당신만이 내사랑>, 3위는 MBC 주말드라마 <전설의 마녀>가 꼽혔다. 표1 2015년 시청률 상위 20개 프로그램 순위 프로그램(그룹) 채널 가구시청률(%) 1 주말연속극 <가족끼리 왜 이래> KBS2


2

Print


hwp

<C7D1B1B9C4DCC5D9C3F7C1F8C8EFBFF82D C4DCC5D9C3F7BBEABEF7B9E9BCAD5FB3BBC1F E687770>

<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0CFB9DDB9E8C6F7BFEB292DC3D6C1BE2E687770>

Microsoft Word - 문서10

임내현 룕安 신당과 함께 낡은 진보 청산룖 정치 새정연 탈당 선언 광주 2호 보수까지 외연을 넓힘으로써 정권교체 의 희망의 싹을 틔우겠다룖며 탈당을 선 2 임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 기자회 김동철 의원에 이어 광주 의원의 두 번 견에서 룕호남과 중도세력을 모두 품지


<4D F736F F D203035B1E8B0A1BFB55FC6AFC1FD5F2DC3D6C1BE>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드라마제작사의 주가 추이(2년) (%) 3 2 삼화네트웍스 초록뱀 IHQ 팬엔터테인먼트 1 (1) 11/12 5/13 11/13 5/14 11/14 중국의 해외 방송 콘텐츠에 대한 규제 정리 규제 종류 주요 내용 시간 19~22시까지 해외 드라마와 영화는 전 채널 방영

Trend Analysis 유튜브는 지난 2007년 말을 기준으로 미국 시장에서만 매일 6만5천여 건의 비디오 업로드와 1천억 건의 시청 횟수를 기록했다. 현재 전 세계 비디오 포털 시장에서, Google Video, My Space TV, Yahoo!Video, Br

글청봉3기 PDF용

K-IFRS,. 2013, , 2, 3,.,.. 2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슬라이드 1


목차 제 1 장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설계 표본설계 ) 표본의성별과나이특성 ) 표본의인종집단특성 ) 표본의지역별분포... 9 제 2 장조사결과 한국드라마를시청해온기간

3월 한달 간, 씨앤앰 VOD [지상파 3사 통합월정액] 상품을 리모콘으로 가입하신 고객님 모두에게 VOD 1만원 쿠폰 을 드립니다! 씨앤앰 [지상파3사 통합월정액]이란? 지상파 3사 VOD 무제한 시청! 단 한번 가입으로 지상파 3사의 모든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을

광고 시장의 변화와 미디어 노동

기획과 편성의 롤러코스터 파탄 드라마 희비극 MBC는 9시 시간대에 교양 예능 프로그램 대신 일일 드라마를 36년 만에 편성했다. 하지만 구암 허준 의 시청률이 낮았기 때문에 8시 뉴스데스크 의 시청률 상 승은 기대할 수 없었다. 시사 예능 토크쇼 컬투의 베란 다쇼 도

/ MBN AD Marketing Dep. The Solution!! MBN Newsletter Feb MBN 2 - (1)

<4D F736F F D20C1A4BAB8C5EBBDC5C1F8C8EFC7F9C8B8BFF8B0ED5FBDBAB8B6C6AEBDC3B4EBBAF22E727466>

Layout 1

2 종 합 2015년 5월 19일 화요일 韓, 국가부도 위험 금융위기 이 후 최저 이산가족 상봉, 더는 시간이 없다 신청자 절반이 80세 이상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국제 채권시장 요동 속 전인 2007년 12월 31일(45굨0bp) 이후 CDS 프리미엄 하향

C O N T E N T S 주류가 된 스크린에이저 5 1. 스크린에이저 가 시장을 바꾸고 있다! 5 2. TV Everywhere = TV Nowhere 6 3. Broadcast가 아닌 Narrowcast의 시대 7 4. 정글의 법칙이 지배할 N스크린 시장 8 매체

2 조선 동아 `대통령 선거 개입' 두둔 중앙일보의 < 새누리 150석은 건지겠나 청와대 참모들 한숨뿐>(3/14, 6면) 보도 역시 집권 4년차에 접어든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 주도권을 쥐려면 4 13 총선에서 새누리 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필수적 이라는 분석과

황보람-MCN의 성장과 전망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이 보고서는 2015년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발전기금 방송통신 정책 연구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방송통신위 원회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중국 콘텐츠 공동 제작 활성화 기대 한국과 중국 간의 콘텐츠 공동 제작 확대에 따른 해외 매출 증가 및 수익 개선을 전망한다. ATF 215 에서는 중국의 산업 성장에 따른 한국 콘텐츠 수출 및 공동 제작에 큰 관심이 모아 졌다. 행사 둘째 날에 개최된 한국 콘텐

CLICK, FOCUS <표 1> 스마트TV와 기존TV의 구분 및 비교 구분 전통TV 케이블TV/IPTV 인터넷TV/웹TV 스마트TV 전달방식 방송전파 케이블/인터넷망 인터넷망 인터넷망 양방향 서비스 없음 부분적으로 있음 있음 있음 콘텐츠 지상파 방송사가 확보한 콘텐츠

01

SIGIL 완벽입문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9월 14일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2001년 8월 31일에 코스닥시

Microsoft Word - D-Film-TV (수정)_편.docx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9월 14일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2001년 8월 31일에 코스닥시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 D3238C2F728C1A4B1E22920B9DFBEF0B3BBBFEB28B0F8B0B3292E687770>

2012 방송영상산업백서 CONTENTS 제 1 부 국내 방송영상산업 주요 이슈 제 1 장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 제 1 절 주요 이슈 소개 2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출범 이후 진단과 전망 5 제 3 절 방송사 장기 파업 19 제 4 절 지상파-케이블 프로그램 재전송

크리에이터라는 보물을 찾는 뉴미디어 스타트업, 트레져헌터

세계표준과 동떨어진 낡은 족쇄가 마침내 풀렸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박재완입니다. 방송법, 신문법,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IPTV법) 등 이른바 미디어산업발전법 개정안이 7월 22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로써 1980년대 군사정권의 언론통

스마트 TV 부상에따른시사점 스마트 TV 부상에따른시사점 * 1) TV TV TV TV, TV TV OS, TV, (CPU), TV TV 13 1/3, 1/2,, *, (TEL) ( ) 1) N OS


Microsoft Word - Media_outlook_2013_K_FinalFinal-A.doc

CSG_keynote_KO copy.key

경제에 대한 압력 증대로 이어져, 다양한 사업자의 인수합병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개인방송의 활성화와 MCN(multi-channel network)의 부상 양띵, 대도서관, 김이브 등 유튜브나 아프리카TV 등을 중심으로 활약하는 스타 BJ가

2

<B4DCC7E0BABBB5B5BCADB8F1B7CF2833B4DC295F F F3131B3E233BFF96F6B2E687770>

한국드라마미국시장소비자조사

다음웹툰광고상품소개_ _v1.2

12MIPCOM_참가결과보고_경영공시.hwp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NEWS 유료방송업계 유료 VOD 매출 고성장 유료방송업계 유료 VOD 매출, 매년 연 평균 20%대 고성장 유료 VOD 매출이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VOD 요금제도가 신고제로 전환되면서 유료방송시장 내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 기사출처

Ⅰ. 출장개요 출장목적 < NAB 2017 개요 > 개요 년부터매년개최되는세계최대의방송장비박람회 주최 북미방송사업자연합회 일정및장소 토 목 미국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 전시품목 방송통신관련장비 서비스 콘텐츠등전문전시회 출장내역 주요활동 2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4D F736F F D F B9CCB5F0BEEE20C4C1C5D9C3F720B1A4B0ED28BAF1C1DFC8AEB4EB292D E646F6378>

제 1 장 2012 Broadcasting Industry White Paper 장르별 방송영상프로그램 제 1 절 드라마 1 여는 글 ? 2010 SBS 2011 MBC MBC SBS fantasy

디바이스 최적화 진행과 모바일 특화 콘텐츠의 등장 닐슨의 조사에 따르면 TV, PC, 모바일을 모두 이용하는 멀티스크린 이용자는 2013년 47.6%에서 2014년 54.7%로 증가하였다. 이에 발맞춰 영상 사업자들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영상 재생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04 특집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성도

2011 Broadcasting Industry White Paper 월간지 기사들 및 방송기사들의 제목과 주요 학회지 논문들의 초록들을 분석해 만들어졌다. 전문 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시 이 목록에 있는 11개 이슈들을 제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이 이슈들 이외에

Microsoft Word - Afreeca_init_K_Final

<B9CCB1B9C0C74354BDC7BFEBBFB5BBF3B9B0C0AFC5EBB1B8C1B6BAD0BCAE E3235C6EDC1FD292E687770>

2월1일자.hwp

TV&MO or PC&MO 이용자전연령층에서증가 3S TV&MO or PC&MO TV&PC IS 15% 16% 22% 58% 55% 82% 83% 72% 75% 39% 45% 7~18 세 19~34 세 35 세 ~50 세 50 세이상 그러나매체를이용해방송프로그램을시청한

요약 2011년도한국방송콘텐츠수출입현황을집계한결과수출은총 4만 2,250편, 2억 2,789만 1천달러로집계되었고, 수입의경우 1만 6,220편, 1억 966만 2천달러로집계되었음 주요지상파사업자 ( 지역민영방송제외 ) 와케이블독립제작사의 2011년도수출입데이터를분석한


정책연구13-63.hwp

정치

Transcription:

코카포커스 작성 권호영 / 본원 수석연구원 (hykwon@kocca.kr) 이문행 / 수원대학교 교수 (moonhlee@suwon.ac.kr) 2015. 04. 29 2015-03호(통권 93호)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Ⅰ. 미국 방송 산업 현황 Ⅱ.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진출 현황 Ⅲ.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요약 1.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의 특징 미국은 세계 최대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소비 국가 - 미국인들은 저녁 주시청 시간대에 실시간TV(67%)를 가장 많이 시청하고, 다음으로 스트리밍(45%), DVR(31%)의 순임 - 미국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29.3%는 OTT서비스를 통해 소비 - 미국의 지상파 방송사는 해외 드라마를 수입하여 편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드라마의 경우 리메이크하거나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을 도입 - 미국에서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유통 경로는 전문채널과 온라인 사이트 미국은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시장 중 3번째로 큰 시장 - 일본, 중국 다음으로 한국 프로그램을 미국에 많이 수출 -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경로는 과거 비디오 유통에서 채널 사업과 온라인 사이트로 변화됨 - 2014년 MBC America의 콘텐츠 수익 구성을 보면 채널 등 오프라인 유통이 61%, 온라인 유통이 35%, 비디오 유통이 4%를 차지함 - 한국의 지상파 방송 3사는 지상파, 케이블TV, 위성방송으로 채널을 송출하고, 한국의 PP는 위성방송, 케이블TV, IPTV 등으로 채널을 송출 -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온라인 유통은 한국 드라마 스트리밍 사이트 위주(Drama Fever, Viki, Kdrama)로 판매되며, Netflix, HuLu 등에도 전송권을 판매하고 있음 - 한국의 방송 포맷을 2010년 이후 미국에 판매하고 있으나, 본방송에 현재까지 편성된 경우는 없음 (2015년 하반기에 2편 예정되어 있음) - 미국에 한국 드라마의 고정 팬층이 넓고 고르게 존재(미국내 한국 드라마 시청자수는 약 1,800만 명으 로 추산)하지만, 예능 프로그램의 소비자층은 드라마나 K-POP에 비해 두텁지 않음 한국 프로그램을 미국내 전인종이 고르게 소비하고 있음(드라마 시청자는 한국계 4.4%, 아시아계 29%, 백인 24%, 히스패닉 19%, 흑인 9%) 미국내 한국 드라마의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30대 초반의 여성 시청경로 : 드라마의 경우 한국 드라마 전문 사이트(드라마피버, 비키), 예능 프로그램은 유튜브와 드 라마피버를 통해서 시청 방송사의 미국 수출 전략 - 드라마의 온라인 유통 강화 : 주요 인기 배우들의 프로모션 지원, 판권 판매 전략의 수정, 미국 시장에 적합한 드라마 개발 -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수출 확대 : 미국 채널에 본방 편성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함 02

- 히스패닉 채널에 한국 콘텐츠의 배급 확대 정부의 미국 수출 전략 - 미국의 유수한 바이어와 제작사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함 - 한국 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인지도를 높이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함 - 재제작 지원과 포맷 제작 지원의 강화 - 미국에서 한국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 03

2015-0393 04

그림 1 커넥티드TV와 실시간TV간 시청자 경험 비교 70 60 50 40 30 60 30 51 33 49 32 48 21 40 23 커넥티드TV 실시간TV 20 10 0 편리함 손쉬움 편리함 라이프사이클에 적합 콘텐츠 검색의 즐거움 * 출처 : The video ink, Streaming on Connected-TVs Continues to rise(stady) 2014. 10. 29. 미국에서 시청되는 콘텐츠의 29.3%는 OTT서비스를 통해 소비 2) 미국 동영상 스트리밍 이용 실태 3) - 2014년 가정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을 시청하는 비중은 83%(전년대비 9%p 증가) 18~34세 응답자의 90%, 35~19세 응답자의 75%가 가정에서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 -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시 이용한 단말은 커넥티드 TV(62%)가 가장 많고, 다음이 랩탑PC(48%), 태블릿 (28%), 핸드폰(23%) 순임 미국의 온라인 비디오 소비 행태(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을 통한 비디오 이용) 4) - PC나 태블릿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횟수가 많음 - 온라인 비디오 시청시 온라인 비디오앱을 주로 이용하고(73%), 다음으로 SNS(29%)를 많이 이용함 - 온라인 비디오 이용시 음악(33%), 코미디(29%), TV쇼(22%), 영화(18%), 뉴스 및 정책 순(17%)으로 많이 시 청함 2. 미국의 방송콘텐츠 제작과 유통 미국 방송에서 방송 프로그램은 자체 제작과 외주/공동 제작으로 구분됨 - 자체제작 : 지상파방송사가 기획, 투자, 제작, 배급 모두를 주도하는 경우(예 : ABC의 Lost, ) - 외주/공동제작 : 주로 제작은 독립제작사가 하고 투자 및 배급은 지상파 방송사가 담당하는 형태(예 : Prison Break, CSI ) - 포맷 라이센싱 : 리얼리티 쇼 등의 포맷 구매(예 : American Idol 의 경우 FremantleMedia가 원작권을 소 2) Axwave조사(CCTV뉴스, 2015년4월13일) 3) The video ink, Streaming on Connected-TV s Continues to rise(study), 2014.10.29 4) Consumer Barometer with Google 05

06 2015-0393

미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2013년 회원제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은 전년 대비 25% 증가해 12억 달러로 성장해 전체 비디오 시장의 50% 를 차지 - 넷플릭스가 선두를 지키고 있고, 훌루플러스가 뒤따르고 있음 - 미국 전체 가구의 25%는 넷플릭스에 가입, 미국 전체 성인의 36%가 넷플릭스를 이용 무료 비디오 콘텐츠 시장은 유튜브가 36%로 선두를 지키고 있고, 훌루는 18%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2013년)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 넷플릭스와 아이튠즈의 브랜드 인지도는 90%를 상회하며, 훌루닷컴은 슈퍼볼 경기 광고 등을 통해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있음 미국인 응답자의 50%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34%는 비디오 대여를, 16%는 비디오 구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남(2013년 조사) 넷플릭스의 <House of Card>의 성공이후 온라인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오리지널 독점 콘텐츠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표 3 미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동영상 플랫폼 Youtube Netflix Hulu itunes Store 설명 세계 최대 영상 공유 웹사이트 2005년 설립 후 2006년 Google에 인수 UGC와 단편 영상, 뮤직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성 일평균 방문자 수 3,694만 명 광고 기반의 무료서비스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월 0.99달러의 유료모델도 운영 중 미국 최대 방송,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 1977년 DVD우편 대여 서비스로 출발 2007년 온라인 서비스로 사업 확장 가입자 기반의 유료서비스(이용요금은 월 7.99달러) 영화와 TV방송콘텐츠가 중심 전체 가입자수는 5,306만명, 유료 가입자수는 5,065만명(2014년 3분기 기준) 미국 방송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지상파방송사 ABC, FOX, NBC의 합작으로 2007년 설립 영화와 TV 방송콘텐츠 중심 광고 매출과 정액제 유료서비스가 주요 수입원 가입기반 프리미엄 상품인 Hulu+의 경우 월 요금 7.99달러 유료가입자수는 500만명 수준(2013년 말 기준) 애플이 운영하는 온라인 디지털 미디어 스토어(시작은 음악) 2005년 월트디즈니의 드라마, 2006년에는 영화 등의 동영상 콘텐츠 판매 10억개의 TV프로그램과 3.9억만개의 영화 타이틀 판매(2013년 3분기 기준) * 출처 : 각사 홈페이지 07

3. 미국내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수입 유통 구조 6) 미국 지상파 방송사가 해외 드라마를 수입하여 편성하는 경우는 많지 않음 - 영국의 드라마 및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제외하고 해외 드라마를 거의 편성하지 않음 - 스페인어의 채널(유니비전 등)의 경우 남미의 드라마 편성 - 인기 드라마 The Office 는 영국 BBC의 작품이나 미국의 NBC는 이를 더빙이나 자막 처리하지 않고 미국 정 서에 맞게 재제작함 포맷(또는 원작) 수입 - 미국 지상파 방송사는 해외 프로그램을 포맷 수입 형태가 역사상 가장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 - 역사상 유명한 포맷 수입 사례 : Wheel of Fortune(현재는 Jeopardy), Who Wants to Be a Millionaire, Survivor 등 - 미국 방송사는 주로 영국의 방송국이나 독립 제작사들인 BBC, Fremantle, RDF Media, 네덜란드의 Endemol 등으로부터 포맷을 수입하고 있음 - 미국 방송사가 일본의 후지TV나 호주의 ABC가 원작인 프로그램들이 일부 있음 - 포맷 수입은 주로 리얼리티 프로그램 및 퀴즈쇼 등 게임쇼 장르에서 이루어짐 - 드라마나 코미디어의 경우 포맷 수입이 된 사례가 별로 없음 : 드라마 포맷 성공 사례가 The Office 임 라이선스 수입/공동제작 - 유료TV채널이나 지방 방송국은 해외 영화, 해외 드라마,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등을 방영권을 수입하여 편성함 - 가장 간단한 방식은 해외 영화 및 다큐멘터리 시리즈의 방영권을 저작권자 또는 해당 저작권자의 미국 내 방 송 배급권을 가진 주체로부터 현금을 주고 구입하는 방식임, 주로 주요 유료TV 채널이 많이 활용하는 방식, 해외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사가 미국 방송 시장에 진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임 - 미국의 채널사업자 또는 제작사와의 공동 제작을 통해 미국 방송에 진출하는 방식, 주로 애니메이션 분야에 서 많이 활용되는 이 공동제작 및 배급 방식은 한국의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제작사들도 많이 활용하고 있 는 방식임 채널 설립을 통한 진출 - CNN, MTV, ESPN, Nickelodeon 등 미국의 전문 채널들이 그 장르의 브랜드를 그대로 살려 해외에 진출함 - 반면 미국으로 지출하는 해외의 프로그램들은 인종 시장을 겨냥한 인종 채널이 중심 : 이유는 이민자들의 언 어가 상이하고, 이민자들의 특성상 모국의 문화와 콘텐츠를 향유하려는 강한 지향성 때문임, 이러한 지향성 은 소비에 있어서도 이민자들을 구분시키며 이는 바로 광고 시장을 형성을 의미하여 미국 내 채널 진출은 인 종 시장이 중심이 됨 - 스페인어 채널의 성공 :4,500만 명에 이르는 안정적인 스페인어 사용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유니비전 (Univision)과 텔레문도(Telemundo) 등은 반 세기가 넘는 지속적인 사업 전개를 통해 인종 채널 시장에서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확립 - 아시안 아메리칸 대상 케이블 채널의 실패 :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아시안 아메리칸 대상 케이블 채널 인 AZN은 문을 닫았고, IATV(ImaginAsian)는 정착에 실패후 CJ에 매각함 6) 권호영(2010), 한국 영상물의 미국 수출 전략, KOCCA FOCUS 2010-12, 한국콘텐츠진흥원 08

2015-0393 09

10 2015-0393

- AVOD(Advertisement Video on Demand) : 광고기반 무료 VOD로 드라마피버와 ViKi가 이 방식을 이용 하여 유통 - SVOD(Subscription Video on Demand) : 유료 가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VOD 유통 방식으로 드라마피버가 이용중 - T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 시청 프로그램당 지불 방식(Pay per view)으로 한국 방송 후 24시간 이내 온라인으로 미국 시장에 유통됨 프로그램 시청 가격이 AVOD 와 SVOD에 비해 고가 TVOD는 한국 본방 후 시청률이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선판매됨 드라마피버닷컴 (Dramafever.com) 북미에 기반을 둔 동영상 사이트로, 미국에 한국 드라마의 주요 공급처임 - 드라마피버는 현재 한국 드라마 700여 편을 서비스 - 드라마피버는 2014년 소프트뱅크에 합병됨 가입자는 콘텐츠 관람을 위해 월 9.99 달러의 비용을 지불해야 - 미국, 캐나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이용이 가능 드라마피버는 1개월에 1,800만 명의 방문자수를 기록(2014년 4월 기준) - 이용자의 66%가 여성이고, 18~34세 이용자 비중이 큼 - 회원의 84%가 비아시아 출신의 미국인 : 백인 44%, 히스패닉 25%, 아시아인 16%, 아프리칸 아메리칸 14% 2009년에 사이트 개설 후 최근 5년 간 6개월 마다 두 배 이상 성장 드라마피버 회원들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이유는 편안한 환경에서 다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매력이 가장 큼 미국에 거주하는 라틴 아메리카 출신 회원 수의 증가로 인해, 2014년 4월 NBC 산하 히스패닉 텔레비전 채널 텔레문도(telemundo)와 한국 드라마 콘텐츠 공급계약을 체결함 2013년 드라마피버는 한국 드라마제작사와 협업으로 자체 드라마 시리즈 Heirs 를 제작하여, 약 3개월간 1,700만 조회 수를 기록함 드라마피버는 HuLu, Netflix, YouTube, Amazon, Samsung, itunes에 200여개 한국콘텐츠를 공급 - 협약 체결 후 첫 주에 꽃보다 남자 와 넌 내게 반했어 가 아이튠즈 Top 200에 랭크됨 비키닷컴 (Viki.com) viki는 video와 wiki의 합성어로, 팬베이스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전 세계 팬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 드라마에 대해 약 160여 개의 외국어 자막 서비스 가 제공 가입자는 매월 3.99 달러 비용으로 한국 드라마 시청이 가능 2014년 현재 앙큼한 돌싱녀 가 32개 국어, 별에서 온 남자 는 69개 국어의 자막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11

숨피닷컴 (Soompi.com) 한국의 팝 문화를 소개하는 영어 웹사이트로, 한국계 미국인 수전강(강수진)이 2006년에 창업 2014년 초에 일본 애니메이션 사이트인 크런치롤에 인수되어 기존 한국 드라마 채널인 케이 드라마 닷컴과 합 병함 자매 서비스인 숨피뉴스와 숨피 포럼에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으로 한국 소식, 연예, 음악, 스타일 정 보 제공 2011년부터 한국의 연예 기획사들과 협업하여 한국의 아티스트와 콘텐츠를 소개 2014년 10월에 한국 방송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숨피TV 를 론칭 - KBS, MBC, SBS, CJ E&M 등과 제휴해 국내 방영 직후 영어 자막으로 제공 케이드라마닷컴(Kdrama.com) 애니메이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사이트 Crunchyroll 이 한국 드라마 시청자를 겨냥한 케이드라마닷컴을 2014년 2월 런칭함 2014년 NATPE에서 Crunchyroll은 KBS 미디어는 봄의 왈츠 를 구매 Crunchyroll은 향후 드라마피버와 경쟁할 것으로 전망됨 넷플릭스 (Netflix.com) 넷플릭스는 로테이션 방식으로 한국 드라마 서비스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한 한국 드라마 숫자는 2012년 3개 작품에서 현재 32개 작품으로 증가함 훌루닷컴 (hulu.com) 2010년 2월 드라마피버 닷컴과 한국 드라마 콘텐츠 공급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한국 드라마 페이지를 만들어 공 격적으로 마케팅함 운영 초기에는 종영된 드라마를 주로 제공해왔으나, 2011년 KBS, SBS, MBC와 신규 계약을 체결한 2012년 부터 한국에서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들을 제공하기 시작함 - 한국과의 콘텐츠 공급 시간차를 줄임으로써 2012년 사이트 내 한국 드라마 시청 횟수는 전년 대비 135% 증가함 훌루닷컴에 따르면, 한국 드라마는 비아시안계층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고 주요 시청자 층은 중년 여성인 것 으로 파악됨 12

4. 한국 프로그램 포맷의 미국 판매 현황 미국으로 포맷 판매는 2013년 이후에 활발함 - 한국의 프로그램 포맷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주로 판매 미국의 경우 드라마 리메이크 판권 구매가 많음 - 2010년에 KBS가 마왕, 부활 의 리메이크권을 판매하였고, 이후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포맷을 미국에 판매함 - 2013년 이후 드라마 리메이크권의 미국 판매는 11건이고,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판매는 2건에 불과함 CJ E&M와 KBS가 미국으로 포맷 판매에 열심 - 이외에 SBS와 jtbc가 미국에 포맷을 판매함 한국이 판매한 포맷이 미국 방송사에 정규 편성된 사례가 아직 없음 - 꽃보다 할배 와 크리이지마켓이 가 제작에 들어가 2015년 하반기에 방송 예정 - 포맷 판매된 작품이 방송사에 정규 편성되려면, 대본 작업-포맷제작-본방편성의 과정의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한 경쟁을 통과해야 함 표 6 한국방송사의 미국 지사의 채널 사업 제목 방송 채널 미국 대행사 경과 나인: 아홉 번의 시간 여행 뱀파이어 검사2 제3병원 tvn OCN tvn Fake Empire Entertainment Intrige ABC 라이업 제외 옵션 계약 굿닥터 KBS 3AD, EnterMedia CBS와 옵션 계약 사랑과 전쟁 KBS 옵션 계약 슈퍼맨이 돌아왔다. KBS 옵션 계약 별에서 온 그대 SBS EnterMedia, Sony Pictures ABC와 포맷 계약 신의 선물 SBS CAA 파일럿 제작 무정도시 jtbc Sony Pictures SONY와 포맷 계약 꽃보다할배 tvn Small World IFT NBC 촬영 시작, 방영 예정 크리이지마켓 올리브 Small World IFT Food Network 방영 예정 히든싱어 jtbc NBC유니버셜와 포맷 계약 * 출처 : 신문보도 종합 13

5. 한국 프로그램의 미국 내 이용 현황 한국 드라마의 미국 소비자 조사 결과 조사개요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사무소가 조사를 주관 - 2014년 10월에 2주간 2,304명을 온라인으로 조사 - 조사 대상 :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영어자막) 시청경험이 있는 소비자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 고정 팬 층이 넓고, 고르게 존재 - 미국내 한국 드라마 시청자수는 약 1천8백만 명으로 추산 - 전 연령대, 인종, 지역에 걸쳐 고른 팔층 확보 : 한국계 4.4%, 아시아계 29%, 백인 24%, 히스패닉 19%, 흑인 9% 미국내 한국 드라마 팬의 특성 -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 ~ 30대 초반의 여성(75%) - 선호 장르 : 로맨틱 코미디(72%), 멜로(12.9%), 역사(6.9%) 등 - 드라마 선택 기준 : 좋은 스토리 (53%), 좋아하는 배우 (34%) 한국 드라마의 매력 포인트: 빼어난 스토리 (44%), 좋은 연기 (20%)와 유사 - 시청경로 : 영어자막 서비스 갖춘 온라인 스트리밍 사이트 Dramafever 55.7%, Viki 25.7% 등 한국 드라마 전문 사이트 주로 활용 미국 드라마, 코미디, 영화 등을 주로 서비스하는 Netflix, Hulu에 비해 많은 작품수 보유, K-pop, 예능 버라이어티 등 한류 콘텐츠 접근성 용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미국 소비자 조사 결과 조사개요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사무소가 조사를 주관 - 2014년 11월에 2주간 784명을 온라인으로 조사 - 조사 대상 : 미국에서 한국 예능 프로그램(영어자막) 시청경험이 있는 소비자 미국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의 특성 - 주시청자층 : 10대 후반 ~ 20대 반의 여성(전체 응답자의 75% 차지) 조사 참여자의 90.4%가 여성으로, 여성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주소비자 -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전 인종 집단이 고르게 소비하고 있음 : 동양인(30.1%), 히스패닉 라틴계(24.7%), 백 인(19.4%). 아프리카계 미국인(9.6%), 한국계 미국인(2.9%) - 선호 장르 : 로맨틱 코미디(72%), 멜로(12.9%), 역사(6.9%) 등 -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소비자 층은 드라마와 K-Pop에 비해 두텁지 않음 미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들은 유튜브(37.8%)와 드라마피버(37.4%)를 통해 주로 소비 -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53.4%)이 가장 좋아하는 한국 예능 프로그램으로 런닝맨(SBS) 을 선택함 14

미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소비자들은 리얼 버라이어티(67%)를 좋아하며, 토크쇼(11%), 코미디(9.6%), 오디 션(2.8%), 퀴즈쇼(2.7)의 순으로 선호함 -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자의 53%는 동양인이며, 코미디 시청자의 31%와 토크쇼 시청자의 36%는 히스패닉/ 라틴계, 퀴즈쇼 시청자 28%는 백인으로 조사됨 미국 팬들은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매력으로 재미와 웃음 (50.6%), 좋아하는 연예인의 출연 (43.4%)을 꼽음 Ⅲ.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전략 1.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 현황 : 요약 한국의 지상파 방송3사들은 다양한 경로를 프로그램을 판매해 왔음 - 2010년경까지 매출은 한인 교포 대상의 비디오 사업이 가장 큰 비중 - 2015년 현재는 채널 진출과 온라인 판매가 주력 매출이고, 비디오 사업 매출의 거의 소멸함 미국에서 전통 매체인 TV채널에는 한국 프로그램의 편성이 어려움 - 한국 사업자는 미국 TV채널에 예능 포맷과 드라마 리메이크권을 판매함 - KBS는 2010년 KBS가 부활 과 마왕 의 포맷을 판매한 이후 다수를 프로그램의 포맷 판매를 계약하였지 만, 아직까지 본방에 편성된 사례는 없음 한국에서 완성된 콘텐츠는 한국계 채널과 온라인 사이트에 주로 판매됨 - 지상파채널 및 유료TV 채널로 수십 개의 한국계 채널이 운영중이지만 수익성이 높지 않음 - 현재는 광고수익을 모델로 하는 방송사들이 재정적으로 어렵고, 유료채널 또는 프리미엄 티어에 제공중인 채널은 재정 상태가 양호함 - 드라마피버, 비키, 케이드라마 등 한국 드라마 스트리밍 사이트 위주로 판매되며 Netflix, Hulu 등에도 전 송권을 판매하고 있음 : 온라인에는 주로 드라마가 판매됨 -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온라인 사업의 수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2. 방송사의 미국 수출 전략 미국에서 온라인 사업의 강화 - 고객층을 넓히기 위해 주요 인기 배우들의 프로모션 지원 등 마케팅이 강화될 필요 있음 - 판권 거래 방식을 MG+수익 배분 방식을 도입하고, 판권 판매 전략을 위한 협의체를 마련하여 전략적 거래 시스템을 마련 - 미국 시장에 소구되는 드라마를 발굴 15

- 온라인 스트리밍에 적합한 미니시리즈를 개발하고, 기존 드라마의 온라인용 버전 제작을 활성화해야 함 포맷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미국 지상파TV 채널등 주요 채널에 본방으로 편성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함 - 2015년 하반기에 두 개의 예능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인기를 끌 경우, 한국 프로그램 포맷의 미국 판매가 급 증할 가능성이 큼 히스패닉 채널에 한국 콘텐츠를 배급하여 방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미국 바이어를 타깃으로 제작된 시놉시스, 번역, 트레일러를 제작해야 함 - 현재 한국 방송사들이 만드는 홍보물을 아시아 바이어를 타깃으로 제작됨 3. 정부의 미국 수출 전략 미국의 유수한 바이어와 제작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함 - 현재 KOCCA가 개최하는 K Drama in LA Screening 과 유사한 마켓의 확대 - 할리우드 제작자들과 네트워킹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한국 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인지도를 높이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함 - CJ가 주최하는 K-CON 과 같은 행사 개최 등 - 정부 차원에서 미국 시청자에게 인기 있는 배우/연예인과의 공동 프로모션 추진 재제작 지원과 포맷 제작 지원의 강화 - 미국 케이블채널(다문화권 채널)에 편성되기 위해서는 현지 수준의 영어 더빙 제작지원 확대 - 미국 바이어를 타깃으로 시놉시스, 번역, 트레일러의 제작 지원 - 포맷 바이블 등 제작 지원 사업 확대 미국 지상파방송사에 한국 프로그램이 편성되기 위해서는 미국방송사와 정책적인 차원의 교류 또는 광고유치 를 통한 자금지원이 필요 체계적인 미국 시장 정보의 제공과 피칭 전문가 양성 - 미국 시장 동향에 대한 정기적인 워크숍 등 개최 - 한국 마켓터의 피칭 능력을 높여야 함 미국에서 한국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 - 온라인 유통의 경우 불법 다운로드로 인해 큰 피해를 보고 있음 - 미국 현지에 진출 해 있는 국내 저작권관련 업체들의 불법저작물 단속지원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 을 지원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