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ICT 이슈 IoT 로 성장의 탄력 받는 스마트홈 * 1. 본격 성장기 진입이 기대되는 스마트홈 IoT 접목으로 본격적인 성장기 진입이 기대되는 스마트홈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빠르게 접목되고 있는 IoT -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인위적인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 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 - 최근 IoT 는 자동차, 헬스케어, 교육, 보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빠르게 접목 IoT 접목으로 본격적인 성장기 진입이 기대되는 스마트홈 - IoT 가 화두로 부상하며 이를 도입, 적용하려는 분야가 확대되는 가운데 가장 주목 받는 분야의 하나가 스마트홈 - Gartner 는 IoT 로 연결되는 스마트홈 관련 디바이스 수가 2015 년에 전년대비 126% <자료>: The Internet of Things: Mapping the Value Beyond the Hype, McKinsey & Company, 2015.6. (그림 1) McKinsey 가 본 가정 내 IoT 애플리케이션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산업분석팀( 042-612-8213, ssj@iitp.kr)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35
주간기술동향 2015. 8. 12. 늘어난 4.7 억 대, 2020 년에는 69.6 억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 McKinsey 는 가정에 IoT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함에 따른 경제적 가치가 2025 년 기 준 연간 최대 약 3,500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 2. 시장 전망과 국내외 기업들의 추진 동향 가파른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는 스마트홈 시장 스마트홈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IoT 의 접목으로 그 성장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미래 성장 잠재력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 스마트홈 서비스는 기기판매뿐만 아니라 관련된 응용 소프트웨어, 부가 서비스 시장 까지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잠재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 이에 따라 Google, Apple,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IT 기업들도 스마트홈 서비스 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지목(현대증권) Gartner 는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시장이 2015 년 약 20 억 달러에서 2020 년 약 154 억 달러 규모로, 기기 시장이 2015 년 약 4.7 억 대에서 2020 년 약 69.6 억 대 규모로 성장 예상 국내 시장도 2014 년 약 8.2 조 원 수준에서 2017 년에는 18 조 원 규모를 넘어설 것 으로 전망 - 산업 내 65% 정도는 스마트 TV 가 차지하고 있고, 22.2%는 스마트융합가전 분야로 아직은 특정 분야에 편중된 상태 - 하지만 향후 연평균 20% 이상 고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전력, 보안, 조명, 헬스케 어 등 타분야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 IoT 기반 스마트홈의 잠재적 경제 효과에 대한 평가 McKinsey 는 가정에 IoT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함에 따른 경제적 가치가 2025 년 기준 연간 최대 약 3,500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 36 www.iitp.kr
<표 1> IoT 기반 스마트홈의 잠재적 경제 효과(2025 년 연간 기준) 구분 가정(assumptions) 잠재적 가치 가사 자동화 (chore automation) 에너지 관리 (energy management) 안전/보안 (safety and security) 사용기반 설계 (usage-based design) 판매 전 분석 (pre-sales analytics) - 가사에 소용되는 시간, 비용: 21~24 조 달러 - IoT 기반 가사 자동화 기기 도입: 선진국 7~9%, 개도국 2% - 주거용 에너지 및 CO 2 비용 1.5 조 달러 - IoT 기반 에너지 제어 애플리케이션 도 입: 선진국 25~50%, 개도국 4~13% - 가정용 보험 비용 5,000 억 달러 - IoT 기반 안전/보안 기기 도입: 선진국 18~29%, 개도국 9~13% - 65 세 이상 성인 존재 세대 수: 7 억 세대 - 제품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미활용 기능 제거 등 성능 개선 - 가전기기(home appliances)에 부가된 가 치 3,000 억 달러 - 가정용 기기를 통해 수집한 IoT 활용 데 이터 분석, 소비자의 제품 구입 가능성 여 부 판단 - 가전기기에 부가된 가치 3,000 억 달러 잠재적 경제 효과 (억 달러) - 시간 절약 17% 1,340~1,970 - 냉난방 등에 따른 에너지 절 약 20% - 침입, 화재, 누수 탐지 IoT 시스템 도입-재산상 손해 10% 절감 - 보안 시스템 지불 의사액: ~180 달러(연간) 510~1,080 150~220 - 공급업자 총수익 7% 개선 30~170 - 공급업자 총수익 2% 개선 0~50 - - - 2,030~3,490 <자료>: The Internet of Things: Mapping the Value Beyond the Hype, McKinsey & Company, 2015. 6. 국내외 기업들의 사업 추진 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격전지, 스마트홈 - 장밋빛 시장 전망 속에 플랫폼, 서비스, 보안 등의 분야에서 국내외 핵심 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전개 <표 2> 분야별 국내외 주요 기업의 스마트홈 추진 동향 구분 내용 플랫폼 통신사 Google, Apple, 삼성전자 등이 각각의 얼라이언스 중심으로 플랫폼 주도권 경쟁 전개 - Google: 2011 년 5 월 Android@HOME 을 통해 안드로이드 기반 글로벌 표준화 시도했으나 1 차 실패. 이후 온도조절장치 등을 제조하는 Nest(2014 년 1 월), 인터넷 카메라 전문업체 Dropcam(2014 년 6 월), 스마트홈 업체 Revolv(2014 년 10 월) 등을 인수하며 제 2 의 Android@HOME 추진 - Apple: 2015 년 6 월, 아이폰 기반 스마트홈 기기 제어 플랫폼인 홈킷(HomeKit) 업그레이드 버전 공개. 2015 년 가을경에 홈킷과 아이클라우드를 통합한 ios9 출시 예정 - 삼성전자: 스마트가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타이젠 등 OS 플랫폼 개발/확산 주력. IoT 컨 소시엄(쓰레드그룹, OIC 컨소시업) 참여, 스마트홈 플랫폼 회사 Smart Things 인수(2014 년 8 월) 등을 통해 스마트홈 주도권 확보를 위한 노력 중 37
주간기술동향 2015. 8. 12. 구분 서비스 사업자 플랫폼 통신사 서비스 사업자 판매 전 분 석 (pre-sales analytics) 내용 AT&T, Verizon 등 주요 통신사들은 스마트홈 서비스를 통합 콘텐츠 플랫폼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모색 중 - AT&T: 홈오토메이션과 보안을 결합한 Digital Life 상품 출시(2013 년 4 월). 초기 15 개 도시 에서 2015 년 3 월 현재 82 개 도시에서 약 14 만 가입자에게 서비스 - Verizon: 2011 년 10 월 스마트홈 서비스 Home monitoring and control 상용화 - DoCoMo: 2012 년 3 월 증강현실을 접목한 Smart Home ICT 시스템 공개 최근 국내 이동통신 3 사도 잇달아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 진출 - SKT(2015 년 5 월 IoT 통합플랫폼 모비우스 기반 서비스 시작), LGU+(2015 년 7 월부터 스위치 등 6 개 서비스를 순차 출시 예정), KT(2015 년 2 월 IoT 홈피트니스, 7 월 올레 기가 IoT 홈캠 출시) 동작/음성인식 등 가전제품 제어기술과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디바이스 간 N-스크린 서 비스를 개발 중 - MS: 게임콘솔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들의 콘텐츠와 프로토콜 통합 추진 - Apple: 자사제품들(iPhone, ipad, Apple TV 등)과 홈네트워크 융합을 통한 N-스크린 서비스 추진 보안 전문업체들이 기존 보안서비스에 스마트폰 기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 확대 - 에스원(세콤홈즈): 센서와 제어기를 활용한 공동주택 개별세대 전용보안시스템 - KT 텔레캅(홈가드): 센서 기반의 외부침입을 감시하는 홈 보안 서비스 미국 GE, 독일 지멘스, 일본 SONY 등이 스마트그리드 기능, 스마트 제어 기능을 탑재하여 경 쟁중 - GE, Whirlpool: 냉장고, 세탁기, 의류건조기 등에 스마트그리드 기능을 적용하고 아이폰과 아 이패드 앱을 통해 제어하는 기술 제품화 - Siemens: 에너지 절감 기술기반의 스마트 와트 시스템 개발 국내 업체들은 제품 개발과 함께 플랫폼 마련 위해 노력 중 - 삼성전자: 2015 년 5 월,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스마트홈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개방형 반 도체모듈 아틱(Artik)을 공개. 2017 년까지 자사 출시 가전제품의 90%, 2020 년까지 모든 제품 에 스마트홈 기능 탑재 계획 - LG 전자: 홈챗 솔루션을 통해 대화형 가전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카카오톡, 라인 등 과 같은 SNS 서비스와 연계 Google, Apple, 삼성전자 등이 각각의 얼라이언스 중심으로 플랫폼 주도권 경쟁 전개(후술참조) - Google: 2011 년 5 월 Android@HOME 을 통해 안드로이드 기반 글로벌 표준화 시도했으나 1 차 실패. 이후 온도조절장치 등을 제조하는 Nest(2014 년 1 월), 인터넷 카메라 전문업체 Dropcam(2014 년 6 월), 스마트홈 업체 Revolv(2014 년 10 월) 등을 인수하며 제 2 의 Android@HOME 추진 - Apple: 2015 년 6 월, 아이폰 기반 스마트홈 기기 제어 플랫폼인 홈킷(HomeKit) 업그레이드 버전 공개. 2015 년 가을경에 홈킷과 아이클라우드를 통합한 ios9 출시 예정 <자료>: 현대증권, 2014. 11. 외 각종 언론자료 3. 시장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주요국 정책 시장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IoT 기기의 플랫폼 표준화, 소비자가 가치를 인정하는 서비스 제공, 보안 등이 과제 표준화 문제는 스마트홈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의 하나로 평가 - 스마트홈 관련 기기 상호간 호환성 확보, 이에 기반한 규모의 경제 실현 및 시장 확 대를 위해서는 표준 확립이 선결 조건 38 www.iitp.kr
현재 다양한 기업들이 협의체를 구성,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경쟁 - 최대 기구인 onem2m, Qualcomm 등이 주도하는 Allseen Alliance, Intel 등의 OIC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등이 큰 축을 형성한 가운데 Google 등의 Thread Group 등 여러 컨소시엄이 잇따라 만들어지며 주도권 경쟁 가열 당분간 복수 표준의 공존이 예상되며, 표준별로 각각의 생태계가 구축될 전망 - 적극적인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타 표준 사용 기기에서도 쉽고 안전하게 상호 접속 할 수 있는 환경 정비가 필요하며, 그러한 움직임은 이미 진행 소비자가 실질적 가치를 인정하는 서비스를 제공 -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스마트 제품에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 - 미국 소비자(18~54 세, 2,000 명)를 대상으로 한 Nielsen 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IoT 를 활용한 스마트 제품은 단순한 과장 에 불과해 진정한 가치 가 제공되지 않 는 한 스마트 제품으로 교체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상당수 - 동 조사에 따르면, 요구가 강한 스마트 제품 및 기능으로는 냉장고 내에 보존 재료로 만드는 식단 제안, 부재 시 실내 조명 소등, 날씨에 따른 정원의 급수 제어 등이 거론 - 한편, 스마트 제품이 스스로 판단하고 작동하여 소비자의 생활을 좌우하는 것은 그 다지 선호되지 않는 경향 보안, 그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 할 요건 - IoT 는 1 구조적으로 취약한 무선인터넷 이용, 2 저가 통신 장비 사용, 3 장비/단 말 설치 후 사후관리 부족, 4 아직 특별한 인증수단도 없고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 는 커버되지 않으며, 5 보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도 거의 없다는 점 등의 이유로 보안에 특히 취약한 구조 - 실제로 보안회사 Symantec 은 2015 년 3 월 사물인터넷 속 불안(Insecurity in the Internet of Things) 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대다수 스마트홈 기기에서 기초적인 보 안 문제가 발견됐다고 발표 - 미국 보안 서비스 업체 Proofpoint 가 2013 년 말부터 2014 년 초까지 하루 세 차례 10 만 건씩 발송된 피싱ㆍ스팸메일 공격을 모니터링한 결과 가정에 설치한 인터넷 라우터(공유기)ㆍ TV ㆍ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들이 해킹 공격 에 사용 39
주간기술동향 2015. 8. 12. - Nielsen 의 설문조사에서도 조사대상의 53%가 자신 관련 데이터가 자신에게 통보 혹은 승인 없이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였으며, 51%는 해킹에 대해 우려 주요국 정책 주요국은 사물인터넷 정책이라는 큰 틀에서의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그 일환으로 스 마트홈 정책 추진 - 미국은 민간부문이 주도하는 가운데 백악관 직속으로 Smart America Challenge 를 출범, IoT 및 스마트홈 분야를 측면 지원 <표 3> 주요국의 스마트홈 관련 최근 정책 동향 구분 미국 EU 중국 한국 <자료>: 각종 자료 내용 2013 년 12 월, 백악관 직속으로 Smart America Challenge 출범 Cyber-Physical Systems(IoT+system control)의 고용, 신규 비즈니스, 사회경제적 수혜 창출 효과 제시가 목표. 연방정부는 CPS 관련 R&D 에 연간 1 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선언 현재 100 개 이상의 기관이 27 개 팀 구성. 이중 Home/Building 분야에 Convergence of Smart Home and Building Architecture, Smart Home/Business Gateway Platform 등의 팀 존재 2015 년 5 월 유럽위원회는 사물인터넷 투자 및 성장 전략을 제시하는 정책 제안 보고서 (Definition of a Research and Innovation Policy Leveraging Cloud Computing and IoT Combination) 발표 - 동 보고서에서 유럽위원회는 2020 년까지 유럽의 사물인터넷 생태계 조성 전략 및 이를 구현 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권고안들을 제시 - 동 권고안 중 5 번째 항목에서 유럽위원회는 스마트 에너지, 스마트 교통, 스마트 제조 등 가 장 부상하고 있는 IoT 관련 시장에 대해 대규모 파일럿(Large Scale Pilot) 혹은 다른 혁신적 인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 스마트홈은 그 중 하나 2011 년 12 월, 공업정보화부는 사물인터넷 R&D 정책을 구체화 한 사물인터넷 12 차 5 개년 계획 발표 동시에 사물인터넷 기술 R&D, 산업화, 응용 시범사업 전개 등을 위해 총 50 억 위안(약 8 억 1,400 만 달러)의 특별 기금을 조성 - 동 계획을 통한 사물인터넷 응용 수준의 제고를 위해 10 대 중점 분야를 선정, 스마트홈도 그 중 하나 2013 년 9 월, 공업정보화부 등 14 개 부문이 공동으로 국가 사물인터넷 발전 특별 행동계획 발표 - 동 계획에서 스마트홈을 전략적 신흥산업으로 선정, 9 대 중점영역 응용 시범 프로젝트에 포함 - 또한, 20 여 개 중점 지역사회를 선정, 1 만 호 이상의 가정에서 보안, 노인 및 아동 보호, 가전 제품원격 제어 및 스마트 계량 등 스마트홈 시범 응용 사업 전개 계획도 포함 시장조사업체 RnR Market Research 의 2014 년 6 월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홈 시장에서 중 국은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국가 중 하나. 2013~2020 년 간 중국 스마트홈 시장의 연평 균성장률(CAGR)은 17.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미래부는 국가정보화기본계획(2013. 12), 정보통신진흥 및 융합 활성화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 획(2014. 5.), K-ICT 전략(2015. 3.) 등을 통해 스마트홈 추진을 위한 추진전략 및 핵심과제 제시 - 2015 년 4 월 ICT 와 타 산업 융합 촉진을 위한 K-ICT 사물인터넷 융합 실증 5 개 사업 공모, 여기에 개방형 스마트홈 기술개발 및 실증(2015 년 예산 28 억 원) 사업 포함 공모 결과 ETRI 를 주관기관으로 14 개 기업이 참여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향후 3 년간 다양한 스마트 홈 제품ㆍ서비스가 호환되는 개방형 연동 API 개발 및 실증 추진 - 2014 년 10 월, 사물인터넷(IoT) 정보보호 로드맵 을 공표, 홈 가전(홈게이트웨이, 공동주택단 지 서버, IoT 가전) 등의 산업 분야에 보안 내재화( 內 在 化 ) 추진 40 www.iitp.kr
- EU, 중국 등도 스마트홈을 IoT 정책의 중점 지원 분야의 하나로 선정 4. 맺음말 시장 선점을 위한 토대 구축 노력은 긍정적 미래부는 본문에 기술한 개방형 스마트홈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 추진을 통해 다양 한 제품ㆍ서비스가 호환되는 개방형 연동 API 개발 및 실증 사업 추진 예정 - 또한, 개발한 API 를 모든 기업에 개방해 호환성 부재로 인한 시장 저해요인을 제거 하고, 신제품 및 서비스의 실효성, 상호운용성, 안전성을 검증하며, 법제도 개선 근거 도 확보하고, 나아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해외시장 진출 방안도 함께 마련할 계획 이 같은 정책 추진으로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국내 시장을 테 스트베드화 할 수 있는 여건은 조성된 것으로 평가 국내 기업들의 보다 공격적인 시장 진출 필요 적극적 진출로 기회의 문 열어야 - 스마트홈은 가전은 물론 보안, 헬스케어, 에너지 관리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는 대표적인 융합 산업이고, 그만큼 시장 잠재력도 큼 - 아직 초기 시장으로 확실한 주도권을 확보한 글로벌 기업이 부재한다는 점에서 후발 기업들에게도 기회의 문은 열려 있는 시장 - 다만 그로 인해 시장 선점 경쟁이 보다 치열할 전망이며, 특히 Apple, Google 등의 진출 가속화는 기존 스마트폰 시장에서처럼 플랫폼 종속 문제 등의 재현 우려 상존 - 따라서 플랫폼 개발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공략과 진 출, 무엇보다 생태계 구성업계 간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협력 방안 모색이 필요 소비자가 정말로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중요 - Nielsen 의 설문조사 결과는 시장에서의 성공 요소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사례 - 소비자들이 스마트홈 제품과 서비스에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가 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 보급하는 것이 중요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