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부진 요인별) 대외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수출물량까지 감소 (-5.3%), 단가 하락세 지속(-14.0%) * 2015.1~12월 수출물량 증가율 : 1.9%, 수출단가 증가율 : -9.7% - (일시적 요인) 전년 1월 대비 통관일수

Similar documents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13대 목 216 년 2 월 주력목의 수출 증감 요인 ㅇ 전년 2 월은 고가 해양플랜트가 다수 포함되었으나, 금년 2 월은 상선 위주 수출로 수출 감소 선박류 (-46.%) ㅇ (선가지수) 7 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13 년 발주량 증가로 단 상승, 하지만 14 년

<C6F7C4BFBDBA3531C8A32DC6EDC1FDC1DF2E687770>

<3237C8A32DC6EDC1FDC1DF2E687770>

< DC6F7C4BFBDBA3239C8A320C6EDC1FDC1DF2E687770>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2017 년 1 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1 -

e-KIET 628-거시경제 전망-3.indd

e-KIET 622-거시전망-3.indd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 DC6F7C4BFBDBA3337C8A32E687770>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년 산업 전망 종합과 특징 수출은 금년과 비슷한 3%대 성장, 내수 생산은 증가세 둔화 12대 주력산업은 미국 등 선진권 중심의 회복세, 부품수요 증대 등에 힘입어 수출은 금년(3.2%)보다 약간 높은 성장(3.4%), 생산과 내수도 금년대비 소폭 증가 전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C6F7C4BFBDBA3235C8A32DC6EDC1FDC1DF2E687770>

C H A P T E R 5 대외거래 01 수출입총괄 02 수출 03 수입 04 무역수지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3238C8A32DC6EDC1FDC1DF2E687770>

<C6F7C4BFBDBA3336C8A32DC6EDC1FDC1DF2E687770>

경제주평_2016년 한국 경제 전망_ hwp

<3339C8A32DC6EDC1FDC1DF2E687770>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54.1%) 기계류 (20.2%) 의류 (42.6%) 는증가, 제조용장비 ( 0.2%) 철광 ( 2.0%) 은감소 ( 소비재 : 34.9% 증가 ) 의류 (42.6%) 승용차 (8.2%) 담배 (98.8%) 등은증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2. '18 년수출주요특징 * 역대수출액 ( 억달러 ) : (2 위 ) 5,737( 17 년 ), (3 위 ) 5,727( 14 년 ), (4 위 ) 5,596( 13 년 ) * 역대최단기간이자최초 10 월중수출 5,000 억달러旣돌파 (10.29 일 ) * 주요국수출

( 수출현황 ) 품목별실적및특징 반도체 수요 서버및스마트폰등 증가지속등 으로 개월연속 억불대기록및 개월연속수출증가세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패널경쟁심화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수요확대에힘입어 개월만에증가전환 휴대폰 프리미엄스마트폰수출호조등으로 개월 연속수출증가 컴퓨터

<C6F7C4BFBDBA203536C8A320C6EDC1FD2E687770>

<38C8A32DC6EDC1FDC1DF2E687770>

CONTENTS [ 요약 ] ⅰ I. 연구배경 01 II. 수출회복진단 02 Ⅲ. 종합평가및시사점 08 보고서내용문의처동향분석실강내영연구원 ( , 문병기수석연구원 ( ,

<3335C8A35FC6EDC1FDC1DF28C1DFB0A3BFA120B0FDC8A320BAFCC1F6B4C2B0C520C8AEC0CE292E687770>

한편상위 3 대국가에대한수출비중은 2010 년이후꾸준히상승 상위 3 개국의비중은 2010 년 37.8% 에서금년 1~8 월 44.7% 로 6.9%p 증가한반면일본, EU 의 수출비중은감소세를보이며올해각각 4.8%, 9.3% 를차지 우리나라의국가별수출 ( 억달러, 전년동

<3235C8A32DC6EDC1FDC1DF2E687770>

비상업목적으로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할경우내용의출처를명시하면자유롭게인용할수있으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경제연구실 : 주원이사대우 ( ,

2014 년 07 호한국철강협회조사통상실 Tel : 월간철강산업동향

한국무역협회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삼성전자 (005930)

<3335C8A32DC6EDC1FDC1DF2E687770>

<3133C8A32DC6EDC1FDC1DF2E687770>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목차 [ 요약 ] I. 최근환율동향및對일본ㆍ EU 수출동향 1 1. 최근환율동향 1 2. 對일본ㆍ EU 수출동향 4 II. 엔화및유로화약세의수출기업영향 6 1. 설문조사개요 6 2. 엔화약세의수출기업영향 7 3. 유로화약세의수출기업영향 12 III. 결론및시사점 15

<4D F736F F D20BFF8C8ADB0ADBCBCBFA1B5FBB8A5BBEABEF7BFB5C7E2B9D7BDC3BBE7C1A12E646F63>

< 요약 > Ⅰ. 18년 3분기수출실적평가 3분기수출전년동기대비 1.7%, 전분기대비 1.3% 증가 3분기수출액은전분기 (1,517억달러 ) 대비 1.3%, 전년동기 (1,511억달러 ) 대비 1.7% 증가한 1,536억달러로, 16년 4분기이후 8분기연속전년동기대비증

KOTRA 자료 해외시장권역별진출전략 < 유럽 >

< DC6F7C4BFBDBA3537C8A32E687770>

2 수출기업과내수기업의경영지표비교 2014년은수출기업과내수기업모두영업이익률 * 은양호세를지속하고있는반면매출증가율은 2분기부터가파르게둔화된가운데수출기업이더욱부진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x 100 매출액 2 분기부터수출기업과내수기업의매출이 모두감소한가운데수출기업의매출증

< BBF3B9DDB1E2204B444920C0FCB8C12E687770>

2 최근수출부진은수출물량증가세둔화에기인 최근수출부진은단가하락세지속과더불어물량증가세둔화가크게작용 2012 년 2 월부터시작된수출단가하락세가지속되는가운데올해 1 월수출물량증가율이전월의 3 분의 1 수준으로둔화 - 금년 1 월수출단가하락세가심화된것은석유제품 (-4.1% ),

에너지수급브리프 ( )

(1030)사료1112(편집).hwp

02. 수출업계의 2018 년도경영환경전망 대부분의무역업체는내년에도수출회복세가 2018 년에도이어질것으로전망 응답기업의 91.4% 가내년에수출이증가할것이라응답했고, 특히이중 23.2% 의기업은 두자릿수의수출증가를기록할것이라내다봄 기업규모별로는대기업평균 6.0%, 중견기

경제산업동향_2012_5_1.hwp

경제산업동향_2011_1_1.hwp

<BAEAB8AEC7C D3037C8A32834BFF93138C0CF292E687770>

< B3E2C0E7BCF6C1A4C0FCB8C128C8ABBAB8BFEB292E687770>

목 차 1. LED/ 광 1 2. 자동차 의료기기 정보가전 플랜트엔지니어링 생산시스템 조선 로봇 화학공정 세라믹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2. 특징및평가

보도자료_경제전망(16.1월)_ff.hwp

< DC6F7C4BFBDBA3336C8A32DC6EDC1FDC1DF2E687770>

요 약 생산동향 가동률및설비투자 수주동향 수익성동향 재고동향

정보통신기술 수지는 억불흑자를기록하여국내산업 무역수지흑자 억불 달성에이바지했다 정보통신기술 수입은전년동월대비 증가한 억불로 품목별로는반도체 억불 휴대폰 억불 부분품포함 억불 등은증가한반면 디스플레이패널 억불 컴퓨터및주변기기 억불 등수입은감소했다 지역별로는일본억불 중남미

* 일평균수출액 ( 억달러 ) : ( 18.5)23.6 (6)23.8 (7)21.6 (8)21.3 (9)25.9 (10)23.9 일평균수출증감률 (%) : ( 18.5)10.2 (6)6.6 (7)3.9 (8)8.7 (9)10.6 (10) 4.0 * 선박제외일평균수출액

양호 감소세전환 감소폭둔화 감소폭확대 업종 증가율 (%) 15하 16하 디스 일반 철강 정보통신기기 석유 하반기수출증감주요요인 OLED 수요급증경쟁업체의공급차질전년실적부진

2008 년 4/4 분기 동남권지역 경기 전반 제조업 생산 (전년동기대비 -2.9% ) 국내외 수요 부진 등으로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감소로 전환 품목별 생산은 운송장비 제조업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품목에서 전년동기대비감소 컨테이너처리실적 3,219

<3039BFF8C8ADBEE0BCBCBFA1B5FBB8A5B4EBC1DFBCF6C3E2BFB5C7E2B9D7C0FCB8C12E687770>

e-KIET 년 주력산업 전망-2.indd

< B3E220C1DFB1B9C0C720B9ABBFAA20C6AFC2A120B9D B3E220C0FCB8C12E687770>

Microsoft Word _1

러시아의 WTO 가입과 우리의활용방안

Microsoft Word K_01_11.docx

2012년 세계경제는 유럽 재정위기

전년대비특징 호조 (5% 이상 ) 개선 호전 둔화 업종 증가율 (%) 가전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섬유 철강 정보통

<C1DFBCD2B1E2BEF7BFACB1B8BFF85FC1DFBCD2B1E2BEF720C6F7C4BFBDBA20C1A631342D3133C8A328BFC9BCC232B5B5292E687770>

Microsoft Word K_01_08.docx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경제주평_2016한국경제수정전망_ hwp

2. 특징및평가

Monthly Review 통합 v2.hwp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2017 년 6 월수출입동향 6 월수출 514 억달러 (+13.7%), 수입 400 억달러 (+18.0%) 1. 6 월수출입동향개요 - 1 -

2. 특징및평가

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큰폭으로상승업 3 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4.7%p 상승한 1분기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 1분기국가산업단지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했다. 특히 82.4%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지난달최대수출 작년하반기부터유가하락의지속으로제품가격이하락

2. 특징및평가 3. 품목별 지역별수출동향

보도자료 2018 년 1 월수출입동향 2018 년 2 월 1 일 ( 목 )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시 ( 목 ) 담당부서수출입과 담당과장이원희과장 ( ) 담당자 정민규사

<C7D1B7F9C7F6C8B2B0FAC8B0BFEBC0FCB7AB28C3D6C1BE292E687770>

218 년거시경제전망 1. 국내경기상황판단 국내실물경기는수출호조세가이어지는가운데내수는소비의완만한흐름과건설투자의둔화속에설비투자가크게확대되면서비교적견조한흐름을보이고있다. 그간성장을주도해온건설투자가현저히둔화된모습이지만, 민간소비가불확실성의해소와교역조건의개선등으로완만한증가세를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세계무역기구(WTO)는 세계경기 호전에 따라 금년 세계무역도 전년대비 4.7% 증가하며 회복세를 나 타낼 것으로 전망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선진국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둔화가 신흥국 수출부진으로 이어지면서 세계교역이 전체적으로 둔화됐으나 금년 선진국 경기 회복에 따라

(연합뉴스) 마이더스

<3434C8A32DC6EDC1FDC1DF2E687770>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4 주요 시장별 수출 전략차종 투입확대 지역별 신차 투입 모델 비고 미 국 현대 신형 i30, 기아 프라이드 후속, K5하이브리드 등 소형차 및 하이브리드 등 고연비차량 투입 * 현지생산 차종( 중형/SUV) 과 차별화 E U 현대 i40, K5, YF쏘나타 등 중형급

주요수출품목별로는석유제품, 화 학제품의수출물량이증가한것을제외하고대부분의품목에서뚜렷한증가세를보이고있지않음 철강, 발전기계, 사무기기등은수출물량이지난해말들어전년동월비감소세를나타냄 주요품목별수출물량증감률추이 ( 전년동월비 % ) 총계직물발전기계승용차화학제품철강기계 / 설비사


< BFF920BACEC7B0BCD2C0E7BBEABEF720B5BFC7E2B0FA20C0CCBDB B315D2E372E687770>

Transcription:

2016.2.18. VOL.3 동향분석실 문 병 기 수석연구원 류 승 민 수석연구원 강 내 영 연구원 02-6000-5185, bkmun@kita.net 02-6000-5156, ecoholic@kita.net 02-6000-5259, nykang@kita.net 최근 수출부진 원인 분석 및 향후 전망 부록 : 대중국 수출기업 대상 모니터링 결과 금년 1월 수출은 18.8% 감소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으며, 내용면에서도 13대 주력품목 모두 감소하였다. 최근 수출부진의 원인은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와 저유가 지속 등 경기적 요인의 영향이 큰 가운데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상승과 우리 기업의 해외생산 확대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당분간 저유가 상황 지속이 예상됨에 따라 신흥국 경기둔화 심화, 수출단가 하락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수출 증가세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하반기부터 선진국 경기회복, 국제유가 하락의 기저효과, 한중 FTA 효과 본격화로 수출 둔화세 진정이 기대된다. 對 중국 수출기업 대상 긴급설문조사 결과 : 응답기업(101개 업체)들은 對 中 수출부진 요인으로 중국의 제조업 경기 둔화, 가격인하 요구, 비관세장벽 등을 주로 꼽았으며, 對 中 수출은 금년 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이 63.4%를 차지함 01. 최근 수출입 동향 금년 1월 수출은 366억 달러(전년동기비 -18.8%), 수입 314억 달러(-20.0%)로 무역수지는 52억 달러를 기록 지난해 1월부터 13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금년 1월 수출은 글로벌 금융위기 (2009년 8월, -20.9%) 이후 월별 기준 최대 감소율을 기록 1월 수출입 실적(통관기준) (억 달러, %) 2015년 2016년 1월 12월 1~12월 1월 수출 451( -1.0) 425(-14.1) 5,269( -8.0) 366(-18.8) 수입 393(-12.2) 355(-19.2) 4,365(-16.9) 314(-20.0) 수지 58 70 904 52 1

(수출부진 요인별) 대외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수출물량까지 감소 (-5.3%), 단가 하락세 지속(-14.0%) * 2015.1~12월 수출물량 증가율 : 1.9%, 수출단가 증가율 : -9.7% - (일시적 요인) 전년 1월 대비 통관일수 1일 감소(-19억 달러) - (경기적 요인) 1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세계적 투자여력 부족, 수입수요 감소 2 저유가 및 저원자재가 수출단가 하락, 신흥국들의 수입 수요 감소 3 경쟁국 통화의 약세 수입국들의 가격인하 요구, 가격경쟁력 약화 - (구조적 요인) 1 중국제품 기술 및 품질 향상 중국 중간재 자급률 제고 우리 제품 대체 2 개도국의 기술향상 + 저가 공급확대 수출단가 하락 압력 3 우리 기업의 해외생산 확대 통관기준 수출의 감소 (품목별) 13대 주력품목 수출이 모두 감소하여 총수출 대비 비중 하락 * 총수출 대비 13대 품목 비중 : 79.3(2015) 77.8(2016.1월) - 한편 화장품(2.1%), OLED(8.7%) 등 신규 유망품목 수출은 증가세 지속 주요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 품목명 2015년 전체 2016년 1월 선박류 40,121 ( 0.6) 2,968 (-32.3) 무선통신기기 32,594 ( 10.2) 2,128 ( -7.3) 일반기계 46,759 ( -3.4) 3,365 (-15.2) 석유화학 37,799 (-21.6) 2,647 (-18.8) 철강제품 30,203 (-15.0) 2,207 (-19.9) 반도체 62,918 ( 0.4) 4,545 (-13.7) 자동차 45,826 ( -6.3) 3,035 (-21.5) 석유제품 32,057 (-36.9) 1,774 (-35.6) 평판디스플레이 29,659 ( -8.2) 1,833 (-30.8) 섬유류 14,307 (-10.2) 975 (-14.7) 가 전 12,475 (-15.9) 728 (-29.2) 자동차부품 25,553 ( -4.1) 1,858 (-13.6) 13대 품목 418,017 ( -9.4) 28,580 (-21.1) 2

(지역별) EU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출이 감소 - 對 EU(7.2%) 수출은 선박 석유화학제품 등의 선전으로 증가세로 전환 - 對 中 (-21.6%) 수출은 현지 경기둔화,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부진 주요 지역별 수출증가율 (%, 전년동기대비) 지역 2015년 10월 11월 12월 2016년 1월 EU -12.6 52.2-7.7 7.2 중국 -8.0-6.8-16.5-21.6 미국 -11.6-12.4-5.5-9.3 아세안 -13.0-5.7-11.8-20.6 - 베트남 12.4 12.2 4.9-8.2 일본 -25.9-19.0-13.5-18.7 CIS -35.0-46.8-31.1-23.8 중동 -25.7-24.1-15.1-31.0 중남미 -34.8-22.9-34.9-35.6 02. 수출부진 요인 분석 일시적 요인 2016년 1월 통관일수는 22.5일로 지난해 1월의 23.5일 대비 1일 부족 (월수출액 = 일평균 수출액 통관일수) 구분 2015년 2016년 1월 2월 1월 2월 통관일수(일) 23.5 19.0 22.5(-1.0) 20.0(1.0) 일평균 수출(억 달러) 19.2 21.8 16.3(-2.9) - 수출액(억 달러) 451 415 367(-84) - 올해 중국 춘절이 2월초(2.6~11일)로 앞당겨짐에 따라 1월말 연휴를 앞두고 생산에 활용되는 중간재 수입수요 일시적 감소 * 작년 중국 춘절 : 2.18~24 경기적 요인 1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세계적 투자여력 부족, 수입수요 감소 - 금융위기 이전 5%대 성장에서 최근 4년간 3%대 저성장을 기록하면서 장기적 침체(Secular Stagnation) 가능성 상존 * 세계경제 성장률(%, IMF) : 5.7( 07) 3.4( 12) 3.3( 13) 3.4( 14) 3.1( 15) 3

* 2016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 (IMF) 3.6%( 15.10) 3.4%( 16.1), (WB) 3.9%( 15.6) 3.6%( 16.1) * 세계GDP 중 선진국 비중(%, IMF) : 79.2( 00) 65.5( 10) 60.4( 15) - 특히 우리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중국의 2015년 경제성장률이 1990년(3.8%) 이후 연간 기준 가장 낮은 6.9%로 둔화. 제조업 경기부진 심화 * 중국 제조업 성장률 : 7.1%(2014년 1/4분기) 5.8%(2015년 4/4분기) *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 : 49.4(2016.1월) * 2012년 8월 이후에 최저치 2 저유가, 저원자재가 수출단가 하락, 신흥국들의 수입수요 감소 - 유가하락에 따른 석유제품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과잉 및 경쟁심화로 반도체 철강 등 대부분 품목의 수출단가가 하락 * 세계 수출단가 변동률(전년동기비, WTO) : -0.6( 13) -2.0( 14) -14.7( 15.1~9월) * 신흥국 수입물량(상품 서비스) 증감률(%, IMF) : 3.7( 14) 0.4( 15e) 3.4( 16p) 품목 2015. 1월 2015.12월 2016. 1월 전년동월비 두바이유($/B) 45.8 34.9 26.9-41.3% 동($/톤) 5,770.0 4,640.5 4,470.8-22.5% 알루미늄($/톤) 1,827.3 1,497.9 1,481.5-18.9% 로이터지수 221.6 176.8 164.9-25.6% 3 주요 경쟁국 통화의 약세 수입국들의 가격인하 요구, 가격경쟁력 약화 - 지난해 하반기 이후 엔화 및 유로화는 달러대비 절상된 반면, 위안화 및 원화는 절하된 것으로 평가 - 특히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의 큰 폭 하락(원화보다 절하 폭이 큼) 중국 수입업체들의 가격인하 요구 및 조달선 전환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국제품과의 경쟁심화 달러대비 주요국 통화 환율 변동률 -4.32 엔/달러 15.7월말 16.1월말 증가율 -0.05 유로/달러 엔/달러 124.2 118.8-4.32 3.61 원/달러 유로/달러 0.9145 0.9152-0.05 원/달러 1,166.3 1,172.0 3.61 5.90 위안/달러 위안/달러 6.2096 6.4911 5.90 주 : 2015년 7월말 대비 2016년 1월말 기준, 기말기준 자료 : 한국은행 4

구조적 요인 1 중국제품 기술/품질 향상 중국 중간재 자급률 상승 - 중간재에 대한 중국의 자체기술력 상승, 중국기업의 해외이전 확대에 따른 중간재 수입선 전환 등도 우리의 대중 수출 감소 요인 * 한중 기술수준 격차(미래부) : 1.9년( 12) 1.4년( 14) * 대중 수출의 중간재 비중 : 84.9( 00) 82.0( 05) 71.6( 10) 71.8( 15) * 대중 수출의 소재 부품 비중 : 60.7( 05) 71.2( 10) 65.6( 14) - 자급률 확대로 중국의 소재 부품 수입 비중도 이전 대비 감소 중국 가공무역 비중 및 현지조달률 중국의 중간재 수입 비중 55.0 50.0 45.0 40.0 35.0 30.0 25.0 20.0 48.5 48.6 43.6 43.8 44.2 44.0 42.2 40.6 32.7 34.2 39.0 35.9 34.8 32.7 32.7 31.4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가공무역의 현지조달률 가공무역비중 60.0 중간재(좌축) 소비재(우축) 8.6 58.0 57.2 54.6 7.6 56.0 54.0 52.4 6.7 52.6 51.5 6.4 52.0 6.2 50.0 5.6 5.2 47.6 47.2 48.0 46.3 46.6 4.5 4.7 46.0 44.0 42.0 40.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9.0 8.0 7.0 6.0 5.0 4.0 3.0 주 : 현지조달률은 가공무역수지/가공무역수출 자료 : CEIC 자료 : 중국해관총서, 한국무역협회 2 우리 기업의 해외생산 확대 통관기준 수출의 감소 - 경쟁국 대비 높은 인건비, 노동시장 경직성 등 국내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주력산업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 확대 * 해외생산 비중(총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 15.5월 업종별 협단체 설문조사) : 가전(77.6%, 휴대폰 정보기기 포함), 디스플레이(57.3%), 자동차(40.2%) - 현지생산은 공장이전시 직접적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신규공장 증설시 단기적으로 부품수출 확대효과가 있으나 해외생산기지의 현지화 확대로 점차 대체효과가 발생 - 최근에는 해외 생산기지가 중국에서 동남아(특히 베트남)로 이전 * 중국의 가공무역에 대한 제한 조치 확대, 중국 인건비 상승 등이 주요 이유 對 중 베트남 해외투자 추이 2015년 1~9월 주요업종별 對 중 베트남 해외투자 (백만 달러, %) (백만 달러, %) 2014년 2015.1~9월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전자부품 통신장비 금속가공 제품 고무 플라 스틱제품 섬유제품 중국 3,132 (-37.4) 11.6 1,934 (-4.9) 10.9 중국 427 (-23.9) 28 (-32.6) 56 (-71.2) 1 (-90.9) 베트남 1,558 (37.8) 5.8 1,020 (-11.7) 5.8 베트남 241 (17.2) 30 (137.1) 49 (68.0) 38 (-38.6) 주 : ( ) 내는 전년동기비 증감률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주 : ( ) 내는 전년동기비 증감률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5

03. 향후 수출 전망 당분간 우리 수출의 증가세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하반기 이후 선진국 경기회복, 국제유가 하락의 기저효과, 한중 FTA 효과 본격화로 수출 둔화세의 진정을 기대 미국 제조업 경기 및 고용시장 개선, EU 내수경기 회복 등으로 선진국 경기는 완만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 * 선진국 경제성장률(%, IMF, 2016. 1월) : 1.8(2014) 1.9(2015) 2.1(2016) 주요 선진국의 경기지표 경제성장률(전기비) 실업률 제조업 PMI 15.1Q 15.2Q 15.3Q 15.4Q 15.1Q 15.2Q 15.3Q 15.4Q 15.11월 15.12월 16.1월 16.2월 미국 0.6 3.9 2.0 1.0 5.6 5.4 5.2 5.0 48.4 48.0 48.2 49.5 유로존 0.5 0.4 0.3 0.3 11.2 11.1 10.8 10.5 52.8 53.2 52.3 51.2 하반기 이후 국제유가는 전년동기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 분기별 두바이유 가격 추이 및 전망 (USD/bbl)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015년(a) 51.8 61.3 49.8 44.3 2016년(b) 38.5 42.5 52.3 54.7 변동률(b/a) -25.7-30.7 5.1 23.4 * 2016년 분기별 유가는 CERA 분기별 전망치(연평균 $52/B)를 기준으로 연평균 $47/B로 조정 무협 긴급설문조사(2016. 2. 1) 결과에서도 대중국 수출 회복시기에 대한 전망에서 금년 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이 63.4%를 차지 다만, 신흥국 경기둔화 심화, 이란 원유 수출재개 등에 따른 저유가 장기화 가능성은 향후 수출 회복에 있어 제약요인임 6

부록 對 중국 수출기업 대상 모니터링 결과 우리나라 총수출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대중 수출이 21.6% 감소함에 따라 전체 수출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중국 수출기업 대상 긴급 설문조사와 한국무역협회 북경 상해 성도지부를 통해 중국 현지에 진출해있거나 대중 수출을 수행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업종별 기업별 무역정책 시장현황별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하였음 1 對 중국 수출기업 대상 긴급 설문조사 결과 * 일시 : 2016년 2월 1일, 응답자수 : 101명 올해 들어 우리 수출기업의 90.1%가 對 중국 수출이 어렵다 고 응답 對 중국 수출부진 원인으로 중국의 제조업 경기둔화(40.9%), 가격인하 요구(22.6%), 비관세 장벽(8.6%) 등을 지적 2016년 대중국 수출 현황 2016년 대중국 수출부진 원인 66.3 40.9 22.6 19.4 23.8 9.9 8.6 5.4 3.2 중국의 제조업 가격인하 요구 수입규제 등 중국 바이어의 현지 거래처의 기타 매우 어렵다 어렵다 호조 경기둔화 비관세장벽 수입선 전환 생산기지 해외이전 품목별로 보면 섬유류, 철강금속제품 등에서 대중국 수출이 특히 어려운 상황. 반면 자동차, 화학공업제품, 농림수산물 등에서는 일부 기업들이 수출 호조 상황이라고 응답 2016년 품목별 대중국 수출 현황 품목명 매우 어렵다 어렵다 호조이다 계 농림수산물 0.0 85.7 14.3 100.0 섬유류 50.0 50.0 0.0 100.0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23.1 69.2 7.7 100.0 화학공업제품 28.6 57.1 14.3 100.0 철강금속제품 16.7 83.3 0.0 100.0 기계류 33.3 55.6 11.1 100.0 자동차 0.0 80.0 20.0 100.0 전기전자 33.3 61.1 5.6 100.0 기타 14.3 57.1 28.6 100.0 계 23.8 66.3 9.9 100.0 7

對 중국 수출부진 요인으로 중국의 제조업 경기둔화, 가격인하 요구, 비관세장벽 등으로 응답 자동차, 화학공업제품, 섬유류, 농림수산물 부문의 對 중국 수출부진에는 중국의 제조업 경기 둔화가 크게 작용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전기전자, 철강금속제품 부문은 위안화 절하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가 수출부진 요인으로 지적됨 2016년 품목별 대중국 수출부진 원인 품목명 중국의 제조업 경기둔화 가격인하 요구 수입규제 등 비관세장벽 중국 바이어의 수입선 전환 현지 거래처의 생산기지 해외이전 기타 계 농림수산물 50.0 16.7 16.7 0.0 0.0 16.7 100.0 섬유류 66.7 0.0 0.0 0.0 0.0 33.3 100.0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27.3 45.5 9.1 9.1 0.0 9.1 100.0 화학공업제품 66.7 0.0 0.0 16.7 0.0 16.7 100.0 철강금속제품 33.3 27.8 0.0 11.1 16.7 11.1 100.0 기계류 37.5 18.8 12.5 0.0 0.0 31.3 100.0 자동차 75.0 0.0 0.0 0.0 0.0 25.0 100.0 전기전자 33.3 27.8 5.6 5.6 0.0 27.8 100.0 기타 28.6 28.6 42.9 0.0 0.0 0.0 100.0 계 40.9 22.6 8.6 5.4 3.2 19.4 100.0 한국제품 품질경쟁력 제고, 한 중 FTA 효과, 중국경기 부양책 효과 등이 對 중국 수출호조 요인으로 작용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기계류 등 부문은 한국제품 품질경쟁력 제고 및 한 중 FTA 효과가 수출호조 요인으로 크게 작용 전기전자 부문의 대중국 수출호조는 중국경기 부양책 효과 및 한류효과 지속이 크게 작용 2016년 품목별 대중국 수출호조 원인 품목명 한국제품 품질경쟁력 제고 한 중 FTA 효과 중국경기 부양책 효과 한류 효과 지속 기타 계 농림수산물 0.0 50.0 50.0 0.0 0.0 100.0 섬유류 0.0 50.0 0.0 0.0 50.0 100.0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40.0 40.0 0.0 0.0 20.0 100.0 철강금속제품 42.9 28.6 28.6 0.0 0.0 100.0 기계류 42.9 42.9 14.3 0.0 0.0 100.0 자동차 33.3 33.3 0.0 0.0 33.3 100.0 전기전자 16.7 0.0 33.3 33.3 16.7 100.0 기타 50.0 50.0 0.0 0.0 0.0 100.0 계 32.4 32.4 17.6 5.9 11.8 100.0 8

금년도 대중국 수출환경 전망에서는 47.5%의 우리수출기업이 불확실하다 라고 응답한 반면 밝다 라고 응답한 업체는 9.9%에 불과 * 2016년 대중국 수출환경 전망 : 불확실하다(47.5%), 어둡다(42.6%), 밝다(9.9%) 섬유류, 철강금속제품, 전기전자 등에서의 전망이 더 어두운 것으로 나타남 2016년 품목별 대중국 수출환경 전망 품목명 밝다 불확실하다 어둡다 총합계 농림수산물 14.3 28.6 57.1 100.0 섬유류 0.0 83.3 16.7 100.0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7.7 30.8 61.5 100.0 화학공업제품 14.3 71.4 14.3 100.0 철강금속제품 5.6 50.0 44.4 100.0 기계류 11.1 38.9 50.0 100.0 자동차 20.0 60.0 20.0 100.0 전기전자 5.6 44.4 50.0 100.0 기타 14.3 71.4 14.3 100.0 계 9.9 47.5 42.6 100.0 대중국 수출 회복시기에 대한 전망에서 금년 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이 63.4%를 차지. 2~3년 후 라고 응답한 업체가 36.6%에 달함 자동차,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섬유류 등의 대중국 수출이 올해 안에 회복될 것으로 내다봄 품목별 대중국 수출회복시기에 대한 전망 품목명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금년말 2~3년 후 총합계 농림수산물 0.0 28.6 0.0 0.0 28.6 42.9 100.0 섬유류 0.0 0.0 0.0 0.0 33.3 66.7 100.0 플라스틱, 고무, 가죽제품 7.7 0.0 7.7 7.7 30.8 46.2 100.0 화학공업제품 14.3 14.3 28.6 0.0 14.3 28.6 100.0 철강금속제품 0.0 16.7 16.7 16.7 5.6 44.4 100.0 기계류 0.0 11.1 22.2 0.0 22.2 44.4 100.0 자동차 20.0 0.0 20.0 0.0 40.0 20.0 100.0 전기전자 5.6 22.2 27.8 11.1 22.2 11.1 100.0 기타 0.0 14.3 28.6 0.0 14.3 42.9 100.0 계 5.0 12.9 17.8 5.9 21.8 36.6 100.0 9

2 해외(중국)지부를 활용한 대중 수출부진 요인 긴급 모니터링 결과 최근 중국의 무역정책 변화 및 시장현황 모니터링 중국 진출 우리기업들은 중국의 가공무역 제한 정책, 중국산 소비재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 향상, 중국 원부자재 자체조달 확대,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해외이전 확대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어려움으로 표명 1 가공무역 제한 정책 강화 - 그동안 한중간 무역에서 한국은 원부자재(반제품)을 중국으로 수출하여 가공 생산한 후 제 3국으로 수출하는 형태를 취해왔으나, 최근 중국 정부는 가공무역이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소득유발효과가 낮다고 판단하여 가공무역에 대한 제한을 확대하고 있음 2 중국산 소비재 품질 및 가격경쟁력 향상 -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산 전자제품과 자동차의 경쟁력이 향상되었으며, 일반 소비재의 경우도 중국산 제품이 한국산 수입수요를 대체하는 추세 3 중국 원부자재/반가공품 자체 조달 확대 - 중국의 기술력 향상으로,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던 원부자재 및 반가공품을 중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추세 4 한국기업의 중국 현지공장 이전 - 중국진출 한국기업이 중국 내 현지 공장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대중국 원부자재 수출 감소로 이어짐 업종별 긴급 모니터링 결과 철강 - 올해 1월 기준 수입단가가 전년 동월 대비 30% 하락하였으며 열연강판의 경우 톤당 400달러 수준에서 270~280달러 선으로 감소. 이는 공급과잉과 수요부진이 동시에 발생함에 기인 - 다만, 1월에 시황이 상승세로 반전되고 있으나 설 연휴 전의 일시적인 기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바, 본격적인 회복은 관망할 필요가 있음 평판디스플레이 - LCD 가격이 지난해 1월 대비 20~30% 하락하였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하락 추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이는 중국 내 최대 LCD 메이커인 BOE(Beijing Orient Electronics)가 생산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 - 중국 내 언론보도에 따르면 현재의 LCD 가격 하락이 2008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10

석유제품 - 유가 하락이 지속되면서 관련 제품의 중국 내 재고가 감소하고 있음. 저유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원유가격이 5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5~6월이 지나야 바이어가 수입을 늘릴 것으로 예상(유가 하락 시 재고를 늘리는 것은 채산성 악화를 야기) - 수출 수량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유가하락으로 인해 수출금액이 감소 반도체 및 휴대폰 - 최근 반도체 수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휴대폰의 경우 판매가 감소하면서 OLED 등 관련 부품의 수요가 줄고 있는 상황 자동차부품 - 지난해 중국 내 한국 완성차 업체의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자동차부품 수입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국내 완성차 업체의 중국 내 판매량 또한 하락하는 추세 석유화학제품 - 유가하락에 따라 관련 제품의 단가 및 수량 감소가 수출부진의 주요인이며, 바이어들은 추가적인 하락을 기대하여 제품 매수를 관망하고 있음. 금년 1월에도 판매실적이 좋지 않았으며 2~3월 수출 실적도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 - 1월 對 중 수출물량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2월의 경우 춘절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수출 물량 감소가 예상 기계류 - 중국 경기 침체로 신규 토목공사, 건설공사가 감소하면서 관련 건설기계 수요도 감소하였으며 당분간 중국 내 건설 수요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 2008년~2010년 중국 내 건설특수를 누리면서 수출한 기계들의 수명이 남아있어 신규 구매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 이는 건설경기 불황으로 기계 가동률이 줄면서 기계 수명도 자연스럽게 연장됨에 기인 문의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 수석연구원 문병기 (02-6000-5185, bkmun@kita.net) 수석연구원 류승민 (02-6000-5156, ecoholic@kita.net) 연구원 강내영 (02-6000-5259, nykang@kita.net)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