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VOL.17, NO.2 : 115-122 (2004)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북경한의원, ** 윤산부인과의원, *** 최은림산부인과의원,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김성준 *****, 윤왕준 **, 최은림 ***, 김대인 ***, 손영주 ****, 손낙원 ***** ***** ABSTRACT Effects of Dalsaeng-san on Duration of Lavor in Primiparas Seong-Jun Kim*, Wang-Jun Yun**, Yeun-Lim Choi, Dae-In Kim***, Yongjoo Sohn****, Nak-Won Sohn***** Beijing Oriental Medical Clinic*, Yun OB/GY Clinic**, Choi Yeun-Lim OB/GY Clinic***, Departmen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 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This clinical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alsaengsan on duration of delivery time for primiparas. Dalsaengsan was administerd to 41 primiparas who were expected to undergo vaginal delivery from 2 weeks before estimated delivery date(edd). The mean time of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to that of each control group. The mean age of primiparae was 27.8. The more the age of women in labor was, the longer the delivery time was. Inspite of that result, mean delivery time of the sample group over 30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The mean medication period was 10.8 day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periods and the delivery time. The mean gestational weeks was 39.8 and no correlation was founded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the delivery time. The average weight of neonates was 3.33kg and the mean time of <3.5kg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to >3.5kg group. So far, no abnormal condition has been detected in both the neonates and the primiparas. Key words : Dalsaeng-san, labor, vaginal delivery, primipara, neonate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어, 5,21) 등 3,7) 은 에 복용하여 및 難 의 예방에 응용하였으며, 22) 는 출산 에 임하여 하여 乾 한데 사용하였 고, 21) 은 氣 하여 으로 인한 난산을 치료한다 하였다. 또한 등 16,17) 은 氣 하여 氣 能 할 때 복용하면 한다 하였으며, 18) 는 료한다 하였다. 交 骨 開 로 인한 난산을 치 근래에 4) 은 양수과다증( 大 ) 에, 6) 는 태아비만에 達 을 사용하였으며, 최근에 14) 는 비임신 흰쥐의 적출자궁 및 흰 쥐의 임신유지에 미치는 해 보고하였다. 達 의 효능에 대 이외에 金 10) 은 谷 에 대한 지압이 초산 부의 분만 통증정도와 분만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金 9) 은 분만시 합곡, 삼음교, 족삼 리, 태충, 간유, 대장유 등의 혈위에 대한 침혈 전기자극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산모에게 직접 達 을 투여하여 분만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증명한 임상 사례 연구는 전혀 없었다. 이에 저자는 난산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되 고 있는 達 의 효능을 임상적으로 규명하 기 위하여 두 곳의 개인 산부인과의원과 협력 하여 정상분만 예정인 임신 게 38주의 초산모들에 達 을 직접 투여한 후 분만시간의 단축 여부를 관찰하였던 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연구대상 및 피험자의 선정기준 및 탈락 기준 1) 연구대상 실험군은 2002 년 9월부터 2003 년 10월 까지 구리시에 소재한 산부인과 병 원과 서울 동대문구에 소재한 산부인과 의원 분만실에 입원 예정인 초산모 4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 다. 대조군은 기존의 한국인 초산모의 분만시간에 관한 김11), 신13) 및 정15) 의 연구논문에 사용된 대조군들을 원 용하여, 김의 대조군을 대조군 I, 신의 대조군을 대조군 조군 II, 정의 대조군을 대 III 으로 하여 비교검증 하였다. 2) 피험자의 선정기준 대상자 중 다음의 선정 기준에 부합되 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1 임신 우 38 주의 초산부( 유도분만의 경 41-42 주) 로서 2 주치의의 동의하에 3 진찰결과 정상 질식분만 예측자( 단 태, 두정위의 태아) 이며 4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 의하는 대상자 3) 피험자의 탈락기준 대상자 중 다음의 선정 기준에 해당되 는 산모는 연구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1 총 복용량이 10 첩(5 일분) 미만인 경우 2 분만실 입원시 경관 개대가 초과한 경우 3cm을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Vol.17 No.2 May 2004 2. 방 법 분만시간의 단축효과에 대해 사후에 동 1) 처방내용 본 연구에 사용된 처방은 東 鑑 7) 에 기재된 達 으로 처방구성 약재 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정선한 후 사용 하였으며, 처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약명 생약명 용량 大 甘 當 歸 殼 2) 전탕방법 Arecae Pericarpium Glycyrrhizae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Atractylis Rhizoma Paeoniae Radix Ginseng Radix Aurantii nobilis Pericarpi Perillae Folium Ponciri Fructus Amomi Semen Allium 8.0g 6.0g 4.0g 4.0g 4.0g 4.0g total 40.0g 태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탕시에 가열 후 처음 끓 었을 때까지의 전탕액은 버리고, 전탕기 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다시 전탕해서 파 우치에 포장하였다. 역삼투압 방식으로 정수한 물을 전체 전탕 과정에 사용하였 으며, 무압력 방식으로 전탕하였다. 달생 산 1첩당 전탕액 150ml 를 추출하였으며, 100ml 씩 1일 3 회 투여하였다. 3) 약물 투여 시기 達 의 투여는 분만예정일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2주전부터 분만실 입원 전까지 1일 3 회, 식후 30분에 따뜻하게 복용하도 록 지시하였다. 4) 분만시간 단축 효과 판정방법 및 통계방법 達 을 투여한 초산모들에 있어서의 병원의 진료기록부를 대상으로 통계적으 로 분석하였다. 분만시간은 분만 제1기 중 활성기의 시작 시점( 자궁경관 3cm 개대) 으로부터 태아 만출까지의 소요시간으로 하였으며 15), 여 Ⅲ. 기에서 측정된 수치를 대조군들과 t-test 를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실험군내에서 임신주수, 신생아 체중, 복약기간 및 산모 나이가 비교분석하였다.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연구결과 분만에 소요된 시간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대조군 I( 경부개대 4cm부터 측 정) 의 활성기의 평균± 표준편차는 415.9±194.1 분(n=48), 분만 2기는 41.2±13.0 분(n=48), 총시 간은 451.0±194.4 분이었고, 대조군 II의 활성기 는 484.2±238.8 분(n=100), 분만 2기는 32.4±20.4 분(n=100), 총시간은 516.6 분(n=100) 이었으며, 대 조군 III의 활성기는 295.8±150.0 분(n=150), 분 만 2기는 42.0±31.8 분(n=150), 총시간은 337.8 분 (n=150)이었다. 실험군의 활성기의 평균± 표준 편차는 203.6±127.8 분(n=26), 분만 2기는 37.5± 23.9 분(n=26), 총시간은 262.7±123.7 분(n=41)으 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분만소요시간을 각각의 대조군들에 비교한 결과 모든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활성기와 총분만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단축되었으나, 분만 제 2기의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 Fig. 1) 실험군내에서 산모 나이에 따른 분만시간을 비교해보면, 30세 초과 그룹의 분만시간이 25 세-30세 그룹이나 20세 미만 그룹에 비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길었으나, 3가지 대조군의 평 균보다는 유의하게(P<0.01) 짧았다.(Table 2.)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신생아 체중과 분만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있 관찰되었다.(Table 5.) 이외에 達 복용일수 어서는 3.5kg 미만 그룹의 평균분만시간이 3.5kg 이상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짧게 나 분만당시의 임신주수는 분만시간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3, 4.) Table 1.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Control I, II and III Group Control I Control II Control III Sample Delivery time Active phase 2nd stage Total 415.9±194.1 (n=48) 484.2±238.8 (n=100) 295.8±150.0 (n=150) 203.6±127.8 * (n=26) Data are demonstrated Mean±S.D. *; P<0.01, compared to Control I, II and III 41.2±13.0 (n=48) 32.4±20.4 (n=100) 42.0±31.8 (n=150) 37.5±23.9 (n=26) 451.0±194.4 (n=48) 516.6 (n=100) 337.8 (n=150) 262.7±123.7 * (n=41) 1 2 0 0 1 0 0 0 A c tiv e p h a s e 2 n d s ta g e T o ta l 8 0 0 6 0 0 4 0 0 * * 2 0 0 0 C o n t r o l I C o n t r o l I I C o n t r o l I I I S a m p l e Fig. 1.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Control I, II and III Table 2.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maternal age in sample group Group of maternal age Delivery time Number of samples Group I 202.8±77.2 8 Group II 265.7±122.7 21 Group III 297.4±143.4 12 Group I means maternal age is less than 25 years old Group II means maternal age is between 25 years old and 29 years old Group III means maternal age is more than 29 years old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Vol.17 No.2 May 2004 Table 3.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gestational age in sample group Group of gestational age Delivery time Number of samples Group I 270.8±155.2 17 Group II 242.4±73.9 11 Group III 286.0±105.4 12 Group I means gestational age is 39th week Group II means gestational age is 40th week Group III means gestational age is 41th week Table 4.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medication period in sample group Goup of medication period Delivery time Number of samples Group I 250.8±145.3 25 Group II 295.0±57.1 7 Group III 270.7±96.3 9 Group I means medication period is between 5 days and 10 days Group II means medication period is between 11 days and 15 days Group III means medication period is more than 15 days Table 5. Comparison of delivery time to weight of neonate in sample group Goup of weight of neonate Delivery time Number of samples Group I 247.5±137.6* 28 Group II 295.4±81.9 13 Group I means weight of neonate is less than 3.5kg Group II means weight of neonate is above 3.5kg *; P<0.05 Ⅳ. 고 찰 의학의 발달로 출산 과정에 약물이나 제왕 절개술 등을 통한 출산 과정에의 인위적인 개 입은 산모사망률 및 영아사망률 등을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정상적인 질식 분만이 불가능하거나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경 우 등의 전체의 10-15% 정도를 제외하고는 질 식분만이 제왕절개술에 의한 복식분만보다 산 모에게 훨씬 좋은 분만 방법이라는 것은 주지 의 사실이다. 자연분만에 대한 임산부 및 사회적 욕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욕구의 반영으로 현재 국내에서는 라마즈 분만법, 소프롤로지 분만법, 수중 분만, 그네 분만 등 기존 산부인 과에서 널리 쓰여지던 와식분만법과는 다른 분 만법들이 유행처럼 퍼지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서양 산부인과학이 국내의 일반인들에게 자리잡기 전인 1970년대 이전까 지만 하더라도 널리 이용되던 산과 영역에 있 어서의 한의학적 방법론들이 최근 조금씩이나 마 시도되어지고 있다. 즉, 한의학적 치료수단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인 침이나 지압을 분만실에서 활용하였을 때 태위이상성 난산, 태아이상성 난산, 산도이상성 어느 정도의 분만시간의 단축 및 진정 진통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9,10)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기존의 분만법에 비 해 확실한 비교우위를 점할 만큼의 뛰어난 결 과물들을 내놓지 못하는 실정이고, 설령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개원 임상가들에겐 거 의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산모를 대상으로 達 을 직접 투여하여 분만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증명한 임상 사례 연구 는 지금까지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達 의 효능에 대하여 23) 는 에 복용하면 한다하여 후세의 의가들이 난산의 예방과 치료, 및 로 널 리 응용하여 왔다. 達 의 복용시기 및 복용일수에 대해선 여러 의가들의 의견이 약간씩 다르지만 대체적 으로 임신 마지막 달( ) 에 십수 첩에서 이 십 첩을 복용한다고 하였다. 12) 이를 근거로 하 여 본 연구에서의 투약시기 및 대상자 탈락기 준을 대략적으로 설정하였다. 난산이라 함은 만출력의 이상, 산도의 이상, 태아 및 그 부속물에 이상이 있어 정상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를 말하는데 이상분만 중에서 분 만요소의 이상에 해당된다. 난산의 한의학적 병인은 氣, 氣, 氣, 交 骨 開 등이며, 서양의학적으로는 난산, 산력이상성 난산 및 태아부속물의 이상 에 의한 난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3) 난산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氣 을 위주 로 하는데, 氣 는 氣 위주로, 는 위주로, 乾 는 위주로 하 며, 을 겸용한다. 達 을 구성하는 각각의 약물의 효능에 대해 살펴보면, 大 는 氣 寬 의 효과가 있고, 當 歸 는 經 하고, 은 하며, 은 氣 하고, 은 大 氣 하므로써 를 다스린다. 는 氣 와 痰 를 하며, 은 氣 寬 의 이고, 殼 은 氣 痰 의 功 이 있다. 은 結 하며, 甘 는 하고, 은 의 功 가 있다. 19) 5,20) 초산모의 분만소요시간을 살펴보면 각 연구 발표마다 평균시간의 차이와 표준편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치는 않다 하더라도 1955년 Friedman 24) 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분만 제 1기 중 잠복기(latent phase) 의 평균 소요시간은 8.6시 간, 활성기(active phase) 의 평균 소요시간은 4.9 시간, 분만 제 2기의 평균 소요시간은 50 분, 분만 제3기의 평균소요시간은 15분으로 나타나 총 소요시간은 14시간 35 분이다.(Fig. 2.) 이 중 본 연구에서 측정한 시간은 경관개대 Fig. 2. 초산부에서의 평균 개대곡선 2)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Vol.17 No.2 May 2004 가 크게 일어나지 않으며, 개인차가 심하고 외 3.5kg 이상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짧게 적인 요인에 따라 변화가 많아 분만진행에 그 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잠복기를 피하고 경관개대가 활발히 시작되는 활성기를 선택하 여 경관개대가 3cm 인 활성기 중 가속기(accel- eration) 의 시작부터 분만 제2기까지의 소요시 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에서 잠복기를 제외한 또 다른 이유는 현실적으로 잠복기를 측정하기 가 거의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분만에 소요된 시간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대조군 중 대조군 I 11) 의 활성 기는 415.9±194.1 분, 분만 2기는 41.2±13.0 분, 총시간은 451.0±194.4 분이었고, 대조군 II 13) 의 활성기는 484.2±238.8 분, 분만 2기는 32.4±20.4 분, 총시간은 516.6 분이었으며, 대조군 III 15) 의 활성기는 295.8±150.0 분, 분만 2기는 42.0±31.8 분, 총시간은 337.8 분이었다. 실험군의 활성기 는 203.6±127.8 분, 분만 2기는 37.5±23.9 분, 총 시간은 262.7±123.7 분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분만소요시간을 비교한 결과 모든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활성기와 총분만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를 보였으나, 분만 제 2기의 소요시간은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Fig. 1) 대조군으로 기존 한국인 초산모의 분만시간 에 연관된 논문에 있는 대조군 자료를 사용한 이유는, 본 실험군에 비해 표본집단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직접 대조군을 선정하는 것 보다 더욱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 기 때문이다. 달생산 투여군내에서 산모 나이에 따른 분 만시간을 비교해 본 결과, 30세 초과 그룹의 분만시간이 25세-30 세 그룹이나 20세 미만 그 룹에 비해 제일 길었으나, 대조군들의 평균보 다는 유의하게(P<0.01)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 다.(Table 2.) 신생아 체중과 분만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있 어서는 3.5kg 미만 그룹의 평균분만시간이 관찰되었다.(Table 5.) 이외에 達 복용일수 나 분만당시의 임신주수는 분만시간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3, 4.) 이상의 연구에서 達 이 분만시간 단축에 미치는 효과가 있슴이 통계적으로 증명되었으 며, 특히 본 연구에서 공동 저자들의 직접 관 찰결과, 분만시 순산과 난산을 판가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자궁경부 개대 5-6cm 3cm에서 정도로의 진행이 통상의 경우에 비해 매우 신속한 경과를 보였는데, 이는 분만과정 에서 達 의 구체적인 작용기전 및 시기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분만과정에서의 통증의 총량을 줄일 수 있슴으로 해서 태아질식, 자궁이완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줄이고 나아가 신생아의 Apgar 점수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5) 향후 충분한 실험군의 확보와 세밀한 path- ogram 의 작성 및 placebo 를 이용한 이중맹검 법 등의 충분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법 들을 사용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그동 안 거의 사장되다시피한 산과 영역에서의 한의 학적 방법론들이 임상에서 널리 쓰여질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V. 결 론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단축효 과를 직접 관찰하기 위하여 대상으로 하여 41명의 초산모를 達 을 투여한 후 분만시간 을 측정, 기존의 초산모 평균분만시간과 비교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達 투여 초산모의 활성기와 분만 2 기 소요시간을 더한 평균 분만시간은 262.7 분으로, 기존의 한국인 초산모 평균 분만시간보다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2. 달생산 투여군의 평균 산모 연령은 27.8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세이었으며, 달생산 투여군 내에서도 산 침혈전기자극이 초산부 분만에 미치는 영 모 연령이 높아질수록 분만시간은 길어졌 향. 경희의학 1999;15(2):198-202. 10. 김영란, 이선혜, 강진선, 정금옥, 주영아. 으나 모든 연령군에서 대조군에 비해서는 합곡지압이 초산부의 분만 통증정도와 분만시간이 단축되었다. 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 3. 평균 투약일수는 10.8 일 이었으며, 투약일 회지 2001;7(3):331-47. 수와 분만시간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11. 김영주, 한경려, 안정자, 우복희. 라마즈 산전교육이 초산부의 분만진행시간과 분 4. 달생산 투여군의 평균 임신주수는 39.8주 만형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 였으며, 임신주수와 분만시간과의 상관관 산부인과학회지 1998;41(12):2974-9. 계는 없었다. 12. 민병호, 정진호, 류동렬. 달생산에 관한 5. 달생산 투여군에 있어서 신생아 체중과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 8;11(2):121-34. 분만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3.5kg 13. 신인숙. 정상초산부의 입원시 상태불안 미만 그룹의 평균분만시간이 3.5kg 이상 정도와 분만시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P<0.05) 짧게 관찰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되었다. 14. 이은미, 이경섭, 송병기. 임신 및 분만에 미치는 달생산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 6. 현재까지 산모나 신생아에 대한 어떠한 대학교논문집 1986;15:137-45. 이상상태도 보고되지 않았다. 15. 정순오, 곽현모. 한국부인 분만시간에 관 한 통계적 분석관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63;6(4):133-42. 투 고 일 : 2004년 03월 26일 16.. 綱. 臺 南 : ;196 심 사 일 : 2004년 05월 07일 2, pp.19-39. 심사완료일 : 2004년 05월 14일 17.. 綱. 臺 : ;196 6, pp.335-41. 18.. 科. 서울: 道 國 ;1976, 참고문헌 pp.1-3. 19.. 科. : 1.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제3 판). 서울: 칼 館 ;1983, pp.240-1. 빈서적;1997, p.471, pp.486-7, pp.494-8. 20... 서울: 고문사;1974, pp.2-2.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산부 4, p.6, pp.32-3, pp.38-40, p.83, pp.115-7, 인과학. 서울: 군자출판사;1999, p.162, p.144, pp.166-7. 3.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사;19 21... 서울: 道 國 ;1976, p 78, pp.139, 411, 416-7, 432, 534. p.404-5. 4. 염태환. 동의처방대전. 서울: 행림서원;1975, 22... 臺 : 臺 國 ;19 p.152. 73, pp.452-3. 5. 이상인. 본초학. 서울: 영림사;1995, p.126, 23.. 丹 溪. 서울: 대성문화사;1982, p.139, p.295, p.348, p.352, p.366, p.532, p. pp.723-5. 536, p.541, p.579, p.582. 24. F. Gary Cunningham, et al: Wiliams O 6. 이태호. 동의부인과진료의 실제. 서울: 행림 bstetrics, pp.415-421, Stamford, Connecti 서원;1975, pp.212-5. cut, Appleton & Lange, 1997. 7. 허준.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1999, p.1 25. Lederman E, et al: Maternal psychologi 606. cal and physiological correlates of fetalnewborn health status, Am J Obstat Gy 8.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 행림출판사;1977, p p.237-8. necol 1981;139(8):956-8. 9. 김상우, 남상수, 이선경, 김건식, 김재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