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3. 삽화의 문제 Ⅳ. 나오는 말 국 문 초 록 한국에선 2000년대 중반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논의의 수준이 한층 넓어지고 깊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 사회에서도 다문화 라 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일종의 트렌드 처럼 읽히기도 하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키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문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한문 자료 속에 스며있는 문화적 다양성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으며, 타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태도의 형성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한문 자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요소를 통해 한문 교 과의 다문화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 시해보고자 한다. 논의의 진행은 정규 학교 교육의 운영 지침이 되고 있 는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검토하고 한문 교과의 주된 교재인 한 문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한 문 교과에 있어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주제어: 다문화 교육, 한문 교육, 교육 과정의 목표, 한문 자료, 한문 교과서.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85
Ⅰ. 들어가는 말 한국에선 2000년대 중반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논의 의 수준이 한층 넓어지고 깊어졌다. 이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다문 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련된 경험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학문적 정책적 이상적 담론도 증가했기 때문일 것이 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 설지 않게 되었고 더 나아가 때로는 일종의 트렌드 처럼 읽히기도 하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키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 이러한 트 렌드 형성은 현대 사회가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각각의 생활양식이 공존하고 있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당시 사회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필 요성과 사회적 요구에 의해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 라 최근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학계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2) 최근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 면, 다문화 교육은 원래 다민족 국가들이 경험하고 있는 이민족 간의 갈등 해소, 이민자들의 자국민으로서의 통합, 해외 주재 자국 민의 동질성 유지를 위한 교육적 발상에서 시작하였다. 다민족 교 육이 다민족 국가에서 그 주류 세력이 지배하고 있는 소수 민족문 화의 공존을 관용하고 배려하는 측면이 강하다면, 다문화 교육은 문화적 다양성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지원하고 확장하려는 교육이 다. 3) 라고 하였다. 또한,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문화, 민족, 性, 그 리고 사회적 계층의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각각의 다양성에 대해 이해하고 긍정적 태도와 인식을 가지도록 교육시키려는 의도를 포 함하며, 문화적 相 對 主 義 관점에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他 文 化 의 가치를 인정하는 교육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4) 라고 하고 있다. 1) 설규주(2012), 2면. 2) Riss에서 다문화 로 검색하고, 교과 로 결과 내 재검색한 결과 등록 된 논문만 305건이나 되고 있다. 3) 정하성 이진이 이장현(2007), 116면. 4) 이동재(2011),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536면 재인용. 86 교육연구 제58집
두 정의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공통적 입장은 문화의 다양성, 타문화의 가치 에 대한 인정과 수용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에 대해 논의를 할 때 두 정의에서 공통적으 로 제시하고 있는 문화의 다양성, 타문화의 가치 에 대한 인정과 수용의 자세에 대한 교육보다는 다문화 교육은 곧 다문화 가정의 교 육으로 한정시키고 있는 듯하다. 이는 최근 한국 사회가 외국인 이 주 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으로 이주한 외국인, 다문화 가정의 자 녀 등 총인구의 2%를 넘는 다인종 사회로 빠르게 전이되어 가고 있 고, 이에 따라 수반된 이주 노동자들의 우리 사회의 문화와 정서에 반하는 행위 등이 사회 문제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그 심각성이 더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5) 이와 같은 논의를 좀 더 확장시켜 본다면 단순히 다문화 가정의 교육이 아닌 다양한 문화에 대한 교육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다. 이는 곧 다문화 교육의 대상이 이주 노동자, 다문화 가정의 자녀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정규 학교를 다니고 있는 중등학생들까지도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정규 학교 교육에 한정하여 다문화 교육의 목적과 대상을 살펴본다면, 다 문화 교육의 목적은 한문 자료 속에 스며있는 문화적 다양성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타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태도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교육의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내국인과 외 국인으로 정규 학교 교육을 받는 모든 사람이 될 것이다. 한국의 정규 학교교육은 각 교과의 영역(교과목)에 따라 교육 내 용을 구분하여 시행된다. 따라서 현재 정규 학교 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은 각 교과에 따라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어과는 언어는 사회 구성원의 세계관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의 사소통을 하는 수단이며,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연결하는 매개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하여 언어는 문화적 이질성 을 극복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사회 구성원들의 정신적 물리 적 삶을 구속하기도 하는 역할을 한다. 6) 라는 논의와 같이 언어를 5) 이동재(2011), 530면 참조. 6) 진선희(2010), 407면.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87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한문 교과는 다문화 교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한문 교과의 주된 제재가 되는 한문 자료는 漢 字 를 표기수단으로 사용하였다. 漢 字 漢 文 는 중세시대 동아시아에서 공 통적으로 사용하였던 文 言 文 이었고, 口 語 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자문화권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 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7) 따라서 漢 字 漢 文 의 자료만으로도 동아시아 한자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자 료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과거 漢 字 를 통해 문장을 짓거나 한문을 향유할 수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漢 字 를 알고 있는 지배계층으로 한정되어 있었고, 한국에서는 士 大 夫 의 문학이라고 칭할 정도로 특정 계층에만 허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와는 다소 이질 적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한문 자료를 통해서 동아시아 의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 으며, 주제 면으로 접근한다면 바람직한 인성, 건전한 가치관 형성 과 같은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태도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를 검토하여 다문화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한문 교과 다 문화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향후 다문화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볼 것이다.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초 중등 교육법 제23조 제2항 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고시 내용 중 Ⅰ.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하고 있다. 7) 교육과학기술부(2011b), 8면. 88 교육연구 제58집
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라.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8) 2009 개정 교육과정 추구하는 인간상 중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것은 다 항과 라 항이다. 다 항의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는 다문 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에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 해로 국한시킬 수 도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 보면 다문화 가정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화를 이해하 고 인정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세계와 소통 하는 것도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수용해야만 가능할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 9) 과 비교하면, 기존의 라. 항,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이 삭 제되고 다. 항 의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가 새롭게 설정된 것을 보여준다. 2007 개정 시기 중학교 교육과정의 인간상인 우리 문화 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라는 항은 우리나라 사람이기 때문에 우 리 문화를 우선 이해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이해를 바탕 으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한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이는 현재 다 양한 문화적 가치와 양식이 공존하고 있는 다문화 사회의 수용과 이해라는 측면을 논의하는 데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에 삭제되었다 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 인간상의 변화는 새로운 교육과 정의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한문 교과의 경우 인간상의 변화가 새로운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2007 개정 시기와 2009 개정 시기의 중 8) 교육과학기술부(2011a), 1면. 9) 2007 개정 시기 중학교교육과정 인간상-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 하는 사람, 다.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라. 우 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마.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89
학교 한문과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표1>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 2007개정 시기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 10) 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 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나.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을 기른다. 다.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 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 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 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 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 닌다. 마.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진다. 2009개정 시기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 11) 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 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을 기른다. 다. 1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 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 2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 하며, 3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 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 닌다. 마.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4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 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 를 진다. 위의 표는 2007 개정 시기 교육 과정과 2009 개정 시기 교육 과 정의 한문과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교육과정 총론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문과의 목표는 助 詞 하나 틀 리지 않고 그대로 반복되고 있다. 이는 총론의 인간상인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라는 것은 단순히 다문화 가정과 관련한 교육 내 용이라는 협의의 의미로 받아 들였거나 혹은, 한자문화권 내에서 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 이라는 목표가 다원적 가치를 충분히 반 영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결국 한문 교과는 다문화 교육의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해 능 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한문 교과 교육 목표는 다 양한 문화에 대한 학습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10) 교육인적자원부(2007), 1면. 11) 교육과학기술부(2011b), 2면. 90 교육연구 제58집
우선 1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 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는 목표는 한문으로 기 록된 다양한 유형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 한 유형의 자료에 대한 접근은 자료가 발생된 시대의 문화, 역사, 사회 배경 등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열어준 것이다. 이를 통해 같은 민족일지라도 시대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당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거 사람들의 다양 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학교 교과서에 수 록되어 있는 申 師 任 堂 의 漢 詩 를 살펴보자. 慈 親 鶴 髮 在 臨 瀛 하얗게 머린 센 어머니는 임영<강릉>에 계시는데 身 向 長 安 獨 去 情 나는 홀로 장안<한양> 향해 가는 심정 回 首 北 村 時 一 望 고개 돌려 때때로 북촌을 바라보니 白 雲 飛 下 暮 山 靑 흰 구름 나는 아래 해 질 녘의 산이 푸르구나 12) 위 漢 詩 는 신사임당이 늙으신 친정어머니를 홀로 두고 서울 시 댁으로 떠나는 마음을 읊은 것이다. 위 漢 詩 를 다문화 교육 측면에 서 살펴보면, 長 安 이라는 지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長 安 은 원 래 唐 나라 수도인데 朝 鮮 의 수도인 漢 陽 을 대신하고 있다. 이는 당시 조선과 중국의 문화가 거의 동질화되어 있었고, 문화 형태나 관념 형태에 있어서는 두 나라 사이에 거의 隔 違 가 없을 정도로 되 었기 때문이다. 13) 따라서 唐 나라 수도인 長 安 이 곧, 朝 鮮 의 수도 인 漢 陽 과 지역은 다르지만 의미가 같다고 생각하는 문화적 동질 성이 일반적으로 퍼져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위의 漢 詩 가 지어질 때는 동아시아 공통 문자인 漢 字 만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 아닌 중국의 지명, 인명 등도 함께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화적 동질성은 다른 문화에 대한 인정 과 수용에서 생성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를 학습하는 현재의 다 문화 교육 요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2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12) 송재소 외 4인(2010), 113면. 13) 이우성(1982), 273 274면 참조.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91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라는 목표는 선인들이 남겨준 각 종 한 문 자료 속에서 자신을 인식하고 나아가 상대방에 대한 이해로 발 전시킬 수 있는 자료를 추출하여 나와 타자와의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초적 태도 형성에 一 助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학교 교과서에 빈번히 수록되어 있는 論 語 의 己 所 不 欲, 勿 施 於 人.(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이라는 經 句 를 통해 상대방을 나처럼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다. 朱 子 는 본 經 句 를 以 己 及 人, 仁 者 之 心 也 -자기로서 남에게 미침은 인자의 마음이다. 라 하였다. 즉, 자기의 마음과 남의 마음 이 일치되어 거리낌 없는 마음이 仁 者 의 마음이다. 仁 은 남과 내 가 하나가 되는 마음, 또는 남을 나처럼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 이 라고 정의 할 수 있다. 14) 이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의 문화를 나의 문화처럼 생각할 수 있는 가치관, 태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바로 다문화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본적인 마음 가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4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 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라는 목표도 단순히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국한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 내 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을 위한 태도를 형성하고 이러한 태 도를 바탕으로 한자문화권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이해, 교 류 증진의 태도를 지니는 것에까지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와 수용의 자세를 배울 수 있다. 다만 3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 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라는 목표는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3의 전통문화에 대해 우리 민족의 풍 부한 전통문화 가운데 학습자의 정서에 맞고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내용 15) 이라고 하였다. 결국, 전통문화 라는 개념을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고유한 문 화 라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시점 14) 이기동(1999), 23면. 15) 교육과학기술부(2011b), 315면. 92 교육연구 제58집
에서 전통문화 의 개념을 협의의 의미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문 제이다. 따라서 전통문화 의 개념을 각 나라에서 발생하여 과거로 부터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 라는 광의의 의미로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살펴보았듯이 한문 교과는 다 양한 문화 이해라는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목표와 교육 내용이 충 분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1. 제재 출전의 문제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문 교과서는 2009 개정 교육과 정이 적용되었고 2012년 8월 강원도 교육감이 인정한 것이다. 강원 도교육감 인정도서인 한문 교과서는 총 13종이 출판되었다. 13종 중학교 한문 교과서 중 50% 정도인 7종의 교과서를 무작위로 선정 하여 교과서 본문에서 제시한 제재의 출전을 살펴보았다. A B C D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東 文 選 한국 旬 五 志 한국 千 字 文 중국 論 語 중국 於 于 野 談 한국 耳 談 續 纂 한국 童 蒙 先 習 한국 孟 子 중국 五 洲 衍 文 長 箋 散 稿 <표2> 중학교 한문 교과서 출전1 한국 旬 五 志 한국 擊 蒙 要 訣 한국 文 選 중국 杜 甫, 縛 鷄 行 중국 荀 子 중국 與 猶 堂 全 書 한국 明 心 寶 鑑 중국 耳 溪 集 한국 淮 南 子 중국 論 語 중국 百 諺 解 한국 推 句 한국 益 齋 亂 藁 한국 芝 峯 集 한국 栗 谷 全 書 한국 禮 記 중국 論 語 중국 星 湖 全 集 한국 明 心 寶 鑑 중국 嘉 梧 藁 略 한국 蒙 學 漢 文 初 階 한국 芝 峯 集 한국 宋 子 大 全 중국 千 字 文 중국 洌 陽 歲 時 記 한국 春 秋 左 氏 傳 중국 蒙 求 중국 推 句 한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韓 非 子 중국 海 東 續 小 學 한국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93
推 句 한국 弘 齋 全 書 한국 三 國 志 演 義 중국 慵 齋 叢 話 한국 推 句 한국 明 谷 集 한국 高 麗 史 節 要 한국 海 東 續 小 學 한국 鶴 峯 集 한국 啓 蒙 篇 한국 李 忠 武 公 全 書 한국 童 蒙 先 習 한국 孝 經 大 義 중국 芝 峯 類 說 한국 杜 甫 중국 退 溪 集 한국 韓 詩 外 傳 중국 大 東 野 乘 한국 李 白 중국 五 峯 集 한국 荀 子 중국 格 致 鏡 原 중국 大 學 중국 宋 名 臣 言 行 錄 중국 與 猶 堂 全 書 한국 林 下 筆 記 한국 中 庸 중국 於 于 野 談 한국 淵 泉 集 한국 九 章 算 術 중국 孟 子 중국 大 東 奇 聞 한국 道 德 經 중국 湛 軒 書 한국 春 秋 중국 湛 軒 書 한국 荀 子 중국 小 華 詩 評 한국 老 子 중국 明 心 寶 鑑 중국 賈 島 중국 杜 工 部 集 중국 墨 子 중국 中 庸 중국 白 光 勳 한국 芝 峯 類 說 한국 淮 南 子 중국 安 昌 浩 한국 蘇 軾 중국 冶 隱 集 한국 孔 子 家 語 중국 明 心 寶 鑑 중국 鄭 道 傳 한국 練 藜 室 記 述 한국 童 蒙 先 習 한국 論 語 중국 思 齋 集 한국 蒼 石 集 한국 孫 子 중국 孟 子 중국 說 苑 중국 浣 巖 集 한국 退 溪 先 生 言 行 錄 한국 莊 子 중국 芝 峰 類 說 한국 芝 峯 類 說 한국 燕 巖 集 한국 墨 子 중국 朴 趾 源 한국 大 學 중국 戰 國 策 중국 磻 溪 隧 錄 한국 退 溪 集 한국 中 庸 중국 史 記 중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論 語 중국 論 語 중국 燕 巖 集 한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論 語 集 註 중국 論 語 중국 嘯 齋 集 한국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한국 孟 子 중국 孟 子 중국 高 麗 史 한국 杜 甫 중국 士 小 節 한국 孟 子 중국 世 宗 實 錄 地 理 志 한국 鄭 道 傳 한국 與 猶 堂 全 書 한국 道 德 經 중국 硏 經 齋 集 한국 史 記 중국 安 島 山 全 書 한국 墨 子 중국 訓 民 正 音 한국 白 湖 集 한국 三 國 遺 事 한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隋 書 중국 李 玉 峯 한국 李 玉 峯 한국 靑 莊 館 全 書 한국 李 集 한국 李 集 한국 日 東 記 遊 한국 李 植 한국 李 植 한국 高 麗 史 한국 於 于 野 談 한국 於 于 野 談 한국 李 忠 武 公 全 書 한국 三 國 史 記 한국 三 國 史 記 한국 熱 河 日 記 한국 韓 昌 黎 集 중국 韓 昌 黎 集 중국 94 교육연구 제58집
北 學 議 한국 東 文 選 한국 東 文 選 한국 與 猶 堂 全 書 한국 訓 民 正 音 한국 <표2>를 살펴보면 A, B, C, D 교과서 제재의 출전은 한국과 중 국 것으로만 구성되었다. 또한, A교과서의 경우 전체 35개의 출전 중 한국이 21개 중국이 14개로 한국 출전의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B교과서는 전체 45개의 출전 중 한국이 30개 중국이 15개로 한국 출전이 비중이 2배나 높았다. C교과서는 전체 43개의 출전 중 한국 이 24개 중국이 19개로 한국의 출전이 높았고, D교과서도 한국이 18개 중국이 17개로 한국 출전의 비율이 조금 높았다. 위 표를 통해 A, B, C, D 네 개의 교과서는 한국 출전이 중국 출 전 보다 비중이 높았고 모든 출전들이 한국과 중국에 한정되어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음 3종의 교과서의 출전을 살펴 보면 위 4종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3> 중학교 한문 교과서 출전2 E F G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出 典 ( 著 者 ) 國 家 漢 書 중국 擊 蒙 要 訣 한국 戰 國 策 중국 耳 談 續 纂 한국 論 語 중국 耳 目 口 心 書 한국 列 子 중국 道 德 經 중국 百 諺 解 한국 文 選 중국 魏 書 중국 耳 談 續 纂 한국 耳 談 續 纂 한국 孟 子 중국 孟 子 중국 四 字 小 學 중국 耳 談 續 纂 한국 三 國 史 記 한국 後 漢 書 중국 禮 記 중국 韓 非 子 중국 大 東 奇 聞 한국 分 類 補 註 李 太 白 詩 중국 論 語 중국 訒 齋 集 한국 戰 國 策 중국 戰 國 策 중국 小 學 중국 禮 記 중국 白 氏 長 慶 集 중국 列 子 중국 擊 蒙 要 訣 한국 道 德 經 중국 大 東 詩 選 한국 三 國 志 중국 耳 談 續 纂 한국 耳 談 續 纂 한국 東 文 選 한국 史 記 중국 慕 齋 集 한국 史 記 중국 東 國 李 相 國 集 한국 旬 五 志 중국 明 心 寶 鑑 중국 孔 子 家 語 중국 三 峰 集 한국 道 德 經 중국 漢 書 중국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95
韓 詩 外 傳 중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與 猶 堂 全 書 한국 烈 女 傳 중국 桂 苑 筆 耕 集 한국 秋 齋 集 한국 論 語 중국 芝 峯 類 說 한국 論 語 중국 訓 民 正 音 한국 孔 子 家 語 중국 後 漢 書 중국 禮 記 중국 三 國 遺 事 한국 大 學 중국 陽 坡 遺 稿 한국 論 語 중국 韓 詩 外 傳 중국 賈 浪 仙 長 江 集 중국 春 秋 左 氏 傳 중국 大 東 奇 聞 한국 蘭 雪 軒 詩 集 한국 孫 子 중국 三 國 史 記 한국 燕 巖 集 한국 後 漢 書 중국 芝 峯 類 說 한국 論 語 중국 荀 子 중국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한국 道 德 經 중국 道 德 經 중국 東 國 歲 時 記 한국 墨 子 중국 孟 子 중국 默 吾 遺 稿 한국 韓 非 子 중국 呂 氏 春 秋 중국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한국 史 記 중국 孟 子 중국 訓 民 正 音 한국 三 國 史 記 한국 古 文 眞 寶 중국 李 忠 武 公 全 書 한국 三 國 遺 事 한국 李 太 白 集 중국 樊 巖 集 한국 松 南 雜 識 한국 東 文 選 한국 梅 月 堂 集 한국 金 笠 詩 集 한국 燃 藜 室 記 述 한국 樊 川 文 集 중국 獨 谷 先 生 集 한국 象 村 集 중국 杜 甫 중국 大 學 중국 鄭 知 常 한국 孟 子 중국 鄭 道 傳 한국 韓 詩 外 傳 중국 論 語 중국 古 文 眞 寶 중국 孟 子 중국 明 心 寶 鑑 중국 三 國 史 記 한국 論 語 중국 三 國 志 演 義 중국 鶴 峯 全 集 한국 熱 河 日 記 한국 <표3>의 E, F, G 교과서 제재의 출전도 모두 한국과 중국 것으 로만 선정되었다. 다만, <표2>의 네 교과서와 다르게 한국 출전 보 다 중국 출전의 비중이 높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E교과서는 전체 53개의 출전 중 중국이 33개 한국이 20개로 중국 출전 비중이 높았으며, F교과서도 전체 38개의 출전 중 중국이 20개 한국이 18 96 교육연구 제58집
개로 중국 출전 비중이 높았다. G교과서도 전체 27개의 출전 중 중 국이 15개 한국이 12개로 중국의 출전 비율이 높았다. 漢 字 는 분명 중국에서 만들어 졌으나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베트남에 전해져서 동아시의 고유 문자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위의 표에서도 나타나듯 한문 교과서는 한국, 중국의 한문 자료만 으로 구성하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나타 난 이유로 첫째는 제7차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 을 제시 할 때 제재 선정의 규정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가.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내용의 선정 (마) 한문 문장은 일상생활과 관계가 깊고 평이하며, 전통 문화의 이해와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선정하되 고전은 그 제재수로 보아 우리나라의 것이 50% 이상 되도록 선정한다. 16) 제7차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 에서 우리나라의 것이 50% 이상 되도록 선정한다. 라는 규정으로 인해 한문 교과서 제재의 반 이상이 우리나라 한문 자료가 차지할 수 있었다. 이는 7차 교육 과정 검 인정 당시 교과서 공통기준의 범교과 학습 민족문화 정체 성 교육 과 7차 교육과정 개정의 요구였던 새로운 문명 시대에 세 계 속의 중심 국가로 살아남기 위한 신교육 체제의 수립 이 주요 쟁 점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변화에 따라 2007 개정 교육과정 시 기 집필규정에서 본 규정이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들은 우리의 한문 자료를 조금 더 많이 선정하고 있는 실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한문과 목표에서 제시한 한자 문화권 내에 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 이라는 것은 漢 字 를 사용하였던 문화권 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이지만, 교과서에 반영된 제재는 결국 중 국과 한국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으로 한정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일본과 베트남 및 다른 한자문화권에서 기록한 한문 자료 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나라의 한문 16) 교육인적자원부(1999).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97
자료를 교과서에 수록할 수 없었다. 지금은 한자문화권의 다양한 한문 자료의 수집과 문화에 대한 포용적 자세를 가져야 할 때이다. 다문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 漢 字 문화권의 다양 한 한문 자료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 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한자문화권의 제재의 선정은 피 할 수 없는 현실이 된 것이다.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최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 속에 각 교과들은 다문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교과서에 반영하고 있다. 한문 교과 도 이와 궤를 같이하여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을 교과서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살펴보면 다문화 교 육 내용과 제시 방법이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한문과 교육 목표에서 제시한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진다. 라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문제점 이 있다. 또한, 한자문화권의 다양한 한문 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교 육내용을 선정해야 할 것인 데 한문교과에서는 한 중 일 삼국의 문화에 대한 비교가 중심이 되는 편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한 중 일 삼국 문화에 대한 비교에 있어서도 별도의 단원이나 학 습활동이 자세히 기술되지 못하고 있다. <표4> 중학교 한문 교과서 한자문화권 관련 단원 교과서 학습 내용 성취기준 (대단원/소단원 학습목표) 학습 내용 A 없음. 없음. B 없음. 없음. C 없음. 없음. D 없음. 없음. E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八 道 者, 我 邦 之 諸 藩 也. 中 曰 京 畿, 98 교육연구 제58집
F G 인 지식을 익힐 수 있다.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 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닌 수 있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힌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힐 수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次 南 曰 忠 淸. ( 古 百 濟 ) 又 南 曰 全 羅. 東 南 曰 慶 尙. ( 古 新 羅 ) 正 東 曰 江 原, 次 西 曰 黃 海. 西 北 曰 平 安. ( 古 句 麗 ) 正 北 曰 咸 鏡. ( 南 北 道, 卽 古 南 北 沃 沮.) 此 之 謂 八 道 也 없음. 一 家 二 貴, 事 乃 無 功. 功 當 其 事, 事 當 其 言 則 賞, 功 不 當 其 事, 事 不 當 其 言 則 罰. 위의 <표4>에서 보듯이 7종의 교과서 중 한자 문화권과 관련된 내용 성취기준을 제시한 교과서는 단 3종뿐이었다. 또한, E는 내용 성취기준을 제시하였지만, 본문 제재 내용과 성취기준과 연관성이 부족하다. 즉, 한자문화권과 한국의 팔도의 명칭과는 전혀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G교과서는 한자 문화권에 대한 기초 지식과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이라는 학습 내용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韓 非 子 의 사상을 학습하도록 해서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해 다소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있다고는 판단되나 상호 이해와 교류 증 진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리고 F교과서의 경우 학습내용 성취기 준을 제시하고 관련된 교육내용은 없는 문제점도 나타난다. 결국 한자문화권에 대한 단원 목표를 설정하였으나 교육 내용간의 유기 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다음으로 다문화 관련 교육 내용을 교과서 본문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 둘러보기, 문화를 찾아서, 함께 하는 한 문 등과 같은 별도의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5> 중학교 한문 교과서 한자문화권 관련 교육 내용 제시 방법 교과서 학습 내용 성취기준 (대단원/소단원 학습목표) 본문 외 수록 A 없음. 없음.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99
B C 없음. 없음. -한자야 반갑다. 대단원 마무리 (한자문화권 둘러보기) 대단원 마무리 (문화를 찾아서) D 없음. 없음. E F G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힐 수 있다.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닌 수 있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힌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힐 수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없음. 함께 하는 한문 (좋아하는 숫자와 좋아하지 않는 숫자) 궁금해요 문화 (한 중 일 전통의복) A, D교과서의 경우 한자문화권, 상호 이해 교류 증진과 관련된 교육 내용이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B교과서의 경우 한자야 반 갑다 라는 한자 소개 내용에서 한자문화권에 대한 단순한 기술이 있었으며, 대단원 마무리 마다 한자문화권 둘러보기를 제시하였다. C교과서 역시 대단원 마무리에 문화를 찾아서 라는 것을 통해 한 자문화권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F, G 교과서의 경우는 함께하 는 한문, 궁금해요 문화 에서 각각 한 개의 한자문화권 교육내용 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의 한자문화권 관련 교육 내용이 교과서 본문 내 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충학습처럼 제시되고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때문에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지만, 본 문에 선정된 제재와 연관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다. 또한, 보충, 심화 학습 같은 경우, 교사의 재량에 따라 학습할 수도 혹은 지나칠 수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문화 관련 교육 내 용을 소홀히 취급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100 교육연구 제58집
3. 삽화의 문제 모든 한문 교과서는 본문의 내용을 제시할 때 삽화를 함께 넣는 방식으로 구조화 되어 있다. 그러나 삽화의 등장인물과 문화재들이 대부분 한국의 것이거나 혹은, 한 중 일 삼국의 것으로 한정되는 문제도 나타난다. 삽화는 각종 사진, 그림, 문헌 자료 등을 시각적 으로 보여주기 위한 자료이다. 이러한 삽화는 학습자의 동기와 호 기심을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삽화는 교과서 구성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영어 교과에서는 영어 교과서 의 삽화를 인종에 따라 분류한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 백인이 49.64%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로 삽화에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 고, 황인 20.66%, 흑인 9.72%의 빈도 순서를 보였다. 교과서가 우리 나라에서 발간된 것이므로 특성상 황인의 삽화 중 한국인의 등장이 절대적으로 많은 것을 감안하면, 한국인 외의 아시아인은 매우 적 은 출현 횟수를 보인 것이라 추론된다. 17) 라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세계화된 영어 문화권의 특성상 다양한 인종들이 삽화로 등장할 것 이라고 생각되지만 오히려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 한문 교과 서도 이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표6> 중학교 한문 교과서-본문에서 사용하는 삽화 a-b 교과서 b-e교과서 17) 염보라, 안성호(2010), 87면.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101
c-a교과서 d-d교과서 e-c교과서 f-g교과서 위의 삽화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 실려 있는 것이다. 이 삽화들의 특징은 첫째, a교과서와 b 교과서 같이 한국 사람의 현재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사진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c교과서와 같 이 한국 사람의 과거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d교과서와 같이 과거에 사용했던 물건이나 서적 등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e, f교과서와 같이 중국 사람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들의 삽화는 위 세 가지 구분에 포함되고 있 다. 다양한 나라의 사람과 다양한 사회의 모습을 충분히 담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삽화 제시에 대해 깊이 고려하지 않고 있는 현 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한문 교과가 다문화 교육 과는 먼 우리 전통교육만을 위한 교과라는 오해를 불러올 수도 있 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접근을 위해 혹은 다양한 한자 문 화권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라도 삽화의 다양화는 필요하다. 다행스럽게도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이후 아래 <표7>과 102 교육연구 제58집
같은 삽화는 신선함을 준다. 孟 子 의 성선설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양한 사람을 그려내면서 다양한 인종들이 서로 돕고 사는 것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이 삽화의 조직과 선정에 보다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표7> 중학교 한문 교과서-본문에서 사용하는 새로운 삽화 人 性 之 善 也, 猶 水 之 就 下 也. 天 時 不 如 地 利, 地 利 不 如 人 和. 愛 人 者, 人 恒 愛 之, 敬 人 者, 人 恒 敬 之. - 孟 子 - g-f교과서 Ⅳ. 나오는 말 현재 우리사회는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사회 변화는 당시 사회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필요성과 사 회의 요구에 의해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개정된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추구하는 인간상이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 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으로 변화된 것은 이 러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 문 교과는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口 語 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여 타의 외국어와 달리 漢 字 라는 문자는 특수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향 유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를 학습하는 다문화 교육과는 다소 이질 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문 자료 속에는 시대에 따 른 다양한 문화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한문 자료를 주제 면으로 접근한다면 바람직한 인성, 건전한 가치관 형성과 같은 교육 내용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103
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태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이 것이 바로 다문화 교육을 성취시킬 수 있는 기본적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한문 교과는 지금까 지 논의한 것처럼 타 문화 교육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문 교과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제언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한문 교육과정은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교육 목표 기술의 구체성이 부족했다. 물론 교육과정의 목표는 단순하면서도 명확해 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목표를 제시하고 목표에 대한 부연 설명을 기술할 때 다문화 교육 내용을 소략하게 다루고 있다 는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한문 자료 속에 담겨있는 다양한 문화의 이해, 과거 문화 이해를 통한 현대 문화 이해로의 확장, 자신을 이 해하고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는 태도 형성, 각 나라에 존재하고 있는 전통문화에 대한 문화적 상대주의 관점, 한자문화권의 이해와 교류증진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이해와 교류 증진으로의 확 대와 같은 교육 내용의 구체적 진술이 필요하다. 둘째, 한문 교과서의 제재를 선정할 때 다양한 나라의 한문 자료 를 활용해야 한다. 현재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는 한국, 중국 의 한문 자료가 대부분이었다. 다문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지금 의 현실에서 漢 字 문화권의 다양한 한문 자료를 통해 그들의 문화 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한자 문화권에서 생산된 다양한 한문 자료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문 교과 의 제재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문 교과서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다문화 교육 내용과 교 과서에 수록한 제재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대단원의 학습 목표와 소단원의 학습 목표가 연결되지 않고 혹은 단순한 교육 내용의 기술에 그친다면 학습자는 흥미를 잃게 되어 교육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구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104 교육연구 제58집
넷째, 한문 교과서의 교육 내용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는 삽화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한문 교과서 에 들어가 있는 삽화의 주인공은 대부분 한국 사람과 동양 사람이 었다. 다양한 문화에 대한 접근을 위해 혹은 다양한 한자 문화권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라도 삽화의 다양화는 필요하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생활양식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제는 단일성과 혈통주의, 우리 문화만 고 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한문 교과는 각 주체들의 고유한 자 기 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정 과 수용의 자세를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의 중심에 서 있다. 논문 접수일:2013. 7. 8. 논문 수정일:2013. 12. 20. 게재 확정일:2013. 12. 23.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105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1999), 제7차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중학교). 교육인적자원부(2007), 중학교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3. 교육과학기술부(2011a), 중학교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3. 교육과학기술부(2011b), 중학교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7. 김영주 외 6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천재. 김용재 외 3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와이비엠. 김혜영(2012),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국어 교과서 텍스트 분석,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1~142 쪽. 박성규 외 3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두산동아. 설규주(2012). 초중고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다문화 교육연구 5(1),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8쪽. 송영일 외 3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성림출판사. 송재소 외 4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다락원. 안재철 외 6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미래엔. 염보라 안성호(2010), 현행<영어Ⅰ> 교과서의 암묵적인 문화적 가정에 대한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3(2),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1~96 쪽. 이기동(1999), 論 語 講 說,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동재(201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1 교과서의 다문화 수용 양상 연구, 한자한문교육 26, 한국한자한문교육학 회, 529~558쪽. 이우성(1982), 한국의 역사상, 서울:창작과 비평사. 이상진 외 2명(2012), 중학교 한문, 서울:디딤돌. 정하성 이진이 이장현(2007), 다문화 청소년이해론, 서울:양서원. 진선희(2010),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0(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03~428쪽. 106 교육연구 제58집
Abstract About Comments a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a of 2009 Donsuk Lee Around the Mid-2000s, The range and level for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wider as well as deeper in our country. Accordingly, the word "Multi-Culture" has became familiar. Moreover, the word regards as the important keyword like a kind of "Trend" in the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experience variety of other cultures using the cultural diversity and to get attitudes that can recognize or accommodate the value of other cultures. This thesis intend to inform Situ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on direction of the Education with sources of educational elements of Classical Chinese. This starts with review on the goal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hich is operation guideline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analysis on the conten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ough Classical Chinese textbook as a main text book for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n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Goal of Curriculum, Sources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textbook.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