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130-743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공과대학 Tel 02-6490-2303, 2304 Fax 02-6490-2309 163 Siripdae-ro, Dongdaemun-gu, Seoul, 130-743, Korea http://www.uos.ac.kr 2013-2014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지식과 기술에 희망을 담아내는 곳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가며 세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곳이 있습니다. 인류를 위한 기술을 탐구하며 미래를 더욱 밝혀가는 곳이 있습니다. 깊이가 다른 교육과 행동이 다른 실천으로 글로벌 인재를 키워가는 곳,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우리는 희망의 빛을 발견합니다. 사람과 사회를 위해 봉사할 줄 아는 진정한 리더를 발견합니다. 세상과 사람의 희망이 되는 교육을 실천하는 대학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이 새로운 내일을 열어갑니다. Educational Purposes 교훈 진리 창조 봉사 교육목적 본교는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으로써 국가, 인류사회의 발전에 공헌함과 아울러 서울시민의 생활과 문화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본 대학의 교육은 대한민국 교육법에 그 이념적 바탕을 두고 서울시립대학교 교훈에 제시된 대학이념과 교육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목표를 구현한다. contents 04 학장 인사말 06 History & Vision 08 공학교육인증제 10 학부 및 학과 소개 38 산업기술연구소 40 정보기술연구소 42 공학교육혁신센터 폭 넓은 교양과 심오한 학문적 이론 및 창의적 전문기술을 지닌 지성인을 기른다. 성실과 근면을 바탕으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춘 민주시민을 기른다.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의 적응력과 새 문화의 창조력을 함양하여 서울시와 국가 및 인류 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지도자를 기른다.
l 학장 인사말 College of Engineering 04 05 미래를 향한 우리의 노력을 지켜봐 주십시오 안녕하십니까!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장 김인철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종합대학 승격과 함께 1987년 3월에 구성된 공과대학은 현재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화학 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토목공학과, 컴퓨터과학부 등 여섯 개 학부 과에 교수 70여명과 학 석 박사과정 학생 2,000여명이 소속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교내에 공과대학 소속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지원을 위해 산업기술연구소, 정보기술연구소 및 양자정보처리연구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학교육인 증을 지원하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우리 대학교 및 공과대학은 서울시의 조례 및 규칙, 서울시의 정책방향, 그리고 학교의 발전 계획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 및 연구 시설을 적절하게 갖추고 있으며, 교직원들이 연구 및 교육에 서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값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 교 내외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풍부한 해외 봉사 및 교환학생 지원 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 실험 실습 강좌에 대한 충분한 지원, 전공 관련 행사 및 동아리 활동 지원 등 학생들의 학업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도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은 국내 최 상위 공과대학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되고 있습니다. 공학은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발전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 신 기술 개발을 통한 창업 및 기업 성장 등에 공학은 지속적으로 필수적이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리라고 기대합니다. 특히, 시립대학교 공과대학은 본교의 특성화 사업인 도시기반 기술 에 부합하면서 창의성과 공공성을 접목한 연구 및 교육에 대학의 노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향한 우리 공과대학의 노력을 지켜봐 주시고, 뜨거운 성원과 힘찬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장 김 인 철
l History & Vision College of Engineering 06 07 세계의 공학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21세기의 첨단과학 기술시대와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공과대학은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고,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사명감으로 공학분야의 기초이론습득과 정보화교육을 심화시켜 산업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미래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전문 기술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College of Engineering History 도시공학과, 위생공학과 설치 1974 화학공학과 설치 1976 전자공학과 야간설치 1979 전자공학과를 주간으로 조정 1981 도시계획학과 설치 1984 제어계측공학과 설치, 도시 계획학과를 증원하며 교통 관리 전공을 설치 1988 정밀기계공학과 설치 1992 건축공학과, 도시공학과, 조경학과 통합 건 축 도시 조경학부(주간 120명, 야간 50명), 전자 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반도체공학과 통합 전자전기 공학부(주간 160명) 환경공학과를 증 원하며 수질공학전공을 설치 1992 재료공학과 10명 증원 1992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로 학과명 변경 2002 공학교육인증 획득 2009 1975 건축공학과 주 야간 설치 1977 도시공학과를 토목공학과로 변경 1980 위생공학과를 환경공학과로 변경 1982 공학부 5개 학과 (환경, 건축, 토목, 화공, 전자) 1982 종합대학교로 개편되며 단과 대학 설치, 공과대학 6개 학과 (환경, 건축, 토목, 화공, 전자, 도 시계획) 1993 반도체공학과와 재료공학과 설치 1996 도시과학대학 설립으로 건축도시조경 학부, 토목공학과, 환경공학과 이체로 공과대학 1개 학부 3개과(전자전기공 학부, 화학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재 료공학과) 2001 정밀기계공학과 기계정보 공학과로 학과명 변경 전자전기공학부 전자전기 컴퓨터공학부로 학부명 변경 2005 토목공학과, 컴퓨터과학 부의 공과대학으로 편제 (2개 학부, 4개 학과)
l 공학교육인증제 College of Engineering 08 09 공학교육인증제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공학교육의 발전 및 새롭고 창의적 인 접근방법 고취를 목적으로 미국 공학교육인증원(ABET)을 모델로 1999년 8월에 설립된 한국공학교 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 ABEEK)은 공학공동체(산업체, 학 회, 대학, 공학관련단체)에 의한 자 발적 기구로서, 해당 프로그램(전공) 을 이수한 졸업생이 사회에서 필요 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하게 수행 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보증해주는 인증제도를 운영 중이다. 우리 대학 은 2006학년도 신입생부터 인증 제 도 운영프로그램을 도입하였으며, 2009년 신규평가를 통하여 공학교 육인증을 처음 획득하였고, 중간평 가(2011년)를 통해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 공학교육인증의 개요 1. 성과중심 공학교육(Outcome-Based Education) 교육의 품질보증 / 교육의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달성 2. 수요지향 공학교육(Demand-Driven Education) 12가지 학습성과 : 학생(졸업생), 산업체(고용주), 사회의 요구 3. 교육내용의 국제화(Washington Accord 정회원) 국제수준의 공학교육 : 공학 전문인력의 품질보증 4. 관련 내용의 제도화, 문서화, 명확한 공개 필요성 및 혜택 공학교육인증을 받아야 하는 필요성과 인증 혜택은 다음과 같다. 1. 졸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요구하는 공학도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게 됨 인증제도의 기본개념 해당 프로그램의 졸업생이 산업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음을 보증함으로써, 기업체가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졸업생들을 선호하게 되어 취업에 실질적 효과가 있다. 2. 국내 대기업 신입사원 채용시 인증 졸업자 우선적 채용 가능(국내적 혜택) 개시연도 기업명 인증 졸업생 혜택 2005년 (주)안철수연구소 서류전형 우대 2006년 삼성전자 면접전형 10% 가점 부여 2007년 Ericsson-LG 서류전형 10% 가점 부여 삼성그룹 16개 계열사 면접전형 10% 가점 부여 2008년 NHN 서류전형 우대 2009년 KT 서류전형 우대 SK 커뮤니케이션즈 서류전형 우대 벤처기업협회 공학인증제도 홍보 및 확산 온세텔레콤 서류전형 우대 (이력서표기) 서울9호선운영(지하철9호선) 서류전형 우대 인크루트 인증이수여부 이력서 표기 비트컴퓨터 면접전형 10% 가점 부여 서울반도체/서울옵토디바이스 서류전형 우대 드림위즈 서류전형 10% 가점 부여 2010년 몬티스타텔레콤 서류전형 10% 가점 부여 인성정보 및 5개 계열사 서류전형 10% 가점 부여 신세계건설/신세계아이앤씨 서류전형 가점 부여 SK텔레콤 서류전형 우대 가온미디어(주) 서류전형 우대 (주)윈스테크넷 서류전형 우대 삼성SNS 서류전형 5% 가점 부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산업체 평가위원 추천, 공학인증제도 홍보 및 확산 전국경제인연합회 공학인증제도 홍보 및 확산 STX그룹 12개 계열사 서류전형 우대 2011년 OCI 인증이수 여부 이력서 표기 중소기업중앙회 공학인증제도 홍보 및 확산 SK C&C 주성엔지니어링 휴맥스 콤텍시스템 콤텍정보통신 2012년 다산네트웍스 핸디소프트 퓨쳐시스템 옴니시스템 한국플랜트산업협회 플랜트전문가과정 지원자 중 공학인증수료자 가점부여 나모인터렉티브 서류전형 및 이력서 표기 IT여성기업인협회 공학인증제도 홍보 및 확산 LG전자 SK하이닉스 동국제강그룹 현대제철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란 공학교육인증이수여부 체크 2013년 현대중공업그룹 서류전형 가산점 부여 캐리어 서류전형 우대 오텍 서류전형 우대 한국터치스크린 서류전형 우대 현대모비스 서류전형 가산점 부여 동부제철 서류전형 가산점 부여 출처 : 한국공학교육인증원(http://www.abeek.or.kr) - Outer loop - Inner loop 3.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공학도임을 세계 어디서나 인정받게 됨(국제적 혜택) 2007년 6월, 국제적 공학교육인증 협의체인 워싱턴어코드(Washington Accord) 정회원에 가입됨에 따라 ABEEK 인증 졸업생은 정회원국 사이에서 법적, 사회적 모든 영역에서 회원국의 졸업생과 동등한 자격을 가지게 됨 국가별 국제적 혜택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 홈페이지(http://www.abeek.or.kr) 참조 추진연혁 2005. 05 ~ 2006. 02 공학인증대상 학부ㆍ과 교과과정 개편 2006. 02. 06 공학교육인증제 구축사업 추진계획 수립(총장 방침) 2006. 03. 02 2006학년도 공학인증 대상 프로그램 시행 (6개 학부ㆍ과)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화학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컴퓨터과학부,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06. 04. 01 공학교육지원센터 설립 2007. 03. 02 2007학년도 공학인증 대상 프로그램 시행 (7개 학부ㆍ과) 환경 공학부 추가 2007. 04. 27 공학교육지원센터 를 공학교육혁신센터 로 변경 2007. 06. 07 (재)한국산업기술재단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선정 총 사업기간 : 2007. 6. 1 ~ 2012. 5. 31(5년간) 2008. 03. 02 2008학년도 공학인증 대상 프로그램 시행 (8개 학부ㆍ과) 토목 공학과 추가 2008. 09. 29 창의공학설계스튜디오 구축 완료 설계스튜디오 3개소, 브레인스토밍룸 2개소 2009. 02. 25 ~ 02. 26 기초설계교육 위크숍 개최 2009. 04. 19 ~ 04. 21 2009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 실시 2009. 07.13 공학교육조교 활동 프로그램 도입(총 11명) 2009. 12. 23 공학교육인증 획득(6개 프로그램) [전자전기공학심화, 화학공학심화, 기계정보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컴퓨터과학심화, 건축공학심화] 2010. 09.09 공학교육혁신센터 조직 개편 (교무처 교육인증원, 총장 직속기구) 2011. 04.17 ~ 04. 19 2011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 실시 (신규 및 중간평가, 8개 프로그램) 2011. 12. 26 2011 공학교육인증 평가결과 통보 (한국공학교육인증원 대학) 8개 프로그램 모두 인증 획득 (유효기간 2년 : 2014. 2. 28까지) 2013. 03. 12 교육과학기술부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2007 ~2012) 최종사업평가 결과 매우우수 대학으로 선정 2012. 04. 02 교육과학기술부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2단계) 선정 총 사업기간 : 2012. 3. 1 ~ 2022. 2. 28(10년간) 2013. 02. 27 교육과학기술부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 평가 결과 매우우수 대학으로 선정 2013. 04. 22 ~ 04. 23 2013 공학교육인증 중간 방문평가(7개 프로그램) 화학공학, 기계정보공학, 신소재공학, 토목공학, 컴퓨터과학, 건축공학, 환경공학 대상 프로그램 및 학생 1. 인증 제도 운영프로그램 프로그램 대학 학부ㆍ과 심화프로그램 일반프로그램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화학공학심화 화학공학 공과대학 기계정보공학과 기계정보공학심화 기계정보공학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심화 신소재공학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토목공학심화 토목공학 공과대학 컴퓨터과학부 컴퓨터과학심화 컴퓨터과학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건축공학) 건축공학심화 건축공학 도시과학대학 환경공학부 환경공학심화 환경공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는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 운영 중단으로 대상에서 제외 심화 일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성적 및 졸업증명서 등 각종 제증명서에 표기 2. 대상 학생 공학교육인증 대상 학생은 2006학년도부터 입학하는 신입생, 2008학년도부터 편입하는 편입생, 2006학년도 이전에 입학하여 복학하는 학생(2006학년도 이후 신입생과 동일 학년으로 복학하여 이수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해당 학부ㆍ과로 입학하는 신입생은 별도의 신청절차 없이 인증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소속되며, 복학생ㆍ편입생 등의 경우에는 학생의 신청에 의하여 해당 프로그램 위원회의 심사결과에 따라 소속이 변경됨. 다만 환경공학부는 2007학년도 신입생 및 2009학년도 편입생부터 적용, 토목공학과는 2008학년도 신생 및 2010학년도 편입생부터 적용. 인증 준비사항 1. 교수 / 강사 단계 상세업무 상세결과 분석 업무분석 요구분석 결과에 따른 프로그램 교육목표 설정 학습자료 분석 교과과정 설계 강의계획 수업계획서 작성 학업성취도 평가 설계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개발 교재 및 강의 보조자료 개발 교과목 포트폴리오 실행 강의실시 상담실시 수업평가 수업평가 결과 평가 교과목 포트폴리오 교과목 포트폴리오 작성 교과목 CQI보고서 교과목 CQI보고서 작성 상담보고서 상담보고서 2. 학생
l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10 11 학과 주요장비 Mobile Robot Research Platform 질의 파형 발생, 고 분해능의 Clock과 Data 발생, 외부 Mobile Robots Inc의 Research용 로봇들로서 Gate 신호를 이용한 Burst 신호 발생, 그리고 초고속 Wide Band 신호 발생 등을 위해 이용되는 장비이다. Human Interface research base robot인 Peoplebot과 General research purpose robot인 Pioneer로봇, 그리고 기초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고 Multi-Agent base robot 구성이 가능한 Amigobot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Platform에서 확장 가능한 Sensor(IR Scanner, Laser Scanner, Sonar, Digital Cam)들과 Actuator(6-dof Robot Arm, Gripper)들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목적과 상황에 맞게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LEGO NXT kit, 바이올로이드종합키트 Agent 학습용 종합조립키트로 서 각 키트에는 로봇을 구동하 기 위한 구동부, 다양한 센서모 Dilution Refrigerator Oxford instruments의 Kelvinox series로, 시료를 절 대 온도에 가까운 수십 mili- Kelvin 까지 측정할 수 있는 장 비이다. Dilution은 He4를 통 해 4K까지 온도를 내리고, He4 의 기화열로 He3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1K). 마지막단 계로 He3의 phase상 차이에 의한 현상으로 mk까지 낮추는 원리로 동작한다. 현재 Dilution은 고 자기장을 이용한 Magneto-Resistance, Quantum Hall Effect, Superconductivity, Quantum Confinement Effect, Electron/Hole Transport 실험 등의 측정에 이용되고 있다.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는 전자회로, 전기, 제어계측, 반도체, 초고주파 및 광파, 통신, 컴퓨터를 포함한 요소 산업과 더불어, 환경 센서, 그린 에너지, 바이오 기술 등과의 융복합 산업의 전문기술 및 학문 발 전을 이끌고, 향후 전개될 새로운 산업사회에서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학부는 각 분야의 최고의 교수진과 교육 및 연구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커리큘럼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진로에 맞는 맞춤식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공학교육 인증(ABEEK)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이론적 지식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제적인 설계 교 육을 시행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연구소, 국가공 공기관, 대학교, 변리사, 벤처 창업 등을 포함한 사회 각 분야에 진출하여 성공적으로 맡은 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http://ecehp.uos.ac.kr) Since 19 7 8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는 1978년 전자공학과의 신설을 시초로 2000년 현재의 학부명칭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이 실제적인 실습과 최신 기술을 경험하고 배운 기술들을 바탕으로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5개의 전공기초실험실, 2개의 PC실습실 및 29개의 첨단 연구실험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양자정보처리연구단 및 정보기술연구소와 더불어 각 분야 간에 긴밀한 협동연구가 진행 중이다. 듈, 로봇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그리고 다양한 상황에 맞게 조 립하여 활용할 수 있는 확장 부 품들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행동양식의 머신이 나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프로그 래밍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작업수행 실험을 진행 해 볼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통신도 가능하다. Optical Spectrum Analyzer 고성능 광 스펙트럼 분 석기(Optical Spectrum Analyzer)는 0.02nm의 높은 resolution을 가지고 있으며, 600~1700nm의 파장범위를 측정 할 수 있는 장비이다. 광 스펙트럼 분 석기는 측정 처리량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USB 인 터페이스 구현 및 데이터 처리에 대한 강점이 추가된 장 비이다. 초고주파 초소형 모듈 기술개발 장치 초고주파 초소형 모듈 기술개 발 장치는 초고속 전송에 있 어서 Error Detector와 함께 Bit Error를 측정하는 장비로 서 2.5G 및 10G 전송시스템, 광 송수신 모듈, 각종 Device 의 R&D 검사용으로 사용된다. 다양한 Pattern 발생, 양 OMBD 초 진공실 안에서 유기물, 금속 등의 원료 물질을 가열하여 증 발시킨 분자 빔으로 기판 위에 결정을 성장시키는 장비이다. 불과 몇 개의 원자 층 정도의 두께밖에 안 되는 매우 얇은 결 정막이나 초격자와 같은 복잡한 다층 구조막을 정밀제 어하면서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SEM (주사전자현미경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은 현재 금속 및 비금속 시편의 형태를 최대 50만배 의 고배율로 시료 표면을 관 찰하기 위한 장비이다. SEM은 E-beam gun을 통해 방출되 는 전자가 시편에 충돌하면 시 편에서 전자들이 다시 방출되고, 시편에서 방출된 전자 를 스캔하여 스크린에 보여주는 방식이다. 현재 갖고 있 는 장비는 Hitachi S-4700으로 반도체 소자의 표면 및 단면 그리고 차세대 물질인 Nano-wire 및 CNT와 같은 carbon material Inspection에 사용되며, 수 마이크로 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 선폭의 최신 반도체 공정에 사 용되고 있는 최신 장비이다.
l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12 13 김성환 >> 김규식 >> 1975 연세대 학사 (전기공학) 1977 연세대 석사 (전기공학) 1980 연세대 박사 (전기공학) 생체신호처리 - 원자력발전 계측 TV 화질개선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단위의 정보추정 원자로 원격측정 시스템 설계 공간필터를 이용한 평판TV의 영상잡음 제거 Sung-Hwan Kim shkim1@uos.ac.kr 1981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3 서울대 석사 (제어계측공학) 1990 서울대 박사 (제어계측공학) Nonlinear Control Power Electronics Sensor Network and Application 지하철 터널의 인공지능형 공기질 관리 시스템 무선통신을 이용한 용접기 원격제어 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지하공간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Gyu-Sik Kim gskim318@uos.ac.kr 김창민 << 김기철 << Changmin Kim cmkim@uos.ac.kr 1975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2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1989 Univ. of Florida 박사 (EE) 광전자 집적광학 Switching operations of three-waveguide optical switches Analysis of graded-index optical fibers by the rigorous WKB Crosstalks of two-waveguide and tree-waveguidedirectional couplers General eigenvalue equations for optical planar waveguide Mach-Zehnder Ti LiNb03 진행파 광변조기 설계, 제작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Kichul Kim kkim@uos.ac.kr 1982 서울대 학사 (전기공학) 1984 서울대 석사 (전기공학) 1991 Univ. of Southern California 박사(Electrical Engineering-Systems) Digital VLSI Design Multimedia Systems Parallel Processing 모바일 멀티미디어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재구성형병렬 프로세서의 구조 픽셀 블록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 모바일 멀티미디어 연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병렬 프로세서 A Single Chip Implementation of MPEG-4Format Conversion Filters 김희식 >> 1977 서울대 학사 (기계설계) 1979 KAIST 석사 (생산공학) 1987 Stuttgart 대학 박사 (생산공학) 1987-89 KIST 선임연구원 (CAD/CAM) Sensor Measurement Image Processing 리드 스위치 센서를 이용한 원격 검침용 상수도 계량기 에서 채터링 오차 감소 방안 연구 영상검지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상의 차량흐름 계측방 안 연구 광학식 NC-스케일 제조 기술 개발 Hiesik Kim drhskim@uos.ac.kr 이준화 >> 1987 서울대 학사 (제어계측) 1989 서울대 석사 (제어계측) 1994 서울대 박사 (제어계측) Control Theory Optimization Primal-dual interior methods for biaffine matrix inequality Receding-Horizon Tracking Control with Static Output Feedback for LDTISystems Memoryless H Controllers for State Delay Systems Joonhwa Lee joonhwa@uos.ac.kr 최기상 >> 천창율 << 1982 서울대 학사 (기계공학) 1990 Univ.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 (Mechanical Engineering) Mechatronics Automatic Control Systems Musical Acoustics 1983 서울대 학사 (전기공학) 1985 서울대 석사 (전기공학) 1992 Univ. of Michigan 박사 (전자공학) Radio Frequency Engineering Fieldbus Based Distributed Servo Control Using LonWorks/IP Gateway/Web Servers 네트워크 기반 제어를 위한 LonWorks/IP 라우터의 설계 및 구현 Analysis of String Vibration in Cello Gi Sang Choi simpson@uos.ac.kr Changyul Cheon changyul@uos.ac.kr FDT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erahertz Electromagnetic Pulses 1.6-and 3.3- w power-amplifier Modules at 24GHz Using Waveguide-Based Power-Combining Structures Optimal Shape Design FDTD and Design Sensitivity Analysis 2-D Mechanical Beam Steering Antenna Fabrication using MEMS Technology
l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14 15 최중호 >> 1987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9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1993 Univ. of Southern California 박사 (Electrical Engineering) 아날로그/디지털 혼성-신호 집적회로 설계 유/무선 통신을 위한 고성능 Baseband Analog Front End 설계 고성능 필터 및 데이터 변환기 설계 모바일 정보 기기 응용을 위한 Power Management IC 설계 Joongho Choi jchoi@uos.ac.kr Jaeho Lee jaeho@uos.ac.kr 이재호 << 학과 주요장비 1985 서울대 학사 (전산학) 1987 서울대 석사 (전산학) 1997 Univ. of Michigan 박사 (전산학) Artificial Intelligence Intelligent Robotic Systems Agent-Based Systems Document Processing 지능형 로봇을 위한 지식 기반 로봇 지능 체계 기술 통합 지식 추론 및 업무 관리기 에이전트 응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E-engineering 프레임워크 시맨틱 웹 응용 기술 웹기반 교육 시스템 국가지리정보시스템 전자문서 처리 언어 Seongjong Choi chois@uos.ac.kr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안도열 >> 1983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5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1988 Univ. of lllinois at Urbana-Champaign 박사(전기공학) 2005 IEEE Fellow 2010 Fellow of American Physical Society Quantum Electronics & Quantum Computation Correltated errors in quantum error corrections Selective positioning of InAs quantum dots on GaAs substrate directly patterned... Eavedropper's optimal information in variations of Bennett-Brassard 1984 quantum key... Selective growth of InAs self-assembled quantum dots... Doyeol Ahn dahn@uos.ac.kr Yong-Woo LEE ywlee@uos.ac.kr Moon-Que Lee mqlee@uos.ac.kr 최성종 1982 서울대 학사 (전기공학) 1984 서울대 석사 (전기공학) 1992 Univ. of Florida 박사 (EE) Multimedia System 재난방송 ICT를 통한 지진정보전달체계 개발 디지털 재난방송 기술 개발 DMB를 활용한 재난정보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 표준설계 이용우 이문규 Yong Han Kim yhkim@uos.ac.kr Yong Cheol Kim yckim@uos.ac.kr Sang Hyuk Kang shkang@uos.ac.kr 1981 서울대 학사 (전기공학) 1997 Univ. of Edinburgh 석사, 박사 (Computer Science) Linux Standard. Operating System, High Speed internet Cloud/Grid/Ubiquitous Computing IT Convergence : Smart(U) City/Building/Work/Life Operating Systems & System Softwares Cloud/Grid/Ubiquitous Computing Tech. & System Smart City/Building/Learning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mmunication Network 1993 Taejon Expo IT System & Network 1988 Seoul Olympic Information System 1992 KAIST 학사 (전기 및 전자공학) 1994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1999 서울대 박사 (전자공학) RFID (무선 인식)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RFIC, MMIC RFID의 인식거리 확장, multi-tag 인식 개선 Software Defined Radio를 위한 RF frontend 구조 설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고출력 고효율 스위칭 모드 전 력 증폭기 Younggook Ra ygra123@gmail.com 김용한 1982 서울대 학사 (제어계측공학) 1984 서울대 석사 (제어계측공학) 199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박사 (컴퓨터 및 시스템공학) Image Compression DMB Digital TV HDTV Multimedia Communication DMB 멀티미디어 방송 기술 개발 디지털TV 데이터 방송 기술 개발 IP 기반 DTV용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직접 매핑 기법을 이용한 MPEG-2 TS-to-PS 변환 알고리즘 예측 이단계 양자화에 의한 3차원 메쉬 모델의 위치 정보 압축 MPEG-4 기반 인터넷 비디오폰 개발 김용철 1981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3 KAIST 석사 (전자공학) 1993 Univ. of Southern California 박사 (Electrical Eng.) 영상처리 무선통신 Binary CDMA 모뎀 코어 설계 오류정정기반 워터마킹 기술 개발 Super High Resolution 기술 개발 강상혁 1990 KAIST 학사 (전기 및 전자공학) 1992 KAIST 석사 (전기 및 전자공학) 1997 KAIST 박사 (전기 및 전자공학)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망 광대역 통합네트워크 기반 도시철도 안전 시스템 구축 모바일 융합망에서 주기적방법과 on-demand 방법을 결 합한 데이터 방송 스케줄링 기법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데드라인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Rinchul Kim rin@uos.ac.kr 김인철 << 1985 서울대 학사 (제어계측) 1987 서울대 석사 (제어계측) 1992 서울대 박사 (제어계측) Image Processing Signal Processing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EREC for robust transmission of H.263 bit stream Error resilient video coding using longterm memory motioncompensated prediction over feedback channel A novel object-oriented video coder employingcorrelation maximizing extrapolation 항공영상을 이용한 항법변수 추출 알고리즘의 실시간구현 나영국 1987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89 The Penn. State Univ.석사 (컴퓨터공학) 1996 Univ. of Michigan 박사 (컴퓨터과학) Database 시스템 XML Datawarehouse DBMS 스키마 진화 XML 스키마 진화 Datawarehouse & Database View 구축 및 유지 Database View 갱신에 대한 연구
l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16 17 Han Joon Kim khj@uos.ac.kr 김한준 << 1994 서울대 학사 (계산통계) 1996 서울대 석사 (전산과학) 2002 서울대 박사 (컴퓨터공학) Data Mining, Big Data Analysis, Machine Learning 대용량 텍스트정보의 조직화를 위한 자동진화형 자동 분류시스템의 연구 시멘틱 텍스트 큐보이드 기반 대용량 텍스트마이닝 프 레임워크의 연구 집단지성 기반 사용자 인지 웹 검색 시스템 개발 지능형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소프트 인프라 기술 Ju Han Lee j.h.lee@ieee.org 이주한 << 1995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98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2003 Univ. Southampton 박사 (광전자) 펄스형 광섬유 레이저 고출력 레이저 광통신용 소자 나노 광자소자 2um 대역 초단펄스 레이저 개발 금속 가공용 고출력 레이저 개발 광통신용 광섬유 증폭기 개발 그래핀 및 카본 나노튜브 기반 비선형 광자소자 개발 Young Gil Kim ygkim@ieee.org Chul Han Kim chkim@uos.ac.kr Sekchin Chang schang213@uos.ac.kr Yongsam Moon ysmoon001@uos.ac.kr Youngmin Yi ymyi@uos.ac.kr Jinseoung Jeong jsjeong@uos.ac.kr 김영길 김철한 장석진 문용삼 이영민 정진성 1994 KAIST 학사 (전자공학) 1996 KAIST 석사 (전자공학) 2002 KAIST 박사 (전자공학) 이동통신 오류정정부호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MIMO Beamforming Codebook 설계 두가지 Metric을 이용한 LDPC code decoding 무선통신 채널에서 채널 추정 없는 선택적 다이버시티 기법 1993 KAIST 학사 (전기 및 전자공학) 1995 KAIST 석사 (전기 및 전자공학) 1999 KAIST 박사 (전기 및 전자공학) Long-Haul Transmission Systems Optical Access Networks Optical Subsystems Bidirectional WDM Transmission Systems High-Capacity Long-Haul Transmission Systems Optical SNR Monitoring Subsystems 1991 고려대 학사 (전자공학) 1993 고려대 석사 (전자공학) 2001 Univ. of Texas at Austin 박사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OFDM/OFDMA Systems 2G/3G/4G Cellular Systems WLAN/WPAN/WBAN Systems 1994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96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2001 서울대 박사 (전기공학) 2001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연구원 2002 실리콘이미지 연구원 2006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책임/수석연구원 고속 인터페이스 회로 설계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 설계 메모리 회로 설계 High-speed serial link (SATA, PCIe, GE, FC,HDMI) 개발 DDR3/DDR4 SDRAM 개발 2000 서울대 학사 (컴퓨터공학) 2002 서울대 석사 (전기 컴퓨터공학) 2007 서울대 박사 (전기 컴퓨터공학) Embedded System Design Methodology Parallel Programming Heterogeneous MPSoC Design Methodology Parallel Scalability in Speech Recognition on GPU Hardware-software Codesign Environment for Embedded Systems 1996 KAIST 학사 (전기 및 전자공학) 2002 UCLA 석사 (Electrical Engineering) 2006 UCLA 박사 (Electrical Engineering) 무선통신용 집적회로 및 시스템 고효율 RF 및 아날로그 회로 설계 Envelope Tracking 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무선 송신 시스템 설계 광대역 고효율 전력 증폭기 설계 RF 전력 증폭기용 디지털 선형화기 설계 CDMA 및 OFDM 기저대역 모뎀 개발 박병은 >> 1987 서울시립대 학사 (전자공학) 1994 서울시립대 석사 (전자공학) 1999 일본 동경공업대 박사 (전자시스템) Ferroelectric Memory Nonvolatile Memory Devices Semiconductor Materials Thin Films Byung Eun Park pbe@uos.ac.kr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신창환 >> 2006 고려대학교 학사 (전기전자전파공학) 2011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s) Semiconductor CMOS device and technology Cache (SRAM) Memory Design Advanced CMOS device design (FinFET, FD-SOI) CMOS systematic/random variation analysis Cache (SRAM) Memory design Random-Telegraph-Noise Analysis Vacuum-Channel Transistor Design Changhwan Shin cshin@uos.ac.kr
l 화학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18 19 학과 주요장비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이용하여 H, C, P, F 등의 다양한 원소들 의 공명현상을 측정하여 분자 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어 화 학물질의 화학결합에 대한 분 석뿐만 아니라 물리적 현상, 물 질간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분 야에 사용되는 분석 장비이다. 리눅스 클러스터 병렬 컴퓨터 분자 시뮬레이션을 병렬 처리하 며, 높은 계산 속도와 효율로 열 물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태양전지 측정기 태양광 측정용의 태양전지 또는 모듈의 성능 측정기로서 개방전 압, 단락전류, 최대전력, 최대전압 및 최대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전류곡선 및 전압곡선과 측정자 료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단결정 X-선 회절 분석기 (Single X-ray Diffractometer) 물질의 결정 구조를 알아 내는 방법으로 가장 널 리 쓰이며, X-선의 Bragg diffraction 현상을 이용하 여 새로운 물질의 결정구조 를 알아낼 수 있어, 물리나 화학의 기초과학뿐만 아니라 금속, 재료 등 공학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는 장비이다. 임피던스 분석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나 태양 전지, 연료전지 등의 전지특 성 평가 중 내부저항의 크기 및 저항성분 분석 등의 실험 에 활용한다. 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화학공학과는 화학공장의 장치 설계, 생산관리 및 공정제어, 안전 및 시설관리 등 공학의 필수요소를 교육하여 중추 기간산업을 육성하는 학과로서 이동현상(운동량, 열, 물질), 열역학, 화학반응공학 등을 핵심 교과목으로 한다. 최근들어서는 신재생에너지, 대체에너지 개발, 무기 및 유기재료 연구, 미생물 을 이용한 제품 연구, 환경을 고려한 제품생산 연구, 화학공정의 안전기술 연구, 공정최적화 시스템 연 구, 초임계유체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인 생산을 위한 화학공학의 개념을 도입하여 종합학문 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다. 본 학과는 현재 각 분야 최고 수준의 교수진 (9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최첨단 연구기자재와 시설을 바탕으로 습득된 산지식을 활용하여 교육하고 있으며 졸업생들은 국내 우수 산업체 및 연구기관에 진출하여 연구, 기술, 행정에 종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졸업생 들이 대학원 석 박사 과정에 진학하고 있다. 그리고 더욱더 진보된 교육과 연구를 통해 전문화된 지식 을 습득하여 화학공학 관련분야 기술과 학문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http://uosce.uos.ac.kr) 화학공학심화프로그램 2006학년도부터 공학교육인증제를 추진해 오고 있고 이를 통하여 공학교육의 개발과 미래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틀을 완성해가고 있으며 마련된 틀의 실현을 위한 교육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및 체계화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의 추진으로 기존의 강의 위주의 수업방식에서 설계 강의를 강화하여 팀웍활동과 어떠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논리전개법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통하여 졸업 후 현장에 투입될 경우 현장 적응능력을 높여가고 있다.
l 화학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20 21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김의용 >> 1984 서울시립대 학사 (화학공학) 1986 서울대 석사 (화학공학) 1991 서울대 박사 (화학공학) BioEnergy 미생물 배양 폐기물 재활용 바이오디젤 합성을 위한 고체촉매의 개발 지정폐기물 재활용 공정의 개발 및 생성물의 품질기준 Eui Yong Kim eykim@uos.ac.kr Jaeeon Chang changjaee@uos.ac.kr 장재언 << 학과 주요장비 1988 서울대 학사 (화학공학) 1990 서울대 석사 (화학공학) 1995 Univ. of Delaware 박사 (화학공학) Thermodynamics Molecular Simulation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용해 자유에너지 계산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된 유기화합물의 자유에너지 및 분배계수 예측 Jung Hyeun Kim jhkimad@uos.ac.kr Hyo Kim hkim@uos.ac.kr 김효 << 1982 서울시립대 학사 (화학공학) 1984 서울시립대 석사 (화학공학) 1992 Northwestern Univ. 박사 (화학공학) Transport Phenomena Chemical Engineering Safety Electrohydrodynamics 도시가스설비의 안정성 평가 Process Safety & Risk Analysis Doohwan Lee dolee@uos.ac.kr 이두환 << 1997 충남대 학사 (화학공학) 2001 Virginia Tech 석사 (화학공학) 2003 Virginia Tech 박사 (화학공학) Catalysis Nanomaterials Inorganic Membranes 연료전지 촉매 및 연료처리 시스템 개발 수소 분리막 및 선택적 투과 메커니즘 연구 나노금속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메탄올 산화반응 연구 김정현 1992 포항공과대 학사 (화학공학) 1994 서울대 석사 (화학공학) 2003 University of Maryland 박사 (화학공학) Aerosol & Nanomaterials Renewable Energy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금속 나노입자가 실리콘 표면의 광산란에 미치는 영향 나노입자 제조시 반응기 조건에 따른 최종 생성물 나노입자의 미끄럼 보정인자 확립 저압 반도체 공정에서 오염 나노입자 제어 BIPV 적용을 위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개발 목질계 섬유를 활용한 고분자 복합재 개발 정연수 >> 1986 서울대 학사 (화학공학) 1991 Carnegie Mellon University 박사 (화학공학) Process synthesis, analysis and optimization Exergy analysis Life-cycle assessment Solution algorithm development for differential-algebraic equation systems 반응증류공정을 이용한 화학반응 열펌프 시스템 개발 BTX 공정의 엑서지 해석 에탄올 생산공정의 전과정평가 Yonsoo Chung yonsoo@uos.ac.kr 이종범 >> 2002 서강대 학사 (화학공학) 2007 Cornell University 석사 (생명공학) 2009 Cornell University 박사 (생명공학) DNA & RNA Nanotechnology Drug Delivery Molecular Sensing DNA Nanobarcode를 이용한 병원체 탐지 방법 개발 RNA를 이용한 sirna전달 방법 개발 생체접합성이 뛰어난 DNA젤의 개발 Jong Bum Lee jblee@uos.ac.kr 정철수 >> 1993 서울시립대 학사 (화학공학) 1997 일본 동경공업대 석사 (유기재료공학) 2000 일본 동경공업대 박사 (유기재료공학) Electrolyte design for Li ion battery Energy materials from biorefinary 고용량 리튬이차 전지용 전해질설계 리튬이차 전지용 난연성 전해질 SECM을 이용한 전해질 이동현상 해석 Cheolsoo Jung yonsoo@uos.ac.kr Jeong Woo Han jwhan@uos.ac.kr 한정우 << 2005 서울대 학사 (화학공학) 2007 Carnegie Mellon University 석사 (화학공학) 2010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 (화학공학) Computational Catalysis Atomic-Scale Design of Energy Materials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전극 및 전해질 디자인 합성가스 생산을 위한 촉매 디자인 카이랄 분자 분리를 위한 카이랄성 촉매 디자인
l 기계정보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22 23 학과 주요장비 원자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y) 금속, 반도체, 세포 등 다양한 미세 표면을 탐침과 표면간 원 자간 작용력을 이용하여 나노 스케일의 형상을 측정하는 장 비로 나노기술, 기계, 전자, 바 이오 등의 연구에 필수로 사용 된다. 현재 기계정보공학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AFM은 Park Systems사의 XE-100 모델로 다양한 분해능의 나노 측정과 조작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최첨단 장비 이다. Ferroelectric Materials Testing System 본 장비는 강유전성 압전재에 다양한 유형의 강한 전기장과 하중, 온도변화가 주어질 때 발 생하는 재료의 거동을 측정하 는 장비로서 압전재의 선형 및 비선형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모델링하는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구성요소로는 인스 트론(Instron) 머신, 고전압 공급기, 온도조절장치, 전기밀 도 및 변형률측정장치, 데이터 처리장치 등으로 이루어 져 있다. 이족 보행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자유도의 엑츄에이터와 제어알고리즘 및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장 비로 임베디드 보드를 통한 동 작 제어, 뉴럴네트워크를 이용 한 영상 인식, 초음파 센서를 이 용한 위치 인식 및 보정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 되고 있다. CAD실 기계정보공학과에서 는 첨단 기계공학과 최신 정보기술과 관 련된 전공 기초 지식 습득과 더불어 학생 들의 사회 진출 후 현 장 적응에 필요한 실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실습, 설 계 과목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9년 8월부터 과학기술관 430호에 CAD 실습실을 36석 규모로 확장 조성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융합 분야 과목의 실습 및 설계 교육에 널리 쓰이고 있다. 기계정보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기계정보공학과에서는 전통적인 기계 산업이 최신 정보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 전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기계공학 관련 지식 외에 정보공학에 대한 지식을 부가적으로 갖춘 창의적인 공학도를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졸업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기계기술과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술을 창 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본 학과를 이수한 학생은 자동차, 항공기, 에너지, 조선, 건 설, 중공업, 전기, 전자, 컴퓨터 및 정보통신 등의 산업분야에서 기계기술과 정보기술 지식을 동시에 갖춘 인재로 거듭나게 된다. 또한 본 학과 대학원은 첨단 정밀기계 및 기계시스템에 대한 전문적 지식 외에 정보기술에 대한 지식을 겸비하여 고부가가치를 지닌 첨단융합기술을 창출하고 산업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및 연구 목표로 한다. (http://mie.uos.ac.kr) ME+IT(MIE program) 기계정보공학과는 1992년 정밀기계공학과로 시작하여, 2001년 기계정보공학과로 개칭, 2006년부터는 공학교육인증 (ABEEK) 프로그램 도입 등 사회의 변화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공학도 양성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특히, 본 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계정보공학심화프로그램 (Mechan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Program)은 국내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학제간 융합 프로그램으로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 두 분야의 공학교육 인증을 목표로 한다.
l 기계정보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24 25 강인혜 >> 1987 서울대 학사 (전자계산기공학) 1989 서울대 석사 (전자계산기공학) 1997 University of Pennsylvania 박사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Software Engineering Formal Methods Information Security 열차제어 시스템을 위한 정형기법 적용기술 개발 국내외 정보시스템 보안강화체계 사례 분석 및 활용방 안 수립 스마트카드 운영체제에 대한 EAL6 수준의 개발문서 평가제출물 개발 Inhye Kang inhye@uos.ac.kr Dong Hun Shin shin@uos.ac.kr 신동헌 << 1979 서울대 학사 (기계설계학) 1981 KAIST 석사 (기계공학) 1990 Carnegie Mellon Univ. 박사 (로봇공학) Robotics Automation Control Distributed Control System 건물자동화용 인터넷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건물 분산제어용 스케줄러 및 HMI 개발 자기추진 미장로봇의 운동제어 전방향 운동용 Mecanuum Wheel의 설계 연구 권원태 >>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1982 서울대 학사 (기계설계학) 1984 서울대 석사 (기계설계학) 1992 Northwestern Univ. 박사 (Materials and Processes in Manufacturing) Micro EDM Process optimization Precision machining Manufacturing system Micro EDM을 이용한 양성자 빔 커팅용 마이크로 홀 제작 Dual response approach에 의한 가공공정 최적화 Ti계 고용체 탄질화물 나노 분말을 이용한 인서트의 특 성 및 코팅 자동 링거 시스템 개발 Won Tae Kwon kwon@uos.ac.kr Myung-Do Oh mdoh@uos.ac.kr Gwang Hoon Rhee ghrhee@uos.ac.kr Se Jung Lee selee@uos.ac.kr Sang-joo Kim sjk@uos.ac.kr Taehyoun Kim thkim@uos.ac.kr 김태현 << 1994 서울대 학사 (컴퓨터공학) 1996 서울대 석사 (컴퓨터공학) 2001 서울대 박사 (전기 컴퓨터공학) Embedded Systems Real-time Systems Industrial Automation 개방형 동기 모션 제어 플랫폼 개발 모바일 플랫폼 보안기능 분석 오명도 1979 서울대 학사 (기계공학) 1981 서울대 석사 (기계공학) 1985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열공학) Thermal Environmental Control Energy & HVAC System Cleanroom Technology 첨단 클린룸 제조환경 수율개선과 국소 청정도 평가/예측 HVAC 시스템 열쾌적성과 환기성능 연구 가스 열병합발전 시스템 설계해석 및 성능 연구 실내공기질 제어 및 평가 리광훈 1993 KAIST 학사 (기계공학) 1995 KAIST 석사 (기계공학) 2000 KAIST 박사 (기계공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Environmental Thermo Fluid Engineering Heat Transfer Enhancement 난류경계층에서의 수치 시뮬레이션 공기정화, 살균기능을 가진 다기능 대류 난방기 개발 입구 유동 가진에 의한 고열 물체 주위의 열전달 촉진 이세정 1980 서울대 학사 (기계공학) 1982 KAIST 석사 (기계공학) 1989 Pennsylvania State Univ. 박사 (기계공학) Design Automation Optimal Design Reliability-based Design 서스펜션시스템 최적설계를 위한 통합 프레임웍 개발 차량 최적설계를 위한 Design Framework 개발 롤링 피스톤형 회전식 압축기의 성능해석 프로그램 개 선 및 공차 최적설계 불확정성을 고려한 기계시스템의 공차해석 및 신뢰도 해석에 관한 연구 김상주 1984 서울대 학사 (조선공학) 1986 서울대 석사 (조선공학) 199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 (고체역학) Solid Mechanics Ferroelectric Ceramics Experiments and Modeling 열-전기-기계적으로 연성된 재료의 거동 모델링 압전재의 비선형 거동에 대한 실험 및 모델링 Minyoung Sung mysung@uos.ac.kr 성민영 << 1995 서울대 학사 (컴퓨터공학) 1997 서울대 석사 (컴퓨터공학) 2002 서울대 박사 (전기 컴퓨터공학) System Software Real-time System Multimedia 모터 제어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검증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 개발 플래시 메모리 관리 소프트웨어 연구 IPTV 셋탑박스 개발 Soo Il Lee leesooil@uos.ac.kr 이수일 << 1991 서울대 학사 (기계설계) 1993 서울대 석사 (기계설계) 1997 서울대 박사 (기계설계) Noise and Vibration Nanoscale Device & System Dynamics Nonlinear Dynamics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의 기전역학 (Electromechanics) 원자현미경(AFM) 프로브의 비선형 해석 Flip chip 초음파접합혼 위상 최적설계 Wire Bonding 초음파혼 최적설계
l 신소재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26 27 학과 주요장비 SEM / FE-SEM PL/PLE, UV/VIS/NIR spectrophotometer, FTIR 시편의 표면에 electron을 입 P L / P L E 는 형 광 체 와 사시켜 시편으로부터 방출된 같은 발광재료의 가시영 electron으로부터 고배율의 시 역 발광특성과 자외선 영 편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는 역 여기 특성을 측정하며, 전자현미경(SEM)이다. FE- UV/VIS/NIR은 자외선/가 SEM FE-SEM SEM은 300,000배의 배율이 가능해서 나노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첨단 장비이다. 시영역/근적외선 영역에서 재료의 광 흡수도, 투과도, 반 사도, 막두께, 색좌표 등을 측정한다. FTIR은 Mid IR영 역에서 재료의 흡수, 투과를 측정하여 화학 결합 상태를 X-ray Diffractometer 분석한다. 신소재공학 심화프로그램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은 특성 X선과 원자의 간섭효과 를 이용하여 시료의 성분을 분 석하는 장치이다. 정성분석이나 정량분석이 가능하고, 집합조직 또한 측정이 가능하다. RF/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판에 다양한 재료의 박막을 균일하게 입히는 장비 이다. Impedance Analyzer (Solatron 1260) 고분자, 세라믹스 고체 등 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계 면특성을 분석한다. 10uHz ~32MHz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어, 세라믹스 고체 전 해질 및 그 응용제품, 고체전 해질 연료전지, 태양전지, 전해콘덴서, 고분자유전재료, 일차전지, 2차전지, 전극 재료 등을 개발평가하고, 고감 도 센서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장비이다. 신소재공학과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신소재공학과는 1993년 재료공학과 학부과정으로 출발하여 1997년 석사과정 및 산업대학원, 2000 년 박사과정이 각각 신설되었으며, 현재 학부 170명 및 대학원 30명의 재학생, 전임교수 8명으로 구 성되어 있다. 우리 신소재공학과는 미래를 이끌어갈 전자 및 정보기술(IT) 소재, 나노기술(NT) 소재, 환경 및 에너지기술(ET) 소재 등 고부가 가치의 첨단 신소재분야에 관한 연구와 교육에 노력을 집중 하고 있다. 또한 신소재공학과는 국가의 소재산업 발전에 따른 재료의 가공, 디자인, 제조공정의 최신 기술 및 이론에 대한 정보를 배우고 실험 및 설계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신소재공학 관련분야에 종사할 창조적인 능력을 갖춘 공학도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우리 학과 졸업 후에는 제철 및 제강, 자동 차, 중공업, 반도체 및 전기전자, 에너지 환경, 정보 통신 등의 각종 소재기반 산업체들에 엔지니어로 서 진출하거나, 첨단소재들의 연구개발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체 연구소 및 정부출연 연구 소들에 연구원으로서 진출하고 있다. (http://mat.uos.ac.kr) 각종 소재와 이에 관한 학문과 기술을 교육하며 창조적인 능력을 갖춘 공학도를 양성하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기존 산업의 근간인 철강, 비철 등의 금속재료 및 세라믹재료, 첨단공학 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반도체, LED 등 전자재료, 나노재료, 구조재료, 파인세라믹스재료, 신금속재료 등 소재의 전반적 이해와 개발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이론과 실험 실습으로 운영한다. 졸업 후에는 전자 및 정보통신, UTM 인장 시험기 또는 만능재 료 시험기 라고 불린다. 재 료의 물성을 측정하는 가 장 기본적인 시험기로 주 로 인장강도, 압축강도, 굴 곡강도(굽힘강도), 접착렬(점착력), 신율(Elongation), 마 찰력, 마찰계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어 꼭 필요한 장비이다. 다양한 변화의 실험조건 중 온 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실험 에 적용하고 여러 종류의 실험 Test를 할 수 있는 장비이다. 특 히, 환경 변화에 따라 민감한 특성을 보이는 센서 연구에 있 철강 및 비철, 세라믹, 자동차, 에너지, 환경 등 전분야의 산업 현장 및 연구소에 취업이 가능하며, 석 박사과정으로 진학하여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l 신소재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28 29 Won-Joong Kim wjkim@uos.ac.kr 김원중 << 1982 연세대 학사 (요업공학) 1986 Michigan State Univ. 석사 (재료공학) 1990 Michigan State Univ. 박사 (재료공학) Material Processing Phase Transformation Texture 친환경 액상 세라믹 코팅제 개발(중소기업청) 초고온 기계적 특성 평가용 세라믹 지그의 개발(중소기업청) 냉온 교대 부양 매트리스의 개발(중소기업청) 의료기 온도제어용 열전모듈 개발(중소기업청) 고온단조에 의한 액상소결 탄화규소의 집합조직 발달 (서울시립대)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김정식 >> 1987 한양대 학사 (재료공학) 1989 Purdue Univ. 석사 (재료공학) 1992 Purdue Univ. 박사 (재료공학) 전자기재료 마이크로센서 환경 에너지변환소재 계측용 고보자력 마그네트 개발(지경부) 자동차용 MEMS 가스센서 개발(지경부) 이산화티타늄/발광체 이종접합의 광촉매 반응 특성 연구(교과부) 백금족 소재의 수소감지 성능 극대화 기술(지경부) 반도체 마이크로 압력센서 개발(중기청) Jung-Sik Kim jskim@uos.ac.kr 유광수 >> 1981 한양대 학사 (무기재료공학) 1983 서울대 석사 (무기재료공학) 1991 Arizona State Univ. 박사 (재료공학) Electronic Ceramics Sensors Fuel Cells and Batteries H2, NOx, CO2, HCHO, VOC 등 각종 가스센서 연구(서울 시/중기청/KETI 등) 압전 세라믹-고분자 초음파센서 연구(서울중기청)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 및 전극재료 개발 (Houston대/과기부) 이차전지 정극재료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한국과학재단) Kwang Soo Yoo ksyoo@uos.ac.kr Oh-Sung Song songos@uos.ac.kr 송오성 << 1987 서울대 학사 (금속공학) 1989 서울대 석사 (금속공학) 1994 MIT 박사 (전자재료) Semiconductor Process Spintronics Jewelry Technology 플렉스트로닉스용 박막소재 개발(한국연구재단) 플라스틱 기반의 태양전지 개발(나노소재사업단) 나노급 니켈모노실리사이드 박막 공정 개발(서울시) 신소재와 디지털디자인 기반의 서울라이트 주얼리(서울시) 다이아몬드 고온고압 합성(한국연구재단) Young-Wook Kim ywkim@uos.ac.kr 김영욱 << 1981 연세대 학사 (요업공학) 1983 KAIST 석사 (재료공학) 1990 KAIST 박사 (재료공학) Porous Ceramics, Structural Ceramics, SiC Ceramics, Nanostructured Ceramics 나노/거대기공 탄화규소 세라믹스의 기공구조 제어(한국연구재단) 마이크로셀룰러세라믹스의 미세조직 제어(Frontier 사업) 기능성 SiC소재 개발(WPM사업) 마이크로기공 다공질 단열재 개발(포항산업과학연구원) SiC 나노 분말 합성(쎈세라텍(주)) 다공질 탄화규소 소재 개발(에너지 자원기술개발사업) Myoung Seok Kwon mskwon@uos.ac.kr 권명석 << 1992 KAIST 학사 (재료공학) 1994 KAIST 석사 (전자재료공학) 1999 KAIST 박사 (재료공학) Display Materials White LED/OLED 응용 산화물 형광체의 합성과 발광특성 (서울시립대) 평판디스플레이 투명전도막용 도핑된 ZnO 박막의 Solgel 형성기술과 도핑연구(학술진흥재단) 실리콘 반도체와 질화물 반도체의 복합화를 위한 MOCVD성장기술(정보통신연구진흥원) Jae-Pil Jung jpjung@uos.ac.kr 정재필 << 1983 서울대 학사 (금속공학) 1985 KAIST 석사 (재료공학) 1992 서울대 박사 (금속공학) Microjoining & Packaging in Electronics Fluxless micro-soldering using plasma cleaning for MEMS. (with University of Greenwich, UK) Micro BGA solder 접합부의 신뢰성 연구(한국과학재단) 표면실장용 BGA 무연 솔더 볼 개발(산자부-기업) Sn계 합금을 이용한 Si-wafer의 무플럭스 접합시스템 개발 (산자부-기업) Development of 3D wafer level packaging for micro-system (Seoul city) 정병준 >> 1998 KAIST 학사 (화학) 2000 KAIST 석사 (화학) 2004 KAIST 박사 (화학)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Polymer Materials OLED 발광재료 및 소자 연구 OLED Buffer layer, Interlayer 개발 플라스틱 태양전지 연구 N-channel 유기박막트랜지스터 소재 및 소자 연구 Byung Jun Jung jungbj@uos.ac.kr
l 토목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30 31 학과 주요장비 입축강도시험기 개수로 실험장치 1980년대 초에 설치한 대형구 조의 압축, 인장, 휨 실험을 위 한 장비로서 200Ton 재하능력 을 가지고 있다. 최근 하중계와 계측장비의 보완으로 자동화시 스템으로 개선하였으며 학부 교 육용 및 대학원 연구용 실험장비로 활용하고 있다. 본 장치는 자연계 유체의 흐름 중 개수로 흐름에 관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개수 로 내 유체의 기본적인 유속을 구하며 흐름상태의 변화를 가 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모델을 설치하여 개수로 내의 변화하는 여러 현상 을 실험하는 장비이다. 자동화 삼축압축시험기 1500person 토목공학과 졸업생은 자 동 화 삼 축 압 축 시 험 기 는 GEOCOMP사의 제품으로 재 하 장치인 LoadTrac과 가압장 치인 FlowTrac, Cell로 구성되 어 있다. 토질의 강도정수 및 투 수계수, 압밀정수 등을 구하는 실내시험 중 지반의 응력상태를 현장상태로 가장 잘모 사할 수 있는 시험기이며, 이 시험장비로 수행할 수 있는 시험들은 UU-test, CU-test, CD-test, 삼축투수시험, K0-line consolidation, CRS압밀시험 등이 있다. 회전형 굽힘 피로시험기(R. R. Moore Rotating Beam Fatigue Testing System) 4점 굽힘 반복하중을 가하여 재료의 S(응력)-N(수명) 곡선 을 얻을 수 있는 굽힘형 피로시 험기이다. 최대 100Hz까지 반 복하중을 가할 수 있어 High Cycle Fatigue 시험을 비교적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ASTM(미국재료시험협회) 표 준시편을 이용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 대학(서울시립대학교 외) 24개교 조파기(Wave Generator) 암석 삼축압축시험기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토목공학은 현대공학의 모체로서 토목구조물의 역학적인 해석, 이수 및 치수, 해양과 지하공간의 창 출, 국토의 종합개발 즉 산업의 입지 및 시설의 건설, 이에 관련된 교통 및 도시의 개발과 재배치 등 토 목공학이 점유하는 영역의 폭은 상당히 넓다. 본 학과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춰 과정별로 체 계적으로 익힌 이론을 기본으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구조물의 시뮬레이션, 각종 첨단 기자재를 이용 한 다양한 실험실습, 현장견학을 통해 제반시설의 설계시공 등 종합계획에 창의적이며 주도적인 역할 을 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여 대학교수, 연구소, 국가고위공무원, 대기업이나 국영기업체 간 부, CEO 등 토목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일을 담당하고 있다. (http://civil.uos.ac.kr) 33명, 연구기관 건설기술연구원 외 5개기관 61명, 정부기관 국토해양부 외 환경부, 농림부, 국방부 48명, 공사 한국도로공사외 15개 공사 658명, 지자체 서울시 등 지자체공무원 187명, 시공회사 도급순위(1위~10위) 현대건설 외 8개 시공사 360명, 도급순위(11위~40위) 두산건설외 17개 시공사 224명 도급순위(기타) 신성건설 외 6개 시공사 30명, 설계사 토목엔지니어링순위(1위~10위) 삼안 외 6개 설계사 97명, 토목엔지니어링순위(11위~40명) 드림이엔지 외 11개설계사 75 연안(Coast)에서 발생되는 현상들을 모의하기 위하 여 파량(wave)을 2차원적 실험실 내에 재현시킬 수 있는 실험기계이다. 규칙 파(Regular wave)나 불규칙파(Irregular Wave)를 원하 는 주기(Frequency)와 파고(Wave height)에 맞춰 조파 시킬 수 있으며, 파고계를 통해 일정 지점에서의 파고와 압력을 계측할 수 있다. TWO-PINNED ARCH 두 개의 핀으로 된 아치 구조의 특성실습, 적용하 중과 중복아치구조로부터 생성된 수평 트러스트 사 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시 컨트(scant) 가설을 기초로 한 이론에 대한 동작 비교실습. 양단 핀 지점 아치에서 의 하중 선형조합 및 영향선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암석삼축압축시험기는 미국 SBEL회사에서 제작한 장비로 서 터널, 사면, 기초 설계를 할 때 필요한 암반의 삼축응력조건 을 실내에서 재현할 수 있도록 응력과 변위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여서 암반 설계에 기본적인 설계정수를 제공하는 세계수준의 정밀도를 지닌 첨단 실내 시험장비이다. M.I.P(PoreMaster GT Series : PM60GT-5) 33,000PSI와 60,000PSI의 압 력으로 시료의 Pore를 분석하 는 최고급 형의 분석기기 전자 동의 고기능 수은 기공도 분석 기. 2개의 고압부와 2개의 저압 부로 구성 많은 수량의 시료 분 석에 적합 고압부의 cavity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 분석효율이 높다. 명, 토목엔지니어링 순위(기타) SQ엔지니어링 외 14개 설계사 76명 등 1,500명의 많은 동문들이 사회로 진출하였다.
l 토목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32 33 이창수 >> 1976 고려대 학사 (토목공학) 1978 고려대 석사 (구조공학) 1990 고려대 박사 (구조공학) 현 한국재난정보학회 회장 구조해석 및 이론 콘크리트재료 및 구조 지진 및 내진공학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분이동 특성 및 수축에 관한 연구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에 관한 연구 공기단축형 복합구조시스템 건설기술 개발 사회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성능평가 통합시스템 구축 서울시 기존 도로시설물 내진대책 기본계획 제빙화학제 살포로 인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철근부식 시작시기의 예측 Chang Soo Lee csll@uos.ac.kr Su Gon Lee sglee@uos.ac.kr 이수곤 << 1980 고려대 학사 (지질학) 1982 Univ. of Leeds 석사 (토목지질공학) 1987 Imperial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v. of London 박사 (토목지질공학) Landslide(산사태) Rock Slope Engineering(암반사면공학) Engineering Geological Map(토목지질공학도 작성) 서울의 지반정보관리시스템 개발(서울시) 한국 암반사면의 설계기준 연구 한국 산사태 특성연구(교육과학기술부) 사면붕괴예측 및 대응기술개발(소방방재청) Song Lee scugeo@uos.ac.kr 이송 << 1973 서울시립대 학사 (농업토목) 1978 고려대 석사 (토질 및 기초) 1985 고려대 박사 (토질 및 기초) 2008 한국지반공학회장 역임 Soil Mechanics 연약지반개량의 설계 흙막이구조물의 설계 준설매립공학 준설점토의 퇴적특성에 관한 연구 구조물 기초 분야 성능중심의 건설기준 정비 및 표준화 팽이기초를 이용한 연략지반처리 및 기초공법 SYSTEM 구축에 관한연구 보강압성토 옹벽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생분해성 PBD의 미생물 함유량 및 배양기간에 따른 초기분해능에 관한 연구 ENG공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문영일 >> 1984 한양대 학사 (토목공학) 1991 Utah 주립대 석사 (수공학) 1995 Utah 주립대 박사 (수문학 및 수자원) 수자원공학 수공구조물설계 수문 및 하천공학 댐 위험도 분석 및 댐 재개발 우선순위 결정방안 도시하천관리에 대한 연구 이상기후 현상과 우리나라 강수량과의 관계분석 홍수 및 가뭄 빈도해석 Young-Il Moon ymoon@uos.ac.k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조용준 >> 1983 한양대 학사 (토목공학) 1985 한양대 석사 (해안 및 항만공학) 1990 North Carolina State Univ. 박사 (Coastal Eng.) Fluid Mechanics Wave Mechanics 천해 설계파 수치모형 개발, 비선형 파랑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Nonlinear Wave Drive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astal interfac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River Interface- Artificial Baech Yong Jun Cho young@uos.ac.kr 정희영 >> 1982 고려대 학사 (토목공학) 1987 Auburn Univ. 석사 (구조공학) 1994 Georgia Inst. of Technology박사 (구조공학) Structural Mechanics Fracture and Fatigue Vibration(Modal Testing and Analysis) Bridge Health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Characterization of Structural Materials Design of Bridge Monitoring sensor and syste Hie Yong Jung hyjung@uos.ac.kr 임성순 >> 김대홍 >> 1980 서울시립대 학사 (토목공학) 1983 서울대 석사 (구조공학) 1987 서울대 박사 (구조공학) 구조동역학 교량공학 내진공학, 내풍공학 곡선부재의 동적해석 다중아치교의 동적해석 케이블구조의 비선형 동적해석 사장교의 손상검색 현수교의 버펫팅 해석 및 풍-구조 상호작용 Sung Soon Yhim yhimss@uos.ac.kr 1997 한양대 학사 (토목공학) 1999 한양대 석사 (토목공학) 2009 Texas A&M University 박사 (토목공학) 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Development of 2D and 3D flow and transport models Analysis of flow and mixing in stratified reservoir Inundations by storm surge and flood Dae-Hong Kim dhkimhyd@uos.ac.kr
l 컴퓨터과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34 35 학과 주요장비 로직회로 실습장비 HPC기반병렬계산금융시스템 논리회로를 실험적으 로 구현하고 검증하 는 장비로서 컴퓨터 구조와 설계과목에서 학습하는 여러 가지 회로 장치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것이다. Combinational circuit, sequential circuit와 같은 기본 회로는 물론, multiplexer, decoder, register, ALU, control unit 등의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생체신호처리장치 클러스터형 병렬 컴퓨터 로 구성되며, 계산금융 (computational finance)에 서 필요한 슈퍼컴퓨팅 연산 을 수행한다. 영상편집장치 영상과 음성을 결합하여 영화, 광고 등을 제작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편집장치로, MAC 컴퓨 터, Final Cut Pro, 사운드 편집 장치, 영화화질측정 장비 등으 로 구성된다. 임베디드실험시스템 인체에서 발생하는 신 호를 측정하는 도구로 서, 뇌파 / 심전도 / 근 전도 / 맥파 / 피부전 기전도 / 호흡 등의생 리 신호를 동시에 측정 하는 전산화 폴리그래프 시스템이다. 인체를 연구 대상 으로 하는 기초학술 연구분야에서부터 과학수사와 같은 첨단응용 연구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비이다. 컴퓨터과학부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컴퓨터과학부는 첨단 컴퓨터 기술을 교육 및 연구하고 있으며, 첨단 컴퓨터시스템,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그래픽스, 고성능네트워크 분야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 비전,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네트워크, 그리드컴퓨팅, 컴퓨터시스템, 인공지능,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보안, 컴퓨터그래픽스 분야의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 프로젝트 및 산학 연 연구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제 및 국내 저명인사의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통해 새로 운 컴퓨터 기술 습득과 산학연 전문가와의 밀접한 기술 교류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행사로는 매년 가 을 컴퓨터과학부 주최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및 소프트웨어 작품발표회인 셈틀제 를 개최하고 있으 며, 본 대회를 통하여 학생들은 인터넷, 모바일 통신, 미디어 등 새로운 첨단 컴퓨터 기술에 대한 실력 을 향상시키고 있다. 미래의 기술은 소프트컴퓨팅에 기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학부에서는 창의력 과 도전정신, 호기심을 공학적인 기술로 발전시키는 것을 교육하고 있다. (http://cs.uos.ac.kr) 리눅스 운영체제를 탑재할 수 있는 PDA 및 정보가 전, 정보기기 시스템을 개 발하는 도구로서, 임베디 드 리눅스 시스템의 각종 device driver 개발 및 application 개발 그리고 GUI 개 발까지 포함하여 개발 할 수 있는 장비이다. 컴퓨터과학심화프로그램 컴퓨터과학심화프로그램(Program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은 첨단 컴퓨터학의 발전에 기반하여 전통적인 전산 관련 지식 외에 컴퓨터에 대한 최신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공학도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컴퓨터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고급 컴퓨터 기술을 학습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술을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궁극적으로는 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이 IT/전자 산업계, 금융계를 비롯한 산업 각 분야에서 급변하는 산업 기술 발전을 선도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l 컴퓨터과학부 College of Engineering 36 37 홍의경 >> 이동희 >> 1981 서울대 학사 (수학교육과) 1983 KAIST 석사 (전산학) 1991 KAIST 박사 (전산학) 데이터베이스 XML 데이터마이닝 Performance Evaluation of Catalog Management Schemes for Running Access Modules in a Locally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 Component-Based Architecture for Preparing Data in Dada Warehousing A Taxonomy of Dirty Data An XPATH Query Processor for a Decomposition Eui Kyeoug Hong ekhong99@gamil.com 1989 서울대 학사 (컴퓨터공학) 1991 서울대 석사 (컴퓨터공학) 1998 서울대 박사 (컴퓨터공학) 시스템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스토리지 시스템 파일 캐슁 알고리즘 연구 SSD(Solid State Drive) 알고리즘 연구 CF카드 펌웨어 개발 FSOC(File System On Chip) 개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활용 방안 연구 휴대전화 및 플래시 저장 장치 워크로드 분석 Dong Hee Lee dhl_express@uos.ac.kr 이병정 << Jin Suk Kim kimjs@uos.ac.kr Sang Hyun Ahn ahn@uos.ac.kr Seong Whan Kim swkim7@gmail.com Byung Jeong Lee bjlee@uos.ac.kr 1990 서울대 학사 (계산통계학) 1998 서울대 석사 (전산과학) 2002 서울대 박사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공학 객체지향시스템 웹 사이언스 소프트웨어 진화 컴포넌트 기반 웹 공학 지원을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 연구 AOP를 이용한 신뢰성있는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의 SOA 기반 프레임워크 연구 그린 컴퓨팅을 위하여 메타프로그래밍을 사용한 SaaS 개발 프레 임워크 연구 SOA 기반 적응형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연구 집단지성 기반 사용자 인지 웹 검색시스템 개발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 기술개발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김진석 1990 KAIST 학사 (컴퓨터공학) 1992 KAIST 석사 (컴퓨터공학) 1997 KAIST 박사 (컴퓨터공학) 스마트 장치 UX/UI(Smart Thing's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s for Smart Phones Algorithm for Coverag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Scheduling Systems of Large Scale Cloud Computing Systems 안상현 1986 서울대 학사 (컴퓨터공학) 1988 서울대 석사 (컴퓨터공학) 1993 University of Minnesota 박사 (컴퓨터학) 인터넷 무선/이동통신망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Ad hoc Network Wireless Sensor Network Efficient Protocol Design based on the Cross-layer Technique for Vehicular Ad Hoc Networks Next Generation Home Network Technology Fast Handoff Mechanisms for Mobile IPv6 Global Internet Connectivity Support Mechanisms for IPv6-based Ad Hoc Networks Fairness Support in Mobile Ad Hoc Networks 김성환 1991 동국대 학사 (전자전산) 1993 KAIST 석사 (전자전산) 1999 KAIST 박사 (전자전산) 무선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워터마킹 및 뇌 과학 컴퓨터 게임 영화복원 인지시각 기반의 비디오 워터마킹/핑거프린팅 연구 컴퓨터게임 컨텐츠 기술연구 영화의 훼손 감지 및 복원기술 연구 Hyuk Choi chyuk@uos.ac.kr Minho Kim minhokim@uos.ac.kr Heasoo Hwang hwang@uos.ac.kr Ha Jin Yu hjyu@uos.ac.kr 유하진 << 1990 KAIST 학사 (전산학) 1992 KAIST 석사 (전산학) 1997 KAIST 박사 (전산학) 음성 및 화자 인식(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형태소 기반 한국어 대어휘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개발 자동차 정보단말기 내장형 화자인식 기술 개발 한국어 방송 뉴스 음성인식 시스템 개발 화자별 특징 기반 음성 분할 기술 개발 원어민의 인지를 기반으로 한 제2언어화자의 영어음성 진단 모델 연구 최혁 1994 서울대 학사 (전자공학) 1996 서울대 석사 (전자공학) 2002 서울대 박사 (전기컴퓨터공학) 정보보호(암호화 및 워터마킹) 신호처리 Transformed-key Asymmetric Watermarking System 불법 복제 추적을 위한 오디오 워터마킹 & 핑거프린팅 기술 개발 워터마킹을 고려한 MPEG4 & H.264 압축 기술 연구 DRM(Digital Right Management) of Multimedia Contents 온라인 제증명 서비스를 위한 문서 보안 시스템 연구 김민호 1998 서울대 학사 (전자전기공학) 2004 Univ. of Florida 석사 (Computer Science) 2008 Univ. of Florida 박사 (Computer Engineering) 컴퓨터 그래픽스 Fast and Stable Evaluation of Box-Splines via the BB-Form Box Spline Reconstruction on the Face-Centered Cubic Lattice Symmetric Box-Splines on Root Lattice 황혜수 2000 서울대 학사 (전산과학) 2002 서울대 석사 (전기컴퓨터공학) 2010 Univ. of California, San Diego 박사 (Computer Science) 정보 검색 빅데이터 분석 웹 정보시스템 Organizing User Search Histories BinRank: Scaling Dynamic Authority-Based Search Using Materialized Subgraphs Authority-based keyword search in databases
l 산업기술연구소 College of Engineering 38 39 조직도 고성능컴퓨팅연구센터 서울형 미래전략 신기술 사업 중 정보통신과 금융서비스의 협업 분야인 고성능컴 퓨팅 산업의 시장 규모가 빠른 속도로 커짐에 따라 선도적인 첨단 고성능컴퓨팅기 술과 계산금융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2005년 1월 1일 고성능컴퓨팅연구센터가 설 립되었다. 본 센터는 또한 산업계의 기존 기술 혁신 및 선도적인 기술 이전을 통한 국제적 경쟁력 확보와 고성능컴퓨팅기술, 첨단 계산금융기술 개발을 통한 관련 고 성능컴퓨팅 및 계산금융 산업계의 애로사항 해결 및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 보기술과 타 기술의 융합을 위한 학술대회인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nvergence(CTIC)를 2006년부 터 Las Vegas, Anaheim, 제주도 등지에서 매년 개최하였고, 2009년에는 Nashville 에서 4회째를 개최하였다. 과제로는 서울시 산학연협력사업으로 동북아금융허브 를 위한 파생상품 가격결정모형개발 (2005. 12~2009. 11)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40노드 클러스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신 재생에너지연구센터 최근 정부가 대체에너지개발 보급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신 재생에너지의 개발과 이용을 적극 추진함에 따라 우리대학의 연구 역량을 집중시켜 선도적인 신 재생 에너지의 기술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신 재생에너지연구센터 를 2005년 12월 20 일 설립하였다. 신 재생에너지 관련 연구부분의 경쟁력 확보, 신 재생에너지기술 나노과학기술센터 나노기술(NT)은 미래형 응용기술인 정보기술(IT)과 차세대 바이오 기술(BT)에 근 의 효율적 보급 및 확대, 신 재생에너지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교육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기술연구소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산업기술연구소는 1992년에 창조적인 연구 활동을 통한 기술개발과 전문기술인력의 양성지도로 대학 의 이론과 실제의 균형발전 및 산업 과학기술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산학협동의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설립 이후 본 연구소는 서울시를 비롯한 공공기관 및 산업체와 연계된 연구 용역 사업을 활발 하게 수행하며 대표적인 산학협력연구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관련 연구단체와의 학술발표회, 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학술교류활동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왔다. 연구소는 운영위원회, 기획조사부, 학술연구부와 6개의 산하 센터를 두고 있으며, 12개 학부 과, 114명의 교수가 참여, 명실 공히 서울시 립대학교 산학협동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소 산하 센터로는 나노과학기술센터, 서울 주얼리연구센터, 고성능컴퓨팅연구센터, 신 재생에너지연구센터, 건설기술연구센터, 사면재해기술연 구센터가 있다. (http://www.uosiit.ac.kr) 간이 되는 원천기술이다. 나노기술 개발을 통해 구현 가능한 유비쿼터스 정보통신 기술, 나노기술을 이용한 최첨단 의료기술, 그리고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한 고효 율 자원 활용 시스템 및 친환경 기술 등은 미래 복지사회를 구현하는데 지대한 영 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나노기술은 기초 연구단계를 넘어 응용기 술개발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 전반에 대한 우 위를 점하기 위해 국가 간, 연구자 간의 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다. 나노 과학기술센터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나노과학기술관련 교내 연구력 을 결집하고, 외부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가와의 공동협력을 모색하고자 설립되었 다. 본 센터는 나노구조(nano-structuring), 나노공정(nanoprocessing), 나노기능 (nano-functions) 관련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나노과학기술관련 분야에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나노세계에서 물질의 새로운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나노물질의 합성과 제어를 통하여 기존물질의 변형 또는 신물질 창출에 필요한 과 학기술의 새로운 영역을 창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주얼리연구센터 서울주얼리연구센터는 서울형 미래전략 신기술 사업의 하나인 패션디자인분야 중 특히 고부가가치 주얼리 산업에 첨단기술을 집중시켜 기존 기술을 혁신하고 첨단 기술의 이전을 통하여 주얼리 사업이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 설립되었다. 본 센터는 3000여 서울소재 주얼리 관련 중소기업에 감정, 가공 기술 개발 및 소재 개발과 디지털 디자인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해결 하고 지원하며 주얼리 전문가 교육을 위한 교육 컨텐츠 개발을 통해 기술과 인력 건설기술연구센터 아주 짧은 기간에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mega city로 성장 한 서울은 이제는 양적 팽창단계를 지나 질적 성장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질적 성장은 쾌적한 지하공간의 창출, 효율적 소통을 위한 집적화 mini city 의 창출, 계발과정에 손상된 자연의 치유 등 많은 난제를 우리 건설인에게 던지고 있다. 서울시립대 건설기술연구센터는 이러한 난제의 해결을 위해 산업기술연구소 산하에 설립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수행중인 과제로는 연약 지반 개선 기술 개발, 한강 백사장 복원 기술개발 등이 있다. 사면재해기술연구센터 산사태는 매년 여름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서 매년 평균 60명의 인 명손실과 수 천 억원의 재산피해 및 교통두절의 피해가 발생하는데 지난 20년간 산사태 관련 연구를 서울시립대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으며 또한 근래는 국 가적인 차원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후의 사후 복구대책보다는 사전 예방측면으로 국가정책 방향이 바뀌고 있으므로 관련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기 위한 학술활동과 연구에 기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에 설립되어서 대형 국책과제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국내 다른 대학교와 연구소와 비교할 때 연구장비와 연구결과도 뛰어 나며 국제 공동연구도 수행하였으며, 특히 산사태는 전국적으로 발생하므로 관련 국내 여러 공공기관(소방방재청 등), 지자체 및 대학교들과 공동 연구 및 기술지도 를 수행하고 있다. 공급의 기능을 수행하여 서울형 산업인 패션디자인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 고 있다.
l 정보기술연구소 College of Engineering 40 41 조직도 지능형로보틱시스템연구센터 (Intelligent Robotic Systems Research Center) 서울시립대학교 지능형 로보틱 시스템 연구센터(Intelligent Robotic Systems Research Center)는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 기술개발 사업단의 제1과제인 지식 기반 로봇 지능 체계 기술 과제 수행 주체로서 2006년에 우리 학교 정보기 술연구소 산하에 설립되었다. 우리 센터에서는 지능형 로봇의 지능적 인지, 사고, 행위를 구현하고 지식의 공유 및 증식을 실현하기 위한 지능 구조와 지식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배우고 성장하며, 적응하고 교 류하는 친밀한 로봇 을 모토로 하여 다양한 동적 환경에서 인간과 교류하며 지능 적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지능 로봇의 실현을 위해 스스로 배우고 성장 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인간과 대화로 친밀하게 교류하는 로봇 지능 체계의 개발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그리드센터 서울그리드센터(Seoul Grid Center)는 2002년 1월에 서울시의 IT정보화를 돕기 SPID센터 위하여 서울시의 지원으로 설립되었으며, 특히 상암동 Digital Media City에 Grid SPID센터(Samsung Electro-Mechanics Power IC Design Center)는 2008년 및 Ubiquitous 기술을 적용하여 세계적인 IT 단지가 되는데 기여하도록 요청받아 8월, (주)삼성전기와 서울시립대학교가 공동으로 정보기술관에 설립하였다. SPID 설립되었다. 서울 그리드센터는 Supercomputing 500에 등재되는 세계적인 슈퍼 센터는 고급 IC 설계 기술력과 전문 설계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차세대 선행 컴퓨터를 제작하여 가동하였으며 이 슈퍼컴퓨터는 전 세계의 모든 슈퍼컴퓨터 중 Power IC 제품 개발 기술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기술지도 및 자문과 연구원 교 에서 392등(2003년)에 당당히 순위 매김을 받았다. 단위 비용당의 성능 면에서 육을 통해 기술력 및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현재 (주)삼 는 세계 1위의 슈퍼컴퓨터였는데, 이는 비용의 한계만 아니면 전 세계에서 1등가 성전기와 3개 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 한양대학교, 건국대학교)가 참여하여 연구를 는 최우수 컴퓨터도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된다. 이 부문 수행 중이며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은 2007년 4월 서울슈퍼컴퓨터센터 로 확대 신설되었다. 이 밖에 악세스 그리드 - 조명용 Switch-Mode LED Driver IC 개발 라는 세계 최첨단 기술을 국내에서 최초로 구축하여 소개하였다. 세계 그리드포 - Power Management IC의 Digital 제어 기반 기술 확보 럼(Open Grid Forum), 국가그리드위원회, 서울시 정보화 사업단, 서울시 상암동 - 고성능 PFC IC 개발 DMC사업부서 및 산학연협력센터, 서울산업진흥재단 등의 서울시 여러 부서 및 산 - 고성능 LLC IC 개발 하기관들과의 관련 분야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지능형도시사업단과 더불 SPID센터는 2008년 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2009년 기술 Road Map을 구축하 정보기술연구소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연구소는 최첨단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기초 기술뿐만 아니라 응용 연구에 특성화하여 전 문화된 인력을 양성하고, 산업체 애로 기술 해결 지원 및 인력 재교육 등을 수행할 목적으로 1998년 4월에 설립되었다. 연구소 설립 목적 달성을 위해 유사 학문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별 로 조직ㆍ체계화하여 연구비를 집중지원 함으로써 광범위한 석ㆍ박사과정 학생의 참여를 통한 인력양 어 U-city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수항하고 있으며 LG-CNS 등을 중심으로 산 학 협동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서울그리드센터의 현재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Cloud Computing - Grid 전 분야 - E-Science - Ubiquitous Computing 여 연구 기반을 조성한 후 2010년까지 센터 및 과제 규모와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설계 IC 제품화 및 차세대 원천 기술을 연구하였다. 2011년부터는 차세 대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신( 新 )사업을 창출하는 도약기( 期 )에 있다. 성 능력을 제고하고, 산업체와 연계된 핵심기술 개발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산업 - U-City Technology & Applications 체에 대한 각종 애로 기술 지원, 산업체 기술 인력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 학술발표회 개최 및 간행물 발간과 국제공동연구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13년 11월 현재 서울 GRID 센터, 지능형 로보틱 시스템 연구센터, 서울 슈퍼컴퓨터 센터 및 SPID센터의 총 4개의 센터를 산하에 두고 있으며, 최첨단 정보기술 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여 오고 있다.
l 공학교육혁신센터 College of Engineering 42 43 비전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개 발ㆍ운영 및 공학교육인증 제반사항 지원 공학교육 교육과정 연구 주요사업 1. 공학교육인증제(한국공학교육인증원) 공학교육의 발전 및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 고취를 목적으로 한국공학교육인증 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 ABEEK)에서 추 진하는 인증프로그램으로서,해당 프로그램(전공)을 이수한 졸업생이 사회에서 필요 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하게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보증해주는 인증제도 공학교육 시스템과 방법의 연구개발 기타 센터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수행 및 지원 2.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교육부) 1단계 공학교육혁신사업으로 추진한 도시 특성화를 기반으로 창의, 융합, 개방, 글 로벌, 봉사와 관련된 2단계 공학교육혁신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하고, 공립 대학교로서 서울시, 지역산업체, 각종 정부지원사업과 연계한 공학교육을 통해 지 식과 기술에 희망을 담아내는 서울시립대학교 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과 다양한 교 육 프로그램 운영 캡스톤 디자인 공학교육 산학협동 교육 프로그램 연구 공학교육혁신 센터 지원사업 운영 - 공공성과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서울시)의 융합형 캡스톤 디자인 교육 현장실습 프로그램 - 학생 맞춤형 인턴십 및 청년창업 강화 한국공학교육 인증원 인증평가 지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 도시 특성화 기반의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직도 포럼/컨퍼런스/교류 및 성과확산 활동 - 성과확산을 위한 자체 공모전 및 경진대회 개최 - 국내 외 공학교육 관련 프로그램 참가 지원 총장 - 성과확산을 위한 대 내외 활동 융합특화 프로그램 교육인증원장 - 수요자 중심의 교양 융합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도시 특성화 기반의 전공 융합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서울시립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는 미래 첨단사회를 앞당기는 21세기 차세대 도시공학기술과 과학기 술을 갖추고 산업체의 다양한 요구에 기여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자 2006년 4월에 설립되었다. 특히, 공학교육인증제를 통하여 산업체 및 사회에서 요구하는 전문교양과 설계능력 을 갖춘 공학인을 양성하는데 중요한 역할과 지원을 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공학계열 7개 공과대학 도시과학대학 공학교육혁신 센터장 공학교육혁신위원회 공학교육혁신센터 운영 및 사업 전반에 걸친 중요 안건 심의 공학교육평가위원회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주요 사업목표의 성과를 평가 개방특화 프로그램 - 지역사회(서울시)와 연계한 개방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글로벌 스탠다드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공학교육인증제 활성화) 창의특화 프로그램 - 도시 특성화 기반의 창의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화학공학, 기계정보공학, 신소재공학, 토목공학, 컴퓨터과학, 건축공학, 환경공학)이 공학교육 인증을 획득하여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2012년 2단계 교육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공학교육혁신센 터지원사업에 선정되어 도시 특성화 기반의 창의 융합형 글로벌 공학교육 혁신사업 으로 21세기 지 식기반 도시 산업을 선도하는 창의적 실천적 기술 인재 양성, 공학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융합적 사고 력과 경영 능력을 갖춘 글로벌 시대를 이끌 수 있는 스마트한 인재 양성 그리고 1단계 공학교육혁신사 업을 기반으로 창의, 융합 개방, 봉사를 특화한 공공성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계획하 여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교육의 향상을 통하여 학교 구성원의 공학교 육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앞장서서 나아가도록 노력하고 있다. (홈페이지 : http://abeek.uos.ac.kr) 화학공학 심화 프로그램 (2006~) 기계정보 공학심화 프로그램 (2006~) 신소재 공학심화 프로그램 (2006~) (총 7개 프로그램) 토목공학 심화 프로그램 (2008~) 산학공동전문위원회 산학협력 교육 프로그램의 시스템과 교육과정, 운영 및 홍보 등 산업체와 본교의 자문 협의 공학교육인증위원회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운영 및 인증 관련 중요 안건 협의 컴퓨터 과학심화 프로그램 (2006~) 건축공학 심화 프로그램 (2006~) 환경공학 심화 프로그램 (2007~) 3. 창의공학설계스튜디오(센터 부속시설) 공학교육인증 등에서 요구하는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 적응력 및 창의적 응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초 및 종합설계 과목 운영에 적합한 공동 설계스 튜디오를 구축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함 시설현황 - 구축건물 : 제1공학관(1층) - 사용면적 : 361.2m2 - 사용시기 : 2008. 2학기부터 - 구축시설 : 총 5개소 설계스튜디오Ⅰ(72석), 설계스튜디오Ⅱ(54석), 설계스튜디오Ⅲ (54석), 브레인스토밍룸Ⅰ(15석), 브레인스토밍룸Ⅱ(15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