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F6BFAA20C1D6B9CEC0C720B9FCC1CB20B5CEB7C1BFF2BFA120BFB5C7E2C0BB20B9CCC4A1B4C220BFE4C0CE20BAD0BCAE287665722E20312E32292E687770>



Similar documents
성인지통계

세계 비지니스 정보

문화갈등과경찰신뢰에관한연구 문화갈등과경찰신뢰에관한연구 조상현 * 최재용 ** 김순석 *** 차례 Ⅰ. 서론 1)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및제언 국문요약 치안정책연구소

- 2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CONTENTS.HWP

INDUS-8.HWP

¾ç¼ºÄÀ-2


00-1표지

¾Æµ¿ÇÐ´ë º»¹®.hwp

전체범죄의발생건수및발생비추이 (2006 년 ~2015 년 ) 5 ( %) 연도 전체범죄 교통범죄를제외한전체범죄 발생건수발생비증가율 6 발생건수발생비증가율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CC hwp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우루과이 내지-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96_RE11]LMOs(......).HW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최우석.hwp

0429bodo.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E1-정답및풀이(1~24)ok

cls46-06(심우영).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untitle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노인범죄의실태와변화 민수홍 ( 경기대학교 ) 그러나오늘날노인범죄는고령화로인한사 지난 20년간 61세이상노인형범범죄자의증가 폭이전체형범범죄자의증가폭보다더크다. 61세이상노인범죄자수는재산범죄, 폭력범죄, 흉악범죄순으로많다. 노인흉악범죄자가전체노인형법범죄자에서차지하는비중은매

< DC1A4BAB8C8AD20BBE7C8B8BFA1BCADC0C720C0CEB1C728C3D6C1BE292E687770>

CR hwp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사업수혜자 계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여 성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남 성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불특정다수 예산구분 계 여 성 7(50%) 7(50%) 8(50%) 남 성 7(50%) 7(50%) 8(50%) 2011년까 지는 결산 액

2006

À̶õ°³È²³»Áö.PDF

03

< B3E220B3EBBCF7C0CE20B5EEC0C720BAB9C1F6BBE7BEF720BEC8B3BB28C3D6C1BE292E687770>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³À°È°µ¿Áö

ad hwp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통신1310_01-도비라및목차1~9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hwp

2002report hwp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04 Çмú_±â¼ú±â»ç

레이아웃 1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5BB1E2BABB D20C0E5B9CCC7FD2E687770>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Transcription:

지역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Local Residents Fear of Crime 정책연구 2015-26 박현수 외 i

연구책임 박현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옥진아 천영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경기연구원 연구원) 정책연구 2015-26 경기도의 토양환경 현황파악 및 정책방향 설정 연구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2015년 6월 2015년 6월 임해규 경기연구원 (440-29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031)250-3114 / 팩스 031)250-3111 www.gri.kr 등록번호 제 99-3-6호 c 경기연구원, 2015 ii

연구요약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최근 우리사회에서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난, 사고, 범죄 등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가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피해는 피해의 당사자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피해경험이나 미디어를 통해 재난, 사고, 범죄피해 등의 사건들을 접하거나, 위험한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들을 통해 자신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가지게 하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러한 두려움은 일상생활로 이어져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난, 사고, 범죄 등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사건들 중에서 범죄 는 우리의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발생되고 있어 피해자의 규모나 두려움의 정 도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범죄 두려움에 대한 대책은 범죄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 하였다. 범죄가 발생되는 건수가 줄어들게 된다면 그로 인해 직접 피해를 줄어 들게 되어 범죄에 대한 두려움도 줄어들 수 있다. 그렇지만 범죄에 대한 두려움 은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들만이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범죄피해 경험 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범죄피해 경험 이 외의 요인들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의 범죄에 대한 인식과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 보고,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범죄 두려움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i

우선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경기도의 범죄 율을 전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경기도와 다른 수도권 지역의 범죄율을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서울보다는 경기도의 범죄율이 낮은 수준이었고, 인천보다는 높은 수준이나 그리 큰 차이는 없었다. 이와 관련 하여 범죄 두려움의 수준을 비교하면, 수도권 지역에서 범죄 두려움은 범죄발 생의 수준과 마찬가지로 서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경기도, 인천 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국과 경기도를 비교한다면, 경기도의 범죄율은 전국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이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경기도의 범죄 두려움은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이 일치하는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범죄가 발생한 장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비교한 결과, 3개 지역 중에서 2개 지역에서는 실제 범죄가 발생 한 장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 간의 차이 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1개 지역에서는 실제 범죄가 발생 한 장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 간의 차이 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실 제 범죄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공간에 한정하여 시행하기 보다는 지역 주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 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의 범죄 심각도에 대해서는 범죄 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이 63.7%로 현재 우리나라의 범죄문제가 심각한 수준 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에 대한 전망에 대해 향후 우 리나라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70.2%로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도 범죄문제는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31.1%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38.6%)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일상생활에서도 범죄 두려 움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리 낮은 비율은 아니다. 특히 성별 로 여성인 경우에는 범죄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34.5%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30.9%)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범죄 두려움이 ii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범죄피해, 개인적 요인, 지역사회 요인, 그리고 방범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범죄피해의 영 향을 살펴보면, 본인이나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나 구체적 범죄 두려움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타인이 나 미디어를 통해 범죄에 대한 정보를 자주 접할수록 일반적, 구체적 범죄 두려 움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 대해서는 범죄 취약성이 일반적 범죄 두려 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집이 비어 있는 정도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 회 요인에 대해서는 지역의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지역 애착이 일반적 범죄 두려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방범활동의 영향에 대해서는 CCTV 설치 정도가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서는 범죄 취약 성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CCTV 설치 정도, 사회적 무질서,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이 범죄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거나, 범죄피해 를 당했을 경우에 범죄피해 이전으로 회복하기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범죄 취약성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무질서,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결과에서와 같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서도 범죄 취약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특징으 로 사회적 무질서도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 다. 이러한 점은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을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범죄의 징후 를 판단하여 두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으로는 첫째, 범죄지도와 같은 범죄에 대한 정보에 실제로 범죄가 발생된 장소 뿐만 아니라,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하 iii

는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하여 범죄지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범죄발생과 관련된 정보는 공공에서 제공하고, 지역 주민이 체감하는 범죄 두 려움에 대한 정보는 지역 주민이 직접 공공에 정보를 제공하여 범죄의 실제 발생에 대한 상황과 범죄의 징후가 나타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직접적인 범죄피해의 감소와 함께 범죄를 당할 수 있다 는 두려움도 함께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지역의 무질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의 구성원들의 노 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구성원들 간의 유대나 친밀감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참여로 이어져야 한다. 지역사회 내의 범죄나 무질 서에 대한 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주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공공의 위원회를 통해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고취시키고, 공동체 의 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범죄 취약성이 높은 지역 주민에 대해 범죄피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방안과 범죄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지원을 통해 범죄 취약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 한 방안의 예로 범죄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여성을 위해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 나 범죄피해 회복 지원을 위한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과 같은 제도가 있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범죄에 취약하다고 인식하는 지역 주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감소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넷째는 CCTV 설치를 통한 기계적 감시로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방안이다. 범죄위험이 높은 지 역이나 지역 주민이 범죄 두려움을 인지하는 지역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CCTV 의 설치한다면 범죄 두려움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iv

차례 제1장 서론 /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 9 제1절 경기도의 범죄 추이 9 제2절 범죄 두려움에 대한 논의 14 1. 범죄 두려움 14 2.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제3절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18 1.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비교 18 2. 범죄에 대한 인식 21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43 제1절 범죄피해의 영향 43 1. 직접 범죄피해 경험 43 2. 간접 범죄피해 경험 46 3.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범죄피해의 간접 경험의 영향 50 4. 범죄 두려움에 대한 범죄피해 경험의 영향 52 제2절 개인적 요인의 영향 55 1. 범죄 취약성의 영향 55 2. 일상생활에서의 범죄에 노출 정도의 영향 57 v

3. 범죄 두려움에 대한 개인적 요인의 영향 61 제3절 지역사회 요인의 영향 64 1. 무질서의 영향 64 2. 사회적 관계의 영향 68 제4절 방범활동의 영향 80 1. 경찰활동의 영향 80 2. CCTV의 영향 82 제5절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8 1.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8 2.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9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안 / 95 제1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5 1. 범죄 발생과 범죄 두려움 95 2. 범죄 취약성 95 3. 무질서 및 지역 사회의 비공식적 통제 96 4. CCTV 설치 96 제2절 범죄 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 제안 97 1. 도민의 관점에서 범죄를 바라보는 전략 97 2. 지역사회 무질서 감소 전략 97 3. 범죄 취약성 감소 전략 99 4. CCTV 설치를 통한 기계적 감시 100 참고문헌 / 101 부록 / 105 vi

표차례 < 표 Ⅰ-1 > 조사대상자의 특성 6 < 표 Ⅱ-1 >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 22 < 표 Ⅱ-2 >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24 < 표 Ⅱ-3 >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26 < 표 Ⅱ-4 > 다른 동네 대비 거주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28 < 표 Ⅱ-5 >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 30 < 표 Ⅱ-6 >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33 < 표 Ⅱ-7 > 향후 우리 동네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35 < 표 Ⅱ-8 >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 37 < 표 Ⅱ-9 >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40 < 표 Ⅲ-1 > 본인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다중응답) 44 < 표 Ⅲ-2 > 본인 범죄피해의 심각성 45 < 표 Ⅲ-3 > 가족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다중응답) 48 < 표 Ⅲ-4 > 가족 범죄피해의 심각성 49 < 표 Ⅲ-5 >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 51 < 표 Ⅲ-6 > 범죄피해 경험에 따른 범죄 두려움 53 < 표 Ⅲ-7 > 범죄 취약성 56 < 표 Ⅲ-8 >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 58 < 표 Ⅲ-9 >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 60 < 표 Ⅲ-10 > 개인적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62 < 표 Ⅲ-11 >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66 < 표 Ⅲ-12 >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 68 < 표 Ⅲ-13 >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 70 < 표 Ⅲ-14 > 집합 효율성 72 < 표 Ⅲ-15 > 지역 애착 75 < 표 Ⅲ-16 > 지역사회 요인 간의 상관관계 76 < 표 Ⅲ-17 > 지역사회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77 < 표 Ⅲ-18 > 동네의 경찰활동 81 vii

< 표 Ⅲ-19 > CCTV 주변의 안전감 85 < 표 Ⅲ-20 > 방범활동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86 < 표 Ⅲ-21 >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9 < 표 Ⅲ-22 >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0 그림차례 < 그림 Ⅱ-1 > 전국과 수도권의 전체 범죄율 비교 9 < 그림 Ⅱ-2 > 전국과 수도권의 재산범죄율 비교 10 < 그림 Ⅱ-3 > 전국과 수도권의 강력범죄율 비교 11 < 그림 Ⅱ-4 > 전국과 수도권의 폭력범죄율 비교 12 < 그림 Ⅱ-5 > 전국과 수도권의 검거율 비교 13 < 그림 Ⅱ-6 > 전국 및 수도권의 범죄 두려움 비교 18 < 그림 Ⅱ-7 > 조사대상 지역에서의 범죄발생 지역과 발생 예상 지역 20 < 그림 Ⅱ-8 >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 21 < 그림 Ⅱ-9 >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23 < 그림 Ⅱ-10 >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25 < 그림 Ⅱ-11 > 다른 동네 대비 거주 동네의 27 < 그림 Ⅱ-12 >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 29 < 그림 Ⅱ-13 >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32 < 그림 Ⅱ-14 > 향후 우리 동네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34 < 그림 Ⅱ-15 >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 36 < 그림 Ⅱ-16 >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39 < 그림 Ⅲ-1 > 본인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43 < 그림 Ⅲ-2 > 가족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47 < 그림 Ⅲ-3 >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 50 < 그림 Ⅲ-4 > 범죄 취약성 55 < 그림 Ⅲ-5 >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 57 < 그림 Ⅲ-6 >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 59 < 그림 Ⅲ-7 >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64 viii

< 그림 Ⅲ-8 >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 67 < 그림 Ⅲ-9 >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 69 < 그림 Ⅲ-10 > 집합 효율성 71 < 그림 Ⅲ-11 > 지역 애착 74 < 그림 Ⅲ-12 > 경찰활동 80 < 그림 Ⅲ-13 > 동네 CCTV 설치 정도 83 < 그림 Ⅲ-14 > CCTV 주변의 안전감 84 < 그림 Ⅳ-1 > 범죄가 발생될 것이라 예상한 이유 98 ix

제 1 장 서론 제 1 절 제 2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흐름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최근 우리사회에서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난, 사고, 범죄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피해의 당사자뿐만 아니라 미디 어를 통해 재난, 사고, 범죄피해 등의 사건들을 접하거나,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들을 통해 자신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두려움은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삶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범죄는 우리의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발생되고 있어 피해자 의 규모나 두려움의 정도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직접 범죄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발생되기도 하 지만, 범죄피해와 상관없이도 유발될 수 있다. 인적이 드물고, 어두운 거리를 걷는 상황이라던지, 주변에 불량한 청소년이 있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서 범죄피해를 당할 수 있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범죄 두려움에 대한 해결책은 범죄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하였다. 물론 범죄발생을 최소화한다면 자연스럽게 범죄에 대한 두 려움은 줄어들 수 있다. 그렇지만 범죄가 많이 발생되는 공간에서 사람들이 범죄 두려움을 유발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았 다. 오히려 범죄발생과 큰 연관성이 없는 요인들로 인해 범죄 두려움이 유발되 기도 한다. 기존의 범죄 두려움에 대한 연구에서는 범죄발생을 포함하여 개인 적,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유발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민의 범죄에 대한 인식과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 고,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의 관계를 공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1장 서론 3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기도민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2.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민의 범죄에 대한 인식과 두려움의 정도를 파악하 고자 하였다. 그리고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 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도민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공간의 특성 을 파악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른 개선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이 연구는 지역 주민의 범죄에 대한 인식과 두려움의 정도를 파악하고,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더불어 거주 지역에서 범죄가 발생될 것이라 예상되는 공간의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연구 목적 중에서 경기도민의 범죄 두려움의 정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측면에 집중을 한다면, 경기도의 31개 시 군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경기도의 모든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면 행정구역 당 조사대상자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광범 위한 지역에 대한 포괄적인 결과만을 얻을 수 있고, 범죄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 되는 특정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범죄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어 연구 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최소화하여 진행하였다. 조사대상 지역의 선정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기도 경찰서별 범죄발생 현황을 통해 범죄발생이 높은 수준인 경찰서와 중간 수준인 경찰서, 그리고 낮은 수준인 경찰서 3개 경찰서를 선정하였다. 또한 범죄가 발생될 것으로 예 상되는 지역과 실제 범죄발생 지역을 비교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의 생활안전지 도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내 지역에서 생활안전지도의 서비 스가 구축된 지역을 감안하여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선정된 경찰서에 서 해당 경찰서의 관할구역 중 하나의 동을 최종 조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 다. 2. 연구의 방법 조사대상 지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대별로 할당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파 악하기보다는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례할당보다는 균등할당으 제1장 서론 5

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각 조사대상 지역별로 100명씩 설문조사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성별은 동수로 정하였다. 연령대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양식에 따라 10대, 20 30대, 40 50대, 그리고 60대 이상의 연령 층으로 구분하여 10대는 10명, 20 30대와 40 50대는 각각 40명씩, 그리고 60대 이상은 10명으로 할당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2015년 5월 10일부터 5월 22일까지 진행하 였고, 최종 조사대상자는 319명이다.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 표 Ⅰ-1 >과 같 다. < 표 Ⅰ-1 > 조사대상자의 특성 지역 합계 고양시 A동 수원시 B동 양주시 C동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성별 남성 53 (33.8) 53 (33.8) 51 (32.5) 157(100.0) 여성 56 (34.6) 53 (32.7) 53 (32.7) 162(100.0) 10대 13 (36.1) 12 (33.3) 11 (30.6) 36(100.0) 연령대 20-30대 43 (34.1) 40 (31.7) 43 (34.1) 126(100.0) 40-50대 40 (32.8) 42 (34.4) 40 (32.8) 122(100.0) 60대 이상 13 (37.1) 12 (34.3) 10 (28.6) 35(100.0) 합계 109 (34.2) 106 (33.2) 104 (32.6) 319(100.0) 중학교 졸업 이하 13 (29.5) 17 (38.6) 14 (31.8) 44(100.0) 교육 고등학교 재학/졸업 23 (25.6) 30 (33.3) 37 (41.1) 90(100.0) 정도 대학교 재학/졸업 62 (37.6) 56 (33.9) 47 (28.5) 165(100.0)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0 (58.8) 2 (11.8) 5 (29.4) 17(100.0) 합계 108 (34.2) 105 (33.2) 103 (32.6) 316(100.0) 관리/사무직 21 (31.8) 27 (40.9) 18 (27.3) 66(100.0) 판매/서비스직 12 (44.4) 11 (40.7) 4 (14.8) 27(100.0) 생산직 2 (9.1) 9 (40.9) 11 (50.0) 22(100.0) 직업 자영업 17 (37.8) 13 (28.9) 15 (33.3) 45(100.0) 전업주부 22 (34.9) 19 (30.2) 22 (34.9) 63(100.0) 학생 26 (40.6) 20 (31.3) 18 (28.1) 64(100.0) 기타 9 (30.0) 6 (20.0) 15 (50.0) 30(100.0) 합계 109 (34.4) 105 (33.1) 103 (32.5) 317(100.0) 200만원 미만 12 (21.8) 24 (43.6) 19 (34.5) 55(100.0) 월평균 200-400만원 미만 37 (33.3) 33 (29.7) 41 (36.9) 111(100.0) 소득 400-600만원 미만 35 (42.2) 19 (22.9) 29 (34.9) 83(100.0) 600만원 이상 21 (36.8) 25 (43.9) 11 (19.3) 57(100.0) 합계 105 (34.3) 101 (33.0) 100 (32.7) 306(100.0) 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2 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제 1 절 제 3 절 제 2 절 경기도의 범죄발생 추이 범죄 두려움에 대한 논의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제1절 경기도의 범죄 추이 최근 10년간 전국과 수도권의 인구 10만 명당 범죄발생건수인 전체 범죄 의 범죄율을 비교하면 < 그림 Ⅱ-1 >과 같다. 2003년에는 전국의 범죄율은 3,841.1건이었고, 경기도는 3,457.9건, 서울은 3,764.3건, 그리고 인천은 4,053.1건으로 인천을 제외하고 수도권 지역의 범죄율은 전국의 범죄율에 비 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과 수도권에서 모두 2004년부터 2006년 까지 이전 시기보다 범죄율이 낮게 나타났고, 2007년에는 범죄율이 증가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경기도의 범죄율은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의 범죄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9년부터는 다시 범죄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년간 경기도의 범죄율은 2008년을 제외하고, 전국의 범 죄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그림 Ⅱ-1 > 전국과 수도권의 전체 범죄율 비교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9

전국과 수도권의 재산범죄를 비교하면 < 그림 Ⅱ-2 >와 같다. 2003년의 전국 재산범죄율은 937.9건이었고, 경기도는 765.3건, 서울은 1,129.8건, 그 리고 인천은 842.1건이었다. 전국의 재산범죄율은 2005년까지 완반하게 감소 하는 추세였으나 2006년 이후부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다. 경기도의 재산범죄율은 2007년을 제외하고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렇지만 2010년에 급속히 감소하였고, 2011년과 2012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서울의 재산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09년에 급 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인천의 재산범죄율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범죄율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 으나 증가폭과 감소폭이 다른 수도권 지역에 비해 그리 크지 않았다.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그림 Ⅱ-2 > 전국과 수도권의 재산범죄 비교 전국과 수도권의 강력범죄율을 비교하면 < 그림 Ⅱ-3 >과 같다. 2003년에 전국의 강력범죄율은 41.8건이었고, 경기도는 37.5건, 서울은 60.1건, 그리고 인천은 40.0건으로 경기도의 강력범죄율이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에 비해 상대 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의 강력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큰 변 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강력범죄율은 증가하는 추세 1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를 보였고, 2012년에는 다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기도의 강력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전년도 대비 강력범죄율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서울 의 강력범죄율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큰 변화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그 러나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2012년에는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천의 강력범죄율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지속적으 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2008년에는 감소하였으나 2009년부터 2011년까 지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12년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그림 Ⅱ-3 > 전국과 수도권의 강력범죄율 비교 전국과 수도권의 폭력범죄율을 살펴보면 < 그림 Ⅱ-4 >와 같다. 2003년의 전국 폭력범죄율은 583.7건이었고, 경기도는 513.8건, 서울은 775.6건, 그리 고 인천은 694건으로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 지역의 폭력범죄율보다 경기도가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의 폭력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고, 이후 2009년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에는 전년도에 비해 급격하게 범죄율이 감소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 지 않았다. 경기도의 폭력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증가하는 추세 를 보이고 있었으나 2006년에는 다시 감소하였고, 이후 2009년까지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에는 전년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11

2011년와 2012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서울의 폭력범죄율은 2003 년부터 2012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2003년의 폭 력범죄율이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 지역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어서 여전히 폭력범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천의 폭력범죄율은 2003년부터 2010년 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11년과 2012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그림 Ⅱ-4 > 전국과 수도권의 폭력범죄율 비교 경기도의 범죄율을 전국과 비교하면,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강력범죄율은 최근에 전국의 수준보다 더욱 낮아진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폭력범죄율은 최근에 전국의 폭력범죄율과의 격차가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와 다른 수도권 지역의 범죄율을 비교하면, 전체 범죄율에 대해서는 서울보다는 낮은 수준이었고, 인천보다는 높은 수준이나 그리 큰 차이는 없었다. 범죄유형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경기도에 비해 재산범 죄율, 강력범죄율, 그리고 폭력범죄율이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인천의 경우에 는 재산범죄율이 경기도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나, 강력범죄율과 폭력범죄율 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그림 Ⅱ-5 > 전국과 수도권의 검거율 비교 전국과 수도권의 검거율을 비교하면 < 그림 Ⅱ-5 >와 같다. 2003년에 전 국의 검거율은 88.6%였고, 경기도는 86.8%, 서울은 88.8%, 그리고 인천은 89.6%로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 지역에 비해 경기도의 검거율은 다소 낮았다. 전국의 범죄율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85%에서 90% 정도의 안정적인 검 거율을 보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는 검거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의 검거율은 2008년까지 전국의 검거율보다 낮은 수준 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9년에는 전국의 검거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 고, 다시 2010년에는 감소하였으나 전국의 검거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서울의 검거율은 2009년까지 85% 이상의 검거율을 보으나, 2010년 이후 에는 검거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인천의 검거율은 2005년을 제외하고,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 다. 그렇지만 2010년 이후에는 검거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 다.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13

제2절 범죄 두려움에 대한 논의 1. 범죄 두려움 범죄 두려움은 두 가지 차원에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 실제 범죄는 다양 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범죄유형마다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특성으로 설명될 수 없다. 그렇지만 사회에서 금지되는 행위라는 범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 공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범죄 두려움이 가지고 있는 의미도 일반적인 두려움과 범죄의 개별 특성에 따른 두려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범죄에 대한 일반적인 두려움은 개인들이 일반적으로 안전한가에 대한 평가로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 두려워하는 차원이다. 이를 일반 적 혹은 추상적 두려움(general or abstract fear)이라 한다. 또 다른 차원으로 구체적인 범죄에 대해 개인적 수준에서 피해위험에 대한 평가의 결과로 나타 나는 두려움을 구체적 두려움(concrete or specific fear)이라 한다. 범죄 두려 움의 두 차원은 일반적인 범죄피해로부터의 안전에 대한 문제로 볼 것인지(일 반적 두려움), 아니면 특정 유형의 범죄에 대해 개인적으로 느끼는 두려움의 감정을 드러내는지(구체적 두려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Warr and Stafford, 1983). 2.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범죄피해 경험 자신의 범죄피해 경험은 이후에도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범죄피해를 경험했던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범죄에 대해 더욱 두려 워하는 것은 이전의 범죄피해 경험으로 인해 범죄피해라는 위험을 더욱 인지 할 수 있다(Lewis and Salem, 1981). 그리고 범죄피해의 경험은 직접적인 범 죄피해가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Skogan, 1986; Hough, 1995),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 주변 사람이 범죄피해를 당한 경우에도 한 개인 이 가지고 있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줄 수 있다(Warr and Ellison, 2000). 1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즉 직접적인 범죄피해 경험이 없어도 가까운 지인 등으로부터 범죄피해와 관 련된 정보를 얻게 된다면 범죄 두려움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미디어를 통한 범죄관련 정보도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 를 통한 범죄보도는 사람들에게 범죄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범죄에 대한 인식 을 환기시키고, 사회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등 형사사법기관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김연수, 2006). 그러나 과도한 범죄보도는 사람 들로 하여금 범죄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 2) 개인적 요인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적 특성은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스스로 자 신을 보호하지 못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범죄 두려움을 더욱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Franklin et al., 2008). 스스로 자신이 범죄에 취약하다는 인식은 여성이나 노인과 같이 물리적 힘이 약해 공격으로 부터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낮다는 인식에서 나타날 수 있고, 범죄가 발생하게 되었을 경우에 범죄로 인한 피해를 회복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도 범죄 취약성 (vulnerability)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자신이 범죄위험에 노출된 정도도 범 죄 취약성으로 볼 수 있다(Killias and Clerici, 2000). 즉 장래에 일어날 위험 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 취약성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범죄위험성에 노출된 정도와 빈도도 사회적 취약성으로 볼 수 있다. 즉 범죄위험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어 범죄피해 가능성이 높고, 범죄가 발 생했을 경우에 이를 회복하기 위한 자원이나 방범대책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 한 경우에 사회적 취약성이 높아질 수 있고, 범죄 두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노성호 외, 2012). 3) 지역사회 요인 (1) 무질서 범죄 두려움은 지역사회의 무질서에 대한 인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역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15

사회가 무질서한 지역에서는 실제로 범죄가 발생되는 정도보다 더 많은 범죄 가 발생할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고, 범죄 두려움의 수준도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무질서는 범죄가 발생될 것이라는 하나의 상징적 신 호로써 사람들에게 범죄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무질서는 두 가지 차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사회적 무질서 (social incivility)는 지역사회 내에서 사람들이 유발하는 위험한 행동양식으 로 불량배집단이나 노숙자, 주취자, 법규위반자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적 무질서가 증가하면 지역사회 내의 다른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일으키게 되어 범죄 두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차원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physical incivility)로 설명할 수 있다. 물리적 무질서는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길거리에 쓰레 기가 수없이 버려져 있고, 버려진 차량이나 건물, 청결치 못한 환경 등이 물리 적 무질서에 포함된다. (2) 사회적 관계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해당 지역사회의 사회적 통합 정도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지역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유대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지역의 무질서 정도가 높다하더라도 지역사회의 유대가 무질서로 인한 범죄 두려움의 증가를 완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Ross and Jang, 2000). 더 나아가 지역사회 내의 사회자본은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주민 간의 신뢰관계가 형성될 때 사회자본이 만들어질 수 있고, 이러 한 사회자본은 이웃 간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잠재적 자원으 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역 사회 내에서 사회자본이 형성되었다면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문제와 같은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잠재 적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Furguson and Mindel, 2007). 한편 집합 효율성(collective efficacy)은 지역사회 구성원 상호간의 신뢰 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해 구성원들의 역량을 모을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통해 범죄예방과 같은 공공의 선(common good)을 이룰 수 있어 범죄 두려움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Sampson & Earls, 1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1997). 4) 방범활동 순찰 중인 경찰을 자주 보거나 경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일 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적을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공식적 범죄통제 기능 을 하는 경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면, 경찰이 범죄를 효과 적으로 통제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범죄가 효과적으로 통제됨에 따라 자신이 범죄피해를 당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주민들과의 접촉을 늘이고, 능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과 경찰의 실질적, 사회적, 심리적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범죄 두려움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Brown and Wycoff, 1986; Cordner, 1986; Zhao et al., 2002). 또한 방범과 관련하여 CCTV 설치가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범죄는 무작위적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발생될 확률이 높다. 이러한 범죄기회는 외부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상황적 범죄예방이론은 범죄기회를 줄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사회 의 경제구조, 일상활동, 물리적 환경, 범죄의 기회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 여 범죄가 발생하고, 이러한 기회구조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범죄예방 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Clarke, 1992).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범죄의 위험성이나 어려움을 증가시키고, 범죄 의 유혹 혹은 자극을 감소시켜 동기화된 범죄자의 범행의도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CCTV는 동기화된 범죄자가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범죄기회를 줄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즉 CCTV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서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면 체포될 것이라 예상하게 되어 범행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CCTV가 있는 지역에서는 쉽게 범죄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의 범죄 두려움으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17

제3절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1.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비교 전국과 수도권의 범죄 두려움을 비교하면 < 그림 Ⅱ-6 >과 같다. 우선 일 반적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집에서 느끼는 일반적 두려움은 전국 평균이 2.3점이었다. 이에 비해 경기도와 서울은 평균이 모두 2.4점으로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인천은 2.2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골목길에서 느끼는 일반적 두려움은 전국 평균이 2.6점이었고, 경기도는 2.8 점, 서울은 2.7점, 인천은 2.6점으로 전국 평균이나 수도권의 다른 지역에 비해 경기도의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자료: 전국범죄피해조사 2012, 형사정책연구원. < 그림 Ⅱ-6 > 전국 및 수도권의 범죄 두려움 비교 범죄유형별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서울의 범죄 두려 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경기도는 범죄 두려움 수준이 1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보다는 낮지만, 전국 평균보다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천의 경우에는 범 죄 두려움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경기도나 서 울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었다. 앞에서 범죄발생과 관련하여 전국과 수도권의 범죄율을 살펴본 결과로는 서울의 최근 총범죄율이나 다른 범죄유형별 범죄율이 전국의 범죄율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거율은 전국이나 다른 수도권 지역보다 상대적으 로 낮은 수준이어서, 이러한 점에서 서울의 범죄 두려움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인천의 경우에는 총범죄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고, 범죄유형별 범죄율은 전국 평균 수준이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그리 고 검거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인천지역 의 범죄 두려움은 다른 수도권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보인다. 경기도의 경우에 는 총범죄율이나 범죄유형별 범죄율이 서울보다 낮으므로 범죄 두려움도 서울 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비교 집단을 서울이 아닌 전국과 비교한다면, 경기 도의 범죄율은 전국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이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만 약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이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면 경기도의 범죄 두려움은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야 한다. 그렇지만 위의 결과와 같이 경기도의 범죄율이 전국에 비해 비슷한 수준이거나 낮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두려움은 전국과 비교하여 오히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범죄발생 과 범죄 두려움이 일치하는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와 실제로 범죄가 발생 된 장소를 비교하면 < 그림 Ⅱ-7 >과 같다.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실제 범죄가 발생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지역 주민이 범 죄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장소이다. 우선 고양시 A동을 살펴보면,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와 실제로 범죄 가 발생된 장소 간에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주시 C동의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원시 B동의 경우에는 지역 주민 이 인식하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와 실제 범죄가 발생된 장소 간의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특성에 따라 지역 주민이 인식하 는 범죄발생 장소와 실제 범죄가 발생하는 장소 간에는 일치하기도 하지만 차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19

이를 보이기도 한다. 범죄발생 지역 자료: 행정자치부, 생활안전지도 재구성. < 그림 Ⅱ-7 > 조사대상 지역에서의 범죄발생 지역과 발생 예상 지역 2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만일 주민의 범죄 두려움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범죄발생을 감소시키거 나 범죄발생이 빈번한 공간에 집중하여 시행하게 된다면, 지역 주민이 인식하 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와 실제로 범죄발생이 빈번한 장소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방안은 실제 범죄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공간에 한정하여 시행하기보다는 지역 주 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 일 것이다. 2. 범죄에 대한 인식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Ⅱ-6 >과 같다. 우리나라 의 범죄 심각도에 대해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 전혀 심각하지 않다 와 심각하 지 않은 편이다 )은 7.9%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범죄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 ( 심각한 편이다 와 매우 심각하다 )은 63.7%로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가 심 각한 수준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Ⅱ-8 >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21

사회인구학적 범주에 따른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를 살펴보면 < 표 Ⅱ-1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범죄 심각도가 심각하다는 응답이 53.5%로 나타났고, 여성은 73.4%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범죄문제가 심각 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비교해 보면, 여성은 3.88점으로 남성(3.56 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 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 평균이 3.50점으로 나타났 고, 40 50대를 제외하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범죄 심각도의 평균이 높아지 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령대에 따른 범죄 심각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전혀 심각하지 않다 < 표 Ⅱ-1 > 우리나라의 범죄 심각도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심각한 편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심각하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2 (1.3) 12 (7.6) 59 (37.6) 64 (40.8) 20 (12.7) 157 (100.0) 3.56 ** -3.242 여성 3 (1.9) 8 (4.9) 32 (19.8) 82 (50.6) 37 (22.8) 162 (100.0) 3.88 10대 1 (2.8) 2 (5.6) 13 (36.1) 18 (50.0) 2 (5.6) 36 (100.0) 3.50 20-30대 8 (6.3) 38 (30.2) 60 (47.6) 20 (15.9) 126 (100.0) 3.73 40-50대 4 (3.3) 8 (6.6) 37 (30.3) 55 (45.1) 18 (14.8) 122 (100.0) 3.61 60대 이상 2 (5.7) 3 (8.6) 13 (37.1) 17 (48.6) 35 (100.0) 4.29 고양시 A동 9 (8.3) 40 (36.7) 47 (43.1) 13 (11.9) 109 (100.0) 3.59 수원시 B동 5 (4.7) 3 (2.8) 24 (22.6) 51 (48.1) 23 (21.7) 106 (100.0) 3.79 양주시 C동 8 (7.7) 27 (26.0) 48 (46.2) 21 (20.2) 104 (100.0) 3.79 합계 5 (1.6) 20 (6.3) 91 (28.5) 146 (45.8) 57 (17.9) 319 (100.0) 3.72 중학교 졸업 이하 1 (2.3) 2 (4.5) 7 (15.9) 19 (43.2) 15 (34.1) 44 (100.0) 4.02 고등학교 재학/졸업 2 (2.2) 6 (6.7) 29 (32.2) 37 (41.1) 16 (17.8) 90 (100.0) 3.66 대학교 재학/졸업 2 (1.2) 9 (5.5) 51 (30.9) 80 (48.5) 23 (13.9) 165 (100.0) 3.68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3 (17.6) 3 (17.6) 9 (52.9) 2 (11.8) 17 (100.0) 3.59 합계 5 (1.6) 20 (6.3) 90 (28.5) 145 (45.9) 56 (17.7) 316 (100.0) 3.72 6.424 *** 200만원 미만 1 (1.8) 3 (5.5) 12 (21.8) 22 (40.0) 17 (30.9) 55 (100.0) 3.93 200-400만원 미만 2 (1.8) 5 (4.5) 29 (26.1) 57 (51.4) 18 (16.2) 111 (100.0) 3.76 2.376 400-600만원 미만 2 (2.4) 10 (12.0) 22 (26.5) 39 (47.0) 10 (12.0) 83 (100.0) 3.54 600만원 이상 2 (3.5) 25 (43.9) 22 (38.6) 8 (14.0) 57 (100.0) 3.63 합계 5 (1.6) 20 (6.5) 88 (28.8) 140 (45.8) 53 (17.3) 306 (100.0) 3.71 * p <.05, ** p <.01, *** p <.001 1.912 2.115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과 양주시 C동의 범죄 심각도 평균이 각각 3.79점 2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으로 나타났고, 고양시 A동은 3.59점으로 지역 간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 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정도에 대해서도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에 범죄 심각도 평균이 4.02점이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범죄 심각도 평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의 경우에 범죄 심각도 평 균이 3.93점으로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이 높아질수록 범죄 심각도 평균은 낮 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월평균 소득에 따른 범죄 심각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 그림 Ⅱ-7 >와 같다. 범죄의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와 그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은 38.6%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범죄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 영향을 받는 편 이다 와 매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은 31.1%로 범죄의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 그림 Ⅱ-9 >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사회인구학적 범주에 따른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23

< 표 Ⅱ-2 >와 같다. 성별로는 여성의 경우에 범죄 두려움으로 인한 삶의 질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34.5%로 나타났고, 남성의 경우에는 27.4%로 나타났 다.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성별로 평균을 비교해 보면, 남성은 2.75점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3.05점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 범 죄 두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에 더욱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 과 여성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균을 살펴보면, 우선 연령대 별로 10대의 경우에는 2.50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 나고 있다. 그리고 40 50대까지는 평균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다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령대 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Ⅱ-2 > 범죄 두려움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전혀 영향을 그리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받지 않았다 보통이다 영향을 받는 편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15 (9.6) 58 (36.9) 41 (26.1) 38 (24.2) 5 (3.2) 157 (100.0) 2.75 ** -2.754 여성 5 (3.1) 45 (27.8) 56 (34.6) 49 (30.2) 7 (4.3) 162 (100.0) 3.05 10대 3 (8.3) 17 (47.2) 11 (30.6) 5 (13.9) 36 (100.0) 2.50 20-30대 10 (7.9) 36 (28.6) 47 (37.3) 28 (22.2) 5 (4.0) 126 (100.0) 2.86 40-50대 4 (3.3) 35 (28.7) 36 (29.5) 41 (33.6) 6 (4.9) 122 (100.0) 3.08 60대 이상 3 (8.6) 15 (42.9) 3 (8.6) 13 (37.1) 1 (2.9) 35 (100.0) 2.83 고양시 A동 7 (6.4) 43 (39.4) 33 (30.3) 24 (22.0) 2 (1.8) 109 (100.0) 2.73 수원시 B동 6 (5.7) 28 (26.4) 28 (26.4) 39 (36.8) 5 (4.7) 106 (100.0) 3.08 양주시 C동 7 (6.7) 32 (30.8) 36 (34.6) 24 (23.1) 5 (4.8) 104 (100.0) 2.88 합계 20 (6.3) 103 (32.3) 97 (30.4) 87 (27.3) 12 (3.8) 319 (100.0) 2.90 중학교 졸업 이하 6 (13.6) 18 (40.9) 5 (11.4) 12 (27.3) 3 (6.8) 44 (100.0) 2.73 고등학교 재학/졸업 7 (7.8) 30 (33.3) 23 (25.6) 27 (30.0) 3 (3.3) 90 (100.0) 2.88 대학교 재학/졸업 7 (4.2) 45 (27.3) 65 (39.4) 43 (26.1) 5 (3.0) 165 (100.0) 2.9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9 (52.9) 3 (17.6) 4 (23.5) 1 (5.9) 17 (100.0) 2.82 합계 20 (6.3) 102 (32.3) 96 (30.4) 86 (27.2) 12 (3.8) 316 (100.0) 2.90 3.520 * 3.412 * 200만원 미만 2 (3.6) 24 (43.6) 11 (20.0) 17 (30.9) 1 (1.8) 55 (100.0) 2.84 200-400만원 미만 11 (9.9) 25 (22.5) 34 (30.6) 36 (32.4) 5 (4.5) 111 (100.0) 2.99 400-600만원 미만 4 (4.8) 26 (31.3) 27 (32.5) 23 (27.7) 3 (3.6) 83 (100.0) 2.94.654 600만원 이상 1 (1.8) 24 (42.1) 20 (35.1) 10 (17.5) 2 (3.5) 57 (100.0) 2.79 합계 18 (5.9) 99 (32.4) 92 (30.1) 86 (28.1) 11 (3.6) 306 (100.0) 2.91 * p <.05, ** p <.01, *** p <.001.711 2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이 2.73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데 비해 수원시 B동은 3.08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는 대 학교 재학/졸업의 경우에 평균 점수가 2.96점으로 다른 교육정도별 범주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평균 이 2.7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교육정도별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200 400만원인 집단에서는 평균이 2.9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6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는 평균이 2.79점으로 가 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하고 있는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를 살펴보면 < 그림 Ⅱ-8 >과 같다. 동네의 범죄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 심각한 편이다 와 매우 심각하다 )이 29.6%로 나타났고,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 전혀 심각하지 않다 와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은 34.9%로 동네의 범죄문제가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Ⅱ-10 >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25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를 살펴보면 < 표 Ⅱ-3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여성의 경우에 동네의 범죄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이 33.3%로 나타났고, 남성의 경우에는 25.6%로 여성의 응답비율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다. 평균을 살펴보면, 남성은 2.87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여성 은 3.01점으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남성과 여성 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전혀 심각하지 않다 < 표 Ⅱ-3 >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심각한 편이다 매우 심각하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남성 12 (7.7) 46 (29.5) 58 (37.2) 30 (19.2) 10 (6.4) 157 (100.0) 2.87 여성 7 (4.3) 46 (28.4) 55 (34.0) 46 (28.4) 8 (4.9) 162 (100.0) 3.01-1.258 10대 4 (11.1) 16 (44.4) 8 (22.2) 7 (19.4) 1 (2.8) 36 (100.0) 2.58 20-30대 2 (1.6) 38 (30.2) 49 (38.9) 29 (23.0) 8 (6.3) 126 (100.0) 3.02 40-50대 7 (5.8) 28 (23.1) 50 (41.3) 29 (24.0) 7 (5.8) 122 (100.0) 3.01 2.279 60대 이상 6 (17.1) 10 (28.6) 6 (17.1) 11 (31.4) 2 (5.7) 35 (100.0) 2.80 고양시 A동 9 (8.3) 46 (42.2) 39 (35.8) 14 (12.8) 1 (.9) 109 (100.0) 2.56 수원시 B동 4 (3.8) 12 (11.3) 28 (26.4) 50 (47.2) 12 (11.3) 106 (100.0) 3.51 32.022 *** 양주시 C동 6 (5.8) 34 (33.0) 46 (44.7) 12 (11.7) 5 (4.9) 104 (100.0) 2.77 합계 19 (6.0) 92 (28.9) 113 (35.5) 76 (23.9) 18 (5.7) 319 (100.0) 2.94 중학교 졸업 이하 7 (15.9) 17 (38.6) 12 (27.3) 6 (13.6) 2 (4.5) 44 (100.0) 2.52 고등학교 재학/졸업 6 (6.7) 22 (24.4) 29 (32.2) 29 (32.2) 4 (4.4) 90 (100.0) 3.03 대학교 재학/졸업 5 (3.0) 48 (29.3) 62 (37.8) 38 (23.2) 11 (6.7) 165 (100.0) 3.01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5 (29.4) 9 (52.9) 3 (17.6) 17 (100.0) 2.88 합계 18 (5.7) 92 (29.2) 112 (35.6) 76 (24.1) 17 (5.4) 316 (100.0) 2.94 3.258 * 200만원 미만 7 (12.7) 15 (27.3) 15 (27.3) 15 (27.3) 3 (5.5) 55 (100.0) 2.85 200-400만원 미만 5 (4.5) 28 (25.2) 42 (37.8) 28 (25.2) 8 (7.2) 111 (100.0) 3.05 400-600만원 미만 6 (7.3) 25 (30.5) 30 (36.6) 18 (22.0) 3 (3.7) 83 (100.0) 2.84.936 600만원 이상 1 (1.8) 18 (31.6) 21 (36.8) 14 (24.6) 3 (5.3) 57 (100.0) 3.00 합계 19 (6.2) 86 (28.2) 108 (35.4) 75 (24.6) 17 (5.6) 306 (100.0) 2.95 * p <.05, ** p <.01, *** p <.001 연령대별로 평균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10대의 경우에 평균이 2.58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20 30대의 경우에는 평균이 3.0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40 50대는 평균이 3.01점으로 20 30대와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령 집단 2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들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고 양시 A동이 평균 2.56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원시 B동은 3.51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이들 지역들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는 고등학교 재학/ 졸업 집단은 평균 3.0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교 재학/졸업 (3.01점),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2.88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이 200 400만원인 집단의 평균은 3.0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600만원 이상(3.00점), 200만원 미만(2.85점), 400 600만원(2.8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월평균 소득 집단 간의 평균 차이에도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Ⅱ-11 > 다른 동네 대비 거주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다른 동네에 비교하여 현재 거주하고 있는 동네의 범죄문제에 대한 심각도 를 살펴보면 < 그림 Ⅱ-9 >와 같다. 다른 동네와 비교해 거주하고 있는 동네의 범죄문제가 더 심각하다는 응답( 심각한 편이다 와 매우 심각하다 )은 23.2%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27

로 나타났고,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 전혀 심각하지 않다 와 심각하지 않은 편 이다 )은 38.6%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동네가 다른 동네에 비해 범죄문제가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Ⅱ-4 > 다른 동네 대비 거주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 전혀 심각하지 않다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심각한 편이다 매우 심각하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남성 8 (5.1) 58 (36.9) 57 (36.3) 28 (17.8) 6 (3.8) 157 (100.0) 2.78 여성 6 (3.7) 51 (31.5) 65 (40.1) 34 (21.0) 6 (3.7) 162 (100.0) 2.90-1.088 10대 2 (5.6) 18 (50.0) 10 (27.8) 4 (11.1) 2 (5.6) 36 (100.0) 2.61 20-30대 2 (1.6) 40 (31.7) 50 (39.7) 30 (23.8) 4 (3.2) 126 (100.0) 2.95 40-50대 6 (4.9) 35 (28.7) 53 (43.4) 24 (19.7) 4 (3.3) 122 (100.0) 2.88 2.719 * 60대 이상 4 (11.4) 16 (45.7) 9 (25.7) 4 (11.4) 2 (5.7) 35 (100.0) 2.54 고양시 A동 8 (7.3) 55 (50.5) 37 (33.9) 8 (7.3) 1 (.9) 109 (100.0) 2.44 수원시 B동 2 (1.9) 13 (12.3) 36 (34.0) 45 (42.5) 10 (9.4) 106 (100.0) 3.45 47.425 *** 양주시 C동 4 (3.8) 41 (39.4) 49 (47.1) 9 (8.7) 1 (1.0) 104 (100.0) 2.63 합계 14 (4.4) 109 (34.2) 122 (38.2) 62 (19.4) 12 (3.8) 319 (100.0) 2.84 중학교 졸업 이하 2 (4.5) 25 (56.8) 11 (25.0) 2 (4.5) 4 (9.1) 44 (100.0) 2.57 고등학교 재학/졸업 6 (6.7) 24 (26.7) 37 (41.1) 21 (23.3) 2 (2.2) 90 (100.0) 2.88 대학교 재학/졸업 6 (3.6) 55 (33.3) 64 (38.8) 34 (20.6) 6 (3.6) 165 (100.0) 2.87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5 (29.4) 8 (47.1) 4 (23.5) 17 (100.0) 2.94 합계 14 (4.4) 109 (34.5) 120 (38.0) 61 (19.3) 12 (3.8) 316 (100.0) 2.84 200만원 미만 4 (7.3) 19 (34.5) 19 (34.5) 11 (20.0) 2 (3.6) 55 (100.0) 2.78 200-400만원 미만 5 (4.5) 30 (27.0) 46 (41.4) 26 (23.4) 4 (3.6) 111 (100.0) 2.95 400-600만원 미만 3 (3.6) 33 (39.8) 34 (41.0) 11 (13.3) 2 (2.4) 83 (100.0) 2.71 1.425 600만원 이상 2 (3.5) 19 (33.3) 19 (33.3) 13 (22.8) 4 (7.0) 57 (100.0) 2.96 합계 14 (4.6) 101 (33.0) 118 (38.6) 61 (19.9) 12 (3.9) 306 (100.0) 2.86 * p <.05, ** p <.01, *** p <.001 1.480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다른 동네 대비 거주 동네의 범죄문제 심각도에 대해 여성의 경우에는 심각하다는 응답이 24.7%였고, 남성은 21.6% 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집단 간 평균 차이로 는 여성의 평균 점수가 2.90점으로 남성(2.78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나고 있으나, 성별 집단 간의 평균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연령대 집단의 차이를 살펴보면, 20 30대 집단의 평균 점수는 2.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40 50대(2.88 2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점), 10대(2.6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 30대 집단이 사회적으로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주지가 범죄가 발생할 수 있 는 공간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결과로 범죄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이 평균 3.4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양시 A동은 2.4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는 대학원 재학/졸업 이 상인 경우에 평균 2.9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하 의 경우에는 2.57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평균 차이에도 교육정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월평 균 소득별로는 200 400만원 미만과 6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 평균이 각각 2.95점과 2.96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200만원 미만과 400 600 만원 미만인 집단에서는 평균이 각각 2.78점과 2.7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 다. 월평균 소득 집단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그림 Ⅱ-12 >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 1년 이내에 자신이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 그림 Ⅱ-10 >과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29

같다.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 가능성이 매우 높다 와 가능성 이 높은 편이다 )은 24.3%였고,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와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은 42.6%로 1년 이내에 자신이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 성에 대해서는 낮은 편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성별 연령대 본인 피해 가족 피해 지인 피해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Ⅱ-5 >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보통이다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가능성이 매우 낮다 빈도 (비율) 평균 1) T 혹은 F 남성 4 (2.6) 27 (17.4) 44 (28.4) 51 (32.9) 29 (18.7) 157 (100.0) 1.52 ** -3.071 여성 4 (2.5) 42 (25.9) 61 (37.7) 40 (24.7) 15 (9.3) 162 (100.0) 1.88 10대 1 (2.9) 5 (14.3) 13 (37.1) 11 (31.4) 5 (14.3) 36 (100.0) 1.60 20-30대 3 (2.4) 30 (23.8) 39 (31.0) 37 (29.4) 17 (13.5) 126 (100.0) 1.72 40-50대 2 (1.7) 27 (22.3) 43 (35.5) 33 (27.3) 16 (13.2) 122 (100.0) 1.72 60대 이상 2 (5.7) 7 (20.0) 10 (28.6) 10 (28.6) 6 (17.1) 35 (100.0) 1.69 경험없음 3 (1.2) 47 (19.2) 78 (31.8) 80 (32.7) 37 (15.1) 247 (100.0) 1.59 경험있음 5 (6.9) 22 (30.6) 27 (37.5) 11 (15.3) 7 (9.7) 72 (100.0) 2.10 경험없음 4 (1.5) 55 (20.3) 88 (32.5) 84 (31.0) 40 (14.8) 273 (100.0) 1.63 경험있음 4 (8.7) 14 (30.4) 17 (37.0) 7 (15.2) 4 (8.7) 46 (100.0) 2.15 경험없음 4 (1.5) 55 (20.3) 88 (32.5) 84 (31.0) 40 (14.8) 273 (100.0) 1.63 경험있음 4 (8.7) 14 (30.4) 17 (37.0) 7 (15.2) 4 (8.7) 46 (100.0) 2.15 고양시 A동 1 (.9) 17 (15.7) 34 (31.5) 35 (32.4) 21 (19.4) 109 (100.0) 1.46 수원시 B동 5 (4.8) 33 (31.4) 31 (29.5) 25 (23.8) 11 (10.5) 106 (100.0) 1.96 양주시 C동 2 (1.9) 19 (18.3) 40 (38.5) 31 (29.8) 12 (11.5) 104 (100.0) 1.69 합계 8 (2.5) 69 (21.8) 105 (33.1) 91 (28.7) 44 (13.9) 319 (100.0) 1.70 중학교 졸업 이하 2 (4.8) 7 (16.7) 14 (33.3) 12 (28.6) 7 (16.7) 44 (100.0) 1.64 고등학교 재학/졸업 22 (24.4) 30 (33.3) 22 (24.4) 16 (17.8) 90 (100.0) 1.64 대학교 재학/졸업 6 (3.6) 35 (21.2) 57 (34.5) 48 (29.1) 19 (11.5) 165 (100.0) 1.7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4 (23.5) 3 (17.6) 8 (47.1) 2 (11.8) 17 (100.0) 1.53 합계 8 (2.5) 68 (21.7) 104 (33.1) 90 (28.7) 44 (14.0) 316 (100.0) 1.70.141 3.738 *** 3.219 ** 3.219 ** 6.375 ** 200만원 미만 2 (3.7) 12 (22.2) 16 (29.6) 14 (25.9) 10 (18.5) 55 (100.0) 1.67 200-400만원 미만 3 (2.7) 22 (19.8) 36 (32.4) 34 (30.6) 16 (14.4) 111 (100.0) 1.66.192 400-600만원 미만 3 (3.7) 19 (23.2) 27 (32.9) 19 (23.2) 14 (17.1) 83 (100.0) 1.73 600만원 이상 14 (24.6) 19 (33.3) 21 (36.8) 3 (5.3) 57 (100.0) 1.77 합계 8 (2.6) 67 (22.0) 98 (32.2) 88 (28.9) 43 (14.1) 306 (100.0) 1.70 * p <.05, ** p <.01, *** p <.001.485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Ⅱ-5 >와 같다. 우선 성별로는 범죄 1) 평균 점수의 해석상 편의를 위해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부터 가능성이 매우 낮다 까지 부여된 1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를 역순으로 재부호화하여,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3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이 여성의 경우에는 28.4%로 나타났고, 남 성은 20.0%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인지하고 있다. 성별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평균 1.52점, 여성 은 1.88점으로 나타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 30대와 40 50대에서는 평균이 각각 1.72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10대의 경우에는 1.6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령대 집단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지 않았다. 범죄피해경험별로 1년 이내에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을 살펴보면, 우선 본인이 범죄피해를 당한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 문항 에 대한 평균이 1.59점이었고, 범죄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2.10점 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가족이 범죄피해를 당한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평균 1.63점이었 고, 범죄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2.15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인이 범죄피 해를 당한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평균 1.63점이었고, 범죄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2.15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이 범죄 피해를 경험했을 경우에는 향후에 범죄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 가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 점수가 1.9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양시 A동은 1.4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역의 특성에 따라 향후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 다르게 평가하고 있었다. 교육정도별로는 대학교 재학/졸업 의 경우에 평균이 1.76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대학원 재학/ 졸업 이상의 집단에서는 1.5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교육정도별 평 균 점수는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600만원 이상인 집단의 평균 점수는 1.7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월평균 소득이 낮아질수록 평균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31

지만 월평균 소득 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면 < 그림 Ⅱ-11 >과 같다.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 약간 증가할 것이다 와 매우 증가할 것이다 )이 70.2%로 나타난 반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매우 감소할 것이다 와 약간 감소할 것이다 )은 8.8%로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는 앞 으로 우리나라에서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 그림 Ⅱ-13 >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에 앞으로 우리나 라에서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69.4%였고, 여성은 71.0%로 나타났 다. 평균 점수를 통한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평균이 3.78점이었고, 여성은 3.84점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대의 집단에서 평균이 3.92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 해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비해 10대의 경우에는 평균이 3.42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 로 낮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3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있어 연령대에 따라 우리나라에서의 향후 범죄문제에 대한 전망을 다르게 평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이 3.91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양시 A동이 평균 3.72점으로 가장 낮았다.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 집단의 평균이 3.41점으로 가장 낮 았고, 대학교 재학/졸업 집단까지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향후 우리나라에서 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렇지만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의 집단에서는 평균이 3.53점으로 낮아졌다. 교육정도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 4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이 3.91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외의 월평균 소득 집단의 평균은 3.72점부터 3.78점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Ⅱ-6 >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매우 감소할 것이다 약간 감소할 것이다 변화 없을 것이다 약간 증가할 것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증가할 것이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3 (1.9) 10 (6.4) 35 (22.3) 79 (50.3) 30 (19.1) 157 (100.0) 3.78 여성 3 (1.9) 12 (7.4) 32 (19.8) 76 (46.9) 39 (24.1) 162 (100.0) 3.84 10대 1 (2.8) 4 (11.1) 12 (33.3) 17 (47.2) 2 (5.6) 36 (100.0) 3.42 20-30대 2 (1.6) 4 (3.2) 30 (23.8) 56 (44.4) 34 (27.0) 126 (100.0) 3.92 40-50대 3 (2.5) 10 (8.2) 21 (17.2) 61 (50.0) 27 (22.1) 122 (100.0) 3.81 60대 이상 4 (11.4) 4 (11.4) 21 (60.0) 6 (17.1) 35 (100.0) 3.83 고양시 A동 1 (.9) 9 (8.3) 26 (23.9) 57 (52.3) 16 (14.7) 109 (100.0) 3.72 수원시 B동 2 (1.9) 7 (6.6) 18 (17.0) 51 (48.1) 28 (26.4) 106 (100.0) 3.91 양주시 C동 3 (2.9) 6 (5.8) 23 (22.1) 47 (45.2) 25 (24.0) 104 (100.0) 3.82 합계 6 (1.9) 22 (6.9) 67 (21.0) 155 (48.6) 69 (21.6) 319 (100.0) 3.81 중학교 졸업 이하 3 (6.8) 4 (9.1) 15 (34.1) 16 (36.4) 6 (13.6) 44 (100.0) 3.41 고등학교 재학/졸업 1 (1.1) 8 (8.9) 19 (21.1) 42 (46.7) 20 (22.2) 90 (100.0) 3.80 대학교 재학/졸업 2 (1.2) 7 (4.2) 25 (15.2) 90 (54.5) 41 (24.8) 165 (100.0) 3.98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 (5.9) 8 (47.1) 6 (35.3) 2 (11.8) 17 (100.0) 3.53 합계 6 (1.9) 20 (6.3) 67 (21.2) 154 (48.7) 69 (21.8) 316 (100.0) 3.82 -.546 2.881 * 1.161 5.428 ** 200만원 미만 7 (12.7) 11 (20.0) 24 (43.6) 13 (23.6) 55 (100.0) 3.78 200-400만원 미만 2 (1.8) 5 (4.5) 22 (19.8) 54 (48.6) 28 (25.2) 111 (100.0) 3.91 400-600만원 미만 3 (3.6) 4 (4.8) 19 (22.9) 41 (49.4) 16 (19.3) 83 (100.0) 3.76.724 600만원 이상 1 (1.8) 5 (8.8) 12 (21.1) 30 (52.6) 9 (15.8) 57 (100.0) 3.72 합계 6 (2.0) 21 (6.9) 64 (20.9) 149 (48.7) 66 (21.6) 306 (100.0) 3.81 * p <.05, ** p <.01, *** p <.001 향후 자신이 거주하는 동네에서의 범죄문제 전망에 대해서는 < 그림 Ⅱ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33

-12 >와 같다. 자신이 거주하는 동네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 약 간 증가할 것이다 와 매우 증가할 것이다 )은 50.2%였고, 감소할 것이라는 응 답( 매우 감소할 것이다 와 약간 감소할 것이다 )은 10.7%로 많은 응답자가 향후 동네의 범죄가 증가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 그림 Ⅱ-14 > 향후 우리 동네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Ⅱ-7 >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에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동네에서의 향후 범죄 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0.3%로 나타났고, 여성은 50.0%로 나타났다. 평 균 점수를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평균이 3.44점이었고, 여성 은 3.5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 면, 10대 집단의 평균은 3.1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에 비해 20 30대 집단에서는 평균이 3.5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 이후 의 연령대에서는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동네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 답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연령대에 따라 동네에서의 범죄문제에 대한 전 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3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Ⅱ-7 > 향후 우리 동네에서의 범죄문제 전망 매우 감소할 것이다 약간 감소할 것이다 변화 없을 것이다 약간 증가할 것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증가할 것이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3 (1.9) 17 (10.8) 58 (36.9) 66 (42.0) 13 (8.3) 157 (100.0) 3.44 여성 2 (1.2) 12 (7.4) 67 (41.4) 64 (39.5) 17 (10.5) 162 (100.0) 3.51 10대 1 (2.8) 6 (16.7) 18 (50.0) 10 (27.8) 1 (2.8) 36 (100.0) 3.11 20-30대 5 (4.0) 57 (45.2) 51 (40.5) 13 (10.3) 126 (100.0) 3.57 40-50대 4 (3.3) 13 (10.7) 33 (27.0) 60 (49.2) 12 (9.8) 122 (100.0) 3.52 60대 이상 5 (14.3) 17 (48.6) 9 (25.7) 4 (11.4) 35 (100.0) 3.34 고양시 A동 1 (.9) 13 (11.9) 52 (47.7) 36 (33.0) 7 (6.4) 109 (100.0) 3.32 수원시 B동 3 (2.8) 10 (9.4) 26 (24.5) 51 (48.1) 16 (15.1) 106 (100.0) 3.63 양주시 C동 1 (1.0) 6 (5.8) 47 (45.2) 43 (41.3) 7 (6.7) 104 (100.0) 3.47 합계 5 (1.6) 29 (9.1) 125 (39.2) 130 (40.8) 30 (9.4) 319 (100.0) 3.47 중학교 졸업 이하 2 (4.5) 7 (15.9) 20 (45.5) 12 (27.3) 3 (6.8) 44 (100.0) 3.16 고등학교 재학/졸업 3 (3.3) 9 (10.0) 37 (41.1) 36 (40.0) 5 (5.6) 90 (100.0) 3.34 대학교 재학/졸업 11 (6.7) 58 (35.2) 75 (45.5) 21 (12.7) 165 (100.0) 3.64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 (5.9) 9 (52.9) 6 (35.3) 1 (5.9) 17 (100.0) 3.41 합계 5 (1.6) 28 (8.9) 124 (39.2) 129 (40.8) 30 (9.5) 316 (100.0) 3.48 -.703 3.214 * 3.694 * 5.153 ** 200만원 미만 1 (1.8) 5 (9.1) 26 (47.3) 18 (32.7) 5 (9.1) 55 (100.0) 3.38 200-400만원 미만 1 (.9) 9 (8.1) 40 (36.0) 49 (44.1) 12 (10.8) 111 (100.0) 3.56 400-600만원 미만 2 (2.4) 11 (13.3) 29 (34.9) 32 (38.6) 9 (10.8) 83 (100.0) 3.42.705 600만원 이상 1 (1.8) 3 (5.3) 27 (47.4) 22 (38.6) 4 (7.0) 57 (100.0) 3.44 합계 5 (1.6) 28 (9.2) 122 (39.9) 121 (39.5) 30 (9.8) 306 (100.0) 3.47 * p <.05, ** p <.01, *** p <.001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경우에 평균 점수가 3.63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 해 동네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에 비해 고양시 A동은 평균 3.3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점수의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지역에 따라 동네에서의 범죄문제에 대 한 전망이 다르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 하의 집단이 평균 3.1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대학교 재학/ 졸업 집단까지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평균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동네에서의 범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아졌다. 그렇지만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의 집단에서는 평균이 3.41점으로 다시 낮아졌다. 이들 교육정도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35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 4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이 3.56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은 3.38점으로 가장 낮았다. 그렇지만 월평균 소득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을 살펴보면 < 그림 Ⅱ-8 >과 같다. 일반적 두 려움을 구성하는 항목별로 살펴보면, 평소 내가 범죄피해를 당할까봐 두렵다 는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은 35.3%였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 전 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은 40.4%로 평소 범죄피해에 대한 두렵다는 응답보다는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 로 밤에 동네를 혼자 다닐 때 두렵다는 응답이 42.1%로 두렵지 않다는 응답 (42.4%)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끝으로 밤에 혼자 집에 있을 때 두렵 다는 응답이 22.9%였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53.1%로 밤에 혼자 집에 있을 때 두렵지 않다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Ⅱ-15 >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Ⅱ-8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남성의 일반적 두려움 평균이 2.65점으로 여성 3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3.38점)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고,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나고 있어, 남성에 비해 여성의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을 더욱 느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0대의 평균이 2.94점으로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일반적 두려움의 평균은 점차 높아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연령대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Ⅱ-8 >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 사례수 밤에 혼자 집에 있을 밤에 동네를 혼자 다닐 때 두렵다 때 두렵다 평소 내가 범죄피해를 당할까봐 두렵다 일반적 두려움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성별 남성 157 2.13 1.04 2.38 1.13 2.42 1.10 2.65-7.810 *** 여성 162 2.89 1.20 3.43 1.21 3.29 1.10 3.38 10대 36 2.58 1.23 2.94 1.37 2.64 1.31 2.94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20-30대 126 2.54 1.18 2.90 1.32 2.79 1.18 3.00 40-50대 122 2.46 1.18 2.89 1.28 2.97 1.17 3.05.047 60대 이상 35 2.51 1.22 2.94 1.14 2.97 1.10 3.07 고양시 A동 109 2.28 1.10 2.54 1.28 2.52 1.13 2.73 수원시 B동 106 2.81 1.29 3.33 1.28 3.23 1.17 3.36 10.518 *** 양주시 C동 104 2.45 1.10 2.87 1.18 2.85 1.16 2.97 합계 319 2.51 1.19 2.91 1.29 2.86 1.19 3.02 중학교 졸업 이하 44 2.70 1.30 3.18 1.24 3.05 1.20 3.20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2.44 1.31 2.67 1.45 2.73 1.36 2.86 대학교 재학/졸업 165 2.51 1.10 2.98 1.21 2.88 1.10 3.06 1.333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35 1.06 2.82 1.13 2.82.95 2.92 합계 316 2.51 1.19 2.91 1.29 2.86 1.19 3.02 200만원 미만 55 2.56 1.23 2.89 1.31 2.76 1.15 2.93 200-400만원 미만 111 2.59 1.19 2.97 1.28 2.95 1.23 3.08 400-600만원 미만 83 2.53 1.21 2.88 1.29 2.78 1.17 3.01.207 600만원 이상 57 2.36 1.17 2.93 1.31 2.93 1.17 3.03 합계 306 2.53 1.19 2.92 1.29 2.87 1.19 3.02 * p <.05, ** p <.01, *** p <.001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이 3.36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 났고, 고양시 A동은 2.73점으로 가장 낮았다.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37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 이고 있었다. 교육정도별로는 고등학교 재학/졸업 집단의 평균이 2.8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중학교 졸업 이하의 집단에서는 3.20점으로 가장 높았다. 교육정도별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은 2.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고, 이에 비해 200 4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은 3.0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월평균 소득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Ⅱ-14 >와 같다. 구체 적 두려움을 구성하는 항목별로 살펴보면, 누군가 나를 쫓아다니거나 전화 등 으로 집요하게 괴롭힐까 봐 두렵다는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은 21.7%였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은 52.5%로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더욱 많았다. 누군가 내 집에 침입할까 봐 두렵 다는 응답은 35.1%였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42.0%로 두렵지 않다는 응답 이 높았다. 집 근처에서 누군가 내 물건이나 재산을 부수거나 못쓰게 할까 봐 두렵다는 응답은 26.4%로 나타났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은 45.0%로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집안에 도둑이 침입하여 가족을 위협하거 나 폭행하여 돈이나 물건을 빼앗아 갈까 봐 두렵다는 응답은 33.6%였고, 두렵 지 않다는 응답(41.2%)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집을 비운 사이에 도둑이 들 어와 돈이나 물건을 훔쳐갈까 봐 걱정이 된다는 응답은 31.0%로 두렵지 않다 는 응답(40.8%)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집 근처에서 강도에게 위협이나 폭행 을 당해 돈이나 물건 등을 빼앗길까 봐 두렵다는 응답은 27.1%로 두렵지 않다 는 응답(48.1%)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집 근처 길거리에서 소매치기, 날치기, 들치기 등을 당해 돈이나 물건을 빼앗길까 봐 두렵다는 응답은 27.1% 였고, 두렵지 않다는 응답은 45.1%로 나타나고 있어 부정적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집 근처 길거리에서 낮선 사람에게 폭행을 당할까 봐 두렵다 에 응답은 28.9%로 두렵지 않다는 응답(45.4%)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전반적으로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을 구성하는 문항들에 대해 두렵다 는 응답보다는 두렵지 않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 3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만 평소 해당 범죄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낮은 수준 은 아니라 볼 수 있다. < 그림 Ⅱ-16 >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Ⅱ-9 >와 같다. 우선 성별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의 평균 점수는 3.02점으로 남성 (2.45점)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성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남성에 비해 여성의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수준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0대 집단의 평균은 2.33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이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평균 점수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 점수가 3.11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에 비해 고양시 A동은 2.4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 별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지역의 특성으로 제2장 경기도의 범죄발생 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39

인해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육정도별로는 고등 학교 재학/졸업 집단의 평균이 2.6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 해 중학교 졸업 이하 집단의 평균은 2.8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정도 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400 만원 미만인 집단에서의 평균 점수가 각각 2.81점과 2.83점이었고, 4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는 평균 점수가 모두 2.64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표 Ⅱ-9 >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사례수 집 근처에서 의 폭행 집 근처에서 의 절도 집 무단침입 무단침입 근처에서 절도 강도 의 강도 집 근처에서 무단침입 스토킹 구체적 두려움 의 손괴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T 혹은 F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남성 157 2.35 2.38 2.33 2.61 2.64 2.60 2.61 2.22 2.45-5.339 *** 여성 162 3.06 3.04 3.01 3.08 3.13 2.86 3.13 2.85 3.02 10대 36 2.33 2.33 2.28 2.31 2.39 2.28 2.58 2.17 2.33 20-30대 126 2.63 2.58 2.52 2.79 2.88 2.67 2.79 2.48 2.66 40-50대 122 2.83 2.83 2.88 2.98 3.00 2.86 2.97 2.64 2.87 4.211 ** 60대 이상 35 2.97 3.23 2.94 3.17 3.06 2.94 3.11 2.82 3.03 고양시 A동 109 2.41 2.42 2.37 2.57 2.60 2.45 2.50 2.28 2.44 수원시 B동 106 3.08 3.12 3.10 3.12 3.24 3.09 3.28 2.84 3.11 13.784 *** 양주시 C동 104 2.64 2.63 2.56 2.86 2.84 2.65 2.85 2.51 2.68 합계 319 2.71 2.72 2.68 2.85 2.89 2.73 2.87 2.54 2.74 중학교 졸업 이하 44 2.93 2.98 2.86 2.93 2.95 2.70 3.02 2.60 2.87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2.63 2.62 2.63 2.72 2.71 2.58 2.72 2.46 2.61 대학교 재학/졸업 165 2.70 2.73 2.66 2.88 2.98 2.81 2.92 2.56 2.78 1.002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59 2.38 2.47 2.88 2.76 2.82 2.76 2.59 2.59 합계 316 2.71 2.72 2.67 2.84 2.89 2.73 2.87 2.54 2.74 200만원 미만 55 2.82 2.91 2.71 2.85 2.93 2.78 2.93 2.72 2.81 200-400만원 미만 111 2.79 2.80 2.77 2.95 3.03 2.82 2.98 2.57 2.83 400-600만원 미만 83 2.57 2.59 2.56 2.82 2.81 2.59 2.76 2.46 2.64 600만원 이상 57 2.67 2.61 2.63 2.65 2.67 2.70 2.72 2.47 2.64 합계 306 2.71 2.73 2.68 2.84 2.88 2.73 2.86 2.55 2.74.883 * p <.05, ** p <.01, *** p <.001 4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3 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 1 절 제 2 절 제 3 절 제 4 절 제 5 절 범죄피해의 영향 개인적 요인의 영향 지역사회 요인의 영향 방범활동의 영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1절 범죄피해의 영향 1. 직접 범죄피해 경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접 범죄피해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 >과 같다. 본인이 피해를 경험한 범죄유형 을 살펴보면, 물건을 도둑(절도)맞거나 빼앗김 을 당했다는 비율은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누군가가 집에 허락 없이 들어왔거나 들어올 뻔 함(9.4%), 속임(사기)으로 인한 재산 피해(9.1%), 고의로 가족의 재산이나 물건을 부수거나 못 쓰게 함 (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Ⅲ-1 > 본인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3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본인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을 살펴보면 < 표 Ⅲ -1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범죄유형별로 피해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경우가 남성의 경우에는 22.9%였고, 여성은 22.2%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범죄 유형별로는 남성의 경우에는 범죄유형별 피해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응답자 중에서 속임(사기)가 4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에는 절도가 58.3%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 50대에서 범죄유형별로 피 해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비율이 29.5%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10대의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은 8.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Ⅲ-1 > 본인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다중응답)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합계 폭행이나 성폭행/성추행 전체 속임(사기) 절도 무단침입 손괴 위협(협박) 등 빈도 대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비율 남성 17 (47.2) 11 (30.6) 14 (38.9) 8 (22.2) 6 (16.7) 2 (5.6) 36 (22.9) 여성 12 (33.3) 21 (58.3) 16 (44.4) 7 (19.4) 4 (11.1) 4 (11.1) 36 (22.2) 10대 1 (33.3) 3(100.0) 3 (8.3) 20-30대 6 (21.4) 18 (64.3) 14 (50.0) 6 (21.4) 4 (14.3) 1 (3.6) 28 (22.2) 40-50대 20 (55.6) 12 (33.3) 12 (33.3) 9 (25.0) 6 (16.7) 4 (11.1) 36 (29.5) 60대 이상 3 (60.0) 1 (20.0) 1 (20.0) 1 (20.0) 5 (14.3) 고양시 A동 10 (43.5) 10 (43.5) 5 (21.7) 4 (17.4) 2 (8.7) 1 (4.3) 23 (21.1) 수원시 B동 13 (37.1) 16 (45.7) 18 (51.4) 9 (25.7) 5 (14.3) 3 (8.6) 35 (33.0) 양주시 C동 6 (42.9) 6 (42.9) 7 (50.0) 2 (14.3) 3 (21.4) 2 (14.3) 14 (13.5) 합계 29 (40.3) 32 (44.4) 30 (41.7) 15 (20.8) 10 (13.9) 6 (8.3) 72 (22.6) 중학교 졸업 이하 1 (20.0) 1 (20.0) 3 (60.0) 2 (40.0) 5 (11.4) 고등학교 재학/졸업 10 (47.6) 10 (47.6) 8 (38.1) 5 (23.8) 2 (9.5) 1 (4.8) 21 (23.3) 대학교 재학/졸업 14 (35.9) 16 (41.0) 17 (43.6) 8 (20.5) 7 (17.9) 3 (7.7) 39 (23.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3 (50.0) 4 (66.7) 2 (33.3) 2 (33.3) 1 (16.7) 6 (35.3) 합계 28 (39.4) 31 (43.7) 30 (42.3) 15 (21.1) 10 (14.1) 6 (8.5) 71 (22.5) 200만원 미만 5 (45.5) 3 (27.3) 4 (36.4) 2 (18.2) 2 (18.2) 2 (18.2) 11 (20.0) 200-400만원 미만 13 (46.4) 11 (39.3) 11 (39.3) 6 (21.4) 5 (17.9) 3 (10.7) 28 (25.2) 400-600만원 미만 7 (43.8) 10 (62.5) 5 (31.3) 5 (31.3) 1 (6.3) 1 (6.3) 16 (19.3) 600만원 이상 3 (18.8) 8 (50.0) 10 (62.5) 2 (12.5) 2 (12.5) 16 (28.1) 합계 28 (39.4) 32 (45.1) 30 (42.3) 15 (21.1) 10 (14.1) 6 (8.5) 71 (23.2)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이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이 3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양주시 C동의 경우에는 13.5%로 가장 낮았다. 교육정도별로는 4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중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의 비율이 11.4%로 가장 낮 게 나타났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범죄피해 경험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에 따른 범죄피해 경험의 비율이 높아지는 점은 실 제 범죄피해를 반영할 수도 있겠으나, 교육정도에 따라 범죄로 정의하는데 더 욱 민감하게 인식한 결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400 600만원 미만의 경우에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의 비율이 19.3%로 가장 낮 게 나타났고, 6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는 28.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전혀 심각하지 않았다 < 표 Ⅲ-2 > 본인 범죄피해의 심각성 심각하지 않은 편이었다 보통이다 심각한 편이었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심각한 편이었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1 (2.9) 10 (28.6) 13 (37.1) 6 (17.1) 5 (14.3) 35 (100.0) 3.11 여성 4 (11.1) 8 (22.2) 8 (22.2) 11 (30.6) 5 (13.9) 36 (100.0) 3.14 10대 2(100.0) 2 (100.0) 2.00 20-30대 3 (10.7) 5 (17.9) 10 (35.7) 8 (28.6) 2 (7.1) 28 (100.0) 3.04 40-50대 2 (5.6) 9 (25.0) 10 (27.8) 7 (19.4) 8 (22.2) 36 (100.0) 3.28 60대 이상 2 (40.0) 1 (20.0) 2 (40.0) 5 (100.0) 3.00 고양시 A동 2 (8.7) 6 (26.1) 7 (30.4) 5 (21.7) 3 (13.0) 23 (100.0) 3.04 수원시 B동 3 (8.8) 5 (14.7) 11 (32.4) 9 (26.5) 6 (17.6) 34 (100.0) 3.29 양주시 C동 7 (50.0) 3 (21.4) 3 (21.4) 1 (7.1) 14 (100.0) 2.86 합계 5 (7.0) 18 (25.4) 21 (29.6) 17 (23.9) 10 (14.1) 71 (100.0) 3.13 중학교 졸업 이하 1 (20.0) 2 (40.0) 1 (20.0) 1 (20.0) 5 (100.0) 2.80 고등학교 재학/졸업 4 (20.0) 7 (35.0) 6 (30.0) 3 (15.0) 20 (100.0) 3.40 대학교 재학/졸업 4 (10.3) 9 (23.1) 12 (30.8) 8 (20.5) 6 (15.4) 39 (100.0) 3.08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2 (33.3) 2 (33.3) 2 (33.3) 6 (100.0) 3.00 합계 5 (7.1) 17 (24.3) 21 (30.0) 17 (24.3) 10 (14.3) 70 (100.0) 3.14 200만원 미만 3 (27.3) 3 (27.3) 4 (36.4) 1 (9.1) 11 (100.0) 3.27 200-400만원 미만 3 (10.7) 8 (28.6) 7 (25.0) 6 (21.4) 4 (14.3) 28 (100.0) 3.00 400-600만원 미만 1 (6.3) 3 (18.8) 3 (18.8) 7 (43.8) 2 (12.5) 16 (100.0) 3.38.457 600만원 이상 1 (6.7) 4 (26.7) 7 (46.7) 3 (20.0) 15 (100.0) 3.00 합계 5 (7.1) 18 (25.7) 20 (28.6) 17 (24.3) 10 (14.3) 70 (100.0) 3.13 * p <.05, ** p <.01, *** p <.001 -.089.909.789.536 범죄피해를 당했을 때, 그 범죄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을 살펴보면 < 표 Ⅲ-2 >와 같다. 성별로는 범죄피해의 심각성에 대해 심각했다는 응답( 심각한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5

편이었다 와 매우 심각한 편이었다 )이 남성의 경우에는 31.4%였고, 여성은 44.5%로 여성의 경우에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을 중심으로 차이를 검증하면, 남성은 3.11점이었고, 여성 은 3.14점으로 통계적으로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 별로는 범죄피해로 인한 심각성의 평균이 10대의 경우에는 2.00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고, 이에 비해 40 50대의 경우에는 3.2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지는 않았다. 지역별로는 양주시 C동의 경우에 범죄피해의 심각성 평균이 2.8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수원시 B동은 3.29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들 지역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정도별로 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집단에서는 2.80점으로 다른 교육정도 집단에 비해 낮 게 나타났고, 고등학교 재학/졸업 집단의 평균은 3.4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2. 간접 범죄피해 경험 본인 이외의 가족이 경험한 범죄유형별 피해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2 >와 같다. 누군가가 집에 허락없이 들어왔거나 들어올 뻔 함 의 피해경험 비율 이 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속임(사기)으로 인한 재산 피 해(6.0%), 물건을 도둑(절도)맞거나 빼앗김(5.3%), 고의로 가족의 재산이나 물건을 부수거나 못 쓰게 함(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그림 Ⅲ-2 > 가족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Ⅲ-3 >과 같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한 번 이상 가족이 범죄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14.4%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에 전체 대비 가족이 범죄피해를 경험한 비율은 15.9%였고, 여성은 13.0%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대와 40 50대 의 경우에는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이 각각 17.5%와 16.4%로 10대 (2.8%)나 60대 이상(8.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양 주시 C동의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이 7.7%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고양시 A동(16.5%), 수원시 B동(18.9%)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 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집단에서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이 4.5% 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 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 집 단과 400 600만원 미만 집단에서 전체 대비 범죄피해 경험 비율이 각각 12.7%와 10.8%로 다른 월평균 소득별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 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7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 표 Ⅲ-3 > 가족의 범죄유형별 피해경험(다중응답)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합계 속임(사기) 절도 무단침입 손괴 폭행이나 성폭행/성추행 전체 위협(협박) 등 빈도 대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비율 남성 11 (44.0) 7 (28.0) 13 (52.0) 4 (16.0) 3 (12.0) 2 (8.0) 25 (15.9) 여성 8 (38.1) 10 (47.6) 10 (47.6) 5 (23.8) 4 (19.0) 3 (14.3) 21 (13.0) 10대 1 (100.0) 1 (100.0) 1 (2.8) 20-30대 3 (13.6) 11 (50.0) 12 (54.5) 4 (18.2) 1 (4.5) 1 (4.5) 22 (17.5) 40-50대 14 (70.0) 5 (25.0) 9 (45.0) 5 (25.0) 5 (25.0) 3 (15.0) 20 (16.4) 60대 이상 2 (66.7) 1 (33.3) 1 (33.3) 1 (33.3) 3 (8.6) 고양시 A동 7 (38.9) 6 (33.3) 6 (33.3) 2 (11.1) 1 (5.6) 18 (16.5) 수원시 B동 7 (35.0) 7 (35.0) 10 (50.0) 4 (20.0) 3 (15.0) 4 (20.0) 20 (18.9) 양주시 C동 5 (62.5) 4 (50.0) 7 (87.5) 3 (37.5) 3 (37.5) 1 (12.5) 8 (7.7) 합계 19 (41.3) 17 (37.0) 23 (50.0) 9 (19.6) 7 (15.2) 5 (10.9) 46 (14.4) 중학교 졸업 이하 2 (100.0) 2 (100.0) 2 (4.5) 고등학교 재학/졸업 7 (63.6) 4 (36.4) 5 (45.5) 3 (27.3) 2 (18.2) 1 (9.1) 11 (12.2) 대학교 재학/졸업 11 (37.9) 12 (41.4) 15 (51.7) 3 (10.3) 2 (6.9) 2 (6.9) 29 (17.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 (25.0) 1 (25.0) 3 (75.0) 3 (75.0) 1 (25.0) 4 (23.5) 합계 19 (41.3) 17 (37.0) 23 (50.0) 9 (19.6) 7 (15.2) 5 (10.9) 46 (14.6) 200만원 미만 2 (28.6) 2 (28.6) 4 (57.1) 1 (14.3) 1 (14.3) 1 (14.3) 7 (12.7) 200-400만원 미만 8 (42.1) 6 (31.6) 8 (42.1) 5 (26.3) 4 (21.1) 4 (21.1) 19 (17.1) 400-600만원 미만 5 (55.6) 5 (55.6) 5 (55.6) 2 (22.2) 1 (11.1) 9 (10.8) 600만원 이상 3 (30.0) 4 (40.0) 6 (60.0) 1 (10.0) 1 (10.0) 10 (17.5) 합계 18 (40.0) 17 (37.8) 23 (51.1) 9 (20.0) 7 (15.6) 5 (11.1) 45 (14.7) 한 번 이상 가족이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중심으로 범죄피해의 심각성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4 >와 같다. 가족이 경험한 범죄피해의 심각 성에 대해 심각했다는 응답은 남성의 경우에 32.0%였고, 여성의 경우에는 45.0%로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우에 범죄피해가 심각했었다는 응답이 더 많았 다. 이들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 간 평균을 살펴보면, 남성의 평균은 3.00점이었고, 여성은 3.35점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별 2) 로는 20 30대의 경우 에는 평균이 3.00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이에 비해 60대 이상의 경우에는 평균이 4.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연령대별 집 단 간 평균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2) 10대의 경우에는 가족 중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1명이므로 평균의 의미가 없어 해석하지 않음. 4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전혀 심각하지 않았다 < 표 Ⅲ-4 > 가족 범죄피해의 심각성 심각하지 않은 편이었다 보통이다 심각한 편이었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심각한 편이었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1 (4.0) 7 (28.0) 9 (36.0) 7 (28.0) 1 (4.0) 25 (100.0) 3.00-1.121 여성 6 (30.0) 5 (25.0) 5 (25.0) 4 (20.0) 20 (100.0) 3.35 10대 1(100.0) 1 (100.0) 2.00 20-30대 1 (4.5) 7 (31.8) 7 (31.8) 5 (22.7) 2 (9.1) 22 (100.0) 3.00 40-50대 5 (26.3) 6 (31.6) 6 (31.6) 2 (10.5) 19 (100.0) 3.26 60대 이상 1(33.3) 1(33.3) 1(33.3) 3 (100.0) 4.00 고양시 A동 1 (5.6) 6 (33.3) 5 (27.8) 5 (27.8) 1 (5.6) 18 (100.0) 2.94 수원시 B동 4 (21.1) 6 (31.6) 6 (31.6) 3 (15.8) 19 (100.0) 3.42 양주시 C동 3 (37.5) 3 (37.5) 1 (12.5) 1 (12.5) 8 (100.0) 3.00 합계 1 (2.2) 13 (28.9) 14 (31.1) 12 (26.7) 5 (11.1) 45 (100.0) 3.16 중학교 졸업 이하 2(100.0) 2 (100.0) 5.00 고등학교 재학/졸업 2 (20.0) 5 (50.0) 3 (30.0) 10 (100.0) 3.10 대학교 재학/졸업 1 (3.4) 9 (31.0) 8 (27.6) 8 (27.6) 3 (10.3) 29 (100.0) 3.10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2 (50.0) 1 (25.0) 1 (25.0) 4 (100.0) 2.75 합계 1 (2.2) 13 (28.9) 14 (31.1) 12 (26.7) 5 (11.1) 45 (100.0) 3.16 200만원 미만 3 (42.9) 2 (28.6) 1 (14.3) 1 (14.3) 7 (100.0) 3.00 200-400만원 미만 1 (5.6) 7 (38.9) 4 (22.2) 3 (16.7) 3 (16.7) 18 (100.0) 3.00.450 400-600만원 미만 1 (11.1) 3 (33.3) 5 (55.6) 9 (100.0) 3.44 600만원 이상 2 (20.0) 4 (40.0) 3 (30.0) 1 (10.0) 10 (100.0) 3.30 합계 1 (2.3) 13 (29.5) 13 (29.5) 12 (27.3) 5 (11.4) 44 (100.0) 3.16 * p <.05, ** p <.01, *** p <.001 1.322 1.076 2.565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평균이 2.94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 났고, 수원시 B동은 3.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 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 하의 집단에서는 5.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평 균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 집단과 200 400만원 미만 집단에서는 평균이 모두 3.00점으로 다른 월평균 소득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400-600만원 미만 집단에서는 평균이 3.4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9

3.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범죄피해의 간접 경험의 영향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3 >과 같다. 사람들과 대화할 때 범죄사건에 관련된 이야기를 자주 하는 편이다 에 대해 긍정적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은 25.7%로 부정적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39.2%) 보다 낮게 나 타났다. 그리고 범죄 관련 뉴스나 프로그램 등을 자주 보는 편이다 에 대해서 는 긍정적 응답이 50.8%로 나타났고, 부정적 응답은 21.3%로 긍정적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Ⅲ-3 >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에 대해 살 펴보면 < 표 Ⅲ-5 >와 같다. 우선 성별로는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의 평균이 남성은 3.00점이었고, 여성은 3.15점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 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대의 경우에는 10대의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 피해경험 평균이 2.51점으로 나타났고, 40 50대까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5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간접피해경험 평균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렇지만 60대 이 상에서는 다시 평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간접피해경험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 접피해경험이 연령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 표 Ⅲ-5 >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범죄 관련 뉴스나 프로그램 등을 자주 보는 편이다 사람들과 대화할 때 범죄사건에 관련된 이야기를 자주 하는 편이다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경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3.29 1.06 2.70.99 3.00-1.418 여성 162 3.37 1.11 2.92 1.00 3.15 10대 36 2.61 1.23 2.42 1.05 2.51 20-30대 126 3.38 1.12 2.88 1.03 3.13 5.073 ** 40-50대 122 3.44 1.00 2.89.95 3.17 60대 이상 35 3.51.85 2.69.93 3.10 고양시 A동 109 3.18 1.12 2.78.97 2.98 수원시 B동 106 3.36 1.11 2.89 1.05 3.12.776 양주시 C동 104 3.46 1.01 2.77.99 3.12 합계 319 3.33 1.09 2.81 1.00 3.07 중학교 졸업 이하 44 3.30 1.21 2.70.98 3.00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3.18 1.07 2.63.98 2.91 대학교 재학/졸업 165 3.43 1.07 2.93 1.02 3.18 1.808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3.18 1.01 2.88.99 3.03 합계 316 3.33 1.09 2.81 1.00 3.07 200만원 미만 55 3.45 1.03 2.76.92 3.11 200-400만원 미만 111 3.34 1.02 2.79.99 3.07 400-600만원 미만 83 3.43 1.13 2.90 1.09 3.17.659 600만원 이상 57 3.07 1.15 2.82.97 2.95 합계 306 3.34 1.08 2.82 1.00 3.08 * p <.05, ** p <.01, *** p <.001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평균은 2.98점이었고, 수원시 B동이나 양주시 C동은 평균이 각각 3.12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정도별로는 고등학교 재학/졸업의 경우에는 평균이 2.91점으로 다른 교육정도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졸업 집단 에서는 3.1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600만원 이상의 경우에는 타인이나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1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경험 평균이 2.95점으로 다른 월평균 소득 집단의 평 균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400 600만원 미만의 집단에서는 평균이 3.17점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 범죄 두려움에 대한 범죄피해 경험의 영향 앞에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 직접 혹은 간적접인 범 죄피해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들 범죄피해 경험이 범죄 두려움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 표 Ⅲ-6 >과 같다. 우선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본인 의 범죄피해 경험 유무에 대해 범죄피해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65점이었고,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3.16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 유무에 대해서도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에 는 평균이 3.21점이었고,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2.69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인과 가족의 범죄피 해가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인과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에 대해 유형별로 나누 어 살펴보면, 본인을 제외하고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 평균이 2.57점으로 본인과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이 모두 없는 집 단의 평균(2.65점)과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본인의 범죄피 해 경험만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2.96점이었고, 본인과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이 모두 있는 경우에는 평균이 3.32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그 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이 있고,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을 함께 알고 있는 경우에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이나 미디 어를 통한 간접피해 경험에 대해서는 간접피해 경험이 낮은 집단의 일반적 범 죄 두려움 평균은 2.44점이었고, 간접피해 경험이 높아질수록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5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나타나고 있어,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해 범죄피해의 정보를 습득하더라도 범 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Ⅲ-6 > 범죄피해 경험에 따른 범죄 두려움 본인 범죄피해 경험 유무 가족 범죄피해 경험 유무 본인 혹은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 유무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일반적 두려움 구체적 두려움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경험없음 247 2.65 1.08-3.421 ** 2.59.94-5.297 *** 경험있음 72 3.16 1.16 3.26.91 경험없음 273 2.69 1.09-2.931 ** 2.68.96-2.724 ** 경험있음 46 3.21 1.17 3.10.98 범죄피해 경험 없음 240 2.65 1.08 2.59.94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 7 2.57 1.24 2.46.90 4.554 **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 33 2.96 1.18 3.30.87 9.384 *** 본인/가족의 범죄피해 경험 39 3.32 1.13 3.22.96 낮음 106 2.44 1.04 2.37.86 보통 133 2.73 1.06 12.461 *** 2.77.92 17.448 *** 높음 80 3.24 1.17 3.19 1.02 합계 319 2.76 1.12 2.74.97 * p <.05, ** p <.01, *** p <.001 다음으로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3.2점으로 나타났고, 범죄피해 경험이 없는 집단의 평균은 2.59점이었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 유무는 범죄에 대한 일반 적 두려움 뿐만 아니라 구체적 두려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족의 범죄피 해 경험 유무에 대해서는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집단의 평균은 3.10점이었고,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는 평균이 2.68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의 범죄피해 경험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 유무에 대해서도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집단의 평균 (3.10점)은 그렇지 않은 집단의 평균(2.68점)보다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3

지인의 범죄피해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 경우에는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 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인, 가족, 그리고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에 대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서와 같이 본인을 제외 한 가족이나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만 있는 경우에는 범죄피해 경험이 없는 집 단과 평균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만 있는 경우나, 본인을 포함하고 가족과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 지 않은 집단의 평균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인이나 가족, 그 리고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에 대해 인지했을 경우에 범죄에 대한 구체적 두려 움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피해 가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간접피해가 낮은 집단의 평균은 2.37점이었고, 간접피해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평균 점수는 더욱 높아 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고 있어 본인이나 가족, 그리고 지인 뿐만 아니라 타인이나 미디어에서의 범죄 피해에 대한 정보로도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2절 개인적 요인의 영향 1. 범죄 취약성의 영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범죄 취약성을 구성하는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5 >와 같다. 우선 내가 범죄피해를 당한다면, 다른 사람에 비해 피해 결과가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것이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이 32.3%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은 31.7%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범죄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의 비율이 11.0%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이 61.7%로 자신의 범죄피해 가능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Ⅲ-4 > 범죄 취약성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범죄 취약성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8 >과 같다. 우선 성별로 범죄 취약성 평균은 남성의 경우에 2.45점이었고, 여성은 2.86점 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평균 점수의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5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성별에 따른 범죄 취약성은 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에 대해서는 10대의 경우에는 범죄 취약성 평균 이 2.44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범죄 취약성의 평균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연령대에 따른 범죄 취약성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표 Ⅲ-7 > 범죄 취약성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다른 사람에 비해 범죄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범죄피해를 당한다면, 다른 사람에 비해 피해 결과가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것이다 범죄 취약성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2.10.86 2.80 1.05 2.45 여성 162 2.52.95 3.21.95 2.86-4.683 *** 10대 36 2.14.93 2.75.97 2.44 20-30대 126 2.29.88 2.98 1.00 2.63 40-50대 122 2.37.96 3.09 1.05 2.73 1.254 60대 이상 35 2.40 1.03 3.06 1.00 2.73 고양시 A동 109 2.13.82 2.83.97 2.48 수원시 B동 106 2.56 1.03 3.20 1.05 2.88 6.671 ** 양주시 C동 104 2.26.89 2.99 1.01 2.63 합계 319 2.31.93 3.01 1.02 2.66 중학교 졸업 이하 44 2.36.97 3.09.88 2.73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2.11.94 2.89 1.17 2.50 대학교 재학/졸업 165 2.40.92 3.03.97 2.72 1.604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41.71 3.12.99 2.76 합계 316 2.31.93 3.00 1.02 2.66 200만원 미만 55 2.40 1.03 2.93 1.05 2.66 200-400만원 미만 111 2.32.93 3.07 1.05 2.69 400-600만원 미만 83 2.20.91 2.95.95 2.58.324 600만원 이상 57 2.37.90 2.96 1.09 2.67 합계 306 2.31.94 2.99 1.03 2.65 * p <.05, ** p <.01, *** p <.001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평균은 2.48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 났고, 수원시 B동은 평균이 2.8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정도별로는 고등학교 재 학/졸업 집단의 평균은 2.5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외의 나머지 집단의 평균은 최소 2.72점부터 2.76점까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적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 집단 5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간 차이에 대해서도 최소 집단의 평균이 2.58점이었고, 최대 집단의 평균이 2.69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2. 일상생활에서의 범죄에 노출 정도의 영향 일상생활에서 범죄에 노출되는 정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지난 한 달 동안 평균 늦은 귀가 횟수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6 >과 같다. 늦은 귀가 횟수에 대해 일주일에 2 3일이라는 응답은 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그 다음으로는 거의 매일(25.5%), 거의 또는 전혀 없음(20.8%)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 그림 Ⅲ-5 >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Ⅲ-9 >와 같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에는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가 일주일에 2 3일이라는 응답이 33.8%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거의 매일이라는 응답이 30.6%로 나타 났다. 이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는 거의 또는 전혀 없음이라는 응답이 28.0%였 고, 그 다음으로 거의 매일이라는 응답이 20.5%였다. 이들 집단 간의 분포의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7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10대의 경우에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가 일주일에 2 3일과 거의 매일이라는 응답이 69.4% 였고, 20 30대는 56.4%, 40 50대는 50.8%, 그리고 60대 이상에서는 23.5%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늦은 귀가의 정도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었다. 그리고 연령대별 늦은 귀가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 표 Ⅲ-8 >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 거의 또는 전혀 없음 한 달에 하루 보름에 하루 일주일에 하루 일주일에 2-3일 거의 매일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합계 χ 2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남성 21 (13.4) 11 (7.0) 4 (2.5) 20 (12.7) 53 (33.8) 48 (30.6) 157 (100.0) 32.12 *** 여성 45 (28.0) 15 (9.3) 23 (14.3) 13 (8.1) 32 (19.9) 33 (20.5) 161 (100.0) 10대 4 (11.1) 3 (8.3) 3 (8.3) 1 (2.8) 9 (25.0) 16 (44.4) 36 (100.0) 20-30대 18 (14.3) 13 (10.3) 15 (11.9) 9 (7.1) 38 (30.2) 33 (26.2) 126 (100.0) 44.81 *** 40-50대 26 (21.3) 7 (5.7) 8 (6.6) 19 (15.6) 35 (28.7) 27 (22.1) 122 (100.0) 60대 이상 18 (52.9) 3 (8.8) 1 (2.9) 4 (11.8) 3 (8.8) 5 (14.7) 34 (100.0) 고양시 A동 19 (17.6) 8 (7.4) 12 (11.1) 13 (12.0) 26 (24.1) 30 (27.8) 108 (100.0) 수원시 B동 23 (21.7) 5 (4.7) 5 (4.7) 6 (5.7) 33 (31.1) 34 (32.1) 106 (100.0) 17.77 양주시 C동 24 (23.1) 13 (12.5) 10 (9.6) 14 (13.5) 26 (25.0) 17 (16.3) 104 (100.0) 합계 66 (20.8) 26 (8.2) 27 (8.5) 33 (10.4) 85 (26.7) 81 (25.5) 318 (100.0) 중학교 졸업 이하 16 (36.4) 4 (9.1) 3 (6.8) 3 (6.8) 8 (18.2) 10 (22.7) 44 (100.0) 고등학교 재학/졸업 20 (22.5) 3 (3.4) 3 (3.4) 9 (10.1) 24 (27.0) 30 (33.7) 89 (100.0) 23.65 대학교 재학/졸업 25 (15.2) 18 (10.9) 20 (12.1) 18 (10.9) 47 (28.5) 37 (22.4) 165 (100.0)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3 (17.6) 1 (5.9) 1 (5.9) 3 (17.6) 5 (29.4) 4 (23.5) 17 (100.0) 합계 64 (20.3) 26 (8.3) 27 (8.6) 33 (10.5) 84 (26.7) 81 (25.7) 315 (100.0) 200만원 미만 16 (29.6) 2 (3.7) 1 (1.9) 4 (7.4) 20 (37.0) 11 (20.4) 54 (100.0) 200-400만원 미만 24 (21.6) 11 (9.9) 9 (8.1) 15 (13.5) 27 (24.3) 25 (22.5) 111 (100.0) 21.57 400-600만원 미만 14 (16.9) 6 (7.2) 12 (14.5) 8 (9.6) 17 (20.5) 26 (31.3) 83 (100.0) 600만원 이상 7 (12.3) 6 (10.5) 5 (8.8) 5 (8.8) 20 (35.1) 14 (24.6) 57 (100.0) 합계 61 (20.0) 25 (8.2) 27 (8.9) 32 (10.5) 84 (27.5) 76 (24.9) 305 (100.0)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경우에 늦은 귀가 정도가 일주일에 2일 이상인 비율이 63.2%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양주시 C동은 41.3%로 가장 낮았다. 그렇지만 지역별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교육정도별로는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가 일주일에 2일 이상인 비율이 중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40.9%로 가장 낮게 나타 5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났고, 고등학교 재학/졸업인 경우에는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교육정도별 늦은 귀가의 정도에 대한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600만원 이상인 집단의 경우에 일주일에 2일 이상 늦은 귀가를 한다는 응답이 59.7%로 다른 월평균 소득 집단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200 400만원 미만인 집단의 경우에는 46.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 한 달 평균 늦은 귀가 횟수의 분포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에 대해서는 < 그림 Ⅲ-7 >과 같다.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이 4 8시간이라는 응답이 24.8%로 가장 높게 나타 났고, 그 다음으로 8 12시간(21.0%), 거의 비우지 않았다(16.3%), 2 4시간 (1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Ⅲ-6 >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9 >와 같다. 우선 성별로는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집이 비어 있다는 응답이 남성의 경우에는 34.4%였고, 여성은 27.2%로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 우에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루 평균 12시간 이상 집이 비어 있다는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9

응답이 남성은 14.0%이고, 여성은 5.6%로 남성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1인 가구인 경우에 여성에 비해 남성은 집밖의 활동에 보내는 시간이 더욱 많다는 점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집이 비어 있는 시간이 더욱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집이 비어 있다는 응답이 60대 이상인 경우에 11.4%로 가장 낮았고, 20 40대에서는 33%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연령대별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표 Ⅲ-9 >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 거의 비우지 2시간 미만 2-4시간 4-8시간 8-12시간 12시간 이상 합계 않았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χ 2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남성 26 (16.6) 23 (14.6) 25 (15.9) 29 (18.5) 32 (20.4) 22 (14.0) 157 (100.0) 12.85 * 여성 26 (16.0) 15 (9.3) 27 (16.7) 50 (30.9) 35 (21.6) 9 (5.6) 162 (100.0) 10대 5 (13.9) 6 (16.7) 5 (13.9) 10 (27.8) 8 (22.2) 2 (5.6) 36 (100.0) 20-30대 17 (13.5) 12 (9.5) 23 (18.3) 32 (25.4) 28 (22.2) 14 (11.1) 126 (100.0) 12.97 40-50대 21 (17.2) 14 (11.5) 18 (14.8) 27 (22.1) 27 (22.1) 15 (12.3) 122 (100.0) 60대 이상 9 (25.7) 6 (17.1) 6 (17.1) 10 (28.6) 4 (11.4) 35 (100.0) 고양시 A동 17 (15.6) 17 (15.6) 19 (17.4) 17 (15.6) 32 (29.4) 7 (6.4) 109 (100.0) 수원시 B동 19 (17.9) 12 (11.3) 14 (13.2) 31 (29.2) 16 (15.1) 14 (13.2) 106 (100.0) 17.34 양주시 C동 16 (15.4) 9 (8.7) 19 (18.3) 31 (29.8) 19 (18.3) 10 (9.6) 104 (100.0) 합계 52 (16.3) 38 (11.9) 52 (16.3) 79 (24.8) 67 (21.0) 31 (9.7) 319 (100.0) 중학교 졸업 이하 10 (22.7) 7 (15.9) 5 (11.4) 13 (29.5) 8 (18.2) 1 (2.3) 44 (100.0) 고등학교 재학/졸업 20 (22.2) 4 (4.4) 12 (13.3) 21 (23.3) 22 (24.4) 11 (12.2) 90 (100.0) 25.78 * 대학교 재학/졸업 16 (9.7) 22 (13.3) 34 (20.6) 42 (25.5) 35 (21.2) 16 (9.7) 165(100.0)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4 (23.5) 4 (23.5) 1 (5.9) 3 (17.6) 2 (11.8) 3 (17.6) 17 (100.0) 합계 50 (15.8) 37 (11.7) 52 (16.5) 79 (25.0) 67 (21.2) 31 (9.8) 316 (100.0) 200만원 미만 10 (18.2) 6 (10.9) 11 (20.0) 14 (25.5) 10 (18.2) 4 (7.3) 55 (100.0) 200-400만원 미만 21 (18.9) 10 (9.0) 18 (16.2) 28 (25.2) 21 (18.9) 13 (11.7) 111 (100.0) 10.70 400-600만원 미만 9 (10.8) 10 (12.0) 15 (18.1) 19 (22.9) 23 (27.7) 7 (8.4) 83 (100.0) 600만원 이상 10 (17.5) 11 (19.3) 6 (10.5) 14 (24.6) 11 (19.3) 5 (8.8) 57 (100.0) 합계 50 (16.3) 37 (12.1) 50 (16.3) 75 (24.5) 65 (21.2) 29 (9.5) 306 (100.0)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경우에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집이 비어 있다는 응답이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수원시 B동(28.3%), 양주시 C동(27.9%)의 순으로 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교육정도별로는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집이 비 6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어 있다는 응답이 고등학교 재학/졸업의 집단의 경우에 3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대학교 재학/졸업(30.9%),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29.4%), 중학교 졸업 이하(20.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월평 균 소득별로는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집이 비어 있다는 응답이 400-600만원 미만인 경우에 36.1%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20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25.5%로 가장 낮았다. 월평균 소득 집단별 하루 평균 집이 비어 있는 시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범죄 두려움에 대한 개인적 요인의 영향 개인적 요인으로 범죄 취약성, 늦은 귀가 정도, 그리고 집이 비어 있는 정 도를 가정하였고, 이들 개인적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 표 Ⅲ-11 >과 같다. 우선 개인적 요인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살펴보면, 범죄 취약성의 영향에 대해 범죄 취약성이 낮은 집단은 일반 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32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범죄 취약성이 높아질 수록 일반적 두려움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다. 범죄 취약성에 따른 집단별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 한 점은 스스로 범죄 피해의 가능성이 높고, 범죄를 당했을 경우에 범죄피해로 부터 회복이 어렵다고 인식할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상생황에서의 늦은 귀가 정도에 대해서는 늦은 귀가 정도가 낮은 경우에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96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늦은 귀가 정도가 높아질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더욱 낮아지고 있었다. 늦은 귀가의 정도는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즉 잦은 늦은 귀가는 공공 장소에서의 범죄대상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에 따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높아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래의 결과는 반대로 늦은 귀가의 정도가 낮을수록 일반적 범죄의 두려움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늦은 귀가의 정도가 범죄 두려움의 결과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기 때문에 늦은 귀가를 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범죄 두려움이 낮은 경우에는 늦은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1

귀가에 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늦은 귀가의 정도 는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기보다는 범죄의 두려움의 정도에 따른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 표 Ⅲ-10 > 개인적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사례수 일반적 두려움 구체적 두려움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낮음 102 2.32.91 2.06.85 범죄 취약성 보통 118 3.03.83 67.299 *** 2.77.79 69.392 *** 높음 99 3.71.78 3.42.80 낮음 92 2.96 1.06 2.97.90 늦은 귀가 정도 보통 145 2.74 1.08 3.176 * 2.69.96 4.463 * 높음 81 2.53 1.20 2.54 1.02 낮음 90 2.53 1.14 2.62 1.04 집이 비어 있는 정도 보통 131 2.91 1.10 3.154 * 2.82.96 1.143 높음 98 2.77 1.10 2.75.92 합계 317 2.75 1.11 2.73.96 * p <.05, ** p <.01, *** p <.001 집이 비어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그 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2.5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보통의 집단이 나 높은 집단은 상대적으로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집이 비어 있는 정도에 따라 그 정도가 높을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함께 높아지 는 경향은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보통인 집단과 높은 집단 간의 평균 차이 가 그리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집이 비어 있는 정도에 대해 보통인 집단과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과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평균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고, 보통인 집단과 높은 집단 간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비슷한 수준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범죄 취약성이 낮은 집단의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2.0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범죄 취약 성이 높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범죄 취 약성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늦은 6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귀가 정도에 대해서는 늦은 귀가 정도가 높은 집단인 경우에 구체적 범죄 두려 움의 평균이 2.54점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늦은 귀가 정도가 낮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늦은 귀가 정도와 일반적 범죄 두려움 간의 관계에서와 같이 늦은 귀가 정도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라기보다는 범죄 두려움의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집이 비어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집이 비어 있는 정도가 낮은 집단인 경우 에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2.62점이었다. 그리고 보통인 집단인 경우에 는 평균이 2.8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집이 비어 있는 정도가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는 영향을 미치지만,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의 일반적인 두려움을 나타내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은 집이 비어 있는 정도에 따라 침입절도 등의 범죄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이어 질 수 있다. 이에 비해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경우에는 침입절도나 침입강도를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증가할 수 있으나, 집 밖에서 당할 수 있는 폭행, 절 도, 강도 등의 구체적인 범죄유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집이 비어 있는 정도 가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제한적이라 볼 수 있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3

제3절 지역사회 요인의 영향 1. 무질서의 영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역사회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도 록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 요인 중에서 무질서의 영향을 살펴본다. 무질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를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동네의 물리적 무질 서를 구성하는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7 >과 같다. 동네에 어둡고 후미진 곳이 많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은 28.5%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동의하지 않는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은 46.8%로 동의하는 응답에 비해 동의하지 않는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Ⅲ-7 >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동네에 사람이 살지 않은 채 내버려둔 빈집이나 빈터가 있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의 비율은 11.6%로 나타났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은 70.2%로 동의하지 않는 응답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네가 지저분하 6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 쓰레기나 휴지가 아무렇게 버려져 있거나 낙서 등이 되어 있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이 31.1%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은 42.3%로 나타났다. 대체 로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보다는 동의하지 않는 응 답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Ⅲ -11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물리적 무질서의 평균이 남성의 경우에 2.63점 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에는 2.51점으로 여성에 비해 남성의 평균이 상대 적으로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성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같은 동네의 환경에 대해 성별에 따라 물리적 무질서를 더욱 민감하게 인지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연령대에 대해서는 10대의 경우에 물리적 무질서의 평균이 2.86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물리적 무질서의 평균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같은 지역 내에 서 연령대별로 자주 다니는 장소가 다를 수 있다. 연령대별로 서로 다른 생활양 식으로 인해 동네에서 다니는 장소도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같은 동네에 서 물리적 무질서의 정도가 같다 하더라도 그 공간에 노출될 가능성은 다르다. 따라서 물리적 무질서의 정도가 높은 지역에 젊은 사람들이 더욱 빈번하게 노 출되었다면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물리적 무질서 평균은 2.0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이에 비해 수원시 B동은 평균이 2.9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 별 물리적 무질서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집단에서는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평 균이 2.4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물리적 무질서의 평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교육정도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월평균 소득에 대해 서도 200만원 미만 집단의 평균은 2.3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평균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정도와 월평균은 물리적 무질서에 영향을 미치진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5

않았다. < 표 Ⅲ-11 >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동네가 지저분하 고, 쓰레기나 휴 지가 아무렇게 버 려져 있거나 낙서 등이 되어 있다 동네에 사람이 살지 않은 채 내버려둔 빈집 이나 빈터가 있 다 동네에 어 둡고 후미 진 곳이 많 다 물리적 무질서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2.90 1.10 2.22 1.06 2.77 1.12 2.63 1.121 여성 162 2.80 1.11 2.06.96 2.68 1.18 2.51 10대 36 3.17 1.11 2.25.97 3.17 1.06 2.86 20-30대 126 2.86 1.06 2.33 1.03 2.80 1.20 2.66 6.654 *** 40-50대 122 2.87 1.12 2.06.97 2.71 1.10 2.54 60대 이상 35 2.43 1.14 1.57.92 2.03.95 2.01 고양시 A동 109 2.36 1.04 1.73.80 2.19 1.05 2.09 수원시 B동 106 3.38 1.03 2.27 1.13 3.27 1.16 2.98 31.472 *** 양주시 C동 104 2.83 1.01 2.41.95 2.73.98 2.66 합계 319 2.85 1.11 2.13 1.01 2.72 1.15 2.57 중학교 졸업 이하 44 2.93 1.15 1.75.84 2.58.98 2.41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2.81 1.15 2.20 1.04 2.72 1.13 2.58 대학교 재학/졸업 165 2.87 1.07 2.17 1.02 2.74 1.21 2.59.701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76 1.25 2.47 1.12 3.00 1.22 2.75 합계 316 2.86 1.11 2.14 1.02 2.73 1.15 2.57 200만원 미만 55 2.65 1.00 1.82.86 2.52 1.11 2.33 200-400만원 미만 111 2.78 1.09 2.16.95 2.69 1.08 2.55 400-600만원 미만 83 2.83 1.10 2.13 1.06 2.71 1.16 2.55 2.476 600만원 이상 57 3.07 1.19 2.40 1.13 2.91 1.35 2.80 합계 306 2.83 1.10 2.14 1.01 2.71 1.16 2.56 * p <.05, ** p <.01, *** p <.001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를 구성하는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9 >와 같다. 동네에서 술 취한 사람이 다니는 것을 자주 본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은 33.0%로 나타났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은 32.9%로 동의 하는 응답과 동의하지 않는 응답의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동네에서 큰 소리로 다투거나 싸우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 이 22.6%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은 50.2%로 동의하는 응답보다 동의하지 않는 응답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동네에서 무리 지어 다니는 불량 청 소년들이 많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이 28.2%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 6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은 40.5%로 동의하지 않는 응답이 비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동네에서 기초 질서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응답이 40.1%였고, 동의하지 않는 응답의 비율은 29.2%로 동의하는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Ⅲ-8 >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 사회인구학적 범주별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13 >과 같다. 성별로는 남성의 사회적 무질서 점수는 2.92점으로 여성(2.83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성별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정도별로 살펴보면 중학교 졸업 이하 집단의 평균은 2.80점이었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사회적 무질서의 평균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교육정도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월평균 소득별로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연령대별로는 10대의 경우에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 평균이 3.01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사회적 무질서 평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연령대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앞의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에서와 같 이 연령대에 따라 사회적 무질서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연령대에 따른 생활양식의 차이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사회적 무질서 평균은 2.49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원시 B동의 경우에는 평균이 3.27점으로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별 사회적 무질서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타나고 있어, 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사회적 무질서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 표 Ⅲ-12 > 동네의 사회적 무질서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동네에서 기초 질서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동네에서 무리 지어 다니는 불량 청소년들이 많다 동네에서 큰소리로 다투거나 싸우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동네에서 술 취한 사람이 다니는 것을 자주 본다 사회적 무질서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3.25 1.09 2.82 1.10 2.71 1.05 2.92 1.18 2.92.894 여성 162 3.05 1.06 2.82 1.06 2.60 1.05 2.85 1.11 2.83 10대 36 3.33 1.10 3.00 1.15 2.69 1.17 3.00 1.31 3.01 20-30대 126 3.19 1.03 2.98 1.07 2.75 1.08 3.02 1.20 2.99 3.716 * 40-50대 122 3.20 1.06 2.70 1.03 2.65.99 2.84 1.03 2.85 60대 이상 35 2.63 1.19 2.43 1.07 2.29.99 2.43 1.04 2.44 고양시 A동 109 2.74 1.06 2.43 1.00 2.30.99 2.50 1.09 2.49 수원시 B동 106 3.45 1.10 3.02 1.07 3.18 1.02 3.44 1.10 3.27 23.001 *** 양주시 C동 104 3.26.96 3.02 1.05 2.49.93 2.72 1.02 2.87 합계 319 3.15 1.08 2.82 1.07 2.66 1.05 2.88 1.14 2.88 중학교 졸업 이하 44 3.00 1.10 2.95 1.10 2.52 1.05 2.73 1.15 2.80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3.28 1.08 2.72 1.13 2.56.97 2.87 1.09 2.86 대학교 재학/졸업 165 3.16 1.07 2.82 1.01 2.73 1.06 2.93 1.15 2.91.241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88 1.11 3.12 1.36 2.88 1.36 2.94 1.34 2.96 합계 316 3.16 1.08 2.83 1.08 2.66 1.05 2.89 1.14 2.88 200만원 미만 55 3.11 1.12 2.71 1.05 2.56 1.01 2.84 1.10 2.80 200-400만원 미만 111 3.19 1.02 2.96 1.08 2.69.98 2.87 1.09 2.93 400-600만원 미만 83 3.11 1.08 2.64 1.05 2.58 1.13 2.82 1.12 2.79.602 600만원 이상 57 3.12 1.17 2.86 1.13 2.74 1.17 3.04 1.34 2.94 합계 306 3.14 1.08 2.81 1.08 2.65 1.06 2.88 1.14 2.87 * p <.05, ** p <.01, *** p <.001 2. 사회적 관계의 영향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 중에서 동네에서의 사회적 6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관계의 영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을 구성하는 문항 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0 >과 같다. 동네 사람들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서로 돕는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 율은 20.1%였고, 부정적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은 48.0%로 부정적 응답의 비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동네 사람들은 서로 자주 만나고 왕래하며 친하게 지낸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21.4% 로 나타났고, 부정적 응답은 50.0%로 긍정적 응답에 비해 부정적 응답의 비율 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동네 사람들은 서로 잘 알고 지내는 편이다 에 대해서 는 긍정적 응답이 27.4%로 부정적 응답(42.2%)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전반 적으로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은 긍정적 응답에 비해 부정적 응답의 비율이 더 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Ⅲ-9 >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 -13 >과 같다. 성별로는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이 남성의 경우에 2.59점이었 고, 여성은 2.74점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성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9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대의 경우에는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이 2.33점 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10대를 제외하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20 30대의 상황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연령대에서는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는 시기이므로 잦은 이 동이나, 사회적 활동이 많은 시기이므로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기 어 려운 상황으로 볼 수 있다. < 표 Ⅲ-13 >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동네 사람들은 서로 잘 알고 지내는 편이다 동네 사람들은 서로 동네 사람들은 자주 만나고 어려운 일이 있을 왕래하며 친하게 때 서로 돕는다 지낸다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2.67 1.08 2.52.99 2.59.99 2.59 여성 162 2.86 1.05 2.72 1.04 2.64 1.01 2.74 10대 36 2.97 1.11 2.89 1.12 2.67.99 2.84 20-30대 126 2.40 1.02 2.31.96 2.29 1.00 2.33 40-50대 122 2.94 1.04 2.75.99 2.83.93 2.85 60대 이상 35 3.26.89 3.00.97 3.00.94 3.09 고양시 A동 109 2.59 1.01 2.46.98 2.42 1.03 2.49 수원시 B동 106 2.90 1.15 2.69 1.07 2.64.99 2.75 양주시 C동 104 2.82 1.01 2.72 1.01 2.80.95 2.78 합계 319 2.76 1.06 2.62 1.02 2.62 1.00 2.67 중학교 졸업 이하 44 3.14 1.06 2.93 1.02 2.82.97 2.98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2.74 1.13 2.65 1.13 2.74 1.04 2.72 대학교 재학/졸업 165 2.67 1.00 2.50.93 2.51.93 2.5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59 1.12 2.59 1.00 2.24 1.25 2.47 합계 316 2.75 1.06 2.61 1.01 2.60.99 2.65 200만원 미만 55 3.02 1.06 2.80 1.00 2.76.96 2.86-1.396 10.342 *** 3.100 * 2.695 * 200-400만원 미만 111 2.69 1.02 2.56.98 2.63.99 2.63 400-600만원 미만 83 2.87 1.03 2.69 1.06 2.67 1.04 2.74 2.210 600만원 이상 57 2.49 1.15 2.46 1.10 2.35 1.01 2.43 합계 306 2.76 1.07 2.62 1.03 2.61 1.01 2.67 * p <.05, ** p <.01, *** p <.001 7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평균은 2.4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원시 B동과 양주시 C동의 평균은 각각 2.75점과 2.78점으로 이 두 지 역 간에는 상대적으로 평균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들 지역 간의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특히 고양시 A동과 이외 지역 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 에 평균이 2.9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교육정도별 집 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600만 원 이상인 경우에 이웃과의 친밀감 평균이 2.4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200만원 미만의 집단에서는 평균이 2.86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월평균 소득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 그림 Ⅲ-10 > 집합 효율성 다음으로 동네의 집합 효율성을 구성하는 문항들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0 >과 같다. 동네 사람들은 범죄사건이 발생하면 경찰에 신고할 것 같다 에 대해 긍정적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은 76.2%였고, 부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1

정적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는 7.5%로 긍정적 응답 이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동네 사람들은 동네 아이가 낯선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면 도와줄 것 같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55.2%였고, 부정 적 응답은 16.9%로 긍정적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 표 Ⅲ-14 > 집합 효율성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동네 사람들은 동네 동네 사람들은 아이가 낯선 범죄사건이 발생하면 집합효율성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경찰에 신고할 것 같다 당하면 도와줄 것 같다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3.45 1.00 3.92.91 3.68 여성 162 3.40.94 3.80.80 3.60 10대 36 3.36.87 3.81.75 3.58 20-30대 126 3.23 1.07 3.71.93 3.47 40-50대 122 3.52.91 3.91.82 3.72 60대 이상 35 3.80.76 4.29.62 4.04 고양시 A동 109 3.47.93 3.85.80 3.66 수원시 B동 106 3.45 1.06 3.91.90 3.68 양주시 C동 104 3.34.92 3.82.87 3.58 합계 319 3.42.97 3.86.86 3.64 중학교 졸업 이하 44 3.59.84 4.02.70 3.81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3.36.99 3.81.87 3.58 대학교 재학/졸업 165 3.38.98 3.84.86 3.61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3.53 1.07 3.82 1.07 3.68 합계 316 3.41.97 3.85.86 3.63 200만원 미만 55 3.55 1.05 3.95.89 3.75 200-400만원 미만 111 3.27 1.02 3.75.92 3.51 400-600만원 미만 83 3.57.90 4.02.76 3.80 600만원 이상 57 3.37.94 3.75.81 3.56 합계 306 3.42.98 3.86.86 3.64.913 5.436 **.475.854 2.475 * p <.05, ** p <.01, *** p <.001 집합 효율성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Ⅲ-15 >와 같 다. 성별로는 남성의 집합 효율성 평균은 3.68점으로 여성(3.60점)에 비해 다 소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 7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나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대의 경우에 집합 효율성 평균이 3.47점으 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집합 효율성의 평균 은 앞의 < 표 Ⅲ-14 >에서의 결과와 같이 10대를 제외하고,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집합 효율성의 평균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네 이웃과의 친밀감에서와 같이 20 30대의 상황으로 인해 이웃과의 친밀감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이웃의 도움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이 3.68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양주시 C동은 평균이 3.58점으로 가장 낮았 다. 그렇지만 지역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 한 교육정도나 월평균 소득별로도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다소 나타나고는 있 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 애착을 구성하는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2 >와 같다. 내 가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 동네 주민들이 도움을 줄 것이다 에 대해서는 긍정 적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율은 42.6%였고, 부정적 응답( 전 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은 4.1%로 긍정적 응답의 비율 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나는 동네 이웃을 신뢰하고 있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37.3%로 나타났고, 부정적 응답은 18.5%로 긍정적 응답이 더 욱 높게 나타났다. 우리 동네를 떠나게 되면 잊지 못할 것이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35.5%였고, 부정적 응답은 26.7%로 나타나고 있어 긍정적 응 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 동네 사람들은 좋은 분들이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의 비율이 54.8%로 나타나고 있어 부정적 응답의 비율(4.8%)에 비해 매우 높았다. 우리 동네는 살기 좋은 곳이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의 비율이 51.4%로 부정적 응답(11.0%)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3

< 그림 Ⅲ-11 > 지역 애착 지역 애착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범죄별로 살펴보면 < 표 Ⅲ-16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지역 애착의 평균이 남성과 여성 모두 3.33점으로 차이를 보이 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은 성별에 따라 지역에 대한 애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인 경우에 지역 애착의 평균이 3.7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해 20 30대의 경우에는 평균이 3.1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연령대별 지역 애착의 평균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은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현재 거주하는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하면서 지역에 대한 애착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 30대의 경우에는 동네보다는 이외의 지역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은 연령대이므로, 지역에 대한 애착이 상대적으로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로는 고양시 A동의 지역 애착 평균이 3.4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그 다음으로는 양주시 C동(3.33점), 수원시 B동(3.16점)의 순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리고 지역별 지역 애착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지역의 특성에 따라 지역 애착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정도 별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에 평균이 3.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 7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다. 이외의 교육정도 집단의 경우에는 지역 애착 평균이 최대 3.35점에서 최소 3.24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교육정도별 지역 애착의 평균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인 경우에 평균이 3.38점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 6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평균이 3.2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별 지역 애착의 평균 차이 는 그리 크지 않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 표 Ⅲ-15 > 지역 애착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우리 동네는 살기 좋은 곳이다 우리 동네 사람들은 좋은 분들이다 우리 동네를 떠나게 되면 잊지 못할 것이다 나는 동네 이웃을 신뢰하고 있다 내가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 동네 주민들이 도움을 줄 것이다 지역 애착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3.51.86 3.57.75 3.03 1.06 3.20.98 3.36.89 3.33 여성 162 3.49.88 3.56.72 3.11 1.02 3.16.90 3.30.89 3.33 10대 36 3.56.94 3.64.64 3.08 1.08 2.97 1.13 3.39.93 3.33 20-30대 126 3.36.88 3.38.70 2.81 1.03 2.90.93 3.06.89 3.10 40-50대 122 3.55.80 3.66.74 3.21.91 3.37.83 3.50.81 3.46 60대 이상 35 3.77.91 3.83.82 3.51 1.25 3.71.71 3.69.87 3.70 고양시 A동 109 3.79.81 3.65.70 3.31 1.05 3.30.92 3.39.88 3.49 수원시 B동 106 3.12.94 3.41.81 2.91 1.07 3.06.96 3.32.92 3.16 양주시 C동 104 3.58.71 3.63.67 3.00.96 3.17.92 3.28.86 3.33 합계 319 3.50.87 3.56.74 3.07 1.04 3.18.94 3.33.89 3.33 중학교 졸업 이하 44 3.73.90 3.80.73 3.41 1.06 3.55.85 3.57 1.00 3.61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3.44.89 3.58.76 3.10 1.07 3.20 1.03 3.36.92 3.34 대학교 재학/졸업 165 3.45.86 3.50.73 2.94 1.01 3.06.89 3.25.84 3.24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3.59.80 3.47.62 3.24 1.03 3.18.95 3.29.92 3.35 합계 316 3.50.87 3.56.74 3.07 1.04 3.17.94 3.33.89 3.33.086 8.880 *** 5.590 ** 2.929 * 200만원 미만 55 3.49.90 3.55.81 3.13 1.06 3.31.96 3.42.83 3.38 200-400만원 미만 111 3.50.89 3.55.83 3.12 1.08 3.16.96 3.28.96 3.32 400-600만원 미만 83 3.55.83 3.60.58 3.02 1.00 3.20.84 3.33.77 3.34.147 600만원 이상 57 3.49.83 3.56.71 2.98 1.05 3.02.99 3.37.92 3.29 합계 306 3.51.86 3.57.74 3.07 1.05 3.17.93 3.33.88 3.33 * p <.05, ** p <.01, *** p <.001 지금까지 살펴본 지역사회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 표 Ⅲ-16 >과 같다. 우선 무질서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5

간에는 정적(positive)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물리적 무질 서가 높은 곳에서는 사회적 무질서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 요인인 이웃과의 친밀감이나 집합효율성은 물리적 무질서나 사회적 무질서와 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지역 애착이 물리적 무질서나 사회적 무질서와 부적(negative)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애착과 무질서 간의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지역 애착이 높을 경우 에는 물리적 무질서나 사회적 무질서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은 이웃과의 친밀감이나 집합효율성은 무질서와 직접적 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 애착과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 애착이 높은 경우에는 이웃과의 친밀감이나 집합효율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웃과의 친밀감이나 집합 효율성이 높은 경우에는 지역 애착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물리적 무질서 나 사회적 무질서와는 지역 애착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표 Ⅲ-16 > 지역사회 요인 간의 상관관계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이웃과의 친밀감 집합효율성 지역 애착 물리적 무질서 1.000 사회적 무질서.680 *** 1.000 이웃과의 친밀감.023.043 1.000 집합효율성 -.023 -.038.409 *** 1.000 지역 애착 -.312 *** -.325 ***.500 ***.450 *** 1.000 지역사회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17 >과 같다. 우선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물리적 무질서가 낮은 집단에서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36점으로 가장 낮 게 나타났다. 그리고 물리적 무질서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 의 평균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물리적 무질서 정도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물리적 무질서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무질서에 7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해서는 사회적 무질서의 정도가 낮은 집단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 평균은 2.33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 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증가하였고,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동네에서의 관리가 되 지 않는 물리적 환경이나 사람들의 무질서한 행동이 빈번히 나타날수록 해당 지역 주민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표 Ⅲ-17 > 지역사회 요인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사례수 일반적 두려움 구체적 두려움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낮음 112 2.36 1.04 2.39.92 물리적 무질서 보통 122 2.77 1.10 18.665 *** 2.69.95 20.884 *** 높음 82 3.30 1.03 3.26.88 낮음 104 2.33 1.07 2.33.94 사회적 무질서 보통 118 2.72 1.03 20.393 *** 2.73.90 21.958 *** 높음 97 3.28 1.07 3.19.90 낮음 112 2.69 1.11 2.60.99 이웃과의 친밀감 보통 113 2.73 1.04.536 2.79.84 1.639 높음 92 2.85 1.21 2.82 1.07 낮음 92 2.74 1.01 2.77.98 집합 효율성 보통 173 2.82 1.11.816 2.72.93.064 높음 54 2.60 1.30 2.75 1.11 낮음 127 2.97 1.11 2.91.98 지역 애착 보통 87 2.75 1.08 5.206 ** 2.70.90 3.647 * 높음 104 2.50 1.12 2.57 1.01 합계 318 2.76 1.12 2.74.98 * p <.05, ** p <.01, *** p <.001 동네의 사회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이웃과의 친밀감이 낮은 집단 의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69점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이웃과의 친밀감이 높아질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이웃과의 친밀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이웃과의 친밀감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집합 효율성에 대해서는 집합 효율성이 높은 집단에서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 평균이 2.60점으로 가장 낮았고, 집합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7

효율성에 따른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 점수는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지역 애착에 대해서는 지역 애착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5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지역 애착이 낮아질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은 높아지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역 애착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지역 애착이 높을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요인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물 리적 무질서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3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물리적 무질서가 높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물리적 무질서 집단에 따른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동네의 물리적 무질서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특정 범죄에 대한 피해두려움은 높아지고 있었다. 사회적 무질서의 경우에도 사회적 무질서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은 점차 높아지고 있고, 이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의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의 정도에 따라 해당 지역 내의 개인들이 인지하는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영향을 살펴보면, 이웃과의 친 밀감이 낮은 집단의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60점으로 나타났고, 이웃 과의 친밀감이 높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도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그렇지만 이웃과의 친밀감에 따른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집합 효율성에 대해서는 집합 효 율성의 정도에 따른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최소 2.72점에서 최대 2.77 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 애착의 영향을 살펴보면, 지역 애착의 정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91점으 로 가장 높았고, 지역 애착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은 낮아지 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역 애착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7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으로 지역의 무질서와 사회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들 요인 중에서 지역의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는 범죄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역 애착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지역의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가 높아질수록 범죄 두려움은 함께 증가하였고, 지역 애착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범죄 두려움은 감소하였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9

제4절 방범활동의 영향 1. 경찰활동의 영향 방범활동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우선 경찰활동을 구성 하는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나는 우리 동네에서 경찰이 순찰 활동을 하는 것 을 자주 보았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 그런 편이다 와 매우 그렇다 )의 비 율이 36.7%로 나타났고, 부정적 응답( 전혀 그렇지 않다 와 그렇지 않은 편이 다 )의 비율은 31.7%로 부정적 응답에 비해 긍정적 응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 다. 우리 동네 경찰은 범죄사건을 신고하면, 반드시 범인을 잡아줄 것이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28.5%였고, 부정적 응답은 24.8%로 긍정적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 동네 경찰은 범죄사건이 발생하여 신고하면, 즉시 출동할 것 같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49.0%로 나타났고, 부정적 응답은 15.7% 로 긍정적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리 동네 경찰은 순찰 활동을 잘 하고 있다 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38.5%였고, 부정적 응답은 25.6%로 긍정적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경찰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보 다는 긍정적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 그림 Ⅲ-12 > 경찰활동 8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동네의 경찰활동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18 >과 같다. 우선 성별로는 남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평균이 3.19점으로 여성(3.10점)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대의 경우에 경찰활동 의 평균이 2.97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평가를 하였다. 그리고 10대를 제외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경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연령대에 따른 경찰활동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 표 Ⅲ-18 > 동네의 경찰활동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사례수 우리 동네 경찰은 순찰 활동을 잘 하고 있다 우리 동네 경찰은 범죄사건이 발생하여 신고하면, 즉시 출동할 것 같다 우리 동네 경찰은 범죄사건을 신고하면, 반드시 범인을 잡아줄 것이다 나는 우리 동네에서 경찰이 순찰 활동을 하는 것을 자주 보았다 경찰활동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T 혹은 F 남성 157 3.19 1.09 3.36.99 3.02 1.03 3.17 1.10 3.19 여성 162 3.07.98 3.38.89 3.00.93 2.93 1.07 3.10 10대 36 3.14.99 3.11.89 3.03.84 3.03.97 3.08 20-30대 126 2.98 1.07 3.17.99 2.79.97 2.93 1.15 2.97 40-50대 122 3.22 1.01 3.53.91 3.09 1.00 3.08 1.08 3.23 60대 이상 35 3.38.99 3.77.69 3.49.89 3.34 1.03 3.54 고양시 A동 109 3.03 1.03 3.38.95 2.99.91 2.91 1.05 3.09 수원시 B동 106 3.44.99 3.47.93 3.01 1.09 3.44 1.07 3.34 양주시 C동 104 2.92 1.02 3.26.95 3.03.94 2.78 1.05 3.00 합계 319 3.13 1.03 3.37.94 3.01.98 3.04 1.09 3.14 중학교 졸업 이하 44 3.36.97 3.66.86 3.52.79 3.34 1.06 3.47 고등학교 재학/졸업 90 3.17 1.08 3.34 1.03 3.06 1.00 3.04 1.13 3.15 대학교 재학/졸업 165 3.06 1.03 3.31.89 2.84.96 2.96 1.10 3.05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7 2.94.97 3.29 1.10 2.94 1.03 2.94.90 3.03 합계 316 3.13 1.04 3.37.95 3.00.98 3.04 1.09 3.14 1.006 4.896 ** 4.757 ** 2.989 * 200만원 미만 55 3.29 1.07 3.51.96 3.15 1.06 3.24 1.14 3.30 200-400만원 미만 111 3.13.99 3.29.99 2.98.96 2.97 1.10 3.10 400-600만원 미만 83 3.00 1.10 3.43.90 3.06 1.04 2.96 1.14 3.11.796 600만원 이상 57 3.14 1.02 3.32.89 2.79.86 3.05 1.01 3.08 합계 306 3.13 1.04 3.37.94 3.00.99 3.03 1.10 3.14 * p <.05, ** p <.01, *** p <.001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1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경우에 경찰활동에 대한 평균이 3.34점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고양시 A동이나 양주시 C동의 평균은 각각 3.09 점과 3.00점으로 수원시 B동에 비해 경찰활동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앞서 < 표 Ⅱ-9 >와 < 표 Ⅱ-10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별로 범죄 두려움을 비교한 결과에서 수원시 B동은 일반적 범죄 두려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경찰활동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라도 범죄 두려움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적어도 지역적 수준 에서 본다면 경찰활동과 범죄 두려움 간에는 크게 관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 된다. 교육정도별로 살펴보면,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에는 경찰활동에 대한 평균이 3.47점으로 다른 교육정도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 다. 그리고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경찰활동의 평균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교 육정도별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만원 미만의 경우에는 경찰활동에 대한 평균이 3.30점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나고 있고,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월평균 소득별 집단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월평균 소득별 경찰활동에 대한 평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2. CCTV의 영향 동네의 CCTV 설치 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3 >과 같다. 동네에 CCTV가 드물게 설치되어 있다는 응답이 51.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42.9%), 전혀 설치되지 않았다(5.6%)의 순 으로 나타났다. 8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그림 Ⅲ-13 > 동네 CCTV 설치 정도 동네 CCTV 설치 정도에 대해 전혀 설치되지 않았다는 응답자를 제외하 고, 동네에서 CCTV가 설치된 지역에 대해 범죄피해로부터의 안전한 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Ⅲ-14 >와 같다. CCTV가 설치된 지역이 안전하다는 응답( 안전한 편이다 와 매우 안전하다 )의 비율은 39.5%로 나타났고, 안전하 지 않다는 응답( 전혀 안전하지 않다 와 안전하지 않은 편이다 )의 비율은 20.5%로 CCTV가 설치된 지역이 안전하다는 응답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3

< 그림 Ⅲ-14 > CCTV 주변의 안전감 CCTV 주변의 안전감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범주별로 살펴보면 < 표 Ⅲ -19 >와 같다. 우선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에 CCTV 주변이 안전하다는 응답 ( 안전한 편이다 와 매우 안전하다 )의 비율은 44.8%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34.6%로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 나고 있다. 평균을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에는 안전감에 대한 평균이 3.32점으로 여성(3.09점)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즉 여성의 경우에는 CCTV 주변에 있어도 남성에 비해 범죄피해로 부터 안전하다는 인식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대해서는 20 30대의 경우에 CCTV 주변에서의 안전감 평균이 2.75점으로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0대를 제외하면,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CCTV 주변에서의 안전감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CCTV 주변 에서의 안전감의 평균은 연령대별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 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B동의 평균이 3.12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고양시 A동은 3.2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 별 CCTV 주변의 안전감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 지역별 84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차이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는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의 경우 에는 평균이 3.47점으로 다른 교육정도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 다. 그 다음으로는 중학교 졸업 이하(3.43점), 고등학교 재학/졸업(3.32점), 대 학교 재학/졸업(3.0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6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3.1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200만원 미만의 경우에는 평균이 3.3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별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성별 연령대 지역 교육 정도 월평균 소득 전혀 안전하지 않다 < 표 Ⅲ-19 > CCTV 주변의 안전감 안전하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안전한 편이다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매우 안전하다 빈도 (비율) 평균 T 혹은 F 남성 6 (4.1) 13 (9.0) 61 (42.1) 58 (40.0) 7 (4.8) 145 (100.0) 3.32 여성 5 (3.2) 38 (24.4) 59 (37.8) 46 (29.5) 8 (5.1) 156 (100.0) 3.09 10대 3 (8.6) 21 (60.0) 11 (31.4) 35 (100.0) 3.23 20-30대 6 (5.0) 27 (22.7) 58 (48.7) 26 (21.8) 2 (1.7) 119 (100.0) 2.92 40-50대 4 (3.5) 20 (17.4) 33 (28.7) 47 (40.9) 11 (9.6) 115 (100.0) 3.36 60대 이상 1 (3.1) 1 (3.1) 8 (25.0) 20 (62.5) 2 (6.3) 32 (100.0) 3.66 고양시 A동 2 (1.9) 14 (13.2) 46 (43.4) 39 (36.8) 5 (4.7) 106 (100.0) 3.29 수원시 B동 4 (4.2) 21 (22.1) 35 (36.8) 30 (31.6) 5 (5.3) 95 (100.0) 3.12 양주시 C동 5 (5.0) 16 (16.0) 39 (39.0) 35 (35.0) 5 (5.0) 100 (100.0) 3.19 합계 11 (3.7) 51 (16.9) 120 (39.9) 104 (34.6) 15 (5.0) 301 (100.0) 3.20 중학교 졸업 이하 1 (2.5) 5 (12.5) 12 (30.0) 20 (50.0) 2 (5.0) 40 (100.0) 3.43 고등학교 재학/졸업 2 (2.4) 12 (14.1) 34 (40.0) 31 (36.5) 6 (7.1) 85 (100.0) 3.32 대학교 재학/졸업 8 (5.1) 34 (21.8) 62 (39.7) 46 (29.5) 6 (3.8) 156 (100.0) 3.05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0 (58.8) 6 (35.3) 1 (5.9) 17 (100.0) 3.47 합계 11 (3.7) 51 (17.1) 118 (39.6) 103 (34.6) 15 (5.0) 298 (100.0) 3.20 2.256 * 8.050 ***.965 3.251 * 200만원 미만 3 (6.0) 6 (12.0) 17 (34.0) 20 (40.0) 4 (8.0) 50 (100.0) 3.32 200-400만원 미만 3 (2.8) 21 (19.3) 45 (41.3) 37 (33.9) 3 (2.8) 109 (100.0) 3.15 400-600만원 미만 2 (2.6) 13 (17.1) 31 (40.8) 25 (32.9) 5 (6.6) 76 (100.0) 3.24.601 600만원 이상 3 (5.7) 10 (18.9) 21 (39.6) 16 (30.2) 3 (5.7) 53 (100.0) 3.11 합계 11 (3.8) 50 (17.4) 114 (39.6) 98 (34.0) 15 (5.2) 288 (100.0) 3.19 2* p <.05, ** p <.01, *** p <.001 방범활동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 표 Ⅲ-20 >과 같다. 우선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면, 경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한 집단의 경우에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5

나고 있다. 그리고 경찰활동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보통이라는 집단의 경우에 는 평균이 각각 2.85점과 2.88점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한 집단에 비해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경찰활동에 대한 평가에 따라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어, 경찰활동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네에서의 CCTV 설치 정도의 영향을 살펴보면, 동네에 CCTV가 곳곳에 설 치되어 있다는 응답자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 평균은 2.55점으로 가장 낮게 나 타나고 있다. 그리고 CCTV가 드물게 설치되었거나 전혀 설치되지 않았을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집단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어, CCTV의 설치가 많을 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표 Ⅲ-20 > 방범활동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사례수 일반적 두려움 구체적 두려움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평균 표준편차 T 혹은 F 부정 107 2.85 1.08 2.73.92 경찰활동 보통 104 2.88 1.09 2.679 2.91.95 2.823 긍정 102 2.55 1.17 2.59 1.03 전혀 설치되지 않음 18 3.22 1.15 3.03 1.04 CCTV 설치 정도 드물게 설치 162 2.89 1.12 5.225 ** 2.82.99 2.514 곳곳에 설치 137 2.55 1.08 2.61.93 합계 317 2.76 1.12 2.74.97 * p <.05, ** p <.01, *** p <.001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방범활동의 영향을 살펴보면, 우선 경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집단에서는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59점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경찰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나 보통 의 평가 집단에서는 평균이 각각 2.73점과 2.91점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긍정 적 평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 다. 이러한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아 경찰활동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CTV 설치 정도에 대해서는 CCTV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는 집단에서는 8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이 2.6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CCTV 의 설치 정도가 낮을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그렇지만 CCTV 설치 정도에 따른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평균 차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CCTV 설치 정도가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7

제5절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범죄피해 경험, 개인적 요인, 지역 사회 요인, 그리고 방범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들 요인 중에서 범죄 두려움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을 요약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고자 한 다 3). 이 분석을 통해 요인들 간의 상호통제가 이루어진 후의 영향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 -21 >과 같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범죄피해 경험 중에서 본인 범죄피해 경험, 가족 범죄피해 경험, 그리고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 취약성, 만취해서 귀가한 정도, 그리고 집이 비어 있는 정도였 다. 지역사회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지역 애착으로 나타났다. 방범 활동에서는 CCTV 설치 정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통제변수로는 성별, 연령대, 그리고 지역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로는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 범죄 취약성, 사회적 무질서, CCTV 설치 정도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중에서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 범죄 취약성,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즉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이 많을수록, 범죄 취약 성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높은 지역일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CTV 설치 정도는 부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어, CCTV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 지역에 비해 곳곳에 설치된 지역 일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은 낮아지고 있었다. 3) 범죄 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 중에서 늦은 귀가 정도 는 회귀분석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는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기보다는 범죄의 두려움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결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8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표 Ⅲ-21 >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요인 범죄 피해 경험 개인적 요인 지역사회 요인 방범 활동 통제 변수 변수 4단계 β T값 본인 범죄피해경험.031.595 가족 범죄피해경험.007.128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112 2.590 * 범죄 취약성.384 8.304 *** 만취해서 귀가한 정도 -.072-1.710 집이 비어 있는 정도.047 1.141 물리적 무질서.102 1.757 사회적 무질서.144 2.478 * 지역 애착 -.009 -.196 CCTV 설치1(ref. 설치 안됨, 곳곳에 설치) -.132-1.441 CCTV 설치2(ref. 설치 안됨, 드물게 설치) -.189-2.078 * 성별(ref. 남성).291 6.620 *** 연령대.020.459 지역1(ref. 고양시, 양주시).068 1.312 지역2(ref. 고양시, 수원시).019.395 R 2.530 * p <.05, ** p <.01, *** p <.001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범죄 취약성의 표준화 된 회귀계수값이.38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CCTV 설치 정도(β=-.189), 사회적 무질서(β=.144),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β=.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이 범죄피해를 당할 가 능성이 높거나, 범죄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범죄피해 이전으로 회복하기 어렵 다고 생각할수록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2.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 표 Ⅲ-22 >와 같다. 앞선 결과에서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범 죄피해 경험 중에서 본인 범죄피해 경험, 가족 범죄피해 경험, 그리고 타인 혹 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 요인으로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9

는 범죄 취약성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사회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 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지역 애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통제변수로는 성별, 연령대, 그리고 지역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상호통제하여 살펴보기 위 해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로는 우선 범죄피해 경험에서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 가족 범죄피해 경험, 그리고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 요인들은 모두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인이나 가족이 범죄피해를 경험했을수록, 타인이나 미디어를 통해 범죄에 대 한 간접경험을 할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은 더욱 높아지고 있었다. 요인 범죄 피해 경험 변수 4단계 β T값 본인 범죄피해경험.182 3.769 *** 가족 범죄피해경험.112 2.335 * 타인 혹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122 2.996 ** 개인적 요인 범죄 취약성.434 9.985 *** 지역사회 요인 통제 변수 < 표 Ⅲ-22 >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물리적 무질서.096 1.751 사회적 무질서.186 3.432 ** 지역 애착 -.044-1.074 성별(ref. 남성).181 4.556 *** 연령대.180 4.450 *** 지역1(ref. 고양시, 양주시).049 1.002 지역2(ref. 고양시, 수원시).006.123 R 2.580 * p <.05, ** p <.01, *** p <.001 개인적 요인으로 범죄 취약성도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자신이 범죄에 취약하다고 인식할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을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요인에 대해서는 사회적 무질서만 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사회의 9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무질서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을 커지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구체적 범죄 두 려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범죄 취약성(β=.434)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무질서(β=.186), 본인의 범죄피해 경험(β=.182), 타인 혹 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β=.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범죄 두려 움의 결과에서와 같이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해서도 범죄 취약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특징으로 사회적 무질서도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을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범죄의 징후를 판단하여 두려움으로 이 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91

제4 장 결론 및 정책건의 제 1 절 제 2 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범죄 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 제안 제3장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93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범죄 발생과 범죄 두려움 범죄가 발생한 장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비교한 결과, 3개 지역 중에서 2개 지역에서는 실제 범죄가 발생한 장 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 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1개 지역에서는 실제 범죄가 발생한 장소와 지역 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 간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범죄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공간에 한정하여 시행하기보 다는 지역 주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2. 범죄 취약성 일반적 범죄 두려움이나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범죄 취약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범죄 취약성은 성별에 따라 남성 의 경우에 2.45점이었고, 여성은 2.86점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여성이 신체적으로 범죄에 취약하다고 인지한 결 과로 볼 수 있다. 즉 여성의 경우에 물리적 힘이 남성 범죄자들보다 약하고, 여성들은 공격성이 낮은 행위를 하도록 사회화됨에 따라 방어 능력이 감소하 였기 때문에 범죄 취약성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취약성의 경우에도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낮은 사회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안 95

적, 경제적 지위로 인해 범죄나 무질서 수준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게 되어 범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범죄 두려움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범죄피해의 회복 능력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죄 두려움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다. 3. 무질서 및 지역 사회의 비공식적 통제 이 연구의 결과에서 범죄 두려움에 무질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무질서와 관련된 논의로 깨어진 창이론(Broken Windows Theory)에서는 지역에 깨어진 상태로 방치된 건물의 창문이나, 낙서, 거리에 버려진 쓰레기, 방치된 차 등의 물리적 무질서나 사회적 무질서로 인해 그 지역의 범죄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Wilson and Kelling, 1982). 여기서 단순히 물리적 무질서나 사회적 무질서로 인해 범죄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은 아 니다. 무질서가 오랫동안 이어질 경우에 그 지역 사회의 비공식적 통제가 약화 되고, 지역의 다양한 문제에 무관심하다고 주민들이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결 과로 지역 주민들은 공공장소에 나가는 것을 삼가게 되고, 무질서에 대한 개입 을 줄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은 안전에 대해 걱정을 하게 되고, 범죄에 더 노출되었다고 인식하게 되어 범죄 두려움이 높아진다는 것이 다(Bennett and Falvin, 1994). 이러한 논의는 지역의 무질서가 그 지역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역 주민들의 비공식적 통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4. CCTV 설치 설문조사 결과 CCTV가 설치된 지역이 안전하다는 응답의 비율은 39.5% 로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20.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CCTV의 설치 가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CCTV와 같은 기계적 감시장 치가 지역 주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잠재적 범죄자에게는 범죄의 기회가 감소되는 상황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9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2절 범죄 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 제안 1. 도민의 관점에서 범죄를 바라보는 전략 대부분 범죄지도는 실제로 범죄가 발생된 지역을 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역의 주민이 범죄피해의 두려움을 느끼는 지역에서 실제로 범죄가 많이 발 생되지 않았을 경우라던가, 형사사법기관에서 인지하지 못한 숨은 범죄 (hidden crime)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인 경우가 있다면 그 범죄지도의 효용성 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 움을 반영하여 범죄지도를 구축하게 된다면, 범죄피해의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범죄발생에 대한 정보로 직접적인 범죄피해의 감소와 함께 범죄 를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함께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범죄발생에 대한 정보와 함께 주민들이 체감하는 정보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시민참여형 방범 시스템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CPSCP)) 의 구축이 필 요할 것이다. 범죄발생과 관련된 정보는 공공에서 제공하고, 지역 주민이 체감 하는 범죄 두려움에 대한 정보는 지역 주민이 직접 공공에 정보를 제공하여 범죄의 실제 발생에 대한 상황과 범죄의 징후가 나타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2. 지역사회 무질서 감소 전략 지역 주민이 범죄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한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 그림 Ⅳ-1 >과 같다. 대체로 술취한 사람들, 외국인, 무리지어 다니는 사람들 등의 사회적 무질서와 어두운 곳, 음침한 곳, 골목길, 공장, 공사장 등의 물리적 무질 서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를 범죄의 징후로 인지 하게 되어 범죄 두려움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 공공장소에 서의 주취자에 대한 대응, 2) 공사장이나 공장에서의 환경정비, 3) 골목길의 보안조명 설치와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안 97

지역의 무질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의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 수적이다. 이러한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의 유대나 친밀감 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참여로 이어져야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이웃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웃참여를 향 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연구결과에서 20 30대의 경우에 지역주민과의 친밀감이나 지역 애착, 그리고 집합 효율성이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낮았다. 20 30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맞춤형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 주민이 거주하는 공간에 대한 통제를 통해 지역 도처가 관리되고 있는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즉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전략에서와 같이 자신의 거주 공간에 대한 관리로 물리적 무질서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공간이 관리되고 있는 공간이라고 인식될 수 있다면 범죄를 예방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그림 Ⅳ-1 > 범죄가 발생될 것이라 예상한 이유 9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사회 내의 범죄나 무질서에 대한 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주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공공의 위원회를 통해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고취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기 위한 공간도 필요할 것이다. 지역의 특성에 따라 물리적 공간이거나 가상의 공간을 통해 공론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율방범대의 조직이나 경찰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지역사회의 안전 망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3. 범죄 취약성 감소 전략 범죄 취약성은 스스로 범죄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거나, 범죄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인 낮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따라서 범죄 취약성이 높은 지역주민에 대해 범죄피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방안과 범죄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공의 지원 뿐만 아니 라 지역사회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범죄 취약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 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한 예로 서울시의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 가 있다. 서울시는 2015년 3월 4일부터 늦은 시간 귀가하는 여성들이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도록 집 앞까지 동행해주는 안전 귀가지원 과 취약지 순찰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심귀가서비스를 이용을 원하는 여성이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도착하기 전에 120 다산콜센터에 전화하여 서비스를 신청하면, 신 청자 거주지 구청 야간당직실과 연결해준다. 신청자는 동행해줄 근무자의 이 름과 도착예정 시간을 확인하고, 원하는 장소에 도착하여 근무자를 만나 귀가 한다. 또한 취약지 순찰은 자치구 곳곳을 돌며 성범죄 발생취약지역 및 유흥업 소 지역 주변 등을 집중순찰하고, 자치구 경찰서와 연계하여 위급상황이 발생 했을 경우에 신고하거나 대처하는 서비스이다. 이밖에도 범죄피해 회복 지원을 위한 노력의 예로는 화순군의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 조례 를 들 수 있다. 전국 지자체에서는 최초로 제정된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으로 화순군에 거주하는 범죄피해자와 그 가족의 심리상담과 치료비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안 99

등의 지원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스스로 범죄에 취약하다 는 인식을 하는 지역 주민에게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CCTV 설치를 통한 기계적 감시 CCTV 설치는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범죄가 빈번히 발생되는 지역이나 범죄가 발생될 가능성은 높지만 자연 적 감시가 어려운 지역, 혹은 지역 주민이 범죄의 징후를 인지하고 있는 지역에 CCTV를 설치하여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으로 범죄위험이 높은 지역, 지역 주민이 범죄 두 려움을 인지하는 지역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CCTV의 설치위치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CCTV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10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참고문헌 김연수(2006). 범죄보도와 범죄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중 심으로,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노성호 외(2012). 피해자학, 그린. Bennett, R. R. and Flavin, J. M.(1994).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The Effect of Cultural Setting, Justice Quarterly, 11: 357-381. Brown, L. P. and Wycoff, M. A.(1986). Policing Houston: Reducing Fear and Improving Service, Crime and Delinquency, 33: 71-89. Clarke, R. V.(1992).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Successful Case Studies. Albany, NY: Harrow and Heston. Cordner, Gary.(1986). Fear of Crime and the Police: An Evaluation of a Fear Reduction Strategy,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14 (3): 223 233. Ferguson, K. M. and Mindel, C. H.(2007). Modeling fear of crime in Dallas neighborhoods: a test of social capital theory, Crime and Delinquency, 53(2): 329-349. Franklin, T. W., Franklin, C. A. and Fearn, N. E.(2008).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disorder, and social integration models of fear of crime, Social Justice Research, 21: 204-227. Hough, M.(1995). The Impact of Victimization: Findings from the British Crime Survey, Victimology, 10: 1-4. Killias, M. and Clerici, C.(2000). Different Measures of Vulnerability in Their Relation to Different Dimensions of Fear of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0(3): 437-450. 참고문헌 101

Lewis, D. A. & Salem, G.(1981). Community Crime Prevention: An Analysis of a developing strategy, Crime and Delinquency, 27: 405-421. Ross, C. E. & Jang, S.(2000).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s: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ties with neighbor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8: 401-420. Skogan, W.(1986). Fear of Crime and Neighborhood Change, Crime and Justice, 8: 203-229. Sampson, R. J. & Earls, F.(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77: 918-924. Warr, M. & Stafford, M. C.(1983). Fear of Victimization: A look at the proximate causes, Social Forces, 61: 1033-1043. Warr, M. and Ellison, C.(2000). Rethinking Social Reactions to Crime: Personal and Altruistic Fear in family household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6 (3): 551 573. Wilson, J. Q. and Kelling, G. L.(1982).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Broken Windows, Atlantic Monthly, 127: 29-38. Zhao, J., Schneider, M. & Thurman, Q. C. (2002). The effect of police presence on public fear reduction and satisfaction: a review of literature, The Justice Professional, 15: 273-299. 10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록

부록: 설문지 부 록 105

106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 록 107

108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 록 109

110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 록 111

112 지역 주민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