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SUMMARY 제1장 Introduction 조사연구의 개요 1.조사연구의 배경 3 2.조사연구의 범위 5 3.조사연구의 방법 6 3.1.조사연구방법의 체계 6 3.2.조사연구의 실사방법 7 제4장 World Industry Trends 세계 니트의류산업의 동향 1.세계 니트의류산업 동향 137 1.1.무역환경의 변화 137 1.2.니트기계 선적 동향 145 1.3.니트제품 수급 동향 155 1.4.니트제품 제조비용 동향 166 1.5.미래 니트산업 전망 170 2.주요국의 니트의류산업 동향 177 2.1.중국 177 2.2.이태리 185 2.3.미국 192 2.4.베트남 197 2.5.인도네시아 200 제5장 Competition Analysis 니트의류산업의 경쟁력 분석 1.산업경쟁력 205 2.제품경쟁력 207 3.원가경쟁력 210 제2장 Product & Industry 니트의류산업의 개요 제6장 Industry Injury 니트의류산업의 산업피해 실태분석 1.니트 제품의 개요 11 1.1.니트 제품 Knitted Products 11 1.2.니트 기계 Knitting Machine 14 2.니트 기술의 현황 17 2.1.위편니트 기술 17 2.2.경편니트 기술 24 3.니트용 원사의 수준 25 3.1.다양한 원사의 종류 25 3.2.인조스테이플 섬유 27 3.3.스테이플 방적사 28 3.4.필라멘트 원사 29 3.5.니트 세분시장별 신소재 사용현황 30 4.니트용 기계의 수준 36 제3장 Domestic Industry Trends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동향 1.국내 니트의류산업의 현황 41 2.국내 니트의류산업의 수급동향 48 2.1.생산동향 48 2.2.수출동향 49 2.3.수입동향 54 2.4.소비동향 86 2.5.패션제품 원산지의식 지수 101 2.6.수급동향에 대한 전망 106 3.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기업경영현황 112 3.1.사업장 현황 112 3.2.하청거래현황 114 3.3.미래 생산운용 계획 120 3.4.기업운용의 애로점 122 4.주요 니트제조기업 현황 126 4.1.세아상역 126 4.2.한세실업 129 4.3.한솔섬유 132 1.무역구제제도의 개요 221 1.1.무역거래상의 산업피해 요인 221 1.2.우리나라의 무역구제제도 224 2.FTA와 무역구제제도 225 2.1.WTO 협정과의 관계 225 2.2.우리나라 FTA상 무역구제제도 현황 225 3.니트의류산업의 무역구제조치 발동 사례 226 3.1.반덤핑 226 3.2.세이프가드 227 3.3.불공정무역행위조사 227 4.수입에 의한 산업피해실태 분석 229 제7장 Strategic Suggestion 니트의류산업의 일류화전략 제언 1.SWOT 분석 235 2.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236 3.단기적 전략 : 무역구제제도 적용 237 4.중장기 전략 :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전략 242 4.1.제품차별화를 위한 요소기술의 혁신 242 4.2.생산성향상을 위한 생산기반의 혁신 245 4.3.시장확대를 위한 판로기반의 혁신 252 APPENDIX 1.업체대상 실태조사 설문지 3 2.우리나라의 무역구제제도 11 2.1. 무역구제제도 개요 11 2.2. 무역구제제도 유형별 세부내용 12 2.3. 상계관세제도 20 2.4. 세이프가드 제도 22 2.5. 세이프가드조치 24 2.6. 불공정무역행위 조사제도 25 2.7. 국제무역규범위반 조사제도 27 3.세계 각국의 2008년도 인건비 상세 내역 29
...Table Index [표 1] 한국 니트산업 추이 3 [표 2] 최근 5개년간 편직제 의류 (HSK61) 수출추이 3 [표 3] 최근 5개년간 편직제 의류 수입추이 4 [표 4] 2009년 편직제 의류의 국가별 수입현황 4 [표 5] 니트의류제품의 HS 4단위별 수입 현황 5 [표 6] 연구 문헌자료 목록 8 [표 7] 위편 니팅기계구분 및 기계에 따른 제조품목 14 [표 8] 환편니트기계 14 [표 9] 횡편니트기계 15 [표 10] 경편니팅기계구분 16 [표 11] 편직에 사용되는 섬유와 원사의 사용례 25 [표 12] 세계 섬유 생산량 27 [표 13] 폴리에스테르,아크릴섬유의 특성 28 [표 14] 폴리에스테르사 직물의 물리적 성질 29 [표 15] 비스코스 필라멘트사의 성질 30 [표 16] 엘라스틴 원사의 활용 32 [표 17] EU시장 사용원사의 양 3 [표 18] 유럽 자동차직물 생산자의 시장점유율 35 [표 19] 한국 니트산업 추이 41 [표 20] 표준산업분류표 42 [표 21] 국내 니트산업의 업체 수 추이 43 [표 22] 국내 편조의복 산업의 업체 수 추이 44 [표 23] 국내 편조의복 산업의 종사자 규모별 추이 44 [표 24] 국내 봉제의복 산업의 지역별 추이 45 [표 25] 국내 봉제의복 산업의 종사자 규모별 추이 45 [표 26] 국내 니트산업의 종사자 수 추이 46 [표 27] 국내 편조의복 산업의 종사자 수 추이 47 [표 28] 국내 봉제의복 산업의 업체 수 추이 47 [표 29] 국내 니트산업의 생산액 추이 48 [표 30] 국내 섬유산업의 업종별 수출 추이 49 [표 31]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51 [표 32] 국내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추이 52 [표 33] 국내 니트의류제품(HS61)의 수출국별 현황 54 [표 34] 국내 섬유산업의 업종별 수입 추이 55 [표 35] 국내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입 추이 57 [표 36]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58 [표 37] 국내 니트의류제품(HS61)의 수입국별 현황 59 [표 38] 국내 HS61 국가별 수입추이 61 [표 39] 국내 HS6101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63 [표 40] 국내 HS6102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64 [표 41] 국내 HS6103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66 [표 42] 국내 HS6104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67 [표 43] 국내 HS6105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69 [표 44] 국내 HS6106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0 [표 45] 국내 HS6107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2 [표 46] 국내 HS6108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3 [표 47] 국내 HS6212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4 [표 48] 국내 HS6109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6 [표 49] 국내 HS6110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7 [표 50] 국내 HS6111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79 [표 51] 국내 HS6112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80 [표 52] 국내 HS6114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82 [표 53] 국내 HS6115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84 [표 54] 국내 HS6116 품목의 국가별 수입추이 85 [표 55] 의류시장 복종별 규모 전망 89 [표 56] 제일모직 패션부문의 2009년도 매출분석 89 [표 57] 이랜드 패션그룹의 2009년도 매출분석 89 [표 58] 1000억 매출기업의 매출액 현황 : 2009년 95 [표 59] 세계 의류시장 규모 : 소매 매출기준 95 [표 60] 글로벌 패션시장 지역별 소매가치 추이 95 [표 61] 글로벌패션시장 지역별 소매가치 점유율 추이 96 [표 62] 글로벌패션시장 지역별 소매가치 점유율 추이 96 [표 63]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97 [표 64] 캐주얼제품 구매결정 중요도 평가 : 2010년 상 98 [표 65] 국내 니트의류의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99 [표 66]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인식 수준 101 [표 67] 패션제품 원산지의식 수준 : 2010년 상 102 [표 68]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영향도 : 2010년 상 103 [표 69]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선호국 104 [표 70]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급동향 106 [표 71]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107 [표 72] 해외제품의 수입 전망 107 [표 73] 니트 생산업체의 수입증가 이유 108 [표 74] 니트 유통업체의 수입증가 이유 108 [표 75] 국내외 생산비중 및 격차 여부 109 [표 76] 유통기업의 주요 수입대상국 109 [표 77] 니트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하는 이유 110 [표 78] 거래조건별로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111 [표 79] 니트봉제업체의 지역 분포현황 112 [표 80] 니트봉제업체의 작업장 규모 112 [표 81] 니트봉제업체의 작업장 입주조건 현황 113 [표 82] 국내 니트의류생산기업 외국노동자 보유이유 113 [표 83] 니트봉제업체의 하청생산방식 현황 114 [표 84] 국내 니트생산기업이 보유해야 할 능력 115 [표 85] 국내 니트기업의 기업형태별 지원수준 평가 116 [표 86] 국내 니트기업의 기업형태별 지원수준 평가 117 [표 87] 기업유형별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117 [표 88]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의 개선부문 118 [표 89] 최소 생산량 118 [표 90] 기업유형별 생산리드타임 119 [표 91] 기업유형별 보유 품질보증서 종류 119 [표 92]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기반 변화 내용 120 [표 93] 생산기업이 미래 생산기반의 변화 원인 120 [표 94] 미래 생산력 계획정도별 상세 이유 121 [표 95] 니트 봉제업체의 사업 애로점 122 [표 96]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 개선부문 123 [표 97]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123 [표 98]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생산기업 124 [표 99]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유통기업 124 [표 100] 대정부에 대한 산업발전을 위한 제안내용 125 [표 101] 니트봉제업체의 대정부 요구사항 125 [표 102] 한국 니트의류제조기업의 매출액 추이 126 [표 103] 세아상역 경영성과 추이 127 [표 104] 세아상역 계열사 현황 : 2009년 127 [표 105] 한세실업 경영성과 추이 130 [표 106] 한세실업 계열사 현황 : 2009년 130 [표 107] 한솔섬유 경영성과 추이 132 [표 108] 한솔섬유 계열사 현황 : 2009년 133 [표 109] 우리나라의 FTA 추진현황 138 [표 110] 양국 최종 양허안 비교 138 [표 111] 양국 양허단계별 주요품목 139 [표 112] 미국의 관세철폐시 관세인하 효과 140 [표 113] 한-미 FTA 발효 5년후 관세인하 효과 140 [표 114] 한-미 FTA 발효 10년후 관세인하 효과 140 [표 115] 한-EU간 의류품목의 교역현황 141 [표 116] 세계 환편니트기계 선적국의 추이 146 [표 117] 대형 환편니트기계 선적양추이 : 1995~01 147 [표 118] 아시아국가의 대환편기 선적량추이: 1998~01 148 [표 119] 유럽국가의 대환편기 선적량 추이: 1998~01 149 [표 120] 미주지역의 대환편기 선적량 추이: 1998~01 150
[표 121] 횡편니트기계 선적 추이 152 [표 122] 트리밍 머신 선적량 : 2000~2001 153 [표 123] Castel Goffredo 산업지구의 154 [표 124] Castel Goffredo 산업지구의 154 [표 125] 이태리의 양말기계 설치현황 연도별 점유율 154 [표 126] 경편니트기계의 활용현황, 2000 154 [표 127] 유럽: 지역별 편사의 산업소비량,1990-00 156 [표 128] 서유럽: 원료별 편사의 산업소비량 156 [표 129] 서유럽: 제품별 편사 소비량 추이,1980-10 157 [표 130] 서유럽: 편직물의 수급추이,1980-10 158 [표 131] 서유럽: 봉제니트제품의 수급추이,1980-10 159 [표 132] 서유럽: 스웨터의 수급 추이, 1980-10 159 [표 133] 서유럽: 제품별 원사소비량 추이,1980-10 160 [표 134] 터키: 의복 품목별 니트제품의 소비량 161 [표 135] 터키: 니트제품 EU수출량추이, 1990-10 161 [표 136] 러시아: 편직제품별 생산량 추이,1989-10 162 [표 137] 폴란드: 편사소비량 추이,1990-99 162 [표 138] CIS 국가: 니트제품 생산량 추이,1991-00 162 [표 139] 중국: 니트제품의 EU 수출량 추이,1995-99 163 [표 140] 중국: 니트제품의 USA 수출량 추이,1995-99 163 [표 141] 중국: 니트제품의 일본 수출량 추이, 1999-01 164 [표 142] 인도: 니트제품의 생산량 추이,1990-10 164 [표 143] 스리랑카: 편직물 생산량 추이, 1995-10 164 [표 144] 대만: 편직물 생산량 추이,1990-10 165 [표 145] 태국: 편직물 생산량 추이,1990-10 165 [표 146] 멕시코: 편직물의 생산량추이,1995-01 165 [표 147] 중앙아메리카: 국가별 편직물 생산량, 00 166 [표 148] 브라질: 편직기별 편직의류제품 수급추이 166 [표 149] 환편니트의 편직제조비용 비교 167 [표 150] 국가별 편직원단가격 추이 167 [표 151] 편직원단의 제조비용 비교 (2001) 168 [표 152] 싱글저지 생산과정에서 제조비용 내역 169 [표 153] 더블저지 생산과정에서 제조비용 내역 169 [표 154] 실번수에 따른 여성내의 원가구성비 현황 170 [표 155] 중국 국가경제지표 177 [표 156] 중국 니트업 상위 10대 명단 : 2002년 178 [표 157] 중국 HS 61 수출입액 추이 179 [표 158] 중국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추이 180 [표 159] 중국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단가 추이 180 [표 160] 중국 니트의류의 중국 성별 수출 추이 181 [표 161] 중국 니트의류의 중국 성별 수출 추이 181 [표 162] 중국 니트의류의 지역별 수출 추이 182 [표 163] 중국의 對 한국 니트의류 교역액 추이 183 [표 164] 중국 견니트류 10대 기업 183 [표 165] 중국 모니트류 10대 기업 184 [표 166] 중국 기타 니트류 10대 기업 184 [표 167] 이태리 국가경제지표 185 [표 168] 이태리의 HS 61 (니트의류품목) 수출입액 추이 186 [표 169] 이태리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추이 187 [표 170] 이태리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단가 추이188 [표 171] 이태리 니트의류의 지역별 수출 추이 188 [표 172] 이태리의 對 한국 니트의류 교역액 추이 189 [표 173] 미국 국가경제지표 192 [표 174] 미국의 HS 61 (니트의류품목) 수출입액 추이 194 [표 175] 미국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추이 194 [표 176] 미국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단가 추이 195 [표 177] 미국 니트의류의 지역별 수출 추이 195 [표 178] 미국의 對 한국 니트의류 교역액 추이 196 [표 179] 베트남 국가경제지표 197 [표 180] 베트남의 니트의류 지역별 수출추이:HS6109 199 [표 181] 베트남의 니트의류 지역별 수출추이:HS6110 199 [표 182] 인도네시아 국가경제지표 200 [표 183] 인도네시아 니트의류의 수출 추이 201 [표 184] 인도네시아 니트의류의 단가 추이 202 [표 185] 인도네시아 니트의류의 지역별 수출추이 202 [표 186] 경쟁요인별 제품력 수준 206 [표 187]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207 [표 188]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208 [표 189]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209 [표 190] 세계 섬유의류산업의 시간당 인건비 현황 211 [표 191] 아시아 각국의 의류업계 비용 구조 212 [표 192] 중국과 일본의 생산요소 비용 비교 212 [표 193] 환편니트의 편직생산비용 비교: 원자재 제외 213 [표 194] 국가별 편직원단가격 추이 214 [표 195] 편직원단의 제조비용 비교: 원자재 포함 215 [표 196] 싱글저지 생산과정에서 제조비용 내역 216 [표 197] 더블저지 생산과정에서 제조비용 내역 216 [표 198] 실번수에 따른 여성내의 제품 원가 구성비 현황 217 [표 199] 중국 니트의류기업의 제품제조원가 217 [표 200] 국내산vs.중국산 니트제품 원가비교분석 218 [표 201] 산업피해에 따른 무역구제조치 현황 221 [표 202] 산업의 건강상태여부를 위한 지표조사 항목 223 [표 203] 대중국 섬유 세이프가드제도 개요 225 [표 204] 대미 섬유 특별세이프가드의 특징 226 [표 205]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229 [표 206]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229 [표 207]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229 [표 208] 피해 입은 지식재산권 230 [표 209]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231 [표 210] 산업피해 구제제도 237 [표 211] 원산지별 니트의류제품의 평균소비자가격 239 [표 212]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기반 변화 내용 240 [표 213]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 개선부문 242 [표 214]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243 [표 215]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 생산기업 243 [표 216] 니트의류기업의 對 정부 요구사항 : 유통기업 243 [표 217] 국내니트기업의 기업형태별 지원수준평가 247 [표 218] 최소 생산량 248 [표 219] 니트제품 총리드타임 248 [표 220] 국내 니트생산기업이 보유해야 할 능력 249 [표 221]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의 개선부문 249 [표 222] 개성공단 북한근로자의 월평균급여 250 [표 223] 개성공단 단계별 개발계획 250
...Picture Index [그림 1] 조사연구의 체계 6 [그림 2] 양말편기 15 [그림 3] 경편 니팅기계의 구분 및 특성 16 [그림 4] 서로 다른 니팅기술에 적합한 원사종류 26 [그림 5] 인조섬유의 종류 26 [그림 6] 세계 섬유 생산량 27 [그림 7] 국내니트산업의 업체수 추이 43 [그림 8] 국내니트산업의 종사자수 추이 46 [그림 9] 국내 니트산업의 생산액 추이 48 [그림 10]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출액 추이 50 [그림 11]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출액 증감추이 50 [그림 12] 국내 니트제품의 수출단가 추이 50 [그림 13]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51 [그림 14]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53 [그림 15]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단가 추이 53 [그림 16]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입액 추이 55 [그림 17]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입액 증감추이 56 [그림 18] 국내 니트제품의 수입단가 추이 56 [그림 19]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58 [그림 20]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59 [그림 21]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단가 추이 59 [그림 22] 국내 HS60 수출입액 추이 60 [그림 23] 국내 HS61 수출입액 추이 60 [그림 24] 국내 HS61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1 [그림 25] 국내 HS61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1 [그림 26] 국내 HS6101 수출입액 추이 62 [그림 27] 국내 HS6102 수출입액 추이 62 [그림 28] 국내 HS6101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3 [그림 29] 국내 HS6101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3 [그림 30] 국내 HS6102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4 [그림 31] 국내 HS610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4 [그림 32] 국내 HS6103 수출입액 추이 65 [그림 33] 국내 HS6104 수출입액 추이 65 [그림 34] 국내 HS6103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6 [그림 35] 국내 HS6103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6 [그림 36] 국내 HS6104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7 [그림 37] 국내 HS6104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7 [그림 38] 국내 HS6105 (수출입액 추이 68 [그림 39] 국내 HS6106 수출입액 추이 68 [그림 40] 국내 HS6105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69 [그림 41] 국내 HS6105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69 [그림 42] 국내 HS6106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0 [그림 43] 국내 HS6106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0 [그림 44] 국내 HS 6107 수출입액 추이 71 [그림 45] 국내 HS 6108 수출입액 추이 71 [그림 46] 국내 HS 6212 수출입액 추이 71 [그림 47] 국내 HS6107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2 [그림 48] 국내 HS6107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2 [그림 49] 국내 HS6108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3 [그림 50] 국내 HS6108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3 [그림 51] 국내 HS6212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4 [그림 52] 국내 HS621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4 [그림 53] 국내 HS6109 수출입액 추이 75 [그림 54] 국내 HS6110 수출입액 추이 75 [그림 55] 국내 HS6109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6 [그림 56] 국내 HS6109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6 [그림 57] 국내 HS6110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7 [그림 58] 국내 HS6110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7 [그림 59] 국내 HS6111 수출입액 추이 78 [그림 60] 국내 HS6112 수출입액 추이 78 [그림 61] 국내 HS6112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79 [그림 62] 국내 HS611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79 [그림 63] 국내 HS6112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80 [그림 64] 국내 HS611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80 [그림 65] 국내 HS6113 수출입액 추이 81 [그림 66] 국내 HS6114 수출입액 추이 81 [그림 67] 국내 HS6117 수출입액 추이 81 [그림 68] 국내 HS6114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82 [그림 69] 국내 HS6114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82 [그림 70] 국내 HS6115 수출입액 추이 83 [그림 71] 국내 HS6116 수출입액 추이 83 [그림 72] 국내 HS6115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84 [그림 73] 국내 HS6115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84 [그림 74] 국내 HS6116 국가별 수입량 및 비중 추이 85 [그림 75] 국내 HS6116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85 [그림 76] 패션제품의 구매전망 지수 86 [그림 77] 패션의류제품 구매행동 추이 86 [그림 78] 소매업태별 판매액지수 추이 1 87 [그림 79] 소매업태별 판매액지수 추이 2 87 [그림 80] 품목별 소매업 판매액지수 추이 87 [그림 81] 의류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추이 88 [그림 82] 의류시장 복종별 점유율 추이 88 [그림 83] 1000억 매출기업의 매출액 및 순위: 2009년 89 [그림 84] 세분시장별 패션기업의 매출현황: 2009년 91 [그림 85] 패션 세분시장별 참여기업의 점유율(2010년) 96 [그림 86]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97 [그림 87] 니트의류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98 [그림 88] 니트의류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98 [그림 89] 니트내의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99 [그림 90] 니트 악세서리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99 [그림 91] 분기별 경제성장율 및 민간소비지출 추이 100 [그림 92] 소비자동향지표 추이 100 [그림 93] 분기별 가구소득/지출 증감률 추이 101 [그림 94]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영향도 102 [그림 95]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선호국 103 [그림 96]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선호이유: 2010년상 103 [그림 97] 패션원산지 선호국별 선호 이유: 2010년상 104 [그림 98]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경쟁력 105 [그림 99]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경쟁력 추이 105 [그림 100]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경쟁력 추이 105 [그림 101]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경쟁력 추이 105 [그림 102]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106 [그림 103]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106 [그림 104] 해외제품의 수입 전망 107 [그림 105] 국내외 생산비중 여부 109 [그림 106] 유통기업의 국내외 생산비중 추이 109 [그림 107] 거래조건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111 [그림 108] 거래조건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111 [그림 109] 외국노동자를 보유한 이유 : 100% 기준 113 [그림 110] 외국노동자를 보유한 이유: 2005년 113 [그림 111] 품목별 위탁생산거래형태 114 [그림 112] 유통기업의 위탁생산 거래형태 114 [그림 113] 위탁생산 거래형태 추세: 2010vs.2005 114 [그림 114] 국내 니트생산기업이 보유해야 할 능력 115 [그림 115] 국내 니트생산기업이 보유해야 할 능력 115 [그림 116]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116 [그림 117]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116 [그림 118] 거래처 요구하는 생산기업 혁신 118 [그림 119] 보유 품질보증서 종류 119 [그림 120]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기반 변화 120
[그림 121]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력 계획 121 [그림 122] 생산유형별 미래 생산력 계획정도 121 [그림 123]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애로점 122 [그림 124] 세아상역의 조직도; 2009년 127 [그림 125] 한솔섬유의 조직도; 2009년 132 [그림 126] 대형환편니트기계의 선적국 점유율 추이 145 [그림 127] 대형환편니트기계의 선적양 추이 145 [그림 128] 황편니트기계의 선적국 점유율 추이 151 [그림 129] 횡편니트기계의 선적량 추이 152 [그림 130] 유럽:지역별 편사의 소비점유율 추이 155 [그림 131] 서유럽:원료별 편사의 소비량 156 [그림 132] 편직물의 수요추이: 1980-10 158 [그림 133] 스웨터 제품의 수요추이 159 [그림 134] 봉제니트 제품의 수요추이 159 [그림 135] 서유럽: 원사의 제품별 소비점유율 추이 160 [그림 136] 터키의 니트제품의 EU수출량 추이 161 [그림 137] 중국 HS61의 수출액 및 점유율 추이 178 [그림 138] 중국의 HS61수출입액 추이 179 [그림 139] 중국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179 [그림 140] 중국의 HS61 대한국 수출입액 추이 182 [그림 141] 이태리 HS61의 수출액 및 점유율 추이 186 [그림 142] 이태리의 HS61 수출입액 추이 186 [그림 143] 이태리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187 [그림 144] 이태리의 HS61 대한국 수출입액 추이 189 [그림 145] Santoni Spa의 무봉제 제품 사례 190 [그림 146] Stilnovo spa의 무봉제 혁신상품 190 [그림 147] Missoni 2010/2011 FW Collection 191 [그림 148] Benetton 2005/2006 F/W Catalogue 191 [그림 149] Malo 2010/2011 F/W Collection 192 [그림 150] 미국 HS61의 수출액 및 점유율 추이 193 [그림 151] 미국의 HS61 수출입액 추이 193 [그림 152] 미국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194 [그림 153] 미국의 HS61 대한국 수출입액 추이 196 [그림 154] 베트남 HS61의 수출액 및 점유율 추이 198 [그림 155] 이태리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198 [그림 156] 인도네시아 HS61의 수출액 및 점유율 추이 200 [그림 157] 인도네시아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201 [그림 158] 국가별 산업경쟁력 수준 205 [그림 159]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206 [그림 160]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206 [그림 161] 국가별 제품경쟁력 평가 208 [그림 162]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제품속성 209 [그림 163]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비제품속성 209 [그림 164] 국가별 섬유산업의 평균노동임금 성장추이 211 [그림 148] 이원론적 추세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체계 222 [그림 149] 섬유품목 피소국별 반덤핑조치 현황 226 [그림 150] 지식재산권보호센터 227 [그림 151] 국내 니트업계의 수입피해실태 여부 229 [그림 152] 산업피해 대응방식 230 [그림 153 기업 유형별 산업피해 대응방식 230 [그림 154]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230 [그림 155] 기업유형별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231 [그림 156]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231 [그림 157] 기업별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231 [그림 158] 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236 [그림 159] 니트의류제품(HS61류) 수입 추이 238 [그림 160]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액 추이 238 [그림 161] 국내 HS61 국가별 수입량 추이 239 [그림 162] 국내 HS61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239 [그림 163] 국내 니트산업의 업체수 추이 240 [그림 164]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240 [그림 165]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240 [그림 166]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애로점 242 [그림 167] 디자인혁신요소별 특성 및 혁신활동 이행 순서246 [그림 168]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247 [그림 169] 스페인 ZARA의 공급체제 및 판매체제 248 [그림 170] 위탁생산 거래형태 추이: 2010vs.2005 249 [그림 171] 경기북부지역 섬유업체 분포도 251 [그림 172] 경기북부지역의 단납기 공급 사례 251
10
KNITTED APPAREL SUMMARY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1. 조사연구의 개요 조사연구의 과제명 니트의류산업 경쟁력 조사 조사연구의 배경 한국산 니트의류제품은 우리나라 의류수출의 핵심 품목이었으나,중국을 비롯한 저임금국으로의 생 산기지 이전으로 국내 생산기반은 대폭 축소되었다.그러나 최근 레져 스포츠 문화의 발달로 활동성 과 관리성에서 편리한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나,국내 생산기반이 약화되어 내수 시장은 해외수입품이 잠식하고 있고,해외시장에서도 수출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하락되고 있다. 결국 국내 니트의류산업은 수입의 증가는 산업 공동화로 인한 국민 경제기반 상실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단기적으로 무역구제조치 적용 가능성 조사를 통해 수입을 억제시키고,장기적으로 국내 산업 기반의 고도화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2005년 니트의류산업에 대한 경쟁력 평가에 이어 5년 주기로 재평가를 한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5년간 경쟁력 격차 정도를 분석하여,이를 기반으로 우리 니트의류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전략은 과거보다 더욱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조사연구의 대상 및 목적 본 니트의류산업 경쟁력 조사연구는 니트산업에서 환편니트의류와 횡편니트의류에 한정하여 조사연 구 하였다. [ 관세 통합분류표에 따른 분류 ] 품목구분 품 목 번 호 품 목 설 명 환편니트 6101(남성외의), 6102(여성외의), 6103(남성상하), 6104(여성상하), 6105(남성셔츠), 6106(여성셔츠), 6109(티셔츠), 6112(스포츠의류), 6113(가공의류), 6114(기타의류) 환편기에서 직조하여 원통형의 편성물(일명 저어지, Jersey)이 산출 직물과 마찬가지로 재단 봉제에 의해 의류제품(일명 봉제니트, Cut&Sew Knit)이 완성 크게 니트저지제품과 티셔츠 품목이 있음 횡편니트 6110(가디건) 횡편기에서 제품의 모양에 따라 직조 별도의 재단과 봉제 없이 의류제품(일명 스웨터, Sweater)이 완성 크게 풀오버와 가디건 등의 품목이 있음 본 조사연구는 한국 니트의류산업의 경쟁력 분석 세계 니트의류산업의 현황 분석 한 국 니트의류 소비시장의 미래 수요분석과 수입품 시장대체 가능성 평가 무역거래상 산업피 해요인을 결정하는 기준 연구 등에 대한 것으로,향후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산업기반 강화를 위해 정부 및 업계의 통상 무역 산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3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조사연구방법의 체계 연구조사 목표 수입품 증가로 피해 입은 니트의류산업계 구제조치 전략 수립 1.니트의류산업의 가치사슬 분석으로 산업의 경쟁력 고도화 모색 2.니트제품에대한 내수시장의 미래수요조사 분석으로 수입품 대비 국산의 경쟁력 제고 3.수입품 증가로 인한 산업피해발생 조사를 통해 무역구제조치 적용 여부,세제지원 등 산업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 제언 HS 61류 편물의류제품 17종 HS 60류 편물소재 2종 HS 62류 보정내의류 1종 연구조사 대상 20 종 (핵심연구 11종) 연구조사 가설 및 방법 수입제품증가로 산업피해실태 결과 도출 (조사1) 수요변화로 제품수입증가 (조사2) 산업가치사슬 연계 및 산업경쟁 력 부족으로 제품공급력 약화 (조사4) 수입증가로 국내산업 피해 증가 및 산업붕괴 여부 세계 니트의류제품 수요 및 공급동향 문헌조사 국내 니트의류제품 미래소비수요 전망 설문조사(문헌 활용) 니트의류 산업가치사슬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산 업경쟁력 인식(산업 연계력,생산력,가격,품질, 노동력 등)설문조사 니트의류 산업가치사슬에 있는 기업의 보유기 술력(시설력,품질관리력,생산시스템력,인력, 정보화력,디자인기술력 등)전문가 직접 관찰 조사 니트의류 산업가치사슬에 있는 기업 전 문가의 수입증가 전망 및 산업피해실태 인식 설문 조사 (조사3) 경쟁국의 제품력(가격 품질 디 자인)우위로 국산제품 수요하락 (조사5) 산업피해 과다로 무역구제 조치 발동 가능성 국산 vs.수입 의류제품의 소비자 인식비교(원 산지,가격,품질,디자인등)설문조사 (문헌활용) 국산 vs.수입 니트의류제품의 경쟁력(원료수준, 편직및봉제수준,품질수준,무형가치수준 등)전문 가 관찰비교조사 니트의류 산업가치사슬에 있는 기업 전 문가의 산업보호를 위한 무역구제조치 제언관련 설문조사 해외 무역구제조치 사례 발굴 문헌조사 연구조사 결과 및 제언 니트의류산업 무역구제 적용전략 및 경쟁력 제고 방안 조사 SWOT분석으로 핵심과제 도출 장단기전략 제언 4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2. 조사연구의 결과 및 전략적 제언 2.1. 니트의류제품의 수급은 불균형적 형태 생산 및 수출은 감소하나, 수입과 소비는 증가세 우리나라 니트의류제품의 수급현황을 살펴보면,생산과 수출은 하락 추세이나,소비와 수입은 증가 추세이다.연평균 증감추이를 살펴보면,생산액은 7.2%씩 감소한 결과 수출액도 12.8%씩 감소하였다. 반면,소비액은 6.6% 증가하였고 수입은 3.7%씩 증가하였는데,생산에서 부족한 소비는 수입으로 대체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급동향 ] (단위; 백만불, %) 구 분 단 위 2005 2006 2007 2008 2009 5개년 증감율 생 산 억 원 3조 4282억 3조 4321억 2조 4455억 2조 6414억 - 7.2% * 수 입 백만불 8억 52백만 10억 50백만 12억 66백만 12억 73백만 10억 22백만 3.7% 수 출 백만불 13억 67백만 11억 73백만 10억 03백만 9억 07백만 6억 87백만 12.8% 소 비 ** 억 원 2조 5933억 2조 9880억 3조 4323억 3조 0957억 3조 5774억 6.6% (주) * 생산은 2005~2008년 4개년 증감율 **는 캐주얼복 소비시장에서 니트제품의 소비 `총액임 (출처) 수입과 수출은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생산은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의 광공업통계 소비는 1998~2008년까지 삼성패션연구소 연구자료, 2009년부터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가 발표하는 '한국패션시장트렌드' 각년호 향후에도 수급 불균형 현상은 지속될 전망 [ 국내외 생산비중 여부 ] (출처)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00 해외생산 30.6 28.5 80 38.9 국내생산 51.3 [ 해외제품의 수입 전망 ] (출처)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90 2005년 2010년 83.9p 85 80 77.6p 77.9p 60 75 71.6p 73.4p 40 20 0 (단위: %) 69.4 71.6 GAP GAP 61.1 20.8% 10.5% 48.6 현재 향후5년 현재 향후5년 2005년 2010년 70 65 60 55.0p 55 50 (단위: 0~100p) 전 체 생산기업 유통기업 국내 니트산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현재의 국내외 생산 수준에서 향후 5년 동안은 해외에서의 생산을 증가(현재 총 생산에서 28.5% 수준에서 향후 38.9% 수준까지 증가)시킬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 며,더욱이 수입수준 또한 5년 내에 약 77.6p수준 (100p만점에서 현재 수입수준을 50p일 경우로 가 정)이 될 것으로 예상한 결과를 살펴보면,향후 국내 생산은 감소하고,수입은 더욱 증가되면서 수급 불균형은 심화될 전망이다. 5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1.1. 니트의류제품의 시장수요는 증가될 전망 재도약기의 국내 의류시장 저성장 국면에 있던 의류시장은 2005년부터 재도약기를 맞이 하고 있으며,2009년 의류시장규모는 24조 5천억원었다.향후에도 고용시장의 안정과 소득의 증가,소비자 감도 성숙 등의 긍정적 요인으로 인해 의류시장이 더욱더 회복될 것으로 추정되며,2011년까지 7~8%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 의류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추이 ] 300,000 250,000 시장규모 (억원) 성장률 80% * 2010. 9. 2 기준 60% 40% 200,000 150,000 100,000 50,000 25.1% 13.1% 7.0% 8.1% 0.4% 13.4% 3.8% 7.7% 0.1% -6.1% -5.5% 4.3% -7.0% 275,908 265,788 245,860 233,771 217,315-27.1% 192,588 194,658 180,767 183,886 191,876 205,263 206,102 153,706 153,914 20% 0% - 20% - 40% - 60% (억원) 0-8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예측) * 출처: 1998~2008년까지 삼성패션연구소 연구자료, 2009년부터 지식경제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가 발표하는 '한국패션시장트렌드' 각년호 2011 (전망) 스포츠레저문화의 영향으로, 캐주얼, 스포츠, 내의시장이 시장 성장을 주도할 전망 전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활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캐주얼 스포츠적 라이프스타일의 유행 은 새로운 시장이 성장하게 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100% 80% [ 의류시장 복종별 점유율 추이 ] 5.9 4.9 4.5 3.8 3.8 4.4 4.5 5.9 4.7 5.7 7.9 6.4 7.1 2.6 3.4 3.9 3.6 5.9 5.9 6.2 2.7 4.6 4.4 4.6 4.8 4.3 3.7 3.3 3.4 3.2 3.8 3.2 5.7 7.3 5.7 8.8 2.9 3.9 3.5 5.6 8.8 3.5 7.6 7.9 8.3 5.1 6.4 4.9 3.6 4.3 4.1 3.4 내의류 유아동(0~12세) 60% 40% 20% 22.5 10.5 17.5 7.0 26.9 25.0 30.7 29.0 35.2 33.7 7.9 11.0 10.2 10.1 6.1 4.9 20.9 18.1 16.5 15.0 13.9 11.6 3.5 5.9 5.1 4.6 3.6 3.0 38.6 35.6 37.3 34.5 33.2 33.1 4.2 6.3 4.8 5.4 6.1 7.1 10.0 11.5 11.6 12.1 12.3 12.5 1.7 0.8 1.7 2.6 1.2 2.1 스포츠 골프 캐주얼 외투류(여성) 여성복(정장) 25.1 22.8 22.0 22.8 22.9 22.6 25.7 23.8 22.9 22.9 22.5 22.1 22.3 외투류(남성) 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예측) * 출처: 1998~2008년까지 삼성패션연구소 연구자료, 2009년부터 지식경제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가 발표하는 '한국패션시장트렌드' 각년호 남성복 6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주로 정장 제품(FormalSuit)보다는 활동성이 뛰어난 캐주얼제품이나 스포츠의류제품에 대한 수요를 대폭 확대시키게 되었고,결국 이 2개의 제품은 지난 1998년도에 전체 의류시장에서의 점유율이 31.3%에서 2009년도에는 69%로 성장한 49%를 차지하게 되었다.최근에 내의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TV홈쇼핑의 영향으로 30~50대 신수요 고객을 창출하였고,신체에 대한 보호 및 안정성을 요구한은 유행트렌드의 영향도 분석되고 있다. [ 의류시장 복종별 규모 전망 ] 복종 시점 2009년 실적 성장률 2010년 전망 성장률 2011년 예측 1. 남성복 4조 5711억 3.0% 4조 7131억 1.3% 4조7744억 2. 여성복 3조 6554억 4.3% 3조 8203억 3.2% 3조9426억 3. 캐주얼 9조 6859억 8.6% 10조 6004억 4.2% 11조 456억 4. 스포츠복 2조 9335억 11.7% 3조 3216억 5.8% 3조5143억 5. 외투류 1조 5235억 11.0% 1조 7127억 3.7% 1조7761억 6. 내의류 1조 3695억 11.6% 1조 5497억 8.1% 1조6753억 7. 유아동복 8470억 1.6% 8609억 0.2% 8626억 의류시장 24조 5860억 7.5% 26조 5788억 3.8% 27조 5908억 8. 신발 3조 8676억 7.0% 4조 1577억 5.4% 4조3822억 9. 가방 1조 1130억 2.9% 1조 1461억 3.2% 1조1828억 패션시장 29조 5666억 7.3% 31조 8825억 4.0% 33조 1557억 * 출처: 2009년부터 지식경제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패션협회가 발표하는 '한국패션시장트렌드' 각년호 스포츠레저문화의 영향은 니트의류 소비시장을 급속히 증대시키는 요인 이러한 캐주얼의류시장과 스포츠의류시장의 성장은 이들 시장의 핵심제품인 니트의류제품의 소비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캐주얼의류시장은 지난 2000년부터 10여년간 매년 7.2%씩 성장하였고,2009년 현재 9조 6859억원 이었고,2010년에는 10조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다.캐주얼시장에서의 니트 제품 또 한 7.9%씩 성장하였으며,2009년 현재 3조 5774억원으로 전체 캐주얼시장에서 36.9%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2000년에서 2004년 5년간 7.7%씩 성장한 반면,2005년부터 5년간 6.6%씩 성장한 것이다. [그림 17]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출처) 2008년 까지는 삼성패션연구소, 한국패션소비시장조사(CFI research) 각호 기준이며, 2009년부터는 한국패션협회의 KFI 각호 기준임. (억원) 시장규모 성장율 (%) 40,000 30 35,000 23.9% 3조4323억 3조5774억 25 30,000 23.2% 2조9880억 3조0957억 20 25,000 2조769억 2조5933억 2조4895억 2조4285억 2조3546억 13.4% 15.2% 14.9% 15.6% 15 10 20,000 15,000 10,000 9.8% 1조6812억1조6758억 5.7% 6.8% 1조1488억 - 0.3% - 2.5%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5 0-5 7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캐주얼의류시장 4조8182억 5조5442억 5조6364억 6조4806억 6조4869억 6조8450억 7조3304억 8조7086억 7조4876억 9조6859억 니트의류제품 1조6758억 2조0769억 2조3546억 2조4895억 2조4285억 2조5933억 2조9880억 3조4323억 3조0957억 3조5774억 성장율 -0.3% 23.9% 13.4% 5.7% -2.5% 6.8% 15.2% 14.9% -9.8% 15.6% 점유율 34.8% 37.5% 41.8% 38.4% 37.4% 37.9% 40.8% 39.4% 41.3% 36.9% 티셔츠 1조1233억 1조5829억 1조7942억 1조9501억 1조9668억 2조0778억 2조5154억 2조8925억 2조5671억 2조9180억 스웨터 2119억 2351억 2313억 2210억 2235억 1888억 2068억 1399억 1714억 1554억 가디건 2019억 1450억 1622억 1881억 1758억 2219억 1530억 3120억 2006억 3904억 조 끼 1387억 1139억 1668억 1304억 625억 1048억 1128억 879억 1566억 1137억 (주) 니트의류제품 시장규모는 캐주얼의류시장에서 티셔츠, 스웨터, 가디건, 니트조끼 제품 구입 기준임 점유율은 캐주얼의류시장에서 니트의류제품이 점유하는비율임 (출처) 2008년 까지는 삼성패션연구소, 한국패션소비시장조사(CFI research) 각호 기준이며, 2009년부터는 한국패션협회의 KFI 각호 기준임. 1.2. 니트의류제품의 수입 또한 지속 증가될 전망 수입은 90년대부터 연평균 17.3% 증가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은 지난 90년을 기점으로 20여년동안 연평균 17.3%씩 증가되어,2009년에는 10 억 2천만불을 기록하였고,수입단가도 지난 90년에 kg당 43.9$수준에서 15.9$까지 하락되었다.지난 90년대에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수입단가도 하락된 현상을 보였으나,2000년 이후에는 10~12$대 수준에 서 유지하였고,최근에는 오히려 단가가 16$대까지 상승하였다. [ 니트의류제품(HS61류) 수입 추이 ]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백만불) 43.4 43.7 43.9 수입액 수입단가 1,2661,273 1,049 1,022 26.6 936 938 22.9 863 852 19.8 19.5 20.0 16.5 16.6 591 12.4 13.1 13.9 14.9 16.7 15.9 11.2 11.4 11.4 436 428 333 248 270 415 8 19 42 61 97 141 190 10.5 10.5 10.5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 (불/kg) 중국에서의 수입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90년도 후반기에 4.9%,지난 2000~04년에 19.6%가 증가 되었 으나,최근 2005~09년에는 대폭 하락하여 1.3% 수준이 되었다.2009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총수 입액의 68.7%를 점유하지만,지난 2005년의 77.3%보다는 감소하고 있다.수입량도 총수입량의 83.0%를 점유하지만,지난 2005년의 95.0%보다는 대폭 감소하였다.그 결과 수입단가도 2005년에 kg당 10.6$이 었던 것이 2009년에는 13.2$대로 상승하였다. 8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 국내 니트의류제품(HS61)의 국가별 수입액 추이 ] 2,000 기타국 100 1,500 베트남 중국 중국점유율 70.0 73.0 73.9 78.1 80.7 80.6 80.0 77.3 78.3 78.9 75.6 68.7 80 1,000 500 0 17.5 34.6 43.2 49.5 46.6 44.4 52.4 4 118 172 238 200 104 4.2 7 7 4 4 70 55 3 75 2 11 34 61 123 155 194 225 2 133 197 307 0 0 4 5 40 50 60 124 5 461 160 176 180 6 7 187 7 6 696 754 750 658 220 7 822 251 275 16 35 999 963 (US백만불)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55 65 702 60 40 20 0 (%) 환편의류 수입은 증가하는 반면, 횡편의류수입은 감소 추세 한편,환편의류는 지난 2000년 이후부터 수입이 급증하여 2000~2004년에는 매년 24.5% 성장하였고, 2005~2009년까지도 8.2%의 성장을 보였다.우리나라 효자수출 품목인 장갑부문에서는 금액은 소량이지 만 최근 수입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 (단위; 천불, %) 구 분 1990 1995 2000 2005 2009 연평균증가율 1995-99 2000~04 2005~09 환편의류 28,431 197,603 147,254 477,859 709,104 11.6% 24.2% 8.2% 편직 횡편의류 9,779 114,506 245,575 322,949 245,475 5.7% 13.6% 5.3% 제의류 양 말 2,737 13,297 13,263 36,242 34,883 13.9% 13.8% 0.8% 장 갑 1,317 7,952 8,667 14,846 32,755 3.6% 8.3% 17.1% 직물제의류 보정내의 2,418 22,716 27,129 54,516 55,384 5.9% 9.9% 0.3% 편직물 24,831 52,673 95,730 20,055 14,290 9.9% 26.7% 6.6% (주) 환편의류는 봉제니트의류로써, HS6101. 6102, 6103, 6104, 6205, 6106, 6107, 6108, 6109, 6111, 6112, 6113, 6114, 6117 등 HS 14개에 해당, 횡편의류는 HS6110에 해당되며, 양말은 HS6115, 장갑은 HS6116에 해당되는 것임. 그리고 보정내의는 HS6212, 편직물은 HS60류에 해당됨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2009년 기준으로 6109티셔츠 품목,6011스웨터 품목,6104여성용 상하의 단품품목,6105남성용 셔츠,6114기타가공품목 등의 순으로 수입액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 150,000 100,000 50,000 0 (천불) 수입액 2009 21.5% 27.4% 6.5% 69,925 8.3% 5.3% 9,809 14,607 35,777 11.8% 연평균증가율 2005~09 1.4% 48,172 39,783 31,464 34,937 324,763 215.9% 245,475 6.3% 6.7% 9.4% 13.5% 15,385 18,544 944 24.3% 47,675 3.3% 17,319-5.3% - 0.8% 17.1% 34,883 32,755 55,384 80,471 0.3% 1.1% 6101 6102 6103 6104 6105 6106 6107 6108 6109 6111 6112 6113 6114 6117 6110 6115 6116 6212 60 100% 80% 60% 40% 20% 0% -20% -40% -60% 환편 니트봉제 횡편 스웨터 양말류 장갑류보정내의편직물 9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향후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은 지속 증가될 전망 향후 5년 동안 해외,특히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생산된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이 현재 10억 2천만불 보다 약 20% 내외 수준인 14억 2천불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는 국내 니트산업계에 종 사하는 전문가가 현재 수입 수준 50p에서 향후 5년내에 수입수준이 약 77.6p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 였고,특히 해외생산제품의 납품가격이 국내와의 거래에서 동일한 품질의 제품에 동일거래조건(납기일, 결제방식)일 경우에,국내 생산가격 대비 평균 20~30%가 저렴하다면 해외에서 생산할 수가 있다고 하 였기 때문이다. 90 85 [ 해외제품의 수입 전망 ] 2005년 2010년 83.9p (단위: %) 100 [ 국내외 생산비중 여부 ] 해외생산 국내생산 80 77.6p 77.9p 75 71.6p 73.4p 70 65 60 55.0p 55 50 (단위: 0~100p) 전 체 생산기업 유통기업 80 60 40 20 0 30.6 28.5 51.3 69.4 71.6 GAP 48.6 GAP 20.8% 10.5% 38.9 61.1 현재 향후5년 현재 향후5년 2005년 2010년 한편,니트생산기업은 현재 해외생산을 기업 총생산량의 약 29% 정도를 하고 있으나,향후 5년 내에 40% 정도로 확대할 계획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 2005년 보다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났다.과거에는 내수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유통기업이 생산하청기업에게 저가의 품목을 해외에서 생산 하기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으나,현재 오히려 국내 생산을 증가시키려는 이유는 국내에서 유행성을 고 려한 고가제품과 차별성이 있는 소량 다품종 제품의 필요성과 해외 거래조건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 거래조건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 2010년] 100% 90% 3.9% 2.6% 9.1% 14.3% 50% 이상 [거래조건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2005년] 80% 70% 60% 50% 40% 30% 20% 10% 0% 49.4% 19.5% 28.6% 26.0% 16.9% 5.2% 7.8% 6.5% 7.8% 40~50% 미만 30~40% 미만 20~30% 미만 10~20% 미만 5~10% 미만 5% 미만 상관없음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9.9 10.7 4.1 9.9 24.8 13.2 25.6 24.8 23.1 23.1 8.3 7.4 5.8 7.4 동일거래조건 차이거래조건 50% 이상 40~50% 미만 30~40% 미만 20~30% 미만 10~20% 미만 5~10% 미만 5% 미만 상관없음 동일거래조건 차이거래조건 10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패션 소비자의 제품원산지에 대한 관심이 적어진다는 것도 해외수입을 증가시키는 요인 패션소비자들은 좋아하는 브랜드나 제품이 어느 지역에서 만들었는가 보다는 제품이 마음에 들거 나 제품품질에 따라 가격이 적절한가를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다.브랜드의 원산지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브랜드의 이미지를 손상시킨다는 것은 그냥 무관심 정도로 지나칠 수 있다는 것이다. [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인식 수준 ] ( 0p 원산지 의식 지수 100p) 2009년 2010년 패션의류제품 원산지 의식 수준 옷을 구입할 때는 어느 나라에서 만들었는 지를 확인하는 편이다 옷이 마음에 들면 어느 나라에서 만든 것인 지는 중요하지 않다 브랜드 원산지와 제조국이 달라도 제품이 마 음에 들면 상관없다 가격이 적절하면 제조국이 어디라도 상관이 없다 브랜드 원산지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손상시킨 다고 생각 한다 (출처) 2009년도 상반기& 하반기, 2010 상반기 한국패션시장조사, 한국패션협회&한국섬유산업연합회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55.4p 60.0p 58.5p 57.7p 60.9p 60.3p 58.9p 62.8p 64.1p 60.3p 61.7p 61.2p 55.0p 59.2p 56.0p 전반적으로 패션제품의 제조원산지에 대한 영향도가 높은 제품 1) 은 구매가격이 높은 정장부문으로 남녀 공히 동일한 영향도를 미치고 있다.반면에 디자인 혹은 품질 등의 구매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내의류의 경우는 거의 영향도가 낮은 편이지만,지난 2009년 상반기 조사에 비하여 제조원산지에 대한 영향도가 증가 되는 추세이다. 여성보다 남성이 제조원산지 여부에 대한 영향도가 좀 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 패션의류제품 제조원산지 영향도 ] (출처) 2009년도 상반기& 하반기, 2010 상반기 한국패션시장조사, 한국패션협회&한국섬유산업연합회 정장 의류 구입시 64.0p 캐주얼 의류 구입시 57.8p 스포츠 의류 구입시 내의류 구입시 55.8p 57.5p 2009년 상반기 2009년 하반기 2010년 상반기 1) 귀하가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의 패션제품을 살 때, 브랜드 원산지가 아닌 다른 국가에서 생산했을 경우, 제품선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정장의류, 캐주얼의류, 스포츠 의류, 내의률 구분하여 질문한 결과 11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1.3. 니트의류산업의 생산활동은 대폭 위축될 전망 니트산업은 전반적으로 침체 분위기 니트산업의 생산출하 실적은 지난 2008년 기준 편직물 7,096억원,편직제 의류 1조 39622억원으로, 이는 지난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감율에서 각각 10.7%,10.0% 하락한 것이다.더욱이 종사자수의 증감 추이는 더욱 심각하여 지난 최근 5년간 편직물 산업은 9.5%,편직제 의류산업은 15.1% 하락하였다. 연도 산업구분 사업체수 (개) 월평균 종사자수(명) 출하액 (억원)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5개년 연평균 성장율 (출처)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의 광공업통계, 5인 이상 사업체 대상 [ 한국 니트산업 추이 ] 편직물 1,505 10,606 12,458 편직의복 1,165 9,874 16,362 편직물 1,509 10,134 12,284 편직의복 1,137 8,890 15,002 편직물 1,388 8,683 10,970 편직의복 1,119 9,074 16,244 편직물 1,114 7,336 7,976 편직의복 1,146 9,437 11,704 편직물 927 6,433 7,086 편직의복 1,172 8,455 13,962 편직물 9.2% 9.5% 10.7% 편직의복 0.1% 3.1% 3.1% (주) 성장율은 기하평균으로 산술, 연평균 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임 한편 니트의류산업의 사업체 수가 제조업 대비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지난 2000년에 10.2% 수 중이었던 것이,2008년에는 7.0% 수준으로 지난 2000년부터 연평균 3.1%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서, 산업공동화가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국내 니트산업의 업체 수 및 제조업 대비 비중 추이 ] 구 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연평균증가율 1999-03 2004-08 원단 의류 악세 서리 제조업 297,416 313,246 331,065 333,921 326,973 328,338 333,795 336,955 332,617 320,053 1.9% 0.5% 편조업 기타편조제품 봉제의복 편조의복제조 스타킹,양말 기타편조제품 (장갑,모자,숄, 넥타이 등) 1,226 1,368 1,378 1,503 1,588 1,505 1,509 1,388 1,094 914 (0.4%) (0.4%) (0.4%) (0.5%) (0.5%) (0.5%) (0.5%) (0.4%) (0.3%) (0.3%) 20 13 (0.0%) (0.0%) 25,972 26,965 26,956 26,319 24,664 23,544 22,303 21,723 20,530 19,478 (8.6%) (8.1%) (7.9%) (7.5%) (7.2%) (6.7%) (6.4%) (6.2%) (6.1%) 1,906 2,086 1,932 1,780 1,361 1,165 1,137 1,119 1,146 1,172 (0.6%) (0.7%) (0.6%) (0.5%) (0.4%) (0.4%) (0.3%) (0.3%) (0.3%) (0.4%) 886 892 885 845 809 786 804 783 748 722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686 689 660 674 650 654 668 662 676 695 (0.2%) (0.2%) (0.2%) (0.2%) (0.2%) (0.2%) (0.2%) (0.2%) (0.0%) (0.0%) 5.3% 9.5% 1.0% 3.7% 6.5% 0.1% 1.8% 1.7% 1.1% 1.2% 비 중 10.3% 10.2% 9.6% 9.3% 8.9% 8.4% 7.9% 7.6% 7.1% 7.0% 1.1% 3.6% (주)*()는 제조업 대비 각 산업이 차지하는 정도이며, 비중은 편조업 등 총 6개 산업이 제조업 대비 차지하는 정도임 **기타편조제품은 2007년 이전에는 편조업에 포함되었으나, 2007년 부터는 편조업과 의류업으로 구분되었음. 그러므로 기타편조제품을 2007년 이후 데이터 구분인 의 류업으로 통합화여 분석하였음 ***의복부품의 장갑,모자,숄 등은 레이스 등 기타 의복 부품까지 포함하여야 함. (출처)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의 광공업통계, 전국사업체기초통계조사, 5인이상 사업체 대상 12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 국내 니트산업의 업체수 추이 ] (출처)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의 광공업통계, 5인 이상 사업체 대상 3,000 2,808 2,708 원단 편조업 2,422 편조의복제조 2,500 스타킹/양말 2,029 기타편조제품 1,887 1,906 1,932 2,000 1,782 2,086 1,780 1,503 1,588 1,505 1,509 1,500 1,368 1,378 1,361 1,388 1,226 1,165 1,137 1,114 1,172 965 991 984 1,024 1,056 970 954 948 845 886 892 885 1,000 845 927 780 809 786 804 783 1,119 1,146 748 722 618 604 500 695 731 687 711 785 662 686 689 660 674 650 654 668 662 676 695 (사업체수)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은 대폭 하락할 전망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은 지난 1990년에 24억 98백만불이었으나,매년 5.3%정도 감소되어 2009년에는 6억 87백만불을 기록하였다.이는 지난 2000년도에서 2004년도에 5년동안 연평균 6.4% 감소보다 2005 년부터 연평균 12.8%씩 감소된 결과가 더 높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한편 2009년도 수출액은 지난 2004년 17억 23백만불보다 1/2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 니트의류제품(HS61류) 수출 추이 ] 3,500 3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2,9702,982 수출액 수출단가 2,4982,487 2,3352,332 2,397 2,392 2,313 2,191 2,165 2,024 1,951 2,402 2,021 18.5 18.6 18.7 18.1 1,887 18 17.1 17.4 17.3 17.3 1,723 17.6 16.8 17.4 16.7 16.8 15.9 16.3 15.51,367 14.8 14.9 1,173 1,003 907 14.7 11.4 15.4 687 25 20 15 0 10 (백만불)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불/kg) 한편,미국과 일본 2개국이 지난 2004년에 전체 수출의 64.7%를 차지하였는데 비해,2009년도는 63.0%로 소폭 하락하였다.이는 결국 미 일 지역에 편중된 수출시장에서 타지역으로 다변화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인도네시아,호주,홍콩,베트남,벨기에,러시아연방 등이 수출 증가지역으로의 확 장되었다고 추정된다. 13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3,000 2,500 [ 국내 니트의류제품(HS61)의 수출액 추이 ] 미국 일본 기타국 미일점유율 80 75 2,000 1,500 1,000 500 685 757 714 650 583 566 569 648 932 1,010 933 968 1,087 1,149 902 623 882 719 688 713 726 599 553 680 696 693 641 629 601 615 636 713 700 608 AD 519 326 273 418 264 423 261 914 984 1,009 1,017 1,094 189 1,000 852 687 560 412 350 255 171 181 190 70 65 60 55 420 376 242 0 50 (US백만불)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편직의류제품은 수출 하락 추세, 반면 편직물은 증가세 편직의류제품의 수출이 급속히 감소하는 반면,편직물의 경우는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지난 20년 전인 1990년의 3억 36백만불 수준에서 매년 11.9%씩 증가된 결과로,지난 2000년도에서 2004년도에 5 년동안 연평균 1.8%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1990년부터 5년간 27.3%씩,1995년부터 5년간 12.1%씩, 2005년부터 5년간 3.3%씩 증가된 결과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 (단위; 천불, %) 연평균증가율 구 분 1990 1995 2000 2005 2009 1995-99 2000~04 2005~09 환편의류 1,209,570 1,447,227 1,400,519 659,856 334,077 0.1% 10.5% 12.7% 편직 횡편의류 980,102 497,212 572,514 224,256 67,458 3.0% 3.9% 21.4% 제의류 양말 282,443 339,800 374,596 371,287 183,376 1.1% 1.7% 13.2% 장갑 24,866 27,786 54,414 111,106 102,480 8.1% 13.4% 1.6% 직물제의류 보정내의 85,669 58331 39337 24565 8814 5.5% 9.2% 18.5% 편직물 336,072 1,227,311 2,522,110 387,954 291,533 12.1% 1.8% 3.3% (주) 환편의류는 봉제니트의류로써, HS6101. 6102, 6103, 6104, 6205, 6106, 6107, 6108, 6109, 6111, 6112, 6113, 6114, 6117 등 HS 14개에 해당, 횡편의류는 HS6110에 해당되며, 양말은 HS6115, 장갑은 HS6116에 해당되는 것임. 그리고 보정내의는 HS6212, 편직물은 HS60류에 해당됨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 150,000 수출액 2009 연평균증가율 2005~09 127,533 66.5% 183,376 3,158,111 100% 80% 102,480 60% 100,000 40% 50,000 0 (천불) -43.0% -28.9% - 30.1% 224 1,243 1,875 65,390-5.7% -20.3% -22.7% -0.5% 25,293 30,268 14,405 6,022-16.5% -11.2%- 4.9% -28.4% 25,340 882 627 5,851 67,458-1.6% -10.3%-11.4% -13.2% -21.4% -18.5% 29,124 6101 6102 6103 6104 6105 6106 6107 6108 6109 6111 6112 6113 6114 6117 6110 6115 6116 6212 60 8814 3.3% 20% 0% -20% -40% -60% 환편 니트봉제 횡편 양말류 장갑류보정내의편직물 스웨터 14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그러나 미래에 대한 경기전망은 긍정적 지표로 전환 중 그러나 업계에서는 지난 2005년 보다는 수출시장환경과 내수소비시장환경이 지난 시기보다 소폭 회복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특히 제조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이 소비시장에서 활 동하는 유통업체들 보다 미래산업환경에 대해 좀 더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니트산업 자체의 산업구조가 약화되는 것이 사실이지만,미래에 대한 전망이 호전적 이므로,산업에 대한 질적인 구조 변화와 경쟁력 제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 (단위: 0~100p) 90 80 70 60 해외수출시장의 증가 전망 내수소비시장의 증가 전망 기업경영매출의 증가 전망 59.2p 63.3p 68.4p 58.9p 45.3 65.4p 62.5p 72.7p 69.5p [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추이 ] 기업경영매출의 68.4p 증가 전망 55.8p 내수소비시장의 63.3p 증가 전망 45.3 50 해외수출시장의 증가 전망 46.3p 59.2p 2010년 2005년 40 전 체 생산기업 유통기업 (단위: 0~100p) 40 45 50 55 60 65 70 1.4. 국내 니트의류산업 경쟁력은 열세 수준 국내 사업기반의 열세로, 사업 중단 혹은 국외 이전 기업이 증가 수입증가로 인해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건강상 태가 악화된 것은 사실이다.특히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수입품의 국내 수요시장 침투로,영 세한 국내 니트의류기업들의 납품물량 감소 내지 납품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지표가 하락되어,사업을 중단하거나 중국으로의 기업 이 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수입증가의 원인으로 국내 니트 의류산업의 건강상태가 악화된 것보다는 국내 니 트의류산업의 가격경쟁력 및 제품차별화 경쟁력이 [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기반 변화 내용 ] 구 분 2005년 2010년 증 감 없 음 23.0 37.7 63.9% 공장신설 17.2 13.2-23.3% 공장확장 30.3 20.8-31.4% 공장취득 7.4 1.9-74.3% 공장해외이전 4.1 9.4 129.3% 공장폐쇄 4.9 1.9-61.2% 일시휴업 12.3 1.9-84.6% 생산단축 23.0 3.8-83.5% 조직변화 15.6 9.4-39.7%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 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수입국에 비해 상대적인 열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내 소비자(유통기업 포함)가 국산제품을 외면하 는 것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15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산업기반력에서 선진국과는 경쟁열위 수준이 지속되는 추세 한국의 생산기반력 수준을 50p로 보았을 때,한국은 이태리와 일본과는 대부분의 경쟁항목에서 열세 를 보인 반면,중국과는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다. [ 국가별 산업경쟁력 수준 ] (단위: 0~100P) 90 80 70 62.2 59.7 60 55.4 50 44.4 70.9 71.5 78.5 75.0 84.7 82.6 72.3 70.9 한국 중국 일본 이태리 67.4 66.0 63.5 61.5 59.5 56.1 54.2 55.6 50.6 50.0 50.7 40 35.6 30 26.1 25.0 23.3 26.7 20 작업장규모 기계설비수준 정보력 디자이너수준 상품기획력 생산인력수준 생산품질력 납품가격수준 납기일수준 업무협조수준 이태리는 상품구성력 및 기획력,전문디자이너 확보 수준 등 디자인 기획력 기반경쟁력이 탁월하고, 소규모 전문 프로모션과 장인정신의 가내 소기업 등의 협력기반 등이 우수하여 경쟁력 높은 차 별화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일본의 경우도 정보입수력과 품질문제 대응,품질보증 체제의 정 착 등 제품품질 표준화가 잘되어 있어,생산성 향상은 물론,제품규격의 표준화로 소비자 만족 도가 제고된다는 측면이 강하다.반면,중국은 설비규모의 거대화 및 최신 설비화를 이루었으 나,전반적인 생산기반기술력은 경쟁열위에 있어서,적어도 한국과의 격차는 2~5년 정도,일본이 나 이태리와는 4~7년 정도의 격차가 나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지난 2005년과 대비하여 전반적으로 선진국과는 열세적 경쟁력이 많이 호전되었고,중국과는 격차가 비슷한 수준으로 전환되었다. [ 경쟁요인별 제품력 수준 ] (단위 : 한국기준=50P) * 한국과의 격차수준 경 쟁 요 인 한국 중국 일본 이태리 중국 일본 이태리 작업장 설비규모의 적정성 50.0 62.2 55.4 59.7-12.2-5.4-9.7 기계설비의 최신식화 50.0 44.4 70.9 71.5 5.6-20.9-21.5 정보 입수 및 분석력 50.0 26.1 75.0 78.5 23.9-25.0-28.5 전문디자이너확보 50.0 17.2 72.3 84.7 32.8-22.3-34.7 상품구성 및 기획력 50.0 18.9 70.9 82.6 31.1-20.9-32.6 우수 생산인력 보유 50.0 35.6 59.5 67.4 14.4-9.5-17.4 생산품질 안정성 50.0 25.0 63.5 66.0 25.0-13.5-16.0 납품가격 수준 50.0 50.6 50.0 50.7-0.6 0.0-0.7 납기일 준수 50.0 23.3 56.1 54.2 26.7-6.1-4.2 거래 기업과의 업무협조 노력 50.0 26.7 61.5 55.6 23.3-11.5-5.6 기업경영신뢰성 50.0 20.0 70.9 65.3 30.0-20.9-15.3 (주) 평가방법은 한국의 경쟁요인 지수를 보통인 50p로 보고 조사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50<면 경쟁우위, 50=면 경쟁동등, 50>면 경쟁열위 임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주) 한국과의 격차 수준에서 -(마이너스)는 한국 입장에서 각국가와의 경쟁력이 열세라는 것이고, +(플러스)는 각국과와의 경쟁력이 강세라는 것임. 16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단위 : 한국기준=50P) * 한국과의 5년 동안 격차 차이 항 목 [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 중국 일본 이태리 2005 2010 2005 2010 2005 2010 작업장 설비규모의 적정성 63.0 62.2 63.8 55.4 66.8 59.7 기계설비의 최신식화 49.2 44.4 74.1 70.9 74.1 71.5 정보 입수 및 분석력 23.5 26.1 77.0 75.0 85.2 78.5 전문디자이너확보 15.8 17.2 73.2 72.3 86.5 84.7 상품구성 및 기획력 16.8 18.9 72.8 70.9 86.5 82.6 우수 생산인력 보유 40.8 35.6 60.7 59.5 68.4 67.4 생산품질 안정성 31.2 25.0 67.3 63.5 65.2 66.0 납품가격 수준 62.3 50.6 52.5 50.0 48.9 50.7 납기일 준수 34.6 23.3 63.7 56.1 50.8 54.2 거래기업과의 업무협조노력 34.0 26.7 66.4 61.5 57.8 55.6 기업경영신뢰성 29.7 20.0 67.3 70.9 66.2 65.3 중국 일본 이태리 -0.8-8.4-7.1 4.8-3.2-2.6-2.6-2.0-6.7-1.4-0.9-1.8-2.1-1.9-3.9 5.2-1.2-1.0 6.2-3.8 0.8-11.7-2.5 1.8 11.3-7.6 3.4 7.3-4.9-2.2 68.9 3.6-0.9 (주) 평가방법은 한국의 경쟁요인 지수를 보통인 50p로 보고 조사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50<면 경쟁우위, 50=면 경쟁동등, 50>면 경쟁열위 임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2005년 조사는 5월 13일~6월 30일 203개사 대상 조사 결과 (주) 한국과의 격차 수준에서 -(마이너스)는 한국 입장에서 각 국가와의 경쟁력에서 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감소세라는 것이고, +(플러스)는 각 국과와의 경쟁력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증가 했다는 것임 제품 경쟁력에서도 전반적으로 열세가 지속 제품경쟁력에서도 선진국과의 경쟁력 열세가 지속되고 있다. [ 국가별 제품경쟁력 평가 ] (단위: 0~100P) 한국 중국 일본 이태리 100 90 85.7 81.0 77.9 80 77.1 79.6 70 64.6 69.4 68.1 64.1 63.2 65.1 67.0 68.1 62.9 60.9 63.2 60 56.1 53.5 50.0 50.0 50.0 50.0 50.0 50.0 49.6 50.0 50.0 50.0 50.0 50 40 30 20 10 30.9 31.3 25.7 23.7 23.7 18.0 18.0 18.0 17.1 15.7 13.0 디자인유행성 소재고급성 색상우수성 제품품질 치수안정성 세탁관리성 친환경수준 가격수준 브랜드력 원산지수준 [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 (단위 : 한국기준=50P) * 한국과의 격차수준 경 쟁 요 인 한국 중국 일본 이태리 중국 일본 이태리 디자인의 유행성 50.0 18.0 64.6 77.9 32.0-14.6-27.9 소재의 고급성 50.0 18.0 69.4 81.0 32.0-19.4-31.0 색상의 우수성 50.0 18.0 64.1 77.1 32.0-14.1-27.1 제품의 완성품질 50.0 23.7 63.2 62.9 26.3-13.2-12.9 치수안정성 50.0 23.7 60.9 56.1 26.3-10.9-6.1 세탁관리의 편리성 50.0 30.9 53.5 49.6 19.1-3.5 0.4 친환경적 제품규격 50.0 17.1 65.1 63.2 32.9-15.1-13.2 저렴한 가격성 50.0 68.1 31.3 25.7-18.1 18.7 24.3 유명 브랜드력 50.0 13.0 67.0 85.7 37.0-17.0-35.7 원산지의 선진성 50.0 15.7 68.1 79.6 34.3-18.1-29.6 (주) 평가방법은 한국의 경쟁요인 지수를 보통인 50p로 보고 조사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50<면 경쟁우위, 50=면 경쟁동등, 50>면 경쟁열위 임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주) 한국과의 격차 수준에서 -(마이너스)는 한국 입장에서 각 국가와의 경쟁력에서 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감소세라는 것이고, +(플러스)는 각 국과와의 경쟁력 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증가 했다는 것임 17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수준 ] (단위 : 한국기준=50P) * 한국과의 5년 동안 격차 차이 중국 일본 이태리 항 목 2005 2010 2005 2010 2005 2010 디자인의 유행성 17.0 18.0 67.0 64.6 82.0 77.9 소재의 고급성 17.7 18.0 70.0 69.4 83.4 81.0 색상의 우수성 15.0 18.0 65.0 64.1 83.4 77.1 제품의 완성품질 26.0 23.7 58.9 63.2 58.6 62.9 치수안정성 27.8 23.7 58.3 60.9 52.8 56.1 세탁관리의 편리성 28.4 30.9 58.2 53.5 51.0 49.6 친환경적 제품규격 20.1 17.1 61.9 65.1 58.9 63.2 저렴한 가격성 76.3 68.1 39.2 31.3 32.9 25.7 유명 브랜드력 11.6 13.0 62.4 67.0 87.6 85.7 원산지의 선진성 18.6 15.7 66.2 68.1 79.8 79.6 중국 일본 이태리 -1.0-2.4-4.1-0.3-0.6-2.4-3.0-0.9-6.3 2.3 4.3 4.3 4.1 2.6 3.3-2.5-4.7-1.4 3.0 3.2 4.3-8.2-7.9-7.2-1.4 4.6-1.9 2.9 1.9-0.2 (주) 평가방법은 한국의 경쟁요인 지수를 보통인 50p로 보고 조사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50<면 경쟁우위, 50=면 경쟁동등, 50>면 경쟁열위 임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2005년 조사는 5월 13일~6월 30일 203개사 대상 조사 결과 (주) 한국과의 격차 수준에서 -(마이너스)는 한국 입장에서 각 국가와의 경쟁력에서 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감소세라는 것이고, +(플러스)는 각 국과와의 경쟁력 2005년 대비 2010년에 격차가 증가 했다는 것임 1.5. 수입증가로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은 편으로 추정 대부분 기업이 수입제품 증가 및 덤핑수입으로 산업피해를 입은 상태 국내 니트의류업계는 덤핑수입판매와 수입수량 증가에서 생산기업 10개 기업 중 6개정도가 피해를 입은 적이 있었다.반면,소비시장에서 활동하는 유통기업은 수입제품의 수량증가는 물론,디자인 침해 나 브랜드 도용 등의 지식 재산권 피해가 많은 편이었다.향후에는 수입제품의 수량 증가문제도 대책 을 마련하여야 하지만,제품의 지식재산권 보호에도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시기로 판단된다. [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 [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 산업피해요인 평균 생산기업 유통기업 덤핑수입피해 48.2 55.0 39.3 보조금지원수입피해 43.0 45.5 40.0 지식재산권수입피해 47.3 45.3 50.0 원산지표시위반 수입피해 45.5 46.5 44.3 수출입질서 저해수입피해 47.0 48.8 45.0 (주)100점만점 기준으로, 평균 50점보다 점수가 높을 수룩 피해를 입었 다는 것이고, 평균 50점 보다 점수가 낮을 수룩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함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한편,2005년에 비해 덤핑수입과 보조금 수 입 등의 피해는 감소되었으나,지식재산권 피 해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피해를 입은 지식재산권으로는 디자인권이 대부분이고,상 표권도 침해를 받았다. 항 목 2005년 2010년 덤핑수입피해 57.2 48.2 보조금지원수입피해 46.6 43.0 지식재산권수입피해 45.1 47.3 원산지표시위반 수입피해 44.2 45.5 수출입질서 저해수입피해 46.6 47.0 (주)100점만점 기준으로, 평균 50점보다 점수가 높을 수룩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고, 평균 50점 보다 점수가 낮을 수룩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함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2005년 조사는 5월 13일~6월 30일 203개사 대상 조사 결과 [피해 입은 지식재산권] 지재권 전체 생산 브랜드 상표권 25.0 23.1 26.7 디자인권 46.4 38.5 53.3 기타 28.6 38.5 20.0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8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산업 피해에 대한 대응 방식은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결 한편,국내 니트의류기업들이 이러한 불공정 무역에 의해 기업이 피해를 입었더라도,미래적으로 경 쟁력을 확보하여 생산력을 증대시키고,무역구제기관과의 상담을 통해 해결해 가려는 의지가 전체의 74%를 차지하고 있다.그러나 정부는 기업의 이러한 극복의지에 대해 사기 진작을 위한 관심과 적극 적인 지원을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업피해 대응방식 ] 기업 유형별 산업피해 대응방식] 무역위원 회 등 행 정기관에 구제신청 16.7% 법적대응 기타 2.1% 22.9% 무역규제 기관과 상담 30.1% 경쟁력 확 보로 생산 량 증대 44.2% 50 40 30 20 10 0 (%) 생산 21.2 21.2 6.7 무역규제기관과 상담 브랜드 40.0 생산중단 및 포기 39.4 13.3 경쟁력 확보로 생산량 증대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8.2 33.3 법적대응 기타 그러나 60% 기업이 불공정무역에 대해 제소할 의지를 보유 그리고 국내 니트의류기업의 85%가 무역위원회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80 [기업유형별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73.8 알고는 있으 들어본적도 없다 13.4% 70 60 50 생산 브랜드 64.1 나, 활용한 적은 없다 21.6% 들은적은 있 으나 자세히 는 모른다 60.3% 40 30 20 10 0 14.3 5.5 11.9 30.4 (%) 알고 있는 편이다 들은 적인 있어나 자세히는 모르는 편이다 들어본 적도 없다 하지만 의류기업 60% 정도는 무역위원회를 통해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를 고려하고 있으 나 그 역할에 대해 상세히 모르기 때문에 주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러므로 무역위원회의 활동에 대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꼭제소 하겠다 15.2% 제소하지 않겠다 5.6% 80 70 60 50 [기업별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70.7 생산 브랜드 56.1 그저 그렇다 17.3% 그저 그렇다 63.4% 40 30 20 10 4.9 9.2 34.1 13.6 4.9 6.4 0 (%) 꼭 제소 하겠다 제소를 고려해 보겠다 그저 그렇다 제소하지 않겠다 19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우리는 1980년대에 무역구제조치를 당한 경험이 있음 사실 우리는 현재까지 니트의류제품에 대해 무역구제조치를 취한 적은 없었으나,우리 수출의 주요 대상국인 일본과 미국에서 지난 80년대에 우리에게 무역구제조치를 취한 적이 있었다.지난 1987년에 일본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에서 한국산 스웨터류에 대해 반덤핑을 제소하였으나,1989년에 일본이 요 구한 제품 자율규제를 우리나라가 실시함에 따라 반덤핑제소가 취하되었다.그리고 1989년에는 미국의 니트웨어 및 스포츠웨어협회에서 우리나라 외 홍콩,대만 등 3국의 스웨터 품목에 대해 반덤핑관세 부 과를 요청하였고,1990년에 우리나라에게 평균덤핑마진율 1.30%를 부과하기로 최종 판정되었으며,이 후 1994년에 종결되었다. 1.6. 현재의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려는 니트의류 산업계 침체된 산업 환경에서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력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 40% 이상이 미래를 위해 공장 확장이나,새롭게 신설 혹은 취득을 통 해 투자기반을 확대하려고 한다.물론 수출기업이 주로 공장 확장에 주력하는 반면,내수기업은 공장신설을 통해 투자를 확대하려는 경향이 있다.그리고 운영 사업체를 축소하려는 의지는 5% 내외 밖에 되지 않은 반면,일시적인 휴업이나 생산단축을 통해 생산을 조절하려고 한다.결국 기업의 경영환경이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오히려 기업운영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신감, 미래에 대한 시장기회를 기대하는 심정이 더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미래 생산투자에 대한 의지력 증감 추이 ] [ 미래 생산투자에 대한 의지력 ] 생산 단축 공장 취득 공장 폐쇄 일시 휴업 3.8% 조직변화 9.4% 공장해외 이전 9.4% 1.9% 1.9% 1.9% 없었다 37.7% 공장신설 13.2% 공장 확장 20.8% 구 분 2005년 2010년 증 감 없 음 23.0 37.7 63.9% 공장신설 17.2 13.2-23.3% 공장확장 30.3 20.8-31.4% 공장취득 7.4 1.9-74.3% 공장해외이전 4.1 9.4 129.3% 공장폐쇄 4.9 1.9-61.2% 일시휴업 12.3 1.9-84.6% 생산단축 23.0 3.8-83.5% 조직변화 15.6 9.4-39.7%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더욱이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 33%가 미래에 생산을 증가시키고 28%는 동결한다고 한 반면, 18% 정도만이 생산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는데,이는 경쟁력 감소 및 국내 경기 하락으로 수주량 이 일시 감축된 것으로,향후 우수한 품질력과 납기력,차별화된 상품력을 보완한다면 수주량을 증가될 수 있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니트의류기업들의 투자 의지는 생산성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글로 벌시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품종 소량 및 단납기 생산에 따른 편직공장 신설,딜리버리 단축을 위해 20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Summary 생산시스템 개편,공장 신설 자동화 설비확충으로 품질 및 생산 효율을 높이고 지방 공장 신설을 통 한 원가절감과 생산 전문화를 위한 노력,샘플제작의 원활과 품질 개선방안 조기납품을 위한 방법,계 절적 수요변동의 심화에 대응,그리고 거래처의 근접기획과 글로벌 경영에 맞추는 방안 등이다.그러 므로 국가와 관련단체,기업 스스로는 산업의 자가 집단을 통해 기업경쟁력 및 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장기적인 정책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가격 및 인력경쟁력, 디자인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 현재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문제는 가격경쟁력 약화에 대 한 대응방안이 절실하다는 점 이다.전반적으로 우리의 인건 비가 급속도록 상승하고,생산 기반시설 운영의 높은 비용 및 자금 조달의 애로점 등으로 생 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 개선부문 ] (단위 : %) 항 목 1순위 2순위 3순위 전체 품질의안정화및고급화 54.8 16.1 10.7 27.8 납품가격의 지속적 개선(낮은 가격) 12.9 32.3 28.6 24.4 시장 정보력 증대로 유행상품 개발 12.9 3.2 14.3 10.0 우수인력 확보로 디자인의 우수성 증대 9.7 9.7 7.1 8.9 단납기 및 납기의 정확성 6.5 32.3 28.6 22.2 업무교류 및 업무방식의 선진화(정보화) 3.2 6.5 10.7 6.7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것은 사실이다.그러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생산원가 대비 제품품질 및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 여 제품의 납품가격을 높이는 방안이 있을 수도 있으며,반면에 생산단가를 낮추는 노력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있다.즉 가격경쟁력 강화전략과 제품 차별화전략의 두 가지 방안에서 다각 적인 전술이 요구되는 것이다. [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애로점 ] (%) 0 10 20 30 40 납품가격의 하락 29.1 원부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의 상승 16.3 15.6 현장 생산인력 부족 제품품질 및 디자인 요구수준 증대 9.9 9.2 국내기업간의 과다경쟁 고급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6.4 5.0 2005년 조사결과 납품가격의 하락 인건비의 상승 국내기업간의 과다경쟁 수입품의 내수시장 잠식 원부자재가격 상승 제품품질 및 디자인 요구수준 증대 현장 생산인력의 부족 자금조달의 어려움 자금조달의 어려움 수입품의 내수시장 잠식 증대 2.8 4.3 고급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판로확보의 어려움 생산시설의 노후화 정부규제 0.7 0.7 생산시설의 노후화 정부규제 유통기업에서도 생산업체에 다양한 지원이 필요 니트의류생산기업의 거래처인 유통기업에서도 품질의 안정화와 고급화 납품가격의 지속적 개 선 전문디자이너를 확보하여 디자인력을 증대 단납기 및 납기의 정확성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니트의류업계가 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요한 이유인 것이다. 21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Introduction [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 생산 유통 (단위: 점) 20 30 40 50 60 70 80 GAP 부자재노미수준 제품기획설명 68.3 68.8 68.1 68.8 0.4 0.7 거래의투명성 65.8 13.9 79.7 생산지원 대금결제방식 제품정보제시 수주량 검사기준 업무절차편의성 편사노미수준 오더배정의공정성 트렌드정보제공 샘플요구채택 수주절차 납기일 가격결정방식 임가공료 62.2 71.9 62.2 69.5 60.6 61.7 60.6 69.5 60.0 72.7 59.1 68.8 58.5 63.3 57.2 77.3 56.4 50.8 54.9 58.1 54.5 63.7 53.9 71.9 46.6 60.9 33.5 53.1 9.6 7.3 1.1 8.9 12.7 9.7 4.8 20.1-5.6 3.2 9.2 18.0 14.3 19.6 기술지원 31.8 46.1 14.3 납품가격 샘플비보상 31.5 53.1 21.6 23.1 41.4 [ 생산기업이 요구하는 사항 순위 변화 ] 항목 샌산기업이 요구 순위 2010 2005 부자재노미수준 1 19 제품기획설명 2 18 거래의투명성 3 16 생산지원 4 14 대금결제방식 5 8 수주량 6 12 제품정보제시 7 20 검사기준 8 6 업무절차편의성 9 15 편사노미수준 10 1 오더배정의 공정성 11 4 트렌드정보제공 12 7 샘플요구채택 13 5 수주절차 14 2 납기일 15 9 가격결정방식 16 13 임가공료 17 10 기술지원 18 3 납품가격 19 17 샘플비보상 20 11 (주) 2010년 5~6월 한국니트의류기업 81개사(생산전문기업 49개, 패션브랜드기업 32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2005년조사는 5월 13일~6월 30일 203개사 대상 조사 결과 1.7. 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정책방안이 필요 [ 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 우리 니트의류산업은 수입제품의 내수시 장 잠식으로 기업의 생산기반력이 상실되어 있 고 수요시장은 저렴한 가격의 제품과 디자인 가치를 주는 고급 명품제품을 선호하는 등 양극 화 현상이 심화되어 있다. 그러나 니트의류 제품에 대한 유행이 확산되어 대중화되면서 수 요가 급속도록 증가되고 있으므로 국내외 판로확산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산업 회 복의 기회 시점이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산업 환경에서 우리는 단기적으로 수 입증가로 인한 산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사업 혁신목표 산업보호 와 혁신목표를 달성할 수 있 는 혁신과제로 수입에 대한 감시시스템 을 구축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산업기반의 선진화를 통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 하여야 하는데,이를 위해 제품차별화, 생산원가절감, 시장확대 의 3대 사업혁신목표에 따라 각각 니 트의류제품의 요소기술의 혁신, 산업기반의 혁신, 판로확대 등의 혁신과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22
KNITTED APPAREL Introduction 조사연구의 개요 1. 조사연구의 배경 2. 조사연구의 범위 3. 조사연구의 방법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Introduction 1. 조사연구의 배경 니트의류제품은 레져 문화의 지속적인 발달로 그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반면,국내 생 산기반의 고도화 미흡으로 해외에서의 제품 수입이 가중되어 산업기반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니트산업의 생산출하 실적은 지난 2008년 기준 편직물 7,096억원,편직제 의류 1조 39622억원으로, 이는 지난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감율에서 각각 10.7%,10.0% 하락한 것이다.더욱이 종사자수의 증감 추이는 더욱 심각하여 지난 최근 5년간 편직물 산업은 9.5%,편직제 의류산업은 15.1% 하락하였다. [표 1] 한국 니트산업 추이 연도 산업구분 사업체수 (개) 월평균 종사자수(명) 출하액 (억원)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5개년 연평균 성장율 편직물 1,505 10,606 12,458 편직의복 2,605 19,129 23,633 편직물 1,509 10,134 12,284 편직의복 2,609 17,424 21,999 편직물 1,388 8,683 10,970 편직의복 2,564 17,362 23,347 편직물 1,114 7,336 7,976 편직의복 1,146 9,437 11,704 편직물 927 6,433 7,086 편직의복 1,172 8,455 13,962 편직물 9.2% 9.5% 10.7% 편직의복 14.8% 15.1% 10.0% (출처)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의 광공업통계, 5인 이상 사업체 대상 (주)성장율은 기하평균으로 산술, 연평균 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임 니트산업의 하락은 지난 수년간 지속된 수출실적의 대폭적인 감소와도 영향이 있다.편직제 의류수 출이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약 12.8% 하락한 것이다. [표 2] 최근 5개년간 편직제 의류 (HSK61) 수출추이 연 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단위 : 천불) 5개년 연평균성장율 금 액 1,366,504 1,172,501 1,003,390 906,798 687,391 전년 대비 증감율 20.7% 14.2% 14.4% 9.6% 24.2% 12.8% (출처)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주)성장율은 기하평균으로 산술, 연평균 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임 결국 편직제 의류시장의 수요는 지속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국내에서의 생산력 부족으로 인해 해외로 부터의 제품 수입이 지속 증가되어,국산제품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5년 동안 편직 제 의류의 수입은 3.7% 증가되었다.이는 지난 2000년부터 2004년 5년간 평균 30% 성장한 시기보다는 증가폭이 대폭 감소되었으나,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이 중에서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중국에서의 수입실적이 금액에서는 전체 수입액의 70%,중량에서는 80%를 차지한다.고가제품으로는 이태리,미국 에서의 수입이 대세로 나타난다.결국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서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이 는 내수기업의 역량변화 및 전략적 이슈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Introduction [표 3] 최근 5개년간 편직제 의류 수입추이 연 도 2005 2006 2007 2008 2009 (단위 : 천불) 5개년 연평균성장율 금 액 851,896 1,049,479 1,266,042 1,273,124 1,022,218 전년 대비 증감율 9.2% 23.2% 20.6% 0.6% 19.7% 3.7% (출처)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주)성장율은 기하평균으로 산술, 연평균 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임 [표 4] 2009년 편직제 의류의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 천불, kg) 국 가 명 구 분 금 액 중 량 단가 점유율 점유율 전 체 1,022,218 100.0% 64,142,976 100.0% 15.9$ 중 국 702,485 68.7% 53,227,632 83.0% 13.2$ 베 트 남 64,833 6.3% 5,693,994 8.9% 11.4$ 이태리 52,072 5.1% 187,017 0.3% 278.4$ 인도네시아 27,066 2.6% 1,589,326 2.5% 17.0$ 미 국 24,790 2.4% 328,191 0.5% 75.5$ 5개국 합계 871,246 85.2% 61,026,160 95.1% 14.3$ (출처)한국무역협회 www.kita.net의 무역통계 본 조사연구 보고서는 TheStrategyontheTradingReliefStepsintheKnitedApparelIndustry 2010 로서, 한국 니트의류 산업의 경쟁력 분석 세계 니트의류산업의 경쟁강도 분석 국내 니 트의류 소비시장의 미래 수요분석과 수입품 시장대체 가능성 평가 무역거래상 산업피해요인을 결 정하는 기준 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본 조사연구가 국내 니트의류 산업의 산업기반 강화를 위해 정부 및 업계의 통상 무역 산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표 1 니트의류산업의 가치사슬 분석으로 산업의 경쟁력 고도화 모색 목표 2 니트제품에 대한 내수시장의 미래수요조사 분석으로 수입품 대비 국산의 경쟁력 제고 목표 3 수입품 증가로 인한 산업피해발생 조사(덤핑 등 불공정 가격경쟁,불공정 무역관행 여 부 등)를 통해 무역구제조치 적용 여부,세제지원 등 산업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 등 을 제언 4
Knitted Apparel Industry 2010 - Introduction 2. 조사연구의 범위 조사제품의 범위 니트의류제품은 관세 통계통합품목 분류(HSK-HarmonizedSystem Korea) 2) 에서 61류에 속하는 메리 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로 된 의류와 그 부속품 17종으로,경편기,횡편기,그리고 환편기로 편직 된 원단으로 봉제를 통해 완성되는 남 여성 의류제품 및 장갑,양말 등을 일컫는다.그러나 니트의류 업계를 대표하는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1962년 설립)의 회원으로는 HS60류의 파일 편물(6001), 기타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게질 편물(6002)및 HS62류의 보정내의류 제품군을 생산하는 기업도 포 함되어 있으므로,광의의 의미로는 이들 제품을 포함한 20종을 니트의류제품이라고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의의 니트의류제품류인 20종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통해 산업의 가치사슬에 대한 경쟁력을 측정하였고,본 연구의 주목적인 수입제품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산업피해 실태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지난 5년간의 수입실적을 분석한 결과 향후 지속적인 수입증가가 예상되는 제품군 중에 서 성인 외의시장(OuterMarketforAdult)을 위한 11개 품목군(6101남성외의,6102여성외의,6103 남성상하,6104여성상하,6105남성셔츠,6106여성셔츠,6109티셔츠,6110가디건,6112스포츠의류, 6113가공의류,6114기타의류)을 중심으로 연구를 집중하였다. [표 5] 니트의류제품의 HS 4단위별 수입 현황 (단위 : 천불, %) HSK 품 목 2009년 수입액 5년간 수입 평균 증가폭 HSK 품 목 2009년 수입액 5년간 수입 평균 증가폭 6101 남성외의 224천$ 43.0% 6111 유아의류 25,340천$ 4.9% 6102 여성외의 1,243천$ 28.9% 6112 스포츠의류 882천$ 28.4% 6103 남성상하 1,875천$ 30.1% 6113 가공의류 627천$ 66.5% 6104 여성상하 65,390천$ 5.7% 6114 기타의류 5,851천$ 10.3% 6105 남성셔츠 25,293천$ 20.3% 6115 스타킹양말 183,376천$ 13.2% 6106 여성셔츠 30,268천$ 22.7% 6116 장갑 102,480천$ 1.6% 6107 남성내의 14,405천$ 0.5% 6117 머플러 29,124천$ 11.4% 6108 여성내의 6,022천$ 16.5% 6001 파일편물 285,347천$ 5.5% 6109 티셔츠 127,533천$ 11.2% 6002 기타편물 6,186천$ 6.3% 6110 가디건 67,458천$ 21.4% 6212 보정내의 8,814천$ 18.5% (주) 으로 표현된 품목이 연구대상 11개 제품군임 시간적 범위 연구 수행기간은 201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이며,연구 기준년도는 2009년이다.그러 나 일부 연구조사 자료는 2009년 이전 년도도 포함되었다. 2) World Customs Organization(WCO, 세계관세기구)에서 규정한 HS code(국제관세통계 통합품목분류, the international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를 기본으로 해서 각 국가에서 개별적으로 자국의 환경에 맞는 코드를 규정하게 되며, HSK code(harmonized System Korea)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것임. 기본적으로 10자리(단위) [xxxx.xx-xxxx] 중에서 앞의 6~8 자리는 각국이 같으나 뒤의 2~4 자리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 음. 미국에서는 이를 HTS(The Harmonized Tariff Schedule of the United States)라고 함.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