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4호 2011년 8월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 The Market and Technical Trends of Smart TV Advertisement 스마트 코리아 실현을 위한 실감 방송통신 융합기술 특집 김성민 (S.M. Kim) 이한규 (H.K. Lee) 경제성분석연구팀 선임연구원 스마트TV연구팀 팀장 목 차 Ⅰ. 스마트TV의 진화단계 Ⅱ. 스마트TV 사업자 동향 및 전략 Ⅲ. 시장의 변화 및 스마트 Ⅳ. 스마트TV 기술 동향 V. 맺음말 본 고는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 2012년은 디지털 방송 전환과 스마 트TV, 3DTV 등 신규 서비스 출현 등으로 오랜 세월 집안의 강력한 엔터테인먼트 기기 중 하나인 TV의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해이다. 방송 미디어 서비스의 변화는 디지털 방송 전환에 따른 단 순한 시청 품질의 향상뿐만 아니라, 양방향 서비스, 부가데이터 제공, TV 연계형 개인 휴대단말과의 동기화된 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는 방송 미디어의 주 비즈니스 모델 이며, 위와 같은 TV 환경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에 대응하고 방송 시 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법, 제도 정비, 표준화와 함께 특화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 수요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의 물의 제작, 중개 및 유통, 소비, 효과 측정 및 분석 등 생태계상의 전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서의 당면한 기술적 이 슈에 대해 소개한다. 14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성민 외 /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 Ⅰ. 스마트TV의 진화단계 전 세계적인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은 그간 진행 되어오던 방송통신융합을 양적 질적으로 급속히 진 전시킬 뿐만 아니라 개방형 운영체제, 혁신적인 이용 자 환경, 오픈 콘텐츠 마켓(앱스토어) 등을 도입하여 기존 통신시장의 생태계를 재편하고 있다. 그 결과 기 존의 서비스제공 사업자 중심의 통신시장이 콘텐츠 와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은 통 신시장의 변방에서 가장 영향력 높은 플레이어로 등 극하였고, 2010년 구글의 스마트TV 발표를 시작으 로 애플, 삼성 등이 스마트TV를 출시하면서 스마트 TV 시장에서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TV의 개념에 대해 주체별로 다양하게 정 의를 내리고 있고 그 개념도 점차 변해가고 있다. 방 송통신위원회(2010. 7.)의 정의에 따르면 스마트TV 란 디지털 TV에 운영체제(OS) 및 인터넷 접속 기능 을 탑재하여 실시간 방송뿐만 아니라, 검색, 앱스토어 등 인터넷의 다양한 콘텐츠를 편리한 UI/UX 환경에 서 이용할 수 있는 TV를 총칭하고 있다[1]. 송민정 (2010. 6.), 황준호(2010. 8.) 등은 모두 OS 탑재, 인 터넷 접속, 방송과 웹 영상물 및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TV의 개념은 N- Screen 및 홈서버의 기능이 추가되면서 확장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TV 관계부처 합동안(2011. 1.)에서는 스마트TV를 실시간 방송 시청은 물론 인 터넷 연결을 통한 PC 기능, 애플리케이션 활용 및 인 터폰, 에너지 제어 등 스마트홈 서비스도 수행하는 TV 로 정의하고 있다[2]. 앞으로의 스마트TV는 어 떻게 진화되어 갈 것인가에 대해 ETRI에서 추진하는 Beyond 스마트TV 개발 과제의 최종 목표를 보면 TV와 인터넷의 결합을 기반으로 이용자 친화적인 멀티모달 휴먼 인터페이스에 의한 화면제어가 가능 하고, N-스크린 기반으로 방송형, 통신형, 방송통신 융합형, 컴퓨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CPTN 기반의 Beyond 스마트TV 기술 개발 로 정의하고 있다[3]. 또한 Beyond 스마트TV에서는 이용자의 이용패턴 정 보가 TV에 누적되면서 이용자 특성에 맞춤화된 이용 자 적응형 서비스까지 제공될 전망이다. 즉 스마트TV는 TV상에서 방송, 인터넷, 애플리 케이션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1단계라 하면, 2단계로는 N-Screen 및 홈네트워크의 중심으로 확 장되고, 향후 3단계로는 이러한 서비스들의 화학적 융합을 통한 서비스의 확장과 이용자 친화적인 멀티 모달 휴먼 인터페이스로 보다 서비스의 지능화가 이 루어 질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사업자들의 기술개 발 동향을 보면 2단계와 3단계의 진화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동시에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아보 인다. Ⅱ. 스마트TV 사업자 동향 및 전략 스마트TV 사업자로는 스마트폰 시장과 같이 구 글, 애플, 삼성전자 등이 주요 사업자로 꼽히고 있으 나 스마트TV 생태계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서는 기존 방송통신 사업자들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스마트TV 생태계를 파악하는 다양한 관점이 있겠지만 본 고에서는 스마트TV 생태계 참 여자를 크게 플랫폼 사업자와 콘텐츠 기반 사업자로 양분하여 보고자 한다. 플랫폼 사업자로는 구글, 애플, 삼성전자를 꼽을 수 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크롬 웹브라 우저에 기반한 개방형 TV 플랫폼을 기반으로 무료 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를 비즈니스 모델로 추구 하고 있다. 애플은 셋톱박스 형태의 애플 TV를 아이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4호 2011년 8월 폰, 아이팟 등 혁신적인 단말과 함께 앱스토어 콘텐츠 를 제공하면서 단말판매 및 콘텐츠 판매를 통해 수익 을 올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앱 마켓을 통한 애플리케 이션 제공과 타 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TV 매출 확대 를 추구하고 있다. 콘텐츠 기반 사업자로는 크게 케이블 및 IPTV와 같은 유료방송 사업자, 포털 사업자, 지상파 방송사를 꼽을 수 있다. 케이블 및 IPTV 사업자들은 기존 유료 방송 서비스를 방어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안드 로이드 기반의 셋톱박스를 통한 스마트TV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IPTV 사업자인 KT, LGU+, SK BTV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프리미엄급 네트워 크망을 활용하고 저렴한 셋톱박스 보급을 통해 스마 트 유료방송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케이블 사업자 인 헬로비전은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기에서 자사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Tving이라는 N-스크린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포털 사업자인 NHN, 다음 등 의 포털 서비스들은 지도 및 소셜 검색, 쇼핑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스마트TV 제조사, 유료 방송 사업자 등과 함께 협력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 들은 스마트TV에서 지상파 시청을 위해 제조사 등 과 협력하는 한편으로 OHTV를 주도적으로 추진하 며 스마트TV에서의 방송서비스보다 차별화되고 고 급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4]. 즉, 스마트TV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콘텐츠-플 랫폼-단말-네트워크(CPTN)를 모두 제공해야 하므 로 관련 방송사, 통신사, 제조사, 플랫폼 사업자들은 독자적인 사업 추진 보다는 관련 기업들과 유기적인 협력 및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기는 하 나 이들은 모두 자신의 본래의 사업 영역에만 머무 르기 보다는 타 영역까지 확장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수익원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Ⅲ. 시장의 변화 및 스마트 ( 廣 告 )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있으나 일 반적으로는 란 주가 청중을 설득하거나 영 향력을 미치기 위하여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유료( 有 料 )의 비대면적인 의사전달 형태이다(한국학회) 로 정의된다. 공통적인 특징은 (1) 명확한 주 가 유료 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2) 비대면 으로 막연한 다수에게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 이다[5]. 이러한 는 방송이 무료 또는 저렴한 비 용으로 이용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 게 하는 매개가 되고 있다. 즉 방송산업은 방송프로그 램 자체가 유통되는 시장과 소비자에 대한 접근권을 거래하는 시장이 공존하며 상호 영향을 주고 받 는 이중상품시장(dual product market)이다. 따라서 시장은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고 이용 됨에 따라 기존 매체에서 기존 매체로 전환이 많은 분야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전망(그림 1)에 따르면 매체별 비 비중은 1991년 신문은 44.3%에서 2009년 23%로 줄었으며 2020년에는 13%까지 줄 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케이블 TV는 1995년 1%에서 2009년 11.9%로 상승하였으며 2020년까 지 16.6%로 상승하고, 인터넷도 1995년 1%로 시작 하여 2009년 19%로 성장하였으며 2020년에는 26.6%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아울러 DMB, IPTV와 같은 뉴미디어는 2009년 총 비의 0.6% 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6.2%로 성장할 것 으로 전망하였다[6]. TV, 신문, 라디오, 잡지 등과 같은 전통적인 매스 미디어 는 주로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등에 대해 일방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를 노출하는 형 식이 주를 이루었다면 인터넷 에서는 검색과 블 로그 등 보다 자연스러운 이용자의 활동에 가 노 16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성민 외 /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 100% 90% 80% 2.9 70% 4.3 2.2 10.4 10.7 11.8 13.0 14.2 14.9 15.5 15.7 6.9 3.9 60% 8.0 42.6 12.8 17.1 18.1 20.1 21.7 50% 41.3 39.1 30.6 27.1 23.7 24.7 25.1 43.2 39.5 23.7 40% 22.3 20.7 19.7 17.6 15.7 13.8 30% 12.3 11.9 20% 27.0 27.8 10% 26.3 28.8 32.3 34.2 33.9 30.5 26.4 23.0 24.2 24.8 24.8 24.6 24.4 24.3 0%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TV 라디오 신문 인터넷 케이블 TV 뉴미디어 옥외 잡지 제작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2010. 11. (그림 1) 매체별 비 비중 현황 및 전망 출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를 skip할 수도 있고 이용자에 타깃팅 할 수도 있으며, 또 이용자의 피드백 을 받거나 바로 구매로 연결되기도 쉬워졌다. 가장 큰 변화는 long-tail로 일컬어지는 중소 주의 등장 으로 인한 시장의 확대이다.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성장시키고 있다. 스마트폰의 이용자 정보와 위치정보에 기반한 는 보다 정교하게 이용자에게 맞춤화된 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으며 모바일 인터넷 연결로 인한 양방향성과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즉시성은 모바일 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TV는 오히려 기존 방송 콘텐츠의 시청 점 유 및 시간 점유를 또 다른 시청기능이나 방송 이외 의 서비스 활용 기회로 분할시켜 방송 콘텐츠와 방송 시장 모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 도 많다[5]. 그러나 역으로 기존 가 스마트해지 면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스마트TV가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애플리케이 션,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의 기존 를 TV 기반으 로 옮겨오는 기능 이외에 이들 간의 연동을 통한 새 로운 의 유형을 창출할 것이며, N-스크린 기능 을 통해 TV의 제약을 넘는 새로운 차원의 를 제 공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TV에서는 도 스마 트해 짐으로써 회피도를 낮추고 오락성과 정보성을 극대화시키며, 의 가치를 높이고 대상도 넓 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TV는 기존의 인터넷 에서 수용하지 못하는 정보 소외계층에게 손쉽게 이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을 잘 이용하지 않던 계 층을 대상으로도 개인화된 양방향 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단방향의 만을 하던 TV에 비해 바로 구매될 수 있는 커머스의 기능이 연동됨으로 의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또한 기존 매체와는 달리 통합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터넷에서와 같이 long-tail의 새로운 주들이 TV를 통해 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스마트TV 의 성장성은 스마 트TV 서비스의 활성화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 다. 그간 방송서비스는 를 매개로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해왔다. 스마 트TV에서도 양질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수익원이 필요하다. 단말기 제조 사는 단말기 판매를 통해, 네트워크 제공사업자는 프 리미엄 망의 제공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나 콘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4호 2011년 8월 텐츠 제공자의 경우 콘텐츠 판매를 통한 수익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스마트TV에서도 역시 는 콘텐츠 시장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매개가 되어야 할 것이며, 기존 매체시장을 잠식하지 않으면서 성장하 기 위해서는 스마트TV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장 으로 연계한 성장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 TV 시장은 스마트TV 생태계의 모든 참여자들 간의 경쟁이 일어나는 무한경쟁의 장이 될 것이므로 이에 대비한 공정경쟁환경 조성도 필요할 것이다. Ⅳ. 스마트TV 기술 동향 다매체 환경에서 매체별 또는 매체사별 서비스 플 랫폼의 상이성으로 발생하는 제작 비용이 증가 할 가능성이 크다. 물의 제작 기술은 지상파, IPTV, DCATV 등 다매체 환경에서 다양한 성능의 단말에 호환이 될 수 있는 물을 효율적으로 제작 할 수 있어야 하며, 제작된 물의 제작사, 미 디어랩, 매체사 간 배급 시 호환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양방향 데이터 기반 물의 경우, 동일 매체 내에서도 매체사별 플랫폼의 차이로 인해, 동일 물을 매체사별로 제작함으로 인하여 제작 비용 이 상승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의 형태가 다양해지 고 있으며,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 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형에 대한 분류체계 정 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례로 기존의 방송의 유 형은 아래 <표 1>과 같이 그 분류체계가 잘 정의되어 있다[7]. 데이터방송 서비스 개시 이후로 양방향 광 고 유형이 추가되었으며, 2011년부터는 가상와 간접 유형이 활성화되고 있다. IPTV의 경우, 양방향성 및 다채널 특성에 따라 새로운 유형들이 나타나며, 분류체계의 일례는 <표 2>와 같다. <표 1> 지상파 방송의 유형 구분 유형 내용 아날로그 디지털 방송프로그램 양방향 토막 중간 시보 자막 간접 가상 데이터방송 자막 실시간 프로그램 연동형 연동형 일대일 그러나, IPTV와 같이 새로운 매체에서의 유 형 및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관련 산업계의 의견 수렴 을 통한 표준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프로그램의 스폰서로 참여하여 프 로그램 전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 되는 운동경기, 문화 예술 행사 프로 그램 등의 중간 휴식 또는 준비 시간에만 허용되는 현재시간 고지 시 함께 방송되는 방송순서고지(곧이어), 방송국명칭 고지(ID) 시 화면 하단에 방송되 는 자막형태의 방송프로그램 안에서 상품을 소품 으로 활용하여 그 상품을 노출시 키는 형태의 방송프로그램에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형태의 데이터방송 채널을 안내하고 선택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최초 화면 의 자막(양방향 기능 없음) 실시간 채널 프로그램에 양방향 데이터를 삽입하여 에 양방향 기능을 부가한 실시간 방송에 양방향 데이터를 삽입하여 에 양방향 기능을 부가한 세분화된 타깃에게만 제공되는 물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서는 소재 또는 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필요하다. 의 경우, 주, 에이전시, 제작사, 매체사 등 이 소재 또는 물에 대한 상호 호환적 운영을 위한 부가적인 서술(description) 정보이다. 그 서술 의 대상은 주의 업종, 품목, 소재 또는 물의 제목, 내용, 매체사의 서비스 종류, 기회의 종류 등 생태계를 구성하는 참여자와 참여자 간 18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성민 외 /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 <표 2> IPTV 방송의 유형 구분 유형 내용 디지털 VOD 트리거 메뉴입점형 양방향 양방향 배너형 주 전용 페이지 데이터방송 자막 실시간 프로그램 연동형 연동형 일대일 VOD 시청 전후에 나타나는 영상, 로딩 프로그램이나 의 화면상의 이 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의 게이트 웨이를 노출시키는 IPTV 기본 메뉴의 하나로 주 채널을 유치하고, 이 채널을 클릭 하면 해당 주의 마이크로 사 이트, 브랜드 채널, 브랜드 페이지 로 이동하게 하는 인터넷의 팝업 나 마이크로 사이트와 같은 형태로 메시 지를 노출시키는 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구성 가능 하며, 타깃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 는 배너형 와 단순 노출이나 그 페이지 안에서 모든 상호작용 을 할 수 있는 로 대별 주 전용 TV 채널, 24시간 운 영 가능, 내용과 구성을 주가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는 데이터방송 채널을 안내하고 선택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최초화면 의 자막(양방향 기능 없음) 실시간 채널 프로그램에 양방향 데이터를 삽입하여 에 양방향 기능을 부가한 실시간 방송에 양방향 데이터를 삽입하여 에 양방향 기능을 부가한 세분화된 타깃에게만 제공되는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한 서술자를 포함하여야 한다. 물의 중개 및 유통 기술은 향후 스마트TV 환 경 등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서 주 및 사업 자 간 물의 중개 및 유통을 위한 중개 플랫폼의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 기존의 AV 위주의 방송 프로 그램에 대한 시간적인 전, 후 와 같은 단순한 광 고 형태뿐 아니라, 기회가 동일 화면 내의 시간 및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배치되고, 그 대상이 AV 기 반의 프로그램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등 양방향성 프로그램을 포함할 경우, 주에게 최적 의 기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회의 구매,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물을 등록, 편성 및 송출을 지원하는 중개 플랫폼의 기능 고도화가 필요하다. 중개 플랫폼의 대표적인 사례는 북미 디지털 케이블 산업계에서 Canoe 프로젝트를 통해 표준규 격화를 진행하고 있는 SCTE 130이 일례이다. SCTE 130은 중개를 위한 논리적 서비스 제공자를 정 의하고, 논리적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프 레임워크를 제공한다[8]. (그림 2)는 SCTE 130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논리적 서비스 제공자들의 구성 일례이며, 각 논리적 서비스들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DM(Ad. Management Service)은 기회(Ad. Placement Opportunity) 정보와 기회에 대한 배치 정보 를 제공한다. ADS(Ad. Decision Service)는 기 회에 대하여 결정 정보를 회신한다. POIS는 광 고기회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한다. CIS는 물 및 연 계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IS는 가입자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시청자 입장에서 미디어는 수동적 소비에서 능동 적 소비로 그 소비 행태가 변화해 가고 있다. TV는 대표적인 수동적 미디어 소비 환경이었으나, IPTV/ DCATV 와 같은 양방향 미디어 매체의 도입, 인터넷 을 이용한 지상파 방송의 TV 포털로의 확장, 애플리 Inventory System Placement Execution POIS (Part 5 Interface) Content Store CIS (Part 4 Interface) SIS (Part 6 Interface) ADM Part 3 Defined Interface ADS (ADM Interface) (그림 2) SCTE 130 기반 논리적 구성 일례 Back Office Campaign Management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4호 2011년 8월 케이션 환경과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TV의 출현 등 기존의 수동적 TV 시청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TV 시청환경의 변화는 의 제공 형태, 그리고 그 를 소비하는 시청자의 행태에 변 화를 수반한다. 매체 사업자들은 이용자의 관심사 및 프로파일에 따른 타깃, 이용자의 적극적인 입력에 따라 인터 랙션을 제공하는 양방향성, 프로그램 내의 간접, 내용객체 기반 등 다양한 형태들을 시험하고 적용 중에 있다. 특히, 양방향성, 스마 트TV 등 애플리케이션 기반 의 경우는 와 구매 행위의 경계가 모호해 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점에서의 T-커머스 연계 기술에 대 한 검토가 필요하다. 효과의 측정 및 분석 기술 역시 새로운 미디 어 환경에서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이슈이다.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새로운 에 대한 효과 측 정 지표로서 새로운 효과 측정 지표가 필요하다. 인터 넷 에서 개발된 효과에 대한 측정 지표가 참고될 수 있으나, 디지털 TV 환경에서의 적용을 위 해서는 적합성, 효과 측정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연구 를 통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방송 기 술 개발의 세부 연구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고려되고 있다.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 모델 연구 - 융합플랫폼 기반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이용자 중심(타깃팅, 참여형, 창조형)의 맞춤형 방송 서비스 모델 개발 - 스마트미디어 가치평가 및 효과지표 연구 스마트 미디어 기반기술 개발 - 메타데이터 생성, 소비 기술 - 콘텐츠 포맷 및 패키징 기술 - 이용행태 및 이용자 선호도 분석 기술 - 이용자 선호도 기반 맞춤형 추천 기술 N-스크린 기반 스마트 미디어 플랫폼 기술 개발 - 스마트 미디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 N-스크린 간 연계 서비스 기술 - 콘텐츠 OSMU 프레임워크 기술 - 소셜 커머스(social-commerce)를 위한 스마 트 미디어 기술 디지털 방송 서비스 연계 기술 개발 - 양방향 데이터방송 연계 기술 - 개인 맞춤형 방송 연계 기술 - 객체 기반 미디어 연계 기술 - 이용자 창조형 방송(user-creative broadcasting) 연계 기술 스마트 미디어 표준화 기술 - 콘텐츠 파일 패키징 포맷 표준 - 콘텐츠 메타데이터 표준 - 서비스 프레임워크 인터페이스 표준 V. 맺음말 미디어 환경의 변화, 특히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미디어 산업을 구성하는 콘텐츠, 플랫 폼, 네트워크, 터미널 간의 영역 경계가 허물어지고, 미디어 서비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기존의 인터넷, 방송, 인쇄 매체상의 시장 및 서비스 역시 이러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급변 하고 있다. 와 커머스 간, 와 콘텐츠 또는 정 보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기존의 방송 의 효과 측정 지표가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는 유효 한 지표로써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미디어 2.0, 퍼스널 미디어, 스마트 미디어 등 아 20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성민 외 / 스마트TV 시장 및 기술 동향 날로그 TV 이후 미디어 환경을 예측하는 많은 키워 드들이 있다. 그렇다면, 는 도래하는 새로운 미디 어 환경에서 어떤 키워드를 가져야 하며, 이를 지원하 기 위해 어떠한 비즈니스 및 서비스 모델, 기술적 지 원이 필요한지 고민하여야 한다. 용 어 해 설 RDF SCTE SIS UI/UX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s Engineers Subscriber Information Service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참 고 문 헌 CPTN: 미디어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를 4개 영역으로 구 분하여 콘텐츠, 플랫폼, 단말 또는 터미널, 네트워크로 분류 하여 통칭함 타깃: 매스미디어 매체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 선호도, 프로파일 등을 입 력 또는 분석하여 특정 이용자에게만 적합한 를 제공하 는 방식 CIS CPTN OHTV OSMU POIS 약어 정리 Content Information Service Contents, Platform, Terminal, Network Open Hybrid TV One-Source Multi-Use Plac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Service [1] 스마트 TV 등장에 따른 시장변화 및 발전전략, 방 송통신위원회, 2010. 7. [2] 스마트 TV 산업 발전전략(안), 관계부처 합동, 2011. 1. [3] 홍진우, 2011 스마트 TV 기술 및 개발자 워크숍 발표 자료, 2011. 6. [4] 박지호, 스마트 TV 서비스 전망, TTA저널 N135, 2011. 5. [5] 이희욱 외, 이론과 전략, 영남대학교출판부, 2009. 3. [6] 옴니미디어시대 방송산업 전망과 과제, 經 濟 週 評, 한국경제연구원, 2011. 11. 12, pp. 10-44. [7] 이시훈, 지상파, 케이블, IPTV, 인터넷 유형 분 류 체계에 대한 연구, KOBACO, 2010. [8] ANSI/SCTE 130, Digital Program Insertion Advertising Systems Interfaces, 2008. C 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