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골프학회지, 2014년, 제8권 제2호, 11-18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2014, 8(2), 11-18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Diving Distance and Direction in Driver Shaft Flex 최종필 최봉암 한상훈 * 대구대학교 Choi, Jong-Pill Choi, Bong-Am Han, Sang-Hoon Daegu Univ. 요약 본 연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드라이버의 비거리와 방향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10명의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을 대상으로 3종의 드라이버를 제작하여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실제측정은 트랙맨(trackman)으로 타구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1)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방 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약한 샤프트에서는 -1.904의 값으로 타겟 라인보다 볼이 왼쪽으로 편중되었으며 중간 강도와 강한 강도의 샤프트에서는 각각 9.356과 4.918의 값만큼 우측으로 편중되었 다. 2)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클럽패스, 페이스 앵글, 회전축 중에서 회전축이 샤프트의 강도별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여자선수들의 샤프트별 드라이버 비거리와 방향성은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으며. 특히 방향성에 있어서 약한 샤프트부터 각각 우측으로 2야드, 10야드, 15야드 순으로 볼이 떨어지 는 지점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how the flex of the drive shaft creates differences in the drive distance and direction of drivers, this study analyzed 150 shots by 10 amateur golfers with low (203cpm), mid (229cpm) and high (255cpm) flexes. The same driver head and grip were used in this study, and only the flex of the shaft were changed in the three types of driv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lub face, face angle and spin axis that has an effect on the direction, the spin axis had significant difference per shaft flex.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of driver difference according to shaft types for male golfers. However, from weak to strong shafts, there was tendencies to increase by 240y, 242y and 245y. 3) For female golf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driver distance and direction per shaft. Key Words: Drive Shaft, Shaft Strength, Driving Distance, Driving Directional ature * 본 논문은 교신저자인 한상훈의 대구대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huni77777@hanmail.net
12 한국골프학회지 제8권 제2호 서론 최근 국내는 물론 해외의 메이저 골프대회에서도 한국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도 골프경기와 골프산업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 다. 특히 최경주 선수의 꾸준한 활약과 양용은 선수의 타이거 우즈를 넘어선 메이저 우승, 그리고 금년 5월 PGA투어에서 한국인으로 3번째 우승을 차지한 배상 문 선수, 그리고 LPGA 여자골프 세계 랭킹 1위를 지 키고 있는 박인비 선수까지 이들의 활약에 고무된 한 국은 유사 이래 최고의 골프 황금기를 맞이하고 있다 (조선일보, 2013). 이에 따라 국내의 골프선수층이 두 터워지고 국내외 대회의 타이틀을 위협하는 신인들을 꾸준히 배출하고 있으며 일반 골프애호가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박근태, 2011). 이러한 한국 골프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국내외 골 프선수들의 활약에 힘입어 선수지망생들은 물론 일반 골퍼들조차 예외 없이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여러 가 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좋은 골프클럽을 갖기를 희망하고 있다(최 봉암, 2011). 하지만 개인의 신체적 특징도 상이하고 스윙적 특징도 상이한 상황에서 불특정 다수를 위하 여 공급되는 기성 골프클럽 제품으로 모든 골퍼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김선웅, 김 창국, 2007). 실제 많은 골퍼들이 좋은 클럽의 선택기 준으로 고가의 제품, 유명상표의 제품, 유명한 프로들 이 사용하는 제품 등으로 인식하고 클럽을 선택하고 있지만 점차 이런 단순한 관점에서 벗어나 자신의 신 체조건에 맞는 맞춤형 클럽, 즉 클럽 피팅에 대한 필 요성의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김정훈, 2010). 이 미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PGA 투어프로는 물론 많은 골퍼들이 피팅(fitting) 클럽을 찾고 있다(박 영진, 전재홍, 2009). 지금까지 이루어진 골프클럽 선택관련 선행연구(김 무선, 한동철, 김선진, 이우일, 2007; 김용빈 2008; 박 성진, 2012; 박영진, 2004; 이대운, 2010; 전재홍, 2010) 를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대다수 골퍼들이 드라이버 선택에 있어서 타당한 과학적 증거보다는 오히려 유 행이나 마케팅의 유혹에 의해 결정하기 쉬우며, 국내 에서는 프로골퍼와 일반골퍼들의 드라이버 구매결정 요인이 촉진홍보나 클럽디자인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았다. 특히 스포츠와 공학(engineering)의 결합으로 최근 많은 스포츠 장비 및 의복들이 과학적으로 설계 제작 되어 각족 경기력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추세 이다(권성환, 김창욱, 2012; 김성호, 2004; 나일주, 2013; 박진, 2012; 안용환, 김재정, 2012). 골프장비 분 야 또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와 개발로 골퍼의 경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장비들이 새로이 생산 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화된 장비들로 인하여 골퍼의 신체와 운동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장비 를 선택하거나 제작하는 골프용품산업이 더욱 성장하 고 있다(최봉암, 2011). 골프장비 가운데 샤프트의 주요 특성 및 변수로는 중량, 길이, 플렉스(flex), 토크(torque), 킥포인트(kick point)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이 볼의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Cochran & Stobbs, 1986). 이들 샤프트의 역할과 성능에 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특 히 샤프트의 플렉스에 많은 제조사와 골퍼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드라이버 샤프트의 플렉스가 비거리와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프로 및 일반 골퍼들에게도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퍼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중 요 요소인 비거리와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드라이버 샤프트의 플렉스가 골퍼들의 드라이버 샷의 거리와 방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한 보다 향상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최적 샤프트를 선택할 수 있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골프클럽 피팅 시스템을 마련하는 데 본 연 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골프
드라이브 샤프트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 분석 13 기술의 숙련도가 높고 핸디가 7 이하인 경상북도 소 재 D대학교의 남녀 대학골프선수 10명을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남녀 대학골프 선수들의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참여자 프로필(M±SD) 성별 인원 연령(년) 경력(년) 핸디캡 남 6 21.3±5.3 6±2.1 3±2.1 여 4 19.3±4.2 5±2.3 4.25±3.2 계 10 20.3±6.4 5.5±3.9 3.7± 3.7 그림 2. 클럽 샤프트 3종류 그림 1. 실험의 목적과 실험방법 설명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샤프트로 현재 국내외 프로 선수들과 상급 일반골퍼의 선호도와 인 지도가 높은 3개사의 드라이버 샤프트를 사용하였으 며 샤프트의 플렉스를 각각 L플렉스(cpm 203), R플렉 스(cpm 229), S플렉스(cpm 255)로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샤프트의 제품사양은 다음 <표 2>와 같 다. 슬리브만 조립한 상태의 샤프트 3종류는 <그림 2>와 같다. 표 2. 샤프트의 사양(헤드 조립상태) 제조사 샤프트명 무게 길이 cpm 그라파이트 투어AD SL-4 306.7g 45인치 203 후지쿠라 롬박스Z5Z08 312.2g 45인치 229 미쯔비시 Kai'li 70 S 324.0g 45인치 255 또한 연구대상자의 헤드로 현재 국내외 프로 선수 들과 상급 일반 골퍼의 선호도와 인지도가 높은 타이 틀리스트사의 910 D2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로프트는 9.5도, 무게는 196.5g을 이용하였다(<그림 2>). 그림 3. 드라이브 헤드와 그 무게를 측정하는 장비 2. 측정도구 및 실험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골프클럽의 움직임과 볼의 구질 비 거리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타구 분석기(Launch monitor)인 트랙맨(Trackman), cmp측정기, 저울의 전 문적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그 측정도구는 <그 림 3>과 같다. 표 3. 측정도구 측정기 제조국 용도 측정항목 트랙맨 덴마크 런치모니터 볼과클럽분석 cpm측정 대만 플렉스측정 샤프트강도 저울 일본 무게저울 무게측정
14 한국골프학회지 제8권 제2호 슬리브에 장착하여 드라이버의 길이가 45인치가 되도 록 제작하고 각각의 제원을 기록하였다. 그림 4. 트랙맨(Trackman) 런치모니터 그림 7. 샤프트에 슬리브를 장착한 모습 (2) 실험장소로는 직선거리 282m의 경북 소재 D대 학교 실외골프연습장을 이용하였다. 그림 5. cpm 측정기 그림 8. D대학교 실외골프연습장 그림 6. 저울 (3) 타구분석기, PC 등의 측정기구를 설치하고, 충 분한 실험을 통하여 오차가 없는 정상적 작동상태를 확인하였다. (4) 피험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성별, 나이, 경력 등을 기록한다. (5) 피험자에게 실험의 의미를 잘 설명하고 순서를 정해 연습스윙을 충분히 한 뒤 가장 약한 플렉스의 드라이버부터 시작하여 각각 5회씩 총 15회 측정한다. (6) 타구 분석기를 통하여 피험자의 타구를 측정한다. 2) 실험방법 (1) 길이가 같고 샤프트의 플렉스가 각각 다른 3개 의 드라이버 샤프트를 타이틀리스트 드라이버 헤드 3. 자료처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처리방법은 SPSS/PC window version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
드라이브 샤프트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 분석 15 하였다. 그리고 타구분석기를 이용해 측정한 자료값은 기술통계(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여 기본 자료를 유출하였다. 그리고 클럽 3가지 플렉스 샤프트의 비거리와 방향 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OVA)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들 모 두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및 논의 1.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비거리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한 실 험에서 샤프트의 플렉스에 따른 비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가 없었다(<표 4> 참조). 그 러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참고하면 강한 샤프트에서 231.726야드(Carry 거리)로 비거리가 제일 많이 나왔 으며 그 다음이 약한 샤프트 226.776야드, 중간 샤프 트 226.742야드의 순이었다. 또한 약한 강도와 중간 강도 샤프트에서 비거리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강한 샤프트에서 약 5야드 정도의 비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한 샤프트에 익숙한 남자 선수들의 영향으로 보인다. 표 4.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비거리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약 강도 50 226.776 19.560 2.766 중 강도 50 226.742 23.632 3.342 강 강도 50 231.726 20.860 1.703 집단간 822.399 2 411.199.944.391 집단내 64011.149 147 435.450 합계 64833.548 149 2.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방향성 다음으로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샤프트의 플렉스별로 방향성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방향성 약 강도 50-1.904 강 강도 50 4.918 중 강도 50 9.356 p 1.000.135 집단간 3217.052 2 1608.526 7.361.001 집단내 32121.836 147 218.516 합계 35338.888 149 즉 약한 샤프트에서는 -1.904야드만큼 볼이 마이너 스의 사이드 값(볼이 타겟라인보다 왼쪽으로 떨어짐) 을 보여 주었고, 중간 강도에서는 9.356야드, 그리고 강한 강도의 샤프트에서는 4.918야드만큼 플러스의 사 이드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샤프트 플렉스의 선택이 드라이브 샷의 방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드라이브 샤프트 강도별 실험에서 샤 프트의 강도가 볼의 회전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평균과 표 준편차를 참고하면 약한 강도에서 -3.338도의 기울기 로 볼이 백스핀을 가지게 되어 좌측으로 볼이 떨어지 게 되며, 중간 강도에서는 1.720도의 기울기로 볼이 백스핀을 가지게 되어 우측으로 볼이 떨어지게 된다. 강한 강도에서는 -.258의 기울기가 0에 가깝기 때 문에 볼이 거의 수직으로 백스핀을 가지게 되며 회전 축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볼의 회전축은 0에 가 까울수록 방향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라 이브 샤프트의 강도는 볼의 회전축에 많은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볼의 회전축(spin axis) 약 강도 50-3.3380 강 강도 50 -.258
16 한국골프학회지 제8권 제2호 중 강도 50 1.720 p 1.000.104 집단간 649.704 2 324.852 8.890.000 집단내 5371.520 147 36.541 합계 6021.224 149 3. 남녀별 샤프트의 플렉스별 비거리 1) 남자선수의 플렉스별 비거리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한 실 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남자선수의 플렉스별 방향성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한 실 험에서 샤프트의 플렉스별로 방향성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즉 약한 샤프트에서 -4야드만큼 볼이 왼쪽으로 떨어지고, 중간 강도 샤프트에서는 8.363야드만큼 볼이 오른쪽으 로 떨어졌으며, 강한 샤프트에서도 -.2.020야드만큼 왼 쪽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는 남자선수들의 경우 방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7. 남자선수의 플렉스별 방향성 약 강도 30-4.607 강 강도 30-2.020 중 강도 30 8.363 p.527 1.000 집단간 2827.254 2 1413.627 5.694.005 집단내 21599.836 87 248.274 합계 24427.090 89 3) 여자선수의 플렉스별 비거리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한 실 험에서 여자선수의 샤프트이용 플렉스별 방향성에서 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한 강도 샤프트에서 211.485야드로 비거리가 가 장 컸으며, 약한 강도에서 206.695야드, 중간 강도에서 203.295야드로 나타났다. 남자선수와는 달리 약한 샤 프트에서 2번째의 비거리를 나타내었다. 이는 드라이버의 헤드 스피드가 90mph~99mph인 여자 선수들은 약한 샤프트에서도 일정의 비거리 성 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8. 여자선수의 플렉스별 비거리 약 강도 20 203.295 강 강도 20 206.695 206.695 중 강도 20 211.485 p.250.107 집단간 677.20 338.601 3.955.025 집단내 4880.145 57 85.617 합계 5557.346 59 4) 여자선수의 플랙스별 방향성 다음은 각각 다른 플렉스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 용한 실험에서 야자선수의 샤프트 플렉스별 방향성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참조). 표 9. 여자선수의 플렉스별 방향성 약 강도 20 2.150 강 강도 20 10.845 중 강도 20 15.325 p 1.000.183 집단간 1795.027 2 897.513 8.133.001 집단내 6290.077 57 110.352 합계 8085.104 59 본 연구에서 여자 선수들은 약한 샤프트에서는 2.150야드만큼 볼이 오른쪽으로 떨어졌으며, 중간 강
드라이브 샤프트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 분석 17 도에서는 10.845야드, 강한 강도에서는 15.325야드만큼 오른쪽으로 볼이 떨어져서 강한 샤프트로 갈수록 점 점 오른쪽으로 볼이 떨어지는 것을 나타났다. 이는 남 자선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샤프트를 사용하는 여자선수들의 특성으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 라이브 샤프트의 강도는 여자선수들의 방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드라이버의 비거리와 방향성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분석 하기 위하여 각각 약(203cpm) 중(229cpm) 강(255cpm) 의 플렉스를 가진 드라이버로 10명의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의 150개의 샷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동일 한 드라이버 헤드와 그립을 사용하고 샤프트만 각각 강도를 달리한 3종의 드라이버를 제작하여 측정도구 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타구의 처음부터 끝을 측정하 기 위하여 직선거리 282m의 연습장을 이용하였으며, 타구분석기 트랙맨(trackman)으로 모든 타구를 측정 하여 타구당 20여 가지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1)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비거리에 미치는 영 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샤 프트 강도별로 비거리의 차이는 있었다. 강한 샤프트 에서 가장 긴 비거리가 나타났으며, 이는 헤드스피드 가 100mph가 넘는 남자 선수들에서 더 뚜렷이 나타 났다. 각각의 헤드스피드와 스윙 형태(어택 앵글, 클 럽 패스 등)에 따라 강도별로 다른 형태의 비거리 차 이를 보여주어 차후 피험자 개인별 분석을 통하여 더 욱 자세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2)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헤드 스피드, 초기 타 출각, 스메쉬 팩터의 차이는 샤프트의 강도별로 통계 적으로 유의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샤프트 강도 별로 각각 클럽 피팅에 고려할 만한 미세한 차이는 있었으며, 이 차이들이 집단전체의 통계에서 보다 개 인별 데이터에서 더 유효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3)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방향에 미치는 영향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약한 샤프트에 서는 -1.904의 값으로 타겟 라인보다 볼이 왼쪽으로 편중되었으며 중간 강도와 강한 강도의 샤프트에서는 각각 9.356과 4.918의 값만큼 우측으로 편중되었다. 이 결과로 차후 골퍼가 자신의 볼의 구질과 방향에 따라 적절한 샤프트의 강도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 라 사료된다. 4)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클럽패스, 페이스 앵글, 회전축 중에서 회전축이 샤프트의 강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전축은 클럽 패스와 페이스 앵글의 결과물이므로 각각의 요소들을 더 세 밀하게 분석해서 개선한다면 선수개개인은 보다 최적 화된 클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 남자선수들의 샤프트별 드라이버 비거리는 통계 적 유의수준에 미치지는 못했으나 약한 샤프트부터 강한 샤프트로 갈수록 각각 240, 242, 245야드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방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헤드스피드가 100mph가 넘는 남자 선수들이 샤프트 강도별로 각각 2야드와 3야드 정도 의 비거리 차이밖에 나지 않는 것이 의아하지만 수준 급의 선수들이라 약한 강도의 샤프트도 조정해서 친 것으로 보인다. 그 대신 가설대로 방향성에선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강한 샤프트에서 가장 좋은 방향성을 보였다. 6) 여자선수들의 샤프트별 드라이버 비거리와 방향 성은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 히 방향성에 있어서 약한 샤프트부터 각각 우측으로 2야드, 10야드, 15야드 순으로 볼이 떨어지는 지점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헤드 스피드가 90mph~99mph인 여자선수들도 강한 샤프트에서 가장 긴 비거리를 나타냈으나 남자 선수들과는 다르게 오 른쪽으로 밀리는 결과를 나타냈다. 여자선수들이 방향 과 비거리를 고려하여 드라이버의 적절한 샤프트를 선택하는데 참고가 될 자료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제기 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추후의 연구 과제를 위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전체 통계와 남녀별 통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차별화 되었듯이 피험자들의 스윙스피드와 스윙스타
18 한국골프학회지 제8권 제2호 일의 구분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실외 측정의 경우 는 측정 시간대별로 바람의 방향과 세기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드라이버의 전체무게와 샤프트의 토크, 킥 포인트는 변수로 두지 않았으나 차후의 실험에는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넷째, 비거리와 방향성에 대한 상관성분석도 가 능한 것으로 보였으나 차후 연구과제의 중요한 시사 점이 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골프기술 수준 과 경력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샤프트에 적응력의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후의 연구에서 로봇 테스트와 비교해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권성환, 김창욱(2012). 진동운동이 여성아마추어 골퍼의 체력, 드라이버샷에 미치는 영향. 한국골프학회 지 6(2), 59-68. 김무선, 한동철, 김선진, 이우일(2007). 복합재료 골프 샤 프트의 적층최적화, 한국복합재료학회지, 2007.2, 1-7. 김선웅, 김창국 (2007). 골프, 원리를 알면 10타가 준다. 서울: 대경북스. 김용빈 (2008). 골프 기술수준과 스윙템포에 따른 최적의 샤프트 강도 피팅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 울대학교 대학원. 김정훈 (2010). 골프샤프트 강도가 스윙시 비거리 및 정확 도, EMG 근 효율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청구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나일주(2013). 베타 스윙: 새 페러다임의 골프스윙. 한국골 프학회지, 7(1), 96-104. 박근태 (2011).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궤적 추정.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성진 (2012). 로봇머신 데이터를 이용한 골프 클럽 피팅, 한국운동역학회지, 22, 75-82. 박영진 (2004). 스윙과 골프클럽. 서울: 아카데미북스. 박영진, 전재홍 (2009). 골프 기술 향상을 위한 골프 클럽 제작과 피팅. 서울: 대한미디어. 박진(2012). 퍼팅 스트로크 결과에 영향을 주는 페이스 각도, 이동 궤도, 그리고 지면경사에 대한 탐구. 한국골프학회지, 6(2), 169-175. 안용환, 김재정(2012). 프로와 아마추어 골퍼의 드라이버 스윙시 해드 각도 변화가 볼 출발각도와 비거리 에 미치는 영향. 한국골프학회지, 6(2), 151-157. 이대운 (2010). 골프스윙 스피드에 따른 샤프트 강도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조선일보(2013). 박인비 26주째 세계랭킹 1위 한국선수 로 最 長 '지존', 10월 9일자. 전재홍(2010). 골프클럽 샤프트와 헤드의 피팅 방법에 관 한 연구. 박사학위 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학 원. 최봉암(2011). 프로골퍼와 일반 골퍼의 드라이버 구매결 정 요인 및 브랜드자산 인식이 구매만족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301-312. Cochran, A., & Stobbs, J. (1986). Search for the Perfect Swing: The Proven Scientific approach to Fundamentoally Improving Your Game, Chicago: Triumph. 논문투고일: 2014. 4. 29 논문심사일: 2014. 5. 10 심사완료일: 2014.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