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왕사지 20081210 자문회의자료집.hwp



Similar documents
untitled

¹ßÇ¥¿äÁö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¹ßÇ¥¿äÁö1-60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¼øâÁö¿ª°úÇÐÀÚ¿ø

µ¿¼�Çѹ溴¿øb60Ü¿ïÈ£š

2.pdf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4-Ç×°ø¿ìÁÖÀ̾߱â¨ç(30-39)

04 Çмú_±â¼ú±â»ç

e01.PDF

- 2 -

<C3CAC1A DC1DFB1B92E687770>


13백점맞는세트부록2년(49~57)


DocHdl3OnPREPRESStmpTarget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hwp


4-Ç×°ø¿ìÁÖÀ̾߱â¨è(51-74)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 pb61۲õðÀÚÀ̳ʸ


<B8F1C2F77EB3A12E687770>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1445È£

<BBE7BEF7C1D6B9D7C0E5BED6C0CEB5EEBFA1C0B6C0DAC1F6BFF8B1D4C1A4B0EDBDC328BEC8295B325D5FC7D1B1B9C0E5C3D12E687770>


C617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와플-4년-2호-본문-15.ps

쌍백합23호3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30305FBACFC7D1BAD2B1B3C0C720C0CCC7D82E687770>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01¸é¼öÁ¤

???? 1

ePapyrus PDF Document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3) 지은이가 4) ᄀ에 5) 위 어져야 하는 것이야. 5 동원 : 항상 성실한 삶의 자세를 지녀야 해. 에는 민중의 소망과 언어가 담겨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인간의 가장 위대한 가능성은 이처럼 과거를 뛰어넘고, 사회의 벽을 뛰어넘고, 드디어 자기를 뛰어넘 는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77

³»Áö_10-6

2ÀåÀÛ¾÷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kg242-1.ps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322DB3EDB9AE2E687770>

03-교통이야기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건물신축부지 문화재표본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조사유형 : 표본조사 조사면적 : 총 m2 조사기간 : 2015

내지(교사용) 4-6부

목 록( 目 錄 )

02-1기록도전( )

03-1영역형( )

<C6EDC1FD30342DC1A63134B1E220B9DAB9B0B0FCB4EBC7D02E68777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외형이 육면체이며 원통 공으로 관통된 한쪽의 중앙부에 원형 공보다 직경이 더 큰 스플라인 홈이 설치되며, 원 통공의 축 중심과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원통 홈이 설치되고, 원통 홈의 중간부에 상, 하로 핀 홀이 설치된 스플 라인 너트(01)와,

퍼스트신문30호(수정)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3130C7D1B0E6C0D32E687770>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¾Æµ¿ÇÐ´ë º»¹®.hwp

[ 물리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유체내에서물체의마찰력에미치는 표면무늬에대한연구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홍순철 ( 울산대학교 ) 지도교사 : 김영미 ( 울산과학고 ) 참여학생 : 김형규 ( 울산과학고 ) 노준영 (

2002report hwp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나하나로 5호


歯이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Ⅰ. 머리말 각종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초기 도읍은 위례성( 慰 禮 城 )이다. 위례성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 많은 책에 실려 있는데, 대부분 조선시대에 편 찬된 것이다. 가장 오래된 사서인 삼국사기 도 백제가 멸망한지

< 연구결과요약서 > 과제명삼국시대수학, 황룡사구층목탑복원을도와줘!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 삼국시대수학, 황룡사구층목탑복원을도와줘!) 연구목표 연구개요및내용 삼국시대사찰건축에사용된수리작도법을분석한다 수리작도법으로현재까지연구된 개의황

제4395호 편집.hwp

1-1Çؼ³


Microsoft PowerPoint - ch02-1.ppt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회의자료 慶 州 四 天 王 寺 址 發 掘 調 査 (3 次 ) 2008. 12.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 州 四 天 王 寺 址 發 掘 調 査 (3 次 ) Ⅰ. 조사개요 1. 유 적 명 :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제8호) 2. 소 재 지 : 경주시 배반동 935-2번지 일대 3. 조 사 목 적 : 사천왕사의 가람구조와 범위 확인 4. 조 사 기 간 : 2008년 4. ~ 현재 5. 조 사 면 적 : 2,000m2 (금당지, 서탑지, 동탑지, 회랑지 등) 6. 조 사 기 관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7. 조사단 구성 조 사 단 장 : 지 병 목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책임조사원 : 이 주 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조 사 원 : 최 장 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강 정 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김 수 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사천왕사지는 경주 시내에서 동쪽으로 약 5km 부근에 위치한 낭산 남쪽 낮은 구릉상에 위치하고 있다. 사역 남쪽으로 약 2m의 단애부가 형성되어있고, 그 아래 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동 서 귀부로 이어진다. 현재 낭산 일대에는 신라왕경, 월성, 황룡사, 분황사, 보문리사지, 경주남산 등과 같은 삼국 ~ 통일신라시대의 생활유적과 사찰유적이 있고, 구릉 주변으로는 선덕 여왕릉, 신문왕릉 등이 있으며,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망덕사지가 있다. 사천왕사는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창건된 사찰로 쌍탑가람배치가 처음 등장한 곳 으로, 특히 2기의 목탑을 배치한 첫 사찰이다. 이보다 3년 늦은 682년에 창건된 감 은사의 삼층석탑과 함께 당시 건축 미술 불교문화사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준 이 된다.. - 1 -

도1. 사천왕사지 주변 유적 현황. Ⅲ. 연혁 사천왕사는 三 國 遺 事 에 의하면, 文 武 王 때 唐 과 전쟁을 하던 신라가 명랑법 사의 건의로 狼 山 신유림( 神 遊 林 )에 절을 세우고 문두루비법( 文 豆 婁 秘 法 )을 행하자 갑작스런 풍랑이 일어 당나라 배가 모두 침몰하였다 고 한다. 이때의 사천왕사 모습 에 대해 채색 비단으로 절을 짓고 풀로 오방신상을 만들고 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후 三 國 史 記 기록에는 문무왕 19년에 절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1) 사천왕사가 위치한 낭산은 신유림이라 불린 숲의 존재를 통해서 불교가 신라에 전래되기 이전의 토속신앙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三 國 遺 事 선덕여 왕 지기삼사조( 知 幾 三 事 條 )의 내용과 함께 이곳은 신라 불교 공인(527) 이전의 前 佛 時 代 七 處 伽 藍 의 한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신라인들이 사천왕사를 황룡사, 분 황사, 흥륜사 등과 함께 매우 중요시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三 國 史 記 職 官 條 에 나타난 사천왕사 성전 이라는 관청이름은 사천왕사가 당시 < 成 典 寺 院 >이었음을 알 려준다. 특히 이곳에서 행해진 문두루비법으로 볼 때 호국사찰뿐만 아니라 밀교사 찰( 密 敎 寺 刹 )로 위치했던 사천왕사의 성격을 알 수 있다. 1) 三 國 史 記 卷 第 七 新 羅 本 紀 第 七 文 武 王 十 九 年 條 秋 八 月 太 白 入 月 角 干 天 存 卒 創 造 東 宮 始 定 內 外 諸 門 額 號 四 天 王 寺 成 增 築 南 山 城. - 2 -

Ⅳ. 조사내용 도2. 사천왕사지 전경 1. 금당지 금당지는 동 서목탑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약 24.2m, 추정 단석지 중심에서 남쪽 으로 20.7m 지점의 가람 남북중심축상에 위치한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3칸이다. 기단은 지대석, 면석, 갑석을 갖춘 가구식 기단( 架 構 式 基 壇 )으로, 지대석 외곽에 문양전을 깔고 장대석을 두른 이중기단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있는 면석은 2개로,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온전히 남아있는 것 의 크기는 130cm 65cm이다. 계단은 4면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금당지 기단 초석 의 해발고도는 평균 55.40m로 서탑지 심초석(55.72m)보다 32cm 낮다. 금당지 내진 초석과 기단지대석은 1.07m의 차이가 있다. - 3 -

도3. 금당지 이중기단을 포함한 금당 지의 크기는 동서 24.5m, 남 북 18.2m이며, 상층기단 지 대석의 외곽을 기준으로 하 면 동서 20.9m, 남북 14.6m 이다. 기단을 포함한 건물의 면적은 약 308.5m2이며, 초석 을 중심으로 추정한 건물내 부 면적은 약 207.7m2이다. 비슷한 시기의 감은사지 금 당지의 규모와 비교한다면 동서 15.5m, 남북 9.0m, 건물면적 139.5m2(약 42평)보다 사천왕사 금당지의 규모가 더 크다. 금당지의 중심부에는 방형 臺 石 이 놓여 있으며, 양 옆으로는 원형 대석과 이형 대석이 놓여 있는데, 방형대석과 원형대석은 절반으로 나뉘어져 있다. 금당 중심부 의 것은 본존의 지대석, 양쪽의 대석은 협시의 지대석으로 추정된다. 이 지대석 전 방 좌우에는 아래가 넓고 위로 가면서 좁아든 원주형의 유공초석이 있는데, 각각 지름 20cm, 깊이 30cm 내외의 圓 形 柱 孔 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내진 초석 주변에 판석과 무문전으로 구성된 석렬이 확인되었는데, 이 주 변에서 철정이 많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목조로 된 불벽 또는 불단( 佛 壇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진초석 전방 좌우에 판석과 무문전을 이용한 동서 190cm, 남북 70cm의 시설이 확인되었는데, 용도는 알 수 없다. 금당지 초석은 원형 주좌에 사각의 초반면이 잘 남아 있는데, 현 위치에서 4개만 이탈 되었을 뿐 대부분이 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주칸거리는 동서가 약 3.55m이 고, 남북은 어칸과 협칸이 다른데 어칸은 약 4.33m, 협칸은 약 3.68m이다. 도4. 금당지 기단평면도 상층기단 지대석은 길이가 1.28m ~ 4.60m로 다양하게 남아 있으며, 탱주 홈으 로 추정되는 1cm~2cm 깊이의 홈이 장방 형과 T 자형으로 치석되어 있다. 장방형과 T 자형의 홈들을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나 규칙성이나 정형성은 보이지 않는다. 특이 하게 남쪽 기단지대석의 탱주홈은 나머지 - 4 -

3면과는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전면의 탱주 홈들은 중앙의 홈을 기준으로 대략 대 칭되게 배치되어 있는데, 붉은 색깔의 원이 둘러진 부분은 간격이 맞지 않는데, 이 는 후대의 보수의 흔적으로도 추정할 수 있다. 금당지의 계단 배치 상태를 살펴보면, 전면과 후면의 계단은 대칭되게 배치되지 않은 것이 특징적인데 전면의 계단은 퇴칸에, 후면 계단은 협칸에 배치되어 있다. 현재 남아있는 서편 계단의 폭은 계단 외곽을 기준으로 약 2.9m 이며 내곽의 크기 는 약 2.28m 이다. 동 서 계단은 옆 기단지대석의 마감 형태로 보아 중수할 당시 계단의 규모를 축소된 것이 아닌가 추정되며, 축소하지 않았을 때의 계단 외곽의 길 이는 약 4.64m이다. 이를 근거로 본다면, 기단 아래의 원형 초석은 금당 초창부터 있었던 것이 아니라 계단을 수축할 때 혹은 그 이후에 놓여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5. 금당지 북동쪽 계단 도6. 경복궁 월대 계단 금당지 북동쪽 계단지에서 확인된 석재는 길이가 2.22m, 폭 44cm, 두께 24cm로 특 이하게 중간부분에 74cm 37cm 5cm의 홈이 있다. 석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도 대칭되게 똑같은 홈이 있다. 후대의 경복궁 월대와 매우 유사한 형태로 추정되며, 이러한 계단 석재는 동 서 목탑지에서도 확인되었다. 도7. 금당지 동편 계단지 주변 원형초석과 전돌 노출 상태 지대석 외곽에 잇대어진 원형 초석은 금당 기단 초석렬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기단 내부의 초석에 비해 크기 도 매우 작고 초석 한면을 의도적으로 깨어 지대석에 연접하고 있다. 이 원형 초석을 포함하여 상층기단 지대석과 이 중기단의 경계석인 장대석까지 약 1.6m 너비에는 전이 깔려 있다. 확인된 전은 현재 4가지 종류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보상화문전돌(사방 약 32cm)이고, 무문전, 서탑지에서 출토된 당초문전, 연화문전 등이 보인다. 금당지 남편에는 후대에 전돌이 빠지고 난 후, 기와를 깔아서 그 역할 을 대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 -

금당지의 기단부는 현재까지 조사된 것을 살펴보면, 금당지 상면에서 약 60cm 아 래까지는 암반이 섞인 적황갈색 점질토와 마사가 섞인 황색토를 반복적으로 성토하 고 그 아래로는 바닥을 편평하게 한 후 돌을 깔고 그 위에 다시 성토하여 편평하게 다지고 돌을 까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축조하였다. 이 성토흙을 되파기를 하여 금당 내부의 본존불, 협시불등을 설치하 였음을 알 수 있다. 금당 내진주초석은 현재까지 확인된 바 로는 금당지 기단부 2단석 깊이까지 굴 광한 후 먼저 10 20cm의 천석과 할석 을 직경 230cm로 깔고, 그 위에 30 40cm정도 크기의 천석을 직경 150cm 범위로 3 4단 쌓아올려 설치한 것으로 도8. 금당지 초석 적심과 기단 적심 보인다. 2. 동 서탑지 동 서탑지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방형구조로, 중앙에는 방형의 사리공이 있는 심초석이 자리하고 있다. 기단형태는 가구식전석축기단(架構式塼石築基壇)으로 상층 기단 지대석 외곽에 방형으로 돌아 장대석을 돌려 약화된 이중기단을 설치하였다. 각 기단 면의 중앙에 계단이 위치하고 있다. 상층기단 장대석을 기준으로 기단규모 를 추정하면 한 변 최대너비 10.75m, 이중기단을 포함할 경우에는 12.9m이고 기단 의 높이는 약 1.4m이고, 계단 너비는 약 2.45m이다. 상층 기단 지대석 중간 중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탱주 홈이 마련되어 있다. 또 지대 석 모서리에는 너비 30cm로 얕은 홈이 마련되어 있고, 그 안에 약 5cm 깊이의 우주를 세웠던 홈이 있다. 우주와 탱 주 사이에는 당초문전을 쌓아 올렸고, 이 당초문전으로 구획 도9. 서탑지(남에서) 된 공간 안에는 녹유전을 부 착하였는데, 이를 통해 녹유전이 탑의 면석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6 -

심초석 상면은 약 116cm의 정방형으로 두께는 약 60cm이다. 윗면은 잘 다듬었으 나, 기단토가 묻히는 부분은 거칠게 다듬어 마무리하였다. 심초석 중앙에는 너비 30cm의 방형의 사리공이 있으며, 사리공은 단이 져 있으며, 깊이는 33cm이다. 심초 석 드잡이 후 진행된 하부 조사에서, 심초석 적심은 심초석 아랫면의 형태에 맞추 어 북쪽 부분에는 높게 적심이 된 상태였다. 적심석 북쪽에서 철기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진단구의 의미보다는, 심초석을 안치할 때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적심석 은 30~50cm 크기의 할석을 사방 100cm 내외의 범위로 쌓았는데, 현재 3단까지 확 인되고 있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의 서탑지는 남쪽부분은 방형초석이 1열 결실되었고, 서 쪽에는 초석들이 1열로 도괴된 모습으로 세워져 많이 훼손이 되어 있었다. 초석의 상면은 편평한 방형으로 별도의 주좌가 마련되어있지 않다. 제 위치에 가까운 사천 주 초석의 주칸거리는 약 215cm이다. 남동편 사천주 초석의 적심석 주변에서 직경 20cm의 붉은색 내부토 수혈 내에 직경 7.6cm, 높이 4.7cm 청동완이 출토되었다. 청동완은 남쪽 구연부 부분이 약간 높은 상태로 노출되어 있었는데, 이는 사천주를 안치하기 위한 진단구로 추정된다. 기단부는 대지를 정지한 후 큰 할석과 천석을 쌓고, 그 위에 풍화암반이 섞인 사질 점토를 다져서 편평하게 한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11단으로 판축하여 성토하 였음이 확인되었다. 성토된 기단을 다시 굴착한 후 그 내부에 적심을 놓고 방형초 석과 심초석을 안치하였다. 사천주 초석 상면에서 바닥층까지의 깊이는 약 230cm이 고, 기단 굴광선은 상층기단에서 220cm 떨어진 지점이다. 도10. 서탑지 기단부 11단석 노출 상태 특징적인 것은 기단부 10단석과 11 단석의 중앙 부분은 열을 맞춰서 돌을 놓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그 옆의 돌 들은 열이 맞지 않는 것을 봤을 때 이 는 기단부를 축조할 때 범위를 나타내 거나, 작업구역을 나눴던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이는 목탑 기단부 축조방법 을 유추할 수 있는 좋은자료로 생각된 다. 녹유전은 앞서 언급했듯이 기단부 지대석 위에 부착되어 면석의 용도로 쓰였는데, 이 녹유전의 배치상태는 모 서리부분에서 A-B-C상이 한 조를 이 뤄,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3매씩 24개의 녹유전이 탑에 부착되어 있었다. - 7 -

A-B-C 상의 인물들의 얼굴방향은 왼쪽-정면-오른쪽으로 이 녹유전이 탑의 사방에 부착되었다고 한다면, 전방위를 지키는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 을 것이다. 녹유전 뒷부분에는 기와 또는 전을 쌓아올려 녹유전을 보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와적시설은 당초문전이나 우주 탱주 시설 뒤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동 서목탑지에는 마치 옥개받침처럼 3단으로 처리가 되어있는 용도 미상의 석재 가 있는데 한쪽 면은 거친다음을 반대쪽은 잔다듬을 하였다. 중앙에는 직경 46cm 의 반원의 구멍이 있으며, 잘 치석된 윗면에는 두 개의 은장홈이 남아 있고, 아래 넓은 면에는 약 4cm 깊이의 홈이 가장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크기는 윗면이 120 (69), 아랫면이 154 (85) 두께 26cm 이다. 이 석부재는 탑지 주변에서 확인된 점 을 통해 노반석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목탑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시기 는 다르지만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에도 석재 노반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3. 추정 단석지 금당지 중심에서 북쪽으로 20m, 동서로 각각 20.6m 떨어진 곳에 정면 3칸, 측면 3칸 의 방형구조의 건물지로 초석간격은 60cm로 매우 좁다. 초석 중앙부에는 지름 22cm, 깊이 23cm의 원형 구멍이 있고, 원공 주변에 약 55cm 크기의 방형 모각( 模 刻 )을 도11. 추정 서단석지 이중으로 하였고 이 모각은 다시 초석의 네 귀퉁이로 연결된다. 초석의 측면에는 인접 초석과 이어진 듯한 고막이 형태의 부분이 남 아 있는데 그 폭은 약 30cm이다. 1929년에 조사한 후지시마 가이지로( 藤 島 亥 治 郞 )는이 건물을 종루와 경루로 추정하였고, 장 충식은 三 國 遺 事 에 기록된 내용에 근거하 여, 이 건물을 단석( 壇 席 ) 으로 보고 있다. 2) 관정경( 灌 頂 經 ) 券 7 복마봉인대신주경( 伏 魔 封 印 大 神 呪 經 ) 에서 문두루법에 사용하는 원 목의 크기를 높이 7 分 (1 分 -0.3cm)이 너비 7 分 이라고 한 것을 고려한다면, 초석의 원 공 지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잔존하는 초석을 기준할 때 건물의 규모는 동서길 이 5.4m, 남북너비 5.4m, 높이 0.9m 정도이다. 중심에서 4.8m 떨어진 곳에 석열로 기단 기초시설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석열에서 150cm 남쪽에 약 동서 230cm의 2) 장충식, 新 羅 狼 山 遺 蹟 의 諸 問 題 (Ⅰ) - 四 天 王 寺 址 를 中 心 으로-, 新 羅 와 狼 山 - 8 -

너비의 계단 또는 입구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 문지 문지는 금당지의 중앙에서 약 44.6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남회랑보다 1칸 남쪽 으로 내밀려 위치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현재 적심은 후대 민묘에 의해 크게 훼손되어있다. 도리방향의 어칸의 간격은 약 3.7m, 협칸은 2.9m이고 보방향의 간격은 약 3.1m이다. 문지 아래에는 원형 운좌에 방형 초반석을 가진 초석이 한점 확인되었는데, 그 위치로 보아 문지의 초석으로 추정된다. 5. 익랑지 회랑지 익랑지는 금당지의 좌우에서 회랑과 직각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으로 확인되었 다. 규모는 정면 9칸, 측면 1칸으로 주칸거리는 약 2.6m로 거의 등간격이며 동서 길 이는 약 24m이다. 익랑에 사용된 초석들은 모두 결실되었지만 적심석은 양호하게 남아 있다. 금당지 서편에서 작은 원형주좌에 방형의 초반석이 확인되었는데, 위치 를 통해 추정해 보면, 이 초석이 익랑에 사용되었던 초석일 가능성이 있다. 익랑지 는 금당지의 동서계단과 열을 같이하고 있는데, 앞서 언급하였듯이, 금당지의 계단 이 후대에 축소되었던 것으로 추정한다면, 이 익랑이 금당 초창과 동시에 축조되었 는지, 아니면 중수할 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동 서회랑지는 각각 동 서탑의 심초석에서 약 19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 며 남회랑은 금당지의 중심에서 약 44.6m 남쪽에 위치한다. 회랑지의 초석 역시 모 두 결실되었지만, 적심석의 잔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서회랑지는 현재 잔존 유구는 1칸 (주칸거리 2.6m) 28칸(주칸 3.0m)으로 단랑 ( 單 廊 )구조이며, 잔존 남북 거리는 대략 80m정도이다. 동회랑지는 북편의 철로에 의해 일부 결실되었으며, 동익랑지의 남쪽에서만 적심이 양호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남회랑지는 문지 동편으로 도라칸 11칸 보칸 1칸의 적심들이 확인되고 있으며, 서 편은 후대 민묘로 인행 교란되어 모두 결실된 상태이다. 기단부는 동회랑지에서 상당히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는데, 돌을 편평하게 깐 다 음 그 위에 무문전이 놓인 상태였다. 서회랑지에서 후대에 교란되어 무문전은 확인 되지 않았으나, 열을 맞춰 돌로 기단부를 마무리 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 서익랑지 외곽부분에서는 너비 200cm의 돌과 무문전으로 구획한 공간이 확인 되었는데, 익랑지의 적심열과 그 너비를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익랑지로 통하는 작은 문이 아니었을까 추정하고 있으나, 차후의 조사를 통해 밝히고자 - 9 -

도12. 동회랑지(북에서) 도13. 동회랑지(남에서) 익랑과 회랑이 만나는 지점에서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배수로가 확인되었는데, 현재 잔 존 거리는 약 5.2m 정 도이다. 배수구의 모양 은 바닥에 판석을 깔고 양 옆으로 전을 쌓아 올린 형태로, 회랑 안쪽 공간에 고인 물을 배수 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 된다. 또한 배수구와 'ㄴ'자형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가로 남북 111cm, 동서 68cm, 최대 두께 43cm의 대 석이 확인되었다. 대석을 편평하게 배치한 것을 보아 배수구와 연관된 시설물로 생 각된다. 또한 동회랑지와 남회랑지가 만나는 지점 외곽에서 방형의 적심군이 확인 되었는데, 용도는 알 수 없다. 6. 강당지 서편 건물지 도14. 강당지 서편건물지 추정 단석지 뒤편에서 강당지 서편 건물지로 추정되는 적심이 확인되었 다. 이 건물지는 현재까지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정면 5칸, 측면 3칸 의 규모이다. 건물지 동북쪽에는 주 좌크기 54cm인 방형 초석이 하나 잔존하고 나머지는 모두 결실되어 적심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건물 의 북쪽 기단부는 약간 단이 지는 모습으로 기단부에 놓인 할석열을 따라 적심이 만들어진 모습으로 줄기초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기단의 높이는 약 60cm이며, 바닥면에서는 통일신라기의 연목와가 출 토되었다. 이 유구는 감은사지 강당지 동서에 있는 건물지와 같은 구조의 건물지가 아닐까 추정된다. - 10 -

Ⅴ. 출토유물 서탑지의 면석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녹유전은 현재 A형식(왼손에 칼을 잡은 형식), B형식(왼손에 활을 잡은 형식), C형식(오른손에 칼을 잡은 형식)이 확인되었 다. A상은 왼손에 긴 칼을 들고 우측면을 비스듬히 응시하면서, 무릎을 꿇은 좌우 악귀 위에 걸터 앉아있는 형상이다. 곱슬거리는 머리 위로 연주문( 連 珠 文 )의 둥근 정면 장식과 새날개형 장식이 달린 관을 쓰고, 동물두식( 動 物 頭 飾 )의 견식( 肩 喰 ), 봉 황문 흉갑( 胸 甲 ), 소찰( 小 札 )로 된 요갑( 腰 甲 ), 그 아래 여러 단으로 부드럽게 흐르 는 상착( 上 着 )을 착용하고 있다. B상은 정면을 응시하며, 왼손에 활을 들고 오른손 에 화살을 들고 있다. 견고한 투구와 갑옷은 모두 운기문( 雲 氣 文 ), 연주문, 운문( 雲 文 )으로 장식되어 정교하고 화려하다. C상은 작은 비늘모양 소찰( 小 札 )로 구성된 엉성한 투구를 머리에 착용하였으며, 눈초리를 치켜 올리며 크게 부릅뜬 눈과 넓게 퍼진 커다란 콧방울을 가진 분노상이 며, 좌측을 응시하고 있다. 오른손에 술이 길게 달린 칼을 쥐고, 오른쪽 무릎에 왼 쪽 다리를 올려 반가부좌 한 특이한 도상이다. A상 B상 C상 도15. 녹유전 기와는 일반 기와를 비롯하여 특수기와가 출토되었다. 일반기와에는 다양한 문양 의 수키와와 암키와를 비롯하여, 귀면와 등의 수막새와 암막새가 출토되었다. 수막 새는 연화문, 암막새는 인동문이 주를 이룬다. 금당지 기단 지대석 주변에서는 특히 귀면와가 많이 출토된 것이 주목된다. - 11 -

다양한 명문와가 출토되었는데, 가장 많은 것은 四天王寺 명 명문와이며, 上寺, 左寺, 右寺, 四天王寺己巳年重修瓦 등 중수기록 명문와도 확인되었다. 주칠이 되어 있는 연목와, 녹유부연와 등의 특수기와도 많이 출토되었으며, 전이 나 기와의 측면과 상면에 도장을 찍은 인장전 인장와도 많이 출토되었다. 기와를 재가공하여 만든 원형토제품 및 장식품으로 추정되는 원공이 있는 반구형 토제품도 다소 출토되었다. 반구형토제품 중 가운데 구멍에 못이 그대로 박혀있는 것이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못으로 어딘가에 고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당지 본존불 지대석 근처에서 3cm 크기의 소라 모양 토제품이 2개가 확인 되었는데, 바닥면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오른쪽으로 감겨 있는데, 마치 부처의 나발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도16. 수막새 도17. 암막새 도18. 인장와 및 인장전 도19. 토제품 도20. 도21. 연목와 부연와 당초문전 - 12 -

. 도22. 四 天 王 寺 己 巳 年 重 修 瓦 도23. 명문와 도24. 치미 도25. 서탑지 출토 청동완 Ⅵ. 조사성과 첫째, 사천왕사지의 전체 가람배치를 확인하였다. 금당지, 동서탑지, 추정 동서단석 지와 2008년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문지, 익랑지, 회랑지,강당지 서편 건물지 등이 추가로 확인되어 통일신라 초기의 사찰 가람배치 구조를 밝히게 되었다. 둘째, 사천왕사지 목탑지와 금당지의 내부 및 기단의 구조를 밝힐 수 있었다. 특히 백제시대 목탑의 판축기법과는 달리 돌과 흙을 함께 사용하여 판축기법이 활용되었음 을 확인되었다. 이는 남리사지에서도 확인된 바 있어, 통일신라시대 탑의 축기부 축조 의 일반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셋째, 녹유전의 위치와 배치상태를 규명하였다. 녹유전 발굴조사 전 학계에서 그 위 치에 대해서 많은 의견이 있었으나,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탑의 면석으로 사용되었음 이 확인되었다. 이 녹유전의 배치상태는 모서리부분에서 A-B-C상이 한 세트를 이뤄,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3매씩 24개의 녹유전이 탑에 부착되어 있었다. 향후, 사역 내의 건물지에 대한 추가 정밀조사와 사역 외곽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 여, 전체적인 사천왕사지 사역에 대해서 심도 깊은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