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10100 =minusby by1000 °æ=10100 =minusby by1000 Á¦=10100 =minusby by1000 Åë=10100 =minusby by1000 ÇÕ=10100 =minusby by1000 °ú =10100 =minusby by1000 ¹«=10100 =minusby by1000 ¿ª=10100 =minusby by1000 Á¤=10100 =minusby by1000 Ã¥ No. 3

Contents 서서서문문문 3 1 개개개론론론 6 2 시시시장장장의의의 맥맥맥락락락 및및및 문문문제제제 6 3 루루루나나나의의의 전전전랴

Content Neutrality Network (CNN) D-Run Foundation Ltd. 이월 28,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9, 30(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거래소

378 Hyun Deuk Lee Sun Young Jung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의 수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의 수행 의지를 높여 야 하고, 심폐소생 술의

1288 Donghwan Lee Kyungha Seok 용하였는데, 심층신경망 모형에서 미소 객체 탐색이 어려운 이유는 입력 이미지의 크기가 합성곱 연산 (c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9, 30(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1218 Dongha Kim Gyuseung Baek Yongdai Kim 대표적이다. 이후에는 ReLU를 응용하여 LeakyReLU (Maas 등, 2013), PReLU (He 등, 2015), ELU (Clevert 등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9, 30(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Net media covered by Opoint in South Korea 1612 sites May 8, 2019 모든 국민은 교육자다! 뉴스에듀 ( All the people are educators! News edudu) (5)

Comprehensive Resiliency Evaluation for Dependable Embedded Systems Yohan Ko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석 사 학 위 논 문 신경망 예측기와 퍼지논리 투표기법을 이용한 센서의 고장 진단, 고립 및 적응 권 성 호 기 계 공 학 부 광 주 과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16; Rush et al., 2015). Attention models help the NLP model focus on salient words/phrases and transfer these attentions to other machine learning m

outline_표준연3파트.ind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52*22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연구노트

SIGIL 완벽입문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 2 -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pb61۲õðÀÚÀ̳ʸ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한국어텍 ko.tex v0.1.0 사용설명서 은광희 김도현 김강수 2007 년 7 월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초간단 oblivoir v2.1 사용법 x-ob-liv-oir 2015 년 4 월 요약 oblivoir 클래스 2.0 버전은그동안별도의브랜치로개발되어오던 xoblivoir 와 oblivoir 를통합하여완전히동일한클래스가되었다. 이문서는 oblivoir 즉 xoblivo

The Asian Journal of TEX, Volume 1, No. 2, October 2007 Article revision 2007/10/31 KTS THE KOREAN TEX SOCIETY SINCE 2007 Oblivoir 를이용한문서작성 Document P

참을성 없는 초보자들을 위한 해법 2 1 참을성 없는 초보자들을 위한 해법 이 글의 제목에 마음이 끌렸다면 당신은 분명 매우 절박한 처지에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은 참을성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없다고 변명하겠지만 이 책에서 만족할 만한 아무런 해법도 얻지 못할 수

01¸é¼öÁ¤

E (2005).hwp

041~084 ¹®È�Çö»óÀбâ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제 1 절 복습 \usepackage{ g r a p h i c x }... \ i n c l u d e g r a p h i c s [ width =0.9\ textwidth ] { b e a r. j p g } (a) includegraphics 사용의일반적인유형

#7단원 1(252~269)교

소식지수정본-1

2ÀåÀÛ¾÷

01Àå

77

28 THE ASIAN JOURNAL OF TEX [2] ko.tex [5]

Microsoft PowerPoint - chap05-제어문.pptx

wtu05_ÃÖÁ¾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pdf..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178È£pdf

DocHdl2OnPREPRESStmpTarget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숱숰숮숱 쉌쉥쉦쉳쉣쉨쉥쉴쉺 연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숱 숱숰숮숲 쉇쉲쉩숎쉴쉨쉳의 중급 쉊쉡쉣쉯쉢쉩쉡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수식모드수식의표현법 수학식표현 조남운 조남운 수학식표현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_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21 여 ö Ç J ö Ç Ç ö úç úç ú Ç 사랑으로채우 - - 여? J J J J J #ú Ç úç 사랑으로채우 - 여 L? ú ä F ä A ä # _

Microsoft PowerPoint - chap03-변수와데이터형.pptx

Windows 8에서 BioStar 1 설치하기

2 C freetype ttf2tfm 18 D ttf.sh 19 E FD 20

Art & Technology #5: 3D 프린팅 - Art World | 현대자동차

현대적 레이텍 활용 Modern Coding Conventions

歯이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초간단 xoblivoir under X E TEX 사용법 x-ob-liv-oir 2008 년 9 월 8 일 12 월 3 일 ( 열번째고쳐씀 ) 요약 xoblivoir는 LuaLATEX 과 X LATEX 에서사용할수있는 oblivoir이다. 이문서는 E X LATEX 에

~


와플-4년-2호-본문-15.ps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내지-교회에관한교리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1809_2018-BESPINGLOBAL_Design Guidelines_out

04 Çмú_±â¼ú±â»ç

KSKSKSKS SKSKSKS KSKSKS SKSKS KSKS SKS KS KS C 3004 KS C

mobile_guide_SA

1 1 만 알아보기 1000이 10개이면 10000입니다. 이것을 또는 1만이라 쓰고 만 또는 일만이라 고 읽습니다. 9000보다 은 2 다섯 자리 수 알아보기 9900보다 보다 보다 1 큰 수입니다. ⑴ 1000

Chapter ...


2002report hwp

(012~031)223교과(교)2-1


16<C624><D22C><ACFC><D0D0> <ACE0><B4F1><BB3C><B9AC><2160>_<BCF8><CC45>.pdf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untitled

0.筌≪럩??袁ⓓ?紐껋젾 筌

»êÇÐ-150È£

º´¹«Ã»Ã¥-»ç³ªÀÌ·Î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한글 L 읁 TEX 에서임의의트루타입한글폰트사용하기 김강수 주철 윲윰윰윷년윷월윶일 일러두기 이글은괲괰괰괳년에썼던굜굈굌 A 굔굅굘에서임의의트루타입글꼴사용하기괢라는괬김강수 주철공저의글을고쳐쓴것이다괮한글트루타입폰트를굌 A 굔굅굘에서사용할수있게된과정은이전의글에정리되어있다괮이글

쓰리 핸드(삼침) 요일 및 2405 요일 시간, 및 요일 설정 1. 용두를 2의 위치로 당기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를 설정합니다. 2. 용두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요일을 설정합니다. 3. 용두를 3의 위치로 당기고 오늘 와 요일이 표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exp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Transcription:

한국어텍 ko 숮쉔쉅쉘쉶숲숮숰사용설명서 김강수 숲숰숱숴년숵월

제2판 일러두기 숲숰숰숷년에 ko숮쉔쉅쉘이 만들어진 이후숬 이 패키지는 사실상 한국어 문헌의 조판과 식자 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패키지가 되었습니다숮 저자들은 이에 대해 매우 자랑스 러움을 느끼고 있으며숬 개선을 위해 고언을 마다하지 않으신 사용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숮 숲숰숰숷년 이후숬 텍 사용환경에는 극적이라 해도 좋을 만한 변화가 초래되었습니 다숮 특히 쉘쉅쉔쉅쉘이나 쉌쉵쉡쉔쉅쉘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여숬 한글 식자 문제에 있 어 결정적인 진보를 이룬 것은 특기할 만한 것입니다숮 ko숮쉔쉅쉘의 저자들은 이와 같 은 텍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쉘쉅쉔쉅쉘숭ko숬 쉌쉵쉡쉔쉅쉘숭ko와 같은 패키지를 개발하여 한 글 사용을 더 쉽고 강력하게 만드는 데 헌신해왔습니다숮 이에 숲숰숱숳년에 접어든 지금숬 ko숮쉔쉅쉘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고 그 사용 설명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숮 ko숮쉔쉅쉘은 더 발전할 것이고숬 더 훌륭한 한글 문헌의 조판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숮 이 문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숮 숲숰숱숳년 숹월 숨대표필자숩 김강수 숨識숩 쉩

일러두기 ko숮쉔쉅쉘은 쉈쉌쉁쉔쉅쉘과 쉨쉡쉮쉧쉵쉬숭쉵쉣쉳가 결합하여 탄생한숬 명실 상부한 숐한국어숨한글숩 텍 시스템숑입니다숮 숐한글 라텍숨쉈쉌쉁쉔쉅쉘숩숑은 숱숹숹숰년대 이후 텍에서의 한글 사용에 사 실 준 이었으며숬 쉨쉡쉮쉧쉵쉬숭쉵쉣쉳는 한글 라텍의 현저한 영향 아래서 성장한 유니코드 상 표 한글 텍 매크로였던 것입니다숮 이제 한국텍학회숨쉋쉔쉓숩의 주도 아래숬 한글 라텍과 쉨쉡쉮쉧쉵쉬숭쉵쉣쉳가 하나의 매크로 시스템으로 통합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숮 이와 더불어 더욱 알차고 유용한 사용자 안내서를 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숮 한글 라텍의 표준 문서였던 숐한글 라텍 길잡이숑숨은광희숩는 아마도 가장 많이 읽 힌 한글로 된 라텍 관련 문서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숮 이 문서는 단순히 한글 사 용법을 넘어서서숬 텍에 입문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숮 이 문서는 한글 라텍 길잡이를 바탕으로 ko숮쉔쉅쉘에 맞도록 개정하여 쓴 것입니다숮 감사의 말과 머리말은 거의 그대로 보존하였으며숬 ko숮쉔쉅쉘이 등장하는 경과를 설명 하는 소절을 하나 추가하는 정도에 그쳤습니다숮 다만 문체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하 여 이 일러두기와 감사의 말을 제외하고는 경어체를 평어체로 고쳐썼습니다숮 또한 사용법에 있어서 한글 라텍 이후의 여러 가지 발전 사항을 새로운 편제로 서술하려 하였습니다숮 지나치게 기술적인 서술을 피하고 실제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이 문서의 목적이 있습니다숮 이 문서가 ko숮쉔쉅쉘을 사용하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숮 뜻하 지 않은 잘못된 내용이나 실수숬 빠진 내용숬 오식을 바로잡아 주시면 더 나은 사용자 안내서를 만드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숮 숲숰숰숷년 숷월 은광희 김도현 김강수 숨識숩 쉩쉩

차례 제I편 제1장 총론 1 ko.tex에 관하여 2 숱숮숱 ko숮쉔쉅쉘의 구성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 숱숮숲 간단한 연혁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 숱숮숲숮숱 ko숮쉔쉅쉘의 탄생 숨숲숰숰숷숩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 숱숮숲숮숲 그 후의 발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 숱숮숳 ko숮쉔쉅쉘의 로고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 숱숮숴 개발자와 라이선스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 제2장 사용법 개관 7 숲숮숱 쉫쉯쉴쉥쉸숮쉳쉴쉹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숷 숲숮숲 쉰쉤쉦쉌쉁쉔쉅쉘 또는 쉌쉁쉔쉅쉘으로 컴파일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숸 숲숮숳 쉘쉅쉌쉁쉔쉅쉘 또는 쉌쉵쉡쉌쉁쉔쉅쉘으로 컴파일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숸 숲숮숴 엔진별 동작의 예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숸 숲숮숵 쉰쉤쉦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숹 숲숮숵숮숱 쉰쉤쉦 쉢쉯쉯쉫쉭쉡쉲쉫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숹 숲숮숵숮숲 텍스트 검색과 추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숹 제3장 문서와 도움말 11 제4장 배포와 설치 12 숴숮숱 쉃쉔쉁쉎을 통한 배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숲 숴숮숲 쉋쉔쉕쉇 사설 저장소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숳 숴숮숳 ko숮쉔쉅쉘 쉌쉩쉶쉥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숴 쉩쉩쉩

쉔쉅쉘 쉌쉩쉶쉥 이외의 텍 배포판의 경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숮숴 숱숴 제 II 편 ko.tex-utf 사용설명 15 제5장 16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숵숮숱 개관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숶 숵숮숲 첫번째 문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숶 숵숮숲숮숱 간단한 문서 작성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숶 숵숮숲숮숲 컴파일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숷 숵숮숲숮숳 옵션들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숷 몇 가지 한글화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숸 숵숮숳숮숱 기호문자 처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숱숸 숵숮숳숮숲 우리말 이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숰 숵숮숳숮숳 장절명령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숰 숵숮숳숮숴 강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숲 숵숮숳숮숵 자간숬 행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숴 숵숮숳숮숶 장평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숶 숵숮숳숮숷 쉮쉯쉮쉦쉲쉥쉮쉣쉨 쉳쉰쉡쉣쉩쉮쉧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숷 숵숮숳숮숸 각주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숸 숵숮숳숮숹 한글식 카운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숸 숵숮숳숮숱숰 자동조사 명령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숲숹 숵숮숳숮숱숱 쉥쉮쉵쉭쉥쉲쉡쉴쉥의 항목 머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숰 미세 조정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숲 숵숮숴숮숱 수식과의 간격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숲 숵숮숴숮숲 쉍쉩쉣쉲쉯 쉔쉹쉰쉯쉧쉲쉡쉰쉨쉹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숳 행나눔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숴 숵숮숵숮숱 영문자와 숫자 뒤의 한글 개행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숴 숵숮숵숮숲 여는 괄호 앞의 행자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숵 숵숮숵숮숳 이른바 숐고아숑 문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숶 한글 쉐쉄쉆 만들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숷 숵숮숳 숵숮숴 숵숮숵 숵숮숶 숵숮숶숮숱 하이퍼링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숷 숵숮숶숮숲 한글 책갈피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숷 쉩쉶

숵숮숷 찾아보기와 참고문헌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숸 숵숮숸 옛한글 구현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숳숸 숵숮숹 일본어와 중국어 문단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숰 숵숮숱숰 세로쓰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숲 제6장 글꼴 문제 43 숶숮숱 개관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숳 숶숮숲 영역숬 가족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숴 숶숮숲숮숱 입력 문자의 영역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숴 숶숮숲숮숲 라틴 문자 영역 글꼴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숵 숶숮숲숮숳 글꼴 가족과 인코딩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숵 글꼴의 제한과 더 많은 글꼴 사용에 대한 문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숶 숶숮숳숮숱 ko숮쉔쉅쉘의 글꼴 관련 명령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숷 숶숮숳숮숲 쉌쉥쉧쉡쉣쉹 쉔쉅쉘을 위한 한글 글꼴 패키지들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숸 숶숮숳숮숳 엄격한 문자 체크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숴숸 숶숮숳 제7장 한글 문서 서식을 위한 부가 패키지들 50 숷숮숱 강조 방식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숰 숷숮숲 각주 형식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숱 숷숮숲숮숱 쉤쉨쉵쉣쉳쉦쉮의 각주 판짜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숱 숷숮숲숮숲 각주 문단 모양 관련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숳 자간숬 행간숬 단어간격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숴 숷숮숳숮숱 자간과 어간숺 쉤쉨쉵쉣쉳숭쉩쉮쉴쉥쉲쉷쉯쉲쉤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숴 숷숮숳숮숲 행간숺 쉤쉨쉵쉣쉳숭쉳쉥쉴쉳쉰쉡쉣쉥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숶 숷숮숴 장절표제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숷 숷숮숵 우리글 문장부호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숸 숷숮숳 제8장 색인(찾아보기) 만들기 59 숸숮숱 색인 작성 유틸리티 komkindex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숹 숸숮숲 간단한 색인 작성의 보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숵숹 쉶

제 III 편 그밖의 것들 61 제9장 62 숹숮숱 plaintex과 ko.tex 쉫쉯쉴쉥쉸쉰쉬쉡쉩쉮숮쉴쉥쉸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숹숮숲 쉨쉡쉮쉧쉵쉬쉣쉷쉥쉢숮쉴쉥쉸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숳 숶숲 제 10 장 HTML 제작 64 제 11 장 한글 트루타입 폰트의 사용 65 숱숱숮숱 ttf2kotexfont 사용법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숵 숱숱숮숲 문서에서 폰트 설정하기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숷 숱숱숮숳 쉰쉤쉦 문서 제작을 위한 쉰쉤쉦쉌쉁쉔쉅쉘 사용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숷 제 12 장 옛한글 관련 코드변환 유틸리티 68 숱숲숮숱 옛한글 처리 방식의 변화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숸 숱숲숮숲 쉪쉡쉭쉯숭쉮쉯쉲쉭쉡쉬쉩쉺쉥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숮 숶숹 찾아보기 70 이 문서에 대하여 75 쉶쉩

제 I 편 총론

제1장 ko.tex에 관하여 1.1 ko.tex의 구성 ko숮쉔쉅쉘숱 은 한국어숯한글 식자를 위한 쉔쉅쉘숬 쉌쉁쉔쉅쉘 패키지군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숮 한국텍학회숨쉋쉔쉓숻 쉋쉯쉲쉥쉡쉮 쉔쉅쉘 쉓쉯쉣쉩쉥쉴쉹숩에서 공식적으로 개발을 후원하고 배포를 담당하고 있으며숬 주개발자인 김도현 이외 많은 기여자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숮 숲숰숱숳년 현재숬 ko숮쉔쉅쉘은 다음과 같은 패키지들을 총칭하는 것이다숮 숨숱숩 ko.tex-utf숮 유니코드 숨쉕쉔쉆숭숸숩 한글 식자 패키지로서숬 숐쉬쉥쉧쉡쉣쉹 쉔쉅쉘 엔진숑 숨tex숬 latex숬 pdftex숬 pdflatex을 실행하는 경우 운용되는 쉔쉅쉘 엔진숩에 대응한다숮 쉌쉁쉔쉅쉘 을 위한 dhucs와 쉰쉬쉡쉩쉮 쉔쉅쉘을 위한 kotexplain숬 그 부수파일들로 이루어져 있다숮 숨숲숩 cjk-ko숮 쉗쉥쉲쉮쉥쉲 쉌쉥쉭쉢쉥쉲쉧의 CJK 패키지를 이용하여 유니코드 한글을 식자하 는 패키지이다숮 쉬쉥쉧쉡쉣쉹 쉔쉅쉘 엔진에 대응한다숮 이 패키지는 그 기원과 동작이 ko숮쉔쉅쉘과는 제법 다르게 출발하였지만 ko숮쉔쉅쉘의 몇 가지 중요한 기능 사 등 자동조 을 구현하고 있는 등숬 여러 면에서 ko숮쉔쉅쉘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숮 \usepackage{kotex} 문법을 사용한다숮 숨숳숩 XETEX-ko숮 쉘쉅쉔쉅쉘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숮 숨숴숩 LuaTEX-ko숮 쉌쉵쉡쉔쉅쉘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숮 숱 ko숮쉔쉅쉘은 텍스트 상황에서 ko.tex이라고 쓰고 숐케이오텍숑 또는 숐코리언 텍숑이라고 읽는다숮 숐코 텍숑 또는 숐코텍스숑라고 읽지 않기를 희망한다숮 ko는 한국어를 의미하는 국제부호에서 취한 것이다숮 ko를 소문자로 쓴다숮 숲

간단한 연혁 3 숨숵숩 oblivoir숮 memoir 클래스를 이용하여 한글 문서를 작성하도록 도와주는 클래스 와 패키지 묶음이다숮 숨숶숩 ko.tex utilities숮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유틸리티들이다숮 예를 들면 색인을 만들기 위한 komkindex와 xindy modules 등이 포함되어 있다숮 다음 패키지는 이전 버전까지 ko숮쉔쉅쉘에 포함되어 있던 것들이나숬 숲숮숰 버전에서 제외되어 현재 숐개발 중단숨쉯쉢쉳쉯쉬쉥쉴쉥숩숑 상태로 간주되는 것들이다숮 이 패키지들은 편 의를 위하여 현재까지 ko숮쉔쉅쉘 저장소에서 서비스하고 있다숮 숨숱숩 kotex-euc숮 쉅쉕쉃숭쉋쉒 한글을 식자하는 패키지였다숮 은광희의 쉈쉌쉁쉔쉅쉘 숱숮숰숮숱의 쉌쉁쉔쉅쉘 파트를 바탕으로 약간의 수정을 가한 상태로 ko숮쉔쉅쉘 숱숮숰에 포함되어 있 었다숮 숨숲숩 untype1숮 은글꼴 쉴쉹쉰쉥 숱 폰트 묶음이다숮 역시 숐개발중단숑 상태이고 ko숮쉔쉅쉘 숲숮숰 에서는 불필요하나 이 글꼴 묶음을 필요로 하는 분이 계실 것을 감안하여 당분 간 ko숮쉔쉅쉘 저장소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숮숲 이밖에 ko숮쉔쉅쉘의 일부는 아니지만 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패키지는 다음 과 같다숮 숨숱숩 nanumtype1숮 쉃쉔쉁쉎에 등록되어 있는 숨유니코드숩 한글 쉴쉹쉰쉥 숱 글꼴이다숮 패키 지의 관리자는 ko숮쉔쉅쉘의 주개발자인 김도현이다숮 1.2 간단한 연혁 1.2.1 ko.tex의 탄생 (2007) 그림 숱숮숱은 쉈쉌쉁쉔쉅쉘에서 출발하여 ko숮쉔쉅쉘에 이르는 한글 텍의 발전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숮 숲숰숰숷년 숶월 숳숰일숬 한국텍학회 모임에서숬 은광희 김도현 김강수 등 한글 라텍 및 쉨쉡쉮쉧쉵쉬숭쉵쉣쉳의 저자들과 쉋쉔쉓 임원 회원 등이 모인 자리에서 이 두 한글 매크로 패키지를 통합하여 통합 한글 텍 패키지를 제작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숮 이것은 숲 참고로숬 그동안 ko숮쉔쉅쉘은 편의를 위하여 은글꼴 트루타입도 함께 배포해왔으나숬 이것은 원래부 터 ko숮쉔쉅쉘의 일부는 아니었고 단지 은글꼴 트루타입을 기본 글꼴로 간주한 패키지가 존재했던 데서 연유한다숮

4 제 1 장 ko.tex에 관하여 그림 숱숮숱숺 ko숮쉔쉅쉘의 탄생 그동안 한글 사용에 있어서 둘 이상의 패키지가 존재함으로 인해 빚어진 혼란을 불 식하고 향후 한글 텍숯라텍의 발전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일보전진 이었고숬 한글 라텍으로부터 오랜 시간 발전해 온 라텍에서의 한글 사용을 총체적으 로 점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 결정이었다숮 그로부터 일 개월 정도의 작업을 통하여 ko숮쉔쉅쉘 베타 버전이 공개되었다숮 ko숮쉔쉅쉘 은 쉕쉮쉩쉣쉯쉤쉥숯쉕쉔쉆숭숸 인코딩과 쉅쉕쉃숭쉋쉒을 모두 지원하기로 하였으나 원칙적으로 향 후의 발전 방향은 쉕쉮쉩쉣쉯쉤쉥로 합의하였다숮 또한 은광희의 쉕쉈쉃 글꼴을 발전시킨 쉠은 글꼴 쉴쉹쉰쉥 숱숧을 기본 글꼴로 채택하고 이를 쉅쉕쉃숭쉋쉒 버전에도 적용시킴으로써숬 폰 트를 둘러싼 이런저런 불편한 점을 일소하였으며숬 쉰쉤쉦 제작 및 매크로의 호환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진보를 이루었다숮

ko.tex의 로고 1.2.2 5 그 후의 발전 ko숮쉔쉅쉘은 쉔쉅쉘 쉌쉩쉶쉥에 대응하여 개발되기 시작하였다숮 숲숰숰숸년부터 쉔쉅쉘 쉌쉩쉶쉥의 사설 저장소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ko숮쉔쉅쉘을 배포해왔다숮 이 시기의 중요한 사실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숮 쉋쉔쉕쉇을 통해 이루어진 쉈쉡쉮쉹쉡쉮쉧 쉐쉕쉁 쉰쉲쉯쉪쉥쉣쉴의 결과숬 고문헌 조판에 필요 한 유틸리티를 갖추게 되었다숮 쉘쉅쉔쉅쉘숭ko와 쉌쉵쉡쉔쉅쉘숭ko가 개발되었다숮 글꼴의 제약이 사라짐으로써 누리게 된 이점 때문에 사실상 쉘쉅쉌쉁쉔쉅쉘을 한글 문헌 조판에서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숮 이에 더하여 oblivoir의 쉘쉅쉔쉅쉘판인 xoblivoir가 별도로 개발되었다숮 cjk-ko숬 nanumtype1숬 luatexko숬 xetexko가 쉔쉅쉘 쉌쉩쉶쉥를 통해 배포되기 시작하였 다숮 현재 한글 문헌을 가장 안정적으로 조판할 수 있는 것은 쉘쉅쉔쉅쉘숭ko이다숮 쉌쉵쉡쉔쉅쉘숭 ko는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고숬 레거시 텍을 위한 ko숮쉔쉅쉘숭쉵쉴쉦는 하위호환성이나 특 수한 상황숳 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정도가 되었다숮 특히 유니코드 텍 엔진의 등장은 ko숮쉔쉅쉘을 개발하면서 직면했던 많은 고민들숬 예컨대 글꼴 사용의 문제 같은 것을 일 소할 수 있게 하였다숮 1.3 ko.tex의 로고 ko숮쉔쉅쉘의 로고는 다음과 같다숮 ko숮쉔쉅쉘 \newcommand*\kotex{% \textsf{k}\kern-0.0625em\textit{o}\kern-0.11em% \lower.15ex\hbox{.}\kern-0.1em\protect\tex} 이 로고는 ko숮쉔쉅쉘의 견고함과 아름다움숬 그리고 유연한 표현능력을 상징한다숮 kotexlogo 패키지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usepackage{kotex-logo}를 선언하면 \kotex 명령을 쓸 수 있다숮 숳 모바일 기기에서 텍을 이용한다든가 하는 상황숮 특히 cjk-ko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발되었다숮

6 제 1 장 ko.tex에 관하여 1.4 개발자와 라이선스 ko숮쉔쉅쉘의 주개발자는 다음과 같다숮 개발자는 쉌쉐쉐쉌의 쉭쉡쉩쉮쉴쉡쉩쉮쉥쉲를 겸한다숮 ko.tex-utf 김도현숬 김강수 숨쉌쉐쉐쉌숬 쉭쉡쉩쉮쉴쉡쉩쉮쉥쉤숩 XETEX-ko 김도현 숨쉌쉐쉐쉌숬 쉭쉡쉩쉮쉴쉡쉩쉮쉥쉤숩 LuaTEX-ko 김도현 숨쉌쉐쉐쉌숬 쉭쉡쉩쉮쉴쉡쉩쉮쉥쉤숩 cjk-ko 김도현 숨쉇쉐쉌숬 쉌쉐쉐쉌숩 oblivoir 김강수숬 이기황 숨쉌쉐쉐쉌숬 쉭쉡쉩쉮쉴쉡쉩쉮쉥쉤숩 ko.tex-euc 은광희숬 김도현숬 김강수 숨쉯쉢쉳쉯쉬쉥쉴쉥숩 untype1 은광희숬 박원규숬 김도현숬 김강수 숨쉯쉢쉳쉯쉬쉥쉴쉥숩 untype1과 cjk-ko의 일부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패키지가 쉌쉐쉐쉌 라이선스를 가진 다숮숴 숴 참고로숬 쉵쉮쉴쉹쉰쉥숱은 쉇쉐쉌이다숮

제2장 사용법 개관 2.1 kotex.sty ko숮쉔쉅쉘 전체를 통틀어 kotex이라는 패키지가 기본으로 불린다숮 이 패키지는 현재 동 작하는 쉔쉅쉘 엔진과 주어진 옵션에 따라 적절한 ko숮쉔쉅쉘 패키지를 불러오는 쉷쉲쉡쉰쉰쉥쉲 역할을 한다숮 \usepackage[<options>]{kotex} 줄 수 있는 옵션은 실제 호출되는 한글 패키지의 기능과 동작에 따라 조금씩 다 르지만숬 [hangul] 옵션은 특기할 만하며숬 문서의 줄 간격숬 쉠이름숧 등을 한글화한다숮 [hanja]도 이와 비슷한데숬 기본적으로 [hangul]을 적용한 후에 캡션 등을 한자화 한다숮 이 두 옵션은 모든 ko숮쉔쉅쉘 패키지군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숮 표 숲숮숱숺 실제로 동작하는 ko숮쉔쉅쉘 패키지 \usepackage 대응 엔진 동작하는 패키지 [cjk]{kotex}...{kotex}...{kotex}...{kotex} 쉰쉤쉦쉌쉁쉔쉅쉘 쉰쉤쉦쉌쉁쉔쉅쉘 쉘쉅쉌쉁쉔쉅쉘 쉌쉵쉡쉌쉁쉔쉅쉘 cjkutf8-ko dhucs xetexko luatexko 숷

8 제 2 장 사용법 개관 표 숲숮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호출 명령을 주어도 실제로 동작하는 한글 패키지가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은 실행되는 텍 엔진과 옵션에 따라 달라진다숮숱 2.2 pdflatex 또는 LATEX으로 컴파일 \usepackage[cjk]{kotex} 위와 같이 [cjk]가 주어지면 cjk-ko 패키지를 부른다숮 정확하게는 cjkutf8-ko.sty 라는 파일을 불러온다숮 추가할 수 있는 동작은 [hangul]숬 [hanja]숬 [nojosa]라는 공통 옵션 이외에 [usedotemph]숬 [usecjkt1font]가 있다숮 각각의 의미와 동작에 대해서는 제 숳 장에서 언급한 문서를 보라숮 \usepackage[utf]{kotex} dhucs.sty를 찾는다숮 이것이 기본값이며숬 이 문서의 제 쉉쉉 편에서 설명하는 것이 이 경우의 문서 작성법이다숮 쉘쉅쉔쉅쉘과 같은 새로운 엔진이 등장하기 전에 ko숮쉔쉅쉘이라 하면 dhucs를 통하여 쉰쉤쉦쉌쉁쉔쉅쉘으로 한글을 식자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었다숮 기본값 이므로 [utf]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숮 추가 옵션에 대해서는 이 문서의 해당 부분 숨제 쉉쉉 편숩을 참고하라숮 2.3 XELATEX 또는 LuaLATEX으로 컴파일 각각 xetexko.sty와 luatexko.sty를 찾는다숮 즉 \usepacakge{kotex}을 지정하는 것 은 동일하지만 xelatex으로 문서를 컴파일한다면 전혀 다른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 인 셈이다숮 이 엔진과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은 종래의 쉰쉤쉦쉌쉁쉔쉅쉘으로 작업하는 것과는 몇몇 부분이 다르다숮 따라서 해당 문서를 잘 읽고 이에 대응해야 한다숮 그러나 [hangul]숬 [hanja] 옵션은 여전히 비슷한 의미로 동작한다숮 2.4 엔진별 동작의 예시 어떤 문서를 작성하였고숬 어떤 엔진으로 컴파일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되도록 호 환성있게 원본 자체를 작성하면 좋을 것이다숮 이럴 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패키지 숱 이전까지 존재하던 [euc] 옵션은 kotex-euc를 로드하도록 하는 것이었다숮 하위 호환성을 위하여 이 옵션은 숨이 문서에서는 설명하지 않지만숩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숮

pdf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 9 로 iftex이 있다숮 다음 보기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한 가지 예이다숮 숨쉣쉪쉫숭ko를 이 용하는 경우는 예시에서 제외되었다숮숩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hangul]{kotex} \usepackage{iftex} \ifpdftex \usepackage{dhucs-nanumfont} \else\ifxetex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else\ifluatex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fi\fi\fi pdf 문서 작성을 위한 설정 2.5 2.5.1 pdf bookmark hyperref에 [pdfencoding = auto] 옵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쉰쉤쉦 쉢쉯쉯쉫쉭쉡쉲쉫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숮숲 \usepackage{kotex} \usepackage{pdfencoding=auto,bookmarks]{hyperref} 2.5.2 텍스트 검색과 추출 쉰쉤쉦 문서의 텍스트 검색과 추출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숮 이것은 어떤 드라이버로 쉰쉤쉦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숬 일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숮 dvipdfmx 쉴쉹쉰쉥 숱 글꼴을 매우 잘 처리하고 이로부터 검색 및 추출이 가능한 쉰쉤쉦를 만들어낸다숮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숮 숲 과거 쉘쉅쉔쉅쉘을 사용할 때는 [unicode] 옵션을 선언하지 않고 쉌쉵쉡쉔쉅쉘이나 쉰쉤쉦쉔쉅쉘에서는 [unicode]를 선언하도록 권장했다숮 이 방법은 여전히 유효하나 [pdfencoding=auto]를 쓰면 엔 진에 따라 옵션을 달리 주어야 할 필요가 없다숮

10 제 2 장 사용법 개관 dvips 트루타입을 처리하지 못하는 점 때문에 이전부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었으 나 쉴쉹쉰쉥 숱 폰트를 사용하는 한 검색 추출에 문제는 없다숮 역시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다숮 pdftex 이때는 \pdfgentounicode를 활성화해주어야 한다숮 그러므로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쉢쉬쉥숩 \begin{document} 명령이 놓이기 전 에 다음 과 같이 선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숮 \ifpdf \input glyphtounicode \pdfgentounicode=1 \fi 어떤 드라이버를 사용하든 모두 포스트스크립트 윤곽선 글꼴이 사용되고숬 쉰쉤쉦 북마크가 잘 만들어지며 한글 텍스트의 검색과 추출이 자유롭다숮 oblivoir oblivoir는 위의 절차를 모두 자동화해두었다숮

제3장 문서와 도움말 이 문서는 ko숮쉔쉅쉘 전반에 대한 개괄적 사항을 언급하는 것과 더불어 ko숮쉔쉅쉘숭쉵쉴쉦 설 명서숨제 쉉쉉 편숩를 겸한다숮 ko숮쉔쉅쉘숭쉵쉴쉦 이외의 패키지숬 쉘쉅쉔쉅쉘숭ko나 쉌쉵쉡쉔쉅쉘숭ko의 경우 별도의 사용안내서가 마련되어 있다숮 그러므로 사용법에 대한 안내를 얻으려면 각 패키지별 문서들을 참조하여야 한다숮 문서를 읽을 때는 쉔쉅쉘 쉌쉩쉶쉥 유틸리티 texdoc 을 이용한다숮 이 문서 자체는 명령행에서 texdoc kotex으로 읽을 수 있다숮 cjk-ko 쉣쉪쉫숭쉫쉯숭쉤쉯쉣 문서를 찾아 읽는다숮 명령행에서 texdoc cjk-ko 명령을 내리 면 읽을 수 있다숮 XETEX-ko 쉸쉥쉴쉥쉸쉫쉯숭쉤쉯쉣 문서를 찾아 읽는다숮 명령행에서 texdoc xetexko 명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숮 LuaTEX-ko 쉬쉵쉡쉴쉥쉸쉫쉯숭쉤쉯쉣 문서를 찾아 읽는다숮 명령행에서 texdoc luatexko 명 령을 내리면 읽을 수 있다숮 oblivoir 쉭쉥쉭쉯쉩쉲 안내서를 보아야 한다숮 이것은 texdoc memman 명령으로 읽을 수 있다숮숮 한편숬 한글화 부분에 대한 사항을 참고하려면 texdoc ultrasimple 명 령으로 볼 수 있는 문서와 texdoc memucs-manual으로 볼 수 있는 문서를 함 께 참고한다숮 ko숮쉔쉅쉘숭쉥쉵쉣와 untype1의 사용법을 알려면 다음 문서를 참고하라숮 kotexguide ko숮쉔쉅쉘 숰숮숱숮숰 사용자 설명서이다숮 특히 ko숮쉔쉅쉘숭쉥쉵쉣와 untype1에 관한 방 대한 사용 설명이 존재한다숮 kotex-euc를 설치하면 포함되어 있다숮 숱숱

제4장 배포와 설치 4.1 CTAN을 통한 배포 숲숰숱숴년 숵월 현재숬 ko숮쉔쉅쉘 패키지군은 거의 모두 쉃쉔쉁쉎에 등재되었다숮 쉃쉔쉁쉎을 통 해 배포되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숺 kotex-utf숬 xetex-ko숬 luatex-ko숬 cjk-ko숬 kotex-oblivoir숬 kotex-utils숬 kotexplain 이 가운데숬 kotex-plain숬 cjk-ko숬 xetex-ko숬 kotex-utf는 서로 필요로 하는 파일이 의 존되어 있어 함께 설치하는 것이 좋다숮 luatex-ko에서도 xetex-ko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을 때가 있다숮 쉰쉤쉦쉌쉁쉔쉅쉘을 사용하려면 숨다른 폰트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숩 nanumtype1이 필요 하다숮 이 역시 쉃쉔쉁쉎을 통해 배포된다숮 쉃쉔쉁쉎에 등재된 패키지들은 각 배포판의 패키지로서 배포된다숮 TEX Live 위에 언급된 모든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숮 MiKTEX kotex-utils를 제외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숮 쉔쉅쉘 쉌쉩쉶쉥는 한글 관련 패키지와 유틸리티숬 문서를 collection-langkorean이라는 콜 렉션 패키지로 묶어서 배포한다숮 숱숲

KTUG 사설 저장소 4.2 13 KTUG 사설 저장소 과거 ko숮쉔쉅쉘이 쉃쉔쉁쉎에 등재되기 전에 쉋쉔쉕쉇은 ko숮쉔쉅쉘 사설 저장소를 운영하여 쉔쉅쉘 쉌쉩쉶쉥에서의 설치를 지원하였다숨숲숰숰숸숕숲숰숱숳숩숮 현재 사설 저장소는 쉃쉔쉁쉎에 등재하면서 제외된 ko숮쉔쉅쉘숭쉥쉵쉣 파트와 은 글꼴숨트 루타입숬 쉴쉹쉰쉥숱숩 및 쉋쉔쉕쉇에서 제작된 유용한 패키지와 유틸리티들을 추가적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숮 사설 저장소는 파일들을 몇 가지 숐설치용숑 패키지로 나누어서 제공한다숮 숲숰숱숴 년 숵월 현재 사설 저장소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숮숱 kotex-euc 이전 버전 ko숮쉔쉅쉘의 쉥쉵쉣숭쉫쉲 한글 식자 관련 파트이다숮 이 패키지를 사 용하려면 unfonts-base가 필요하다숮 unfonts-base 은글꼴 쉴쉹쉰쉥 숱과 트루타입이다숮 은바탕숬 은돋움숬 은그래픽숬 은타자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숮 unfonts-extra 은글꼴 쉴쉹쉰쉥 숱과 트루타입으로 쉢쉡쉳쉥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다숮 nanumbaruntype1 나눔바른고딕의 쉴쉹쉰쉥 숱 글꼴이다숮 kotex-midkor 옛한글 식자에 필요한 패키지와 폰트 묶음이다숮 jiwonlipsum 쉬쉩쉰쉳쉵쉭의 한글화 버전이다숮 kswrapfig 쉋쉡쉲쉮쉥쉳가 작성한 패키지로서 그림 주변으로 텍스트가 흐르게 할 때 그 림과 텍스트 간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하는 명령을 제공한다숮 ob-chapstyles 쉯쉢쉬쉩쉶쉯쉩쉲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장 표제의 예제를 포함하고 있다숮 hanjacnt 한자와 한글 카운터를 제공한다숮 arara-rules-ko 쉫쉯쉭쉫쉩쉮쉤쉥쉸숬 쉫쉯쉴쉥쉸쉩쉮쉤쉹숬 쉤쉶쉩쉰쉤쉦쉭쉸를 위한 쉡쉲쉡쉲쉡 쉲쉵쉬쉥쉳 파일숮 ktugbin ko숮쉔쉅쉘 쉌쉩쉶쉥에서 제공하던 유틸리티 몇 개를 설치한다숮 숨쉗쉩쉮쉤쉯쉷쉳숩 texworks-config ko숮쉔쉅쉘 쉌쉩쉶쉥에서 제공하던 쉔쉅쉘쉷쉯쉲쉫쉳 설정 파일숮 숨쉗쉩쉮쉤쉯쉷쉳숩 ko숮쉔쉅쉘 사설 저장소는 쉔쉅쉘 쉌쉩쉶쉥의 tlmgr 유틸리티를 통하여 간단히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숮 먼저 다음 명령을 내리면 저장소가 등록된다숮 $ tlmgr repository add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 ktug 이제 이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쉔쉅쉘 쉌쉩쉶쉥의 쉴쉥쉸쉭쉦 트리 아래의 tlpkg 디렉터리 숨이를테면 /usr/local/texlive/texmf-local/tlpkg숩에 숱 여기서 쉠패키지숧란 쉌쉁쉔쉅쉘 매크로 패키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에서 파일을 구분하는 단위를 말한다숮

14 제 4 장 배포와 설치 ktug:* 이라는 내용을 갖는 pinning.txt 파일을 만들고 $ tlmgr install unfonts-base $ tlmgr remove unfonts-base 명령을 통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숮 이 문서를 오류없이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쉋쉔쉕쉇 사설 저장소로부터 kotex-midkor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숮 4.3 ko.tex Live 한국텍학회와 쉋쉔쉕쉇에서는 텍 시스템과 ko숮쉔쉅쉘 설치와 운영에 곤란을 겪는 윈도 우즈 운영체제 사용자를 위하여 쉔쉅쉘 쉌쉩쉶쉥와 ko숮쉔쉅쉘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도와 주는 설치 프로그램 ko숮쉔쉅쉘 쉌쉩쉶쉥를 제공하고 있다숮 저장소의 등록숬 관리와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자동화하였고 한글 문서 작성에 필요한 도구와 예제를 제공한다숮 윈도우즈 상에서 ko숮쉔쉅쉘을 설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숮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쉋쉔쉕쉇숲 을 방문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숮 4.4 TEX Live 이외의 텍 배포판의 경우 예컨대 윈도우즈의 쉍쉩쉋쉔쉅쉘과 같은 배포판이라면숬 적어도 쉃쉔쉁쉎에 등재된 패키 지는 설치가 가능하다숮 즉 현재 cjk-ko숬 xetex-ko숬 luatex-ko숬 kotex-utf숬 kotex-plain숬 kotex-oblivoir 쉍쉩쉋쉔쉅쉘의 패키지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 운용할 수 있다숮 tlmgr이 없는 텍 배포판이라도 쉔쉅쉘 쉌쉩쉶쉥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ko숮쉔쉅쉘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숮 적어도 collection-langkorean라는 콜 렉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숮 그 이외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ko숮쉔쉅쉘 패키지 저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다숮 이 문제에 대해서 이 글에서는 더 다루지 않겠다숮 숲 http://www.ktug.org

제 II 편 ko.tex-utf 사용설명

제5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5.1 개관 ko숮쉔쉅쉘숭쉵쉴쉦는 쉕쉔쉆숭숸 유니코드로 입력되는 한글을 쉌쉁쉔쉅쉘 문서에서 식자하고 조판하 게 하려는 스타일 패키지로서숬 그 핵심 부분인 dhucs를 김도현이 작성하였다숮 5.2 5.2.1 첫번째 문서 간단한 문서 작성 그림 숵숮숱과 같은 간단한 문서를 작성해보자숮 제숳행에서 kotex 패키지를 \usepackage한다숮 ko숮쉔쉅쉘의 모든 패키지는 이 쉷쉡쉰숭 쉰쉥쉲를 통하여 호출된다숮 쉰쉤쉦쉌쉁쉔쉅쉘이 실행되고 [cjk]나 [euc]같은 옵션이 없으면 이 스타일은 dhucs를 부른다숮 숨숷페이지 숲숮숱절을 보라숮숩 제숸행 이후에서 hyperref를 로드한다숮 반드시 [unicode] 옵션을 주어야 한다숮 쉢쉯쉯쉫쉭쉡쉲쉫쉳 설정은 hyperref의 쉤쉥쉦쉡쉵쉬쉴이므로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책갈피가 만 들어진다숮 만약 책갈피를 만들지 않고자 한다면 옵션에서 bookmarks=false라고 한 다숮 \hypersetup 명령을 이용해서 설정값을 추가할 수도 있다숮 제숷행 이후의 \ifpdf.. \else.. \fi 구문은 쉰쉤쉦쉌쉁쉔쉅쉘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숮 이 구문을 사용하려면 ifpdf이 필요하다숮 주로 컴 파일 루트가 pdflatex으로부터 직접 pdf를 얻는 것이 아니라 dvipdfmx를 이용하 여 dvi를 pdf 변환하는 방식으로 작업할 때를 위하여 이런 구문을 쓴다숮 제숹행은 쉰쉤쉦쉌쉁쉔쉅쉘에서 텍스트의 검색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행이다숮 숱숶

첫번째 문서 숱 17 \documentclass{article} 숲 숳 숴 \usepackage[hangul,nonfrench,finemath]{kotex} \usepackage{dhucs-nanumfont} 숵 숶 숷 숸 숹 숱숰 숱숱 숱숲 \usepackage{ifpdf} \ifpdf \usepackage[pdfencoding=auto,pdftex,colorlinks]{hyperref} \input glyphtounicode \pdfgentounicode=1 \else \usepackage[unicode,dvipdfmx,colorlinks]{hyperref} \fi 숱숳 숱숴 \begin{document} 숱숵 숱숶 숱숷 \section{들어가기} 처음 문서를 작성합니다. 숱숸 숱숹 \end{document} 그림 숵숮숱숺 첫번째 문서숬 예제 이 내용을 firsttest.tex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숮 5.2.2 컴파일 이 문서를 컴파일하려면 명령행에서 다음과 같이 한다숮 $ pdflatex firsttest 또는 숨선택한 작업 루트에 따라서숩 latex으로 얻어진.dvi에 대하여 dvipdfmx 를 실행한다숮 $ latex firsttest $ dvipdfmx firsttest 5.2.3 옵션들 ko숮쉔쉅쉘숭쉵쉴쉦가 제공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숮 hangul 한글 문서 서식을 설정한다숮 장과 절 포맷은 숐제 숱 장숑과 같은 형태로 식자 된다숮 기본값은 한글 문서 서식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다숮

18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nojosa 자동조사 기능을 끈다숮 쉤쉨쉵쉣쉳 초기 버전에서 다른 패키지와의 호환을 위하 여 제공되었던 것이지만 현재는 굳이 이 옵션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거의 없 다숮 그러나 옵션으로서는 유지되고 있다숮 hanja 한글 문서 서식을 설정하는 것은 hangul 옵션과 같으나숬 한글 이름 대신 한 자 이름을 사용한다숮 nonfrench 한글 문장에 대해서도 쉮쉯쉮숭쉦쉲쉥쉮쉣쉨숭쉳쉰쉡쉣쉩쉮쉧을 적용한다숮 즉숬 마침표 등 의 뒤의 공백이 다른 공백보다 조금 더 길다숮 기본값은 쉦쉲쉥쉮쉣쉨숭쉳쉰쉡쉣쉩쉮쉧으로 식 자하는 것이다숮 finemath 원래는 문장 중의 수학 식과 이어지는 한글 사이에 적절한숨쉦쉩쉮쉥숩 간격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나숬 곧 문장부호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확대되었다숮 strictcharcheck 한글 폰트 가운데.tfm은 있으나 해당 문자가 결락되어 있는 것 이 있다숮 이럴 경우에 에러를 보여주도록 하는 옵션이다숮 이 옵션을 지시하지 않으면 문자가 없어서 식자하지 못한 것을.log에 기록만 하고 에러는 발생 시키지 않는다숮 5.3 몇 가지 한글화 5.3.1 기호문자 처리 기호문자 중 일부에 대해서는 미리 식자방법을 정의해두었다숮 숲숱 숬 숴숱 숬 등의 문자와 같은 몇 가지 한글 기호문자는 [hangul] 옵션을 준 경우에 식자할 수 있다숮 참고로 한글 기호문자에 e가 있지만 이것은 eurofont 또는 eurosym 패키지를 사 용하여 \euro와 같이 입력하는 편이 좋다숮 윈도우즈 기본 한글 입력기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쉠ㄱ숧숬 쉠ㄴ숧 등의 키 를 누른 다음 [한자] 키를 눌러서 선택하는 것이다숮 이 방법으로 입력되는 특수문 자의 예를 표 숵숮숱에서 보였다숮숱 쉠ㅎ숧 행에는 그리스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숮 텍스트 그리스 문자는 현재 본문 기본 한자 글꼴에 있는 것으로 식자되는데숬 만약 더 나은 텍스트 그리스 문자가 필요하다면 babel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한다숮 아무 옵션 없 이 해보면 이러하다숺 Τεχνη숮 숱 \DeclareUnicodeCharacter 명령을 이용하여 쉵쉣쉳의 문자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도 있다숮

몇가지한글화 19 자판 숱 숲 숳 숴 숵 숶 숷 숸 숹 ㄱ! ',. / : ;? ^ _ ` ㄱ \ ~ ˇ 숋 슽 슾 싐 ㄴ " ( ) [ ] { } 쉠 숧 숐 숑 ㄷ + - < = > ± ㄹ $ % F A 숥수 e μl ml dl l kl cc mm3 cm3 m3 km3 fm nm μm mm cm km mm2 cm2 m2 km2 ha μg mg kg kt cal kcal db m s m s2 ps ns μs ms pv nv μv mv kv MV pa na μa ma ka pw nw μw mw kw MW Hz khz MHz GHz THz Ω kω MΩ pf nf μf mol cd rad rad s rad s2 sr Pa kpa MPa GPa Wb lm lx Bq Gy Sv C kg ㅁ # & * @ 슟 Co.쉔쉍 a.m. p.m. 쉒쉡쉯 표숵숮숱숺쉗쉩쉮쉤쉯쉷쉳특수문자입력방식에의한특수문자

20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기호 문자의 직접 입력과 처리가 가능하기는 하지만숬 적어도 쉬쉥쉧쉡쉣쉹 쉔쉅쉘으로 작 업한다면 이 기호 문자를 문서에서 바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숮 기호 문자를 써야 할 경우에는 알맞은 쉌쉁쉔쉅쉘의 기호 문자 명령으로 얻도록 하는 편 이 낫다숮숲 5.3.2 우리말 이름 한글 문서는 외국어 문서와는 달리 몇 가지 보조적 서식을 가지고 있다숮 장절 명령 이 별도로 짜여져야 하고숬 행간이나 단어 간격도 적절하게 배치되어야 한다숮 이를 위하여 이 패키지는 [hangul] 패키지 옵션을 제공한다숮 이 옵션이 지시되면 한글 이름숬 한글 장절표제 등을 활성화하고 행간을 한글에 알맞게 설정한다숮 또한숬 장절 명령과 관련해서 \kscntformat 명령이 작동한다숮 이러한 숐한글 이름숑을 사용하려면 [hangul] 옵션을 지정하여야 한다숮 예를 들어숬 라텍에서 사용되는 쉠참고 문헌숧의 이름 쉠쉒쉥쉦쉥쉲쉥쉮쉣쉥숧는 \refname에 지 정되어 있다숮 이를 우리말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숮 \renewcommand{\refname}{참고~문헌} 표 숵숮숲에는 한글 라텍에서 한글화한 숐라텍 이름의 한글 및 한자화숑가 나열되어 있다숮 이 한글화는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쉢쉬쉥숩에서 위에 예를 든 것처럼 재정의하면 원하 는대로 변경된다숮 종래 쉈쉌쉁쉔쉅쉘과 ko숮쉔쉅쉘숭쉵쉴쉦에서 제공하던 \ksnamedef 명령은 이를 더이상 사용 하지 않는다숮 만약 이전에 작성한 문서에서 호환성 충돌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정 의하여 이를 피해갈 수 있다숮 \newcommand\ksnamedef[2]{\expandafter\def\csname #1\endcsname{#2}} 5.3.3 장절명령 쉡쉲쉴쉩쉣쉬쉥 문서에서 한글 서식을 사용하면서 장절 표제의 숐제 숱 절숑과 같은 양식을 쓰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숮 이 매크로는 ko숮쉔쉅쉘에 [hangul] 옵션을 지정한 경우에만 쓸 수 있다숮숳 숲 단숬 유니코드 텍 엔진숨쉘쉅쉔쉅쉘숬 쉌쉵쉡쉔쉅쉘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니코드 문자 자체를 입력하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숮 숳 \kscntformat 명령은 kotex-utf에만 있는 명령이다숮 쉘쉅쉔쉅쉘숭ko숬 쉌쉵쉡쉔쉅쉘숭ko에서는 이 명령을 제공하지 않는다숮 다만 oblivoir에서는 숨쉳쉥쉣쉴쉩쉯쉮 이하 수준의 장절명령에 대하여숩 이 명령을 쓸 수 있다숮 titlesec이나 sectsty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숮

몇 가지 한글화 라텍명령 한글 라텍숨한글숩 한글 라텍숨漢字숩 today enclname ccname headtoname seename contentsname listfigurename listtablename refname indexname tablename abstractname bibname appendixname ksthe partname chaptername sectionname colorlayer glossaryname pagename figurename 숱숹숹숴년 숳월 숶일 동봉물 사본 받는이 \을 참고 차숃례 그림숃차례 표숃차례 참고숃문헌 찾아보기 표 요숃약 참고숃문헌 부록 제 편 장 절 환등판숃색깔 용어집 페이지 그림 숱숹숹숴年 숳月 숶日 同封物 寫本 受信人 \을 參考 目숃次 그림숃目次 表숃目次 參考숃文獻 索숃引 表 要숃約 參考숃文獻 附錄 第 篇 章 節 幻燈版숃色相 語숃彙 쪽 그림 21 표 숵숮숲숺 라텍 이름의 한글 및 한자화 \kscntformat{section}{}{} 이 명령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숮 \kscntformat{단원이름}{앞}{뒤} 예를 들어 \chapter를 숐첫째 마당숑과 같은 식으로 짜기 위해서는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숭 쉢쉬쉥숩에서 다음과 같이 지정한다숮 \renewcommand{\thechapter}{\hnum{chapter}} \renewcommand{\chaptername}{마당} \kscntformat{chapter}{}{~\chaptername} 장절 표제 형식을 설정하기 위해서 ko숮쉔쉅쉘와 함께 제공되는 dhucs-sectsty를 사 용하는 방법도 있다숮 이 부가 패키지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숵숷페이지의 숷숮숴절을 보 라숮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절표제 모양을 바꿀 수 있다숮

22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usepackage{dhucs-sectsty} \sectionfont{\nohang\sffamily\centering} 5.3.4 강조 한글 문서에서 강조숨드러냄숩를 처리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숮 기울인 글자체 강조 강조숨쉥쉭쉰쉨숩 선언 \em이나 명령 \emph는 일반적으로 이탤릭 글자로 식자하는 것이 라틴 문자를 쓰는 문서의 관행이다숮 우리 글자에는 이탤릭이 없어서숬 종래에는 가 상 기울임숨쉦쉡쉫쉥 쉳쉬쉡쉮쉴쉥쉤숩 글꼴을 사용하여 왔다숮 그러나 가상 기울임 글자체는 숨트 루타입 글꼴을 사용했을 때숩 쉰쉤쉦쉌쉁쉔쉅쉘이 지원하지 않을 뿐 아니라숬 설령 구현된다 하더라도 강조의 의미는 별로 드러나지 않는 장식적인 문자꼴이 되어버리고 만다숮 ko숮쉔쉅쉘숭쉵쉴쉦는 쉈쉌쉁쉔쉅쉘 이래의 전통을 감안하여 기울인 글자체 강조 방식을 기본값 으로 채택하고 있다숮숴 글꼴 변경 강조 강조 부분이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돋움체 글꼴을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가 되 어 가고 있다숮 쉨쉌쉁쉔쉅쉘쉰는 여기에 그래픽 글꼴을 사용하였는데숬 이것도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기만 한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숮숵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dhucs-gremph를 로드한다숮 \usepackage{dhucs-gremph} 기울인 글자체 강조 방식과 글꼴 변경 강조 방식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dhucsgremph에 대해 설명하는 숵숰페이지 숷숮숱절을 참조하라숮 러 냄 표 강조 드 러 냄 표가 한글맞춤법 의 부록 문장부호 에 드 규정되어 있다숮 이것은 과거 한글 세로쓰기 서적에서 사용되던 방점을 찍는 방법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숮 숴 xetex-ko나 luatex-ko에서는 기울인 글자체를 이탤릭에 대응하여 쓰기 위해서 ItalicFont, ItalicFeatures 폰트 속성을 부여하여야 한다숮 자세한 것은 xetex-ko의 문서를 참고하라숮 숵 그래픽 글꼴은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숮 은글꼴 쉴쉹쉰쉥 숱에 은그래픽 서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숮 그러나 이를 위하여 방대한 폰트 집합을 모두 설치하는 것은 낭비일 것이다숮 현재 dhucs-gremph의 기본값은 단순히 \sffamily로 식자하는 것이다숮

몇 가지 한글화 23 드러냄표 강조는 쉈쉌쉁쉔쉅쉘에서 시작된 것이다숮 \dotemph가 드러냄표를 식자하는 명령이다숮 쉈쉌쉁쉔쉅쉘에서의 드러냄표 명령과 ko숮쉔쉅쉘의 것을 다음 표로 비교하여 둔다숮 ko숮쉔쉅쉘 쉈쉌쉁쉔쉅쉘 비고 상점 \dotemph \dotemph \dotema a 고리상점 \circemph \circemph \circema 임의의 상점 \useremph 선언형 [hangul] \dotemph 명령으로 점을 한글 글자 위에 찍을 수 있다숮 [hangul] 옵션을 지시 하면 \circemph와 \dotemph 그리고 \useremph숬 세 개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고숬 이 가운데 \useremph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다숮 선언형은 제공하지 아니한다숮 한글의 본 이름은 훈 민 정 음 이다숮 떻 게 사 느 냐 하는 문제이다숮 중요한 것은 왜 사 느 냐가 아니라 어 사용자 정의 드러냄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숮 \renewcommand\useremphchar{\tiny } \setlength\useremphraisedim{10pt} \useremph{사용자 정의 드러냄표} 밑줄 강조 한글 맞춤법에는 밑줄 강조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숮 \underline으로 밑줄을 그 을 수 있지만숬 ulem을 사용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숮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uline{아닌} 것은?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아닌 것은숿 ulem은 옵션없이 로드하면 모든 \emph를 밑줄 강조로 바꿔놓는다숮 이를 억제하 고 \uline을 썼을 때만 밑줄을 그으려 한다면 \usepackage[normalem]{ulem} 과 같이 하여야 한다숮

24 제5장 5.3.5 문서 유니코드 작성하기 자간, 행간 자간숬 행간숬 어간과 같은 기본적인 타이포그래피 속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kotex-utf 는 dhucs-interword와 같은 부수적인 패키지를 필요로 한다숮 그러나 xetex-ko숬 luatexko 상황에서 이들은 모두 숐폰트 속성숑으로 취급된다숮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하여 쉌쉥쉧쉡쉣쉹 쉔쉅쉘과 새로운 텍 엔진 사이에 호환성이 없음에 유념하여야 한다숮 이 글에서는 kotexutf에 관한 사항만을 다루고 있다숮 자간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자간은 폰트와 밀접한 관계를 갖 는다숮 여기서는 dhucs-interword로 제어한 결과만을 보이겠다숮 \interhchar이다숮 다음 예는 \interhchar{3pt}로 한 경우이다숮 아 아숬 나 는 이 제 야 도숨道숩를 알 았 도 다숮 마 음 이 어 두 운 자 는 이 목 이 누숨累숩가 되 지 않 는 다숮 이 목 만 을 믿 는 자 는 보 고 듣 는 것 이 더 욱 밝 혀 져 서 병 이 되 는 것 이 다숮 이 제 내 마 부 가 발 을 말 굽 에 밟 혀 서 뒷 차 에 실 리 었 으 므 로숬 나 는 드 디 어 혼 자 고 삐 를 늦 추 어 강 에 띄 우 고숬 무 릎 을 구 부 려 발 을 모 으 고 안 장 위 에 앉 았 다숮 한 번 떨 어 지 면 강 이 나 물 로 땅 을 삼 고숬 물 로 옷 을 삼 으 며숬 물 로 몸 을 삼 고숬 물 로 성 정 을 삼 을 것 이 다숮 이 제 야 내 마 음 은 한 번 떨 어 질 것 을 판 단 한 터 이 므 로숬 내 귓 속 에 강 물 소 리 가 없 어 졌 다숮 무 릇 아 홉 번 건 너 는 데 도 걱 정 이 없 어 의 자 위 에 서 좌 와숨坐臥숩하 고 기 거숨起居숩하 는 것 같 았 다숮 어간 어간숨단어간 간격숩은 \spaceskip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숮 다음 예시 문 단은 \interhchar{3pt}숬 \spaceskip=2em plus 1em minus 1em으로 한 경우다숮 상식밖의 판면이지만 효과를 시각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과장하였다숮 아 아숬 나는 어두운 이제야 자는 이목만을 믿는 밝혀져서 병이 발을 드디어 말굽에 혼자 이목이 자는 되는 밟혀서 고삐를 도숨道숩를 알 았 도 다숮 누숨累숩가 보고 듣는 것 이 다숮 뒷차에 되지 것이 이제 내 실 리 었 으 므 로숬 늦추어 강에 마음이 않 는 다숮 더욱 마부가 나는 띄 우 고숬

몇 가지 한글화 무릎을 발을 구부려 모으고 옷을 삼 으 며숬 물로 몸을 삼 고숬 물로 성정을 삼을 것 이 다숮 이제야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강물 소리가 없어 것 무릇 의자 아홉 위에서 내 번 땅을 귓속에 삼 고숬 앉 았 다숮 떨어지면 터 이 므 로숬 물로 위에 한번 없 어 졌 다숮 강이나 안장 건너는데도 좌 와숨坐臥숩하 고 25 물로 걱정이 기 거숨起居숩하 는 같 았 다숮 행간 문서 전체의 행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baselinestretch 값을 바꾸거나 \linespread를 쓸 수 있다숮 \renewcommand*{\baselinestretch}{2.0} 또는 \linespread{2.0} 일부 문단의 행간을 바꾸는 보기를 들어두자숮 여기서는 dhucs-setspace를 이용한 경우를 보이겠다숮 다음 문단은 쉳쉰쉡쉣쉩쉮쉧 값을 숲숮숰으로 한 예시이다숮 \begin{spacing}{2.0}... \end{spacing} 아아숬 나는 이제야 도숨道숩를 알았도다숮 마음이 어두운 자는 이목이 누숨累숩가 되지 않는다숮 이목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서 병이 되는 것이다숮 이 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에 밟혀서 뒷차에 실리었으므로숬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숬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다숮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숬 물로 옷을 삼으며숬 물로 몸을 삼고숬 물로 성정을 삼을 것 이다숮 이제야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숬 내 귓속에 강물 소리 가 없어졌다숮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숨坐臥숩하고 기거숨起居숩하는 것 같았다숮

26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여기서 보다시피숬 숲숮숰은 줄간격이 너무 넓어진다숮 일반적으로 말하는 쉤쉯쉵쉢쉬쉥쉳쉰쉡쉣숭 쉩쉮쉧숬 즉 숲배간을 얻으려 한다면 \setstretch 값을 숨한글 문서의 경우에숩 숱숮숷 정도 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숮 부수 패키지 더 알아보기 ko숮쉔쉅쉘은 이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부수 패키지 를 제공한다숮 자간과 어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패키지는 dhucs-interword이 다숮 그 사용법은 숵숴페이지 제숷숮숳절을 보라숮 dhucs-interword로 단어 간격도 제어할 수 있다숮 행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dhucs-setspace를 사용한다숮 사용법에 대해서는 숵숶페 이지 숷숮숳숮숲절을 보라숮 이 부수 패키지를 사용할 때는 순서에 주의하여야 하는데숬 dhucs-interword를 dhucssetspace보다 먼저 올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숮 \usepackage[hangul]{dhucs} \usepackage[default]{dhucs-interword} \usehangulfontspec{default} \usepackage[hangul]{dhucs-setspace} dhucs-interword를 로드한 직후에 문서에서 사용되는 한글 폰트의 폰트 스펙을 활성 화해주는 것은 좋은 선택이다숨세번째 줄숩숮 기타 본문 전체에 걸친 행간의 기본값은 [hangul]이 주어지거나 dhucs-setspace 가 불렸을 때 \linespread{1.333}으로 한 것과 동일하다숮 한글 자간의 설정과 관련하여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사실은숬 [finemath] 옵 션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자간 설정이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숮 이 옵션을 주지 않은 제 나 0pt이며 이것을 바꿀 수 없다숮 dhucs-interword를 로드하면 경우에는 자간이 언 [finemath]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오직 단어 간격에만 영향을 미친다숮 5.3.6 장평 장평을 자유로이 바꾸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숮숶 이 역시 폰트 관련 문제에 해당하 들 어 내 어 서 사용하 며숬 원한다면 이른바 숐좁은 장평숑이나 숐넓은 장평숑을 사 용 자 가 만 숶 그러나 사용자가 꼭 필요하다면 주어진 폰트로부터 특정 장평의 쉴쉦쉭을 얻어내고 이것을 사용 하도록 하는 방법은 있다숮 다만 그 절차가 좀 복잡할 따름이다숮 이 방법을 설명하는 것은 이 문서의 목적과 무관하다숮

몇 가지 한글화 27 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숮 그러나 전통적인 쉔쉅쉘 쉆쉯쉮쉴 사용법을 그대로 써야하는 쉌쉥쉧쉡쉣쉹 쉔쉅쉘에서는 쉬운 일이 아닐 뿐더러 권장하지도 않는다숮숷 5.3.7 nonfrench spacing 쉮쉯쉮쉦쉲쉥쉮쉣쉨 쉳쉰쉡쉣쉩쉮쉧이란숬 마침표 뒤에 별도의 공백을 조금 더 주는 조판 양식을 말 한다숮 문장의 마침을 더 잘 드러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백이라고 한다숮 유럽 에서는 이 추가 공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조판 형식인 듯하다숮 이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nonfrench] 옵션을 지정한다숮 추가 공백의 기본 크기 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xspaceskip으로 변경할 수 있다숮 다음 두 단락은 동일한 문장을 각각 쉦쉲쉥쉮쉣쉨숭쉳쉰쉡쉣쉩쉮쉧과 쉮쉯쉮쉦쉲쉥쉮쉣쉨숭쉳쉰쉡쉣쉩쉮쉧으로 식자한 예이다숮 이 예시에서는 조금 과장된 \xspaceskip을 사용하였다숮 이 인용문 은 연암의 숐하룻밤에 아홉 번 물을 건너다숑로부터 왔다숮 Frenchspacing: 아아숬 나는 이제야 도숨道숩를 알았도다숮 마음이 어두운 자는 이목이 누숨累숩 가 되지 않는다숮 이목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서 병 이 되는 것이다숮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에 밟혀서 뒷차에 실리었으므 로숬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숬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다숮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숬 물로 옷을 삼으며숬 물로 몸을 삼고숬 물로 성정을 삼을 것이다숮 이제야 내 마음 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숬 내 귓속에 강물 소리가 없어졌다숮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숨坐臥숩하고 기거 숨起居숩하는 것 같았다숮 Nonfrenchspacing: 아아숬 나는 이제야 도숨道숩를 알았도다숮 숨累숩가 되지 않는다숮 마음이 어두운 자는 이목이 누 이목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 서 병이 되는 것이다숮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에 밟혀서 뒷차에 실리 었으므로숬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숬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다숮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숬 물로 옷을 삼으며숬 물로 몸을 삼고숬 물로 성정을 삼을 것이다숮 숷 이제야 장평을 폰트 속성으로 제어하는 쉘쉅쉔쉅쉘 엔진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빠르고 편리하다숮

28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숬 내 귓속에 강물 소리가 없어졌다숮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숨坐 臥숩하고 기거숨起居숩하는 것 같았다숮 5.3.8 각주 쉈쉌쉁쉔쉅쉘과 ko숮쉔쉅쉘숭쉥쉵쉣에서 한글 문서의 각주 판짜기를 위한 hangulfn.sty를 제공 했다숮 이 각주 판짜기 스타일의 ko숮쉔쉅쉘숭쉵쉴쉦 버전이 dhucsfn이다숮 영문자 옵션만을 받 아들이며숬 기본값은 superscript, hang이다숮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숺 superscript, parenthesis, hang, multipara, para, leftflush, indent, leftflushindent, hangpar, varhangpar 이 패키지의 사용법과 각각의 각주 모양 예시는 숵숱페이지 숷숮숲절을 보라숮 5.3.9 한글식 카운터 \newcounter{test} \setcounter{test}{2} \jaso{test} ㄴ \pjaso{test} \ojaso{test} \gana{test} 나 \ogana{test} \pgana{test} \onum{test} ② \pnum{test} ⑵ \oeng{test} \peng{test} \hnum{test} 둘 \Hnum{test} 둘째 \hroman{test} ⅱ \hroman{test} Ⅱ 그림 숵숮숲숺 한글식 카운터 그림 숵숮숲와 같은 한글 카운터 형식을 제공한다숮 [hangul] 옵션을 주면 다음과 같은 카운터 형식을 몇 개 더 사용할 수 있다숮 \hnum{cnt}, \hanjanum{cnt} cnt 값이 숲일 때숬 각각 이숬 二로 표현된다숮

몇 가지 한글화 5.3.10 29 자동조사 명령 자동조사는 주로 사후적으로 결정되는 숫자 및 문자열숨예컨대 \ref의 결과 확정되 는 참조번호숩에 붙는 조사의 형태교체를 자동화해주는 기능을 말한다숮 참조된 숫자 가 숱일 경우에 목적격조사는 쉠을숧이 붙어야 하지만 숲일 경우에는 쉠를숧이 붙어야 한다숮 이 참조된 숫자들은 사후적으로 확정되므로 미리 쉠을숧 또는 쉠를숧 가운데 어떤 것을 써야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숬 우리말 문서의 작성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이다숮 자동조사 명령은 다음 열두 가지가 있다숮 \이 \가, \을 \를, \와 \과, \로 \으로, \은 \는, \라 \이라 마지막의 \라, \이라는 서술격조사 어간 쉠이숧에 어미숨의 일부숩가 붙은 형태로서 서 술격조사 어간이 생략되는 경우가 이 이외에도 더 있지만숬 다른 경우에는 명백히 생 략되지 않아도 문장이 어색하지 않다고 보아 쉠숨이숩라숧만을 자동조사 명령으로 채택 한 것이다숮 자동조사 명령은 다음과 같이 쓴다숮 \ref{sec:test}\가 상호참조 명령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문자열에도 자동조사를 쓸 수 있다숮 일반 문 자열을 특정한 명령으로 묶어두는 경우에 마지막 종성 지시자를 사용함으로써 자동 조사 명령이 더 잘 작동하게 강제할 수 있다숮 특히 문자열이 외국어 단어로 끝나는 경우숬 \jong숬 \jung숬 \rieul 가운데 하나를 미리 끝에 달아두면 자동조사를 이 문 자열에 붙일 때 적절한 조사 이형태를 얻을 수 있다숮 \newcommand*\teststr{작업실\rieul} \teststr\를 작업실을 자동조사 사용에 있어서 알아두어야 할 점이 하나 있다숮 \section 등 장절명령 이나 \caption과 같은 명령의 인자로 들어간숨소위 숐쉭쉯쉶쉩쉮쉧 쉡쉲쉧쉵쉭쉥쉮쉴쉳숑숩 자동조사 명령은 \ref 등이 \protect되어 있다면 대체로 잘 작동한다숮 그러나 \nameref 되 는 문자열 안에 들어 있는 자동조사 명령은 hyperref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오류를 토해내므로 주의를 요한다숮

30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5.3.11 enumerate의 항목 머리 enumerate 환경에서 글머리로 한글식 카운터를 쓰고자 할 때가 있다숮 보통의 방법 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다숮 \renewcommand\theenumi{\pgana{enumi}} \renewcommand\labelenumi{\theenumi} \begin{enumerate} \item 가나다 \item 라마바 \item 사자차 \item 카파하 \item 카타파 \end{enumerate} 결과는 다음과 같다숮 가나다 라마바 사자차 카파하 카타파 이 코딩은 상당히 번거롭고숬 일단 카운터 형식이 바뀐 후로 계속 영향을 미친다 는 문제가 있다숮 한글식 카운터 형식을 글머리에 붙이는 쉬운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다숮 하나는 enumerate의 옵션 정의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숬 원래 이 패키지가 제공하던 기능을 한글식 글머리로 확장한 것이다숮 \usepackage{dhucs-enumerate} 이 선언은 enumerate을 스스로 로드한다숮 그리고 본문에서 \begin{enumerate}[항목 )] \item 가나다 \item 라마바 \end{enumerate}

몇 가지 한글화 31 과 같이 항목 머리의 첫 글자를 옵션으로 지시한다숮 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숮 항목 숩 가나다 항목 숩 라마바 이렇게 항목 머리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원래의 enumerate가 제공하는 A, a, i, I, 1 이외에 추가로 정의된 가, ㄱ,,,,, ①, ⑴,,, ⅰ, Ⅰ들이 있다숮 한편숬 문단형 리스트를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paralist도 이와 비슷한 기능을 제 공하는데숬 이를 위하여 dhucs-paralist가 마련되어 있다숮 enumitem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쉢쉬쉥숩에 다음과 같이 선언 한다숮 %\usepackage{enumitem} \usepackage{dhucs-enumitem} 그리고숬 다음과 같이 코딩한다숮 \begin{enumerate}[label={\bfseries\pgana*.}] \item 가나다 \item 라마바 \end{enumerate} enumitem에는 이외에도 요긴한 기능이 많다숮 예컨대 만약 문서 전체의 쉥쉮쉵쉭쉥쉲숭 쉡쉴쉥의 항목 머리를 전부 일정한 형식으로 바꾸고자 한다면 enumitem의 전역 형식 선언을 이용할 수 있다숨쉶쉥쉲숲숮숰숩숮 다음 예는 쉬쉡쉢쉥쉬과 더불어 항목 간 간격도 함께 없앤 예이다숮 \setenumerate[1]{label={\pgana*},noitemsep} \setenumerate[2]{label={\ogana*},nolistsep} enumerate와 enumitem는 서로 동일한 환경을 다른 방식으로 재정의하기 때문에 함께 쓰기는 어려울 것이다숮 둘 가운데 적당한 것을 골라서 사용하면 되는데숬 어느 경우든 한글식 항목 머리를 정의할 수 있게 되었다숮

32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미세 조정 5.4 ko숮쉔쉅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글 문서 전반에 걸쳐 미세 조정을 적용하여숬 미 세 타이포그래피를 부분적으로 구현하려 하였다는 것이다숮 이 기능은 [finemath] 옵션에 의하여 모두 활성화된다숮숸 5.4.1 수식과의 간격 쉔쉅쉘의 탁월한 점 가운데 하나가 수식 조판일 것이다숮 특히 쉔쉅쉘 수식은 미세한 간 격을 적절하게 배분함으로써 아름다운 수식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숮 영문의 경우 행중 수식은 항상 앞뒤에 스페이스를 두면서 다음 단어와 연결되므로 문장 중 에 들어가도 어색하지 않은 데 비해숬 한글 문서에서는 조사 등이 수식 뒤에 잇대어 붙기 때문에 이 사이에 간격이 없으면 수식 폰트와 한글 폰트 사이에 약간 어색한 상충이 생긴다숮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토론이 쉋쉔쉕쉇에서 이루어졌다숮 그 결 과숬 [finemath]라는 새로운 옵션이 생기게 되었다숮 [finemath] 옵션을 주면 행중 수식과 이어지는 한글 문자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숮 알파벳 문자숬 괄호 등에 이어지는 한글 문자와의 간격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어가능하다숮 아래 예시 문단은 [finemath]로 조판한 결과이다숮 이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음 과 같은 설정을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쉢쉬쉥숩에 추가하였다숮 숲쉰쉴라는 값은 지나치게 큰 것이 분명한데 이 예시 문단에서는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게 하기 위하여 과장하였다숮숹 \def\breakafterinlinemath{\hskip2pt} \def\nobreakafterinlinemath{\kern2pt} 수식과 한글 문자가 이어지는 위치에 미세한 간격이 추가되고 있음을 확인해보라숮 x 에 임의의 값이 주어지면 f (x) 를 통해서 그 x 에 대응하는 y 를 계산할 수 있다숮 예를 들어 x = 2 로 x 값이 주어졌다면 x + y 는숮 숮 숮 숮 숫자와 알파벳 자모숬 괄호에도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숮숱숰 숸 [finemath]는 kotex-utf의 기능이다숮 반면 xetex-ko에서는 이를 숐미세 간격숑 명령으로 구현하고 있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다숮 숹 폰트 패키지에 따라 이 값이 자동으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숮 특히 은글꼴이 그러하다숮 숱숰 이 문서에서는 숫자와 알파벳 자모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게 해두었다숮 문장부호와 [finemath] 옵션의 관계에 관한 사항은 숵숸페이지 숷숮숵절을 보라숮

미세 조정 33 이 문서와 함께 제공되는 소스에 딸린 sample-finemath-setup.tex이라는 부 수 파일을 열어보면 다른 값을 어떤 식으로 설정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숮 5.4.2 Micro Typography 쉰쉤쉦쉔쉅쉘의 저자인 쉈신쉮 쉔쉨숁 싪 쉔쉨신쉮쉨의 박사학위논문 Micro-typographic extensions to the TEX typesetting system은 쉰쉤쉦쉔쉅쉘이라는 엔진으로 쉭쉡쉲쉧쉩쉮 쉫쉥쉲쉮쉩쉮쉧과 쉦쉯쉮쉴 쉥쉸쉰쉡쉮쉳쉩쉯쉮을 가능하게 해주는 마이크로 타이포그래피 개념을 쉔쉅쉘 세계에 도입하 였다숮 마진 커닝숨쉭쉡쉲쉧쉩쉮 쉫쉥쉲쉮쉩쉮쉧숩이란숬 여백 공간이 가지런히 보이도록 하 기 위해 글자들을 텍스트 블록의 마진 쪽으로 아주 조금 이동시켜주는 테크닉이다숮 마진 커닝을 적용하지 않으면 일부 문자들이 마진 경계가 시작하기 전에 끝나기 때문에 오히려 울퉁불퉁하게 보인다숮 이것은 문 장부호 끌어내기숨쉨쉡쉮쉧쉩쉮쉧 쉰쉵쉮쉣쉴쉵쉡쉴쉩쉯쉮숩와 비슷한 것이지만 문장부호만 이 아니라 일반적인 글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숮 이를 적용함으로써 텍스 트 블록의 모양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숮 폰트 확장숨쉦쉯쉮쉴 쉥쉸쉰쉡쉮쉳쉩쉯쉮숩이란 단어 간격이 좀더 균일하게 보이도 록 하기 위해 폰트의 폭을 약간 좁게 혹은 넓게 만드는 테크닉이다숮 숮 숮 폰트를 넓게 혹은 좁게 만듦으로써 개행 엔진이 더 나은 행나눔을 할 수 있게 된다숮 한글 문서에 있어서 행나눔을 결정할 때 부득이하게 쉠벙벙한숧 공백을 남기고 개 행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했다숮 또한 문장부호가 행 끝에 걸리는 경우 여백의 모양이 균일하지 않게 보이는 것을 어찌할 수 없었다숮 마진 커닝과 폰트 확장이 매우 요긴 하게 요청되는 바였지만숬 이를 쉽게 구현하기 어려웠으며숬 간간이 마진 커닝 정도가 쓰이는 데 그쳤다숮 ko숮쉔쉅쉘 쉶숲숮숰은 쉰쉤쉦쉔쉅쉘의 폰트 확장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숮 폰트 확장을 한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숮 숱숮 쉰쉤쉦쉌쉁쉔쉅쉘으로 컴파일할 것숱숱 숲숮 쉴쉹쉰쉥 숱 혹은 트루타입 오픈타입 글꼴이 사용될 것 숳숮 microtype에 의한 설정이 활성화될 것 숱숱 참고로 쉌쉵쉡쉔쉅쉘은 쉰쉤쉦쉔쉅쉘의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숮

34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나는 여름 방학이 되어 집 선이나 음식 솜씨도 나타내 나는 여름 방학이 되어 집 이나 음식 솜씨도 나타내기 에 내려 오면 한 번씩은 이 기 시작했다. 나는 사랑에 에 내려 오면 한 번씩은 이 시작했다. 나는 사랑에 들어 집을 찾는다. 이 집에는 나 들어가 어른들을 뵙고 수인 집을 찾는다. 이 집에는 나 가 어른들을 뵙고 수인사 겸 보다 한 살 아래인, 열세 살 사 겸 이런 이야기 저런 이 보다 한 살 아래인, 열세 살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로 되는 누이뻘 되는 소녀가 있 야기로 얼마 지체한 뒤에, 되는 누이뻘 되는 소녀가 있 얼마 지체한 뒤에, 안 건넌 었다. 실상 촌수를 따져 가 안 건넌방으로 안내를 받았 었다. 실상 촌수를 따져 가 방으로 안내를 받았다. 점심 며 통내외까지 할 절척도 아 다. 점심 대접을 하려는 것 며 통내외까지 할 절척도 아 대접을 하려는 것이다. 사랑 니지만, 서로 가깝게 지내는 이다. 사랑방은 머슴이며 일 니지만, 서로 가깝게 지내는 방은 머슴이며 일꾼들이 드 터수라, 내가 가면 여간 반 꾼들이 드나들고 어수선했 터수라, 내가 가면 여간 반 나들고 어수선했으나, 건넌 가워하지 아니했고, 으레 그 으나, 건넌방은 조용하고 깨 가워하지 아니했고, 으레 그 방은 조용하고 깨끗하다. 방 소녀를 오빠가 왔다고 불러 끗하다. 방도 말짱히 치워 소녀를 오빠가 왔다고 불러 도 말짱히 치워져 있고, 자 내어 인사를 시키곤 했다. 져 있고, 자리도 깔려 있었 내어 인사를 시키곤 했다. 소 리도 깔려 있었다. 아주머니 소녀의 몸매며 옷매무새는 다. 아주머니는 오빠에게 나 녀의 몸매며 옷매무새는 제 는 오빠에게 나와 인사하라 제법 색시꼴이 박히어 가기 와 인사하라고 소녀를 불러 법 색시꼴이 박히어 가기 시 고 소녀를 불러냈다. 시작했다. 그때만 해도 시골 냈다. 작했다. 그때만 해도 시골서 서 좀 범절있다는 가정에서 좀 범절있다는 가정에서는 는 열 살만 되면 벌써 처녀 열 살만 되면 벌써 처녀로 로서의 예모를 갖추었고 침 서의 예모를 갖추었고 침선 font expansion 1 적용 안함 font expansion 적용 1 그림 숵숮숳숺 쉆쉯쉮쉴 쉅쉸쉰쉡쉮쉳쉩쉯쉮 그림 숵숮숳은 폰트 확장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그것을 적용한 경우의 행나눔과 스페 이스 간격을 비교해본 것이다숮 더 균일하고 아름다운 판면이 생성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숮 샘플 문서의 소스 중에서 쉦쉯쉮쉴 쉥쉸쉰쉡쉮쉳쉩쉯쉮과 관련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숮 \usepackage[verbose=true]{microtype} \DeclareMicrotypeSet{dhucsmicro}{encoding=LUC} \UseMicrotypeSet[expansion]{dhucsmicro} 5.5 행나눔 한글에는 하이픈이 없고 일부 문장부호의 금칙처리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모든 문자 앞이나 뒤에서 행을 나눌 수 있다숮 5.5.1 영문자와 숫자 뒤의 한글 개행 그림 숵숮숴에서 표시한 곳은 원본에 영문과 조사가 붙어 있는 부분이다숮 빨간색 동그 라미 부분에서 영문 단어가 쉯쉶쉥쉲쉦쉵쉬쉬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뒤에 붙는 한글 조

행나눔 35 면주와 페이지 스타일에 대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는 PageStyle에 서 running heading 이라 한 것이다. 이것을 정의하는 데는 fancyhdr 패키지가 쓰인다. 이 패키지만으로 원하는 거의 모든 설정을 할 수 있 기 때문에 여기서 면주에 대하여 더 자세한 세부사항은 생략하려 한다. FAQ (FancyHdr) 페이지를 참고하라. 그림 숵숮숴숺 행나눔 문제 ' ó K's Ws/ ³ 37'. /Ë ï G PageStyle Ï running heading '/ 6'. '6 È G #G fan- cyhdr ÛWs³ +. ' ÛWs ï [ È Ë ;ã ÿë ãï ' ³ h G# Cë ë3_. FAQ (FancyHdr) K's/ ë ó /. 그림 숵숮숵숺 쉤쉨쉵쉣쉳의 행자름 처리 사와 분리되지 않아서 숐에숑까지 오른쪽으로 삐져나가 있다숮 종래 한글 라텍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문서작성자를 괴롭히곤 했다숮 ko숮쉔쉅쉘은 개선된 행나눔 기능이 작동한다숮 그림 숵숮숵는 ko숮쉔쉅쉘을 사용했을 때 이 부분이 어떻게 처리되는가 보여준다숮 5.5.2 여는 괄호 앞의 행자름 여는 괄호와 관련해서 다음을 지적해둔다숮 현재 여는 괄호는 영문자 뒤에 직접 이 어서 나오지 않는 한 새로운 줄을 시작할 수 있다숮 신정식 님께서 알려주신 바에 의 하면숱숲 모든 종류의 여는 괄호는 새로운 줄을 시작하는 것이 유니코드 표준이라고 한다숮 영문으로 글을 쓸 때는 여는 괄호 앞에 하나의 공백을 두게 되어 자연히 새로 운 줄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므로 영문자 사이의 여는 괄호를 개행가능하게 하여야 할 필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숮 그러나 한글과 영문이 만나는 곳에서는 행나눔이 가 능하여야 한다숮 그림 숵숮숶을 보라숮 만약 이 그림에서 숐쉆쉁쉑숨쉆쉡쉮쉣쉹쉈쉤쉲숩숑의 괄호 사이에서 행을 잘라야 한다면 여는 괄호 앞에 공백을 두어 FAQ (FancyHdr)와 같이 써야 할 것이다숮 이밖에숬 ko숮쉔쉅쉘은 한글 단어 뒤에 괄호 안에 영문을 병기하는 경우 이 영문이 행 끝에 걸리더라도 영문 하이픈처리가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숮 숱숲 http://ktug.kldp.net/jsboard/read.php?table=ktugbd&no=4825

36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 (¼ )G ; PageStyle Ï running heading '/ ;_G (ë ËG) 6'. '6 È ' ÛWs ï G # G #G fancyhdr ÛWs³ +. [ È Ë ;ã ÿë ãï ' ³ Cë ë3_ ó h. FAQ(FancyHdr) K's/ ë /. ³s s C', [ ³C/ Ö ] LATEXó ó 3 (orphans and widows) /G _«;G '7ï ;_G +ã [gw {\ s ýg ãx' ;gï» ³ ' 그림 숵숮숶숺 여는 괄호의 행자름 5.5.3 이른바 고아 문제 숐고아숑란 한 문단의 마지막 행이 한 글자와 종지부호로만 끝나는 경우를 일컫는다숮 한 행 전체 길이에 비교해보았을 때 한 글자 한 행은 그 비중이 너무 작아서 때때로 글읽기의 효율을 방해하고 불필요한 공백이 생겨나게 하여 판면의 색조를 옅게 만 드는 것으로 생각되어숬 일찍부터 한글 조판의 금기 사항 중 하나였다숮숱숳 ko숮쉔쉅쉘에서는 고아 회피가 부분적으로 자동화되었다숮 원칙적으로 문단 마지막에 아무런 추가 코드 없이 \par 또는 문단 종지 문자가 있을 때는 고아 앞에서 \nobreak 가 작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숮 그러나 문단 끝에 추가적인 코드나 문자가 더 있을 때 때때로 이 자동 고아 회피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숬 이럴 때는 \nobreak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야 한다숮 특히 문단의 마지막 글자가 숐다숮숑일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가 고아 회피를 강제하도록 숐\다숑 매크로가 새로 도입되었다숮 각주 안과 같이 문단 종지 문자 없이 문단이 종료됨으로써 자동 고아 회피가 동작 하지 않는 경우에 이 매크로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숮 비록 모든 경우에 완전한 고아 회피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숬 이만큼이라도 자동화됨으로써 한글 문서 조판의 관행적 규약에 더 가까이 접근했다 하겠다숮 숱숳 영어권에서 쉠고아와 과부숧라고 할 때는 이와 조금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숮 예컨대 쉐쉥쉴쉥쉲 쉗쉩쉬쉳쉯쉮의 Memoir Manual숬 쉰숮 숲숹에는 숐고아란 한 페이지의 마지막에 한 줄 또는 두 줄이 남는 것을 말한다숮 쉂쉲쉩쉮쉧쉨쉵쉲쉳쉴의 암기를 위한 트릭에 따르면숬 쉠고아는 미래만이 있고 과거가 없는 것숧이다숮숑라고 쓰고 있다숮 즉숬 과부와 고아가 모두 행나눔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페이지 나눔에 관한 문제로 취급되 고 있는 것이다숮 그러나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관행적 명칭인 쉠문단 끝 한 글자 한 행숧을 숨편의상숩 고아라고 부르기로 한다숮

한글 PDF 만들기 5.6 37 한글 PDF 만들기 숹페이지 숲숮숵절에서 쉰쉤쉦 제작에 관한 사항을 개괄하였다숮 여기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조금 더 다루려고 한다숮 한글 쉰쉤쉦 문서를 만드는 데 있어서 지금까지 요청되어 왔던 것은 대략 다음과 같다숮 한글 텍스트의 검색과 추출 쉰쉤쉦 쉢쉯쉯쉫쉭쉡쉲쉫에 한글 구현 쉢쉥쉡쉭쉥쉲 등 발표 문서 작성 패키지 지원 5.6.1 하이퍼링크 하이퍼링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hyperref을 이용한다숮 이 패키지 사용에서 주의할 점은 한글 레이블이나 참조자를 사용하면 아니된다는 것이다숮숱숴 쉨쉹쉰쉥쉲쉲쉥쉦 설정은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숮 숱숮 \usepackage[...]{hyperref}의 옵션 숲숮 \hypersetup 문장 숳숮 hyperref.cfg에 미리 설정된 옵션 예컨대 한글 문서를 주로 작성하는 경우 쉨쉹쉰쉥쉲쉲쉥쉦의 [unicode] 옵션이 필요하다숮 그리고 클래스 자신이 쉨쉹쉰쉥쉲쉲쉥쉦을 스스로 로드하는 경우에는 숨숱숩이나 숨숲숩와 같은 방 법으로 이 옵션을 활성화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숮 이럴 때는 숨숳숩 방법을 사용한다숮 즉 hyperref.cfg에 숨숲숩의 문장을 미리 적어넣어두는 것이다숮 5.6.2 한글 책갈피 쉰쉤쉦 문서 제작에 있어서 한글 책갈피숨쉢쉯쉯쉫쉭쉡쉲쉫숩가 필요하면숬 다음과 같이 한다숮 \usepackage[pdfencoding=auto,<driver>,...]{hyperref} 숱숴 이것은 명백히 쉌쉥쉧쉡쉣쉹 쉔쉅쉘의 제약이다숮 쉘쉅쉔쉅쉘과 같은 유니코드 텍 시스템에서는 한글 레이블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숮

38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hyperref의 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숬 한글 책갈피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조 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숮 다만숬 컴파일 루트에 따라서 <driver>를 명시해주 어야 한다는 데 주의하면 된다숮 pdftex숬 dvipdfm숬 dvips 등을 지정한다숮숱숵 5.7 찾아보기와 참고문헌 색인숨찾아보기숬 쉩쉮쉤쉥쉸숩을 만들기 위해 제공하는 유틸리티 komkindex의 사용법에 대 해서는 숵숹 페이지 숸절을 보라숮 한글 색인 스타일인 kotex.ist를 제공한다숮 문헌목록 인용은 가능하다숮 쉂쉩쉢쉔쉅쉘 또는 biber을 이용하여 문헌목록 데이터베 이스에서 문헌목록을 추출할 수도 있다숮숱숶 참고문헌 인용은 너무나 많은 유형이 있어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완전히 시험해보지 못하였다숮 그러나 natbib숬 cite와 apacite를 위한 코드를 내장하 고 있어숬 참고문헌 인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숮숱숷 최근 주목받고 있는 biblatex을 이용하면 한글 문헌목록을 더 잘 작성할 수 있다 는 보고가 있다숮 이 분야에 대해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숮 5.8 옛한글 구현 옛한글 문서의 조판은 한글 쉔쉅쉘의 꿈이었고숬 쉋쉔쉕쉇에서 숲숰숰숲년 이후 dhhangul과 같은 쉌쉡쉭쉢쉤쉡 패키지를 통하여 성공적인 실험을 행한 바가 있다숮 dhucs-midkor는 옛한글숬 즉 숱숹숳숳년 이전 표기법 문헌을 식자할 수 있게 한다숮숱숸 필요한 것은 이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 옛한글 텍스트를 이른바 숐첫가끝숑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뿐이다숮숱숹 숱숵 쉘쉅쉔쉅쉘숬 쉌쉵쉡쉔쉅쉘에서는 <driver>를 별도로 명시할 필요가 없다숮 다만숬 한글화된 문헌목록 스타일이 충분하지 않아서숬 최종적으로 약간의 수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없지는 않다고 생각한다숮 특히 저자숭연도 방식의 인용에서 그러하다숮 이 분야는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지점이다숮 숱숷 한 예로숬 apacite 충돌 문제의 보고와 그 해결에 관한 쉋쉔쉕쉇 게시판 숴숹숸숴 이하의 글타래를 참 조하라숮 이런 과정을 거쳐서 현재 apacite 등의 패키지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숮 숱숸 현재 이 패키지를 사용 가능하게 하려면 tlmgr install kotex-midkor 명령을 ko숮쉔쉅쉘 저장소를 등록한 후에 내려야 한다숮 쉤쉨쉵쉣쉳숭쉭쉩쉤쉫쉯쉲는 ko숮쉔쉅쉘숭쉵쉴쉦의 일부이지만숬 몇 가지 이유숨주로 글꼴 관련된숩 때문에 별도의 패키지로 분리되어 있다숮 숱숹 숐첫가끝숨쉌쉖쉔숩숑 방식으로 입력한다는 것은 유니코드 자모 조합형으로 한글을 입력한다는 뜻이다숮 예컨대 쉠가숧라는 글자는 [U+AC00]에 완성형 문자가 있는데숬 이 음절 영역 완성형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자모 영역의 초성 쉠ㄱ숧과 중성 쉠ㅏ숧를 결합하여 [U+1100][U+1161]로 조합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숮 이런 식의 자모 조합으로 한글을 표현하면 그 표현 한계에 제약이 거의 없으며 현대 한글과 옛한글 수백만 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숮 숱숶

옛한글 구현 39 이전에는 옛한글 문헌의 조판이 꽤 까다롭고 복잡한 일이었으며숬 그런 상황에서 ko숮쉔쉅쉘이 옛한글 조판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숮 현재로서 도 그 성취를 가볍게 볼 수는 없으나숬 전에 비하여 옛한글을 포함하는 고문헌 조판 이 매우 용이해진 것도 사실이다숮 숨숱숩 옛한글 처리 기능을 갖춘 글꼴이 다양해졌다숮 이 분야에서 쉋쉔쉕쉇의 은바탕 글 꼴은 단연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숬 실무에 쓸 수 있을 정도의 품위 를 갖춘 숐함초롬 쉌쉖쉔숑 글꼴의 등장이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숮 그 후숬 쉗쉩쉮쉤쉯쉷쉳 숸에 번들된 숐맑은 고딕숑에 같은 기능이 포함됨으로써숬 사실상 옛한글 표현과 관련된 글꼴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진일보를 이룩하게 되었다숮숲숰 숨숲숩 플랫폼을 막론하고 숐첫가끝숑 옛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기들이 등장하 였다숮 맥 오에스의 하늘입력기숬 구름입력기 등으로 첫가끝 옛한글을 손쉽게 입 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윈도우즈에도 새나루 입력기와 같이 이를 가능하게 하 는 것들이 있다숮 숨숳숩 ko숮쉔쉅쉘의 중요한 기여 중의 하나인 옛한글 관련 코드변환 유틸리티가 ko숮쉔쉅쉘숭 쉵쉴쉩쉬쉩쉴쉹로 제공된다숮 jamo-normalize 스크립트는 특히 유용하다숮 숨숴숩 쉘쉅쉔쉅쉘숭ko와 쉌쉵쉡쉔쉅쉘숭ko는 옛한글 처리 기능을 자연스럽게 탑재하고 있다숮 옛 한글을 마치 현대한글을 쓰듯이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숮 다음 송강의 사미인곡 예문은 위키문헌에서숲숱 가져온 텍스트를 다음과 같은 명령을 주어 전부 첫가끝 코드로 바꾸고 dhucs-midkor 패키지를 얹은 후에 숨별다른 조치 없이숩 그대로 포함한 것이다숮 이 유틸리티의 사용법은 숶숸페이지 제 숱숲 장을 참 고하라숮 # jamo-normalize -d -o <yettest.txt >yettest.tex 만약 현대한글까지 전부 첫가끝으로 바꾸지 않으면 현대한글 음절문자가 본문의 것 과 똑같은 모양으로 찍힌다숮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ᄒᆞᆫᄉᆡᆼ 緣연分분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 숲숰 이와 더불어숬 예전 쓰이던 이른바 숐한양 쉐쉕쉁숑 방식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때가 되었다고 본다숮 숲숱 http://ko.wikisource.org/wiki/%ec%82%ac%eb%af%b8%ec%9d%b8%ea%b3%a1

40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나 ᄒᆞ나 졈어 닛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 이 ᄆᆞ음 이 ᄉᆞ랑 견졸 ᄃᆡ 노여 업다 平평生ᄉᆡᆼ애 願원ᄒᆞ요ᄃᆡ ᄒᆞᆫᄃᆡ 녜자 ᄒᆞ얏더니 늙거야 무ᄉᆞ 일로 외오 두고 글이ᄂᆞᆫ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에 올낫더니 그 더ᄃᆡ 엇디ᄒᆞ야 下하界계예 ᄂᆞ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킈연 디 三삼年년이라 연脂지粉분 잇ᄂᆡᆷᄂᆞᆫ 눌 위ᄒᆞ야 고이 ᄒᆞᆯ고 ᄆᆞ음의 ᄆᆡ친 설음 疊텹疊텹이 ᄡᅡ여 이셔 짓ᄂᆞ니 한숨이오 디ᄂᆞ니 눈믈이라 人인心심은 有유限ᄒᆞᆫᄒᆞᆫᄃᆡ 시ᄅᆞᆷ도 그지업다 dhucs-midkor로 옛한글을 표현할 때 선택할 수 있는 글꼴은 바탕체와 굴림체 두 가지이다숮 위의 예문은 굴림체로 식자되었고 이것이 디폴트이다숮 만약 바탕체로 식 자하려면 \def\mymidkorfont{obat}라고 선언하면 된다숮 그런데 쉯쉢쉡쉴쉡쉮쉧이라는 글꼴에서 온 바탕체 옛한글은 굴림체에 비해 그다지 예쁘지 않다숮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격적인 옛한글 문서를 작성하려 한다면 ko숮쉔쉅쉘숭쉵쉴쉦보다는 쉘쉅쉔쉅쉘숭ko가 더욱 적절하다숮 이 새로운 엔진을 기반으로 한 ko숮쉔쉅쉘 패키지들은 옛 한글에 대한 거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두고 있다숮 5.9 일본어와 중국어 문단 ko숮쉔쉅쉘에는 dhucs-trivcj가 포함되어 있다숮 이것은 한글 문서에서 약간의 일본어 또 는 중국어 인용문을 처리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본격적인 다국어 문서를 처리하는 데는 아직 미흡하지만 크지 않은 규모의 일본어 중국어 문단은 나 쁘지 않은 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숮숲숲 일본어 한자의 독 음을 작은 가나 문자로 붙이는 것숨루비숩은 CJK의 일부인 ruby을 불러서 할 수 있다숮 일본어 또는 중국어 문단을 식자하려면 dhucs-trivcj를 로드하여야 한다숮 쉌쉁쉔쉅쉘 というのは 市販ソフト顏負けのきれいな文書が作れる 文 書整形ソフト で ラテック もしくは ラテフ など変った読 숲숲 xetex-ko숬 luatex-ko에서는 별도의 패키지를 로드하지 않아도 \japanese 명령을 쓸 수 있다숮 특 히 luatex-ko는 자체에 쉲쉵쉢쉹 기능을 가지고 있다숮

일본어와 중국어 문단 41 み方をします ちょっとカタい言葉を使うと 組版 숨くみはん숩 ソフ ト とも言います 組版とは 活字を組んでページに印刷するため の版を作る作業のことで英語でタイプセッティング 숨쉴쉹쉰쉥 쉳쉥쉴쉴쉩쉮쉧숩 と 言います 일본어와 중국어 글꼴은 쉔쉅쉘쉌쉩쉶쉥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쉷쉡쉤쉡쉬쉡쉢숭쉵쉮쉩쉣쉯쉤쉥 글꼴과 쉡쉲쉰쉨쉩쉣 글꼴숨쉴쉹쉰쉥 숱숩을 이용한다숮 쉔쉅쉘쉌쉩쉶쉥를 쉦쉵쉬쉬로 설치하면 당연히 시스템 에 설치되어 있을 것이므로 별도의 글꼴 설치 절차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다숮 다만 이 글꼴에는 굵은글꼴이나 고딕체 글꼴이 별도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숮 일본 문자와 로마자가 이어질 때 필요한 쉠짧은 간격숧은 쉴쉩쉬쉤쉥숨~숩로 표시할 수 있다숮 이것은 CJK의 방식과 동일하다숮 dhucs-trivcj가 제공하는 환경은 japanese와 chinese이다숮 다만 chinese 환경 은 간자체 환경과 번자체 환경을 각각 Schinese와 Tchinese로 구분할 수 있다숮 기 본값은 chinese가 간자체 환경으로 되어 있지만 만약 번자체 환경을 chinese로 쓰 고 싶다면 \let\chinese\tchinese \let\endchinese\endtchinese 라고 선언하면 된다숮 다른 문서와의 호환을 위해서 번자체 환경을 그대로 Tchinese 라고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숮 다음 표는 dhucs-trivcj에서 사용하는 각 언어별 폰트의 이름이다숮 쉴쉲쉩쉶쉣쉪 쉴쉲쉩쉶쉣쉪숭쉡쉤쉯쉢쉥 쉭쉪 쉧쉴 쉭쉪 쉧쉴 일본어 쉭쉩쉮 숕 쉪쉰쉭쉪 쉪쉰쉧쉴 중국어간자 쉧쉢쉳쉮 숕 쉣쉮쉭쉪 쉣쉮쉧쉴 중국어번자 쉢쉳쉭쉩 숕 쉣쉴쉭쉴 숕 간단한 중국어 문장 하나를 식자해보자숮숲숳 [高质量的输出] 쉔쉥쉘 遵循传统的排版规则 以排版的质量为最重要的目标 如果 你把 쉔쉥쉘 的输出结果和用其它的排版软件排版相同的文本所得到的结果加 以比较 你就会发现其中的区别 숲숳 http://wikka.ctex.org/tex 웹사이트에서 인용함숮

42 제 5 장 유니코드 문서 작성하기 [超常的稳定性] 自从 쉔쉥쉘 出现以来 只有一些微小的改动 也就是说 十几年 前的 쉔쉥쉘 文件用现在的 쉔쉥쉘 系统排版得到的结果与十几年前得到的结果是 一样的 稳定性还体现在 쉔쉥쉘 系统极少会崩溃 可以处理任意大小的文件 即使你的计算机的内存很少 쉔쉥쉘 也可自如的工作 5.10 세로쓰기 ko숮쉔쉅쉘숭쉵쉴쉦는 한글 세로쓰기를 직접 지원하지 않는다숮 몇 가지 편법을 써서 세로쓰 기 문단이나 문서를 만드는 실험이 행해진 적이 있지만 일반화할 만한 것은 아니었 다숮 한편숬 쉘쉅쉔쉅쉘숭ko는 한글의 세로쓰기가 구현되어 있다숮 xetexko-vertical 패키지를 이용하여 세로쓰기를 가능하게 한다숮

제6장 글꼴 문제 쉘쉅쉔쉅쉘이나 쉌쉵쉡쉔쉅쉘의 등장으로 가장 급격한 변화를 맞은 것이 한글 글꼴숨폰트숩의 사용 방식에 대한 것이다숮 트루타입과 오픈타입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텍 엔진의 등장은 매우 중요하고 극적인 변화를 한글 텍 환경에 도입하게 하였다숮 이 러한 새로운 텍 엔진에서 폰트를 사용하는 문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숮 이 글은 레거시 텍에서 구현되는 kotex-utf에 관한 것이다숮 따라서 이 장 전체 의 내용은 오직 latex이나 pdflatex으로 컴파일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며숬 쉘쉅쉔쉅쉘숬 쉌쉵쉡쉔쉅쉘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경우와 호환성이 없다숮 6.1 개관 현재 버전의 ko숮쉔쉅쉘은 디자인상 쉠기본 글꼴숧이 없다숮 이전 버전까지 은글꼴 쉴쉹쉰쉥 숱 숨untype1숩을 기본 글꼴로 삼고 있었으므로 크게 달라진 점이다숮 그런데숬 기본 글꼴 이 없다는 것은 \usepackage{kotex}만으로는 한글 글자가 찍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숮 실제로 쉘쉅쉔쉅쉘숭ko와 쉌쉵쉡쉔쉅쉘숭ko는 이런 식으로 동작하고 있으며숬 반드시 한글 글꼴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주어야 하게 되어 있다숮 하위 호환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ko숮쉔쉅쉘숭쉵쉴쉦에서 만약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혼 선을 불러올 것이 자명하므로숬 우선 아무런 글꼴도 지정하지 않으면 nanumtype1 글 꼴을 불러 글자를 보여주게 되어 있다숮숱 쉮쉡쉮쉵쉭 쉴쉹쉰쉥 숱이 선택된 이유는 이 글꼴 패 키지가 쉃쉔쉁쉎에 등록되어 있고 쉔쉅쉘 쉌쉩쉶쉥에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숮숲 숱 숲 단숬 한자 영역은 uhc숮 원래 cjk-ko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글꼴이다숮 숴숳

44 제 6 장 글꼴 문제 그러나 이것은 쉠기본 글꼴숧과는 성질이 다른데숬 그 이유는 ko숮쉔쉅쉘이 제공하는 글 꼴 처리 능력에 비추어 많은 부분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다숮 예를 들면 ttfamily 에 해당하는 타자체가 별도로 없다는 점숬 한자는 한 가지 글꼴밖에 사용하지 않고 굵은 한자가 찍히지 않는다는 점 등에서 그러하다숮 글꼴의 선택과 사용이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으나숬 숐편의를 위하여숑 상 세한 글꼴 설정이 없을 때 나눔 쉴쉹쉰쉥 숱이 한글 영역을 식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고 기억해두자숮 영역, 가족, 6.2 6.2.1 입력 문자의 영역 텍스트의 문자를 식자할 때숬 ko숮쉔쉅쉘은 입력 문자를 세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에 대 하여 다른 글꼴을 적용한다숮 숱숮 라틴 문자 영역숮 쉁쉓쉃쉉쉉 문자들은 모두 여기에 들어간다숮 즉 로마자 알파벳과 숫자숬 일부 문장부호들이다숮 이 영역의 문자를 식자하는 것은 일반적인 라틴 문자 문서와 완전히 동일하다숮 그러므로 fontenc로 쉏쉔숱숬 쉔숱 등의 폰트 인코 딩을 지정하거나 lmodern숬 txfonts와 같은글꼴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도 이 영 역에 영향을 미친다숮 숲숮 한글 영역숮 쉛쉕숫쉁쉃숰숰쉝에서 쉛쉕숫쉄숷쉆쉆쉝까지 한글 음절문자 영역의 글자와 한글 자모 및 한글 호환자모 글자들에 해당한다숮 이 영역을 식자하는 글꼴을 쉠한글 글꼴숧이라 한다숮 숳숮 한자 영역숮 위의 라틴 문자 영역과 한글 영역을 제외한 모든 문자가 포함된 다숮 한중일 호환 문장부호숬 한자는 물론이고 일부 폰트에서 발견할 수 있는 쉐쉕쉁숨사용자 영역숩 옛한글 문자도 여기에 속한다숮 이 영역은 쉠한자 글꼴숧로 식 자한다숮 이 세 영역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숮 즉 한글 영역의 글꼴을 바꾸더라도 라틴문자나 한자 영역의 글꼴의 선택이 숨원칙적으로숩 바뀌지 않 는다숮

영역, 가족, 45 라틴 문자 영역 글꼴 6.2.2 ko숮쉔쉅쉘의 라틴 문자 글꼴 기본값은 쉏쉔숱 인코딩의 쉃쉍이다숮 쉔숱 인코딩으로 쉅쉃 글 꼴을 사용하려면 다음을 전처리부숨쉰쉲쉥쉡쉭쉢쉬쉥숩에 적어준다숮 \usepackage[t1]{fontenc} 글꼴 설정 패키지를 사용하면 이 영역 문자에 영향을 미친다숮 예를 들어 쉰쉸쉦쉯쉮쉴쉳를 본문에서 쓰려면숬 \usepackage{pxfonts} 와 같이 한다숮 쉎쉆쉓쉓숳 를 따르며숬 쉲쉭숬 쉳쉦숬 쉴쉴 패밀리와 쉭쉤숬 쉢쉦 시리즈숬 쉵쉰숬 쉩쉴숬 쉳쉬 셰이프들을 선택 하는 폰트 선택 명령 역시 그대로 적용된다숮 kotex 자체가 쉦쉯쉮쉴 쉥쉮쉣쉯쉤쉩쉮쉧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숬 쉦쉯쉮쉴 쉥쉮쉣쉯쉤쉩쉮쉧을 바꾸는 명령숬 예를 들면 \usepackage[t1]{fontenc}과 같은 행은 kotex이 로드되기 전에 부르는 것이 좋다숮 이후의 논의는 한글 및 한자 영역 글꼴에 관한 사항이다숮 6.2.3 글꼴 가족과 인코딩 ko숮쉔쉅쉘은 한글과 한자 영역 글꼴에 대해서도 쉎쉆쉓쉓 방식의 글꼴 선택이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숮 이 영역 글꼴을 쉲쉭숬 쉳쉦숬 쉴쉴 세 글꼴 가족숨쉦쉡쉭쉩쉬쉹숩으로 구분한다숮 각각을 편의상의 명칭인 숐바탕숨또는 명조숩숬 돋움숨또는 고딕숩숬 타자숑에 대응시킨다숮 이들은 라틴 문자 의 숐쉳쉥쉲쉩쉦숬 쉳쉡쉮쉳 쉳쉥쉲쉩쉦숬 쉴쉹쉰쉥쉷쉲쉩쉴쉥쉲숑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숮 쉲쉭 쉳쉦 쉴쉴 한글 한글바탕글꼴 한글돋움글꼴 한글타자글꼴 한자 한자바탕글꼴 한자돋움글꼴 한자타자글꼴 ko숮쉔쉅쉘이 한글과 한자 영역 식자에 사용하는 폰트는 쉌쉕쉃 인코딩 폰트이다숮 이 인코딩은 유니코드 문자군을 수백 개의 쉳쉵쉢쉦쉯쉮쉴로 분할하여 처리하도록 되어 있어 실제 글꼴 파일 자체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지만 쉔쉅쉘의 폰트 정의 숨쉦쉯쉮쉴 쉤쉥쉦쉩쉮쉩쉴쉩쉯쉮숩 방식에 의하여 대표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다숮 숳 쉁 쉌쉔 쉅쉘의 폰트 선택 스킴을 가리킨다숮

46 제 6 장 글꼴 문제 다른 글꼴 선택 없이 나눔 쉴쉹쉰쉥 숱으로 식자하는 경우숬 이 글꼴가족들은 다음과 같이 대응되어 있다숮 타자체 글꼴을 별도로 할당하지 못한 것은 해당하는 글꼴이 없기 때문이다숮 참고로 은글꼴 쉴쉹쉰쉥 숱을 쓴다면 쉵쉴쉴쉺라는 은타자 글꼴을 이 영역에 할당할 수 있었다숮숴 쉲쉭 쉳쉦 쉴쉴 한글 쉮쉡쉮쉵쉭쉭쉪 쉮쉡쉮쉵쉭쉧쉴 쉮쉡쉮쉵쉭쉧쉴 한자 쉵쉨쉣쉭쉪 쉮쉡쉮쉵쉭쉧쉴 쉮쉡쉮쉵쉭쉧쉴 글꼴 가족을 지정하는 것은 다음 쉎쉆쉓쉓 명령을 쓴다숮 윗줄의 세 개는 인자를 갖 는 쉠명령형숧이고 아랫줄의 세 개는 쉠선언형숧이다숮 \textrm, \textsf, \texttt \rmfamily, \sffamly, \ttfamily 이 명령이 주어지면 라틴문자 영역뿐 아니라 한글과 한자 영역에 대해서도 위의 표 에 주어진 대응에 따라 한글과 한자를 식자한다숮 이밖에 쉳쉥쉲쉩쉥쉳숬 쉳쉨쉡쉰쉥숬 쉳쉩쉺쉥 등에 해당하는 쉎쉆쉓쉓 명령이 한글과 한자에 다 적용 된다숮 ko숮쉔쉅쉘숭쉵쉴쉦에서는 숨쉘쉅쉔쉅쉘숭ko와 달리숩 수학 문자에 한글 글꼴을 쓸 수 없다숮 수 학 글꼴들은 라틴 문자와 같이 취급되며 쉎쉆쉓쉓의 수학 글꼴 명령을 그대로 따른다숮 수식 안에 한글 텍스트를 넣어야 한다면 amsmath의 \text 명령을 쓴다숮 글꼴의 제한과 더 많은 글꼴 사용에 대한 문제 6.3 쉌쉥쉧쉡쉣쉹 쉔쉅쉘과 쉘쉅쉔쉅쉘숬 쉌쉵쉡쉔쉅쉘의 가장 큰 차이 중의 하나가 폰트 문제에 관련된 것이다숮 즉 새로운 텍 엔진들은 트루타입숬 오픈타입과 같은 글꼴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게 됨으로써숬 종래 쉔쉅쉘의 폰트 사용 방식에 더이상 구애되지 않아도 되게 되 었다숮 트 만약 더 많은 글꼴의 사용을 원한다면 이 텍 엔진으로 갈아타는 것이 좋다숮 폰 면 쉘 쉔 쉘을 쓰 시 라숮 가 문 제 라 쉅쉅 숴 은타자 서체를 타자체 패밀리로 지정하는 방법은 숴숷페이지를 보라숮

글꼴의 제한과 더 많은 글꼴 사용에 대한 문제 47 애초부터 ko숮쉔쉅쉘은 폰트 사용에 관하여 많은 고민이 있었고 몇 가지 방법을 제 시한 바 있으며 그 명령들은 여전히 유효하지만숬 굳이 그렇게까지 하면서 쉌쉥쉧쉡쉣쉹 쉔쉅쉘에서 숐많은 폰트숑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숮 6.3.1 ko.tex의 글꼴 관련 명령 아래 ko숮쉔쉅쉘이 마련해 둔 폰트 관련 명령 몇 개를 정리하여 둔다숮 \SetHangulFonts{mj}{gt}{tz} \SetHanjaFonts{mj}{gt}{tz} 기본 글꼴을 설정한다숮 세 개의 인자는 각각 명조숯고딕숯타자에 해당한다숮 \SetSerifFonts{hangul}{hanja} \SetSansFonts{hangul}{hanja} \SetMonoFonts{hangul}{hanja} 두 개의 인자는 각각 한글 영역과 한자 영역을 식자할 글꼴 이름이 온다숮 \SetAdhocFonts{hangul}{hanja} 본문에서 일시적으로 글꼴을 바꾸고자 할 때 쓰기 위해 마련된 명령이다숮 특히 이 명령은 한글과 한자 영역에만 영향을 끼치므로 라틴 문자 영역은 별도로 지정해주 어야 한다숮 표 숶숮숱숺 한글 글꼴 사용 범위 쉭쉦 쉴쉹쉰쉥 숱 쉴쉲쉵쉥쉴쉹쉰쉥 쉯쉰쉥쉮쉴쉹쉰쉥 쉴쉥쉸 숫 쉤쉶쉩쉰쉳 쉴쉥쉸 숫 쉤쉶쉩쉰쉤쉦쉭쉸 쉰쉤쉦쉴쉥쉸 가능 가능 가능 가능 가능 가능 숨변환필요숩 숨변환필요숩 숨변환필요숩 숨변환필요숩 쉸쉥쉴쉥쉸 쉬쉵쉡쉴쉥쉸 가능 가능 가능 가능 직접 사용 직접 사용 직접 사용 직접 사용

48 제 6 장 글꼴 문제 6.3.2 Legacy TEX을 위한 한글 글꼴 패키지들 새로운 텍 엔진의 등장으로 이제 사실상 필요가 사라졌지만 한때 다양한 글꼴 패키 지가 만들어져서 유통된 사례들이 많다숮 그 가운데는 백묵 글꼴숬 문화부 글꼴숬 윈도우즈 기본 글꼴숬 한겨레결체 등을 텍이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 제공한 경우도 있었으나숬 현재 이 패키지들을 찾아보기 는 어렵다숮 은글꼴 type 1 현재 ko숮쉔쉅쉘 저장소에서 kotex-base라는 이름으로 제공되는 쉵쉮쉴쉹쉰쉥숱 은 종래 기본 글꼴로 사용되던 것이므로 이 글꼴 패키지를 다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숮 이 때는 먼저 이 패키지를 tlmgr install kotex-base 설치한 후에숬 본문에서 다음 한 줄을 추가해준다숮 \usepackage{dhucs-untype1} 트루타입 글꼴 이제 필요가 줄었지만숬 그래도 트루타입 폰트를 ko숮쉔쉅쉘숭쉵쉴쉦에서 사 용하려 하며숬 폰트 라이선스 등에 대하여 자신이 책임질 수 있고숬 약간의 복잡한 설 정 작업을 기꺼이 해내려 한다면숬 ttf2kotexfont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된다숮 이 유틸 리티의 사용법은 이 문서 말미에 별도의 장으로 마련되어 있다숨숶숵페이지숬 숱숱장숩숮 6.3.3 엄격한 문자 체크 한글 문서 작성 상황은 매우 복잡해서숬 현재 사용중인 폰트에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문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숮 은글꼴의 은바탕체만 하더라도 예컨대 한자는 쉋쉓 쉘 숱숰숰숱에 해당하는 숴숸숸숸자밖에는 들어 있지 않다숮 그런데 쉔쉅쉘은.tfm이 아예 없다면 에러를 내지만.tfm은 있으나 그.tfm의 문 자 정의에 해당 글자가 없는 경우에는 다만 글자를 식자하지 않고 경고만을 보이고 지나가면서.log에 기록하는 것에 그친다숮 그 결과.log를 세심하게 살피지 않으면 혹 부지불식간에 특정 문자를 식자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숮 이 때문에 도입된 옵션이 [strictcharcheck]이다숮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ε숭쉔쉅쉘 의 원시명령을 이용하여 만약.tfm은 있는데 특정 문자가 없다면 에러를 발생시키

글꼴의 제한과 더 많은 글꼴 사용에 대한 문제 49 면서 컴파일을 멈추게 한다숮 문서 작성자는 이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보다 잘 인식 하고 폰트를 교체하거나 임시 폰트를 지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숮 이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에러를 보여주지 않고 다만.log에만 기록한다숮

제7장 한글 문서 서식을 위한 부가 패키지들 이 장에서 설명하는 부가 패키지들은 kotex-utf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쉘쉅쉔쉅쉘숬 쉌쉵쉡쉔쉅쉘을 사용하는 경우와는 호환성이 없다숮 7.1 강조 방식 숵숮숳숮숴 소절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강조 명령숨\emph숩이 주어졌을 때 기울인 글자체를 쓸 것인지 글꼴 대체 방식을 쓸 것인지를 정할 수 있게 하는 부가 패키지가 dhucsgremph이다숮 이 패키지를 로드하면 \emph 명령의 강조 부분이 나눔고딕으로 식자된다숮 은글 꼴 쉴쉹쉰쉥 숱 패키지를 사용할 경우숬 은그래픽 서체가 기본이었던 것을 상기하라숮 패키지가 제공하는 명령이 몇 가지 있다숮 \SetGremphFonts{hangul}{hanja} 강조 부분에 식자할 글꼴을 지정한다숮숱 주의할 점은 은글꼴이나 ttf2kotexfont로 설치한 트루타입 글꼴 사용시에는 폰트 이름 앞에 쉠쉯숧를 하나 붙여주어야 한다는 점 이다숮 즉 \SetGremphFonts{nanummj}{nanumgt} 숱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현재의 ko숮쉔쉅쉘 이용 상황에서 쉰쉤쉦쉌쉁쉔쉅쉘으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쉴쉹쉰쉥 숱 글꼴이나 트루타입 쉔쉅쉘 글꼴을 사용하게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숮 쉧쉲쉥쉭쉰쉨 기능도 결국 글꼴의 문제이므로 이 문제를 더 섬세하게 제어하려면 쉘쉅쉔쉅쉘 엔진을 사용할 것을 권한 다숮 숵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