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번호 1819 울산태화강의겨울철철새 모니터링자료와서식환경간의 비교연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환경 212. 7. 9. 구분성명 출품학생 지도교사 정유정 정선명 조은아 김동호
차례
- 1 -
Fig 1. 태화강조류조사 site - 2 -
- 3 -
- 4 -
- 5 -
- 6 -
Table 1. 모니터링실시날짜 년 21 211 212 1.9 1.16 1.8 1.17 1.23 1.14 1.23 1.29 1.29 11.6 2.12 2.11 월 / 일 11.21 2.2 2.19 11.28 3.6-12.4 3.13 - - 11.27 - - 12.4 - Fig 2. 조사지 ( 을숙도, 주남저수지, 태화강 ) 위성사진 - 7 -
밀도 = 특정종의개체수 / 단위면적 (m2) 상대밀도 = 특정종의밀도 / 전체종의밀도의합 * 1-8 -
Table 2. 조사지별수질조사결과 - 9 -
Fig 3. Principal Components 결과 - 1 -
Fig 4.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 Fig 5. - 11 -
기온 ( ) 25 2 15 1 5 최저기온 최고기온 -5 1 11 12 1 2 3 11 12 1 2 21 211 212-1 Fig 6. 연도별기온조사결과 - 12 -
Table 4. - 13 -
4 1 개체수 ( 35 3 25 2 15 1 5 1 11 12 1 2 3 11 12 1 2 개체수 ( 8 6 4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12 35 1 개체 8 수 ( 6 4 2 3 개 25 체 2 수 ( 15 1 5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쇠오리 알락오리 2 14 개체수 ( 1.5 1.5 12 개 1 체 8 수 ( 6 4 2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비오리 쇠백로 1 6 개체수 ( 8 6 4 2 개체수 ( 5 4 3 2 1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중대백로 왜가리 - 14 -
14 2 12 개 1 체 8 수 ( 6 개 15 체수 ( 1 4 5 2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흰죽지 댕기흰죽지 25 6 개체수 ( 2 15 1 5 개체수 ( 5 4 3 2 1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검은머리흰죽지 흰목물떼새 2 3 개 1.5 체수 ( 1 개체수 ( 25 2 15.5 1 5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백할미새 붉은부리갈매기 5 2 개체수 ( 4 3 2 개 15 체수 ( 1 1 5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재갈매기 민물가우지 7 8 6 7 개 5 체 4 수 ( 3 2 개 6 체 5 수 ( 4 3 2 1 1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211 211~212 21~211 211~212 논병아리 물닭 - 15 -
Species Richness Number of Species pooled samples Bray-Curtis Cluster Analysis (Single Link) - 16 -
Table 5. 부산을숙도모니터링결과 날짜 종류 ( * 혹부리오리 (22) * 고방오리 (25) * 홍머리오리 (32) * 왜가리 (2) 212. 1. 14 * 고니 (5) * 아비 (6) * 저어새 (11) * 바다비오리 (2) * 청둥오리 (38) * 댕기흰죽지 (1) * 알락오리 (1) * 괭이갈매기 (312) 최저기온 최고기온 풍속 ( ) ( ) (m/s) 1.3 6.5 3. Table 6. 창원주남저수지조류모니터링결과 날짜종류 ( * 쇠기러기 + 큰기 * 백할미새 (2) 러기 (112) * 알락할미새 (1) 212. 1. 16 * 청둥오리 (153) * 혹부리오리 (1) (13시 49분시작 ) * 고니 (135) * 미동종조류 : 맹 * 재두루미 (6) 금류추정 (2) * 고방오리 (57) 최저기온 최고기온 풍속 ( ) ( ) (m/s) -1.3-3.4 2.8-17 -
Table 7. 조사지별수질조사결과 - 18 -
25 2 15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18 16 14 12 1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1 8 6 5 1 11 12 1 2 3 11 12 1 2 4 2 1 11 12 1 2 3 11 12 1 2 21 년 211 년 212 년 21 년 211 년 212 년 수온 DO 7 6 태화강을숙도 14 12 태화강을숙도 5 주남저수지 1 주남저수지 4 8 3 6 2 4 1 2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 년 211 년 212 년 21 년 211 년 212 년 BOD COD 6 5 4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6 5 4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3 3 2 2 1 1 1 11 12 1 2 3 11 12 1 2 1 11 12 1 2 3 11 12 1 2 21 년 211 년 212 년 21 년 211 년 212 년 SS TN.35.3.25.2.15.1.5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1 11 12 1 2 3 11 12 1 2 21년 211년 212년 - TP - - 19 -
Table 8. 조사지별 3 2 1 태화강을숙도주남저수지 6 4 2 직경 (mm) 평균개체수 ( 길이 (cm) Fig 9. 조사지별 - 2 -
Shannon Index Results 태화강 을숙도 주남저수 지 Fig 1. Simpsoms Index Results Simpsoms Index Results 를분석한다음과같다. Simpsoms Index Results 태화강 을숙도 주남저수 지 Fig 11. Simpsoms Index Results 결과 - 21 -
Bray-Curtis Cluster Analysis(Single Link) Bray-Curtis Cluster Analysis(Single Link) 를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Bray-Curtis Cluster Analysis(Single Link) 주남저수 지 을숙도 태화강 Fig 12. Bray-Curtis Cluster Analysis(Single Link) Principal Components Principal Components 를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Principal Components 태화강 을숙도 주남저수지 Fig 13. Principal Components 결과 - 22 -
- 23 -
- 24 -
-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