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D F736F F D20C3BBC1A4B5B5B7D020C7D8C1A65FFAB0F0B95F2DB4EBB8B2BDBAB4D4>

Similar documents
178È£pdf

152*220

120~151역사지도서3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pb61۲õðÀÚÀ̳ʸ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10월추천dvd

5 291



01¸é¼öÁ¤

C# Programming Guide - Types

82-대한신경학0201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Jkafm093.hwp

연구노트

º´¹«Ã»Ã¥-»ç³ªÀÌ·Î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13Åë°è¹é¼Ł

....pdf..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041~084 ¹®È�Çö»óÀбâ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PowerPoint Present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È޴ϵåA4±â¼Û

2019달력-대(판형키워)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03report hwp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10월_v8

- 89 -

기본소득문답2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 4 -


<BFA9C8A3BFCDB4C2C0A7B4EBC7CFB4D9284A2E522E >

120330(00)(1~4).indd

USC HIPAA AUTHORIZATION FOR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hwp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2015년9월도서관웹용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012~031)223교과(교)2-1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11+12¿ùÈ£-ÃÖÁ¾

iOS ÇÁ·Î±×·¡¹Ö 1205.PDF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³»Áö_10-6

KMC.xlsm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01 01NEAR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³À°È°µ¿Áö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untitled

쌍백합23호3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1,2,3,

SIGIL 완벽입문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7단원 1(252~269)교

¿©¼ºÀαÇ24È£

DocHdl2OnPREPRESStmpTarget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나하나로 5호

Microsoft PowerPoint _Monthly InsighT 19년 1월.pptx

열거형 교차형 전개형 상승형 외주형 회전형 도해패턴 계층형 구분형 확산형 합류형 대비형 상관형 (C) 2010, BENESO All Rights Reserved 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소식지수정본-1

º»ÀÛ¾÷-1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Microsoft PowerPoint 산업전망_통장전부_v9.pptx

Transcription:

청정도론해제 ( 解題 ) 1. 들어가는말 현존하는불교는크게북방불교와남방불교로나누어진다. 북방불교는설일체유부로대표되는부파불교를제외하고는모두대승 (Mahayana) 이라자처하고남방불교는스스로를상좌부 (Theravada) 라부른다. 상좌부는말그대로부처님의직계제자를위시한장로즉큰스님들이전승해온부처님의가르침이라는말이다. 그래서상좌부는스님 ( 출가자 ) 들이전승해온스님들을위한가르침 1) 이라할수있다. 부처님의 45 년간가르침을결집하고전승해온것도스님들의몫이었기때문에자연히초기경들은출가한스님들이나당시외도수행자들 2) 에게한가르침이대부분을이룬다. 그리고출가자들은 ' 법에의지하라 ' 는부처님의유훈에따라이런법을배우고연구하고실천하고체득하고가르치는일에자신들의모든것을다바쳤다. 이런그들의노력이고스란히담긴교학체계를우리는아비담마 (Abhidhamma) 라부른다. 그래서상좌부불교는아비담마불교이기도하다. 1) 여기서스님 (bhikkhu) 이라는말속에는 " 도를닦는자는누구나비구라고이름한다 (< 네가지마음챙기는공부 >, 80)" 는 < 장부주석서 > 의말처럼장부일대사를해결하고자하는마음을낸모든사람이다포함된다. 상좌부는이런마음을낸사람들을위한가르침이라는의미이다. 2) 외도 ( 外道 ) 는 'annatitthiya' 의한자역어이다. 여기서 'anna' 는 ' 다른 ' 을나타내는형용사이고 'titthiya' 는 tittha(sk. tirtha, 여울 ) 에서파생된명사로 ' 여울에있는자 ' 를나타낸다. 그래서문자적으로는 ' 다른쪽여울에있는자 ' 라는뜻이며불교에서는부처님의가르침이외의다른길을가는자라는의미로쓰인다. 그래서중국에서는外道로옮겼고 sectarian 으로영역하고있다. 이런외도수행자로초기경에서는주로유행승 (paribbajaka, 遊行僧 ) 들이언급되고있으며그외사문 (samana, 沙門 ), 바라문 (brahmana), 나체수행자 (acela) 들이언급되고있다. 아울러육사외도 ( 六師外道 ) 로여러경에서정리되어나타난다. 이들가운데바라문들은주로결혼한자들이었으며다른자들은대부분독신수행자들로이들은모두각파에서설정한해탈 (moksa, Pali, mokkha) 을추구하여수행을하던수행자들이었다.

아비담마는문자그대로 ' 법 (dhamma) 에대해서 (abhi)' 라는말이며그래서현장스님은구사론에서 ' 대법 ( 對法 )' 으로옮겼다. 아비담마는사리뿟따존자를비롯한부처님직계제자들과그후에수많은스님들이법을참구하고고뇌하면서발전시킨어떤일관된법체계이다. 그들은아비담마를 ' 수승한법, 특별한법 ' 이라불렀으며 3) 중국에서는그래서승법 ( 勝法 ) 이라옮겼고대법 ( 大法 ) 이나무비법 ( 無比法 ) 이라고도옮겼다. 이처럼출가자들의제일의관심은오직법이었지결코중생이아니었다. 그들에게중생이니인간이니하는것은법이아닌개념 (pannatti) 일뿐이었다. 그들은법을배우고연구하고 (pariyatti, 교학 ) 그것을내삶에적용시켜도를닦고 (pariyatti, 도닦음 ) 그래서무상. 고. 무아의법의실상 ( 보편적성질 ) 을꿰뚫고통찰하여 (pativedha) 부처님이보이신해탈열반을실현하기위해서일생을다바쳤다. 이처럼법을참구하며평생을바친스님들이부처님의법을참구하여출가사문이된성스러운과실 (samannaphala, 沙門果 ) 을증득하고불법이오래오래이세상에머물게하기위해서전승해온가르침이상좌부불교이고아비담마이다. 그들은소승이라든지은둔불교라든지아공법유라든지부처님가르침을편협하게이해하고있다든지하는그들을향한어떠한비난이나도전에도별관심이없었다. 그들의관심은부처님이직접설하신법을올바르게이해 ( 빠리얏띠 ) 하고그것을자신에게적용시켜잘못된견해를극복하고바른도를실천하여 ( 빠때빳띠 ) 괴로움에서벗어나 ( 빠띠웨다 ) 부처님이보이신해탈열반을직접실현하는것이었으며이런출가생활이이웃이나불교도들에게가장큰공덕을가져다준다고확신하고있었다. 이렇게함으로해서세상의위없는복전 ( 福田, punnakkhetta) 이된다고부처님께서설하셨기때문이다. 그들은역사적으로존재한어떤불교보다도그들의법체계가가장부처님원음을순수하게지켜오고있다고자부하여왔으며역사와언어학이발달한요즘에는이러한사실을거부하기힘들다. 그리고현장스님이나의정스님의기록을보면그당시에도인도대륙에는법의궁구를근본으로하는상좌부를위시한소위말하는부파불교의교세가대승보다월등히우세하였음을알수있다. 그후무슬림의침공으로대승은인도대륙과중앙아시아와동남아시아에서그자

취를감추었지만상좌부는그전통을면면히계승해왔다. 오히려역대왕들로부터부처님의정통성을인정받아교단은보호를받았으며그들의법에대한결백증에가까운진지함과엄격한승행은지역민들의큰외호를받아왔다. 출가자가평생을바쳐법을궁구하고실천하며검소하게살때민중은소승이라비난하지않았고오히려그러한승단을존중하고외호하였고그들을복밭이라여겼다. 이것이상좌부불교의역사이다. 여기이러한상좌부불교의부동의준거가되는 청정도론 이있다. 붓다고사가 5 세기에편찬한이책은너무나잘알려졌기때문에상좌부불교에관한한아무도 청정도론 을거부하지못한다는것은더이상언설을필요치않는다. 청정도론 을상좌부불교의부동의준거라고인정한다면이제우리에게이런몇가지질문이생긴다. 청정도론 은무엇을설하고있기에 1600 여년동안상좌부불교의대명사로불려왔는가? 그것은구체적으로무엇을표방하고가르치고있는가? 그리고그것이표방하고있는가르침은정말열반이라는청정으로인도하는도가될수있는가?' 이제해제를쓰면서철저히이러한관심과의문과고뇌를바탕으로시작하려한다. 그것이역사적이고학문적인접근보다더의미있다고판단한다. 아울러이런고뇌에대한나름대로의대답은 청정도론 이라는결코만만치않은책과마주하고앉아서정독을하고계신여러독자들과공유하는보편적인질문에대한답이될수있으며그래서이책을읽는독자들에게이런문제의식을가진해제가훨씬더도움이된다고판단한다. 그러나제대로된역사적근거와학문적인분석없이 청정도론 의근본입각처를논하는것은자칫주관적이고감상적인접근이될수있을것이다. 그래서먼저 청정도론 과저자에관한일반적인고찰을한뒤이문제를나름대로천착해보고자한다. 2. 상좌부불교에서차지하는 청정도론 의위치와성격 상좌부불교에서차지하는 청정도론 의위치는각별하다. 아니 청정도론 을빼놓고상좌부불교를말한다는것자체가성립될수없다. 그래서 20 세기초서양의어느학자는붓다고사를스리랑카불교의두번째창시자라부르기도하였다.5) 지금관점에서보자면거친발상에지나지않지만그만큼백여년전의서양학자들의눈에도붓다고사는각별한사람이었던것이틀림없다. 청정도론 의성격을한마디로말하자면 청정도론 은기본적으로주석서라는점이다. 그것도경장인 4 부니까야 (Nikaya) 에대한주석서이다. 그래서 청정도론 이아무리아비담마적인방법론으로불교의기본주제인계. 정. 혜를설명한다하더라도 청정도론 은아비담마논서가아닌경장의주석서라는기

본성격을분명히해야한다. 즉부처님의직접적인가르침을논의의중심에두고있다는말이다. 그래서붓다고사는 장부주석서 (DA) 와 중부주석서 (MA) 와 상응부주석서 (SA) 와 증지부주석서 (VinA) 서문들에서공히다음과같이밝히고있다. 모든초월지들과통찰지 ( 慧 ) 의정의를내리는것과무더기 ( 蘊 ). 요소 ( 界 ). 감각장소 ( 處 ). 기능 ( 根 ) 과네가지성스러운진리 ( 諦 ) 와여러조건 ( 緣 = 緣起 ) 의가르침과극히청정하고능숙한방법과경전을벗어나지않은道와위빳사나수행ㅡ이모든것은내가지은 청정도론 에서아주청정하게 [ 설명되었다 ] 그러므로거기서설한것은다시여기서고찰하지않을것이다. 청정도론 은네가지전승된가르침 ( 四阿含 )6) 들의중앙에서서거기서말씀하신뜻을드러내기때문이다 7) 5) "It would be hardly too much to say that Buddhaghosa was the second founder of the Buddhism of Ceylon.(R S. Copleston, 5)" 6) 전승된가르침으로옮긴원어 ' 아가마 (agama)' 는중국에서아함 ( 阿含 ) 으로옮긴바로그단어이다. 빠알리에서도이렇게 4 부니까야를 4 아함으로부르고있다. 7) 주해생략. 그래서노만 (K.R. Noman) 도이렇게고찰하고있다. 그러므로자연스럽게 청정도론 은삼장으로부터네가지성스러운진리 ( 四諦 ) 를중심점으로한모든중요한가르침을추출해와서, 각장을그주제와관련지어그것으로눈문의전체에수놓으면서그들을제시하고있다. 그리고각장은이러한인용과설명을통해서시종일관된전체적인체계안에서로긴밀하게조직되어있다. 여기에다인도나스리랑카에서있었던아주많은일화들을통해서특정가르침을예시하고있다. 이렇게하여전체는정교하게만든큰건출물안에농축되어있다. 8)

실제로역자가 VRI CD-ROM 버전으로 'visuddhimagge( 위숫디막가에서 )' 라는키워드로조회해본결과경장의네가지주석서들가운데서는 206 번이나타났고복주서들에서는 64 번이나타났으며소부의주석서들과복주서들에서는 33 번, 아비담마주석서들과복주서들에서는 53 번, 율장의주석서들과복주서들에서는 21 번이나타났다. 청정도론 이라는이름을밝히지않고언급하고있는곳을합치면이를훨씬넘는다고한다. 이는경장의네가지주석서뿐만아니라붓다고사가지은율장의주석서와논장의세주석서와다른주석서들도그중심에는항상 청정도론 이놓여있다는말이된다. 그래서 청정도론 에서논의한주제는그주석서들에서다시설명하지않는것을원칙으로한다. 물론많은곳에같은설명이반복되고있기는하지만. 그러므로실로 청정도론 은부처님의직설이라고자부하며지금까지남방상좌부에서면면히전승해오는경. 율. 론삼장에대한모든논의의핵심에있고모든해설의기본토대가되고있다. 조금더부연해서설명해본다. 붓다고사는방대한부처님의가르침가운데서가장중요하고반복해서나타나는가르침이나문장들을제일먼저 청정도론 에서계. 정. 혜의주제하에일목요연하게해설하여초기불교에대한밑그림을완성하고있다. 이를바탕으로경장과율장과논장에대한주석서를하나하나지어나갔다. 만약어떤주제가 청정도론 에서설명이되지않았지만어떤특정니까야의주석서의주요주제로이미설명을했다면그특정주석서를참조하라고언급하고다른주석서에서는생략하는방법으로전체주석서를하나의큰장으로, 큰체계로구성하고있다. 다시말하면 장부 에서 증지부 까지의주석서들은어느것이먼저출간되었다고정확하게이야기하기곤란할정도로서로서로상호언급 (cross-reference) 을하고있다는점이다. 그래서네가지주석서들은 청정도론 을중심에두고거의동시에발표되었다고보는것이타당하다. 이는마치메인컴퓨터 A 의하드디스크에함께공유할데이터를저장해놓고 A1, A2,...An 의컴퓨터의하드디스크에다가각각다른주제의데이터를저장하면서반복해서나타나는데이터는매인컴퓨터 A 를참조하라고연결해주고, 그뿐만아니라어떤데이터가 An 에서중요한테이터로저장이되어있으면특정컴퓨터에서는 An 을연결해주면서서로데이터를공유하고있는체계와같다. 여기서메인컴퓨터 A 의역할을하는것이바로 청정도론 이며 A1, A2,... An 의컴퓨터들은각각율장의주석서들, 경장 4 부니까야의주석서들, 논장의주석서

들에해당한다고보면된다. 물론붓다고사의저작인지의심스럽지만그의저작으로인정되는나머지다섯가지주석서들 9) 과담마빨라 10) 가주석한소부의일곱가지게송으로된경들에대한주석서에서도 청정도론 은항상그중심에놓여있다. 이경우에도 청정도론 에서설명된것은 청정도론 을참조하라는언급만있을뿐설명은없다.11) 이런구조의핵심에 청정도론 이놓여있기때문에남방불교는 청정도론 불교요붓다고사불교라불러도틀린말은아니라할수있다. 한편 청정도론 주석서 (Atthakatha) 들의구조는 Pm 복주서 (Tika) 들에도그대로적용된다. 청정도론 이주석서들의중심에놓여있다면복주서들가운데에는 마하띠까 로잘알려진 청정도론 의복주서 12) 빠라맛타만주사 (Paramattha-manjusa, Pm, Mahatika, 마하띠까 ) 가놓여있다. 청정도론 복주서 (Pm) 의저자인담마빨라는 장부, 중부, 상응부 의복주서들의저자이기도하다. 여기서도담마빨라는각각의복주서들을주석하면서 Pm 에서설명한부분은더이상거론하지않고모두 Pm 을참조하라고언급하고있다. 이처럼붓다고사의방법을그대로적용하고있는것이다. 12 세기에사리뿟따에의해서만들어진 증지부복주서 에서도꼭같은방법이적용되어 Pm 에서이미설명한것은이 Pm 을참조하라고하고있다. 이처럼 청정도론 주석서들의관계는 Pm 복주서들의관계로발전되는것이다. 그만큼 청정도론 을이해하는것은남방불교의삼장 주석서 복주서의발전을이해하는핵심이된다. 12) 청정도론 의주석서들은주석서 (Atthakatha) 라부르지않고복주서 (Tika) 라고부른다. 왜냐하면 청정도론 이삼장의주석서 (Atthakatha) 에해당하기때문이다. 3. 책의제목 먼저 청정도론 에나타나는청정도론에대한설명부터살펴보자. (1. 5) 에서는스스로이렇게정의한다. 여기서청정 (visuddhi) 이란모든더러움이없어진지극히청정한열반이라고알아야한다. 그청정에 [ 이르는 ] 도가청정도 (visuddhimagga) 다. 도 (magga) 란체득하는수단 (adhigama-upaya) 을뜻한다. 여기에대해서담마빨라는 Pm 에서 " 이것으로청정을찾아간다, 찾는다, 얻는다

고해서청정도라한다. 청정도는비방편 (nippariyaya) 이므로출세간도라고알아야한다."13) 라고설명하고있다. 붓다고사는본서에서경에나타나는청정도의의미를다섯가지로제시한후여기서는계와삼매와통찰지즉계. 정. 혜를의미한다고말하고있다. 간추려서말하면계. 정. 혜를상수로하여열반이라는지극한청정을얻는수단인그도, 그방법을설명하고있는것이 청정도론 이라는뜻이다. 그리고붓다고사는본서에서 (1. 7) 이런계. 정. 혜를통해서실현되는청정도를다음과같이극명하게밝히고있다. 마치사람이땅위에굳게서서날카롭게날을세운칼을잡고큰대나무덤불을자르는것처럼, 계의땅위에굳게서서, 삼매의돌위에서날카롭게날을세운위빳사나통찰지의칼을, 정진의힘으로노력한깨어있는통찰지의손으로써잡은뒤, 자기의상속에서자란갈애으그물을모두풀고자르고부수어버릴것이다. 그는도의순간에엉킴을푼다고한다. 그는과의순간에엉킴을푼자가되어신을포함한세상에서최상의공양을받을만한자가된다. 한편청정을언급하면서빼놓을수없는것이일곱단계의청정 (sattavidha visuddhi) 즉칠청정 ( 七淸淨 ) 이다. 칠청정은 1. 계청정 2. 마음청정 3. 견청정 4. 의심을제거함에의한청정 5. 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 6. 도닦음에대한지견청정 7. 지견청정이다. 이일곱단계의청정은차례대로얻어지고각단계는바로다음단계를떠받쳐주고있다. 첫번째는계 ( 戒, sila) 와두번째는정 ( 定, samadhi, 삼매 ) 나머지다섯은혜 ( 慧, panna, 통찰지 ) 와관련되어있다. 그리고처음여섯가지는세간의도이고마지막은출세간의도이다. 그리고칠청정가운데서뒤의다섯가지청정은순수위빳사나의길이므로상좌부의전통수행법을소상하면서도분명하게밝힌상좌부수행체계의골수에해당된다. 사실부처님가르침을계. 정. 혜로분류하여설명하는것은모든불교에공통된방법이라할수있다. 그러나칠청정에초점을맞추어서불굘글설명하는것은 청정도론 을위시한상좌부전통에만나타나는각별한점이다. 그러므로이것은 청정도론 과 해탈도론 을구분짓는잣대이기도하며 청정도론 과다른부파의논서들을구분짓는방법론이기도하다. 칠청정에대해서는아래 14 에서상세하게고찰해보기로하고여기서는이정도로간략하게언급하고넘어간다. 4. 저자에대해서

청정도론 의저자붓다고사스님은인도사람으로알려져있다. 인도역사가다그러하듯이붓다고사에대한정확한역사적인근거를찾기란쉽지않다. 그러나워낙중요한인물이기때문에다른사람들보다는비교적정확하게그의연대를추적해볼수있다. 붓다고사에관한자료는다음몇가지를들수있다. 첫번째로제일중요하고직접적인자료는그의저술들끝에나타나는간단한후기 (nigamana) 들이다. 지금도그렇지만출가자들은자신을자세하게드러내는것을꺼리기때문에빠알리전적들의후기를가지고저자에대한구체적인사실을밝힐수가없다. 두번째는스리랑카의역사서인 마하왐사 (Mahavamsa, 大史 ) 가운데붓다고사를다루고있는부분 (ⅩⅩⅩⅤⅡ. 215-246) 이다. 이것은 마하왐사 의제 2 편에속하는데제 1 편이완성된 4 세기보다무려 800 여년뒤인 12 세기뽈론나루와불교부흥시대에쓰여진것이다. 세번째는 15 세기에미얀마에서쓴것으로보이는붓다고사의일대기를다룬 붓다고사웃빳띠 (Buddhaghosuppatti, 붓다고사의탄생 ) 를들수있다. 이책은전기가아니고냐나몰리스님이 ' 통속소설 (popular novel)' 이라고폄하했듯이 14) 전설이나소설에가까운문헌이기때문에자료로서의가치는많이떨어진다. 네번째로는 17 세기나 18 세기에미얀마에서편찬된것으로보이는 간다왐사 (Gandhavamsa, 책의역사 ) 를들수있다. 이것도역시후대의저술이라신뢰도는떨어지지만상좌부에나타나는여러서적의저자들을전통적인견해에따라비교적정확히서술하고있기때문에상대적으로그신뢰도는높은편이다. 첫번째자료들가운데서 MA 와 AA 의후기 (nigamana) 에의하면그는지금마드라스부근인꼰제와람 (Conjevaram) 에위치해있었음이분명한마유라숫따빳따나 (Mayurasuttapattaa) 에살았으며 15) 유명한조띠빨라 (jotipala) 스님과함께지금타밀나두주에해당하는깐찌뿌라 (Kancipura) 에살았다고한다.16) 그리고 청정도론 의후기에의하면그는스스로를모란다케따까 (Morandakhetaka), 즉모란다지방출신으로부르고있다. 남방스님들은전통적으로이지역을붓다고사가인도에서머물던사원이있던곳으로보지않고붓다고사가태어난곳으로보기도한다. 이곳은지금인도안드라쁘라데쉬의나가르주나콘다와아므라와띠중간쯤에있는어느마을일것이라고주장한다. 이렇게되면붓다고사가부처님성도지인마가다 ( 지금의비하르주 ) 출신이라는 마하왐사 의기록과어긋난다. 그러나이런인도학자들의주장이힘을받기위해서는더정확한근거와자료가필요하다하겠다. 사만따빠사디까 (VinA) 의나가마나 ( 후기 ) 에는조금더자세한정보가나타난다. 이부분을옮겨본다.

" 나는위나야의달인이신붓다밋따 (Buddhamitta) 장로로부터싱할리어로된마하앗타까타 (Maha-Attha[katha]) 와마하빳짜리 (Maha-Paccari) 와꾸룬디 (Kurundi, 큰구름숲 ) 숲에는세존의보리수로장엄된대사 (Mahavihara) 가있다.... [ 이논은 ] 시리니와사 (Sirinivasa) 왕 20 년에시작하여 21 년에완성하였다.... "17) 여기서언급되고있는시리니와사왕은마하나마 (Mahanama) 왕 (AD 409-431) 이라고하는데여러정황을살펴볼때마하나마왕이확실하다. 붓다고사에대한상세한언급은 마하왐사 에나타난다. 그러나이것은붓다고사멸후 700 여년이지난 12 세기에쓰여진것이라절대적으로신뢰하긴어렵지만 마하왐사 의정확성은다른문헌에비해서훨씬높게평가되고있고ㅛ, 또지금상좌부에서인정되고있는붓다고사에대한정설이기때문에조금상세하게살펴볼필요가있다. 운문으로되어있는 마하왐사 의관련구절 (Mv.ⅩⅩⅩⅤ Ⅱ. 215-246) 을산문으로옮겨본다. (1) 보리수가있는곳 ( 인도보드가야 ) 근처에바라문학도가있었다. 그는모든학문과지식과베다에통달했다. 그는그가배운것에정통했고정확하게그구절을외웠다. 그는각파의가르침에깊은관심을가지고있었기때문에전인도를다니며논쟁을벌였다.( 215-216) (2) 어느날그는어떤사원에와서빠딴잘리의 [ 요가수뜨라 ] 를한한구절도틀린데가없이정확하게외웠다. 레와따라는장로가그의비범함을알아보고제도하고자하여 ' 누가당나귀울음소리를내는가 ' 라고하였다. 그는 ' 그러면당신은당나귀울음소리의뜻을아시오 ' 라고반문했고장로는 ' 알지 ' 라고대답하고는그것을정확하게외우면서각구절의뜻을설명하고잘못된점까지지적하였다. ( 217-220) (3) 청년은물었다. 그러면 ' 당신의진언 (manta) 을외워보십시요.' 장로는아비담마를외웠다. 그러나그는그뜻을정확하게이해할수없었다. ' 이것은어느분의진언입니까?' ' 이것은부처님의가르침이라네.' ' 제게주십시요.' ' 그대가출가를해야하네. 그러면주겠네.' 그는그진언에지대한관심이있었기때문에출가하였다. 삼장을다배우고 " 이것은유일한도다 (M.i.55)" 라고확신하였다. ( 221-223) (4) 그의음성 (ghosa) 은부처님 (Buddha) 처럼깊고그윽했기때문에붓다고사 (Buddhaghosa, 佛音 ) 라불렀으며그의음성은부처님처럼

전대지위에 [ 퍼질것이다 ].( 224) (5) 거기서그는 나노다야 (Nanodaya) 라는논서를지었고 담마상가니 의주석서인 앗타살리니 (Atthasalini, Dhs A) 를지었다.18) 그다음에그는빠릿따 (Paritta, 護呪 ) 에대한주석서를짓기시작햇다.( 225-226) (6) 레와따장로가그것을보고 ' 여기는단지성전 (Pali) 만남아있을뿐이고주석서 (Atthakatha) 는남아있지않으며스승들의학설도조각나버리고더이상전해오지않는다네. 그러나 [ 섞이지않은 ] 순수한싱할리주석서가아직보존되어있다네. 그것은부처님께서가르치셨고사리뿟따등이합송한그대로 3 차결집에의해서전승된것이라네. 그것은지혜가구족하신마힌다장로가바르게주석하는방법에따라싱할리어로옮긴것이라네. 그곳으로건너가게. 가서그것을배우고마가다어로다시옮기게. 그러면온세상에큰이로움이될것일세.'( 227-230) (7) 이렇게말하자그는기뻐하면서출발하기로결심하였다. 그는큰지혜를가진마하나마 (Mahanama) 왕의재위때에이섬으로왔다.( 231) (8) 그는모든참된사람 (sadhu)emfdl ajansms eotk( 大寺, Maha-vihara) 에도착했다. 거기서그는대중방에머물렀으며상가빨라아래서상좌부의가르침인순수한싱할리주석서를모두다배웠다. 그는 ' 오직이것만이법의주인께서뜻하신바이다 ' 고확신하였다. ( 232-233) (9) 그래서그는승가를모아놓고 ' 제가주석서를만들도록모든책을주십시오 ' 라고 [ 부탁했다 ]. 그러자승가는그를시험하기위해서게송두개를준뒤 ' 이게송으로그대의능력을보여라. 그러면우리는책을모두그대에게건네주겠다.' 그게송에대해서그는주석서와더불어삼장을요약하였으며그것을 청정도론 이라고이름하였다.( 234-236) (10) 그러자 [ 아누라다뿌라의 ] 보리수아래에서교학에능통한승가를모이게하여그것을읽어내려갔다. 그의재능을시험하기위해서신들의무리가그책을감추어버렸는데두번째, 세번째까지그것을반복했다.( 237238) (11) 세번째로그책을읽기위해서가져왔을때신들이앞의두책도가져왔다. 비구들은그세책을동시에읽어내려갔으며그세첵가운데장이나뜻이나자료의순서나구나음절이

상좌부의성전과다른부분이하나도없었다. 그러자승가는크게기뻐하여 ' 참으로이자는미륵 (Metteyya) 이로다.' 라고계속하여외쳤다.( 239-242) (12) 그들은그에게주석서를포함하여삼장을내어주었다. 그는도서관 (ganthakara) 에머물면서싱할리주석서를근본언어인마가다어로옮겼다. 그는다른언어를사용하는모든사람들에게큰이익을주었다. 전통을전승해온장로들은모두그것을성전 (Pali) 으로승인하였다. 그임무를마치고그는인도로돌아갔으며 [ 보드가야의보리수에예배를올렸다.( 243-246) 이런역사적인배경들을바탕으로학자들은그의연대를이렇게추적한다. 붓다고사는마하세나 (Mahasena, AD.334-362/ 274-302) 왕까지언급하고있는 마하왐사 의전반부에언급이되지않으므로그이전으로올라가지는않는다. 그러나 선견율비바사 의중국번역연대 (AD.498) 이후로내려가지는않는다. 중국번역에는붓다고사의이름은나타나지않지만 청정도론 은인용하고있기때문이다. 이렇게볼때대략 370-450 년사이에그를넣을수있다.19) 마하왐사 에는붓다고사가마하나마왕 (AD.409-431/ 349-371) 때스리랑카로건너왔다고적고있다. 만일중국황제 Ma-ho-nam 에게 AD.428 년에서신을보냈다고하는왕이같은마하나마라면이연대는확정적이다. 그리고 사만따빠디까 (VinA) 후기에서그는시리니와사 (Sirinivasa) 왕 20 년에시작해서 21 년에끝냈다고적고있으므로 20) 붓다고사도이시대의인물인것은분명하다. 그리고아무리내려가도 사만따빠사디까 가 선견율비바사 로한역된 AD.489 이하로는내려오지않는다.21) 그리고 청정도론 이다른주석서보다먼저쓰여진것을감안한다면 청정도론 은대략 AD.425 년전후에완성된것으로보는것이무방할것같다. 5. 붓다고사가지은주석서들 마하왐사 와 간다왐사 22) 등에의하면전통적으로 청정도론 외에도다음 12 가지주석서들이붓다고사의저작으로나타난다. (1) 율장의주석서들 1 사만따빠사디까 (Samantapasadika) : 율장의주석서 (VinA) 2 깡카위따라니 (Kankhavitarani) : 빠띠목카에대한주석서 (2) 경장의주석서들 3 수망갈라윌라시니 (Sumangalavilasini) : 장부의주석서 (DA)

4 빠빤짜수다니 (Papancasudani) : 중부의주석서 (MA) 5 사랏탑빠까시나 (Saratthappakasini) : 상응부의주석서 (SA) 6 마노라타뿌라니 (Manorathapurani) : 증지부의주석서 (AA) 7 빠라맛타조띠까 (Paramatthajotika) : 쿳다까빠타 (Kuddakapatha 와숫따니빠따 (Suttanipata) 의주석서 (KhuA, SnA) 8 담마빠다앗타까타 (Dhammapadatthakatha) : 법구경 (Dhammapada) 의주석서 (DhpA) 9 자따까앗타까타 (Jatakatthakatha) : 본생경의주석서 (JaA) (3) 논장의주석서들 10 앗타살리니 (Atthasalini) : 법집론 (Dhammasangani) 의주석서 (DhsA) 11 삼모하위노다니 (Sammohavinodani) : 분별론 (Vibhanga) 의주석서 (VbhA) 12 빤짜빠까라나앗타까타 (Pancapakaranatthakatha) : 나머지다섯논장의주석서 이가운데서경장의 4 부니까야의주석서들과율자으이두주석서는의심할여지가없이붓다고사의저술로인정이된다. 논장의세주석서는큰틀로는앞에서밝혔듯이 청정도론 과긴밀한관계속에편찬되었지만 청정도론 과다른견해가등장하기때문에이는붓다고사의제자들이붓다고사의지시나감독에따라편찬했을것이라는견해들이있다. 그러나적어도붓다고사가큰역할을하면서관련된것은분명하다. 그리고노만은몇가지이유로이런견해를인정하지않는다. 오히려 마하왐사 의서술에따르면논장의 앗타살리니 (DhsA) 나 삼모하위노다니 (VbhA) 는붓다고사가스리랑카로오기전에인도에서이미저술한것이고그것을다시스리랑카에서 청정도론 의체계속에개작한것이어서견해가다를수도있다고보는입장이다.23) 역자도이견해를존중한다. 나머지붓다고사의저작으로언급하는 소부니까야 에대한주석서들은 청정도론 을중심한붓다고사의저술들과는서술방법등이다르기때문에다른스님의저술일것으로판단하는학자들이있지만충분한근거를가지고거론되는다른저자가없고전통적으로붓다고사의저술로인정되기때문에냐나몰리스님과노만은큰무리없이붓다고사의저술로인정하는편이다.24) 6. ' 청정도론 ' 탄생의역사적배경 율장의주석서인 사만따빠사디까 (VinA) 의인유분 ( 因由分, nidanakatha) 에의하면아소까대왕은불교를그의통치이념으로정하고다른나라나인도의변방으로 10 무리의전법사들을파견하였다한다.25) 이것은산치대탑의유물가운데서열곳의전법사들의유해 ( 사리 ) 를담은통이발견됨으로해서의심할여지가없게된다.

이렇게전파한불교는아소까대왕때이루어진 3 차결집에서공인된상좌부불교이다. 그가운데서가장성공적으로불법이정착한곳이스리랑카와간다라지방 (kasmira-gandhararattha) 이었다.26) 스리랑카는현존하는남방불교의근원지이며간다라는북방아비담마불교의대명사가된설일체유부의근거지이다. 규기가지은 이부종윤론술기 에의하면간다라지방에그교세를펼쳤던설일체유부는이부파의일곱번째논서인 발지론 을지은가다연니자 (Katyayaniputra) 에의해서 BC150-50 념쯤에상좌부로부터분파하였다고한다.27) 스리랑카불교역사도예외없이이러한부파분열의현상이드러나는데그것은잘알려진바무외산사 ( 無畏山寺, Abhayagirivihara) 가 BC100 년쯤에설립되면서부터였다. 그러나스리랑카는정통상좌부불교를고스란히간직하고있다는큰자부심을가진대사 ( 大寺, Mahavihara) 의각고의노력으로마침내무외산사를제압하고정통상좌부의가르침을지금까지전승해오고있다. 그핵심에는인도출신인붓다고사스님이나역시인도출신인붓다닷따, 아난다, 담마빨라스님등기라성같은대가들이있음은재론할여지가없다. 이런사실만봐도인도내의상좌부와스리랑카의상좌부는긴밀한관계를가지고있었으며인도상좌부에서도스리랑카의상좌부를그정통으로인정하고있었다고볼수있다. 그러나인도에불교가미약해지면서스리랑카는상좌부불교의보고로서의역할을해왔으며미얀마와태국등지로전파되었다. 이제스리랑카의역사를통해서이를살펴보자. 어느시대어느사회를막론하고보수와진보, 쇄국과개방의갈등과대립은있어왔을것이다. 붓다고사가스리랑카로오기몇백년전부터스리랑카의상황도마찬가지였다고본다. 스리랑카가예부터지금까지인도대륙의정치, 문화, 경제적인영향권에속한다고볼때스리랑카의정치와문화행위는인도대륙과분리하여이해할수없으며그런와중에보수는항상민족의식의고취에관심이많고진보는외국 ( 인도 ) 의사조를수용하면서적극적으로국제사회에동참하려는생각을가졌을것이다. 사건중심으로이런상황몇가지를살펴보자. 첫째, 아소까대왕의아들이며출가해서스님이된마힌다 (Mahinda) 장로가 BC. 3 세기때불교를스리랑카에전할때빠알리삼장과주석서를함께전했다고한다. 문제는이주석서는마힌다장로에의해서싱할리어로옮겨져서그후계속해서싱할리어로전승되어왔다는점이다. 학자들은붓다고사가지은현존주석서문헌들을자세히분석한점과주석서에나타나는인도스님들의언급은거의전부마힌다장로가스리랑카로전해주기이전인아소까왕이전의스님들의일화들이고, 그외에언급되고있는것들은모두그후에스리랑카에서있었던일화들이라고한다.280) 이런점에서볼때초기주석서는마힌다장로가전한것이분명하고이는싱할리어로계속보강되면서전승되어왔다고보고있다. 랑카에서상좌부의정통성을주장하는이들이그주석서들을빠알리가아닌싱할리어로전승해왔다는사실은역사적으로중요한의미를가진다. 그가장큰이유는인도대륙의변화무쌍한학파난립과신흥사상의영향을받지않기위해서였

을것이고, 실제그것은전통적인가르침을다른신흥사상과섞지않고전승할수있다는큰장점으로작용했을것이다. 그러나여파로자연적으로스리랑카의상좌부는스리랑카에만고립되게되었을것이다. 인도의강한문화적정치적인입김에서도상좌부전통을잘고수해오는장점도있지만반면자연국제불교의흐름과는고립되게되었을것이다. 물론인도전역, 특히남인도에상좌부가르침은상당히퍼져있었을것이지만스리랑카상좌부의입장에서는그것마저도신흥사상과섞인것으로의심하였을것이며실제로인도의상좌부가마힌다가전한것과같은고주석서를가졌다고보기는힘들다. 그래서스리랑카대사 ( 大寺 ) 의스님들은더욱더그들의싱할리주석서를고수하였을것이고다른부파에노출시키기를꺼려왔을것이다. 그러던중역사적으로큰변화가스리랑카왕조에생기게된다.29) 왓따가마니 (Vattagamani, BC.104-88) 왕때에바라문띳사가모반을일으키고거기다가기근과침략까지뒤따라왕은망명을하게된다. 대사의비구들은스리랑카의남쪽이나인도로피난한다. 14 년후에왕이되돌아오고비구들도되돌아왔으나문제는이때부터시작된다. 왕이무외산사 ( 無畏山寺 ) 를세운것이다. 무외산사는정통상좌부의대를고집스럽게이어내려온대사파에서탈퇴하여분파했다. 분명무외산사는신흥부파가난립했던인도와긴밀한관계가있는친인도적인파였을것이다. 왕은무외산사를옹호했다. 여기에는인도와의정치적관계등여러요인이분명히작용했을것이다. 이에위기를느낀대사 ( 大寺 ) 는그동안구전으로전승되어오던빠알리삼장을문자로기록했다. 그것도왕이모르게수도를벗어나서외딴곳 30) 으로가서했다. 이사실은그들이삼장에대한위기감을크게느꼈음을말해준다. 왕의후원이끊어졌으므로삼장을구전으로전승하기에는역부족을느꼈을것이고만일왕이안다면왕권으로삼장의결집에인도신흥사상등다른이설을넣으려는영향력을행사할가능성이컸기때문일것이다. 한편이렇게문자로정착된역사적인사실을후대상좌부전통에서는 4 차결집으로부르고있다. 빠알리삼장의문자화는이런역사적인진통을겪으면서탄생되었다. 30) 지금스리랑카 Matale 지방에있는알루승원 (Aluvihara) 임. 반면무외산사는역사의부침을겪으면서도승승장구했던것으로보인다. 대사 ( 大寺 ) 에서독립하여왓따가마니왕 (BC.104-88) 때왓지뿟따까 (Vajjiputtaka, 독자부 ) 의담마루찌니까야 (Dhammaruci Nikaya) 를그들의정전으로받아들였으며보하리까띳사 (Voharika-Tissa, AD.215-237) 왕때는 방등부 (Vetuya Pitaka) 를받아들였다. 이 방등부 는왕의신임을받지못하여불태워지기도하는등그후우여곡절을겪었다. 방등부 의가르침은대승에는속하지않지만분명히아함에서더발전된경전군이었음에는틀림없다.

무외산사에속하는저작이거나혹은무외산사와밀접한관계에있는스님이지은것이확실시되는 위뭇띠막가 (Vimuttimagga, 해탈도론 ) 도이무렵에완성된것이분명하다. 그만큼무외산사는교학적으로도체계를갖추어갔으며인도를중심한국제불교의영향을받으면서활발하게전개되었을것이고그것은다시대사의위축으로이어졌을것이다. 대사의교리적체계를담고있는주석서들은모두싱할리에갇혀있었기때문에, 그들의교학적인열세는당연하였을것이다. 그러는와중에고타아바야 (Gothabhaya, AD.254-267) 왕말년과젯타띳사 (Jettha- Tissa, AD.267-277) 왕때스리랑카는큰정치적종교적소용돌이에휘말리는데여기에는인도승려상가밋따 (Sanghamitta) 가개입되어있다. 한때젯타띳사왕은대사 ( 大寺 ) 를옹호하고상가밋따를인도로추방했으나그를뒤이은마하세나 (Mahasena, AD.277-304) 왕은그를다시불러오고대사를 9 년이나폐쇄하였다. 그후상가밋따는암살당하고대사는다시개원하고 방등부 ( 웨뚤라삐따까 ) 를다시불사르는등크나큰정치적, 종교적소용돌이에휘말리게된다. 이런배후에는인도와스리랑카간의정치적, 문화적충돌이큰역할을했을것임은자명하다. 한편 방등부 를받아들이면서부터무외산사파는전통적인빠알리로전승된삼장의체계에서볼때많이혼란스러웠을것이며이것은오히려나중에왕권으로부터일종의타락으로의심받았던것같다. 그후민족의식이점점되살아나면서붓다다사 (Buddhadasa, AD.341-370) 와우빠띳사 (Upatissa, 370-412) 왕때스리랑카의역사서인 디빠왐사 (Dipavamsa, 島史 ) 가만들어지고마하나마 (Mahanama, 412-434) 왕때는 마하왐사 (Mahavamsa, 大史 ) 전편이완성되기에이르고이때붓다고사도스리랑카로들어오게된다. 랑카왕들이자주의식이강해지고그런왕들의후원을받은대사도여러면에서의식을전환하게되었을것이다. 더이상주석서를싱할리어에가두어두어서는안된다는의견이장로들사이에서도팽배했을것이다. 그래서그들은그런싱할리주석서들과그외에싱할리어로전승되어오던여러견해들을빠알리로부흥해내는데많은관심을기울였을것이며그것을그들교단의존립의활로로삼았을것이다. 이미 증지부주석서 (AA) 에의하면왓따가미니왕 (BC. 104-88) 때빠알리삼장을문자로정착시키면서비구들은수행보다는부처님의바른전승을비구들의더큰의무로생각했다고한다.(AA.i.92 이하참조 ) 그리하여그들은부처님직계제자들의사상을고스란히담고있다고자부하는싱할리주석서들의빠알리화를위한적임자를찿았을것이고위에서인용한 마하왐사 의붓다고사전기의내용은이런사실을반영해주고있다. 빠알리어가인도어이기때문에그들은인도대륙에있던상좌부진영에서이런적임자를물색했을것이고인도의상좌부에서는붓다고사라는영민한스님을주목했고그를대

사로보냈거나아니면랑카의상좌부에서그를초청하였을것이다. 대사에서는여러가지시험을거치면서그에게싱할리주석서들을가르친후넘겨주었고붓다고사는 청정도론 을완성하여 31) 드디어장로들의인정을받고 청정도론 을근간으로각각의빠알리주석서들을큰체계하에집필하면서모든주석서들을거의동시에완성했을것이다. 그래서정통상좌부임을자부하는대사 ( 大寺 ) 에서는이를정통견해로인정하는도장을찍어배포했을것이다. 31) 두번의저술이없어져버렸다는 마하왐사 의서술은의미심장하다. 반대파들의질투도있었겠지만여러가지복잡한교단내의여러사정들을상징하고있지않나싶다. 붓다고사의이런작업이얼마나성공적이었나하는것은그후의역사가증명주고있다. 무외산사나제따와나사에서는그후이렇다할저작을내놓지못하고있는데비해 32) 대사에서는이런주석서들을근간으로바로복주서들을만들어내는등아난다스님이나담마빨라스님같은기라성같은대가들을배출하여상좌부의틀을아무도감히넘보고도전할수없는큰체계로완성시킨다. 특히담마빨라라는대가에이르러상좌부는완전한기틀을갖추고그후어느누구도그체계에도전하지못하게된다. 32) 물론이는그들의역사가소실되어아무것도전해오지않기때문이기도하겠지만그들이주석서나복주서등의체계를가지고있었다는구체적인증거가없는듯하다. 12 세기에인도에서무슬림정권이들어서면서스리랑카에서는민족부흥과불교부흥이불기시작했고, 그것의주역인빠락까마바후 (Parakkama-baha) 1 세왕 (1153-1186) 의뽈론나루와시대에나머지띠까 ( 복주서 ) 들이완성되고, 무외산사와제따와나사는대사에흡수되어역사에서사라지게된다. 그리하여스리랑카는대사의교리를근본한상좌부불교의본거지가되며, 같은 12 세기에버마의민족부흥과불교부흥과때를맞추어스리랑카의상좌부불교는버마와태국과캄보디아베트남까지그영향을미치게된것이다. 이상은스리랑카으민족운동과상좌부불교부흥운동과관련지어고찰해본것이고인도대륙의측면에서도다음과같은중요한고찰을해볼수있다. 마우리야왕조이후여러왕조로난립하던인도대륙은다시 AD. 3-4 세기에빠딸라뿌뜨라에힌두 ( 바라문 ) 왕조인굽타왕조가정착하여인도의많은부분을평정하면서새로운전기를맞게된다. 굽타왕조 33) 는학문을크게장려하여이왕조때인도의바라문교를비롯한 6 파철학과불교자이나교등으교학체계가그체제를완성하게된다.

굽타왕조는모든종교와학파를존중했으며그들이그들의교리를산스끄리뜨 ( 넓게보면빠알리어와자이나의아륻마가디는산스끄리뜨안에포함된다 ) 로정착시킬것을강요한다. 그래서이시대에각사상의학파들의주요수뜨라문헌들이많이완성된다. 불교도예외는아니다. 이시대에 구사론 이완성되고대승의여러기본논서들이나타나고있으며더군다나사회통치체계와관습체계로 마누법전 이완성된다. 이런시대적배경에서상좌부불교도예외는아니었을것이다. 이처럼민족부흥과상좌부불교부흥과시기가맞아떨어져서산스끄리뜨를정확하게구사할수있는인도스님들이그주역이됨은당연하고더군다나굽타왕조의중심부 ( 지금비하르주의빠뜨나나가야 ) 출신들이그역할을담당했음은당연하다하겠다. 이런배경으로볼때에도상좌부불교의정전화 ( 正典化, 빠알리화혹은산스끄리뜨화 ) 는미룰수없는역사적인요청이었을것이다. 33) 平川彰, 인도불교사 ( 하 ), 16-9 참조 7. 붓다고사의역할 著述家가아닌編譯 / 譯出家 이런관찰을토대로여기서우리가분명히해야할점은붓다고사는저술가의장에서 청정도론 을지은것이아니고편역가혹은역출가의입장에서 청정도론 을완성한것이라는사실이다. 다시말해서그의역할은대사의장로들로부터배우고전승받은싱할리어주석서들과인도의안다라지방등에존재하던주석서들과상좌부나스리랑카안에존재하던다른여러전적들을비교검토하여대사에서통용되는공식적인견해를중심으로여러가지학설들을취합하고편집해서대사의정통견해로고착시킨것이라는점이다. 그는적어도 청정도론 에서는자신의견해를반영시키지않았다고본다. 청정도론 을지어서대사의까다로운검증에합격한뒤인도있을때지었다고하는초판 앗타살리니 (DhsA) 를다시개작해서공표했다는설을만일우리가받아들인다면 앗타살리니 는오히려그의개인적인견해를제법담고있을것이며이것이몇몇곳에서 청정도론 과 앗타살리니 가미세한입장차이를보이는이유중의하나로봐도무방할것이다. 한편담마빨라는 Pm 에서유감없이그의해박한지식을한껏드러내보인다. 그런해박한지식으로 청정도론 의입장을완벽하게변호하고지지한다. 청정도론 에는이런면이거의나타나지않는다. 이것은붓다고사가해박한지식이모자라서라기보다는 청정도론 자체가상좌부의견해를일목요연하게만천하에공포하는것을그목적으로하고있기때문이다. 하여그의개인적인입장은극히자제하고있는것이라하겠으며그런면에서그는그의임무에충실하다고하

겠다. 8. 해탈도론 (Vimuttimagga) 과 청정도론 청정도론 을언급하면서빼놓을수없는책이바로 해탈도론 (Vimuttimagga, 위뭇띠막가 ) 이다. 이책의존재는남방이나서양학자들에게는알려지지않았지만일본학자들에의해서한역대장경에포함되어있는 해탈도론 이소개되면서부터큰관심을가지게되었다. 왜냐하면 해탈도론 의체계는 청정도론 의혜품을제외하면거의그편집과전개과정과경인용등의방법이동일하기때문이다. 해탈도론 은 AD.505 년에후난 (Funan) 의삼장법사상가빨라 (Sanghapala, 僧護 ) 에의해서한역되었다. 원저자는아라한우빠띳사 (Upatissa) 라고소개되었다. 이우빠띳사가율맥의전승자로율장에나타나는스리랑카의우빠띳사와는동명이인임이분명한것같다. 한편 청정도론 의복주서인 Pm 은 여기서 어떤자들은 이라는것은우빠사장로를지칭하는말이다. 그분은 위뭇띠막가 ( 해탈도론 ) 에서그렇게설했다. 34) 라고우빠띳사와 위뭇디막가 를단한번직접언급하고있으며그내용은한역 해탈도론 에그대로나타난다.35) 34) 35) 주해생략 여기서 해탈도론 ( 위뭇띠막가 ) 에대한학자들의의견을들어보자. 바파트 (Bapat) 는몇가지이유로 위뭇띠막가 는인도승우빠띳사가인도에서저술한것으로생각한다. 이것은그때당시활약하던상좌부계열의스님들이대부분인도출신임을감안하면설득력이있다고본다. 특히 위뭇띠막가 의두땅가에대한부분 ( 이것은 청정도론 의두땅가와는아주다르다 ) 이티벳어로번역된것을예로들면서북인도에서저술된것으로본다. 해탈도론 을언급하면서빼놓을수없는중요한언급이 청정도론 의주석서인 Pm 에나타난다. 청정도론 에서붓다고사가상좌부의견해에따라어떤주제를설명하면서다른자들의견해를인용하여논박한부분들가운데다섯군데를 Pm 의저자담마빨라는무외산사 (AbhayagiriVihara) 의견해라고설명하고있다. 이처럼지적한그다섯가지견해들은하나도빠짐없이 해탈도론 ( 위뭇띠막가 ) 에정확하게그대로나타난다.36) 이증거를볼때 해탈도론 은무외산사와관련이있었던것이분명하다. 그렇다고해서이것이무외산사의저작이라고까지볼필요는없는것같다. 노만 37) 과냐냐몰리스님 38) 이지적했듯이다른곳 ( 인도든스리랑카든 ) 에서저작된것을그들이받아들였다고볼수도있기때문이다.

이렇듯 해탈도론 은 청정도론 을지은붓다고사와 청정도론 의주석서를지은담마빨라에게익숙한책이고그들은그내용을정확하게파악하고있었으며 청정도론 저작의기본모델이되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이정도의배경으로 해탈도론 과 청정도론 을간략하게비교해보자. 36). 37). 38) 주해생략 첫째, 해탈도론 과 청정도론 은각각해탈에이르는방법과청정에이르는방법으로공히계. 정. 혜로나누어설명하고있다. 그러나 해탈도론 ( 총 12 장 ) 은 청정도론 (23 장 ) 보다분량이아주적다. 이두논은각각경에나타나는사구게를해설하는것으로시작한다. 해탈도론 은 증지부 등 (A.ii.2. D.ii.123) 에나타나는다음게송을해설하는형식으로논을전개한다. 계와삼매와통찰지와위없는해탈이라는이법들은저큰명성을가지신고따마께서깨달으신것이다. 39) 그다음 청정도론 처럼간략한설명에서부터상세한설명에이르고다시계. 정. 혜의각항목을해설하는것이 해탈도론 의전체구성이다. 인용한계송에서위뭇띠 (vimutti, 해탈 ) 를취하여책의제목을 위뭇띠막가 ( 해탈도론 ) 라이름한것이다. 이방법은 통찰지를갖춘사람은계에굳건히머물러서 로시작하는 청정도론 의방법론과그대로일치한다. 둘째, 청정도론 에서 7 청정은청정을성취하는방법으로채용되었으며또한이것때문에 청정도론 이라불린다. 그러나이런 7 청정의개념이 해탈도론 에나타나지않는다. 다시말해 해탈도론 에는 청정도론 의 XⅧ 부터 XXІ 에해당되는부분이없다. 청정도론 의 18-23 장은청정을얻는방법을구체적으로서술하고있는 청정도론 의핵심에해당하는부분인데이것은무려 66 번이나 무애해도 (ps) 를인용하면서 무애해도 를토대로청정에이르는길을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으며이를위빳사나의지혜로연결짓고있다. 셋째, 해탈도론 의핵심은정품에있는데 청정도론 과비슷한형태를유지한다. 많은부분이서로일치하고있는것으로봐서같은자료를바탕으로저술하고있음이분명하다. 그러나일반적인서술방법은서로다르다. 청정도론 에서는 40 가지명상주제를설하는대신에 해탈도론 에서는 38 가지명상주제를설한다.40). 이것은 중부주석서 의염처경의주석등에서 38 가지명상주제 41) 라는언급이있듯이 40 가지로최종으로정착되기이전에상좌부에서통용되던것과도일치하는것으로보인다.

사무량심과무색계 4 처는두책에서서로다르게서술되고있다.42) 그리고물질은 28 가지가아니라 해탈도론 에서는 30 가지로언급된다.43) 13 가지두땅가는완전히다르게설명되고있다.44) 그러나두책의정품은많은부분이놀라울정도로같은내용을담고있다. 예를들면 청정도론 과 해탈도론 의들숨날숨에대한마음챙김의서술은 청정도론 이훨씬길고자세하지만거의일치한다.45) 넷째, 해탈도론 에는 청정도론 에많이나타나는예날스님들의일화가하나도나타나지않는다. 이것은 해탈도론 이삼매를닦는수행승들의간결한지침서로저작된것임을보여주는단서가된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청정도론 해설의핵심인아비담마가 해탈도론 에서는체계적으로나타나지않는다. 물론 해탈도론 에는처. 계. 온등의간략한설명은나타나지만이것을아비담마라할수는없다. 예를들면알음알이의무더기를설명하면서 담마상가니 (Dhs) 의 89 가지마음에대한언급이전혀없다. 빠타나 (Ptn) 의인용문이하나도보이지않고인식과정도단한번간략하게언급될뿐 46) 전혀설명되지않는다. 이로미루어볼때붓다고사가 해탈도론 의방법론을빌어아비담마의체계를심도있게설명하고이를바탕으로칠청정과위빳사나를통한도와과의증득으로귀결시키고완성시켜명실상부한상좌부의대표적논서로만든것이 청정도론 이라결론지을수있다. 39). 40) 주해생략. 41) < 네가지마음챙기는공부 > 119. 42) 주해생략. 43) 위책. 240. 44) 위책. 27 이하. 45) 위책. 156-164 및 VIS. VIII. 145-244 를참조할것. 46) 주해생략. 남방상좌부에서가장큰비중을차지하는경은아마 무애해도 일것이다. 삼장에제일늦게편입된것만봐도상좌부의가르침을나름대로집대성한경임에틀림없다. 그러나 무애해도 는계속적인반복속에전후가서로투영되고있고빠얄라 (peyyala, 반복구문의생략 ) 가수없이등장하는등그전체적인내용을파악하기가쉬운것이결코아니다. 붓다고사가인도에서이미 나노다야 (Nanodaya) 를완성했다고하는데그것은아마비슷비슷한개념과술어들이반복적으로기술되어있으며전체적으로그내용을간결하고정확하게파악하기힘든이런 무애해도 의해설서였을듯하며 47) 이것을 해탈도론 에접목시켜 청정도론 으로완성시킨것이아닌가한다. 거듭언급하지만 청정도론 운데특히위빳사나의지혜에해당하는 5 청정을

본격적으로설명하는 18-23 장에서 무애해도 의인용이많은것만봐도 청정도론 은 무애해도 를중시하는것만은틀림없다.48) 이처럼 청정도론 이라는하나의대작이나타나기위해서 해탈도론 과같은중요한징검다리가있었던것은자명한사실이다. 이로비추어볼때 해탈도론 은삼매수행의지침서로저술된것이지아비담에바탕한위빳사나수행의지침서라해서는안될것이다. 오히려그보다는상좌부의전통과는다른전통이나스리랑카상좌부에전승되어오던아비담마와크게관련이없는자가지은듯하다. 그래서인도의저술이거나만일스리랑카에서저술된것이라면아바야기리나제타와나계열의저술일가능성이크다하겠다. 그러나붓다고사가 청정도론 을저술할때 해탈도론 의방법론을빌어온점과담마빨라가그것을잘아는것으로보아大寺와각축을벌이던스리랑카의다른파의저술이라하기보다는인도출신인이들에게이미널리알려진인도에서만들어진저작으로보는것이더나을듯하다. 그러나분명한것은 해탈도론 이스리랑카상좌부으저술이아니라해서대승계열의논서로보아서는안된다는점이다. 이것은분명같은상좌부계열의논서이다. 인용되고있는모든경들이초기경들에그대로나타나고있으며특히상좌부의심식설인유분심 ( 有分心, bhavanga-citta, 잠재의식,Life-continuum) 이나타나고있기때문이다.49) 그러므로그기간을최대로널리잡아도 18 부파가운데한유력한부파의저술이지대승의저작은결코아니다. 그러나 청정도론 은상좌부불교국가에서만알려진반면 해탈도론 은국제적으로잘알려졌던것같다. 서역을통해서중국어로번역이되었고 12 세기인도의맹갈지방에서제나왕조때다살라슈리미뜨라 (Dasalasrimitra) 도이책을이용했던기록이있다.50) 47), 48), 49), 50) 주해생략 9. 청정도론 의복주서들 청정도론 의복주서들은세가지가있다. 담마빨라스님이 AD 6 세기중엽에지은 빠라맛타만주사 (Paramatthamanjusa, Pm) 와저자를알수없는 상케빳타조따니 (Sankhepatthajotani) 와 12 세기에미얀마의차빠다 (Chapada) 가지은 위숫디막가간티 (Visuddhimaggaganthi) 가있다.51) 이가운데서남방상좌부최고의학승이라불러도과하지않는담마빨라 (Dhammapala)52) 스님이지은 Pm 은 마하띠까 (Mahatika, 대복주서 ) 라불리며, 빠알리문헌가운데서아난다스님이지은논장의주석서에대한복주서와더불어최고로나해한책으로꼽힌다.

그래서아난다스님의논장의복주석서를 물라띠까 (Mulatika, 근본복주서 ) 라부르듯이이책을 마하띠까 ( 대복주서 ) 라부르는것이다. 그것에비해 상케빳타조따니 는 쭐라띠까 (Culatika, 작은복주서 )53) 라부르는데그리잘알려지지않은책이다. 이책은주로태국에서 청정도론 의주석서로널리유통되고있다. 하여태국어본이전해온다. 한편차빠다가지은 위숫디막가간티 는스리랑카에서유통되고있다고한다. 그러나 마하띠까 가 청정도론 의복주서를대표한다는점에는어느누구도이론을제기하지않는다. 그러나아비담마의나라라고자부하며 Pm 이왕성하게연구되어왔던미얀마에서조차역사적으로 Pm 의완전한번역을가지지못했다. 부분적인번역은있었다는기록이있지만찾아내기도힘들다고한다. 이책은미얀마근래의최고고승중의한분이며우리에게위빳사나의대가로잘알려진마하시사야도에의해서 1962-63 년에걸쳐서총네권으로번역되었으며마하시사야도의명성은바로이책의완전한번역때문에생겼다고그의제자우실라난다스님은전기에서말한다.54) 51) 이들세책의로마문자교정본은아직출간되지않았다. 최근에유통되고있는 VRI CD-ROM 본을통해서로마문자로읽을수있으며프린트도가능하다. 52) 담마빨라스님이한명이냐두명이냐에대한논의등담마빨라스님에관한논의는역자의박사학위청구논문 A Study in Paramatthamanjusa 의서문에학계의연구성과가반영되어있으니참조할것 ( 길라잡이 서문 38 번주해에요점이정리되어있다.) 53) 주해생략 54) 길라잡이 서문 13 과주해 53 을참조할것. Pm 의설명은간결하나심오하여어느한두단어를제대로이해하지못하면전체문맥을파악하기어려울정도로축약되어있다. Pm 에서저자담마빨라는인도육파철학의가르침과문법, 자이나교설, 의학등에이르기까지어느한분야에도빠짐이없을정도로해박하고정통한지식을보여준다. 사실 Pm 에나타나는이런여러학파들의다양한견해때문에남방에서는 Pm 을난해하다고하는측면이강한것같다. 그리고 Pm 은 청정도론 을여러면에서정확하게대변하고있으며남방아비담마에대한일체의다른견해를불식시키고있다. 그래서남방아비담마불교는담마빨라에의해서최종적으로정착되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담마빨라이후그어느누구도그의견해에이론을제기하는사

람은아직없다고한다. 역자가연구한 Pm 의혜품의토대부분 ( 청정도론 XIV-XVII 에해당하는 Pm) 을 55) 보더라도남방아비담마는사실은담마빨라에의해서이미완결이되었으며이것을토대로 아비담맛타상가하 는남방아비담마의전체구도를최종확정지은책이라본다. 이처럼상좌부불교의주석서체계를완성시키는데붓다고사와더불어비슷한시기에세사람이있었으니다름아닌붓다고사와아난다 (6 세기초 ) 와담마빨라 (6 세기중반 ) 이다.( 붓다닷따를넣긷하나논의의대상이아니므로제외한다 ). 아난다스님은빠알리문헌가운데최초의복주서 (Tika) 를저술한분인데그의논장의복주서에서붓다고사스님의의견과다른견해를제법드러냈다고한다. 이것은다시아난다의제자로여겨지는담마빨라가그의빼어난실력으로붓다고사의견해를지지함으로써완전하게상좌부의견해로정착시켰다고한다. 그래서붓다고사가남방불교의큰체계를완성한사람이라면아난다는여기에대한이론을제기하여몇몇문제점들을부각시켰고담마빨라는다시이런모든다른견해를불식시켜남방불교를완전히고착시켰다해야한다. 붓다고사는그의역할에충실하여자신의견해를드러내기보다는전통적인견해를모으고편집해서빠알리어로재창출해내는작업을한사람이라면아난다는거기에대한문제를제기한사람이고담마빨라는모든다른견해를논파하고아울러자신의해박한지식을유감없이드러내면서남방아비담마의입장을최종적으로만천하에천명한사람이라할수있다.56) 이렇게상좌부의교설은담마빨라에의해서최종완성단계에이르게된다. 자연스럽게그후에는이렇다할만한큰인물이나타나지않으며 600 여년이지난 12 세기에인도에서무슬림왕조가등장하자불교가사라지면스리랑카에서는뽈론나루와시대가열리고불교도부흥의시대에다시들어서게된다. 이때여러대가들이나타나서다시상좌부교설을여러측면에서연구하여드러내게된다. 55) 역자의박사학위청구논문을참조할것. 56) 위책, 34 참조 10. 아비담맛타상가하 ( 아비담마길라잡이 ) 와 청정도론 역자가각묵스님과공역으로 아비담마길라잡이 라는제목으로번역과주해를한 아비담맛타상가하 (Abhidhammatthasangaha) 는 아비담마 (abhidhamma) 주제 (attha) 의길잡이 (sangaha) 로직역할수있는데이것은원문만으로는겨우 50 쪽남짓한분량에지나지않는책이다.

그러나이작은책안에아비담마으모든주제가빠짐없이거론되고있기때문에상좌부아비담마의최고의입문서로자리매김하고있다. 이책은대략 10/11 세기쯤에아누룻다 (Anuruddha) 스님이쓴것으로알려져있다. 상가하 는한마디로말해서아비담마의축약판이다. 방대하고정교한상좌부아비담마체계를소화하고요약하여 50 쪽정도로압축한것이다. 그러나 상가하 에서아비담마의주제에관한한어느한부분도놓친것이없다. 그렇기때문에초보자가아무런해설서없이이책을이해한다는것은불가능에가깝다. 상가하 의위대성은이것이아비담마의단순한요약이나축약이아니라비효율적이고비체계적인듯한전통적인아비담마의서술방식을획기적으로전환했던것에서찾아야한다. 전통적인서술방법을고수하고있는 청정도론 을통해서아비담마의전체윤곽을그린다는것은초보자로서는힘든일이다. 예를들면 청정도론 에서는마음 마음부수의설명은 XIV 장에서인식과정은 I 장 57-58 등에서인식과정에개재되는마음의역할은 XIV 장 110 에서, 이런식으로 청정도론 의체계를따르다보니아비담마가흩어져서나타나며따라서체계적으로설명이되지않는경우가많다. 그러나 아비담맛타상가하 는이런아비담마를아주정교한체제속에서전체를통일된장으로설명해내고있다. 이처럼 상가하 는워낙체계적으로잘편집되었기때문에일단이책이나타나자남방의모든아비담마체계는이책의주제 (attha) 를쫒아서다시편성되어가르쳐지고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그러므로아비담마의나라라고불리는미얀마뿐만아니라모든남방불교국가에서이책은아비담마를가르치고배우는기본텍스트로자리잡아왔으며영어로도번역이되었다. 역자가각묵스님과공동번역한 아비담마길라잡이 는 상가하 의번역을기본으로하지만아비담마에관한설명은거의대부분 청정도론 을인용하였다. 그이외의중요한인용은논장을비롯한여러아비담마주석서들, 특히상가하의주석서인 위바위니띠까 와 빠라맛타디빠니띠까 에서발췌하여보강하였다. 이런의미에서 아비담마길라잡이 는 아비담맛타상가하 를몸통으로하고 청정도론 을날개로하여이루어졌다해도과언이아니다. 길라잡이 에서도밝혔지만역자들의의도는무엇보다도 아비담맛타상가하 에나열되고있는아비담마의주제와가르침을가능하면 청정도론 의입장에서설명하자는것이었으며일차적인목적은 청정도론 에서쏟아져나오는아비담마의술어들을아비담마의전체구도속에서체계적으로이해하기위한것이었다. 이렇듯 길라잡이 는 청정도론 을깊이염두에두고역해한것이다. 그래서본 청정도론 을번역하면서중요한술어나개념에대해서는 길라잡이 의관련페이지를거의대부분주로밝혔다. 길라잡이 를통해서개념을파악하면 청정도론 은한결이해하기가쉽기때문이다. 그렇지않고 청정도

론 만읽어서는특히처음접하는분에게는어려울수밖에없다. 그런의미에서 길라잡이 는 청정도론 의참고서이다. 길라잡이 를항상곁에두고 청정도론 에나타나는생소한술어들은 길라잡이 의색인에서확인하여그해당페이지를찾아설명을읽으면많은도움이되리라확신한다. 이런목적으로역자가 청정도론 출간이전에각묵스님과공역으로 길라잡이 를먼저두권으로출판한것이다. 길라잡이 가아비담마의지도를일목요연하게보여주는교학의지침서라면 청정도론 은아비담마가구체적으로어떻게수행에적용되고있는가를심도깊게밝히고있는수행의지침서라해야한다. 길라잡이 에서분석하여드러낸법들과그들의관계 ( 조건, paccaya, 緣 ) 가 청정도론 에서는 7 청정가운데서 5 청정으로적용되어설명된다. 다시말해서열반과 10 가지추상적물질을제외한 71 가지법을내안에서확인하는것이바로세번째청정인견청정 (XVIII) 이며, 법들의상호관계 ( 조건, 緣, paccaya) 를내안에서확인하는것이네번째인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 (XIX) 이다. 다시이법들을조건 ( 緣 ) 과순간의관계로써파악하는것이다섯번째청정인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 (XX) 이다. 이를바탕으로 8 가지윗빠사나의지혜를닦아가는과정이여섯번째인도닦음의청정 (XXI) 이며이를통해서도와과와열반을실현하는것이마지막일곱번째청정인지견청정 (XXII) 이다. 이처럼아비담마를모르면 5 청정으로표현되는윗빠사나수행은생각할수도없다. 그러므로아비담마가위빳사나고위빳사나가아비담마라고한다. 이정도의핵심적인이해를가지고이제수행의측면에서 청정도론 을고찰해보자. 11. 청정도론 의중요성 수행의측면에서의고찰 이상문헌학적인측면에서 청정도론 에대해서살펴보았다. 청정도론 은문헌학적인측면에서도남방불교의핵심이되는중요한저작이지만그보다는 청정도론 이담고있는내용의측면에서볼때그가치는훨씬더뛰어나다. 청정도론 은부처님시대부터붓다고사때까지전해내려온삼장과싱할리고주석서들을통한가장전통적인상좌부불교를있는그대로어떤일관된체계속에농축해서전해주고있기때문이다. 그일관된체계는다름아닌아비담마인데 청정도론 은아비담마의체계로계 정 혜의주제를철저하게설명하고있다. 그리고무엇보다더중요한것은 청정도론 은계청정과마음청정이라는두가지청정을바탕으로나머지 5 청정으로표현되는위빳사나의실참실수를통해서도와과와열반을증득하는실제수행으로종결을짓고있기때문에위에서도밝혔듯이아비담마와위빳사나를이어주는수행지침서라는점이다. 이처럼 청정도론 이중요한근본적인이유는 청정도론 이아찰나 (Sub-

moment) 를다투는극미의세계에서부터광활한우주를논하고무수히많은중생의거처를논하고깨달은성자들의경지를논하는고담준론이나거대담론의교학체계에만머물지않고지금여기내안에서법의찰나성과연기성을발견하고체득하는실천의체계로, 철저한수행의체계로살려내고있다는점일것이다. 도대체계를어떻게지녀야하며삼매는어떻게닦아야하며섬광보다도예리하고털끝을쪼개는것보다더날카롭다는통찰지는도대체어디서부터시작해서어떻게닦고개발해야하는가하는실제적인측면을 청정도론 은하나하나그중요한요점들을정확하게제시하고있다. 청정도론 을읽으면서이런실수행의측면을밝혀내지못하고이를지금여기서내수행과연결짓지못한다면 청정도론 은한갓옛스님이지은교리서나고담준론이나거대담론에지나지않을것이다. 역자는해제를쓰면서 청정도론 의실참실수의측면을어떻게잘달할까하는것이제일의관심이며그역할을조금이라도할수있다면더없이기쁘겠다. 청정도론 이어떻게실제수행에중요한지침서가되는가를살펴보기위해서이제상좌부불교의교학체계의근간부터살펴보자. 12. 상좌부불교의발전단계 역사적으로발전되면서전승되어온상좌부불교는크게세가지층으로추적해서이해할수있다.57) 57) 이하상좌부불교의발전단계는냐나몰리스님의 xxviii-xxx 의해당부분을참조하였다. 첫번째층에는빠알리경장 (Sutta Piaka) 이놓여있다. 두번째층에는논장 (Abhidhamma Pitaka) 이놓여있는데특히그중에서도 담마상가니 ( 法集論 ) 와 위방가 ( 分別論 ) 와 빳타나 ( 發趣論 ) 가상호깊은연관속에함께놓여있다. 세번째층에는본 청정도론 의저자가이전의싱할리어로된자료들을철저하게모아서그것을빠알리로편집하고번역하여완성한주석서의체계가놓여있다. 물론이층에는그후에계속보강되어온논의들, 특히 6 세기때담마빨라가지은복주서들부터 12 세기때 상가하 의저자인아누룻다스님이나그후대의복주서들이공헌한자료들까지모두포함되지만이는지금우리의논의의영역을벗어난것이다. 이제세단계에대해서부연설명을붙여본다. 첫째, 경장은부처님원음을간직하고있는전적들이다. 그가운데서도 4 부 니까야, 숫따니빠따, 법구경, 장로게, 장로니게, 여시어경,

자설경 등은부처님과직계제자들의원음을고스란히간직하고있다는데큰이설은없다. 둘째, 논장은경장의부처님가르침에대한아주전문적이고세분화된체계이며경장의가르침에대한보충적인논의를모아놓은성격이짙다. 논장의제일즉각적인목적은법체계화이다. 여기서법이란 나 라는존재 ( 五蘊, 무더기들 ) 를출발점으로해서전개되고벌어지는무수한사건들을구성하는기본요소들을계열화한것이다. 특히그가운데서도우리의정신 ( 名 ) 을구성하고있는법들 ( 마음과마음부수법들 ) 과그들의특징들과역할들을밝혀내고정확하게찍어내어이들이의지하고있는물질적인토대나대상과의관계를규명하고그마음과마음부수법들의상호관계를설명하는것이라할수있다. 물론부차적인목적으로는외도의가르침과다른부파들의주장으로부터그들의가르침을효과적으로보호하려는것을들수있다. 이렇게법을분류하고정확하게설명하는궁극적인목적은끊임없이그리고한량없이많은취착을유발시키면서취착의완전한소멸을성취하는것을방해하는저가설 (pannatti), 관념, 개념들, 예를들면자아니, 영혼이니, 중생이니하는여러가지실제론적인개념들을부수는데있다. 그리고또중요한것은법이라는미명하에표출되고있는여러가지신비적인체험들을가려내고, 또그것을가려내는여러가지장치들을고안하고찾아내어그런신비체험에속아서일대사를그르치는불상사를방지하고자하는것이다. 법의분류와체계화라는이런도구는초기경장의측면에서보자면새로운시도이다. 물론이런법의분류내지체계화는이미경장에서연원하고있음도분명하다. 부처님의후반부 20 년은기원정사에서제자들과함께이런법체계화에몰두한것으로규정할수있다. 주제별로가르침을모은상응부의 5 천가지이상의경들가운데서절반이상이기원정사에서설해졌다는것이그증거가될수있다. 그리고 중부 의여러가지위방가에관계된경들 58) 을위시하여적지않은경들을통해서세존께서이미사리뿟따나깟짜야나등직계제자들과아비담마적인법체계화를행하고계시는것을알수있으며니까야의적지않은경들이사리뿟따나깟짜야나등직계제자들에의해설해진것이며, 특히 장부 의 상기띠경 (D33) 과 디숫따라경 (D34) 등도부처님과직계제자들이법체계화를위해서얼마나고심하였는가를여실히보여주고있다. 58) 예를들면 짧은업분석경 (Culakammavibhanga Sutta, 135), 긴업분석경 (Mahakammavibhanga Sutta, 136), 육처분석경 (Salayatanavibhanga Sutta, 137),

요점분석경 (Uddesavibhanga Sutta, 138), 무쟁분석경 (Aranavibhanga Sutta, 139) 계분석경 (Dhatuvibhanga Sutta, 140) 진리분석경 (Saccavibhanga Sutta, 141), 보시분석경 (Dakkhinavibhanga Sutta, 142) 등을들수있다. 한편논장에서법의체계화에등장하는특별한방법은다음세가지로들수있다.(1) 찰나적존재인법들의아주엄격한구분및정의를들수있다. 이것은 담마상가니 ( 법집론, Dhs) 와 위방가 ( 분별론, Vbh) 에서완성되었다. 특히 담마상가니 는선 불선 무기와욕계 색계 무색계 출세간이라는분류법을통해서이런각각의사건혹은시간에서 (samaye) 일어날수있는마음을모두 89 가지로분류해서설하고있다. 아울러이각각의마음들이일어날때어떤마음부수 ( 心所 ) 법들이일어나는가를나열하고다시물질이일어나는것을분류하고있다. 마음을선 불선 무기와욕계 색계 무색계 출세간에바탕하여 89 가지로엄격하게구분되고정의되고있다. (2) 이러한법들을분류하고가려내기위해서삼개조와이개조로된논모 ( 論母, matika, 논의의주제 ) 들을창출해내었다. 아비담마는논모를통해서발전되었다. 부처님이설하신법들을여러가지논모로정리하고이런논모를토대로법들을정확하게정의하고있다. 담마상가니 에는 22 가지삼개조논모 (tika-matika) 142 가지이개조논모 (duka-matika) 가정리되어있다. (3) 빳타나 ( 발취론, Ptn) 에서는 24 가지조건 (paccaya) 들의조목을아주미세하게완성시키고있다. 이런도구들을통해서모든법들은일시적인멈춤상태에있는찰나적인존재이며이찰나적인멈춤은다시조건들에의해서연속적인상태로연결되고있으며논모는그런연속상태의방향을제시하고있다. 24 가지조건은법들상호간의관계를규명하는도구이다. 빳타나 는다양한측면에서함께일어나고멸하는법들과전찰나와후찰나의관계로일어나는법들사이의과계를심도깊이해체하여적나라하게드러내고있다. 이처럼 담마상가니 와 위방가 와 빳타나 는후대에 아비담마의방법론 (abhidamma-naya) 이라고불리고있는데 82 가지로분류되는제법을이해하는아주중요한토대가되고있다. 논장의 7 론가운데나머지 4 론은여러전문분야에서이셋을보충해주는역할을하기때문에여기서재삼거론할필요는없다고본다. 물론이것은논장에대한아주대략적인테두리에지나지않는다. 논장에는아직탐험하지않은광대한미로를가지고있다하겠다.

이제세번째논의로넘어가기전에여기서한가지부연설명을하고넘어가자. 출가스님들의가장큰역할이무엇일까? 물론스승이신부처님의가르침에의지해서해탈열반을성취하고생사문제를해결하여부처님가르침을증명하는것이라할것이다. 그러나불멸후에는이보다는법의전승을스님들의가장큰역할로꼽게되었다. 이것은특히상좌부불교를고스란히간직하고있다고자부하는스리랑카불교역사가증명해준다. 증지부주석서 (AA) 에의하면대사의스님들은삼장을문자로기록할즈음에수행 (Patipatti) 보다경의전승 (suttante rakkhite) 을더중시하기로공사에서결정했다는기록이나타나고있다.59) 그래서예로부터스님들은암송전문승 (bhanika) 들을육성하여부 (Nikaya) 별로경을암송해서구전으로전승해왔다. 이전통은지금까지도미얀마에그대로남아있어삼장을고스란히다외는스님들이지금네분이나살아있다고한다. 그외도매년시험으로 2 와 1/2 장법사, 2 장법사, 1 장법사, 니까야법사등으로암송전문스님들을육성해서경의암송전통을전승해오고있다. 다른한편으로부처님생시부터부처님과직계제자들은법체계화에혼신의힘을다기울여왔다. 특히부처님께서열반에드시기전 20 여년간은사왓티의제따와나급고독원에머무시면서법체계화에심혈을기울이셨고그자취가 상응부 에고스란히남아있다. 이런전통은즉시에아비담마로전승되어사리뿟따존자를필두로불멸후에는더욱더박차를가하여논장 ( 아비담마삐따까 ) 으로전승되어왔다. 이런논장은다시기라성같은스님들의주석을거쳐스리랑카에서는싱할리어로적힌여러고주석서들로전승되어오다가시절인연이도래하여붓다고사에의해다시빠알리어로편찬되어서전승되어오는것이다. 이제세번째층인주석서 (Atthakatha) 들에나타나는이런법체계에대한고뇌의흔적을간략하게살펴보자. 59) 주해생략 세번째문헌군인주석서들에서발견되는체계들은모두논장 (AbhidhammaPitaka) 에서비롯된것이다. 그것이경장에대한주석서일지라도논장, 즉아비담마의제법에대한분석적인방법론을빌어설명하고있다. 비유하자면경장은발견한귀중한보물에대한묘사를제공하고있고논장은그것에대한지도를만들고있지만이제주석서에서는발견도강조하지않고지도를만드는것도강조하지않는다고할수있다.

주석서의입장은이들을정착시키고부족한부분을메워서불교의총체적인틀을만드는것이다. 그래서경과논에서술된자료들은이러한목적을위해서철저히재음미된다. 그래서상좌부불교라는큰틀을완성시키고있다. 이틀을계정혜와 7 청정으로제시하고있는것이다름아닌 청정도론 이다. 청정도론 은이런세번째층의근본이되는주석서이다. 그러므로 청정도론 을제대로이해하기위해서는이런세번째층을이루는중요한방법론가운데몇가지를조금상세하게살펴볼필요가있다. (1) 제일먼저들수있는방법론으로는법을정확하게분류하고설명하기위해서고유성질 (sabhava, 自性 ) 이라는개념이소개되고있다는것이다. 사바와 (sabhava) 라는술어는경장이나논장에는나타나지않는다. 주석서에서부터제법을철저하게규명하는방법론으로나타나고있다. A 라는법과 B 라는법이서로구분되는이유는바로각각이가지고있는고유성질이다르기때문이다. 탐욕과성냄과어리석음, 탐욕없음과성냄없음과어리석음없음이각각다른이유도그각각의법의고유성질이다르기때문이다. 이런고유성질을인정하지않으면부처님이설하신많은법들을정확하게정의할수가없으며부처님가르침을잘못이해하게된다. 그리고중요한것은상좌부에서분류하는 82 가지법들가운데추상적인물질 10 가지를제외한 72 가지법들은모두고유성질을가지며이런고유성질을가진법들은다시위빳사나로실참실구하는대상이된다고정리한다. 법에대한정확한이해와관찰이없이는위빳사나는불가능하다. 이런측면에서도고유성질은중요하다. 물론제법이고유성질을가진다는이러한주장때문에대승으로부터아공법유 ( 我空法有 ) 라는존재론적인비판이제기된다는것은너무도잘알려진사실이다. 상좌부를위시한모든부파에서는이런고유성질을인정하고있으며아비담마 / 아비달마의이런입장을강하게비판하고나온것이반야부를위시한대승불교이다. 그러나상좌부를위시한모든부파에서는당연히보편적특징 (samanna-lakkham, 共相 ) 으로서의제법무아는기본전제로그대로튼튼히유지되며 청정도론 의도처에서강조되고있다. 그리고상좌부에서는법을결코실유 ( 實有 ) 라고강조하지않는다. (2) 담마상가니 에서사마야 (samaya, 사건, 경우, 때, 시간 ) 로나타나던법의개념이이제카나 (khana, 찰나, 순간 ) 로정착이된다. 물론이런찰나는이미 위방가 와 빳타나 를위시한논장에서아주많이등장하는술어이다. 그러나주석서에서이찰나는심도깊이규명되고설명된다.

이는주석서가법의고유성질이란개념을도입함으로써법을존재론적으로잘못이해할문제의소지를없애기위해법의찰나생ㆍ찰나멸을더욱더강조하게되었다고보여진다. 찰나의규명은주석서문헌을통해서이루어낸아비담마불교이핵심이라해도과언이아니다. 아비담마불교의가장큰특징가운데하나는존재를법들의흐름 (santati, 相續 ) 으로, 찰나의연속으로파악한다는것이다. 법은일어나고사라짐, 그것도찰나생ㆍ찰나멸의문제이다. 그것은있다ㆍ없다의문제가아니다. 아비담마에서법을고유성질을가진것이라고정의한다해서법을유ㆍ무의측면에서고찰하면그것은아비담마를크게호도하는것이된다. 대승에서도많이인용하는 가전연경 (S12:15) 에서도세상의일어남을보기에없다하지않고세상의소멸을보기에있다하지않는다고하고있으며이런것을중 ( 中 ) 의견해라고하고있다. 아비담마의이런입장은초기불교의도처에나타나는무상의가르침과법들의일어남, 사라짐, 머문것의변화함 60) 이라는가르침을철저하게계승한것이다. 수행의측면에서살펴보면흐름, 변화, 무상성, 찰나를제거해버린수행이다름아닌사마타수행혹은삼매수행이다. 삼매는변하는대상에서변하지않는표상 (nimitta, 니밋따, 이것은법이아닌개념에속함 ) 을취해서거기에집중하는수행이기때문이다. 위빳사나특히 청정도론 XVIII-XXII 장에서설명하고있는위빳사나는변화와무상을주시하는수행이다. 변화와무상을관찰해들어가서찰나를만나고이런찰나생ㆍ찰나멸하는법을내관하는수행법이다. 제법의찰나생ㆍ찰나멸을직시하여매순간무너지고있는법의무상이나법의고나법이무실체성을직시하여무너짐 ( 해체 ) 의지혜 (bhanga-nana) 로서 나 니 내것 이니하는존재의속박으로부터벗어나제행에대해서평온 ( 우뻬카, 捨 ) 을유지하는지혜를개발해서도와과를증득하는체계를위빳사나수행이라하고있다. 이처럼찰나는법과뗄래야뗄수없는것이며그러므로법을통찰하는위빳사나와도뗄수없는관계이다. 그리고주석서는더나아가서이찰나도다시일어나고머물고무너지는 (uppadatthiti-bhanga) 세아찰나 ( 亞刹那, sub-moment) 로구성된다고특수한상황을설정하게된다. 찰나란어떤실체가있는것이아니라순간적인흐름그자체일뿐이라는말이다. 그런데여기서역자가사용한아찰나 (sub-moment) 라는술어는서양학자들이만들어낸것일뿐주석서에서는결코나타나지않는다. 다시말하면아비담마에서는

아찰나란단위를인정하지않는다는뜻이다. 만일아찰나란단위를인정한다면다시아찰나를구성하는아아찰나 ( 亞亞刹那 ) 를인정해야하고다시더짧은단위를인정해야하기때문에무한소급의오류에빠질뿐아니라무엇보다중요한것은이런것은법의무상ㆍ고ㆍ무아를통찰하는위빠사나의대상이아니기때문이다. 법이일어나고머물고사라지면서존속하는최소단위가찰나이고이것은위빳사나의대상이다. 그래서법은찰나로파악되어야한다고하는것이다. 60) 주해생략 (3) 그리고주석서에서는이런법의찰나성을더욱더깊이규명하여물질과정신이머무는순간을다르게이해한다. 그래서물질이머무는순간에마음은 16 번일어나고멸하는것으로전체인식과정 (vithicitta) 의틀을완성하고있다. 즉물질적인대상을알기위해서는 16 번혹은 17 번의마음이일어나고멸한다고정교한인식과정을체계화하고완성하기에이른다. 이런과정에는과보로나타난마음과작용만하는마음이항상개재되고있으며이런매찰나마음의작용을바탕으로유익한 ( 善 ) 업을짓거나해로운 ( 不善 ) 업을짓는일곱번의속행 ( 자와나 ) 의과정이진행되면서매순간의마음들과업과의관계가설정되고있다. 이것은특히북방아비달마에는나타나지않는상좌부주석서에만전승되어오는고유한가르침이다. 이러한인식과정은찰나와조건 ( 緣 ) 을바탕으로정교하게조직된다. 인식과정에대해서는 아비담마길라잡이 4 장에서상세하게설명하고있으므로여기서더이상부연설명을필요로하지않을것이다. (4) 주석서는 고유성질을가진것 (sabhavam dharenti) 을법이라한다 고정의한다. 이런법들의고유성질을고찰하는특별한방법으로주석서는특징 (lakkhana), 역할 (rasa), 가까운원인 (padatthaba), 나타남 (paccupattana) 의네가지를채용하고있으며, 법이아닌모든것은개념 (pannatti) 으로분류하는방법을채용하고있다. 이것은실수행에있어서도아주중요하다. 위빳사나란다름아닌개념을해체해서법을보는것, 더구체적으로법의고유성질과보편적성질 ( 무상ㆍ고ㆍ무아 ) 을보는것이기때문이다. 아비담마의입장에서보자면개념은 82 가지법들특히그가운데서도마음과마음부수법들이대상과조우하면서혹은대상을계속해서문지르면서 (anumajjana)61) 만들어낸물안개나물보라와같은일종의표면효과라할수있다.

이처럼매찰나의법들이만들어내는무수한표면효과에지나지않는개념을실재하는것으로파악하고거기에크나큰의미를부여하여그것을 나 혹은 내것 이라고집착하여아등바등하고사력을다해거머쥐기때문에중생은생사윤회로부터벗어나지못한다. 아비담마의목적은이런개념들을법들로부터해체하고분석하고분리해서이런법들의찰나적인존재의실상을꿰뚫어직접확인해서모든취착에서벗어나고자하는것이다. (5) 그리고 빳타나 를대신해서마노 ( 意 ) 가일어나는토대로심장토대를명시하고, 물질을구성하는순수한팔원소 ( 깔라빠 ) 의개념이주석서에서등장한다. 현대서양의아비담마학자들은주석서에서마노가머무는물질적인토대를심장토대로설명하는것을달가워하지않는다. 그들은마노가머무는물질적인토대는심장이아닌뇌라고보려는입장이다. 깔라빠도물질을이해하는중요한술어이다. 깔라빠란물질의더미란뜻이다. 18 가지구체적인물질은항상깔라빠로존재한다. 그들은각각분리되어서는존재하지않는다. 지수화풍형상냄새맛자양분이라는 8 가지물질의최소단위가함께결합되어서존재하며이것을순수한팔원소라한다. 이것을기본으로소리의구원소눈의십원소등으로무리지어깔라빠 ( 더미 ) 로존재한다는것이다. 여기에대해서는본서 XX. 2 와 길라잡이 6 장 7 의 10 번해설을참조하기바란다. 그외에경에나타나는몸의 32 가지부위 62) 에대한상세한서술을비롯하여몇가지를더들수있지만생략한다. 물론이런것들은분명인도대륙에서전개되어온불교내외의여러논의들과상호영향이없지는않았을것이며이런측면은현존하는 구사론 ( 俱舍論, Abhidhammakosa) 을비롯한북전의많은논서들과의비교연구를통해서어느정도까지밝혀질수있을것이다. 61) 본서 IV. 88 에서지속적인고찰의특징으로이단어가쓰이는데음미해볼만하다. 62) 경에는 31 가지이고 쿳다까빠타 와 무애해도 와주석서들에는 32 가지임. 13. 청정도론 의구성및개관 계ㆍ정ㆍ혜를중심으로 이정도로상좌부불교의발전에대해서기본적으로이해를하고이제 청정도론 을중점으로살펴보자. 잘알다시피 청정도론 전체는상응부에나타나는다음하나의게송에대한해설이라고할수있다.

통찰지를갖춘사람은계에굳건히머물러서마음과통찰지를닦는다근면하고슬기로운비구는이엉킴을푼다 (S.i.13) 청정도론 은먼저이게송을간단하게해설하고이를다시계ㆍ정ㆍ혜의 3 학과계청정등의 7 청정으로상세하게해설하고있다. 이것이 청정도론 의전체구성이다. 여러학자들의지적대로 청정도론 은법을실참실구 ( 實參實究 ) 하는수행자들의상세한참고서라고해야마땅하며전체 23 장은한부분도예외없이치밀한계획하에아주체계적으로조직되고구성되어있다. 청정도론 은일화를소개하는부분과접속사들이나몇몇부사들을제외하고는어느한단어도아무런의미없이수사학적으로사용되지않았다고할정도로치밀한언어를구사하고있다. 번역에임하면서이런부분은거의대부분번호를붙여서전후상호관계를일목요연하게파악할수있도록노력하였으며필요하면주로부연설명을하려하였다. 앞에서도밝혔지만 청정도론 은계ㆍ정ㆍ혜의측면과칠청정의측면에서분류된다. 여기서는먼저계ㆍ정ㆍ혜의측면에서 청정도론 의구성과그내용을간략하게살펴본다. 전체 23 장가운데 I 장과 II 장은계품에속하고, III 장부터 XIII 장은정품에속하며, 나머지 XIV 부터 XXIII 장까지는혜품에속한다. 계ㆍ정ㆍ혜를상세하게설명하기위해서저자는각각에대해서다음과같은질문을제기하고여기에대답하는방식으로논을전개하고있다. 1 무엇이계 / 정 / 혜인가? 2 무슨뜻에서계 / 정 / 혜라하는가? 3 그들의특징, 역할, 나타남, 가까운원인은무엇인가? 4 얼마나많은종류의계 / 정 / 혜가있는가? 5 무엇이그들의오염인가?( 계와정에만나타남 ) 6 무엇이그들의깨끗함인가?( 계와정에만나타남 ) 7 어떻게닦아야하는가?( 정과혜에만나타남 ) 8 계 / 정 / 혜를닦으면무슨이익이있는가? 각품의시작에서이렇게문제를제기한뒤하나하나에대해서정확한답변과설

명을제시하는것이 청정도론 의전체구성이다. 청정도론 은다음과같은방법들을사용하여해설을전개하고있다. (1) 기본적으로 청정도론 은삼장특히경장에대한주석서이기때문에 청정도론 에등장하는모든해설은반드시해당되는삼장의경문을인용하고그것에대한상세한주석을가하는형식으로전개되고있으며삼장의인용을찾지못할때는고주석서를인용하여이것을해설한다. (2) 이경우견해가여럿일때는제일널리인정되는 ( 혹은대사의공식적인 ) 견해를처음에소개하고다른것은옵션으로제시한다는점이다. 이럴때는예외없이 va( 혹은 ) 이나 atha va( 그런데혹은 ) 라는단어를사다.63) (3) 이렇게전개해나가면서중요한용어나가르침에대해서는가능하다면그때까지있었던여러스승들의견해를가급적이면많이밝히고있다.64) (4) 대사 ( 大寺 ) 에서통용되지않는스승들이나문파의견해를언급할때는 어떤분들은 (keci pana) 이라는표현을주로쓴다. 이경우에 Pm 에서는대부분그출처를밝히고있다.65) (5) 각장에서중요하게다루는주제를여러측면에서상세하게기술할때대부분 vinicchayo veditabbo( 판별이알아져야한다 ) 라는표현이사용됙있다.66)(6) 필요한부분에는옛스님들의일화를들어서실제수행에적용되는방법을보여준다.67) 63) ~67) 주해생략 이제 청정도론 의계품ㆍ정품ㆍ혜품의내용을간략하게살펴보자. 그리고조금더구체적인개관은아래칠청정의설명에서언급될것이다. (1) 먼저계품은 4 얼마나많은종류의계가있는가? 를상세하게설명하는것이그주요내용이다. 여기서저자는여러가지로분류되는계를열거하고이가운데서계목의단속, 감각기능 ( 根 ) 의단속, 생계의청정, 필수품에관한계의네가지분류를상세하게설명하고있다. (2) 정품은 7 어떻게닦아야하는가? 에초점이맞추어지고있다. 정품에하는 III 장부터 XIII 장가운데서 III. 27 부터 XI. 120 번까지, 다시말해서정품의거의대부분을어떻게닦아야하는가를설명하는데할애하고있다. 사실삼매란것은어떻게닦을것인가라는실천의측면이중요하기때문에이는당연한것이라할것이다. 이렇게해서정품은주로 40 가지명상주제를닦는방법을설명하는데초점을맞추고있다. 특히모든명상주제는 III 장의일반적인설명과 IV 장의땅의까시나에

서설명하고있는삼매증득의과정을이해하지못하면제대로파악할수없을만큼간략하게요점만설명되어있다.( 그러나 VIII 장의몸에한마음챙김과들숨날숨에대한마음챙김은상세하게설명되고있음 ) 그러므로정품은 III 장과 IV 장을숙지해야한다. 특히 IV 장은땅의까시나를통해서근접삼매와본삼매를증득하는과정을구체적으로기술하고있고초선부터제 4 선까지그곳에나타나는禪의구성요소들을중심으로초선부터제 4 선까지의정형구들을상세하게설명하고있기때문에삼매수행의중요한지침이된다.XII-XIII 에서는 8 삼매를닦으면무슨이익이있는가? 를 5 신통과연관지어설명하고있다. 삼매와신통이어떻게연결되고있으며삼매를기초로해서어떤과정을통해서신통을나투는가를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다. (3) 혜품도 7 어떻게닦아야하는가? 에초점을맞추어설명하고있다. 혜품에속하는 XIV 장부터 XXIII 장가운데서 XIV. 32 부터 XXII 장마지막까지, 그러니까 XXIII 장만제외하고혜품의전체를여기에할애하는셈이다. 한편 XIV. 3 에서저자는통찰지수행에대한아주요긴한진술을하고있다. 전문을옮겨보면다음과같다. 여기서무더기 ( 蘊 ), 감각장요 ( 處 ), 요소 ( 界 ), 기능 ( 根 ), 진리 ( 諦 ), 연기 ( 緣起 ) 등으로구분되는법들은이통찰지의토양 (bhumi) 이다. 견청정, 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 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 도닦음에대한지견청정, 지견청정 이다섯은 [ 통찰지의몸통 (sarira) 이다. 그러므로먼저토양이되는법들에대한파악과질문을통해서지혜를굳건하게한뒤, 뿌리가되는두가지청정을성취하고, 몸통이되는다섯가지청정들을성취함으로써통찰지를닦아야한다. 이것이요점이다. 인용문에서보듯이저자는통찰지수행을열반이라는궁극의청정을실현하는본으로파악하고있다. 그래서앞의계와삼매는통찰지의뿌리로파악하고있으며온ㆍ처ㆍ계ㆍ근ㆍ제ㆍ연 ( 蘊ㆍ處ㆍ界ㆍ根ㆍ諦ㆍ緣 ) 의법들을토양으로, 나머지청정을몸통으로파악하여이것을통해서도와과와열반을실현하는것으로 (XXII) 결론짓고있다. 이런진술만봐도 청정도론 은삼매수행의지침서는결코니다. 삼매수행도중요하지만그것은도와과와열반을증득하기위한뿌리일뿐다. 물론뿌리없는열매란생각할수없지만. 그래서굳이사마타냐위빳사나냐를구분해서말하자면 청정도론 은역시위빳사나를강조한책이라고할수밖에없으며이것이초기 / 남방 / 북방에공통되는불교의입각처라할것이다.68) 여서위빳사나란바로법에대한통찰지즉반야를말하는것이다.

이처럼혜품의 XIV 장부터 XVII 장까지는통찰지의토양이라하여온ㆍ처ㆍ계ㆍㆍ제ㆍ연 ( 蘊ㆍ處ㆍ界ㆍ根ㆍ諦ㆍ緣 ) 의여섯가지불교의근간이되는기본법수들을중점적으로설명하고있다. 여기서는아비담마의 82 법, 즉물질 28 법, 마음 1 법, 마음부수 52 법, 열반 1 법이전부특징, 역할, 나타남, 가까운원인의네가지면에서구체적으로정의되고있으며아울러 89 가지마음 ( 알음알이 ) 의분류가상세하게논의되고있다. 그리고 청정도론 가운데서가장길고가장어렵다고려진 XVII 장에서는 24 가지조건 (paccaya, 緣 ) 이설명되고있다. 청정도론 XIV 부터 XVI 장까지는아비담마의법수를이해하지못하면따라가기힘들다. 아비마길라잡이 를통해서아비담마의 82 법과 89 가지마음과 24 가지조건에대한이를먼저하고이부분을읽을것을권한다. XVIII 부터마지막 XXII 까지는통찰지의몸통이라하여 7 청정가운데 5 청정을각각의장에서설명하고있다. 앞의온ㆍ처ㆍ계ㆍ근ㆍ체ㆍ연 ( 溫ㆍ處ㆍ界ㆍ根ㆍ諦ㆍ緣 ) 을근본으로하는통찰지의토양이완전히이론적이라면이다섯장에서는이런아비담마의정확한이해가실제위빳사나수행에서어떻게적용되어지금여기서구체적으로관찰되어야하는가를심도깊게설명하고있다. 역자는정품나혜품의토양보다도이부분을 청정도론 의핵심으로파악하며독하여자신의수행을점검해야한다고생각한다. 위빳사나수행을하면서내가배운스승이나센터의방법대로만위빳사나를이해하고또그것만을위빳사나라고고집하고있지는않는지반성해보자는말이기도하다. 그리고 XXIII 장은통찰지수행을통해얻는이익을과의증득에초점을맞추어설명하고있다. 68) 북방의북종선과간화선도삼매보다는통찰지를강조한수행이다. 그래서 육조단경 도 唯論見性不論禪定解脫 ( 오직견성을논할뿐선정을통한해탈은논하지않는다 ) 을설하고있다. 간화선과위빳사나에대한비교연구는간화선과위빳사나 무엇이같고다른가 를참조할것. 14. 칠청정의측면에서본 청정도론 역자는앞에서본서를 청정도론 이라고이름한가장큰이유는본서가칠청정의과정을설명하는데초점을맞추고있기때문이라고했다. 그러므로계ㆍ정ㆍ혜라는체계와더불어 청정도론 을전개하는또다른방법인 7 청정의측면에

서위빳사나수행과관련지어살펴보고자한다. 잘알려진대로이칠청정의개념은 중부 제 42 경 역마차경 (Rathavinitasutta, M.i.145 이하 ) 에처음나타나며여기서아누룻다존자는사리뿟따존자에게다음과같이그가세존아래출가수행하는이유를칠청정으로명쾌하게대답하고있다. 도반이여, 그와같이계청정은마음청정을위해서입니다. 마음청정은견청정을위해서입니다. 견청정은의심을제거함에의한청정을위해서입니다. 의심을제거함에의한청정은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을위해서입니다. 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은도닦음에대한지견청정을위해서입니다. 지견청정은취착이없는완전한열반을위해서세존을스승으로청정범행을닦는것입니다. 이칠청정은다시 장부 제 34 경 디숫따라경 (Dasuttara-sutta, D.iii.288) 에서 9 청정으로나타나는데이칠청정에다통찰지 (panna) 의청정과해탈 (vimutti) 의청정을첨가한것이다. 전체 청정도론 은이칠청정을통한열반의실현에초점이모아지고있다. 그러므로삼매수행이 청정도론 의핵심이라고는절대로말할수없다. 그러나냐나몰리스님조차그의서문에서 청정도론 의이런입각처를강조하지않고있어서유감스럽다. 이칠청정은 아비담마길라잡이 에서역자가나름대로요약하여정리한바가있다. 그러나너무산만한감이없지않아서여기서다시더간단하게핵심만간추려적으려한다. (1) 계청정 계청정의핵심은단속 (samvara) 이다. 단속은감각기능, 즉육근의단속과의식주삼사의단속이다. 그래서본서에서도계목의단속, 감각기능 ( 根 ) 의단속, 생계의청정, 필수품에관한계의네가지분류를통해서단속을심도깊이설명하고있다. 그래서 XVIII. 1 에서도 계청정이란지극히청정한계목의단속에관한계등네가지계를뜻한다. 라고계를요약하고있다. (2) 마음청정 마음청정의핵심은바로삼매이다. 본서에서삼매는 삼매란유익한마음의하

나됨이다.(kusalacittekaggata samadhi, 善心一境性 )(III. 2) 라고명쾌하게정의하고있다. 그래서마음청정이바로삼매라고하는것이다. 그리고다시 III. 3 에서 마음과마음부수들을하나의대상 (eka-arammana) 에고르고바르고모으고, 둔다는뜻이다 라고조금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듯이삼매란유익한마음이하나의대상에집중된상태이다. 위인용문에서보듯이삼매에서가장중요한술어중의하나가바로대상 (arammana) 이다. 우리는가끔씩아무런근거없이대상을뛰어넘는것이삼매요수행의요체라는식으로삼매를설명하려드는성향을갖고있다. 그러므로수행을하고있는불자들은삼매의가장기초가되는개념을바르게파악하고삼매의정확한설명을받아들여야만한다. 그렇지않으면주관적인편견으로삼매를이해할가능성이아주높기때문이다. 대상이없는마음이란존재하지않고대상없는마음이란존재하지않고대상없는삼매는존재하지않는다. 이점을역자는거듭거듭강조한다. 물론명명백백하게현전하는표상의대상하나에만집중될때는다른것은모두의미가없어지므로앞뒤가끊어져서시간개념이없어진다고그래서대상을초월했다고표현할수는있을것이다. 그러나거기에는닮은표 (patibhaga-nimitta, 相似映像 ) 이라는분명한대상이엄연히존재한다. 그리고무색계선은이런표상을바꾸는데서출발한다. 신통도마찬가지이다. 이처럼대상과표상의중요성을모르고서바른삼매를증득하기란참으로어려운일이다. 이런측면에서본서의정품 (III-XIII) 은삼매수행자들이반드시정독해야할중요한내용을담고있다하겠다. 거듭밝히지만삼매수행의핵심은대상에대한표상 (nimitta) 이다. 대상에집중하여익힌표상 (uggaha-nimitta) 을얻고이것이다시닮은표상 (patibhaga- Nimitta) 으로승화되어야한다. 표상이란개념이고개념은시간과관계가없는것이다.69) 이닮은표상은너무강렬하고맑고밝고깨끗하여이것에마음이하나로집중될때이강렬한닮은표상에집중된힘으로다섯가지장애 ( 五蓋 ) 들은극복된다. 따라서초선부터제 4 선까지그경지에따라여섯가지禪의구성요소들, 즉일으킨생각, 지속적인고찰, 희열, 행복, 마음의하나됨, 평온이강하게유지되는것이다. 이것이삼매수행의핵심이다. 이러한초선부터제 4 선 ( 혹은오종선의제 5 선 ) 까지를본삼매라부르며본삼매를증득하기이전의단계를근접삼매라한다. 본삼매는다시증득 (samapatti, 等至 )

이라고도부르며때에따라이것은사마타 (samatha, 止 ) 라고도한다. 그래서전체적으로禪과본삼매와증득과사마타는동의어이다. 삼매는넓은개념의집중을뜻한다. 그래서근접삼매, 본삼매, 그리고위빳사나에서만나타나는찰나삼매도삼매의범주에속한다. 그러나근접삼매나찰나삼매는엄밀히말하면禪 = 증득 ( 등지 )= 사마타는아니다. 그리고본삼매가운데서도제 4 선의지극히평온하고깨끗함을바탕으로그대상을바꾸면서무색계 4 선 ( 공무변처증득부터비상비비상처증득까지 ) 도차례대로증득된다. 그래서선의경지로는제 4 선과무색계 4 선은같은경지로취급한다. 열가지까시나중에서허공의까시나를제외하고 9 까지까시나가운데어느하나를가지고색계제 4 선, 혹은 5 종선일경우제 5 선에들었다가무색계선에들고자하면그까시나를없애고허공을대상으로제 1 무색계선에든다. 하여차례대로무색계 4 선에들수있다. 이처럼색계제 4 선에도달한경우에만무색계의네가지선은성취가된다. 그래서 XVIII. 1 에서 마음청정이란근접삼매를포함한여덟가지증득 ( 等至 ) 을뜻한다 라고마음청정을설명하고있다. 한편삼매수행은다섯가지자유자재의실현으로귀결된다고도할수있다. 청정도론 은말한다. 다섯가지자유자재가있으니, 1 전향의자유자재 (avajjana-vasi) 2 입정의자유자재 (samapajjana-vasi) 3 머묾의자유자재 (adhitthana-vasi) 4 출정의자유자재 (vutthana-vasi) 5 반조의자유자재 (paccavekkhana-vasi) 이다. 원하는곳에서, 원하는시간에, 원하는기간만큼초선으로전향한다. 전향에어려움이없다. 그러므로이것이전향의자유자재이다. 원하는곳에서ㆍㆍㆍ입정한다. 입정에어려움이없다. ㆍㆍㆍ (IV. 131) 이렇게해서삼매를통해마음을임의자재로쓸수있는것이다. 이렇마음을자유자재로쓰는것이야말로삼매수행을마음청정이라부르는가장큰이유중의하나라할수있다. 이런다섯가지자유자재한힘을얻어서삼매는제 4 선을바탕으로해서초월지, 소위말하는오신통의기초가되는것이다. 제 4 선에들지않고서는절대로신통을나툴수없다. 그래서제 4 선을기초가되는禪 (padaka-jjhana) 이라고한다. 제 4 선은무색계 4 禪과신통의기초가되기때문이다. 물론이런禪의경지는위빳사나의튼튼한기

초이다. 이경우에초선부터제 4 선까지는역시위빳사나의기초가되는禪이라고부른다. 청정도론 에서는이러한계청정과마음청정을 [ 통찰지의 ] 뿌리 (mula) 고부르고있다. 이정도의이해를바탕으로삼아이제통잘지의몸통이되는 5 청정에들어가보자. 69) 주해생략 (3) 견청정 본서에서 정신ㆍ물질을있는그대로보는것이견청정 ( 見淸淨, ditthivisuddhi) 이다.(XVIII. 2) 라고정의하고있듯이아비담마에서분석하고분류하고있는 81 가지법 ( 열반제외 ) 을정확하게있는그대로보는것이견청정이다. 여기서본다는개념은관념으로보거나아는것이절대아니다. 내안에서직접확인하고체험한다는의미이다. 81 가지를전부다봐야하는가. 청정도론 은아니라고말한다. 자기의처해진상황에따라 어느한가지방법으로간략하게혹은상세하게 (XVIII.5) 보면된다. 여기서중요한점은 그러므로물질을파악하는것이선명하게된자가정신 (= 수상행식 ) 을파악하는수행을해야한다. 그렇지않은사람이하면안된다.(XVIII. 23) 라는점이다. 이것은뒤의네번째다섯번째청정들에서도계속해서강조하고있다. 견청정에나타나는요긴한말씀중의하나이다. 청정도론 은말한다. 다섯가지취착하는무더기 ( 五取蘊 ) 들이있을때중생이나인간이라는인습적인표현이있을뿐이지궁극적인뜻에서하나하나세밀히조사하면 내가있다 라든가혹은 나 라고거머쥐는토대가되는중생이란것은없다. 궁극적인뜻으로볼때오직정산물질만있을뿐이다. 이렇게보는자의봄 ( 見, dassana) 을있는그대로봄 (yathabhuta-dassana, 如實見 ) 이라한다.(XVIII. 28) 이것이견청정을닦는이유이다. 비단견청정을통해서뿐만아니라나머지청정들을통해서도아상이나중생상이나수자 ( 영혼 ) 상을극복해야한다고 청정도론 은누누이강조하고있다. 요약해서말하면법을지금여기이순간, 내안에서파악하는것이견청정이다. 법을본다는것은찰나 ( 순간 ) 를보는것이다.(XX. 97 이하참조 )

(4) 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 정신ㆍ물질에대한조건 (paccaya, 緣 ) 을파악함으로써삼세에대한의심을극복하여확립된지혜를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 (kankhavitarana-visuddhi, 度疑淸淨 ) 이라한다.(XIX. 1) 라는정의처럼조건의파악이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이다. 사실모든의심은조건, 즉연기법을파악하지못하기때문에일어나는것이다. 나는정말과거에존재했는가아니면과거에존재하지않았는가? 나는과거에무엇이었을까? 나는과거에어떠했을까? 나는과거에무엇이되었다가다시무엇이되었을까? ㆍㆍㆍ (M.i.8, XIX, 6) 등의과거ㆍ현재ㆍ매래에대한 16 가지의심은조건과연기법에대해미혹했기때문에일어난것이다. 여기서는정신ㆍ물질의법들을여거가지조건으로파악하는방법이상세하게언급되고있다. 그래서 정신의조건을공통적인것과특별한것두가지로보고물질의조건은업등의네가지로본다 (XIX. 7) 고요약하고있다. 다시조건의파악에서는연기의순관ㆍ역관과 12 가지방법으로업을파악함을통해서파악한다. 이렇게되면 안것의통달지 (nataparinna) 를얻는다. (5) 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 5 청정가운데서실제수행과관련해서가장중요한것이바로 청정도론 XX 장에서설명되고있는이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이다. 그러니조금상세하게살펴보자. 이것은도고이것은도가아니라고이와같이도와도아님을알고서확립된지혜를도와도아님에대한지 ( 知 ) 와견 ( 見 ) 에의한청정이라한다.(XX. 1) 그러면무엇이그것인가? 결론적으로말하면견청정의핵심인법을봄과, 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의키워드인조건을함께적용시켜, 지금여기서물심의현상을본격적으로참구해들어가는것을말한다. 그래서도를아는것으로는깔라빠의명상을들고있고이런물질의철저한파악을통해서그다음에정신 ( 수상행식 = 마음과마음부수들 ) 을명상한다. 이렇게하면드디어초보적인생멸에대한지혜가일어나게된다. 이를즈음에광명등열가지경계가생기는데이경계를바르게알아이들은도가아니라고하면서거기에안주하지않는것이도가아님에대한지견청정인것이다.

다시말하면순간과조건으로정신ㆍ물질의법을파악하는것은도에대한지견청정이고그럴때나타나는 10 가지경계를바른도가아니라고파악하는것이도가아님에대한지견청정이다. 여기서도를아는것은깔라빠의명상으로부터시작한다. 그러므로제대로위빳사나를하기위해서는깔라빠라는의미를정확하게파악해야하며이것을내몸속에서정확하게찾아내어야한다. 그렇지못하면깔라빠의명상을제대로하기가어렵다. 이렇게깔라빠를내안에서정확하게확인하면그즉신에우리는이런깔라빠로된물지의무상ㆍ고ㆍ무아를뼈시리게보게된다. 그래서 청정도론 은말한다. 물질은그어떤것이든, 그것이과거의것이든미래의것이든현재의것이든, 안의것이든 멀리있는것이든, 가까이있는것이든, 그모든물질을무상하다고구분하는것이한가지명상이다. 그물질을괴로움이라고구분하는것이한가지명상이다. 무아라고구분하는것이한가지명상이다.(XX. 6; ) 이렇게관찰하는것이어려운자들을위해서본서는친절하게여러가지관찰법을제시하고있다. 너무길어진듯하여여기서는이정도로마친다. 이런깔라빠를통한물질의명상을바탕으로 43 이하에서정신이생겨나는것을관찰하는법을설명하고있다. 다시 46 이하에서물질에대해서명상하는 7 가지방법을상술하고있음다시이를바탕으로 76 이하에서정신에대해서명상하는 7 가지방법을상술하고있다. 이렇게간략한방법에서부터아주구체적인방법에이르기까지정신과물질을명상하는방법을제시하고있으며이것을통해서도 ( 수행의바른길 ) 에대한지견을확립시켜주고있다. 실로이것은아비담마의정신ㆍ물질 (= 법 ) 의분석과정의를구체적으로내안에서확인해가는수행법이라할수있다. 이처럼아비담마는위빳사나수행의전부라해도과언이아니다. 이처럼추상적인물질 10 가지를제외한아비담마의 71 가지법을내안에서확인하면우리는자연스럽게그리고점점더깊이그리고더확고하게무상ㆍ고ㆍ무아인제법의특징을확인하게되는것이다. 이렇게확인하면자연스레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은극복되어모든취착을여의고도와과와열반을확고하게실현할튼튼한발판을만드는것이다. 부처님가르침을만나금생에서도와과와열반을실현하지는못한다하더라도적

어도이런해탈열반의확고한발판을얻어야우리가위대한대스승의교설을만난참다운의미와보람이있는것이다. 그렇게되면천인사에대한우리의믿음은더욱깊어질것이고이것은생사의두려운바다를건너는튼튼한배가되어줄것이다. 이렇게할때초보적인생멸을관찰하는지혜 (udayabbayanupassana-nana) 가나타난다고본서는말하고있다.(XX. 104) 역자는다음에나타나는구절을 청정도론 의전체가운데서가장간절한말씀중의하나라고파악한다. 그가무명등이일어나기때문에무더기들의일어남을보고, 무명이멸하기때문에무더기들의소멸을보는것이조건을통해일어나고사라짐을보는것이다. 그러나생기는특징과변하는특징을보면서무더기들의일어나고사라짐을볼때그것은순간을통해일어나고사라짐을보는것이다. 오직일어나는순간에생기는특징이있고, 무너지는순간에변하는특징이있기때문이다.(XX. 99) ( 그래서 청정도론 은다시말한다.) 조건과순간을통해상세하게마음에잡도리한다.(XX. 97) 이순간 (khana) 과조건 (paccaya) 은아비담마의두가지기본주제이다. 이세상의모든존재에대해서그것이물질적인것이든정신적인것이든매순간에집중하여그들이무상ㆍ고ㆍ무아라는것에사무치고, 매순간일어나는이들오온의기멸은모두조건의힘 (paccaya-satti) 에의해서한치의오차도없이조건지워져서일어나고사라진다고파악해야위빳사나에바로들어가는자라할수있다. 인용에서보듯이특히 청정도론 에서는순간보다조건을앞에두어조건을파악함에대한중요성을역설하고있다. 24 가지로세밀하게분석하고있는조건들을통해서물심의현상을분석하고분해하지않는한미세한의심은결코제거되지않기때문이다. 그래서네번째청정인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은바로 24 가지조건을파악하는것이라고 청정도론 도강조하고있는것이다. 이조건과조건의힘을보는눈을가지면왜부처님께서는 12 연기로대표되는 이것에조건됨 (idappaccayata) 을그렇게강조하고계시며, 왜 청정도론 에서는 XVII 장에서그렇게상세하면서도복잡하게그것도그렇게많은분량을할애해가면서그리고조건의설명은어렵다고거듭하소연하면서강조하고있는지, 왜담마빨라스님은자신의모든지식과지혜를동원해서그렇게상세하게연기

의주석을하고있는지, 왜레디사야도가조건에대한이해의대가라불리는지확실히절감할수있을것이다. 예를들면, 왜나에게일어나는수많은물심의현상이남에게서는일어나지않고바로매순간나의물심의현상으로일어나는가? 왜특정한심리현상은두고두고내마음들의대상이되는가등의근원적인문제를상좌부에서는 24 가지조건을설정하여이를통해서파악하고설명하고있다. 이렇듯이순간과조건에눈뜨지못하는한, 순간과조건에대한법안 (dhammacakkhu) 이조금이라도생기지않는한, 위빳사나는단지말에지나지않을것이다. 청정도론 은말한다. 일어나고사라짐의관찰이라부르는초보적인위빳사나의지혜를얻는다. 이것을얻었기때문에위빳사나를시작한자 (araddhavipassaka) 라는명칭을얻는다.(XX. 104) 청정도론 에서는이처럼순간과조건에눈을떠야비로소위빳사나를시작한자라는이름을얻게된다고하는사실을명심해야한다. 이둘에눈뜨기전에는제법그럴듯한기법을구사하거나혹은수승한경계가나타난다해도그것은위빳사나가아니다. 단지경계일뿐이다. 그래서이런경들이도가아님을밝혀주기위해서이제다음의열가지위빳사나의경계 ( 오염, 결함, upakkilesa) 를 청정도론 은드러내보이고있다. 순간과조건에사무치지못하면누구든지이런경계에빠져버릴수있기때문이다. 이제이를살펴보자. 도가아님을아는지견청정을두고 청정도론 은이렇게말한다. 이초보적인위빳사나로써위빳사나를시작한자에게열가지경계 ( 결함, upakkilesa) 들이일어난다. 위빳사나의경계는진리를통찰함에이른성스러운제자에게그리고그릇되게수행하거나, 명상주제를놓아버린게으른사람에게는일어나지않는다. 오직바르게수행하고지속적으로명상주제와함께하는위빳사나를시작한선남자에게일어난다. 무엇이그열가지경계들인가?

1 광명 2 희열 3 경안 4 결심 5 분발 6 행복 7 지혜 8 확립 9 평온 10 욕구이다. (XX. 105) 구체적인것은해당되는본문을살펴보기바란다. 그러나그강조점은다음에있다. 그는이런광명을 이것은내것이아니고, 이것은내가아니면, 이것은나의자아가아니다.(M.i.136) 라고면밀히관찰한다.(XX. 127) 한편이런세가지청정을통해서괴로움의진리 ( 苦諦 ) 를정확하게구분하고있다. 이렇게내안에서이셋을철저하게확인해야우리는비로소고집도의세가지진리를알았다고하는것이다. 물론그것이아직은세간적인차원이지만 청정도론 은이렇게말한다. 어떻게? 견의청정에서는정신ㆍ물질을구분함으로써괴로움의진리 ( 苦諦 ) 를구분하였다. 의심을극복함에의한청정에서는조건을파악함으로써일어남의진리 ( 集諦 ) 를구분하였다. 이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에서는바른도를강조함으로써도의진리 ( 道諦 ) 를구분하였다. 이와같이세간적인지혜로세가지진리들을구분하였다.(XX. 130) 거듭강조하거니와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을통해서우리는순간과조건이라는아비담마와위빳사나의핵심주제에사무쳐야하겠다. 그래야우리는비로소위빳사나를시작한자라는이름을얻게되는것이다. 역자는이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이위빳사나수행자에게는무엇보다중요하다고판단하여상세하게소견을피력하다보니너무장황해진느낌이든다. 이제간단하게나머지두가지청정의정의를살펴보고마무리하려한다. (6) 도닦음에대한지견청정 도닦음의지견청정은다음의 9 가지로구성된다.

이제여덟가지지혜를통해서위빳사나는정점에이르게된다. 아홉번째는진리에수순 ( 隨順 ) 하는지혜이다. 이 [ 아홉가지를 ] 도닦음에대한지견청정이라한다. 1 경계 ( 결함 ) 를벗어났고과정에들어있는도를닦는위빳사나라고불리는생멸을관찰하는지혜 2 무너짐을관찰하는지혜 3 공포로나타나는지혜 4 위험을관찰하는지혜 5 역겨움을관찰하는지혜 6 해탈하고자하는지혜 7 깊이숙고함을관찰하는지혜 8 상카라에대한평온의지혜, - 이들을여덟가지지혜라한다고알아야한다. 아홉번째인진리에수순하는지혜란수순 ( 隨順, anuloma) 과동의어이다.(XXI. 1) 이아홉가지에다앞의깔라빠에대한명상의지혜를넣어서 10 가지위빳사나의지혜라고도부른다. 이가운데서 1 생멸을관찰하는지혜와 2 무너짐을관찰하는지혜와 8 상카라에대한평온의지혜가핵심이다. 한편생멸을관찰하는전반부는 10 가지경계가남아있기때문에이들을도와도아님에대한지견청정을통해서청정하게하고도닦음의지견에서다시이를닦는다. 여기서는더욱더오온의무상ㆍ고ㆍ무아를철저하게관찰하고체득하는것을강조하고있다. 두번째로무너짐을관찰하는지혜가위빳사나지혜가운데서가장중요한전환점이다. 이제드디어철옹성처럼단단하게조합되어 나 니 내것 이니자아니영혼이니하면서굳게뭉쳐있던무더기들이해체되고부서지고무너지는것이다. 이지혜에서가장중요한개념은다음의세가지이다. 대상을바꿈 (vatthu-sankamana) 이란물질이무너짐을본뒤, 물질이무너짐을본그마음도무너짐을봄으로써첫번째대상으로부터다른대상으로옮겨감이다. 통찰지의전이 (vivattana) 란일어남을버리고소멸에머묾이다. 전향하는힘 (avajjana-bala) 이란물질이무너짐을본뒤, 무너짐을

대상으로가졌던그마음도무너지는것을보기위해즉시에전향하는능력이다.(XXI. 20) [ 그래서 ] 모든상카라 ( 行 ) 들의일어남과머묾과진행과표상을내려놓고오직무너짐을본다. 마치깨지기쉬운도자기가깨지는것을보는것처럼, 가는먼지가흩어지는것을보는것처럼, 볶인깨가터지는것을보는것처럼.(XXI. 27) 여기서핵심은물질의무너짐을본그마음도무너짐을철저하게관찰하는것이다. 이렇게해서오온이, 즉나라는철옹성같던개념이해체되고부서지고무너지고무너지는것이다. 남방스님들도이무너짐의지혜를수행의대전환점으로강조하고있다. 상카라에대한평온의지혜는 이와같이공하다고보고는세가지특상을제기하여상카라들을파악할때공포와기뻐함을버린뒤상카라들에대해무관심하게되고중립적이되고, 나 라거나 내것 이라고취하지않는다.(XXI. 61) 라고설명되고있다. 중요한부분이므로본문을정독하시기바라며여기서는더이상언급하지않는다. 이를통해서세가지해탈의관문으로들어간다. 그것에대해서는여기서설명하지않고한대목만인용하면서마무리짓는다. 여기서무상이라고천착한자든, 괴로움이라고천착한자든, 무아라고천착한자든출현할때에무상으로부터출현함이있으면이세사람은믿음이강하다. 그들은믿음의기능 ( 信根 ) 을얻는다. 표상없는해탈로써해탈한다. 첫번째도의순간에믿음을따르는자들이된다. 일곱곳에서믿음으로해탈한자들이된다. 만약괴로움으로부터출현함이있으면이세사람은편안함 ( 輕安 ) 이크다. 삼매의기능 ( 定根 ) 을얻는다. 원함없는해탈로써해탈한다. 모든곳에서체험한자들이된다. 무색계禪을의지처로한자는최상의과의경우양면으로해탈한자가된다. 무아로부터출현함이있으면이세사람들은영지가크다. 통찰지의기능 ( 慧根 ) 을얻는다. 공한해탈로써해탈한다. 첫번째도의순간에법을따르는자들이된다. 여섯곳의경우견해를얻은자가된다. 최상의과의경우통찰지로해탈한자가된다. (XXI. 89)

(7) 지견청정 이제마지막으로지견청정의정의를살펴보자. 청정도론 은 예류도, 일래도, 불환도, 아라한도, 이네가지도에대한지혜를지견청정이라한다.(XXII. 2) 라고정의하고있다. 여기서예류도부터아라한과까지의사쌍팔배 ( 四雙八輩 ) 에대한개념을정확하게설명하고있다. 그런후이들네가지지견청정의위력을설명하기위해서여러가지방법으로설명하고잇는데특히 37 조도품이자세히설명되고있다. 여기에대해서는본문을정독하시기바라면서지견청정에대한설명은이정도로줄인다. 15. 번역의저본및현존하는번역본들 청정도론 이중요한책인만큼 청정도론 빠알리원본은남방불교의각나라마다잘보존되어왔다. 그러나모두자기들고유의문자로쓰여있기때문에다른나라사람들이접근하기에어려움이많았다. 그래서널리알려진영국의 PTS 본이국제적으로는모든빠알리연구의기본텍스트로자리잡고있다. 청정도론 도이미 PTS 에서 1920/1 년에리즈데이빗 (CAF Rhys Davids) 여사가교정본을출판하여 청정도론 연구에많은기여를했다. PTS 본은스리랑카필사본을바탕으로해서만들어졌으며단락번호가명기되어있지않은단점이있다. 청정도론 이중요한테스트인만큼그교정본에대해서도서양학자들은일찍부터관심을가져왔다. 그가운데서도미국출신의헨리와런 (Henry Warren) 이심혈을기울여교정본을만들다가미처출판하지못한상태에서요절하고인도학자담마난다꼬삼비 (Dhammanda Kosambi) 가교정을마무리하여 Harvard Oriental Series(HOS) 로출판한 HOS 본 70) 은아비담마의나라라불리는미얀마본을저본으로해서여러다른필사본들을참조해서교정한것이다. HOS 본은각장을다시단락별로상세하게구분하여편집하였기때문에참조하기가편리하게되어있다. 무엇보다도지금제일의영어번역으로통하는냐나몰리스님의영역본이이것을저본으로하였기때문에원문과영어번역을대조해서보기가용이하다. 그래서역자도이 HOS 본을저본으로번역하였다. 로만문자로원문을볼수있는또다른판본은인도의고엔카위빳사나센터에서설립한 VRI(Vipassana Research Institute) 에서내놓은 CD-ROM 버전 (1997) 이다. 이것은미얀마육차결집본을그대로컴퓨터에입력한것이기때문에육차결집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