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E2BEEFB0FAC0FCB8C13330C8A3206F6B2DBAB8C0CCBDBABEC6C0CC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B1E2BEEFB0FAC0FCB8C13330C8A3206F6B2DBAB8C0CCBDBABEC6C0CC2E687770>"

Transcription

1 일반논문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이규정 고려대학교 <논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언론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과 결과를 언론 의 반응 구조를 통하여 설명하는 것에 있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언론은 권력에 대한 감시, 정보의 전달, 의제의 설정을 통한 사회적 공론장을 형성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는 언론과 관련된 영역에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언론의 정치적 영향력이 기존 정치 제도들을 압도하는 정치의 미디어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선거를 통해 권력을 획득한 정부는 언론과의 경쟁을 통하여 대립, 또는 협력의 언론 정책을 추진하고 언론은 이에 대한 분열 또는 공조의 반응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정부와 언론 관계는 정부 우위 모델, 언론 우위 모델, 부분 협력 모델, 전면 협력 모델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분석틀을 통하여 언론과 갈등과 대립이 가장 치열했던 노무현 정부와 언 론과 친화성이 높았던 이명박 정부 시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31

2 주요어: 정치의 미디어화, 미디어 정책, 언론 반응 구조,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1. 기( 起 ) 언론은 최근 한국 정치에서 가장 치열한 갈등이 발생하는 장이 되었 다. 이는 민주화 이후 정치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언론에 대한 접근과 통제를 둘러싼 정치 세력의 이해 충돌이 빈번해졌기 때문이 다. 한국의 민주화는 시민사회와 정치사회의 정치적 소통의 수단과 공론 장을 비약적으로 확대하였지만, 내용적 차원에서는 여전히 불통사회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송호근 2011). 민주화로 인한 시민 자유가 확 대되면서, 과거 권위주의 정권의 애완견(lap dog)으로 권언복합체 의 성 격을 갖던(송건호 2000) 한국 언론은 국가의 대대적 지원을 받으며 거대 언론 자본으로 성장하였으며(유재천 1991), 급기야 민주화 이후 권위의 공백기에 실질적으로 권위를 행사하는 유사국가기관(quasi-state agency) 으로 변화하였다(박승관 장경섭 2001). 이와 같은 언론의 권력화는 정당과 의회와 같은 전통적 정치 제도들 의 역할을 약화시키고, 주요한 정치 이슈에 대한 언론의 폭로(reveal)를 통하여 검찰의 조사(investigation)와 사법부에 대한 기소(prosecution)로 이 어지는 다른 수단의 정치 가 등장하게 되었다(Ginsberg and Shefter 1999). 이는 결과적으로 기존 제도들의 권력을 언론에 종속시키는 방향으로 진 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정치의 미디어화(mediatization)를 초래하 132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3 고(Hjarvard 2008; Strömbäck 2008), 주요 제도와 전체 사회가 언론에 의 해 형성되며, 언론에 의존하게 됨으로써(Mazzoleni and Schulz 1999), 언론 이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담론을 형성하고 프레임을 결정하게 되 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Lilleker 2006). 즉 언론이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여론 형성과 의사 결정과 같은 정치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되며, 합 법적 권위의 실행을 방해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Meyer and Hinchman 2002). 언론의 역할이 비정상적으로 확대되면서 언론 수용자들은 스스로를 언론이 생산하는 메시지를 소비하는 주권자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감시 자 역할을 자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권력화된 언론은 시민사회의 반 발에 직면하게 되었다. 언론의 권력화에 대한 시민사회의 반대는 초기 단순한 감시 역할을 넘어 언론을 개혁을 위한 대상으로 규정하고 다양한 시민단체와 언론단체가 연대하여 1998년 언론개혁시민연대를 출범시켰 다. 이후 2004년 노무현 정권에서 추진된 언론관계법 개정 과정에서 정 부와 여당을 압박하며 조중동과 같은 주류 언론과 대립 관계를 형성하였 다. 이러한 결과 2004년 말에 들어서 신문법 과 언론중재법 이 통과됨 에 따라 신문과 방송의 겸영 금지 조항이 유지되고 일간지 시장에서 시장 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공정거래법상 규제 강화 등의 성과를 거두기도 하 였다. 그러나 일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치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이 약화되었다고 평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명박 정권의 등장 이후 에는 조중동이 지속적으로 개정을 요구했던 미디어법 개정안이 일사부재 의 원칙 위반, 정족수 부족 문제로 헌법재판소에서 절차과정에서 위법성 을 인정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사실상 불법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조중동 의 종합편성채널 진출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시장 포화로 인한 저질 콘텐 츠의 양산, 약탈적 광고 영업, 친권력적 보도 행태 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33

4 (김서중 2012). 또한 종합편성채널 채널의 저조한 실적으로 인해 신문시 장의 강자인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들이 자신이 운영하는 종합편성채널을 살리기 위해 언론권력을 동원할 개연성이 크다는 평가가 제기되는 실정 이다(김재영 이승선 2012). 이 연구는 언론을 일종의 정치권력으로서 이해하고 선거를 통해 선 출된 정부의 정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민주화 이후 언 론 권력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언론과 선거를 통해 권력을 위임받은 정부 사이의 갈등과 충돌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정부의 입장에서는 집권 기간 동안 언론과의 경쟁으로 인 한 통치력(governability)의 약화를 극복하기 위한 언론정책의 필요성을 갖 게 된다. 특히 노무현 정부 시기는 역대 정부 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언론의 정치권력화 현상을 비판하며 언론과 갈등을 유발하는 정책을 마 다하지 않았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전임 정부에서 추진된 언론 정책을 비판하고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논리에 부합하는 언론정책을 추진하 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언론 반응구조와 정책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은 언 론 권력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유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언론의 정치적 기능과 정부와 언론 관계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정부의 언론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과 결과를 언론의 반응 구조를 통하여 분석하 고자 한다. 134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5 2. 이론적 자원 1) 언론의 정치적 기능 현대 정치는 많은 인구와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대의제 민주주 의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주권자인 시민과 실제 정치 권력 사이의 긴 장과 갈등이 존재하게 되었으며, 일상적으로 국민주권의 원칙이 작동하 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나타나게 되었다. 언론은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한 주요한 장치라 할 수 있는데, 민주주의 정치가 원활 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크게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첫째는 권력 에 대한 감시 기능으로 이때 언론은 권력의 제4부 로 이해된다. 달(R. Dahl)은 민주주의의 특징을 다두제(polyarchy)로 규정하고, 단체를 결성 하고 참여할 자유(결사의 자유)와 자신과 단체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자유(표현의 자유)를 강조함으로써 언론의 자유를 강조하였다(Dahl 1971). 사르토리(G. Sartori)는 민주주의에서 선거의 불완전성을 지적하며 여론 에 의한 정부(government by public opinion) 의 실현을 위하여 다중심적 인 매체의 구조 와 그들 사이의 경쟁적 상호작용 을 강조하였다(Sartori 1987). 즉 언론이 담당하고 있는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은 자유주의 개념 을 계승한 것으로 규범적인 차원에서 언론의 기능을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이다(Kelly and Donway 1990). 두 번째 기능은 정보의 전달이다. 언론은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치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판단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 다. 정치체제에서 정보 제공자로서의 언론의 역할은 자기 표현을 돕고, 공적 합리성을 증진시키고, 집단적 자치를 가능하게 하며(이효성 1993), 충분한 정보를 가진 시민(informed citizen)을 육성하기 위한 정보와 교육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35

6 기능, 시민 포럼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Norris 1996; Scammell 2000). 일반적으로 언론이 담당하는 정보 제공과 교육 기능은 선거 과정 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언론의 역할은 선 거기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면한 선거가 없는 상황에서도 일상 의 중요 이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가진 시민을 육성하기도 한다(Scammell 2000; Iyengar and McGrady 2007). 세 번째는 의제 설정(agenda setting) 기능이다. 언론의 의제 설정 기 능은 언론이 설정한 의제(media agenda)와 공공 의제(public agenda)가 매 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비록 실제 정치가 개별 뉴스 미디 어에 의해 완벽하게 재생산되지는 않지만 유권자들이 무엇이 중요한 것 인가에 대한 언론의 복합적 정의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McCombs and Shaw 1972). 뿐만 아니라 언론의 의제 설정 효과는 단순히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가 라는 차원을 넘어서 인지적 속성(cognitive attribute)과 정서적 속성(affective attribute)을 고려한 다양한 보도 방식을 사용함으로 써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라는 것까지 결정할 정도로 영향력이 강화 되고 있다(Ghanem 1997). 네 번째 기능은 사회적 공론장(public sphere)을 형성하는 하는 것이 다. 하버마스(J. Habermas)에 의해 정식화된 공론장 개념은 언론의 발달 에 따라 사적인 시민들(private citizens)의 사적인 생활세계(life world)가 공적인 공간과 교차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다. 공론 장은 정치적 생활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공개적이며 다양한 이슈에 대하 여 공적인 토론을 제공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공론장에 참여하는 사 람들은 각각의 사적인 지식과 경험, 이슈에 대한 생각과 견해를 표명할 수 있는 자유를 공평하게 제공받음으로써,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상 호작용의 과정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애초에 개인적으로 분리된 각각 136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7 의 생활세계의 제도화를 이루게 되며, 결국 시민사회 형성의 토대를 마련 할 수 있다(Habermas 2001). 또한 정책결정과정이 투입과 산출의 지속적 인 환류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공론장은 이러한 과정이 지속될 수 있는 결 사체를 형성하고 심의의 장을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 요컨대 언론이 담당하고 있는 정보의 전달, 의제의 설정을 통한 공 론장의 형성 기능은 대의제 민주주의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는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정치 권력의 전제화를 방지하기 위한 권 력에 대한 감시 기능은 필연적으로 정치와 언론의 상호 긴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부의 언론에 대한 정책은 언론에 대한 갈등과 대 립을 통한 통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원리의 효과적 구현이라 는 규범적 당위성에 근거해야 할 것이다. 2) 정부 정책과 언론 권위주의 시기 한국의 정부는 언론을 주로 통제의 대상으로 인식하 고 정치 권력의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정부의 언론 정책에 관한 연구 역시 양적인 측면에서도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논의 들은 대체로 역대 정부의 정책 변화 내용에 대한 역사적 서술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언론 정책의 성격을 구분 짓는 기준을 정책 의 주체인 정치권력의 성격과 정책을 수행하는 방법의 성격과 관련된 것 으로 이해하거나(주동황 2003), 정치발전의 지속적인 상향과 하향의 궤 1) 샤츠슈나이더(E. E. Schattschneider)는 민주주의의 중요한 특징을 갈등의 사회화로 이해하 고, 지도자들과 조직들이 공공정책에 대한 대안을 가지고 경쟁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일종의 경쟁적 정치체제로 정의하였다(Schattschneider 2008).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37

8 적에 따라 동일하게 자유와 통제가 거듭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정진 석 2001). 이러한 논의에 따르면, 언론은 정부의 성격 변화에 따른 수동 적인 통제의 대상일 뿐이다. 즉 국가 형성 단계인 미군정 시기에는 정치 적 혼란 속에서 언론 자유와 통제가 함께 이루어지다가 권위주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권력의 강력한 통제와 간섭이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 로 평가한다. 양적인 측면에서 디비피아(DBPia)에서 언론정책 이란 키 워드로 해당 논문을 검색하면,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민주화 이전에는 3편에 불과하였다가, 2) 민주화 이후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노무현 정 <그림 1> 언론정책 관련 논문 검색 결과 이전 노태우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자료: dbpia.co.kr(검색일: 2014년 2월 8일) 2) 언론정책 관련 연구가 적은 이유는 정책연구가 세미나 논문이나 보고서 형태로는 과다할 정도로 이루어지지만 학문적 측면에서는 멸시를, 실용적 측면에서는 무용성을 생산하고 있다 는 평가 때문으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윤석민 2005). 138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9 부 시기에 급증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노무현 정부에 들어 언론정책과 관련된 논문이 24편에서 51편으로 급증한 것은 정부와 언론의 갈등이 격 렬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논의는 권위주의 정부라 할지라도 언론에 대한 통제 의 방법은 정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민주화 이후에는 언론의 영향 력이 오히려 강화되는 것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의 언론은 스스로 정치권력화하고 이념적으로는 반공과 민족 이데올로기, 기업 자본에 기대는 보수적 성향을 띠고, 이러한 이유로 비슷한 시기 집 권한 진보 정권에 대해 편향적인 공격저널리즘을 구사하는 특성을 보이 고 있다(최영재 2008a). 이와 같이 과거에는 언론이 단순히 정부 정책의 대상으로서 이해되 었는데, 이는 권위주의 시기 언론에 대한 분석에는 일정한 설명력을 갖 지만 오히려 언론이 정부 정책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 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민주화 이후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한 연구 는 정부와 언론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양자 사이의 갈등 관계나 정파성 에 따른 권력 현상, 정부 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 태도와 이데올로기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역대 정부 중에서 언론과 가장 격렬 한 대립과 갈등을 빚었던 노무현 정부 시기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노무현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한 연구 중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 은 대통령 개인의 언론관에 주목하여 정책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즉 노무현의 개인적 성향은 토론을 좋아하고 주변 얘기를 광범위하게 듣는 것을 좋아하지만, 언론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지만 뿌리 깊은 불신이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과의 직접 소통을 중시하는 특성을 보 인다고 분석하는 것이다(김재영 2011). 또 다른 논의는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보도 내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39

10 용을 분석하였는데, 언론사의 이데올로기 성향에 따라 보도 태도가 다르 게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즉 노무현 정부의 원리원칙, 부패척결, 전문 성을 강조한 언론 정책에 대하여 명백히 적대적인 비판을 가했던 보수지 들은 친화, 자율과 시장 경쟁을 내세운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대하여는 침묵 혹은 옹호적 담론을 구사했다고 분석하였다. 3) 한편 노무현 정부 시 기에 실시된 주요 언론개혁 정책 중의 하나인 기자실 개방과 브리핑 제도 의 도입에 대한 일선 기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 분석은 제도 변화 에 따른 혼란을 강조하는 것과는 다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기자실 개방과 브리핑 제도의 시행으로 신규 진입 장벽이 사라졌으며 기자와 취 재원의 유착 관행도 개선되었으며 촌지 수수와 향응 제공 행위도 사실상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송의호 이상식 2007). 한편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한 평가와 분석은 아직 본격적으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시장 원리를 강조한 규제 완화와 매체 간 융합 지향 정책에 대한 찬반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언 론 정책 변화의 핵심을 세계적 추세에 맞춰 진입 규제 완화, 신문과 방송 의 겸영 허용, 공정 경쟁 보장 등 시장 원리에 입각한 규제 최소와 자유 화 정책 패러다임이라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임 노무현 정부와 대 비되는 언론 정책은 시장 원리의 도입에 따라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 에게 질 좋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 고(김진두 2009), 여론 다양성을 위축시키고 언론의 공공성 위기를 초래 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즉 신문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 여 방송 진출을 허용하는 신문방송 겸영 규제 완화는 단순히 여론다양성 3) 반면 진보지들은 노무현 정부 시기 비판과 함께 중립적 옹호 담론을 구사하였으나, 이명박 정부 시기로 넘어오면서 적대적 비판으로 뚜렷한 담론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김영욱 임유진 2009). 140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11 보장에 위협이 되지 않는 것을 넘어서 유익한 측면이 있어야 규제 완화의 근거가 마련될 수 있으며(이용성 2008a), 신문사의 방송채널 진출이 성공 할 수 있을까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존재하며(최영재 2008b), 궁극적으로 는 언론의 공공성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김서중 2008).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정부의 일방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시각에서 민주화 이후에는 정부와 언 론의 상호작용 및 양자 관계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민 주화 이후 언론이 일종의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 자연스 러운 인식 전환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와 언론의 관계가 이데 올로기 지향이나 정치적 당파성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언론은 신문, 방송, 인터넷 등과 같이 매체별로 차이를 나타내며, 각각의 언론사가 지향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 역시 상 이하다. 이러한 매체별, 이데올로기별 차이는 중층적으로 결합하여 나타 나는데, 각각의 언론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정부의 정책에 상이하게 반 응하는 언론과 정당의 조응성(parallelism)이 나타나게 된다. 4) 언론과 정당 4) 정당-언론 조응성은 parallelism 을 번역한 것으로 병행성 나 병행주의 또는 동반주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사용하고 있는 학자 중 한 명인 할린(Daniel C. Hallin)과 직접 의논한 김수정 등의 설명에 따르면 이 용어는 정치-미디어 시스템이 서로 유사성을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고 대체어로서 구조적 상동성(homology) 과 상응성(correspondence)을 사용가 능하다는 점에서 조응성으로 번역하였다(Hallin and Mancini 2009). 정당-언론 조응성은 초기 언론의 경우 정당이 직접 발행하거나 정당의 보조금에 의해 운영되었기 때문에 다분히 당파적인 성격을 띠고 특정 신념이나 정치이념을 보도하는 지지하는 관행을 보였으나 신문 산업에서 광고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더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기 위한 객관적 보도 관행이 정착하면서 당파적 보도 관행은 사라지는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Schudson 1978). 영국의 경우도 노동자신문이 19세기 말까지는 노동계급의 이익을 옹호하였지만, 독자확보를 위한 시장경쟁이 심화되며 논조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았다(Curran 1978).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41

12 의 조응성은 정당이 신문경영에 개입하는가의 여부, 신문의 보도정책이 정당의 정책목표와 일치하는 정도, 개별 언론인과 정당 관료 사이의 친 밀도, 특정 신문의 독자가 선호하는 정당에 대한 지지도에 따라 결정된 다고 할 수 있다(Seymour-Ure 1974). 이를 고려할 때 정부의 언론정책이 실제 정책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어 정부정책의 성격과 함께 언론 전반의 이데올로기적 지향과 정파성에 따른 반응의 구 조를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3. 정부-언론 관계 모델과 분석틀 일반적으로 정부와 언론 관계를 설명하는 모델은 정치 체제나 권력 에 대한 언론의 역할을 기준으로 구분한 네 마리의 개 모델(Four-dog Model) 과 정부와 언론이 상호 어떠한 권위와 비중을 가지고 상호작용하 는가에 따른 다섯 가지의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네 마리의 개 모델 은 언론의 역할을 비유적 표현으로 애완견 (lap dog), 감시견(watch dog), 보호견(guard dog), 공격견(attack dog)으로 구분하고 있다. 애완견 모델은 언론이 자신의 독자적인 기반이 없거나 매우 약한 채로 권력에 대해 순응적인 경우를 지칭한다. 5) 감시견 모델은 5) 촘스키(N. Chomsky)와 허먼(E. Herman)은 언론이 소유권의 집중, 광고, 정부와 재계의 뉴스 후원자와 같은 대중매체 뉴스의 공급원, 언론의 발언이나 방송에 대한 부정적 비난(광고 취소)과 같은 성토, 반공주의와 같은 다섯 가지의 여과 장치 에 의해 미국 민주주의의 허울을 숨기는 선전 모델(propaganda model)이 작동하고 있다고 보았다(Herman and Chomsky 2002). 142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13 언론을 권력의 제4부로 보는 자유주의 개념을 계승한 것으로 규범적인 차원에서 언론의 기능을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이며(Kelly and Donway 1990), 보호견 모델은 언론이 전체로서의 공동체가 아니라, 체제의 안 전을 만들어내고 통제하기 위한 충분한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집단의 초 병 으로서 스스로 부와 접근권, 그리고 위신을 가진 기성 세력(establishment) 의 일부이며, 스스로 독립적인 감시견이 될 수 있다는 확신과 더불 어 진보, 이성과 보편적 진리 또는 기준에 대한 믿음 을 갖고 있기 때문 에(Hallin 1996), 체제 내 권력 과두체(power oligarchy)의 일부가 되기도 하며, 권력관계의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일부 분파에 대한 비판을 통하 여 권력체제 전체를 보호하는 언론을 의미한다(Donohue Tichenor and Olien 1995). 끝으로 공격견 모델은 탐사 보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여 야 정쟁에 관하여 언론이 양자 모두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정치체제와 정치인들에 대한 부정주의(negativism)를 고취시켜 국민과 정치인의 괴리 를 심화시키는 언론을 의미한다(Patterson 2000). 즉 애완견으로서의 언론 만이 권력으로부터 자율성이 배제된 종속적인 상태를 의미할 뿐이며, 감 시견 모델 이후에는 체제와 정치 권력과 갈등, 경쟁하는 것을 넘어 언론 이 스스로 자율성을 획득하여 권력화된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부와 언론의 상호 비중을 중심으로 정부-언론 관 계를 다섯 개로 구분한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최경진 2003). 먼저 상호의존 모델은 정치체제와 언론이 존립과 유지를 위하여 기능적으로 상호의존한다는 것이다. 이 모델에 따르면 정치체제는 대중 의 지지와 관심을 얻기 위하여 언론을 이용하고, 언론은 정치체제에 대 하여 비판적 관찰과 감시를 교환하는 전통적인 관계라 할 수 있다 (Ronneberger 1978). 둘째, 정치권력우위 모델은 민주주의 체제가 정착되 기 이전, 언론이 자율성을 상실하고 정치체제에 예속된 상태를 의미한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43

14 (Schatz 1978). 셋째, 언론우위 모델은 언론의 기능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정치체제의 존립 기반인 권력까지 상실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Noelle-Neumann 1977). 넷째, 상호공생 모델은 정치와 언론이 상호 타 협하는 상태에서 서로의 존립 기반을 인정하며 공존하는 것을 의미하지 만, 상호의존 모델의 틀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Sarcinelli 1987). 끝으로 상호침투 모델은 정치와 언론이 각각에게 부여된 합법적 권한을 가지고 상대방을 도구화하려는 현상으로 상호의존 모델보다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침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최용주 1995). 이상에서 설명한 정부-언론 관계 모델은 언론 내부를 단일한 성격 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정부 구성에 있어 다당제와 내각책임제 가 결합되어 단일 정당으로 과반수를 획득하지 못하여 연립 정부를 구성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부는 선거를 통해 권력을 위임받은 세력이 독 자적으로 정부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부는 동일한 성격을 갖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언론 내부는 매체별 차이와 함께 이데올로 기 지향이나 정파성에서 구별되는 상이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과 관련된 정부-언론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언론의 반응 구조를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슷한 이데올로기적 지향과 정파성을 공 유하는 정당-언론 조응성을 고려할 때, 정부 여당에서 제시하는 정책에 대하여 언론 내부는 찬성과 반대로 분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이 언론 전체의 이익과 배치되거나 이념적 극단성 등이 강조 된다면, 언론 전체는 동일한 반응을 나타내며 공조를 취하게 된다. 즉 정부 정책을 언론에 대하여 대립 또는 협력 여부로 구분할 때, 6) 이에 대 6) 언론정책에 있어 정부의 위상은 전체주의적 사회에서의 통제자와 같은 구속기관, 언론에 대한 부당한 간섭이나 침해가 아닌 공익성 증진을 위한 조정기관, 언론에 대하여 협조적 입장에서 혜택을 베푸는 조성기관, 정부가 직접 언론을 소유하고 경영하면서 국민들에게 144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15 <표 1> 정부 정책과 언론 반응 구조 언론 반응 구조 분열 공조 정부 정책 대립 정부 우위 언론 우위 협력 부분 협력 전면 협력 한 언론의 반응 구조가 분열이냐 공조냐에 따라 <표 1>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부 우위 모델은 정부가 대립적인 언론 정책을 취하는 경우 언론의 반응이 분열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정부가 시장 왜곡 요인의 시정이나 보도 행태에 대한 반발 등의 이유로 언론 대립적인 정책 을 취할 때, 언론 내부에서 이에 대하여 일부 동조하는 세력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모델은 언론의 반응 구조가 분열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 우위의 정책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언론 우위 모델은 정부 우위 모델과 달리 언론의 반응이 공조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언론이 정부 정책에 대하여 이데올로기나 당파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동 보조를 취하여 대립, 갈 등하는 것을 가정한다. 만약 언론 전반의 정부 정책에 대한 공통의 반대 가 지속된다면, 정치체제 전반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이 강화되기 때문에 언론이 정책에 대한 우위를 점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홍보하는 참여기관으로서의 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최경진 2003). 정부가 구속기관과 참 여기관으로서의 위상이 강하다면 언론과 대립적인 양상이 크게 나타나고 조정기관과 조성기 관으로서의 위상이 강조된다면 언론과 협력적인 양상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45

16 셋째, 부분 협력 모델은 정부의 정책이 전체 언론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인 협력에 그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모델은 전체 언론에게 공통적으로 이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파적 친화성 을 갖지 않는 언론 매체를 배제함으로써 언론의 반응이 분열적으로 나타 나게 된다. 따라서 정부 정책이 전체 언론의 협력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부분 협력과 부분 반대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넷째, 전면 협력 모델은 정부의 정책이 전체 언론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모델은 언론의 이데올로기 지향이나 당파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언론에게 공통적으로 이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체 언론의 전면적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정부의 언론 정책 구분은 복잡한 요인들을 유형화함으 로써 단순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현상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 는 일종의 이념형(ideal type)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모델은 정부와 언론의 모든 상호관계를 포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 론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를 통하여 정부와 언론의 상호 관계를 전략 적이고 동태적인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4. 노무현 정부의 언론정책 노무현 정권은 역대 어느 정권보다 언론과 격렬하게 대립한 정권이 었다. 노무현 정부 언론 정책의 핵심 내용은 언론과 권력의 건강한 긴장 관계 를 표방하고 정치 권력과 언론의 유착관계를 단절하고 언론이 누리 는 부당한 특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다. 노무현은 정치 입문 초기인 146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17 1991년 통합민주당 대변인 발령 직후 주간조선의 보도를 계기로 조선일 보와 기나긴 전쟁 을 시작하였으며, 2001년 가을 대통령 경선 시기에는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거부하였다(노무현재단 2010). 뿐만 아니라 당선 직후 인수위원회 시절 채 3개월이 못되는 기간 동안 국내 언론을 상대로 총 21건의 정정 보도를 신청함으로써(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03) 언론과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했던 과거 정권과의 차별성을 부각시 켰으며, 퇴임을 6개월 앞두고 이루어진 인터뷰에서는 지난 5년간의 투 쟁에서 가장 큰 장애는 야당이 아니고 조중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라고 밝 히기도 하였다(오연호 2009). 즉 노무현은 정치권력을 감시하는 역할의 핵심을 시민사회로 인식하고 공정한 여론의 형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민 주주의론과 시민주권론에 근거하여 언론 정책을 전개한 것으로 볼 수 있 다(김재영 2011). 이러한 것을 고려할 때, 노무현 정권의 언론 정책은 정치인 노무현 의 언론관이 적극적으로 투영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노무현 정부에서 추진된 언론정책을 유형화하면 정부우위 정책과 언론우 위 정책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정부우위 정책은 2004년 탄 핵의 영향으로 조성된 여대야소 정국에서 추진된 언론관계법의 개정과 관련된 정책이다. 법 개정의 주요 내용은 신문사의 방송에 대한 겸영 금 지를 유지하면서 소유 지분의 제한, 시장 지배적 사업자 규정을 강화하 였다. 아울러 신문유통 질서를 어지럽히는 과도한 무가지 배포를 제한하 고 과도한 경품 제공을 금지하는 신문고시를 개정하고 공정거래위원회의 직접 단속을 강화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국정홍보처 2008). 두 번째는 그동안 언론이 누려왔던 특권을 폐지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노무현 정 부는 인수위 시절부터 가판 구독을 금지시켰으며, 취임 직후인 2006년 6월부터 청와대 기자실인 춘추관을 모든 언론에 개방하여 폐쇄적으로 운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47

18 영되는 기자단 제도를 사실상 폐지하였으며 대통령 비서실에 대한 방문 취재를 금지시켰다. 또한 2007년 5월에는 37개에 달하는 중앙부처 브리 핑 룸을 3곳으로 통폐합하고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제한하는 취재 지 원 선진화 방안 을 도입하였다. 이에 대한 언론의 반응 구조는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언론은 정부 정책에 격렬한 반대를 표명하였으나, 상대적으 로 진보적인 언론은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7) 즉 시장원리 구 현을 위한 각종 규제 정책은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 신문과 야당의 반대를 초래하였는데, 보수 신문은 소유 지분 제한을 재산권에 대한 침해로 이 해했으며 시장 지배적 사업자 규정에 관하여도 비판 신문을 통제하려는 탄압으로 인식하였다. 8) 그러나 진보적 언론과 학계, 언론개혁국민행동을 비롯한 시민사회의 언론 수용자들은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언 론사의 소유 지분 제한, 신문과 방송의 겸영 금지, 시장 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제한이 여론 다양성을 보장하는 사상의 자유 시장(free market of idea)을 이룰 수 있는 핵심 사안이라 주장하였다. 9) 이러한 결과 정부가 7) 언론 수용자들 역시 이념적 지향의 차이와 사안별로 비판적 내용이 존재하였지만, 대체로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정책을 대체로 지지하였다. 한겨레신문이 2004년 5월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에서는 언론사 소유지분 제한 등 언론관계법 개정 문제에 대해 찬성한 다 는 답이 62.7%로, 반대한다 는 의견(18.7%)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왔다(한겨레신문 2004/05/14). 8) 중앙일보는 열린우리당의 신문법 개정안이 결국 조중동을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규정해 3사 의 경영활동을 정부 감시하에 두겠다는 발상에 발상이며, 그럴 바에야 차라리 법 이름을 조중동 규제법 이라고 붙여라 라고 비판하였으며(중앙일보 2004/12/01), 동아일보는 언 론개혁 을 내세운 이 법안이 실제로는 비판신문을 겨냥한 악법( 惡 法 )에 지나지 않으며, 특정 대상을 미리 정해 놓고 법조항을 멋대로 재단하는 표적입법 의 전형으로 신문의 권력 감시 기능 약화, 언론자유 위축, 민주주의 후퇴라는 치명적인 수순을 밟게 될 것이다 라고 경고하 였다(동아일보 2004/12/02). 9)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를 금지하는 이유는 지상파방송과 시장과 신문 시장의 과점 현상을 고착화하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며(한나라당 문화관광위원회 공동보도자료 2004/10/ 148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19 추진한 언론개혁정책이 최초 추진되었던 내용에서는 다소 후퇴한 측면이 존재하지만, 10) 언론 개혁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 로 작용하였다. 둘째, 언론 우위 정책은 2007년 합동 브리핑 센터 운영과 전자 브리 핑 시스템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언론의 반발을 초래하였다. 이 정책은 기존의 기자실을 통폐합하여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실시하고 전자 브리핑 시 스템을 동원하여 기자단 사이의 담합을 방지하여 권력과 언론의 상호 견 제와 긴장을 유지하려는 취지에서 시행되었다. 이는 언론의 담합구조를 깨고 군소매체의 취재 접근권을 향상시켰다는 긍정적 평가도 존재하였으 나(남재일 2007), 취재원과 기자의 관계를 단절시켜 언론의 비판 의식을 위축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최영재 2007). 이 정책은 언론사별로 약간의 견해 차이가 있었으나, 과거 언론관계법 개정을 적극 지지하였던 일부 진보적 언론의 반대를 초래하였다. 11) 이는 2004년 언론 개혁을 추진 하던 시기와는 달리 언론의 반응 구조가 공조 체제를 이루며 정부 정책에 04), 조중동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신문 시장의 독과점 문제는 시장질서의 회복하기 위하 여 시장지배자에 대한 엄격한 제약이 필요하다(한겨레신문 2004/02/04). 10) 편집권 독립을 위한 핵심 사항인 사주의 소유 지분 제한 조항이 포함되지 못했으며, 여론 다양성 확보를 위한 시장지배적 사업자 규정에서 시장점유율의 산정 기준을 10대 중앙 일간 지가 아닌 경제지, 스포츠지 등을 포함한 전국 130여 개 신문을 대상으로 하는 한계가 나타 나기도 하였다(이규정 2010). 11) 정부의 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에 대한 반발은 신문 방송 통신 등 55개사의 편집 간부들을 회원으로 하는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와 같은 현직 언론인들의 반발을 초래하였 다. 이들은 편집 보도국장 긴급 회의를 열고 정부는 일련의 언론탄압 조치들을 즉각 전면 철회하라 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정부에 대한 취재 접근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는 조치는 취재한 사실의 보도에 개입하려 했던 군사정권 시절보다 질적으로 더 나쁜 언론 탄압 이라며 정부의 취재봉쇄 조치들은 일체 수용하지 않을 것 이라 고 밝혔다(한겨레신문 2009/09/01).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49

20 직접적으로 반대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언론 전반의 지속 적 반대를 초래한 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은 2007년 대선에서 이 명박 후보가 당선되자마자 백지화를 선언하고 폐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정부-언론 관계를 정립하려는 시도는 실패하게 되었다. 5.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은 전임 정부에서 시행한 정책에 대한 재검 토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경향을 반영하여 정부 조직을 개편하고 신문과 방송의 겸영 금지를 개정하였다. 우선 언론 정 책을 총괄할 정부조직의 개편 내용의 핵심으로 정보통신부를 해체하고 방송통신위원회를 출범시키는 것이었다. 정보통신부가 통신 기능은 방 송위원회와 합쳐져 방송통신위원회가 출범하였지만 정보통신 기능은 지 식경제부로, 정보화 기능은 행정안전부로 이관되면서 해체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분 야의 진흥과 규제 기능이 분산되어 효율적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지 못했 다는 비판이 존재한다(주정민 2013). 이와 같은 정부조직의 개편은 노무 현 정부 시기 개정된 언론관계법에 의해 제약되었던 주류신문의 방송 진 출을 가능하기 위한 요구에 반응한 측면이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명박 정부의 정책은 언론과 협력을 추구 하였으나 전체 언론의 공조를 이끌어 내지 못한 부분 협력 정책으로 유형 화할 수 있다. 우선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된 제도권 언론에 대한 정책의 주요 내용은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는 것과 이에 따라 주류신문들 150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21 이 종합편성채널에 진출하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12) 신문과 방송의 겸영 허용은 이른바 프레스 프렌들리(Press Friendly) 라는 협력적 언론 정책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언론친화, 시장원리와 자율 원칙을 토대로 노 무현 정부의 언론 정책을 부정하고 이전 언론 정책을 복원하고 시장원리 를 적용하기 위한 시도라 평가할 수 있다(김영욱 임유진 2009). 애초에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금지한 것은 여론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었다. 헌법재판소는 2006년 6월 조선일보가 제출한 헌법 소원 청구 결정 문을 통해 일간신문과 지상파 방송은 가장 대표적이고 강력한 미디어 수단이므로 이 두 수단의 융합은 전체 언론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이것이 언론의 다양성 보장을 저해할 위험성은 항상 존재 한다고 지적하 였다. 그리고 겸영 금지가 언론의 다양성 보장과 아무런 실질적 연관성 이 없다는 것이 명백할 정도로 미디어나 정보매체 환경에 획기적인 변화 가 생기지 않는 한, 겸영금지의 규제정책을 지속할 것인지 여부는 입법 자의 정책 판단에 맡겨져 있다고 보아야 한다 고 단서를 부가하였다. 이 에 따라 2011년 12월 1일자로 조선일보의 TV 조선, 중앙일보의 JTBC, 동아일보의 채널 A, 매일경제신문의 MBN 네 개의 채널이 일제히 방송 을 시작하였다. 주류신문들이 불투명한 시장성에도 불구하고 대거 종합 12)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이 제도권 언론에 대하여 협력적 성격을 보인 이면에는 시민사회에 대한 사찰과 검찰 수사, 전 정부에 대한 표적수사, 공안기구를 동원한 민간사찰, 고문수사, 정치적 의사표현에 대한 검열, 언론장악 시도 등 과거 권위주의 정부의 억압통치를 재연했 다 라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기도 하며(언론광장, 새언론포럼 주최 정부 언론탄압과 공영 방송 몰락 토론회 발표문, 오마이뉴스 2012/03/08), 이명박 정부의 역대 대통령 중 언론통 제 정도를 묻는 질문에 3위를 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하였다(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주최 <이용자 관점에서 본 차기정부의 미디어 정책> 토론회, 미디어스 2012/11/01). 뿐만 아니라 국경 없는 기자회는 외환 시장의 붕괴를 예측한 글을 개인 블로그에 게시한 일명 미네르바 의 구속으로 한국의 언론자유지수 순위는 69로 추락하여 인터넷 감시국 지위로 하락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국경 없는 기자회 2009).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51

22 편성채널 운영권을 획득할 수 있게 된 것은 기본적으로 2009년 9월 국회 에서 신문법, 방송법, IPTV법 등 미디어 관련법이 통과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문과 방송 겸영이 가능해졌으며, 신문과 대기업도 10% 지분 한도에서 지상파TV의 경영과 소유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종합편성채널 과 보도전문채널의 지분도 30%까지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13) 이명박 정부에서 실시된 언론 정책에 대한 언론의 반응 구조는 종합 편성채널 출범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주류신문의 찬성과 진보적 언론의 반대로 분열 양상을 나타냈다. 2009년 7월 이명박 정부 언론 정책의 핵 심 사안이라 할 수 있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이 통과된 직후 한겨레신문 은 조중동 권력 을 위한 반민주 악법이라 격렬하게 비판했으며, 14) 경향 신문 역시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을 언론자유와 민주주의를 유린한 날치 기 라고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15)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진보적 언론의 반응은 정부 정책에 대한 명백한 반대를 표명하는 13) 이명박 정부에서 통과된 미디어 관련법은 여당 의원들이 의결정족수 충족을 위해 대리투표 한 것이 사실상 확인되고 방송법 개정안의 경우 재투표까지 하는 이례적 상황이 발생함으로 써 사실상 날치기 통과 되었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 청구한 것에 대하여 국회의 입법형성의 자유 를 존중하여 위헌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으나 헌법불합치 선언을 하였다. 이는 헌법재판소가 실체적으로는 위법판단을 내리고 그 판단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판시를 유보하되 다른 국가기관들에게 시정할 기회를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박경신 2009). 14) 한겨레신문은 미디어 관련법 개정을 조중동 방송 의 등장으로 방송 체제가 공영 위주에서 다민영으로 바뀌고 방송공사법 제정과 민영 미디어렙 도입까지 이어지면, 시장논리가 전체 방송시장을 휩쓸고 주권자인 국민 대신 언론권력과 스스로의 이익만 좇고 섬기는 행태이자, 과거 독재정권 시절의 권언유착을 되살리려는 시도라고 비판하였다(한겨레신문 2009/07/ 23). 15) 경향신문은 미디어 관련법 날치기 통과는 민주주의의 재앙으로, 언론자유를 치명적으로 훼손하는 문제로 받아들일 이유가 충분하다고 비판하고, 언론자유와 민주주의의 적을 족벌 신문들의 방송 진출을 허용해 장기집권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이명박 정권으로 이해 하였다(경향신문 2009/07/23). 152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23 것은 물론이거니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와 같은 주류신문을 정 부 정책의 수혜자라고 비판하는 등 언론 내부의 대립과 분열 현상이 극명 하게 나타났다. 특히 시민사회 부분에서의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한 반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기도 하였다. 16) 이러한 반 대 의견은 언론 시장의 집중도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신문과 방송의 겸영이 여론 다양성을 침해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 여론다양 성위원회 와 같은 기구의 우선 설치를 제안한 학계의 요구와 유사한 내용 을 공유하고 있다(이용성 2008b). 뿐만 아니라 2009년 미디어 관련법이 날치기 통과된 이후 언론노조와 야당을 비롯하여 자발적으로 참석한 네 티즌들의 촛불 집회가 전국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는 이명박 정권 초기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대규모 촛불 집회가 발생한지 1년 만 에 전국적 규모의 촛불 집회가 재현된 것으로 시민사회가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을 거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언론 내부의 반발과 분열된 언론 반응 구조에도 불구하고 추진된 이 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은 이미 예상했던 문제들을 발생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이 출범한 2012년 12월의 주별 시청률을 보면, 살펴보면 <그림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1%를 넘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조차도 개국 이후에는 하락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종합편성채널의 수익이 16)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이 구체화되기 시작한 2008년 6월에 공공미디어연구소에서 실시한 미디어 현안 관련 국민인식조사 에서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에 대하여 응답자의 68%가 잘못하고 있다 고 답했으며, 반면 이명박 정부 언론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20%로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미디어스 2008/06/25). 또한 2009년 5월 19일~20일에 한국리서 치의 미디어 관계법 개정 여론 조사에서는 신문사가 지상파 방송 지분을 소유하도록 허용하 는 것에 대한 찬반 조사에서 기자, PD 등의 현업인들은 78%가 반대했으며(찬성 18.8%, 모름 3.2%), 한국언론학회 등 언론학자들은 64.7%(찬성 33.3%, 반대 2.0%)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53

24 <그림 2> 종합편성채널 4사 주간 시청률 추이 월 첫째 주 둘째 주 셋째 주 넷째 주 다섯째 주 1월 첫째 주 둘째 주 JTBC 채널 A TV 조선 MBN 자료: AGB닐슨미디어리서치 되는 광고 단가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4개 회사 모두 가 시장에서 생존하는 것에 대한 심각한 회의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0년 한국언론재단에서 실시한 종합편성채널의 영향력에 관한 설문조 사는 공익성이나 여론의 다양성 증가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즉 기존 방송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종 합편성채널은 방송의 상업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는 의견이 3.9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종합편성채널은 방송의 오락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는 의견이 3.71점으로 나타났고 방송의 공익성을 증가시킬 것이 다 는 의견은 2.55로 최하위로 나타났다(최일도 허웅 2011). 요컨대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은 전임 노무현 정부의 정책과 대비 되는 기업으로서의 언론사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는 협력 위주의 정책 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언론의 공익성과 여론 다양성을 면밀하게 고려하 154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25 지 않는 신문과 방송의 겸영 허용과 주류신문의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가 능하게 하였다. 또한 미디어 관련법 통과 과정에서 여당의 불법 행위에 대한 시민과 언론 수용자의 반발을 초래하였으며, 종합편성채널의 낮은 시청률이라는 문제를 노정하게 되면서 시장에서의 수익성에서도 문제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6. 결( 結 ) 요약과 함의 한국 민주화의 역설적인 현상 중의 하나는 민주화를 주도한 세력이 아니라 민주화를 방관하거나 거부한 세력의 권력이 확대되었다는 것이 다. 한국의 언론이 민주화 과정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특히 주류신문의 경우는 오히려 권위주의 시기를 거치며 기성 권력 (establishment)의 일부로 성장하게 되었다. 민주화 이후 정치권력과 언론 의 대립은 주로 보수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주류신문과 진보적 개혁 적 정권과의 대립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 정부나 정당, 의회와 같은 전통적 정치제도의 영향력을 언론이 압도하는 정치의 미디어화(mediatization)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선거를 통해 집권한 정부는 정치와 언론의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한 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 었다. 이는 선거라는 합법적 위임 과정을 통하여 선출된 권력을 통해 지 배되는 민주주의 체제에서 일종의 선출되지 않은 권력 이며 결국 무책 임한 권력(Curran 2005) 으로 전락할 수 있는 언론 사이의 내재적 갈등 가능성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정치권력과 언론의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권력의 약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55

26 <표 2>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론 반응 구조 비교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기본 성격 대립 감수 협력 우선 언론자유도 언론의 반응구조와 정책 성과 자유 (정치권력과 언론의 건전한 긴장관계) 분열(보수언론의 반대)에 의한 성공 공조에 의한 실패 부분적 자유 (당파적 차별과 배제) 분열(진보언론의 반대)에 의한 성공 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은 정부 정책의 성격과 언론의 반응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노무현 정권과 이명박 정권에서 추진된 정부의 언론 정책의 성격을 비교하면 <표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노무현 정부의 정책은 언론과의 대립을 감수하는 것이었던 반 면, 이명박 정부의 정책은 가능하면 언론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무현은 정치권력과 언론의 유착을 근절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긴장 관계를 유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 던 것과 달리, 이명박은 시장적 관점에서 언론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더 욱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은 각 각 언론을 대립과 협력의 대상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편향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노무현 정부는 임기 내내 언론과 지속적인 마찰, 갈등, 대립 관계를 형성한 반면, 이명박 정부는 진보적 언론과 시민사회와는 갈등관계에 놓여 있었으나 조중동과 같은 보수언론과는 비교적 친화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17) 17) 두 정권의 언론 정책의 성격 차이는 정부 홍보담당자들이 언론관계와 오보에 대한 인식에서 156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27 둘째, 정부 정책의 성격과 언론의 자유도에 대한 평가는 일종의 역 전현상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정부의 정책이 언론과 협력적이면 언론 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반대로 대립적이면 언론의 자유도가 하락할 것으 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 정책이 언론에 대하여 협력적, 또는 대 립적이냐의 여부가 언론의 자유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라, 정부가 언 론을 통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가의 여부가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 할 수 있다. <그림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한 국가별 언론 자유 지수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 시기 한국의 언론 은 충분한 수준의 자유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집권 이후에는 2009년 인터넷 포털 다음 아고라에 한국 경제의 환율 폭등과 금융위기 도래 가능성을 예견한 인터넷 논객을 허위사실 유 포죄로 구속한 미네르바 사건이 발생하여 한국이 인터넷 감시 국가로 분 류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언론 자유도 순위가 47위에서 69위로 하락 하고 언론 자유가 급격히 위축되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18) 이와 같은 결과는 노무현 정부의 언론 정책이 언론과 대립하는 성향을 보였지만, 정치권력과 언론의 건전한 긴장 관계의 정립이라는 민주주의의 상호 견 제와 균형의 원리에 근거했기 때문이다. 즉 노무현 정부에서 추진한 언 론 정책은 언론의 영향력의 실체를 인정하고 정치 체제의 동등한 행위자 도 차이를 나타냈다. 노무현 정부 홍보담당자들은 언론과의 비공식적 관계나 물질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오보의 발생 원인에 대하여도 언론사의 적대적 관계에 의한 의도 적, 이데올로기적 요인에 더욱 초점을 두는 등의 언론과 적대적 대립 구도를 나타낸 반면, 이명 박 정부 홍보담당자들은 언론에 대한 강한 수용 태도를 나타내는 차이를 보였다(임유진 김영 욱 2011). 18) 한편 프리덤 하우스에서 발표에 따르면, 다양한 압력이 언론자유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하여 2011년, 2012년에 한국 언론의 자유도는 부분적 자유로 하락하게 되었다 (Freedom House 2011; Freedom House 2012).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57

28 <그림 3> 한국의 언론 자유 지수 및 순위 변화 ~ 지수 순위 자료: 국경 없는 기자회( 로 인식한 것이다. 반면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은 친화적이고 협력적 인 모습을 보였지만, 정책의 혜택이 당파적인 차별성을 지니는 것이었 다. 즉 지식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 환경의 변화와 언론 분야의 국제 경쟁에 대한 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나 산업적 차원의 이익이 언론 전체에 공정하게 돌아가도록 하지 않았다. 정권과 이데올로기적으 로 친화성이 높으며 당파적 이익을 공유하는 보수적 매체에게는 수익 구 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정권에 대한 우호적 매체 환경을 상호 교환하였다. 반면에 정부와 상이한 이데올로기 지향을 갖고 있는 매체와 시민사회의 비판을 무시하였으며, 이익과 지지의 교환 관계에서 도 철저히 배제하였다. 셋째, 정부가 추진한 정책의 성과 도출을 결정하는 것은 언론의 반 응 구조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분석한 158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29 사례에서와 같이 정부가 언론 정책이 효과적으로 집행될 수 있으려면, 언론의 반응이 분열적으로 나타나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노무현 정 부에서 추진된 언론관계법 개정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대야소라 는 조건을 제외한다면, 정책의 직접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언론이 정파적 으로 분열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 은 정권 말기 레임덕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과 더불어 언론이 전체적으로 정부 정책에 저항하는 공조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실상 실패하게 된 것 이다. 반면 이명박 정부의 경우 정부와 보수 언론의 공조가 이루어지고 진보 언론의 반대가 제기되었지만, 언론의 반응 구조가 분열되었기 때문 에 미디어법 개정이 성공할 수 있었다.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정부의 언 론 정책이 대립적 성격을 띠게 될지라도 권위주의 체제에서처럼 정치권 력이 일방적으로 언론을 강제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민주주의 체제의 언론은 정부 정책의 강제 가능성으로부터 자율성을 갖는 존재일 뿐만 아니라, 정부 정책의 성패를 결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영향력을 갖는 존재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언론의 정치적 영향력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현상은 민주주의 실패 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회의는 무지한 대중에 의한 중우정치 (ochlocracy)로의 전락 가능성이었다. 오늘의 정치 현실은 시민 결사체의 발달과 참여를 통하여 중우정치의 문제점을 극복했을지라도 전혀 예상하 지 못한 언론이라는 새로운 행위자가 민주주의 자체의 효용성에 회의를 초래할 수 있게 되었다. 언론의 정치적 의지, 언론을 소유한 세력, 또는 그와 결탁한 세력의 정치적 이해가 선거를 통해 집권한 정부의 정책보다 우선하는 민주주의의 실패 가능성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선거를 통하여 집권한 세력이 시민의 의사와 무관하게 무제한적으로 권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59

30 력을 행사하는 위임 민주주의(delegative democracy)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하여 일상적으로 지속적인 견제와 감시를 해야 하는 대상은 정치권력뿐 만 아니라, 언론까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국문 자료>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 권장원 한국 언론사의 관계 권력 구조에 대한 연구: 연고에 의한 사적 신뢰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김대호 미디어 산업에 대한 유럽연합의 경쟁정책에 대한 연구. 한국 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제47권 6호 김서중 공공성 위기를 초래할 이명박 정부 언론정책. 황해문화 제 58호 이명박 정부와 언론 공공성 붕괴. 인물과 사상 2012년 12 월호 김영욱 임유진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대한 담론 변 화 분석: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 대한 보도 이데올로기 차원 비교 평 가.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김재영 웹2.0 관점에서 본 노무현의 언론관. 언론과학연구 제11권 2호 김재영 이승선 종합편성채널 정책 평가: 정책의 내용과 결정과정 분 석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4권 1호. 160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31 김진두 이명박 정부의 한국 신문 산업의 변화. 동서언론 제12집 남재일 참여정부의 언론정책과 취재관행 변화.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토론회 참여정부 정책홍보 시스템 평가와 과제> 노무현재단 편. 유시민 정리 운명이다. 돌베개. 박경신 헌재의 미디어법 판결의 문제점.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 회 학술대회 논문집 박승관 장경섭 한국의 정치변동과 언론권력: 국가-언론 관계 모형 변화.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4-3호 손혁재 언론개혁과 지식인. 김만흠 외. 한국의 언론정치와 지식권 력. 당대. 송건호 한국 언론 바로보기 100년. 다섯수레. 송의호 이상식 참여정부의 출입처 제도의 변화가 취재 관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0호 송호근 공론장의 역사적 형성 과정: 왜 우리는 불통사회인가? 한국 언론학회 편. 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오연호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오마이뉴스. 유재천 권위주의에서 자율과 조정으로. 계간 사상 가을호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정책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이규정 한국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주류신문과 정부의 전략적 선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 논문. 이용성. 2008a. 신문산업 진흥을 위한 신문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언 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 논문 b. 신문방송 겸영규제 완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언론학 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 논문 임유진 김영욱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언론 관계와 오보에 대한 인식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61

32 조사. 한국언론정보학보. 55호 정진석 역대정권의 언론정책 권위주의적 통제에서 세무조사까지. 관훈클럽. 관훈저널 제16대대통령직인수윈원회 제16대 대통령직 인수 위원회 백서: 대화. 조항제 한국의 민주화와 미디어 권력. 한울. 주동황 역대정부의 언론정책. 관훈클럽. 관훈저널 88. 주정민 미디어정책 관련 정부조직 및 기구 변천사. 신문과 방송 2013년 4월호 최경진 한국의 정부와 언론의 갈등적 관계에 관한 일 고찰 참여정부 의 언론정책적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3권 3호. 최영재 참여정부 홍보 언론시스템 평가와 과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토론회 참여정부 정책홍보 시스템 평가와 과제> a. 새 정부, 신문/언론 정책의 방향. 한국언론학회. <새 정부의 미디어 정책과제 세미나> 발표 논문 b. 새 정부의 미디어정책과 뉴스전문 채널의 위상 변화. 한국 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최용주 정치와 언론의 상호침투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 학 술 발표회 최일도 허웅 종합편성채널 도입 이후 광고시장 전망과 과제. 한국 언론진흥재단 연구서. 한나라당 문화관광위원회 공동보도자료. 2004년 10월 4일. Curran, James. Media and Power. 김예란 정준희 역 미디어 파워. 커뮤니케이션북스. Habermas, Jürgen. 한승완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 162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33 Hallin, Daniel C., and Paolo Mancini. 김수정 정준희 송현주 백미숙 역 미디어 시스템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재단. Herman, Edward, & Noam Chomsky. 정경옥 역 여론조작 매스미디 어의 정치경제학. 에코리브르. Schattschneider, E. Elmer The Semisovereign People. 현재호 박수형 역 절반의 인민주권. 후마니타스. <영문 자료> Curran, James The Press as an Agency of Social Control: An Historical Perspective. Boyce et al., eds. Newspaper History. Sage Dahl, Robert. A Poyarchy: Participation and Opposition. New Heaven: Yale University Press. Donohue, G. A., P. J. Tichenor, and C. N. Olien A Guard Dog Perspective on the Role of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Volume 45, Issue Ghanem, Salma Filling in the Tapestry: The Second Level of Agenda Setting. Maxwell E. McCombs, Donald Lewis Shaw and David Hugh Weaver. Communication and Democracy: Exploring the Intellectual Frontiers in Agenda-Setting Theor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Ginsberg, Benjamin, and Martin Shefter Politics by other Means: Politicians, Prosecutors and the Press from Watergate to Whitewater. New York: W. W. Norton. Hallin, D. C Commercialism and Professionalism in the American News Media. In J. Curran and M. Gurevitch, eds. Mass Media and Society. London: Arnold.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63

34 Hjarvard, Stig The Mediatization of Religion: A Theory of the Media as Agents of Religious Change. In Northern Lights Yearbook of Film & Media Studies. Bristol: Intellect Press Iyengar, Shanto, and Jennifer McGrady Media Politics: A Citizen s Guide. New York: W.W. Norton. Kelly, D., and R. Donway Liberalism and free speech. In J. Lichtenberg, ed. Democracy and the Mass Media: A Collection of Essays. Cambridge: CUP. Lilleker, Darren G Key Concepts in Political Communications. London: Sage. Mazzoleni, Gianpietro, and Winfried Schulz Mediatization of Politics: A Challenge for Democracy? Political Communication, Volume McCombs, Maxwell, and Donald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36. Meyer, Thomas, and Lew Hinchman Media Democracy: How the Media Colonize Politics. Cambridge. Polity Press. Noelle-Neumann, Elisabeth Offentlichkeit als Bedrohung: Beitr. zur empir. Kommunikationsforschung (Alber-Broschur Kommunikation: Bd. 6) (German Edition). Ronneberger, Franz Kommunikationspolitik. Institutionen, Prozesse, Ziele. I. v. Hase & Koehle. Sarcinelli, Ulrich Symbolische Politik. Westdeutscher Verlag. Sartori, Giovanni The Theory of Democracy Revisited. Chatham, N.J: Chatham House. Scammell, Margaret, and Holli Semetko, eds The Media, Journalism and Democracy. Aldershot, Burlington: Ashgate. 164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35 Schatz, Heinrich Zum Stand der politikwissenschaftlich relevanten Massenkommunikationsforschung in der Bunderepublik Deutschland. In U. Bermbach, ed. Politische Wissenschaft und Politische Praxis. Westdeutscher Verlag. Strömbäck, Jesper Four Phases of Mediatization: An Analysis of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13, No <기타 자료> 국경 없는 기자회( 동아닷컴( 디지털 조선일보( 미디어가온( 미디어스( 오마이뉴스( 조인스닷컴( 프리덤하우스(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65

36 영문초록 The Media Response Structure and Media Policy of Government Yee, Gyu Jeong Korea University This study aimed at explain the procedure and result of government s media policy through the media response structure. The media has the function of making public sphere by the surveillance of the power,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agenda setting. After the democratization, the politics of Korea is more and more intensified conflicts about media and occurred the mediatization which means the media overwhelms traditional political institutions like government, congress, political party and so on. The government which takes political power through the election prosecutes competitive, or cooperative policy to the media, and the media response structure is the division, or the cooperation. Therefore the rel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can be classified as the government dominant model, media dominant model, partly cooperation model, and overall cooperation model. With this perspective and framework, this study analyses the Roh Moo-Hyun government which came into conflict with the media fiercely and Lee Myung-Bak government which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dia. 166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37 Key Words: Mediatization, Media Policy, Media Response Structure, Roh Moo-Hyun Government, Lee Myung-Bak Government 투고: 심사: 확정: 언론 반응 구조와 정부의 언론 정책 167

ad-200400012.hwp

ad-200400012.hwp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연구요약 표 주제 및 연도별 여성유권자 연구 현황 표 출마한 여성후보 인지시기 투표후보여성

More information

<B1E2BEEFB0FAC0FCB8C13330C8A3206F6B2DBAB8C0CCBDBABEC6C0CC2E687770>

<B1E2BEEFB0FAC0FCB8C13330C8A3206F6B2DBAB8C0CCBDBABEC6C0CC2E687770> 일반논문 언론반응구조와정부의언론정책 이규정 고려대학교 < 논문요약 > 이연구의목적은정부의언론정책이추진되는과정과결과를언론의반응구조를통하여설명하는것에있다. 민주주의체제에서언론은권력에대한감시, 정보의전달, 의제의설정을통한사회적공론장을형성하는기능을담당하고있다. 민주화이후한국정치는언론과관련된영역에대립과갈등이심화되고있으며, 언론의정치적영향력이기존정치제도들을압도하는정치의미디어화현상이발생하고있다.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 (Evaluation and Perspective of the Broadcasting Policy: The Direction and Tasks of a New Broadcasting Policy in Korea) 2013. 1 : ⅶ 1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1 2. 연구의구성및범위 2 2 제 1 절미디어환경의변화 4 1. 스마트미디어의확산과발달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¾Æµ¿ÇÐ´ë º»¹®.hwp

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

....2-.......hwp

....2-.......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이 논문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하는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한국 TV방송의 전 통적인 뉴스가치를 고찰해 보았다.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는 일부의 장미빛 기대와는 달리 여전히 불투명하다. 일반 수용자가 디지털 TV세트를 구입하 며, 디지털화된 뉴스를 일상적으로 이용하는데는 최소한 10년 정도의 시간 이 필요하리라 예상해

More information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성매매방지법 제정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 거버넌스 관점과 여성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오 혜 란 * 1) 초 록 주요용어:성매매방지법, 성매매, 여성관련 법률, 여성단체, 여성정책, 입법과정, 젠더, 거버넌스, 젠더 거버넌스, NGO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여성정책과 거버넌스 거버넌스의 의미 거버넌스의 유형 1) 국가(정부)주도형

More information

의정연구_36호_0828.hwp

의정연구_36호_0828.hwp 특집논문 제19대 총선과 정당체제 전망: 연합 정치의 효과 정 병 기 (영남대학교) 요약 19대 총선은 선거 연합을 통해 반공 보수주의 카르텔 체제의 해체를 확정짓 고, 정당 통합 및 선거 연합을 통해 지역주의 정당체제의 약화를 지속시켰다. 이러한 연합 정치에 의해 지역주의 구도가 약화되면서 전통적 보수와 자유주 의 보수 및 권위주의 진보가 대립하는 기존 삼각

More information

4 7 7 9 3 3 4 4 Ô 57 5 3 6 4 7 Ô 5 8 9 Ô 0 3 4 Ô 5 6 7 8 3 4 9 Ô 56 Ô 5 3 6 4 7 0 Ô 8 9 0 Ô 3 4 5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 선거의 의미와 필요성 ① 선거의 의미`: 우리들을 대표하여 일할 사람을 뽑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선거의 필요성`: 모든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일을 의논하고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식민지 공공영역 으로서의 1910년대 每 日 申 報 * 1) 윤상길** 2)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본고는 1910년대 당시의 시대상황과 합병직후의 문화상황 속에서 每 日 申 報 가 가지는 사회적 역할 이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식민지 공공영역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강제 병합 직후 식민지 조선의 공론장 구성이 일본어를 근간으로

More information

<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한국형 노사관계 모델의 탐색 제 절 머리말 제 절 시장체제와 민주주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유형 제 절 박정희 시대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시장 형성적 권위주의 제 절 전두환 정권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시장순응적 권위주의 제 절 노태우 김영삼 정권 하에서의 자본주의 정치경제 규제되지 않은 개방 경제 시장 민주주의 발전국가의 쇠퇴와 국가규율의 약화 재벌체제의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뉴스평가지수의개발과적용

뉴스평가지수의개발과적용 뉴스평가지수의개발과적용 이보고서는 2010 년한국언론진흥재단의언론진흥기금을지원받아수행한것입니다. 보고서의내용은한국언론진흥재단의공식견해가아닌연구자의연구결과임을밝힙니다. 목 차 < 표 > 목차 < 그림 > 목차 13 14 15 1) 16 17 18 19 20 21 22 23 24 지지입장취재원언급문장수가반대입장취재원언급문장수보다많을때 지지입장취재원언급문장수

More information

(중등용1)1~27

(중등용1)1~27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제헌헌법의제정과정 1945년 8월 15일: 해방 1948년 5월 10일: UN 감시 하에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 제헌 국회의원 198명 선출 1948년 6월 3일: 헌법 기초 위원 선출 1948년 5월 31일: 제헌 국회 소집. 헌법 기 초위원 30명과 전문위원 10명

More information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24011001-03072015000.ps

24011001-03072015000.ps News News p/3 메트로 2015년 7월 3일 금요일 제3250호 www.metroseoul.co.kr 조선 중앙이 사이비언론 p/6 삼성SDI 전지사업 적신호 한국광고주협회의 간담회 모습. /출처=반론보도닷컴 아주 나쁜 위헌적 단체 광고주협회 존재 자체가 위헌적입니 다 2일 한국광고주 협회(회장 이정치)의 사이비 언론 조사결과 발표 보도 를 본 뒤

More information

....5-.......hwp

....5-.......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방송 콘텐츠는 TV라는 대중매체가 지닌 즉각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수익 창출이라는 부분에서 영화에 비해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이 사실 이다. 그러나, 최근 드라마 이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해 내 면서 방송 콘텐츠의 수익 구조에도 큰 변화가 오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드라마 은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의 폭력행위는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서 묘사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만화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해 각 인 물의 반사회적 행위 및 친사회적 행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맥락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조사하였다. 맥락요인은 반사회적 행위 뿐 아니라 친사회적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75 ( ) ( ) *. ** 1, hspark9233@gmail.com ***, visionofsea@hotmail.com 76 :,,,,,,, 1987 6.29... 1993.. 1997. (IMF).., 77...,,......,..,.....??. 78?.. (conventional wisdom),,.,,,...... 2014.,,... 79 (Sigal,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소비자문제연구 제41호 2012년 4월 해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용약관의 약관규제법에 의한19)내용통제 가능성* : Facebook 게시물이용약관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이병준 업 요약 업 규 규 논 업 쟁 때 셜 네트워 F b k 물 규 았 7 계 건 됨 규 규 업 객 계 규 므 받 객 드 객 규 7 말 계 률 업 두 않 트 접속 록 트 른징 볼 규 업 내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연구논문 제19권 제3호, 2012년 가을호, pp.19~35 포털 뉴스의 연성화와 의제설정의 탐색* 조 화 순**, 장 우 영***, 오 소 현**** 인터넷 이용자들이 포털을 활용해 뉴스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포털이 뉴스의 연성화를 촉진해 요약 여론형성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포털은 기존의 뉴스배치모델과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2006

2006 20대 총선 결과 관련 여론조사 2016. 5. 차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4 2. 주요 조사 내용 4 3. 조사 설계 5 4. 응답자 특성 6 제2장. 요약 1. 노동개혁, 고용 문제 해결 도움 정도 8 2. 노동개혁 추진, 지지후보 및 정당 결정 영향 정도 9 3. 지지후보, 정당 선택 시 가장 도움을 받은 매체 9 4. KBS MBC 등 공영방송

More information

피해자식별PDF용 0502

피해자식별PDF용 0502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IOM 인신매매 방지 교육 지침서 시리즈는 인신매매 피해자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 는 전 세계 곳곳에서 인신매매 방지 되었다. IOM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실무자에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비정부기구, 정 게 도움이 될

More information

석사논문연구계획서

석사논문연구계획서 20040725K (2004 7 25 ) 31-36133h 1 the self identity 2 ADSL PC 1 3 4 5 2 7 5 1 3 3 10 3 3 6 4 1020 in-depth interview 4 10 7 Alexander, Cynthia J. and Pal Lesile A., ed., Digital democracy : policy and

More information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GM작물실용화사업단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GM작물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김욱 박사 1. 조사목적 GM 작물 관련 인식조사는 사회과학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GM 작물 관련 인식 추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조사설계 2.1.

More information

조사연구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ause of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of telephone survey. We use the telephone survey paradata released by N

조사연구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ause of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of telephone survey. We use the telephone survey paradata released by N 조사연구 권 호 DOI http://dx.doi.org/10.20997/sr.17.3.5 연구노트 2016 년국회의원선거전화여론조사정확성분석 Analysis of Accuracy of Telephone Survey for the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s 1)2) a) b) 주제어 선거여론조사 전화조사 예측오차 편향 대국회의원선거

More information

조사연구 sampling error of polling sites and the additional error which comes from non-response, early voting and second stage sampling error of voters in

조사연구 sampling error of polling sites and the additional error which comes from non-response, early voting and second stage sampling error of voters in 조사연구 권 호 DOI http://dx.doi.org/10.20997/sr.18.4.7 연구노트 2016 년국회의원선거출구조사오차분석 Analysis of Prediction Error of the Exit Polling for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Korea 1) 3) a) b) c) 주제어 대국회의원선거 예측오차

More information

<3031C8ABB5E6C7A52E687770>

<3031C8ABB5E6C7A52E687770> 3 한국 주요정당의 연속과 변화 홍 득 표(인하대) I. 머리말 1. 문제의 제기 정치발전을 논하려면 정당, 의회, 선거, 정치문화 등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들은 정치발전과 상호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 논의보다는 종합적으로 접근해 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치가 발전하려면 우선적으로 정당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열린세상열린방송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2.86%)... 13개 MBN 시청률 3% 이상 유료방송 프로그램 총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최종ok-1-4.hwp

최종ok-1-4.hwp 국회 원내지도부의 입법영향력 분석 193 국회 원내지도부의 입법영향력 분석: 상임위원회 지도부를 중심으로 전진영 국회입법조사처 논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제19대 전반기 국회를 대상으로 원내지도부의 입법활동을 비교분석하고, 법안발의와 입법성공률 등 국회의원의 입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19대 국회 전반기에 발의된 총 8,717건의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이남표(2012.3.14)_방통규제기구공영방송거버넌스_민언련.pptx

이남표(2012.3.14)_방통규제기구공영방송거버넌스_민언련.pptx 민주적 소통 회복을 위한 방송거버넌스 개선방안 - 방송통신규제기구와 공영방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 2012. 3. 14 이남표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목차 - 1. 서론 2. 방송통신위원회의 개선방안 3.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개선방안 4. 공영방송 거버넌스 개선방안 5. 결론 1. 서론 - 이명박 정부 방송정책 평가 - 방송 거버넌스의 개념 -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목차 I. 서언 II. 북한무인기능력과발전추세 III. 대남도발양상과예상피해수준전망 IV. 군사선진국들의무인기운용 V. 우리군의대응방향 VI. 결언 1) 공군사관학교졸업. 영국 Hull University 국제정치학박사. 국방대학교안보대학원군사전략학부장. 2) 자유북한방송, 2014. 5. 9. 3) Reudiger Frank, 'A Guide to Kim

More information

여름호01~57_최종

여름호01~57_최종 7 19대 국회의원 총선 보도 분석: 과 를 중심으로 이효성 청주대학교 신방송학과 교수 I. 제제기 및 연구목적 민주주의 사회의 선거 과정에서 언론은 매우 중요 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언론이 선거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그만큼 크기 때이다. 한 마디로 선거 등 정치과정에서 차지하는 언론의 중요한 위상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이론의

More information

01정책백서목차(1~18)

01정책백서목차(1~18) 발간사 2008년 2월, 발전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출범한 새 정부는 문화정책의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로 설정하고, 그간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권한과 책임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고, 효율의 원리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과감한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란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과 풍요로움을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30312DC8ABBDC2C7E52E687770>

<30312DC8ABBDC2C7E52E687770> 사회연구 통권13호(2007년 1호), pp. 9~43 여론과 정책 - 민주화 이후 한국정부의 정책응답성 1)홍승헌 이 논문은 민주적 책임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민주정부가 응답적이어야 한다는 전제 하 에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에서 정부가 실질적 응답성을 지니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경 험적으로 논증한다. 두 가지 분석을 수행한다. 먼저 최근 10년 간 여론과 정책의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03-28-여름-특집2

03-28-여름-특집2 지역신문에 나타난 18대 총선보도의 문제점과 논의 - 폭로, 여론조사, 연고주의 보도를 중심으로 - 이 효 성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졸 미 University of Wisconsin - Whitewater 언론학 석사 및 미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 Carbondale 언론학 박사 부산일보 기자, 청주흥덕구선거관리위원회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단양군지

단양군지 제 3 편 정치 행정 제1장 정치 이보환 집필 제1절 단양군의회 제1절 우리는 지방자치의 시대에 살며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고 주민의 복지증진을 꾀 하고 있다. 자치시대가 개막된 것은 불과 15년에 불과하고, 중앙집권적 관행이 커 서 아직 자치의 전통을 확고히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앞으로의 과제 가 더 중요하다는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우리지역 지방자치의

More information

대학생연수용교재 선거로본대한민국정치사

대학생연수용교재 선거로본대한민국정치사 대학생연수용교재 선거로본대한민국정치사 1 ----------------------------------- 1 2 -------------------- 3 1. -------------------------- 3 2. ------------------------------ 5 3. ------------------------------ 7 3 -------------------

More information

%±¹¹®AR

%±¹¹®AR 2004 CONTENTS 03 04 06 14 21 27 34 40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Auf den Spuren der Ostbarbaren Czech-Korean Dictionary 18 19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More information

41-4....

41-4.... ISSN 1016-9288 제41권 4호 2014년 4월호 제 4 1 권 제 4 호 ( ) 2 0 1 4 년 4 월 차 세 대 컴 퓨 팅 보 안 기 술 The Magazine of the IEIE 차세대 컴퓨팅 보안기술 vol.41. no.4 새롭게 진화하는 위협의 패러다임 - 지능형 지속 위협(APT)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 프로그램 대응전략 차세대

More information

01-02Àå_»ç·ÊÁýb74öÁ¤š

01-02Àå_»ç·ÊÁýb74öÁ¤š C O N T E N T S 7 13 35 44 44 62 65 76 92 121 131 138 151 163 174 180 185 193 199 204 206 209 228 256 287 296 318 321 322 344 348 354 357 359 364 367 399 410 428 446 투명한 법, 공정사회로! 2010 부패영향평가 사례집 부패영향평가는

More information

¾ç¼ºÄÀ-2

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여 48.6% 남 51.4% 40대 10.7% 50대 이 상 6.0% 10대 0.9% 20대 34.5% 30대 47.9% 초등졸 이하 대학원생 이 0.6% 중졸 이하 상 0.7% 2.7% 고졸 이하 34.2% 대졸 이하 61.9% 직장 1.9% e-mail 주소 2.8% 핸드폰 번호 8.2% 전화번호 4.5% 학교 0.9% 주소 2.0% 기타 0.4% 이름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프로그램 선택은 다단계적인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본 연 구는 TV시청을 일상 여가행위의 연장선상에 놓고, 여러 다양한 여가행위의 대안으로서 TV시청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과, TV를 시청하기로 결정할 경우 프로그램 선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 밝히고자 했다. 27) 연구 결과, TV시청

More information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3輯 1 號 ) 된지 오래다. 국회가 본연의 임무를 다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의회가 국민들로부터 불신 받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국민들이 국회에 대한 불신이 너무 크며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해서도 아주 부정적으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3輯 1 號 ) 된지 오래다. 국회가 본연의 임무를 다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의회가 국민들로부터 불신 받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국민들이 국회에 대한 불신이 너무 크며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해서도 아주 부정적으 대한정치학회보 23집 1호, 2015년 2월: 71~97 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국회의 역할과 과제 - 국회 내 정당 양극화 해소를 중심으로 - 김 형 준 명지대학교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 내 정당 양극화를 가져오는 요인들에 대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국회가 사회 통합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국회 양극 화 를 해결하지 않고는

More information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사회연구 통권15호(2008년 1호), pp. 9~39 제7회 사회연구 학술상 우수상 수상논문 한국 성매매 반대운동의 프레임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1970 2005년 기간을 중심으로 1)이동주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성매매 반대 운동에서 나타난 프레임 변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1970년대에서 2000년대 중반에 이르는 성매매 반대운동에서 네 단계별로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4.기획특집5-최종

4.기획특집5-최종 1 20 2002 11 2008 5 30 75 2008 2008 2002 2004 2008 2008 1964 63 1987 6 2008 20 1980 76 196070 1980 2008 2008 20 2008 2008 77 2 20 20 2008 20 2000 WiBro 20 (agora) 45 3 5 3 78 NHN (street journalism) UCC

More information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1960 년대 1960 년 35 1960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36 37 1960 년 [ è ] 1851 1 [ ] 1 é é é 1851 É 1960 년 2 1 2 11 1952 22 38 1961년 1961년 39 1961 년 3 월 14 일, 한국일보 4 면, 2 3 2 3 40 1962년 1962년 41 1962 년 1

More information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1.10.27 7:34 PM 페이지429 100 2400DPI 175LPI C M Y K 제 31 거룩한 여인 32 다시 태어났습니까? 33 교회에 관한 교리 목 저자 면수 가격 James W. Knox 60 1000 H.E.M. 32 1000 James W. Knox 432 15000 가격이 1000원인 도서는 사육판 사이즈이며 무료로

More information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비판적합리성의구조 이남인 * 1),,,,,, (Husserl, Habermas, evidence, theory of truth, critical rationality, communicative rationality, intuitive rationality) 1). I, II, III V. VI * 1) 2004 2 19-20.. 84.. VI. I. 하버마스의의사소통행위론

More information

197

197 방송기자저널 한국방송기자클럽 발행인 양영철 편집인 박노흥 월간 발행처 2015 8August 1990년 6월 20일 창간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목동) 방송회관12층 TEL. 02) 782-0002,1881 FAX. 02) 761-8283 www.kbjc.net 제197호 Contents 02~03 방송이슈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33편 개인상 24인 선정

More information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발 간 등 록 번 호 54-3540000-000057-01 2012년도 정비사업 추진 지연에 따른 갈등요인 길라잡이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1970년대 부평의 전경 1995년 부평의 전경 2011년 부평의 전경 백운2구역 재개발지역 부평4동 재개발지역

More information

사립대학의발전과사립학교법개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립대학의발전과사립학교법개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립대학의발전과사립학교법개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립대학의발전과사립학교법개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3:30-14:00 등록 14:00-14:20 개회식 - 개회사 : 박영식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 - 격려사 : 황우여 ( 국회교육위원회위원장 ) 14:20-15:00 주제발표 Ⅰ : 사립학교법개정과대학법인의역할 15:00-15:40 주제발표 Ⅱ : 구성원의대학운영참여와사립학교법개정

More information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Contents 06 12 15 22 26 29 31 40 46 PlanUp Guide 06 / 12 / 15 Heartful Professionalism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PlanUp Guide 22 / 26 / 29 / 31 Heartful Professionalism 이달의 FOCUS 녹색 성장 (GREEN

More information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107 개헌과 새로운 통치이념의 정립 1)한동호(경성대) Ⅰ. 서론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 한국은 경제발전 이후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해 민주주의 역시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수평적 정권교체를 통해 안정적인 민주주의의 정착을 보게 되었다. 하 지만 소위 1987년 체제라고 불리는 현행 헌법체제는 통치구조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노정해 왔다. 특히 1987년

More information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敎 育 問 題 硏 究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11.11. 제41집 pp. 27-59. 1) 의식화 개념의 한국적 해석 논의 고혁준 (서울대학교) * ㆍ유성상 (한국외국어대학교) ** < 요 약 > 한국 사회에서 민중 교육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의식화 는 좌경 이념을 주입시키는 교화 라는 왜곡된 의미로 고착되어

More information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대 법 원 제 1 부 판 결 사 건 2012두6605 사업시행계획무효확인등 원고, 상고인 원고 1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이인재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외 1인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외 3인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12. 2. 2. 선고 2011누16133 판결 판 결 선 고 2015. 4.

More information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仁 荷 大 學 校 法 學 硏 究 第 18 輯 第 3 號 2015년 09월 30일, 261~295쪽 Inha Law Review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Inha University Vol.18, No.3, September, 2015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 - 인터넷에서의 명예훼손을 중심으로 - * 박 윤 경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박사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1)2) 주창윤 **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중반 불어 닥친 댄스 열풍과 관련된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대중은 댄스를 자유, 민주주의, 현대, 문화(교양) 의 표현으로 정당화했다. 댄스 열풍으로 적지 않은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자 지배 담론은

More information

04 Çмú_±â¼ú±â»ç

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

.....6.ok.

.....6.ok. Ⅳ 성은 인간이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되어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므로 성과 건강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성가치관은 평생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성과 건강 단원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피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성매매와 성폭력의 폐해, 인공임신 중절 수술의 부작용 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잘못된 성문화를

More information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ISSN 1738-365X DOI:10.16958/drsr.2015.13.2.105 분쟁해결연구 2015; 13(2)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2015, Vol.13, No.2:105~135 이라크 추가파병(2003~2004년) 결정과정의 분석: 대통령과 국회, 시민사회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4)장 훈** 국내에서 여러

More information

SIGIL 완벽입문

SIGIL 완벽입문 누구나 만드는 전자책 SIGIL 을 이용해 전자책을 만들기 EPUB 전자책이 가지는 단점 EPUB이라는 포맷과 제일 많이 비교되는 포맷은 PDF라는 포맷 입니다. EPUB이 나오기 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던 전자책 포맷이고, 아직도 많이 사 용되기 때문이기도 한며, 또한 PDF는 종이책 출력을 위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종이책 VS

More information

173

173 방송기자저널 한국방송기자클럽 발행인 엄효섭 편집인 김벽수 월간 발행처 2013 8August 1990년 6월 20일 창간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23-5 방송회관 12층 T. 02) 782-0002,1881 F. 02) 761-8283 www.kbjc.net 제173호 Contents 02 방송이슈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초청 토론회 한국방송대상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e- 비즈니스연구 (The e-business Studies) Volume 17, Number 3, June, 30, 2016:pp. 3~26 ISSN 1229-9936 (Print), ISSN 2466-1716 (Online) 원고접수일심사 ( 수정 ) 게재확정일 2016. 06. 11 2016. 06. 23 2016. 06. 26 ABSTRACT e- 비즈니스연구

More information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운영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로 정책을 함께 만들 수 있었고 그 결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정책 개선안을 도출하며 정책의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각 기관별 정부3.0 과제에 적용하여 국민 관점의 서비스 설계, 정책고객 확대 등 공직사회에 큰 반향을 유도하여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More information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대한정치학회보 18집 1호, 2010년 6월:49~74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의 지도력과 국정운영 비교 : 임기 초 지도력 특성과 국민지지 * 1) 이 강 로 전주대학교 요 약 한국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지도력 행사에 제도만이 아 니라 여론과 같은 외부적 요인을 통해 체계적으로 견제할 수 있어야 한다. 대통령의 지도력 특성을

More information

041~084 ¹®È�Çö»óÀбâ

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김진주 김수연. 초등학생대상장애이해교육에활용된동화에나타난장애인관분석. 특수교육, 2013, 제12권, 제2호, 135-160... 20.,,. 4.,,.,..... 주제어 : 장애이해교육, 동화, 장애인관 1. ( 1 ) Incheon Munhak Elementary School ( )(, E-mail: sooyoun@ginue.ac.kr) Dept. of

More information

84200801801.hwp

84200801801.hwp 제 출 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미디어에 대한 신뢰와 사회여론의 변화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8. 11. 28 연구기관: 한국방송학회 연구책임자 : 김 세 은(강원대학교 교수) 참여연구원 : 이 종 성(수원대학교 겸임교수) 3 목 차 제 1 장 신뢰와 미디어의 위상 7 제 1 절 문제제기 7 제 2 절 신뢰도와 여론 9 제 3

More information

2. 박주민.hwp

2. 박주민.hwp 仁 荷 大 學 校 法 學 硏 究 第 15 輯 第 1 號 2012년 3월 31일, 149~184쪽 Inha Law Review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Inha University Vol.15, No.1, March 2012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과 공직선거법 * 박 주 민 법무법인(유한) 한결 변호사 < 목 차 > Ⅰ. 머리말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해방 공간, 유행어로 표출된 정서의 담론* 1)2) 주창윤 **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공간에서 나타난 유행어를 통해서 당대 대중들이 어떻게 역사적 격동 시기를 겪었 으며 그 과정 속에서 경험된 정서는 무엇이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해방 공간은 첨예한 이데올로기 대 립, 심각한 경제난, 남북 단독정부의 형성 등으로 오늘날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