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저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4;25(4):217-223 pissn 1017-5717 / eissn 2092-5700 online ML Comm 일정신보건센터등록환자의사회인구학적및임상적특성변화 : 2008 년과 2012 년의비교 황지영 1 정종현 1,2 김유라 2 엄윤미 2 홍승철 1,2 한진희 1 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성빈센트병원정신건강의학교실, 1 수원시정신보건센터 2 Changes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gistered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paring 2008 with 2012 Ji-Young Hwang 1, Jong-Hyun Jeong, MD, PhD 1,2, Yura Kim 2, Yun-Mi Aum 2, Seung-Chul Hong, MD 1,2 and Jin-Hee Han, MD 1 1 Department of Psychiatry, St. Vincent 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uwon, 2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uwon, Korea Objectivezz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MethodszzThe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those registered in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2008 and 2012, and there were 440 and 460 patients, respectively. The authors analyzed demographic data, medical insurance status, registration status of mental disabil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iagnosis, type of medical institution the patients received medical care from, medication, duration of illness,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and global assessment function scores. ResultszzThere were more married patients in 2012 than in 2008 (23.1% vs. 34.3%, p<0.001)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employed was larger in 2012 (8.2% vs. 10.2%, p=0.302). Also, in 2012, more patients received Level 1 medical care rather than health insurance (27.9% vs. 35.3%, p=0.007)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registered mental disability increased (27.7% vs. 52.6%, p<0.001). From 2008 to 2012, the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other disorders besides psychotic disorders increased (15.5% vs. 22.9%, p=0.007). Also, more patients tended to receive medical treatment from private mental clinics (38.6% vs. 58.1%, p<0.001), and to be administer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rather than conventional antipsychotics (58.6% vs. 80.4%, p=0.022). ConclusionzzThis study suggests that many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registered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have been gradually changed. The patients registered in 2012 were likely to be diagnosed with other disorders besides psychotic disorders and to get more atypical antipsychotics compared to patients registered in 2008.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inding out the proper roles and functions of mental health centers, and, as a result, the mental health centers could be able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service to their registered patients. Korean J Psychopharmacol 2014;25(4):217-223 Key Wordszz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emidemographic data Social welfare Clinical characteristics. Received: July 16, 2014 Revised: August 7, 2014 Accepted: August 18, 2014 Correspondence author: Jong-Hyun Jeong,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St. Vincent 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93 Jungbu-daero, Paldal-gu, Suwon 442-723, Korea Tel: +82-31-249-8302, Fax: +82-31-248-6758, E-mail: anton3@catholic.ac.kr 서구사회에서 지난 여 년간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정신병원으로부터의 탈원화 현상은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결과적으로 탈원화 현상은 이들의 재활 및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다양한 형 태의 접근 양상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실시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국내에서는 년도에 정신보건법이 제정된 후부터 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보건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년에 개정된 정신보건법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보건사업의 목적을 더 잘 실행할 수 있도록 정신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Copyright c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 217
정신보건센터등록환자특성변화 정신보건센터는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정신질환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에서 설치한 시설 중 하나로 정신장애인을 포함한 지역주민들은 센터를 통해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 상담 치료 재활 및 사회복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년 말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보건시설로는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등이 있으며 모두 개가 운영되고 있다 그 중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주요 업무로 담당하는 개의 표준형 정신보건센터와 개의 사회복귀시설 개의 정신요양시설 개의 알코올상담센터 등이 공공부문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 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정신보건센터사업이 년 이상 진행되어옴에 따라 전체적으로 안정된 사업계획과 운영을 통하여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으로서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그동안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성과가족의 부담소아청소년 등과 관련한 연구조사는 있었으나 아직은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만성 정신질환자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는 없었다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환자들의 제반 특성과 사업성과를 분석하는 것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효율성과 향후 사업의 방향성을 제고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사업 홍보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결혼 및 직업유무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사회보장상태 진단명 및 복용약물 등의 임상적 특성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여 정신장애인이 이용하는 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의 종류와 방향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년도와 년도에 수원시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정신보건 서비스를 받은 정신질환자 명 및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서는 정신보건센터 근무자들이 기록한 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정신보건센터 자료에는 대상 환자들의 성별 나이 직업유무 결혼 유무 의료보험 가입종류 정신장애등록 진단명 치료를 받고 있는 의료기관의 유형 복용약물 유병기간 이하 이하 등이 기록되어 있다 모든 대상 환자들에 대하여 각각의 자료가 모두 기록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기록되어 있는 환자들에 한하여 각 연도에 따른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고 기록이 남아 있는 등록 환자들을 해당 환자로 명명하여 표기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변수의 특성에 따라 성별 직업유무 결혼유무 의료보험 가입종류 정신장애등록 진단명 치료를 받고 있는 의료기관의 유형 복용약물 등은 를 사용하였고 나이 유병기간 등은 를 시행하였다 유의수준은 미만으로 설정하였으며 모든 평가 자료의 통계 처리는 윈도우용 이하 을 사용하였다 년도와 년도에 수원시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성별은 년도 수원시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총 명 중 남성이 명 여성이 명 이었으며 년도에는 총 명 중 남성이 명 여성이 명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나이 또한 년에는 평균 세 년에는 평균 세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상태는 년도에는 해당 환자 총 명 중 명이 기혼상태 명이 미혼 및 이혼상태 였으며 년도에는 해당 환자 총 명 중 명이 기혼상태 명이 미혼 및 이혼 상태 로 년에 비하여 년에는 기혼자가 많았다 < 현재의 직업상태는 년도에는 전체 명 중 명이 직업이 있었으며 년도에는 전체 명 중 명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의료보장상태는 년도에는 의료급여 종이 로 년도의 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반면 의료급여 종 및 건강보험은 년도 에서 년도 로 감소하였다 정신장애등록의 경우 년도에는 정신장애 판정 급 급 급 을 받은 환자는 받지 않은 환자는 이며 년도에는 장애판정을 받은 환자가 받지 않은 환자가 로 장애판정을 받은 환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218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4;25(4):217-223
황지영등 등록 환자들의 진단명은 년도에는 정신병적 장애 정신 분열병 조현병 망상장애 분열정동장애 조현정동장애 로 진 단받은 환자가 명 기타 질환 우울장애 양극성장 애 불안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인격장애 적응장애 정신 지체 알코올사용장애 기질성 뇌질환 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명 이었으며 년도에는 정신병적 장애로 진단받 은 환자가 명 기타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명 으로 정신병적 장애 외의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치료 받고 있는 정신 의료기관의 유형으로는 대학병원 대형정신병원 준종합병원 의 경우 년도에는 해당 환자 명 중 각각 명 명 명 에서 년도에는 해당 환자 명 각각에 대하여 명 명 명 으로 감 소하였으나 개인정신과의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경우는 Table 1. Comparison of demographic data of patients registered in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2008 and 2012 2008 2012 p-value Age (years, mean±sd) 40.9±10.2 41.7±9.6 0.223 Sex (n, %) 440 460 0.124 Male 246 (55.9) 233 (50.7) Female 194 (44.1) 227 (49.3) Marriage (n, %) 199 449 <0.001* Married 46 (23.1) 154 (34.3) Unmarried 140 (70.4) 295 (65.7) Divorced 13 (6.5) 0 (0.0) Occupation (n, %) 440 460 0.302 Yes 36 (8.2) 47 (10.2) No 404 (91.8) 413 (89.8) *p<0.05 by chi-square test.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Comparison of social welfare data of patients registered in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2008 and 2012 2008 2012 p-value Medical security (n, %) 437 456 0.007* Insurance 253 (57.9) 253 (55.5) Medical care (Level 2) 55 (12.6) 31 (6.8) Medical care (Level 1) 122 (27.9) 161 (35.3) Disability (n, %) 440 460 <0.001* No 318 (72.3) 218 (47.4) Level 1 4 (0.9) 5 (1.1) Level 2 26 (5.9) 64 (13.9) Level 3 91 (20.75) 171 (37.2) *p<0.05 by chi-square test 년도 명 에서 년도 명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유병기간 와 는 년도와 년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신분열병 조현병 환자의 치료 약물은 년도에는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해당 환자 명 중 명으로 를 차지하였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단독으로 복용하거나 전형 항정신병약물과 병합요법을 시행하는 환자는 명으로 를 차지하였다 년도에는 전형 항정신병약물은 해당 환자 명 중 명으로 로 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요법 또는 병합요법을 시행하는 환자는 명으로 를 차지하여 년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년도와 년도의 수원시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사회보장상태 및 장애 등급의 변화를 비교해 보면 성별 연령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업상태 결혼상태 의료보장상태 정신장애등록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년도의 자료에 비해 년도의 정신보건센터 등록 환자들에서 기혼자의 비율 및 직업 활동을 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정신질환자에게 결혼은 개인적인 욕구충족과 함께 사회적으로 건강한 개인이라는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오랜 기간 장애로 인해 가족과 주변사람들에게 의존해 온 위치에서 가족과 공동체에 대해 책임을 지는 위치로 변화하는 기회가 된다 또한 진정한 사회통합과 정상화 또는 위축된 자아감을 되찾는 정신적 사회적 재활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으로 전인재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들은 스스로가 결혼을 기피하고 정신장애인의 가족 또한 정신질환자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데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로 인해 정신질환자는 결혼에 대한 높은 욕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혼율이 낮고 신체장애인의 결혼율보다 더 낮다 본 연구에서도 년도에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의 평균 연령이 세임에도 기혼자는 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년도에는 기혼자가 로 증가하였다는 것이며 이는 정신장애인의 결혼에 대한 높은 욕구와 사회적 인식의 개선이 정신장애인의 결혼율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 년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우리사회에서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역할 수행의 어려움을 겪는 정신장애인이 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은 정신장애인의 능력 개발 및 적절한 직업의 www.kcnp.or.kr 219
정신보건센터등록환자특성변화 Table 3.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gistered in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2008 and 2012 2008 2012 p-value Diagnosis (n, %) 438 459 0.007* Psychotic disorders 370 (84.5) 354 (77.1) Other disorders 68 (15.5) 105 (22.9) OPD follow-up (n, %) 399 451 <0.001* University hospital 96 (24.1) 78 (17.3) Mental health hospital 125 (31.3) 93 (20.6) Hospital 24 (6.0) 18 (4.0) Private mental clinic 154 (38.6) 262 (58.1) Duration of illness (year, mean±sd) 12.7±9.4 11.6±8.5 0.382 BPRS (mean±sd) 41.8±9.9 42.0±10.4 0.881 GAF (mean±sd) 52.5±14.7 50.5±11.8 0.130 Psychotic disorders: schizophrenia, delusional disorder, schizoaffective disorder. Other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anxiety disorder, personality disorder, adjustment disorder, mental retardation, alcohol use disorder, organic brain syndrome. *p<0.05 by chi-square test. OPD: out patient department, BPRS: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GAF: global assessment functioning, SD: standard deviation 100% 50% 0% 48.30% (n=28) 66.40% (n=71) 19.0% (n=11) 10.30% (n=6) 22.40% (n=13) 2008 (n=58) 2012 (n=107) 11.20% (n=12) 14.0% (n=15) 8.40% (n=9) Atypical Conventional Atypical+Conventional Others Fig. 1. Proportion of antipsychotics in patients registered in Suwon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2008 and 2012. n=number of patients. Atypical: atypical antipsychotics, Conventional: conventional antipsychotics, Atypical+Conventional: atypical antipsychotics plus conventional antipsychotics, Others: mood stabilizers or anxiolytics (p=0.022 by chi-square test). 취득을 통한 독립생활의 달성 및 유지를 지역사회에 절실하 게 요청하고 있다 조사 대상 정신장애인들 가운데 명 은 직업을 가진 경험이 있었고 전체 직업 유지 기간은 평균 개월 정도였으며 취업 정신장애인들의 월평균 급 여는 최저임금의 로 매우 낮은 급여를 받고 있었다 이는 정신장애인들의 병적 특성 사회환경에 대한 부적응 직 업적응 기술부족 대인관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취업유지 기 간이 상당히 짧으며 직업 또한 단순계약직이 많아 이러한 결 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유의 하지는 않았으나 직업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직업 유형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않았으나 이전 연구에서와 같이 단순 계약직이 많았을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러므로 정신장애인들의 직업활동에 대한 욕구를 사전 에 해결하는 정신보건서비스의 개발은 해당 환자들의 삶의 질과 함께 치료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결혼문제 직업문제의 관리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의료보장상태는 년도에 비해 년도에는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종은 감소한 반면 의료급여 종이 증가하였다 이렇게 의료보장상태에 차이가 나는 것은 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이 완화되면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증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정신질환자 중 의료급여 종 수급자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 장애인 정책에 의해 정신분열병 조현병 분열형 정동장애 조현정동장애 양극성장애 우울장애 환자들 중 정신질환의 상태 및 정신적 능력장애 상태에 따라 정신장애 판정을 하여 이에 따른 복지혜택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전에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잘못된 선입견으로 정신질환자 혹은 가족조차 장애인 등록을 꺼려하였으나 점차 편견의 해소 선입견의 변화로 인하여 미등록 장애인의 장애인 등록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장애인 등록은 연평균 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년도에 장애 판정을 받은 환자가 년도에 비하여 거의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의 증가 및 사회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정신질환자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년도에 정신병적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는 전체 220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4;25(4):217-223
황지영등 등록 환자의 였으나 년도에는 로 감소하였으며 기타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분장애의 유병률이 년도 에서 년도 로 불안장애의 유병률이 년도 에서 년도 로 각각 와 증가되었다는 이전의 조사결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 조사결과에 따르면 정신병적 장애 외의 기타 질환으로 진단받는 환자는 위와 같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 비율은 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다양한 정신질환에 대한 정신건강 보건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정신의료기관 유형의 경우 대학병원 대형정신병원 준종합병원에 비하여 개인정신과의원에서 치료받는 환자들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지리적 혹은 정신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용이한 개인정신과의원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의료보호 환자의 증가추세도 일정부분 이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항정신병약물은 년도에 비하여 년도에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보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비하여 음성증상에도 잘 반응하며 치료에 불응성인 양성증상 환자에게도 반응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추체외로계 증상 이상반응을 줄여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혈장 프로락틴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지난 여 년간 다양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들이 정신분열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세대 약물이라고 불리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들은 세대 약물들에 비하여 임상적 효능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조사된 여러 연구 결과들과 함께 점차 정신분열병 조현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항정신병약물 사용 경향의 변화를 조사한 이전의 연구 결과를 보면 전형 항정신병약물의 처방은 유지 또는 감소된 것에 비하여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처방은 증가하였다 미국의 항정신병약물 사용 경향을 조사한 한 연구에 의하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년도에 인 것에 비하여 년도에 를 차지하였다 또한 북유럽 국가에서도 년도와 년도에 처방된 항정신병약물 중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년도 에서 년도에 로 증가된 것을 보고하여 이는 전세계적인 추세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국내에서도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사용에 대한 근거들이 축적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주요 정신과질환의 치료에 대한 알고리듬들이 발표되었으며 다양한 질환에서 비정형 항 정신병약물이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등 임상 상황에 대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국내 일 대학병원에서 년까지 항정신병약물 사용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년 처방된 항정신병약물 중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로 년의 에 비하여 증가하였음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항정신병약물 사용의 변화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항정신병약물의 종류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이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약물 순응도가 높고 임상적 효능이 전형 항정신병약물보다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해당 환자들의 치료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의 연구 결과에서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약 로 이전 연구에서 항정신병약물 중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 넘는 것에 비하여 비교적 낮았다 이는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평균 유병기간이 년 이상으로 과거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던 환자들이 약물을 변경하지 않고 복용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만성질환자들에서 약물변경 제한의 원인으로는 새로운 약제 복용시 발생할 부작용 및 재발의 위험성과 국가의 의료비 제한 정책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약물 사용에 대하여 기록이 남아 있는 해당 환자의 자료의 수가 적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대표성이 부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병기간 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이 대부분 만성질환자들로 비교적 만성화되어 고착된 정신증상과 기능장애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국내 일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만성 정신질환자의 사례관리를 통한 의 변화를 조사한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정신증상과 기능장애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전의 연구가 집중적인 사례관리를 통하여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환자를 관리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관리가 부족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본 연구는 하나의 정신보건센터 등록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정신보건센터를 방문한 환자를 대표하는 데는 다소 한계가 있다 둘째로 본 연구의 자료는 정신보건센터 등록시점의 기록내용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서로 다른 근무자들에 의하여 기록이 이루어졌으며 진단명 www.kcnp.or.kr 221
정신보건센터등록환자특성변화 의 경우 동반 이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환자마다 한 가 지 질환만 기록되어 있어 기록 내용의 충실성에 한계가 있다 고 할 수 있다 셋째로 각 항목에 대하여 정신보건센터에 등 록된 모든 환자들의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아 결측치가 있었 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기록이 남아 있는 등록 환자를 대상으 로 조사를 하였고 특히 복용 약물을 포함한 일부 자료는 등록 된 환자에 비하여 기록이 남아 있는 환자의 수가 부족하여 환 자군 대표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넷째로 본 연구의 자료 는 년과 년에 중복 등록된 환자들이 일부 포함되었 으며 이로 인하여 각 특성의 변화가 동일 환자에 대한 차이 를 나타내는 것인지 다른 환자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알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사회보장혜택의 변화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들 특성의 시간의 경과에 따 른 변화를 비교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정신보 건센터 등록 환자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에는 본 연 구를 통하여 정신보건센터의 적합한 역할과 기능을 모색하여 적절한 정신보건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환자들 의 사회인구학적 사회보장혜택의 변화 및 임상적 특성이 점 차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혼자의 비율 및 직업 활동 을 하는 환자의 비율의 증가는 정신질환자들의 결혼 및 직업 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의 증가를 반 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의료보호 환자 및 정신장애 등록 환자의 증가를 통하여 정신질환자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정신병적 장애 외의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이 증가하여 이들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복용하고 있는 치료 약물 또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의 증가는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해당 환자들의 삶의 질과 함께 치료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중심단어 정신보건센터 사회인구학적 특성 사회보장상태 임상적 특성 REFERENCES 1. Baek YS, Jeong AS. A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participating and those not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 mental health centers and their families feeling of burde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8:5-12. 2. Shin YJ, Nam JH. Development of a national mental health system model in Korea.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01;6:36-48. 3. Han SS, Han JH, Yun EK. Predictors of employment in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J Korean Acad Nurs 2008;38:541-549. 4. Byun EK, Jun S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using mental health cent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1;20:157-166. 5. The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 Mental health institution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nmhc.or.kr. Accessed March 4, 2014. 6. Chung IW, Kim H, Son JW, Lee SY, Kim HY, Suh T. Characteristics of age groups in schizophrenic patients registered at da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43:105-112. 7. Hwang TY, Park CI, Lee JG, Ko Y, Lee MS, Lee WK, et al. 3 years follow-up study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utcom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01;6:130-138. 8. Chung IW, Chi KW, Son JW, Shin CJ. Influential factors on the cohabitation intention of the mentally-ill patient s family.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02;7:3-9. 9. Oh EY, Kim SS, Park MK, Oh HK. A study on clients for children & adolescents mental health guidance center in Osan city.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02;7:138-146. 10. Lehman AF. The role of mental health service research in promoting effective treatment for adults with schizophrenia. J Ment Health Policy Econ 1998;1:199-204. 11. Yu MY.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marriage maintenance amo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emiannual 2005:437-443. 12. Kim MH, An ES, Kang EH. Attitude of persons with an mental disability to marriage: Q 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241-251. 13. Yang OK. Social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Korean J Soc Welf 1998;35:231-261. 14. Jo HJ. Influence of disability on marital statu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 Fam Relat 2007;12:39-64. 15. Choi MM, Lee KY, Eom TW. Differences in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users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in Korea. Ment Health Soc Work 2006;24:94-124. 16.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ion of Korea. The occupation and welfare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Availabe from: http://www. acrc.go.kr/acrc/board.do?boardnum=3864&command=searchdetail &menuid=05060201&method=searchdetailviewinc. Accessed March 10, 2014. 17. Seoul-Style Welfar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vailable from: http://disability.seoul.go.kr/registration/registration.jsp?depth=1311. Accessed March 6, 2014. 18.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jong: Ministry of Heath and Welfare;2011. 19. Kim BY, Kim SB, Kim CY, Kang PS, Chung JH. Comparisio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s between beneficiaries of medical aid and medical insurance. Yeungnam Univ J Med 1991;8:185-201. 20. Miller DD, Caroff SN, Davis SM, Rosenheck RA, McEvoy JP, Saltz BL, et al. Extrapyramidal side-effects of antipsychotics in a randomised trial. Br J Psychiatry 2008;193:279-288. 21. Leucht S, Corves C, Arbter D, Engel RR, Li C, Davis JM. Secondgeneration versus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for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Lancet 2009;373:31-41. 22. Aparasu RR, Bhatara V. Antipsychotic prescribing trends among youths, 1997-2002. Psychiatr Serv 2005;56:904. 23. Centorrino F, Eakin M, Bahk WM, Kelleher JP, Goren J, Salvatore P, et al. Inpatient antipsychotic drug use in 1998, 1993, and 1989. Am J 22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4;25(4):217-223
황지영등 Psychiatry 2002;159:1932-1935. 24. Centorrino F, Fogarty KV, Sani G, Salvatore P, Cimbolli P, Baldessarini RJ. Antipsychotic drug use: McLean Hospital, 2002. Hum Psychopharmacol 2005;20:355-358. 25. Maric NP, Pavlovic Z, Jasovic-Gasic M. Changes in antipsychotic prescription practice at University Hospital in Belgrade, Serbia: 2009 vs. 2004. Acta Psychiatr Scand 2011;123:495; author reply 495. 26. Cho HS, Kwon JS, Bahk WM, Kim CY, Shin YC, Jon DI, et al. The feasibility test of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the Treatment with Schizophrenic Patients (IV): influences of a history of antipsychotic treatment on effectiveness and algorithm application. Korean J Psychopharmacol 2006;17:162-173. 27. Min KJ, Bahk WM, Yoon BH, Kim W, Kim B, Lee JG, et al.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Bipolar Disorder 2010: introduction. Korean J Psychopharmacol 2011;22:142-153. 28. Jeon HT, Lee SY, Kim W, Min KJ, Bahk WM, Seo JS, et al.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Depressive Disorder 2006 (IV): the choice of antidepressant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depression, adverse effects of antidepressant and treatment strategies in wome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7;46:610-616. 29. Shim IH, Woo YS, Jun TY, Kim KS, Bahk WM. Changes in antipsychotic drug usage in the psychiatric in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7, 2003-2004 and 2009-2010. Korean J Psychopharmacol 2012;23:57-64. 30. Lee JS, Kim SJ.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illnes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2;11:206-220. www.kcnp.or.kr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