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제주도쯔쯔가무시병의역학적특성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Jeju Island 이성욱 1) 제주특별자치도청보건위생과 1) Sung Uk Lee, M.D. 1) Division of Health and Sanitat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1) Corresponding author: Sung Uk Lee, Epidemiologic intelligence service officer Address: 6, Munyeon-ro,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63122 E-mail : sulee86@korea.kr Tel: +82-64-710-2917 Fax: +82-64-710-2919
1 2 <Original article> 제주도쯔쯔가무시증의역학적특성 3 4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Jeju Island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Conflict of interest: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Abstract Backgrounds: Scrub typhus is the most common febrile disease in Autumn season. Jeju Island is the largest island in South Korea and has a distinctive oceanic climat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Jeju. Method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6, total 44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crub typhus in Jeju. Patient 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y relate to scrub typhus had been investigated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8-year-old (range, 8-91) and 43% of them worked in agriculture, forestry or livestock industry. Regardless of their job, total 87% of patients have the history of outdoor working or activity before scrub typhus. The south and southeast region of Jeju Island, especially Namwon-eup,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scrub typhus. Workers in mandarin orange orchard seem to be high risk group for scrub typhus infection. Conclusions: Scrub typhus in Jeju Island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Individual approaches by each region and year to prevent scrub typhus efficiently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Keywords: Scrub typhus, Rickettsia, Korea
47 48 Introduction 쯔쯔가무시증은제 3 군법정전염병에속하는진드기매개질환으로 Orientia 49 tsutsugamushi 에의하여발생하는질환이다 [1]. 이균을매개하는것은털진드기 50 과진드기유충인 chigger mite 중 Leptotrombidium 속털진드기이다 [2]. 털진드기 51 가유충에서성충으로탈바꿈할때, 반드시동물의조직액을섭취하여야하는데 52 이시기에우연히유충이사람에게옮겨져조직액을섭취할때병원체가피부를 53 통해침입함으로써감염되게된다 [3]. 쯔쯔가무시증은대표적인가을철발열성 54 질환으로평균 10-12 일의잠복기가지난이후에고열, 근육통, 피부발진등의증 55 상보이며, 털진드기유충이물린자리에형성되는가피는쯔쯔가무시증환자의 56 잘알려진임상적특징이다. 쯔쯔가무시삼각형 (tsutsugamushi triangle) 지역이라 57 불리는한국, 일본, 인도와동남아를포함하는아시아태평양의열대및농촌지 58 역에서많이발생하고있는데 [4]., 최근국내에서는지구온난화등의기후변화와 59 야외활동증가등으로인해 2009 년이후로매년증가추세이며 2016 년도에는전 60 년대비 16.7% 증가한 11,105 명의환자가보고되었다 [5]. 61 대한민국최남단에위치하고있는제주도는대한민국에서가장큰섬으로대한민 62 국면적의 1.83% 에해당하며, 인구는 2015 년기준으로 62 만여명이다 (Table 1)[6]. 63 제주도는위도범위가약 33-34 도로일반적인기후분류상아열대기후대에서온
64 대기후대로의전이지대에위치하고있으며, 사면이바다이므로연중온난습윤한 65 해양성이강하여한반도내륙지방의값과비교하면기온이높고강수량이많다 66 [7]. 한반도내륙지역에서는남부지역으로갈수록쯔쯔가무시증발생률이북부지 67 역보다높아지는경향이있지만최남단인제주지역에서는다시낮아지는양상 68 을보인다 [5]. 국내외에서이루어진쯔쯔가무시증에대한연구는주로환자사례보 69 고를비롯한임상적소견, 진단혹은혈청학적연구, 치료법에관한내용이주를 70 이루고, 체계적인발생양상이나수준, 발병위험요인을밝히고자하는역학연구 71 는거의이루어진바없다. 특히제주지역에서발생하는쯔쯔가무시증의역학적 72 특징에대해서알려진바가적어, 본연구를통해제주지역만의특수성이있는 73 지살펴보고자한다. 74 75 76 Methods and Materials 1. 연구대상 77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제주특별자치도보건위생과에서조사된쯔쯔가무시증사 78 례들을연구대상으로하여분석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11 년부터 2016 년 79 까지발생한쯔쯔가무시증환자는 2011 년에 57 명, 2012 년에 72 명, 2013 년에 52 명, 80 2014 년에 55 명, 2015 년에 61 명, 2016 년에 149 명으로총 446 명이었다. 이들은모두
81 혈청학적또는임상적으로진단되었고, 질병관리본부의감염병웹통계에포함된 82 환자들이다. 쯔쯔가무시증개별사례조사서는제주특별자치도내 6 개지역보건 83 소 ( 제주보건소, 제주동부보건소, 제주서부보건소, 서귀포보건소, 서귀포동부 84 보건소, 서귀포서부보건소 ) 의감염병담당자에의해작성되었다. 제주특별자치 85 도는 2 개시, 7 개읍, 3 개면의행정구역으로이루어져있고, 6 개지역보건소가담 86 당하는지역은제주시보건소는제주시동지역을, 제주동부보건소는조천읍, 구좌 87 읍, 우도면을, 제주서부보건소는애월읍, 한림읍, 한경면을, 서귀포시보건소는서 88 귀포시동지역을, 서귀포동부보건소는성산읍, 표선면, 남원읍을, 서귀포서부보건 89 소는대정읍과안덕면으로나누어담당하고있다 (Table 1). 90 91 2. 연구방법 92 질병관리본부의감염병웹통계에서제주특별자치도에서발생한쯔쯔가무시증환 93 자 446 명의발생연도및발생지역에관한자료를확보하여연도별, 지역별발생 94 현황을파악하였다. 제주도전체인구및지역별인구는통계청자료중 2011 년 95 부터 2015 년까지의평균인구를적용하였다. 행정구역중도시화된지역과시골 96 지역을나누기위해동지역과읍면지역으로구분하였다. 사례조사서에는성별, 나 97 이, 주소, 직업등의기본인적사항, 발병일자, 작업종류, 최근야외활동경험
98 유무등의질병발생관련요인과임상증상관련정보등이포함되어있었다. 99 쯔쯔가무시증과직업과의연관성을보기위해, 대상자의직업관련노출력을농 100 림축산업종사자, 농림축산업에외야외작업종사자, 직업과관련없는일회성 101 혹은취미성농림축산업 ( 텃밭, 주말농장포함 ) 과단순야외활동 ( 등산, 소풍포 102 함 ) 의 4 개의카테고리로나누었다. 사례조사서내용중쯔쯔가무시증감염의위험 103 요인분석을위해대상자별야외작업및활동의종류에대하여분석하고 6 개 104 지역보건소별로다른특성이있는지분석하였다. 105 106 3. 자료분석 107 모든자료는전산입력하였고, 통계검정은 SPSS statistic version 23 (SPSS, Chicago, 108 IL, USA) 을이용하였다. 독립된 2 개군의비교를위한비모수적방법으로 Mann 109 Whitney U-test 를이용하였고, r x c table 로구성된비연속변수간의유의한차이가 110 있는지분석하기위해 Pearson s chi-square test 를이용하여 p<0.05 를유의한것으 111 로분석하였다. 112 113 114 Results 1. 인적특성 115 6 년간역학조사가된대상자 446 명의성별분포는남자 201 명 (45.0%), 여자 245
116 명 (54.9%) 이었다. 연령중앙값은 58 세 (8-91 세 ) 이었고연령별분포는 20 세미만 117 이 5 명 (1%), 20-39 세가 48 명 (11%), 40-59 세가 187 명 (42%), 60-79 세가 176 명 (39%), 80 118 세이상이 30 명 (7%) 이었다. 실험실적검사법으로확진받은대상자는 318 명 119 (71%), 임상적진단받은대상자는 128 명 (29%) 이었다. 대상자직업관련노출력 120 의분포는농림축산업종사자 193 명 (43%), 농립축산업외야외작업종사자 45 121 명 (10%), 직업과관련없는일회성혹은취미성농림축산업 ( 텃밭, 주말농장포 122 함 ) 이 79 명 (18%), 단순야외활동 71 명 (16%) 외특별한야외노출력없음 58 명 123 (13%) 으로조사되었다. 124 125 2. 제주특별자치도내지역별발생현황및발생률 (2011-2016) 126 제주특별자치도내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발생한 446 명의제주도전체인구에 127 대한발생률은인구 10 만명당 2011 년에 9.5 명, 2012 년에 12.1 명, 2013 년에 8.7 명, 128 2014 년에 9.2 명, 2015 년에 10.2 명, 2016 년에 25.0 명이었고 6 개지역보건소별환자 129 발생수및발생률은 Table 2 에기술하였다. 도시화된동지역중에서제주시와서 130 귀포시지역의 2011-2016 년 10 만명당발생률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131 (p=0.006). 시골지역인읍면지역간의 2011-2016 년 10 만명당발생률을비교해보았 132 을때, 제주동부지역과서부지역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으
133 나 (p=0.261), 서귀포동부지역과서부지역의발생률은유의한차이를보였다 134 (p=0.004). 제주특별자치도의 2 개시, 7 개읍, 3 개면의행정구역연도별 10 만명당 135 쯔쯔가무시증발생률을살펴보면제주도의남 남동권이자서귀포동부권인남원 136 읍과표선면지역에서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매년높은발생률을보였고, 제주 137 지역의도심지역에서는 10 만명당발생률이매년 10 명미만으로관찰되었다 138 (Figure 1). 서귀포의남원지역에서는 2016 년 10 만명당 197.8 명의가장높은발생 139 률을보였다 (Table 2). 140 141 3. 시간적특성 142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전체발생월별분포는 2 월부터 9 월까지는매년 2 건이하 143 로발생하다 10 월부터크게상승하는양상으로전체적으로유사한곡선분포를 144 보였다 (Figure 2).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전체발생대상자수 (n=446) 중 10 월발 145 생대상자수는 62 명 (14%), 11 월은 255 명 (57%), 12 월은발생대상자수 93 명 (21%), 146 1 월은 9 명 (2%) 보고되었다. 147 148 4. 위험요인분석 149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쯔쯔가무시증대상자총 446 명중잠복기내진드기에
150 노출될수있는야외활동이있었던것으로조사된 388 명 (87%) 의상세활동종 151 류에대해분류하였다 (Table 3). 야외활동중과수업종사자혹은일회성과수 152 원작업력이있는자 155 명 ( 전체대상자중 35%), 직업적혹은일회성논 밭농 153 사작업력이있는자 103 명 (23%), 등산 산책등의단순야외활동력이있는자 154 68 명 (15%), 풀베기 풀뽑기등의수풀관련작업력이있는자 24 명 (5%), 소 말 155 등의가축접촉력 16 명 (4%), 야산고사리 약초채취 6 명 (1%), 임업종사자 6 명 156 (1%), 골프장종사자 3 명 (1%) 순으로조사되었다. 과수업종사자 155 명중 109 명 157 에서작물종류가조사되었는데감귤 99 명 (91%), 감 4 명 (4%), 키위 3 명 (3%) 순 158 이었다. 159 제주특별자치도 6 개지역보건소별대상자의진드기노출력분포를정리하였다 160 (Table 3). 조사된상세활동중높은비율을보인 3 대야외노출력 ( 과수원작업, 161 논 밭작업, 단순야외활동 ) 이있는대상자를 6 개지역보건소별로분류해보았 162 을때, 보건소별로통계적으로유의하게다른분포를보였다 (p=0.000). 가장높 163 은빈도의야외노출력이제주동지역은단순야외활동, 서귀포동지역과서귀포 164 동부지역은과수원작업, 제주동서부지역, 서귀포서부지역은논 밭작업인 165 것으로차이를보였다. 166
167 168 Discussion 본연구에서는 2011 년부터 2016 년까지제주도에서발생한 446 명의쯔쯔가무 169 시증대상자들에대한분석을통해지역별, 시간별및인적특성에대하여이해 170 하고위험요인을파악하고자하였다. 지금까지알려진쯔쯔가무시증환자들의특 171 성은여성에서호발하며, 연령분포는특히 50 대이후의고령자가다수를차지하 172 며농업종사자에서압도적으로발생하였고, 이외에도추수를돕거나등산, 도 173 토리와같은열매채집을위한산행한경험이있었던것으로조사되었다 [8]. 제 174 주지역에서의성별비는남자 45%, 여자 55% 로여자가더우세하였으나, 기존에 175 내륙지방역학조사에서보고되던남자 35%, 여자 65% 의성별비보다는격차가 176 좁은것으로확인되었다 [2]. 가을농작물수확철인 10-11 월에 50-60 대농업종사자 177 에서많이발생한것은내륙지방과유사하였으나, 특이할만한점은과수원작 178 업중감염되는비율이가장높게보고되었다. 주된작업내용은감귤과수업이 179 었다. 이는내륙지방에서는논 밭작업이주된감염경로인것과차이를보이며 180 [9]. 이를통해제주지역에서는내륙지방과달리감귤류를대표로한과수원농 181 업이쯔쯔가무시증발생의주요위험요인임을확인할수있었다. 182 감귤류는상록과수로추위에약하기때문에재배지는북위 35 도사이에위치 183 하고있고, 기후학적으로한국의남쪽지역인제주도는위도범위가약 33-34 도로
184 1960 년대이후 50 여년간제주도에서는점차재배지역이확대되어현재에는제주 185 도의해안및해발고도 200m 이하지역에감귤원이넓게분포하고있다 [10]. 2013 186 년통계청의자료에따르면제주도전체과수재배면적중감귤재배면적이 94.3% 187 를점유하고있다 [11]. 감귤류의수확시기는 10 월부터시작하여 12 월까지이어 188 지는데이는쯔쯔가무시증의유행시기와일치한다. 감귤과수원작업시에어떤 189 행위가쯔쯔가무시증감염의위험을높이는지털진드기의생활사와관련된추가 190 적인연구가필요하다생각된다. 191 지역보건소별진드기노출력에대한상세활동조사에서는각지역별로다 192 른분포를보였다. 서귀포동지역과동부지역은과수업이, 그외지역은밭농사나 193 단순야외활동이주된추정감염경로였는데, 이는제주도의농작물재배현황이 194 토양및기후등의특성에따라지역별로달라짐과연관이있다. 제주도의남 남 195 동지역인서귀포동지역과서귀포동부의남원읍, 표선면은대표적인감귤주산 196 지로과수업이주를이루고, 그외지역은근채류나양채류혹은곡물을주된재 197 배농작물로하는밭농사가주를이루며, 제주동지역은농업등의 1 차산업보 198 다는서비스업등의 3 차산업이밀집된도시화된지역이다 [12]. 이를근거로쯔 199 쯔가무시증에대한예방계획수립시, 제주도내지역보건소별주된감염경로
200 에따른맞춤형계획이필요하다생각된다. 한편서귀포동지역과서귀포동부 201 지역이쯔쯔가무시증발생률이다른지역에비해높았던이유가과수업과연관이 202 있음을가정해볼수있다. 2015 년제주도내지역농협감귤출하량을살펴보면 203 제주도내농협감귤출하량의 78.8% 가서귀포동지역및서귀포동부의남원읍 204 지역에서출하된것으로확인되었다 [13]. 이를뒷받침하듯, 2006 년질병관리본부 205 에서보고한심층역학조사보고서에따르면농업중에서도과수농사를짓는것이 206 다른종류의농업보다쯔쯔가무시증의발생위험을유의하게높임을증명한적 207 이있다 [2]. 208 분석된기간중 2016 년은특히쯔쯔가무시증발생률이높게보고된해이다. 209 제주특별자치도내대부분의지역 ( 한림읍, 안덕면제외 ) 에서전년도보다증가 210 된양상을보였고, 남원읍과표선면은 10 만명당발생률이각각 197.8 명과 181.8 명 211 까지치솟았다. 2016 년전국지역별 10 만명당발생률평균은 21.5 였고, 다발생 3 212 대지역은전남 92.5, 경남 69.4, 전북 55.1 이었다 [5]. 먼저 2016 년은전년도의메 213 르스사태로인하여법정감염병신고에대한인식개선과국가방역체계개편으 214 로쯔쯔가무시증을포함한제 3 군감염병의신고건수가 39% 증가한시기이다 [5]. 215 또한질병관리본부는국내털진드기의산란기인 8 월평균기온이털진드기밀도에
216 영향을주는요인으로추정하고있다 [9]. 여름 ( 특히 8 월 ) 에기온이높고상대적으 217 로건조하면풀숲식생이무성해지고매개체인털진드기의성장과번식또한활 218 발해지기때문이다. 제주지역의 2016 년도 8 월은북태평양고기압및중국대륙 219 에서발달한열적고기압의영향으로기온이큰폭으로상승하여평균기온은 220 28.1 도로기록되었는데이는 1961 년이래역대순위 7 위로기록되었고 [14], 쯔쯔 221 가무시증발생률증가에영향을끼쳤을것으로생각된다. 222 감염병예방관리사업이한정된자원으로실질적인성과를거두기위해해당 223 감염병의역학적특성에기초한사업계획이필요하며, 지역별특성에맞는선택 224 과집중이필요하다. 본연구에서는제주도에서는감귤과수원농업이쯔쯔가무 225 시증발생의주요위험요인이라는것을알수있었고, 제주도내지역별주요 226 노출력이다르므로제주도에특이적인맞춤형예방대책수립이필요하다하겠다. 227 228 229 Acknowledgement 제주특별자치도 6 개지역별보건소 ( 제주보건소, 제주동부보건소, 제주서부보건소, 230 서귀포보건소, 서귀포동부보건소, 서귀포서부보건소 ) 감염병담당자선생님들의 231 노고에감사드립니다. 232 233
234 235 Reference 1. 질병관리본부. 2004 년쯔쯔가무시발생현황. 감염병발생정보 2004:15(11):232-3. 236 2. 질병관리본부. 쯔쯔가무시증심층역학조사보고서. 2006 [cited 2017 June 1]. 237 238 239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28&cid=1171&ctype=1 3. 장우현쯔쯔가무시증. 대한의사협회지 1994; 26: 387-393 240 241 242 243 4. Oaks SC J, Ridgway RL, Shirai A, Twartz JC. (1983) Scrub typhus. Bulletin No 21 from the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Malaysia, United States Army Medical Research Unit 5. 질병관리본부 (2017) 2016년감염병감시연보. 2017 [cited 2017 August 1]. Available 244 245 246 from: http://cdc.go.kr/cdc/info/cdckrinfo0302.jsp?menuids=home001-mnu1132- MNU1138-MNU0038&fid=32&q_type=&q_value=&cid=75290&pageNum= 6. 통계청. ' 제주특별자치도의인구변화 ' 를읽다. 2016 [cited 2017 June 1]. Available 247 248 from: m.kostat.go.kr/board/file_dn.jsp?aseq=354804&ord=1 7. 기상청. 제주특별자치도기후학적특징. 2016 [cited 2017 June 1]. Available from: 249 250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05.jsp 8. 백설향. 경주및포항지역에서발생한쯔쯔가무시병에관한연구. 농촌의학 251 지역보건 2004;29 (1):177-184 252 9. 질병관리본부. 쯔쯔가무시증역학과관리. 2015 [cited 2017 June 1]. Available from: 253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60&cid=65002&ctype=8
254 10. 문경환, 손인창, 송은영, 오순자, 박교선, 현해남. 제주도감귤재배지역에대 255 한환경특성의정량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17 (1):69-74 256 257 258 11. Statistics Korea. Crop production survey 2013. 2013 [cited 2017 June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12. 최광준, 송성호, 김진성, 임찬우. 제주도권역별농업용수수요량산정에대한 259 고찰. 한국환경과학회지 2013;22 (5):639-649 260 13. 제주특별자치도감귤출하연합회. 2015 년산감귤유통처리분석자료집. 2016. [cited 261 262 263 2017 June 1]. Available from: http://citrus.or.kr/board/view.php?btable=bbs&bno=244&p=1&cate=0 14. 제주지방기상청. 제주도 2016 년기온및강수량특성 [ 보도자료 ]. 2016. [cited 264 265 266 2017 June 1]. Available from: http://web.kma.go.kr/notify/press/reqional_list.jsp?bid=press2&mode=view&num=8168&pa ge=4&field=&text=&schgrp= 제주청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Figure legends Figure 1. Regional incidence of scrub typhus by year. 1 = Jeju-si, 2 = Seogwipo-si, 3 = Jocheon-eup, 4 = Gujwa-eup, 5 = Udo-myeon, 6 = Aewol-eup, 7 = Hallim-eup, 8. Hangyeong-myeon, 9 = Seongsan-eup, 10 = Pyoseon-myeon, 11 = Namwon-eup, 12 = Daejeong-eup, 13 = Andeok-myeon. 280 281 Figure 2. Monthly trend of scrub typhus. The incidence peaked in November.
Table1. Brief regional demographics of Jeju province Regions Area Total area (km 2 ) 2011-2015 average population 10 3 (%) Populat ion density (person /km 2 ) Main industry City Countr yside Jeju Jeju-si 264 343 (58) 1301 Tertiary Seogwipo Seogwipo-si 254 87 (15) 343 Jeju East Jeju West Seogwipo East Seogwipo West Gujwa-eup 185 15 (2) 79 Jocheon-eup 151 21 (4) 136 Udo-myeon 6 2 (<1) 333 Aewol-eup 202 30 (5) 147 Hallim-eup 91 20 (3) 215 Hangyeongmyeon 79 8 (1) 104 Seongsan-eup 108 14(2) 130 Pyoseon-myeon 135 11 (2) 81 Namwon-eup 189 18 (3) 96 Daejeong-eup 79 17 (3) 218 Andeok-myeon 106 10 (2) 94 Mix (Primary +Tertiary) Primary Primary Primary Primary Primary industry includes farming, livestock and fishing. Tertiary industry includes retailing, tourism and administrative service.
Table 2. Regional incidence of scrub typhus in Jeju province City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Regions No. of case Incide nce No. of case Incide nce No. of case Incide nce No. of case Incide nce No. of case Incide nce No. of case Incide nce p-value Jeju-si 9 2.6 16 4.7 13 3.8 14 4.1 6 1.7 34 9.9 0.006 Seogwiposi 12 13.8 10 11.5 8 9.2 9 10.3 13 14.9 16 18.4 Jeju East 1 2.7 7 18.8 8 21.5 4 10.8 7 18.8 10 26.9 0.261 Count Jeju West 10 17.4 13 22.6 8 13.9 11 19.2 18 31.4 21 36.6 ryside Seogwipo 18 41.7 18 41.7 13 30.1 16 37.0 13 30.1 60 138.9 0.004 East Seogwipo West 7 25.7 8 29.4 2 7.4 1 3.7 4 14.7 8 29.4 per 100,000 person p-value by Mann Whitney U-test for the incidence
Table 3. Exposure that may cause scrub typhus by region City Regions (Total n) Exposure, n (%) Orchard Dry field Hiking Others * p Jeju (76) 15 (20) 18 (24) 26 (34) 17(22) Seogwipo (57) 34(60) 8(14) 10(18) 5(9) 0.000 Count ryside Jeju East (34) Jeju West (67) Seogwipo East (117) 7(21) 13(38) 8(24) 6 (18) 14(21) 28(42) 13(19) 12 (18) 76(65) 20(17) 9(8) 12 (10) Seogwipo 9(30) 16(53) 2(7) 3 (10) West (30) * Others include livestock, forestry, mowing and herb gathering. the most common exposure in each region. p-value by Pearson Chi-Square test
2011 2012 4 5 3 1 7 6 9 8 10 2 11 12 13 2013 2014 200 150 2015 2016 100 50 0 *Incidence per 100,000
Persons 80 70 60 50 40 30 20 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0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