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fm

Similar documents
03이경미(237~248)ok

01À̽ÂÈ£A9-832š

02ÇãÀÎÇý ~26š

433대지05박창용

46-2대지.3박병익

src.hwp

G Power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B1E2C8C4BAAFC8ADC0CCC7D8C7CFB1E25FC0CEC3B55FC3D6C1BE5F E687770>

<4D F736F F D20BDC3B0E8BFADBAD0BCAE20C1A B0AD5FBCF6C1A45FB0E8B7AEB0E6C1A6C7D E646F63>


24(3) 08.fm

에너지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09구자용(489~500)

슬라이드 1


04김호걸(39~50)ok

433대지04강철성



10(3)-12.fm

04.hwp


exp

hwp

14(4)-14(심고문2).fm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제주발전연구원포커스 제주발전연구원 FOCUS 2013년 12월 26일 Vol. 176 발행처 : 제주발전연구원발행인 : 공영민주소 :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아연로 253 ( 오라2동 ) TEL FAX 제주발전

에너지 포커스 (제2권 제2호 통권12호, ·4)

DBPIA-NURIMEDIA

82-01.fm

45-4대지.2허인혜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2

Microsoft PowerPoint - IPYYUIHNPGFU

지역기후변화보고서(서울)_표지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untitled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Microsoft Word - KSR2012A103.doc

<B9DFC0FCBFACB1B8BFF820C1A63135C8A32DC3D6C1BEC6C4C0CF2E687770>

DBPIA-NURIMEDIA

책임연구기관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09-감마선(dh)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1..

B-05 Hierarchical Bayesian Model을 이용한 GCMs 의 최적 Multi-Model Ensemble 모형 구축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hwp

012임수진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09È«¼®¿µ 5~152s

Microsoft Word - KSR2012A038.doc

(001~006)개념RPM3-2(부속)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최근날씨동향 (2015년 4월 ~ 6월 ) 4월 - 이동성고기압과따뜻한남서류가유입되어기온이크게올랐으나, 상순후반부터중순전반까지는대륙고기압과상층한기의영향을받아쌀쌀한날이있었음. 기온은평년보다높았음. 최고기온과평균최저기온은 18.7, 12.2 로각각 0.7, 1.4 높았음.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4: / August, 2017 DOI: Water Enginee

제주2013.indd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statistics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울산광역시중구기후변화상세분석보고서 발간사 2 최근들어지구촌곳곳이집중호우, 태풍, 가뭄, 폭설, 홍수등의이상기후현상때문에몸살을앓고있으며이에따른자연재해의규모와피해도꾸준히증가하는추세입니다. 기후변화에의한영향은기후변화자체의강도뿐만아니라지역적으로기후변화에노출되는정도나취약성정도등

DBPIA-NURIMEDIA

<C1A6C1D6B1E2C8C4BAAFC8AD5FC3D6C1BE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DBPIA-NURIMEDIA


충남교육181호-3.25.pdf

歯1.PDF

- 2 -

발간등록번호 PUBLICATION NUMBER 기상월보 MONTHLY WEATHER REPORT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울산광역시동구기후변화상세분석보고서 발간사 2 최근들어지구촌곳곳이집중호우, 태풍, 가뭄, 폭설, 홍수등의이상기후현상때문에몸살을앓고있으며이에따른자연재해의규모와피해도꾸준히증가하는추세입니다. 기후변화에의한영향은기후변화자체의강도뿐만아니라지역적으로기후변화에노출되는정도나취약성정도등

DBPIA-NURIMEDIA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6, Jun Rate). STAP(Space-Time Adaptive Processing)., -

10(3)-02.fm


울산광역시남구기후변화상세분석보고서 발간사 2 최근들어지구촌곳곳이집중호우, 태풍, 가뭄, 폭설, 홍수등의이상기후현상때문에몸살을앓고있으며이에따른자연재해의규모와피해도꾸준히증가하는추세입니다. 기후변화에의한영향은기후변화자체의강도뿐만아니라지역적으로기후변화에노출되는정도나취약성정도등

Lumbar spine


Transcription: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7, no. 2, p. 188 197, April 2006 ( 해설 )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김성수 1, *Á 장승민 1 Á 백희정 2 Á 최흥연 1 Á 권원태 2 1 제주지방기상청, 690-801 제주시건입동연상로 31 2 기상연구소기후연구실, 156-801 서울시동작구신대방 2 동 460-18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Seong-Su Kim 1, 1 2 *, Seung-Min Jang, Hee-Jeong Baek, Heung-Yeon Choi 1 and Won-Tae Kwon 2 1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Jeju 690-801, Korea 2 Climate Research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156-720, Korea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were investigated using data observed in Jeju station for from 1924 to 2004. Annual mean temperature change for the last 81 years is 0.02 o C increase per year. After 1980, the increase is 0.05 o C per year, larger than the former. The increase of the minimum temperature is larger than that of the maximum temperature in Jeju and ha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The frequency of climate extreme occurrence of temperature and rainfall was also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tion of frequency of the extremely higher temperature has increased in the 1980 s with global warming. The appearance of the extremely lower minimum temperature has decreased during the summers and winters. The facts that the frequencies of rainy days has decreased and heavy rainfall days of more than 80 mm per day in precipitation has increased indicate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fzxpset temperature variability, precipitation variability, climate extreme, Jeju, global warming 요약 : 1924 년부터 2004 년까지제주관측지점자료를이용하여제주의기온과강수량의변동특성을조사하였다. 지난 81 년동안연평균기온은 0.02 o C/year 정도로증가하였으며 1980 년이후에는 0.05 o C/year 로이전보다큰폭으로증가하였다. 최저기온의증가가최고기온증가보다크게나타나결과적으로최저기온의상승이평균기온의상승을유발한것으로보인다. 기온과강수의특이기후발생빈도또한조사하였다. 최고기온특이값빈도에대한기온편차는지구온난화경향과더불어 1980 년대에증가하였으며, 최저기온특이값은여름과겨울동안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강수일수는감소하고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호우일수의빈도는증가하여강수강도가강화되는것으로나타났다. 주요어 기온변동, 강수변동, 특이기후, 제주, 지구온난화 서론 최근들어기후변화에대한많은연구가국내외에서진행되고있으며, 전지구적인기온상승으로인한뚜렷한평균값의변화가있었다는것이알려지고있다. 이러한기온상승은지역기후별로다르게나타날것이며, 제주에서의기온변화경향또한지역기후 *Corresponding author: kimss@kma.go.kr Tel: 82-64-759-0364 Fax: 82-64-759-0368 의특성에따라다르게전개될것으로판단되므로, 미래의기후변화전망을위해서는과거기후변동특성에대한이해가필요하며, 특히지역기후변동특성에대한이해가요구된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 보고서에의하면 20 세기지구의평균기온이 0.6 o C 상승했음이밝혀졌으며, 이외에도지구온난화를입증하는많은연구들이이루어져왔다. 이러한기온상승은기존의여러연구결과에의해한반도에서도발생했음이밝혀진바있다. 이종범 (1978) 은 1954 년부터 1977 년까지 24 년간서울의평균기온이 0.64 o C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189 증가하는것을보였으며, 강용균과노재식 (1985) 은 1954 부터 1983 년까지 30 년동안의기온분석을통해한반도 14 개지점에서기온이증가하고있다고하였다. 또한최근기상연구소자료 (2004a) 에의하면우리나라에서근대적인기상관측이시작된이래평균기온이 1.5 o C 상승하여전지구적인온난화추세를상회하고있음을보인바있다. 이러한연구성과에도불구하고제주지역과관련된기후연구는양성기외 (1995) 의제주도함덕연안해역의해황 Á 기상의계절변동에관한연구와제주도해안지역의기온분포 ( 이윤주, 2000) 등일부에지나지않아제주지역의기후변동에관한연구가거의없는상태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제주지역의기상관측자료를이용하여기후변화연구에있어서균질적인장기자료를확보하고자기온과강수의추세변동성을분석하고기후변동을직접적으로반영하는특이기상의발생및변화경향을조사하여제주지역기온및강수의변동성을파악하고자한다. 자료및분석방법본연구에서사용된자료는제주지방기상청 (33 o 31' N, 126 o 31' E, 해발고도 19.97 m) 에서관측된기온자료와강수량자료를제주지역의대표값으로사용하였으며, 도시화에의한효과는배제하지않았다. 제주지방기상청은 1923 년부터관측을실시하였으며, 관측개시이후관측지점의이동은없었다. 기온과강수의변화경향을알아보기위해 1924 년이후의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및강수량의시계열과 1924 년부터 2004 년까지관측값의평균에대한편차를구하였으며, 강수가감지된날을기준으로한강수일수와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호우일수의빈도변화및기온과강수의관계도살펴보았다. 또한기온과강수의분포에서 5% 이내의범위에포함되는수치를특이기온과특이강수로정의하여이에대한변화경향도알아보았다. 분석방법은자료의흐름을연속적인시간에따라어떤현상이발생됐는지, 자료의패턴이어떠한지파 악하고자시계열분석을실시하였으며, 추세분석은선형회귀분석을이용하여경향변화를분석하였다. 또한, 선형회귀직선은유의수준 0.05 에서 F-test 를사용하여유의성검정을실시하였다. 결과및고찰 기온및강수량의경향성분석기후자료의분석에앞서먼저관측이래기온및강수에대한일반적인기후특성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1924년부터 2004년까지 81년간제주의연평균기온및연강수량은각각 15.1 o C와 1438.4 mm(table 1) 로서대부분의한반도내륙지역값보다높다. Fig. 1에최고, 평균, 최저기온의연변화및최고기온과최저기온의차이, 전달에대한평균기온의변화율을나타내었다. 그림에서보는바와같이최고기온과최저기온, 평균기온의연변화는비슷한경향을보이고있으며, 최고기온과최저기온의차이는상대습도가낮고운량이적은 4월과 5월에차이가크고 (8.0 o C), 상대습도가높고운량이많은 7월 (6.2 o C) 은차이가작게나타났다. 전달에비하여기온이높아진달은 7개월, 낮아진달은 5개월로나타났으며, 봄에비하여가을에기온이빨리변하는것을알수있다. 전달에대한기온상승은 4월에 4.5 o C, 10월과 11월은기온하락폭이 5.0 o C로가장크게나타났다. Fig. 2는제주의기온과강수량의월변화를나타낸것으로월평균기온은 1월이가장낮고 8월이가장높게나타나고있다. 기상연구소 (2004b) 에의하면 우리나라가북반구에위치하여태양의고도가 12월이최저, 6월이최고를보이므로기온은 1월에최저, 7 월에최고를보이는것이타당하나 7월은장마로인해강수량과구름이많으므로, 8월에최고기온을보이는경우가많다 고보고하고있다. 기온자료가어떠한경향성을가지는지살펴보기위해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시간 t에대하여반응변수인연평균기온을 y t 라고둘때회귀모형은다음과같이정의된다. Table 1.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climate elements in Jeju Period of analysis Annual mean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1924~2004 15.1 o C 0.7 1438.4 mm 327.5

190 김성수 Á 장승민 Á 백희정 Á 최흥연 Á 권원태 Fig. 1. The variation of monthly temperature in Jeju; maximum (ü), mean (ÿ), minimum temperature (*), difference of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light bar) and difference of mean temperature about former month (dark bar). y t = β 0 + β 1 t + ε t 여기서독립변수 t 에관한일차항이의미를갖는가에대한가설은 H 0 : β =0, H 1 : β 0 로세울수있으며, 이에대한검정통계량 F 와기각역은다음과같이주어진다. F F (1,n -2 ;α) Table 2 는기온에대한회귀직선의유의성을검정하기위해작성한분산분석표 (ANOVA table) 를나타낸것으로자유도가 1, 79 일때, 95% 에서유의한 F(α) 값인 F(1,79; 0.05) 는 3.961901 로 F 값이그이상으로 Fig. 2. The vari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bar) and mean temperature (solid line) in Jeju. 나타나귀무가설 H 0 : β =0 이기각된다. 즉, 회귀직선은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다만, Table 3 과같이연평균최고기온의경우 R 2 이 0.21 로총변동중에서회귀직선에의해설명되는부분이다른요소에비해작게나타났다. Fig. 3 은연평균기온의시계열을나타낸것으로그림에서보는바와같이제주의연평균기온은전반적으로상승하고있으며, 이러한기온상승은전지구적으로일어나는온난화현상에수반되어나타나는것으로판단할수있다. 제주의연평균기온은 0.02 o C/ year 정도상승하여관측이래 1.6 o C 의기온상승을보이고있으며, 1980 년이후에는 0.05 o C/year 의비율로상승하여최근에들어상승폭이커지는양상을보이고있다. 이러한기온상승경향은지구평균기온증가율을상회하는것이지만 (Jones et al., 1991; IPCC, Table 2. ANOVA table for temperature at Jeju Element Degrees of freedom Sum of squares Mean of squares F Annual mean temperature Annual maximum temperature Annual minimum temperature Regression 1 21.48611 21.48611 118.0894 Residual 79 14.37389 0.181948 Total 80 35.86 Regression 1 4.720683 4.720683 21.37256 Residual 79 17.44919 0.220876 Total 80 22.16988 Regression 1 30.1479 30.1479 138.7309 Residual 79 17.16765 0.217312 Total 80 47.31556 F(α) F(1,79;0.05) : 3.961901 F(1,79;0.01) : 6.966957 Table 3. Coefficients of linear regression equation model for temperature at Jeju Element β 0 β 1 σ 2 R 2 Annual mean temperature 14.20 0.02 (2.2/100 year) 0.45 0.56 Annual maximum temperature 18.18 0.01 (1.03/100 year) 0.28 0.21 Annual minimum temperature 10.82 0.03 (2.61/100 year) 0.59 0.64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191 Fig. 3. The variation of annual mean temperature in Jeju (1924~2004). 2001), 서울의평균기온상승률보다는작은것이며, 이것은도시규모의차이에의한것으로사료된다 ( 정용승과윤마병, 1999). 연평균최고기온과연평균최저기온은관측이래상승경향을나타내어연평균기온의상승에영향을미쳤다. Fig. 4 는분석기간동안제주의연평균최고기온과연평균최저기온의변화경향을나타낸것으로연평균최고기온의경우 0.01 o C/year, 연평균최저기온은 0.026 o C/year 정도의기온상승을보이고있어연평균기온의상승과비교해서최고기온의증가율은작고최저기온의증가율은크게나타나고있다. 따라 Fig. 4. The variation of annual minimum temperature ( ) and maximum temperature (-û-) in Jeju (1924~2004). 서평균기온의전체적인상승을유발하는것은이명인 (1995) 에서와같이최고기온보다는최저기온의상승이더많이기여하고있음을보여주고있다. Fig. 5 는계절별평균기온변화를나타낸것이다. 평균기온의증가경향은계절에따라차이를보이고있으며, 연별변동또한상당한차이를보이고있다. 계절별기온상승폭은봄에 0.03 o C/year 로가장컸으며, 다음으로가을, 겨울, 여름순으로나타나봄에가장뚜렷하게기온증가경향이나타났고, 여름에가장약하게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이명인 (1995) 이 1906 년부터 1994 년까지 13 개기상대의평균기온을 Fig. 5. The variation of seasonal mean temperature in Jeju (1924~2004); (a) spring, (b) summer, (c) autumn and (d) winter.

192 김성수 Á 장승민 Á 백희정 Á 최흥연 Á 권원태 Fig. 6.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omalies in Jeju; (a) decadal mean temperature, (b) annual mean temperature. Fig. 7. The variation of annual precipitation in Jeju (1924~2004). 분석한결과봄에가장뚜렷하게기온증가경향이나타났다는연구결과에부합된다. Fig. 6 에서는 1924 년부터 2004 년까지평균기온에대한편차를나타내었는데시간에따라점차상승하는경향을보여주고있다. 1936 년에 1.4 o C 로가장작게나타났으며, 1998 년에 1.9 o C 로가장높게나타나고있는데전구기온또한가장높게나타났던해 로기록되었다 (Bell et al., 1999). 특히 1990 년대는관측기간동안가장온난한 10 년으로기록되고있다. Fig. 7 은제주의연강수량시계열을나타낸것으로기온에비해변동성이매우큼을알수있다. 전기간에대한변화경향을살펴보면 1.8 mm/year 정도의증가경향을보이나 0.05 유의수준에대해서유의하지않은결과를보였다. 다만 1980 년대중반이후에연강수량의변동폭이커지고있는데, 이는극한강수사상의증가를암시한다고볼수있다. Fig. 8 에서계절별강수량의변화경향을나타낸결과를비교해보면연평균강수량의절반이상이 6~9 월에발생된다는정용승과윤마병 (1999) 의연구결과처럼장마및태풍의영향을많이받는여름에변동폭및증가량이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으며, 제주도의여름철강수량변동에대해이승호와권원태 (2004) 는다른지역과달리두번의극대기와그사이의극소기를분명하게나타는특성을보인다고하였다. Fig. 8. The variation of seasonal precipitation in Jeju (1924~2004); (a) spring, (b) summer, (c) autumn and (d) winter.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193 Fig. 9. The variation of annual total precipitation anomalies in Jeju (1924~2004). Fig. 9 에서나타낸연강수량 anomaly 에서볼수있듯이 1999 년에비가가장많이내렸고, 1929 년에가장비가적었으며, 최근 10 년동안가장비가적었던해는 1996 년이었다. 1924 년에서 2004 년까지연평균강수량은 1,438.4 mm 로비가 500 mm 이상더많이온해는 1927, 1956, 1985, 1999 년및 2003 년이었으며, 500 mm 이상더적게내린해는 1929, 1942, 1984 년및 1996 년이었다. 기상연구소 (2002) 에의하면 1991 년부터 2000 년까지 10 년간연강수량은제주가다른내륙지역에비해많은강수량을보였다 고하였는데이것은위도가낮아기온이높고해양의영향을많이받는이유로사료된다. 기온및강수량의특이값분석제주의특이기온발생분포를구체적으로분석하기위해하주영 (1998) 이사용하였던방법을이용하여조사하였다. 이를위해여름철과겨울철에나타날수있는폭염과혹한, 냉해와관련된특이기온의발생빈도를조사하였다. 이들의기준값은여름철과겨울철의일최고기온과일최저기온의상위 5% 와하위 5% 로정하였으며, 여름 ( 겨울 ) 에일최고기온이 33.1(16.2) o C 이상, 일최저기온이 15.2( 1.3) o C 이하인경우가전체의 5% 정도의발생확률을보였는데이와같은경우를특이기온으로정의하였다. 일최고기온과일최저기온의특이값발생빈도를구하여 Fig. 10에 9년이동합을나타내었으며, Fig. 10(a), (b) 는여름, Fig. 10(c), (d) 는겨울철기온에대한결과이다. 그림에서보는바와같이여름과겨울모두일최저기온특이값에서는발생빈도가시간에따라감소하는경향을보이는반면, 일최고기온특이값에서는 10 년이상의장주기변동을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최고기온과최저기온시계열분석에서나타난것과같이최고기온의상승보다최저기온의상승이더욱뚜렷하므로최저기온의영향을받는여름철의냉해와겨울철의혹한의발생빈도가감소되는경향을나타내고있다. 그러나여름철의폭염과온난한겨울에영향을미치는특이기온의발생빈도는 1940년대에감 Fig. 10. The occurrences of the number of extremely high and low cases by 9-years moving sum in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 and (b) are for the summer, (c) and (d) are for the winter.

194 김성수 Á 장승민 Á 백희정 Á 최흥연 Á 권원태 Fig. 11. The occurrences of the number of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by 9-years moving sum in Jeju. Fig. 12. The occurrences of the number of hot days, warm nights, cold days and cold nights by 9-years moving sum in Jeju. 소하다다시증가하고 1980년대에감소했다가다시증가하는진동형태를보이고있다. 1980년이후뚜렷해진온난화는일최고기온과일최저기온모두의기온상승에의한것으로 ( 이명인과강인식, 1997) 최저기온특이값빈도수감소와최고기온특이값빈도수증가가뚜렷하게나타나고있는데이러한경향은온난화를반영하고있다고할수있다. 기온과관련된특이지수의발생에대하여 9년이동합을실시한최근 30년간의결과를 Fig. 11 및 Fig. 12에보였다. Fig. 11에서난방도일은일평균기온이 18 o C 이하인날의일평균기온과 18 o C와의차이의합이며, 냉방도일은일평균기온이 26 o C 이상인날의일평균기온과 18 o C와의차이의합으로정의하였다. 대체적으로일평균기온이 18 o C 이하인날은 10 월에서 4월까지, 26 o C 이상인날은 6월에서 9월까지많이발생한다. Fig. 12에서온난일은관측기간중최고기온의상위 1% 이내의값을, 한랭일은최고기온하위 1% 이내의값으로정의하였으며, 온난야는최저기온상위 1% 이내, 한랭야는최저기온하위 1% 이내의값을택하였다. 분석결과온난일은 33.5 o C 이상, 한랭일은 2.4 o C 이하, 온난야는 26.2 o C 이상그리고한랭야는 1.7 o C 이하로나타났다. 제주의기온관련지수발생일수변동을살펴보면시간이지나면서최고기온과관련된요소인난방도일, 한랭일, 한랭야는점차감소하는경향을, 최저기온과연관된냉방도일, 온난일, 온난야는점차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다. 특히 1990년대에들어온난일과온난야의발생일수와비교하여한랭일과한랭야의편차가갑자기커지는경향을나타내고있는데이것은 최근가속화되고있는온난화현상을반영한결과로사료된다. 강수가있었던날을기준으로강수량의발생확률을구한결과, 총강수일의약 80% 가 0~10 mm 의강수가있었던경우이며, 특이값으로정의할수있는약 5% 정도의발생빈도를보이는값은 35 mm 이고, 약 1% 정도를나타내는값은 100 mm 로나타났다. 이렇게분석된각강수량에대한 9 년이동합을구하여발생경향을 Fig. 13 에나타내었다. 그림에서보는것처럼 0~10 mm 의강수량발생일수는시간이지남에따라감소하는경향을보이는반면, 35 mm 이상의강수일은다소진동을하지만 1960 년대들어서면서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으며, 100 mm 이상의강수일수는 1980 년대들어서면서급격히증가했다. Fig. 14 는강수시간이기록되기시작한 1964 년부터 2004 년까지연간강수시간과연강수량을그린그림으로, 전반적으로비슷한변화경향을보이고있다. 그러나 1980 년대중반과 1990 년대후반에서 2000 년대까지는강수시간과강수량의차이가크게나타나고있다. 이러한이유는강수일의 80% 이상을차지하여총강수시간을좌우할수있는 0~10 mm 값의감소경향과더불어 35 mm 와 100 mm 이상의강수량발생이같은기간에증가한점과관련이있는것으로사료된다. Fig. 15 는관측이래강수일수와호우일수의 9 년이동합을구하여변화를나타낸것으로기상연구소 (2004a) 가 1954 년부터 2003 년까지 14 개관측지점을분석한연구결과처럼강수일수는감소하고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호우일수는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어결과적으로최근에들어서면서강수강도가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195 Fig. 13.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rainy day for the precipitation amounts. The number is obtained by the 9-year running sum of the annual numbers. Fig. 14. The variation of accumulated rainfall duration (dotted line) and annual total precipitation amounts (solid line). 증가하였음을알수있다. Fig. 16 을보면호우일수의발생빈도는 1930 년대에 2.0 day/year 인데비해서 1990 년대에 3.1 day/year 로과거에비하여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는데, 이러한호우일수의증가는미국및호주에서도나타나는것으로보고되었다 (Karl et al., 1996). Fig. 15. Temporal variation of 9-year moving sum of the number of rainy day per year (ý) and heavy rainfall day per year (ü). 제주의 hythergraph Fig. 17에서보이는바와같이연대별로월평균기온과강수량의관계를보면, 과거에는 9월이최고강수량에근접하였으나 1960년대이후 9월강수량이현저하게줄어들고 8월에최고강수량을보이고있

196 김성수 Á 장승민 Á 백희정 Á 최흥연 Á 권원태 Fig. 16. The variation of heavy rainfall days (à80 mm). 으며, 전체적으로도 8 월에최고강수량을나타내고있다. 최고기온은전체에걸쳐 8 월에가장높게나타나고있다. 또한겨울평균기온도과거에비해상승했음을알수있다. 결론 본연구에서는 1924 년부터 2004 년까지기온및강 수량관측자료를이용하여제주기온과강수량의변동특성을살펴보았다. 시계열분석을통하여전체적인변화경향을조사하였고, 이와더불어특이기온및특이강수발생이어떻게변화하고있는지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제주의연평균기온은지난 81 년간약 0.02 o C/year 의증가율을보였으며, 특히 1980 년대이후에는 0.05 o C/year 정도의상승률을보여기온증가경향이가속화되었다. 온난화경향은계절별로다르게나타나기온의증가는봄철에가장크게나타났다. 또한, 일최고기온과일최저기온은 81 년동안각각 0.01 o C/year, 0.026 o C/year 정도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결과적으로최저기온의상승률이최고기온의상승률보다높게나타나고있어평균기온의상승은최고기온보다는최저기온의상승이더많은기여를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이기온분석결과일최저기온특이값에서는발생빈도가시간에따라감소하는경향을보이는반면, 일최고기온특이값은전체적으로는증가하 Fig. 17. The hythergraph for 70 years at Jeju; Horizontal is monthly mean temperature ( o C) and vertical is monthly precipitation (mm).

제주지역기온과강수량의기후변동특성 197 지만 10 년이상의장주기변동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기온과관련된특이지수발생일수는최고기온과관련된요소는점차감소하고, 최저기온과연관된요소는점차증가하고있어온난화경향을반영하는것으로나타났다. 강수량은기온에비해변동성이매우크게나타나고있으며, 계절별강수량은태풍및장마의영향을받는여름에가장많게나타났다. 강수량별발생빈도를조사한결과 0~10 mm 의발생빈도는전반적으로감소하는경향을보였으나상위약 5% 에해당하는강수량의발생빈도는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어최근호우발생가능성이증대되는형태를보여주고있다. 강수시간과연강수량은비슷한변화경향을보이고있으나 1980 년대중반과 1990 년대후반에서 2000 년대에는강수시간과강수량의차이가크게나타났다. 이러한이유는강수일의 80% 이상을차지하여총강수시간을좌우할수있는 0~10 mm 발생빈도의감소경향과특이강수량발생빈도가같은기간에증가한점과관련이있는것으로볼수있다. 이와더불어강수일수는감소하고호우일수는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어결과적으로강수강도가증가하였음을알수있었다. 본연구의분석결과는온실기체증가등에따른제주기후의변화경향을파악하고자하는시나리오작성이나온난화지수를산출하려는이후의연구에대한기초작업이될수있으리라판단된다. 사사 이연구는기상연구소주요사업 기후변화협약대응지역기후시나리오활용기술개발 의일환으로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강용균, 노재식, 1985, 과거 30 년간 (1954-1983) 한국기온의연변화및연별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1(3), 1-10. 기상연구소, 2002, 기후변화협약대응지역기후시나리오산 출기술개발 (I). 441 p. 기상연구소, 2004a, 기후변화협약대응지역기후시나리오산출기술개발 (III). 510 p. 기상연구소, 2004b, 한국의기후. 기상청기상연구소, 417 p. 양성기, 김해동, 최찬문, 1995, 제주도함덕연안해역의해황Á기상의계절변동에관한연구. 제주대학교해양연보, 19, 1-10. 이명인, 1995, 한반도기온변동성과온난화.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64 p. 이명인, 강인식, 1997, 한반도기온변동성과온난화. 한국 기상학회지, 33(3), 429-443. 이승호, 권원태, 2004, 한국의여름철강수량변동 -순별강수량을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39(6), 819-832. 이윤주, 2000, 제주도해안지역의기온분포.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40 p. 이종범, 1978, 서울지방의기온경년변화와그요인에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4(1), 29-35. 정용승, 윤마병, 1999, 한국의최근기후변화와관련된요소들. 한국기상학회지, 35(3), 309-318. 하주영, 1998, 한반도의기후변동성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59 p. Bell, G. D., M. S. Halpert, C. F. Ropelewski, V. E. Kosky, A. V. Douglas, R. C. Schnell and M. E. Gelman, 1999, Climate Assessment for 1998.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5), 1040-1088.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Houghton and Ding (Eds.), Cambridge Press, 881 p. Jones, P. D., T. M. L. Wigley and G. Farmer, 1991, Marine and land temperature data set: a comparison and look at recent trends. in Schlessinger, M. E. ed. Greenhousegas-induced Climatic Change: A Critical Appraisal of Simulation and Observations. Elsevier, Amsterdam, 153-172. Karl, T. R., W. K. Richard, R. E. David and G. Q. Robert, 1996, Climate Assessment for 1995. Indices of Climate Change for the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2), 292-297. 2006 년 1 월 20 일접수 2006 년 3 월 21 일수정원고접수 2006 년 3 월 21 일원고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