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향찰표기방법 - 음과뜻의구별 기 래 ( 동경밝은달에 ) 東 京 明 期 月 良 뜻 동녘 서울 밝다 기약하다 달 어질다 음 동 경 명 기 월 량 ( 애 ) 밤드리노니다가 ( 밤들이노니다가 ) 夜 入 伊 遊 行 如 可 뜻 밤 들다 어조사 놀다 다니다 같다 옳다 음 야 입 이 유 행 여 가 드러 자리보곤 ( 들어자리를보니 ) 入 良 沙 寢 矣 見 昆 뜻 들다 어질다 모래 잠자다 어조사 보다 형, 나중 음 입 량 ( 어 ) 사 침 의 견 곤 가로리네히어라 ( 다리가넷이러라.) 脚 烏 伊 四 是 良 羅 뜻 다리 까마귀 어조사 넉 ( 넷 ) 이, 옳다 어질다 새그물 음 각 오 이 사 시 량 ( 어 ) 라 둘흔내해엇고 ( 둘은내해였고 ) 二 肹 隱 吾 下 於 叱 古 뜻 둘 묻다 숨다 나 아래 어조사 꾸짖다 옛 음 이 힐 은 오 하 어 질 ( ㅅ ) 고 둘흔뉘해언고 ( 둘은누구핸고.) 二 肹 隱 誰 支 下 焉 古 뜻 둘 묻다 숨다 누구 가르다 아래 어조사 옛 음 이 힐 은 수 자 ( l ) 하 언 고 본 내해다마 ( 본디내해다마는 ) 本 矣 吾 下 是 如 馬 於 隱 뜻 밑 어조사 나 아래 이, 옳다 같다 말 어조사 숨다 음 본 의 ( ) 오 하 시 여 마 어 ( 러 ) 은 아 엇디 릿고 ( 빼앗은것을어찌하리오.) 奪 叱 良 乙 何 如 爲 理 古 뜻 빼앗다 ( ) 꾸짖다 어질다 새 어찌 같다 하다 다스리다 옛 음 탈 질 ( ㅅ ) 량 ( 아 ) 을 ( 늘 ) 하 여 위 리 고 - 1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 처용가 > 핵심노트 1. 갈래 : 8 구체향가 2. 성격 : 주술적, by 체념, 관용 축사 ( 逐邪 ) 의노래 3. 주제 :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혹은아내의부정을체념함, 축신 ( 逐神 - 귀신을쫓음 ) 4. 의의 1 벽사진경 ( 僻邪進慶 : 간사한귀신을물리치고경사를맞이함 ) 의소박한민속에서형성된무가 ( 巫歌 : 무속의노래 ) 이다. 2 의식무, 또는연희의성격을띠고고려와조선시대까지계속전승되었다. 3 고려속요에도 < 처용가 > 가있어향가해독 ( 解讀 ) 의계기를마련해주었다. 4 현전하는신라향가의마지막작품이다. 5. 연대 : 신라헌강왕때 (879 년 ) 6. 배경설화신라헌강왕이개운포 ( 지금의울산 ) 에놀러갔는데문득구름과안개가자욱하여길을잃게되었다. 왕이이상히여겨신하에게물으니, 이는동해용왕의조화이므로절을세워그를위로해야한다고했다. 이에왕이절을세우기로약속하니즉시날씨가개였다. 그래서그곳의지명을 개운포 ( 開雲浦 ) 라하였다. 뒤이어동해용왕이아들일곱명을데리고나와왕에게인사를시키고, 그중한명을두고갔는데, 그가처용으로서왕이미녀를아내로삼아같이살게하였다. 어느날역신 ( 疫神 : 전염병을옮기는귀신 ) 이그의아내의미모를탐하여사람의형상으로변해가지고그녀를범했다. 밖에서놀다가밤늦게돌아온처용은그광경을보고노래를부르고춤을추다가물러갔다. 그러자역신이감복하여제모습을드러내고처용앞에꿇으며말하기를이후에는처용의얼굴을그린그림만보아도그문안에는들지않겠다고약속했다. 이로인하여나라사람들은처용의형상을문에붙여서사기 ( 邪氣 ) 를쫓고경사 ( 慶事 ) 를맞는표시로삼게되었다. 이때처용이부른노래를 처용가 ( 處容歌 ) 라하고, 그춤을 처용무 ( 處容舞 ) 라한다. 이러한배경설화로인해이노래는축사 ( 逐邪 : 사악한귀신을쫓음 ) 및벽사진경 ( 辟邪進慶 : 사악한귀신을물리치고경사를맞아 들임 ) 의주술적 ( 呪術的 ) 의미를갖게되어고려와조선에서도잡귀를쫓는의식에서처용가를부르고처용무를추는관습이이어지게되 었다. - 2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세종어제훈민정음 ( 중세국어 ) 1.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 한자음의표준화를위해세종 30년에간행한 < 동국정운 ( 東國正韻 )> 에규정된이상적인한자음의표기방법. 성종때폐지됨 1 중국어원음에가깝게표기함 듕귁, 졍, 셩, 뼌 2 초성 중성 종성을모두갖추어표기하기위해형식종성인 ㆁ, ㅱ 사용함. 世 솅, 御엉, 製 젱 3 이영보래 : ㄹ 종성의한자음에 ㆆ 을나란히적어그발음이입성임을표시함 2. 방점 ( 傍點 ) 사용 음의성조 ( 음의높낮이 ) 를표시하기글자위해왼쪽에방점 ( 사성점, 좌가점 ) 을찍음. Ÿ 평성 ( 平聲 ) : 낮은소리 (0) Ÿ 상성 ( 上聲 ) : 낮다가높아지는소리 (2) Ÿ 거성 ( 去聲 ) : 높은소리 (1) Ÿ 입성 ( 入聲 ) : 빨리끝을닫는소리 (0, 1, 2) ㄱ, ㄷ, ㅂ, ㅅ 받침으로끝나는말 랏, 귁,,, : 몯, 엿 3. 현재는사용되지않는문자 ( ㅸ, ㆆ, ㅿ, ㆁ, ㆍ ) 사용 1 ㅸ 수 2 ㆆ Ÿ 동국정운식한자음초성에사용, Ÿ 된소리부호 배 Ÿ 절음부호 노 미, 미니 라 3 ㅿ 4 ㆁ,,, 5 ㆍ 4. 이어적기 ( 연철 ) 소리나는대로표기하는방식.( 자음받침이있고뒤에모음으로시작하는말이붙으면자음받침을모음에이어적는방식 ) 말 미, 들, 노 미, 메, 미니 라 5. 비교부사격조사 에 사용 中 國 귁 에 6. ㄹㅇ 형활용형이규칙적으로나타남. 달 아 - 3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세종어제훈민정음 ( 중세국어 ) 7. 모음조화엄격히적용 양성모음은양성모음끼리음성모음은음성모음끼리어울리려는현상 서르, 메 8. 명사형어미 - 옴 /- 움 사용 메 + 움 + 에 9. 8 종성법적용 1 종성 ( 받침 ) 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의 8자로표기함. 2 훈민정음창제당시는 종성부용초성 ( 초성을다시종성에사용함 ) 이었으나, 해례본부터는 8종성법이쓰임. 디 10. 두음법칙적용안됨. ㅣ ( ㅑ, ㅕ, ㅛ, ㅠ ) 모음앞에 ㄴ 이올수없음. 니르 고 져, 너 겨, 니 겨 11. 구개음화적용안됨. ㅣ ( ㅑ, ㅕ, ㅛ, ㅠ ) 모음앞에서 ㄷ 이나 ㅌ 이 ㅈ 이나 ㅊ 으로바뀌는현상 디, 펴 디 12. 원순모음화적용안됨. ㅁ, ㅂ, ㅍ ( 순음 ) 아래의평순모음 ㅡ 가원순모음 ㅜ 로변하는현상 스 믈 13. 각자병서사용 같은자음을겹쳐쓰는것을말함 말 미, 字, 便뼌安 킈 14. 어두자음군합용병서사용 다른자음을나란히적는것을말함. ㅅ계 합용병서는된소리를표기한것이며, ㅂ계 합용병서 ( ㅂ 을첫소리로가진이중자음 ) 는임진왜란이후 (16C) ㅅ계 합용병서와구별없이된소리로쓰임. Ÿ ㅂ계열 - ㅲ, ㅄ, ㅶ, ㅷ 들, 메 Ÿ ㅅ계열 - ㅺ, ㅼ, ㅽ 미니 라 Ÿ ㅄ계열 - ㅴ, ㅵ - 4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세종어제훈민정음 ( 중세국어 ) 世 솅宗 御엉 製젱訓 훈民민正 音 동국정운식한자음 S 주격조사 1 이 : 받침아래, 분철되는경우 어린 이니르고져 2 ㅣ : 모음아래, 한자표기아래 ( 우리말의경우는축약됨 ) 孔공子 ㅣ, 나 + ㅣ 내 3 ø(zero) : l 모음 ( ㅣ후행모음 ) 아래 불휘기픈 기 다 1 통하지 ( 死語 ) 2 구개음화적용 ( ) 3 8 종성법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만을받침으로사용함. 듕귁에 - 끊어적기 ( 분철 ) ~ 과 ( 비교부사격 ) 1 이어적기 ( 끊어적기 : 말 + 이 ) 2 현대국어에서는높임표현으로사용하나, 중세에는일반적말로사용 의미축소 기 다 다 한자 Ÿ 15C 달아 ( ㄹㅇ형 ) - 중세후기 Ÿ 16C 달라 ( ㄹㄹ형 ) - 중세후기 Ÿ 17C 달나 ( ㄹㄴ형 ) - 근대 ~ 와 ( 공동부사격 ) 서로. 모음조화철저히지킴. 자주정신 이르고자, 두음법칙 (X) 까닭 어리석은, 의미이동 (do) + 오 + ᇙ( 관형사형어미 ) + 바 + ㅣ ( 주격조사 ) ᅙ : 된소리부호, [ 홀빼 ] 능히 1 이어적기펴지. 구개음화 (X) 끊어적기 : + 을 2 합용병서 (ᄠ) 의사용 여겨 기하다 : 多 or 大 1 이어적기 끊어적기 : 놈 + 이 2 당시의 놈 은 남자의평칭 의미축소 1 불쌍하게 ᅙ : 절음부호 2 현대에는 쁘게 의미이동 스물. 원순모음화 (X) 만드노니 애민 & 창조정신 1 이여 에서 ㅣ 탈락 2 ㆀ 는실제발음이아님. 1 이어적기 ( 쉽 + 이 ) 익혀. 두음법칙 (X) 2 쉬 > 수 > 수이 > 쉬 메 1 - + - 움 ( 명사형어미 ) + 에 2 이어적기 ( 연철 ) 3 모음조화가잘지켜짐. ᅙ : 절음부호 따름이니라 1 이어적기 2 합용병서 (ᄯ) 의사용 실용정신 -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세조 ( 世祖 ) 5 년 ( 1459 ) 새로운문자를반포하기위하여만든한문본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을세종사후 ( 세조 5 년, 1459) 에 언해 ( 諺解 ) 하여 세종어제훈민정음 이라하였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 이라한다. - 5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세종어제훈민정음 ( 중세국어 ) 작품메모 (1) 음운상의 현대국어에서는사라진음운의사용. ㆆ, ㅿ, ㆁ, ㅸ, ㆍ 모음조화가철저히지켜짐 서르, 메 어두자음군합용병서사용 들, 메, 미니라 (2) 어휘상의 - 의미상의변화가일어남. 1) 의미이동 - 어엿브다 : 불쌍하다 > 쁘다 어리다 : 어리석다 > 나이가적다. 2) 의미축소 - 놈 : 보통사람 > 남자를낮잡아이르는말 말 : 일반적인말 > 말씀 ( 말 [ 言 ] 의높임표현 ) S 사어 ( 死語 ) Ÿ 디 : 통하지 Ÿ 젼 : 까닭 Ÿ 시러 : 능히 Ÿ 하니라 : 많으니라. (3) 문법상의 비교부사격조사 에 의사용 공동부사격조사 와로 사용 현대에는 ㄹㄹ 형으로나타나는활용이 ㄹㅇ 형으로나타남 中듕國귁에 > 중국과 文문字 와로 다 다 달아 > 달라 종속적연결어미 ( 원인 ) - ㄹ 의사용아니 ( 아니 + ㄹ ) 두음법칙, 구개음화, 원순모음화가나타나지않음 Ÿ 두음법칙 : 니르고져, 니겨 Ÿ 구개음화 : 디, 펴디 Ÿ 원순모음화 : 스믈 명사형어미 - 옴 /- 움 의규칙적사용 메 ( - + - 움 + 에 ) 관형격조사 ㅅ 을사용함. 나랏말 미 (4) 표기상의 각자병서, 합용병서를사용함. 이어적기 ( 연철, 連綴 ) 가나타남. ( 주로 ) 끊어적기 ( 분철, 分綴 ) 가나타남. ( 일부 )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 각자 : 말, 문, 아니,, 뼌 킈합용 : 들, 메, 이니라말 미, 수, 노미, 니 겨中 國귁에, 달아中 國귁, 文문字, 便뼌安 등 8 종성법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 디 ( 다 ) 방점의사용 성조 ( 음의높낮이 ) 표시 나 랏 : 말 미, 니르 고 져 - 6 -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세종어제훈민정음 ( 중세국어 ) 훈민정음 VS 현대국어 중세국어 현대국어 음운상의차이점 솅 세종 ㅇ 은형식종성으로사용되었고, 실질종성으로 ㆁ 이사용됨. 니르 고 져 이르고자 두음법칙에의해 ㄴ 이 ㅇ 으로표기됨. 들 뜻을 중세에는어두에합용병서가가능했음. 펴 디 펴지 근대국어시기에 -디 와같은한형태소내에서도구개음화가일어남. 스 믈 스물 근대국어시기에순음 ( ㅁ, ㅂ, ㅍ ) 아래에서 ㅡ 가 ㅜ 로바뀜 ( 원순모음화 ). 서르 서로 중세국어에서는모음조화가철저하게지켜짐. : 수 수이 ( 쉬, 쉽게 ) 중세국어에서는울림소리사이에서 ㅂ 이 ㅸ 으로표기됨. 중세국어현대국어문법상의차이점 귁 에중국과중세국어에는비교를나타내는조사로 에 가사용됨. 문 와 로문자와공동부사격조사로 와로 가사용됨. 중세국어 현대국어 의미상의차이점 어 린 나이가적은 중세국어에서 어 린 은 어리석은 의의미를가짐. 의미이동. 노 미 놈이 중세국어에서 놈 은보통사람을뜻하는평칭이었음. 의미축소. : 어엿 비 어여쁘게 중세국어에서 : 어엿 브다 는 불쌍하다 의의미를가짐. 의미이동 : 말 말 중세국어에서 : 말 은높임표현이아니었음. 평칭. 의미축소 - 7 -
구급간이방 ( 救急簡易方 ) 언해 ( 諺解 ) - 중세국어 구급간이방 ( 救急簡易方 ) 언해 ( 諺解 ) - 15C(1489 년 ) 1489년 ( 성종 20) 에윤호 ( 尹壕 ), 임원준 ( 任元濬 ), 허종 ( 許琮 ) 등이왕명을받아 8권 8책으로편찬, 간행한의학서이다. 우리나라에서간행된구급방 ( 救急方 ) 책들가운데가장정리가잘된책으로, 질병을중풍, 두통등 127종으로나누어서그치료방문을모아엮었다. 이책은부녀, 아동이라도이책을보고직접치료하도록하기위해방문은물론병명까지한글로언해를붙여놓았다. 원간본은을해자 ( 乙亥字 ) 로간행되었는데현재전하지않고복각한중간본만전한다. 이중간본은지방에서복각된것으로, 현재전하는중간본은권 1, 권 2, 권 3, 권 6, 권 7의다섯책이다. 이책들은동일한판본은아니지만임진왜란이전에간행된것으로추정된다. 이책은의학서로서우리나라의학사연구에귀중한자료가되면서또한언해본으로서중세국어연구에특이한자료가된다. 우선방점과 ㅿ, ㆁ 이사용된것은중세국어의을보이는것이라하겠다. 또한이책에쓰인약초명이나사물명도국어사연구에서이용될수있다. 모진 - 구개음화 ( ) 박히거든 - 끊어적기 가시 + ø(zero) 주격쓴 ( 苦 ) 박 : 풀이름 - 끊어적기사내아이오줌 ( 을 ) 주둥이 ( 입 ) 부분을파내어 [ 이플 : 잎 ( 부리 의옛말 ) + 을 - 이어적기 ] 넣어 : 녛 + 어 - 이어적기 솟음 ( 약을달일때약이끓어솟는횟수를세는단위 ) 두어 ( 두 > 두어 ) 끓여아픈데 ( 곳 ) 담가라 자두잎 - 두음법칙 ( ) 짙게 의옛말 대추의 - ᄉ : 관형격조사 기글히다 ( 긇 + 이 + 다 ) 담그면 - 1 이어적기 2 원순모음화 ( ) 찧어 - 1 이어적기 2 구개음화 ( ) 짠, 짜낸 물 ( 水 ) 에 - 1 이어적기 2 원순모음화 ( ) 즉시 딕 ( 찍 ) + 으면좋을것이다 ( 둏다 : 好 ) - 1 이어적기 2 구개음화 ( ) - 구급간이방언해 권제 6, 성종 20 년 ( 1489 년 ) - 8 -
구급간이방 ( 救急簡易方 ) 언해 ( 諺解 ) - 중세국어 작품메모 (1) 음운상의 현대국어에서는사라진음운의사용. ㆍ, ㅿ 모음조화가철저히지켜짐어두자음군합용병서사용 두 오좀, 알, (2) 문법상의 두음법칙, 구개음화, 원순모음화가나타나지않음. Ÿ 두음법칙 : 닙 Ÿ 원순모음화 : 므레 Ÿ 구개음화 : 딘, 디혀 제로 (ø) 주격이나타남. 가 : 가 + ø( ㅣ ) 관형격조사 ㅅ 을사용함. 대촛닙 : 대초 + ㅅ + 닙 (3) 표기상의 이어적기 ( 연철, 連綴 ) 가나타남. ( 주로 ) 끊어적기 ( 분철, 分綴 ) 가나타남. ( 일부 ) 이플, 녀허, 글혀, 므를, 디그면, 글힌, 므레 들어든, 박을 8 종성법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 닙 방점의사용 성조 ( 음의높낮이 ) 표시 - 9 -
인선왕후가숙휘공주에보낸편지 - 근대국어 인선왕후언간 - 17C 중엽 인선왕후가다섯공주등에게내린언간. 곧한글편지로둘째공주숙명 ( 淑明 ) 에게 53건, 셋째공주숙휘 ( 淑徽 ) 에게 16건, 기타 1건등모두 70건이다. 숙명공주에게쓴 53건은현존하는 숙명신한첩( 淑明宸翰帖 ) 에들어있고, 숙휘공주에게쓴 16건은 숙휘신한첩 에전하고있다. 이들원문은근래에간행된 친필언간총람 ( 親筆諺簡總覽 ) 언간( 諺簡 ) 의연구 에모두수록되어있다. 내용은일반생활의안부지만, 무대가궁중과사대부가의사연인만큼궁중풍속, 정치사건등도포함되어흥미롭다. 편지 - ㅸ 소실 ( 글 > 글월 ) 이어적기 ( 편지를 ) ㆍ 사용기뻐하며모음조화 - 지킴 1 ㅸ 소실 ( 반가 > 반가와 ) 2 모음조화 - 지킴 ( 하다 ) ( 그러나 ) 기 ㅿ 소실 ( 두 > 두어 ) 1 끊어적기 2 모음조화파괴 1 명사형어미 기 사용 2 모음조화파괴 모음조화파괴홀홀히때섭섭하여 차라리있는것만 7종성법 이사용됨 ( 몯 다 > 못하다 ) 서로 - 모음조화파괴 ( 서르 > 서 ) 끊어적기이어적기 1 어두자음군합용병서사용 2 모음조화 - 지킴 - 10 -
인선왕후가숙휘공주에보낸편지 - 근대국어 작품메모 (1) 음운상의 중세국어시기에사용되던음운소실 ㅿ, ㅸ 의소실이확인됨. 글월, 반가와, 두어 ㆍ 음가혼란 모음조화가파괴됨. 날을 ( 목적격조사사용의혼란 ), 묵, 덧업기, 서 (2) 문법상의 명사형어미 기 가사용됨 (16C 에등장함.) 덧업기 (3) 표기상의 어두자음군합용병서사용 나 이어적기 ( 연철, 連綴 ) 가쓰임. 이시니, 업시 끊어적기 ( 분철, 分綴 ) 가확대됨. 날을, 일이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가사라짐. 용례는보이지않음 주격조사 가 의사용 용례는보이지않음 7종성법이사용됨. 못 여 방점 ( 성조표시 ) 의사용이보이지않음. 방점은 17C에소실 중세국어 VS 근대국어 ( 인선왕후언간 ) 중세국어근대국어 방점사용 방점이완전히소실 ㆆ, ㅿ, ㆁ, ㅸ, ㆍ 가사용됨. ㆍ 를제외한 ㆆ, ㅿ, ㆁ, ㅸ 이사용되지않음. 8종성법 7종성법 이어적기 > 끊어적기 끊어적기가확대됨. 모음조화를철저히지킴. 모음조화가문란해짐. - 11 -
규합총서 ( 閨閤叢書 ) - 근대국어 규합총서 ( 閨閤叢書 ) - 19C(1809 년 ) 1809년 ( 순종 9) 빙허각 ( 憑虛閣 ) 이씨 ( 李氏 ) 가부녀자를위하여엮은일종의여성생활백과. 현재목판본 1책 ( 가람문고본 ), 필사본 (2권 1책 ) 으로된부인필지 (1권 1책,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 ) 및개인소장본 ( 필사본 6권 ) 등이전해지고있다. 본래작자 제작연대등이미상이었으나, 1939년 빙허각전서憑虛閣全書 가발견되면서이책의 1부작으로확인되었고, 작자도조선영조때의실학자서유구 ( 徐有而 ) 의형수 ( 빙허각이씨 ) 임이알려졌다. 여성들에게교양지식이될만한주사의 ( 酒食議, 음식 ) ㆍ봉임측 ( 縫紝則, 길쌈, 바느질 ) ㆍ산가락 ( 山家樂, 밭가꾸기, 가축기르기 ) ㆍ청낭결 ( 靑囊訣, 태교, 아기키우기, 구급방 ) ㆍ술수략 ( 術數略, 거처를깨끗이함 ) 등에관한것이한글로수록되었다. 지금은잘알수없는각종비결과문자가많아당대의생활사를연구하는데좋은자료가된다. 규합총서 는저자가서문에서 이모두가양생하는선무 ( 先務 : 먼저힘써야할것 ) 요, 치가 ( 治家 : 집안을다스리는것 ) 하는요법이라진실로일용생활에없어서는안될것이요, 부녀가마땅히강구해야할것이다. 라고밝히고있듯이, 일상생활에서요긴한생활의슬기를적어모은것이다. 껍질 - 구개음화적용 ( 겁딜 > 겁질 ) > > 음 > 마음 - 1 모음조화파괴 2 ㅿ 소멸 섞박지. 김치의일종무는 - 모음조화파괴둥그나기나 ㅂ 계합용병서사용갓은 - 거듭적기 적당히 절일. 이어적기 끓여. - 1 이어적기 2 ㅅ 계합용병서사용 ㅂ 계합용병서사용 오이 여름에 적 ( 때 ) 1 원순모음화적용 원순모음화적용 - 1 두음법칙적용 2 모음조화지킴 2 끊어적기 3 끊어적기 - 규합총서 순조 9 년 ( 1809 ) - 12 -
규합총서 ( 閨閤叢書 ) - 근대국어 작품메모 (1) 음운상의 중세국어시기에사용되던음운소실 ㆍ 는남아서사용됨. 모음조화가파괴됨. 음 ( > > 음 > 마음 ) 무, 음 (2) 문법상의 구개음화가적용됨. 겁딜 > 겁질 원순모음화가적용됨. 므레 ( 믈 + 에 ) > 물에 ( 물 + 에 ) 두음법칙이적용됨. 녀름 ( 夏 ) > 여름 명사형어미 기 가사용됨 용례는보이지않음 (3) 표기상의 합용병서를사용함. 끊어적기 ( 분철, 分綴 ) 가나타남. 거듭적기 ( 중철, 重綴 ) 가나타남.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가사라짐. 7종성법이사용됨. 방점 ( 성조표시 ) 의사용이보이지않음. 방점은 17C에소실 고, 어, 혀 물에, 어름에, 소곰물을 갓슨 용례는보이지않음 용례는보이지않음 ( 주의 ) 붓고 7 종성이 ( ) 구급간이방언해 VS 규합총서 구급간이방언해규합총서 방점사용 방점이완전히소실 글혀 ( 기글히다 ) 혀 ( 기 히다 ) 된소리화됨. 므레 물에 원순모음화, 끊어적기 구개음화없음 구개음화나타남. 겁질 - 13 -
한영 뎐한영문법 ( 개화기국어 ) 독립신문 - 19C(1896 년 ) : 끊어적기 ( 분철 ) : 이어적기 ( 연철 ) 배우려면 ㆍ 표기가사용됨 ( 음가는소실 ) 요긴한문어체인종결어미 라 사용 만든 언더우드 - 주격조사생략 (17C 이후 - 주격조사 가 등장 ) 구개음화가적용되지않음. 모음조화파괴 ( 서르 > 서 > 서로 ) 견주엇시니 견주었으니. 거듭적기 잇서야 있어야. 거듭적기 값은 - 14 -
한영 뎐한영문법 ( 개화기국어 ) 작품메모 (1) 음운상의 ㆍ 를제외하고현대국어의모습을갖춤. ㆍ : 음가는완전히소실 표기는남아있음.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년) 에의해서폐지될때까지사용됨. (2) 문법상의 평서형종결어미로 - 라 가사용됨.( 문어체 ) 현대국어 : 평서형종결어미 다 가사용됨.( 구어체 ) (3) 표기상의 끊어적기가중심이나이어적기도나타남. 띄어쓰기를적용함. 규합총서 VS 한영 뎐한영문법 규합총서 방점없음 거듭적기가나타남. 한영 뎐한영문법 합용병서가나타남. 합용병서가나타나지않음. 구개음화된어휘가나타남. 구개음화되지않은어휘가나타남.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