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23 서론 멸치 (Engraulis japonica) 는전형적인표층성부어류로서국내에서는주로남해안에주산란장을갖고있으며, 연중남해안에서높은비율로어획되는중요한수산종에속한다 ( 장등, 1980; 국립수산진흥원, 1998). 이러한수산업상의중요

Similar documents
(26) 김진구.hwp

Korean J. Ichthyol. 11(1), 62~71, 1999 앨퉁이 (Maurolicus muelleri) 난 자치어분포와수온전선 김 성 유재명 한국해양연구소해양생물연구단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Maurolicus mu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012임수진


1996;Yoon and Byun, 2004). 이러한외해역환경에영향을받는제주도연안천해역의환경은이들수괴의세력변화에의해크게좌우되지만이외에도제주도의강수량, 기온, 북서계절풍등과같은기상상태나육수유입, 파랑, 조석상태등에의해서도시 공간적차가생길수있다 (Go et al., 20

수산과학회지46-4.indd

580 이재철ㆍ김대현 , Aanderaa Weather Station P Q ADCP 4 m,. P Q 84 m 124 m. ADCP. ADCP (Sea-Bird Electronics, 2000), inverse barometric effect

이증종외2

433대지05박창용

01À̽ÂÈ£A9-832š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02À±¼ø¿Á

02ÇãÀÎÇý ~26š


03이경미(237~248)ok

PDF

04김호걸(39~50)ok

????7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02¿ÀÇö¹Ì(5~493s

11¹ÚÇý·É

1..


07)동계(어류)단보-컬러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04_이근원_21~27.hwp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한수지 49(6), , 2016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49(6), ,2016 음향산란층의식별을위한에코그램분석방법의비교 최석관 윤은아 1 * 한인우 1 오우석 1 국립수산과학원원양자원과, 1 전남

untitled

09-감마선(d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09È«¼®¿µ 5~152s

00-1CD....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03-서연옥.hwp

19(4)-12(40).fm

DBPIA-NURIMEDIA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44-3대지.08류주현c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03권동희(17-26)ok

14.531~539(08-037).fm

歯5-2-13(전미희외).PDF

한수지 48(6), , 2015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48(6), ,2015 가막만과여자만의잘피밭에서식하는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유어의성장및환경과의관계 김진구 * 유정화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소식지수정본-1

13(1)-04(박미옥).fm

한수지 49(3), , 2016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49(3), ,2016 동해포항연안문치가자미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의성숙과산란 김소라ㆍ차형기ㆍ이재봉 1 ㆍ

( )Jksc057.hwp

서론 34 2

DBPIA-NURIMEDIA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hwp


12.077~081(A12_이종국).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Jkbcs016(92-97).hwp

<30342D3136BFACBAB828C0D3B1DD292E687770>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09권오설_ok.hwp

DBPIA-NURIMEDIA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한수지 48(5), , 2015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48(5), ,2015 한국근해개복치 (Mola mola) 의성숙과산란 강민주 백혜자 이동우 1 최정화 1 * 부경대학교자원생물학과, 1 국

13장문현(541~556)ok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변화근 Fish Fauna of Mt. Juheul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won University, Cheongju , Korea To clarify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c

01이정훈(113~127)ok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DBPIA-NURIMEDIA

歯kjmh2004v13n1.PDF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03¹ü¼±±Ô

DBPIA-NURIMEDIA

최근 년 년 월순별유의파고 그림 1. 최근 5 년간 (2013~2017 년 ) 2 월해역별유의파고특성 2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도비라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歯14.양돈규.hwp

9(3)-4(p ).fm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차례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2005) ,,.,..,,..,.,,,,,

09구자용(489~500)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20(1)-01(김지혜).fm

49-9분동안 표지 3.3

Transcription:

Korean J. Ichthyol. 14(3), 222~233, 2002 하계제주해협주변멸치난 자치어의분포와해양환경과의관계 1. 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이승종 고유봉 제주대학교해양학과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and Its Relationships to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Jeju Strait in Summer 1. Distribution of anchovy eggs and larvae Seung Jong Lee and You Bong Go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90-756, Korea The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was examin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including Jeju Strait, during July 16~21, 2001. A comparative capture experiment of anchovy eggs and larvae was carried out using Bongo nets with two different mesh sizes (333 µm and 505 µm). The catches of larva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nets of either mesh size, but 99.2% of the total egg catch was obtained by the net with 333 µm mesh. High densities of eggs in early developmental stage occurred in the vicinity of Chongsan Island (Area J),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Strait adjacent to the northwest coast of Jeju Island (Area C),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Jeju Strait in the vicinity of Chuja Island (Area A). This suggests that these areas are major spawning grounds of the anchovy in the summer.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proportion of late- developmental- stage eggs was higher in the eastern part of study area than in the western part. Anchovy larvae were concentrated at 10 m and 20 m depths. Densities of larvae were markedly higher in the northern part of Jeju Strait (Area A, B) than the other sea areas. The proportion of larvae whose total length is longer than 10.0 mm and 20.0 mm was higher in the eastern part (Area B, D) than in the western part of Jeju Strait (Area A, C). This suggests that anchovy larvae may be transported to the eastern part of Jeju Strait by a predominant northeastward flow pattern in summer. Key words : Anchovy, Engraulis japonica, distribution, Jeju Strait, Bongo net 222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23 서론 멸치 (Engraulis japonica) 는전형적인표층성부어류로서국내에서는주로남해안에주산란장을갖고있으며, 연중남해안에서높은비율로어획되는중요한수산종에속한다 ( 장등, 1980; 국립수산진흥원, 1998). 이러한수산업상의중요성으로인해멸치에대해서는과거부터많은연구가행해져왔었다. 멸치는서식해역내의서로다른환경변화에대응하면서재생산전략을취하는어종으로알려져있다 (Bakun and Parrish, 1991;, 1992;, 1999). 즉멸치는서식해역내에존재하는다양한해양환경조건에적응하면서자신들의재생산전략을바꾸어가며종족을유지하는생태적특성을지닌종이라고말할수있다. 하지만이러한멸치의생태적특성에도불구하고지금까지국내에서멸치의산란및분포에영향을끼치는해양환경요인을논의하는데있어서수온, 염분으로대표되는물리적환경요인들과의관계에대해주로다뤄져왔었고그이외의환경변화와의대응관계에대한논의는소수에지나지않았다 (Kim, 1992; 김과김, 1993; 추 와김, 1998). 따라서앞으로멸치의산란및난 자치어의분포를논할때에는수온, 염분이외에도해역내에존재하는각종해양환경요인들을동시에조사하고, 이를바탕으로더나아가국내에서멸치들이어떠한재생산전략을취하며서식하고있는지를구체적으로파악하는것이시급히수행되어야할과제라고사료된다. 본연구에서는남해에서도지금까지멸치난 자치어의분포상황이조사되지않았었던제주해협을중심으로이들의분포양상을파악하고, 이와더불어각종해양환경요인을동시에조사하여이들환경요인들이멸치의산란및난 자치어의분포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에대해기초적인정보를알아보고자하였다. 이번논문에서는그일차적단계로제주해협을중심으로한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을살펴보는것을목적으로하였다. 재료및방법 조사는 2001 년 7 월 16 일부터 21 일까지 6 일동안제 Fig. 1. Map showing the study area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10 subareas (Area A~J). Environmental observations were performed at all stations in July 16~21, 2001. Open circles ( ) show biological sampling stations.

224 이승종 고유봉 주대학교조사실습선아라호를이용하여실시하였다. 이번연구에서는조사해역을총 10개의해역으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Fig. 1). 우선제주해협 (A~D해역) 이라함은 Fig. 1에서처럼제주도를기준으로하여동서방향으로는제주도동쪽우도부근해역 (127 00 E) 부터제주도서쪽차귀도부근 (126 07 E) 까지를, 북쪽으로는보길도이남해역 (34 06 N) 까지로정의하였다. 제주해협은다시북서부역 (A해역), 북동부역 (B해역), 남서부역 (C해역 ) 그리고남동부역 (D해역) 등각각4개의해역으로구분했다. 또제주해협을기준으로서부외양역을북서부외양역 (E해역) 과남서부외양역 (F해역) 의 2개해역으로, 또한동부외양역을북동부외양역 (G해역) 과남동부외양역 (H해역) 의 2개해역으로각각구분하였다. 이밖에남해안에해당되는해역은보길도를중심으로서쪽을거차군도주변역 (I해역), 동쪽은청산도주변역 (J해역 ) 으로각각구분하였다. 전체조사해역내에는총 49개의정점을설정하였고모든정점에대해 CTD를이용하여수온, 염분을측정하였다. 멸치난 자치어채집은 H 해역 (1개정점) 을제외하고각각구분된해역내에 2~5 개의정점을선택하여 10 m, 20 m, 30 m 수층에대해서실시하였다. 이번조사에서는멸치난 자치어의채집에있어서망목크기간난 자치어출현량의차이를알아보고자망목 333 µm과 505 µm 두개의채집망이부착된봉고네트 ( 망구직경 60 cm) 를이용하였다. 채집은각수층을 2~3 knot의속도로약 10분간수평예망하여실시하였다. 채집된시료는선상에서 5% 해수포르말린으로고정시킨후실험실에서멸치어란및자치어만을분리, 계수하였다. 또멸치난 자치어의분포밀도는채집시에네트입구에부착시킨유량계의회전수에의해여과수량을계산한후해수 1,000 m 3 당개체수로환산하였다. 망목의크기에따른멸치난 자치어출현량에대한유의성관계는 T-test (SPSS 10.0) 를사용하여검증하였다. 또각수층에대한멸치난 자치어의전체적인분포양상은각해역별평균밀도로표시하였다. 멸치어란은난내발생진행상황에따라산란된후얼마되지않아배체가형성되지않은어란을 I단계, 배체가형성되어있으나미부가난황에서떨어져있지않은어란을 II단계, 미부가난황과떨어져있는부화직전의어란을 III단계로하는등총 3가지단계로구분하였다. 멸치자치어인경우에는채집된모든개체에대해 0.1 mm 단위로전장을측정하였다. 본연구에서이용한수온, 염분 CTD 자료는제주대학교해양산업공학부어장환경학실험실의자료임을밝힌다. 결과 1. 수온 염분의분포변화조사기간내연구해역의각수층별수온 염분의수평 분포상황을살펴보면 (Fig. 2), 우선 10 m 수층인경우는전체적으로 12.9~26.3 C 의수온범위를보이고있었다. 제주도주변해역은대마난류수의영향으로인해 22.6~ 26.3 C 의고수온의해수가존재하고있었고남해안으로접근할수록점차수온의낮아지는경향을보였다. 특히제주해협북서부외양역 (E해역) 부터제주해협북부역 (A~B해역) 그리고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에걸쳐강한수온전선대가동서방향으로길게형성되어있는것이특징적이었다. 염분은 28.8~32.7 의범위를보이고있었고, 제주해협남서부외양역 (F해역) 은중국대륙연안수의영향으로 28.8 정도의저염분대해수가제주해협내로유입되고있었다. 또청산도주변역 (J해역 ) 을중심으로남해안연안을따라염분전선대가형성되고있었으며남해안연안쪽이상대적으로고염의특성을보이고있었다. 20 m 수층인경우에는수온범위가 12.1~23.1 C 로 10 m 수층보다평균 3~4 C 정도낮게나타나고있었다. 제주도주변에는 20 C 이상의고온수가분포하고있었고제주해협의남서부외양역 (F해역) 을시작으로북동방향으로수온전선대가비스듬하게형성되고있었다. 염분은 31.4~33.4 의범위로 10 m 수층에비해평균 1 정도높게나타났으며 10 m 수층에서와같은저염분대의해수는출현하지않았다. 그리고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 과제주해협동부외양역 (G, H해역 ) 에서비교적고염의해수들이분포하고있었다. 30 m 수층은수온범위가 10.2~20.7 C 로 20 m 수층에비해평균 2~3 C 낮은분포범위를보이고있었으며등온선의분포는 20 m 수층과비슷한양상을나타내고있었다. 염분은 32.1~34.0 의범위로 20 m 수층에비해평균 0.5 정도가더높았고, 등온선의분포와유사한양상으로제주해협남서부외양역 (F해역) 에서부터북동방향으로비스듬하게염분전선대가형성되고있었다. 2. 망목에따른멸치난 자치어의출현량비교이번연구에서는망목 333 µm와 505 µm의두가지채집망이장착된봉고네트로동시에채집을행한후각네트에채집된멸치난 자치어의출현량을서로비교해보았다 (Table 1). 우선멸치어란인경우에는전수층을통틀어망목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25 Fig. 2. Horizont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C) and salinity ( ) at the depths of 10 m, 20 m and 30 m. Table 1. Comparisons of mean abundances of anchovy eggs and larvae collected by a Bongo net with two different mesh sizes (333 µm and 505 µm) (Unit: No./1,000 m 3 and ind./1,000 m 3 ) Depth Mean eggs abundance Mean larvae abundance (m) 333 µm % 505 µm % df t P 333 µm % 505 µm % df t P 10 m 1,102 99.6 4 0.4 6 4.192 * 49 50.5 48 49.5 21 1.098 n.s. 20 m 593 98.8 7 1.2 7 6.040 * 40 53.3 35 46.7 19-1.151 n.s. 30 m 430 98.6 6 1.4 6 5.238 * 21 51.2 20 48.8 17 0.792 n.s. Total 2,125 99.2 17 0.8 110 51.6 103 48.4 *P 0.05; n.s., not significant. 333 µm 네트에서는평균밀도 2,125 No./1,000 m 3, 망목 505 µm 네트에서는평균밀도 17 No./1,000 m 3 가출현하 였는데이는 333 µm네트에서가전체출현량의 99.2% 를차지하고있는것으로서 505 µm네트 (0.8%) 보다월등히

226 이승종 고유봉 많은어란출현량을나타내고있었다. 또한망목별멸치어란출현량에대한 T-test 결과에서도모든수층에서출현량에유의한차이 ( 유의수준 5%) 를보여주었다. 멸치자치어의출현량에있어서는전수층을통틀어망목 333 µm네트는평균밀도 110 ind./1,000 m 3 (51.6%), 망목 505 µm네트는평균밀도 103 ind./1,000 m 3 (48.4%) 가출현하였으며수층별로살펴보면 333 µm네트쪽이조금많았을뿐전체적인출현량에는큰차이가없었다. 또망목별자치어출현량에대한 T-test 결과에서도전수층에서유의한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이상의결과로부터, 멸치어란의채집에는망목 333 µm네트가더유효하였고멸치자치어에있어서는망목에따른출현량의차이가크지않음을알수있었다. 따라서이후부터서술하는멸치난 자치어에관한모든사항은망목 333 µm네트에서채집된것들을대상으로하였다. 3. 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조사기간동안연구해역내에서채집된멸치난 자치어의해역별평균분포밀도 (Table 2) 와수층별분포상황 (Fig.3) 은다음과같다. 1) 멸치어란이번조사에서의멸치어란은전수층을통틀어평균 2,125 No./1,000 m 3 정도로출현하였다. 10 m 수층에서는전체평균 1,102 No./1,000 m 3 정도의멸치어란이출현하고있었는데해역별로살펴보면, 청산도주변역 (J해역 ) 에서평균 9,351 No./1,000 m 3 로가장많았고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에서도 289 No./1,000 m 3 로비교적많은출현을보였다. 제주해협인경우에는특히서부에해당하는북서부역 (A해역) 과남서부역 (C해역) 에서각각평균 1,172 No./1,000 m 3 와 172 No./1,000 m 3 로동부 (B, D해역평균 10 No./1,000 m 3 에비해상대적으로 높았으며반면에제주해협서부외양역 (E, F해역 ) 과제주해협남동부외양역 (H해역) 에서는평균 3 No./1,000 m 3 정도로아주낮았다. 20 m 수층에서는전체평균 593 No./1,000 m 3 정도가출현하였는데 10 m 수층과유사한양상으로청산도주변역 (J해역) 에서평균 3,423 No./1,000 m 3 로가장많이출현하고있었다. 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에서는평균 1,294 No./1,000 m 3 로 10 m 수층보다더높은값을나타냈다. 제주해협인경우도 10 m 수층과마찬가지로북서부역 (A해역) 과남서부역 (C해역) 이각각평균 591 No./1,000 m 3 와 573 No./1,000 m 3 로북동부역 (B해역) 과남동부역 (D해역) 의각각22 No./1,000 m 3, 9 No./1,000 m 3 에비해분포밀도가높았다. 한편외양역에해당하는제주해협서부외양역 (E해역 20 No./1,000 m 3, F해역 2 No./1,000 m 3 ) 에서는낮은값을보이고있었다. 30 m 수층인경우는전체평균 430 No./1,000 m 3 로채집수층중출현량이가장낮았는데그분포양상을살펴보면역시청산도주변역 (J해역) 이평균 2,047 No./ 1,000 m 3 로가장많았고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 에서평균 1,258 No./1,000 m 3 로그다음으로많이출현하고있었다. 제주해협내에서는남부에해당하는남서부역 (C해역) 과남동부역 (D해역) 이각각 750 No./1,000 m 3 와 119 No./1,000 m 3 로북부인북서부역 (A해역) 98 No./1,000 m 3, 북동부역 (B해역) 10 No./1,000 m 3 보다상대적으로높은값을보이고있었다. 이상의결과를종합해보면, 연구해역내에서의멸치어란은전수층을통틀어청산도주변역 (J해역) 과거문도부근의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추자도중심의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그리고제주도북서부연안에인접한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등전반적으로외양역보다는일부섬을중심으로한집중분포현상이뚜렷하였다. 한편보길도서쪽에해당하는거차군도주변역 (I해역) 에서는전수층을통해멸치어란들이출현 Table 2. Mean abundances of anchovy eggs and larvae collected in the study area on July, 2001 (Unit : No./1,000 m 3 and ind./1,000 m 3 ) Depth Mean eggs and larvae abundance Average (m) A B C D E F G H I J 10 m 20 m 30 m Total egg 1,172 10 172 11 6 3 289 1-9,351 1,102 larvae 188 113 38 12 33 31 12-11 49 49 egg 591 22 573 9 20 2 1,294 - - 3,423 593 larvae 72 103 43 23 32 41 24-13 44 40 egg 98 10 750 119 20 2 1,258 - - 2,047 430 larvae 11 42 20 21 33 20 38 - - 22 21 egg 1,861 42 1,495 139 46 7 2,841 1-14,821 larvae 271 258 101 56 98 92 74-24 115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27 Fig. 3. Distribution of mean abundances of anchovy eggs (No./1,000 m 3 ) and larvae (ind./1,000 m 3 ) at the depths of 10 m, 20 m and 30 m. 하지않고있는것이특징적이었다. 2) 멸치자치어멸치자치어는전수층을통틀어평균 110 ind./1,000 m 3 정도로출현하고있었다. 수층별로살펴보면, 우선 10 m 수층에서는전체평균 49 ind./1,000 m 3 정도의멸치 자치어가출현하였으며특히제주해협북부에해당하는북서부역 (A해역) 과북동부역 (B해역) 에서각각평균 188 ind./1,000 m 3 와 113 ind./1,000 m 3 로출현량이가장많았다. 반면에그외의해역들에서는모두평균 50 ind./ 1,000 m 3 이하의낮은값을보였다. 20 m 수층에서는전체평균 40 ind./1,000 m 3 정도의

228 이승종 고유봉 출현을보였다. 해역별분포양상을살펴보면 10 m 수층보다는분포밀도가낮았지만역시제주해협북부역인 A, B해역에서각각평균 72 ind./1,000 m 3 와 103 ind./ 1,000 m 3 로높은값을나타내고있었다. 그외나머지해역에서도모두평균 50 ind./1,000 m 3 이하로낮았다. 30 m 수층인경우는전체평균 21 ind./1,000 m 3 로채집수층중멸치자치어가가장적게출현하고있었다. 해역별로살펴보았을때에도모든해역에서의평균분포밀도가 10~50 ind./1,000 m 3 의범위로나타나다른수층에비해아주낮은분포밀도를보여주고있었다. 따라서조사기간동안연구해역내에서의멸치자치어는어란과는달리 10 m와 20 m 수층에서주로출현하였는데대부분제주해협북부역 (A, B해역 ) 내에서고밀도로분포하고있었고, 수심이깊어질수록멸치자치어의분포밀도가점차낮아지는경향을나타내고있음을알수있었다. 4. 멸치어란의발생단계별분포양상멸치어란의발생단계별분포밀도와분포비율상황을해역별로구분하여살펴보았다 (Table 3, Fig.4). 여기서발생단계별분포비율을논의할때에전체평균분포밀도가 10 No./1,000 m 3 이하로출현한제주해협남서부외양역 (F해역) 과제주해협남동부외양역 (H해역) 은논의대상에서제외시켰다. 우선전수층평균분포밀도에서는청산도주변역 (J해역), 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이모두 1,400 No./1,000 m 3 이상으로높은값을보이고있었다. 발생단계별로살펴보면, 산란된후얼마지나지않은 I단계어란의경우는제주해협남부역 (C, D해역 ) 과북동부역 (B해역), 제주해협북서부외양역 (E해역) 그리고청산도주변역 (J해역) 에서 50% 이상의높은비율로출현하고있었다. 평균분포밀도는 J해역이 7,927 No./1,000 m 3 로가장많았고그다음으로 C해역 1,013 Table 3. Mean abundances of anchovy eggs by the developmental stages (Unit: No./1,000 m 3 ) Developmental Mean egg abundance stage A B C D E F G H I J Stage I 489 19 1,013 88 30 2 717 1-7,927 Stage II 1,292 12 189 41 15 3 444 - - 5,953 Stage III 80 11 293 10 1 2 1,680 - - 941 Total 1,861 42 1,495 139 46 7 2,841 1-14,821 Stage I Stage II Stage IIII Fig. 4. Spatial distribution of anchovy eggs by developmental stages in the study area.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29 No./1,000 m 3, G해역 717 No./1,000 m 3, A해역 489 No./1,000 m 3 의순으로출현하고있었다. 난내에배체가형성된 II단계어란은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이 69% 로분포비율이가장높았고그다음으로청산도주변역 (J해역) 40%, 제주해협북서부외양역 (E해역) 33%, 제주해협남동부역 (D해역) 29% 의순으로나타나고있었다. 평균분포밀도는 J해역이 5,953 No./1,000 m 3 로가장높고 A해역 1,292 No./1,000 m 3, G 해역 444 No./1,000 m 3, C해역 189 No./1,000 m 3 순으로출현하고있었다. 부화하기직전의 III단계어란은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이 59% 로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제주해협북동부역 (B해역) 25%, 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19% 순으로나타나고있었다. 평균분포밀도역시 G해역이 1,680 No./1,000 m 3 로가장많았고 J해역 941 No./ 1,000 m 3, C해역 293 No./1,000 m 3 순으로나타나고있었다. 이상의결과들을종합해보면, 조사기간동안연구해역내에서 I단계멸치어란들은외양역 (E, F, H해역 ) 에비해주로섬이나연안역부근 (A, C, J해역 ) 에서대부분높은비율 (50% 이상 ) 을차지하며고밀도로출현하고있었고, II단계어란인경우는모든해역에서출현하였으나뚜렷한경향은나타나지않았지만부화하기직전의 III단계어란은전반적으로연구해역의동쪽방향으로갈수록그출현율이점차증가하고있는경향임을알 수있었다. 5. 해역별멸치자치어의체장조성이번연구에서출현한멸치자치어의체장조성을각해역별로구분하여살펴보았다 (Fig. 5). 조사기간동안연구해역내에서채집된멸치자치어의총전장범위는 3.2~26.5 mm로나타났다. 여기서각체급에따른출현율은크게 10.0 mm TL 미만과 10.0~19.9 mm TL 그리고 20.0 mm TL 이상체급등크게 3가지로구분하여비교하였다. 우선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에서는 10.0 mm TL 미만개체가 87.9% 의높은비율로출현하고있었고 10.0 mm TL 이상체급들은모두 10% 이하로출현율이낮았다. 제주해협북동부역 (B해역) 에서는 10.0 mm TL 미만개체가 56.0%, 10.0~19.9 mm TL 개체가 43.2 %, 20.0 mm TL 이상개체가 0.8% 의순으로출현하고있어서 A해역보다는 10.0 mm TL 이상의개체들의출현율이증가하고있었다. 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인경우는 A해역과마찬가지로 10.0 mm TL 미만이 87.2% 의높은출현율을보인반면나머지체급들은모두 10% 이하로낮았다. 이에대해제주해협남동부 (D해역) 에서는 10.0 mm TL 미만개체가 64.3% 로낮아진반면, 10.0~19.9 mm TL 개체는 28.9%, 20.0 mm TL 이상개체는 6.8% 로 C해역보다10.0~19.9 mm TL 개체와 20.0 mm TL 이상개 Fig. 5. Total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s of anchovy larvae collected in the study area.

230 이승종 고유봉 체의출현율이증가하고있었다. 한편, 제주해협북서부외양역 (E해역) 과북동부외양역 (G) 그리고청산도주변역 (J해역) 에서는 10.0 mm TL 미만개체들이모두 90% 이상을차지하였으며상대적으로 10.0 mm TL 이상개체들의출현율은극히낮았다. 이에대해제주해협남서부외양역 (F해역) 인경우에는 10.0 mm TL 미만개체가 18.5% 인데반해 10.0~19.9 mm TL 개체는 48.1%, 20.0 mm TL 이상개체는 33.4% 로대형개체들의출현율이높게나타나고있었다. 또거차군도주변역 (I해역) 인경우도비록개체수는적었지만 10.0 mm TL 이상개체가 84.2% 로높은출현율을보이고있었다. 이상의결과로부터, 제주해협인경우서부역에해당하는 A, C해역에서는주로 10.0 mm TL 미만개체들이많은 (87% 이상 ) 반면에동부역인 B, D해역에서는 10.0 mm TL 보다큰개체들의출현율이높았고이밖에제주해협이외의 E, G, J해역인경우는모두 10.0 mm TL 미만의개체가주 (90% 이상 ) 를이루고있었으며 F, I해역에서는 10.0~19.9 mm TL과 20.0 mm TL 이상의비교적큰개체들이많이출현하고있었음을알수있다. 고찰일반적으로해양에서중 대형동물플랑크톤을채집 할때에는망목 330 µm의네트가그리고중 소형플랑크톤은망목 100~200 µm의네트가널리이용되고있으며 (, 1976), 어류의난 자치어채집시에는전형적으로망목 333 µm과 505 µm의네트를이용한채집이주를이루고있다 (, 1981). 특히난 자치어의경우에는어떠한망목의네트를선택하느냐에따라서어종별로그출현량이달라지는것으로알려지고있다 (Lenarz, 1972; Weinstein et al., 1980; 谷, 1987). 이에대한원인으로는어란의형태나크기, 난막이지니는장력그리고자치어의체형이나체고또는체장등을들수있다. 기존연구결과에의하면망목 333 µm와 505 µm 두개의네트를가지고난 자치어를동시에채집했을경우에는 333 µm쪽에서가출현량이유의하게많다는것이보고되고있는데 (Barnett et al., 1984; 차, 2002), 이번조사에서도 333 µm과 505 µm 두가지망목의봉고네트를가지고동시에채집을행한결과멸치자치어의출현량에있어서는전수층을통틀어유의한차이가없는반면멸치어란인경우에는 333 µm네트에서가전체출현량의 99.2% 를차지하고있어서 505 µm 네트에서는멸치어란의채집이거의이루지지않고있 음을알수있었다. 이와같은양상은천수만에서금강하구에이르는해역에서실시된연구에서채집된멸치어란의약 96.6% 가 333 µm네트에서출현하였다는차 (2002) 의보고와도잘일치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에대한가장주요한원인으로는난의크기를들수있는데일반적으로난경이 0.7 mm 이하의어란 ( 멸치어란은타원형으로단경이 0.60~0.75 mm임 ) 은네트의예망시수압에의해 505 µm 망목을쉽게빠져나간다고추정되고있다 ( 차, 2002). 이상의내용들을종합해보았을때앞으로멸치난 자치어의채집을행할경우망목크기의선택에있어서는 505 µm네트보다 333 µm네트를사용하는것이바람직하다고판단된다. 이와더불어금후에망목이 333 µm보다더작은중 소형플랑크톤채집용네트를이용한멸치난 자치어채집도실시해봄으로써망목에따른출현량에어떠한변화가있는지또한그원인은무엇인지에대해서도자세히논의할가치가있다고생각된다. 이번조사기간동안망목 333 µm네트에의해출현한멸치어란은전체평균 2,125 No./1,000 m 3 로조사기간인 7월을기준으로살펴보았을때서해안일대 ( 허와유, 1984) 에서의 118.7 No./1,000 m 3, 남해중부고흥반도부근해역 ( 한등, 2002) 에서의 1,798 No./1,000 m 3 와비교하여비슷하거나높은수준으로출현하고있음을알수있었다. 멸치자치어인경우에는이번조사에서전체평균 110 ind./1,000 m 3 가출현하고있어서서해안일대 ( 허와유, 1984) 에서의약 250 ind./1,000 m 3, 고흥반도부근해역 ( 한등, 2002) 에서의 7,232 ind./1,000 m 3, 대한해협 ( 이등, 1996) 에서의 27,617 ind./1,000 m 3 와비교하여출현량이훨씬적었다. 이러한출현량의차이가환경과생물량분포, 정점수또는채집방법의차이에의한것인지등에대해서는금후논의의여지가있다고생각된다. 우리나라남해안에서멸치의산란은 3~11월에걸쳐일어나며, 집중적으로산란을행하는시기는 4~8월에해당한다 ( 최와김, 1988; 김과강, 1992). 따라서이번조사기간인 7월도연구해역내에서멸치들이활발히산란을행하는시기라판단된다. 또한멸치는산란시기나서식해역내의해양환경에따라서도산란장소가달라지는어종으로잘알려져있다 (, 1999; Aoki and Miyashita, 2000). 본조사기간동안멸치어란들의고밀도분포는청산도를중심으로하는청산도주변역 (J해역 ) 과제주해협내추자도주변해역 (A해역), 제주도북부연안과인접한제주해협남부역 (C, D해역 ) 그리고초도와거문도주변역 (G해역) 등외양역보다는주로연안역에서더뚜렷하게나타나고있었다. 이와같은현상은남해안일대에서멸치어란들이외양보다연안측에서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31 대부분높은밀도로분포하고있다는기존의보고 ( 김, 1983; 김과김, 1991) 와도유사한결과였다. 따라서이번연구결과를통해본조사해역내에서의멸치의산란도일부남해안연안역과제주해협내섬과인접한연안역에서주로이루어지고있다고사료된다. 한편이번조사에서는특이하게거차군도주변역 (I해역) 에서전수층을통틀어멸치어란이한개도발견되지않았다. 일반적으로어류의산란에는여러외부환경요인들중수온이가장중요한요인으로작용하고있는데 (Asahina and Hanyu, 1983; Razani and Hanyu, 1986) 멸치의경우에는산란에필요한임계수온이 14~15 C 정도이며, 15 C 이하의수온환경에서는멸치자치어의성육이부적합하다고알려져있다 (Kawaguchi et al., 1990;, 1996). 그런데이번조사기간동안거차군도주변역 (I해역) 의전수층평균수온은 13.1 C 로다른해역에비해상당히낮은편이었다. 따라서이해역에서의멸치의산란제어에는우선저수온이크게작용했으리라추측된다. 그밖에다른환경요인들도멸치의산란에영향을끼쳤겠지만조사해역내멸치난 자치어분포와여러환경요인들과의관계에대한면밀한검토는다음논문에서자세히다루기로한다. 이번연구에서멸치어란의발생단계별분포현황에있어서는산란된후얼마지나지않은 I단계어란들이청산도주변역 (J해역), 제주도북서부연안역과인접한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그리고추자도주변인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에서집중적으로분포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특히이해역들이멸치들의주산란장이되고있음을나타내는것이라할수있다. 또한부화직전의 III단계어란인경우는연구해역내에서도가장동쪽인초도와거문도주변해역 (G해역) 에서가장많이분포하는등전반적으로연구해역의동쪽방향으로갈수록발생단계가진행된어란의출현율이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었다. 기존의표층부표나인공위성추적부표등을통한해류패턴에관한연구결과에의하면일반적으로여름철제주해협을포함한남해서부해역에서의해류패턴은주로동쪽으로진행하거나제주해협을통과하여남해안으로이동하는등전형적으로북동방향의해류패턴이우세하다고보고되고있다 ( 김, 1982; 김, 1987; 김과노, 1997). 따라서이번연구결과에서나타난발생단계가진행된멸치어란들의출현율이동쪽해역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과이러한여름철해류패턴을함께고려하여생각해본다면이는곧연구해역내에서산란된멸치어란들이난내발생이진행되면서시간이경과함에따라해류의흐름에의해점차동쪽방향으로수송되고있음을시사하는것이라할수 있다. 한편, 멸치자치어는 10 m, 20 m 수층에서고밀도로출현하고있었으며특히제주해협북부역 (A, B해역 ) 에서높은출현밀도를보이고있었다. 여기서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은멸치의주산란장중하나로추정되는해역인데이곳에서는이번조사기간동안 10 m, 20 m 수층에서비교적강한수온전선대 (Fig. 2) 가형성되고있었다. 기존의보고에따르면남해안일대에서멸치난 자치어의분포양상은해역내형성된전선을중심으로양분되어분포하거나전선상에집중적으로분포하는등해역내전선의형성유무와강약에따라그분포가크게달라지고있음을알수있다 ( 김, 1983; 김과최, 1988; 추와김, 1998). 따라서이번연구결과에서도산란장근처에서부화한멸치자치어들이부근해역에형성된전선등에의한해수장벽효과나수렴현상 (Iles and Sinclair, 1982;, 1992) 등과같은물리적해수유동에의해이해역에집중적으로분포하고있는것으로추정된다. 멸치자치어들의해역별체급조성을살펴본결과, 제주해협내인경우에는서부역 (A, C해역 ) 에비해동부역 (B, D해역 ) 에서 10.0 mm TL 이상개체들의출현율이높게나타나고있어동쪽으로갈수록크기가큰개체의출현비율이증가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현상은앞서언급한어란의경우와마찬가지로여름철제주해협내에서의탁월한북동방향의해류패턴에의해멸치자치어들이성장함에따라점차북동쪽으로수송되고있음을시사하고있는것이라생각된다. 이밖에, 제주해협북동부외양역 (G해역) 과청산도주변역 (J해역) 에서는 10.0 mm TL 미만의개체들이높은비율 (90% 이상 ) 로출현하고있었고 10.0 mm TL 이상개체의출현율이매우낮았다. 조사당시이들해역은부화직전의 III 단계어란들이대량으로출현한해역이었다. 따라서이들해역내에는갓부화해서유영력이미약할것이라판단되는 10.0m m TL 이하의자치어들이집중분포하고있었던것으로추정되는반면에 10.0 mm TL 이상의개체들은조사당시이미해류등에의해이동되었기때문에해역내출현율이매우낮았던것과관계가있다고판단된다. 또한제주해협남서부외양역 (F해역) 인경우는 10.0 mm TL 이상 (81.5%) 의개체들이상대적으로높은출현율을보였는데이해역에서이러한대형개체들의출현이제주해협북서부외양역 (E해역) 에서남하한것인지아니면제주도남서부외양역으로부터대마난류에의해북상한것인지에대해서는아직확실치않다. 앞으로본연구해역내에서멸치난 자치어들의분포및수송상황등을더욱더자세하게논의하기위해서는

232 이승종 고유봉 해역내해수유동상황과같은물리적특성등의조사가동시에이루어져야할것으로사료된다. 요약 2001년 7월 16부터 21일까지제주해협을포함한남해서부일대에서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에대해 조사하였다. 망목 333 µm와 505 µm의두가지네트를통한멸치난 자치어출현량비교에서는멸치어란인경우 333 µm네트에서가출현량이월등히많았고망목간에도유의한차이를보였으나자치어에서는유의차가없었다. 멸치어란중 I단계어란들은청산도주변역 (J해역), 제주해협남서부역 (C해역) 그리고추자도부근의제주해협북서부역 (A해역) 에서고밀도로출현하고있어서이해역들이멸치들의주산란장임을알수있었다. 부화직전의 III단계어란인경우는전반적으로연구해역의동쪽방향으로갈수록출현율이증가하는경향을나타냈다. 멸치자치어들은 10 m, 20 m 수층에서고밀도로출현하고있었으며특히제주해협북부역 (A, B해역 ) 에서높은출현밀도를보이고있었다. 멸치자치어들의해역별체급조성을살펴본결과제주해협내인경우에는서부역 (A, C해역 ) 에비해동부역 (B, D해역 ) 에서 10.0 mm TL 이상개체들의출현율이높게나타나고있었다. 사사 이논문은 2002년도제주대학교두뇌한국21사업에의하여지원되었습니다. 또한본연구는 2002년도해양수산부수산특정과제 제주도주변해역의난치자수송기구에관한연구 ( 과제번호 : 20020002) 의일환으로수행되었음을밝힙니다. 이번연구에적극적으로협조해주신제주대학교실습선아라호최찬문선장님과선원여러분들께진심으로감사드립니다. 더불어시료채집에도움을준제주대학교해양생태학연구실김봉수, 조준, 김상현군을비롯한여러연구실원들에게도고마움을전합니다. 인용문헌 Aoki, I. and K. Miyashita. 2000. Dispersal of larvae and juveniles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Kuroshio Extension and Kuroshio-Oyashio transition regions, western North Pacific Ocean. Fisheries Research, 49 : 155~164. Asahina, K. and I. Hanyu. 1983. Role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in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rose bitterling Rhodeus ocellatus ocellatus. Bull. Jap. Soc. Sci. Fish., 52(6) : 965~969. Bakun, A. and R. Parrish. 1991. Comparative studies of coastal pelagic fish reproductive habitats: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of the southeastern Atlantic. ICES J. Mar. Sci., 48 : 343~361. Barnett, A., A.E. Jahn, P.D. Sertic and W. Watson. 1984.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off San Onofre, California and methods for sampling very shallow coastal waters. Fish. Bull., 82(1) : 97~111. Iles, T.D. and M. Sinclair. 1982. Atlantic herring: stock discreteness and abundance. Science, 215 : 627~633. Kawaguchi, K., Y. Yamashita and A. Hayashi. 1990. Some aspects of spawning of the reared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relation to the photoperiod, water temperature and starvation. Bull. Japan. Soc. Fish. Oceanogr., 54 : 364~372. Kim, J.Y. 1992. Relationship between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 and larval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waters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5(6) : 495~500. Lenarz, W.H. 1972. Mesh retention of larvae of Sardinops caerulea and Engraulis mordax by plankton nets. Fish. Bull., 70(3) : 839~848. Razani, H. and I. Hanyu. 1986.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2~3 years old female goldfish and its artifical modification by manipul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Bull. Jap. Soc. Sci. Fish., 52(6) : 965~969. Weinstein, M.P., S.L. Weiss, R.G. Hodson and L.R. Gerry. 1980. Retention of three taxa of postlarval fishes in an intensively flushed tidal estuary, Cape Fear River, North Carolina. Fish. Bull., 78(2) : 419~436.. 1976. プランクトン 究. 究 講 5, 共, pp. 229. 1996. 11 究, 3. に するカタクチシラスの. 究, 60(4) : 418~419. 慶. 1981. プランクトンの. 究, 22 : 29~52.. 1999. におけるカタクチイワシの. 刊, 31(4) : 222~226. 康. 1992. 南 のカタクチイワシ及びマイワシの と 過. 究, 56(4) :

제주해협내멸치난 자치어의분포현황 233 526~536.. 1992. フロント近 の 構. 究ノ-ト, 29 : 215~228. 谷. 1987. および の. と 49, 9(2) : 108~110. 국립수산진흥원. 1998. 연근해주요어종의생태와어장, pp. 96~102. 김구. 1982. 한국남서해의해류분포와그영향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연구보고서, pp. 89. 김구. 1987. 제주도주변해류에관한연구의현재와미래. 제주도연구, 4 : 83~97. 김상현 노홍길. 1997. 제주해협의해수유동특성에관한연구. 한수지, 30(5) : 759~770. 김진영. 1983. 한국남해및서해연안해역에서의멸치난 치어의분포. 한수지, 16(4) : 401~409. 김진영 강용주. 1992. 한국남해멸치의산란생태. 한수지, 25(5) : 331~340. 김진영 김주일. 1991. 한국남해안멸치의난 자어밀도와가입. 수진연구보고, 45 : 101~107. 김진영 김주일. 1993. 한국남해연안의멸치난 자어분포 와사망률의변동. 한어지, 5(2) : 217~225. 김진영 최영민. 1988. 멸치, Engraulis japonicus 난 치어의연직분포. 한수지, 21(3) : 139~144. 이은경 유재명 김성 이영철. 1996. 대한해협멸치치자어의수직분포. 한어지, 8(2) : 47~56. 장선덕 홍성윤 박청길 진평 이병기 이택열 강용주 공영. 1980. 멸치자원의회유에관한연구. 부산수대해연보, 12 : 1~38. 차성식. 2002. 우리나라의어류초기생태연구현황과향후과제. 한어지, 14(1) : 76~82. 최영민 김진영. 1988. 한국남해산멸치, Engraulis japonica 의재생산력. 수진연구보고, 41 : 27~34. 추효상 김동수. 1998. 한국남해의대마난류변동이멸치난 자어의연안역수송에미치는영향. 한수지, 31(2) : 226~244. 한경호 신영호 황동식. 2002. 고흥반도연안에분포하는부유성난 자치어종조성의계절변동. 한어지, 14(1) : 45~52. 허성범 유재명. 1984. 한국서해안의어류난치어분포. 한수지, 17(6) : 536~542. Received : June 2, 2002 Accepted : September 1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