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 0 9 NEUROTHERAPY 김미선, 서정희, 대한신경치료학회지 제14권이혜진 제1호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김미선, 서정희,1 이혜진1 서울순천향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1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Mi-Seon Kim, Jeong-Hee Seo1, Hye-Jin Lee1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1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msung Medical Center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inte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AIMS) used for evaluation of infants in Korea. Subjects 20 infants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for the AIMS. Subjects were 11 boys and 9 girls aged 2 to 16 months. Methods Three licensed physical therapists as raters, who have 1, 5 and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respectively in infant motor development administered AIMS to a subject at the same time. Resul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for inter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AIMS were high (ICC=.997).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AIMS for Korean infants have acceptable reliability. Key Words Alberta Infant Motor Scale, Infant motor test, Interrater reliability 책임 저자 김미선, ilovemity@nate.com 논문 접수일 2009년 8월 15일 수정 접수일 2009년 9월 17일 게재 승인일 2009년 9월 30일 Ⅰ. 서론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조산아 등의 고위험 영아와 외상성 뇌손상 아동들의 생존율이 높아졌으나(Kurtz and Scull, 1993), 발달장애의 위험을 가진 아동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Allen, 1993). 발달장애란 정신적이나 신체적 손상 또는 복합되어 발 생하는 심한 만성적 장애로 정의된다(두정희와 김선엽, 1995). 발달장애의 이차적 합병증으로는 고위험 영아, 뇌성마비, 학습 장애, 정신지체, 선천성 근육병 등이 포함되는데, 이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뇌성마비와 정신지체이다(Msall et al., 1993). 이러한 이차적 합병증을 조기에 예방하고 정상적인 감각-운동 경험을 입력시켜 아동의 기능을 최대한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가 중요하다(Bobath, 1967). 그러나 발달이란 성장하고 변화하고 복잡한 기술을 습득해 가는 진행적인 과정이므로 개인간 차이를 보일 수 있어 발달지 연을 호소하는 1세 미만의 영아들을 뇌성마비로 진단하기는 매 우 어렵다(김세주와 조영진, 1988). 그 동안 국내에서는 영유아 의 발달지연을 근긴장도, 원시적 반사의 소실 또는 지속 여부, 정위반응의 유무 및 운동발달의 비대칭성 등(Harris, 1991)에 의존하여 진단하였지만 운동발달의 복잡하고 다양한 특징을 평 가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부분의 아동물리치료사들은 치 료 전후에 장애아동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어려움을 느끼 므로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보다 정확하고 민감한 평가 도구 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Hallam et al., 1993). 발달지연 아동에게 있어 평가도구의 사용은 평가의 정확도 를 높이고, 기능수행 정도나 발달단계 등에 대한 정보의 교환 을 원활하게 해준다(Montgomery and Connolly, 1987). 또 한 치료 프로그램의 설정과 장 단기 목표를 설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는 이점이 있다(Tecklin, 1994). 영아는 다른 시기에 비해서 발달 속도가 매우 빠르고(유수옥, 2005),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연구자들은 영유아 평가 도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다양한 평가 도구들을 제시하였 다. 국내 연구에서 영유아 평가를 위해 사용한 도구로는 대동작 기능평가 도구(Gross Motor Fuction Measure), 베일리 영아 발달 척도(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덴버 발달 검사(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뮌헨 기능발달 검사(Munchener Funktionelle Entwicklungs diagnostic) 등 이 있다. 그 밖에 외국의 경우 영아 운동수행 검사(Test of Infant Motor Performance),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 등을 사용한 연구들도 있다. 대동작 기능평가 도구와 뮌헨 기능발달 검사는 개발자가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23
NEUROTHERAPY 2009;14(1):23-34 측정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높은 편이지만 어느 정도 운동수준 (motor status)을 나타내는 연령이어야 하며 특히 뮌헨 기능 발달 검사는 큰운동발달, 작은운동발달, 지각발달, 수용언어발 달, 표현언어발달, 사회성발달, 독립성발달의 7개 영역을 세분 화하여 측정함으로 1세 미만의 영유아를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 다. 베일리 영아발달 도구와 덴버 발달 검사는 출생시부터 측 정 가능한 평가 도구이지만 덴버 발달 검사는 발달지연이 의심 되는 영유아의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도구여서 민감도와 특 이도에 있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영유아의 발달 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고(전민철 등, 1997), 베일리 영아 발달 도구는 178문항을 평가함으로써 평균 1시간 정도 소요되며 소수의 훈련받은 전문가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어 보편화되어 사용되기에 제한이 있다(한경자 등, 2003).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영유아 평가 도구들은 높은 신뢰도 를 보이고 있지만 1세 미만의 영유아의 조기 발달지연을 진단 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영아의 집중도에 비교적 긴 평가시간으 로 정확한 평가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1982년부터 캐나 다 알버타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이 영유아의 발달지연을 진단하 고 운동발달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는 출생 직후부터 평가 가능하며 영아의 발달지연을 증명하고, 그 영아의 운동발달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둔 평가 도구이다. 초창기에 84개의 그림이 부합된 항목을 가지고 291명의 영아를 무작위로 뽑아 움직임이 관찰 된 항목을 제외하고 관찰되지 않은 17개의 항목을 제거했다. 6 명의 영유아 운동발달의 전문가가 모여 67개의 항목에 대해 5 개 항목은 추가하고 13개의 항목은 제거하여 총 59개의 항목 을 만들었다. 97명의 영아에게 59개의 항목을 적용한 뒤 7개 항목은 제거하고 6개의 새 항목을 추가하고 총 58개의 항목을 최종적으로 만들었다. 이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은 58개 의 항목은 정상 발달 영아에게도 사용 가능하며 발달 지연을 진단하는 도구로써 개발되었다.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 자간 신뢰도는 0.96~0.99이며 피바디 운동 발달 척도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Gross Motor)와 베일리 유아 발달 척도를 비교한 타당도는 r=0.97~0.99로 신뢰 도와 타당도가 높은 평가 도구이다(Piper and Johanna, 1994). 그동안 국내에서는 출생 직후 1세 수준의 영아에게 발달지 연을 측정할 만한 도구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반사(reflex) 수준으로 평가하는 간단한 검사와 외국에서 사용하던 도구를 번 역하여 사용하곤 하였다. 그러나 아직 그러한 도구들은 국내에 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지 않은 도구들이고 발달지연을 진단하기에 반사 수준만을 보는 것은 평가 도구로써 미약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널리 알 려지지 않은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검증 하여 국내에서 객관적인 평가 도구로써 쓰일 수 있을지에 대한 24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사용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S종합병원 재활의학과에 외래로 오는 발달지연 아동 중 본 연구에 사용된 평가 도구의 대상범 위인 0~18개월 미만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 영아들의 수는 20명이며 연령은 3개월부터 16개월까 지로 성별분포는 남아 11명(55%), 여아 9명(45%)이었다. 연 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특성(n=20) 합계 성비율(남:녀) 11:9 재태기간(주) 30.91 ± 6.16 연령(개월) 8.50 ± 3.61 교정연령(개월) 6.30 ± 3.47 출생 후 몸무게(g) 1703.55 ± 940.32 평균 ± 표준편차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유아 평가 도구는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 이며 이 평가 도구는 발달지연을 진단하고 운동 발달 평가를 목 적으로 개발되었다(부록 참조). 총 58항목으로 크게 네 가지 자 세로 나뉘며 엎드린 자세(Prone) 21항목, 누운 자세(Supine) 9 항목, 앉는 자세(Sitting) 12항목, 서는 자세(Standing) 16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다. 항목을 통과하기 위해서 영아는 각 항목과 연 관된 그림에서 보여지는 주요 움직임을 해야 하며, 각 항목들은 체중 부하, 자세 정열, 항중력 움직임과 연관되어 포함된다. 평가 대상자의 연령 범위는 0개월부터 18개월 미만의 영유아이며 그 중 미숙아는 재태기간 40주를 기준으로 예정일로 계산하여 교정 연령(Corrected Age)에 따른다(Piper and Johanna, 1994).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3명의 물리치료사가 참여하였고, 물리치료사의 임상 경력은 각각15년, 5년, 1년이었다. 3명의 물리치료사가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에 관한 자료 수집을 한 후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실험을 통하여 익숙하게 사용할 만큼 숙 지하였다. 현재 재활의학과에서 치료를 받고 있거나 신환인 영 아 중 0개월부터 18개월 미만인 영아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 출하여 한 아동에게 같은 날, 같은 시간에 3명의 물리치료사가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였다.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동안
김미선, 서정희, 이혜진 물리치료사들은 서로 측정한 값을 보지 못하도록 하였고, 측정 과정에 있어서도 영아에 관하여 전혀 의논을 하지 않도록 사전 에 교육을 하였다. 평가하는 동안 영아는 반드시 눈을 뜨고 있어야 하며, 자의 적인 움직임을 가지고 있고, 마음껏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자들이 관찰과 평가를 끝내는 시간은 20~30분이 소요되었 다. 평가는 관찰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평가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자의적인 아동의 움직임만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동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최소한의 치료사의 도 움은 허용하였으며, 장난감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4개월 미만 영아는 검사테이블을 준비하였고, 5개월 이상 18개월 미만의 아동은 매트 위에서 평가하였고, 때에 따라 의자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서기를 유도하였다. 점수 측정은 평가 항목의 네 가지 자세에서 영아가 움직이 는 처음과 끝 항목 사이를 window 로 보며 그 사이에 영아 가 할 수 있는 항목은 observed, 할 수 없는 항목은 not observed 로 나누었다. window 안에 영아가 하지 않는 움 직임은 영유아 발달을 기초로 한 평가자의 재량과 보호자의 보 도에 의해 observed 를 추가하였다. 영아가 보여주는 처음 항목 이전의 단계는 모두 가능하다고 보며 점수는 각 자세영역 에서 window 이전의 항목과 window 중 observed 한 항목을 합쳐 합계를 내고 이 후 전체 합계를 내는 방식으로 실 시하였다. 백분위 점수(Percentile rankings)는 전체 합계와 영아의 나이의 교차점에 의해 결정되었다. 4. 분석방법 동일한 아동을 대상으로 3명의 물리치료사가 측정한 각 영역별 백분율 점수와 총백분율 점수에 대한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구하고 0-3개월, 4-7개월, 8개월 이상으로 아동의 개월수를 나누어 각 영역별 백분율 점수와 총 백분율 점수에 대한 급간내 상관계수(Intra correlation coefficients)를 SPSS 12.0 window version으로 측정자간 신뢰도 를 산출하였다.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k = number of raters or investigators n = number of subjects BMS = between subjects mean squared JMS = between judges(raters) mean squared(within subjects) EMS= error or residual mean squared Ⅲ.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는 남아 11명, 여아 9명으로 전체 20명이었다. 현재 연령(Gestational age)은 2개월부터 16개월이며, 교정연령은 3개월부터 12개월 사이였다. 그 중 조산아는 11명(55%), 정상 아는 9명(45%)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재태 기간은 30.91주, 평균 출생시 체중은 1703.55g이었다. 2. AIMS 영역별 급간내 상관계수 영아 20명을 대상으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를 이용하여 아 동발달 수준을 평가하였을 때의 측정자간 신뢰도의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영역별 급간내 상관계수 영역 급간내 상관계수 엎드린 자세.993 누운 자세.976 앉는 자세.986 서는 자세.986 총 합계.997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 측정자간 신뢰도 계수 는.976에서.993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점수에 대한 측정자 간 신뢰도 계수는.997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3. 영아 개월별 급간내 상관계수 영아 20명을 교정나이로 0-3개월, 4-7개월, 8개월 이상으로 나 누어 평가한 측정자간 신뢰도의 결과는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0~3개월 사이의 영아의 신뢰도 계수는.933이고, 4~7개 월 사이의 영아의 신뢰도 계수는.989이고, 8개월 이상 영아의 신뢰도 계수는.996이였다. 0~3개월 영아의 누운 자세가.560 으로 가장 낮은 상관계수이며, 8개월 이상 영아의 누운 자세는.000으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Ⅳ.논의 아동의 발달을 평가함으로써 정확한 발달 검사를 통하여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추적관리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에 따른 적절하고 체계적인 재활치료 등으로 발달 지연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달 검사를 통해 치료계 획을 수립하고 부모나 가족이 환아의 문제를 이해하고 협조하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25
NEUROTHERAPY 2009;14(1):23-34 표 4. 영아 개월별 급간내 상관계수 개월별 평균+표준편차 0-3개월(n=4) 엎드린 자세 급간내 상관계수 2.83 + 1.11.886 누운 자세 3.58 + 1.08.560 앉는 자세 1.42 + 0.90.956 서는 자세 1.33 + 0.49.875 총 합계 9.17 + 2.62.933 4-7개월(n=11) 엎드린 자세 8.27 + 2.61.962 누운 자세 7.12 + 1.69.958 앉는 자세 3.82 + 1.67.967 서는 자세 2.18 + 0.81.942 총 합계 21.39 + 5.91.989 8개월 이상(n=5) 엎드린 자세 15.00 + 4.55.996 누운 자세 9.00 + 0.00 1.00 앉는 자세 9.27 + 2.31.946 서는 자세 5.93 + 3.97.984 39.20 + 10.09.996 총 합계 여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권범선, 2003). 게다 가 영아기부터 아이에 맞는 자극과 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따라 서 아동을 올바로 진단하거나 발달 평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는 조산아의 출 생이 10%에 육박하는 등 발달장애 위험을 가진 아동이 많아지 고 저출산으로 인해 부모가 아이에게 갖는 관심도가 높아지면 서 발달지연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영유아 평가 도구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박혜원 등, 2003) 현재 국내에서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발달평가 도구들은 외국의 도구를 그대 로 번안하여 외국에서 개발자가 측정한 신뢰도를 바탕으로 사 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널리 알려 지지 않은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검증하 고 국내에서 객관적인 평가 도구로 쓰일 수 있을지에 대한 사 용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엎드린 자세의 신뢰도 계수는.993, 누운 자세의 신뢰도 계수는.976, 앉는 자세의 신뢰도 계수는.986, 서는 자세의 신뢰도 계수는.986, 총 합계의 신뢰도 계수는.997이었다. 또한 각 개월별로 살펴보면 0-3개월의 신뢰도 계 수에서는.933, 4-7개월의 신뢰도 계수에서는.989, 8개월 이 상의 신뢰도 계수에서는.996이었다. 개발자가 측정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 를 개월별로 살펴보면 총 253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0-3개 월의 신뢰도 계수는.955, 4-7개월의 신뢰도 계수는.969, 8-11 26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개월의 신뢰도 계수는.982, 12개월 이상의 신뢰도 계수는.958, 총 합계 신뢰도 계수는.996이었다(Piper and Johanna, 1994).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측정자 간 신뢰도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또한 아시아권 중에서 타이완에서도 알버타 영아 운동 척 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는데 각 개월별로 살펴보면 0-3개월의 신뢰도 계수는.97, 4-7개월의 신뢰도 계수는.98, 8개월 이상의 신뢰도 계수는.99로 타이완 역시 상당히 높은 결과가 나왔다(Suhfang, 2000). 급간내 상관계수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Fleiss(1986)는 >.75면 훌륭하다고 하였다. Nunnally(1978)는 최소한의 수용 가능한 신뢰도 계수는 그 측정법을 어디에 사용하느냐에 좌우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약.80정도의 신뢰도 계수가 나오면 기 초연구(basic research)에서 충분하다고 하였다. Richman 등 (1980)은 피어슨 상관계수로 보았을 때, 상관계수가.80에서 1.0이면 매우 신뢰할 만하고,.60에서.79사이면 중등도의 신 뢰도를,.59이하이면 신뢰성을 의심할만하다고 제시하였다. 급 간내 상관계수와 피어슨 상관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일반적으 로 급간내 상관계수가 낮게 나오므로 본 연구에서는 Fleiss (1988)의 기준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각 영역별 점수에 대 한 측정자간 신뢰도와 전체 점수에 대한 측정자간 신뢰도가 모 두.75이상이었으므로 국내에서 측정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 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월수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4개 영역 의 측정자간 신뢰도도 함께 보았다. 그 중 가장 높은 신뢰도
김미선, 서정희, 이혜진 계수는 8개월 이상의 누운 자세였으며, 그 중 가장 낮은 신뢰 도 계수는 0-3개월 사이의 누운 자세였다. 누운 자세에서의 신 뢰도 계수에서 차이가 큰 이유는 다른 영역의 항목보다 항목 수가 현저히 적으며 8개월 이상의 영아 수준에서는 거의 가능 한 항목들인데 반해 신생아 수준의 3개월 미만인 영아에게는 거의 움직임이 없어 미묘한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는 항목들이 었다. 또한 개월 수별 세 그룹 간 총 합계의 신뢰도 계수는 0-3개월 사이 영아의 신뢰도 계수가 제일 낮았고, 8개월 이상 영아의 신뢰도 계수가 제일 높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 는 0-3개월 사이의 영아들은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시간이 오 래 걸렸고, 자다 깨거나, 모유를 먹은지 얼마 안 되었거나, 울 거나 하는 돌발 상황이 많은 반면에 8개월 이상의 영아들은 놀 이 수준이 어느 정도 갖춰져 있었기에 장난감으로 움직임을 이 끌어 내기가 쉬웠다. 그리고 부모와의 독립이 가능힌 영아들이 많았으며 평가하는 동안 돌발 상황이 적었다.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는 0~18개월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 도구이기에 평가를 하는 데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특 히 누운 자세에서 머리, 턱, 목, 어깨, 팔, 손의 움직임을 살펴보 는 바닥에 누운 자세(supine lying)1 부터 바닥에 누운 자세 (supine lying)4 에서는 차이가 아주 작기 때문에 점수를 매 기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0-3개월 사이의 신생아 수준의 영아들의 서는 자세에서 치료사의 도움이 필요한 잡고 서기 (supported standing)1 부터 잡고 서기(supported standing) 3 에서는 영아들의 자세적 안정성과 운동성이 적고 서는 자세 에서 발의 정확한 감각을 뇌로 입력하기 어려운 단계라 반사적 인 움직임이 많이 나타나 점수를 매기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는 국내에서 영유아 발 달평가 도구로 사용되었을 때.997로써 높은 측정자간 신뢰도 를 나타내었다. 그리하여 외국의 측정자간 신뢰도가 아닌 국내 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바탕으로 검증된 평가 도구를 사용함으 로써 보호자들에게 평가 자료와 함께 정확한 영아의 발달 수준 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의 임상에서 영유아 평가 도구로 활용 되려면 측정자간 신뢰도뿐만 아니라 측정자내 신뢰도와 도구의 타당도를 연구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는 발달지연 영아뿐만 아니라 정상아에게도 평가 가 능한 도구로 개발되었기에 정상아들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영유아 운동발달 평가도구를 국내에서 적용하였을 때 의문시되는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 는 것이었다. 임상경력 1년, 5년, 15년인 3명의 물리치료사가 평가자가 되어 20명의 영아(남아 11명, 여아 9명)에 대하여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로 평가하였을 때 측정자간 신뢰도를 급 간내 상관계수로 알아보았다.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의 각 영 역별 신뢰도 계수는.976에서.993이었다. 특히 엎드린 자세에 서 가장 신뢰도 계수가 높았다. 전체 영역점수에 대하여 측정 자간 신뢰도 계수를 구한 결과는.997이었다. 또한 개월별 신 뢰도 계수는.560에서 1.00이었다. 특히 8개월 이상의 누운 자 세에서 가장 신뢰도 계수가 높았다. 따라서 국내에서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를 이용하여 영아들을 대상으로 운동발달 정도 를 평가하였을 때 측정자간 신뢰도는 매우 높았다. 참고문헌 1. 권범선. 뇌성마비 진단에서 베일리 발달검사의 유용성. 대한재 활의학회지. 2003;27(2):210-214. 2. 김세주, 조영진. 영아반사가 뇌성마비아의 운동발달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1988;12:72-77. 3. 두정희, 김선엽.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가정 치료 참여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5;2:24-39. 4. 유수옥: 유아특수교육론. 학지사. 2005. 5. 전민철, 김영훈, 정승연, 이인구, 김종완, 황경태. 발달지체아에 서 Denver Ⅱ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5(1):111-118. 6. Allen MC. The high-risk infant. Pediatr Clin North Am. 1993;40:479-489. 7. Bobath B. The very early treatment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67;9:373-390. 8. Fleiss JL. The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Experiments. New York, NY:John Wiley & Sons Inc; 1986:1-32. 9. Hallam P, Weindling AM, Klenka H, et al. A comparison of three procedures to assess the motor ability of 12-month-old infants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3;35:602-607. 10. Harris SR. Movement analysis-an aid to early diagnosis of cerebral palsy. Phys Ther. 1991;71:215-221. 11. Kurtz LA, Scull SA. Rehabilit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diatr Clin North Am. 1993;40:629-642 12. Martha C. Piper, Johanna Darrah, M.Sc.Motor Assessment of the Developing Infant. 1994. 13. Montgomery PC, Connolly BH. Norm-referenced and criterion-referenced tests. Phys Ther. 1987;67:1873-1876. 14. Msall ME, DiGaudio KM, Duffy LC. Use of functional assess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27
NEUROTHERAPY 2009;14(1):23-34 Phys Med Rehabil North Am. 1993;4:517-527. 15. SuhFang jeng, Kuoinn tsou yau, LiChiou Chen, ShuFang Hsial, Alberta Infant Motor Scale : Reliability and Validity When Used on Preterm infants in Taiwan. Physical 28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Therapy. 2000;2:168-176. 16. Tecklin JS:Pediatrc Physical Therapy. J.B.Lippincott. 1994.
김미선, 서정희, 이혜진 ALBERTA INFANT MOTOR SCALE Record Booklet Year Month Day Name Date of Assessment Date of Birth Chronological Age Corrected Age Idnetification Number Examiner Place of Assessment Previous Items Credited Item Credited in Window Subscale Score Prone Supine Sit Stand Total Score Percentile CommentsRecommendations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29
NEUROTHERAPY 2009;14(1):23-34 Alberta Infant Motor Scale STUDY# PRONE SUPINE SITTING STANDING 30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김미선, 서정희, 이혜진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31
NEUROTHERAPY 2009;14(1):23-34 32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
김미선, 서정희, 이혜진 알버타 영아 운동 척도(Alberta Infant Motor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33
NEUROTHERAPY 2009;14(1):23-34 Percentile Ranks 34 Interrater Reliability of Alberta Infant Motor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