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8F1C2F72E666D>

Similar documents
03-서연옥.hwp

139~144 ¿À°ø¾àħ

<B8F1C2F72E666D>


Lumbar spin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3이경미(237~248)o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untitled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09-감마선(dh)

jaeryomading review.pdf

04_이근원_21~27.hwp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 D36362E687770>

09È«¼®¿µ 5~152s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42(3) 표2-영문( ).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03-ÀÌÁ¦Çö

433대지05박창용

02À±¼ø¿Á

09권오설_ok.hwp

Microsoft PowerPoint - Week1-basics

untitled

ABSTRACT The new cultivars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Yellow Boom', 'Pink Boom' and 'Red Boom' were developed at Cactus and Succulent Research In

레이아웃 1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012임수진

DBPIA-NURIMEDIA

14.531~539(08-037).fm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3.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DBPIA-NURIMEDIA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Feb.; 29(2), IS

03 장태헌.hwp

???? 1

¼Ò³ª¹«Àç¼±-³»Áö1~41

12 CO N T E N T S

11 CO N T E N T S

untitled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08~15_º¸°ÇÀÇ·áºÐ¾ßODAÆò°¡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5(3),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main.hwp

내지무인화_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26(10),

12.077~081(A12_이종국).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30(9),

2 247, Dec.07, 2007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2014_ 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5-김재철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춍??숏

歯3일_.PDF

도감본문(수정)~10p

내지 뒷

<313120B9DABFB5B1B82E687770>

일반.hwp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2011ÄÁº¥³»Áö3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ABSTRACT The new cultivar of Echeveria spp. 'Canoa', 'Chubby', 'Neonia', 'Maroon Peak', and 'Vein', and Graptoveria spp. 'Nova' were developed at Cact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한국 고유종 조사 목록 : 한국 고유종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제2권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10(3)-09.f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8/09-10;È£ä263»Áö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31372DB9DABAB4C8A32E687770>


DBPIA-NURIMEDIA

목 차

f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기 계 저 널 11 ISSN Vol. 51, No. 11 November 2011 CONTENTS 인터뷰 무한내마모연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 Analyst, , Figure 1 통신사가입자추이 ( 명, 000) 60,000 LG U+ KT SKT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자료 : MSIP. 미래에셋증권리서치센터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Transcription:

Korean J. Pl. Taxon. 42(4): 294-306 (2012) http://dx.doi.org/10.11110/kjpt.2012.42.4.294 ISSN 1225-8318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Yong Hwang and Muyeol Kim*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Received 29 May 2012; Revised 29 June 2012; Accepted 22 August 2012) 한국산원추리속 (Hemerocallis) 의분류학적연구 황용 김무열 * 전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생명과학과 ABSTRACT: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morphological data. H. middendorff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dumortieri by the trait of coriaceous long bract with green color. H. taeanensis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minor by its odorless flowers, longer perianth tube and leaf length. H. thunberg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lilioasphodelus by its long perianth tube. Lastly, H. hakuunensis was distinct from its related taxon H. hongdoensis as a result of its extreme branching of scape and short leaf width. From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H. minor, H. lilioasphodelus, and H. dumortieri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Keywords: Hemerocallis, H. hongdoensis, H. taeanensis 적요 : 한국산원추리속 (Hemerocallis) 9종 1품종에대해외부형태형질을기초로분류학적연구를수행하여새로운종검색표를작성하고종의한계를재검토하였다. 큰원추리는녹색혁질의긴포를가지고있어연녹색막질의작은포를가진각시원추리와구별되었다. 태안원추리는애기원추리와유사하나향기가없고화피통부와잎의길이가길어구별되었다. 노랑원추리는골잎원추리와유사하나화피통부가길어뚜렷이구별된다. 백운산원추리는홍도원추리와유사하나화경이깊게분지하고잎의폭이좁아구별되었다. 이번연구를통해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는한국북부지방에분포함을확인하였다. 주요어 : 원추리속, 홍도원추리, 태안원추리 원추리속 (Hemerocallis L.) 은 APG II 분류체계에서비짜루목 (Asparagales) 의원추리과 (Hemerocallidaceae) 에속하며이과에서가장큰속은디아넬라속 (Dianella), 원추리속 (Hemerocallis), 카에시아속 (Caesia) 등이다 (APG, 1998; APG, 2003; APG, 2009). 그중원추리속은세계적으로약 20-30 종이동북아시아에분포한다 (Noguchi, 1986; Chung and Kang, 1994a). 한국에는특산종인백운산원추리 (H. hakuunensis), 태안원추리 (H. taeanensis) 를포함하여약 10 분류군이분포한다 (Lee, 1980; Jang, 2010). 원추리속에대한연구는 Nakai(1932) 가일본산과한국 *Author for correspondence: mykim@jbnu.ac.kr http://www.pltaxa.or.kr Copyright 201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산원추리를대상으로 6 절 (sect. Aurantiacae, Citrinae, Capitatae, Fulvae, Flavae, Anthelatae) 로구분하여분류체계의기틀을확립하였고, Matsuoka and Hotta(1966) 는 Nakai 의연구를토대로 3 개의절 (sect. Capitate, Fulvae, Hemerocallis) 로구분하여연구를수행하였으며, Hu(1986) 는 Nakai 와마찬가지로 Monograph 연구를수행하여 23 종을보고하고 3 절로구분한바있다. 국내산에대한연구로는 Palibin(1901) 이 H. fulva, H. graminea 및 H. minor 등 3 종을보고하였고, Nakai(1911) 는 H. flava, H. minor, H. dumortieri, H. middendorffii 등 4 종을기재하였다. Park (1949) 은골잎원추리 (H. coreana), 들원추리 (H. disticha), 가지원추리 (H. dumortieri), 겹원추리 (H. middendorffii), 참칼원추리 (H. minor), 저역원추리 (H. thunbergii) 등 6 종을보고하였다. Chung(1957) 은큰원추리 (H. middendorffii), 각시원 294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5 추리 (H. dumortieri), 왕원추리 (H. fulva), 골잎원추리 (H. coreana), 애기원추리 (H. minor), 원추리 (H. aurantiaca) 등 6 종을보고하였고, Lee(1980) 는각시원추리 (H. dumortieri), 원추리 (H. fulva), 왕원추리 (H. fulva var. kwanso), 골잎원추리 (H. lilioasphodelus), 홍도원추리 (H. littorea), 큰원추리 (H. middendorffii), 애기원추리 (H. minor), 노랑원추리 (H. thunbergii) 등 8 종, Lee(1996) 는 4 종 4 변종을언급하였다. 최근 Chung and Kang(1994b) 에의해홍도원추리 (H. hongdoensis) 와 Kang and Chung(1997a) 에의해태안원추리 (H. taeanensis) 2 종이한국특산종으로발표된바있다. 이와같이학자들간종및종하위분류군의처리가상이한이유는속내종을분류할수있는형질이적고기준이부정확하며, 분포지에따른종간, 종내형태적변이가다양하기때문이다 (Matsuoka and Hotta, 1966; Kitamura et al., 1986; Chung and Kang, 1994a). 또한원추리속의분류군을구분짓는형질중화형, 화색, 향기의유무등이건조표본에서는구별이어려워동정하는데문제가있다 (Matsuoka and Hotta, 1966). 특히건조표본제작시원추리속분류군들의꽃들은개화후 24 시간이경과하면형태를알아볼수없을정도로망가지거나, 식물체건조과정중갈변이쉽게진행되어원형을파악하기어렵기때문에잘못동정된경우가있는데도과거선행연구자들의의견을검증없이그대로받아들여현재까지도국내자생종의실체에대한정리조차제대로이루어지지않고있다. 따라서종의한계에있어논쟁이있어온한국산원추리속 9 종 1 품종에대한외부형태학적형질을조사하여새로운종검색표를작성하고, 종의한계를분명히하고자본 Fig. 1. Collection map of genus Hemerocallis in Korea. H. lilioasphodelus; H. dumortieri; H. fulva var. kwanso; H. hakuunensis; H. hongdoensis; H. middendorffii; H. teanensis; H. thunbergii; H. minor. Table 1. Collection data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Taxa Collection site and date Voucher H. minor Mill. ( 애기원추리 ) HB: Riv. Duman (Aug. 14, 2011) MKH 0050 (JNU) H. thunbergii Baker ( 노랑원추리 ) JB: Gochang (Aug. 12, 2011) MKH 0016 (JNU) JN: Is. Dal (Aug. 19, 2011) MKH 0020 (JNU) H. lilioasphodelus Nakai ( 골잎원추리 ) HB: Riv. Duman (Aug. 10, 2010) MKH 0045 (JNU)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 큰원추리 ) JB: Mt. Dukyu (Jun. 25, 2010) MKH 0039 (JNU) GN: Mt. Jiri (Jul. 9, 2011) MKH 0038 (JNU) H. dumortieri Morren ( 각시원추리 ) HB: Mt. Baekdu (Aug. 12, 2011) MKH 0051 (JNU)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 태안원추리 ) CN: Is. Anmyeon (Jul. 7, 2011) MKH 0032 (JNU)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 홍도원추리 ) JN: Is. Heuksan (Jun. 21, 2010) MKH 0001 (JNU) JN: Is. Hong (Aug. 27, 2010) MKH 0002 (JNU) H. hakuunensis Nakai ( 백운산원추리 ) GN: Mt. Jiri (Jul. 18, 2010) MKH 0008 (JNU) GB: Mangyang (Jul. 15, 2010) MKH 0007 (JNU) JN: Is. Jin (Jul. 15, 2011) MKH 0011 (JNU) GN: Mt. Gaya (Jul. 16, 2010) MKH 0005 (JNU) Hemerocallis fulva (L.) L. ( 왕원추리 ) JB: Jeonju (Jul. 15, 2010) MKH 0051 (JNU) H. fulva for. kwanso (Regel) Kitam. ( 겹왕원추리 ) JB: Jeonju (Jul. 15, 2010) MKH 0049 (JNU) Abbreviation CN: Chungcheongnam-do, GN: Gyeongsangnam-do, HB: Hamkyeongbuk-do, JB: Jeollabuk-do, JN: Jeollanam-do.

296 Yong Hwang and Muyeol Kim 연구를시도하였다. 재료및방법 1. 재료 : 본연구에사용된재료는 2009 년 3 월부터 2011 년 9 월까지채집하였고국립수목원표본관 (KH) 과전북대학교생명과학과식물표본관 (JNU) 의표본을관찰하였다. 본연구기간중채집된개체는건조표본으로제작하여전북대학교생명과학과식물표본관 (JNU) 에확증표본으로보관하였다. 일부개체는생육과정을관찰하기위해묘포장에이식재배하였다. 본연구에사용된분류군및채집지정보는 Fig. 1 과 Table 1 에있다. 관찰및측정에사용된표본은 Appendix 에기재하였다. 2. 방법 : 외부형태학적형질은직접채집한재료와국립수목원표본관 (KH) 의표본을사용하여관찰및측정하였다. 분류학적주요형질은해부현미경 (Nicon SMZ-10) 으로관찰하였고, Carl Zeiss AxioCam 을이용하여촬영하였다. 잎의길이와폭, 화경의형태와길이, 포의길이와폭, 화피의색, 화통의길이와폭, 외화피길이와폭, 내화피길이와폭, 화사의길이, 약의길이와폭등을관찰하여정성적형질과정량적형질을취했다. 색의구분은생체재료를대상으로색도계 (RHS colour chart) 를이용하였다. 직접관찰한분류군에대한총 32 개의정성적, 정량적형질을관찰하여 Table 2 에정리하였고, 정량적형질 21 개의측정기준은모식도로제시하였다 (Fig. 2). 결과및고찰 1. 형태학적연구 1) 뿌리 (Root) 방추형뿌리의유무가원추리속식물들을동정하는인식형질로사용되어왔다 (Ahn et al., 1999; Lee, 2006; Chung, 2007). 확인결과기존문헌과는달리방추형뿌리가모든 Fig. 2. Measurement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emerocallis. A. Overall shape; B. Leaf; C. Bract; D. Flower; E, Stamen; F. Pistil; G. Outer tepal; H. Inner tepal; I. Seed (1-length of leaf; 2-width of leaf; 3-length of scape; 4-diameter of scape; 5-length of bract; 6- width of bract; 7-number of flower; 8-length of outer tepal; 9-width of outer tepal; 10-length of inner tepal; 11-width of inner tepal; 12- length of perianth tube; 13-diameter of perianth tube; 14-length of anther; 15-width of anther; 16-length of filament; 17-length of pistil; 18-length of ovary; 19-width of ovary; 20-length of seed; 21- width of seed). 분류군에서관찰되었다. 현지에서채집했을때와연구용포지로이식후방추형뿌리의비후정도를관찰했을때비후정도가낮아졌다. 이는생육지환경이나영양상태에의해달라지는것으로판단되며, 이에따라색상도흰색에서짙은갈색까지다양했다. Table 2.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Taxa Root Leaf Scape root shape rhizome length (cm) width (cm) scape type length (cm) diameter (mm) H. minor fusiform 30.0 (31.0±1.0) 35 1.0 (1.1±0.1) 1.2 drooped 29.0 (30.0±6.3) 50 2.0 (2.2±0.4) 3.3 H. thunbergii fusiform 62.0 (83.4±13.5) 98 1.0 (1.7±0.5) 2.2 drooped 100.0 (120.7±16.0) 143.0 4.0 (5.2±1.0) 6.4 H. lilioasphodelus fusiform 38.0 (89.4±24.1) 111.0 1.2 (1.5±0.2) 2.0 drooped 51.0 (108.5±33.0) 142.0 3.8 (4.5±0.8) 6.1 H. middendorffii fusiform 45.0 (65.0±11.0) 76 1.3 (1.7±0.4) 2.7 drooped 38.0 (56.0±14.) 80.0 2.4 (3.2±0.8) 4.7 H. dumortieri fusiform 56.0 (59.0±2.6) 62.0 2.2 (2.5±0.2) 2.7 drooped 56.0 (61.0±6.2) 70.0 4.0 (4.5±0.6) 5.0 H. teanensis fusiform 22.7 (39.2±7.2) 49.0 0.6 (0.9±0.2) 1.2 drooped 32.0 (45.4±8.4) 61.0 2.0 (2.3±0.5) 3.5 H. hongdoensis fusiform 47.0 (66.6±20.4) 94.5 2.0 (2.9±0.9) 4.0 drooped 55.5 (69.4±10.1) 79.0 5.0 (6.2±0.7) 6.7 H. hakuunensis fusiform 51.0 (79.4±18.3) 106.0 1.5 (1.8±0.2) 2.0 drooped 55.0 (82.9±19.5) 101.0 2.7 (4.2±0.8) 5.1 H. fulva fusiform 52.0 (63.1±6.1) 74 1.4 (1.8±0.4) 2.7 erect 90.0 (100.0±5.6) 110.0 5.9 (6.3±0.4) 8.0 H. fulva for. kwanso fusiform 55.0 (63.1±6.1) 74 1.4 (1.8±0.5) 2.7 erect 92.0 (100.4±5.8) 109.0 5.8 (6.3±0.4) 7.0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7 Table 2. Continued. Taxa Bract position bract shape length (cm) width (cm) inflorescence type Flower flowering season flowering time number of Flower H. minor disperse lanceolate 1.2 (1.3±0.1) 1.4 0.8 (0.9±0.1) 1.0 branched type May-Jun. nighttime 2 (3±1) 5 H. thunbergii disperse lanceolate 0.5 (4.2±2.7) 8.5 0.3 (1.0±0.4) 1.5 branched type Jul.-Agu. nighttime 8 (13±4) 21 H. lilioasphodelus disperse lanceolate 0.8 (1.7±0.7) 2.5 0.4 (0.6±0.2) 0.8 branched Jul.-Agu. nighttime 8 (13±3) 16 H. middendorffii concentrate ovate 5.1 (5.8±0.4) 6.2 2.4 (2.7±0.3) 3.4 unbranched type Jun.-Jul. daytime 3 (4±1) 6 H. dumortieri concentrate ovate 2.4 (2.5±0.3) 2.8 0.2 (4.0±0.4) 0.8 unbranched type Jun.-Jul. daytime 4 (5±) 7 H. teanensis disperse lanceolate 0.4 (1.1±0.6)1.8 0.2 (0.3±0.1) 0.4 branched type May-Jun. daytime 1 (3±1) 5 H. hongdoensis disperse lanceolate 1.7 (2.8±1.6) 5.2 0.9 (1.1±0.2) 1.3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7 (9±1) 10 H. hakuunensis disperse lanceolate 0.4 (3.5±3.1) 10.0 0.6 (0.6±0.1) 0.8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3 (8±3) 14 H. fulva disperse lanceolate 1.0 (1.5±0.42) 2.4 0.5 (0.8±0.3) 1.3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10 (13±3) 18 H. fulva for. kwanso disperse lanceolate 1.0 (1.6±0.42) 2.2 0.5 (0.7±0.2) 1.2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10 (14±3) 18 Table 2. Continued. Flower Taxa outer tepal inner tepal color scent fertility length (cm) width (cm) length (cm) width (cm) H. minor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4.5 (5.0±0.6) 5.5 1.4 (1.6±0.2) 1.7 5.4 (5.6±0.2) 5.8 1.6 (2.0±0.3) 2.2 H. thunbergii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5.7 (7.7±1.1) 8.5 1.0 (1.2±0.2) 1.5 5.6 (7.5±0.9) 8.3 1.3 (1.7±0.3) 2.2 H. lilioasphodelus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5.0 (6.0±1.2) 7.4 1.0 (1.2±0.1) 1.3 5.1 (6.6±1.1) 7.5 2.0 (2.2±0.2) 2.5 H. middendorffii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8 (8.1±0.2) 8.3 1.2 (1.4±0.1) 1.5 8.0 (8.2±0.1) 8.4 1.3 (1.4±0.1) 1.5 H. dumortieri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6 (8.5±0.6) 9.0 2.0 (2.3±0.2) 2.6 7.3 (8.4±0.8) 9.2 2.6 (3.2±0.5) 3.7 H. tean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4.8 (6.0±0.7) 7.1 0.7 (1.0±0.2) 1.3 5.4 (6.2±0.5) 6.8 1.0 (1.5±0.4) 2.1 H. hongdo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8.2 (9.1±1.5) 11.3 1.5 (1.7±0.14) 1.8 8.6 (9.4±1.2) 11.2 2.6 (2.9±0.2) 3.0 H. hakuun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2 (8.1±0.8) 9.5 1.3 (1.5±0.1) 1.6 7.0 (8.1±0.8) 9.5 1.5 (2.3±0.5) 2.8 H. fulva orange type odorless sterile 7.0 (8.4±0.2) 9.0 1.6 (1.8±0.3) 2.2 7.9 (8.3±0.2) 8.9 3.0 (3.1±0.1) 3.4 H. fulva for. kwanso orange type odorless sterile 8.0 (8.4±0.3) 9.0 1.6 (1.9±0.3) 2.2 8.0 (8.3±0.2) 8.7 3.0 (3.1±0.1) 3.3 2) 지하경 (Rhizome) 지하경의유무는표본상태에서확인하기어려운인식형질이다. 또한무성생식과유성생식을구분하는형질이다. 무근경형과근경형으로구분하였으며, 채집시다수의개체를대상으로조사하였다. a. 무근경형 (unrhizome type): 지하경이없다. 애기원추리,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 노랑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및태안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A-a). b. 근경형 (rhizome type): 지하경이있다. 왕원추리와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A-b). 3) 잎 (Leaf) 잎은근생엽만존재하며, 1 열로과상으로배열하고모 두선형으로관찰되었다. 화경을기준으로다음과같이구분하였다. a. 장엽형 (long leaf type): 화경보다잎이긴형태이다. 애기원추리와큰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b. 단엽형 (short leaf type): 화경보다잎이짧은형태이다.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4) 화서 (Inflorescence) 화서는총상화서이고, 무분지형과분지형으로구분된다. a. 무분지형 (unbranched type): 화경이분지되지않는형이다 (Fig. 3B-a). 소화경이밀집해있는형태로, 꽃은 3-5 개

298 Yong Hwang and Muyeol Kim a. 밀집형 (concentrate type): 포가화경끝에구형으로모여있다. 큰원추리와각시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D-a). b. 분산형 (disperse type): 포가화경에흩어져있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D-b). 7) 포형태 (Bract form) 포의형태는난형과피침형으로구분하였다. a. 난형 (ovate): 포의길이와폭의비율이 1.5:1 인난형이다. 큰원추리와각시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E-a). b. 피침형 (lanceolate): 포의길이와폭의비율이 3:1 이상인피침형이다. 피침형은화서의기부로갈수록길이가짧아져난형으로보이는경향이있었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E-b). Fig. 3. Key characters of the Hemerocallis. A. Rhizome type: A-a unrhizome, A-b rhizome; B. Inflorescence type: B-a unbranched, B-b branched; C. Scape type: C-a erect, C-b drooped; D. Bract position: D-a concentrate, D-b disperse; E. Bract form: E-a ovate, E-b lanceolate; F. Tepal type: F-a obovate, F-b oblong, F-c elliptical; G. Flower colors: G-a yellow-3-a, G-b yellow-7-a, G-c yellow-orange-23-a, G-d yellow-orange-24-a, G-e orange-n25-a. 가달리며해당된종은큰원추리와각시원추리이다. b. 분지형 (branched type): 화경이분지하는형으로화경끝에서 3 회이상차상분지한다 (Fig. 3B-b). 꽃은 8-14 개가달린다. 분지형은다시얕게분지하는 (2-4 cm) 것과깊게분지하는 (5 cm 이상 ) 것으로구분하였다. 화경이얕게분지하는종은애기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이고, 깊게분지하는종은백운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이다. 5) 화경 (Scape) 화경과꽃의방향을기준으로직립형과처진형으로구분하였다. a. 직립형 (erect type): 화경이지면과수직으로신장하고꽃의방향은상향이다. 왕원추리와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C-a). b. 처진형 (drooped type): 화경이기울어져신장하고꽃의방향은측향이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백운산원추리및홍도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C-b). 6) 포의위치 (Bract position) 포의위치에따라포가화경끝에구형으로모여있는것과화경전체에흩어져있는것으로구분되었다. 8) 꽃 (Flower) 개화기 (flowering season) 및개화시간 (flowering time): 개화기는 5 월에서 8 월까지 3 개월에걸쳐대부분이개화한다. 5-6 월에애기원추리, 태안원추리, 큰원추리가가장빨리개화한다. 7-8 월에각시원추리, 노랑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가개화한다. 개화시간에따라주간개화형과야간개화형으로구분하였다. a. 주간개화형 (daytime flowering type): 오전 9 시를기준으로개화를시작하는형이다.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b. 야간개화형 (nighttime flowering type): 오후 5 시기준으로개화를시작하는형이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및골잎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꽃색 (flower colors): 꽃색은주로노랑색과주황색사이의명도, 채도에따라다양한색변이를 RHS Color Chart 를이용하여구분했으며. 연한황색형과오렌지빛황색형, 주황색형으로구분되었다 (Fig. 3G). a. 연한황색형 (yellow type): 레몬색 (Yellow-3-A) 이나연한노랑색 (Yellow-7-A) 을띤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및골잎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b. 오렌지빛황색형 (yellow-orange type): 오렌지빛황색 (Yellow-orange-23-A) 이나연한주황색 (Yellow-orange-24- A) 을띤다.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및백운산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c. 주황색형 (orange type): 주황색 (Orange-N25-A) 을띤다. 왕원추리와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향기 (scent): 향기의경우원추리의분류형질중난해한부분이지만확실하게차이가있었으며, 향기가있는형과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9 없는형으로구분하였다. a. 향기형 (fragrant type): 개화후향기를맡았을때향기가있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및골잎원추리에서확인할수있었다. b. 무취형 (odorless type): 개화후향기를맡았을때향기가없다.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확인할수있었다. 임성 (fertility): 임성이있어종자를결실하는분류군과불임으로종자를결실하지않는분류군으로구분하였다. a. 임성형 (fertile type): 종자를결실하는형이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각시원추리, 큰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및백운산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b. 불임성형 (sterile type): 종자를결실하지않는형이다. 왕원추리와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화피 (tepal): 3 장의외화피열편과 3 장의내화피열편으로구성되며보통개화시작후 1-2 일내로시들어버린다. 외화피열편길이가가장짧은것은애기원추리로 5±0.6 cm 로관찰되었으며, 가장긴것은 9.1±1.5 cm 로홍도원추리였다. 외화피열편의폭이가장좁은것은태안원추리로 1±0.2 cm, 가장넓은것은각시원추리로 2.3±0.2 cm 로관찰되었다. 내화피열편도외화피열편처럼비슷한경향을보였다. 외 내화피열편의형태는도난형, 장타원형, 타원형으로구분되었다. a. 도난형 (obovate): 길이와너비의비가약 3:1 정도이고, 중앙보다윗부분이다소넓어진도난형에가까운형이다. 태안원추리, 백운산원추리및노랑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F-a). b. 장타원형 (oblong): 길이와너비의비가약 4:1 이상이고, 기부에서선단부로갈수록폭이좁아지는형이다. 큰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F-b). c. 타원형 (elliptical): 길이와너비의비가약 2:1 정도이고, 중앙부분이다소넓어진형이다. 골잎원추리, 애기원추리, 홍도원추리, 각시원추리, 왕원추리및겹왕원추리에서관찰되었다 Fig. 3F-c). 2. 분류학적기재 원추리속 Hemerocallis L., Sp. Pl. 324, 1753 원추리속은다년생초본식물이다. 뿌리는방추형이며근경이있거나없다. 잎은근생엽이총생하고평평한선형이다. 화경은직립하거나옆으로기울어진다. 꽃은화경끝에 1-21 개가달린다. 화관은깔대기모양으로화피통부가길다. 수술은 6 개이며화관통부에붙는다. 암술은자방상위이며, 자방은 3 실이다. 열매는세모진삭과이다. 염색체수는 x =11 이다. 한국산원추리속 (Hemerocallis) 의검색표 1. 꽃은연한황색. 야간형개화. 향기가있다. 2. 화경은 2-4 cm 로얕게분지. 5-6 월개화. 꽃은 2-4 개. 약은 5 mm 애기원추리 H. minor 2. 화경은 5cm 이상깊게분지. 7-8 월개화. 꽃은 10-21 개. 약은 6-10 mm. 3. 화피통부의길이는 3-5 cm. 화사는 4-5 cm. 노랑원추리 H. thunbergii 3. 화피통부의길이는 2.6-3.0 cm. 화사는 3-4 cm. 골잎원추리 H. lilioasphodelus 1. 꽃은오렌지빛황색. 주간형개화. 향기가없다. 4. 화경은무분지형. 포는난형이고화경끝에구형으로모여있다. 5. 포는녹색혁질. 내화피열편폭은 1.3-1.5 cm. 잎의폭은 1.3-2.1 cm. 큰원추리 H. middendorffii 5. 포는연녹색막질. 내화피열편폭은 2.7-3.7 cm. 잎의폭은 2.3-2.7 cm 각시원추리 H. dumortieri 4. 화경은분지형. 포는피침형이고화경에흩어져있다. 6. 꽃은임성 (2 배체 ). 꽃은옆을향해핌. 화경이처짐. 지하경이없다. 7. 화경은 2-4 cm 로얕게분지. 8. 잎의폭이 0.7-1.1 cm. 잎의길이 32.0-46.0 cm. 화경직경 2.0-3.0 mm. 태안원추리 H. teanensis 8. 잎의폭이 1.4-3.0 cm. 잎의길이 55.0-93.0 cm. 화경직경 4.7-5.0 mm. 홍도원추리 H. hongdoensis 7. 화경은 5cm 이상깊게분지. 잎의폭이 1.8-2.0 cm 백운산원추리 H. hakuunensis 6. 꽃은불임성 (3 배체 ). 꽃은하늘을향해핌. 화경이곧음. 지하경이있다. 9. 꽃이홑꽃이다 왕원추리 H. fulva 9. 꽃이겹꽃이다 겹왕원추리 H. fulva for. kwanso 1) Hemerocallis minor Mill., Gard. Dict., ed. 8. no. 2. (1768) Fig. 4A H. graminea Andrews, Bot. Repos. 4: t. 244 (1804) H. flava var. minor (Miller) M. Hotta, Acta Phytotax. Geobot. 22: 40 (1966) 국명 : 애기원추리 (Chung, 1937) 잎은선형이고길이는 30.0-35.0 cm, 폭은 1.0-1.2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5-6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2-5 개가달린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짧고, 1-2 회얕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29.0-50.0 cm 이

300 Yong Hwang and Muyeol Kim Fig. 4. A. H. minor Mill.: A-a flower, A-b inflorescence, A-c bract; B. H. thunbergii Baker: B-a flower, B-b inflorescence, B-c bract; C. H. lilioasphodelus Nakai: C-a flower, C-b inflorescence, C-c bract; D.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D-a flower, D-b inflorescence, D-c bract. 며 폭은 2.0-3.3 m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 며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있으며 야간 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2-1.5 cm이다. 외화피 열편의 길이는 4.5-5.5 cm, 폭은 1.4-1.7 cm이며, 내화피 열 편의 길이는 5.4-5.8 cm, 폭은 1.6-2.2 cm이다. 화피는 연한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2-3.8 cm이며 연한 노 랑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4.8-7 mm이며 갈색 이다. 암술의 길이는 7.8-8.0 cm 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3릉 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을 띤다. 분포: 한국(북부), 만주 생태: 두만강과 만주지방의 주변 저지대, 숲의 가장자 리나 초지에 주로 분포한다. 분류학적 검토: 애기원추리는 꽃색이 연한 황색이고 야 간개화형이다. 화경은 얕게 분지하며, 꽃에 향기가 있다. 다른 분류군에 비해 잎과 화경의 길이가 짧은 특징을 가 지고 있다. 태안원추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으며 특히 잎과 화피통부의 길이가 짧은 특징이 있다. 2) 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Gard. Chron. 2: 94 (1890) Fig. 4 B H. coreana Nakai, Bot. Mag. Tokyo 46: 123 (193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1 H. vespertina H. Hara, J. Jap. Bot. 17: 127 (1941) H. citrina var. vespertina (H. Hara) M. Hotta, Acta Phytotax. Geobot. 22: 41 (1966) 국명 : 노랑원추리 (Lee, 1976) 잎은선형이고길이는 62.0-98.0 cm, 폭은 1.0-2.2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7-8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8-21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길고, 3 회이상깊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100.0-143.0 cm 이며폭은 4.0-6.4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분산되어있다. 꽃에향기가있으며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2.4-4.5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5.7-8.5 cm, 폭은 1.0-1.5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5.6-8.3 cm, 폭은 1.3-2.2 cm 이다. 화피는연한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3.1-6.4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4.2-7.4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6.0-12.0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서남부 ), 일본생태 : 서남해안해안가저지대에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노랑원추리는연한황색으로야간개화형이다. 화경은깊게분지하고, 꽃에향기가있다. 화피통부의길이가 3.0-5.0 cm 로다른분류군에비해길다. 골잎원추리에비해화피통부와화사가긴특징이있다. 3) Hemerocallis lilioasphodelus L., Sp. Pl. 1: 324 (1753) Fig. 4C H. flava (L.) L., Sp. Pl. ed. 2: 462 (1762) 국명 : 골잎원추리 (Chung et al., 1937) 잎은선형이고길이는 38.0-111 cm, 폭은 1.2-2.0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7-8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8-16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길고, 3 회이상깊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51.0-142.0 cm 이며폭은 3.8-6.1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분산되어있다. 꽃에향기가있으며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2.4-3.5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5.0-7.4 cm, 폭은 1.0-1.3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5.1-7.5 cm, 폭은 2.0-2.5 cm 이다. 화피는연한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3.1-3.5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8.0-10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6.4-10.0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북부 ), 만주생태 : 두만강과만주지방저지대숲의가장자리나초지에주로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골잎원추리는연한황색으로야간개화형이다. 화경은깊게분지하고, 꽃에향기가있다. 노랑원추리에비해화피통부와화사가짧은특징이있다. 4)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and C.A. Mey., Fi. Ochot. Phaenog. 94 (1856) Fig. 4D H. dumortieri var. middendorffii (Trautv. and C.A. Mey.) Kitamura, Act. Phytotax. Geobot, 22: 70 (1966) 국명 : 큰원추리 (Chung, 1937) 잎은선형이고길이는 45.0-76.0 cm, 폭은 1.3-2.7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6-7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3-6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짧고, 무분지형이다. 화경은길이가 38.0-80.0 cm 이며폭은 2.4-4.7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이며화경에포가밀집되어있다. 포가녹색혁질이다. 꽃에향기가없으며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1.4-1.8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7.8-8.3 cm, 폭은 1.2-1.5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8.0-8.4 cm, 폭은 1.3-1.5 cm 이다. 화피는오렌지빛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4.7-6.0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7.0-10.0 c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7.0-8.1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중북부 ), 만주, 일본생태 : 산지의고지대의숲의가장자리나초지에주로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큰원추리는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무분지형이고, 꽃에향기가없다. 포는각시원추리에비해길이와폭이크고, 녹색혁질이다. 5) Hemerocallis dumortieri Morren, Hort. Belge. 2: 195 t. 43 (1835) Fig. 5A 국명 : 각시원추리 (Chung et al., 1937) 잎은선형이고길이는 56.0-62.0 cm, 폭은 2.2-2.7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6-7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4-7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짧고, 무분지형이다. 화경은길이가 56.0-70.0 cm 이며폭은 45.0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밀집되어있다. 포가연녹색막질이다. 꽃에향기가없으며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1.4-1.7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7.6-9.0 cm, 폭은 2.0-2.6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7.3-9.2 cm, 폭은 2.6-3.7 cm 이다. 화피는오렌지빛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5.5-6.2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8-9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6.7-7.6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

302 Yong Hwang and Muyeol Kim Fig. 5. A. H. dumortieri Morren: A-a flower, A-b inflorescence, A-c bract; B.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B-a flower, B-b inflorescence, B-c bract; C.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C-a flower, C-b inflorescence, C-c bract; D. H. hakuunensis Nakai: D-a flower, D-b inflorescence, D-c bract. 있고 검은색을 띤다. 분포: 한국(북부), 만주, 일본 생태: 산지의 고지대의 숲의 가장자리나 초지에 주로 분 포한다. 분류학적 검토: 각시원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무분지형이고, 꽃에 향기가 없다. 포는 큰원추리에 비해 길이와 폭이 짧고, 연녹색 막질이다. 6) Hemerocallis taeanensis S.S. Kang and M.G. Chung, Syst. Bot. 22(3): 428 (1997) Fig. 5B 국명: 태안원추리(Kang and Chung, 1997)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22.7-49.0 cm, 폭은 0.6-1.2 cm이며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5-6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서이며 꽃은 1-5개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 짧고, 1-2회 얕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32.0-61.0 cm이며 폭 은 2.0-3.5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화 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화 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8-2.8 cm이다. 외화피 열편 의 길이는 4.8-7.1 cm, 폭은 0.7-1.3 cm이며, 내화피 열편의 길이는 5.4-6.8 cm, 폭은 1.0-2.1 cm이다. 화피는 오렌지 빛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5-4.7 cm이며 화피색 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4.5-7.0 mm이며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3 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5.8-7.8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태안반도 ), 한국특산식물생태 : 안면도해안주변의저지대, 숲의가장자리나초지에주로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태안원추리는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얕게분지하고, 꽃에향기가없다. 애기원추리에비해전체적으로크며특히잎과화피통부의길이가긴특징이있다. 7) Hemerocallis hongdoensis M.G. Chung and S.S. Kang, Novon 4(2): 94 (1994) Fig. 5C 국명 : 홍도원추리 (Kang and Chung, 1994) 잎은선형이고길이는 47.0-94.5 cm, 폭은 2-4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7-8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7-10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길고, 1-2 회얕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55.5-79 cm 이며폭은 5-6.7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분산되어있다. 꽃에향기가없으며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3.0-3.7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8.2-11.3 cm, 폭은 1.5-1.8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8.6-11.2 cm, 폭은 2.6-3.0 cm 이다. 화피는오렌지빛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5.2-6.0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7.0-10.0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11.6-12.7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전남 - 홍도, 흑산도, 가거도 ), 한국특산식물생태 : 해안주변의저지대에서고지대까지, 숲의가장자리나초지에주로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홍도원추리는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얕게분지하고, 꽃에향기가없다. 다른분류군에비해내화피열편과암술의길이, 잎의폭이길다. 백운산원추리에비해잎과내화피의폭이넓고화경이얕게분지한다. 홍도원추리는 H. littorea 로취급하기도했으나 (Lee, 1980), H. littorea 는형태적으로왕원추리 (H. fulva) 와형태가유사하며화피열편의형태가날카로운피침형인특징이있다 (Ohwi, 1984). 또한분자계통학적연구결과 H. littorea 와차이가있어, 별개의한국특산종임을지지해주었다 (Hwang et al., unpublishing data). 8)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J. Jap. Bot. 19: 315 (1943) Fig. 5D H. micrantha Nakai, J. Jap. Bot. 19: 315 (1943) 국명 : 백운산원추리 (Chung and Chung, 1995), 원추리잎은선형이고길이는 51-106 cm, 폭은 1.5-2.0 cm 이며 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7-8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3-14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길고, 3 회이상깊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55.0-101.0 cm 이며폭은 2.7-5.1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분산되어있다. 꽃에향기가없으며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2.0-3.0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7.2-9.5 cm, 폭은 1.3-1.6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7.0-9.5 cm, 폭은 1.5-2.8 cm 이다. 화피는오렌지빛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4.1-6.5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5.0-9.0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7.6-12.0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한국 ( 중남부 ), 한국특산식물생태 : 저지대숲의가장자리나초지에주로분포한다. 분류학적검토 : 백운산원추리는한반도에서가장분포지가넓은일반종으로우리가원추리라고흔히일컫는종이다. 백운산원추리는원추리라는이름으로민속학적으로오랫동안식용및약용으로사용하고있다. 백운산원추리는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깊게분지하고, 향기가없다. 홍도원추리에비해화경이깊게분지하며, 잎과내화피의폭이좁다. Hemerocallis fulva (L.) L., Sp. Pl. ed. 2: 462 (1762) H. liloasphodelus var. fulva L., l. c. ed. 1: 324 (1753) H. maculata Baroni, Nouv. Giorn. Bot. Ital. 2: 306 (1897) H. aurantiaca Nakai, Bull. Nat. Sci. Mus. Tokyo 31: 146 (1952) 국명 : 왕원추리 (Chung, 1957), 원추리 (Lee, 1980) 잎은선형이고길이는 55.0-74.0 cm, 폭은 1.4-2.7 cm 이며선단부는예두이다. 개화기는 7-8 월이다. 화서는총상화서이며꽃은 10-18 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길고, 3 회이상깊게분지한다. 화경은길이가 92.0-109.0 cm 이며폭은 5.8-7.0 cm 이다. 화경의포는난형또는피침형이며화경에포가분산되어있다. 꽃에향기가없으며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길이는 2.0-3.2 cm 이다. 외화피열편의길이는 8.0-9.0 cm, 폭은 1.6-2.2 cm 이며, 내화피열편의길이는 8.0-8.7 cm, 폭은 3.0-3.3 cm 이다. 화피는주황색을띤다. 화사는선형, 길이는 6.6-7.7 cm 이며화피색과같은색을띤다. 약은장타원형, 길이는 6.7-9.0 mm 이며갈색이다. 암술의길이는 9.4-11.5 cm 이다. 열매는삭과이며 3 릉형타원체이다. 종자는능형이며광택이있고검은색을띤다. 분포 : 재배식물 ( 외래식물 ), 중국분류학적검토 : Lee(1980) 가 H. fulva 를원추리라고하기전에 Chung(1957) 이먼저왕원추리라고했기에이를따랐다. 왕원추리 (H. fulva) 는겹왕원추리 (H. fulva for.

304 Yong Hwang and Muyeol Kim kwanso) 와꽃잎이홑꽃이나겹꽃이냐의차이이외는다른차이점이없다. 왕원추리는겹꽃인겹왕원추리와함께원예용으로조경에많이사용된다.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깊게분지하고, 꽃에향기가없다. 화경은직립형이고꽃은하늘을향해핀다. 꽃은불임성이며주황색홑꽃이다. Hemerocallis fulva for. kwanso (Regel) Kitamura, Act. Phytotax. Geobot. 22: 69 (1966) Hemerocallis fulva var. kwanso Regel, Gartenfl. 15: 66, t.500 (1866) Hemerocallis disticha var. kwanso (Regel) Nakai, Bot. Mag. (Tokyo) 38: 179 (1924) 국명 : 겹왕원추리 ( 국명신칭 ), 왕원추리 (Lee, 1980) 분포 : 재배식물 ( 외래식물 ), 중국분류학적검토 : 겹왕원추리 (H. fulva for. kwanso) 는왕원추리의수술이화피화되어겹꽃인점이다르고나머지외부형태학적특징에서왕원추리와큰차이가없다. 또한왕원추리와겹왕원추리모두홑꽃개체와겹꽃개체가존재하므로겹꽃인겹왕원추리의분류학적위치가매우불분명하여품종수준의학명을따랐다. 3. 분류학적논의그동안원추리속을분류하는인식형질중지하경의유무, 방추형뿌리의유무, 개화시간, 향기의유무등에대한형질들을본연구에서논의하였다. 지하경의유무가인식형질로제시되었으나 (Ahn et al., 1999; Chung, 2007), 표본상태에서는확인하기어렵지만생체를채집할때넓은면적에서다수의개체를조사한결과인식형질로가치있는형질임을알수있었다. 방추형뿌리의경우 Ahn et al. (1999) 의연구에서제시된형태와차이가있으며명확한구분이어려웠다. 자생지에서채집한개체와그중일부개체를연구용포지에재배하여확인한결과생육환경과영양상태에따라방추형뿌리의비후정도가달랐으며, 이는환경변화에따른생태형으로판단된다. 개화시간과향기에대한인식형질은학자간에차이가있으나 (Lee, 1980; Lee, 1996; Lee, 2006; Chung, 2007),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가야간개화형이며향기가나는형임을확인할수있었다. 애기원추리 (H. minor) 는그동안종의실체와분포가부정확하였다. Kim(1985) 은애기원추리가제주도산자생원추리라고했다. 또한 Nakai(1932) 는 T. Ishidoya 가 1912 년 8 월 15 일제주한라산에서 ( 해발약 1,500m) 채집한표본을애기원추리라고보았다 (Chung et al., 1994). Matsuoka and Hotta (1966) 는이표본을 H. hakuunensis 의왜소형 (dwarf) 이라고보았으며, Chung et al. (1994) 은늦은오후부터다음날아침에개화하고향기가많이난다는 (Matsuoka and Hotta, 1966) 점과만주, 한반도북부지방, 동부시베리아에분포한다는 (Kitamura et al., 1986) 특징들을봐서애기원추 리는노랑원추리 (H. thunbergii) 에가깝다고하였다. 이번연구를통해한반도북부지방에서애기원추리의실체를확인하였으며, 태안원추리처럼잎과화경의길이가짧은특징을가지고있었으나, 태안원추리에비해전체적으로작고, 특히잎과화피통부의길이가짧은특징이있었다. 노랑원추리의학명은 H. coreana 와 H. vespertina 가 H. thunbergii 과동일종이므로 H. thunbergii 가정명이라는견해를따랐다 (Chung et al., 1994). Chung et al.(1994) 은노랑원추리가한반도중부특히남서부에많이분포한다고언급하였으며, 본연구에서도이를확인할수있었다. 노랑원추리는화서가깊게분지하고연한노랑색으로개화하며, 꽃에향기가있어골잎원추리와유사하나, 화피통부의길이가 3-5cm 로길어뚜렷이구별되었다. 골잎원추리 (H. lilioasphodelus) 의학명을일부학자들 (Chung, 1957; Lee, 1996; Lee, 2006) 은 H. coreana 를사용하고, Lee(1980) 는 H. lilioasphodelus 를사용하였으나, H. coreana 는노랑원추리 (H. thunbergii) 와동일종이므로 (Chung et al., 1994), 골잎원추리는 H. coreana 가아닌 H. lilioasphodelus 로판단된다. Lee(1996) 는골잎원추리가애기원추리에비해화경이분지하고잎보다길다고하였고, Lee(2006) 는식물체전체가애기원추리에비해작다고기재하였다. 이처럼학자들마다골잎원추리의인식형질에대한견해가서로다르며, Chung(2007) 의경우골잎원추리를한국산원추리에포함시키지않았다. 이번연구를통해골잎원추리의실체를한반도북부지역에서확인하였으며, 야간에연한노랑색으로개화하며꽃에향기가있고, 화경이심하게분지하여노랑원추리와유사하나, 화피통부와화사가짧은특징이있었다. 각시원추리 (H. dumortieri) 의경우연변의남쪽에서 Kitagawa 와 Noda 에의해서보고되었으나중국 Jilin 에서실체를확인하지못했으며 H. esculenta 와 H. middendorffii 와관계가있다고언급하였다 (Chen and Noguchi, 2000). 반면 Chung(1957) 은왕원추리에비해식물체전체가소형이며, 화경은잎에서초출하지않는다고기재하였으며, Lee(1996) 는큰원추리에비해화경은잎과길이가거의같고꽃은길이 5-7 cm 로내화피열편의폭이 1-2 cm 로좁다고하였고, Lee(2006) 는왕원추리에비해전체가소형이고, 화경은잎보다길게나온다고하였다. 이처럼각시원추리의실체에대해학자들간의견해가달랐다. 한반도북부의백두산지역에서실체를확인한결과큰원추리 (H. middendorffii) 와형태적으로유사하나포의길이와폭이짧고, 포가연녹색막질인점에서뚜렷이구별되었다. 홍도원추리 (H. hongdoensis) 는일본에분포하는 H. littorea 로간주하거나 (Lee, 1980), H. fulva var. littorea 로보아 (Lee, 2006), 종의동정과분포에있어학자들간에견해차가있다. H. littorea 는홍도원추리와달리왕원추리 (H. fulva) 와형태가유사하며화피열편의형태가날카로운피침형인특징이있다 (Ohwi, 1984). 따라서홍도원추리는 H. littorea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5 와별개의종으로구분되며홍도, 흑산도, 가거도에한정적으로분포하는한국특산종임을지지해주었다. 왕원추리 (H. fulva) 와겹왕원추리 (H. fulva for. kwanso) 는외부형태측정치에서큰차이가없었다. 수술의화피화유무에의한홑꽃과겹꽃의차이로두분류군을구분하고있다. 본연구결과를종합해보면한반도에자생하는원추리속식물은 8 종으로재정리하였다. 인용문헌 Ahn, Y. H., S. H. Kim, C. Lee, and S. Lee. 1999.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0(4): 505-510. (in Korean)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41(4): 399-436.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I).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1(2): 105-121.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flowering plant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5: 531-553. Chen, X. and J. Noguchi. 2000. Hemerocallis L. In Flora of China.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A. 24: 161-165. Chung, M. G. 2007. Hemerocalli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06-1308. Chung, M. G. and Kang S. S. 1994a.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genus Hemerocallis L (Liliaceae) 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07: 165-175. Chung, M. G. and Kang S. S. 1994b. Hemerocallis hongdo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Novon 4: 94-97. Chung, M. G., H. G. Chung, and S. S. Kang. 1994. Distribu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Hemerocallis thunbergi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4 : 17-32. Chung, T. H. 1957. Koran Flora, Part 2,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Pp. 962-964. (in Korean) Hara, H. 1941. Observations and plant Asia orientalis (). Journal of Japanese Botany 17: 127. Hu, S. Y. 1986. The species of the daylily. American Horticulture Magazine 47: 86-113. Jang, U. S. 2010. A taxonom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Pp. 1-52. (in Korean) Kang, S. S. and M. G. Chung. 1997a. Hemerocallis taean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Systematic Botany 22: 427-431. Kang, S. S. and M. G. Chung. 1997b.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n endemic species:. Hemerocallis hakuunensis (Liliaceae). Journal of Plant Research 110: 209-217. Kim, M. H. 1985. Flora of Cheju Islands. Cheju Provincial Office. Pp. 50-55. (in Korean) Kitamura, S., G. Murata, and T. Koyama. 1986. Colored Illustrations of Herbaceous Plants of Japan (Monocotyledoneae). Hoikusha Publ. Co., Ltd., Osaka. Pp. 210-22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201-202. (in Korean) Lee, W. T. 1996. Lin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Seoul, Korea. Pp. 1253-1256. (in Korean)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Pp. 418-421. (in Korean) Matsuoka, M. & M. Hotta. 1966. Classification of Hemerocallis in Japan and its vicinity.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2: 25-43. (in Japanese) Nakai, T. 1911. Flora Koreana (2).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251-253. Nakai, T. 1932. Hemerocallis japonica. Botanical Magazine Tokyo 46: 111-123. Noguchi, J. 1986. Geogrphical and ec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Hemerocallis dumortieri complex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karyology. Journal of Science of the Hiroshima University Ser. B. Div. 2 (Botany) 20: 29-193.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 C. Pp. 291-293.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9: 112. Par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Pp. 320. (in Korean)

306 Yong Hwang and Muyeol Kim Appendix. Examined specimens of Hemrocallis. H. minor Mill. 애기원추리 CNINA: Weichang Hebei 1 Aug. 2002, Kang, J. 1063243-44 (KH); Jilin, 1 Aug. 2010,? (KB), 1 2010,? (KB) Hambuk: Riv. Duman, 14 Aug. 2011, MKH 0050 (JNU) H. thunbergii Baker 노랑원추리 Jeonbuk: Gochang, 12 Aug. 2011, MKH 0016 (JNU); Wanju 2004.7.29 Oh, B 1071681 (KB). Jeonnam: Is. Dal, 19 Aug. 2011, MKH 0020 (JNU); 19 Jul. 2006, Cho, Y. 060719-151 (KB); Mt. Dalma 8 Aug. 2005, Choi, H. 1101245 (KB); Bonggang 8 May. 2006, Nam, G. 1099265 (KB) H. lilioasphodelus Nakai 골잎원추리 CHINA: 2 Jul. 2010, Jilin Robak Mountain, Kim, S. 0697 (KB). Hambuk: Riv. Duman, 10 Aug. 2010, MKH 0045 (JNU); Mt. Baekdu, 22 Aug. 2010, Kim S. 1777 (KB)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큰원추리 Gyeonggi: Jinjeop 6 Jul. 2001, Park, S. et al. 05196 (KB); Mt. Yeonin Jeon, E. 1125578-9 (KB); Jangsubong 17 Jun. 2006, Jeon, E. 1125559, 60652, 60657, 60670, 60496 (KB); Yeoju 29 Jun. 2004, Baek, W. 1077821 (KB); Mt. Gonam 13 Jul. 2007, S. Ko 1173343 (KB) Jeonbuk: Mt. Dukyu, 25 Jun. 2010, MKH 0039 (JNU); Mt. Daedun 14 Aug. 2008, Lee, H. 1200087 (KB); Mt. Bugwi 31 Jul. 2005, Choi, H. 1101584-5 (KB) Jeonnam: Sinan 15 Aug. 2007, Cho Y. 1178390 (KB); Mt. Baekun 11 Sep. 2007, S. Ko 1173405 (KB); Hampyeong 16 Oct. 2004, Kim, J. 1077715 (KB); Muan 30 Jul. 2004, Chang, C. et al. 1077767 (KB) Gyeongbuk: Mt. Geomma 2004. 24 Jun. Chung G. Y. et al. 1076772-3 (KB); Mt. Sobaek 2007. 21 Aug. Hyun, J. 1170340 (KB); Mt. Hakga 10 Aug. 2006, Oh, B. 1131979-80 (KB); Mt. Duta 9 Jun. 2007, Jin Oh Hyun 1171029-30 (KB); Cheongcheon 30 Jul. 2004, Chang, C. & Park, S. 1069855 (KB) Gyeongnam: Hadong 30 Jul. 2004, Lim, H. 1069854, 1071722 (KB); Mt. Jiri, 9 Jul. 2011, MKH 0038 (JNU) H. dumortieri Morren 각시원추리 CHINA: 16 Jun. 2010, Hyun, J. 2010-0477 (KB) Hambuk: Mt. Baekdu, 12 Aug. 2011, MKH 0051 (JNU)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태안원추리 Chungnam: Is. Anmyeon, 7 Jun. 2006 Jeon, E. 60544, 60551, 60581 (KB); Is. Anmyeon, 13 Jun. 2006 Jeon, E. 60640 (KB); 18 Jun 2009, Jeon, E. 90363, 90458, 90482 (KB); Is. Anmyeon, 7 Jul. 2011, MKH 0032 (JNU)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홍도원추리 Jeonnam: Is. Heuksan, 21 Aug. 2003, Jeon, E. 32310 (KB); Is. Heuksan, 21 Jun. 2010, MKH 0001 (JNU); Is. Hong, 27 Aug. 2010, MKH 0002 (JNU) H.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Gangwon: 19 Jun. 2004. Chung, J. 0406185 (KB). Gyeongnam: Mt. Gaya, 16 Jul. 2010, MKH 0005 (JNU); Mt. Jiri, 18 Jul. 2010, MKH 0008 (JNU) Gyeongbuk: Mangyang, 15 Jul. 2010, MKH 0007 (JNU) Jeonnam: Is. Jin, 15 Jul. 2011, MKH 0011 (JNU) Hemerocallis fulva (L.) L. 왕원추리 Gangwon: Mt. Daeam 22 Jun. 2006 Park, & S. Nam 1119075, 1119076 (KB) Gyeonggi: Yongamri 9 Jun. 2005, Park, S. 1089968 (KB) Jeonbuk: Jeonju, 15 Jul. 2010, MKH 0051 (JNU) Jeonnam: Jangseong 3 Jul. 2008, Jeon, E. 1219561(KB); Mt. Baekun 16 Jun. 2008, Hyun, J. 1193907(KB)